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15727A - 공간 분리 구조체 - Google Patents

공간 분리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15727A
KR20210015727A KR1020200096445A KR20200096445A KR20210015727A KR 20210015727 A KR20210015727 A KR 20210015727A KR 1020200096445 A KR1020200096445 A KR 1020200096445A KR 20200096445 A KR20200096445 A KR 20200096445A KR 20210015727 A KR20210015727 A KR 202100157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
unit
window
separation structure
space sepa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64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은심
Original Assignee
장은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은심 filed Critical 장은심
Publication of KR202100157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572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간을 일측 공간과 제 1 영역으로 분리하는 하나 이상의 일측 유닛; 상기 공간을 타측 공간과 제 2 영역으로 분리하는 하나 이상의 타측 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일측 유닛과 상기 타측 유닛은 서로 중첩되는 부분이 있도록 교대로 배치되어, 상기 중첩되는 부분에 의해 마련되는 공통 영역을 통해 상기 제 1 영역과 상기 제 2 영역이 서로 연결되며, 상기 교대로 배치된 일측 유닛 및 타측 유닛이 상기 일측 공간과 상기 타측 공간을 분리하되, 상기 일측 공간과 연결된 상기 제 2 영역, 상기 공통 영역, 상기 타측 공간과 연결된 상기 제 1 영역이 상기 일측 공간과 상기 타측 공간 사이에 물체 또는 파동의 경로를 형성하는 공간 분리 구조체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공간 분리 구조체{SPACE SEPARATING STRUCTURE}
본 발명은 공간 분리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공간 분리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공간을 분리할 때는 분리된 공간들간의 교류를 차단할 것인가 허용할 것인가를 결정해야 한다. 공간을 내부 공간과 외부 공간으로 분리하는 건물을 예로 들면, 건물의 벽은 내부 공간과 외부 공간의 교류를 차단하는 한편, 건물의 창이나 문은 내부 공간과 외부 공간 사이의 통로를 제공한다. 더 나아가 사용자는 창이나 문의 개폐를 통해 내부 공간과 외부 공간 사이의 교류를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추운 겨울 밤에는 창문을 닫고, 더운 여름 밤에는 창문을 열어둘 수 있다.
그러나 도 1을 통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종래의 창은 사용자에게 충분한 제어를 제공하지 못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창의 구조를 개념적으로 설명하는 측면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1의 (a)는 창문(600)을 닫았을 때를, 도 1의 (b)는 창문(600)을 열었을 때를 보여준다.
이들 도면은 설명 및 이해의 편의를 위해 창의 구조를 단순화시켜 도시하고 있다. 예를 들어, 위 아래 창틀과 벽(510, 520)을 구분하지 않고 도시하였으며, 창문(600)의 두께나 형태, 개수 등도 특정하지 않았다. 또한 지면(700)은 땅, 발코니 바닥, 창턱 등 물체 또는 파동이 부딪힌 후 방향을 바꿀 수 있는 모든 구조를 대표하여 나타낸다.
도면의 (a)는 닫혀있는 창문(600)이 x 방향의 물체 또는 파동과 y 방향의 물체 또는 파동을 모두 차단함을 보여준다. 예를 들어, 창문(600)으로 직접 들이치는 비 뿐 아니라 지면(700)에 부딪혀 튀어오른 비가 창문(600)에 의해 모두 차단된다. 그러나 닫혀있는 창문(600)은 공기의 흐름도 차단한다는 문제가 있다.
반면 도면의 (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창문(600)이 열려 있을 때는 공기 뿐 아니라 직간접적인 방향(x, y)의 비도 차단되지 못한다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이 종래의 창은 내부 공간과 외부 공간 사이의 교류에 대해 충분한 제어를 제공하지 못하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불편함과 피해를 끼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창문(600)을 열어놓고 외출했다가 갑자기 쏟아진 비가 들이쳐 피해를 입을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환기 필요성 또는 더운 날씨 때문에 창문(600)을 활짝 열어놓고 싶어도 비가 올 때는 그러지 못하는 불편을 겪을 수 있다. 실내가 젖었을 때의 피해가 클 수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벽지나 바닥을 제대로 말리지 못하면 곰팡이가 생길 수 있으며, 귀중품이 젖었을 때의 손실은 더 클 수도 있다.
공기와 빗물을 예를 들어 기술하였으나, 종래의 창은 다른 물체와 파동의 교류에 대해서도 충분한 제어를 제공하지 못하며, 그로 인한 불편이 있음과 그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많은 기술이 개발되어 왔음을 설명할 필요는 없을 것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창문(600)에 차광 필름이나 자외선 차단 필름을 부착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들도 여전히 충분한 제어를 제공하지 못함 또한 설명할 필요가 없을 것이다. 예를 들어, 차광 필름이나 자외선 차단 필름은 그 자체의 차단 성능이 아무리 좋아도 창문(600)이 열렸을 때는 빛이나 자외선을 차단하지 못한다. 블라인드, 커튼 등 종래의 창 가림막(window covering)이 창문(600)이 열렸을 때 비와 바람을 효과적으로 차단하지 못함은 물론이다. 또한 이들 창 가림막은 빛이나 자외선을 차단하기 위해 통기성을 희생할 수 밖에 없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창문(600)의 개폐 여부에 상관없이 내부 공간과 외부 공간간 물체(예: 공기, 물) 및 파동(예: 가시광선, 자외선)의 출입을 좀더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체의 개발이 필요하다. 또한 창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이러한 새로운 구조체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임의의 실내외 분리된 공간간 물체 및 파동 교류를 제어할 수 있는 구조체를 뜻한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한국 특허 문서 20-2011-0000360("파티션")에는 전기 콘센트와 전선 수납부를 제공하는 파티션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한국 특허 문서 20-0416668("조명 장치가 부착된 병풍")에는 조명이 부착된 병풍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분리된 공간들 사이의 물체 또는 파동의 출입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공간 분리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측면에 따른 공간 분리 구조체는 공간을 일측 공간과 제 1 영역으로 분리하는 하나 이상의 일측 유닛; 상기 공간을 타측 공간과 제 2 영역으로 분리하는 하나 이상의 타측 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일측 유닛과 상기 타측 유닛은 서로 중첩되는 부분이 있도록 교대로 배치되어, 상기 중첩되는 부분에 의해 마련되는 공통 영역을 통해 상기 제 1 영역과 상기 제 2 영역이 서로 연결되며, 상기 교대로 배치된 일측 유닛 및 타측 유닛이 상기 일측 공간과 상기 타측 공간을 분리하되, 상기 일측 공간과 연결된 상기 제 2 영역, 상기 공통 영역, 상기 타측 공간과 연결된 상기 제 1 영역이 상기 일측 공간과 상기 타측 공간 사이에 물체 또는 파동의 경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공간 분리 구조체에 있어, 분리된 공간들간 물체 또는 파동의 출입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는 효과를 얻는다.
특히 특정 물체 또는 파동은 차단하면서 동시에 또다른 특정 물체 또는 파동에게는 통로를 제공하는 선택적 차단 구조를 제공한다. 이러한 선택적 차단 구조는 통로가 제공되는 물체 또는 파동 또한 적절한 양만이 출입하도록 해준다.
더구나 매우 단순한 구조만으로 이러한 효과를 얻는다. 복잡한 구조나 고비용의 재질, 번거로운 작동 절차등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따라서 제조자의 생산 비용 및 사용자의 설치 및 사용 비용이 낮다.
또한 탈부착이 자유롭고, 설치 및 확장이 용이하며 필요에 따라 구성을 유연하게 변경할 수 있다. 특히 이는 사용자가 공간간 물체 또는 파동의 교류를 필요에 따라 동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할 뿐 아니라, 사용자가 자신의 심미적 취향에 따라 구조체를 커스터마이징(customizing)할 수 있는 기회도 제공한다는 장점이 있다. 이는 사용자에게 스스로 자신만의 물건을 만들었다는 만족감을 줄 수 있는 장점이다. 또한 공급자 입장에서는 용이하게 제품을 다양화하고 시장을 다각화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분리된 공간들 사이에 물체 또는 파동이 드나들 수 있는 간접 경로를 제공한다. 이러한 간접 경로가 다양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간 분리 구조체는 활용 범위가 넓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창의 구조를 개념적으로 설명하는 측면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간 분리 구조체의 구조를 개념적으로 설명하는 측면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간 분리 구조체의 구조를 개념적으로 설명하는 평면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간 분리 구조체의 실시예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간 분리 구조체를 측면에서 본 모습을 개념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간 분리 구조체 구동부의 일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간 분리 구조체 은닉수단의 일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간 분리 구조체 은닉수단의 일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간 분리 구조체 연결부의 정면에서 바라본 일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간 분리 구조체 연결부의 측면에서 바라본 일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간 분리 구조체 연결부의 측면에서 바라본 일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간 분리 구조체 및 연결부를 개념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간 분리 구조체 및 연결부를 개념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앞서 도 1을 통해 분리된 공간간 물체(예: 공기, 물) 및 파동(예: 가시광선, 자외선)의 출입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구조체의 개발이 필요함을 살펴보았다. 본 발명의 범위가 여기에 한정되지 않음은 쉽게 이해될 것이나, 도 1에서 설명한 창과 비교하여 설명하는 것이 설명 및 이해를 용이하게 할 것이므로, 이후 기술에서도 창에 설치 또는 부착했을 때의 구조 및 동작을 먼저 설명한다.
먼저 도 1과 도 2의 비교 및 도 3-(a)를 통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간 분리 구조체가 어떻게 특정 물체 또는 파동을 차단하는지를 살펴본 후, 도 3-(b)를 통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간 분리 구조체가 어떻게 특정 물체 또는 파동을 위한 간접 통로를 제공하는지 살펴보겠다.
이들 도면에서 창의 구조는 도 1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다. 예를 들어, 지면(700)은 단순히 지면 그 자체를 가리키는 것이 아니라, 물체 또는 파동이 부딪혀 방향을 바꿀 수 있는 모든 물체를 의미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간 분리 구조체의 구조를 개념적으로 설명하는 측면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면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간 분리 구조체(10)가 도 1의 창에 사용되면, 창문(600)이 열려있는 상태에서도 도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원하지 않는 물체(예: 물)가 내부 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음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간 분리 구조체(10)는 일측 유닛(100)과 타측 유닛(200)이 교대로 배치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도면의 예에서는 일측 유닛(100)이 외부 공간측에, 타측 유닛(200)이 내부 공간측에 위치해있다. 일측 유닛(100)과 타측 유닛(200)은 유닛 결합부(300)를 통해 서로 결합될 수 있고, 연결부(400)를 통해 다른 구조물(예: 창틀 또는 벽)에 부착 또는 설치될 수 있다. 연결부(400)는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간 분리 구조체(10)에 견고함과 안정성을 제공하는 틀의 역할을 함께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체적인 구성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개념을 설명한 후 후술한다.
도면은 도 1에서와 같이 외부 공간의 x 방향 및 y 방향으로부터 원치 않는 물체 또는 파동이 내부 공간을 향해 진입하는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간 분리 구조체(10)는 창문(600) 없이도 창문(600)처럼 이러한 원치 않는 물체 또는 파동을 차단한다. 도면은 외부 공간측에 위치한 일측 유닛(100)에 의해 이러한 물체 또는 파동이 차단되는 것만을 도시하고 있으나, 이는 도시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 내부 공간측에 위치한 타측 유닛(200)에 의해서도 차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직접 들이치는 비(x)와 지면(700)에 부딪힌 후 튀어오른 빗물(y) 모두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간 분리 구조체(10)의 일측 유닛(100) 및 타측 유닛(200)에 의해 차단되어 실내로 진입하지 못한다. 이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다른 시점에서 도시한 도 3-(a)를 살펴본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간 분리 구조체의 구조를 개념적으로 설명하는 평면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3의 (a)는 원치 않는 물체를 차단하는 원리를, 도 3의 (b)는 원하는 물체에게는 통로를 제공할 수 있는 원리를 보여준다.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외부 공간측에 위치하는 일측 유닛(100)과 내부 공간측에 위치하는 타측 유닛(200)은 서로 중첩되는 부분(각각 100A 및 100B)이 있도록 교대로 배치된다.
먼저 도 3-(a)를 살펴보면, 도 1 및 도 2에서 x, y로 도시한 원치 않는 물체(예: 비, 눈, 낙엽, 먼지 등) 또는 파동(예: 가시광선, 자외선 등)의 흐름을 도 3-(a)에서는 z로 통합하여 표시하였다. x, y가 창을 측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진입 각도에 주목하고 그에 따라 다른 물체에 부딪혀 방향을 바꾸는 경우까지도 고려한 것이라면, z는 창을 위에서 바라보았을 때의 진입 각도를 나타낸 것이기 때문이다.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흐름(z)은 창에 수직으로 진입하든(첫번째와 두번째 z) 비스듬히 진입하든(세번째 z) 모두 일측 유닛(100) 및 타측 유닛(200)에 의해 차단된다.
빗물을 다시 예로 들어보자. 도 3-(a)를 도 2와 함께 보면, 빗물이 외부 공간측에 위치하는 일측 유닛(100)에 부딪혔을 경우에는 일측 유닛(100)의 외면을 타고 흘러내려 외부 공간으로 떨어질 것이므로 내부 공간으로 진입하지 못함을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빗물이 내부 공간측에 위치하는 타측 유닛(200)에 부딪혔을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 부딪힌 빗물은 타측 유닛(200)의 외면을 타고 흘러내려 외부 공간으로 떨어진다. 타측 유닛(200)의 외면에 부딪힌 일부 빗물이 일측 유닛(100)의 내면으로 튈 수도 있으나, 이러한 빗물 또한 일측 유닛(100)의 내면을 타고 흘러내려 외부 공간으로 떨어진다. 일측 유닛(100)의 내면에서 다시 타측 유닛(200)의 외면으로 튀더라도 설명한 과정을 거쳐 결국에는 외부 공간으로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빗물은 어떤 것에 부딪히더라도 내부 공간 진입이 차단된다.
여기에서 일측 유닛(100) 또는 타측 유닛(200)의 외면은 모두 외부 공간측을 바라보는 면을, 내면은 모두 내부 공간측에 위치한 면을 지칭한다. 좀더 일반적으로는 일측 유닛(100)의 일측면 및 타측 유닛(200)의 일측면은 모두 일측 공간측을 바라보는 면을, 일측 유닛의 타측면 및 타측 유닛(200)의 타측면은 모두 타측 공간측을 바라보는 면을 지칭한다. 창에 사용하였을 때를 설명하고 있으므로, 공간을 내부 공간과 외부 공간으로 나누는 것이 이해하기 쉽기 때문에 각 유닛의 겉면도 내면과 외면으로 지칭하였다.
도 1에서 창문(600)을 두께가 있고 내면과 외면을 가지는 물체가 아닌 선으로 도시하였듯, 도 2 및 도 3에서도 일측 유닛(100) 및 타측 유닛(200)의 형태를 단순히 선으로 도시하였으나, 이는 개념 이해의 편의를 위해 단순화하여 도시한 것에 불과함을 주의해야 한다. 일측 유닛(100)의 내면과 외면, 타측 유닛(200)의 내면과 외면은 각각 서로 다른 형태를 가질 수 있음을 쉽게 이해할 것이다.
또한 일측 유닛(100) 또는 타측 유닛(200)에 부딪혀 흘러내리는 빗물이 그 아래 있는 다른 일측 유닛(100) 또는 타측 유닛(200)의 내면으로 흘러들어 내부 공간으로 유입되지 않는 이유는 위 아래의 유닛들이 유닛 결합부(300)를 통해 결합되기 때문이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다른 구조들과 마찬가지로 후술한다.
이제 도 3-(b)를 살펴보면, x, y, 및 z와 반대로 출입이 있기를 원하는 물체 또는 파동(예: 공기 또는 바람)의 흐름을 도 3-(b)에서는 w로 통합하여 표시하였다.
도 3-(a)에서 빗물은 일측 유닛(100)과 타측 유닛(200)에 부딪혀 차단됨을 살펴보았다. 반면 공기는 물과는 다른 속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일측 유닛(100)과 타측 유닛(200)에 부딪히더라도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은 경로를 통해 내부 공간으로 유입될 수 있으며 반대로 내부 공간의 공기가 외부 공간으로 배출되는 것도 자유롭다.
원치않는 물체인 물은 일측 유닛(100) 및 타측 유닛(200)이 교대로 배치되어 있는 구조 때문에 차단되며, 원하는 물체인 공기는 일측 유닛(100) 및 타측 유닛(200)이 교대로 배치될 때 중첩되는 부분(100A, 200A)이 있도록 배치되는 구조 때문에 출입이 가능해진다.
좀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공간을 일측 공간(예: 외부 공간)과 제 1 영역으로 분리하는 일측 유닛(100)과 공간을 타측 공간(예: 내부 공간)과 제 2 영역으로 분리하는 타측 유닛(200)이 교대로 배치되는 구조로 인해 일측 공간과 타측 공간이 서로 분리되며, 일측 공간과 타측 공간 사이에 원하지 않는 물체인 물이 오고갈 수 없다.
반면, 일측 유닛(100)과 타측 유닛(200)이 서로 중첩되는 부분(100A, 200A)이 있도록 교대로 배치되므로, 이들 중첩되는 부분(100A, 200A)에 의해 마련되는 공통 영역을 통해 제 1 영역과 제 2 영역이 서로 연결되며, 이 덕분에 일측 공간 > 일측 공간과 연결된 제 2 영역 > 공통 영역 > 타측 공간과 연결된 제 1 영역 > 타측 공간 순 또는 그 역순의 경로로 공기가 이동할 수 있으므로, 일측 공간과 타측 공간 사이에 원하는 물체인 공기는 오고갈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의 공기는 외부 공간과 연결된 제 2 영역, 즉, 일측 유닛(100) 없는 틈새 영역(도 3-(b)에서 상단측에 도시되어 있는 두개의 틈을 통해 외부 공간과 연결되는 타측 유닛(200)의 외면측에 위치한 공간)으로 진입할 수 있으나, 곧이어 타측 유닛(200)을 만나기 때문에 직접 내부 공간으로 전진할 수는 없다. 그러나 이 공기는 다시 내부 공간과 연결된 제 1 영역, 즉, 타측 유닛(200) 없는 틈새 영역(도 3-(b)에서 하단측에 도시되어 있는 세개의 틈을 통해 내부 공간과 연결되는 일측 유닛(100)의 내면측에 위치한 공간)으로 진입할 수 있으므로, 내부 공간으로 전진하는 것이 불가능하지 않다.
제 2 영역과 제 1 영역이 공통 영역(일측 유닛(100)의 내면측에 위치한 공간이면서 동시에 타측 유닛(200)의 외면측에 위치한 공간)을 가지는 구조로 인해 이것이 가능해진다. 이러한 공통 영역은 전술한 바와 같이 일측 유닛(100)과 타측 유닛(200)을 중첩시켜 배치함으로써 확보할 수 있는 영역이다.
이러한 간접 통로를 통해 분리된 공간간 출입을 원치 않는 물체는 통과하지 못하게 막으면서 원활한 출입을 원하는 물체는 통과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게다가, 원하는 물체라 하더라도 지나치게 많은 양이 통과하는 것 또한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기의 출입을 원하지만, 지나치게 강한 바람의 출입은 원치 않을 수 있다. 이럴 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간 분리 구조체(10)는 바람 또는 강한 공기의 흐름이 일측 공간에서 타측 공간으로 또는 역방향으로 직접 이동하는 것을 막고, 전술한 간접 경로를 통해서만 분리된 공간 사이를 출입할 수 있게 함으로써 이러한 요구 사항을 만족시켜준다.
이러한 간접 통로는 또한 다른 목적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간 분리 구조체(10)는 빛의 확산체 또는 간접 조명 등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간 분리 구조체(10)는 공간을 광원이 있는 일측 공간과 상기 광원으로부터 빛을 공급받는 타측 공간으로 분리하되, 빛이 상술한 간접 통로를 통해서만 일측 공간에서 타측 공간으로 공급되게 하며, 이때 빛은 일측 유닛(100)과 타측 유닛(200)에 반사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간 분리 구조체(10)는 광원에서 공급되는 빛을 부드럽게 확산하고 은은하게 만들어주는 효과를 가지므로, 전등갓 등의 조명 시설에 사용될 수 있다. 특히 최근 주목받고 있는 LED 조명은 광원이 직진성이 강한 점조명의 성격이 강하다는 단점이 있는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간 분리 구조체(10)가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는 데 활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간 분리 구조체(10)는 다수 개를 중첩시켜 사용할 수 있는데, 이러한 실시예는 특히 이렇게 빛의 확산체로 사용하는 경우 효과적일 수 있다.
또다른 예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간 분리 구조체(10)는 빛 공급 기능이 있는 공간 파티션으로 사용될 수 있다. 종래의 공간 파티션이나 병풍 등은 공간을 분리하고 시야를 차단하는 기능은 제공하나, 분리된 공간간에 빛을 공급하는 기능은 제공하지 못한다. 따라서 이러한 종래 기술을 사용하면 각 구획에 별도의 광원을 두거나 어두운 구획이 있음을 감수하여야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간 분리 구조체(10)는 시야를 차단하여 분리된 공간간 독립성을 제공하여 주면서도, 한쪽 구획에만 광원을 두더라도 다른쪽 구획에도 빛이 공급된다. 더구나 이 빛은 전술한 바와 같이 간접 경로를 통해 확산된 빛이라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간 분리 구조체(10)는 공간 파티션으로 사용될 때 심미적인 요소까지 만족시킬 수 있다. 참고로 이러한 심미적인 요소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간 분리 구조체(10)가 종래의 공간 파티션이나 병풍과 달리, 평면과 곡면이 혼합된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기 때문에 더욱 극대화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간 분리 구조체(10)는 물체 또는 파동의 선택적 차단에 초점을 맞추어 사용할 수도 있고, 물체 또는 파동의 간접 통로 제공 기능에 초점을 맞추어 사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기능은 분리된 공간간에 사용되는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간 분리 구조체(10)가 단독 또는 다른 구조체와 함께 공간을 분리할 수도 있고, 창이나 문 등 다른 구조체가 분리한 공간에 설치 또는 부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간 분리 구조체(10)가 분리하는 공간에는 제한이 없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간 분리 구조체(10)는 서랍이라는 다른 구조체에 의해 분리된 작은 공간을 다시 분리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이러한 실시예는 특히 분리된 각 구획간 통기성을 높여 각 구획의 내용물(예: 옷, 식량 등)의 습기 피해를 줄여주는 장점이 있다.
이상의 기술과 도면들로부터 알 수 있듯,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간 분리 구조체(10)는 상술한 선택적 차단 및 간접 통로 제공 효과를 얻기 위해 복잡한 구조나 고비용의 재질, 번거로운 작동 절차 등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간 분리 구조체(10)는 고가의 필터나 신소재 등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또한 구조체(10)를 구동하기 위한 메카니즘이나 전기 회로도 필요하지 않으며, 동작을 위해 사용자의 입력을 필요로 하지도 않는다. 이는 생산 및 사용 비용을 낮출 뿐 아니라, 사용자에게 편리함과 함께 심리적 안정감까지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도 1에서 기술한 바와 같은 외출시 갑자기 비가 내리는 상황이 벌어졌을 때, 더 나아가 바람이 불면서 비가 내릴 때나 비가 강하게 많이 내릴 때에도, 창에 설치 또는 부착되어 있는 공간 분리 구조체(10) 덕분에 사용자는 자신이 어떠한 조치도 취할 필요가 없으며, 외출에서 돌아왔을 때 실내가 빗물로 인해 젖거나 강한 바람으로 인해 어지럽혀져 있거나 바람을 타고 들어온 먼지로 인해 더럽혀져 있지 않으면서도 시원하고 상쾌한 공기로 환기된 상태에 있을 것임을 확신할 수 있으므로, 종래처럼 불안해하거나 오직 창문(600)을 닫기 위해 서둘러 돌아오는 불편함을 겪지 않아도 된다.
이제, 공간 분리 구조체(10)의 각 구성 요소의 자세한 구조 및 몇가지 설계 고려 사항의 예를 도 4에 도시한 일실시예와 함께 설명한다.
이러한 설명을 통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간 분리 구조체(10)가 전술한 바와 같이 단순한 구조만으로 다양한 효과를 얻으면서도, 유연함과 확정성도 제공하므로 사용자 편의성을 한층 더 향상시킴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 기술하는, 특히 후술하는 예들은 모두 설명을 위한 용도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지 않음을 주의해야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간 분리 구조체의 실시예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도 4의 첫번째 도면과 두번째 도면은 일측 유닛(100) 및 타측 유닛(200)의 실시예를 각각 도시하고 있으며, 세번째 도면은 이들 일측 유닛(100) 및 타측 유닛(200)을 중첩되는 부분(100A, 200A)이 있게 교대로 배치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는 일실시예에서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다른 도면들과 마찬가지로 설명 및 이해의 편의를 위해 최대한 단순하게 도시하였다. 예를 들어, 편의상 각 유닛의 내면과 외면의 형태가 다를 수 있음을 도시하지 않았다.
도면은 일측 공간(예: 외부 공간)과 타측 공간(예: 내부 공간)으로 분리된 공간 중 타측 공간에서 바라본 모습이다. 즉, 일측 유닛(100) 및 타측 유닛(200) 각각의 내면, 즉, 타측 공간측에 위치한 겉면만이 보이고 있다. 이후 기술에서는 편의상 일측 공간을 실외 또는 외부 공간, 타측 공간을 실내 또는 내부 공간으로 지칭하겠다. 도시된 실시예가 창에 설치되어 있음을 가정하는 것이 이해하기 편할 것이기 때문이다.
도시되어 있는 실시예에서, 일측 유닛(100)은 외부 공간쪽으로, 타측 유닛(200)은 내부 공간 쪽으로 볼록한 형태를 갖고 있다. 이러한 실시예는 제 1 영역, 공통 영역, 제 2 영역으로 이루어지는 공간간 통로의 크기를 크게 할 수 있는 형태이다. 따라서 예를 들어 통기량을 늘리고 바람이 잘 통하게 하고 싶을 때는 일측 유닛(100)과 타측 유닛(200) 중 하나 또는 둘다를 볼록하게 만들 수 있다. 반면 지나치게 볼록하면 공간 분리 구조체(10)가 너무 많은 공간을 차지하여 걸리적거리거나 창에 설치 또는 부착되는 경우에는 창문(600)을 여닫을 때 불편하다는 등의 몇가지 단점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볼록한 형태 및 그 정도를 조절하여 사용 목적 및 환경에 최적인 공간 분리 구조체(10)를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바람이 너무 강한 환경에서 환기는 시키고 싶으나 지나치게 많은 바람이 실내로 유입되는 것은 막고 싶을 때는 볼록하지 않거나 약간만 볼록한 형태를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도면은 모든 일측 유닛(100)과 타측 유닛(200)이 동일한 형태와 정도의 볼록함을 갖는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각각의 유닛들의 볼록함의 형태 및 정도가 모두 달라도 된다. 특히 도 2는 일측 유닛(100)이 타측 유닛(200)보다 볼록하게 구성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2의 실시예는 볼록함의 형태 또한 도 4의 실시예와 다르다. 도 4는 2개의 평면이 사용되었으나, 도 2는 1개의 곡면이 사용되었다. 이들 도면들은 다양한 구성이 가능함을 보이기 위한 예일 뿐으로 여기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 4의 2개의 평면은 동일한 크기와 형태를 가지며 가운데에서 접혀 있으나, 필요에 따라 상단에 위치한 면이 하단에 위치한 면보다 길게 하여 접힌 선이 아래쪽에 치우쳐 위치하게 하거나 그 반대도 가능하다. 즉, 접힌 선의 개수(예: 0개, 무수히 많음 모두 가능)나 위치, 방향에는 제한이 없다. 예를 들어, 더욱 많은 평면을 사용할 수도 있고, 평면과 곡면의 조합을 사용할 수도 있다. 또는 단순히 일측 유닛(100) 및 타측 유닛(200)이 서로 평행한 평면상에 위치하도록 할 수도 있다.
볼록함의 방향 또한 도 2 및 도 4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과 반대 방향으로 볼록할 수 있을 뿐 아니라(도면의 방향으로 오목), 전체적인 형태는 볼록하면서도 세부 구조로는 볼록함과 오목함이 교차되어 엠보싱의 형태를 갖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세부 구조로 타공된 부분 또는 뚫린 부분이 포함될 수도 있다.
즉, 일측 유닛(100) 및 타측 유닛(200) 내면 및 외면은 각각 하나 이상의 평면 또는 곡면, 또는 이들의 조합을 사용하여 구성된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이러한 형태 또한 필요에 맞게 선택되는 요소 중 하나이다. 예를 들어, 공간 분리 구조체(10)가 분리된 공간간의 물의 오고감을 차단하기를 원할 때, 일측 유닛(100) 또는 타측 유닛(200)의 외면을 전체 구조는 볼록하면서도 세로로 오목한 줄들을 세부 구조로 포함하도록 하여, 이들 오목한 형태들이 물이 부딪혔을 때 흘러내리는 수로의 역할을 하게 할 수 있을 것이다.
더 나아가, 도면은 일측 유닛(100) 및 타측 유닛(200)을 결합하면 공기의 통로로 사용될 수 있는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으나, 반대로 개구부가 형성되지 않은 부분을 일측 유닛(100) 및 타측 유닛(200)으로 정의할 수도 있음을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간 분리 구조체(10)는 제작의 관점을 자유롭게 할 수 있는 장점 또한 가지고 있으므로, 제조자는 비용, 효율성, 심미적 요소 등 자신의 필요에 따라 부분을 결합하여 전체를 만드는 방법 뿐 아니라 전체에서 부분을 제거하는 방법 또한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조자는 비슷한 디자인을 결합 방식 및 제거 방식으로 둘다로 제조하여 고가 제품 및 저가 제품을 동시에 공급할 수 있다는 장점을 누린다.
또한 제조자는 일측 유닛(100) 및 타측 유닛(200)의 형태 및 크기, 개구부의 크기 등 물체 및 파동의 교류에 영향을 미치는 한가지 이상의 요소를 사용자가 변경할 수 있는 수단을 더 제공할 수도 있으며, 더 나아가 이러한 제어 수단의 제공 여부에 따라 고급형 제품과 보급형 제품을 좀더 다양하게 제공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일측 유닛(100), 타측 유닛(200), 또는 둘다의 볼록한 정도를 제어할 수 있는 제품을 좀더 고가에 공급할 수 있으며, 상기 기능에 더하거나 상기 기능 없이 곧 설명할 재질의 투명도를 제어할 수 있는 제품을 좀더 고가에 공급할 수 있을 것이다. 즉, 본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간 분리 구조체(10)는 매우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에게는 좀더 다양한 선택지를 제공하고, 공급자에게는 좀더 쉽게 시장을 다각화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는 장점이 있다.
이는 구조 및 기능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간 분리 구조체(10)의 각 유닛의 다양한 형태의 구조들은 하나 이상의 재질로 구성될 수 있으며, 재질의 제한을 받지 않는다.
예를 들어, 각 유닛의 세부 구조는 견고함 및 수명을 늘리기 위한 강화 구조, 예컨대, 유닛의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유닛이 바람에 의해 손상을 입는 것을 막아주는 테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이러한 강화 구조는 유닛과 동일 재질이거나 상이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또다른 예로, 각 유닛의 여러 레이어(층)에 각각 다른 재질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간 분리 구조체(10)를 창에 사용하되, 창문(600) 없이도 빗물이나 눈의 실내 유입을 막으면서 공기와 바람은 통하게 하는 전술한 기능에 더해, 커튼이나 블라인드를 사용할 때와 같은 조망에 방해를 받는 불편을 겪지 않기를 원하고, 그러면서도 자외선의 실내 유입은 차단해주기를 원하며, 여름에는 실외의 뜨거운 열이 실내로 들어오는 것을 막고 겨울에는 실내의 따뜻한 열이 실내로 누출되는 것을 막을 수 있는 단열 기능을 원하는 경우를 생각해보자.
조망에 방해를 받지 않기 위해 각 유닛의 기본 재질로 투명, 반투명 또는 투명하게 변할 수 있는 물질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투명도가 높은 플라스틱이나 유리 등은 투명하면서 물을 통과시키지 않으므로 각 유닛의 기본 재질의 후보가 될 수 있다.
다음, 자외선을 차단하기 위해서는 기본 재질 자체를 자외선을 차단하는 성질이 있도록 가공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자외선 차단 잉크를 도포하거나 자외선 차단 필름을 덧붙이는 등 해당 기능이 있는 레이어를 추가하는 것이 더 저렴하고 유지보수 또는 사용 기술 변경 또는 기능 추가가 쉬울 수 있다. 예를 들어, 필름을 사용하는 경우 처음에는 저렴하지만 차단율이 낮고 수명이 짧은 필름을 사용하다가 이후 좀더 차단율이 높고 수명이 길며 비산 방지 등 다른 기능까지 가지고 있는 필름으로 바꿀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이 공급자는 투명하게 변할 수 있는, 즉, 가시광선 차단율을 변화시킬 수 있는 재질을 사용한 제품을 좀더 고가에 공급할 수 있다. 여기에 더해 자외선 차단율까지 변화시킬 수 있는 재질을 사용한 제품을 좀더 고가에 공급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은 예를 들기 위한 것에 지나지 않을 뿐으로, 조망을 제공하기 위한 구조 및 재질, 가시광선 또는 자외선을 차단하기 위한 구조 및 재질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는다(설명을 위해 몇가지 추가적인 예 후술함). 마찬가지로, 단열 기능 또한 공기층 등의 또다른 레이어를 추가하여 달성할 수 있으나, 이 또한 예를 들기 위한 것일 뿐 여기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때 각 유닛의 레이어들은 전체 면적의 일부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공기층은 에어캡(일명 뽁뽁이)처럼 여러 개의 작은 공간에 형성시키는 것이 하나의 큰 공간에 형성시키는 것보다 저렴하면서도 효율적일 수 있다. 또는 이러한 레이어들을 각 유닛별로 다르게 구성할 수도 있다. 즉, 각 유닛은 재질이나 형태 및 구조, 크기가 서로 다르게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든 일측 유닛(100)의 외면에는 타측 유닛(200)에는 없는 차광 레이어를 추가할 수 있으며, 또는 일측 유닛(100)과 타측 유닛(200)의 구분 없이 교대로 건너뛰는 등의 패턴에 따라 또는 임의의 선택에 따라 선택된 유닛에만 차광 레이어를 추가할 수 있다.
이러한 유연한 구성은 예를 들어, 사용하면서 필요에 따라 차광의 정도를 쉽게 조절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예컨대, 겨울에는 모든 유닛에서 차광 레이어를 제거하였다가, 여름이 가까워지면서 차광 레이어를 부착한 유닛의 수를 늘릴 수 있다. 또는 아침에는 차광을 줄이고 낮에는 늘릴 수도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간 분리 구조체(10)는 하나 이상의 유닛에 차광 레이어를 탈부착하기 용이하게 해주는 부가적인 구조나, 차광 레이어를 걷어두거나 말아두거나 차광 효과가 가장 적은 각도로 회전시켜두는 구조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간 분리 구조체(10)는 필요에 따라 부가적인 구조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술한 바와 같은 각 유닛의 볼록한 정도를 필요에 따라 동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구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간 분리 구조체(10)는 각 유닛 자체의 탈부착이 용이하도록 구성되거나 확장이 용이하도록 유연하게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간 분리 구조체(10)는 하나 이상의 유닛 자체에 대해 전체 또는 일부를 접거나 말거나 길이를 조정하거나 회전시키거나 이동시키거나 탈부착하거나 곡률을 변화시키는 등의 변형 제어를 가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수단을 더 제공할 수 있다. 이는 물체 및 파동에 대해 추가적인 제어 및 심미적인 요소를 사용자에게 더 제공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공간 분리 구조체(10)를 창의 하단에만 사용하였다가 창 전체에 사용할 수 있다. 또는 창의 하단에는 작은 크기의 유닛들을 사용하고 창의 상단에는 큰 크기의 유닛들을 사용할 수도 있다. 또는 큰 문에 사용하던 유닛들의 일부를 작은 창에 사용할 수 있다. 물론 유닛의 개수나 전체 구조체의 크기가 고정되어 변경할 수 없는 구조로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구성은 유연성과 확장성이 없는 대신 전체를 한번에 제작할 수 있다는 등의 장점으로 인해 비용을 줄일 수 있으며, 전체 구조체를 좀더 견고하게 만들기 더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다른 예로, 사용자는 하나 이상의 유닛을 다른 디자인, 다른 색깔, 다른 크기, 다른 재질 등 다른 특성을 갖는 유닛으로 교체하여, 자신의 심미적인 취향에 맞게 커스터마이징(customizing)할 수 있다. 색깔을 예로 들면, 사용자가 자신의 공간 분리 구조체(10)를 창에 설치하되, 실외에서는 하얀색으로 보이면서 실내에서는 태극기 모양으로 만들고 싶다고 가정했을 때, 사용자는 흰색, 검은색, 파랑색, 및 빨간색 계통의 유닛들을 결합하여 자신만의 공간 분리 구조체(10)를 만들어낼 것이며, 자신의 물건을 스스로 디자인하여 남들과 다른 자신만의 것으로 만들어냈다는 만족감을 느낄 것이다. 게다가 필요할 때마다 다시 디자인하는 것도 용이하다. 이는 싫증을 쉽게 내는 사용자를 머물러 있게 하는 장점이다. 더구나 사용자는 새로운 색깔의 유닛이 필요하여 추가로 유닛을 더 구매할 가능성이 높으므로 공급자는 충성도 높은 고객을 더 오랫동안 확보할 수 있다.
더구나 이를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간 분리 구조체(10)에 의해 분리되는 공간 사이의 물체 및 파동의 교류를 정적 또는 동적으로 더 잘 제어하면서 달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사용자는 같은 색깔, 같은 디자인이어도 여러 재질의 유닛을 구매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는 사용자 입장에서도 공급자 입장에서도 전술한 장점들을 한층 더 강화시킨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간 분리 구조체(10)는 전술한 바와 같은 유닛 내 구조 및 유닛 자체 뿐 아니라 구조체 자체에 대해서도 변형에 대한 제어를 가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수단을 더 제공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간 분리 구조체(10)는 개념적으로 프렉탈 구조를 떠올릴 수 있다. 구조체의 각 계층마다 변형 제어 수단이 더 제공될 수 있다. 단, 각 계층마다 제공될 수 있는 변형 제어 수단은 서로 독립이다. 예를 들어, 전체 구조체(10)에는 종래의 롤스크린처럼 말아올릴 수 있는 제어 수단이 제공되고(1개 제공), 각 유닛(100, 200)에는 가로 방향으로 접어두거나 펼칠 수 있는 제어 수단 및 곡률(볼록함의 정도)을 변경할 수 있는 제어 수단이 제공되며(2개 제공), 일측 유닛(100)의 추가 구조물인 차광 레이어(미도시)에는 탈부착할 수 있는 제어 수단이 제공되며(1개 제공), 타측 유닛(200)의 추가 구조물인 공기층(미도시)에는 아무런 제어 수단이 제공되지 않도록(0개 제공) 구성될 수 있다. 물론 이는 설명을 위한 예일 뿐 여기에 구성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각 계층에서의 변형 제어가 본 명세서에 기술되어 있는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주의해야 한다.
공급자는 이러한 각 계층의 변형 제어 수단에 하나 이상의 종래 기술을 응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공간 분리 구조체(10)를 접거나 말거나 탈부착할 수 있다. 이는 종래의 커튼, 발, 블라인드 등의 창 가림막에도 있는 기능이므로 제어 기능 자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단, 고려할 점은 있다. 설명을 위해 한가지 예를 들자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간 분리 구조체(10)를 창에 설치하여 필요에 따라 종래의 창 가림막처럼 한쪽으로 치워두기를 원할 경우, 창 위쪽보다는 창 아래쪽에 위치하게 두는 것이 일반적으로 더 나을 것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창 위쪽을 빈 공간으로 두어 조망과 통기성을 확보하되, 창 아래쪽에서는 공간 분리 구조체(10)가 빗물과 같은 원치않는 물체 및 파동을 막아주도록 구조체(10)의 일부 또는 전부를 접거나 말아둘 수 있는 수단을 원할 것이며, 되도록 창 하단에서도 통기로가 확보될 수 있도록 개구부는 유지되기를 원할 것이다. 그러나 이는 상황 및 필요에 따라 다르며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간 분리 구조체(10)를 위한 변형 제어 수단이 매우 다양하여 모두 설명할 수 없으므로 각각에 대한 도면 및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나, 종래 기술을 공간 분리 구조체(10)의 필요에 맞게 응용하여 변형 제어 수단을 제공할 수 있음을 보이기 위한 예일 뿐이다. 물론 본 발명은 종래의 창 가림막이나 종래의 파티션, 병풍 등과 같은 구조체들과는 다르므로, 종래의 기술을 단순 결합하는 것만으로는 제공하기 불가능한 제어 수단들이 있다. 그러나 그러한 변형 제어 수단 각각의 구체적인 내용은 본 명세서의 범위를 벗어나므로, 추후 다른 명세서에서 다루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간 분리 구조체(1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연결부(400)를 통해 다른 구조물에 설치되거나 탈착 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으며, 상술한 변형 제어 수단과 마찬가지로 종래 기술을 응용하거나 새로운 기술을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는 종래 기술을 응용하는 몇가지 예를 설명한다. 여기에서 연결부(400)는 공간 분리 구조체(10)를 타 구조체 또는 공간에 설치 또는 부착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서로 붙어있거나 떨어져있는 구성 요소들을 통틀어 지칭하는 의미로 사용되었으며, 전술한 바와 같이 연결 구조 자체 뿐 아니라 전체 구조체(10)의 틀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렇게 공간 분리 구조체(10)를 설치하거나 부착하기 위한 구조도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다.
창에 설치할 때를 예로 들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간 분리 구조체(10)는 종래의 병풍이나 공간 파티션처럼 창 근처의 바닥에 스탠드를 사용하여 세워둘 수 있다. 또는 창 근처의 벽에 설치 또는 부착될 수 있으며, 이러한 설치 또는 부착에는 커튼이나 블라인드, 롤스크린, 차양 등 종래의 창 가리개에서 사용되는 방법 등의 다양한 구조가 사용될 수 있다. 종래의 공간 파티션이나 창 가리개에서 사용되는 연결 구조를 사용하면 설치 비용이 저렴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간 분리 구조체(10)는 종래의 방충망처럼 창문(600)의 외부에 위치하도록 설치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은 창문(600)을 열고 닫을 때 사용자가 공간 분리 구조체(10)의 존재를 의식하지 않아도 된다는 장점이 있다.
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간 분리 구조체(10)는 창틀 내 또는 창 근처의 벽에 설치된 전용 레일을 통해 종래의 슬라이딩형 창문처럼 열고 닫을 수 있게 설치되거나 또는 창 근처의 벽에 힌지를 사용하여 설치하여 종래의 여닫이형 창문처럼 여닫을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은 사용자가 번거로운 탈부착 과정 없이도 공간 분리 구조체(10)를 사용하거나 사용하지 않음을 필요에 따라 선택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도면은 전술한 바와 같이 각 유닛이 중첩되는 부분(100A, 200A)이 있게 교차 배치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중첩되는 부분(100A, 200A)의 크기 또한 사용 환경 및 목적에 맞게 선택될 수 있다. 각 유닛이 교차 배치될 때 더 많은 부분이 중첩될수록 물체 또는 파동이 분리된 공간을 오고가기 위해 이동해야 할 통로의 길이가 늘어나기 때문이다(도 3 참조). 예를 들어, 통기량을 늘리고 싶다면 좀더 적은 부분만 중첩되도록 할 수 있다. 반면, 중첩되는 부분(100A, 200A)을 줄이면, 바람이 강한 환경에서는 너무 많은 바람이 유입될 수 있으며, 먼지가 함께 유입되거나 빗물 차단율이 낮아질 수 있고, 공간 분리 구조체(10)가 바람에 의해 손상을 입을 가능성이 높아질 수도 있으므로, 중첩량은 필요 및 사용 환경에 맞게 적절하게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찬가지로 중첩되는 부분(100A, 200A)의 형태 또는 구조도 선택할 수 있다. 도면의 실시예는 일측 유닛(100)과 타측 유닛(200)의 크기 및 일측 유닛(100)의 중첩 부분(100A)와 타측 유닛(200)의 중첩 부분(200A)의 크기가 동일하도록, 따라서 각 유닛에서의 중첩 부분의 비율이 동일한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각 유닛의 크기와 각 유닛에서의 중첩 부분 비율을 서로 다르게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특히, 공간 분리 구조체(10)의 전체 형태가 평면이 아닌 곡면일 때 유용할 것이다. 지금까지의 설명은 이해의 편의를 위해 전체 형태가 평면인 도 1의 창문(600) 대신에 사용할 때에 초점을 맞추었으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간 분리 구조체(10)의 용도는 여기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전체 형태 또한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앞서 각 유닛의 볼록함의 형태에 대해 설명할 때 언급한 것과 마찬가지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간 분리 구조체(10)의 전체 구조도 하나 이상의 평면 또는 곡면 또는 그 조합으로 이루어진 다양한 형태를 가지면서도 세부 구조를 가지는 것 또한 가능하다.
각 유닛이 중첩되는 방향 또한 필요에 맞게 선택할 수 있다. 특히 각 유닛을 어느 방향으로 중첩시키느냐에 따라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간 분리 구조체(10)에 형성되는 물체 또는 파동의 통로의 방향이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면의 실시예는 각 유닛이 교대로 배치되되, 가로 방향, 즉, 중력의 수직 방향으로만 중첩되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이러한 실시예는 창 또는 문에 세로 방향, 즉, 중력과 평행 방향으로 설치 또는 부착하여, 공기는 드나들게 하되 눈비의 실내 유입은 방지하고자 할 때 유용하다. 가로 방향으로 중첩되는 부분(100A, 200A)에 의해 형성되는 간접 통로는 중력의 방향, 즉, 물이 낙하하거나 흐르는 방향과 수직 방향이기 때문에, 중력에 의해 이동하는 물이 간접 통로를 통해 실내로 유입되지 못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각 유닛은 간접 통로의 입구가 형성되도록 가로 방향으로는 개방되나, 세로 방향으로는 유닛 결합부(300)를 통해 결합된다. 이는 전술한 바와 같이 목적 및 사용환경에 따라 선택되는 설계 고려 사항이며, 여기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가로 방향과 세로 방향의 유닛 배치 형태 또한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시되어 있는 실시예에서는 일측 유닛(100)과 타측 유닛(200)이 가로 방향으로 교대로 배치되는 동시에 세로 방향으로도 번갈아 배치되고 있다.
예를 들어, 도 4의 세번째 도면의 최좌측에 보이는 유닛이 가로 방향으로 중첩되지 않는 부분에서는 상단의 첫번째 유닛인 일측 유닛(100)과 하단의 첫번째 유닛인 타측 유닛(200)이 유닛 결합부(300)를 통해 결합되고 있고, 그 우측에 보이는 유닛이 가로 방향으로 중첩되는 부분(100A, 200A)에서는 상단의 첫번째 유닛인 일측 유닛(100)과 하단의 첫번째 유닛인 타측 유닛(200) 뿐 아니라 상단의 두번째 유닛인 타측 유닛(200)과 하단의 두번째 유닛인 일측 유닛(100)도 유닛 결합부(300)에서 결합되고 있다.
유닛 결합부(300)의 형태 또한 다양하게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예에서 유닛 결합부(300)는 선의 형태를 보이고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는 유닛 결합부(300)에서 위 아래 유닛들이 서로 만나 상단과 하단에 각각 형성된 간접 통로들의 상하단 연결이 완전히 차단된다. 따라서 예컨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간 분리 구조체(10)가 창에 쓰일 경우, 상단의 간접 통로에 빗물이 유입되더라도 이는 하단의 간접 통로로 갈 수 없으며, 도 2 및 도 3을 통해 설명한 원리에 따라 외부 공간으로 배출된다.
여기서 선이라 함은 개념 이해의 편의를 위해 단순화한 용어에 불과함을 주의해야 한다. 유닛 결합부(300)는 전체 구조가 직선 또는 곡선 또는 그 조합의 형태로 각 유닛을 결합하되, 그 체결 방법 및 형태는 다양할 수 있으며, 다양한 세부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유닛 결합부(300)는 각 유닛을 일체 성형으로 결합하거나 반영구적 체결 요소를 통해 결합하거나 또는 각 유닛을 착탈 가능하게 구성한 체결 구조를 통해 결합할 수 있다. 이는 이후 기술하는 다른 형태의 유닛 결합부(300)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또다른 실시예에서는 유닛 결합부(300)가 개방된 형태를 갖는다. 즉, 각 유닛은 유닛 결합부(300)에서 서로 접촉하지 않으며 서로 떨어져 있으므로, 상단과 하단에 각각 형성된 간접 통로가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이는 물체 또는 파동의 분리된 공간간 교류를 더욱 원활하게 하는 장점이 있는 반면, 차단을 원하는 물체 또는 파동의 차단율이 낮아질 수 있다는 단점도 있다. 예를 들어, 창에 사용될 경우 이러한 구성은 통기율을 높일 수 있으나, 빗물이 다소 유입될 수도 있다.
그러나 이러한 위험은 상단과 하단 사이에 거리를 둠으로써 감소시킬 수 있다. 이렇게 서로 떨어진 상단과 하단을 결합하는 유닛 결합부(300)는 일측 유닛(100)의 일측면과 타측 유닛(200)의 타측면을 가로로 연장하여, 이렇게 가로로 길게 형성된 유닛 결합부(300)의 양 경계면에 의해 상하단의 연결 통로가 일측 공간 또는 타측 공간 또는 둘다로부터 분리되게 한다. 따라서 빗물은 유닛 결합부(300)를 통해서는 유입되지 않으며, 상단의 간접 통로에 유입되어 있는 빗물도 유닛 결합부(300)의 양 경계면에 의해 실내로 유입되는 것이 차단되며 경계면을 타고 흘러내리거나 다른 면에 반사되는 과정을 거쳐 하단의 간접 통로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러한 구성은 각 유닛을 가로 방향으로뿐만 아니라 세로 방향으로도 중첩시킨 구성으로 볼 수도 있다. 가로 방향 뿐 아니라 세로 방향으로도 개방되며, 도 4를 통해 전술한 선 형태의 실시예에서와 달리, 각 유닛은 가로 방향으로의 가장자리 뿐 아니라 세로 방향으로의 가장자리도 서로 떨어져 있게 된다.
또다른 실시예에서는 유닛 결합부(300)가 차단막 형태를 갖는다. 이러한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선형 유닛 결합부(300)의 변형 또는 개방형 유닛 결합부(300)의 변형으로 볼 수 있다. 각 유닛은 개방형에서와 같이 가로 방향으로의 가장자리 뿐 아니라 세로 방향으로의 가장자리도 서로 떨어져 있게 되지만, 선형에서와 같이 가로 방향으로만 개방되고 세로 방향으로는 개방되지 않는다.
또한 차단막형인 경우에도 상단과 하단 사이에 거리를 둘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은 상하단 사이에 거리를 둔 개방형 유닛 결합부(300)의 경우보다 통기율은 조금 낮을 것이나 빗물의 유입을 더욱 효과적으로 차단할 것임을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단과 하단, 일측단과 타측단 뿐 아니라 양 옆단까지 밀폐시킨 밀폐형 차단막형인 경우는 공기층을 제공한다는 장점이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공기층을 두면 공간간 열의 교류를 차단할 수 있다. 여름에는 실외의 뜨거운 열이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겨울에는 실내의 열이 실외로 유출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유닛 결합부(300)를 이렇게 공기층이 형성되도록 구성한다는 것은 상대적으로 크고 두꺼운 공기층을 다수개 제공한다는 의미이므로 열차단에 좀더 효과적일 수 있다. 추가적으로 유닛 결합부(300)에 열차단 효과를 더 높일 수 있는 재질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도 처음부터 유닛(100, 200)과 다른 재질을 사용할 수도 있고 기능성 재질을 덧붙여 사용할 수도 있다.
상단과 하단에는 차단막을 제공하되, 일측단, 타측단 및 양옆단 중 하나 이상은 개방하거나 작은 구멍 등을 하나 이상 두어 완전히 밀폐하지 않은 개방형 차단막형도 가능하다. 이러한 구조는 상단과 하단간 거리, 즉 유닛 결합부(300)의 높이를 동적으로 조절하기에 좀더 적합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유닛 결합부(300)의 높이를 조절하면 유닛(100, 200)의 볼록한 정도까지 조절될 수도 있다. 이는 유닛(100, 200)이 형성하는 통기로의 크기가 조절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유닛 결합부(300)가 지나치게 높아지지 않게 주의하면 전체 통기성을 높일 수 있다.
차단막의 형성각을 조절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빗물, 자외선 등이 차단막에 부딪혔을 때 좀더 효과적으로 외부 공간으로 튕겨 나가도록 차단막(특히 상단, 즉, 유닛(100, 200)의 하부쪽에 위치한 차단막)을 수평보다 기울여 형성할 수도 있다.
즉, 유닛 결합부(300)의 형태는 크게 선형, 개방형, 및 차단막형으로 분류할 수 있으나, 그 세부 구조 또한 필요 및 사용 환경에 따라 다양하게 선택할 수 있으며, 구체적인 체결 구조 또한 다양하게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유닛 결합부(300)의 형태는 상하단간의 개방 여부, 결합되는 유닛 가장자리간 거리, 상하단간 거리 등의 기준에 의해 분류할 수 있음을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선형, 개방형, 차단막형으로 분류하는 경우, 세부 구조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는 통기율은 개방형>차단막형>선형, 물 차단율은 선형>차단막형>개방형일 것임을 쉽게 예상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세가지 형태로 프로토타입을 제작하여(유닛 크기, 중첩비율, 간접 통로의 지름(볼록 정도), 재질 등의 다른 요소도 다양하게 변형) 비바람 차단율을 테스트한 실험 결과, 개방형도 만족스러운 차단율을 제공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014년 7월 22일 서울은 16.5mm, 23일 55mm, 24일 48mm, 25일 50mm로, 4일간 총 169.5mm의 강수량을 기록했으며, 특히 25일밤에는 초속 22.5m의 강풍이 불었으나, 세가지 프로토타입의 공간 분리 구조체(10) 모두 실내로 빗물이 유입되지 않음이 확인되었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일상 생활에서 사용자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간 분리 구조체(10)를 설치하면 비바람이 불 때 창을 열어두더라도 빗물의 피해를 입지 않을 것임을 확신할 수 있을 것인지에 초점을 맞추어 테스트를 진행했다. 우선, 공간 분리 구조체(10)를 설치한 창 주위에 흡수율이 높으며 물이 닿으면 시각적으로 쉽게 알 수 있는 종이를 놓아두었는데, 상기 종이 및 창 주위 벽, 바닥, 물건들 모두 시각적으로도 물이 튄 흔적이 없고 촉각적으로도 뽀송뽀송한 상태를 유지하였다. 또한 이에 더해 시간, 위치 및 날씨 변화에 따른 빗물 유입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공간 분리 구조체(10)의 각 개구부 가까이에 일정 시간마다 손을 가져다 대었는데, 어느 개구부에서도 단한번도 한방울의 빗물도 감지되지 않았다. 차단율 100%이므로 테이블이나 그래프는 생략한다.
본 명세서는 설명 및 이해의 편의를 위해 창에 중력과 수직인 방향으로 설치하여 공기를 통과시키고 물을 차단하는 실시예에 초점을 맞춰 설명하였으며, 이를 설명하는 데 용이한 용어를 사용하였으나, 본발명이 여기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전술한 설명에서 상단과 하단, 수평 등의 용어는 공간 분리 구조체(10)를 중력과 수직인 방향으로 설치하였을 때를 가정하여 사용되었다.
이해를 돕기 위해 한가지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간 분리 구조체(10)는 샤워 커튼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샤워시 시야는 가려주고 물이 튀는 것은 막아주면서도 습기는 즉시 배출시켜주므로, 잘못 관리하면 습기로 인한 피해를 입기 쉬운 공간인 욕실을 좀더 용이하게 효과적으로 건조하게 유지할 수 있다. 특히 외부인이 엿볼 수 있는 위치에 창이 있는 욕실인 경우 더욱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간 분리 구조체(10)는 분리할 수 있는 공간에 제한이 없다. 실내 공간 뿐 아니라 실외 공간을 분리하는 용도로도 사용할 수 있으며, 수납장 안, 캐비넷 안, 서랍 안, 옷장 안, 냉장고 안, 상자 안, 가방 안 등 이미 분리된 공간을 다시 분리하는 용도로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과일이나 야채 등 통기성이 중요한 상품을 보관 또는 운반하기 위한 상자에 사용하면 유용할 수 있다. 특히 운반용에 사용될 때는 유닛 결합부(300)를 밀폐형 차단막 형태로 구성하면 충격 흡수 기능까지 제공할 수 있으므로 별도의 충격 흡수재에 지출하지 않아도 된다는 장점이 있다.
과일 상자의 바닥, 벽, 천장 중 하나 이상의 내벽에 놓아 충격으로부터 과일들을 보호하기 위한 용도로도 사용될 수 있는데, 이것은 충격 흡수재 내지 내포장재로 쓰인 것이다. 종래의 합성 충격 흡수재는 통기성이 좋지 않아 내벽을 모두 감싸기에는 무리가 있었고, 대신 쓰이는 신문지는 충격 흡수 성능이 충분하지 않았다. 게다가 전자는 내용물로부터 발생하는 수분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데 문제가 있고, 후자는 비나 눈 등 외부로부터의 액체의 침입을 막는 데 문제가 있다. 따라서 과일이나 야채를 택배로 배달받았을 때 물러져있거나 깨져 있거나 썩어 있는 경험을 꽤 자주 하게 된다. 소비자는 당연히 이런 경험을 좋아하지 않으므로, 공급자는 늘 고객을 잃을 위험에 처해있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간 분리 구조체(10)는 통기성과 습기 조절, 충격 흡수 성능이 모두 뛰어나므로, 이러한 위험을 현저히 줄일 수 있다.
또한 과일들을 분리 배치하기 위해 사용될 때는 칸막이 및 충격 흡수재를 넘어 소비자에게 매력적으로 다가가기 위한 포장재의 용도까지 가질 수 있다. 다양한 디자인을 쉽게 구현할 수 있으며, 고급 포장지 못지 않게 매력적인 디자인을 구현할 수 있어, 상자에서 꺼내 가게에 전시할 때도 포장을 바꾸지 않아도 되므로 저렴한 비용으로 상품의 가치를 더 높일 수도 있다.
전술한 설명들로부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간 분리 구조체(10)는 목적 및 용도가 공간 분리에 한정되지 않음을 쉽게 알 수 있다. 또한 실용적인 목적보다 심미적, 오락적인 목적에 더 중점을 둔 용도로도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간 조형물에 활용될 수 있으며, 광고 및 홍보를 위한 구조물에도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다양한 용도와 목적만큼 다양한 구조와 디자인, 재질이 사용될 수 있다.
이제, 본 발명에 따른 공간 분리 구조체(10)를 다른 구조물과 연결하는 방법, 공간 분리 정도 또는 공간간 물질(또는 물체), 파동, 또는 둘다의 이동 및 교류를 조절할 수 있는 방법 및 그에 사용되는 구조의 예를 도 5 내지 도 11을 통해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간 분리 구조체(10)를 측면에서 본 모습을 개념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간 분리 구조체(10)의 하나 이상의 일측 유닛(100) 및 타측 유닛(200)은 하나 이상의 유닛 결합부(300)에 의해 결합되어, 일측면(1110)과 타측면(1120)을 형성하며, 유닛 결합부(300)는 기울어진 차단막 형태의 구조를 사용하여 일측면(1110) 및 타측면(1120) 사이의 공간에 복수개의 층을 형성할 수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해 이하 기술에서 이러한 차단막 형태의 구조를 층간분리면(1130)으로 지칭한다. 일측면(1110)과 타측면(1120)이 개념적으로 지칭하는 것일 뿐 하나의 평면이 아니듯, 전술한 설명들에서도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층간분리면(1130) 또한 개념적인 용어이고 도 5에 도시된 실시예는 이러한 개념을 단순화시켜 도시한 것일 뿐, 그 형태 및 구조가 매우 다양할 수 있음(예: 임의의 복수개의 층간분리면(1130) 또는 유닛 결합부(300)의 기울어진 각도는 서로 동일 또는 상이할 수 있음, 층간분리면(1130) 또는 유닛 결합부(300)는 복수겹의 구조일 수 있음 등)을 주의해야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층간분리면(1130)을 특정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구성하면, 그 자체가 목표 물질 또는 파동의 공간간 이동 및 교류를 좀더 잘 조절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더 나아가 도 6에서 후술하는 실시예에서 말림과 풀림이 더 원활하고 안정적일 수 있다는 장점도 가질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간 분리 구조체(10)는 좀더 안정적이게 하며 다른 구조물과의 연결을 좀더 용이하게 하는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간 분리 구조체(10)는 측면에서 봤을 때 공간 분리 구조체(10)의 일측면(1110)과 타측면(1120)을 삼각형의 형태(개념적)로 모아주는 제 1 상단(1140)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또한, 삼각형의 일측면(1110)과 타측면(1120)을 하나의 면의 형태(개념적)로 모아주는 제 2 상단(11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도면에서 제 2 상단(1150)이 이동봉(7200)을 감싸는 방향의 곡면으로 도시되어 있는 이유는 도 6에서 후술함). 이러한 구성은 공간 분리 구조체(10)의 윗 부분을 다른 구조물에 안정적이고 원활하게 연결하게(예: 매달기, 걸기, 부착하기, 도 6의 실시예 등) 해주고, 사용중 공간 분리 구조체(10)가 안정적으로 유지되게 해줄 것임을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나, 그 구조나 방법이 여기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도 주의해야 한다. 예를 들어, 상단(1140, 1150) 일부 또는 전부의 재질은 공간 분리 구조체(10)의 다른 부분과 동일 또는 상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간 분리 구조체(10)의 하단(1160)은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층간분리면(1130)으로 연결되지 않을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일측면(1110), 타측면(1120) 또는 둘다가 길게 늘어질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은 공간 분리 구조체(10)의 밑 부분을 다른 구조물에 안정적이고 원활하며 유연하게 연결할 수 있게 해준다. 그 이유 중 두가지는 다른 구조물과 접촉할 수 있는 면적이 늘어나며, 더구나 다른 구조물을 감싸는 안정적인 형태로 접촉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도면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하단(1160)은 일측면(1110), 타측면(1120) 및 층간분리면(1130) 모두를 다른 구조물과의 체결에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일실시예에서 이들 중 일부 또는 전부의 되도록 많은 면적을 체결에 사용할 수 있다. 반대로 공간 분리 구조체(10)의 다른 부분을 고정 또는 체결하고 하단(1160)은 다른 구조물과의 직접적인 체결 없이 사용하더라도, 하단(1160)의 구조 덕분에 공간 분리 구조체(10)는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을 것임을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하단(1160)은 다른 구조물을 감쌀 수도 있고, 더 나아가 해당 구조물을 감싸는 정도를 사용자가 쉽게 조절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하단(1160)은 배치된대로 유지될 수 있도록 중력의 도움을 받기 위한 구조(예: 추 등의 무거운 물질 또는 물체)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하단(1160) 일부 또는 전부의 재질은 공간 분리 구조체(10)의 다른 부분과 동일 또는 상이할 수 있다. 이상 하단(1160)이 채택할 수 있는 구조 및 그 장점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하단(1160)의 구조나 방법이 여기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주의해야 한다. 예를 들어, 하단(1160)은 전술한 상단(1140, 1150)과 유사한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는 하단(1160)은 다른 구조물에 끼워지거나 다른 구조물이 하단(1160)에 끼워지는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간 분리 구조체 구동부의 일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공간 분리 구조체(10)는 공간을 일측과 타측으로 분리하고 일측 공간과 타측 공간간 교류를 제어하는데, 경우에 따라서는 전체 중에서 일부만을 분리하고 싶을 때가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공간 분리 구조체(10)가 창에 사용되어 실외와 실내의 교류를 제어하고 있을 때, 때에 따라서는 창 전체를 덮어 실외와 실내를 완전히 분리하고, 때에 따라서는 창의 일부만을 가리게 할 수 있다면 더욱 편리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공간 분리 구조체(1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방법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창에 사용되는 경우, 종래의 커튼, 블라인드, 롤 스크린 및 기타 쉐이드처럼 창틀 또는 창 주위의 벽 또는 천장(500)에 설치될 수도 있고, 아예 창틀 또는 창문과 유사한 형태 및 기능을 갖도록 설치될 수도 있다. 또는 설치하려는 구조물과의 직접적 체결 없이, 스탠드형의 독립된 구조물로 설치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공간 분리 구조체(10)를 이용하여 공간 분리의 정도를 조절하는 방법 및 구조는 매우 다양하다. 예를 들어, 종래의 커튼처럼 옆으로 접히게 할 수도 있고, 블라인드처럼 위로 접혀올라가거나 롤 스크린처럼 위로 말려올라가게 할 수도 있다. 또는 창문처럼 전체가 레일을 따라 옆으로 이동하게 하거나 힌지에 의해 회전하게 할 수도 있다. 독립된 구조물로 사용되었을 경우에도 전체를 옆으로 치우는 등의 방법, 독립된 구조물 자체에 공간 분리 정도 조절 수단을 포함하는 방법, 다른 수단의 도움을 받는 방법 등 다양한 실시예를 채용할 수 있다.
본 명세서는 이 중에서 공간 분리 구조체(10)를 아래로 말려내려가게 하여, 위쪽 공간을 개방하는 방법 및 구조의 일실시예를 기술한다(아래쪽 공간을 개방하는 데에도 사용 가능). 종래의 일반적인 방법처럼 아래쪽 공간을 개방하는 대신 위쪽 공간을 개방하는 것은 여러 가지 장점이 있다. 특히 공간 분리 구조체(10)를 사용하여 빗물의 실내 유입에 대한 우려 없이 창문을 개방한 체로 외출하고 싶을 때, 빨래 건조 등의 이유로 공간 분리 구조체(10)가 창의 일부만을 분리하게 하고 싶다면, 공간 분리 구조체(10)가 창의 하부에 위치하게 하는 것이 낫다. 보통의 경우 빗물은 창의 하부로 유입되는 비율이 더 크다(특히 창이 지면이나 발코니 등 빗물이 반사될 수 있는 구조물과 가까이 위치해 있는 경우). 본 발명자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간 분리 구조체(10)를 몇년간 사용한 경험에 따르면, 폭풍우가 예보되어 있지 않은 이상 창의 하부에만 공간 분리 구조체(10)를 위치시키고 창의 상부는 개방하더라도 아무 걱정없이 외출할 수 있었다. 빗물의 유입에 따른 피해가 한번도 없었기 때문이다.
또다른 장점 중 하나는 겨울에 한기를 차단하기에 효과적이며 더불어 겨울에 부족할 수 있는 빛은 더 많이 유입될 수 있다는 것이다. 창으로 유입되는 한기만 잘 차단해도 난방 비용을 크게 줄일 수 있다는 점과 빛이 부족하면 우울증에 걸릴 수 있다는 점을 생각하면 이는 큰 장점이다. 여름에도 열기의 실내 유입 차단에(특히 창이 지면이나 발코니 등 열기를 방사하는 구조물과 가까이 있는 경우) 또는 반대로 열기의 실외 배출 또는 상대적으로 시원한 공기의 유입에 효과적인 경우가 많다.
또한 일반적으로 프라이버시 보호(즉, 가시광선의 실외 유출 차단)를 위해서도 창의 상부보다는 하부를 차단하는 것이 효과적일 것임을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외에도 여러가지 장점이 있으나 상술한 몇가지 이유만으로도 일반적으로 하부 개방보다는 상부 개방이 낫다는 것을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종래의 롤 스크린 등이 위로 말려올라가게 하는 방식을 사용하는 이유 중 하나는 아래로 말려내려가게 하는 것보다 훨씬 용이하기 때문일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간 분리 구조체(10)도 물론 전술한 바와 같이 위로 말려올라가게 하는 구조를 채용할 수도 있으나, 아래로 말려내려가게 하는 것은 빗물이나 열기, 한기, 외부의 시선(즉, 가시광선의 실외 유출) 등 원치않는 교류를 더 효과적으로 차단한다는 본 발명의 목적을 더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해서는 하부가 아닌 상부를 개방하는 것이 더 나을 수 있다. 따라서 단순한 구조로도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간 분리 구조체(10)를 아래로 말려내려가게 할 수 있는 구조의 발명이 필요하였다.
도 6은 그러한 구조의 일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는 개념적인 도시이며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도 있음을 주의해야 한다. 본 명세서의 모든 도면이 그러하다. 또한 본 명세서의 기술에서 공간 분리 구조체(10)는 구동부(700)나 연결부(400) 등을 포함 또는 사용하는 전체 시스템을 의미하기도 하고, 공간을 분리하여 공간간 교류를 제어하는 쉐이드 자체만을 의미하기도 한다(도 6의 기술은 후자로,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이다). 여기에서 '쉐이드'라는 용어는 본 명세서의 기술이 전술한 바와 같이 공간 분리 구조체(10)가 창에 사용되는 예를 중심으로 하고 있으므로, 커튼, 블라인드, 롤 스크린 등의 종래 쉐이드와 대응시켜 설명하기 위해 선택된 용어로, 이해의 편의를 위한 용어일 뿐, 공간 분리 구조체(10)가 이에 한정되지 않음을 주의해야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간 분리 구조체(10)는 구동부(700)에 의해 으로부터 아래로 말려내려가고 으로부터 풀리며 위로 복귀할 수 있다. 구동부(700)는 공간 분리 구조체(10)의 과 연결되어, 자신의 강하 이동 및 말림 방향 회전과 상승 이동 및 풀림 방향 회전에 의해 공간 분리 구조체(10)의 강하 이동 및 말림과 상승 이동 및 풀림을 유발하는 이동봉(7200)을 포함한다. 또한 구동부(700)는 장력 부재(7500)에 의해 이동봉(7200)과 연결되어, 사용자가 장력 부재(7500)를 잡아당김에 따라 유발되는 자신의 강하 방향 회전과 상승 방향 회전에 의해 이동봉(7200)의 강하 이동 및 말림 방향 회전과 상승 이동 및 풀림 방향 회전을 유발하는 구동봉(7100)을 포함한다.
구동봉(7100)의 양단은 반지름이 상대적으로 큰 부분(이하 대경부(7120))와 반지름이 상대적으로 작은 부분(이하 소경부(7130))가 대칭을 이루도록 나란히 배치되어 있는 구조이다. 도면은 이동봉(7200)의 공간 분리 구조체(10) 연결 부분과 대응되는 구동봉(7100)의 중앙 부분의 반지름이 소경부(7130)와 동일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도면은 대경부(7120), 소경부(7130), 소경부(7130), 대경부(7120)의 순서로 대경부(7120)가 바깥쪽에 위치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구동봉(7100) 양단의 각 대경부(7120)와 소경부(7130)에는 각각 하나씩의 장력 부재(7500)의 양단이 존재하며, 두개의 장력 부재(7500)는 분리되어 있지만 하나인 것처럼 같은 방향 및 방식으로 감겨있다. 즉, 도면에서 장력 부재(7500)는 좌측의 대경부(7120)의 시작점에서 좌측에서 보았을 때(이하 모두 같은 관측점 사용) 시계 방향으로 감겨 사용자측으로 나온 A 부분과 이동봉(7200)을 건 후 다시 뒷측으로 가는 B 부분으로 이루어진 고리를 형성한 후, 다시 소경부(7130)에서 시계 방향으로 감겨서 소경부(7130)의 끝점까지 간다. 우측은 소경부(7130)의 시작점에서 시계 방향으로 감겨 사용자측으로 나온 C 부분과 이동봉(7200)을 건 후 다시 뒷측으로 가는 D 부분으로 이루어진 고리를 형성한 후, 다시 대경부(7120)에서 시계 방향으로 감겨서 대경부(7120)의 끝점까지 간다.
즉, 구동봉(7100)의 양단은 대경부(7120)와 소경부(7130)는 서로 대칭이지만 장력 부재(7500)가 감기는 방향은 대칭이 아니라 양측이 동일하다. 이러한 구조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동부(700)의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킨다. 이에 대해서는 잠시 후 설명하고, 먼저 장력 부재(7500)에 대해 살펴보면, 장력 부재(7500)는 장력을 이용한 구동에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특정 재질 및 구조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장력 부재(7500)로 다양한 종류의 실, 로프, 케이블, 체인, 벨트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선택된 장력 부재(7500)에 따라 구동봉(7100), 이동봉(7200) 또는 둘다의 세부 구조가 달라질 수 있다. 장력 부재(7500)는 되도록 구동봉(7100) 및 이동봉(7200)과의 마찰력이 큰 재질 및 구조를 가진 것이 바람직하고, 이를 위한 세부 구조 또한 장력 부재(7500)를 밀착시켜 장력 및 마찰력이 구동력 전달을 도울 수 있게 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면은 장력 부재(7500)가 양단이 있게 한방향으로 감겨 있는 구조를 도시하고 있으나, 장력 부재(7500)의 양단을 연결하여 연속된 루프가 되도록 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그러한 구조는 도시된 실시예에 대해 장점을 가질 수 있으나, 원리가 동일하므로 설명 및 이해의 편의를 위해 도면과 같이 한쪽 끝에서 다른쪽 끝으로 감기는 형태의 실시예를 도시하였다.
도면은 이동봉(7200)에 전술한 세부 구조의 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동봉(7200)은 양단에는 구동봉(7100)과 연결시키는 장력 부재(7500)가 걸리는 영역이, 중앙에는 공간 분리 구조체(10)가 연결되어 말리거나 풀리기 위한 영역이 존재하므로, 서로의 영역을 침범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는 다른 방법으로도 해결할 수 있으나, 간단히 제 1 가이드(7220)와 같이 다른 부분보다 반지름이 큰 부분을 포함시키는 단순한 해결책을 채용할 수도 있다.
더 나아가 장력 부재(7500)가 이동봉(7200)에 밀착되어야 장력에 의해 회전 운동을 제대로 전달할 수 있으므로, 장력 부재(7500)의 일부 또는 전부가 이동봉(7200)을 벗어나 헐거워질 수 있는 경로를 차단하는 제 2 가이드(723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 1 가이드와 제 2 가이드는 장력 부재(7500)의 운동 부재를 크게 제한하지는 않으며, 지나치게 탈선하는 것만 막아주므로 단순한 구조를 유지할 수 있고 따라서 전체 이동봉(7200) 및 더 나아가 구동부(700), 장력 부재(7500), 연결부(400)가 지탱 및 구동해야 할 전체 대상의 무게를 가볍게 유지할 수 있다. 제 2 가이드를 장력 부재(7500)가 탈선할 수 있는 남은 부분인 이동봉(7200)의 해당 부분 하단에 위치시키면서, 다른 구조물을 방해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도면의 실시예는 이동축(7210)을 사용하였다. 이동봉(7200)은 구동봉(7100)에 연결된 장력 부재(7500)에 의해 지탱되므로 축(7210)은 필요하지 않을 수 있으나, 이동봉(7200)이 회전하더라도 회전하지 않는 이동축(7210)을 사용하여, 이동봉(7200)이 회전하더라도 제 2 가이드(7230)가 장력 부재(7500)를 방해하지 않게 하기 위함이다. 도시된 제 2 가이드(7230)는 실린더 형태이나, 너비가 제 1 가이드의 반경을 초과하지 않는 수평면의 형태가 더 바람직할 수 있다.
단, 제 1 가이드(7220) 및 제 2 가이드(7230)는 반드시 필요한 구조는 아니며, 특히 제 2 가이드(7230)는 구동부(700), 장력 부재(7500), 연결부(400)가 지탱 및 구동할 전체 대상의 무게가 최소 임계값을 넘어서는 경우에는 무게에 의해 밀착되어 필요한 구동력을 얻을 수 있으므로 채용하지 않아도 될 수 있다. 그러나 지탱 및 구동할 무게가 가벼운 것이 바람직하며, 제 2 가이드(7230)는 단순한 구조로도 장력 부재(7500)의 밀착을 도우므로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또한, 그에 따라 이동축(7210)은 세로 방향을 포함하는 ㄷ자 모양을 가지게 되므로, 이동봉(7200)의 운동 범위를 이후 기술하는 연결부(4210) 또는 은닉 구조(7400)를 사용하여 제한(예: 흔들림 없이 상하 운동 및 회전 운동)하려 할 때 레일 구조와의 연결이 더욱 부드러울 수 있다.
도면은 공간 분리 구조체(10)를 단순화시켜 도시하고 있는데, 사실 본 발명에 따른 구동부(700)의 사용은 본 발명에 따른 공간 분리 구조체(10)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종래의 커튼, 롤스크린 등은 물론 실 등 다른 물체에도 사용될 수 있다.
이제 구동봉(7100), 장력 부재(7500), 이동봉(7200) 및 공간 분리 구조체(10)의 상호 운동을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구동부(700)는 구동봉(7100) 자체도 장력 부재(7500)의 장력을 사용하여 구동한다는 특징을 갖는다. 도면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장력 부재(7500)의 장력을 이용하여 구동봉(7100)을 회전 구동하기 위해서는 고리, 즉, A, B, C, D 부분 중 하나(또는 둘)를 아래로 잡아당겨야 함을 알 수 있다. 장력 부재(7500)를 위로 잡아당기는 것은 구동봉(7100)을 회전 운동시킬 수 없음이 명백하므로, 이후 설명에서는 아래로 잡아당긴다는 기술은 생략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동봉(7100)의 양단은 대경부(7120)와 소경부(7130)는 서로 대칭이지만 장력 부재(7500)가 감기는 방향은 대칭이 아니라 양측이 동일하다. 따라서 구동봉(7100)에 장력 부재(7500)가 감기고 풀리는 관점에서 볼 때 동일한 동작을 유발하지만 사용자 입장에서 볼 때 앞측과 뒷측에 있는 2개의 쌍 A와 D, B와 C 부분이 존재하게 된다. B와 C를 아래로 당겼을 때의 동작은 A와 D를 아래로 당겼을 때의 동작을 이해하면 쉽게 알 수 있으므로, A와 D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A 부분의 장력 부재(7500)를 아래로 잡아당기면, 즉, A를 아래로 풀려 내리면, 구동봉(7100)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따라서 B와 C 부분은 위로 감겨 올라가고 D는 아래로 풀려 내려간다. 마찬가지로 D 부분의 장력 부재(7500)를 아래로 잡아당기면, 즉, D를 아래로 풀려 내리면, 구동봉(7100)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따라서 B와 C 부분은 위로 감겨 올라가고 A는 아래로 풀려 내려간다. 즉, A와 D는 구동봉(7100)의 회전 방향은 반대이지만 장력 부재(7500)의 이동 방향은 동일하다.
A와 D, B와 C는 각각 대경부(7120), 소경부(7130)에 연결된 부분이라는 공통점이 있다. 대경부(7120)와 소경부(7130)는 반지름 차이만큼 장력 부재(7500)가 감기거나 풀리는 정도가 서로 다르기 때문에, 대경부(7120) 중 하나에 연결된 A 또는 D를 아래로 잡아당기면, 즉, 두 대경부(7120)에 감긴 장력 부재(7500)를 풀면, 두 소경부(7130)에 장력 부재(7500)가 감기는 동시에, 고리, 즉, A, B, C, D 부분은 모두 길어지고, 따라서 이동봉(7200)은 하강한다. A, B, C, D 부분이 길어지는 이유는 구동봉(7100)을 한번 회전하였을 때 대경부(7120)에서 풀리는 만큼 소경부(7130)에 감기지 못하기 때문임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동봉(7200)의 회전 방향은 반대가 된다. A를 잡아당기면 이동봉(7200)이 구동봉(7100)과 같은 시계 방향으로, B를 잡아당기면 이동봉(7200)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따라서 이동봉(7200)에 제 1 상단(1140)이 도면과 같이 연결된 공간 분리 구조체(10)는 이동봉(7200)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때 감기고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때 풀리게 연결되어 있으므로, A를 잡아당기면 강하하면서 감기지만, D를 잡아당기면 강하하면서 풀리게 된다. 사용자측에 있는 것은 A이므로 사용자는 자연스럽게 A를 사용할 것이다.
이때, 지금까지의 가정처럼 공간 분리 구조체(10)의 하단(1160)을 설치하려는 공간의 하부에 고정시켰을 경우에는 A를 사용하여 하부로 말려내려가 상부 공간을 개방하게 할 수 있으나, 설치하려는 공간의 상부에 고정시켰을 경우에는 D를 사용하여 상부로 말려올려간 공간 분리 구조체(10)를 풀면서 개방된 하부 공간의 크기를 줄일 수 있다. 이는 종래의 블라인드과 유사하게 하단부터 말려올라가면서 창의 하부를 개방하는 효과를 주는 것이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구동부(700)는 구성 또는 사용하는 방법을 조금만 변형하면 쉽게 반대의 효과를 구현할 수 있으므로, 종래의 블라인드, 롤 스크린 등보다 구동부(700)의 구조가 훨씬 단순하면서도 종래의 블라인드, 롤 스크린 등이 제공하지 못했던 필요에 따라 2가지 개방 방향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을 제공한다. 즉, 본 명세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공간 분리 구조체(10) 또는 기타 쉐이드 등 대상을 아래 방향으로 보내는 동작을 가정한 상태로 기술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을 뿐 아니라, 사용자가 손쉽게 반대 방향으로 바꾸어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공간 분리 구조체(10)가 말리는 방향을 먼저 결정한 후 설치하는 것이 용이하다. 종래의 롤 스크린은 체인이나 실이 한쪽(일반적으로 오른쪽)에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말리는 방향(예: 바깥쪽으로 말리도록 생산된 제품을 안쪽으로 말리도록 회전하여 사용)을 바꾸고 싶어도 체인이나 실을 다른쪽으로 보냈을 때 안전상의 문제가 발생한다거나(예: 대형 창문의 오른쪽에 설치하는 경우 오른쪽에는 안전하게 고정할 벽이 있으나, 왼쪽에는 창문이 움직이는 부분이어서 체인이나 실이 창문에 걸리는 경우) 하는 이유로 바꾸는 데 제한이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구동부(700)는 좌측과 우측이 동일한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회전 후 사용이 자유롭다.
더구나 본 발명에 따른 구동부(700)는 이동 방향에 따른 장력 부재(7500)의 위치가 구분되어 있기 때문에, 종래의 블라인드처럼 실의 어느 쪽을 잡아당겨야 위로 올라가고 어느 쪽을 잡아당겨야 아래로 내려오는 것인지 매번 시행 착오를 거치는 불편함이 없다. 예를 들어, 도 6의 실시예는 좌측의 사용자측 장력 부재(A)를 당기면 공간 분리 구조체(10)가 아래로 내려가고, 좌측의 사용자측 장력 부재(C)를 당기면 위로 올라간다는 것을 사용자가 쉽게 학습하고 기억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구동부(700)는 종래의 쉐이드들보다 향상된 사용자 인터페이스(UI)를 제공한다.
더 나아가 이후 도면들을 통해 후술하는 구조를 더 사용하면, 본 발명에 따른 구동부(700)는 더욱 안전하고 편리하게 공간 분리 구조체(10) 또는 기타 쉐이드를 사용할 수 있게 해준다.
게다가 종래의 블라인드나 롤 스크린은 쉐이드 부분이 구동 구조가 들어있는 하우징과 일체형이고 하우징은 창의 윗부분에 고정되어 있으며 구동 구조가 복잡하여, 쉐이드 부분만 교체하거나 일부 부품이 고장났을 경우 교체가 어렵고 번거로우나, 본 발명에 따른 구동부(700)는 쉽게 공간 분리 구조체(10)(또는 다른 응용)를 분리할 수 있고, 공간 분리 구조체(10)가 연결된 부분을 창의 하단으로 쉽게 내릴 수 있으며, 구동부(700) 자체의 구조가 매우 단순하여 고장날 우려가 적고 고장나더라도 교체가 쉽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구동부(700)를 사용하면 계절에 따라 날씨나 기분 전환에 적합한 쉐이드로 자주 교체해줄 수 있으며, 별다른 전문 지식이나 기술, 복잡한 부품이 필요없으므로 스스로 할 수 있어 매우 경제적이다.
본 발명에 따른 구동부(700)가 이렇게 획기적으로 단순한 구조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은 쉐이드의 현재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구조를 더 제공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종래의 블라인드나 롤 스크린은 쉐이드를 올리기 위해 실이나 체인을 당긴 후 실이나 체인을 놓아 장력을 해제하면 중력에 의해 쉐이드가 다시 밑으로 내려가기 때문에, 해당 위치에 쉐이드를 유지시킬 잠금 구조가 추가로 더 필요하였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평소에는 잠금 구조가 기어의 움직임을 막고 있으므로 사용자가 실이나 체인을 조금 더 큰 각도로 들었다가 놓는 등의 의식적인 행동을 해야만 잠금 구조가 해제되어 블라인드나 롤 스크린의 수직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이는 구동 구조를 복잡하게 만들 뿐 아니라, 사용상의 불편함도 초래하며, 고장의 위험도 증가시킨다. 예를 들어 실이나 체인을 특정 방향으로 30도 들었다가 놓아야 잠금 구조가 해제되는데 사용자가 15밖에 들었다가 놓지 않거나 다른 쪽 방향으로 들었다가 놓는다면 잠금 장치는 해제되지 않으며, 사용자가 매번 다른 쪽 방향으로 들었다가 놓는다면 매번 비틀림 토크를 받게 되므로 구동 장치의 정렬이 어긋나거나 부품의 수명이 짧아질 가능성이 크다. 더구나 잠금을 해제시키는 행동 또는 제품마다 다르기 때문에, 사용자의 불편함과 고장의 위험이 더욱 증가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구동부(700)는 그러한 잠금 구조가 전혀 필요 없으며, 사용자는 단순히 좌측과 우측의 장력 부재(7500) 부분 중 하나(A 또는 C)를 선택하여 아래로 잡아당기기만 하면 된다. 비틀림 토크에 취약한 부품도 존재하지 않으며, 후술하는 구조를 더 사용하면 다른 방향으로 잡아당기지 않도록 가이드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구동부(700)가 별도의 잠금 장치를 필요로 하지 않는 이유는 대경부(7120)와 소경부(7130)의 반지름 차이가 그 역할을 해주기 때문이다. 이러한 구성이 하중을 끌어올린 위치에 유지시킬 수 있음은 중국 권양기(chinese windlass)라는 중국에서 사용되었던 권양기에서 이미 증명되었으므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른 구동부(700)는 이러한 원리를 이용하되, 크랭크 핸들을 없애고, 구동봉(7100)의 일단에 연결된 장력 부재(7500)의 장력이 구동봉(7100)을 회전시키고 이에 따라 구동봉(7100)의 타단에 연결된 장력 부재(7500)가 감기거나 풀리게 하는 식으로, 구동봉(7100) 자체의 구동에도 장력을 이용한다. 또한 구동봉(7100) 양단의 고리에 이동봉(7200)을 걸어서 장력 부재(7500)가 하중, 즉, 이동봉(7200)을 들어올리거나 내려보내는 것 뿐 아니라 회전시키기까지 할 수 있게 하였다. 또한 이동봉(7200)의 이동 및 회전이 공간 분리 구조체(10) 또는 기타 쉐이드 등의 대상을 이동시킬 뿐 아니라 용이하게 감아말고 풀리게 한다. 또한 구동봉(7100)과 이동봉(7200) 및 장력 부재(7500)의 상호 작용이라는 단순한 구조만으로 추가적인 잠금 장치 없이도 공간 분리 구조체(10) 또는 기타 쉐이드 등의 대상이 현재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도면을 보면, 구동봉(7100) 양단에 감긴 장력 부재(7500)의 길이는 일정하므로, 고리 부분(A, B, C, D)의 길이는 최소값과 최대값이 정해져 있다. 이는 공간 분리 구조체(10)의 세로 길이 및 공간 분리 구조체(10)를 사용하는 공간(예: 창, 문)에서 개방 및 분리하기를 원하는 공간의 세로 길이를 고려하여 정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구동부(700) 및 공간 분리 구조체(10)는 설치된 장소에서 일정 부분은 항상 개방하고 일정 부분은 항상 분리할 수도 있다는 장점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공간 분리 구조체(10)를 완전히 내렸을 때 창 하부의 1/4 정도는 항상 실내외 공간을 분리하는 상태로 있게 하고 싶을 수 있다. 이렇게 창 하부의 일정 부분은 항상 분리된 상태로 있게 하면, 사용자가 빗물의 실내 유입을 막을 최소 높이는 어느 정도인가를 신경쓰지 않고도, 다른 필요만을 고려하여 공간 분리 구조체(10)를 아래로 내리거나 위로 올릴 수 있으므로 편리하다. 마찬가지로 사용자는 공간 분리 구조체(10)를 완전히 올렸을 때 창 상부의 1/10 정도는 항상 실내외 공간을 분리하지 않고 개방된 상태로 있게 하고 싶을 수도 있다. 따라서 고리 부분이 가장 짧을 때는 이동봉(7200)이 가장 높은 곳에 있을 때, 즉, 공간 분리 구조체(10)에 의해 공간이 분리되는 정도가 가장 클 때이고, 고리 부분이 가장 길 때는 이동봉(7200)이 가장 낮은 곳에 있을 때, 즉, 공간 분리 구조체(10)에 의해 공간이 개방되는 정도가 가장 클 때이므로, 이를 고려하여 고리 부분(A, B, C, D)의 길이의 최소값과 최대값을 정하면 된다.
이제 도 7 내지 도 8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른 구동부(700)의 안전성 및 편리성을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는 구조 및 방법의 예를 설명한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간 분리 구조체 은닉수단의 실시예들을 도시하고 있다.
뉴스에 따르면 매년 전세계에서 적지 않은 수의 영유아가 블라인드나 롤 스크린의 줄에 얽히는 사고 때문에 사망한다고 하며, 이에 따라 블라인드 줄이 임계값을 넘어서는 하중이 걸렸을 때 자동으로 끊어지도록 하는 규정도 만들어졌다고 한다. 미국에서는 이 임계값이 4kg이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영유아 사고가 발생하며, 한국에서는 이 임계값이 10kg이나 규정을 지키지 않는 생산자가 많다고 한다. 규정을 지킨다 해도 이러한 방법은 비용이 비싸면서도 효과는 낮은 해결책이다. 좀더 비용이 낮은 해결책으로 블라인드 줄을 클립에 걸어 벽에 고정시키는 방법이 있다. 별도로 구입해야 하고 클립에서 빼서 사용했다가 다시 걸어야 하므로 불편할 뿐 아니라 자칫 한순간의 부주의로 안전 사고가 발생할 수 있고, 주의를 기울였다고 해도 영유아의 행동을 완전히 제어할 수 없으므로 사고 위험을 없앨 수 없다. 영유아가 없다 하더라도 도 6에서 전술한 바와 같은 불편함과 안전 문제는 늘 존재한다. 더구나 길게 늘어진 실은 꼬이거나 다른 물체를 감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구동부(700)는 동작에 따라 사용하는 장력 부재(7500) 고리의 위치를 좌측과 우측으로 나누어 편리함을 향상시킨 데 더해, 고리 중에서도 동작에 필요하지 않은 부분은 최대한 감춤으로써 편리함과 안전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사용자측에 있는 고리인 A와 C만을 노출시킴으로써, 사용자가 뒷측에 있는 B와 D를 실수로 잡아당기는 것까지 막을 수 있으며, A와 B, C와 D가 서로 꼬이는 것을 막을 수 있고, 무엇보다 안전 사고를 막을 수 있다. 종래의 비용이 비싼 해결책을 사용하거나 사용자가 주의를 기울이지 않더라도 안전성이 증대된다. 또한 도 7과 같이 구동 고리인 A와 C 중에서도 최소 부분만 노출하도록 구성하면 안전성이 더욱 향상된다.
도 7은 구동 고리(A, C)의 노출 범위가 정해져 있는 실시예이다. 도 6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공간 분리 구조체(10)에 의해 공간이 개방 또는 분리되는 정도를 고려하여 고리 부분(A, B, C, D)의 길이의 최소값과 최대값을 정할 수 있다. 이에 더해, 구동봉(7100)의 위치 등도 최소값과 최대값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떤 설치 환경에서는 구동봉(7100)이 창문과 많이 떨어진 곳에 설치해야 할 수도 있는데, 그런 경우에는 최소값과 최대값에 해당 거리만큼 더해주는 게 좋을 것이다.
도 7은 그렇게 정해진 구동 고리 부분(A, C) 길이의 최소값 부분만을 노출시킨다. 비구동 고리(B, D)는 전체가 은닉 하우징(7400, 400)에 감춰지며, 구동 고리(A, C) 또한 노출 범위 이외의 부분은 은닉 하우징(7400, 400)에 감춰진다. 은닉 하우징(7400, 400)은 속이 비어있으므로, 사용자가 노출된 부분의 구동 고리(A, C)를 잡아당김에 따라 은닉 하우징(7400, 400)에 감추어진 고리 부분(A, B, C, D)은 자유롭게 길이가 조절되고, 연결된 이동봉(7200) 또한 동작에 방해를 받지 않는다(이동봉(7200)의 양단, 즉, 고리가 감긴 부분도 은닉 하우징(7400, 400) 내부에서 이동 및 회전하므로, 은닉 하우징(7400, 400)에는 이를 위한 개구부도 필요하다. 또한 이러한 개구부는 전술한 바와 같이 이동봉(7200)의 원활한 이동 및 회전을 돕는 가이드 레일로서의 역할도 수행할 수 있다. 도면은 장력 부재(7500)를 감추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를 도시하지 않았다). 따라서 구동 고리(A, C)의 특정 부분만을 노출시키더라도 본 발명에 따른 구동부(700) 및 공간 분리 구조체(10)는 원활하게 동작한다.
도면은 은닉 하우징(7400, 400)만을 도시하고 있으며, 고리 부분(A, B, C, D)이 상면의 두 개구(7410, 7420) 밖으로 노출된 모습을 도시하고 있으나, 이는 설명을 위한 것이다. 은닉 하우징(7400, 400)은 후술할 연결부(400)의 일부분일 수 있으며, 상단에 또다른 은닉 하우징(미도시)과 연결되어 구동봉(7100)의 대응하는 부분(또는 전체)도 숨길 수 있다. 즉, 은닉 하우징(7400, 400)은 연결부(400)의 일부를 구성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은닉 하우징(7400, 400)은 본 발명에 따른 구동부(700) 또는 본 발명에 따른 공간 분리 구조체(10)에만 한정되지 않는다. 즉, 은닉 하우징(7400, 400)은 종래의 블라인드, 롤 스크린과 같은 쉐이드의 실 또는 체인 중 일부만을 노출하게 하는 데에도 사용될 수 있다. 특히 종래의 쉐이드는 일반적으로 실 또는 체인의 루프를 사용하므로, 루프의 최소값과 최대값이 동일하다. 즉, 루프의 길이가 변하지 않는다. 따라서 노출 범위를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게 할 수 있으므로 더 편리하다. 더 나아가 노출 범위를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동적으로 정할 수 있게 하면 더욱 편리해진다.
도 8은 구동 고리(A, C)의 노출 범위가 동적으로 변하는 실시예이다. 도 7의 은닉 하우징(7400, 400)은 연결부(400)의 일부를 구성하는 것일 수 있는 반면, 도 8의 은닉 구조는 연결부(400) 내에 삽입 및 일부 은닉될 수 있다.
은닉봉(7300)은 구동봉(7100)과 축(7310)이 연결되어 있어, 구동봉(7100)처럼 위치가 고정되어 있다. 은닉봉(7300)은 이동봉(7200)처럼 구동봉(7100)에 의해 구동되어 회전하지만, 장력 부재(7500)의 장력이 아닌 구동봉(7100)과의 마찰에 의해 직접 구동된다. 따라서 은닉봉(7300)은 이동봉(7200)과 달리 구동봉(7100)과 회전 방향이 반대가 된다.
은닉막(7320)은 은닉봉(7300)의 회전에 의해 감기거나 풀린다. 도면을 보면, 구동봉(7100)이 이동봉(7200)을 내려보내는 방향으로 회전할 때, 즉, 고리 부분(A, B, C, D)이 길어질 때, 은닉막(7320)도 풀려 길어지고, 구동봉(7100)이 이동봉(7200)을 올려보내는 방향으로 회전할 때, 즉, 고리 부분(A, B, C, D)이 짧아질 때, 은닉막(7320)도 감겨 짧아진다.
각 은닉막(7320)은 각 구동 고리 부분(A, C)을 비구동 고리 부분(B, D)과 분리하며, B와 D를 사용자에게서 감춘다. 도면은 이해를 위해 B와 D를 보이게 도시하였으나, 실제로는 이동봉(7200)이 은닉막(7320)의 아래에 존재하게 되므로, B와 D는 보이지 않거나 일부 보이더라도 사용자가 실수로 잡아당기기 어렵게 된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은닉봉(7300)과 은닉막(7320)은 연결부(400)에 삽입되어 일부 은닉되므로, B와 D는 더욱 잘 감춰진다.
도 8은 개념을 설명하기 위해 단순화하여 도시한 것으로, 다양한 세부 구조가 사용되거나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봉(7100)과 은닉봉(7300) 사이의 구동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구조, 재질, 또는 둘다가 채용될 수 있다. 또한, 은닉막(7320)을 삽입, 지지하는 하우징(400)은 은닉막(7320)의 길이가 길어졌을 때 휘청거림을 막기 위해, 은닉막의 측면이 특정 경로를 따라 이동하면서 흔들림을 막아주는 가이드 레일 또는 개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전술한 이동봉(7200)의 흔들림을 막아주는 가이드(예: 세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레일, 홈, 턱 등의 구조 또는 세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개구부)와 유사한 개념의 구조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도 9를 통해 곧 후술하는 공간 분리 구조체(10)를 위한 가이드 레일 또는 개구도 유사한 개념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간 분리 구조체 연결부의 일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개념적인 정면 배치도이며, 개념적이기 때문에 세부 구조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면은 하단 연결부(430)가 측면 연결부(420)와의 수직 위치가 겹치지 않고 측면 연결부(420)보다 아래에 위치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구동봉(7100)의 중앙 부분이 노출된 모습을 도시하고 있으나, 구동봉(7100)을 완전히 은닉시킬 수도 있다. 연결부(400)의 각 부분은 일부 또는 전부가 별도의 모듈로 서로 탈부착할 수 있게 제작될 수도 있고, 또는 영구 체결 또는 일체 성형될 수도 있다. 연결부(400)의 각 부분은 또한 사용되거나 사용되지 않을 수 있다. 예컨대, 도면은 상단 연결부(410) 없이, 측면 연결부(420)의 상단이 구동봉(7100)의 축을 고정시키는 역할까지 하는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반대로, 하단 연결부(430)는 사용되지 않을 수도 있다. 하단 연결부(430)는 공간 분리 구조체(10) 하단의 고정 및 지지, 측면 연결부(420)와의 상호 작용, 빗물 등의 실내 유입 방지, 유입된 빗물 등의 실외 배출 또는 기타 역할 중 하나 이상을 수행할 수 있으나, 이러한 기능이 필요없는 실시예에서는 하단 연결부(430)를 생략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도면의 측면 연결부(42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장력 부재(7500)를 이용한 구동 부분의 일부를 은닉하는 제 1 하우징 영역(4210)을 포함할 수 있으나, 반드시 포함하여야 하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여러 가지 장점을 위해 장력 부재(7500)의 일부를 은닉하는 기능을 제공하도록 제 1 하우징 영역(4210)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제 1 하우징 영역(4210)은 장력 부재(7500)의 일부분과 이동봉(7200)의 양단을 은닉하며, 구동봉(7100)의 양단을 더 은닉할 수 있다. 또한 구동봉(7100)의 축(7110)을 고정하는 수단을 더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이동봉(7200)의 흔들림 자유도를 제한하여 더 원활하고 안정적이게 사용할 수 있는 세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가이드(예: 레일, 홈, 턱 등의 구조)를 제공할 수 있으며, 하우징에 이동봉(7200)의 끝 부분을 삽입하기 위한 개구부 자체가 그러한 역할을 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이동봉(7200)의 축(7210)에 세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부분이 있을 경우, 해당 부분을 제 1 하우징 영역(4210)의 가이드에 삽입하면 가이드의 역할을 더 잘 수행하게 할 수 있다. 이를 위해(또는 이동봉(7200)의 축(7210)을 사용하지 않거나 세로로 길게 형성시키지 않은 경우에도) 제 1 하우징 영역(4210)은 이동봉(7200)의 삽입 개구부와 대응하는 면에도 가이드를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가이드가 개구부의 형태를 갖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설명한 내용은 전술한 은닉막(7320)과 후술하는 제 2 하우징 영역(4220)에도 적용되는 것으로, 은닉막(7320)과 공간 분리 구조체(10)의 경우에는 측면이 세로로 길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측면 가장자리를 가이드에 삽입할 수 있다.
또한, 도면의 측면 연결부(420)는 공간 분리 구조체(10), 쉐이드 또는 기타 다른 구조물과의 연결(설치), 구동 또는 둘다를 위한 대상체의 양단이 삽입되는 제 2 하우징 영역(4220)을 포함하고 있으나, 이는 반드시 사용하여야 하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제 2 하우징 영역(4220)은 대상체(10)의 양단이 일정한 범위를 벗어나지 않도록 한다는 장점이 있다. 예를 들어, 종래의 커튼, 블라인드나 롤 스크린 등의 쉐이드는 바람이 불면 상단만이 고정되어 있으므로 측면과 하단이 펄럭거리면서 창을 떠나는 단점이 있다. 이는 펄럭거리는 소음과 계속해서 움직이는 쉐이드 때문에 사용자의 정신이 산만해질 수 있고, 블라인드 자체와 창에 계속해서 충격을 주므로 고장율을 높일 뿐 아니라, 종래의 쉐이드가 빗물의 실내 유입을 막기에 더욱 역부족이 되는 이유가 되기도 한다. 반면, 본 발명에 따른 공간 분리 구조체(10)는 하단(1160)이 움직이지 않는 구조체에 고정되어 있고, 이 이동봉(7200)에 고정되어 있을 뿐 아니라, 측면 또한 제 2 하우징 영역(4220)에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간 분리 구조체(10) 자체의 통기 통로에 의해 공기가 통과하므로, 바람이 불더라도 가장자리가 모두 고정된 물체가 바람에 의한 공기의 압력에 의해 찢기거나 탈착되는 등의 문제가 본 발명에 따른 공간 분리 구조체(10)에서는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종래의 커튼이나 롤 스크린과 달리 가장자리를 모두 고정시키더라도 통기로에 의해 바람이 실내에 들어오므로, 바람이 부는 날에도 창문을 열어놓고 전술한 문제들에 대한 걱정 없이 시원한 바람을 즐기거나 빨래 등을 더 잘 건조시킬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구성은 바람직한 경로를 따라 대상체(10)의 일단이 이동 및 회전하므로 더 원활하게 감기거나 말리고 풀리며, 해당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는 장점이 있다. 이를 위해 전술한 바와 같은 세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가이드를 더 제공할 수 있다. 제 1 하우징 영역(4210)에서 설명하였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제 2 하우징 영역(4220)은 본 발명에 따른 공간 분리 구조체(10)의 측면이 원치않는 물질(예: 빗물, 먼지)의 실내 유입되는 틈이 되지 않게 해준다. 이는 쉽게 이해할 수 있으므로 설명을 생략하나, 측면 연결부(420)는 바람 등에 의해 하우징(4210, 4220)으로 유입될 수도 있는 빗물을 배출시키기 위한 구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 1 하우징 영역(4210) 및 제 2 하우징 영역(4220)의 하단은 경사지게 구성되며(4212, 4222), 중력에 의해 모인 빗물은 배수구(4224)를 통해 배출된다. 도 9에 도시하고 있는 정면에서 바라봤을 때의 모습 뿐 아니라, 도 10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측면에서 바라봤을 때도 경사(4212, 4222)가 형성되게 할 수 있으며, 이렇게 하면 빗물이 더욱 잘 모이고 배수구(4224)가 많은 공간을 차지하지 않게 할 수 있음을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경사의 방향은 창의 실외쪽을 향하도록 하고, 배수구(4224)는 되도록 실외쪽에 가깝게 위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도면은 또한 제 1 하우징 영역(4210)과 제 2 하우징 영역(4220)의 경사(4212, 4222)의 정도가 다르게 구성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간 분리 구조체 연결부의 측면에서 바라본 실시예들을 도시하고 있다. 도면들은 측면 연결부(420)를 중심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며, 상단 연결부(410), 하단 연결부(430) 또는 둘다가 생략되어 있으나, 도시된 연결부(400)는 이들을 포함하거나 이들과 연결되어 있을 수 있으며, 이때 이들의 위치는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다. 사실 도 11은 측면 연결부(420)인 것처럼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측면에서 바라본 모습이므로 이해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 도시된 연결부(400)는 측면 연결부(420)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도 10은 측면 연결부(420)를 포함하는 연결부(400)의 설치 공간에의 부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위 아래 창틀 또는 창틀 위 아래의 벽 또는 천장이나 바닥까지를 이용할 수 있다. 본 명세서는 창틀과 벽, 천장을 구분하지 않으므로, 도면은 창틀 위 아래의 벽을 제 1 부착 부위(4230)로 사용할 수 있음을 도시하고 있다. 도면에서 제 2 부착 부위(4240)을 U자 형태로 도시한 것은 이 부분은 부착하지 않을 수 있음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이 부분 또한 부착에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창틀의 좌우벽에 부착할 경우에는 제 1 부착 부위(4230)와 제 2 부착 부위(4240)를 구분하지 않고 전체 부착면의 일부 또는 전부를 부착에 사용할 수 있다. 공간 분리 구조체(10)를 큰 창에 여러 개 설치할 때 측면 연결부(420)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일부 측면 연결부(420)는 제 2 부착 부위(4240)를 부착에 사용하지 않을 수 있다. 이때 제 2 부착 부위(4240)는 1자 형태를 유지하거나 도면처럼 U자 형태를 채용할 수 있다. 또한 제 2 부착 부위(4240)에는 완충제나 탄성체 등의 재질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렇게 하면 창문을 자유롭게 열고 닫으면서 빗물의 유입은 막고 더 나아가 창문의 덜컹거림까지 막아주는 효과까지 얻을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결부(400)는 종래의 블라인드나 롤 스크린이 바람에 펄럭이면서 창문을 치는 충격을 가하는 것과 대조적으로, 창문이 바람에 흔들리는 덜컹거림까지 줄여줄 수 있다. 또한, 제 2 부착 부위(4240)에 완충 기능을 제공하는 데 더해 한기, 바람 또는 둘다를 막기에 적합한 재질을 사용하면, 겨울철 난방비를 한층 더 줄이는 효과까지 제공할 수 있다.
도 11은 연결부(400)의 측면에서 보았을 때의 위치를 한정하지 않을 수 있으며, 더 나아가 필요에 따라 동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음을 설명한다.
도시된 실시예는 상단 연결부(410)가 슬라이딩 지지 부재(4110)(예: 레일)를 제공하여, 공간 분리 구조체(10)가 창틀 안에 위치시키거나 일반적인 종래의 쉐이드처럼 창틀 바로 앞에 설치하거나, 아예 창에서 멀리 떨어진 곳으로 치울 수 있음을 설명한다. 창틀 안에 위치시키는 것은 빗물이나 먼지 등 원치않는 물질 또는 파동의 실내 유입을 더 잘 막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을 것이다. 창에서 멀리 떨어진 곳에 위치시키는 것은 청소 등의 이유로 공간 분리 구조체(10)를 치워두고 싶을 때 유용할 수 있다. 또는 원치않는 가시광선의 실내 유입이나 실외 유출은 적절 수준으로 제한하면서(예: 강한 햇빛, 실외의 강한 조명, 프라이버시 노출), 공기의 실내외 교류는 한층 더 늘리고 싶을 때 유용할 수 있다. 도면의 실시예는 이러한 필요에 따른 위치 지정 기능을 본 발명에 따른 연결부(400)에 슬라이딩 기능을 포함시킴으로써 제공하고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연결부(400)는 본 발명에 따른 구동부(700)와 마찬가지로, 본 발명에 따른 공간 분리 구조체(10)의 공간간 교류 정도를 동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연결부(400)는 본 발명에 따른 구동부(700)와 마찬가지로, 공간 분리 구조체(10)가 아닌 종래의 쉐이드 또는 기타 대상체에 사용되었을 때도 공간간 교류 정도를 동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간 분리 구조체(10)를 사용할 때, 전술한 바와 같이 그 개수에는 제한이 없으며, 다수 개인 경우 여러 종류의 실시예를 함께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컨대, 창의 하단과 상단에 서로 다른 종류의 공간 분리 구조체(10)를 설치하여, 하단의 공간 분리 구조체(10)는 고정하고 상단의 공간 분리 구조체(10)는 걷거나 접거나 말거나 하는 식의 변형이 가능하게 할 수 있다(물론 하단의 공간 분리 구조체(10)도 탈부착 가능하게 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변형할 수 있게 할 수도 있다). 또한, 일부 실시예(10)는 창틀 내에 위치하도록 하고, 일부 실시예(10)는 창틀 밖 실내에 위치하도록 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또한 이러한 예시 구성들을 조합, 변형, 또는 둘다한 구성도 가능하다. 이렇게 다수 개의 공간 분리 구조체(10)를 함께 사용하면 빛 투과나 통풍 등 공간 간 교류에 대한 제어 정도를 높일 수 있다. 특히 원치 않는 교류를 감소시키는 데 유리하다. 예컨대, 여름 밤 모기나 나방 같은 해충이 실내로 들어오는 것을 좀더 잘 막을 수 있다. 빛이 직접적으로 새어나가지 않을 뿐더러, 빛에 해충들이 반응하더라도 실내로 진입하기가 어려워지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간 분리 구조체(10)를 하나만 사용하여도 이런 효과를 얻을 수 있으나, 다수 개를 적절한 구성으로 사용하면 더 큰 효과를 누릴 수 있다.
커튼이나 블라인드 등의 종래 기술은 바람이 부는 날 정신없이 휘날리기 때문에, 바람 부는 날에는 창문을 열어두기가 곤란하다. 정신없이 펄럭이며 소음을 내기도 하지만, 계속해서 힘이 가해지므로 망가지기 쉽다. 특히 고정 수단이 펄럭임을 버티지 못하면 떨어져버릴 수도 있다. 더구나 종래 기술은 바람에 펄럭여서 비의 유입을 막아주지 못하므로, 바람이 불면서 비가 오는 날에는 창문을 열어놓기가 곤란하다. 이는 특히 여름철 불편한 점이다. 밖은 비바람 덕에 시원해졌는데, 실내는 오히려 더 덥고 더 습하고 더 답답해지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간 분리 구조체(10)는 바람이 부는 날에도 종래 기술에 비해 훨씬 덜 날린다. 종래 기술과 달리 바람의 힘을 받는 표면적이 작을 뿐 아니라, 바람이 빠져나갈 통로가 잘 형성되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간 분리 구조체(10)는 종래 기술에 비해서 고정 수단이 견고해야 한다는 부담이 덜하여, 비용이 줄어들고, 종래 기술에서는 설치가 곤란한 곳에서도 쉽게 사용할 수 있다. 더 중요하게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간 분리 구조체(10)는 바람이 부는 날에도 비의 유입을 막아줄 뿐 아니라, 그러면서도 바람의 통로는 제공해주므로, 여름철 시원하게 지낼 수 있다. 또한 바람의 통로는 제공해주면서도 바람의 강도는 줄여주므로, 바람이 지나치게 유입되는 것이나 오염물질이 유입되는 것은 막아준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간 분리 구조체(10)의 사용자는 종래 기술 사용자와 달리, 더위를 식혀주는 비와 바람의 혜택을 누릴 수 있다.
더 나아가,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간 분리 구조체(10)의 사용자는 여름철 열려진 창이나 문을 통해 침입하는 도둑이나 성범죄자들에 대한 걱정도 덜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간 분리 구조체(10)는 종래 창문처럼 열고 닫고 잠글 수 있게 구현하는 것이 가능한데, 이러한 실시예 사용자는 외출시나 취침시 공간 분리 구조체(10)를 잠가두면 되므로, 외부인의 시선 뿐 아니라 이들의 침입 자체를 걱정하지 않아도 될 것임을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실시예에서는 좀더 견고한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임도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며, 여기서 종래의 창문과 같이 열고 닫고 잠글 수 있다고 한 것은 이해의 편의를 위한 설명일 뿐, 외부인의 침입을 막을 수 있는 실시예의 구조가 이에 한정되지는 않을 것임도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공간 분리 구조체(10)는 평소에는 열고 닫지 않게 또는 열고 닫는 기능이 없게 구현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해의 편의를 위해 예를 들면, 공간 분리 구조체(10)는 종래 방법용 창살이나 가리개와는 달리(이 또한 예일 뿐임을 주의), 외부인의 침입만 막는 것이 아니라 외부인의 시선도 막아주며, 그러면서도 이들 종래 기술들과 달리 통기성 및 통풍성이 좋으므로 사용자가 더 쾌적하게 지낼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간 분리 구조체(10)는 침입 감지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침입 감지 수단의 위치가 노출되어 있거나 이를 숨기기 위한 추가 수단이 더 필요한 종래 기술과 달리, 침입 감지 수단은 자연스럽게 숨겨진다. 더 나아가 침입 감지 수단을 전체에 분포시키기에도 유리하다.
또한 종래의 창문처럼 구현될 때에도 구현의 선택 사항은 매우 다양하며, 본 명세서에서 예로 든 구조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공간 분리 구조체(10)를 종래의 미닫이 창처럼 구현하는 경우에도, 종래의 창에 덧붙여 옆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여닫고 잠글 수 있게 구현할 수도 있고(2중창이었다면 3중이 됨), 종래의 창문 중 일부를 대체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으며(2중창이었다면 2중 유지. 예를 들어, 내부창을 떼어내고 구조체(10)를 사용), 종래의 창문 구조의 일부를 대체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2중창이었다면 2중 유지하고 창문의 틀도 유지. 예를 들어, 방충망 부분과 상호 교체, 창문의 창 부분과 교체 등).
공간 분리 구조체(10)의 이러한 유연함 덕에 사용자는 외부인 침입을 방지하기 위한 창살 등의 구조물을 별도로 설치하지 않아도 방범 효과를 누릴 수 있다. 따라서 방범 구조물 고정을 위해 건물에 구멍을 내지 않아도 되므로, 창살 등의 미려하지 않을 뿐 아니라 비싸고 유지 관리가 어려우며 불편한 구조물 없이 저비용으로 안전하고 쾌적하게 지낼 수 있다. 특히 종래 기술과 달리 탈부착 부담이 없기 때문에, 이사나 화재 등 창문을 통해 드나들 필요가 있을 때에도 해당 창문의 이용이 방해받지 않으므로 편리하다.
또한, 공간 분리 구조체(10)의 이러한 유연함은 여름 뿐 아니라 겨울에도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음을 말해준다. 겨울철 환기를 제대로 하지 않으면 여러 가지 건강상의 문제나 유지 보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그럼에도 사람들은 겨울에 환기를 제대로 하지 않는 경향이 있다. 한기나 찬바람이 유입되는 게 싫기 때문인데, 환기에 의해 추워진 실내 공기를 다시 따뜻하게 하기 위해 난방이 필요하므로 환기는 에너지를 더 소모하게 하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따라서 환기시 한기 및 찬바람의 유입을 줄일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간 분리 구조체(10)는 환기시 찬바람과 한기가 직접 유입되는 것은 막아주므로 유용하다. 특히공간 분리 구조체(1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매우 유연하게 구현을 선택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는 바, 여러 겹으로 구성한다면, 통기시 한기의 유입을 더 잘 차단할 수 있을 것임을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즉, 본 명세서는 이해의 편의를 위해 일측면과 타측면으로만 설명하였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 물체(예: 공기 등)의 통로는 다수 개의 면에 형성된 개구부들의 연결일 수도 있음을 주의해야 한다. 또한, 이는 다수개의 공간 분리 구조체(10)를 겹쳐서 구현될 수도 있으므로, 사용자에게 더 큰 편리함과 더 넓은 활용도를 제공한다.
또한 개구부들의 배치도 본 명세서의 도면 및 설명에 한정되지 않음을 주의해야 함을 다시 강조한다. 예를 들어, 어떤 세로 위치에서는 일측면에만 개구부들이 위치하고, 또다른 세로 위치에서는 타측면에만 개구부들이 위치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개구부들은 평면적이지 않을 수 있으며, 다수개의 면에 함께 형성되거나 곡면일 수도 있다. 예컨대, 일측면, 타측면 또는 둘다(또는 전술한 바와 같이 다수개의 면으로 구현되었을 때 추가적인 면들)가 부채처럼 접을 수 있게 구성되어 있을 때, 개구부는 부채산이나 부채골 부분에 형성될 수도 있음을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구성 면들(예: 일측면, 타측면 등)을 부채처럼 요철(예 부채산, 부채골 등)이 있게 구현하면, 구성 면들이 둘러싼 공간이 공기를 더 잘 포함하게 되어, 한기를 더 잘 막을 수 있을 것임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간 분리 구조체()는 빛의 산란에도 이용될 수 있기 때문에, 겨울철 햇빛의 유입을 커튼 등의 종래 기술들보다 덜 방해할 뿐 아니라, 나아가 오히려 빛의 유입에 도움이 될 수 있다. 겨울철에는 햇빛을 충분히 쬐지 못함으로 인한 여러 가지 건강상 문제를 겪기 쉬울 뿐 아니라, 낮에도 인공 조명을 사용해야 하는 불편을 겪기도 쉽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다른 공간 분리 구조체(10)를 사용하면 빛이 구성 면들(예: 일측면, 타측면 등)에 반복적으로 반사되므로 이러한 문제를 완화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구현을 매우 유연하게 선택할 수 있으므로, 빛 반사에 도움이 되는 재질이나 세부 구조를 채용하면 실내를 더욱 밝게 유지할 수 있으며, 햇빛은 열을 포함하므로 난방 비용도 줄일 수 있다. 또한 더 나아가 설정에 따라 빛이 더 잘 유입되게 하거나 빛을 더 차단하게 하는 식으로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유연함은 여름용과 겨울용을 따로 제작해야 하는 커튼 등의 래 기술과 달리 계절에 상관없이 하나의 공간 분리 구조체(10)를 사용할 수 있게 한다. 또는 반대로 다수개의 공간 분리 구조체(10)의 다양한 조합이 가능하므로, 계절이나 필요에 따라 사용자가 최적의 조합을 선택할 수 있다는 편리함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간 분리 구조체(10)는 전술한 바와 같이 구현 방식 선택에 한정이 없으므로, 전술한 예와 같은 여러 겹 겹치는 구현 뿐 아니라, 상하로 연결하는 구현도 선택 가능하다. 또한 이러한 연결도 탈부착 가능한 연결, 반영구 부착 등 다양한 구현이 가능하며, 연결하는 대상들이 서로 동일한 구현이 아니어도 된다. 예컨대, 창의 하단에는 좀더 방수가 잘 되고 견고한 재질이나 구조를 채용한 실시예를 사용하고 창의 상단에는 좀더 유연하고 빛의 유입이나 차단에 더 유연한 재질이나 구조를 채용한 실시예를 사용한다면,편의성을 높일 수 있을 것임을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명세서의 설명은 주로 창과 문에 초점을 두어 기술하였으나, 이는 이해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임을 주의해야 함을 다시 강조한다. 예컨대, 공간 분리 구조체(10) 차양으로 사용했을 때도 종래 기술보다 장점이 있다. 예컨대 종래의 차양은 비가 많이 왔을 때 빗물의 무게 때문에 내려앉는 문제가 있으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간 분리 구조체(10)는 빗물이 고이지 않으므로 이러한 문제가 없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바람은 통과시키므로 시원할 뿐 아니라, 바람에 덜 펄럭이므로 바람에 파손될 위험이 현저히 줄어든다.
특히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간 분리 구조체(10)는 에어컨 실외기 지붕 또는 보호 설비 등으로 사용했을 때 전술한 장점 뿐 아니라, 뜨거운 햇빛이 실외기를 뜨겁게 하는 것은 막아주면서, 반대로 에어컨 실외기의 열은 종래보다 더 잘 방출되게 해준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먼지나 낙엽 등의 일반적인 더러움 유발 요인이 실외기를 더럽히는 것 뿐 아니라, 비둘기 등이 에어컨 실외기에 앉는 것을 꺼려하게 만들어준다. 비둘기는 일반적으로 에어컨 실외기 위에 앉는 것을 좋아하기 때문에 분변 등에 의해 실외기가 더러워지기 쉽고, 이는 사용자의 건강에 악영향을 미치며 악취까지 풍기므로, 비둘기를 막아주는 것은 큰 장점이 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간 분리 구조체 및 연결부를 개념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12 상단 좌측 두 도면 중 첫번째 도면은 종래의 커튼이나 블라인드가 바람에 날릴 때의 모습을 개념적으로 보여준다. 도면과 경험으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종래 기술은 창의 아래 부분과 옆 부분을 제대로 덮지 못해, 비바람, 한기, 엿보는 사람의 시선 등 차단을 원하는 대상을 제대로 막아주지 못하는 등의 문제가 있다.
이에 반해 두번째 도면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간 분리 구조체(10)는 창의 아래 부분, 창의 옆 부분 등의 둘레면을 막아줄 수 있음 뿐 아니라, 공간 분리 구조체(10)가 공기를 보유할 수 있는 공간(H)을 만들어냄, 창문 잠금 기능, 빛 조절 등의 추가적 장점 중 하나 이상을 더 제공할 수 있음을 개념적으로 설명하고 있다.
창과 커튼은 사람들에게 매우 익숙하여 당업자가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고, 도시 및 설명의 편의상 옆면 도시를 생략하였고, 밑면(10B) 등 다른 요소의 도시도 간략하게 개념적으로 도시하였다. 이는 세부 구현이 매우 다양할 수 있음을 강조하기 위한 것이다. 예컨대, 도면은 밑면(10B)과 옆면(미도시) 및 정면(10F)의 일부가 창(600)과 이격될 수 있음을 도시하고 있으나, 전술한 기술에서 윗면(미도시) 또한 이격될 수 있고 따라서 다른 둘레면들에 대한 기술이 적용될 수 있음을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일시예에 따른 공간 분리 구조체(10)는 종래 기술과 달리 밑면, 옆면, 윗면 중 하나 이상의 일부(예: 옆면(미도시)의 하단 부분 등) 또는 전체(예: 옆면(미도시)의 전체 등)를 더 포함함으로써, 여러가지 장점을 제공한다. 또한 실시예나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정면(10F)을 더 추가할 수도 있다. 따라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밑면(10B), 옆면(미도시), 윗면(미도시), 추가된 정면(미도시) 중 하나 이상의 일부 또는 전체를 이하 둘레면(10B)으로 통칭한다(편의상 둘레면(10B)의 일부(예: 옆면(미도시)의 하단 부분 등)도 둘레면(10B)으로 지칭함을 주의). 또한 설명의 편의를 위해 밑면(10B)을 중심으로 기술한다.
둘레면(10B)은 정면(10F), 공간 분리 구조체(10) 사용 대상(예: 창이나 벽(600) 등) 또는 둘다와 탈부착이 가능하게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둘레면(10B)을 더 포함하지 않더라도, 정면(10F)의 둘레(예: 옆쪽, 아랫쪽 등)를 사용 대상(예: 창이나 벽(600) 등) 또는 둘다와 탈부착이 가능하게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둘레면(10B)은 정면(10F)처럼 서로 엇갈린 구멍 또는 통로 입구를 포함할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으며, 이를 동적으로 선택할 수 있게 하는 구현도 가능하다. 또한 둘레면(10B)도 재질이나 세부 구조의 한정이 없을 것임을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밑면(10B)을 수평으로 구현할 때는 빗물을 자연스럽게 흘러내리게 하는 세부 구조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밑면(10B)을 화분 등 물건을 놓는 공간으로 활용하거나 창문 잠금 기능을 더 제공할 때는 단단한 재질이 유리할 수 있을 것이고, 빛 조절이나 빛 반사, 빛 모음 등을 위한 재질과 세부 구조를 더 포함할 수도 있을 것임을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둘레면(10B)은 변형이 가능하게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밑면(10B)은 스윙(회전)될 수 있게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밑면(10B)의 경사 및 정면(10F)과 창(600)과의 간격, 공간 분리 구조체(10)에 의해 형성되는 공기 보유 공간(H)의 크기 등 여러 요소를 동적으로 만들어줌을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밑면(10B)에서 빗물이 창틀로 자연스럽게 흘러내려 밖으로 배출되게 하고 싶으면 도면처럼 밑면(10B)을 경사지게 하고, 밑면(10B)에 화분을 놓고 싶다면 밑면(10B)을 수평이 되게 하며, 공간 분리 구조체(10)를 창(600)에 밀착시키고 싶다면 밑면(10B)을 벽과 평행이 되게 하면 됨을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때도 공간 분리 구조체(10)를 좀더 고정시키고 싶으면 밑면(10B)이 정면(10F)의 일부분과 겹쳐지게 위쪽 방향으로 스윙시키면 됨과 이때 창문 잠금 기능도 더 제공될 수 있음도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상의 설명은 동적 구현에 한정되지 않으며, 각각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도 있음도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스윙은 예를 든 것일 뿐, 동적 구현시의 방법이 이에 한정되지 않을 것임도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컨대, 둘레면(10B)은 정면(10F)과 마찬가지로 접힘 변형(부채, 풀무(벨로우 bellows) 등 참조)될 수도 있다.
공간 분리 구조체(10)가 공기를 보유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것은 여러 장점이 있다. 그중 하나는 분리된 두 공간을 연결하는 통로 자체가 분리된 두 공간의 차이를 완화 또는 완충 공간을 제공한다는 것이다. 예컨대, 겨울에는 한기가, 여름에는 열기가 이 공간에서 일부 완화된다. 따라서 겨울에는 환기할 때 실내의 열을 덜 뺏기고 한기나 찬바람이 급하게 유입되는 것을 막으므로, 난방 필요성이 줄어들 뿐 아니라, 사용자가 환기를 꺼려하여 발생하는 각종 문제(예: 실내 공기 오염, 실내 습도 증가, 질병 위험 증가, 곰팡이 발생 위험 증가 등)도 줄일 수 있다. 여름에는 태양이 창(600)을 가열하므로, 정면(10F)이 창(600)에서 이격되게 하면 열기 차단에 더 유리하다. 이때 추가적인 정면(10F)을 더 사용하면 여름의 열기와 겨울의 창문 틈새로 침입하는 외풍을 더 잘 막을 수 있을 것임을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사용자는 공간 분리 구조체(10)에 의해 추가적인 공간을 더 얻을 수 있다. 예컨대, 이 공간은 화분 등을 놓거나 식물을 매달아 기르는 공간으로 활용될 수 있다. 식물은 열과 습기 조절, 먼지나 외부 시선 차단에 도움이 되고 어떤 식물은 해충 차단에도 도움이 되므로, 이는 식물을 사용하여 공간 분리 구조체(10) 기능을 더 향상시키는 것도 될 수 있다.
또는 이 공간을 빨래를 건조시키는 공간으로 활용할 수도 있다. 이는 특히 베란다나 테라스가 없는 건물에서 유용할 수 있다. 빨래는 실내 습도를 많이 높이므로 생활 공간에서 건조시키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빨래 건조에 바람, 공기 순환, 열, 태양광 등이 도움이 많이 되는 반면, 실외 건조시에는 먼지, 벌레, 우천 등의 피해를 입기 쉽다. 따라서 공간 분리 구조체(10)가 마련해준 공간에서 빨래를 건조시키면 유리하다. 또한 이 공간 또는 창 주위 공간 또는 공간 분리 구조체(10) 자체에 제습제 등 도움이 되는 요소를 배치하는 것이 어렵지 않으므로, 더욱 유리하다. 특히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명세서는 창(600)을 중심으로 기술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닌 바, 공간 분리 구조체(10)가 자체 또는 주위에 제습제 등의 부가적인 요소를 더 포함하는 것은 다른 응용(예: 과일 등의 식품 포장이나 보관, 의류, 가방 등)에서 유용할 수 있다.
또한 공간 분리 구조체(10)가 둘레면(10B)을 더 포함하면, 창(600)과 각도를 갖게 되는 등의 여러 장점이 있고, 그중 하나는 빛 조절에 유리하다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장점을 더 극대화하기 위해 빛 조절을 위한 구성 요소, 빛을 활용하는 구성 요소 또는 둘다(예: 거울, 렌즈, 태양광 발전 요소 등)를 더 포함하게 할 수도 있다.
또한 공간 분리 구조체(10)가 창 등의 개구부(600)를 완전히 감싸게 할 수 있게 하여 얻을 수 있는 장점 중 하나는 보안 향상이다. 특히 여름에는 외부인의 엿보는 시선이나 외부인의 침입이 문제가 많이 된다. 종래 기술은 첫번째 도면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바람이 불 때 외부인이 엿보기 쉽지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간 분리 구조체(10)는 이런 구멍도 차단한다.
또한 종래의 커튼 등은 침입 방지 기능을 제공하지 않고, 종래의 창이나 문(600)은 완전히 닫힌 상태에서만 잠금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간 분리 구조체(10)는 창(600)이 열려 있더라도 외부인의 침입을 불가능하게 하거나 어렵게 만들 수 있을 것임을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간 분리 구조체(10)는 창(600) 자체의 움직임을 잠글 수 있는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도 있고, 더 나아가 창(600)을 공간 분리 구조체(10)의 구성 요소를 통해 여닫을 수 있는 실시예도 가능하다. 또는 창(600)과 연결되는 별도의 개폐 시스템이 공간 분리 구조체(10)에 의해 보호되어 외부에서 침입자가 조작하지 못하게 하도록 하는 실시예도 가능하다. 이러한 실시예들은 매우 다양한 방법으로 구현될 수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일부 구성 요소를 다른 응용을 통해 후술).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간 분리 구조체(10)는 공간 분리 구조체(10) 자신을 잠글 수 있는 수단, 공간 분리 구조체(10)의 사용 대상(예: 창(600) 등)를 잠글 수 있는 수단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2의 상단 최우측 도면은 이상의 기술을 다른 응용을 통해 설명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공간 분리 구조체(10)는 사용 대상으로부터 정면(10F)이 이격되도록 구현될 수 있고, 이러한 실시예는 추가적인 장점을 더 제공한다. 또한 상기 이격이 둘레면(10B)에 의해 제공되도록 구현될 수도 있고, 이때 실시예에 따라 둘레면(10B)을 변형시켜 이격 정도, 이격 각도 등의 이격 속성이 변화될 수 있게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앞서 기술을 생략하였으나, 이러한 이격은 정면(10F)과 사용대상 사이의 이격에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예에 따라 일측 유닛과 타측 유닛 사이의 이격에도 둘레면(10B) 변형에 의한 이격의 원리를 채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술한 예와 같이 접힘 변형을 이격 정도를 제어하는 원리로 채용하는 것은 정면(10F)과 다른 대상간의 이격 뿐 아니라, 일측 유닛과 타측 유닛 사이의 이격에도 적용 가능함을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는 편의상 정면(10F)과 다른 대상간의 이격을 지칭하는 것처럼 기술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을 주의해야 한다. 의류에서 예를 들면, 종래와 달리 일측 유닛(100)과 타측 유닛(200) 또는 정면(10F)과 추가 정면(10F')으로 구성된 옷을 여러번 접은 시접(10B)으로 연결하면, 상기 시접(10B)에 의해 일측 유닛(100)과 타측 유닛(200) 또는 정면(10F)과 추가 정면(10F')이 이격된다. 이는 결국 신체와 옷의 겉면(100 또는 10F)가 이격(H)되는 효과가 있다. 이는 특히 여름이나 더운 날씨에 유리할 것임을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러한 응용은 옷에 한정되지 않을 것임도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정면(10F, 10F'')은 개구부가 없거나 개구부의 개폐를 조절할 수 있게 구현될 수도 있고, 전술한 바와 같이 통로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게 구현될 수도 있음을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컨대, 겉면(10F)는 개폐할 수 있는 구멍이 하나 이상 포함된 것일 수 있다.
예컨대 도면은 이러한 효과를 또다른 응용을 통해 설명한다. 3개의 정면(10F, 10F', 10F'')를 시접(10B)로 연결함으로써, 각각 서로 이격되게 한 가방의 개념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물건(600')을 넣을 수 있는 공간(H)과 신체측 정면(10F'') 사이에 이격 공간(H')이 존재한다. 제 2 이격 공간(H')은 전술한 의류의 예에서와 같이, 여름에 가방을 사용할 때 덜 덥게 하고 물건이 땀에 젖는 것을 방지해준다. 또한 통풍이 되고 바람을 제공하므로, 가방이나 물건이 젖었을 때 건조 기능도 제공해준다. 시접(10B)은 이러한 기능에 더해, 적절한 제 1 이격 공간(H)을 확보하여 물건(600')을 편안하게 넣고 뺄 수 있게 하고 물건(600')을 잘 지지해주어 안정감을 준다. 또한 시접(10B)은 가방(10)이 신체에 더 잘 밀착되도록 지지해주는 효과도 있다. 더 나아가, 실시예에 따라 시접(10B)을 전술한 바와 같이 접힘 변형할 수 있게 구현하면, 이격 공간(H, H') 중 하나 이상의 크기도 조절할 수 있고, 전술한 통풍, 건조 등의 정도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제 2 이격 공간(H') 또한 개폐가 가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는 겨울에는 여름과 반대로 공기를 보유하는 공간으로 만들어서 보온 기능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동일한 공간 분리 구조체(10)로 제공할 수 있게 한다.
도 12의 하단 첫번째 도면은 전술한 잠금 기능의 구성 요소의 예를 허리띠라는 응용을 통해 설명한다. 종래의 허리띠는 바지에 형성되어 있는 다수의 고리(600H)를 통과시킨 후 양끝의 결합 수단(43)을 상호 체결하여 바지를 내려가지 않게 하며, 이때 허리띠에 가방에 형성되어 있는 고리(600H)를 통과시키면 가방을 바지에 고정시킬 수도 있다. 문제는 결합 수단(43)이 풀려 있는 상태에서는 허리띠가 고정되지 않으므로 의도치 않게 바지에서 탈락되어 버릴 수 있다는 것이며, 특히 허리띠에 가방을 연결했을 경우 그 무게 때문에 자유낙하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따라서 많은 사용자가 화장실 바닥에 허리띠와 가방이 떨어져버리는 경험을 한다. 특히 일반적으로 허리띠에 연결시키는 가방은 핸드폰, 지갑 등의 귀중품이 들어있는 경우가 많으므로 이것은 특히 문제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벨트(400)는 셀프 잠금 요소(41)를 더 포함한다. 셀프 잠금 요소(41)에는 한쪽 끝(41F)이 고정되어 있고 다른 쪽 끝(41P)이 바지 등의 사용 대상에 형성된 고리(600H) 중 하나를 돌아서 다시 셀프 잠금 요소(41)에 체결되는 체결 요소(42)가 포함된다. 예컨대, 벨트(400)가 종래의 허리띠 대신 사용될 때는 벨트(400)의 양쪽 끝에 형성된 셀프 잠금 요소(41)를 사용하여 바지의 고리(600H)에 고정시키면, 버클 등의 대상 잠금 요소(43)가 풀려 있을 때도 벨트(400)는 사용 대상(예: 바지 등)에 고정된 상태로 남아있게 된다. 이는 벨트 자신 뿐 아니라 고정 대상(예: 가방 등)도 사용 대상(예: 바지 등)에 고정된 상태로 남아있게 한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셀프 잠금 요소(41)는 위치를 변경할 수 있거나 체결 요소(42)의 길이를 변경할 수 있게 구현될 수 있으며, 이러한 실시예는 사용 대상(예: 바지 등)에 형성된 고리(600H)의 위치 등 사용 환경 변화에 더 잘 적응할 수 있는 구현임을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체결 요소(42)의 구현에는 한정이 없다. 더 나아가, 셀프 잠금 요소(41)는 기존의 대상 잠금 요소(예: 버클(43) 등)로 구현될 수도 있다. 예컨대, 버클(43)에 바지의 고리(600H)를 돌아 다시 자신에게 체결되는 체결 요소(42)를 포함(예: 형성, 탈부착, 연결 등)하는 실시예도 가능하다.
도 12의 하단의 우측 도면은 또다른 잠금 요소의 예이다. 전술한 벨트(400)는 허리띠에만 한정되지 않음을 이해할 것이다. 본 명세서의 모든 다른 기술과 마찬가지로, 설명의 편의를 위해 바지와 허리띠를 예로 든 것이다. 마찬가지로, 본 잠금 요소도 응용이나 구현에 한정이 없으나, 편의상 가방이나 커튼 잠금, 운동화 끈 등에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컨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간 분리 구조체(10)를 걷어 올리거나 변형한 상태에서 상기 상태나 위치를 유지하려고 할 때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도면의 실시예는 2개의 밴드를 통해 체결을 통해 위치나 개폐 여부를 간편하게 잠그는 실시예이다. 2개의 밴드는 서로 가장 멀리 떨어진 지점들(41F, 41F')만 고정된다. 사용자는 서로 가장 가까운 지점들(41P, 41P')를 프룬식 매듭을 사용하여 체결한다. 프룬식 매듭은 공지의 매듭법이므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밴드는 미끄러운 재질보다는 마찰을 많이 제공하는 재질이 바람직하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간 분리 구조체 및 연결부를 개념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13의 상단 도면들과 좌측 하단 도면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간 분리 구조체(10)를 문이나 창(600) 등(이하 창으로 지칭)의 잠금, 여닫음 또는 둘다에 활용하는 구현의 예를 개념적으로 도시하고 있다(이해의 편의를 위해 구성 요소들을 생략한 개념도임을 주의).
전술한 내용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간 분리 구조체(10)를 창(600)을 잠그는 데 사용할 수 있음을 당업자는 이미 이해하였을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간 분리 구조체(10)는 창(600)이 부분적으로 열려 있을 때 더이상 열리지 않게 잠글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간 분리 구조체(10)는 외부인이 엿보는 것을 차단하는 것에 머물지 않고 외부인의 침입도 막을 수 있다. 게다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간 분리 구조체(10)는 창(600)이 완전히 가려진 상태에서도 창(600)을 손쉽게 여닫을 수 있다.
이해를 돕기 위해 도시한 도 13의 좌측 하단 도면은 여러 겹(100, 200)으로 되어 있는 공간 분리 구조체 메인 유닛(즉, 일측 유닛(100), 타측 유닛(200)의 집합) 및 옆면 및 하단에 위치(예: 접촉, 연결, 탈부착, 포함 등)한 연결부(400)를 실내 부분만 간략화하여 도시하였다. 이는 이해를 위한 예일 뿐 아니라, 세부 구조 또한 생략되어 있는 개념도임을 주의해야 한다. 예컨대, 메인 유닛(100, 200, 300)은 단순히 두개의 면이 서로 이격되어있는 형태로 도시되어 있으나, 전술한 설명을 통해 세부 구조 도시가 생략되어 있음을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면은 연결부(400)를 사용하여 메인 유닛(100, 200, 300)에 가려져 직접 접근이 안되는 창문(600)의 틀 부분을 실내에 있는 사용자가 쉽게 접근할 수 있는 핸들(403H)을 통해 슬라이딩할 수 있게 하는 구현의 예를 설명하고 있다. 도시한 핸들(403H)은 이동 대상 연결부(403)에 포함되어 있거나 생략할 수 있고, 위치나 형태도 다양할 수 있다. 예컨대 이동 대상 연결부(403)가 종래 슬라이딩 문의 핸들같은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동 대상 연결부(403)는 메인 유닛(100, 200, 300)에 가려진 반대편에도 형성되어 있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이동 대상 연결부(403)는 하단 연결부(400')를 슬라이딩하는 것일 수도 있고, 하단 연결부(400')는 슬라이딩 잠금 요소(미도시)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도 있다. 또는 이동 대상 연결부(403)는 횡단 연결부(402)를 슬라이딩하는 것일 수 있고, 횡단 연결부(402)는 슬라이딩 잠금 요소(405)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도 있다. 또는 이동 대상 연결부(403)는 횡단 연결부(402) 없이 슬라이딩하는 것일 수도 있다(도 13 상단 첫번째 도면 쌍 참조).
전술한 바와 같이 이는 매우 다양한 구현 선택 사항들의 조합의 예일 뿐이다. 예컨대, 횡단 연결부(402)는 다수 개의 메인 유닛(100, 200, 300)과 연결(예: 접촉, 비접촉, 탈부착, 체결, 포함 등. 본 명세서에서 "연결"은 이러한 구현 선택 사항들 중 하나 이상을 의미하므로 이하 "연결"로만 지칭)되는 것일 수 있다. 도면을 예로 들면, 공간 분리 구조체(10)는 횡단 연결부(402)에 의해 상단 메인 유닛과 하단 메인 유닛으로 분리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이동 대상 연결부(403)은 메인 유닛(100, 200, 300)을 우회하지 않고 단순히 창문 틀(미도시)와 연결되어 있는 횡단 연결부(402)를 슬라이딩하는 것일 수도 있다. 횡단 연결부(402), 이동 대상 연결부(403) 등 또한 연결부(400)와 마찬가지로 개수, 형태, 크기, 각도 등의 속성이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시된 예는 이동 대상 연결부(403)가 횡단 연결부(402)를 세로 방향으로 관통한 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관통하지 않을 수도 있고, 가로 방향으로 연결되어 슬라이딩되는 것일 수도 있다.
또한, 도면은 이해의 편의를 위해 하나 이상의 주변 연결부(예: 좌측, 우측, 하단의 연결부 유닛(400)이 메인 유닛(100, 200, 300)보다 두껍고 메인 유닛(100, 200, 300)의 각 모서리와 연결된 모습을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심지어 하나 이상의 좌측, 우측, 하단 연결부 유닛(400')는 메인 유닛(100, 200, 300) 내의 유닛 결합부(300)와 동일한 것일 수도 있다. 예컨대 하나 이상의 유닛 결합부(300)는 도 12에서 설명한 시접 형태일 수 있고, 메인 유닛(100, 200, 300)과 각도를 가지고 결합된 것(예: 90도로 결합)일 수 있는데, 주변 연결부(400)는 이와 동일한 형태일 수도 있다. 주변 연결부(400)는 하나 이상이 레고처럼 연결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우측 연결부 유닛(400)은 3개가 연결된 것일 수 있다. 주변 연결부(4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개수가 한정되지 않아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는데, 뿐만 아니라, 횡단 연결부(402)를 횡단하는 것일 수도 있다. 도면을 예를 들면, 주변 연결부(400) 또는 횡단 연결부(402)와 비슷한 크기와 형태인데 횡단 연결부(402)와 90도로 연결되는 또다른 주변 연결부(400)가 잠금 요소(405)와 연결되게 더 포함될 수 있다.
예컨대, 2개의 창문(미도시) 상호 교차되게 슬라이딩되는 일반적인 종래 미닫이 창문을 예로 들었을 때, 창문의 틀이 교차되는 부분에 주변 연결부(400)가 하나 더 연결되면 좀더 안정적이고 편할 수 있을 것이다. 예컨대 늘 같은 위치에서 창문을 여닫을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잠금 요소(405)의 위치는 한정되지 않으나, 상기 위치에 위치하면 좀더 편하고, 침입을 시도하려는 외부인으로부터도 좀더 보호될 수 있을 것임을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두 창문의 횡단 연결부(402), 잠금 요소(405) 등은 수직 위치가 서로 다르게 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간 분리 구조체(10)를 자동화 또는 반자동화하기도 편하다. 즉, 공간 분리 구조체(10)는 자동으로 창문 등의 이동 대상을 여닫을 수 있는 모터, 추 등의 메커니즘, 동력원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신호, 프로그램 등으로 제어할 수 있게 해주는 디지털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3의 상단 도면들은 이중 하나의 창문 및 상기 하나의 창문만을 위한 횡단 연결부(600, 402)의 구현 선택 사항의 예를 개념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세쌍의 도면들 중 상단 도면은 한쪽 창문이 닫힌 모습, 하단 도면은 상기 창문이 열린 모습을 설명한 것임을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첫번째 쌍은 도 13의 하단 좌측 도면에서 설명한 것과 비슷한 횡단 연결부(402) 및 이동 대상 연결부(403)를 도시하고 있다. 전술한 예는 하나의 이동 대상 연결부(403)이나, 이는 예일 뿐 본 도면은 2개의 이동 대상 연결부(403)를 사용하면 좀더 안정적이고 편할 수 있음을 설명하고 있다. 예컨대, 전술한 예에서는 세로 방향으로 형성된 손잡이를 사용할 수 있음을 도출할 수 있으나, 본 도면에서는 가로 방향으로 형성된 손잡이로 구현할 수도 있음을 도출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2개의 지점(403P)에서 창문의 틀과 연결되고 손으로 잡기 쉽게 이격 돌출된 손잡이일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이동 대상 연결부(403)가 횡단 연결부(402)를 슬라이딩하는 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횡단 연결부(402) 없이 슬라이딩하는 것일 수 있다. 막대일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다만 길이가 고정되어 있는 실시예이다.
두번째 쌍은 이와 달리, 슬라이딩없이도 횡단 연결부(402) 길이를 변경할 수 있게 하면, 사용자가 창문을 직접 만지지 않고도 쉽게 창문을 여닫을 수 있음을 설명하고 있으며, 세번째 쌍은 이러한 횡단 연결부(402)를 2개 사용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음을 설명하고 있다. 세번째 쌍은 창문의 열린 부분에도 횡단하는 요소(402-1)가 존재하고, 두번째 쌍은 없으며, 첫번째 쌍은 구현에 따라 있을 수도 있고(402) 없을 수도 있다. 각자 장점이 있으므로 선택하면 된다. 길이 조정 요소의 구현에도 한정이 없다. 예를 들어, 종래의 길이 조절 막대, 종래의 자동 줄자 등의 구현 요소를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세번째 쌍은 오른쪽 잠금 요소(405)를 오른쪽으로 돌리면 제 2 횡단 연결부(402)가 줄어들면서 문(600)이 열리고, 왼쪽 잠금 요소(405)를 왼쪽 방향으로 돌리면 제 1 횡단 연결부(402)가 줄어들면서 문(600)이 닫히는 것일 수 있다. 이때 한쪽 연결부(402-1, 402-2)가 줄어들면 반대쪽 편 연결부(402-2, 402-1)은 줄어드는 것일 수 있다.
세 쌍의 예 모두 잠금 요소(405)의 구현은 너무 다양하게 선택할 수 있을 것임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잠금 요소(405)는 현재의 창문(600)이 열려있는 정도가 변경되지 않는 정도로만 잠글 것인지, 외부인이 임의로 조작하지 못하게 잠그는 기능까지 더 제공할 것인지도 구현 선택 사항이다. 또한 외부인의 임의 변경을 어디까지 방어할 것인지도 구현 선택 사항이다. 심지어 종래 기술과의 결합으로 이러한 기능을 제공하도록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컨대 잠금 요소는 단순히 종래 기술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빗장일 수도 있고, 종래의 자물쇠와 함께 사용하는 것일 수도 있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주의할 점은 본 명세서의 도면들은 이해를 위한 개념도일 뿐이며, 매우 다양한 구현 선택 사항이 있기 때문에 도면으로 모두 설명할 수 없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간 분리 구조체(10)는 여러 겹(100, 200)으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여러 겹(100, 200)을 연결하는 유닛 결합부(300)의 형태나 개수에도 한정이 없다. 또한 연결부(400)의 형태나 개수에도 한정이 없는데, 심지어 상기 여러 겹(100, 200), 유닛 결합부(300) 또는 둘다와 유사하거나 동일한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횡단 연결부(402), 이동 대상 연결부(403), 잠금 요소 등도 마찬가지이다.
예를 들어, 메인 유닛(100, 200, 300)이 3겹이고 가운데만 개구부 위치가 벗어나있고 겉면 유닛들은 개구부 위치가 동일하면 메인 유닛(100, 200, 300)의 내부 공간이 2개의 통이더라도 외부인의 시선 등을 잘 차단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개구부의 위치 조합, 메인 유닛(100, 200, 300)의 주름 유무나 각도, 방향 등의 속성, 내부의 유닛 결합부(300)의 유무나 주름(이해의 편의를 위해 선택한 용어일 뿐임을 주의) 유무나 각도, 방향 등의 속성, 주변 연결부(400)의 주름 유무나 각도, 방향, 메인 유닛이나 주변 환경과의 연결 등의 속성 조합도 매우 다양하다. 예컨대, 유닛 결합부(300)는 방충망 재질일 수도 있고, 메인 유닛(100, 200, 300)의 개구부에도 방충망이 설치된 것일 수도 있다. 메인 유닛(100, 200, 300)의 내부 공간은 방향제, 습기 제거제, 흡음 요소 등을 수용할 수 있고, 특히 거울 등을 수용할 경우 빛 제어력을 높일 수 있을 것임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유닛 결합부(300), 주변 연결부(400) 또는 둘다의 하나 이상에는 자바라, 와이어 등 형태나 각도 변경 고정을 쉽게 하는 요소가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인 유닛(100, 200, 300)의 좌측단과 우측단에 자바라, 와이어 등이 포함되어 있으면, 공간 분리 구조체(10)를 원하는대로 변형하고(예: 걷어올리기, 위쪽을 사선으로 두기 등) 그 상태로 고정해두기 편할 것이다. 심지어 메인 유닛 자체에는 주름, 폴드나 돌출, 골 등의 형태가 없이 평면이도록 구현하고 와이어, 횡단 연결부(402) 등으로 이를 동적으로 만들 수 있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메인 유닛(100, 200, 300)의 내부 공간의 크기를 조정하는 방법 중 하나로 사용할 수도 있음을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물론 이에 한정되지 않고, 매우 다양한 구현 방법이 존재함).
이러한 변형 고정 구성 요소는 물론 창이나 문 등의 공간 개구부에도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간 분리 구조체(10)를 다른 용도로 사용할 때도 유용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간 분리 구조체(10)를 얼굴 마스크로 사용할 경우 유용할 수 있음을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공간 분리 구조체(1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옷, 모자, 가방, 헤어밴드, 마스크, 목도리, 이불, 의자 등받이, 쿠션, 신발, 과일 포장재, 조명갓, 가림벽, 실내 텐트, 에어컨 실외기, 에너지 하베스트 수단이나 보조 수단, 단열, 방향제, 습기 제거제, 용기 등 매우 다양한 응용에 사용할 수 있다. 에어컨 실외기를 시원하고 깨끗하게 유지하는 예를 들면, 공간 분리 구조체(10)를 실외기 위에 비스듬한 각도로 설치하면 태양열로 뜨거워지는 것은 방지하면서 실외기 열은 잘 방출할 수 있다는 장점 뿐 아니라, 비둘기, 나뭇잎 등으로부터 실외기를 보호하기도 쉽다. 또한 바람을 견디는 힘이 뛰어나고 부드럽고 가벼운 재질을 사용할 수 있으므로 수명도 길고, 고층 아파트에서의 낙하 사고 걱정도 안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간 분리 구조체(10)는 플라스틱 등을 재사용하는 데에도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메인 유닛(100, 200, 300), 주변 연결부(400)를 레고처럼 다수 개의 구성 요소 연결로 구현할 수 있다고 하였는데, 페트병, 비닐 봉지(예: 과자 봉지, 라면 봉지 등) 등을 사용한다면 환경 보호에도 도움이 될 뿐 아니라 단열, 방수, 물 수집, 빛 조절(예: 집광, 확산 등) 등에도 유리할 수 있고 물건 보관이나 화분 대용으로도 사용할 수 있다. 벽으로 유출되거나 유입되는 열을 줄여 냉난방 효율을 높이는 데에도 유리하다.
도 13의 하단 우측 도면은 종래의 봉지(예: 과자 봉지, 시리얼 봉지, 지퍼백 등)를 사용하여 정량 배출이 가능한 용기를 제공하는 공간 분리 구조체(10)의 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해 물을 냉동하는 경우를 생각해보자. 종래에는 칸칸 구분되어 있는 얼음 용기에 물을 담아 냉동하였다. 하지만 납작한 용기에 물을 담으므로 물을 흘리기가 쉽다는 점, 냉동실 공간이 허비되기 쉽다는 점, 얼린 얼음을 쉽게 빼내기 어렵다는 점, 또다른 얼음을 얼리기 위해 얼린 얼음을 빼내어 지퍼백 등으로 옮겨야 한다는 점 등 다양한 불편사항이 있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간 분리 구조체(10)는 지퍼백(100, 200, 300)에 물을 넣고 주변 연결부(400)와 횡단 연결부(402)를 결합시키면 내부 공간 구분이 없던 지퍼백(100, 200, 300)에 구분된 다수개의 내부 공간이 생기므로, 쉽게 얼음을 얼릴 수 있고 쉽게 빼낼 수 있다는 점 등의 장점이 있다. 마늘 등을 소분하여 냉동하는 경우에는 더욱 간편하다. 더 나아가 냉동, 냉장하지 않더라도, 음식 재료가 아니더라도, 시리얼, 밀가루 등을 정량 배출하고 싶은 경우 매우 편리하다.
도면은 종래의 용기(예: 지퍼백 등)의 위쪽에만 횡단 연결부(402)를 연결(여기서는 단순 접촉임을 주의)하였으나, 이는 예일 뿐임을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전술한 다른 예들처럼 횡단 연결부(402), 주변 연결부(400)의 개수, 형태, 결합 방법 등에 한정이 없다. 또한 여기서는 지퍼백(100, 200, 300)을 메인 유닛(100, 200, 300)을 예로 들었으나, 이는 전술한 형태의 메인 유닛(100, 200, 300) 이외의 종래 기술도 사용할 수 있음을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간 분리 구조체(10)를 사용하면, 과일이나 야채를 쉽게 서로 닿지 않고 누르지 않게, 외부 습기로부터는 보호하되 자체 습기로 물러지지는 않게 보관할 수 있음을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보호력을 높이기 위해 다른 용기에 넣는 것도 가능하나, 공간 분리 구조체(10)의 주변 연결부(400)와 횡단 연결부(402)가 연결되는 가장 바깥의 메인 유닛(100, 200, 300)이 단단한 것이게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예는 과일이나 야채를 오래 보관하는 데에도 유리하지만, 포장 및 수송하는 데에도 유리할 것임을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공간 분리 구조체
100: 일측 유닛
200: 타측 유닛

Claims (1)

  1. 공간을 일측 공간과 제 1 영역으로 분리하는 하나 이상의 일측 유닛;
    상기 공간을 타측 공간과 제 2 영역으로 분리하는 하나 이상의 타측 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일측 유닛과 상기 타측 유닛은 서로 중첩되는 부분이 있도록 교대로 배치되어, 상기 중첩되는 부분에 의해 마련되는 공통 영역을 통해 상기 제 1 영역과 상기 제 2 영역이 서로 연결되며,
    상기 교대로 배치된 일측 유닛 및 타측 유닛이 상기 일측 공간과 상기 타측 공간을 분리하되,
    상기 일측 공간과 연결된 상기 제 2 영역, 상기 공통 영역, 상기 타측 공간과 연결된 상기 제 1 영역이 상기 일측 공간과 상기 타측 공간 사이에 물체 또는 파동의 경로를 형성하는 공간 분리 구조체.
KR1020200096445A 2016-08-02 2020-08-01 공간 분리 구조체 KR2021001572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60098319 2016-08-02
KR1020190093584A KR20200014710A (ko) 2016-08-02 2019-08-01 공간 분리 구조체
KR1020190093584 2019-08-0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5727A true KR20210015727A (ko) 2021-02-10

Family

ID=61225226

Famil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7921A KR20180015094A (ko) 2016-08-02 2017-08-02 공간 분리 구조체
KR1020180089699A KR20190014482A (ko) 2016-08-02 2018-08-01 공간 분리 구조체
KR1020190093584A KR20200014710A (ko) 2016-08-02 2019-08-01 공간 분리 구조체
KR1020200096445A KR20210015727A (ko) 2016-08-02 2020-08-01 공간 분리 구조체

Family Applications Before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7921A KR20180015094A (ko) 2016-08-02 2017-08-02 공간 분리 구조체
KR1020180089699A KR20190014482A (ko) 2016-08-02 2018-08-01 공간 분리 구조체
KR1020190093584A KR20200014710A (ko) 2016-08-02 2019-08-01 공간 분리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4) KR20180015094A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4482A (ko) 2019-02-12
KR20180015094A (ko) 2018-02-12
KR20200014710A (ko) 2020-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95127B2 (en) Portable toilet structure covering system
JP2002054312A (ja) 開閉式日除け付き屋外構造物
KR20210015727A (ko) 공간 분리 구조체
KR101342695B1 (ko) 보온 방장
KR101170280B1 (ko) 차양 및 빗물 유입방지 기타 사생활보호 및 방범을 위한 차단부재가 구비된 방충망
KR101298561B1 (ko) 프론트 캡이 구비된 낚시 텐트
KR100722221B1 (ko) 텐트용 도어의 환기 조절장치
US11761227B2 (en) Tent with configurable flue openings
AU2022221478A1 (en) A tent featuring retractable roof and side canvas panels or sheets
JP6901077B1 (ja) 建物
US20140223657A1 (en) Covering for a Series of Associated Portable Toilet Structures
KR101258509B1 (ko) 사이즈 가변형 실내 텐트
KR200255862Y1 (ko) 다기능 파라솔 텐트
CN206651686U (zh) 便更换式窗帘
US20100186904A1 (en) Aesthetic and sanitary vertical blind covers
AU2016201260A1 (en) Tent with non-pneumatic thermal envelope
KR102386507B1 (ko) 실내용 텐트
RU219002U1 (ru) Занавес утепленный
CN107815830A (zh) 一种智能烘干晾衣机的全包围装置
KR200389327Y1 (ko) 커튼
CN102031924A (zh) 通风防雨复合板
KR200180558Y1 (ko) 다용도 분리형 커튼
KR20100003571U (ko) 자동, 수동식 방풍막과 방충막을 겸한 상,하 개폐식 갤러리창호
KR20160018408A (ko) 공간 분리 구조체
JP2571196Y2 (ja) バルコニー、ベランダ等の遮蔽構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