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44294A - 센서홀더 - Google Patents

센서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44294A
KR20200144294A KR1020190072123A KR20190072123A KR20200144294A KR 20200144294 A KR20200144294 A KR 20200144294A KR 1020190072123 A KR1020190072123 A KR 1020190072123A KR 20190072123 A KR20190072123 A KR 20190072123A KR 20200144294 A KR20200144294 A KR 202001442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sensor holder
insertion hole
present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21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76694B1 (ko
Inventor
황경균
박완준
이미경
허예은
이상민
Original Assignee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0721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6694B1/ko
Publication of KR202001442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442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66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66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02Details of sensors specially adapted for in-vivo measurements
    • A61B2562/0247Pressure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12Manufacturing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producing sensors for in-vivo measur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16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Details of structural supports for senso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센서홀더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서홀더는, 본체(10); 및 센서(1)가 내부에 배치되도록 본체(10)의 일면으로부터 소정의 깊이로 함몰된 삽입홀(20);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센서홀더{SENSOR HOLDER}
본 발명은 센서홀더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소정의 디바이스에 다양한 종류의 센서를 부착하는 센서홀더 구조에 관한 것이다.
하기 선행기술문헌의 특허문헌에 개시된 바와 같이, 최근 들어 생체신호를 측정하기 위한 디바이스들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디바이스는 신체에 적용되는 패치형 디바이스, 웨어러블 디바이스, 체내삽입형 디바이스 등과 같이 다양한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또한, 바이오마커를 포함한 생체신호를 측정하기 위해서 상기 디바이스에 적용되는 다양한 센서들도 함께 개발되고 있다. 상기 생체신호 측정용 디바이스에 있어서, 센서를 적용 또는 부착하는 방식은 매우 중요하다. 왜냐하면, 센서를 적용/부착하는 센서홀더 구조에 의해서, 디바이스 주변의 환경에 안정적으로 센서가 유지 보호되고, 생체신호의 탐지에 적합하게 센서가 배열되기 때문이다. 즉, 센서홀더 구조는 센서가 최대한 그 기능을 유지하면서, 장기적이고 효과적으로 생체신호를 측정하게 하는 중요 요소가 된다. 특히, 구강 내에서 생체신호를 측정하는 디바이스의 경우에는 구강 내 습도, 온도, 마찰, 화학적, 생물학적인 변화가 일어나는 환경에서 안정적으로 센서 기능이 발휘되도록, 디바이스와 센서의 부착 형태 및 위치, 센서 보호장치, 보호재료가 중요하다.
이렇게 생체신호 측정 센서를 디바이스에 적용하는 센서홀더는 디바이스의 성능 및 수명에 매우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소임에도 불구하고, 종래 센서홀더는 디바이스가 작동하는 주변 환경이나 센서 탈부착의 용이성 내지 안정성, 센서 보호 등을 고려하지 않고 제작되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성능 및 수명이 급격히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이에 종래 센서홀더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KR 10-2018-0034045 A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본체 내부에 센서가 배치되도록 본체의 일면으로부터 소정의 깊이로 삽입홀이 형성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되, 디바이스 주변 환경에서의 센서 보호, 피탐지물질의 선택적 투과, 용이한 센서 삽입, 낮은 압력 측정이 가능하도록 구조화된 센서홀더를 제공하고자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서홀더는 본체; 및 센서가 내부에 배치되도록 상기 본체의 일면으로부터 소정의 깊이로 함몰된 삽입홀;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서홀더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일면에 형성된 상기 삽입홀의 개구부를 폐쇄하여, 내부에 배치된 상기 센서를 보호하는 보호막;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서홀더에 있어서, 상기 삽입홀의 내벽을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서홀더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일면에 형성된 상기 삽입홀의 개구부를 바라보는 상기 센서의 일면의 가장자리부를 접촉 커버하도록, 상기 삽입홀의 내벽으로부터 돌출된 돌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서홀더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개구부로부터 상기 깊이 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깊이 방향에 수직인 횡단면적이 점점 좁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서홀더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일면에 형성된 상기 삽입홀의 개구부를 커버하되, 내부에 배치된 상기 센서가 탐지할 수 있는 소정의 물질을 선택적으로 투과시키는 분리막;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서홀더에 있어서, 상기 삽입홀은, 말단에 상기 센서가 배치되는 안착부, 및 상기 본체의 일면에 형성된 개구부와 상기 안착부를 소통시키는 삽입부를 구비하고,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며, 일단이 상기 안착부에 배치된 상기 센서의 일면의 중심부에 접촉하고, 상기 삽입부의 내부에 배치되는 코어부; 및 상기 삽입부의 내벽과 상기 코어부를 연결하면서, 상기 삽입부의 내벽과 상기 코어부 사이의 간극을 폐쇄하고, 탄성을 가지는 탄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서홀더에 있어서, 상기 깊이 방향에 수직인 상기 삽입홀의 횡단면적은, 상기 안착부에 비해 상기 삽입부에서 더 작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서홀더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는, 상기 센서의 일면과 접촉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서홀더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유연하고 신축성 있는 소프트 센서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서홀더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상기 코어부에 의해 가해지는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센서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서홀더에 있어서, 상기 코어부는, 상기 본체의 소재와 동일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서홀더에 있어서, 상기 코어부는, 전기 절연성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서홀더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센서가 장착되는 디바이스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디바이스의 일부분을 이룰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생체정보 측정 디바이스 내에서 주변 환경의 영향을 최소화하여 센서를 장기간 안정적으로 보호하고, 민감하고 선택적으로 생체정보를 탐지할 수 있으며, 탈부착 센서의 탈착 및 부착이 용이하다.
이러한 센서홀더의 구조는 스마트 보청기, 스마트 인공관절, 구강 웨어러블 디바이스 등과 같은 인체 삽입형 스마트 디바이스, 또는 스마트 이어폰, 스마트 신발, 스마트 장갑 등과 같은 신체 착용 내지 부착용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채용되어 다양한 환경 및 적용 부위에서 안정적으로 센서의 기능을 발휘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센서홀더의 사시도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센서홀더에 센서가 결합된 사시도이다.
도 1c는 도 1b의 A-A' 라인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센서홀더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센서홀더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센서홀더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센서홀더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센서홀더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B-B' 라인에 따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센서홀더의 사시도이고, 도 1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센서홀더에 센서가 결합된 사시도이며, 도 1c는 도 1b의 A-A' 라인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a 내지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센서홀더는, 본체(10); 및 센서(1)가 내부에 배치되도록 본체(10)의 일면으로부터 소정의 깊이로 함몰된 삽입홀(20);을 포함한다.
생체신호 측정용 센서를 구비하는 디바이스가 안정적으로 작동하기 위해서는 디바이스 주변의 환경에 안정적으로 센서가 유지 보호되고, 생체신호의 탐지에 적합하게 센서가 배열되어야 하는바, 디바이스에의 센서의 적용 또는 부착 방식이 매우 중요하다. 특히, 구강 내에서 생체신호를 측정하는 디바이스의 경우에는 구강 내 습도, 온도, 마찰, 화학적, 생물학적인 변화가 일어나는 환경에서 안정적으로 센서 기능이 발휘되도록, 디바이스와 센서의 부착 형태 및 위치, 센서 보호장치, 보호재료가 정해져야 한다. 그러나 종래 센서 채용/부착 방식은 디바이스가 작동하는 주변 환경이나 센서 탈부착의 용이성 내지 안정성, 센서 보호 등을 고려하지 않고 제작되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성능 및 수명이 급격히 저하되는 문제가 있는바, 이에 대한 해결방안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센서홀더가 안출되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센서홀더는, 본체(10), 및 삽입홀(20)을 포함한다.
본체(10)는 내부에 센서(1)가 적용 내지 부착되는 부재이다. 이러한 본체(10)는 센서(1)가 장착되는 디바이스와 일체로 형성되어 디바이스의 일부분을 이룰 수 있다. 즉, 본체(10)가 디바이스의 일영역에 해당할 수 있다. 다만, 본체(10)가 반드시 디바이스와 일체로 형성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고, 별도로 제작되어 디바이스에 결합될 수도 있다. 본체(10)가 별도로 제작되는 경우에, 결합되는 디바이스와 동일 재료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다른 재료이어도 무방하다.
상기 디바이스는 센서(1)를 채용해 소정의 정보를 탐지 측정하는 기기로서, 상기 정보의 일례로 생체정보를 들 수 있다. 여기서, 생체정보는 생체 내의 바이오마커, 온도, 습도, pH, 압력 등을 포함하여 생체 특성과 관련된 모든 정보가 이에 해당한다. 또한, 상기 정보가 반드시 생체정보에 한정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므로, 센서(1)를 통해 측정되는 소정의 물리적, 생물학적, 화학적 특성에 관한 정보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디바이스도, 구강 내에 착용되어 타액 유래의 바이오마커, 구강 내 온도 및/또는 습도, 저작압, 구강 내 화학적 및/또는 생물학적 변화를 탐지하는 구강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일례로 들 수 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할 것은 아니다.
삽입홀(20)은 본체(10)에 형성되는 블라인드 홀(blind hole)로서, 본체(10)의 일면으로부터 소정의 깊이로 함몰되어 말단이 막힌 구멍 형태로 본체(10)에 구비된다. 삽입홀(20)은 원기둥형, 타원기둥형, 다각기둥형, 피라미드형, 역피라미드형, 또는 이들의 절두체 형태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는데, 그 형태는 센서(1)의 외형을 고려하여 정할 수 있다.
이러한 삽입홀(20)은, 내벽에 의해 둘러싸인 내부 공간과, 본체(10)의 일면에 마련되고 상기 내부 공간과 연통되는 개구부(21)를 가진다. 여기서, 내부 공간에 센서(1)가 배치되는데, 이때 센서(1)는 개구부(21)를 통해 내부 공간으로 삽입되거나, 또는 액체 형태로 내부 공간에 주입되고 이후에 경화될 수 있다.
상기 구조하에서, 내부 공간에 센서(1)가 배치되는 경우, 삽입홀(20)의 개구부(21)를 통해 센서(1)의 일면 중 일부 또는 전체가 노출될 수 있다. 여기서, 센서(1)의 일면은 상기 개구부(21)를 바라보는 센서(1)의 외면으로서, 이하에서도 동일한 의미로 사용한다. 이러한 오픈형 구조는 대상물과 직접 접촉하여 소정의 정보를 얻는 센서(1)에 적합하다.
한편, 본체(10)에는 관통홀(40)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관통홀(40)은 삽입홀(20)의 내벽을 관통하여 본체(10) 외부와 삽입홀(20)을 소통시키는 구멍으로서, 센서(1)가 삽입홀(20)에 배치될 때에 센서(1)에 연결된 도선(w)을 본체(10) 외부로 빼낼 수 있는 통로를 제공한다. 이때, 센서(1)의 도선(w)과 관통홀(40)의 내벽 사이로 체액이나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도록 그 도선(w)과 관통홀(40)이 서로 대응되도록 형성되거나, 그 사이에 존재하는 유격을 실링(sealing)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센서홀더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를 참고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센서홀더는, 보호막(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보호막(30)은 삽입홀(20)의 개구부(21)를 폐쇄하는 막 형태의 부재로서, 삽입홀(20)의 내부에 배치된 센서(1)를 커버한다. 센서(1)는 디바이스가 노출되는 환경에 영향을 받기 때문에, 보호막(30)을 통해 노이즈 또는 기능 장애를 일으킬 수 있는 불필요한 공기, 가스, 수분, 이물질, 외력 등으로부터 센서(1)를 보호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센서홀더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센서홀더는, 돌출부(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돌출부(50)는 센서(1)를 밀착 고정하기 위해 마련된 것이다. 구체적으로, 돌출부(50)는 삽입홀(20)의 내벽으로부터 내부를 향해 돌출된 돌기 형태로서, 그 외주면 중 소정의 영역이 센서(1)의 일면의 가장자리와 접촉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삽입홀(20) 내부에 배치된 센서(1)의 일면 가장자리는 돌출부(50)의 외주면에 의해 커버되면서 밀착되기 때문에, 본체(10)에 진동이나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센서(1)가 안정적으로 본체(10) 내에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돌출부(50)의 외주면은 돌출부(50)의 바깥쪽 둘레를 이루는 면이고, 센서(1)와 접촉하는 소정의 영역은 그 외주면 중 센서(1)를 바라보는 일정 영역으로서, 이하에서도 동일한 의미로 사용한다.
이러한 돌출부(50)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는데, 일례로 일체로 연결된 폐루프(closed loop) 형태로서 센서(1)를 중심으로 삽입홀(20)의 내벽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다수의 돌기가 서로 이격 배열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센서홀더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를 참고로, 제4 실시예에서, 상기 돌출부(50)는 삽입홀(20)의 개구부(21)로부터 깊이 방향으로 갈수록 횡단면적이 점점 좁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횡단면적은 상기 깊이 방향에 수직인 단면적으로서, 이에 의하면 개구부(21)에서부터 소정의 깊이로 갈수록 통로가 좁아지는 통 형태가 된다. 이때, 돌출부(50)의 외주면은 여전히 센서(1)의 일면 가장자리와 접촉한다. 또한, 삽입홀(20)의 개구부(21)는 센서(1)의 크기보다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50)의 구조하에서는, 개구부(21)를 통해 삽입홀(20)의 말단까지 센서(1)를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다. 삽입 과정에서, 돌출부(50)에 의해 센서(1)가 끼이는 영역이 존재하지만, 억지끼움 방식으로 센서(1)를 압박하여 삽입홀(20) 내에 센서(1)를 배치할 수 있다. 이러한 푸쉬형 구조는 센서(1)의 탈부착이 용이하기 때문에, 혈당을 체크하는 경우와 같이 교체가 반복적으로 요구되는 센서(1)에 적합하다. 다만, 푸쉬형 구조가 반드시 교체가 빈번히 일어나는 센서(1)에 한정되어 채용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푸쉬형 구조에서도 전술한 보호막(30)이나 후술하는 분리막(60) 등을 채용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센서홀더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센서홀더는, 분리막(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분리막(60)은 삽입홀(20)의 개구부(21)를 커버할 수 있는 막 형태로 형성되되, 내부에 배치된 센서(1)가 탐지할 수 있는 소정의 물질을 선택적으로 투과시킨다. 일례로, 분리막(60)은 멤브레인 필터(membrane filter)일 수 있다. 멤브레인 필터는 막상의 필터로 막에 균일한 미세기공을 가지므로 그 기공보다 지름이 작은 물질만을 선택적으로 투과시킬 수 있다.
이러한 분리막(60)은 pH 센서(1) 등을 사용하는 경우에 적합한데, 반드시 이에 한정할 것은 아니고 소정의 물질과 직접 접촉하여 탐지하는 센서(1)이기만 특별한 제한이 없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센서홀더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B-B' 라인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6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센서홀더는, 코어부(70), 및 탄성부(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삽입홀(20)은 말단에 센서(1)가 배치되는 영역인 안착부(23), 및 개구부(21)와 상기 안착부(23)를 소통시키는 영역인 삽입부(25)로 구분될 수 있고, 그 삽입부(25)에 코어부(70), 및 탄성부(80)가 배치된다. 즉, 코어부(70), 및 탄성부(80)는, 삽입홀(20) 내에서 센서(1)의 일면과 마주보도록 배열된다.
상기 코어부(70)는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는데, 삽입홀(20)의 깊이 방향을 따라 길게 배치되어 그 일단이 센서(1)의 중심부에 접촉한다. 여기서, 코어부(70)의 일단은 센서(1)의 일면의 면적보다 작게 형성되는데, 센서(1)와 접촉하는 코어부(70)의 일단의 접촉면은 센서(1)의 일면의 면적 대비 70% 이하가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만, 그 면적 비율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코어부(70)는 본체(10)의 소재와 동일한 소재, 및/또는 전기 절연성 소재로 이루질 수 있다.
상기 탄성부(80)는 코어부(70)의 외주면과 삽입부(25)의 내벽을 서로 연결하는 부재로서, 이에 의해 삽입부(25)의 내벽과 상기 코어부(70) 사이의 간극이 폐쇄된다. 따라서, 탄성부(80)는 코어부(70)의 주위를 둘러싸고, 안착부(23)에 배치된 센서(1)는 코어부(70) 및 탄성부(80)에 의해 차폐되어 본체(10) 외부와 단절된다.
한편, 탄성부(80)는 탄성을 가지는 소재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코어부(70)에 소정의 외력이 가해지면, 탄성부(80)에 미세한 구조적 변화가 일어나면서, 코어부(70)를 매개로 센서(1)에 압력(P)이 가해진다. 이 경우, 코어부(70)에 가해지는 외력이 코어부(70)의 일단을 통해 집중적으로 센서(1)에 가해지므로, 낮은 압력(P)도 측정이 가능하다. 반면, 상기 외력이 제거되는 때에는, 탄성부(80)가 자체의 탄성에 의해 복원되므로, 코어부(70)에 의해 가해졌던 압력(P) 제거된다. 한편, 탄성부(80)는 센서(1)의 일면과 접촉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센서(1)는 코어부(70)에 의해 가해지는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센서(1)일 수 있다. 이러한 압력센서(1)는 가해지는 압력을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압전소자로 구현될 수 있고, 이 경우 전술한 전기 절연성 소재의 코어부(70)를 사용하여 센서(1)의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만, 압력센서(1)가 반드시 압전소자로 구현되는 것은 아니고, 코어부(70)에 의해 가해지는 압력을 측정할 수 있는 센서(1)이면 특별한 제한이 없다. 또한, 센서(1)는 단단한 하드형 센서뿐만 아니라 유연하고 신축성 있는 소프트 센서(soft sensor)일 수도 있다.
한편, 깊이 방향에 수직인 삽입홀(20)의 횡단면적은 안착부(23)와 삽입부(25)에서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지만, 이와 달리 안착부(23)에서의 횡단면적보다 삽입부(25)에서의 횡단면적이 더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안착부(23)와 삽입부(25)에서의 횡단면적이 서로 다르게 형성되는 경우, 안착부(23)는 센서(1)의 외형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므로, 삽입부(25)의 횡단면적은 센서(1)의 일면의 단면적보다 작아지게 된다. 따라서, 코어부(70) 및 탄성부(80)는 센서(1)의 일면 상에서만 접촉면을 형성한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한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 센서 10: 본체
20: 삽입홀 21: 개구부
23: 안착부 25: 삽입부
30: 보호막 40: 관통홀
50: 돌출부 60: 분리막
70: 코어부 80: 탄성부

Claims (14)

  1. 본체; 및
    센서가 내부에 배치되도록 상기 본체의 일면으로부터 소정의 깊이로 함몰된 삽입홀;을 포함하는 센서홀더.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일면에 형성된 상기 삽입홀의 개구부를 폐쇄하여, 내부에 배치된 상기 센서를 보호하는 보호막;을 더 포함하는 센서홀더.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삽입홀의 내벽을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홀;을 더 포함하는 센서홀더.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일면에 형성된 상기 삽입홀의 개구부를 바라보는 상기 센서의 일면의 가장자리부를 접촉 커버하도록, 상기 삽입홀의 내벽으로부터 돌출된 돌출부;를 더 포함하는 센서홀더.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개구부로부터 상기 깊이 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깊이 방향에 수직인 횡단면적이 점점 좁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센서홀더.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일면에 형성된 상기 삽입홀의 개구부를 커버하되, 내부에 배치된 상기 센서가 탐지할 수 있는 소정의 물질을 선택적으로 투과시키는 분리막;을 더 포함하는 센서홀더.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삽입홀은, 말단에 상기 센서가 배치되는 안착부, 및 상기 본체의 일면에 형성된 개구부와 상기 안착부를 소통시키는 삽입부를 구비하고,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며, 일단이 상기 안착부에 배치된 상기 센서의 일면의 중심부에 접촉하고, 상기 삽입부의 내부에 배치되는 코어부; 및
    상기 삽입부의 내벽과 상기 코어부를 연결하면서, 상기 삽입부의 내벽과 상기 코어부 사이의 간극을 폐쇄하고, 탄성을 가지는 탄성부;를 더 포함하는 센서홀더.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깊이 방향에 수직인 상기 삽입홀의 횡단면적은, 상기 안착부에 비해 상기 삽입부에서 더 작은 센서홀더.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는, 상기 센서의 일면과 접촉하도록 형성되는 센서홀더.
  10.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유연하고 신축성 있는 소프트 센서인 센서홀더.
  11.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상기 코어부에 의해 가해지는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센서인 센서홀더.
  12.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코어부는, 상기 본체의 소재와 동일한 소재로 이루어지는 센서홀더.
  13.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코어부는, 전기 절연성 소재로 이루어지는 센서홀더.
  1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센서가 장착되는 디바이스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디바이스의 일부분을 이루는 센서홀더.
KR1020190072123A 2019-06-18 2019-06-18 센서홀더 KR1022766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2123A KR102276694B1 (ko) 2019-06-18 2019-06-18 센서홀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2123A KR102276694B1 (ko) 2019-06-18 2019-06-18 센서홀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4294A true KR20200144294A (ko) 2020-12-29
KR102276694B1 KR102276694B1 (ko) 2021-07-12

Family

ID=740900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2123A KR102276694B1 (ko) 2019-06-18 2019-06-18 센서홀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6694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2989A (ko) * 2002-09-10 2004-03-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기 압력밥솥의 홀센서 취부구조
JP2011080981A (ja) * 2009-09-11 2011-04-21 Nok Corp 圧力センサの取り付け構造
KR20110133365A (ko) * 2010-06-04 2011-12-1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수소 관리 장치 및 이를 위한 멤브레인 필터
KR20180034045A (ko) 2016-09-27 2018-04-04 박일권 요양병원의 간호사 응급호출 스마트 시스템
JP2018072106A (ja) * 2016-10-27 2018-05-10 サーパス工業株式会社 圧力検出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2989A (ko) * 2002-09-10 2004-03-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기 압력밥솥의 홀센서 취부구조
JP2011080981A (ja) * 2009-09-11 2011-04-21 Nok Corp 圧力センサの取り付け構造
KR20110133365A (ko) * 2010-06-04 2011-12-1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수소 관리 장치 및 이를 위한 멤브레인 필터
KR20180034045A (ko) 2016-09-27 2018-04-04 박일권 요양병원의 간호사 응급호출 스마트 시스템
JP2018072106A (ja) * 2016-10-27 2018-05-10 サーパス工業株式会社 圧力検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6694B1 (ko) 2021-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779201B2 (en) Device for measuring pressure comprising a membrane moulded into a cassette
US20200222004A1 (en) Biological sound sensor and biological sound diagnostic device
JP7440570B2 (ja) 生理信号モニタリング装置
JP2021090717A (ja) 生理信号モニタリング装置
EP3551984B1 (en) Pressure sensor
TW201325552A (zh) 肌能參數感測器
JP2008539811A (ja) 頭蓋内圧力を測定する埋め込み型装置
JP2013545973A (ja) 測定値を遠隔送信して体内圧力を測定するための移植物
JP6935555B2 (ja) 生理信号モニタリング装置
JP2015501664A (ja) 埋込み型圧力計測装置
WO2006096136A1 (en) A transducer
KR102587393B1 (ko) 통합 압력 및 온도 센서
WO1980002794A1 (en) Fixation ring for transcutaneous gas sensor probe
US11058310B2 (en) Pulse wave sensor unit
CN113491504A (zh) 耳塞套和包含耳塞套的可穿戴设备
CN107530008B (zh) 传感器单元
KR102276694B1 (ko) 센서홀더
JP2010261880A (ja) ガスセンサユニット
WO1998043566A9 (en) Hand-held hearing screener apparatus
EP0979061A1 (en) Hand-held hearing screener apparatus
CN212674346U (zh) 压力传感器
WO2002056766A1 (en) Device for non-destructive and non-invasive clinical impedance measurements of skin
FR3028901A1 (fr) Roulement instrumente et procede de fabrication d'un tel roulement instrumente
WO2015076413A1 (ja) 静電容量型圧力センサ
EP3855133A1 (en) Sens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