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20757A - 통신용 패치코드 - Google Patents

통신용 패치코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20757A
KR20210020757A KR1020200066631A KR20200066631A KR20210020757A KR 20210020757 A KR20210020757 A KR 20210020757A KR 1020200066631 A KR1020200066631 A KR 1020200066631A KR 20200066631 A KR20200066631 A KR 20200066631A KR 20210020757 A KR20210020757 A KR 202100207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pair
test
emitting device
patch co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66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수종
하경호
김준엽
Original Assignee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100207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075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60Contacts spaced along planar side wall transverse to longitudinal axis of engagement
    • H01R24/62Sliding engagements with one side only, e.g. modular jack coupling devices
    • H01R24/64Sliding engagements with one side only, e.g. modular jack coupling devices for high frequency, e.g. RJ 45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465Identification means, e.g. labels, tags, mark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17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light source
    • H01R13/7175Light emitting diodes (LED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부 통신망과 연결되는 네트워크 스위치, 상기 네트워크 스위치와 연결되는 패치패널 및 패치패널과 연결되는 통신수구로 구성되는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실 내에서의 네트워크 스위치와 패치패널(또는 패치패널과 다른 패치패널)을 연결하며, 통신용 패치코드가 연결되어 통신 사용중인 상태에서도 특정 통신용 패치코드의 연결 위치를 쉽게 식별할 수 있고, 더 나아가 통신실에서 패치코드의 양 플러그가 네트워크 스위치 또는 패치패널에 각각 정상적으로 장착되어 있는지 또는 통신 수구로부터 네트워크 스위치까지의 통신 선로에 이상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통신용 패치코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통신용 패치코드{COMMUNICATION PATCH CORD}
본 발명은 통신용 패치코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은 외부 통신망과 연결되는 네트워크 스위치, 상기 네트워크 스위치와 연결되는 패치패널 및 패치패널과 연결되는 통신수구로 구성되는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실 내에서의 네트워크 스위치와 패치패널(또는 패치패널과 다른 패치패널)을 연결하며, 통신용 패치코드가 연결되어 통신 사용중인 상태에서도 특정 통신용 패치코드의 연결 위치를 쉽게 식별할 수 있고, 더 나아가 통신실에서 패치코드의 양 플러그가 네트워크 스위치 또는 패치패널에 각각 정상적으로 장착되어 있는지 또는 통신 수구로부터 네트워크 스위치까지의 통신 선로에 이상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통신용 패치코드에 관한 것이다.
옥내 통신 시스템은 외부 통신망과 연결되는 네트워크 스위치, 네트워크 스위치에 연결되는 패치패널 및 각각의 패치패널과 연결되는 수요자측 모듈러잭 형태의 통신수구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통신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스위치와 패치패널은 일반적으로 UTP, FTP 또는 STP 케이블(이하, '통신케이블'이라 함) 및 통신케이블 양단에 RJ45 규격의 플러그를 포함하는 통신용 패치코드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패치패널은 수요자 공간에 구비된 통신수구와 연결되어 통신 와이어를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통신 시스템은 그 설치, 유지 또는 보수 과정에서 네트워크 스위치, 패치패널 및 통신수구 간의 연결상태 또는 각각을 연결하는 통신 와이어의 이상 유무를 확인하게 된다.
특히 통신실 내부에서의 통신 선로 유지 또는 보수 작업의 전제로서 통신실의 네트워크 스위치와 패치패널 등을 연결하는 통신용 패치코드의 연결 위치가 먼저 확인 또는 특정되어야 한다. 그러나 통신실 규모에 따라 통신실 내부에는 대량의 통신용 패치코드가 각각 네트워크 스위치와 패치패널을 연결하며 복잡하게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이러한 통신실 내부 환경에서 작업자는 각각의 통신용 패치코드의 플러그의 연결위치를 특정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통신실 내부에서 어느 하나의 통신용 패치코드의 양 플러그의 연결위치를 특정하기 위해서는 양 플러그 중 어느 하나의 플러그를 분리하여 테스터기 등을 통해 테스트 전압을 인가하고 그에 따라 반대편 플러그가 장착된 패치패널의 LED 조명의 점등 여부를 확인하여 연결위치를 확인하였다.
그러나, 통신용 패치코드의 연결위치를 특정하기 위한 위와 같은 작업은 통신용 패치코드의 어느 하나의 플러그를 장비로부터 분리하는 것을 전제하며, 통신용 패치코드 분리로 인하여 통신이 단절된 상태에서 위와 같은 유지 보수 작업이 수행되면 통신 수요자의 불편함을 유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외부 통신망과 연결되는 네트워크 스위치, 상기 네트워크 스위치와 연결되는 패치패널 및 패치패널과 연결되는 통신수구로 구성되는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실 내에서의 네트워크 스위치와 패치패널(또는 패치패널과 다른 패치패널)을 연결하며, 통신용 패치코드가 연결되어 통신 사용중인 상태에서도 특정 통신용 패치코드의 연결 위치를 쉽게 식별할 수 있고, 더 나아가 통신실에서 패치코드의 양 플러그가 네트워크 스위치 또는 패치패널에 각각 정상적으로 장착되어 있는지 또는 통신 수구로부터 네트워크 스위치까지의 통신 선로에 이상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통신용 패치코드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복수의 통신 와이어, 한 쌍의 테스트 와이어 및 상기 통신 와이어와 상기 테스트 와이어를 감싸는 케이블 자켓을 구비하는 통신케이블; 및, 상기 통신케이블의 양단에 연결되며, 상기 통신 와이어에 연결된 복수의 단자 및 상기 단자를 수용하는 하우징을 구비하는 한 쌍의 플러그;를 구비하고, 상기 플러그는 상기 테스트 와이어에 연결되고, 상기 하우징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장착되는 한 쌍의 테스트 단자, 한 쌍의 상기 테스트 와이어 또는 한 쌍의 상기 테스트 단자를 연결하며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는 광모듈 및 한 쌍의 상기 테스트 단자와 상기 광모듈이 장착되는 기판;을 구비하며, 한 쌍의 상기 플러그 중 어느 하나의 플러그에 구비된 한 쌍의 테스트 단자에 테스트 전력 공급하여 한 쌍의 플러그의 광모듈을 점등시켜 통신용 패치코드 플러그의 위치를 식별가능한 통신용 패치코드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테스트 단자에 테스트 전력을 공급하는 방법은 한 쌍의 전력 단자를 구비한 로컬 테스터기를 통해 직류 전력을 공급하는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직류 전력은 양(+) 전압과 음(-) 전압 또는 음(-) 전압과 양(+) 전압이 교차하는 형태로 공급하는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한 쌍의 테스트 단자에 테스트 전력을 공급하는 방법은 한 쌍의 전력 단자를 구비한 로컬 테스터기를 통해 교류 전력을 공급하는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광모듈은 제1 색상의 제1 발광소자 및 제2 색상의 제2 발광소자가 병렬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광모듈을 구성하는 제1 발광소자 및 제2 발광소자는 하나의 유닛 내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모듈을 구성하는 상기 제1 발광소자 및 상기 제2 발광소자는 발광조건을 만족하는 전류의 방향이 서로 다른 LED 소자일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플러그에 구비되는 광모듈을 구성하는 제1 발광소자 및 제2 발광소자는 상기 테스트 단자를 통해 공급되는 전류의 방향에 따라 어느 하나의 발광소자만 발광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광모듈에서 제공되는 빛이 노출 또는 투과될 수 있도록 개구부를 갖거나 광투과성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하우징의 후방에 상기 통신케이블이 도입되어 지지되며, 상기 광모듈에서 제공되는 빛이 노출 또는 투과될 수 있도록 개구부를 갖거나 광투과성 재질로 구성되는 부트를 더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상기 통신 와이어는 각각 도체 및 상기 도체를 절연하기 위한 절연층을 구비하고, 복수의 상기 통신 와이어는 트위스티드 페어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상기 통신 와이어는 4쌍으로 구성되며, 상기 플러그는 RJ45 규격의 플러그일 수 있다.
그리고, 한 쌍의 상기 플러그 중 적어도 하나의 플러그의 기판 상에 상기 통신 와이어 중 2개의 통신 와이어 사이에 연결되는 광원유닛; 및 상기 광원유닛과 직렬로 연결되는 저항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광원유닛은 제1 색상의 제1 발광소자 및 제2 색상의 제2 발광소자가 병렬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광원유닛에 구비되는 제1 발광소자 및 제2 발광소자는 하나의 유닛 내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광원유닛에 구비되는 제1 발광소자 및 제2 발광소자는 모두 점등되는 경우 제1 색상과 제2 색상이 합성된 제3 색상으로 발광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원유닛을 구성하는 상기 제1 발광소자 및 상기 제2 발광소자는 발광조건을 만족하는 전류의 방향이 서로 다른 LED 소자일 수 있다.
그리고, 한 쌍의 상기 플러그 중 하나의 플러그에만 상기 광원유닛; 및 상기 저항유닛이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통신용 패치코드의 광원유닛을 구성하는 제1 발광소자 및 제2 발광소자 중 적어도 하나의 발광소자의 발광여부를 통해 통신 시스템을 구성하는 네트워크 스위치와 패치패널의 연결상태를 식별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통신용 패치코드로 통신 시스템을 구성하는 네트워크 스위치와 패치패널을 연결하는 경우,
상기 패치코드의 양단에 구비된 한 쌍의 플러그 중 하나의 플러그가 상기 패치패널에 장착된 상태에서 다른 하나의 플러그가 상기 네트워크 스위치에 연결 여부에 따라 상기 패치패널에서 상기 패치코드의 통신 와이어로 공급되는 테스트 신호 인가시 제1 발광소자 및 제2 발광소자는 모두 점등 또는 하나만 점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네트워크 스위치의 모듈러잭은 트랜스포머 방식의 모듈러잭이며, 상기 패치코드의 양단에 구비된 한 쌍의 플러그 중 하나의 플러그가 상기 패치패널에 장착된 상태에서 다른 하나의 플러그가 상기 네트워크 스위치의 모듈러잭에서 분리된 상태에서는 제1 발광소자 및 상기 제2 발광소자 중 하나의 발광소자가 점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네트워크 스위치의 모듈러잭은 트랜스포머 방식의 모듈러잭이며, 상기 패치코드의 양단에 구비된 한 쌍의 플러그 중 하나의 플러그가 상기 패치패널에 장착된 상태에서 다른 하나의 플러그가 상기 네트워크 스위치의 모듈러잭에 장착된 상태에서는 제1 발광소자 및 상기 제2 발광소자 함께 점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테스트 신호는 전압의 크기가 구분되는 값으로 임의로 변경되는 펄스 신호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테스트 신호는 직류 신호이며 크기가 특정 전?陋だ? 갖는 직류 신호와 반대 부호의 전압값을 갖는 변경되는 펄스 신호의 중첩된 신호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광원유닛 및 상기 저항유닛은 상기 기판 상에서 패턴으로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테스트 신호는 통신 시스템을 구성하는 상기 패치패널과 연결된 통신 수요자 공간에 설치된 통신 수구에 리모트 테스터기를 장착하여 공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통신 와이어 중 하나는 적어도 하나의 광섬유를 구비한 광유닛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술한 한 쌍의 테스트 단자에 상기 테스트 전력의 공급이 가능하고, 전술한 통신 수구에 연결되어 상기 테스트 신호의 공급이 가능한 하나의 기기로 일체화된 통신 케이블링 관리 시스템용 테스터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광섬유를 구비한 광유닛 형태의 적어도 하나의 통신 와이어, 한 쌍의 테스트 와이어 및 상기 통신 와이어와 상기 테스트 와이어를 감싸는 케이블 자켓을 구비하는 통신케이블; 및, 상기 통신케이블의 양단에 연결되며, 상기 통신 와이어에 연결된 복수의 단자 및 상기 단자를 수용하는 하우징을 구비하는 한 쌍의 플러그;를 구비하고, 상기 플러그는 상기 테스트 와이어에 연결되고, 상기 하우징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장착되는 한 쌍의 테스트 단자, 한 쌍의 상기 테스트 와이어 또는 한 쌍의 상기 테스트 단자를 연결하며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는 광모듈 및 한 쌍의 상기 테스트 단자와 상기 광모듈이 장착되는 기판;을 구비하며, 한 쌍의 상기 플러그 중 어느 하나의 플러그에 구비된 한 쌍의 테스트 단자에 테스트 전력 공급하여 한 쌍의 플러그의 광모듈을 점등시켜 통신용 패치코드 플러그의 위치를 식별가능한 통신용 패치코드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통신용 플러그 및 이를 구비하는 통신용 패치코드에 의하면, 외부 통신망과 연결되는 네트워크 스위치, 상기 네트워크 스위치와 연결되는 패치패널 및 패치패널과 연결되는 통신수구로 구성되는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실 내부에서 네트워크 스위치와 패치패널을 연결하는 패치코드의 양방향 연결위치를 정확하게 식별 가능하고, 더 나아가 네트워크 스위치, 패치패널 및 통신수구 간의 연결상태 또는 각각을 연결하는 통신선로의 이상 유무를 쉽게 판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네트워크 통신 시스템의 구성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통신용 패치코드를 구성하는 통신케이블의 하나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용 패치코드를 구성하는 플러그의 투시된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통신용 패치코드의 플러그와 네트워크 스위치의 모듈러잭이 연결된 상태에서의 회로 구성을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통신용 패치코드를 구성하는 테스트 와이어와 한 쌍의 플러그에 구비된 테스트 단자 및 광모듈의 연결관계를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신용 패치코드를 구성하는 플러그의 투시된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통신용 패치코드의 플러그와 네트워크 스위치의 모듈러잭이 연결된 상태에서의 회로 구성을 도시한다.
도 8은 도 1의 통신 수구에 리모트 테스터기를 연결하여 제공되는 테스트 신호의 예시를 도시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패치코드 플러그가 네트워크 스위치의 하나의 모듈러잭에서 분리된 상태의 회로도와 조명 인덱싱 상태의 회로도를 도시한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패치코드 플러그가 네트워크 스위치의 하나의 모듈러잭에 장착된 상태의 회로도와 조명 인덱싱 상태의 회로도를 도시한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통신용 패치코드를 구성하는 통신케이블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 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네트워크 통신 시스템(1)의 구성도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네트워크 통신 시스템(1)은 외부 통신망(60)과 연결되는 네트워크 스위치(10), 상기 네트워크 스위치(10)에 연결되는 패치패널(20) 및 패치패널(20)과 연결되는 통신수구(30)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네트워크 스위치(10)는 근거리외부 통신망(LAN)을 구성할 때 단말기간 집선 장치로 자료교환(스위칭) 기능을 가진 장치로서, 외부 통신망(60)과 연결된 라우터(50) 등에 연결되거나, OSI 7계층의 네트워크 계층의 기능을 수행하는 L3 스위치로서 직접 외부 통신망과 연결될 수도 있다.
상기 네트워크 스위치(10)는 여러 개의 통신수구(30)로부터 입력 데이터를 동시에 전송할 수 있다. 데이터 프레임 속에 저장되어 있는 수신 단말기의 주소 번지(MAC 주소)를 판단하고 그 단말기가 접속하고 있는 포트에만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네트워크 스위치(10)와 통신수구(30)는 패치패널(20)에 의하여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네트워크 통신 시스템(1)의 네트워크 스위치(10) 및 패치패널(20)은 일반적으로 통신실에 위치하고, 각각의 통신수구(30)는 이격된 통신 수요자 공간에 구비되어 PC, 전화기 또는 프린터 등에 네트워크 통신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패치패널(20)은 네트워크 통신 시스템(1)에서 통신수구(30)를 연장시킨 포트들의 집합체를 포함하는 하드웨어 유닛을 말한다. 즉, 상기 네트워크 스위치(10)와 통신수구(30)는 패치패널(20)을 매개로 접속될 수 있으며, 패치패널(20)과 통신수구(30)는 패치코드(300) 형태의 통신케이블(200)로 연결될 수 있다.
도 1에서는 통신수구(30)와 네트워크 스위치(10) 사이에 하나의 패치패널(20)이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되나, 상기 패치패널(20)은 복수 개로 구성될 수 있다.
종래에는 네트워크 스위치(10), 패치패널(20) 및 통신수구 간의 연결상태 또는 각각을 연결하는 통신 와이어의 이상 유무를 직관적으로 판단하는 방법이 없었다.
특히, 통신실 내부에는 패치코드(300)가 대량으로 연결되어 각각의 연결여부 또는 연결위치를 육안으로 구별 또는 특정하는 것은 불가능에 가깝다.
따라서, 본 발명은 패치패널(20)에 연결되는 통신용 패치코드(300)에 네트워크 스위치(10), 패치패널(20) 및 통신수구 간의 연결상태 또는 각각을 연결하는 통신 와이어의 이상 유무를 쉽게 판단할 수 있도록 하는 조명 인덱싱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통신실 내부에서 각각의 통신용 패치코드(300)의 양방향 연결 위치를 쉽게 식별할 수 있는 조명 인덱싱 기능을 제공하고, 더 나아가 네트워크 스위치(10) 및 패치패널(20)의 연결상태 및 통신 선로의 이상 유무를 판단하기 위한 조명 인덱싱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즉, 통신용 패치코드(300)를 구성하는 플러그의 조명의 점등 여부 또는 조명 색상을 통해 네트워크 스위치(10) 및 패치패널(20)이 연결되었는지 여부와 연결 위치를 식별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통신실 내부에서 각각의 통신용 패치코드(300)의 양방향 연결 위치를 쉽게 식별할 수 있는 조명 인덱싱 기능을 제공하기 위하여 각각의 통신용 패치코드의 플러그에 광모듈(141)을 구비하고, 추가적으로 네트워크 스위치(10) 및 패치패널(20)의 연결상태 및 통신 선로의 이상 유무를 판단하기 위한 조명 인덱싱 기능을 제공하기 위하여 광원유닛(121)을 구비할 수 있다. 광모듈(141)과 광원유닛(121)에 의한 조명 인덱싱 기능에 대하여 순차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통신용 패치코드(300)를 구성하는 통신케이블(200)과 통신케이블 양단에 연결되는 플러그에 대하여 검토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통신용 패치코드(300)를 구성하는 통신케이블(200)의 하나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통신용 패치코드(300)를 구성하는 통신케이블(200)은 복수의 통신 와이어(210), 한 쌍의 테스트 와이어(230) 및 상기 통신 와이어(210)와 상기 테스트 와이어(230)를 감싸는 케이블 자켓(270)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통신케이블(200)은 복수의 통신 와이어(210)와 한 쌍의 테스트 와이어(230)를 구비하는 형태일 수 있다. 즉 복수의 상기 통신 와이어(210)는 4쌍으로 구성되고, 각각의 쌍의 통신 와이어(210)가 트위스티드 페어를 구성하는 경우, 상기 통신케이블(200)은 UTP, FTP 또는 STP 케이블 등의 형태로 구성되되 추가적으로 한 쌍의 테스트 와이어(23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통신 케이블은 통신 및 전력 공급용으로 사용되는 POE(Power Over Ethernet) 케이블일 수도 있다.
한 쌍의 상기 테스트 와이어(230)는 통신실 내부에서 패치코드(300)가 분리되지 않고 연결된 상태에서 각각의 패치코드(300)의 양방향 연결위치를 쉽게 특정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테스트 와이어(230)는 4쌍의 통신 와이어(210) 내측, 즉 통신케이블(200)의 중심부에 배치되어 각각의 쌍의 통신 와이어(210)의 접근을 차단하는 세퍼레이터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즉, 한 쌍의 상기 테스트 와이어(230)는 4쌍의 트위스티드 페어 형태의 통신 와이어(210) 중심부에 구비되어 페어별 크로스토크 등의 통신성능 저해 요소를 완화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4쌍의 상기 통신 와이어(210) 및 한 쌍의 상기 테스트 와이어(230) 외측에는 케이블 자켓(270)이 구비된다. 상기 테스트 와이어(230)가 4쌍의 상기 통신 와이어(210) 중심부 빈 공간에 수용되어 세퍼레이터 역할을 수행하므로, 본 발명에 따른 통신용 패치코드(300)를 구성하는 통신케이블(200)은 일반적인 UTP, FTP 또는 STP 케이블 등의 형태와 외관 직경 또는 외관상 일치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용 패치코드(300)를 구성하는 플러그의 투시된 사시도를 도시하며,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통신용 패치코드(300)의 플러그와 네트워크 스위치의 모듈러잭이 연결된 상태에서의 회로 구성을 도시하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통신용 패치코드(300)를 구성하는 테스트 와이어(230)와 한 쌍의 플러그에 구비된 테스트 단자(151) 및 광모듈(141)의 연결관계를 도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통신용 패치코드(300) 는 광모듈(141)을 구비하여 적어도 한가지 이상의 조명 인덱싱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통신실 내부에는 수많은 패치코드(300)가 각각 네트워크 스위치(10)와 패치패널(20)의 모듈러잭을 연결하며, 작업자가 통신실 내부에서 각각의 패치코드(300)의 연결위치를 특정하는 것은 쉽지 않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통신용 패치코드(300)는 통신용 패치코드(300)를 네트워크 스위치 또는 패치패널에서 분리하지 않고도 각각의 패치코드(300)의 연결위치를 식별할 수 있는 조명 인덱싱 기능을 구비한 통신용 패치코드(300)를 제공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패치코드(300)를 구성하는 플러그의 구조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통신용 패치코드(300)는 상기 테스트 와이어(230) 및 복수의 통신 와이어(210)를 포함하는 상기 통신케이블(200)의 양단에 연결되며, 상기 통신 와이어(210)에 연결된 복수의 단자 및 상기 단자를 수용하는 하우징을 구비하는 한 쌍의 플러그;를 구비하고,
상기 플러그는 상기 테스트 와이어(230)에 연결되고 상기 하우징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장착되는 한 쌍의 테스트 단자(151), 한 쌍의 상기 테스트 와이어(230) 또는 한 쌍의 상기 테스트 단자(151)를 연결하며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는 광모듈(141) 및 한 쌍의 상기 테스트 단자(151) 및 상기 광모듈(141)이 장착되는 기판;을 구비하며, 한 쌍의 상기 플러그 중 어느 하나의 플러그에 구비된 한 쌍의 테스트 단자(151)에 테스트 전력 공급하여 한 쌍의 플러그의 광모듈(141)을 점등시켜 통신용 패치코드(300) 플러그의 위치를 식별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통신용 패치코드(300)를 구성하는 통신 케이블(300)은 전술한 바와 같이, 4페어로 구성된 UTP, FTP 또는 STP 케이블 등일 수 있으며, 상기 통신 케이블(400)의 일단에 RJ45 규격의 플러그(100)가 장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통신용 패치코드(300)는 양단에 플러그가 구비되고, 각각 네트워크 스위치(10)와 패치패널(20)을 연결 또는 패치패널이 복수 개가 구비되는 경우 복수 개의 패치패널을 연결하는 경우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통신용 패치코드(300)는 네트워크 스위치(10)와 패치패널(20)을 연결하는 UTP, FTP 또는 STP 등 통신케이블(200)의 양단에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통신용 패치코드(300)에 구비된 플러그는 RJ45 규격을 만족하는 이더넷 플러그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광모듈(141)은 상기 테스트 단자(151)와 함께 상기 플러그의 하우징 내부에 구비된 기판(160) 상에 장착될 수 있다.
한 쌍의 상기 테스트 단자(151)는 로컬 테스터기(미도시) 등을 통해 테스트 전력이 공급 가능하도록 상기 플러그의 하우징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장착될 수 있다. 상기 테스트 단자(151)를 통한 테스트 방법의 상세한 설명은 뒤로 미룬다.
즉, 로컬 테스트기는 플러그에 구비된 한 쌍의 테스트 단자에 테스트 전력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한 쌍의 전력 단자를 구비하는 형태일 수 있다.
그리고, 후술하는 통신 수구에 장착하여 네트워크 이상 유무를 판단하기 위한 리모트 테스트기와 상기 로컬 테스트기는 일체화된 하나의 테스트기로 구성될 수 있다.
네트워크 테스트기 형태의 후술하는 리모트 테스트기에 상기 테스트 단자(151)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전력 단자, 예를 들면 핀 형태의 전력 단자가 구비되어 하나의 테스트기로 패치코드의 플러그를 통해 테스트하거나 통신수구를 통해 원격으로 테스트를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기판(160)에는 복수의 통신 와이어(210)와 연결된 단자(131)들도 함께 장착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4페어 UTP 케이블용 RJ45 규격 플러그(100)는 하우징(110) 내에서 UTP 케이블을 구성하는 4페어 통신 와이어(210)가 단자(130)와 직접 연결되는 방식으로 별도의 PCB 기판(160)이 생략되는 경우가 많지만, 본 발명에 따른 통신용 패치코드(300)를 구성하는 플러그(100)는 테스트 단자(151) 및 광모듈(141) 장착을 위하여 PCB 기판(160)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기판(160)에 장착된 광모듈(141)이 조명 인덱싱 기능을 제공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하우징(110)은 광투과성 재질로 구성되거나, 상기 광모듈(141)이 노출되도록 상기 하우징(110)에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플러그를 구성하는 하우징(110) 후방에는 통신 케이블이 도입되어 지지되는 부트(b)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하우징(110) 또는 상기 부트(b) 중 적어도 하나는 광투과성 재질로 구성되거나 개구부가 구비되면 광원유닛(121)의 발광시 조명 인덱싱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통신용 패치코드(300)는 네트워크 스위치 또는 패치패널에 양방향 접속된 상태로 연결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치코드(300)의 플러그가 네트워크 스위치의 모듈러잭(11)에 장착된 상태에서 복수 개의 통신 와이어(210)를 통해 정상적인 통신이 제공되는 과정에서 플러그 연결 위치를 특정하기 위한 테스트가 수행될 수 있다.
즉, 상기 플러그 내에 구비된 한 쌍의 상기 테스트 단자(151)는 각각 한 쌍의 테스트 와이어(230)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광모듈(141)은 한 쌍의 상기 테스트 단자(151) 또는 플러그 하우징 내에서 한 쌍의 테스트 와이어(230)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특정 통신용 패치코드(300)의 하나의 플러그에 구비된 한 쌍의 테스트 단자(151)에 전력을 공급하면, 한 쌍의 플러그의 한 쌍의 테스트 단자(151) 사이에 연결된 광모듈(141)이 함께 점등하게 되어 패치코드(300)의 연결위치를 쉽게 식별할 수 있다.
상기 플러그의 테스트 단자(151)를 통해 공급되는 전력은 직류 테스트 전력이고, 테스트 전력은 하나의 플러그에 구비된 한 쌍의 테스트 단자(151)를 통해 공급되어 광모듈(141)을 발광시킬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통신용 패치코드(300)는 이를 네트워크 스위치 또는 패치패널로부터 분리하지 않고 정상적으로 통신 연결된 상태에서, 특정 통신용 패치코드(300)의 어느 하나의 플러그(100)에 구비된 테스트 단자(151)에 전력을 공급하여, 반대편 플러그가 발광되도록 하는 조명 인덱싱 기능으로 하나의 패치코드(300)의 양 방향 연결 위치를 식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통신실 내부에서 패치코드(300)의 연결위치를 식별하기 위하여 패치코드(300)를 분리하지 않고도 통신망을 유지한 상태로 연결위치를 검사할 수 있으며, 기존 통신 와이어(210)의 기능을 방해하지 않고 테스트를 수행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광모듈(141)은 제1 색상의 제1 발광소자(141a) 및 제2 색상의 제2 발광소자(141b)가 병렬로 구성되어, 예를 들면 서로 반대방향으로 병렬로 구성되어 테스트 단자(151)를 통해 공급되는 직류 전력의 방향과 무관하게 어느 하나의 발광소자가 점등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제1 색상의 상기 제1 발광소자(141a) 및 제2 색상의 상기 제2 발광소자(141b)는 별도의 분리된 모듈로 구성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제1 발광소자(141a) 및 제2 발광소자(141b)는 하나의 모듈 내에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테스트 단자로 공급되는 직류 전력은 양(+) 전압과 음(-) 전압 또는 음(-) 전압과 양(+) 전압이 교차하는 형태로 공급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테스트 단자로 공급되는 전력은 교류 전력일 수도 있다.
따라서, 하나의 통신용 패치코드(300)를 구성하는 한 쌍의 플러그 중 어느 하나의 플러그에 구비된 한 쌍의 테스트 단자(151)에 테스트 전력을 공급하는 경우, 테스트 전력의 방향(+, - 방향)과 무관하게 한 쌍의 플러그에 구비된 광모듈(141)을 발광시켜 통신실 내부에서 각각의 플러그(100)의 연결위치를 쉽게 식별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신용 패치코드(300)를 구성하는 플러그의 투시된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통신용 패치코드(300)의 플러그와 네트워크 스위치의 모듈러잭이 연결된 상태에서의 회로 구성을 도시한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한 설명과 중복돤 설명은 생략한다.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통신용 패치코드(300)는 통신실 내부에서의 패치코드(300) 연결상태에서의 패치코드(300) 연결위치 식별을 위한 조명 인덱싱 기능 이외에도 추가적으로 조명 인덱싱 기능을 통해 도 1의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실이 아닌 통신 수구(30)에 리모트 테스터기(70)를 통한 테스트에 의하여, 통신실 내부에서 네트워크 스위치(10)와 패치패널(20)을 연결하는 패치코드(300)가 양방향으로 정상적으로 연결된 경우, 패치코드(300)의 플러그가 패치패널(20)에만 연결된 경우 또는 패치코드(300)의 플러그가 네트워크 스위치(10)에만 연결되는 경우를 구별할 필요가 있으므로 본 발명은 조명 인덱싱 기능을 통해 각각의 경우를 식별하는 식별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실시예는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플러그에 구비된 광모듈(141)에 의한 통신실 내부에서의 연결위치 식별을 위한 조명 인덱싱 기능을 그대로 포함하고 있으므로 이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7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패치코드(300)를 구성하는 한 쌍의 상기 플러그 중 적어도 하나의 플러그의 기판 상에 상기 통신 와이어(210) 중 2개의 통신 와이어(210) 사이에 연결되는 광원유닛(121); 및 상기 광원유닛(121)과 직렬로 연결되는 저항유닛(123);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광원유닛(121)은 전술한 광모듈(141)과 유사한 구조로 구성될 수 있으며, 다만 전술한 광모듈(141)의 경우 통신케이블(200)에 구성되는 테스트 와이어(230)에 연결되지만 상기 광원유닛(121)은 상기 한 쌍의 통신 와이어(210)에 연결된다는 특징을 갖는다.
상기 광원유닛(121)은 상기 광모듈(141)과 마찬가지로 제1 색상의 제1 발광소자 및 제2 색상의 제2 발광소자가 병렬로 구성되고 상기 광원유닛(121)에 구비되는 제1 발광소자 및 제2 발광소자는 하나의 유닛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전술한 광모듈(141)의 경우, 제1 발광소자와 제2 발광소자가 병렬로 반대방향으로 구비되어, 테스트 전극으로 공급되는 테스트 전력의 방향과 무관하게 광모듈(141)을 발광시키지만 상기 광원유닛(121)의 경우 상기 광원유닛(121)에 구비되는 제1 발광소자(121a) 및 제2 발광소자(121b)는 모두 점등되는 경우 제1 색상과 제2 색상이 합성된 제3 색상으로 발광되도록 하여 통신 시스템의 패치코드(300) 연결상태를 구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광원유닛(121)을 구성하는 상기 제1 발광소자(121a) 및 상기 제2 발광소자(121b)는 발광조건을 만족하는 전류의 방향이 서로 다른 LED 소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용 패치코드(300).
그리고 한 쌍의 통신 와이어(210)에 연결된 광원유닛(121)이 구비된 플러그는 통신케이블(200)의 양단이 아닌 일단에만 장착되어도 그 조명 인덱싱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패치코드(300)는 통신 케이블의 양단 중 한쪽에는 본 발명의 조명 인덱싱 기능을 제공하는 플러그가 장착되고 다른 쪽에는 일반 플러그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플러그에 구비된 광원유닛(121)에서 발광되는 빛은 상기 플러그 하우징이 광투과성 재질로 구성되거나 개구부가 형성된 경우 상기 광원유닛(121)에서 발광된 빛이 외부에서 식별가능함은 전술한 광모듈(141)과 마찬가지이다.
그리고, 상기 광원유닛(121) 및 상기 저항유닛(123)은 전술한 광모듈(141)이 장착된 기판 상에 함께 장착되거나, 별도의 기판 상에 장착되어도 무방하다. 그리고, 상기 PCB 기판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 전체 면적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상기 광모듈(141), 상기 광원유닛(121) 및 상기 저항유닛만 장착될 수 있을 정도로 컴팩트하게 구성될 수도 있다.
도 8은 도 1의 통신 수구에 리모트 테스터기를 연결하여 제공되는 테스트 신호의 예시를 도시한다.
상기 통신 수구(30)에 네트워크 리모트 테스터기를 연결하는 경우, 상기 테스터기가 상기 통신 수구(30)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리모트 테스터기는 (+) 및 (-) 전압 값으로 변경되는 임의의 펄스 형태의 테스트 신호(Test Signal)를 공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리모트 테스터기가 상기 통신 수구(30)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리모트 테스터기의 테스트 버튼 등을 작동시켜 발생되는 테스트 신호는 크기가 2L[V] 및 0L[V]로 전압값이 구분 가능한 변경되는 임의의 펄스 형태의 신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리모트 테스터기의 테스트 전류는 크기가 10[V] 및 0[V]로 변경되는 1Mhz의 펄스 형태의 전류일 수 있고 이때 L의 값은 5일 수 있다. 단, L 값이 정확히 특정 상수인 것은 아니고, 단지 전압의 크기(Level)를 구분할 수 있는 인덱스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0L[V]의 전압값은 반드시 0[V]일 필요는 없고, 1L, -1L 또는 2L 등의 전압값과 구분될 수 있는 값이면 된다. 또한 1L과 2L 역시 반드시 2배의 전압값을 의미하는 것이 아닌 전압의 크기가 크고 작음을 구분할 수 있는 인덱스로 해석되어야 하고, 1L과 -1L 역시 부호가 다른 정반대의 전압값을 의미하는 것이 아닌 전압의 부호가 다름을 구분할 수 있는 인덱스로 해석되어야 한다.
그리고, 상기 테스트 신호는 전압의 크기가 1L[V]인 직류 신호와 1L[V] 및 -1L[V]로 변경되는 펄스 신호가 중첩(superposition)된 전류로 구성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테스트 전류는 크기가 5[V]인 직류 신호와 5[V] 및 -5[V]로 변경되는 펄스 신호의 중첩된 신호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통신실 내부에서의 네트워크 스위치와 패치패널의 연결여부 및 연결위치 판단을 위한 테스트 신호는 통신 수구를 통해 공급되지만 결국 통신실의 패치패널을 통해 플러그로 제공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테스트 전류의 크기를 규정하는 L[V]값은 5[V]로 가정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패치코드(300) 플러그가 네트워크 스위치의 하나의 모듈러잭에서 분리된 상태의 회로도와 조명 인덱싱 상태의 회로도를 도시하며,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패치코드(300) 플러그가 네트워크 스위치의 하나의 모듈러잭에 장착된 상태의 회로도와 조명 인덱싱 상태의 회로도를 도시한다.
그리고, 통신실에서 네트워크 스위치(10)와 패치패널(20)을 연결하는 패치코드(300)는 상기 패치패널(20) 측에는 연결된 것으로 가정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통신 케이블은 4페어로 구성될 수 있고, 본 발명의 플러그에 구비된 광원유닛(121)과 저항유닛(123)은 각각 2개의 통신선(210) 사이에 직렬로 연결되되, 광원유닛(121)을 구성하는 2개의 발광소자는 광원유닛(121) 내에서 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광원유닛(121)과 상기 저항유닛(123)은 기판 상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광원유닛(121)을 구성하는 각각의 발광소자는 LED 소자일 수 있으며, 발광 조건으로서의 전류 방향이 반대가 되도록 장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네트워크 스위치 등의 고속 통신을 지원하는 네트워크 장비는 전기적으로 직결되는 구조가 아니며, 도 7의 회로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로 보호 등의 이유로 트랜스포머(변압회로, 11a 및 11b)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즉 각각의 통신선의 페어별로 인덕터(11a)와 연결될 수 있다.
먼저, 도 6에 도시된 본 발명의 플러그가 네트워크 스위치(10)의 모듈러잭(11)에서 분리된 상태에서 리모트 테스터기(70)의 테스트 버튼을 누르면, 3번과 6번 통신선을 통해 10[V] 및 0[V]로 변경되는 1MHz의 펄스 형태의 테스트 신호가 공급되어 상기 광원유닛(121)과 저항유닛(123) 그리고 3번과 6번 통신선을 경유하는 폐회로가 형성되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광 조건으로서 전류 방향이 매칭되는 제1 발광소자(121a)가 발광하게 된다. 이 경우, 제2 발광소자(121b)는 발광 조건으로서의 전류 방향이 일치하지 않아 발광되지 않는다.
상기 테스트 전류는 고주파(high frequency)의 펄스 신호이므로 제1 발광소자(121a)가 발광 점멸되지만 육안으로 구별이 어려워 제1 발광소자(121a)가 지속적으로 발광하는 것으로 식별될 수 있다.
그러나,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플러그가 네트워크 스위치(10)의 모듈러잭(11)에 장착되면, 다음과 같은 이유로 제1 발광소자(121a)와 제2 발광소자(121b)가 함께 발광한다.
즉, 네트워크 스위치(10)의 모듈러잭에 본 발명의 플러그가 장착되면, 마찬가지로 3번과 6번 통신선을 통해 10[V] 및 0[V]로 변경되는 1MHz의 펄스 형태의 테스트 신호가 공급된다.
이러한 10[V] 및 0[V]로 변경되는 1MHz의 펄스 형태의 테스트 신호는 도 8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크기가 5[V] 직류 신호와 5[V] 및 -5[V]로 임의로 변경되는 펄스 신호의 중첩된 신호로 이해될 수 있고, 테스트 신호를 구성하는 5[V] 직류 신호는 네트워크 스위치(10)의 모듈러잭의 인덕터(11a)가 저주파에서 임피던스가 매우 낮아 저항성분으로 작용하지 않으므로,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의 저항유닛(123) 등과 직렬로 연결되는 광원유닛(121)에 점등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그러나, 상기 테스트 신호를 구성하는 5[V] 및 -5[V]로 변경되는 1MHz 펄스 신호는 네트워크 스위치(10)의 모듈러잭의 인덕터(11a)가 고주파에서 임피던스가 매우 높아 저항성분으로 작용하여 모듈러잭의 인덕터(11a)를 흐르지 못하고 플러그의 광원유닛(121)과 저항유닛(123)을 경유하는 경로로 흐르게 된다. 상기 저항유닛은 전류의 흐름을 보다 명확히 하기 위해 저항 외에도 캐패시터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5[V] 및 -5[V]로 변경되는 1MHz 펄스 신호는 교류와 마찬가지로 전류의 방향이 번갈아 바뀌는 신호이며,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항유닛과 광원유닛(121)을 흐르는 전류의 방향이 바뀜에 따라 10[V] 테스트 신호의 성분인 5[V]의 펄스 신호는 제1 발광소자(121a)를 점등시키고, 0[V] 테스트 신호의 성분인 -5[V]의 펄스 신호는 제2 발광소자(121b)를 번갈아 점등시키게 된다.
즉, 상기 5[V] 및 -5[V] 펄스 신호는 1MHz로 전류의 방향이 변경되므로, 육안으로는 번갈아 점등되는 것으로 식별되지 않고 동시에 제1 발광소자(121a) 및 제2 발광소자(121b)를 점등시키는 것으로 관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테스트 신호를 구성하는 5[V] 및 -5[V]로 변경되는 1MHz 펄스 신호는 교류 신호와 마찬가지로 서로 반대방향으로 배치된 제1 발광소자(121a)와 제2 발광소자(121b)를 각각 점등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광원유닛(121)은 제1 색상의 제1 발광소자(121a) 및 제2 색상의 제2 발광소자(121b)가 하나의 유닛 내에 구비되며, 각각의 발광소자가 제1 색상 및 제2 색상으로 구성되지만, 제1 색상의 제1 발광소자(121a) 및 제2 색상의 제2 발광소자(121b)가 각각 독립적으로 발광하는 경우 상기 광원유닛(121)은 제1 색상 또는 제2 색상으로 식별되지만, 제1 색상의 제1 발광소자(121a) 및 제2 색상의 제2 발광소자(121b)가 함께 발광하는 경우, 상기 광원유닛(121)은 제1 색상 및 제2 색상의 빛이 합쳐진 제3의 색상으로 빛나게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광원유닛(121)은 하나의 유닛으로 구성되고 그 내부에 제1 색상의 제1 발광소자(121a) 및 제2 색상의 제2 발광소자(121b)가 구비되어 제1 색상의 제1 발광소자(121a) 및 제2 색상의 제2 발광소자(121b)가 함께 발광하는 경우 제1 색상과 제2 색상이 혼합된 제3 색상으로 빛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광원유닛(121)을 필요에 따라 제1 색상 또는 제3 색상으로 빛나도록 제1 발광소자(121a)를 단독으로 점등하거나, 제1 발광소자(121a) 및 제2 발광소자(121b)를 함께 점등시키는 방법을 사용한다.
따라서, 통신 수구(30)에서 테스트기를 장착하여 테스트를 진행시 통신실 작업자는 상기 제1 발광소자(121a)와 제2 발광소자(121b)가 동시에 점등되는 경우, 통신실에서의 패치코드(300) 연결에 이상이 없음을 확인함과 동시에 해당 통신 수구(30)와 네트워크 스위치(10)의 연결 위치를 직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고, 상기 테스트를 진행시 네트워크 스위치(10)에서 분리된 상태의 특정 플러그의 광원유닛(121)의 제1 발광소자(121a)가 점등하면 네트워크 스위치(10) 연결이 필요한 상태임을 확인하여 분리된 상태로 발광되는 플러그를 지정된 네트워크 스위치의 모듈러잭에 연결하여 통신실 연결 작업을 완료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통신실 연결이 완료되면, 해당 플러그의 조명은 제1 발광소자(121a)가 단독으로 점등된 상태에서, 제1 발광소자(121a)와 제2 발광소자(121b)가 함께 점등되는 상태로 변경됨을 즉시 식별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작업자는 통신실 연결상태와 연결위치를 동시에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통신 케이블링 관리 시스템에 의한 조명 인덱싱 기능은 아래의 표와 같이 정리될 수 있다.
통신수구를 통한 전압 인가시 광원유닛(121) 점등여부
제1 발광소자(121a) 점등 O 점등 O 점등 X
제2 발광소자(121b) 점등 X 점등 O 점등 X
식별항목 네트워크 스위치 플러그 분리 네트워크 스위치 플러그 장착 패치패널 미연결 /기타 통신선로 이상
상기 패치패널(20)과 상기 네트워크 스위치(10)를 연결하는 패치코드(300)에는 전술한 본 발명의 플러그가 적어도 한쪽에 구비되면 되고, 조명 인덱싱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패치코드(300)가 패치패널(20)에는 연결되고 패치패널(20)까지의 통신 선로에는 이상이 없음을 전제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통신 케이블링 관리 시스템을 구성하는 리모트 테스터기(70)를 통해 테스트 전류를 인가하는 경우, 통신실에서 점등하는 플러그를 발견하지 못하는 경우는 통신실에서 네트워크 스위치(10)와 패치패널(20)을 연결하기 위한 패치코드(300)가 패치패널(20) 쪽에 연결되지 않았거나 통신 수구(30)에서 패치패널(20)까지의 통신 선로에 이상이 있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통신용 패치코드(300)는 플러그에 구비된 광모듈(141)을 이용하여 통신실 내부에서의 패치코드(300)의 양방향 접속 위치를 식별할 수 있고, 플러그에 구비된 광원유닛(121)을 이용하여 통신수구에서 네트워크 스위치까지의 통신연결 상태, 통신실에서 네트워크 스위치에 플러그가 장착되었는지 여부 등에 대한 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통신용 패치코드(300)를 구성하는 통신케이블(200)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통신용 패치코드(300)를 구성하는 통신케이블(200)은 한 쌍의 테스트 와이어(230) 및 케이블 자켓(270)을 구비할 수 있음은 도 2를 참조한 ㅅ실시예와 마찬가지이다.
도 12에 도시된 실시예는 통신 와이어(310)가 적어도 하나의 광유닛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즉, 광유닛 형태로서의 통신 와이어(310)는 적어도 하나의 광섬유(311)를 구비하고, 상기 광섬유를 보호 또는 수용하기 위한 루즈튜브 형태의 광유닛 튜브(31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광유닛 튜브(310) 내에 방수사 또는 방수용 젤리 또는 파우더 등이 더 구비될 수도 있고 광섬유의 개수도 증감될 수 있으며, 통신 와이어가 루즈튜브 형태가 아닌 타이트 버퍼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 12에서는 광유닛 형태의 통신 와이어가 1개가 구비되는 예가 도시되나, 그 개수는 증가될 수 있으며, 전술한 상기 통신케이블(200)은 UTP, FTP 또는 STP 케이블 등의 형태의 케이블에 광유닛 형태의 통신 와이어가 추가되는 형태로 케이블이 구성될 수도 있다.
도 12에 도시된 실시예는 통신 와이어가 광유닛 형태로 구성되나, 한 쌍의 테스트 와이어(230)가 구비되므로, 전술한 바와 같이 테스트 와이어(230)을 통한 각종 테스트가 수행될 수 있으므로, 통신선로의 이상 유무를 쉽게 판단할 수 있음은 마찬가지다.
이 경우, 한 쌍의 통신케이블에 연결되는 한 쌍의 플러그에 광유닛 형태의 통신와이어에 접속되는 광단자가 구비되거나, 광전변환기와 일반 금속 단자 등이 더 구비되는 형태로 통신용 패치코드를 구성할 수 있다.
본 명세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이하에서 서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변형된 실시가 기본적으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면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범주에 포함된다고 보아야 한다.

Claims (29)

  1. 복수의 통신 와이어, 한 쌍의 테스트 와이어 및 상기 통신 와이어와 상기 테스트 와이어를 감싸는 케이블 자켓을 구비하는 통신케이블; 및,
    상기 통신케이블의 양단에 연결되며, 상기 통신 와이어에 연결된 복수의 단자 및 상기 단자를 수용하는 하우징을 구비하는 한 쌍의 플러그;를 구비하고,
    상기 플러그는 상기 테스트 와이어에 연결되고, 상기 하우징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장착되는 한 쌍의 테스트 단자, 한 쌍의 상기 테스트 와이어 또는 한 쌍의 상기 테스트 단자를 연결하며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는 광모듈 및 한 쌍의 상기 테스트 단자와 상기 광모듈이 장착되는 기판;을 구비하며,
    한 쌍의 상기 플러그 중 어느 하나의 플러그에 구비된 한 쌍의 테스트 단자에 테스트 전력 공급하여 한 쌍의 플러그의 광모듈을 점등시켜 통신용 패치코드 플러그의 위치를 식별가능한 통신용 패치코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테스트 단자에 테스트 전력을 공급하는 방법은 한 쌍의 전력 단자를 구비한 로컬 테스터기를 통해 직류 전력을 공급하는 방법으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용 패치코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직류 전력은 양(+) 전압과 음(-) 전압 또는 음(-) 전압과 양(+) 전압이 교차하는 형태로 공급하는 방법으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용 패치코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테스트 단자에 테스트 전력을 공급하는 방법은 한 쌍의 전력 단자를 구비한 로컬 테스터기를 통해 교류 전력을 공급하는 방법으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용 패치코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모듈은 제1 색상의 제1 발광소자 및 제2 색상의 제2 발광소자가 병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용 패치코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광모듈을 구성하는 제1 발광소자 및 제2 발광소자는 하나의 유닛 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용 패치코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광모듈을 구성하는 상기 제1 발광소자 및 상기 제2 발광소자는 발광조건을 만족하는 전류의 방향이 서로 다른 LED 소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용 패치코드.
  8. 제7항에 있어서,
    각각의 플러그에 구비되는 광모듈을 구성하는 제1 발광소자 및 제2 발광소자는 상기 테스트 단자를 통해 공급되는 전류의 방향에 따라 어느 하나의 발광소자만 발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용 패치코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광모듈에서 제공되는 빛이 노출 또는 투과될 수 있도록 개구부를 갖거나 광투과성 재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용 패치코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후방에 상기 통신케이블이 도입되어 지지되며, 상기 광모듈에서 제공되는 빛이 노출 또는 투과될 수 있도록 개구부를 갖거나 광투과성 재질로 구성되는 부트를 더 구비하는 특징으로 하는 통신용 패치코드.
  11. 제1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통신 와이어는 각각 도체 및 상기 도체를 절연하기 위한 절연층을 구비하고, 복수의 상기 통신 와이어는 트위스티드 페어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용 패치코드.
  12. 제11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통신 와이어는 4쌍으로 구성되며, 상기 플러그는 RJ45 규격의 플러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용 패치코드.
  13. 제1항에 있어서,
    한 쌍의 상기 플러그 중 적어도 하나의 플러그의 기판 상에 상기 통신 와이어 중 2개의 통신 와이어 사이에 연결되는 광원유닛; 및 상기 광원유닛과 직렬로 연결되는 저항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용 패치코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유닛은 제1 색상의 제1 발광소자 및 제2 색상의 제2 발광소자가 병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용 패치코드.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유닛에 구비되는 제1 발광소자 및 제2 발광소자는 하나의 유닛 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용 패치코드.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유닛에 구비되는 제1 발광소자 및 제2 발광소자는 모두 점등되는 경우 제1 색상과 제2 색상이 합성된 제3 색상으로 발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용 패치코드.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유닛을 구성하는 상기 제1 발광소자 및 상기 제2 발광소자는 발광조건을 만족하는 전류의 방향이 서로 다른 LED 소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용 패치코드.
  18. 제13항에 있어서,
    한 쌍의 상기 플러그 중 하나의 플러그에만 상기 광원유닛; 및 상기 저항유닛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용 패치코드.
  19.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용 패치코드의 광원유닛을 구성하는 제1 발광소자 및 제2 발광소자 중 적어도 하나의 발광소자의 발광여부를 통해 통신 시스템을 구성하는 네트워크 스위치와 패치패널의 연결상태를 식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용 패치코드.
  20.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용 패치코드로 통신 시스템을 구성하는 네트워크 스위치와 패치패널을 연결하는 경우,
    상기 패치코드의 양단에 구비된 한 쌍의 플러그 중 하나의 플러그가 상기 패치패널에 장착된 상태에서 다른 하나의 플러그가 상기 네트워크 스위치에 연결 여부에 따라 상기 패치패널에서 상기 패치코드의 통신 와이어로 공급되는 테스트 신호 인가시 제1 발광소자 및 제2 발광소자는 모두 점등 또는 하나만 점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용 패치코드.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스위치의 모듈러잭은 트랜스포머 방식의 모듈러잭이며,
    상기 패치코드의 양단에 구비된 한 쌍의 플러그 중 하나의 플러그가 상기 패치패널에 장착된 상태에서 다른 하나의 플러그가 상기 네트워크 스위치의 모듈러잭에서 분리된 상태에서는 제1 발광소자 및 상기 제2 발광소자 중 하나의 발광소자가 점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용 패치코드.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스위치의 모듈러잭은 트랜스포머 방식의 모듈러잭이며,
    상기 패치코드의 양단에 구비된 한 쌍의 플러그 중 하나의 플러그가 상기 패치패널에 장착된 상태에서 다른 하나의 플러그가 상기 네트워크 스위치의 모듈러잭에 장착된 상태에서는 제1 발광소자 및 상기 제2 발광소자 함께 점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용 패치코드.
  23.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테스트 신호는 전압의 크기가 구분되는 값으로 임의로 변경되는 펄스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용 패치코드.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테스트 신호는 직류 신호이며 크기가 특정 전?陋だ? 갖는 직류 신호와 반대 부호의 전압값을 갖는 변경되는 펄스 신호의 중첩된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용 패치코드.
  2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유닛 및 상기 저항유닛은 상기 기판 상에서 패턴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용 패치코드.
  26.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테스트 신호는 통신 시스템을 구성하는 상기 패치패널과 연결된 통신 수요자 공간에 설치된 통신 수구에 리모트 테스터기를 장착하여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용 패치코드.
  2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와이어 중 하나는 적어도 하나의 광섬유를 구비한 광유닛 형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용 패치코드.
  28. 제2항의 한 쌍의 테스트 단자에 상기 테스트 전력의 공급이 가능하고, 제26항의 통신 수구에 연결되어 상기 테스트 신호의 공급이 가능한 하나의 기기로 일체화된 통신 케이블링 관리 시스템용 테스터기.
  29. 적어도 하나의 광섬유를 구비한 광유닛 형태의 적어도 하나의 통신 와이어, 한 쌍의 테스트 와이어 및 상기 통신 와이어와 상기 테스트 와이어를 감싸는 케이블 자켓을 구비하는 통신케이블; 및,
    상기 통신케이블의 양단에 연결되며, 상기 통신 와이어에 연결된 복수의 단자 및 상기 단자를 수용하는 하우징을 구비하는 한 쌍의 플러그;를 구비하고,
    상기 플러그는 상기 테스트 와이어에 연결되고, 상기 하우징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장착되는 한 쌍의 테스트 단자, 한 쌍의 상기 테스트 와이어 또는 한 쌍의 상기 테스트 단자를 연결하며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는 광모듈 및 한 쌍의 상기 테스트 단자와 상기 광모듈이 장착되는 기판;을 구비하며,
    한 쌍의 상기 플러그 중 어느 하나의 플러그에 구비된 한 쌍의 테스트 단자에 테스트 전력 공급하여 한 쌍의 플러그의 광모듈을 점등시켜 통신용 패치코드 플러그의 위치를 식별가능한 통신용 패치코드.
KR1020200066631A 2019-08-14 2020-06-02 통신용 패치코드 KR2021002075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9627 2019-08-14
KR20190099627 2019-08-1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0757A true KR20210020757A (ko) 2021-02-24

Family

ID=746893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6631A KR20210020757A (ko) 2019-08-14 2020-06-02 통신용 패치코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2075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839731A (zh) * 2022-05-14 2022-08-02 广东胜高通信有限公司 一种带光纤线的aoc网络跳线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839731A (zh) * 2022-05-14 2022-08-02 广东胜高通信有限公司 一种带光纤线的aoc网络跳线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21360B2 (en) Methods for patch cord guidance
US6750643B2 (en) Group wiring patching system and method for wire pair identification
US732727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cing remote ends of networking cables
KR101540982B1 (ko) 삽입 검출 및 광조명 기능을 갖는 패치 코드
US7563102B2 (en) Patch field documentation and revision systems
US8033873B2 (en) Patch cable physical link identification device
US20140184238A1 (en) Cabling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and managing physically connected devices over a data network
US6900629B2 (en) Group wiring device for facilitating wire pair identification
CN105706458A (zh) 包括可视标记设备的网络电缆和用于可视标记网络电缆的端部的设备
KR20210020757A (ko) 통신용 패치코드
KR102611471B1 (ko) 통신용 플러그 및 이를 구비하는 통신용 패치코드
GB2527310A (en) Patchmate cable tracer and continuity tester
KR20210023775A (ko) 통신케이블 및 이를 구비하는 통신용 패치코드
WO2012057980A2 (en) Telecommunication connecting device
AU2003297819B2 (en) A group wiring patching system and method for wire pair identification
KR100776040B1 (ko) 전선 쌍 식별을 위한 그룹배선 장치, 시스템 및 방법
EP3855580A1 (en) Rj45 connector with light emitting diode and compensation circuit
CN220913323U (zh) 一种网络测线仪的pcba
KR20230171172A (ko) 통신용 패치코드 테스터
KR20220110891A (ko) 통신용 패치코드 및 패치코드 테스터기
KR100427527B1 (ko) 네트워크 장비의 연결케이블 시험장치
KR20190124386A (ko) 네트워크 관리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네트워크 통신 시스템
CN102610968A (zh) 用于测试阻抗稳定网络的转接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