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20458A - 필체 교정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필체 교정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20458A
KR20210020458A KR1020190099802A KR20190099802A KR20210020458A KR 20210020458 A KR20210020458 A KR 20210020458A KR 1020190099802 A KR1020190099802 A KR 1020190099802A KR 20190099802 A KR20190099802 A KR 20190099802A KR 20210020458 A KR20210020458 A KR 202100204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writing
image
information
analysis unit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98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93361B1 (ko
Inventor
나상민
오종현
조원주
Original Assignee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조원주
오종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조원주, 오종현 filed Critical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0998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3361B1/ko
Publication of KR202100204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04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33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33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7/00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 G09B7/02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of the type wherein the student is expected to construct an answer to the question which is presented or wherein the machine gives an answer to the question presented by a studen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1/00Teaching hand-writing, shorthand, drawing, or pain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06K9/00422
    • G06K9/22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10Image acquisition
    • G06V10/17Image acquisition using hand-held instru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30/00Character recognition; Recognising digital ink; Document-oriented image-based pattern recognition
    • G06V30/10Character recognition
    • G06V30/14Image acquisition
    • G06V30/148Segmentation of character reg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30/00Character recognition; Recognising digital ink; Document-oriented image-based pattern recognition
    • G06V30/10Character recognition
    • G06V30/32Digital ink
    • G06V30/36Matching; Classific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1/00Teaching hand-writing, shorthand, drawing, or painting
    • G09B11/04Guide sheets or plates; Tracing charts
    • G06K2209/01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Character Discrimination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필체 교정 장치는 사용자의 필기에 대한 필체 정보를 수집하는 수집기; 서버와 통신하는 제1 단말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단말기는 상기 수집기로부터 상기 필체 정보를 획득해서 상기 서버로 전달하며, 상기 제1 단말기는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필체 정보에 대한 피드백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피드백 정보를 상기 사용자에게 표시할 수 있다.

Description

필체 교정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HANDWRITING CALIBRATION FUNCTION}
본 발명은 사용자의 필체를 교정하도록 가이드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래 들어 컴퓨터, 스마트폰 등의 기기 보급이 확대되면서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손으로 글씨를 쓰는 기회가 줄어들어 점차 악필자가 급증하는 추세이다. 비록 글씨를 연습하는 교재나 학원이 있기는 하지만 학습대상자의 지속적인 흥미를 유발하기에 미흡한 실정이다.
최근 사용자의 필기를 인식할 수 있는 멀티미디어 기기의 출현에 힘입어 악필을 교정할 수 있는 수단이 강구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502706호에는 글씨를 인식하고 주요 획에 대한 쓰기 연습을 일정 기간 동안 반복하는 과정에서 체계적인 다단계 훈련 방식으로 흥미를 유발하여 필적 개선에 기여하는 악필 교정 방법이 나타나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502706호
본 발명은 사용자의 필기를 실시간으로 수집하고, 사용자에게 필기에 대한 교정자의 지도를 제공할 수 있는 필체 교정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필체 교정 장치는 사용자의 필기에 대한 필체 정보를 수집하는 수집기; 서버와 통신하는 제1 단말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단말기는 상기 수집기로부터 상기 필체 정보를 획득해서 상기 서버로 전달하며, 상기 제1 단말기는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필체 정보에 대한 피드백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피드백 정보를 상기 사용자에게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필체 교정 장치는 사용자의 제1 단말기와 통신하고, 상기 사용자의 필체 정보를 수신하는 제1 통신부; 상기 필체 정보를 관리하는 관리 유니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필체 교정 방법은 사용자의 필체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하는 단계; 상기 필체 정보에 포함된 글씨 이미지와 기저장된 가이드 이미지의 매칭 정확도를 분석하는 단계; 상기 글씨 이미지당 소요 시간, 일일 연습 시간, 주간 연습 시간, 월간 연습 시간 중 적어도 하나의 시간 정보를 분석하는 단계; 분석된 매칭 정확도와 상기 시간 정보를 제1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필체 교정 방법은 수집된 필체 정보에 포함된 글씨 이미지를 추출하고, 기저장된 가이드 이미지를 검색하는 수집 단계; 상기 글씨 이미지의 전체 크기 및 부분 크기를 인식하는 인식 단계; 상기 가이드 이미지와 상기 글씨 이미지를 비교하는 비교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비교 단계는,
상기 가이드 이미지의 1차 영역과 상기 글씨 이미지의 범위를 측정하고, 상기 가이드 이미지의 2차 영역과 상기 글씨 이미지의 범위를 측정하며, 상기 가이드 이미지의 3차 영역과 상기 글씨 이미지의 범위를 측정하고, 상기 2차 영역은 상기 1차 영역을 포함하는 크기를 갖고, 상기 3차 영역은 상기 2차 영역을 포함하는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펜과 패턴이 인쇄된 용지를 이용하여 글씨 연습이 가능하므로, 실제 종이에 대고 글씨를 쓰는 환경이 그대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가이드 글씨의 필체(가이드 이미지)와 연습 글씨의 필체에 대한 일치율, 명료도, 속도 등이 단말기에서 감지되고 수치화된 정보가 실시간으로 사용자에게 전달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연습 글씨의 필체가 교정자에게 전송되고, 사용자는 온라인을 통해 교정자의 첨삭 지도를 받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가이드 이미지의 영역을 3단계로 구분하고, 3단계로 구분된 가이드 이미지의 영역을 이용해 사용자가 수기로 쓴 글씨 이미지에 분석을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다. 분석 정확도의 개선을 통해 사용자에게 최적화된 교정 방식 등의 제안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필체 교정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필체 교정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분석부의 동작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4는 첨삭 정보가 표시된 제2 단말기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필체 교정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필체 교정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7은 교정자가 개입된 필체 교정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8은 매칭 정확도를 분석하는 동작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필체 교정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에 도시된 필체 교정 장치는 제1 단말기(10), 제2 단말기(20), 서버(1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단말기(10)는 필체 교정을 원하는 사용자가 사용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컴퓨터 등의 통신 가능한 전자 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단말기(10)는 서버(100)와 통신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단말기(20)는 사용자의 필체에 대한 첨삭 지도를 수행하는 교정자가 사용하는 단말기일 수 있다. 일 예로, 제2 단말기(20)는 이동 통신 단말기, 컴퓨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단말기(20)는 서버(100)와 통신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서버(100)는 사용자의 필체를 교정하는데 도움이 되는 각종 서비스 정보를 저장하고, 제1 단말기(10)에 제공할 수 있다.
일 예로, 서버(100)에는 글씨 쓰기 요령이 설명된 강의 자료가 마련될 수 있다. 해당 강의 자료는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제1 단말기(10)에 제공될 수 있다. 사용자는 제1 단말기(10)를 통해 글씨 쓰기 온라인 강좌를 시각적, 청각적으로 수강할 수 있다.
사용자의 필기에 대한 필체 정보(11)를 수집하는 수집기(90)가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수집기(90)는 디지털 펜(93), 디지털 교재(91)를 포함할 수 있다.
디지털 펜(93)은 사용자가 손에 쥐고 글씨를 쓰는 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디지털 교재(91)는 디지털 펜(93)으로 글씨를 쓰는 종이 또는 책 또는 공책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단말기(10)의 디스플레이가 펜 입력을 지원하는 경우, 디지털 교재(91)는 제1 단말기(10)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사용자가 디지털 교재(91)에 대고 디지털 펜(93)으로 쓴 글씨의 이미지 정보가 포함된 필체 정보(11)가 디지털 펜(93) 또는 디지털 교재(91)에서 획득되거나 생성될 수 있다. 필체 정보(11)의 생성을 위해 디지털 펜(93)과 디지털 교재(91)는 상호 작용해서 필체 정보(11)를 획득하는 정전식 터치 방식, 감압식 터치 방식, 와콤 EMR 터치 방식, 라이트 펜 방식(light pen detection), N 코드 방식, 닷 패턴 방식을 취할 수 있다.
디지털 펜(93) 또는 디지털 교재(91)는 필체 정보(11)를 제1 단말기(10)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예로, 디지털 펜(93) 또는 디지털 교재(91)는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제1 단말기(10)와 통신하고, 제1 단말기(10)를 향해 필체 정보(11)를 무선 송신할 수 있다.
이때, 제1 단말기(10)에는 필체 정보(11)가 그대로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제1 단말기(10)를 통해 자신이 쓴 글씨를 직접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제1 단말기(10)는 수집기(90)로부터 필체 정보(11)를 획득해서 서버(100)로 전달할 수 있다.
제1 단말기(10)는 서버(100)로부터 필체 정보(11)에 대한 피드백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제1 단말기(10)는 수신된 피드백 정보를 사용자에게 표시할 수 있다. 피드백 정보는 서버(100)에 의해 수행된 필체 정보(11)의 분석 결과를 포함하거나, 제1 단말기(10)의 교정자가 작성한 첨삭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필체 정보(11)의 표시 및 피드백 정보의 표시를 위해 제1 단말기(10)에는 필체 정보(11)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가 마련될 수 있다.
제2 단말기(20)는 서버(100)로부터 필체 정보(11)를 수신할 수 있다.
제2 단말기(20)는 필체 정보(11)에 대한 교정자의 첨삭이 이루어진 피드백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피드백 정보는 제2 단말기(20)에 의해 서버(100)로 전송될 수 있다.
서버(100)는 제2 단말기(20)로부터 피드백 정보가 수신되면, 피드백 정보의 수신 사실을 제1 단말기(10)에 알려줄 수 있다. 피드백 정보의 수신 사실은 단문 메시지, 이메일, 알람, 메신저의 형식 등으로 제1 단말기(10)에 표시될 수 있다. 해당 수신 사실을 확인한 사용자는 제1 단말기(10)를 통해 서버(100)로부터 피드백 정보를 다운(수신)받을 수 있다.
피드백 정보를 확인한 사용자는 자신의 필기에 대한 현재 수준, 잘못된 점 등을 확인하고 확인 결과를 이용해서 다음 필기를 개선시킬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필체 교정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의 필체 교정 장치는 서버(100)를 나타낼 수 있다.
서버(100)에는 제1 통신부(110), 관리 유니트(130), 제2 통신부(120)가 마련될 수 있다.
제1 통신부(110)는 사용자의 제1 단말기(10)와 통신하고, 사용자의 필체 정보(11)를 수신할 수 있다. 제1 통신부(110)는 피드백 정보를 제1 단말기(10)로 송신할 수 있다.
관리 유니트(130)는 필체 정보(11)를 관리할 수 있다.
제2 통신부(120)는 사용자의 필체 정보(11)를 제2 단말기(20)에 송신할 수 있다. 제2 통신부(120)는 교정자의 제2 단말기(20)와 통신하고, 필체 정보(11)에 대한 교정자의 피드백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관리 유니트(130)에는 필체 정보(11)를 관리하는 관리부(131)가 마련될 수 있다.
관리부(131)는 사용자의 필체 정보(11)를 저장할 수 있다. 관리부(131)는 제1 통신부(110)를 통해 필체 정보(11)가 수신되면, 설정 기간 전에 저장된 구 필체 정보(11)를 추출할 수 있다. 구 필체 정보(11)는 제1 통신부(110)를 통해 제1 단말기(10)로 제공될 수 있다.
관리부(131)에 따르면, 사용자는 자신의 현재 글씨를 예전 글씨와 비교해볼 수 있는 기회를 가질 수 있다. 해당 기회는 사용자의 필체 교정에 긍정적으로 기여할 수 있다.
관리 유니트(130)에는 사용자에게 제공 가능한 서체 메뉴를 관리하는 메뉴부(133)가 마련될 수 있다. 메뉴부(133)는 복수 종류의 서체를 선택할 수 있는 선택 메뉴를 제1 통신부(110)를 통해 제1 단말기(10)에 제공할 수 있다. 메뉴부(133)에 따르면, 사용자는 다양한 서체를 접할 수 있다. 사용자는 복수의 서체 중 자신이 원하는 서체 또는 자신에게 적합한 서체를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한 서체의 종류 선택에 도움이 되는 추가 정보가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메뉴부(133)는 선택 메뉴와 함께 각 서체의 숙달에 필요한 교정 시간 정보를 제1 단말기(10)에 제공할 수 있다. 교정 시간 정보를 확인한 사용자는 자신의 학습 가능 기간을 고려해서 서체의 종류를 선택할 수 있다.
관리 유니트(130)에는 필체 정보(11)를 분석하는 분석부(135)가 마련될 수 있다.
분석부(135)는 필체 정보(11)에 포함된 글씨 이미지를 추출할 수 있다.
분석부(135)는 글씨 이미지에 매칭되는 가이드 이미지를 검색하고, 검색된 가이드 이미지와 글씨 이미지의 매칭 정확도를 분석할 수 있다.
도 8은 매칭 정확도를 분석하는 동작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분석부는 글자 한 개에 해당하는 하나의 글씨 이미지 또는 하나의 가이드 이미지가 형성되는 하나의 칸을 생성할 수 있다. 소위, 모눈 종이에 형성된 사각형 칸마다 글자를 쓸 때, 글자가 써진 모눈 종이의 칸 전체가 분석부의 분석 대상이 될 수 있다. 다시 말해, 글씨 이미지(도 8의 '수강생 글씨')와 가이드 이미지(도 8의 '교재글씨')는 동일한 크기와 형상을 갖는 폐곡선(도 8에서는 사각형) 내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분석부는 한 개의 글자가 채워진 각 폐곡선 내부를 복수의 영역 칸(도 8에서 점선으로 둘러싸인 각 영역)으로 분할 수 있다.
가이드 이미지에 대한 각 영역 칸의 제1 흑백 비율이 정의되고, 상기 글씨 이미지에 대한 각 영역 칸의 제2 흑백 비율이 정의될 수 있다. 도 8의 글씨 '가' 중에서 모음 'ㅏ'의 우측 삐침 표시 일부가 표시된 영역 칸을 예로 들면, 교재글씨의 제1 흑백 비율은 20%이고, 수강생 글씨의 제2 흑백 비율은 80%일 수 있다.
흑백 비율은 각 영역 칸에서 글씨가 차지하는 면적을 '흑'으로 정의하고, 각 영역 칸에서 빈 영역 면적을 '백'을 정의했을 때, 영역 칸의 전체 면적에서 '흑'이 차지하는 비율을 나타낼 수 있다. 또는, '백'의 면적에 대한 '흑'의 면적으로 정의될 수 있다.
분석부는 제1 흑백 비율과 제2 흑백 비율 간의 차이를 이용해 가이드 이미지에 대한 글씨 이미지의 일치 여부에 해당하는 매칭 정확도를 분석할 수 있다.
분석부는 기설정된 단계별 설정 비율과 매칭 정확도를 비교할 수 있다. 분석부는 비교 결과에 따라, 가이드 이미지에 대한 글씨 이미지의 일치 정도(레벨)를 '매우 좋음', '좋음', '보통', '부족', '매우 부족' 등과 같이 표시할 수 있다.
분석부는 하나의 폐곡선에 포함된 모든 영역 칸마다 제1 흑백 비율과 제2 흑백 비율 간의 차이를 분석하고, 분석 결과에 따라 해당 글씨의 매칭 정확도를 분석할 수 있다.
다시 도 2로 돌아가서, 분석부(135)는 매칭 정확도가 포함된 피드백 정보를 제1 통신부(110)를 통해 제1 단말기(10)에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서버(100)에서 제공한 내용을 따라 쓸 필요가 없이 자신이 원하는 다양한 내용을 이용해서 글씨 연습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100)는 사용자의 필체 정보(11)의 내용을 사전에 사용자와 협의할 필요가 없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수집기(90)를 이용해서 임의로 '오늘의 글씨 연습'이라고 글씨를 쓴 경우, 해당 필체 정보(11)는 서버(100)로 입수될 수 있다. 이때, 서버(100)는 필체 정보(11)가 '오늘의 글씨 연습'의 내용인지 전혀 모르는 상태일 수 있다.
사용자의 필기 '오늘의 글씨 연습'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기 위해, 서버(100)는 '오늘의 글씨 연습'에 포함된 각 글자(글씨 이미지)를 추출할 수 있다. 서버(100)는 추출된 글자와 매칭되는 가이드 이미지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색할 수 있다. 가이드 이미지는 사용자가 추종해야 할 모범 글씨에 해당될 수 있다. 서버(100)는 검색된 가이드 이미지와 글씨 이미지의 매칭도를 분석해서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상의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관리 유니트(130)에 따르면, 사용자는 임의의 내용을 필기할 수 있는 자유 환경에서 교정 연습을 진행할 수 있다.
사전에 약속된 내용을 필기하는 약속 환경이 일부 필요할 수도 있다. 약속 환경의 경우, 서버(100)는 사용자가 쓴 글씨에 매칭되는 가이드 이미지를 검색할 필요가 없다. 왜냐하면, 이미 알고 있기 때문이다.
일 예로, 필체 교정 초기 단계에서는 디지털 교재(91)에 표시된 가이드 이미지를 그대로 따라가면서 필기 연습이 수행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디지털 교재(91)에서 제공되는 내용대로 필기하는 약속 환경에서 글씨를 연습할 수 있다. 이때, 디지털 교재(91)에 표시되는 가이드 이미지는 서버(100), 제1 단말기(10)를 순서대로 거쳐 디지털 교재(91)로 제공될 수 있다. 사용자의 숙달로 인해 빈 여백에 글씨를 쓰는 단계에 진입한 경우에도 필체 정보(11)와 가이드 이미지 간의 용이한 매칭도 분석을 위해 약속 환경이 요구된다면, 자유도의 제한으로 인해 글씨 연습에 대한 흥미가 대폭 감소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필체 정보(11)로부터 글씨 이미지를 추출하는 구성, 글씨 이미지에 매칭되는 가이드 이미지를 검색하는 구성을 통해 자유 환경이 제공될 수 있다.
한편, 필체 정보(11)로부터 추출된 글씨 이미지의 크기는 매우 다양할 수 있다. 따라서, 글씨 이미지는 가이드 이미지와 크기가 서로 다를 수 있으며, 크기가 서로 다른 상태에서 매칭도 분석이 이루어지는 것은 불합리하다.
분석부(135)는 글씨 이미지와 가이드 이미지가 동일한 크기를 갖도록, 글씨 이미지와 가이드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를 확대하거나 축소할 수 있다. 글씨 이미지와 가이드 이미지의 크기가 동일해지면, 분석부(135)는 둘 간의 매칭도를 분석하고, 분석 결과를 제1 단말기(10)로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분석부(135)는 크기가 동일해진 가이드 이미지와 글씨 이미지가 겹쳐진 중복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제1 통신부(110)는 중복 이미지를 제1 단말기(10)로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제1 단말기(10)를 통해 중복 이미지를 보고, 자신의 글씨와 가이드 이미지 간의 차이를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중복 이미지의 확인을 통해 필체 교정에 도움이 되기 위해서는 중복 이미지에 포함된 가이드 이미지와 글씨 이미지가 시각적으로 구분되는 것이 좋다.
중복 이미지의 상태에서 가이드 이미지와 글씨 이미지의 구분이 가능하도록, 분석부(135)는 가이드 이미지와 글씨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를 조작할 수 있다. 이때의 조작은 가이드 이미지의 원본 또는 글씨 이미지의 원본을 변형시키는 것일 수 있다. 원본의 변형은 외곽선 굵기, 외곽선 종류, 글씨 색깔, 투명도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수행될 수 있다.
매칭도는 글씨 이미지가 가이드 이미지와 얼마나 비슷한 것을 나타낼 수 있다. 이때, 필체 교정에 대한 추가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해 매칭도 정보는 세분화될 수 있다.
세분화된 매칭도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분석부(135)는 글씨 이미지의 전체 크기 및 부분 크기를 인식할 수 있다. 전체 크기는 글씨 전체의 길이, 폭, 면적을 나타내거나, 글씨의 외곽선에 내접하는 가상의 폐곡선의 면적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부분 크기는 하나의 글자에 포함된 모음의 크기(길이, 폭, 면적), 자음의 크기(길이, 폭, 면적 중 적어도 하나), 자음과 모음 간의 간격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분석부(135)는 필체 정보(11)에 포함된 글씨 이미지의 비교 대상이 되는 가이드 이미지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할 수 있다.
분석부(135)는 가이드 이미지의 전체에 전체 크기가 매칭되도록 글씨 이미지 또는 가이드 이미지를 변경하거나, 가이드 이미지의 특정 부분에 부분 크기가 매칭되도록 글씨 이미지 또는 가이드 이미지를 변경할 수 있다.
분석부(135)는 글씨 이미지 또는 가이드 이미지의 변경이 완료된 상태에서 글씨 이미지와 가이드 이미지를 비교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분석부(135)는 가이드 이미지의 영역을 복수의 크기로 설정하고, 복수 크기의 영역을 이용해서 글씨 이미지의 미도달 범위, 적정 범위, 초과 범위 중 적어도 하나를 측정할 수 있다.
도 3은 분석부(135)의 동작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분석부(135)는 제1 모드, 제2 모드, 제3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제1 모드는 가이드 이미지의 1차 영역과 글씨 이미지의 범위를 측정하는 모드일 수 있다.
제2 모드는 가이드 이미지의 2차 영역과 글씨 이미지의 범위를 측정하는 모드일 수 있다.
제3 모드는 가이드 이미지의 3차 영역과 글씨 이미지의 범위를 측정하는 모드일 수 있다.
2차 영역은 1차 영역을 포함하는 크기를 갖고, 3차 영역은 2차 영역을 포함하는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도 3과 같이 1차 영역은 가이드 이미지의 미도달 범위를 나타낼 수 있다. 1차 영역은 크기 조절 단계가 완료된 후의 가이드 이미지 자체를 나타낼 수 있다.
제1 모드는 필체 정보(11)가 가이드 이미지의 자음, 모음의 크기에 미도달하는지 측정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1차 영역의 측정 결과는 사용자가 권장 사항보다 획을 짧게 쓰거나 얇게 쓰는 글자를 파악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2차 영역은 가이드 이미지의 적정 범위를 나타낼 수 있다. 2차 영역 내에 사용자가 쓴 글자의 획들이 포함되면 사용자의 필체 정보(11)가 가이드 이미지에 매칭되는 것으로 분석될 수 있다.
3차 영역은 가이드 이미지의 초과 범위를 나타낼 수 있다. 3차 영역은 소위 넘지 말아야 할 경계선을 규정한 것일 수 있다. 2차 영역을 초과한 순간부터 분석부(135)는 사용자가 해당 글자의 획을 권장 사항보다 길거나 굵게 쓰는 것으로 분석할 수 있다. 해당 초과분이 3차 영역을 넘게 되면, 분석부(135)는 해당 부분에 다른 부분과 구분되는 태그를 설정할 수 있다. 해당 태그는 그래픽적으로 사용자에 돋보이게 표시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또한, 해당 태그는 매칭도를 대폭 저하시키는 인자로 작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3차 영역이 가장 크고, 1차 영역이 가장 작고, 2차 영역이 가운데 크기를 갖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때, 1차 영역, 2차 영역, 3차 영역은 일반적인 확대 또는 축소와는 다른 개념임을 환기한다.
학대 또는 축소는 글자를 형성하는 획의 길이, 폭 뿐만 아니라, 원본 대비 획의 중심 간의 간격이 변화되고 획의 중심 위치 역시 변화된다. 1차 영역, 2차 영역, 3차 영역은 획의 길이, 폭이 증가하거나 감소하는 면에서 확대/축소와 일부 유사하다. 그러나, 1차 영역, 2차 영역, 3차 영역은 획의 중심 간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또한, 획의 중심 위치 역시 한자리에 고정될 수 있다.
그 결과, 1차 영역, 2차 영역, 3차 영역은 크고 작은 관계는 있지만, 서로 그대로 포개어질 수 있다.
도 4는 첨삭 정보가 표시된 제2 단말기(20)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제1 단말기(10)에 의해 서버(100)에 업로드된 필체 정보(11)는 사용자의 요청 또는 서버(100)에 의해 교정자의 제2 단말기(20)로 제공될 수 있다.
교정자는 제2 단말기(20)를 통해 표시되는 필체 정보(11)를 확인하고, 스타일러스 펜 등의 교정 펜(29)을 이용해서 필체 정보(11) 상에 첨삭 정보를 추가할 수 있다. 첨삭 정보가 추가된 필체 정보(11)는 피드백 정보가 되고, 제2 단말기(20)에 의해 서버(100)로 전송될 수 있다. 첨삭 정보가 포함된 피드백 정보는 서버(100)에 의해 제1 단말기(10)로 송신될 수 있다.
한편, 첨삭을 통해 학습 효과 개선을 위해 분석부(135)는 피드백 정보를 분석할 수 있다.
피드백 정보에는 교정자의 필체가 포함될 수 있다. 해당 필체는 필체 정보(11)에 대한 첨삭 과정에서 추가된 것일 수 있다.
분석부(135)는 필체 정보(11)에 포함된 사용자의 필체와 피드백 정보에 포함된 교정자의 필체를 비교하고, 필체 비교 결과가 포함된 피드백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분석부(135)의 피드백 정보는 제1 통신부(110)를 통해 제1 단말기(10)로 제공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단말기(10)의 사용자는 자신의 글씨와 교정자의 글씨를 비교해 볼 수 있는 기회를 가질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필체 교정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의 필체 교정 방법은 서버(1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서버(100)는 제1 통신부(110)를 통해 사용자의 필체 정보(11)를 실시간으로 수집할 수 있다(S 510).
서버(100)는 관리 유니트(130)의 분석부(135)를 통해 필체 정보(11)에 포함된 글씨 이미지와 기저장된 가이드 이미지의 매칭 정확도를 분석할 수 있다(S 520). 매칭 정확도는 빈도 단위, 예를 들어 퍼센트(%)로 수치화될 수 있다.
분석부(135)는 추가로 글씨 이미지당 소요 시간, 일일 연습 시간, 주간 연습 시간, 월간 연습 시간 중 적어도 하나의 시간 정보를 분석할 수 있다(S 530).
서버(100)는 분석된 매칭 정확도와 상기 시간 정보를 제1 통신부(110)를 통해 제1 단말기(10)로 전송할 수 있다(S 540).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필체 교정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의 필체 교정 방법 역시 서버(1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서버(100)의 분석부(135)는 수집된 필체 정보(11)에 포함된 글씨 이미지를 추출하고, 기저장된 가이드 이미지를 검색할 수 있다(수집 단계 S 610)).
분석부(135)는 글씨 이미지의 전체 크기 및 부분 크기를 인식할 수 있다(인식 단계 S 620). 필요한 경우, 분석부(135)는 글씨 이미지의 전체 크기와 가이드 이미지의 전체 크기가 일치하도록, 글씨 이미지 또는 가이드 이미지를 축소/확대할 수 있다. 또는 분석부(135)는 글자에 포함된 특정 획, 자음, 모음 중 하나의 크기(부분 크기)와 가이드 이미비의 부분 크기가 일치하도록, 글씨 이미지 또는 가이드 이미지를 축소/확대할 수 있다.
분석부(135)는 가이드 이미지와 글씨 이미지를 비교할 수 있다(비교 단계 S 630).
이때, 비교 단계 S 639)는 제1 모드(S 631), 제2 모드(S 632)), 제3 모드(S 63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모드(S 631)에서 분석부(135)는 가이드 이미지의 1차 영역과 글씨 이미지의 범위를 측정할 수 있다.
제2 모드(S 632)에서 분석부(135)는 가이드 이미지의 2차 영역과 글씨 이미지의 범위를 측정할 수 있다.
제3 모드(S 633)에서 분석부(135)는 가이드 이미지의 3차 영역과 글씨 이미지의 범위를 측정할 수 있다.
도 7은 교정자가 개입된 필체 교정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먼저, 사용자는 제1 단말기(10)를 통해 필체 정보(11)가 포함됨 과제물을 제출할 수 있다(S 710). 이 과정에서 해당 과제물 데이터, 과제물 연습 시간 정보가 서버(100)로 제공될 수 있다. 서버(100)는 과제물 데이터와 가이드 이미지의 비교 결과에 해당하는 매칭 정확도를 산출할 수 있다.
과제물 데이터, 과제물 연습 시간 정보, 매칭 정확도가 서버(100)의 제2 통신부(120)를 통해 제2 단말기(20)에 제공되고, 교정자에 의해 확인될 수 있다(S 720).
교정자는 제2 단말기(20)를 이용해서 과제물에 대한 첨삭(영상 첨부 가능)을 수행하고, 첨삭 과정에서 생성된 첨삭 정보는 서버(100)로 전송될 수 있다(S 730).
교정자에 의해 일일/주간/월간 누적 자료에 따른 교정 지도가 수행되고, 교정 지도 수행 정보가 서버(100)에 제공될 수 있다(S 740).
서버(100)는 사용자 및 교정자에 대한 지속적인 관리를 통해 사용자의 필체 교정을 철저하게 관리할 수 있다(S 750).
이상에서 살펴본, 본 발명의 필체 교정 장치 및 방법은 펜을 활용한 필체 교정 서비스와 관련될 수 있다.
일 예로, 필체 교정 대상자(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스타일의 글씨체를 홈페이지(서버(100))에서 선택하고 교재, 강의, 첨삭 지도 쿠폰을 구입 결제할 수 있다.
교정 대상자는 애플리케이션(제1 단말기(10)에 탑재)을 이용하여 필기 방법에 대한 강의를 보고 디지털 펜(93)을 제1 단말기(10)에 해당하는 모바일 기기에 연결한 후 닷 패턴이 인쇄된 디지털 교재(91) 위에 필기를 한다. 이 때, 필기 내용을 비롯한 모든 정보는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모바일 기기에 실시간으로 전송되며, 종이에 필기한 내용이 그대로 모바일 기기에 출력된다.
교정 대상자가 제1 단말기(10)의 제출 메뉴 버튼을 선택하면 애플리케이션은 지금까지 디지털 펜(93)으로부터 받은 필기 내용을 이미지와 DB(정확도,시간등) 파일로 저장하고, 이것을 FTP서버(100)에 업로드 한다. 그리고 제출한 과제물에 한 각종 정보를 수집하여 DB서버(100) 테이블에 레코드를 삽입한다.
교정 지도자는 태블릿 PC를 사용한다고 가정한다. 교정 지도자용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교정 대상자용 애플리케이션에서 수집된 DB에 접근하여 교정 대상자들이 제출한 과제물을 불러올 수 있다. 교정 지도자는 터치 펜을 이용하여 첨삭을 진행한다. 교정 지도자가 첨삭을 하면서 필기된 정보는 별도의 이미지 및 음성으로 저장된다. 첨삭이 완료되면 이 DB가 FTP서버(100)에 업로드 되고, DB서버(100) 테이블에 있는 과제물에 한 정보가 갱신된다.
교정 대상자는 첨삭이 완료되어 갱신된 자신의 과제물에 대한 첨삭 정보를 조회 가능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제1 단말기 11...필체 정보
20...제2 단말기 29...교정 펜
90...수집기 91...디지털 교재
93...디지털 펜 100...서버
110...제1 통신부 120...제2 통신부
130...관리 유니트 131...관리부
133...메뉴부 135...분석부

Claims (16)

  1. 사용자의 필기에 대한 필체 정보를 수집하는 수집기;
    서버와 통신하는 제1 단말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단말기는 상기 수집기로부터 상기 필체 정보를 획득해서 상기 서버로 전달하며,
    상기 제1 단말기는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필체 정보에 대한 피드백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피드백 정보를 상기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필체 교정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기는 디지털 펜, 디지털 교재를 포함하고,
    상기 디지털 펜은 상기 사용자가 손에 쥐고 글씨를 쓰는 펜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디지털 교재는 상기 디지털 펜으로 글씨를 쓰는 종이 또는 책 또는 공책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디지털 펜 또는 상기 디지털 교재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디지털 교재에 대고 상기 디지털 펜으로 쓴 글씨의 이미지 정보가 포함된 상기 필체 정보를 상기 제1 단말기로 전송하며,
    상기 제1 단말기에는 상기 필체 정보가 그대로 표시되는 필체 교정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와 통신하는 제2 단말기가 마련되고,
    상기 제2 단말기는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필체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제2 단말기는 상기 필체 정보에 대한 교정자의 첨삭이 이루어진 상기 피드백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피드백 정보는 상기 제2 단말기에 의해 상기 서버로 전송되며,
    상기 서버는 상기 제2 단말기로부터 상기 피드백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피드백 정보의 수신 사실을 상기 제1 단말기에 알려주는 필체 교정 장치.
  4. 사용자의 제1 단말기와 통신하고, 상기 사용자의 필체 정보를 수신하는 제1 통신부;
    상기 필체 정보를 관리하는 관리 유니트;
    를 포함하는 필체 교정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유니트에는 상기 필체 정보를 관리하는 관리부가 마련되고,
    상기 관리부는 상기 사용자의 필체 정보를 저장하며,
    상기 관리부는 상기 제1 통신부를 통해 상기 필체 정보가 수신되면, 설정 기간 전에 저장된 구 필체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구 필체 정보는 상기 제1 통신부를 통해 상기 제1 단말기로 제공되는 필체 교정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유니트에는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 가능한 서체 메뉴를 관리하는 메뉴부가 마련되고,
    상기 메뉴부는 복수 종류의 서체를 선택할 수 있는 선택 메뉴를 상기 제1 통신부를 통해 상기 제1 단말기에 제공하며,
    상기 메뉴부는 상기 선택 메뉴와 함께 각 서체의 숙달에 필요한 교정 시간 정보를 상기 제1 단말기에 제공하는 필체 교정 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유니트에는 상기 필체 정보를 분석하는 분석부가 마련되고,
    상기 분석부는 상기 필체 정보에 포함된 글씨 이미지를 추출하며,
    상기 분석부는 상기 글씨 이미지에 매칭되는 가이드 이미지를 검색하고, 검색된 상기 가이드 이미지와 상기 글씨 이미지의 매칭 정확도를 분석하며,
    상기 분석부는 상기 매칭 정확도가 포함된 피드백 정보를 상기 제1 통신부를 통해 상기 제1 단말기에 제공하는 필체 교정 장치.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유니트에는 상기 필체 정보를 분석하는 분석부가 마련되고,
    상기 분석부는 상기 필체 정보에 포함된 글씨 이미지를 추출하며,
    상기 분석부는 상기 글씨 이미지에 매칭되는 가이드 이미지를 검색하고,
    상기 글씨 이미지와 상기 가이드 이미지는 동일한 크기와 형상을 갖는 폐곡선 내에 형성되며,
    상기 분석부는 폐곡선 내부를 복수의 영역 칸으로 분할하고,
    상기 가이드 이미지에 대한 각 영역 칸의 제1 흑백 비율이 정의되고, 상기 글씨 이미지에 대한 각 영역 칸의 제2 흑백 비율이 정의될 때,
    상기 분석부는 상기 제1 흑백 비율과 상기 제2 흑백 비율 간의 차이를 이용해 상기 가이드 이미지에 대한 상기 글씨 이미지의 매칭 정확도를 분석하는 필체 교정 장치.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유니트에는 상기 필체 정보를 분석하는 분석부가 마련되고,
    상기 분석부는 상기 필체 정보에 포함된 글씨 이미지를 추출하며,
    상기 분석부는 상기 글씨 이미지에 매칭되는 가이드 이미지를 검색하고,
    상기 분석부는 상기 글씨 이미지와 상기 가이드 이미지가 동일한 크기를 갖도록, 상기 글씨 이미지와 상기 가이드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를 확대하거나 축소하며,
    상기 분석부는 크기가 동일해진 상기 가이드 이미지와 상기 글씨 이미지가 겹쳐진 중복 이미지를 생성하고,
    상기 제1 통신부는 상기 중복 이미지를 상기 제1 단말기로 전송하는 필체 교정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중복 이미지의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 이미지와 상기 글씨 이미지의 구분이 가능하도록, 상기 분석부는 상기 가이드 이미지와 상기 글씨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를 조작하고,
    상기 조작은 상기 가이드 이미지의 원본 또는 상기 글씨 이미지의 원본을 변형시키는 것이며,
    상기 원본의 변형은 외곽선 굵기, 외곽선 종류, 글씨 색깔, 투명도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수행되는 필체 교정 장치.
  11.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유니트에는 상기 필체 정보를 분석하는 분석부가 마련되고,
    상기 분석부는 상기 필체 정보에 포함된 글씨 이미지를 추출하며,
    상기 분석부는 상기 글씨 이미지의 전체 크기 및 부분 크기를 인식하고,
    상기 분석부는 상기 글씨 이미지에 매칭되는 가이드 이미지를 검색하며,
    상기 분석부는 상기 가이드 이미지의 전체에 상기 전체 크기가 매칭되도록 상기 글씨 이미지 또는 상기 가이드 이미지를 변경하거나, 상기 가이드 이미지의 특정 부분에 상기 부분 크기가 매칭되도록 상기 글씨 이미지 또는 상기 가이드 이미지를 변경하고,
    상기 분석부는 상기 글씨 이미지 또는 상기 가이드 이미지의 변경이 완료된 상태에서 상기 글씨 이미지와 상기 가이드 이미지를 비교하는 필체 교정 장치.
  12.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유니트에는 상기 필체 정보를 분석하는 분석부가 마련되고,
    상기 분석부는 상기 필체 정보에 포함된 글씨 이미지의 비교 대상이 되는 가이드 이미지를 추출하며,
    상기 분석부는 상기 가이드 이미지의 영역을 복수의 크기로 설정하고, 복수 크기의 영역을 이용해서 상기 글씨 이미지의 미도달 범위, 적정 범위, 초과 범위 중 적어도 하나를 측정하는 필체 교정 장치.
  13.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유니트에는 상기 필체 정보를 분석하는 분석부가 마련되고,
    상기 분석부는 상기 필체 정보에 포함된 글씨 이미지의 비교 대상이 되는 가이드 이미지를 추출하며,
    상기 분석부는 제1 모드, 제2 모드 및 제3 모드로 동작하고,
    상기 제1 모드는 상기 가이드 이미지의 1차 영역과 상기 글씨 이미지의 범위를 측정하는 모드이며,
    상기 제2 모드는 상기 가이드 이미지의 2차 영역과 상기 글씨 이미지의 범위를 측정하는 모드이고,
    상기 제3 모드는 상기 가이드 이미지의 3차 영역과 상기 글씨 이미지의 범위를 측정하는 모드이며,
    상기 2차 영역은 상기 1차 영역을 포함하는 크기를 갖고,
    상기 3차 영역은 상기 2차 영역을 포함하는 크기를 갖는 필체 교정 장치.
  14. 제4항에 있어서,
    교정자의 제2 단말기와 통신하고, 상기 필체 정보에 대한 상기 교정자의 피드백 정보를 수신하는 제2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관리 유니트에는 상기 필체 정보 또는 상기 피드백 정보를 분석하는 분석부가 마련되며,
    상기 피드백 정보에는 상기 교정자의 필체가 포함되고,
    상기 분석부는 상기 필체 정보에 포함된 상기 사용자의 필체와 상기 피드백 정보에 포함된 상기 교정자의 필체를 비교하고, 필체 비교 결과가 포함된 피드백 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분석부의 피드백 정보는 상기 제1 통신부를 통해 상기 제1 단말기로 제공되는 필체 교정 장치.
  15. 사용자의 필체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하는 단계;
    상기 필체 정보에 포함된 글씨 이미지와 기저장된 가이드 이미지의 매칭 정확도를 분석하는 단계;
    상기 글씨 이미지당 소요 시간, 일일 연습 시간, 주간 연습 시간, 월간 연습 시간 중 적어도 하나의 시간 정보를 분석하는 단계;
    분석된 매칭 정확도와 상기 시간 정보를 제1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필체 교정 방법.
  16. 수집된 필체 정보에 포함된 글씨 이미지를 추출하고, 기저장된 가이드 이미지를 검색하는 수집 단계;
    상기 글씨 이미지의 전체 크기 및 부분 크기를 인식하는 인식 단계;
    상기 가이드 이미지와 상기 글씨 이미지를 비교하는 비교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비교 단계는,
    상기 가이드 이미지의 1차 영역과 상기 글씨 이미지의 범위를 측정하고,
    상기 가이드 이미지의 2차 영역과 상기 글씨 이미지의 범위를 측정하며,
    상기 가이드 이미지의 3차 영역과 상기 글씨 이미지의 범위를 측정하고,
    상기 2차 영역은 상기 1차 영역을 포함하는 크기를 갖고,
    상기 3차 영역은 상기 2차 영역을 포함하는 크기를 갖는 필체 교정 방법.
KR1020190099802A 2019-08-14 2019-08-14 필체 교정 장치 및 방법 KR1022933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9802A KR102293361B1 (ko) 2019-08-14 2019-08-14 필체 교정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9802A KR102293361B1 (ko) 2019-08-14 2019-08-14 필체 교정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0458A true KR20210020458A (ko) 2021-02-24
KR102293361B1 KR102293361B1 (ko) 2021-08-24

Family

ID=746889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9802A KR102293361B1 (ko) 2019-08-14 2019-08-14 필체 교정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336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5441B1 (ko) * 2023-09-04 2024-01-16 주식회사 에이디자인그룹 디지털 경전에 대한 필사를 체험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3531B1 (ko) * 2007-03-21 2008-08-21 최경남 글씨체 교정장치
KR20140137267A (ko) * 2013-05-22 2014-12-02 이병수 개인 서체 등록 및 변환 프로그램
KR101502706B1 (ko) 2013-12-23 2015-03-13 박은일 악필 교정 방법
JP2016139293A (ja) * 2015-01-28 2016-08-04 株式会社東芝 書き写し度算出システム、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70096078A (ko) * 2016-02-15 2017-08-23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필체 교정 기능 제공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3531B1 (ko) * 2007-03-21 2008-08-21 최경남 글씨체 교정장치
KR20140137267A (ko) * 2013-05-22 2014-12-02 이병수 개인 서체 등록 및 변환 프로그램
KR101502706B1 (ko) 2013-12-23 2015-03-13 박은일 악필 교정 방법
JP2016139293A (ja) * 2015-01-28 2016-08-04 株式会社東芝 書き写し度算出システム、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70096078A (ko) * 2016-02-15 2017-08-23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필체 교정 기능 제공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5441B1 (ko) * 2023-09-04 2024-01-16 주식회사 에이디자인그룹 디지털 경전에 대한 필사를 체험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3361B1 (ko) 2021-08-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645730B1 (en) Handwritten keyboardless-entry computer system
EP1683075B1 (en) Boxed and lined input panel
US9280716B2 (en) Apparatus for sensing user condition to assist handwritten entry and a method therefor
KR101663311B1 (ko) 학습 평가 서비스 시스템
US20120282587A1 (en)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and implementing individualized educational practice worksheets
US20150199598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Grading Unstructured Documents Using Automated Field Recognition
KR20110083544A (ko) 성장형 개인 단어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을 이용한 언어 학습 장치 및 방법
US8768241B2 (en) System and method for representing digital assessments
US20140080104A1 (en) Kanji stroke order learning device, kanji stroke order learning support method, kanji stroke order learning system and recording medium in which kanji stroke order learning program is recorded
US8831504B2 (en)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individualized educational practice worksheets
US10152472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summary data of E-book or E-note
CN112183143A (zh) 批阅方法及教学***
KR102293361B1 (ko) 필체 교정 장치 및 방법
CN111310428A (zh) 一种纸质表格笔迹自动录入传输***及方法
CN115294573A (zh) 作业批改方法、装置、设备及介质
JP5304467B2 (ja) 携帯端末装置、携帯端末表示方法、携帯端末表示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CN110889262A (zh) 教学***、点阵教学课件
CN112567440A (zh) 信息处理装置、信息处理方法和程序
JP2014021336A (ja) 採点支援装置、採点支援プログラム及びデータ構造
JP2016091347A (ja) 手書き文字管理システム、手書き文字管理方法、および手書き文字管理プログラム
CN114174965A (zh) 数字墨水处理***、方法和程序
TWI591567B (zh) A test paper batch modification method and system thereof
JP7524712B2 (ja) 情報処理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GB2234102A (en) Handwritten keyboardless-entry computer system
US12050746B2 (en) Ink amount calculation method,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progra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