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10460A - 자궁내막증을 치료하기 위한 조성물 및 방법 - Google Patents

자궁내막증을 치료하기 위한 조성물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10460A
KR20210010460A KR1020207032837A KR20207032837A KR20210010460A KR 20210010460 A KR20210010460 A KR 20210010460A KR 1020207032837 A KR1020207032837 A KR 1020207032837A KR 20207032837 A KR20207032837 A KR 20207032837A KR 20210010460 A KR20210010460 A KR 202100104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dometriosis
cells
subject
endometrial
expre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328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네이미어 키르마
브루스 니콜슨
Original Assignee
보드 오브 리전츠 더 유니버시티 오브 텍사스 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보드 오브 리전츠 더 유니버시티 오브 텍사스 시스템 filed Critical 보드 오브 리전츠 더 유니버시티 오브 텍사스 시스템
Publication of KR202100104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046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68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nucleic acids
    • C12Q1/6876Nucleic acid products used in the analysis of nucleic acids, e.g. primers or probes
    • C12Q1/6883Nucleic acid products used in the analysis of nucleic acids, e.g. primers or probes for diseases caused by alterations of genetic materia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69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for microorganisms, e.g. protozoa, bacteria, viruses
    • G01N33/56966Animal cell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2600/00Oligonucleotides characterized by their use
    • C12Q2600/158Expression mark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800/00Detection or diagnosis of diseases
    • G01N2800/36Gynecology or obstetrics
    • G01N2800/364Endometriosis, i.e. non-malignant disorder in which functioning endometrial tissue is present outside the uterine cavity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mmun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a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physics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Vir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asuring Or Testing Involving Enzymes Or Micro-Organism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Apparatus Associated With Microorganisms And Enzymes (AREA)

Abstract

자궁내막증의 검출 및 진단을 위한 방법이 본원에개시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자궁내막 세포로부터 수득된 세포 집단에서 특이적 유전자 발현 패턴을 검출하기 위한 민감한 단일 세포 발현 분석 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자궁내막증을 치료하기 위한 조성물 및 방법
관련 출원에 대한 상호 참조
본 출원은 2018년 4월 20일 출원된 미국 가특허 출원 제62/660,641호에 대한 이익 및 우선권을 주장하며, 그 전문이 참조로 포함된다.
발명의 기술 분야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자궁내막증을 검출하고 진단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자궁내막증은 미국에서 가장 흔한 부인과학 질환 중 하나이다. 이는 미국에서 15세 내지 44세 사이의 650만 명 이상의 여성에게 영향을 미치는 고통스럽고 종종 쇠약해지는 질환이다(Buck Louis, et al., Fertil Steril, 96:360-365 (2011)). 자궁내막증은 자궁 내막이 자궁외적으로 성장할 때 난소, 나팔관, 자궁을 제자리에 유지하는 조직, 및 자궁 외부 표면에서 가장 흔히 발생한다. 흔하지는 않지만, 자궁내막 성장은 또한 질, 자궁경부, 외음부, 장, 방광, 또는 직장에서 발견될 수 있다. 자궁내막증의 가장 흔항 증상은 통증, 출혈 또는 분비물, 불임, 및 설사, 변비, 팽만감, 또는 메스꺼움과 같은 소화 문제를 포함한다.
자궁내막증의 원인은 알려져 있지 않다. 가능한 원인은 역행성 월경 출혈, 유전적 요인, 면역계 문제, 호르몬 불균형, 및 수술 합병증을 포함한다. 자궁내막증의 원인이 알려져 있지 않기 때문에, 자궁내막증에 대한 현재 치료는 질환 자체가 아니라 증상만을 치료한다. 게다가, 자궁내막증 병변을 제거하는 수술 이외에 자궁내막증에 대한 치유법은 없다. 자궁내막증 병변의 제거는 질환에 대한 영구적인 치유법이 아니라 일시적인 치료 옵션일 뿐이다.
자궁내막증은 증상이 복부 및 장에 영향을 미치는 많은 다른 질환과 중첩되기 때문에 진단하기가 어렵다. 현재, 자궁내막증의 진단은 임상 이력 및 침습성 및 비침습성 검사 둘 다의 조합에 따른다. 골반 검사, 초음파 검사, 및 MRI는 모두 잠재적인 자궁내막증 병변을 시각화하는 데 사용되는 기술이다. 그러나, 자궁내막증의 결정적인 진단은 현재 복강경 검사라 불리는 유형의 수술을 통해서만 수득될 수 있으며, 여기서 의사는 골반 영역 내에서 자궁내막 조직을 직접 볼 수 있다. 복강경 검사 동안 의사는 또한 발견된 임의의 자궁내막증 병변을 절제할 것이다. 복강경 검사는 침습성 방법이고, 비용이 많이 들기 때문에, 자궁내막증에 대한 스크리닝은 실용적이지 않다. 결과적으로, 자궁내막증이 있는 많은 여성들은 진단을 받지 않거나, 또는 부정확하게 진단을 받고, 치료받지 않는다. 자궁내막증을 진단하기 위한 덜 침습성인 조기 검출 방법이 필요하다.
따라서, 자궁내막증을 진단하기 위한 보다 효과적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이다.
또한 자궁내막증을 진단하기 위한 덜 침습성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이다.
환자에서 자궁내막증을 진단하고 치료하는 방법이 본원에 개시된다. 자궁내막증을 진단하는 현재 방법은 효율성이 낮거나 또는 고도로 침습성이다. 자궁내막증을 진단하는 효율적인 비침습성 방법이 제공된다.
일 구현예는 대상체에서 수득된 자궁내막 기질 세포를 강화 또는 확장하는 단계, 강화 또는 확장된 자궁내막 기질 세포를 미세유체 챔버에서 단일 세포 처리에 적용하여 증폭된 cDNA를 생성하는 단계, 증폭된 cDNA를 미세유체 PCR에 적용하여 DBN1, CAV1, CDH, CDK1, CD45, CK19, CSNK, CTNNB1, Cx43,EpCAM, GAPDH, GJA1, GJA3, GJA5, GJA8, GJA9, GJB1, GJB2, GJB3, GJB4, GJB5, GJB6, GJB7, GJC2, GUSB, KRT18, MAPK1, MAPK3, MME, Notch1, NOV1, PECAM, PRKACA, PRKACB, PRKACG, PRKCA, SNAI1, SRC, TGFBR2, TJAP1, TJP1, TJP2, Twist 1, VEGFR1, VIM, Zeb2, ZO1, ZO2, 및 이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유전자의 RNA 유전자 발현을 검출하는 단계, 하나 이상의 유전자의 발현이 자궁내막증이 없는 대상체로부터의 자궁내막 기질 세포에서 하나 이상의 유전자의 발현에 비해 감소된 경우 대상체를 자궁내막증으로 진단하는 단계, 및 자궁내막증으로 진단된 대상체에 자궁내막증에 대한 치료를 투여하는 단계에 의해 자궁내막증의 진단 및 치료를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서 자궁내막증을 진단 및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또 다른 구현예는 대상체에서 수득된 자궁내막 상피 세포를 강화 또는 확장하는 단계, 강화 또는 확장된 자궁내막 상피 세포를 미세유체 챔버에서 단일 세포 처리에 적용하여 증폭된 cDNA를 생성하는 단계, 증폭된 cDNA를 미세유체 PCR에 적용하여 DBN1, CAV1, CDH, CDK1, CD45, CK19, CSNK, CTNNB1, Cx43,EpCAM, GAPDH, GJA1, GJA3, GJA5, GJA8, GJA9, GJB1, GJB2, GJB3, GJB4, GJB5, GJB6, GJB7, GJC2, GUSB, KRT18, MAPK1, MAPK3, MME, Notch1, NOV1, PECAM, PRKACA, PRKACB, PRKACG, PRKCA, SNAI1, SRC, TGFBR2, TJAP1, TJP1, TJP2, Twist 1, VEGFR1, VIM, Zeb2, ZO1, ZO2, 및 이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유전자의 RNA 유전자 발현을 검출하는 단계, 하나 이상의 유전자의 발현이 자궁내막증이 없는 대상체로부터의 자궁내막 상피 세포에서 하나 이상의 유전자의 발현에 비해 상승된 경우 대상체를 자궁내막증으로 진단하는 단계, 및 자궁내막증으로 진단된 대상체에 자궁내막증에 대한 치료를 투여하는 단계에 의해 자궁내막증의 진단 및 치료를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 자궁내막증을 진단 및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또 다른 구현예는 대상체에서 수득된 자궁내막 기질 및 상피 세포를 강화 또는 확장하는 단계, 강화 또는 확장된 자궁내막 기질 및 상피 세포를 미세유체 챔버에서 단일 세포 처리에 적용하여 증폭된 cDNA를 생성하는 단계, 증폭된 cDNA를 미세유체 PCR에 적용하여 DBN1, CAV1, CDH, CDK1, CD45, CK19, CSNK, CTNNB1, Cx43,EpCAM, GAPDH, GJA1, GJA3, GJA5, GJA8, GJA9, GJB1, GJB2, GJB3, GJB4, GJB5, GJB6, GJB7, GJC2, GUSB, KRT18, MAPK1, MAPK3, MME, Notch1, NOV1, PECAM, PRKACA, PRKACB, PRKACG, PRKCA, SNAI1, SRC, TGFBR2, TJAP1, TJP1, TJP2, Twist 1, VEGFR1, VIM, Zeb2, ZO1, ZO2, 및 이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유전자의 RNA 유전자 발현을 검출하는 단계, 하나 이상의 유전자의 발현이 자궁내막증이 없는 대상체로부터의 자궁내막 기질 세포에서 하나 이상의 유전자의 발현에 비해 감소되고 자궁내막증이 없는 대상체로부터의 자궁내막 상피 세포에서 하나 이상의 유전자의 발현에 비해 상승된 경우 대상체를 자궁내막증으로 진단하는 단계, 및 자궁내막증으로 진단된 대상체에 자궁내막증에 대한 치료를 투여하는 단계에 의해 자궁내막증의 진단 및 치료를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서 자궁내막증을 진단 및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자궁내막 세포는 월경혈 또는 자궁내막 생검으로부터 수득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기질 세포는 자궁내막 기질 세포 마커 CD10, CD146, 및 CD13을 사용하여 세포를 분류함으로써 단리된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자궁내막 상피 세포는 내피 상피 세포 마커 EpCam+, CD45, 및 CD9를 사용하여 세포를 분류함으로써 단리된다.
자궁내막증에 대한 치료는 항염증 약물, 호르몬 요법, 또는 이환된 부위의 수술적 제거를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대상체는 자궁내막증의 증상을 갖는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대상체는 이전에 자궁내막증으로 진단되었다.
도 1a-1i는 간극 연접(gap junction) 유전자(코넥신) 뿐만 아니라 세포-세포 상호작용(밀착 및 유착 연접)에 수반되는 다른 단백질, 및 이들을 조절하는 다양한 키나제에 대한 유전자 발현 수준을 반영하는 열 지도를 도시한다. 검정색 및 흰색에서, 가장 높은 발현은 회색이고, 중간 발현은 검정색이고 가장 낮은 발현은 흰색이다. 각 점은 특정 세포(열로 배열됨)에서 특정 유전자(행으로 배열됨)의 발현에 상응한다. 도 1a-1e는 자궁내막증 없음(정상; 도 1a), 초기 자궁내막증(I/II 기; 도 1b), 및 골반 강에서 보다 광범위한 자궁내막증 병변 (III/IV 기; 도 1c-1e)있는 여성의 자궁 자궁내막 생검 샘플로부터 강화된 기질 세포의 유전자 발현 프로파일이다. 이들 샘플은 월경 주기의 상이한 단계에서 수득되었다: ES, 초기 분비(도 1a-1c); MS, 중간 분비(도 1d); 및 P, 증식(도 1e). 도 1f-1i는 자궁내막증 없음(정상; 도 1f-g), 초기 자궁내막증(I/II 기; 도 1h), 및 광범위한 자궁내막증(III/IV 기; 도 1i)이 있는 여성의 자궁 자궁내막 생검 샘플로부터 강화된 상피 세포의 유전자 발현 프로파일이다. 이들 샘플은 월경 주기의 상이한 단계에서 수득되었다: ES, 초기 분비(도 1f-h) 및 P, 증식(도 1i).
도 2a-2bb는 자궁 솔생검으로부터 강화된 기질 세포(도 2a-2n) 및 상피 세포(도 2o-2bb)에서 대부분의 간극 연접 유전자(각 플롯 위에 GJ로 표시됨)에 대한 단일 세포 미세유체 PCR 발현 데이터의 박스 플롯이다. 환자는 각 플롯의 X 축을 따라 번호로 식별되며, 실시예의 표 3에 표시된 바와 같이, 정상, 초기 및 후기 단계 자궁내막증 대상체를 나타낸다. Y 축은 Log10 식을 나타낸다. GJA1(Cx43 단백질을 암호화)은 두 세포 유형에서 가장 풍부하게 발현되는 코넥신이다. 그러나, 사실상 모든 코넥신은 기질 세포(도 2a-2n)에서 질환 진행에 따라 식에서 일관되고 유의한(별표로 표시됨) 감소를 나타내지만, 상피 세포(도 2o-2bb)에서는 질환 진행에 따라 증가를 나타낸다.
도 3a-3n은 자궁의 솔생검으로부터 강화된 자궁내막 기질 세포(도 3a-3g) 및 자궁내막 상피 세포(도 3h-3n)에서 각 플롯의 상단에 표시된 바와 같이(TJP1 = ZO1; Cav = 카베올린; CDH2 = N-카드헤린; Vim = 비멘틴; CTNNB = 카테닌 베타; PRHACA - 단백질 키나제 A; PRKCB = 단백질 키나제 C), 간극 연접 이외의 세포-세포 상호작용에 수반되는 여러 다른 유전자 및 이들의 조절인자에 대한 단일 세포 미세유체 PCR 발현 데이터를 나타내는 박스 플롯이다. 그래프의 라벨링은 도 2a-2bb에서와 같다.
도 4a-4g는 정상 및 자궁내막증 대상체로부터의 1차 자궁내막 기질 및 상피 세포에서 간극 연접 세포간 커플링의 기능적 평가를 도시한다. 도 4a는 "공여" 세포를 간극 연접 투과 염료와 로딩하고, 이를 수용 세포의 단층 위에 떨어뜨리고 염료를 단층에 퍼트린 후 검정이 수행되는 방법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4b-4e는 정상 대상체 및 진행성 자궁내막증 환자로부터의 기질 세포를 사용한 검정의 예를 나타내는 대표적인 이미지이다. 도 4f는 시간 경과에 따라 공여 및 수용 세포 사이의 칼세인 전달 속도를 나타내는 선 그래프이다(위 그래프 - 정상; 아래 그래프 - 자궁내막증. X-축은 시간을 나타내고 Y-축은 공여 세포 당 표지된 수용 세포의 수를 나타낸다. 기울기는 세포간 커플링 효율("커플링"으로 지칭됨)의 척도로 사용된다. 도 4g-4h는 상피 자궁내막 세포(도 4g) 및 기질 자궁내막 세포(도 4h)의 서로에 대한(동형 커플링 - 검정색 막대) 또는 LP9 복막 중피 세포의 단층에 대한(이형 커플링 - 회색 막대) 커플링 수준을 나타내는 막대 그래프이다. 먼저, 발현 프로파일로부터 예상되는 바와 같이, 기질 세포는 상피 세포보다 서로에 대해 덜 잘 커플링된다. 그러나, 중피 세포에 노출되는 경우(보통 자궁내막증에서 침투를 통함) 커플링에서 극적인 증가가 보이지만, 자궁내막증 환자로부터의 기질 세포에서만 보인다(유의성은 대응표본 T-검정으로 제시됨).
도 5a-5f는 자궁내막증 없음(167 정상; 도 5a, 도 5d), 표피상 자궁내막증(164 Endo I-II; 도 5b, 도 5e), 및 심층 침윤성 자궁내막증(169 Endo III-IV; 도 5c, 도 5f)이 있는 여성으로부터의 자궁 자궁내막 생검 샘플에서 기질 세포 단독(도 5a - 도 5c) 또는 중피 세포에 노출된 기질 세포(도 5d-5f)에서 Cx43의 발현을 나타내는 형광 현미경 이미지이다. 화살표는 중피 세포에 노출된 자궁내막증 세포에서 세포 표면에 Cx43의 재분포를 나타내며, 이는 잠재적으로 도 4a-4h에서 볼 수 있는 커플링의 빠른 유도를 설명한다.
도 6은 미처리 샘플(검정색 막대) 또는 세포 커플링을 감소시키기 위해 Cx43 siRNA로 처리된 샘플(회색 막대) 또는 글루타르알데히드 데히드로게나제(GAPDH - 빗금친 막대)에 대한 대조군 siRNA로 처리된 샘플에서 중피 세포 단층을 통해 침습된 자궁내막 상피 세포 및 기질 세포의 수를 나타내는 막대 그래프이다. 두 세포 유형은 침습성이며, 이러한 침습성은 Cx43 발현이 억제될 때 크게 제거된다. 그러나, 기질 세포는 질환 진행에 따라 침습성의 유의한 증가를 나타내며, 이는 자궁내막증 샘플에서 Cx43 발현에만 의존한다.
I. 정의
현재 청구된 발명을 기재하는 맥락에서(특히 청구범위의 맥락에서) 단수형 단어 및 유사한 지시어의 사용은 달리 본원에 나타내지 않거나 문맥에 의해 명확하게 모순되지 않는 한, 단수형 및 복수형을 모두 포괄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원에서 값의 범위의 인용은 본원에 달리 지시되지 않는 한, 범위 내에 속하는 각 개별 값을 개별적으로 지칭하는 약칭 방법으로 제공되는 것으로 의도되며, 각 개별 값은 본원에서 개별적으로 인용된 것처럼 명세서에 포함된다.
용어 "약"의 사용은 대략 +/- 10% 범위에서 언급된 값보다 높거나 또는 낮은 값을 기재하는 것으로 의도되며; 다른 구현예에서 값은 대략 +/- 5% 범위에서 언급된 값보다 높거나 또는 낮은 값의 범위일 수 있으며; 다른 구현예에서 값은 대략 +/- 2%의 범위에서 언급된 값보다 높거나 또는 낮은 값의 범위일 수 있으며; 다른 구현예에서 값은 대략 +/- 1% 범위에서 언급된 값보다 높거나 또는 낮은 값의 범위일 수 있다. 상기 범위는 문맥에 의해 명확하게 의도되며, 추가 제한을 암시하지 않는다. 본원에 기재된 모든 방법은 달리 본원에 지시되지 않거나 또는 문맥에 의해 명확하게 모순되지 않는 한 임의의 적합한 순서로 수행될 수 있다. 본원에 제공된 임의의 및 모든 예, 또는 예시적인 언어(예를 들어, "예컨대")의 사용은 본 발명을 더 잘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의도되며 달리 청구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의 범위에 제한을 두지 않는다. 명세서의 어떤 언어도 본 발명의 실행에 필수적인 것으로서 임의의 주장되지 않은 요소를 나타내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자궁"은 아기집으로도 달려진 여성 생식계의 기관을 지칭한다. 자궁의 주요 기능은 출산 준비가 될 때까지 태아를 수용하고 영양을 공급하는 것이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자궁내막"은 자궁을 감싸는 점막 막을 지칭한다. 자궁내막은 월경 주기 내내 변화한다. 월경은 호르몬 변동에 반응하여 자궁내막이 주기적으로 벗겨지는 것이다. 월경 주기는 난포기 또는 증식기, 및 황체기 또는 분비기의 2 단계로 나눠진다. 증식기는 난포의 발달을 특징으로 한다. 분비기는 전형적으로 14 일이며 배란 후 시작한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자궁내막 세포"는 자궁내막의 세포를 지칭한다. 자궁내막 세포는 기질 세포 및 상피 세포로 세분화될 수 있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기질 세포"는 임의의 기관의 결합 조직 세포를 지칭한다. 기질 세포는 해당 기관의 실질 세포 기능을 지원한다. 자궁내막 기질 세포는 임신의 시작 및 유지에 중요하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상피 세포"는 상피로 지칭되는 세포의 응집 시트를 형성하는 세포를 지칭한다. 이들은 신체 표면에 대한 덮개 또는 내벽, 및 분비선의 기능 유닛으로 기능한다. 상피 세포는 흡수, 분비, 또는 장벽으로 작용하도록 전문화될 수 있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자궁내막증"은 자궁의 조직이 자궁 외부의 복강에서 성장하는 부인과학 질환을 지칭한다. 자궁내막증의 두 가지 주요 증상은 통증 및 불임을 포함한다. 통증 및 불임의 주요 원인은 자궁내막 이식물 및 유착이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자궁내막 이식물"은 자궁외 위치에서 발견되는 자궁내막 조직을 지칭한다. 이식물은 골반 영역의 복막 표면 상의 작고 평평한 패치와 유사하다. 이들 이식물은 주변 조직에 자극 및 염증을 유발하여, 유착 형성으로 이어질 수 있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은 "유착"은 정상적으로 이동하는 조직 및 기관에 결합할 수 있는 내부 흉터 조직의 밴드를 지칭한다.
자궁내막증은 질환 중증도, 질환 확산 정도, 골반 구조 개입, 골반 유착 정도, 및 나팔관 막힘에 기초하여 "병기"로 분류된다. 자궁내막증의 병기는 반드시 환자가 경험한 증상의 중증도를 반영하지 않는다.
자궁내막증의 네 가지 병기는 최소, 경도, 중등도, 및 중증에 상응한다. 대부분의 환자는 최소 및 경도 병기에 속한다. I 기라고 불리는 최소 자궁내막증은 단리된 이식물을 특징으로 하며 유의한 유착이 없다. 경도 자궁내막증인 II 기는 유의한 유착 없이 전체적으로 5 cm 미만의 표피상 이식물을 특징으로 한다. I 기 및 II 기 자궁내막증은 종종 "표피상 자궁내막증"이라 불리는 동일한 범주에서 조합된다. 중등도(III 기) 자궁내막증은 자궁내막 조직이 난소에서 성장할 때 형성되는 일종의 낭종인 자궁내막종의 출현을 특징으로 한다. 중증 자궁내막증(IV 기)은 다수의 이식물, 낭종, 및 관 및 난소 주위에 흉터형성으로 이어지는 심한 유착을 특징으로 한다. IV 기 자궁내막증이 있는 여성은 불임 문제가 있을 가능성이 가장 높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간극 연접"은 이온 및 작은 분자가 인접 세포 사이를 통과하게 하는 세포 막의 조직화된 단백질 채널 응집체를 지칭한다.
II. 자궁내막증을 진단하고 치료하는 방법
자궁내막증을 진단하고 치료하는 방법이 본원에 제공된다. 본원에는 자궁내막 세포에서 수득된 세포 집단에서 특이적 유전자 발현 패턴을 검출하기 위한 민감한 단일 세포 발현 분석 방법이 개시된다. 예시적인 방법은 대상체에서 수득된 자궁내막 세포를 강화 또는 확장하는 단계, 상기 세포를 미세유체 챔버에서 단일 세포 처리에 적용하여 증폭된 cDNA를 생성하는 단계, 증폭된 cDNA를 미세유체 PCR에 적용하여 DBN1, CAV1, CDH, CDK1, CD45, CK19, CSNK, CTNNB1, Cx43,EpCAM, GAPDH, GJA1, GJA3, GJA5, GJA8, GJA9, GJB1, GJB2, GJB3, GJB4, GJB5, GJB6, GJB7, GJC2, GUSB, KRT18, MAPK1, MAPK3, MME, Notch1, NOV1, PECAM, PRKACA, PRKACB, PRKACG, PRKCA, SNAI1, SRC, TGFBR2, TJAP1, TJP1, TJP2, Twist 1, VEGFR1, VIM, Zeb2, ZO1, ZO2, 및 이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유전자의 RNA 유전자 발현을 검출하는 단계, 하나 이상의 유전자의 발현이 자궁내막증이 없는 대상체로부터의 자궁 기질 세포에서 하나 이상의 유전자의 발현에 비해 상승된 경우 대상체를 자궁내막증으로 진단하는 단계, 및 자궁내막증으로 진단된 대상체에 자궁내막증에 대한 치료를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A.자궁내막 세포의 강화 및 확장
1. 자궁내막 샘플
일 구현예에서, 자궁 세포의 샘플은 일상적인 건강 검사 동안 여성으로부터 수집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여성은 자궁내막증을 갖는 것으로 의심된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여성은 이전에 자궁내막증으로 진단되었고 개시된 방법을 사용하여 질환 재발을 모니터링한다.
일 구현예에서, 자궁내막 세포는 스테리컵에 수집된 월경액과 같은 비침습성 방식으로 대상체로부터 수득된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자궁내막 세포는 자궁내막 솔생검 장치 또는 자궁내막 흡입 카테터의 사용과 같은 최소 침습성 방법으로 대상체로부터 수득된다.
자궁내막증이 있는 여성은 표피상 자궁내막증(I/II 기) 또는 심층 침윤성 자궁내막증(III/IV 기)을 가질 수 있다. 생검 시료는 초기 분비기, 중간 분비기, 또는 증식기를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 월경 주기의 상이한 병기에서 수득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는 자궁 세포를 단일 세포 처리 및 미세유체 PCR에 적용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자궁 세포는 기질 또는 상피일 수 있다.
자궁내막 생검은 조직으로부터 세포를 단리함으로써 강화, 확장, 및 단일 세포 처리를 위해 준비될 수 있다. 자궁내막 생검으로부터 세포를 단리하는 방법은 당업계에 알려져 있다. 예시적인 방법은 콜라게나제 소화, 트립신 소화, 및 전체 생검으로부터 표면 상피의 수동 찰과(scraping)를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Krjutskov, K., et al. Human Reproduction, 31:844-853 (2016); Jividen, K., et al., J Vis Exp, 87:e51513).
월경액은 적혈구를 제거하고 체액으로부터 자궁내막 세포를 단리함으로서 강화, 확장, 및 단일 세포 처리를 위해 준비된다.
2. 세포 강화
일 구현예에서 생검으로부터의 자궁내막 세포 집단은 기질 세포 또는 상피 세포에 대해 강화된다. 기질 또는 상피 세포에 대한 자궁내막 세포 집단을 강화하는 방법은 당업계에 알려져 있다. 예시적인 방법은 여과 장치, 유세포 분석, 특이적 항체로 코팅된 자기 비드 또는 마이크로비드, 및 미세유체를 사용한 물리적 분리를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강화된 샘플은 단일 세포 처리 전에 배양물에서 확장될 수 있다.
i. 여과
일 구현예에서, 기질 세포는 소화된 세포 현탁액을 세포 배양 필터를 통해 통과시킴으로써 자궁내막 세포 집단으로부터 단리된다. 기질 세포는 필터를 통해 유동할 것이지만 상피 세포는 필터를 통해 통과되지 않은 조직 내에 응집된 상태로 유지될 것이다. 상피 조직은 단일 세포 현탁액으로 추가로 소화될 수 있다. 강화된 세포 현탁액은 확장을 위해 배양되거나 또는 단일 세포 처리를 위해 직접 사용될 수 있다.
ii. FACS
형광 활성화 세포 분류(FACS)는 단일 세포를 단리할 수 있는 분류 능력이 있는 전문화된 유형의 유세포 분석이다. 분리 전에, 세포 현탁액을 제조하고 표적 세포를 형광 프로브로 표지한다. 형광단-접합된 모노클로날 항체(mAb)는 표적 세포 상의 특이적 표면 마커를 인식하는 가장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형광 프로브이다. 세포 현탁액은 기계를 통해 실행될 때, 각 세포를 레이저에 노출시켜, 형광 검출기가 특히 항체가 결합되는 선택된 특성에 기초하여 세포를 식별하게 한다. 기기는 관심 세포를 함유하는 액적에 전하(양 또는 음)를 인가하고 정전 편향 시스템은 이후 분석을 위해 하전된 액적을 적절한 수집 튜브에 수집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또한 FACS를 사용하여 단일 세포를 분류할 수 있다 .
일 구현예에서, 자궁내막 생검으로부터의 세포는 FACS를 사용하여 분류된다. 자궁내막 생검으로부터의 세포 현탁액은 CD10, CD146, 및 CD13과 같은 기질 세포 마커를 인식하는 형광 프로브와 배양될 수 있다. 세포 현탁액은 유세포 분석기를 통해 실행되고 기질 세포는 별개의 용기에 수집된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세포 현탁액은 EpCam+ 및 CD9와 같은 상피 마커를 인식하는 형광 프로브와 배양된다. 세포 현탁액은 유세포 분석기를 통해 실행되고 상피 세포는 별개의 용기에 수집된다. 일 구현예에서, 자궁내막 세포 배양물은 FACS를 사용하여 기질 또는 상피 세포에 대해 강화된다.
iii. 자기 비드
자기 비드 세포 단리는 세포의 혼합된 집단으로부터 특이적 세포 유형을 강화하는 데 사용되는 기술이다. 표적 세포 상의 세포 표면 마커에 대한 항체와 접합된 자기 비드 또는 나노입자는 세포의 집단과 혼합된다. 세포를 보유하는 용기는 자기 칼럼에 노출되고 관심 세포(자기 비드와 접합된 것)는 나머지 세포로부터 분리된다. 일 구현예에서, 자기 비드는 CD10, CD146, 및 CD13과 같은 기질 세포 마커에 대한 항체와 접합되고 자궁내막 세포 현탁액으로부터 기질 세포를 분리하는 데 사용된다.
iv. 미세유체
또 다른 구현예에서, 자궁내막 생검으로부터의 세포는 미세유체를 사용하여 강화된다. 미세유체 칩에 의한 세포 분류는 다음과 같이 네 가지 범주로 나눠질 수 있다: 세포-친화성 크로마토그래피 기반 미세유체 분리, 세포의 물리적 특성 기반 미세유체 분리, 면역자기 비드 기반 미세유체 분리, 및 다양한 세포 유형의 유전 특성 사이의 차이에 기반한 분리 방법.
세포-친화성 크로마토그래피 기반 미세유체는 미세유체 칩 분석을 위해 가장 흔히 사용되는 방법이다. 항원 및 항체, 리간드 및 수용체 사이의 매우 특이적인 상호작용을 기반으로 한다. 과정의 초기에, 칩의 마이크로-채널은 세포 표면 항원 또는 앱타머에 결합할 수 있는 특이적 항체로 변형된다. 샘플이 마이크로-채널을 통해 흐르면, 이의 세포 표면 항원은 특이적 항체 또는 앱타머에 결합하여 세포를 칩 상에 고정시킬 수 있는 반면, 나머지 세포는 완충액과 함께 칩에서 흘러나온다. 마지막으로, 상이한 완충액을 사용하여, 고정화된 세포를 하류 분석을 위해 용리시킬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자궁내막 세포 집단은 미세유체를 사용하여 기질 세포에 대해 강화된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상피 세포가 강화된다.
3. 세포 확장
다른 구현예에서 세포는 특이적 하위유형의 세포에 대해 강화되지 않고 배양물에서 확장된다. 자궁내막 생검은 조직으로부터 세포를 단리함으로써 세포 배양물에서 확장을 위해 준비될 수 있다. 자궁내막 생검으로부터 세포를 단리하는 방법은 당업계에 알려져 있다. 예시적인 방법은 콜라게나제 소화, 트립신 소화, 및 전체 생검으로부터 표면 상피의 수동 찰과를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Krjutskov, K., et al. Human Reproduction, 31:844-853 (2016); Jividen, K., et al., J Vis Exp, 87:e51513). 자궁내막 세포를 배양하는 방법은 당업계에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Osteen, K.G., et al., Fertility and Sterility, 52:966-972 (1989); Zhang, L., et al., J Cell Sci, 108:323-331(1995) 참조. 일부 구현예에서, 단일 세포 PCR의 높은 민감성은 분석 전에 배양물에서 세포를 확장할 필요성을 극복한다.
B. 단일 세포 처리
일 구현예에서, 강화 또는 확장된 기질 또는 자궁 세포는 단일 세포 처리에 적용된다. 단일 세포 처리는 세포 집단으로부터 단일 세포를 단리하고 세포의 전체 집단보다 단일 세포에 대해 분석을 수행하는 방법이다. 일 구현예에서, 자궁내막 샘플로부터의 단일 세포는 미세유체 PCR에 적용된다.
1. 단일 세포 단리
일 구현예에서, 기질 세포는 자궁내막 세포 배양물로부터 단리된다. 예시적인 자궁내막 기질 세포 마커는 CD10, CD146, 및 CD13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상피 세포는 자궁내막 세포 배양물로부터 단리된다. 예시적인 상피 마커는 EpCam+, CD45, 및 CD9를 포함하나 이제 제한되지 않는다.
전체 세포 배양물로부터 단일 세포를 단리하는 방법은 당업계에 알려져 있다. 큰 세포 집단으로부터 단일 세포를 단리하는 예시적인 방법은 수동 세포 선별, 유세포 분석, 자기-활성화 세포 분류, 및 미세유체를 포함한다.
또한 집단으로부터 희귀 세포를 단리하거나, 또는 작은 샘플로부터 단일 세포를 단리하는 방법이 당업계에 알려져 있다. 유전영동(DEP) 미세유체 시스템은 유전영동 케이지가 있는 미세유체 칩을 사용하여 형광 마커로 식별 후 전하에 의해 개별 세포를 처리한다. 이들 시스템의 이점은 모든 세포가 보존되고, 심지어 100,000 개의 풀에서 단일 세포가 효율적으로 단리될 수 있다는 점이다. 예시적인 DEP 시스템은 DEP-Array™ 시스템(Silicon Biosciences)이다. 일 구현예에서, 자궁내막 세포는 DEP 시스템을 사용하여 단일 세포 샘플로 분리된다. 세포는 기질 또는 상피 마커로 표지되어 두 세포 집단을 분리할 수 있다. DEP 시스템은 추가 처리를 위해 단일 세포 각각을 마이크로플레이트의 개별 웰에 분배할 수 있다.
2. 미세유체 PCR
일 구현예에서, 처리된 단일 세포로부터의 cDNA는 미세유체 PCR에 사용된다. 미세유체는 나노리터 또는 피코리터 정도의 유체 부피로 샘플을 처리할 수 있는 초소형 장치이다. 미세유체 PCR 시스템은 나노리터 크기의 샘플로부터 핵산 발현을 성공적으로 검출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미세유체 PCR 기계는 단일 세포 미세유체 PCR 기계이다. 판매중인 미세유체 PCR 기계의 예는 BioMark™ HD 단일 세포 시스템(Fluidigm) 또는 C1™ 시스템(Fluidigm)이다.
i. 간극 연접
간극 연접은 세포 사이의 전문화된 세포간 연결이다. 이들 연결, 또는 채널은 두 세포의 세포질 사이에 직접 세포간 소통을 제공하여 최대 대략 1 kD 크기의 이온 및 대사산물을 빠르게 교환하게 한다. 간극 연접은 코넥신 단백질의 클러스터로부터 형성된다. 예시적인 간극 연접 유전자는 GJA1, GJA3, GJA5, GJA8, GJA9, GJB1, GJB2, GJB3, GJB4, GJB5, GJB6, GJB7, 및 GJC2를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일 구현예에서, 간극 연접 유전자의 발현은 자궁내막 상피 세포에서 상승되지만, 자궁내막증이 있는 여성의 자궁내막 기질 세포에서 감소된다.
세포간 간극 연접 소통은 자궁내막 세포 및 자궁내막증에서 침습 표적인 중피 사이의 세포 소통 방식으로 조사되었다. 전통적인 세포 검정 뿐만 아니라 단일 세포 분석을 사용하여, 자궁내막증 병변 발생을 야기하는 자궁내막 세포 침습에 수반될 수 있는 특이적 간극 연접 단백질(채널 형성 코넥신)을 식별하였다. 간극 연접 유전자 이외에도, 다른 조절 유전자 및 키나제가 간극 연접에서 소통에 수반된다. 간극 연접을 조절하는 예시적인 키나제는 티로신 키나제, 단백질 키나제 C, cAMP-의존성 단백질 키나제, MAP 키나제, cdc2/사이클린B, 및 카제인 키나제 I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Warn-Cramer, B.J. and Lau, A.F., Biochim Biophys Acta, 1662:81-95 (2004); Lampe, P.D. and Lau, A.F., Int J Biochem Cell Biol, 36:1171-1186 (2004)).
일 구현예에서, 단일 세포 샘플로부터의 cDNA에서 DBN1, CAV1, CDH, CDK1, CD45, CK19, CSNK, CTNNB1, Cx43,EpCAM, GAPDH, GJA1, GJA3, GJA5, GJA8, GJA9, GJB1, GJB2, GJB3, GJB4, GJB5, GJB6, GJB7, GJC2, GUSB, KRT18, MAPK1, MAPK3, MME, Notch1, NOV1, PECAM, PRKACA, PRKACB, PRKACG, PRKCA, SNAI1, SRC, TGFBR2, TJAP1, TJP1, TJP2, Twist 1, VEGFR1, VIM, Zeb2, ZO1, 및 ZO2의 RNA 유전자 발현은 미세유체 PCR에 의해 측정된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샘플에서 개시된 유전자 중 하나의 발현 수준은 자궁내막증이 없는 건강한 개체로부터의 샘플에서 동일한 유전자의 발현 수준과 비교된다.
C. 자궁내막증 진단
개시된 방법에서, DBN1, CAV1, CDH, CDK1, CD45, CK19, CSNK, CTNNB1, Cx43,EpCAM, GAPDH, GJA1, GJA3, GJA5, GJA8, GJA9, GJB1, GJB2, GJB3, GJB4, GJB5, GJB6, GJB7, GJC2, GUSB, KRT18, MAPK1, MAPK3, MME, Notch1, NOV1, PECAM, PRKACA, PRKACB, PRKACG, PRKCA, SNAI1, SRC, TGFBR2, TJAP1, TJP1, TJP2, Twist 1, VEGFR1, VIM, Zeb2, ZO1, 및 ZO2를 함유하는 군으로부터의 하나 이상의 유전자의 발현이 자궁내막증이 없는 대상체로부터의 자궁내막 상피 세포에서 유전자의 하나 이상의 발현에 비해 상승되거나 또는 자궁내막증이 없는 대상체로부터의 자궁내막 기질 세포에서 하나 이상의 유전자의 발현에 비해 감소된 경우 대상체는 자궁내막증으로 진단된다.
상기 언급된 유전자의 발현 수준은 질환 중증도에 따라 점진적으로 증가하거나 또는 감소한다. 따라서, 일 구현예에서 유전자의 발현 수준을 사용하여 자궁내막증의 단계를 결정할 수 있다. 자궁내막증 및 정상 자궁내막 상피 세포 샘플 사이의 가장 차등적 발현을 갖는 유전자 중에는 예(하기 표 1)에서와 같이 CDH2, 비멘틴 및 CTNNB가 있다.
표 1. 자궁내막 상피 세포에서 다양한 유전자의 발현.
Figure pct00001
일 구현예에서, 자궁내막증 검사를 받은 여성은 자궁내막증의 증상을 갖거나 또는 질환의 가족력을 갖는다. 자궁내막증 검사를 받은 여성은 불임 치료를 받거나 또는 불임으로 고통을 받을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자궁내막증 검사를 받은 여성은 생식가능 연령이다. 여성은 15세 내지 45세 사이일 수 있다.
D. 자궁내막증 치료제
일 구현예에서, 대상체는 개시된 유전자의 발현 수준에 기초하여 자궁내막증으로 진단되고 후속적으로 자궁내막증에 대해 치료된다. 자궁내막증에 대한 치료는 질환의 증상을 완화시키는 방향으로 지시된다. 질환의 가장 흔한 증상은 통증, 출혈, 및 불임을 포함한다.
i. 진통제
일 구현예는 자궁내막증 유도 통증에 대한 치료를 제공한다. 진통제는 자궁내막증의 경도 통증 및 염증 증상에 사용될 수 있다. 가장 흔한 유형의 진통제는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 약물(NSAID)이다.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의 대표적인 예는 제한없이, 옥시캄, 예컨대 피록시캄, 이속시캄, 테녹시캄, 수독시캄; 살리실레이트, 예컨대 아스피린, 디살시드, 베노릴레이트, 트릴리세이트, 사파프린, 솔프린, 디플루니살, 및 펜도살; 아세트산 유도체, 예컨대 디클로페낙, 펜크로페낙, 인도메타신, 술린닥, 톨메틴, 이속세팍, 푸로페낙, 티오피낙, 지도메타신, 아세마타신, 펜티아작, 조메피락, 클린다낙, 옥세피낙, 펠비낙, 및 케토롤락; 페나메이트, 예컨대 메페남산, 메클로페남산, 플루페남산, 니플룸산, 및 톨페남산; 프로피온산 유도체, 예컨대 이부프로펜, 나프록센, 베녹사프로펜, 플루르비프로펜, 케토프로펜, 페노프로펜, 펜부펜, 인도프로펜, 피르프로펜, 카르프로펜, 옥사프로진, 프라노프로펜, 미로프로펜, 티옥사프로펜, 수프로펜, 알미노프로펜, 및 티아프로페닉; 피라졸, 예컨대 페닐부타존, 옥시펜부타존, 페프라존, 아자프로파존, 및 트리메타존을 포함한다. 이들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의 혼합물이 또한 이용될 수 있다.
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는 또한 통증을 치료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스테로이드성 항염증 약물의 대표적인 예는 제한없이, 코르티코스테로이드 예컨대 히드로코르티손, 히드록실-트리암시놀론, 알파-메틸 덱사메타손, 덱사메타손-포스페이트, 베클로메타손 디프로피오네이트, 클로베타솔 발레레이트, 데소니드, 데속시메타손, 데속시코르티코스테론 아세테이트, 덱사메타손, 디클로리손, 디플로라손 디아세테이트, 디플루코르톨론 발레레이트, 플루아드레놀론, 플루클로롤론 아세토니드, 플루드로코르티손, 플루메타손 피발레이트, 플루오시놀론 아세토니드, 플루오시노니드, 플루코르틴 부틸에스테르, 플루오코르톨론, 플루프레드니덴(플루프레드닐덴) 아세테이트, 플루란드레놀론, 할시노니드, 히드로코르티손 아세테이트, 히드로코르니손 부티레이트, 메틸프레드니솔론, 트리암시놀론 아세토니드, 코르티손, 코르토독손, 플루세토니드, 플루드로코르티손, 플루라드레놀론, 플루드로코르티손, 디플루로손 디아세테이트, 플루라드레놀론 아세토니드, 메드리손, 암시나펠, 암시나피드, 베타메타손 및 이의 에스테르의 균형, 클로로프레드니손, 클로르프레드니손 아세테이트, 클로코르텔론, 클레시놀론, 디클로리손, 디플루르프레드네이트, 플루클로로니드, 플루니솔리드, 플루오로메탈론, 플루페롤론, 플루프레드니솔론, 히드로코르니손 발레레이트, 히드로코르티손 사이클로펜틸프로피오네이트, 히드로코르타메이트, 메프레드니손, 파라메타손, 프레드니솔론, 프레드니손, 베클로메타손 디프로피오네이트, 트리암시놀론, 및 이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통증이 너무 심해서 항염증 약물이 효과적이지 않은 경우, 여성은 비제한적으로 모르핀, 펜타닐, 옥시코돈, 트라마돌, 히드로모르폰, 및 코데인과 같은 마약성 진통제를 처방받을 수 있다.
ii. 호르몬 치료제
자궁내막증-관련 통증 및 출혈에 대한 또 다른 치료는 호르몬 치료제이다. 자궁외 자궁내막 조직은 월경과 유사한 주기를 거치기 때문에, 호르몬은 때때로 질환과 관련된 통증을 치료하는 데 효과적일 수 있다. 호르몬은 알약, 단발 또는 주사, 또는 비강 스프레이 형태로 전달될 수 있다. 경구 피임약을 사용하여 호르몬을 전달할 수 있다. 전형적인 경구 피임약은 에스트로겐 및 프로게스틴이라는 두 가지 호르몬을 함유한다. 예시적인 조합 경구 피임약은 데소게스트렐/에티닐 에스트라디올, 디에노게스트/에스트라디올 발레레이트, 드로스피레논/에티닐 에스트라디올, 드로스피레논/에티닐 에스트라디올/레보메폴레이트, 에티노디올/에티닐 에스트라디올, 레보노르게스트렐/에티닐 에스트라디올, 메스트라놀/노르에틴드론, 노르에틴드론/에티닐 에스트라디올, 노르게스티메이트/에티닐 에스트라디올, 및 노르게스트렐/에티닐 에스트라디올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프로게스틴은 여성 호르몬 프로게스테론처럼 작용하는 약물의 그룹이다. 프로게스틴은 알약으로, 주사에 의해, 또는 자궁내 장치(IUD)를 통해 복용될 수 있다. 가장 흔히 처방된 경구 피임약은 에스트로겐 및 프로게스틴의 조합 제형이지만, 프로게스틴 단독 피임약이 또한 처방된다. 이들은 월경 기간을 감소시키거나 또는 완전히 중단시킴으로써 자궁내막증의 증상을 개선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선자극호르몬 방출 호르몬(GnRH) 작용제는 자궁내막증이 있는 여성에게 흔히 처방된다. GnRH 작용제는 3개월 주사, 매월 주사, 매일 주사, 및 비강 스프레이를 포함하여 상이한 형태로 제공된다. 예시적인 GnRH 작용제는 부세렐린, 고세렐린, 류프로렐린, 류프롤리드, 나페렐린, 및 트립토렐린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다나졸은 자궁내막증과 관련된 골반 통증의 치료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난 안드로겐이다.
일 구현예에서, 개시된 방법을 사용하여 자궁내막증으로 진단된 여성은 호르몬 치료제로 치료된다.
iii. 수술적 치료
수술은 자궁내막증으로부터 상당한 통증 완화를 제공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복강경 검사는 외과의가 복부를 작게 절개하고 복강경이라 불리는 작은 관찰 기구를 복부에 삽입하는 수술 유형이다. 이는 외과의가 자궁내막증 병변을 직접 시각화하도록 한다. 외과의는 2차 절개하여 레이저 또는 다른 기기를 복부에 삽입하여 병변을 제거하거나 또는 파괴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본원에 개시된 방법으로 자궁내막증으로 진단된 환자는 복강경 검사로 치료된다.
개복술은 자궁내막 병변을 제거하는 데 또한 사용될 수 있는 주요 복부 수술이다. 이 절차에서 외과의는 복부를 가로질러 절개하여 복강 및 자궁을 시각화할 수 있다. 외과의는 개복술 동안 자궁내막증 병변을 제거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본원에 개시된 방법으로 자궁내막증으로 진단된 환자는 개복술로 치료된다. 외과의는 또한 전체 자궁을 제거하는 개복술 중에 자궁절제술을 수행할 수 있다. 극심한 통증 또는 진행성 또는 재발성 자궁내막증이 있는 환자를 선정하여 자궁절제술로 자궁내막증을 근절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본원에 개시된 방법으로 자궁내막증으로 진단된 환자는 자궁절제술로 치료된다.
복부 중앙에 통증이 있는 여성은 골반에서 신경을 잘라내어 통증을 완화할 수 있다. 이는 복강경 검사 또는 개복술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상이한 신경 경로를 잘라내는 두 가지 절차가 있다. 천골전 신경절제술은 자궁에 연결된 신경을 잘라낸다. 일 구현예에서, 본원에 개시된 방법으로 자궁내막증으로 진단된 환자는 천골전 신경절제술로 치료된다. 복강경 자궁 신경 절제라 불리는 두번째 절차는 자궁을 고정시키는 인대에서 신경을 절단하는 것을 수반한다. 일 구현예에서, 본원에 개시된 방법을 사용하여 자궁내막증으로 진단된 환자는 복강경 자궁 신경 절제로 치료된다.
실시예
실시예 1. 간극 연접 유전자는 자궁내막증 유래 자궁 상피 세포에서 상승되고 자궁내막증 유래 기질 세포에서 감소된다.
방법
자궁내막증이 있거나 없는 여성에서 자궁내(자궁으로부터의) 자궁내막 조직의 획득.
자궁내막증의 존재 또는 부재는 복강경 검사로 확인하였다. 모든 자궁내 자궁내막 샘플은 호르몬 약물 치료를 받지 않은 정상 순환 생식가능 연령 여성(30-45세)으로부터 월경 주기의 증식기에서 수득하였다. 자궁내막증 샘플은 미국 생식의학회 분류에 기초하여 I-IV 기로 분류된 환자로부터 수득하였다. 정상 대상체의 경우, 자궁내막 조직은 경구 피임약을 복용하지 않은 난관결찰술을 받은 여성으로부터 단리하였으며 점막하 근종 또는 자궁내막 폴립의 증거 없이 복강경 검사로 자궁내막증이 없는 것을 입증하였다. 생검으로부터 1차 자궁내막 상피 세포(EEC) 및 기질 세포(ESC)의 단리는 Kirk 및 Irwin에 의해 개발된 방법을 사용하여 수행하여 약 97% 순도를 달성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이전 연구에 의해 확인하였다. 추가로, EEC의 상피 특성은 상피 세포 유착 분자(EpCAM)에 대한 염색 및 사이토케라틴 18의 발현을 사용하여 본 연구에서 확인하였다. ESC는 비멘틴 염색으로 확인하였다. 표 2는 본 연구에 사용된 정상 대상체 및 환자의 목록을 제시한다. 숫자는 단일 세포 상에서 광범위한 분석을 수행하고, 분석 전에 1차 세포를 광범위하게 계대할 필요가 없었기 때문에 제한되었다.
표 2. 환자 기초.
Figure pct00002
세포 배양
1차 자궁내막 EEC 및 ESC를 이전에 기재된 바와 같이 항생제 및 항진균제, 5 μg/ml 인슐린(Sigma) 및 10% 태아 소 혈청(Hyclone, 미국 유타주 로건 소재)을 함유하는 듈베코의 변형된 이글 배지(DMEM)/F12(1:1)(Sigma, 미국 미주리주 세인트 루이스 소재)에서 배양하였다. 실험을 낮은 계대(≤ 4)를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확립된 LP9 세포(Corriell Cell Repositories, 뉴저지주 캠던 소재)를 복막 중피 세포에 대한 모델로 사용하였다. 코넥신 43(Cx43) 단백질 발현을 조사하기 위해 녹색-형광 접합된 항-Cx43 항체를 사용하여 배양물에서 ESC에 대해 전형적인 면역형광 염색을 사용하였다. ESC에서 Cx43 발현을 실험적으로 억제하기 위해, Cx43에 특이적인 siRNA를 세포에 형질감염시켰다.
미세유체 PCR에 의한 코넥신 유전자 패널 발편의 단일 세포 RNA 스크리닝
1차 EEC 및 ESC 배양물을 C1(Fluidigm Corp) 단일 세포 단리 및 처리에 적용하여 각 세포로부터 증폭된 cDNA를 생성하였다. 그 다음에 Biomark 플랫폼(Fluidigm Corp)을 사용하여 cDNA를 미세유체 PCR 유전자 발현 분석에 적용하였다. 상응하는 PCR 프라이머 서열은 코넥신 및 간극 연접 조절인자 패널이며 이들 유전자의 발현을 검출하기 위해 사용하였다. 각 미세유체 PCR 칩 검정에서, 인간 정상 조직으로부터의 보편적 RNA(200 pg)(cat #4234565, BioChain, 캘리포니아주 뉴어크 소재) 및 주형 무함유 대조군(NTC)은 각각 양성 및 음성 대조군으로 역할을 하였다. 유효한 PCR 산물은 각 유전자 앰플리콘에 대한 앰플리콘 용융 온도 곡선으로 결정하였다.
결과
감소된 간극 연접 유전자 발현의 패턴(도 1a-1i에서 각 플롯의 위쪽 부분)을 건강한 대상체로부터의 것과 비교 시, 특히 III/IV 기 자궁내막증 질환에서 자궁내막증 환자로부터의 자궁내막 기질 세포에서 관찰하였다(도 1a-1e). 중요하게는, 세포가 수확되는 월경기와 무관하다는 것이었다.
대조적으로, 많은 간극 연접 유전자의 증가된 발현 패턴을 정상 유래 샘플과 비교하여 자궁내막증의 강화된 상피 세포에서 관찰하였다(도 1f-1i). 또한 유전자 발현의 점진적인 증가를 질환 단계에 따라 관찰하였지만, 여러 유전자의 경우 자궁내막증의 가장 초기 병기에서조차 유의하였다.
또한 유착 및 밀봉 세포간 접촉 및 이들을 조절하는 키나제에 수반되는 다른 유전자에서도 변화가 보였지만(도 1a-1i에서 각 플롯의 아랫쪽 부분), 이들은 방금 언급된 코넥신 패턴과 비교하여 훨씬 덜 일관적이었다.
도 2a-2bb는 기질(도 2a-2n) 및 상피 세포(도 2o-2bb)의 분리 후 정상 대상체, 및 초기 및 후기 병기 자궁내막증 환자로부터의 단일 세포 수준에서 모든 코넥신 발현의 정량적 PCR 분석을 제시한다. 샘플 식별자는 표 3에 기재되어 있다. 사실상 모든 코넥신 유전자는 기질 세포에서 질환 진행에 따라 발현에서 점진적인 감소를 나타내었다. 주요 코넥신(GJA1)은 환자 간에 차이가 거의 없었지만 상피 세포는 반대 패턴을 나타내었다.
표 3. 도 2a-2bb 및 3a-3n에 대한 샘플 식별자.
Figure pct00003
도 3a-3n은 간극 연접 활성의 조절에 수반되는 유전자(PRKAC, PRKCB, Cav), 또는 세포골격 고정 단백질을 암호화하는 유전자(Vim) 또는 다른 종류의 세포-세포 상호작용 유사 유착(CDH2, CTNNB) 및 밀착 연접(TJP1)의 유사한 분석을 나타낸다. 일부는 질환에 따라 변화가 없었지만(TJP1, 상피 세포에서 Cav, 및 다른 것은 제시되지 않음), 다른 것은 코넥신을 모방한 발현 패턴을 나타내었다(질환에 따라 기질 세포에서 감소하지만, 상피 세포에서 증가).
실시예 2. 자궁내막 상피(E) 및 기질 세포(S)와 중피 세포(M)의 커플링 및 침습성
방법
동형 및 이형 간극 연접 세포간 소통(GJIC) 검정(또한 커플링 검정으로 기재됨)
GJIC를 간극 연접을 통해 투과가능한 형광 염료 칼세인(Calcein)의 세포간 이동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검정을 챠콜-제거된 FBS(10%)로 보충된 배양 배지에서 수행하였다. 공여 세포를 실온에서 20 분 동안 칼세인 AM과 함께 배양하였다. 세포 내부에서, 칼세인 AM은 비특이적 에스테라제에 의해 칼세인으로 절단되어, 세포 막을 통해 확산되지 않도록 한다. 수용 세포는 합류하도록 성장된다. 그 다음에 칼세인-표지된 공여 세포를 수용 세포 층 위에 떨어뜨리고('낙하'), 공여 및 수용 세포 사이의 칼세인 전달을 형광 현미경 영상으로 관찰하였다. 동형 상호작용을 위해, 자궁내막 상피(EEC), 자궁내막 기질(ESC) 및 중피(LP9) 공여 세포를 각각 동일한 유형의 수용 세포 위에 낙하시켰다. 이형 GJIC 검정을 위해, EEC(또는 ESC)를 LP9 수용 세포 상에 낙하시키고 그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였다. 초기 최적화 검정은 EEC, ESC 및 LP9 세포에서 염료 전달이 낙하 후 1.5 - 2 시간에 최적으로 관찰되었음을 나타내었다. 웰 당 10-15 필드의 형광 이미지를 Operetta 자동 현미경(Perkin Elmer) 상에서 캡쳐하였다. 시간 경과에 따라 칼세인 전달로 인해 플레이트 상의 모든 세포, (위상 대비 이미지로부터), 뿐만 아니라 원래 공여자(웰 당 100±50 개), 및 염료-충전 수용의 식별을 허용하는 프로그램을 Perkin Elmer에 의해 작성하였다. 데이터는 각 조건에 대한 형광 수용 세포 수/공여 세포 수로 표현한다.
중피 횡단 침습 검정
중피 횡단 침습을 모델링하는 3-D 침습 검정은 이전에 기재되었다. 간략하게 말해서, LP9 복막 중피 세포(PMC)를 8-μm 기공 막에 코팅된 성장-인자-감소 MatrigelTM(BD Bioscience, 미국 캘리포니아주 산 호세 소재)을 함유하는 24-웰 침습 챔버 삽입물에서 합류하도록 성장시켰다. 그 다음에, 20,000 개의 자궁내막 상피(EEC) 또는 기질(ESC) 세포를 플레이팅하고 CellTracker Green®(Molecular Probes-Invitrogen, 캘리포니아주 칼스배드 소재)으로 표지한 후 준비된 삽입물에서 LP9 PMC의 합류 층 상에서 관련 siRNA로 처리하였다. 20 시간 배양 후, 삽입 막의 상부 표면 상에서 침습하지 않은 세포를 기계적으로 제거하였다. 코팅된 막의 바닥에서 침습된 세포를 DAPI로 염색하고, 20x 대물렌즈가 장착된 형광 현미경을 사용하여 시각화하였다. 각 세포 유형에 대한 침습 검정을 삼중으로 수행하였다.
결과
수용 세포의 단층 위에 떨어진 공여 세포 사이의 칼세인 전달이 시간 경과에 따라 측정된 낙하 검정을 사용하여 세포의 커플링을 측정하였다(도 4a-4f). 이 전달 속도를 정상(N), 초기 병기(I-II) 및 후기 병기(III-IV) 자궁내막증 환자에서 상피 세포(EEC - 도 4g) 또는 기질 세포(ESC - 도 4h) 사이의 동형 커플링[검정색 막대] 및 이들 세포와 LP9 복막 중피 세포의 이형 커플링[회색 막대]에 대해 결정하였다. 중피 세포는 환자의 기질 세포에서 커플링을 유도하였지만, 정상 대상체(도 4h), 및 환자 또는 정상 대상체의 상피 세포(도 4g)에서 그러지 않았다.
Cx43의 면역형광 염색은 모든 대상체로부터의 기질 세포에서 Cx43의 내부 분포를 입증한다(염색이 세포의 가장자리 주변 및 세포-세포 계면에서 집중되지 않음을 유의한다 - 도 5a-c). 이는 놀랍게도 발현에서 뚜렷한 감소가 분명하지 않지만, 자궁내막증이 진행됨에 따라 더 표시된다(도 5a-5c). 그러나, 기질 세포가 중피 세포에 노출되면 자궁내막증 샘플에서 세포 표면에 Cx43의 재분포(화살표)를 야기하지만(도 5e 및 5f), 정상 대상체로부터의 세포에서 훨씬 적은 정도로 야기된다(도 5d). 중피 세포에 노출 시 Cx43의 세포내 저장에 대한 이러한 활성화는 도 4b-4e에서 볼 수 있는 이형 커플링의 극적이고 빠른 증가를 설명할 수 있다.
중피 세포 단층을 통한 자궁내막 상피 세포(E) 및 기질 세포(S)의 침습을 또한 Boyden 챔버에서 측정하여 자궁내막증의 침습성 과정 특성을 모방하였다(도 6). 자궁내막 세포를 미처리 상태로 두거나[검정색 막대] 또는 Cx43을 표적화하는 siRNA[회색 막대] 또는 대조군 단백질인 GAPDH[빗금친 막대]로 처리하였다. 상피 세포는 Cx43-의존적 방식으로 침습성이었지만, 이는 환자마다 다르고 질환 상태와 관련이 없었다(도 6). 기질 세포는 대조적으로 질환 진행에 따라 침습성이 증가하였지만, 질환 상태에서 Cx43에만 의존적이었다.
전술한 명세서에서 본 발명은 이의 특정 구현예와 관련하여 기재되었고, 많은 세부사항이 예시의 목적으로 제시되었지만, 본 발명이 추가 구현예에 영향을 받기 쉽고 본원에 기재된 특정 세부사항이 본 발명의 기본 원리를 벗어나지 않고 상당히 변경될 수 있음이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본원에 인용된 모든 참고문헌은 그 전문이 참조로 포함된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취지 또는 본질적인 속성을 벗어나지 않고 다른 구체적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를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술한 명세서보다 첨부된 청구범위를 참조해야 한다.

Claims (15)

  1. 자궁내막증의 진단 및 치료를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서 자궁내막증을 진단 및 치료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대상체로부터 수득된 자궁내막 기질 세포를 강화 또는 확장하는 단계;
    상기 강화 또는 확장된 자궁내막 기질 세포를 미세유체 챔버에서 단일 세포 처리에 적용하여 증폭된 cDNA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증폭된 cDNA를 미세유체 PCR에 적용하여 DBN1, CAV1, CDH, CDK1, CD45, CK19, CSNK, CTNNB1, Cx43,EpCAM, GAPDH, GJA1, GJA3, GJA5, GJA8, GJA9, GJB1, GJB2, GJB3, GJB4, GJB5, GJB6, GJB7, GJC2, GUSB, KRT18, MAPK1, MAPK3, MME, Notch1, NOV1, PECAM, PRKACA, PRKACB, PRKACG, PRKCA, SNAI1, SRC, TGFBR2, TJAP1, TJP1, TJP2, Twist 1, VEGFR1, VIM, Zeb2, ZO1, ZO2, 및 이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유전자의 RNA 유전자 발현을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유전자의 발현이 자궁내막증이 없는 대상체로부터의 자궁내막 기질 세포에서 하나 이상의 유전자의 발현에 비해 감소된 경우 대상체를 자궁내막증으로 진단하는 단계;
    및 자궁내막증으로 진단된 상기 대상체에 자궁내막증에 대한 치료를 투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2. 자궁내막증의 진단 및 치료를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서 자궁내막증을 진단 및 치료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대상체로부터 수득된 자궁내막 상피 세포를 강화 또는 확장하는 단계;
    상기 강화 또는 확장된 자궁내막 상피 세포를 미세유체 챔버에서 단일 세포 처리에 적용하여 증폭된 cDNA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증폭된 cDNA를 미세유체 PCR에 적용하여 DBN1, CAV1, CDH, CDK1, CD45, CK19, CSNK, CTNNB1, Cx43,EpCAM, GAPDH, GJA1, GJA3, GJA5, GJA8, GJA9, GJB1, GJB2, GJB3, GJB4, GJB5, GJB6, GJB7, GJC2, GUSB, KRT18, MAPK1, MAPK3, MME, Notch1, NOV1, PECAM, PRKACA, PRKACB, PRKACG, PRKCA, SNAI1, SRC, TGFBR2, TJAP1, TJP1, TJP2, Twist 1, VEGFR1, VIM, Zeb2, ZO1, ZO2, 및 이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유전자의 RNA 유전자 발현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하나 이상의 유전자의 발현이 자궁내막증이 없는 대상체로부터의 자궁내막 상피 세포에서 하나 이상의 유전자의 발현에 비해 상승된 경우 대상체를 자궁내막증으로 진단하는 단계;
    및 자궁내막증으로 진단된 상기 대상체에 자궁내막증에 대한 치료를 투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3. 자궁내막증의 진단 및 치료를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서 자궁내막증을 진단 및 치료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대상체에서 수득된 자궁내막 기질 및 상피 세포를 강화 또는 확장하는 단계;
    상기 강화 또는 확장된 자궁내막 기질 및 상피 세포를 미세유체 챔버에서 단일 세포 처리에 적용하여 증폭된 cDNA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증폭된 cDNA를 미세유체 PCR에 적용하여 DBN1, CAV1, CDH, CDK1, CD45, CK19, CSNK, CTNNB1, Cx43,EpCAM, GAPDH, GJA1, GJA3, GJA5, GJA8, GJA9, GJB1, GJB2, GJB3, GJB4, GJB5, GJB6, GJB7, GJC2, GUSB, KRT18, MAPK1, MAPK3, MME, Notch1, NOV1, PECAM, PRKACA, PRKACB, PRKACG, PRKCA, SNAI1, SRC, TGFBR2, TJAP1, TJP1, TJP2, Twist 1, VEGFR1, VIM, Zeb2, ZO1, ZO2, 및 이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유전자의 RNA 유전자 발현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하나 이상의 유전자의 발현이 자궁내막증이 없는 대상체로부터의 자궁내막 기질 세포에서 하나 이상의 유전자의 발현에 비해 감소되고 자궁내막증이 없는 대상체로부터의 자궁내막 상피 세포에서 하나 이상의 유전자의 발현에 비해 상승된 경우 대상체를 자궁내막증으로 진단하는 단계;
    및 자궁내막증으로 진단된 상기 대상체에 자궁내막증에 대한 치료를 투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자궁내막 세포가 월경혈로부터 수득되는, 방법.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자궁내막 세포가 자궁내막 생검으로부터 수득되는, 방법.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자궁내막증에 대한 치료가 항염증 약물, 호르몬 요법, 또는 이환된 조직의 수술적 제거를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방법.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체를 자궁내막증으로 진단하는 것이 자궁내막증의 병기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자궁내막증이 표피상 자궁내막증(I/II 기) 또는 심층 침윤성 자궁내막증(III/IV 기)인, 방법.
  9.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체가 자궁내막증의 증상을 갖는, 방법.
  10.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체가 이전에 자궁내막증으로 진단된,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자궁내막증이 표피상 자궁내막증(I/II 기) 또는 심층 침윤성 자궁내막증(III/IV 기)인, 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궁내막 기질 세포가 자궁내막 기질 세포 마커 CD10, CD146, 및 CD13을 사용하여 세포를 분류함으로써 단리되는, 방법.
  1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자궁내막 상피 세포가 내피 상피 세포 마커 EpCam+, CD45, 및 CD9를 사용하여 세포를 분류함으로써 단리되는, 방법.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현이 자궁내막증이 없는 대상체로부터의 자궁내막 기질 세포에서 하나 이상의 유전자의 발현에 비해 감소된 하나 이상의 유전자가 Cx43, MAPK, TGFBR2, ZO2 및 ZO1을 포함하는, 방법.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현이 자궁내막증이 없는 대상체로부터의 자궁내막 기질 세포에서 하나 이상의 유전자의 발현에 비해 감소된 하나 이상의 유전자가 SNAI1, Twist 1 Zeb2, Notch1, VEGFR1 및 CD45를 포함하는, 방법.
KR1020207032837A 2018-04-20 2019-04-22 자궁내막증을 치료하기 위한 조성물 및 방법 KR2021001046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862660641P 2018-04-20 2018-04-20
US62/660,641 2018-04-20
PCT/US2019/028478 WO2019204803A1 (en) 2018-04-20 2019-04-22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reating endometriosi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0460A true KR20210010460A (ko) 2021-01-27

Family

ID=682403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32837A KR20210010460A (ko) 2018-04-20 2019-04-22 자궁내막증을 치료하기 위한 조성물 및 방법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20210238683A1 (ko)
EP (1) EP3781945A4 (ko)
JP (2) JP2021521803A (ko)
KR (1) KR20210010460A (ko)
CN (1) CN112470002A (ko)
AU (1) AU2019255402A1 (ko)
BR (1) BR112020021372A2 (ko)
CA (1) CA3097421A1 (ko)
CL (2) CL2020002715A1 (ko)
MX (1) MX2020011119A (ko)
WO (1) WO201920480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88975A (ko) * 2021-12-13 2023-06-20 (주)비엠에스 Nrg1 및 smad7 유전자 발현 수준을 이용한 자궁내막증 진단을 위한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788836A (zh) * 2021-09-09 2022-07-26 青岛大学附属医院 脐血干细胞分泌物在加快子宫内膜细胞的细胞周期中的应用
CA3232556A1 (en) * 2021-12-07 2023-06-15 Christine Metz Improved methods for detecting and treating endometriosis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E365227T1 (de) * 2000-02-25 2007-07-15 Diagnostic Products Corp Endometriose marker und verwendung derselben
JP4401295B2 (ja) * 2002-08-30 2010-01-20 オンコセラピー・サイエンス株式会社 卵巣子宮内膜症の診断法
BRPI0520012A2 (pt) * 2005-02-18 2009-04-14 Us Gov Health & Human Serv identificação de marcadores moleculares de diagnóstico para endometriose em linfócitos do sangue
US10927412B2 (en) * 2013-10-01 2021-02-23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Endometriosis classifier
SG10201909512XA (en) * 2015-04-13 2019-11-28 Univ Johns Hopkins Multiplexed, continuous-flow, droplet-based platform for high-throughput genetic detection
CN105886659A (zh) * 2016-06-29 2016-08-24 北京泱深生物信息技术有限公司 Dstn基因及其表达产物作为子宫内膜癌的诊治靶标
CN106119358B (zh) * 2016-06-29 2019-08-13 北京泱深生物信息技术有限公司 子宫内膜癌生物标志物的诊治产品
CN106119357B (zh) * 2016-06-29 2019-09-10 北京泱深生物信息技术有限公司 Tns11在制备诊治子宫内膜癌产品中的应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88975A (ko) * 2021-12-13 2023-06-20 (주)비엠에스 Nrg1 및 smad7 유전자 발현 수준을 이용한 자궁내막증 진단을 위한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781945A4 (en) 2022-04-27
MX2020011119A (es) 2021-01-29
CL2020002715A1 (es) 2021-06-11
EP3781945A1 (en) 2021-02-24
JP2023099141A (ja) 2023-07-11
CL2023000509A1 (es) 2023-09-29
WO2019204803A1 (en) 2019-10-24
AU2019255402A1 (en) 2020-11-12
CA3097421A1 (en) 2019-10-24
JP2021521803A (ja) 2021-08-30
BR112020021372A2 (pt) 2021-01-19
CN112470002A (zh) 2021-03-09
US20210238683A1 (en) 2021-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23099141A (ja) 子宮内膜症の治療のための組成物および方法
Smith et al. Association of alveolar rhabdomyosarcoma with the Beckwith-Wiedemann syndrome
Yamanaka et al. Dienogest inhibits aromatase and cyclooxygenase-2 expression and prostaglandin E2 production in human endometriotic stromal cells in spheroid culture
Garcia-Velasco et al. Elevated soluble Fas ligand levels may suggest a role for apoptosis in women with endometriosis
Chen et al. Oestrogen‐induced epithelial–mesenchymal transition of endometrial epithelial cells contributes to the development of adenomyosis
Vinatier et al. Is endometriosis an endometrial disease?
Sugino et al. Expression of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VEGF) and its receptors in human endometrium throughout the menstrual cycle and in early pregnancy
Starzinski-Powitz et al. Tracing cellular and molecular mechanisms involved in endometriosis
Sillem et al. Regulation of matrix metalloproteinases and their inhibitors in uterine endometrial cells of patients with and without endometriosis
Huang et al. Matrix metalloproteinase 2 is associated with changes in steroid hormones in the sera and peritoneal fluid of patients with endometriosis
Ferenczy Anatomy and histology of the uterine corpus
Conner et al. A comparative study of breast cell proliferation during hormone replacement therapy: effects of tibolone and continuous combined estrogen–progestogen treatment
Castro et al. Role of nitric oxide and bcl-2 family genes in the regulation of human endometrial apoptosis
AU2015317864A1 (en) Identifying status of male fertility by determining sperm capacitation
CN114517226B (zh) Axl作为***诊断和治疗靶点的应用
Gu et al. Cell type-specific expression of estrogen and progesterone receptors in the human vaginal mucosa
US20080176267A1 (en) Method For Obtaining Primary Culture Tumour Cells From Tumour Tissue, In Particular Breast Carcinoma, Primary-Culture Tumour Cells And Their Use
US5276017A (en) Therapeutic and diagnostic applications of tropho-uteronectin (TUN) manipulation
Koo et al. Expression of CD44 in endometrial stromal cells from women with and without endometriosis and its effect on the adherence to peritoneal mesothelial cells
Nair et al. An efficient model of human endometriosis by induced unopposed estrogenicity in baboons
US20220268780A1 (en) Methods of predicting endometrial receptivity
Badawy et al. Effects of chocolate cyst fluid on endometrioma cell growth in culture
Julié et al. Endocervicosis of the urinary bladder. Immunohistochemical comparative study between a new case and normal uterine endocervices
Aygen et al. Ovarian morphology of rats after fallopian tube sterilization
Kondi-Pafitis Pathological aspects of endometriosi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