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1715A - Methods and apparatus for managing the ripening of food using pattern of ripening - Google Patents

Methods and apparatus for managing the ripening of food using pattern of ripen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1715A
KR20210001715A KR1020190078198A KR20190078198A KR20210001715A KR 20210001715 A KR20210001715 A KR 20210001715A KR 1020190078198 A KR1020190078198 A KR 1020190078198A KR 20190078198 A KR20190078198 A KR 20190078198A KR 20210001715 A KR20210001715 A KR 202100017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aging
pattern
information
change amou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819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경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뉴로센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뉴로센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뉴로센스
Priority to KR10201900781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01715A/en
Publication of KR202100017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1715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7/00Preservation or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10Preserving with acids; Acid fermentation
    • A23B7/105Leaf vegetables, e.g. sauerkrau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4Manufactur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30Comput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Storage Of Fruits Or Vegetables (AREA)

Abstract

Disclosed are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aging and managing food stored in a predetermined space. Th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easures pressure information, temperature information, and sound information, induces an aging pattern for food by using at least one value among the change amount of pressure information, the change amount of temperature information, and the change amount of sound information, and thus determines the degree of aging of food based on the aging pattern. In this case, disclosed is a method for determining the degree of aging of the food by determining the similarity between the aging pattern induced with respect to the stored food and a reference aging pattern.

Description

식품의 숙성 패턴을 활용한 식품 숙성 관리 방법 및 장치{Methods and apparatus for managing the ripening of food using pattern of ripening}TECHNICAL FIELD [Methods and apparatus for managing the ripening of food using pattern of ripening]

본 발명은 식품을 숙성 및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에 대한 것으로, 일 예로 김치에 대한 숙성도를 판단하고 숙성된 김치를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에 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aging and managing food, for example,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the maturity of kimchi and managing the aged kimchi.

김치를 담그기 위해서는 김치를 만든 후에 반나절~하루 정도 상온에 보관한 후에 김치 냉장고에 보관을 한다. 하지만 상온의 온도에 따라 어느정도 보관을 해야 하는지 부정확하며 김치 냉장고 안에 넣어 발효 시키더라도 그 발효 정도를 가늠할 수 없다. 현재 김치 냉장고는 소비자가 원하는 김치 숙성의 정도나 목표를 냉장고의 각 칸에 대해 설정하고, 각 칸을 특정 온도 알고리즘으로 제어한다. 그러나 각 칸에 저장되는 각각의 김치 저장 용기(4개)의 상태를 직접 측정할 수 없고 제어할 수 없다. 또한, 현재 사용되고 있는 김치 저장 용기는 별도의 기능 없는 단순한 용기로만 구성 되어 있으므로, 용기 자체가 김치의 상태를 측정하고 숙성 여부를 판단할 수 없다. To make kimchi, store it at room temperature for about half a day to a day after making kimchi, and then store it in the kimchi refrigerator. However, it is inaccurate how much to store according to the room temperature, and even if it is fermented by putting it in a kimchi refrigerator, the degree of fermentation cannot be determined. Currently, the kimchi refrigerator sets the degree or goal of kimchi aging that consumers want for each compartment of the refrigerator, and controls each compartment with a specific temperature algorithm. However, the condition of each kimchi storage container (4 pieces) stored in each compartment cannot be directly measured and controlled. In addition, since the currently used kimchi storage container is composed only of simple containers without a separate function, the container itself cannot measure the condition of the kimchi and determine whether it is aged.

따라서, 김치 저장 용기 별로 숙성 여부를 판단하여 김치를 관리하고, 사용자에게 김치의 숙성 상태 정보와 저장 기능 등을 제공하는 기술이 필요한 실정이다.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technology that manages kimchi by determining whether it is aged for each kimchi storage container, and provides information on the ripening status of kimchi and a storage function to the user.

본 발명은 각 김치 저장 용기의 개별 센서와 AI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직접적으로 김치의 숙성 상태 정보와 저장 기간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information on the maturation status and storage period of kimchi directly using individual sensors of each kimchi storage container and an AI algorithm.

본 발명은 김치 냉장고 혹은 스마트폰과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김치의 상태를 소비지에게 직접 제공하여, 개별 김치 저장 용기의 숙성 정도를 달리 적용할 수 있게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kimchi state directly to a consumer through Bluetooth communication with a kimchi refrigerator or smartphone, so that the aging degree of individual kimchi storage containers can be differently applied.

본 발명은 센서에 자체 내장한 Edge computing을 통해 블루투스의 연결이 없이 직접 숙성 정도를 판단하는 소형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mall device that directly determines the degree of aging without a Bluetooth connection through edge computing built into a sensor.

본 발명은 식품 숙성에 대한 숙성 패턴을 도출하고, 숙성 패턴에 기초하여 숙성 여부를 판단하여, 식품의 재료, 보관 온도와 같은 다양한 변수들에도 공통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숙성 판단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determining aging that can be commonly applied to various variables such as food ingredients and storage temperature by deriving a aging pattern for food aging and determining aging based on the aging pattern. There is this.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s to be achiev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that are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I will be able to.

본 발명은 일정 공간 내 저장된 식품을 숙성 및 관리하는 장치 및 방법을 개시한다. 하기의 실시예들은 장치 및 방법에 공통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n apparatus and method for aging and managing food stored in a predetermined space. The following embodiments can be commonly applied to an apparatus and method.

일정 공간 내 저장된 식품을 숙성 및 관리하는 장치는 센서부, 판단 정보 생성부, 식품 숙성 판단부 및 식품 상태 관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센서부는 일정 공간 내의 압력 정보, 온도 정보 및 소리 정보를 측정할 수 있다. 판단 정보 생성부는 압력 정보의 변화량, 온도 정보의 변화량 및 소리 정보의 변화량을 산출할 수 있다.The apparatus for aging and managing food stored in a predetermined space may include a sensor unit, a determination information generation unit, a food aging determination unit, and a food state management unit. In this case, the sensor unit may measure pressure information, temperature information, and sound information in a certain space. The determination information generator may calculate a change amount of pressure information, a change amount of temperature information, and a change amount of sound information.

이때, 식품 숙성 판단부는 압력 정보의 변화량, 온도 정보의 변화량 및 소리 정보의 변화량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값을 이용하여 식품에 대한 숙성 패턴을 유도하고, 숙성 패턴에 기초하여 식품의 숙성 정도를 판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food aging determination unit may induce an aging pattern for the food by using at least one of a change amount of pressure information, a change amount of temperature information, and a change amount of sound information, and determine the degree of aging of the food based on the aging pattern. have.

또한, 식품 상태 관리부는 식품 숙성 판단부로부터 식품이 숙성 완료되었다고 결정된 경우, 식품의 저장 상태 정보를 생성 및 관리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ood state management unit may generate and manage the storage state information of the food when it is determined from the food aging determination unit that the food is matur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식품 숙성 판단부는 저장된 식품에 대해 유도된 숙성 패턴과 기준 숙성 패턴과의 유사도를 판단하여 식품의 숙성 정도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유도된 숙성 패턴의 특징 값을 추출하여, 기준 숙성 패턴의 특징 값과 비교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ood aging determination unit may determine the degree of aging of the food by determining a similarity between the aging pattern induced for the stored food and the reference aging pattern. In this case, the characteristic value of the derived aging pattern may be extracted and compared with the characteristic value of the reference aging patter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식품에 대해 유도된 숙성 패턴은 제 1 구간 및 제 1 구간 이후에 유도되는 제 2 구간으로 구분되되, 유도된 숙성 패턴이 제 1 구간에 해당되는 경우 숙성 판단 모드가 적용되고, 유도된 숙성 패턴이 제 2 구간에 해당되는 경우, 식품 저장 모드가 적용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turation pattern induced for food is divided into a first section and a second section induced after the first section, and when the induced ripening pattern corresponds to the first section, the aging determination mode When is applied and the induced aging pattern corresponds to the second section, the food storage mode may be appli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유도된 숙성 패턴과 기준 숙성 패턴과의 유사도가 목표 값 이상인 경우, 저장된 식품이 숙성 완료되었다고 판단될 수 있다. 또한, 유도된 숙성 패턴이 제 2 구간까지 유도된 경우, 저장된 식품이 숙성 완료되었다고 판단될 수 있다. 이때 유도된 숙성 패턴이 압력 정보의 변화량에 기초하여 유도된 것인 경우, 제 2 구간은 압력 변화 값이 일정한 값으로 수렴하는 구간에 해당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similarity between the induced aging pattern and the reference aging pattern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target value,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stored food is aging. In addition, when the induced aging pattern is induced up to the second section,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stored food is aging. In this case, when the induced aging pattern is derived based on the amount of change in pressure information, the second section may correspond to a section in which the pressure change value converges to a constant valu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식품 숙성 판단부는 온도 정보의 변화량에 기초하여, 숙성 패턴의 제 1 구간의 기간을 판단하고, 제 1 구간의 기간으로부터 식품의 숙성 완료 예상 기간을 예측할 수 있다. 이때 식품 숙성 판단부는 예측한 식품의 숙성 완료 예상 기간 및 식품의 저장 기간에 기초하여, 저장된 식품의 숙성 정도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숙성 정도에 대한 정보를 외부 디바이스로 송신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ood aging determination unit may determine a period of the first section of the aging pattern based on the amount of change in temperature information, and predict the expected period of completion of ripening of the food from the period of the first section. In this case, the food aging determination unit may generate information on the aging degree of the stored food based on the predicted aging completion period of the food and the storage period of the food, and transmit information on the generated aging degree to an external devic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식품 상태 관리부는 센서부로부터 온도 정보를 수신하고, 온도 정보에 기초하여 숙성 패턴의 제 2 구간의 기간을 판단하고, 제 2 구간의 기간으로부터 식품의 저장 가능 기간을 예측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ood state management unit receives temperature information from the sensor unit, determines the period of the second period of the aging pattern based on the temperature information, and the storage possible period of the food from the period of the second period. Can be predict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판단 정보 생성부가 소리 정보의 변화량 값을 산출하는 경우, 기 설정된 기준 소리 값보다 이상인 경우에만 소리 정보의 변화량 값을 산출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determination information generator calculates a change amount value of sound information, the change amount value of sound information may be calculated only when it is greater than a preset reference sound valu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기준 숙성 패턴은 압력 정보의 변화량, 온도 정보의 변화량 및 소리 정보의 변화량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값을 이용하여 생성된 패턴으로, 기계 학습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학습된 패턴에 해당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ference maturation pattern is a pattern generated by using at least one or more of a change amount of pressure information, a change amount of temperature information, and a change amount of sound information, and is based on a pattern learned using a machine learning algorithm. May be applicabl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저장된 식품에 대해 유도된 숙성 패턴과 기준 숙성 패턴과의 유사도를 판단하는 경우, 기계 학습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특징 값을 추출 및 비교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determining the similarity between the aging pattern derived from the stored food and the reference aging pattern, feature values may be extracted and compared using a machine learning algorithm.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외부 디바이스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외부 디바이스로 생성된 식품의 저장 상태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mmunication unit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with an external device may be further included, and storage state information of the generated food may be transmitted to the external device.

본 발명은 각 김치 저장 용기의 개별 센서와 AI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직접적으로 김치의 숙성 상태 정보와 저장 기간을 제공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directly provide information on the ripening status and storage period of kimchi by using individual sensors of each kimchi storage container and AI algorithm.

본 발명은 김치 냉장고 혹은 스마트폰과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김치의 상태를 소비지에게 직접 제공하여, 개별 김치 저장 용기의 숙성 정도를 달리 적용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directly provides the status of kimchi to a consumer through Bluetooth communication with a kimchi refrigerator or smartphone, so that the aging degree of individual kimchi storage containers can be differently applied.

본 발명은 센서에 자체 내장한 Edge computing을 통해 블루투스의 연결이 없이 직접 숙성 정도를 판단하는 소형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small device that directly determines the degree of maturation without a Bluetooth connection through edge computing built into a sensor.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btainable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effects,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will b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 숙성 관리 장치가 부착된 식품 용기 및 외부 디바이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식품 숙성 관리 장치(200)에 대한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력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숙성 패턴에 해당될 수 있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식품 용기 안 식품의 숙성 정도를 판단하는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숙성 정도를 판단한 결과에 따라 숙성 판단 모드 및 식품 관리 모드로 변경되는 흐름도를 나타낸 도면에 해당된다.
1 is a view showing a food container and an external device to which a food aging management apparatus is attach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food aging management apparatus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may correspond to an aging pattern generated based on pressure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determining the degree of aging of food in a food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flow chart of changing into an aging determination mode and a food management mode according to a result of determining the aging degre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may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에 대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In describ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ma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the drawings, parts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omitted, and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attached to similar parts.

본 발명에 있어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인 연결관계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는 간접적인 연결관계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또는 "가진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라 또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component is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with another component, this is not only a direct connection relationship, but an indirect connection relationship in which another component exists in the middle. It can also include. In addition, when a certain component "includes" or "have" another component, it means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further included rather than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

본 발명에 있어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되며, 특별히 언급되지 않는 한 구성요소들간의 순서 또는 중요도 등을 한정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일 실시 예에서의 제1 구성요소는 다른 실시 예에서 제2 구성요소라고 칭할 수도 있고, 마찬가지로 일 실시 예에서의 제2 구성요소를 다른 실시 예에서 제1 구성요소라고 칭할 수도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and do not limit the order or importance of the components unless otherwise noted. Accordingly,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component in one embodim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in another embodiment, and similarly, a second component in one embodiment is a first component in another embodiment. It can also be called.

본 발명에 있어서, 서로 구별되는 구성요소들은 각각의 특징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함이며, 구성요소들이 반드시 분리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즉, 복수의 구성요소가 통합되어 하나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단위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하나의 구성요소가 분산되어 복수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단위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따라서, 별도로 언급하지 않더라도 이와 같이 통합된 또는 분산된 실시 예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components that are distinguished from each other are intended to clearly describe each characteristic, and do not necessarily mean that the components are separated. That is, a plurality of components may be integrated to be formed in one hardware or software unit, or one component may be distributed in a plurality of hardware or software units. Therefore, even if not stated otherwise, such integrated or distributed embodiments are also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있어서, 다양한 실시 예에서 설명하는 구성요소들이 반드시 필수적인 구성요소들은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일부는 선택적인 구성요소일 수 있다. 따라서, 일 실시 예에서 설명하는 구성요소들의 부분집합으로 구성되는 실시예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또한, 다양한 실시 예에서 설명하는 구성요소들에 추가적으로 다른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실시 예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ponents described in various embodiments do not necessarily mean essential components, and some may be optional components. Accordingly, an embodiment consisting of a subset of components described in the embodiment is also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embodiments including other components in addition to the components described in the various embodiments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 숙성 관리 장치가 부착된 식품 용기 및 외부 디바이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식품 숙성 관리 장치(110)가 사용되는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에 해당된다.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식품 숙성 관리 장치(110)는 음식의 숙성도 및 저장 상태를 판단하는 장치에 해당될 수 있다.1 is a view showing a food container and an external device to which a food aging management apparatus is attach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more detail, Figure 1 corresponds to a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in which the food aging management device 1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ood aging management device 110 is It may correspond to a device that determines the maturity and storage state of.

식품 숙성 관리 장치(110)는 다른 장치와의 연결 없이 기기가 자체적으로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황을 판단하여, 일정 공간에 저장된 식품의 숙성도를 판단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The food aging management device 110 may provide a function of determining the maturity of food stored in a predetermined space by analyzing data on its own by the device without connection with other devices to determine the situa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식품 숙성 관리 장치(110)는 식품의 숙성도를 판단하기 위한 정보를 수집하는 센서를 내장할 수 있다. 이때, 식품 숙성 관리 장치(110)는 센서에 의해 측정된 데이터를 별도의 통신 없이 직접 분석하여 식품의 숙성 정도와 상태에 대해 판단할 수 있다. 즉, 식품 숙성 관리 장치(110)에 엣지 컴퓨팅(Edge computing) 기술이 구현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식품(120)이 김치에 해당되는 경우, 김치의 숙성도를 판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식품 숙성 관리 장치(110)는 식품 용기의 일정 공간에 대한 압력 변화량, 온도 및 소리 패턴 판단 값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값에 기초하여, 식품의 산도(Ph), 숙성 속도, 숙성 기간 등의 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ood aging management apparatus 110 may include a sensor that collects information for determining the maturity of food. In this case, the food aging management device 110 may directly analyze the data measured by the sensor without separate communication to determine the degree and state of aging of the food. That is, edge computing technology may be implemented in the food aging management device 110. At this time, for example, when the food 120 corresponds to kimchi, the maturity of the kimchi may be determined. In more detail, the food aging management device 110 is based on at least one or more of a pressure change amount, a temperature, and a sound pattern determination value for a certain space of the food container, the acidity (Ph) of the food, the aging rate, the aging period, etc. Information can be grasp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식품(120)은 김치에 해당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숙성 패턴을 형성할 수 있는 모든 숙성 필요 식품, 발효 식품에 적용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ood 120 may correspond to kimchi,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applied to all foods requiring aging and fermented foods capable of forming an aging pattern.

또 다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식품 숙성 관리 장치(110)는 통신 기능을 내장할 수 있다. 식품 숙성 관리 장치(110)는 냉장고(130)와 통신하여 정보를 김치 냉장고 디스플레이에 표현할 수 있다. 이때, 냉장고(130)는 김치 냉장고에 해당될 수 있으며, 식품 숙성 관리 장치(110)의 정보를 김치 냉장고에 송신할 수 있다. 이때, 냉장고(140)는 식품 숙성 관리 장치(110)가 포함된 식품 용기가 보관된 냉장고에 해당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 식품 숙성 관리 장치(110)는 사용자의 통신 기반 디바이스(140)에 직접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의 디바이스(140)는 통신 기능이 가능한 장치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스마트 폰에 해당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할 것은 아니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ood aging management device 110 may have a built-in communication function. The food aging management device 110 may communicate with the refrigerator 130 to display information on the kimchi refrigerator display. In this case, the refrigerator 130 may correspond to a kimchi refrigerator, and may transmit information of the food aging management device 110 to the kimchi refrigerator. In this case, the refrigerator 140 may correspond to a refrigerator in which a food container including the food aging management device 110 is stored. In addition, as another example, the food aging management apparatus 110 may directly provide information to the user's communication-based device 140. In this case, the user's device 140 is a device capable of a communication function, and may correspond to a smart ph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is not limited thereto.

이때, 본 발명에서 외부 디바이스는 냉장고(130), 사용자의 통신 기반 디바이스(140)등과 같이 식품 숙성 관리 장치(110)와 통신이 가능한 장치들을 지칭하는 용어로 사용될 수 있다.In this cas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external device may be used as a term to refer to devices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the food aging management apparatus 110 such as the refrigerator 130 and the communication-based device 140 of the user.

또한, 일 예로, 식품 숙성 관리 장치(110)는 독립 모듈(센서, 알고리즘, 배터리 등)로 제작 되어 다른 식품 용기에 이동 부착될 수 있다. 이때, 식품 숙성 관리 장치(110)는 식품 용기(150, 160)에 부착되어 사용될 수 있다. In addition, as an example, the food aging management device 110 may be manufactured as an independent module (sensor, algorithm, battery, etc.) to be moved and attached to other food containers. At this time, the food aging management device 110 may be used by being attached to the food containers 150 and 160.

이때, 식품 용기(150,160)는 냉장고에 보관되는 용기에 해당될 수 있다. 또한 식품 용기(150,160)는 밀폐된 일정 공간을 형상하는 용기에 해당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식품 용기는 상부(150) 및 하부(160)로 구분될 수 있다. 식품 용기의 상부(150)는 용기의 뚜껑에 해당될 수 있으며, 식품 용기의 하부(160)는 식품이 저장 및 보관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구성에 해당될 수 있다. 일 예로, 식품(120)이 김치인 경우, 본 발명에서 식품 용기의 하부(160)는 김치를 저장하는 부분인 김치 저장 용기에 해당될 수 있고, 식품 용기의 상부(120)는 김치 저장 용기의 뚜껑에 해당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food containers 150 and 160 may correspond to containers stored in a refrigerator. In addition, the food containers 150 and 160 may correspond to containers forming a sealed spac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ood container may be divided into an upper 150 and a lower 160. The upper portion 150 of the food container may correspond to the lid of the container, and the lower portion 160 of the food container may correspond to a configuration capable of performing a function of storing and storing food. For example, when the food 120 is kimchi,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lower portion 160 of the food container may correspond to a kimchi storage container, which is a part for storing kimchi, and the upper portion 120 of the food container is the kimchi storage container. May correspond to the lid.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식품 숙성 관리 장치(110)는 식품 용기의 상부(150)에 탈착 및 부착할 수 있는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식품 용기의 상부(150)에 일 구성으로 구현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식품 용기 하부(160)의 아랫면 또는 식품 용기 하부(160)의 벽면 등에 부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식품 숙성 관리 장치(110)은 식품 용기 내 별도의 고정 구조로 장착될 수도 있다. In this case, the food aging management device 1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as a device that can be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the upper portion 150 of the food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may be implemented in one configuration on the upper portion 150 of the food container, but is not limited thereto. 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may be attach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food container lower portion 160 or the wall surface of the food container lower portion 160. In addition, the food aging management device 110 may be mounted in a separate fixing structure in the food container.

이때, 상술한 예에 한하지 않으며, 식품 숙성 관리 장치(110)는 식품이 저장된 일정한 공간에 대한 압력, 온도, 소리 등에 대한 정보를 입력 받고, 식품의 숙성을 판단 및 외부 디바이스와 송신하기 위한 형태로 구현 및 부착될 수 있을 것이다. In this case, it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xample, and the food aging management apparatus 110 receives information on pressure, temperature, sound, etc. for a certain space in which food is stored, and determines the aging of food and transmits it to an external device. Can be implemented and attached to.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식품 숙성 관리 장치(200)에 대한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2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food aging management apparatus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식품 숙성 관리 장치(200)는 센서부(210), 판단 정보 생성부(220), 식품 숙성 판단부(230), 식품 상태 관리부(240), 통신부(250) 및 전원부(260)로 구성될 수 있다. The food aging management device 200 may be composed of a sensor unit 210, a determination information generation unit 220, a food aging determination unit 230, a food state management unit 240, a communication unit 250, and a power supply unit 260. have.

센서부(210)는 식품 숙성 관리 장치(200)가 장착된 식품 용기의 일정 공간에 대한 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이때, 센서부(210)는 압력 센서(212), 온도 센서(214) 및 소리 센서(216)로 구성될 수 있다. The sensor unit 210 may receive information on a predetermined space of the food container in which the food aging management device 200 is mounted. At this time, the sensor unit 210 may include a pressure sensor 212, a temperature sensor 214, and a sound sensor 216.

압력 센서(212)는 식품 용기의 일정 공간에 대한 내압을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식품 용기가 김치 저장 용기인 경우, 김치 저장 용기의 내압을 측정할 수 있다.The pressure sensor 212 may measure an internal pressure in a predetermined space of the food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food container is a kimchi storage container,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kimchi storage container may be measured.

온도 센서(214)는 식품 용기의 일정 공간에 대한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식품 용기가 김치 저장 용기인 경우, 김치 저장 용기의 온도 값을 입력 받을 수 있다.The temperature sensor 214 may measure the temperature of a predetermined space of the food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food container is a kimchi storage container, a temperature value of the kimchi storage container may be input.

소리 센서(216)는 식품 용기의 일정 공간에 대한 소리를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식품 용기가 김치 저장 용기인 경우, 김치 저장 용기에서 김치 숙성 시 발생하는 기포 소리를 측정하여, 소리의 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이때 소리 센서(2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음성 인식, 마이크 등에 해당될 수 있으며 또한 마이크 해당될 수 있으며, 용기 내부의 기포 발생 소리를 측정할 수 있는 장치에 해당될 수 있다. The sound sensor 216 may measure sound for a certain space of the food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food container is a kimchi storage container, sound information may be input by measuring a bubble sound generated during kimchi ripening in the kimchi storage container. At this time, the sound sensor 216 may correspond to voice recognition, a microphone, etc.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also correspond to a microphone, and may correspond to a device capable of measuring the sound generated by bubbles inside the container.

판단 정보 생성부(220)는 센서부(210)에서 인식한 입력 값을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판단 정보 생성부(220)는 식품 숙성 판단부(230)에서 판단될 음식 숙성 정도를 판단하기 위한 판단 정보를 센서부(210)에서 인식한 입력 값에 기초하여 생성할 수 있다. 이때 판단 정보 생성부(220)는 압력 변화량 산출부(222), 온도 변화량 산출부(224) 및 소리 크기 산출부(226)로 구성될 수 있다. The determination information generation unit 220 may receive an input value recognized by the sensor unit 210. Further, the determination information generation unit 220 may generate determination information for determining the degree of food aging to be determined by the food aging determination unit 230 based on an input value recognized by the sensor unit 210. In this case, the determination information generation unit 220 may include a pressure change amount calculation unit 222, a temperature change amount calculation unit 224, and a sound level calculation unit 226.

압력 변화량 산출부(222)는 압력 센서(212)로부터 식품 용기의 일정 공간에 대한 내압의 값을 입력 받아, 해당 공간에 대한 내압의 변화 값을 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식품 용기가 김치 저장 용기인 경우, 김치 저장 용기의 내압의 변화량을 측정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서 압력 정보의 변화량은 식품을 식품 용기에 저장을 시작할 때의 초기 또는 최초 압력 값과 현재 측정된 압력 값의 차이 값을 의미할 수 있다. The pressure change amount calculation unit 222 may receive a value of the internal pressure for a certain space of the food container from the pressure sensor 212 and calculate a change value of the internal pressure for the sp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food container is a kimchi storage container, the amount of change in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kimchi storage container may be measured. At this tim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mount of change in pressure information may mean a difference between an initial or initial pressure value when the food is stored in a food container and a currently measured pressure value.

온도 변화량 산출부(224)는 온도 센서(214)로부터 식품 용기의 일정 공간에 대한 온도 값을 입력 받아, 해당 공간에 대한 온도 변화 값을 산출할 수 있다. 일 예로, 온도 정보의 변화량은 식품을 식품 용기에 저장을 시작할 때의 초기 또는 최초 온도 값과 현재 측정된 온도 값의 차이 값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일 예로 온도 정보의 변화량은 기 설정된 기간 또는 시간 주기로 측정되어 기록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식품 용기가 김치 저장 용기인 경우, 김치 저장 용기의 노출 온도를 시간 별로 산출할 수 있다.The temperature change amount calculation unit 224 may receive a temperature value for a certain space of the food container from the temperature sensor 214 and calculate a temperature change value for the space. As an example, the amount of change in temperature information may mean a difference value between an initial or initial temperature value at the beginning of storing food in a food container and a currently measured temperature value. In addition, as another example, the amount of change in temperature information may be measured and recorded in a preset period or time peri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food container is a kimchi storage container, the exposure temperature of the kimchi storage container may be calculated by time.

소리 크기 산출부(226)는 소리 센서(216)로부터 식품 용기의 일정 공간에 대한 소리 크기 값을 입력 받을 수 있다. 이때, 소리 크기 산출부(226)는 입력 받은 소리 크기 값을 바로 식품 숙성 판단부(230)로 전달할 수도 있으며, 다른 일 예로 기준 소리 값보다 큰 경우에만 소리 크기 값을 식품 숙성 판단부(230)으로 전달할 수 있다. 즉, 일 실시예에 따라 마이크가 소리를 입력 받은 경우, 소리 크기 산출부(226)는 입력 받은 소리 정보의 크기를 판단하고, 기준 소리 값보다 큰 경우에만 소리 정보가 유의미하다고 판단하여 식품 숙성 판단부(230)로 전달할 수 있다. The sound level calculation unit 226 may receive a sound level value for a predetermined space of the food container from the sound sensor 216. At this time, the loudness calculation unit 226 may directly transmit the input loudness value to the food aging determination unit 230, as another example, the sound volume value only when it is greater than the reference sound value, the food aging determination unit 230 Can be delivered. That is, according to an embodiment, when the microphone receives sound, the loudness calculation unit 226 determines the size of the received sound information, and determines that the sound information is meaningful only when it is greater than the reference sound value, thereby determining food ripening. It can be transferred to the unit 230.

보다 상세하게 소리 크기 산출부(226)는 해당 공간의 소리 크기 값이 기 설정된 기준 소리 값보다 큰지 여부를 판단하고, 기준 소리 값보다 입력 받은 소리 크기 값이 큰 경우에만 소리 크기의 변화량을 식품 숙성 판단부(230)으로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식품 용기가 김치 저장 용기인 경우, 소리 크기 산출부(226)는 김치 저장 용기의 현재 소리 크기 값이 기 설정된 기준소리 값보다 큰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In more detail, the loudness calculation unit 226 determines whether the sound volume value of the corresponding space is greater than a preset reference sound value, and only when the input loudness value is greater than the reference sound value, the amount of change in the sound volume is aged for food. It can be transmitted to the determination unit 2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food container is a kimchi storage container, the sound level calculation unit 226 may check whether the current sound level value of the kimchi storage container is greater than a preset reference sound value.

이때, 기 설정된 기준 소리 값은 음식의 숙성에 따라 발생되는 기포 소리를 식품의 숙성 판단 시에 이용할 것인지 여부에 대한 기준 값에 해당될 수 있으며, 기포 소리를 인식하는 시작 기준 값에 해당될 수 있다. 즉, 일정 공간에서 기 설정된 기준 소리 값보다 큰 기포 소리 값이 발생되는 경우, 소리 크기 산출부(226)는 발생한 소리에 대한 데이터 값을 식품 숙성 판단부(230)에 보내게 되며, 기준 소리 값은 이에 대한 기준 값에 해당될 수 있다. 기 설정된 기준 값은 식품의 종류, 일정 공간의 크기, 일정 공간에 저장된 식품의 양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값이며, 사용자에 의해 기 설정될 수 있는 값이다.At this time, the preset reference sound value may correspond to a reference value for whether to use the bubble sound generated according to the maturation of the food when determining the maturation of the food, and may correspond to a starting reference value for recognizing the bubble sound. . That is, when a bubble sound value greater than a preset reference sound value is generated in a certain space, the sound level calculation unit 226 sends a data value for the generated sound to the food aging determination unit 230, and the reference sound value May correspond to a reference value for this. The preset reference value is a value that can vary depending on the type of food, the size of a certain space, and the amount of food stored in the certain space, and is a value that can be preset by the user.

식품 숙성 판단부(230)는 인공 지능 기반(AI)의 김치 저장 숙성도 알고리즘에 따라, 김치가 숙성된 정도를 판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식품 숙성 판단부(230)은 압력 변화량 산출부(222)으로부터 식품 용기의 일정 공간에 대한 압력 변화량, 온도 변화량 산출부(224)로부터 식품 용기의 일정 공간에 대한 온도 변화량 값 및 소리 크기 산출부(226)로부터 소리 크기 값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입력 받아, 식품 용기의 일정 공간에 저장된 식품의 숙성의 정도를 파악할 수 있다. The food ripening determination unit 230 may determine the degree of ripening of kimchi according to an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AI) kimchi storage ripening degree algorithm. In more detail, the food aging determination unit 230 includes a pressure change amount for a certain space of the food container from the pressure change amount calculation unit 222, and a temperature change amount value and sound for a certain space of the food container from the temperature change amount calculation unit 224 By receiving at least one or more of the loudness values from the size calculation unit 226, it is possible to grasp the degree of ripening of the food stored in a predetermined space of the food container.

이때, 식품 숙성 판단부(230)는 압력 정보의 변화량, 온도 정보의 변화량 및 소리 정보의 변화량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값을 이용하여 식품에 대한 숙성 패턴을 유도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food aging determination unit 230 may induce an aging pattern for the food by using at least one of a change amount of pressure information, a change amount of temperature information, and a change amount of sound information.

본 발명에서 숙성 패턴이란, 식품이 숙성될 때 발현되는 패턴으로, 숙성되는 정도에 따라 압력, 온도, 소리 등에 대해서 나타나는 그래프에 해당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ging pattern is a pattern that is expressed when food is aged, and may correspond to a graph that appears with respect to pressure, temperature, sound, etc. depending on the degree of aging.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숙성 패턴은 제 1 구간 및 제 2 구간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때, 제 1 구간은 식품이 숙성하는 구간에 해당될 수 있으며, 제 2 구간은 식품의 숙성이 완료된 구간에 해당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제 1 구간에서는 본 발명의 장치가 숙성 여부를 판단하는 숙성 판단 모드로 동작할 수 있으며, 제 2 구간에서는 숙성된 식품을 관리하고 유지할 수 있도록 동작하는 식품 저장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In this c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ging pattern may be divided into a first section and a second section. In this case, the first section may correspond to a section in which food is aged, and the second section may correspond to a section in which aging of food is completed. Accordingly, in the first s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operate in a maturation determination mode to determine whether or not it is aged, and in the second section, it can operate in a food storage mode that operates to manage and maintain the aged food. have.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유도된 숙성 패턴을 통해 현재 식품이 숙성 과정에 있어 어느 정도 위치에 존재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즉, 생성된 숙성 패턴이 제 1 구간에 따른 패턴과 유사한 경우, 숙성이 진행 중인 상태인바, 본 발명의 장치는 숙성에 대한 진행률을 판단할 수 있다. 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determine at what position the current food is present in the aging process through the induced aging pattern. That is, when the generated aging pattern is similar to the pattern according to the first section, the aging is in progress, and the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determine the progress of aging.

또한, 생성된 숙성 패턴이 제 2 구간에 따른 패턴과 유사한 경우, 숙성이 완료된 상태인바, 본 발명의 장치는 식품의 저장 상태에 대해 판단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generated aging pattern is similar to the pattern according to the second section, the aging is completed, and the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determine the storage state of the food.

이러한 숙성 패턴은 저장 온도, 식품의 재료 구성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일 예로, 김치 숙성 패턴은 온도 및 김치의 재료 구성에 영향을 받게 되는데, 높은 온도에서 김치는 더 빠르게 숙성될 수 있다. 일 예로, 김치가 온도 25도에 저장되어 있는 경우보다 30도에 저장되어 있는 경우, 더 빠르게 숙성될 수 있다. This aging pattern may vary depending on the storage temperature, material composition of the food, etc. For example, the kimchi aging pattern is affected by the temperature and the material composition of the kimchi, and the kimchi can be aged faster at a high temperature. For example, when kimchi is stored at 30° C. than when stored at 25° C., it may be aged faster.

즉, 숙성 패턴은 저장된 온도, 식품의 재료 구성 등에 따라, 숙성 패턴의 기울기, 모양, 제 1 구간의 길이, 제 2구간에 도달하는 기간 등이 변화될 수 있다. 일 예로, 제 1 구간의 길이(또는 제 2 구간에 도달하는 기간)는 온도가 높아질수록 짧을 수 있을 것이다. That is, in the aging pattern, the slope and shape of the aging pattern, the length of the first section, the period for reaching the second section, and the like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stored temperature and the material composition of the food. For example, the length of the first section (or the period to reach the second section) may be shorter as the temperature increases.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력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숙성 패턴에 해당될 수 있다. 도 3과 같이 발효식품은 발효될 때, 압력 값에 대해 유사한 특징 값을 갖는 숙성 패턴을 가질 수 있다. 3 may correspond to an aging pattern generated based on pressure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3, when fermented food is fermented, it may have a aging pattern having a characteristic value similar to a pressure value.

보다 상세하게는, 발효식품은 젖산균이나 효모 등 미생물의 발효 작용을 이용하여 만든 식품으로서,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산도와 맛이 달라진다. 예를 들어, 김치의 경우, 김치의 발효 초기에는 미생물 유도기를 거친 다음, Leuconostoc mesenteroides, Lactobacillus brevis등의 이상발효 젖산균이 급격히 증식하며 젖산, 아세트산, 에탄올, 이산화탄소 등을 생성하고, 발효 말기에는 정상발효 젖산규군으로 전환되므로, 더 이상의 가스발생이 중지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이들 발효산물에 의해 김치액이 산성화 및 혐기화되므로써 호기성균의 생육이 억제된다. More specifically, fermented foods are foods made by using the fermentation action of microorganisms such as lactic acid bacteria or yeast, and the acidity and taste vary as fermentation proceeds. For example, in the case of kimchi, the fermentation of kimchi undergoes a microbial induction period at the beginning of fermentation, and then abnormal fermentation lactic acid bacteria such as Leuconostoc mesenteroides and Lactobacillus brevis proliferate rapidly, producing lactic acid, acetic acid, ethanol, carbon dioxide, etc. Since it is converted to lactic acid silica, further gas generation can be stopped. In this process, the growth of aerobic bacteria is inhibited by acidifying and anaerobicizing kimchi liquid by these fermentation products.

이렇게 김치와 같은 발효 식품은 미생물의 활동 정도를 통해 식품 숙성의 정도를 판단할 수 있으며, 이는 도 3과 같이 일정한 숙성 패턴으로 형상화 될 수 있다. 다만, 이때 도 3의 숙성 패턴은 식품의 숙성 시간에 따라 압력의 값이 일정한 모양, 형상 또는 패턴으로 형상화 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며, 도 3의 모양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도 3은 압력에 대한 숙성 패턴은 숙성 시간에 따라 압력의 값이 특징 값을 가지며 증가하게 되며, 제 1 구간 및 제 2 구간으로 구분될 수 있음을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다. In this way, fermented foods such as kimchi can determine the degree of food aging through the degree of activity of microorganisms, which can be shaped into a certain aging pattern as shown in FIG. 3. However, at this time, the aging pattern of FIG. 3 means that the value of the pressure can be formed into a certain shape, shape, or pattern according to the aging time of the food, and is not limited to the shape of FIG. 3. That is, FIG. 3 is only for explaining that the aging pattern for pressure has a characteristic value and increases according to the aging time, and can be divided into a first section and a second section.

이때 숙성 패턴의 제 1 구간은 숙성 시간에 따라 식품이 저장된 일정한 공간 내의 압력이 증가하는 구간에 해당될 수 있다. 이때, 시간에 따른 압력은 직선(linear) 모양이 아닌, 일정한 굴곡을 지닌 패턴으로 형상화될 수 있다. 또한, 숙성 패턴은 굴곡이 완화된 S 형태와 같은 모양을 지닐 수도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숙성 패턴의 특징의 설명을 위한 것일 뿐, 해당 모양으로 숙성 패턴의 모양이 한정되지 않는다. In this case, the first section of the aging pattern may correspond to a section in which pressure in a certain space in which food is stored increases according to the aging time. In this case, the pressure over time may be formed in a pattern having a constant curve rather than a linear shape. In addition, the aging pattern may have a shape such as an S shape in which the curvature is relaxed, but this is only for explain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aging patter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hape of the aging pattern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숙성 패턴의 제 2 구간은 숙성 시간에 따라 식품이 저장된 일정한 공간 내의 압력이 정체된 구간으로, 압력이 일정한 값으로 수렴된 포화 구간(Saturation)을 의미할 수 있다. 이때, 압력의 변화가 더 이상 없는 상황에 해당되므로, 본 발명에서 이 경우는 식품의 숙성이 완료된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econd section of the aging pattern is a section in which the pressure in a certain space in which food is stored according to the aging time is stagnant, and may mean a saturation section in which the pressure converges to a constant value. At this time, since it corresponds to a situation in which there is no change in pressure anymore, in the present invention, this case may mean a state in which aging of the food is completed.

본 발명의 숙성 패턴을 설명하기 위해, 일 예로 도 3과 같은 압력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숙성 패턴을 설명하였으나, 도 3과 같은 모양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압력 정보뿐 만 아니라, 소리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숙성 패턴 및 온도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숙성 패턴 역시 특징 값을 갖는 패턴으로 형상화될 수 있으며, 숙성이 진행되는 제 1 구간 및 숙성이 완료된 제 2 구간으로 구분될 수 있다. In order to describe the aging pattern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n example, the aging pattern generated based on the pressure information as shown in FIG. 3 has been described, but is not limited to the shape of FIG. 3. In addition, not only the pressure information, but also the aging pattern generated based on the sound information and the aging pattern generated based on the temperature information can be formed into a pattern having a characteristic value, and the first section in which aging is progressed and the aging pattern is completed. It can be divided into a second sec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식품 숙성 판단부(230)는 상술한 숙성 패턴에 기초하여 식품의 숙성 정도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보다 상세하게는 식품 숙성 판단부(230)는 저장된 식품에 대해 결정된 숙성 패턴과 기준 숙성 패턴과의 유사도를 판단하여 식품의 숙성 정도를 결정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ood aging determination unit 230 may determine the degree of aging of the food based on the above-described aging pattern. In this case, in more detail, the food aging determination unit 230 may determine the degree of aging of the food by determining the similarity between the determined aging pattern and the reference aging pattern for the stored food.

이때, 기준 숙성 패턴은 식품이 숙성될 때 발현되는 패턴으로, 숙성되는 정도에 따라 압력, 온도, 소리 등에 대해서 나타나는 그래프에 해당되며, 본 발명에서 숙성 패턴에 따라 숙성 정도를 판단하기 위한 기준에 해당될 수 있다. 이때, 기준 숙성 패턴은 미리 식품 숙성 판단부(230) 내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 예로 기준 숙성 패턴은 완연한 S 자 형태의 패턴일 수 있으나, 해당 형태로 한정할 것은 아니다. At this time, the reference aging pattern is a pattern that is expressed when the food is aged, and corresponds to a graph that appears for pressure, temperature, sound, etc. according to the aging level, and corresponds to a criterion for determining the aging level according to the aging pattern i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n this case, the reference aging pattern may be previously stored in the food aging determination unit 230, and as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ference aging pattern may be a completely S-shaped pattern, but is not limited to the corresponding form.

이때 기준 숙성 패턴과 현재 진행되어 생성되고 있는 숙성 패턴과의 유사도는 다양한 기계학습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판단할 수 있다. 이때, 기계 학습 알고리즘은 일 예시에 따라, 뉴럴 네트워크(neural network), 서포트 벡터 머신(support vector machine), 베이지안 네트워크(Bayesian network), 나이브 베이즈 분류기(Naive Bayes classifier), 결정트리(decision tree), k-최근 접점(k-nearest neighbour; KNN) 접근법, 부스팅(boosting), 동적 베이지안 네트워크(DBN), 은닉 마르코프 모델(Hidden Markov Model; HMM), 강화 학습(reinforcement learning), 로지스틱 회귀(logistic regression), 유전 알고리즘(genetic algorithm), 가우시안 프로세스(Gaussian process)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할 것은 아니다.At this time, the degree of similarity between the reference maturation pattern and the maturation pattern currently in progress can be determined using various machine learning algorithms. In this case, the machine learning algorithm is, according to an example, a neural network, a support vector machine, a Bayesian network, a Naive Bayes classifier, and a decision tree. , k-nearest neighbor (KNN) approach, boosting, dynamic Bayesian network (DBN), Hidden Markov Model (HMM), reinforcement learning, logistic regression ), a genetic algorithm, a Gaussian process, etc. may be us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기준 숙성 패턴은 압력 정보의 변화량, 온도 정보의 변화량 및 소리 정보의 변화량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값을 이용하여 생성된 패턴에 해당되며, 기계 학습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학습된 패턴에 해당될 수 있다. That i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ference maturation pattern corresponds to a pattern created using at least one of a change amount of pressure information, a change amount of temperature information, and a change amount of sound information, and is learned using a machine learning algorithm. It may correspond to the old pattern.

또한 식품 숙성 판단부(230)는 식품 용기의 일정 공간에 대한 압력 변화량, 온도 변화량 및 소리 크기 판단 값과 식품의 산도(Ph), 숙성 속도, 숙성 기간, 숙성 품질 등과의 관계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식품 용기에 저장된 식품의 숙성이 어느 정도 되었는지 파악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ood aging determination unit 230 is based on inform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essure change amount, the temperature change amount, and the loudness determination value for a certain space of the food container and the acidity (Ph) of the food, aging rate, aging period, aging quality, etc. Thus, it is possible to grasp the degree of maturation of the food stored in the food container.

이때, 일 예로, 김치가 숙성되면서 발생하는 가스와 산도는 비례 관계에 있으며, 발생하는 가스와 PH 값은 반 비례 관계에 있다. 따라서 김치 내압의 증가를 계측하여 김치의 숙성 정도를 간접 측정할 수 있다.At this time, as an example, gas and acidity generated as kimchi is aged are in a proportional relationship, and the generated gas and PH value are in an inverse proportional relationship. Therefore, it is possible to indirectly measure the maturation degree of kimchi by measuring the increase of the kimchi internal pressure.

이때, 식품 숙성 판단부(230)가 식품의 숙성 정도를 판단하는 경우, 저장된 식품에 대해 유도된 숙성 패턴과 상술한 기준 숙성 패턴과의 유사도를 판단하게 되는데, 이를 위해 먼저 식품 숙성 판단부(230)는 유도된 숙성 패턴의 특징 값을 추출하고, 기준 숙성 패턴의 특징 값과 비교할 수 있다. At this time, when the food aging determination unit 230 determines the aging degree of the food, it determines the similarity between the aging pattern induced for the stored food and the above-described reference aging pattern. For this purpose, first, the food aging determination unit 230 ) Extracts the characteristic value of the induced aging pattern and compares it with the characteristic value of the reference aging patter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식품 숙성 판단부(230)는 압력, 온도, 소리 각각에 대해서 유도한 숙성 패턴을 이용하여, 식품이 어느 정도 숙성되었는지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일 예로, 압력, 온도, 소리에 대해 결합하여 숙성 패턴을 생성할 수도 있다. 하기에서는 압력, 온도, 소리 순으로 식품의 숙성 정도를 판단하는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ood maturation determination unit 230 may determine the degree of maturation of the food by using the maturation pattern induced for each of pressure, temperature, and sound. In addition, as another example, a maturation pattern may be generated by combining pressure, temperature, and sound. Hereinafter, a specific example of determining the degree of aging of food in the order of pressure, temperature, and sound will be described.

먼저, 압력 변화량에 따라 식품 숙성 정도를 판단하는 경우, 식품 숙성 판단부(230)는 식품 용기의 일정 공간에 대한 압력 변화량에 기초하여 식품에 대한 산도(Ph) 값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식품을 식품 용기에 저장을 시작할 때부터의 압력에 대한 숙성 패턴과 기준 숙성 패턴과의 유사도를 판별하여 숙성의 정도를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압력 측정 값의 비교가 아닌, 변화 패턴의 특징 값을 추출하여 비교하기 때문에 김치를 담글 때 각기 다른 조성으로 담그더라도 적숙기를 판단 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압력 변화에 따른 숙성 정도는 기계학습 알고리즘 내 학습된 기준 숙성 패턴과 생성된 압력에 대한 숙성 패턴 간의 유사성 정도를 비교하여 판단한다. 또한, 패턴 간의 유사도를 판별하는 경우, 상술한 다양한 기계학습 알고리즘이 사용될 수 있다. First, when determining the degree of food aging according to the amount of pressure change, the food aging determination unit 230 may check the acidity (Ph) value of the food based on the amount of pressure change in a predetermined space of the food container. In this case, as an example, the degree of ripening may be determined by determining a similarity between the aging pattern with respect to the pressure from the start of storing the food in the food container and the reference aging pattern.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characteristic value of the change pattern is extracted and compared, not the comparison of the pressure measurement values,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e suitable ripening period even if the kimchi is soaked in different compositions. In this case, as an example, the degree of aging according to the pressure change is determined by comparing the degree of similarity between the reference aging pattern learned in the machine learning algorithm and the aging pattern for the generated pressure. In addition, when determining the degree of similarity between patterns, various machine learning algorithms described above may be used.

온도 변화량에 따라 식품 숙성 정도를 판단하는 경우, 식품 숙성 판단부(230)는 온도 정보의 변화량에 기초하여, 숙성 패턴의 제 1 구간의 기간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식품 숙성 판단부(230)는 제 1 구간의 기간으로부터 식품의 숙성 완료 예상 기간을 예측할 수 있다. 이는, 식품을 숙성시키는 온도에 따라 숙성 완료까지 소요되는 기간이 달라질 수 있음에 기인한 것이다. 일 예로, 김치를 숙성시키는 경우, 김치를 숙성시키는 온도에 따라 숙성 완료까지 걸리는 기간이 달라지게 되는데, 20도에서 1.7일, 10도에서 4.5일, 0도에서는 24일 정도가 걸릴 수 있다. 즉, 식품을 숙성시키는 온도가 낮아질수록, 숙성 완료까지 걸리는 기간이 길어지게 될 수 있다. When determining the degree of food aging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change amount, the food aging determination unit 230 may determine the period of the first section of the aging pattern based on the change amount of temperature information. In addition, the food aging determination unit 230 may predict an expected period of completion of aging of the food from the period of the first section. This is due to the fact that the period required to complete aging may vary depending on the temperature at which the food is aged. For example, in the case of aging kimchi, the period until completion of aging varies depending on the temperature at which kimchi is aged, which may take 1.7 days at 20°C, 4.5 days at 10°C, and 24 days at 0°C. That is, as the temperature at which the food is aged is lowered, the period until completion of ripening may become longer.

따라서, 식품 숙성 판단부(230)는 온도 변화 값에 기초하여 식품의 숙성 속도 및 숙성 기간 등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식품 숙성 판단부(230)는 식품을 저장하고 있는 온도에 따라 숙성 완료까지 소요되는 기간을 판단할 수 있으며, 일 예로, 식품 숙성 판단부(230)는 저장된 식품이 저장된 온도에 따라 숙성 패턴이 발현되는데 소요되는 기간을 판단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food aging determination unit 230 may check information such as an aging rate and aging period of the food based on the temperature change valu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ood aging determination unit 230 may determine a period until completion of aging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at which the food is stored. For example, the food aging determination unit 230 Depending on the stored temperature,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e period required for the ripening pattern to develop.

보다 상세하게는, 식품 숙성 판단부(230)는 식품이 숙성 패턴의 제 1 구간의 기간을 판단할 수 있다. 즉, 식품 숙성 판단부(230)는 식품 저장 시작부터 제 2 구간이 시작될 때까지의 구간을 판단할 수 있다. In more detail, the food aging determination unit 230 may determine the period of the first section of the aging pattern of the food. That is, the food aging determination unit 230 may determine a section from the start of food storage to the start of the second section.

김치의 경우, 김치의 숙성 속도와 품질은 김치 저장 용기의 저장 온도와 기간에 큰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김치 저장 용기의 노출 온도를 시간 별로 측정하여 김치의 숙성 품질을 판단할 수 있으며, 상술한 방법에 따라 숙성 품질이 좋은 김치로 숙성시킬 수 있을 것이다. In the case of kimchi, the maturation rate and quality of kimchi are greatly influenced by the storage temperature and duration of the kimchi storage container. Therefore,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e maturation quality of kimchi by measuring the exposure temperature of the kimchi storage container by time, and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method, it will be possible to ripen kimchi with good maturation quality.

소리 변화량에 따라 식품 숙성 정도를 판단하는 경우, 식품 숙성 판단부(230)는 소리 크기 산출부(226)로부터 식품 용기의 일정 공간에 대한 소리 크기 값을 입력 받아, 해당 공간의 소리 크기 값에 대한 숙성 패턴이 기존에 학습된 소리에 대한 기준 숙성 패턴과 유사한지 유사도를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식품 용기가 김치 저장 용기인 경우, 김치 저장 용기의 발효과정에서 발생하는 소리에 대한 숙성 패턴이 기 학습된 소리에 대한 기준 숙성 패턴과 유사한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즉, 소리의 크기 값에 기초하여 식품의 숙성 정도를 판단하는 경우, 기계학습 알고리즘 내 학습된 소리에 대한 기준 숙성 패턴과 소리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숙성 패턴 간의 유사성 정도를 비교하여 판단한다. 이때, 패턴 간의 유사도를 판별하는 경우, 상술한 다양한 기계학습 알고리즘이 사용될 수 있다. When determining the degree of food aging according to the amount of change in sound, the food aging determination unit 230 receives a sound level value for a certain space of the food container from the sound level calculation unit 226, and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 aging pattern is similar to the reference aging pattern for the previously learned sou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food container is a kimchi storage container, it may be checked whether or not the aging pattern for the sound generated in the fermentation process of the kimchi storage container is similar to the reference aging pattern for the previously learned sound. That is, when determining the degree of maturation of the food based on the loudness value of the sound, the degree of similarity between the reference maturation pattern for the sound learned in the machine learning algorithm and the maturation pattern generated based on the sound information is compared and determined. In this case, when determining the similarity between patterns, various machine learning algorithms described above may be used.

식품 숙성 판단부(230)은 상술한 패턴 간의 유사 판단을 통해 식품이 숙성된 정도가 어느 정도인지 판단하는 것 외에도, 저장된 식품에 대한 숙성이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식품 숙성 판단부(230)는 상술한 숙성 패턴이 제 2 구간에 도달한 경우, 및/또는 숙성 패턴이 기준 숙성 패턴과의 유사도가 목표 값 이상인 경우 식품 숙성이 완료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In addition to determining the degree to which the food has been aged through similar judgment between the above-described patterns, the food aging determination unit 230 may determine whether the aging of the stored food has been completed. At this time, as an example, when the above-described aging pattern reaches the second section, and/or when the similarity of the aging pattern to the reference aging pattern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target value, the food aging determination unit 230 may determine that the food aging is completed. I can.

이때 일예로, 압력 정보에 대해 생성한 숙성 패턴을 기초로 숙성이 완료되었는지 판단하는 경우, 식품 숙성 판단부(230)는 숙성 패턴이 압력 변화 값이 일정한 값으로 수렴하는 제 2 구간까지 유도된 경우, 숙성이 완료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At this time, as an example, when determining whether aging is completed based on the aging pattern generated for the pressure information, the food aging determination unit 230 is when the aging pattern is induced to a second section where the pressure change value converges to a constant value. , It can be judged that the aging has been completed.

또한, 본 발명의 일 예로, 식품 숙성 판단부(230)가 숙성 패턴과 기준 숙성 패턴과의 유사도가 목표 값 이상인지 여부를 통해 숙성이 완료되었는지 판단할 수 있다. 이때, 목표 값은, 기준 숙성 패턴과 본 발명의 숙성 패턴이 어느 정도 일치를 해야 숙성이 되었다고 판단할지 여부에 해단 기준 값이 될 수 있다. 이때, 목표 값은 기 설정될 수 있는 값에 해당되며, 목표 값이 높을수록 최적의 숙성도에 근접할 수 있을 것이다. 일 예로, 김치의 경우, pH 4.2~4.4범위 값을 갖는 경우 최적의 숙성도에 해당될 수 있다.In addition, as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ood aging determination unit 230 may determine whether aging is completed through whether the similarity between the aging pattern and the reference aging pattern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target value. In this case, the target value may be a decomposition reference value whether it is determined that the reference aging pattern and the aging pattern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matched to some extent. In this case, the target value corresponds to a value that can be set in advance, and the higher the target value, the closer to the optimum maturation degree. For example, in the case of kimchi, if it has a pH in the range of 4.2 to 4.4, it may correspond to an optimal maturation degree.

상기의 판단 방법은, 식품이 숙성 완료되지 않을수록, 기준 숙성 패턴과의 차이가 큰 점에서 기인한 것이다. 즉, 식품이 숙성 중인 경우 제 1 구간의 일부 구간의 특징 점이 숙성 패턴에 구현되었을 수 있으나, 제 2 구간 및 제 1 구간의 남은 구간은 구현되지 않았을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는 숙성 패턴과 기준 숙성 패턴과의 유사도가 낮게 나오게 될 것이다. 또한, 반대로 식품이 숙성 완료된 경우, 기준 숙성 패턴과 유사한 특징점이 모두 숙성 패턴에 구현되었을 것이므로 유사도가 높게 나올 것이다.The determination method described above is due to the fact that, as the food is not matured, the difference from the standard aging pattern is large. That is, when the food is being aged, the characteristic points of some sections of the first section may have been implemented in the aging pattern, but the remaining sections of the second section and the first section may not be implemented. Therefore, in this case, the similarity between the aging pattern and the reference aging pattern will be low. On the contrary, when the food has been ripened, all features similar to the standard ripening pattern will have been implemented in the ripening pattern, so the similarity will be high.

본 발명에서, 목표 값은 사용자에 의해 변경될 수 있는 값에 해당될 수 있다. 사람에 따라 취향이 다르므로 같은 발효식품이라도 선호하는 발효의 정도는 각기 다를 수 있다. 따라서, 본인이 원하는 재료를 배합한 김치 발효 데이터를 센서에 기록해두고 추후 동일한 패턴으로 김치를 숙성시킬 수 있으며, 본인이 원하는 패턴에 대응되는 목표 값을 설정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arget value may correspond to a value that can be changed by a user. Different people have different tastes, so even the same fermented food may have different levels of preferred fermentation. Therefore, it is possible to record kimchi fermentation data containing the ingredients that the person wants in the sensor and then mature the kimchi in the same pattern later, and set a target value corresponding to the desired pattern.

본 기술의 알고리즘의 경우 비정형의 신호로부터 미리 학습한 패턴을 인식할 수 있는 기술로 추후에 다양한 시계열 데이터로 확장이 가능할 것이다. In the case of the algorithm of the present technology, it is a technology capable of recognizing a pattern learned in advance from an unstructured signal, and may be extended to various time series data in the future.

식품 숙성 판단부(230)는 판단된 식품의 숙성 정도에 기초하여 외부 디바이스에 전달될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예로, 식품 숙성 판단부(230)는 예측한 식품의 숙성 완료 예상 기간 및 식품의 저장 기간에 기초하여, 저장된 식품의 숙성 정도에 대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식품의 저장 기간은 식품이 저장된 날부터 현재까지의 날에 해당될 수 있으며, 또한 센서가 동작한 기간에 대응될 수도 있다. 일 예로, 식품 숙성 판단부(230)가 김치 숙성 완료 전의 신호를 생성하는 경우, 숙성 시작 온도에서 센서 동작 기간을 산출 한 후 전체 동작 기간에서 해당하는 기간을 %로 산출하여 전송할 수 있다. 이때 한정하지 않은 예로, 10도에서 김치의 숙성 기간이 대략 4.5일이 소요된다고 가정하면, 10도에서 숙성이 시작된 경우, 1일 차에는 22%라는 해당하는 기간 값을 전송할 수 있다. The food aging determination unit 230 may generate a signal to be transmitted to an external device based on the determined aging degree of the food. In this case, as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ood aging determination unit 230 may generate information on the degree of aging of the stored food based on the predicted aging completion period and the storage period of the food. In this case, the storage period of the food may correspond to a day from the day the food was stored to the present day, and may also correspond to a period in which the sensor was operated. For example, when the food ripening determination unit 230 generates a signal before the kimchi ripening is completed, after calculating the sensor operation period at the ripening start temperature, the corresponding period in the entire operation period may be calculated as% and transmitted. In this case, as a non-limiting example, assuming that the aging period of kimchi takes about 4.5 days at 10°C, when maturation starts at 10°C, a corresponding period value of 22% may be transmitted on the first day.

또한, 식품 숙성 판단부(230)는 식품에 대해 숙성 패턴이 완전히 발현된 것으로 판단되면, 숙성 완료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식품 상태 관리부(240)는 식품의 저장 상태 정보를 생성 및 관리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서 식품 저장 상태란, 저장 온도 및 기간 정보가 해당될 수 있다. 이는, 김치의 경우, 김치의 보관온도는 대략 영상 5도 이내이다. 오래 보관하기 위해서는 영하 0도를 지켜야 하며 이러할 경우 대략 3개월까지 저장이 가능하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김치 종류에 따라 식품 염도가 달라지며 어는 점의 차이가 나기에 김치의 저장 온도가 달라지게 된다. 따라서, 김치와 같은 식품의 보관을 적절하게 수행하기 위해서는 저장 온도 및 기간 정보를 생성 및 관리할 필요성이 있다. In addi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aging pattern for the food is completely expressed, the food aging determination unit 230 may transmit a aging completion signal. The food state management unit 240 may generate and manage storage state information of food. In this case, the food storage state in the present invention may correspond to storage temperature and period information. This is, in the case of kimchi, the storage temperature of kimchi is approximately within 5 degrees. In order to store it for a long time, it must be kept at 0 degrees below zero, and in this case, it is known that storage for up to 3 months is possible. In addition, the salinity of the food varies depending on the type of kimchi, and the storage temperature of kimchi varies due to the difference in freezing point. Therefore, in order to properly store food such as kimchi, there is a need to generate and manage storage temperature and period information.

식품 상태 관리부(240)는 저장 상태 판단부(242) 및 기간 관리부(244)로 구성될 수 있다. 식품 상태 관리부(240)는 식품 숙성 판단 모드가 종료되고, 식품 저장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숙성된 식품이 유지되는 기간 및 상태 등을 확인 및 관리하기 위해 동작할 수 있다. The food state management unit 240 may include a storage state determination unit 242 and a period management unit 244. When the food aging determination mode is terminated and the food storage mode is operated, the food state management unit 240 may operate to check and manage a period and a condition in which the aged food is maintained.

저장 상태 판단부(242)는 숙성이 완료된 시점으로부터 저장 상태로 판단하며, 이때부터 온도 센서(214)로부터 온도 값을 수신할 수 있다.The storage state determination unit 242 determines the storage state from the time when the aging is completed, and may receive a temperature value from the temperature sensor 214 from this point on.

기간 관리부(244)는 식품 용기에 포함된 식품이 숙성도를 유지하며 보관될 수 있는 기간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식품 용기가 김치 저장 용기인 경우, 김치 저장 용기에 저장된 김치의 보관 가능 기간을 확인할 수 있다.The period management unit 244 may check a period during which the food contained in the food container can be stored while maintaining the matur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food container is a kimchi storage container, it is possible to check the storage period of kimchi stored in the kimchi storage container.

보다 상세하게, 기간 관리부(244)는 저장 상태 판단부(242)에서 수신한 온도 정보에 기초하여 숙성 패턴의 제 2 구간이 유지될 수 있는 기간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제 2 구간의 기간으로부터 식품의 저장 가능 기간을 예측할 수 있다. 일 예로, 기간 관리부(244)는 식품의 저장 가능 기간을 계산하여, 사용자의 외부 디바이스에게 식품의 저장 가능 기간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In more detail, the period management unit 244 may determine a period in which the second section of the aging pattern can be maintained based on the temperatur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torage state determination unit 242.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edict the storage possible period of the food from the period of the second period. For example, the period management unit 244 may calculate a storage period of food and transmit information about the storage period of food to an external device of the user.

또한, 다른 일 예로 기간 관리부(244)는 식품이 유지되어 보관 가능한 기간을 예측하고, 식품이 현재까지 보관 되었던 기간을 고려하여, 남은 보관 가능한 기간을 사용자의 외부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기간 관리부(244)는 온도 센서(214)의 온도 변화 값에 기초하여 기간을 계산하여, 식품이 저장되었던 기간을 확인 및 관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기간 관리부(244)는 온도 센서(214)가 기 설정된 온도 이하의 값으로 떨어진 시점을 식품의 저장 시작 시간으로 판단할 수 있다. In addition, as another example, the period management unit 244 may predict a period in which food is maintained and storeable, and transmit the remaining period of storage to the external device of the user in consideration of the period in which the food has been stored until now. In this case, the period management unit 244 may check and manage the period in which the food was stored by calculating a period based on the temperature change value of the temperature sensor 214.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eriod management unit 244 may determine a point in time when the temperature sensor 214 falls to a value equal to or less than a preset temperature as a storage start time of food.

통신부(250)는 식품 숙성 관리 장치(200)가 외부 디바이스와 통신을 수행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통신부(240)는 블루투스를 이용하여 외부 디바이스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The communication unit 250 may provide a function for the food aging management apparatus 200 to communicate with an external device. In this c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munication unit 240 may communicate with an external device using Bluetooth.

이때, 통신부(250)는 외부 디바이스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통신부(250)는 사용자에게 저장 상태, 저장 기간, 숙성 정도, 저장 가능 기간 등에 대한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숙성 정도는 숙성 완료와 현재 숙성 정도 간의 비율로 표현되어 전송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communication unit 250 may provide necessary information to an external device. In more detail, the communication unit 250 may transmit information on a storage state, a storage period, a degree of aging, and a storage available period to the user. In this case, for example, the aging degree may be expressed as a ratio between the aging completion and the current aging degree and transmitted.

또한 통신부(250)는 사용자로부터 특정 값을 입력 받을 수 있다. 이때 특정 값은 숙성 완료의 판단 기준 값에 해당되는 목표 값, 재료 정보 등이 해당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unit 250 may receive a specific value from a user. In this case, the specific value may correspond to a target value, material information, etc. corresponding to a criterion value for determining completion of aging.

전원부(260)는 식품 숙성 관리 장치(200)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에 해당될 수 있다. 이때, 식품 숙성 관리 장치(200)는 별도의 배터리를 내장할 수 있으며, 외부에서 별도의 전원 공급 없이 식품 숙성 관리 장치(200)가 동작할 수 있다. The power supply unit 260 may correspond to a battery that supplies power to the food aging management device 200. In this case, the food aging management device 200 may include a separate battery, and the food aging management device 200 may operate without additional power supply from the outside.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식품 용기 안 식품의 숙성 정도를 판단하는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determining the degree of aging of food in a food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식품 숙성 관리 장치(200)는 식품 숙성 판단 모드로 동작할 수 있으며, 이는 숙성 패턴의 제 1 구간 동안 동작하는 모드에 해당될 수 있다. First, the food aging management apparatus 200 may operate in a food aging determination mode, which may correspond to a mode operating during the first section of the aging pattern.

식품 숙성 관리 장치(200)는 센서부(210)로부터 센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S410) 이때, 센서 데이터는 일정 공간 내의 압력 정보, 온도 정보 및 소리 정보에 해당될 수 있다. The food aging management apparatus 200 may receive sensor data from the sensor unit 210. (S410) At this time, the sensor data may correspond to pressure information, temperature information, and sound information in a certain space.

판단 정보 생성부(220)는 식품 숙성 판단의 기초 정보가 되는 판단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S420) 보다 상세하게는 압력 변화량 산출부(222)는 압력 변화량을 산출할 수 있다. 온도 변화량 산출부(224)는 기간별 온도 변화량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소리 크기 산출부(226)는 기준 소리 값보다 큰 소리 크기 값을 산출할 수 있다. The determination information generation unit 220 may generate determination information that is basic information for determining food ripening. (S420) In more detail, the pressure change amount calculation unit 222 may calculate the pressure change amount. The temperature change amount calculation unit 224 may calculate a temperature change amount for each period. In addition, the loudness calculator 226 may calculate a loudness value that is greater than the reference sound value.

식품 숙성 판단부(230)는 숙성 패턴을 결정하고, 식품의 숙성 정도를 판단할 수 있다. (S430)The food aging determination unit 230 may determine an aging pattern and determine a degree of aging of the food. (S430)

이때 식품 숙성 판단부(230)는 압력 정보의 변화량, 상기 온도 정보의 변화량 및 상기 소리 정보의 변화량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값을 이용하여 상기 식품에 대한 숙성 패턴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식품 숙성 판단부(230)는 숙성 패턴에 기초하여 식품의 숙성 정도를 판단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food aging determination unit 230 may determine the aging pattern for the food by using at least one of a change amount of pressure information, a change amount of the temperature information, and a change amount of the sound information. In addition, the food aging determination unit 230 may determine the degree of aging of the food based on the aging pattern.

그 후, 식품 숙성 판단부(230)로부터 식품이 숙성 완료되었다고 판단된 경우, 식품 숙성 관리 장치(200)는 식품 저장 모드로 동작할 수 있으며, 이는 숙성 패턴의 제 2 구간 동안 또는 제 2 구간에 돌입한 이후에 동작하는 모드에 해당될 수 있다.Thereafter, when it is determined from the food aging determination unit 230 that the food has been matured, the food aging management device 200 may operate in a food storage mode, which is during the second period or during the second period of the aging pattern. It may correspond to a mode that operates after entering.

이때, 식품 상태 관리부(240)는 식품 저장 모드로 식품을 관리할 수 있다.(S440)At this time, the food state management unit 240 may manage the food in the food storage mode (S440).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숙성 정도를 판단한 결과에 따라 숙성 판단 모드 및 식품 관리 모드로 변경되는 흐름도를 나타낸 도면에 해당된다. 또한, 도 5는 숙성 정도를 판단하는 흐름도에 해당될 수도 있다.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flow chart of changing into an aging determination mode and a food management mode according to a result of determining the aging degre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FIG. 5 may correspond to a flowchart for determining the degree of maturation.

먼저, 식품 숙성 관리 장치(200)는 식품이 숙성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상술한 방법으로 식품에 대한 숙성 패턴을 결정할 수 있다.(S510)First, the food aging management apparatus 200 may determine the aging pattern for the food by the above-described method in order to determine whether the food has been aged (S510).

그리고, 식품 숙성 관리 장치(200)는 숙성 패턴과 기준 패턴을 비교하기 위해 먼저 숙성 패턴에 대한 특징 값을 추출할 수 있다.(S520) 그 후, 식품 숙성 관리 장치(200)는 기준 패턴과 숙성 패턴을 비교하게 되는데,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유사도를 판단할 수 있다.(S530)In addition, the food aging management device 200 may first extract a feature value for the aging pattern in order to compare the aging pattern and the reference pattern (S520). After that, the food aging management device 200 The patterns are compared, and at this time, the degree of similarity can be determined as described above (S530).

그 후, 식품 숙성 관리 장치(200)는 식품에 대한 숙성이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라, 숙성 패턴이 상술한 제 2 구간에 도달한 경우 식품 숙성 관리 장치(200)는 식품 숙성이 완료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일 예로 식품 숙성 관리 장치(200)는 기준 숙성 패턴과 결정된 숙성 패턴간의 유사도가 목표 값 이상인 경우, 식품 숙성이 완료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Thereafter, the food aging management apparatus 200 may determine whether the aging of the food is completed.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aging pattern reaches the above-described second section, the food aging management apparatus 200 may determine that the food aging has been completed. In addition, as another example, when the similarity between the reference aging pattern and the determined aging pattern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target value, the food aging management apparatus 200 may determine that the food aging has been completed.

이때, 식품 숙성이 완료되었다고 판단되지 않은 경우, 숙성 판단 모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는 숙성 패턴이 현재 제 1 구간에서 패턴을 형성하고 있는 것을 의미하며, 아직 제 2구간에 도달하지 못한 경우에 해당될 수 있다. In this case, when it is not determined that food aging is completed, the aging determination mode may be maintained. This means that the aging pattern is currently forming a pattern in the first section, and may correspond to a case that has not yet reached the second section.

만약, 식품 숙성이 완료되었다고 판단된 경우, 식품 저장 모드가 적용될 수 있다. 이때, 식품 숙성 관리 장치(200)는 숙성된 식품이 저장 가능한 기간을 상술한 방법으로 산출할 수 있다.(S550) 또한, 식품 숙성 관리 장치(200)는 식품 관리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S560) 상술한 식품 저장 모드는 숙성 패턴이 제 2구간에 도달한 경우에 발생되는 모드에 해당될 수 있다. 또는, 식품 저장 모드는 숙성 패턴이 제 2 구간에 해당되는 기간 동안 발생되는 모드에 해당될 수 있다. If it is determined that food aging is completed, a food storage mode may be applied. In this case, the food aging management device 200 may calculate the period in which the aged food can be stored in the above-described manner. (S550) In addition, the food aging management device 200 may generate food management information. S560) The above-described food storage mode may correspond to a mode generated when the aging pattern reaches the second section. Alternatively, the food storage mode may correspond to a mode in which the aging pattern occurs during a period corresponding to the second section.

본 개시의 예시적인 방법들은 설명의 명확성을 위해서 동작의 시리즈로 표현되어 있지만, 이는 단계가 수행되는 순서를 제한하기 위한 것은 아니며, 필요한 경우에는 각각의 단계가 동시에 또는 상이한 순서로 수행될 수도 있다. 본 개시에 따른 방법을 구현하기 위해서, 예시하는 단계에 추가적으로 다른 단계를 포함하거나, 일부의 단계를 제외하고 나머지 단계를 포함하거나, 또는 일부의 단계를 제외하고 추가적인 다른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The exemplary methods of the present disclosure are expressed as a series of operations for clarity of description, but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order in which steps are performed, and each step may be performed simultaneously or in a different order if necessary. In order to implement th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the illustrative steps may include additional steps, other steps may be included excluding some steps, or may include additional other steps excluding some steps.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는 모든 가능한 조합을 나열한 것이 아니고 본 개시의 대표적인 양상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다양한 실시 예에서 설명하는 사항들은 독립적으로 적용되거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으로 적용될 수도 있다.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are not listed in all possible combinations, but are intended to describe representative aspects of the present disclosure, and matters described in the various embodiments may be applied independently or may be applied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또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는 하드웨어, 펌웨어(firmware), 소프트웨어, 또는 그들의 결합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범용 프로세서(general processor), 컨트롤러, 마이크로 컨트롤러,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In addition,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be implemented by hardware, firmware, software, or a combination thereof. For implementation by hardware, one or more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general purpose It may be implemented by a processor (general processor), a controller, a microcontroller, a microprocessor, or the like.

본 개시의 범위는 다양한 실시 예의 방법에 따른 동작이 장치 또는 컴퓨터 상에서 실행되도록 하는 소프트웨어 또는 머신-실행가능한 명령들(예를 들어, 운영체제, 애플리케이션, 펌웨어(firmware), 프로그램 등), 및 이러한 소프트웨어 또는 명령 등이 저장되어 장치 또는 컴퓨터 상에서 실행 가능한 비-일시적 컴퓨터-판독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medium)를 포함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software or machine-executable instructions (e.g., operating systems, applications, firmware, programs, etc.) that allow an operation according to a method of various embodiments to be executed on a device or computer, and such software or It includes a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medium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medium) which stores instructions and the like and is executable on a device or a computer.

200: 식품 숙성 관리 장치
210: 센서부
212: 압력 센서
214: 온도 센서
216: 소리 센서
220: 판단 정보 생성부
222: 압력 변화량 산출부
224: 온도 변화량 산출부
226: 소리 크기 산출부
230: 식품 숙성 관리부
240: 식품 상태 관리부
242: 저장 상태 판단부
244: 기간 관리부
250: 통신부
260: 전원부
200: food aging management device
210: sensor unit
212: pressure sensor
214: temperature sensor
216: sound sensor
220: judgment information generation unit
222: pressure change amount calculation unit
224: temperature change amount calculation unit
226: loudness calculation unit
230: Food aging management department
240: Food Condition Management Department
242: storage state determination unit
244: period management unit
250: communication department
260: power supply

Claims (14)

일정 공간 내 저장된 식품을 숙성 및 관리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일정 공간 내의 압력 정보, 온도 정보 및 소리 정보를 측정하는 센서부;
상기 압력 정보의 변화량, 상기 온도 정보의 변화량 및 상기 소리 정보의 변화량을 산출하는 판단 정보 생성부;
상기 압력 정보의 변화량, 상기 온도 정보의 변화량 및 상기 소리 정보의 변화량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값을 이용하여 상기 식품에 대한 숙성 패턴을 유도하고, 상기 숙성 패턴에 기초하여 상기 식품의 숙성 정도를 판단하는 식품 숙성 판단부; 및
상기 식품 숙성 판단부로부터 상기 식품이 숙성 완료되었다고 결정된 경우, 식품의 저장 상태 정보를 생성 및 관리하는 식품 상태 관리부;를 포함하되,
상기 식품 숙성 판단부는 저장된 식품에 대해 상기 유도된 숙성 패턴과 기준 숙성 패턴과의 유사도를 판단하여 상기 식품의 숙성 정도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관리 장치.
In the device for aging and managing food stored in a certain space,
A sensor unit that measures pressure information, temperature information, and sound information in the predetermined space;
A determination information generator for calculating a change amount of the pressure information, a change amount of the temperature information, and a change amount of the sound information;
A food that induces an aging pattern for the food by using at least one value of a change amount of the pressure information, a change amount of the temperature information, and the change amount of the sound information, and determines the degree of aging of the food based on the aging pattern Aging determination unit; And
Including; when it is determined from the food aging determination unit that the food is matured, a food state management unit for generating and managing storage state information of the food
And the food aging determination unit determines a degree of aging of the food by determining a similarity between the induced aging pattern and a reference aging pattern for the stored food.
제 1항에 있어서
저장된 식품에 대해 상기 유도된 숙성 패턴과 상기 기준 숙성 패턴과의 유사도를 판단하는 경우, 상기 유도된 숙성 패턴의 특징 값을 추출하여, 상기 기준 숙성 패턴의 특징 값과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관리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Food management, characterized in that when determining the similarity between the induced aging pattern and the reference aging pattern for stored food, extracting the characteristic value of the induced aging pattern and comparing it with the characteristic value of the reference aging pattern Device.
제 2항에 있어서,
기 식품에 대해 유도된 숙성 패턴은 제 1 구간 및 상기 제 1 구간 이후에 유도되는 제 2 구간으로 구분되되, 상기 유도된 숙성 패턴이 상기 제 1 구간에 해당되는 경우 숙성 판단 모드가 적용되고, 상기 유도된 숙성 패턴이 상기 제 2 구간에 해당되는 경우, 상기 식품 저장 모드가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관리 장치.
The method of claim 2,
The maturation pattern induced for the existing food is divided into a first section and a second section induced after the first section, and when the induced ripening pattern corresponds to the first section, a ripening determination mode is applied, and the Food management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food storage mode is applied when the induced aging pattern corresponds to the second section.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된 숙성 패턴과 상기 기준 숙성 패턴과의 유사도가 목표 값 이상인 경우, 상기 저장된 식품이 숙성 완료되었다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관리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When the similarity between the induced aging pattern and the reference aging pattern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target value, it is determined that the stored food is matured.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된 숙성 패턴이 상기 제 2 구간까지 유도된 경우, 상기 저장된 식품이 숙성 완료되었다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관리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When the induced aging pattern is guided to the second section, it is determined that the stored food has been aging.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된 숙성 패턴이 상기 압력 정보의 변화량에 기초하여 유도된 것인 경우, 상기 제 2 구간은 압력 변화 값이 일정한 값으로 수렴하는 구간에 해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관리 장치.
The method of claim 4,
When the induced aging pattern is derived based on the amount of change in the pressure information, the second section corresponds to a section in which the pressure change value converges to a constant value.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식품 숙성 판단부는 상기 온도 정보의 변화량에 기초하여, 상기 숙성 패턴의 제 1 구간의 기간을 판단하고, 상기 제 1 구간의 기간으로부터 식품의 숙성 완료 예상 기간을 예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관리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The food aging determination unit, based on the amount of change in the temperature information, determines a period of the first section of the aging pattern, and predicts an expected period of completion of ripening of the food from the period of the first section. .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식품 숙성 판단부는 상기 예측한 식품의 숙성 완료 예상 기간 및 상기 식품의 저장 기간에 기초하여, 상기 저장된 식품의 숙성 정도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상기 숙성 정도에 대한 정보를 외부 디바이스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관리 장치.
According to claim 7
The food aging determination unit generates information on the aging degree of the stored food based on the predicted aging completion period of the food and the storage period of the food, and transmits the generated information on the aging degree to an external device. Food managemen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식품 상태 관리부는 상기 센서부로부터 온도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온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숙성 패턴의 제 2 구간의 기간을 판단하고, 상기 제 2 구간의 기간으로부터 식품의 저장 가능 기간을 예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관리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The food state management unit receives temperature information from the sensor unit,
And determining a period of the second section of the aging pattern based on the temperature information, and predicting a storable period of food from the period of the second sectio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 정보 생성부가 상기 소리 정보의 변화량 값을 산출하는 경우,
상기 설정된 기준 소리 값보다 이상인 경우에만 상기 소리 정보의 변화량 값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관리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n the determination information generation unit calculates a change amount value of the sound information,
Food management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calculating the change amount value of the sound information only when it is more than the set reference sound valu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숙성 패턴은 상기 압력 정보의 변화량, 상기 온도 정보의 변화량 및 상기 소리 정보의 변화량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값을 이용하여 생성된 패턴에 해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관리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reference maturation pattern corresponds to a pattern generated by using at least one value of a change amount of the pressure information, a change amount of the temperature information, and a change amount of the sound information.
제 2항에 있어서
저장된 식품에 대해 상기 유도된 숙성 패턴과 상기 기준 숙성 패턴과의 유사도를 판단하는 경우, 기계 학습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유사도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관리 장치.
The method of claim 2
When determining the similarity between the derived aging pattern and the reference aging pattern for the stored food, the similarity is determined by using a machine learning algorithm.
제 1항에 있어서
외부 디바이스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외부 디바이스로 생성된 식품의 저장 상태 정보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관리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communication unit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with an external device,
Food management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ransmitting the storage state information of the generated food to the external device.
일정 공간 내 저장된 식품을 숙성 및 관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일정 공간 내의 압력 정보, 온도 정보 및 소리 정보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압력 정보의 변화량, 상기 온도 정보의 변화량 및 상기 소리 정보의 변화량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압력 정보의 변화량, 상기 온도 정보의 변화량 및 상기 소리 정보의 변화량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값을 이용하여 상기 식품에 대한 숙성 패턴을 유도하고, 상기 숙성 패턴에 기초하여 상기 식품의 숙성 정도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식품이 숙성 완료되었다고 결정된 경우, 식품 저장 모드로 식품의 저장 상태 정보를 생성 및 관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식품의 숙성 정도를 판단하는 경우, 저장된 식품에 대해 상기 유도된 숙성 패턴과 기준 숙성 패턴과의 유사도를 판단하여 상기 식품의 숙성 정도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관리 방법.
In the method of aging and managing food stored in a certain space,
Measuring pressure information, temperature information, and sound information in the predetermined space;
Calculating a change amount of the pressure information, a change amount of the temperature information, and a change amount of the sound information;
Inducing a maturation pattern for the food by using at least one value of a change amount of the pressure information, a change amount of the temperature information, and the change amount of the sound information, and determining a degree of aging of the food based on the aging pattern ; 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food has been matured, generating and managing storage state information of the food in a food storage mode; including,
When determining the degree of aging of the food, the degree of aging of the food is determined by determining a degree of similarity between the induced aging pattern and a reference aging pattern of the stored food.
KR1020190078198A 2019-06-28 2019-06-28 Methods and apparatus for managing the ripening of food using pattern of ripening KR20210001715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8198A KR20210001715A (en) 2019-06-28 2019-06-28 Methods and apparatus for managing the ripening of food using pattern of ripen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8198A KR20210001715A (en) 2019-06-28 2019-06-28 Methods and apparatus for managing the ripening of food using pattern of ripeni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1715A true KR20210001715A (en) 2021-01-06

Family

ID=741287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8198A KR20210001715A (en) 2019-06-28 2019-06-28 Methods and apparatus for managing the ripening of food using pattern of ripen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01715A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57419A1 (en) * 2021-06-07 2022-12-15 青岛海尔电冰箱有限公司 Control method for refrigerating and freezing apparatus, and refrigerating and freezing apparatus
KR102564624B1 (en) * 2022-12-15 2023-08-08 (주)구연시스템 Method for detecting ripening degree of soy sauce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57419A1 (en) * 2021-06-07 2022-12-15 青岛海尔电冰箱有限公司 Control method for refrigerating and freezing apparatus, and refrigerating and freezing apparatus
CN115507600A (en) * 2021-06-07 2022-12-23 青岛海尔电冰箱有限公司 Control method of refrigerating and freezing device and refrigerating and freezing device
CN115507600B (en) * 2021-06-07 2024-03-19 青岛海尔电冰箱有限公司 Control method of refrigerating and freezing device and refrigerating and freezing device
KR102564624B1 (en) * 2022-12-15 2023-08-08 (주)구연시스템 Method for detecting ripening degree of soy sau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79966B2 (en) Fermentation monitoring and management
KR20210001715A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managing the ripening of food using pattern of ripening
US20150198474A1 (en) Barrel bung wireless sensor pack
KR100813648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ducing fermentation alcoholic beverage with its alcohol content controled easily
WO2021077924A1 (en) Refrigeration and freezing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refrigeration and freezing apparatus
CN105836278B (en) intelligent brewing bottle cap and method thereof
CN109904854B (en) Household circuit load decomposition method and system oriented to demand response
WO2023035811A1 (en) Method and device for regulating temperature of incubator, and incubator
Trelea et al. Dynamic optimisation of the aroma production in brewing fermentation
JP2023159076A (en) Device and method for determining operation condition of bioreactor
Hoffman Poisson-uniform nonnegative matrix factorization
CN112113317A (en) Indoor thermal environment control system and method
CN113983738B (en) Refrigerator and door opening alarm control method thereof
CN110462018A (en) Method for controlling biotechnology processes
CN111839101A (en) Display cabinet control method and device, storage medium and display cabinet
KR20070081672A (en) Kimchi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CN213119453U (en) Indoor thermal environment control system
WO2017202090A1 (en) Nitrogen generation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for refrigerator
KR20180047464A (en) Refrigerator and method for the same
KR101224650B1 (en) Method for controlling ripening of kimchi storage
CN104713201A (en) Control method for operation frequency of variable-frequency air conditioning unit
CN114052513B (en) Cooking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household appliance and storage medium
Martınez et al. A new fuzzy control system for white wine fermentation
CN111059863A (en) Food management method, device, equipment and storage equipment
David et al. Modeling of the aromatic profile in wine-making fermentation: the backbone equa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