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19262A - 절첩형 종이 포장상자 - Google Patents

절첩형 종이 포장상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19262A
KR20210019262A KR1020190098224A KR20190098224A KR20210019262A KR 20210019262 A KR20210019262 A KR 20210019262A KR 1020190098224 A KR1020190098224 A KR 1020190098224A KR 20190098224 A KR20190098224 A KR 20190098224A KR 20210019262 A KR20210019262 A KR 202100192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rd
wick
pair
hard wick
side surfac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82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윤
이영훈
Original Assignee
이상윤
이영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윤, 이영훈 filed Critical 이상윤
Priority to KR10201900982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19262A/ko
Publication of KR202100192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926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3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having bodies formed by folding and interconnecting two or more blanks each blank forming a body part, whereby each body part comprises at least one outside face of the box, carton or tray
    • B65D5/32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having bodies formed by folding and interconnecting two or more blanks each blank forming a body part, whereby each body part comprises at least one outside face of the box, carton or tray at least one container body part formed by folding a single blank to essentially U-shape with or without extensions which form openable lid elements
    • B65D5/323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having bodies formed by folding and interconnecting two or more blanks each blank forming a body part, whereby each body part comprises at least one outside face of the box, carton or tray at least one container body part formed by folding a single blank to essentially U-shape with or without extensions which form openable lid elements and two further opposed body panels formed from two essentially planar bl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2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o form a container body, e.g. of tray-like form
    • B65D5/28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o form a container body, e.g. of tray-like form with extensions of sides permanently secured to adjacent sides, with sid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by adhesive strips, or with sides held in place solely by rigidity of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266Folding lines, score lines, crease 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62External coverings or coa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64L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tons (AREA)

Abstract

본 발명과 관련된 절첩형 종이 포장상자는, 바닥면과 상기 바닥면에 연결되는 마주보는 한 쌍의 제1 측면 및 상기 한 쌍의 제1 측면에 직교하는 한 쌍의 제2 측면을 가지며, 상기 한 쌍의 제1 측면과 상기 한 쌍의 제2 측면이 상기 바닥면에 대하여 세워진 상태로부터 상기 한 쌍의 제1 측면이 상호 좁혀지고 상기 한 쌍의 제2 측면이 상호 벌어짐으로써 접혀진 상태로 변환될 수 있게 형성된, 내함; 및 상기 바닥면이 부착되는 받침면과 상기 내함의 상부를 덮는 덮개면 및 상기 한 쌍의 제2 측면과 겹쳐지는 적어도 하나의 측면지지면을 갖는, 외함을 포함하고, 상기 내함은, 제1 하드심지 및 상기 제1 하드심지를 감싸는 내함 겉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하드심지는, 상기 바닥면을 구성하기 위한 제1 하드심지 바닥면과, 상기 한 쌍의 제1 측면을 형성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하드심지 바닥면에 연결되는 마주보는 한 쌍의 제1 하드심지 측면 및 상기 한 쌍의 제2 측면을 형성할 수 있도록 상기 한 쌍의 제1 하드심지 측면에 직교하는 한 쌍의 제2 하드심지 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하드심지 바닥면에 대하여 상기 제1 하드심지 측면이 절첩 가능하도록 상기 제1 하드심지 바닥면과 상기 제1 하드심지 측면 사이에 제1 하드심지 절첩선이 형성되고, 상기 제1 하드심지 바닥면에 대하여 상기 제2 하드심지 측면이 절첩 가능하도록 상기 제1 하드심지 바닥면과 상기 제2 하드심지 측면 사이에 제2 하드심지 절첩선이 형성되고, 상기 제2 하드심지 측면이 상기 접혀진 상태로 전환될 때 상기 제2 하드심지 측면이 부분적으로 접혀지도록 상기 제2 하드심지 측면에 대칭되게 형성되는 한 쌍의 제3하드심지 절첩선이 형성되며, 상기 제2 측면의 바깥쪽 면에 부착되는 제1날개부와, 상기 제2 측면의 안쪽 면으로 접혀져 상기 제2측면의 안쪽 면을 지지 가능하게 형성되는 제2날개부를 갖는 절첩식 보강 날개부가 구비될 수 있다.

Description

절첩형 종이 포장상자{COLLAPSIBLE PAPER PACKING BOX}
본 발명은 종이로 각각 제작된 내함과 외함이 부착된 형태로서, 접혀진 상태로 취급 또는 유통되어 사용자가 세워 조립함으로써 상자의 형상을 완성할 수 있는 형태의 절첩형 포장상자에 관한 것이다.
글씨를 적기 위하여 발명된 이후 종이는 물건을 포장하는 용도로도 확장되었다. 종이를 이용한 포장은 물건에 종이를 직접 둘러 싸는 방식과, 물건을 넣어서 바로 들고 다닐 수 있도록 가방 또는 봉투 형태로 제작하는 방식, 용기의 형상을 갖는 상자로 제작하는 방식 등으로 나뉜다.
이중 종이 상자도 다양한 형태가 존재하며, 그에 따른 제작 방식도 다양하다. 종이 상자의 일종으로 가볍고 튼튼한 골판지를 이용한 상자가 발명되었고, 골판지 상자는 운송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종이 상자의 다른 형태인 뚜껑을 갖는 셋업박스(Set up box)는 부서지기 쉬운 내용물을 보호하면서도 고급스러움을 강조하기 위한 방안으로 발명되었다. 반면, 셋업박스는 완성된 채로 취급되고 유통되기 때문에 공간을 많이 차지하고 취급중 파손될 위험성도 높다.
절첩식 또는 접이식(Collapsible 또는 Foldable) 상자는 이러한 셋업박스의 단점을 극복하여, 공간의 차지가 적어 보관비용을 절감하고, 전문적이고 양산성이 높은 제조공정을 가지면서도 사용자가 간단히 조립하여 상자를 완성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절첩식 상자를 만들 수 있는 상자로는, 위에서 언급된 골판지 박스 외에, 두꺼운 종이(마분지)를 이용하는 마닐라 박스, 골판지와 마분지를 겹쳐서 만든 합지 박스 등이 있다.
한편, 하드심지(Hardboard paper)에 겉지를 접착제로 싸서 이음새 부분의 노출을 막고 고급스러움을 강조한 박스(한국에서는 '싸바리박스'라고도 한다)도 있다. 이러한 상자 중에서 하드심지와 겉지로 각각 제작된 내함과 외함이 부착된 형태도 있는데, 인쇄를 통하여 다양한 포장효과를 부여할 수 있으며 형태적인 심미성을 높이므로 고가의 제품박스로 많이 사용된다. 그러나, 제작이 복잡하고, 하드심지와 겉지의 접착상태로 인하여 접기가 어렵고, 접혀진다 하더라도 하드심지와 겉지가 손상되어 절첩형 상자로 구성하기 어려운 면이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일부 선행기술들은 하드심지가 접혀지는 부위에 대응하는 겉지의 부위를 절개함으로써 겉지가 의한 하드심지의 접힘이 저해받는 것을 완화시켰고, 이를 통해 절첩형으로 구성하였다.
그럼에도, 선행기술들은 하드심지와 겉지의 조합으로 된 내함을 절첩형으로 구성함에 있어 완전 접힘이 어려워 그만큼 부피가 증가하게 되고, 접힘 상태를 유지시키고 부피를 줄이기 위해 무리하게 압력이 작용한 결과 압박 자국 등 미관을 떨어뜨리는 요인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 선행기술
한국 공개특허 제1 0-2017-0114701호 (2017.10.16. 공개)
한국 공개특허 제1 0-2017-0101380호 (2017.09.06. 공개)
한국 공개특허 제1 0-2011-0062954호 (2011.06.10. 공개)
한국 등록특허 제1 0-1308983호 (2013.09.10. 공고)
본 발명은 하드심지와 겉지로 각각 제작된 내함과 외함이 부착된 형태의 상자에 있어서, 접힘이 가능하면서도 접힘에 의한 하드심지의 저항 및 겉지의 손상을 줄이고 형태적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접혀진 상태로 취급 또는 유통되어 사용자가 간단히 세워 상자의 형상을 완성할 수 있는 형태의 절첩형 포장상자를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절첩형 종이 포장상자는, 바닥면과 상기 바닥면에 연결되는 마주보는 한 쌍의 제1 측면 및 상기 한 쌍의 제1 측면에 직교하는 한 쌍의 제2 측면을 가지며, 상기 한 쌍의 제1 측면과 상기 한 쌍의 제2 측면이 상기 바닥면에 대하여 세워진 상태로부터 상기 한 쌍의 제1 측면이 상호 좁혀지고 상기 한 쌍의 제2 측면이 상호 벌어짐으로써 접혀진 상태로 변환될 수 있게 형성된, 내함; 및 상기 바닥면이 부착되는 받침면과 상기 내함의 상부를 덮는 덮개면 및 상기 한 쌍의 제2 측면과 겹쳐지는 적어도 하나의 측면지지면을 갖는, 외함을 포함하고, 상기 내함은, 제1 하드심지 및 상기 제1 하드심지를 감싸는 내함 겉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하드심지는, 상기 바닥면을 구성하기 위한 제1 하드심지 바닥면과, 상기 한 쌍의 제1 측면을 형성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하드심지 바닥면에 연결되는 마주보는 한 쌍의 제1 하드심지 측면 및 상기 한 쌍의 제2 측면을 형성할 수 있도록 상기 한 쌍의 제1 하드심지 측면에 직교하는 한 쌍의 제2 하드심지 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하드심지 바닥면에 대하여 상기 제1 하드심지 측면이 절첩 가능하도록 상기 제1 하드심지 바닥면과 상기 제1 하드심지 측면 사이에 제1 하드심지 절첩선이 형성되고, 상기 제1 하드심지 바닥면에 대하여 상기 제2 하드심지 측면이 절첩 가능하도록 상기 제1 하드심지 바닥면과 상기 제2 하드심지 측면 사이에 제2 하드심지 절첩선이 형성되고, 상기 제2 하드심지 측면이 상기 접혀진 상태로 전환될 때 상기 제2 하드심지 측면이 부분적으로 접혀지도록 상기 제2 하드심지 측면에 대칭되게 형성되는 한 쌍의 제3하드심지 절첩선이 형성되며, 상기 제2 측면의 바깥쪽 면에 부착되는 제1날개부와, 상기 제2 측면의 안쪽 면으로 접혀져 상기 제2측면의 안쪽 면을 지지 가능하게 형성되는 제2날개부를 갖는 절첩식 보강 날개부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제2측면의 바깥쪽 면에 상기 제2날개부가 부착되기 위한 양면 테이프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양면 테이프는 상기 제3하드심지 절첩선을 교차하지 않도록 상기 한 쌍의 제3하드심지 절첩선의 사이의 영역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내함 겉지는, 상기 제3하드심지 절첩선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제2 하드심지 측면이 상기 세워진 상태에서 상기 접혀진 상태로 전환될 때 뜯어져 벌어짐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부분 절취선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제1 하드심지 절첩선 또는 상기 제2 하드심지 절첩선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는 일정 깊이로 깍여 제거된 컷아웃형 그루브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컷아웃형 그루브는 상기 한 쌍의 제1 측면과 상기 한 쌍의 제2 측면이 상기 바닥면에 대하여 세워진 상태일 때 상자의 내측에 위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컷아웃형 그루브는 상기 제1 하드심지 절첩선 및 상기 제2 하드심지 절첩선에 모두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다른 절첩형 종이 포장상자는, 바닥면과 상기 바닥면에 연결되는 마주보는 한 쌍의 제1 측면 및 상기 한 쌍의 제1 측면에 직교하는 한 쌍의 제2 측면을 가지며, 상기 한 쌍의 제1 측면과 상기 한 쌍의 제2 측면이 상기 바닥면에 대하여 세워진 상태로부터 상기 한 쌍의 제1 측면이 상호 좁혀지고 상기 한 쌍의 제2 측면이 상호 벌어짐으로써 접혀진 상태로 변환될 수 있게 형성된, 내함; 및 상기 바닥면이 부착되는 받침면과 상기 내함의 상부를 덮는 덮개면 및 상기 한 쌍의 제2 측면과 겹쳐지는 적어도 하나의 측면지지면을 갖는, 외함을 포함하고, 상기 내함은, 상기 제1 하드심지 및 상기 제1 하드심지를 감싸는 내함 겉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하드심지는, 상기 바닥면을 구성하기 위한 제1 하드심지 바닥면과, 상기 한 쌍의 제1 측면을 형성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하드심지 바닥면에 연결되는 마주보는 한 쌍의 제1 하드심지 측면 및 상기 한 쌍의 제2 측면을 형성할 수 있도록 상기 한 쌍의 제1 하드심지 측면에 직교하는 한 쌍의 제2 하드심지 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하드심지 바닥면에 대하여 상기 제1 하드심지 측면이 절첩 가능하도록 상기 제1 하드심지 바닥면과 상기 제1 하드심지 측면 사이에 제1 하드심지 절첩선이 형성되고, 상기 제1 하드심지 바닥면에 대하여 상기 제2 하드심지 측면이 절첩 가능하도록 상기 제1 하드심지 바닥면과 상기 제2 하드심지 측면 사이에 제2 하드심지 절첩선이 형성되고, 상기 제2 하드심지 측면이 상기 접혀진 상태로 전환될 때 상기 제2 하드심지 측면이 부분적으로 접혀지도록 상기 제2 하드심지 측면에 대칭되게 형성되는 한 쌍의 제3하드심지 절첩선이 형성되며, 상기 외함은, 상기 받침면과 상기 덮개면 및 상기 측면 지지면을 일체로 형성할 수 있는 한 장의 제2 하드심지와, 상기 제2 하드심지의 외측을 감싸는 한 장의 외함 겉지를 포함하고, 상기 받침면, 상기 덮개면 및 상기 측면 지지면의 경계에는 외함 심지 절첩선들이 각각 구비되며, 상기 내함이 접혀진 상태에서 상기 외함이 접혀진 상태로도 보관될 수 있도록 상기 받침면과 상기 덮개면을 연결하는 상기 측면 지지면에 추가 외함 심지 절첩선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절첩형 종이 포장상자에 의하면, 하드심지 절첩선에 대응하는 위치에 내함의 측면이 세워진 상태에서 접혀진 상태로 전환될 때 뜯어져 벌어짐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부분 절취선과, 하드심지 절첩선에 일정 깊이로 깍여 제거된 컷아웃형 그루브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하드심지의 접힘시 내함의 겉지의 손상이 없으면서도 하드심지의 완전 접힘이 가능하므로, 접힘 상태의 취급 및 유통시 차지하는 공간을 줄일 수 있으면서도 상자의 미관을 저해할 수 있는 자국이 남는 것이 거의 없고, 모서리 부분에서의 각도 구현이 정확하여 심미성을 개선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절첩형 종이 포장상자(100)의 세워진 상태의 일 모습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절첩형 종이 포장상자(100)의 접혀진 상태의 일 모습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실시예에 따라 내함(110)을 제조하는 과정을 보인 도면들로서,
도 3은 내함(110)을 이루는 각 요소들이 접착되기 전의 상태를 위에서 바라본 모습을 보인 분리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배치 상태를 뒤집어서 위에서 바라본 모습을 보인 분리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3의 제1 하드심지 절첩선(127)의 구체적인 모습 및 변형예들을 보인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3의 상태에서 제1 하드심지(120)와 내함 겉지(130)가 접착되고 상자의 형태대로 조립되어 내함(110)을 이룬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7 내지 도 8은 본 발명과 관련된 외함(150)을 제조하는 과정을 보인 도면들로서,
도 7은 외함(150)을 이루는 각 요소들이 접착되기 전의 상태를 보인 분리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상태에서 제2 하드심지(160), 외함 겉지(170) 및 외함 내지(180)가 접착되어 펼쳐진 외함(150)을 이룬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6의 내함(110)과 도 8의 외함(150)이 부착되기 전의 상태를 보인 분리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6의 내함(110)과 도 8의 외함(150)이 부착되어 절첩형 종이 포장상자(100)를 이룬 모습을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상태에서 내함(110)이 접힌 모습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접힌 상태에서 내함(110)을 세워 상자의 모습으로 복원한 후 외함(150)을 덮은 모습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13 내지 도 14는 본 발명과 관련된 다른 실시예에 따라 내함(210)을 제조하는 과정을 보인 도면들로서,
도 13은 내함(210)을 이루는 각 요소들이 접착되기 전에 배치 상태를 뒤집어서 위에서 바라본 모습을 보인 분리 사시도이고,
도 14는 도 13의 상태에서 제1 하드심지(220)와 내함 겉지(230)가 접착되고 상자의 형태대로 조립되어 내함(210)을 이룬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과 관련된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절첩형 종이 포장상자(300)가 접혀진 상태(a) 및 추가적으로 접혀진 상태(b)를 각각 보인 사시도들이다.
도 16 내지 도 17은 본 발명과 관련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내함(410)을 제조하는 과정을 보인 도면들로서,
도 16은 내함(410)의 제2 측면(414, 415)에 각각 절첩식 보강 날개부(440)를 접착시키기 전과 후의 상태를 각각 보인 분리 사시도들이고,
도 17은 도 16의 내함(410)을 접었다가 다시 세워 사용할 수 있는 상태로 전환시키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인 사시도들이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절첩형 종이 포장상자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과 같이, 본 발명과 관련된 절첩형 종이 포장상자(100)는 내함(110)과 외함(150)이 조합된 형태이다. 내함(110)의 상부면은 개방되어 있으며, 외함(150)이 내함(110)을 둘러싸서 내함(110)의 상부면을 덮을 수 있게 구성된다. 절첩형 종이 포장상자(100)는, 도 1과 같이 제조된 후, 도 2와 같이 완전히 접혀진 상태로 취급되고 유통될 수 있다.
내함(110)은 바닥면(111)과, 바닥면(111)에 연결되는 마주 보는 한 쌍의 제1 측면(112, 113) 및, 한 쌍의 제1 측면(112, 113)에 직교하는 한 쌍의 제2 측면(114, 115)을 갖는다. 바닥면(111)의 반대쪽인 상면은 개방되어 있다. 제1 측면(112, 113)과 제2 측면(114, 115)이 바닥면(111)에 대하여 세워진 상태로부터 접혀지기 위해서, 제1 측면(112, 113)은 상호 좁혀지고, 제2 측면(114, 115)은 상호 벌어진다. 제2 측면(114, 115)에는 세워진 상태에서 접혀지는 과정에서 미리 정해진 형태대로 접혀질 수 있도록 접힘선(119)이 존재한다. 접힘선(119)은, 도 2와 같이, 한 쌍의 제2 측면(114, 115)의 가장자리 쪽에 대각선 방향으로 형성된다. 내함(110)의 접힘선(119)은 제1 측면(112, 113)이 상호 좁혀지고, 한 쌍의 제2 측면(114, 115)이 상호 벌어지며 내함(110)이 평평하게 접혀지도록 유도한다. 이러한 접힘선(119)은 후술하는 제1 하드심지(120)의 제3 하드심지 절첩선(129, 도 4 참조)과 내함 겉지(130)의 부분 절취선(131, 도 3 및 도 4 참조)의 조합에 의해 형성된다.
외함(150)은 바닥면(111)이 부착되는 받침면(151)과 내함(110)의 상부를 덮는 덮개면(152), 한 쌍의 제2 측면(114, 115)과 겹쳐지는 측면지지면(153, 154) 및, 가장자리의 측면지지면(154)을 다시 덮는 날개면(155)을 갖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외함(150) 또는 내함(110)에는 한 쌍의 제2 측면(114, 115)이 내함(110)이 바닥면(111)에 대하여 접혀진 상태에서 세워진 후, 세워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즉, 접힘선(119)에 의하여 임의로 접혀지지 않도록) 제2 측면(114, 115)을 외함(150)에 부착시키는 양면 테이프(156)가 구비될 수 있다.
내함(110) 또는 외함(150)에는 외함(150)의 말단의 날개면(155)이 내함(110)에 대한 닫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자석(157)이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과 관련된 절첩형 종이 포장상자(100)의 구체적인 구성과 작용을 상자의 제조 과정을 통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실시예에 따라 내함(110)을 제조하는 과정을 보인 것이고, 도 7 내지 도 8은 외함(150)을 제조하는 과정을 보인 것이며, 도 9 내지 도 10은 내함(110)과 외함(150)의 부착 과정을 보인 것이다.
먼저, 도 3은 내함(110)을 이루는 각 요소들이 접착되기 전의 상태를 위에서 바라본 모습을 보인 분리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배치 상태를 뒤집어서 위에서 바라본 모습을 보인 분리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3의 상태에서 제1 하드심지(120)와 내함 겉지(130)가 접착되고 상자의 형태대로 조립되어 내함(110)을 이룬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3과 같이, 내함(110)은 두꺼운 제1 하드심지(120)와 제1 하드심지(120)를 감싸는 얇은 내함 겉지(130)가 합지(laminated)되는 형태이다. 제1 하드심지(120)는 내함(110)의 형상과 크기를 결정하며, 내함 겉지(130)는 제1 하드심지(120)의 표면을 가림으로써 외부 모습을 미려하게 한다. 제1 하드심지(120)와 내함 겉지(130)는 재료인 각각의 종이가 적절한 크기로 재단됨으로써 형성된다.
제1 하드심지(120)는, 도 1 및 도 2의 바닥면(111)을 구성하는 제1 하드심지 바닥면(121)과, 제1 측면(112, 113)을 형성할 수 있도록 제1 하드심지 바닥면(121)에 연결되는 마주보는 한 쌍의 제1 하드심지 측면(122, 123) 및, 제2 측면(114, 115)을 형성할 수 있도록 제1 하드심지 측면(122, 123)에 직교하는 한 쌍의 제2 하드심지 측면(124, 125)을 갖는다. 내함 겉지(130)는 제1 하드심지 바닥면(121)과, 제1 하드심지 측면(122, 123) 및 제2 하드심지 측면(124, 125)에 대응하는 부분을 포함하고 있으며, 제1 하드심지(120)의 에지(edge) 부분을 감쌀 수 있도록 마진(margin)을 갖는다. 이러한 마진의 폭은 경우에 따라 다양할 수 있다.
두꺼운 제1 하드심지(120)가 평평한 상태에서 세워져서 내함(110)의 형태를 갖도록 하거나, 완전히 접혀짐으로써 그 일부분들이 상호간에 완전히 포개어질 수 있도록 제1 하드심지(120)에는 몇 개의 절첩선이 미리 형성된다. 이러한 절첩선들은 기능에 따라 각기 다른 단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공장의 제조라인에서도 각기 커터가 활용될 수 있다.
우선, 제1 하드심지 바닥면(121)에 대하여 제1 하드심지 측면(122, 123)이 절첩 가능하도록 제1 하드심지 바닥면(121)과 제1 하드심지 측면(122, 123)의 사이에 제1 하드심지 절첩선(127)이 형성된다. 이러한 제1 하드심지 절첩선(127)은 도 6과 같이 내함(110)이 90도로 세워지도록 하고 도 2와 같이 180도로 접혀진 상태를 지원할 수 있게 형성된다.
제1 하드심지 바닥면(121)에 대하여 제2 하드심지 측면(124, 125)이 절첩 가능하도록 제1 하드심지 바닥면(121)과 제2 하드심지 측면(124, 125) 사이에 제2 하드심지 절첩선(128)이 형성된다. 이러한 제2 하드심지 절첩선(128)은 도 6과 같이 내함(110)이 90도로 세워지도록 하는데 활용되며, 다시 도 2의 내함(110)이 접혀진 상태에서는 원래의 상태로 된다.
도 4와 같이, 제2 하드심지 측면(124, 125)이 접혀진 상태로 전환될 때 제2 하드심지 측면(124, 125)이 부분적으로 접혀지도록 제2 하드심지 측면(124, 125)에 대칭되게 한 쌍의 제3 하드심지 절첩선(129)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제3 하드심지 절첩선(129)은 도 6과 같이 내함(110)으로 세워진 상태에서는 활용되지 않으나, 도 2와 같이 제1 측면(112, 113)이 좁혀지고 제2 측면(114, 115)이 벌어지도록 하는 접힘선(119)의 일차적인 요소가 된다. 이때, 내함 겉지(130)는 접착제에 의하여 제1 하드심지(120)에 전체 면이 부착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제1 하드심지(120)가 제3 하드심지 절첩선(129)을 따라 접혀지는 것을 방해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도 3 및 도 4와 같이, 내함 겉지(130)에는 제3 하드심지 절첩선(129)에 대응하는 위치에 제2 하드심지 측면(124, 125)이 세워진 상태에서 접혀진 상태로 전환될 때 뜯어져 벌어짐이 가능하도록 부분 절취선(131)이 형성된다. 부분 절취선(131)은 라인 방향을 따라 칼날이 부분적으로 형성된 것을 말하는 것으로, 뜯어질 때 모양이 일정할 수 있도록 최소한의 연결부위만을 갖도록 형성된다.
도 3의 확대부분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하드심지 절첩선(127)과 제2 하드심지 절첩선(128)은 종이가 라인을 따라 일정 깊이로 깍여 제거된 컷아웃형 그루브를 포함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제1 하드심지 절첩선(127)은 'W'형 단면을 가지고 있으며, 제2 하드심지 절첩선(128)은 'V' 형 단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1 하드심지 절첩선(127)의 'W'형 형상은 깍인 홈이 복수 개인 것을 의미하며, 도 2와 같이 제1 측면(112, 113)이 180도로 접혀질 때 제1 하드심지 절첩선(127) 자체의 잔존하는 부위들의 간섭과 마찰에 의하여 접힘이 방해되는 것을 최소화한다. 그에 따라, 접혀진 상태에서 제1 측면(112, 113)이 세워지려는 문제도 해결되며 그만큼 상자의 적층 보관시 공간을 줄이고 완전 접힘을 위하여 무리한 힘이 가해지는 것도 최소화될 수 있다. 반면, 제2 하드심지 절첩선(128)은 도 6과 같이 세워지거나 도 2와 같이 원래의 상태로 되는 정도의 변형에 적합하도록 하나의 홈을 갖는 'V'형 단면의 그루브를 가질 수 있다.
도 5는 도 3의 제1 하드심지 절첩선(127)의 구체적인 모습 및 변형예들을 보인 단면도이다. 앞서 설명된 것처럼, 제1 하드심지 절첩선(127)은 'W'형 단면을 갖는 컷아웃형 그루브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도 5(a)와 같이, 두 개의 홈(127a, 127b)의 깊이가 상호 같을 수 있다. 이와 달리, 도 5(b)와 같이, 두 개의 홈 중 어느 하나(127a')가 다른 하나(127b')에 대하여 깊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깊이의 차이에 의하여 접혀지는 상태로 전환될 때 자연스럽게 두 개의 홈 중 남아 있는 부위의 두께가 얇은 쪽으로 접힘이 유도되고 그만큼 접힘에 따른 에지의 각도가 '정확'(둥글거나 무디어지지 않는다는 것을 뜻한다)해질 수 있다. 이때 깊은 홈(127b')이 제1 하드심지 바닥면(121) 쪽에 치우치도록 함으로써 바닥면과 측면의 각도를 보다 정확히 구현할 수 있다.
도 4에 의하면, 제3 하드심지 절첩선(129)은 라인 방향을 따라 일정 깊이만큼 반칼커팅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반칼커팅'은 칼날이 사용되기는 하나 칼날에 의하여 컷아웃을 하지 않고 부분적으로만(일정 깊이만큼만) 들어가는 것을 말한다.
제3 하드심지 절첩선(129)의 일정한 깊이로 반칼커팅된 면과 내함겉지(130)의 부분절취선(131)의 부분이 서로 만나 합지되도록 형성되도록 한다.
제3 하드심지 절첩선(129)은 도 6과 같이 세워진 상태를 위하여 제2 하드심지 측면(124, 125)이 접혀지는 것을 유발하지는 않으나, 도 2와 같이 접혀지는 경우, 내함 겉지(130)의 부분 절취선(131)이 용이하게 뜯어지도록 하고, 다시 도 1과 같이 상자로 세워진 상태를 위하여 제2 측면(114, 115)의 강성이 보유되도록 한다.
도 7 내지 도 8은 통하여 외함(150)을 제조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7과 같이, 외함(150)도 두꺼운 종이와 얇은 종이가 합지된 형태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외함(150)은 두꺼운 제2 하드심지(160)와, 제2 하드심지(160)의 외측을 감싸며 마진을 갖는 외함 겉지(170) 및 외함 겉지(170)가 싸진 상태에서 제2 하드심지(160)의 내측을 덮는 외함 내지(180)를 가질 수 있다.
제2 하드심지(160), 외함 겉지(170) 및 외함 내지(180)는 각각 한 장의 종이가 적절한 크기로 재단되어 단순 공정을 통하여 제작될 수 있다. 이러한 특징은 제2 하드심지(160)를 몇 개의 나누어진 조각으로 배열하고 외함 겉지와 외함 내지를 붙여 제작하는 것에 비하여 양산성을 높이고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외함내지(180)와 외함겉지(170)는 1장의 종이로 구성되어 제2 하드심지(160)를 싸는 것도 가능하다.
도 1의 외함(150)을 구성하는 받침면(151), 덮개면(152), 측면지지면(153, 154) 및 날개면(155)에 대응하여, 제2 하드심지(160)도 심지 바닥면(161), 심지 덮개면(162), 심지 지지면(163, 164) 및 심지 날개면(165)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이들 각 면들 사이를 구분하고 상호간의 접힘이 가능하도록 외함 심지 절첩선(167)이 형성된다.
도 7에 의하면, 외함 심지 절첩선(167)은 'V'형 단면을 갖는 컨아웃형 그루브를 포함하고 있다. 외함 심지 절첩선(167)은 내함(110)의 제1 하드심지 절첩선(127)과 같이 접힘의 각도가 급격하지는 않으나, 상자의 외관을 구성하는 중요한 요소로서 정확한 각도를 구현하는데 기여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내함(110) 및 외함(150)이 제작되면, 다음 공정으로 도 9와 같이 부착을 위하여 정렬시킨다. 정렬 전 또는 부착 이후 외함(150)의 측면지지면(153, 154)에는 내함(110)의 접혀져 있던 제1 측면(112, 113)을 세운 후 제1 측면(112, 113)이 세워진 상태를 용이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양면 테이프(156)를 미리 붙일 수 있다.
내함(110)의 바닥면(111)이 외함(150)의 받침면(151)에 정렬되도록 하여 부착시킨 후, 그대로 상자로 사용하거나, 도 11과 같이 접혀진 상태로 만든다. 즉, 도 10 및 도 11과 같이, 내함(110)의 제1 측면(112, 113)이 제1 하드심지 절첩선(127)에 의하여 좁혀지고 제2 측면(114, 115)이 제2 하드심지 절첩선(128)에 의하여 벌어지며, 이 과정에서 부분 절취선(131)이 뜯어지며 제3 하드심지 절첩선(129)을 따라 제2 측면(114, 115)이 부분적으로(삼각형 형태로) 접어진다. 제1 하드심지 절첩선(127) 및 제2 하드심지 절첩선(128)은 내함(110)의 내측에 위치되며, 세워지거나 접혀지는 어느 경우에도 컷아웃된 부위가 노출되지 않으므로 외관을 개선한다.
도 11과 같이 내함(110)이 접힌 상태에서 수요처(물건을 판매하는 매장 등)에서는 내함(110)을 세워 간단히 상자의 모습으로 복원한 후 물건을 넣고 외함(150)을 덮는다. 본 발명과 같은 절첩형 종이 포장상자(100)는 접혀진 상태로 취급되면서도 필요시 간단히 세움에 의하여 고급 상자의 외형으로 복원시킬 수 있으므로, 수요처는 조립된 상자들을 비치하기 위한 추가 공간이 필요 없다.
도 3 내지 도 6은 컷아웃형 그루브를 갖는 제1 하드심지 절첩선(127)과 제2 하드심지 절첩선(128)이 모두, 제1 측면(112, 113)과 제2 측면(114, 115)이 바닥면(111)에 대하여 세워진 상태일 때 또는 제1 하드심지 측면(122, 123)과 제2 하드심지 측면(124, 125)이 제1 하드심지 바닥면(121)에 대하여 세워진 상태일 때, 상자의 내측에 위치되는 경우이다.
이에 대하여, 도 13 내지 도 14는 본 발명과 관련된 다른 실시예에 따라 내함(210)을 제조하는 과정을 보인 도면들이다. 본 예의 내함(210)은 컷아웃형 그루브를 갖는 제1 하드심지 절첩선(227)이 내함(210)이 세워졌을 때를 기준으로 내함(210)의 외측에 존재한다. 컷아웃형 그루브는 제1 하드심지 절첩선(227)에 형성되며, 제2 하드심지 절첩선(228)은 반칼커팅에 의해 형성되고 있다. 앞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제3 하드심지 절첩선(229)이 반칼커팅에 의해 형성되고 있고 내함 겉지(230)의 대응위치에는 부분 절취선(231)이 형성되어 있다.
제1 하드심지 절첩선(227)의 'V' 형 단면을 갖는 컷아웃형 그루브는 싸여지는 내함 겉지(230)가 제1 하드심지(220)가 제1 하드심지 절첩선(227)를 중심으로 180도 접혀지는 과정에서 제2 하드심지 절첩선(228) 주변 부위에 의하여 압박을 받아 완전 접힘을 방해하거나 접힘을 위하여 과도한 압력이 드는 것을 최소화시킨다.
도 15는 본 발명과 관련된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절첩형 종이 포장상자(300)가 접혀진 상태(a) 및 추가적으로 접혀진 상태(b)를 각각 보인 사시도들이다.
본 예의 절첩형 종이 포장상자(300)도 앞서 설명된 실시예들에서 보인 방식에 의해 제작될 수 있는 내함(310)이 본 예에 따른 외함(350)에 부착된 상태이다.
외함(350)도 받침면(351)과, 내함(310)의 상부를 덮는 덮개면(352), 한 쌍의 측면 지지면(353, 354), 날개면(355)을 구비하고 있다. 이들 받침면(351), 덮개면(352), 측면 지지면(353, 354) 및 날개면(355)을 구분하는 각 경계에는 앞서 설명된 외함 심지 절첩선(167)과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는 외함 심지 절첩선들(367)이 형성되어 있다. 외함 심지 절첩선들(367)에 의하여 외함(350)은 내함(310)이 세워진 상태에서 내함(310)의 각 면을 정확한 각으로 둘러쌀 수 있게 된다.
본 예에서는 이외에도 외함(350)에 추가적인 외함 심지 절첩선(368)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외함 심지 절첩선(368)은 내함(310)이 접혀진 상태에서 외함(350)이 접혀진 상태로도 보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추가되는 외함 심지 절첩선(368)은 받침면(351)과 덮개면(352)을 연결하는 측면 지지면(353)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추가되는 외함 심지 절첩선(368)은 양면테이프(356)이 부착된 위치에 형성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도 15(a)와 같이, 내함(310)이 접혀져 있고 외함(350)은 펼쳐져 있는 상태로 유통 또는 보관되거나, 도 15(b)와 같이, 내함(310)이 접혀진 상태에서 외함(350)도 추가된 외함 심지 절첩선(368)에 의하여 대략 절반으로 접혀진 상태로 유통 또는 보관될 수 있다. 도 15(b)와 같이 유통 또는 보관되는 경우 보관 공간의 낭비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
도 16 내지 도 17은 본 발명과 관련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내함(410)을 제조하는 과정을 보인 도면들로서, 도 16은 내함(410)의 제2 측면(414, 415)에 각각 절첩식 보강 날개부(440)를 접착시키기 전과 후의 상태를 각각 보인 분리 사시도들이고, 도 17은 도 16의 내함(410)을 접었다가 다시 세워 사용할 수 있는 상태로 전환시키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인 사시도들이다.
본 예에서는 내함(410)에 별도로 보강 날개부(440)가 부착되는 것을 보인다.
내함(410)은 앞서의 예와 같이, 바닥면(411)과, 바닥면(411)에 연결되는 마주보는 한 쌍의 제1 측면(412, 413) 및 제1 측면(412, 413)에 직교하는 한 쌍의 제2 측면(414, 415)을 갖는다. 제1 측면(412, 413)과 제2 측면(414, 415)이 바닥면(411)에 대하여 세워진 상태로부터 접혀지기 위해서, 바닥면(411)과 제1 측면(412, 413) 사이에 제1 하드심지 절첩선(427)이 형성되고, 바닥면(411)과 제2 측면(414, 415) 사이에 제2 하드심지 절첩선(428)이 형성되며, 제2 측면(414, 415)에는 제3 하드심지 절첩선(431)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내함(410)의 구성에 앞서의 도 3 또는 도 13의 기술이 적용될 수 있다.
본 예에서는, 세워진 내함(410)이 다시 접혀져서 재사용될 수 있도록, 내함(410)에 절첩식 보강 날개부(440)가 구비되어 있다. 절첩식 보강 날개부(440)는 내함(410)의 제2 측면(414, 415)에 각각 부착된다. 각각의 보강 날개부(440)는, 제2 측면(414, 415)의 바깥쪽 면에 양면 테이프(435) 등에 의하여 부착되는 제1날개부(441)와, 제2 측면(414, 415)의 안쪽 면에는 부착되지 않는 제2날개부(442)를 구비하고 있다. 이때, 양면 테이프(435)는 제3 하드심지 절첩선(431)이 위치된 곳을 초과하지 않는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제1날개부(441)와 제2날개부(442)의 중간 부분은 접힐 수 있게 되어 있다. 이에 따라, 도 16(a)와 같이 각각의 절첩식 보강 날개부(440)가 위치된 상태에서, 제1날개부(441)를 제2 측면(414, 415)의 바깥쪽 면에 있는 양면 테이프(435)에 부착시킨 후, 제2날개부(442)를 제2 측면(414, 415)의 안쪽 면으로 접으면, 도 16(b)와 같은 상자의 형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제1날개부(441)와 제2날개부(442)는 내함(410)의 세워진 상태를 유지시키는 강성을 증대시킨다.
내함(410)이 세워진 상태에서(도 17(a)), 절첩식 보강 날개부(440)의 제2날개부(442)를 들어 올려 바깥쪽으로 젖히고(도 17(b)), 제2 측면(414, 415)을 바깥쪽으로 밀면, 제2 측면(414, 415)은 제3 하드심지 절첩선(431)에 의하여 접혀지게 되고, 자연스럽게 제1 측면(412, 413)은 상호 좁혀지는 쪽으로 접혀진다. 따라서, 도 17(c)와 같이, 내함(410)은 완전히 펴진 상태가 되며, 이를 위하여 제2 측면(414, 415)과 제1날개부(441) 사이의 부착 상태에 변화가 수반되지 않는다. 다시, 도 17(d)와 같이, 제1 측면(412, 413)과 제2 측면(414, 415)을 세운 상태에서, 제2날개부(442)를 제2 측면(414, 415)의 안쪽 면에서 접으면, 도 17(e)와 같이, 원래의 세워진 상태의 내함(410)을 얻을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절첩형 종이 포장상자는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되지 않는다.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00: 절첩형 종이 포장상자 110: 내함
111: 바닥면 112, 113: 제1 측면
114, 115: 제2 측면 119: 접힘선
120: 제1 하드심지 121: 제1 하드심지 바닥면
122, 123: 제1 하드심지 측면 124, 125: 제2 하드심지 측면
127: 제1 하드심지 절첩선 128: 제2 하드심지 절첩선
129: 제3 하드심지 절첩선 130: 내함 겉지
131: 부분 절취선 150: 외함
151: 받침면 152: 덮개면
153, 154: 측면지지면 155: 날개면
160: 제2 하드심지 161: 심지 바닥면
162: 심지 덮개면 163, 164: 심지 지지면
165: 심지 날개면 167: 외함 심지 절첩선
170: 외함 겉지 180: 외함 내지

Claims (8)

  1. 바닥면과 상기 바닥면에 연결되는 마주보는 한 쌍의 제1 측면 및 상기 한 쌍의 제1 측면에 직교하는 한 쌍의 제2 측면을 가지며, 상기 한 쌍의 제1 측면과 상기 한 쌍의 제2 측면이 상기 바닥면에 대하여 세워진 상태로부터 상기 한 쌍의 제1 측면이 상호 좁혀지고 상기 한 쌍의 제2 측면이 상호 벌어짐으로써 접혀진 상태로 변환될 수 있게 형성된, 내함; 및
    상기 바닥면이 부착되는 받침면과 상기 내함의 상부를 덮는 덮개면 및 상기 한 쌍의 제2 측면과 겹쳐지는 적어도 하나의 측면지지면을 갖는, 외함을 포함하고,
    상기 내함은,
    제1 하드심지 및 상기 제1 하드심지를 감싸는 내함 겉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하드심지는,
    상기 바닥면을 구성하기 위한 제1 하드심지 바닥면과, 상기 한 쌍의 제1 측면을 형성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하드심지 바닥면에 연결되는 마주보는 한 쌍의 제1 하드심지 측면 및 상기 한 쌍의 제2 측면을 형성할 수 있도록 상기 한 쌍의 제1 하드심지 측면에 직교하는 한 쌍의 제2 하드심지 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하드심지 바닥면에 대하여 상기 제1 하드심지 측면이 절첩 가능하도록 상기 제1 하드심지 바닥면과 상기 제1 하드심지 측면 사이에 제1 하드심지 절첩선이 형성되고,
    상기 제1 하드심지 바닥면에 대하여 상기 제2 하드심지 측면이 절첩 가능하도록 상기 제1 하드심지 바닥면과 상기 제2 하드심지 측면 사이에 제2 하드심지 절첩선이 형성되고,
    상기 제2 하드심지 측면이 상기 접혀진 상태로 전환될 때 상기 제2 하드심지 측면이 부분적으로 접혀지도록 상기 제2 하드심지 측면에 대칭되게 형성되는 한 쌍의 제3하드심지 절첩선이 형성되며,
    상기 제2 측면의 바깥쪽 면에 부착되는 제1날개부와, 상기 제2 측면의 안쪽 면으로 접혀져 상기 제2측면의 안쪽 면을 지지 가능하게 형성되는 제2날개부를 갖는 절첩식 보강 날개부가 구비된, 절첩형 종이 포장상자.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측면의 바깥쪽 면에 상기 제2날개부가 부착되기 위한 양면 테이프가 구비된, 절첩형 종이 포장상자.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양면 테이프는 상기 제3하드심지 절첩선을 교차하지 않도록 상기 한 쌍의 제3하드심지 절첩선의 사이의 영역 내에 배치된, 절첩형 종이 포장상자.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내함 겉지는,
    상기 제3하드심지 절첩선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제2 하드심지 측면이 상기 세워진 상태에서 상기 접혀진 상태로 전환될 때 뜯어져 벌어짐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부분 절취선을 포함하는, 절첩형 종이 포장상자.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드심지 절첩선 또는 상기 제2 하드심지 절첩선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는 일정 깊이로 깍여 제거된 컷아웃형 그루브를 포함하는, 절첩형 종이 포장상자.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컷아웃형 그루브는 상기 한 쌍의 제1 측면과 상기 한 쌍의 제2 측면이 상기 바닥면에 대하여 세워진 상태일 때 상자의 내측에 위치되도록 형성되는, 절첩형 종이 포장상자.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컷아웃형 그루브는 상기 제1 하드심지 절첩선 및 상기 제2 하드심지 절첩선에 모두 포함된, 절첩형 종이 포장상자.
  8. 바닥면과 상기 바닥면에 연결되는 마주보는 한 쌍의 제1 측면 및 상기 한 쌍의 제1 측면에 직교하는 한 쌍의 제2 측면을 가지며, 상기 한 쌍의 제1 측면과 상기 한 쌍의 제2 측면이 상기 바닥면에 대하여 세워진 상태로부터 상기 한 쌍의 제1 측면이 상호 좁혀지고 상기 한 쌍의 제2 측면이 상호 벌어짐으로써 접혀진 상태로 변환될 수 있게 형성된, 내함; 및
    상기 바닥면이 부착되는 받침면과 상기 내함의 상부를 덮는 덮개면 및 상기 한 쌍의 제2 측면과 겹쳐지는 적어도 하나의 측면지지면을 갖는, 외함을 포함하고,
    상기 내함은,
    상기 제1 하드심지 및 상기 제1 하드심지를 감싸는 내함 겉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하드심지는,
    상기 바닥면을 구성하기 위한 제1 하드심지 바닥면과, 상기 한 쌍의 제1 측면을 형성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하드심지 바닥면에 연결되는 마주보는 한 쌍의 제1 하드심지 측면 및 상기 한 쌍의 제2 측면을 형성할 수 있도록 상기 한 쌍의 제1 하드심지 측면에 직교하는 한 쌍의 제2 하드심지 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하드심지 바닥면에 대하여 상기 제1 하드심지 측면이 절첩 가능하도록 상기 제1 하드심지 바닥면과 상기 제1 하드심지 측면 사이에 제1 하드심지 절첩선이 형성되고,
    상기 제1 하드심지 바닥면에 대하여 상기 제2 하드심지 측면이 절첩 가능하도록 상기 제1 하드심지 바닥면과 상기 제2 하드심지 측면 사이에 제2 하드심지 절첩선이 형성되고,
    상기 제2 하드심지 측면이 상기 접혀진 상태로 전환될 때 상기 제2 하드심지 측면이 부분적으로 접혀지도록 상기 제2 하드심지 측면에 대칭되게 형성되는 한 쌍의 제3하드심지 절첩선이 형성되며,
    상기 외함은, 상기 받침면과 상기 덮개면 및 상기 측면 지지면을 일체로 형성할 수 있는 한 장의 제2 하드심지와, 상기 제2 하드심지의 외측을 감싸는 한 장의 외함 겉지를 포함하고,
    상기 받침면, 상기 덮개면 및 상기 측면 지지면의 경계에는 외함 심지 절첩선들이 각각 구비되며,
    상기 내함이 접혀진 상태에서 상기 외함이 접혀진 상태로도 보관될 수 있도록 상기 받침면과 상기 덮개면을 연결하는 상기 측면 지지면에 추가 외함 심지 절첩선이 형성된, 절첩형 종이 포장상자.


KR1020190098224A 2019-08-12 2019-08-12 절첩형 종이 포장상자 KR2021001926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8224A KR20210019262A (ko) 2019-08-12 2019-08-12 절첩형 종이 포장상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8224A KR20210019262A (ko) 2019-08-12 2019-08-12 절첩형 종이 포장상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9262A true KR20210019262A (ko) 2021-02-22

Family

ID=746877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8224A KR20210019262A (ko) 2019-08-12 2019-08-12 절첩형 종이 포장상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1926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30395A (ko) 2021-08-25 2023-03-06 일진코퍼레이션 주식회사 싸바리 상자의 제조방법,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싸바리 상자 및 상기 싸바리 상자의 결합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30395A (ko) 2021-08-25 2023-03-06 일진코퍼레이션 주식회사 싸바리 상자의 제조방법,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싸바리 상자 및 상기 싸바리 상자의 결합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50051461A1 (en) Folding carton
KR20210019262A (ko) 절첩형 종이 포장상자
KR20210000496A (ko) 절첩형 종이 포장상자
CN109415147A (zh) 纸板箱及用于其的坯件
US7882999B2 (en) Method of forming a paperboard blank with attached giftwrapping paper into one component of a giftbox with square corners
EP3480127B1 (en) Sheet for packaging box
KR20170101380A (ko) 접이식 포장박스
JP7224014B2 (ja) 箱体およびその板材
KR200453128Y1 (ko) 케이크 포장용 상자 덮개
WO2001068457A1 (en) Collapsible carton box, method and blank for making same
KR200273128Y1 (ko) 원터치 4면 접착식 상자
JP3235452U (ja) 中仕切り付き包装箱
JP7046416B2 (ja) 蓋付き包装箱
JPH08169436A (ja) ボトムロック式紙箱
JPH10316129A (ja) パッキングコンテナー
KR20190003259U (ko) 포장재
KR200406280Y1 (ko) 포장박스
JP3212619U (ja) 切花梱包箱
JP2021075301A (ja) 多角形仕切付き包装箱
KR200382456Y1 (ko) 포장박스
KR20020024237A (ko) 원터치 4면 접착식 상자
KR101707665B1 (ko) 포장용 박스
KR200467012Y1 (ko) 포장상자
JP3105406U (ja) 果実包装用紙箱
JP3099415U (ja) 段ボール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