KR20210023732A - 결속기 - Google Patents

결속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23732A
KR20210023732A KR1020200103853A KR20200103853A KR20210023732A KR 20210023732 A KR20210023732 A KR 20210023732A KR 1020200103853 A KR1020200103853 A KR 1020200103853A KR 20200103853 A KR20200103853 A KR 20200103853A KR 20210023732 A KR20210023732 A KR 202100237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pe
tape reel
reel
axis
main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38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사토시 다구치
Original Assignee
마크스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크스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마크스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100237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373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7/00Cultivation of hops, vines, fruit trees, or like trees
    • A01G17/04Supports for hops, vines, or trees
    • A01G17/06Trellis-work
    • A01G17/08Tools e.g. clips for attaching hops, vines, or boughs to trellis-work; Ty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2Supports for plants; Trellis for strawberries or the like
    • A01G9/128Fixing of plants to supports, e.g. by means of clip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7/00Cultivation of hops, vines, fruit trees, or like trees
    • A01G17/04Supports for hops, vines, or tre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7/00Cultivation of hops, vines, fruit trees, or like trees
    • A01G17/04Supports for hops, vines, or trees
    • A01G17/06Trellis-work
    • A01G17/08Tools e.g. clips for attaching hops, vines, or boughs to trellis-work; Tying devices
    • A01G17/085Espalier machines; Tying mach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3/00Bundling articles
    • B65B13/02Applying and securing binding material around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e.g. using strings, wires, strips, bands or tapes
    • B65B13/025Hand-held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3/00Bundling articles
    • B65B13/02Applying and securing binding material around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e.g. using strings, wires, strips, bands or tapes
    • B65B13/04Applying and securing binding material around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e.g. using strings, wires, strips, bands or tapes with means for guiding the binding material around the articles prior to severing from supp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3/00Bundling articles
    • B65B13/18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used in, bundling machines or bundling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3/00Bundling articles
    • B65B13/18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used in, bundling machines or bundling tools
    • B65B13/24Securing ends of binding material
    • B65B13/34Securing ends of binding material by applying separate securing members, e.g. deformable clips
    • B65B13/345Hand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34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 B65H75/38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involving the use of a core or former internal to, and supporting, a stored package of material
    • B65H75/40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involving the use of a core or former internal to, and supporting, a stored package of material mobile or transpor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34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 B65H75/38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involving the use of a core or former internal to, and supporting, a stored package of material
    • B65H75/44Constructional 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30Handled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37Tapes
    • B65H2701/375Strapping tap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tany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 Seal Device For Vehicle (AREA)
  • Adhesive Tape Dispensing Devices (AREA)

Abstract

결속기는, 통형 관과 관의 외주면에 권회된 테이프를 갖는 테이프 릴을, 테이프의 일부를 인출한 형태로 수용 가능한 수용부를 구비한다. 수용부는, 수용된 테이프 릴의 측면과 대향하는 측벽과, 측벽으로부터 돌출되며, 수용된 테이프 릴의 관에 끼워 맞춰져 테이프 릴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 돌기부와, 측벽으로부터 돌출되며, 수용된 테이프 릴의 측면에 맞닿는 제2 돌기부를 갖는다.

Description

결속기{BINDING MACHINE}
본 발명은, 결속기에 관한 것이다.
농작물을 재배할 때의 결속 작업에 원예용 결속기가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오이, 포도, 토마토, 배, 자두 등의 농작물 재배에 있어서, 식물의 덩굴이나 줄기를 지주나 네트 등에 결속하기 위해, 원예용 결속기가 사용되고 있다. 결속기는, 결속 테이프가 권회된 테이프 릴을 수용하기 위한 테이프 매거진부를 구비하고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17-221149호 공보에 기재된 결속기는, 내경 치수가 다른 테이프 릴이어도, 결속용 테이프의 리턴을 방지할 수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17-221149호 공보의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결속기는, 테이프 매거진부(80)에 마련되는 레버 부재(86)를 구비한다. 이 레버 부재(86)의 다른 부분을 테이프 릴의 내경에 맞닿게 함으로써, 이 결속기는, 소경, 대경의 어느 테이프 릴에 대해서도, 적절한 브레이크력을 부여할 수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5-224197호 공보에 기재된 결속기는, U형 볼록부(25)를 테이프 허브 지지 보스(22)의 내주면에 탄성 접촉시켜 테이프 허브 지지 보스(22)를 외경 방향으로 확대함으로써, 테이프 릴의 역회전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클린처 암은, 인장 스프링에 의해 항상 메인 핸들과 이격되는 방향으로 가압되어 있다. 사용자가 조작 핸들을 쥐는 힘을 약하게 하면, 인장 스프링의 가압력에 의해, 결속용 테이프가 크게 인출되고, 관성에 의해 테이프 릴이 계속해서 정회전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특히 테이프의 잔량이 많은 경우에 테이프가 과잉으로 인출되면, 테이프가 테이프 매거진 유닛으로부터 튀어나와 가지나 잎에 걸리는 사태가 일어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파지 동작 또는 결속 동작에 수반하여 결속 테이프를 인출할 때, 권회된 결속 테이프가 과잉으로 정회전하는 것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결속기를 제공한다.
본 개시의 일 측면에 관한 결속기는, 통형 관과 관의 외주면에 권회된 테이프를 갖는 테이프 릴을, 테이프의 일부를 인출한 형태로 수용 가능한 수용부와, 수용부로부터 인출된 테이프를 보유 지지하는 메인 핸들과, 메인 핸들에 접근하는 제1 방향과 메인 핸들로부터 이격되는 제2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제1 방향으로 회동함으로써 메인 핸들에 의해 보유 지지된 테이프를 파지하고, 파지 후, 제2 방향으로 회동함으로써, 테이프를 더 인출하는 클린처 암을 구비하고, 수용부는, 수용된 테이프 릴의 측면과 대향하는 측벽과, 측벽으로부터 돌출되며, 수용된 테이프 릴의 관에 끼워 맞춰져 테이프 릴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 돌기부와, 측벽으로부터 돌출되며, 수용된 테이프 릴의 측면에 맞닿는 제2 돌기부를 갖는다.
도 1은 결속기의 우측면도.
도 2는 결속기의 좌측면도.
도 3은 대기 상태에 있어서의 결속기의 단면도.
도 4는 테이프를 파지하는 상태에 있어서의 결속기의 단면도.
도 5는 테이프를 인출한 상태에 있어서의 결속기의 단면도.
도 6은 피결속물을 삽입한 상태에 있어서의 결속기의 단면도.
도 7은 스테이플의 박기를 개시한 상태에 있어서의 결속기의 단면도.
도 8은 스테이플의 박기 중의 상태에 있어서의 결속기의 단면도.
도 9는 스테이플의 박기를 완료한 상태에 있어서의 결속기의 단면도.
도 10은 결속기에 테이프 릴을 장착한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
도 11a는 테이프 매거진 유닛의 주요부 단면도.
도 11b는 테이프 릴 장착 시의 테이프 매거진 유닛의 주요부 단면도.
도 12a는 테이프 릴의 보유 지지 전에 있어서의 테이프 매거진 유닛의 주요부 단면도.
도 12b는 축 방향으로 진행하는 샤프트가 필름과 맞닿아 있는 상태에 있어서의 테이프 매거진 유닛의 주요부 단면도.
도 12c는 축 방향으로 진행하는 샤프트가 필름을 통과한 상태에 있어서의 테이프 매거진 유닛의 주요부 단면도.
도 12d는 샤프트의 저면부가 필름에 맞닿아 테이프 릴을 보유 지지하는 상태에 있어서의 테이프 매거진 유닛의 주요부 단면도.
도 13은 브레이크 유닛의 주요부 단면도.
도 14는 브레이크 패드를 표시하는 테이프 매거진 유닛의 투시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 형태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이며, 본 발명을 그 실시 형태에만 한정된다는 취지는 아니다.
도 1 및 도 2는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원예용 결속기(10)의 우측면도 및 좌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있어서의 결속기(10)의 단면도이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편의적으로, 결속용 테이프 TP가 수용되는 테이프 매거진 유닛(26)으로부터, 테이프 홀더(28A)가 연장되고, 테이프 TP가 인출되는 결속기(10)의 선단에 마련되는 테이프 가이드(28B)를 향하는 방향(도 1에 있어서의 지면 우측 방향이며, 도 2에 있어서의 지면 좌측 방향)을 「전방」이라 칭하고, 반대 방향(도 1에 있어서의 지면 좌측 방향이며, 도 2에 있어서의 지면 우측 방향)을 「후방」이라 칭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테이프 TP가 테이프 가이드(28B)로부터 인출되어 대기 상태에 있어서의 테이프 파지 유닛(56)을 향하는 방향(도 1 및 도 2에 있어서의 지면 상측 방향)을 「상방」이라 칭하고, 반대 방향(도 1 및 도 2에 있어서의 지면 하측 방향)을 「하방」이라 칭하는 경우가 있다.
이하, 결속기(10)의 주요 구성에 대하여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그 후, 결속기(10)의 특징적 구조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원예용 결속기(10)는, 예를 들어 농작물(「피결속물」의 일례)의 유인 결속 작업에 사용될 수 있다. 결속기(10)는, 메인 핸들(20)과, 메인 핸들(20)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스테이플 매거진 유닛(22)과, 메인 핸들(20)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클린처 암(50)과, 클린처 암(50)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조작 핸들(70)을 구비하고 있다.
메인 핸들(20)은, 가늘고 긴 직선형으로 형성된 부재이다. 메인 핸들(20)은, 테이프 반송 유닛(28)과, 테이프 절단부(30)와, 스테이플 드라이버(32)를 구비한다. 또한, 메인 핸들(20)의 후단부에는, 테이프 매거진 유닛(26)이 설치된다. 메인 핸들(20)과 테이프 매거진 유닛(26)은, 일체적으로 형성해도 된다.
테이프 매거진 유닛(26)은, 릴 상에 권회된 테이프 TP(이하, 권회된 테이프 TP를, 테이프 릴 TR(「권회된 결속 테이프」의 일례)이라 칭하는 경우가 있음)를 수용하기 위한 기구이다. 테이프 매거진 유닛(26)은, 도 1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핸들(20)의 후단부에 마련된다. 테이프 매거진 유닛(26)의 구성에 대해서는, 후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테이프 반송 유닛(28)은, 테이프 홀더(28A)와, 테이프 가이드(28B)를 구비하고 있다. 테이프 홀더(28A)는, 테이프 매거진 유닛(26)으로부터 테이프 가이드(28B)까지 테이프 TP를 반송하기 위한 경로이며, 메인 핸들(20)의 긴 변 방향을 따라서 부설되어 있다. 테이프 홀더(28A)는, 테이프 TP의 한쪽 표면과 서로 마주 보는 저부와, 테이프 TP의 다른 쪽 표면(이하, 테이프 TP의 다른 쪽 표면을 「이면」이라 하는 경우가 있음)과 서로 마주 보는 덮개부를 구비하고 있다. 저부와 덮개부는, 예를 들어 긴 변 방향의 한 변측을 지지점으로 하여 개폐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테이프 가이드(28B)(도 3 내지 도 9)는, 테이프 TP의 선단을 테이프 홀더(28A)로부터 상방측으로 가이드하여 인출하기 위한 부재이다. 테이프 가이드(28B)는, 테이프 홀더(28A)의 전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마련된다. 테이프 가이드(28B)는, 삽입 관통한 테이프 TP가 용이하게 빠지지 않도록, 테이프 TP의 표면, 이면, 양측부 각각의 적어도 일부와 서로 마주 보는 벽면을 갖고 있다.
테이프 절단부(30)는, 테이프 TP를 절단하기 위한 절단날(30A)과, 절단날(30A)을 로크 및 로크 해제하기 위한 로크 기구(30B)를 구비하고 있다. 절단날(30A)을 교환할 때는, 로크 기구(30B)로 로크 해제를 행하여 절단날(30A)을 떼어낸다. 절단날(30A)은, 테이프 가이드(28B)와 일체로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고, 대기 상태 및 파지 동작 시에 후방을 향하도록 도시하지 않은 탄성 부재에 의해 가압된다. 결속 동작을 실행할 때는, 테이프 가이드(28B)가 테이프 캐치(60)의 선단부(60B)에 압박되고, 테이프 가이드(28B)와 절단날(30A)은 도시하지 않은 탄성 부재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회동하여, 절단날(30A)의 날끝 상방이 테이프 TP에 면하도록 이동한다. 또한, 테이프 TP를 절단하기 위한 기구로서, 다양한 기구를 채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테이프 TP를 테이프 가이드(28B)와 연동하여 회동함으로써, 테이프 TP를 절단하도록 해도 되고, 테이프 가이드(28B) 및 절단날(30A)을 직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하고, 절단날(30A)을 직선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테이프 TP를 절단하도록 해도 되고, 테이프 가이드(28B) 등 테이프 TP를 구속하는 부재를 이동시킴으로써, 정지하는 절단날(30A)에 테이프 TP가 절단되도록 해도 된다.
스테이플 드라이버(32)는, 스테이플 매거진 유닛(22)의 스테이플 수용부(23) 전단 부근에 면하도록 메인 핸들(20)에 설치된 판형 플레이트이다. 스테이플 드라이버(32)는, 스테이플 ST를 하나만 박을 수 있도록, 예를 들어 스테이플 ST의 폭과 대략 동일한 두께 또는 스테이플 ST의 폭보다도 작은 두께를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후술하는 클린처 암(50)이 메인 핸들(20)에 대하여 폐쇄 방향으로 회동하면, 클린처 암(50)에 눌림으로써 스테이플 매거진 유닛(22)은, 메인 핸들(20)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회동한다. 이 때문에, 메인 핸들(20)에 설치된 스테이플 드라이버(32)의 상단은, 상대적으로, 스테이플 수용부(23) 내의 부위 내지 공간에 진입하여, 스테이플 수용부(23) 내의 선두의 스테이플 ST를 상방으로 박는다. 박힌 스테이플 ST는, 테이프 TP를 관통한 후에, 클린처(54)에 클린치된다. 스테이플 ST의 절곡된 다리부는, 스테이플 ST의 크라운부와의 사이에서, 중첩된 2매의 테이프 TP를 파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스테이플 매거진 유닛(22)은, 가늘고 긴 직선형으로 형성된 부재이다. 스테이플 매거진 유닛(22)의 후단부는, 메인 핸들(20)의 후단부에,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단, 회전 각도가 작기 때문에, 스테이플 매거진 유닛(22)은, 메인 핸들(20)에 요동 가능하게 설치된다고 표현하는 경우도 있다.
스테이플 매거진 유닛(22)은, 스테이플 ST를 수용하기 위한 스테이플 수용부(23)와, 푸셔 유닛(24)을 구비하고 있다. 스테이플 수용부(23)는, 메인 핸들(20)의 긴 변 방향을 따라서 배치되어 있고, 내부에 스테이플 ST를 수용하기 위해, 메인 핸들(20)의 긴 변 방향을 따라서 가늘고 길게 형성된 저면과, 저면으로부터 세워 설치되며 서로 대향하는 2개의 측벽면과, 선두의 스테이플 ST의 측면이 압박되는 전방벽면을 구비하고 있다.
스테이플 수용부(23) 내에는, 복수의 스테이플 ST를 수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인접하는 스테이플 ST는, 예를 들어 서로 접착제로 접속되어, 전체로서 일렬의 스테이플군을 구성할 수 있다.
푸셔 유닛(24)은, 스테이플 수용부(23)에 수용된 스테이플 ST를 전방으로 압박하기 위해 스테이플 수용부(23)에 대하여, 예를 들어 삽발 가능하게 설치되는 부재이다. 푸셔 유닛(24)은, 복수의 스테이플 ST 중, 후단부의 스테이플 ST를 전방으로 압박하기 위한 압축 스프링과, 스테이플 수용부(23)의 상방을 덮는 커버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푸셔 유닛(24)을 스테이플 수용부(23)로부터 빼내어, 스테이플 수용부(23)의 상방을 개방시킴으로써, 상방으로부터 스테이플 ST를 스테이플 수용부(23) 내에 세트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클린처 암(50)은, 후단부 부근에 마련된 회전축부(11)에 의해 메인 핸들(20)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또한, 인장 스프링(12)에 의해 메인 핸들(20)과의 간격이 커지는 개방 방향으로 가압되어 설치되어 있다. 클린처 암(50)은, 암부(52)와, 클린처(54)와, 테이프 파지 유닛(56)(「파지부」의 일례)을 구비하고 있다.
암부(52)는, 메인 핸들(20)과의 사이에 C자형 개구부를 형성할 수 있도록, 선단부에 이르기까지 곡선적으로 연장되는 형상을 하고 있다.
클린처(54)는, 스테이플 ST의 다리부를 절곡하여 클린치하기 위한 부재이다. 클린처(54)는, 클린처 암(50)이 폐쇄 방향으로 회동하였을 때, 스테이플 드라이버(32)의 선단에 대향하도록, 클린처 암(50)의 선단부에 마련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스테이플 드라이버(32)에 의해 박힌 스테이플 ST의 2개의 다리부는, 클린처(54)에 의해 클린치되어 내측으로 절곡된다. 클린처 암(50)에 마련되며, 결속 처리를 실행하기 위한 클린처(54)를 포함하는 구성을 「결속부」라 칭하는 경우가 있다.
테이프 파지 유닛(56)은, 메인 핸들(20)의 선단의 테이프 가이드(28B)로부터 인출된 테이프 TP의 단부를 파지하기 위한 기구이다. 테이프 파지 유닛(56)은, 클린처 암(50)의 암부(52)의 선단에 마련된다. 테이프 파지 유닛(56)은, 로크 플레이트(58)와, 테이프 캐치(60)와, 테이프 플레이트(62)를 갖고 있다. 로크 플레이트(58)는, 일단측에 마련된 축부(58A)를 지지점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구성됨과 함께, 타단측이 코일 스프링(59)에 의해 테이프 캐치(60)측으로 가압되어 있다. 로크 플레이트(58)는, 코일 스프링(59)의 가압에 의해, 테이프 캐치(60)에 걸림 결합함으로써 테이프 캐치(60)를 로크하고, 테이프 캐치(60)를 테이프 플레이트(62)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테이프 캐치(60)는, 축부(60A)를 지지점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마련됨과 함께, 비틀림 코일 스프링(61)에 의해 테이프 플레이트(62)측으로 가압되어 있다. 테이프 캐치(60)는, 테이프의 인출 시에 로크 플레이트(58)에 의한 로크가 해제되면, 비틀림 코일 스프링(61)의 가압에 의해, 테이퍼 형상을 이루는 선단부(60B)가 테이프 플레이트(62)측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테이프 플레이트(62)는, 테이프 캐치(60)에 대향하도록 배치되며, 그 선단부가 로크 플레이트(58)로부터 테이프 절단부(30)를 향하여 연장 돌출되어 있다. 테이프 플레이트(62)는, 연장 돌출된 부위와 테이프 캐치(60)의 선단부(60B)로 테이프 TP를 끼움 지지한다. 테이프 TP가 파지되어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조작 핸들(70)을 쥐는 힘을 약하게 하면, 인장 스프링(12)에 의해 클린처 암(50)이 개방 방향으로 회동하기 때문에, 테이프 TP를 테이프 가이드(28B)를 통해 상방으로 인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조작 핸들(70)은, 사용자가 파지하는 부위이며, 그 대략 중간의 축부(70A)가 클린처 암(50)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그 전단부가 메인 핸들(20)에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사용자가 파지하는 부위를 역점, 클린처 암(50)과의 회전축을 지지점으로 하고, 메인 핸들(20)에 설치되는 전단부를 작용점으로 하는 지레의 원리에 의해, 조작 핸들(70)의 개폐 동작에 수반하여 클린처 암(50)이 메인 핸들(2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개폐 동작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하, 결속기(10)의 특징적 구조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테이프 매거진 유닛]
도 10은 테이프 매거진 유닛(26)에 테이프 릴 TR을 장착할 때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또한, 도 11a는 테이프 릴 TR 장착 전의 상태에 있어서의 테이프 매거진 유닛(26)을 보빈 케이스(26A)(「수용부」의 일례)의 축 AX를 포함하는 단면으로 절단한 주요부 단면도이다. 도 11b는, 도 11a에 있어서, 테이프 릴 TR이 장착되었을 때의 모습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이프 매거진 유닛(26)은, 보빈 케이스(26A)와, 테이프 릴 TR을 보유 지지하기 위한 보유 지지 유닛(26B)(「걸림 결합부」의 일례)을 구비한다. 보빈 케이스(26A)는, 테이프 TP의 폭에 상당하는 높이를 갖는 원통형을 이루는 테이프 릴 TR을 수용하기 위해 축 AX를 중심으로 하는 대략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축 AX 방향이란, 축 AX에 평행한 방향을 말한다. 편의적으로, 축 AX 방향 중, 도 11a 및 도 11b에 있어서의 지면 좌측 방향(후술하는 표면부(26A1)로부터 이면부(26A2)를 향하는 방향)을 축 AX 정방향이라 칭하고, 도 11a 및 도 11b에 있어서의 지면 우측 방향(후술하는 이면부(26A2)로부터 표면부(26A1)를 향하는 방향)을 축 AX 부방향이라 칭하는 경우가 있다.
보빈 케이스(26A)는, 대략 원형 일부가 절결된 형상을 갖는 표면부(26A1)(「측벽부」의 일례)와, 대략 원형으로 형성되는 이면부(26A2)(「측벽부」의 일례. 도 2)와, 표면부(26A1)와 이면부(26A2)를 접속하는 주연부(26A3)를 구비하고 있다. 이들 표면부(26A1), 이면부(26A2) 및 주연부(26A3)는, 일체적으로 형성되어도 되고, 분리 가능한 하나 또는 복수의 부품으로 구성해도 된다. 예를 들어, 표면부(26A1)와 주연부(26A3)를 일체적으로 형성하고, 이것에 이면부(26A2)를 접속시켜 보빈 케이스(26A)를 구성해도 된다. 보빈 케이스(26A)의 측벽부란, 권회됨으로써 원 형상을 이루는 테이프 릴 TR의 측면 TR1 또는 측면 TR2에 대향하는 측벽을 갖는 부재를 말한다. 주연부란, 테이프 릴 TR의 2개의 측면 TR1 및 TR2에 대향하여 각각 마련되는 2개의 측벽부를 접속하고, 테이프 릴 TR의 최외주의 테이프 TP의 표면 TR3에 대향하는 부재를 말한다.
표면부(26A1)의 외표면에는, 축 AX를 중심으로 하는 하나 또는 복수의 동심원 볼록부로 구성되는 리브(26A11)가 형성되어 있다. 리브(26A11)는, 예를 들어 엠보싱 가공에 의해 형성되는 엠보싱이어도 된다. 또한, 리브(26A11)는, 둘레 방향으로 연장 설치되는 원호여도 된다. 리브(26A11) 중 하나는, 테이프 릴 TR의 필름 F와 동일한 직경의 원호 또는 원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테이프 릴 TR의 필름 F와 동일한 직경의 리브와 교차하도록, 표면부(26A1)의 외표면의 후방측의 영역에는, 테이프 릴 TR을 수용하는 내부 영역에 연통하는, 소경의 원 형상 구멍(26A12)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표면부(26A1)의 축 AX를 포함하는 중앙부에는, 후술하는 보유 지지 유닛(26B)이 배치되어 있다. 보유 지지 유닛(26B)은, 표면부(26A1)의 내부에 수납된다. 단, 사용자에 의해 눌려지기 위한 버튼(26B1)의 표면은, 외부에 노출된다. 도 11a 및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면부(26A1)의 내벽면은, 테이프 릴 TR이 장착되었을 때, 테이프 릴 TR의 한쪽 측면 TR1의 일부와 서로 마주 보는 제1 내벽면(26A13)(「측벽」의 일례)을 갖는다.
도 1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면부(26A1) 중, 보유 지지 유닛(26B)이 수납되는 축 AX를 포함하는 중앙부를 제외한 일부는, 절결되어 있다. 이 때문에, 표면부(26A1)에는, 개구가 형성된다. 표면부(26A1)에 형성되는 개구의 크기는, 표면부(26A1)에 대향하는 방향(보빈 케이스(26A)의 축 AX에 평행한 방향)으로부터 본 도 10에 있어서, 축 AX를 중심으로 하여, 표면부(26A1) 중 개구 가장자리 상의 1점과, 개구를 사이에 두는 다른 개구 가장자리 상의 1점의 최대 각도에 의해 표현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표면부(26A1)에 대향하는 방향(보빈 케이스(26A)의 축 AX에 평행한 방향)으로부터 보았을 때, 개구 가장자리 상의 1점(26A15)과, 다른 개구 가장자리 상의 1점(26A14)의 축 AX를 중심으로 하는 각도는, 약 120도이다. 이와 같은 개구가 형성되기 때문에, 테이프 릴 TR이 장착되었을 때, 테이프 릴 TR의 원 형상의 측면의 일부는, 외측으로 노출된다.
이면부(26A2)의 외표면(도 2)에는, 테이프 릴 TR을 수용하기 위한 내부 영역에 연통하고, 축 AX로부터 이격된 위치로부터, 축 AX를 기준으로 하는 직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릿(26A21)이 형성된다. 도 11a 및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면부(26A2)의 내벽면은, 테이프 릴 TR이 장착되었을 때, 테이프 릴 TR의 한쪽 원 형상의 측면 TR2의 일부와 서로 마주 보는 제2 내벽면(26A22)(「측벽」의 일례)을 갖는다. 표면부(26A1)와 달리 이면부(26A2)는, 절결되어 있지 않다. 이 때문에, 테이프 릴 TR의 다른 쪽 측면과 서로 마주 보는 제2 내벽면(26A22)의 면적은, 제1 내벽면(26A13)의 면적보다 크다.
주연부(26A3)(도 13)는, 표면부(26A1)와 이면부(26A2)를 접속하는 부분이다. 주연부(26A3)는, 테이프 릴 TR이 장착되었을 때, 최외주의 테이프 릴 TR의 표면과 서로 마주 보는 제3 내벽면(26A31)을 갖는다. 제3 내벽면(26A31)은, 테이프 릴 TR의 외주면의 형상에 따라 축 AX를 중심으로 하는 원통면형 표면을 포함해도 된다. 또한, 외표면의 적어도 일부도, 축 AX를 중심으로 하는 원통면형 표면을 포함해도 된다.
주연부(26A3)에는, 테이프 릴 TR을 내부에 수용하기 위한 개구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축 AX 방향으로부터 보았을 때, 표면부(26A1)와 이면부(26A2)는, 주연부(26A3)에 의해, 축 AX를 중심으로 하는 전방위(360도)에 걸쳐 접속되어 있는 것은 아니고, 일부만이 접속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표면부(26A1)에 대향하는 방향(보빈 케이스(26A)의 축 AX에 평행한 방향)으로부터 보았을 때, 주연부(26A3)의 개구 가장자리 상의 1점과, 개구를 사이에 두고 다른 개구 가장자리 상의 1점의 축 AX를 중심으로 하는 개구의 각도는, 예를 들어 약 120도 내지 약 180도이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사용 전의 테이프 릴 TR의 직경보다도 큰 길이를 갖는 개구를 주연부(26A3)에 형성함으로써, 테이프 릴 TR을 축 AX에 수직인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테이프 릴 TR을 보빈 케이스(26A)의 내부에 수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1a 및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유 지지 유닛(26B)은, 사용자가 누를 수 있도록 외부에 노출되는 표면을 갖는 버튼(26B1)과, 이면부(26A2)측에 있어서 버튼(26B1)과 걸림 결합함으로써 버튼(26B1)과 함께 축 AX 방향으로 진퇴 가능하게 보유 지지됨과 함께, 축 AX를 회전축으로 하여 베어링 등의 기구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보유 지지되는 샤프트(26B2)(「제1 돌기부」의 일례)와, 버튼(26B1)에 형성되는 암나사에 나사 결합하여 샤프트(26B2)를 버튼(26B1)의 방향으로 압박함으로써, 샤프트(26B2)와 버튼(26B1)을 걸림 결합하는 수나사(26B3)와, 샤프트(26B2)를, 축 AX 부방향(축 AX 방향이며, 버튼(26B1)이 있는 외표면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가압하기 위한 압축 스프링(26B4)을 구비한다. 또한, 수나사(26B3)의 헤드부와 버튼(26B1) 사이에는, 와셔(26B5)가 삽입된다.
버튼(26B1)의 표면은, 사용자에 의해 눌러짐으로써, 축 AX 방향으로 진퇴 가능하게 지지된다. 버튼(26B1)에는, 축 AX를 축으로 하고, 내부 영역측으로 개구되는 암나사가 형성된다. 수나사(26B3)는, 이 암나사와 나사 결합한다. 버튼(26B1)과 샤프트(26B2)는, 축 AX 방향으로 일체적으로 이동하도록 걸림 결합되어 있다.
샤프트(26B2)는, 축 AX와 동축의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원통부(26B21)와, 원통부(26B21)의 선단으로부터 외경 방향으로 확대되도록 형성되며, 축 AX에 대하여 축 대칭으로 형성되는 걸림 결합부(26B22)를 구비하고 있다. 걸림 결합부(26B22)는, 원통부(26B21)에 접속되며, 원통부(26B21)로부터 외경 방향으로 확장되는 확경부(26B223)와, 확경부(26B223)에 접속되며, 제2 내벽면(26A22)으로부터 이격될수록 축 AX와의 거리가 커지도록 경사지는 경사면을 구비하는 경사면부(26B222)와, 경사면부(26B222)에 접속되며, 축 AX 부방향으로 돌출되는 저면부(26B221)를 구비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걸림 결합부(26B22)는, 축 AX에 대하여 축 대칭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경사면부(26B222)는, 원뿔대의 측면형으로 형성되고, 저면부(26B221)는, 원환형으로 형성된다. 단,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저면부(26B221)는, 필름 F를 압박하여 보유 지지하기 위해, 축 AX 부방향을 향한 면을 구비하면 되므로, 반드시, 원환형으로 형성되어 있지는 않아도 된다.
원환형을 이루는 저면부(26B221)의 반경은, 후술하는 테이프 릴 TR의 권심 C의 내경보다 작고, 필름 F에 형성되는 구멍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샤프트(26B2)는, 압축 스프링(26B4)에 의해, 축 AX부 방향으로 가압되어 있다. 이 때문에, 환형 저면부(26B221)를 사용하여, 테이프 릴 TR의 필름을 제1 내벽면(26A13)을 향하는 방향으로 압박함으로써, 테이프 릴 TR을 축 AX를 중심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저면부(26B221)가 맞닿는 것은, 테이프 릴 TR의 필름 F 이외의 부분이어도 된다. 예를 들어, 권심 C의, 제2 내벽면(26A22)과 서로 마주 보는 측면을 환형 저면부(26B221)가 맞닿음으로써, 테이프 릴 TR을 축 AX를 중심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또한, 샤프트(26B2) 이외의 구성이어도, 제1 내벽면(26A13)으로부터 돌출되었을 때, 제1 내벽면(26A13)을 향하는 방향으로 가압되도록 구성되는 부품을 사용하여, 마찬가지로, 테이프 릴 TR을 회동 가능하게 보유 지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하, 본 실시 형태의 결속기(10)에 사용할 수 있는 테이프 릴 TR의 구성의 일례에 대하여 간단하게 설명한다.
테이프 릴 TR은,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 권심 C(「통형 관」의 일례)와, 권심 C를 중심으로 권회되는 테이프 TP를 구비한다. 또한, 권회되어 양측부가 적층됨으로써 나타나는 테이프 TP의 원 형상의 측면의 한쪽에는, 예를 들어 필름 F가 첩부된다. 필름 F의 내경은, 권심 C의 내경보다 작다. 이 때문에, 필름 F의 내경 부분은, 권심 C로부터 내측으로 돌출된다. 필름 F 중, 권심 C로부터 내측으로 돌출되는 부분을 리브 R이라 칭한다. 필름 F의 외경은, 사용 전에 있어서의 테이프 릴 TR의 외경보다도 작다. 이 때문에, 테이프 릴 TR의 한쪽 측면에는, 필름 F가 첩부되는 내주측의 영역과, 필름 F가 첩부되지 않고, 적층된 테이프 TP의 측부가 노출되는 외주측의 영역을 갖는다. 단, 내주측의 영역이란, 사용 전의 테이프 릴 TR의 측면 중, 테이프 릴 TR의 외주보다도 권심 C에 가까운 영역을 말한다. 외주측의 영역이란, 반대의 영역, 즉, 사용 전의 테이프 릴 TR의 측면 중, 권심 C보다도 테이프 릴 TR의 외주에 가까운 영역을 말한다. 따라서, 테이프 릴 TR의 사용을 개시하면, 당초는, 외주측의 영역의 테이프 TP가 사용되고, 그 후, 내주측의 영역의 테이프 TP가 사용된다. 또한, 필름 F의 일부는, 외주측의 영역에 달해도 된다. 반대로 필름 F는, 내주측의 영역의 일부에만 첩부되어도 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필름 F의 외경은, 사용 전의 테이프 릴 TR의 외주면의 반경과, 권심 C의 외주면의 반경의 합계보다 크다. 이 때문에, 필름 F의 일부는, 내주측의 영역 모두와, 외주측의 영역의 일부에 첩부되어 있다. 또한, 테이프 릴 TR의 다른 쪽 측면에는 필름 F가 첩부되지 않으므로, 측면의 전체에 걸쳐 테이프 TP의 측부가 노출된다.
다음에, 테이프 매거진 유닛(26)에 테이프 릴 TR을 장착하는 장착 방법에 대하여 도 12a 내지 도 12d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2a 내지 도 12d는, 테이프 매거진 유닛(26)의 보빈 케이스(26A)를, 축 AX를 통과하는 단면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먼저 사용자는, 테이프 홀더(28A)의 덮개부를 개방한다(스텝 S1). 다음에 사용자는, 테이프 릴 TR을 보빈 케이스(26A)의 축 AX에 수직인 방향으로 움직이게 하여, 주연부(26A3)에 형성된 개구로부터, 테이프 릴 TR을 보빈 케이스(26A)의 내부 영역에 수용한다(스텝 S2). 사용자는, 예를 들어 메인 핸들(20)을 연직 상방으로 세워, 주연부(26A3)의 개구가 연직 상방을 향하도록 결속기(10)를 파지하여, 연직 하방으로 테이프 릴 TR을 이동시킴으로써, 테이프 릴 TR을 보빈 케이스(26A)의 내부 영역에 수용해도 된다. 테이프 릴 TR을 보빈 케이스(26A)에 수용하였을 때, 도 1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이프 릴 TR의 권심 C로 둘러싸인 영역 내에 축 AX가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제3 내벽면(26A31)을 사용 전의 테이프 릴 TR의 외경보다 약간 큰 거리만큼 축 AX로부터 이격하는 원통면을 포함하도록 형성함으로써, 테이프 릴 TR의 수용 시에, 보빈 케이스(26A)의 축 AX와, 테이프 릴 TR의 중심축이 소정 거리 내에 근접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다음에 사용자는, 버튼(26B1)을 누른다(스텝 S3). 이것에 수반하여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튼(26B1) 및 샤프트(26B2)는, 축 AX 정방향으로 진행한다. 이 때문에, 샤프트(26B2)의 일부는, 제1 내벽면(26A13)으로부터 돌출되어 보빈 케이스(26A)의 내부 영역에 침입한다. 이때, 저면부(26B221)의 외경(저면부(26B221)와 축 AX의 거리의 2배)은, 필름 F의 구멍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경사면부(26B222)의 경사면은, 필름 F의 리브 R에 접촉한다. 단, 리브 R의 단부는 자유단이기 때문에,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면부(26B222)의 경사면을 따라 탄성 변형한다.
또한 버튼(26B1) 및 샤프트(26B2)를 축 AX 정방향으로 이동시키면, 걸림 결합부(26B22)의 저면부(26B221)는, 필름 F의 리브 R을 통과한다(스텝 S4). 이 때문에 도 1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 결합부(26B22)는, 리브 R 및 권심 C의 내벽면으로 둘러싸인 영역에 존재한다.
그 후, 버튼(26B1)의 누름을 멈추면, 압축 스프링(26B4)의 가압력에 의해, 버튼(26B1) 및 샤프트(26B2)는 반대 방향인 축 AX 부방향으로 이동한다. 단, 걸림 결합부(26B22)의 저면부(26B221)가 리브 R의 테두리부에 접촉하여 압박(「걸림 결합」 또는 「끼워 맞춤」의 일례)한다(스텝 S5). 이 때문에, 도 1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 결합부(26B22)가 리브 R 및 권심 C의 내벽면으로 둘러싸인 영역에 수용된 상태를 유지한 채로, 테이프 릴 TR을 회동 가능하게 보유 지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때 필름 F의 표면과 제1 내벽면(26A13)은 대향하고, 부분적으로 접촉하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필름 F를 평활성이 높은 부재로 구성함으로써, 테이프 릴 TR의 회전을 필요 이상으로 방해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압축 스프링(26B4)의 가압력을 강화하면, 리브 R의 단부를, 권심 C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변형시키면서, 보다 강한 힘으로 테이프 릴 TR을 압박하여 보유 지지할 수 있다. 필름 F의 강성, 압축 스프링(26B4)의 탄성력, 필름 F의 두께 등은, 당업자에 의해 적절히 설계할 수 있다.
그 후, 사용자는, 테이프 TP의 선단을 인출하여 테이프 홀더(28A) 내를 통과시켜, 테이프 가이드(28B)에 테이프 TP의 선단 부분을 보유 지지시킨 후, 테이프 홀더(28A)의 덮개부를 닫는다(스텝 S6).
이상의 프로세스를 실행함으로써, 테이프 릴 TR의 결속기(10)에 대한 장착이 완료된다. 사용자는, 결속기(10)를 사용하여 파지 동작 및 결속 동작을 반복하여 실행할 수 있다. 또한, 버튼(26B1)을 축 AX 부방향으로 당김으로써, 샤프트(26B2)와 필름 F의 걸림 결합이 해제되므로, 용이하게 테이프 릴 TR을 분리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구비하는 테이프 매거진 유닛(26)에 의하면, 보빈 케이스(26A)의 주연부(26A3)에, 테이프 릴 TR이 통과할 수 있는 개구를 형성하였기 때문에, 보빈 케이스(26A) 내에 테이프 릴 TR을 수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종래보다도 용이하게 테이프 릴 TR을 보빈 케이스(26A)에 세트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결속기(10)를 바꿔 쥐지 않고, 테이프 릴 TR을 보빈 케이스(26A)에 세트하는 것이 가능해지므로, 세트 시에 테이프 릴 TR이 낙하할 가능성을 저감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당업자에게 이해되는 바와 같이, 테이프 매거진 유닛(26) 및 보빈 케이스(26A)는, 결속기(10) 이외의 결속 방법을 실장하는 결속기에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주연부(26A3)뿐만 아니라 표면부(26A1)의 일부를 절결하여 개구를 형성하는 구성으로 하였으므로, 사용 중인 테이프 릴 TR이라도, 테이프 릴 TR의 중심과 보빈 케이스(26A)의 중심을 용이하게 위치 정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특히, 표면부(26A1)에는 축 AX를 중심으로 하는 하나 또는 복수의 원형 리브(26A11)가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개구로부터 관찰할 수 있는 테이프 릴 TR 측면의 테이프 TP간의 경계나 필름 F의 외경과 리브(26A11)를 비교함으로써, 용이하게 위치 정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면부(26A1)의 후방측의 영역에는, 소경의 구멍(26A12)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개구로부터 관찰되는 테이프 릴 TR의 측면과 함께, 이 구멍(26A12)으로부터 관찰되는 테이프 릴 TR 및 필름 F의 위치를 확인함으로써 더욱 용이하게 위치 정렬을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테이프 TP를 너무 인출한 경우라도, 사용자는, 표면부(26A1)에 마련된 개구로부터 테이프 릴 TR을 직접 역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버튼(26B1)의 표면을 외부에 노출되도록 하였으므로, 결속기의 사용에 익숙하지 않은 사용자라도, 용이하게 테이프 릴 TR을 세트하기 위한 작업을 이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이면부(26A2)에는, 직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릿(26A21)이 형성된다(도 2). 따라서, 테이프 릴 TR의 테이프 잔량을 용이하게 파악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슬릿(26A21)의 근방에, 테이프 잔량을 나타내는 정보를 인쇄해도 된다. 예를 들어, 슬릿(26A21)의 외경측의 영역 근방에 「100%」, 내경측의 영역 근방에 「10%」, 그 사이의 영역 근방에 「50%」로 이면부(26A2)의 표면에 인쇄해도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샤프트(26B2)는, 테이프 릴 TR의 필름 F의 리브 R을 압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권심 C의 내경이 다른 테이프 릴 TR이라도, 필름 F의 내경을 균일하게 함으로써, 이와 같은 필름 F가 첩부된 테이프 릴 TR을 보유 지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러나, 필름이 첩부되어 있지 않은 테이프 릴을 보유 지지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샤프트(26B2)의 저면부(26B221)는, 필름 F의 리브 R 대신에 권심 C의 측면을 압박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함으로써, 필름을 갖지 않는 테이프 릴을 보유 지지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또한, 저면부(26B221)의 직경 방향의 크기를 확장함으로써, 다른 내경의 권심이라도, 압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권심의 내경면을 외경 방향으로 압박함으로써, 테이프 릴을 보유 지지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브레이크 유닛]
이하, 테이프 매거진 유닛(26)에 탑재 가능한 브레이크 유닛(26C)(「제2 돌기부」의 일례)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3은 테이프 매거진 유닛(26)을 브레이크 유닛(26C)의 중심을 이루는 축 AX2를 통과하는 단면으로 절단한 주요부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1에 있어서, 브레이크 유닛(26C)의 브레이크 패드(26C1)(「맞닿음 부재」의 일례)를 표시하는 테이프 매거진 유닛(26)의 투시도이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레이크 유닛(26C)은, 이면부(26A2)에 설치된다. 브레이크 유닛(26C)은, 테이프 릴 TR의 측면을 축 AX 방향으로 압박하기 위한 브레이크 패드(26C1)와, 브레이크 패드(26C1)에 테이프 릴 TR의 측면을 압박하는 가압력을 부여하는 압축 스프링(26C6)(「탄성 부재」의 일례)과, 브레이크 패드(26C1)가 이면부(26A2)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수나사(26C3)를 구비하고 있다.
브레이크 패드(26C1)는, 탄성 및 내마모성을 갖는 재질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어 PA(폴리아미드), PP(폴리프로필렌), POM(폴리아세탈) 등으로 구성할 수 있다. 브레이크 패드(26C1)는, 축 AX2를 기준으로 하는 축 대칭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브레이크 패드(26C1)는, 축 AX2 방향으로 돌출되는 볼록부(26C2)를 갖는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 AX2 방향으로부터 보았을 때, 볼록부(26C2)는, 원형으로 형성된다. 또한, 브레이크 패드(26C1)는, 볼록부(26C2)의 내경측에 접속되며, 볼록부(26C2)로부터 축 AX2 방향으로 후퇴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내벽부(26C5)와, 볼록부(26C2)의 외경측에 접속되며, 볼록부(26C2)로부터 축 AX2 방향으로 후퇴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외벽부(26C4)를 구비한다. 볼록부(26C2), 내벽부(26C5) 및 외벽부(26C4)로 둘러싸인 영역은, 원통형 부위 내지 공간을 형성한다. 동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벽부(26C5)의 단부는, 축 AX2에 접근하는 내경 방향으로 굴곡한다.
이면부(26A2)에는, 브레이크 패드(26C1)를 설치하기 위한 지지부(26A23)가 마련된다. 지지부(26A23)는, 축 AX2를 축으로 하는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브레이크 패드(26C1)의 내벽부(26C5)의 단부가 지지부(26A23)의 원통면에 맞닿도록 브레이크 패드(26C1)를 배치함으로써, 브레이크 패드(26C1)를 원하는 위치에 마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압축 스프링(26C6)은, 브레이크 패드(26C1)를, 이면부(26A2)로부터 표면부(26A1)에 압박한다. 압축 스프링(26C6)은, 내벽부(26C5) 및 외벽부(26C4)로 둘러싸인 원통형 부위 내지 공간에 삽입된다. 이 때문에, 압축 스프링(26C6)은, 볼록부(26C2)에 근접한 부분을 압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축 AX2 방향과 거의 평행하게 브레이크 패드(26C1)를 압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지지부(26A23)에는, 축 AX2를 축으로 하는 암나사가 형성된다. 수나사(26C3)는, 이 암나사와 나사 결합한다. 수나사(26C3)의 헤드부는, 지지부(26A23)로부터 돌출된다. 이 돌출 부분에 브레이크 패드(26C1)의 내벽부(26C5) 단부가 걸리기 때문에, 브레이크 패드(26C1)가 이면부(26A2)로부터 빠지는 것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브레이크 패드(26C1)는, 회전하는 테이프 릴 TR의 측면을 압박하기 때문에, 테이프 릴 TR의 회전에 수반하여 비틀어지거나, 기울어지거나 하는 경우가 있지만, 상기와 같은 구성을 구비함으로써, 브레이크 패드(26C1)가 이면부(26A2)로부터 빠지는 것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테이프 릴 TR의 측면은, 반드시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어 있지는 않고, 미세한 요철을 갖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브레이크 패드(26C1)를 탄성적인 재료로 형성함으로써, 요철을 갖는 경우라도, 테이프 릴 TR의 측면을 탄성적으로 압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브레이크 패드(26C1)의 볼록부(26C2)는, 테이프 릴 TR 측면의 외주측의 영역에 위치하도록 마련된다. 또한, 브레이크 패드(26C1)의 볼록부(26C2)는, 필름 F의 외경측의 영역에 위치하도록 마련된다.
이상과 같은 브레이크 유닛(26C)을 구비하는 결속기(10)에 의하면, 브레이크 패드(26C1)는, 테이프 릴 TR 측면과 접촉한다. 이 때문에, 마찰력에 의해 테이프 릴 TR이 과잉으로 회전하는 것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브레이크 패드(26C1)는, 테이프 릴 TR 측면을 탄성적으로 압박하기 때문에, 측면에 요철이 있는 경우라도, 테이프 릴 TR 측면을 압박하여 마찰력에 의해 제동을 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브레이크 유닛(26C)은, 압축 스프링(26C6)에 의해 축 AX2 방향으로 진퇴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브레이크 유닛(26C)이 테이프 릴 TR 장착을 방해하는 일은 없다. 또한 테이프 릴 TR의 회전에 수반하여 테이프 릴 TR 측면과 브레이크 패드(26C1)의 거리가 어느 정도 변동되는 경우라도, 테이프 릴 TR 측면을 압박하여 마찰력에 의해 제동을 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압축 스프링(26C6)을 채용함으로써 변동이 작은 수직 하중을 가하는 것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제동력을 안정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브레이크 패드(26C1)는, 테이프 릴 TR 측면의 외주측의 영역을 압박하므로, 테이프 잔량이 많기 때문에 과잉으로 인출된 테이프 TP가, 테이프 매거진 유닛(26)으로부터 튀어나오는 사태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테이프 잔량이 적어지면, 내주측의 영역에만 테이프 TP가 존재하게 된다. 이 때문에, 브레이크 패드(26C1)는, 테이프 릴 TR 측면을 압박하지 않는다. 그러나, 테이프 잔량이 적은 경우, 애당초 과잉으로 인출된 테이프 TP가, 테이프 매거진 유닛(26)으로부터 튀어나오는 사태가 발생하기 어렵다. 또한, 다른 쪽 테이프 릴 TR의 측면은, 필름 F와 첩부되어 있으므로, 필름 F에 의해 테이프 TP가 과잉으로 인출되는 것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단, 필름 F를 갖지 않는 테이프 릴을 본 발명에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브레이크 패드는, 테이프 릴 TR 측면의 내주측의 영역을 압박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또한 브레이크 패드(26C1)를 마련함으로써, 테이프 TP의 인출 저항의 변동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테이프 잔량이 많을 때, 테이프 릴 TR의 회전 중심인 축 AX와 인출되는 테이프 TP의 거리가 커서 모멘트가 커지기 때문에, 인출 저항은 상대적으로 작다. 한편, 테이프 잔량이 적을 때, 테이프 릴 TR의 회전 중심인 축 AX와 인출되는 테이프 TP의 거리가 작아 모멘트가 작아지기 때문에, 인출 저항은 상대적으로 크다. 본 실시 형태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테이프 릴 TR의 측면 중, 외주측의 영역(또는 내주측의 영역이라도 외주측의 영역측의 위치)을 압박하는 수단을 마련함으로써, 압박되는 위치로부터 외경측의 테이프 TP를 인출할 때의 인출 저항을 증가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압박되는 위치로부터 내경측의 테이프 TP를 인출할 때의 인출 저항과의 변동량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 결과, 사용자의 작업 부담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인출 저항의 변동이 작아지기 때문에, 결속기를 설계할 때의 자유도도 향상된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브레이크 유닛(26C)은, 회전하는 테이프 릴을 사용하는 결속기에 널리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결속기(10) 및 테이프 릴 TR 이외의 결속기 및 테이프 릴에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2 돌기부의 일례로서, 브레이크 유닛(26C)을 브레이크 패드(26C1)와 압축 스프링(26C6)으로 구성하는 예를 나타냈지만, 이 조합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압축 스프링(26C6)을 없애고, 브레이크 패드(26C1) 자체의 탄성을 이용하여 테이프 릴 TR의 측면과 맞닿는 구성으로 하여, 브레이크 패드(26C1) 자체가 맞닿음 부재와 탄성 부재를 겸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결속기(10)의 동작]
클린처 암(50)은, 인장 스프링(12)에 의해 상시 가압되어 있고,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대기 상태에 있어서는 메인 핸들(20)에 대하여 개방된 상태로 되어 있다. 이 상태로부터 사용자가 조작 핸들(70)과 메인 핸들(20)을 꽉 쥐는 것에 의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린처 암(50)이 메인 핸들(20)에 대하여 폐쇄 방향으로 회동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클린처 암(50)이 메인 핸들(20)에 대하여 소정의 위치까지 폐쇄 방향으로 회동하였을 때, 테이프 TP(도 5)를 인출하기 위해, 클린처 암(50)의 테이프 파지 유닛(56)이 테이프 TP를 파지하는 파지 동작이 실행된다.
그 후, 메인 핸들(20)의 꽉 쥠을 약하게 하여 클린처 암(50)을 메인 핸들(20)에 대하여 개방 방향으로 회동시키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이프 TP를 파지한 상태에서 클린처 암(50)의 테이프 파지 유닛(56)과 메인 핸들(20)의 테이프 가이드(28B)가 서로 이격되어 가, 클린처 암(50)과 메인 핸들(20) 사이에 테이프 TP가 팽팽하게 펴진 상태로 된다. 클린처 암(50)을 개방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것에 수반하여, 테이프 릴 TR은, 축 AX2를 중심으로 정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때, 브레이크 패드(26C1)는, 테이프 릴 TR의 측면을 압박하기 위해, 회전을 억제하는 마찰력이 발생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메인 핸들(20)의 꽉 쥠을 갑자기 약하게 하였기 때문에, 테이프 릴 TR이 고속으로 정회전하는 경우라도, 과잉으로 회전하는 것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브레이크 패드(26C1)는, 압축 스프링(26B4)에 가압되어 있기 때문에, 테이프 릴 TR의 회전축이 기울어져 축 AX 방향의 위치가 변동되는 경우에도, 테이프 릴 TR의 측면을 압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상태에서 팽팽하게 펴진 테이프 TP의 외측으로부터 묘목이나 가지 등의 피결속물 S를 넣고, 클린처 암(50)을 다시 폐쇄 방향으로 회동시키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결속물 S를 결속하는 테이프 TP의 테이프 루프가 형성된다. 클린처 암(50)에 압박됨으로써, 스테이플 매거진 유닛(22)이 폐쇄 방향으로 회동하므로, 스테이플 드라이버(32)에 의해 스테이플 ST가 박아 넣어진다. 이에 의해,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결속물 S를 결속하는 테이프 루프의 양단이 스테이플 ST로 결착된다. 또한, 절단날(30A)에 의해 테이프 TP가 절단되어, 결속 동작이 실행된다.
이와 같이, 1회째의 꽉 쥐는 동작에서는 파지 동작이 실행되고, 2회째의 꽉 쥐는 동작에서는 결속 동작이 실행된다. 그리고, 이 파지 동작과 결속 동작을 교대로 실행함으로써, 피결속물 S를 결속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테이프 루프의 양단을 결착하는 수단으로서 스테이플 ST를 사용하고 있지만, 이에 한하지 않고, 다른 수단에 의해 테이프 루프를 결착하도록 해도 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에 관한 결속기(10)에 의하면, 파지 동작 또는 결속 동작에 수반하여 결속 테이프를 인출할 때, 권회된 결속 테이프가 과잉으로 정회전하는 것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은,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당업자의 통상의 창작 능력의 범위 내에서, 어떤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일부의 구성 요소를, 다른 실시 형태에 추가할 수 있다. 또한, 어떤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일부의 구성 요소를, 다른 실시 형태의 대응하는 구성 요소로 치환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측면에 관한 결속기(10)는, 통형 관(C)과 관(C)의 외주면에 권회된 테이프(TP)를 갖는 테이프 릴(TR)을, 테이프(TP)의 일부를 인출한 형태로 수용 가능한 수용부(26A)와, 수용부(26A)로부터 인출된 테이프를 보유 지지하는 메인 핸들(20)과, 메인 핸들(20)에 접근하는 제1 방향과 메인 핸들(20)로부터 이격되는 제2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메인 핸들(20)에 설치되며, 제1 방향으로 회동함으로써 메인 핸들(20)에 의해 보유 지지된 테이프(TP)를 파지하고, 파지 후, 제2 방향으로 회동함으로써, 테이프(TP)를 더 인출하는 클린처 암(50)을 구비하고, 수용부(26A)는, 수용된 테이프 릴(TR)의 측면과 대향하는 측벽(26A13)과, 측벽(26A13)으로부터 돌출되며, 수용된 테이프 릴(TR)의 관(C)에 끼워 맞춰져 테이프 릴(TR)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 돌기부(26B)와, 측벽(26A13)으로부터 돌출되며, 수용된 테이프 릴의 측면에 맞닿는 제2 돌기부(26C)를 갖는다.
또한, 제2 돌기부(26C)는, 테이프 릴(TR)의 측면의 외주측의 영역에 맞닿아도 된다. 이 제2 돌기부(26C)는, 테이프 릴(TR)의 측면과 맞닿는 맞닿음 부재(26C1)와, 맞닿음 부재(26C1)를 테이프 릴(TR)의 측면을 향하여 가압하는 탄성 부재(26C6)를 가져도 된다.
제1 돌기부(26B)는, 수용부(26A)의 축(AX) 방향으로 진퇴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어도 된다. 이 제1 돌기부(26B)는, 테이프 릴(TR)의 측면과 걸림 결합하는 걸림 결합부(26B22)를 구비해도 된다.

Claims (7)

  1. 통형 관과 상기 관의 외주면에 권회된 테이프를 갖는 테이프 릴을, 상기 테이프의 일부를 인출한 형태로 수용 가능한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로부터 인출된 테이프를 보유 지지하는 메인 핸들과,
    상기 메인 핸들에 접근하는 제1 방향과 상기 메인 핸들로부터 이격되는 제2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상기 메인 핸들에 설치되고, 상기 제1 방향으로 회동함으로써 상기 메인 핸들에 의해 보유 지지된 테이프를 파지하고, 파지 후, 상기 제2 방향으로 회동함으로써, 상기 테이프를 더 인출하는 클린처 암을 구비하고,
    상기 수용부는,
    수용된 테이프 릴의 측면과 대향하는 측벽과,
    상기 측벽으로부터 돌출되며, 수용된 테이프 릴의 상기 관에 끼워 맞춰져 테이프 릴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 돌기부와,
    상기 측벽으로부터 돌출되며, 수용된 테이프 릴의 측면에 맞닿는 제2 돌기부를 갖는 결속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돌기부는, 상기 테이프 릴의 상기 측면의 외주측의 영역과 맞닿는 결속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돌기부는,
    상기 테이프 릴의 상기 측면과 맞닿는 맞닿음 부재와,
    상기 맞닿음 부재를 상기 테이프 릴의 상기 측면을 향하여 가압하는 탄성 부재를 갖는 결속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돌기부는,
    상기 테이프 릴의 상기 측면에 맞닿는 맞닿음 부재와,
    상기 맞닿음 부재를 상기 테이프 릴의 상기 측면을 향하여 가압하는 탄성 부재를 갖는 결속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돌기부는, 상기 수용부의 축 방향으로 진퇴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는 결속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돌기부는, 상기 테이프 릴의 상기 측면과 걸림 결합하는 걸림 결합부를 구비하는 결속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돌기부는, 상기 테이프 릴의 상기 측면과 걸림 결합하는 걸림 결합부를 구비하는 결속기.
KR1020200103853A 2019-08-23 2020-08-19 결속기 KR2021002373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9-153218 2019-08-23
JP2019153218A JP7288606B2 (ja) 2019-08-23 2019-08-23 結束機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3732A true KR20210023732A (ko) 2021-03-04

Family

ID=721784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3853A KR20210023732A (ko) 2019-08-23 2020-08-19 결속기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11485527B2 (ko)
EP (1) EP3782458B1 (ko)
JP (1) JP7288606B2 (ko)
KR (1) KR20210023732A (ko)
CN (1) CN112400551A (ko)
AU (1) AU2020220158A1 (ko)
ES (1) ES2963266T3 (ko)
PL (1) PL3782458T3 (ko)
TW (1) TWI82534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1695943S (ko) * 2020-11-30 2021-09-27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5815Y2 (ko) * 1985-12-16 1990-07-16
JPH0642606U (ja) * 1992-11-09 1994-06-07 昌弘機工株式会社 梱包機のリール装置
US6032896A (en) * 1998-05-14 2000-03-07 Liu; Simon Intermittent stop device for tape measures
US6182916B1 (en) * 1999-11-12 2001-02-06 Index Measuring Tape Co., Ltd. Measuring tape dispenser with an impact buffer housing and tentative tape halting means
JP4016784B2 (ja) * 2001-09-28 2007-12-05 マックス株式会社 鉄筋結束機及びこれに用いられるリール
RU2291021C2 (ru) * 2001-09-28 2007-01-10 Макс Кабушики Кайша Машина для скрепления арматуры и барабан, используемый в такой машине
JP4054236B2 (ja) * 2002-08-30 2008-02-27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記録テープカートリッジ
JP2004118884A (ja) * 2002-09-24 2004-04-15 Fuji Photo Film Co Ltd 記録テープカートリッジ
JP4000286B2 (ja) * 2002-09-30 2007-10-31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記録テープカートリッジ
JP4120596B2 (ja) * 2004-02-13 2008-07-16 マックス株式会社 園芸用結束機
JP2007117055A (ja) * 2005-10-31 2007-05-17 Max Co Ltd 園芸用結束機における結束テープのたるみ戻し機構
JP4858488B2 (ja) * 2008-05-19 2012-01-18 マックス株式会社 鉄筋結束機
CN201646536U (zh) * 2010-01-28 2010-11-24 黄汉卿 一种手拉器结构
KR101347857B1 (ko) 2011-12-30 2014-01-07 서해영 테이프 풀림 방지형 원예용 결속기
JP6057963B2 (ja) * 2014-09-18 2017-01-11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解除部材の成形方法及び記録テープカートリッジ
JP6740737B2 (ja) * 2016-06-15 2020-08-19 マックス株式会社 園芸用結束機
JP6638569B2 (ja) * 2016-06-15 2020-01-29 マックス株式会社 園芸用結束機
US11332934B2 (en) * 2017-01-10 2022-05-17 Makita Corporation Tying mach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782458C0 (en) 2023-09-27
JP2021031120A (ja) 2021-03-01
JP7288606B2 (ja) 2023-06-08
US20210053706A1 (en) 2021-02-25
US11485527B2 (en) 2022-11-01
CN112400551A (zh) 2021-02-26
AU2020220158A1 (en) 2021-03-11
TW202112612A (zh) 2021-04-01
EP3782458A1 (en) 2021-02-24
TWI825343B (zh) 2023-12-11
ES2963266T3 (es) 2024-03-26
AU2020220158A2 (en) 2022-09-22
EP3782458B1 (en) 2023-09-27
PL3782458T3 (pl) 2024-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466250B1 (en) Binding machine for gardening
JP6638569B2 (ja) 園芸用結束機
AU2013298459B2 (en) Cutting head for an implement for cutting vegetation
KR20210023732A (ko) 결속기
NO161049B (no) Skrivebaandkassett.
JP7342521B2 (ja) 結束機
US11623776B2 (en) Binding machine and binding method
AU2023233086A1 (en) Binding tape, binding method, tape winding body and reel
JP4957918B2 (ja) 園芸用結束機
KR20210023735A (ko) 결속기
JP2005224197A (ja) 園芸用結束機
KR20210032389A (ko) 결속용 테이프, 결속 방법, 테이프 감기체 및 릴
JP6673042B2 (ja) 園芸用結束機
JP7422982B2 (ja) 結束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