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38974A - Collecting Equipment for graphite and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Collecting Equipment for graphite and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38974A
KR20200138974A KR1020190065411A KR20190065411A KR20200138974A KR 20200138974 A KR20200138974 A KR 20200138974A KR 1020190065411 A KR1020190065411 A KR 1020190065411A KR 20190065411 A KR20190065411 A KR 20190065411A KR 20200138974 A KR20200138974 A KR 202001389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aphite
flow
dust
recovery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541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241753B1 (en
Inventor
김기완
이채신
김주국
정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900654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1753B1/en
Publication of KR202001389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897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17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175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2/00Carbon; Compounds thereof
    • C01B32/20Graphite
    • C01B32/21After-treatment
    • C01B32/215Purification; Recovery or purification of graphite formed in iron making, e.g. kish graphit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Refinement Of Pig-Iron, Manufacture Of Cast Iron, And Steel Manufacture Other Than In Revolving Furnac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raphite collecting facility and method, wherein the method includes the processes of: preparing a container in which a molten product is accommodated; removing slag formed on the top of the molten product; floating dust containing graphite generated in the process of removing the slag; forming a flow of air in a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direction in which the floating dust moves; and collecting the graphite that has moved according to the flow of the air. Graphite can be collected from steel by-products.

Description

흑연 회수 설비 및 방법{Collecting Equipment for graphite and method thereof}Graphite recovery equipment and method TECHNICAL FIELD

본 발명은 흑연 회수 설비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제철 부산물로부터 흑연을 회수할 수 있는 흑연 회수 설비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raphite recovery facility and method, and more particularly, to a graphite recovery facility and method capable of recovering graphite from iron-making by-products.

일반적으로, 고로에서 생산된 용선에는 탄소의 함유량이 많고 인(P), 황(S), 규소(Si)와 같은 불순물이 포함되어 있어 탄소의 양을 줄이고 불순물을 제거하는 정련공정이 요구된다. 이때, 정련공정을 수행하기 앞서 용선 중 황 등과 같은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한 용선예비처리공정이 수행될 수 있다. In general, since the molten iron produced in a blast furnace contains a large amount of carbon and impurities such as phosphorus (P), sulfur (S), and silicon (Si), a refining process that reduces the amount of carbon and removes impurities is required. At this time, prior to performing the refining process, a preliminary treatment for hot iron may be performed to remove impurities such as sulfur from the molten iron.

용선예비처리공정은 고로에서 출선된 용선을 용선예비처리설비로 이송하여 기계적 교반(Kanvara Reactor, 이하 "KR 공정")을 통해 실시될 수 있다. 이러한 용선예비처리공정, 예컨대 KR 공정은 혼선차에 의해 이송된 용선을 래들에 장입한 후 전배재, 기계적 교반 및 후배재를 거쳐 완료될 수 있다. 그리고 기계적 교반은 임펠러를 이용하여 용선을 교반하면서 용선에 생석회(CaO), 형석 등을 포함하는 탈황제를 투입하는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에 용선이 교반되면서 탈황제와 반응하여 용선 중 황 성분은 슬래그로 제거될 수 있다. The pre-treatment process for chartering may be carried out through mechanical stirring (Kanvara Reactor, hereinafter “KR process”) by transferring the chartered iron from the blast furnace to the pre-treatment facility. Such a preliminary treatment process for chartering, for example, the KR process, may be completed through pre-discharge, mechanical agitation, and post-discharge after charging the molten iron transferred by the cross-talk vehicle to the ladle. And mechanical stirring may be performed by a method of adding a desulfurization agent including quicklime (CaO), fluorspar, etc. to the molten iron while stirring the molten iron using an impeller. As the molten iron is stirred, it reacts with the desulfurization agent, so that the sulfur component of the molten iron can be removed as slag.

여기에서 배재공정, 즉 슬래그 제거 공정은 스키머라 불리우는 슬래그 제거장치를 이용하여 용선 상부에 형성되는 슬래그, 예컨대 고로 슬래그를 제거하는 공정이다. 슬래그 제거장치는 용선이 수용된 용기로 전진 및 후진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암과, 암의 단부에 연결되는 패들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에 슬래그 제거공정은 용선이 수용되어 있는 용기를 일측으로 기울이고, 암을 전진시켜 용선 상부에 패들을 배치시킨 후, 암을 전 및 후진시키는 동작을 수 회 반복하여 패들이 용선 상부에 떠있는 슬래그를 긁어 내어 용기 하부에 배치되는 슬래그 포트로 배출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Here, the exclusion process, that is, the slag removal process, is a process of removing slag formed on the top of the molten iron, for example, blast furnace slag using a slag removal device called a skimmer. The slag removal device includes an arm configured to be able to move forward and backward to a container in which the molten iron is accommodated, and a paddle connected to the end of the arm. Accordingly, in the slag removal process, the vessel containing the molten iron is tilted to one side, the arm is advanced to place the paddle on the top of the molten iron, and the arm is moved forward and backward several times to remove the slag floating on the top of the molten iron. It is scraped off and discharged to a slag pot disposed under the container.

그런데 슬래그 제거장치는 유압을 이용하여 작동하는데, 슬래그 제거장치에 유압을 제공하기 위한 유압 호스가 작업장의 바닥이나 유압 호스끼리 마찰을 일으켜 마모되거나 끊어지는 등 손상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유압 호스의 손상을 저감시킬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된다.However, the slag removal device is operated using hydraulic pressure, 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hydraulic hose for providing hydraulic pressure to the slag removal device causes friction between the floor of the workshop or the hydraulic hoses, thereby causing damage such as wear or break.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method capable of reducing damage to the hydraulic hose.

또한, 용선에서 제거된 슬래그는 철, 흑연 등과 같이 유용한 성분을 함유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슬래그는 그대로 폐기되고 있어, 유용한 성분을 자원화할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된다. In addition, the slag removed from the molten iron contains useful components such as iron and graphite. However, since most of the slag is discarded as it is, a method to convert useful components into resources is required.

KRKR 2018-00851022018-0085102 AA KRKR 11218521121852 BB

본 발명은 제철 부산물로부터 흑연을 회수할 수 있는 흑연 회수 설비 및 방법을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graphite recovery facility and method capable of recovering graphite from iron-making by-products.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흑연 회수 설비는, 처리물이 수용된 용기가 설치되는 하우스에 연결되고, 상기 처리물 중 적어도 일부를 부유시키도록 기류를 형성하기 위한 유동발생장치; 상기 처리물에 함유되는 흑연을 이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기류와 다른 방향으로 공기의 흐름을 형성하기 위한 유동변경장치; 및 이동된 흑연을 회수하기 위한 회수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A graphite recovery faci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low generating device connected to a house in which a container accommodating a processed material is installed, and configured to form an airflow to float at least a portion of the processed material; A flow changing device for forming a flow of air in a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air flow in order to move the graphite contained in the processed material; And a recovery device for recovering the transferred graphite.

상기 유동발생장치는 상기 기류를 상하방향으로 형성하며, 상기 유동변경장치는 상기 기류의 방향과 교차하는 수평방향으로 공기의 흐름을 형성할 수 있다.The flow generating device may form the airflow in a vertical direction, and the flow change device may form a flow of air in a horizontal direction crossing the direction of the airflow.

상기 유동발생장치는 상기 하우스의 상부에 연결되는 집진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The flow generating device may include a dust collecting device connect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house.

상기 하우스의 일측에는 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회수장치는 상기 개구 및 상기 집진장치와 이격되어 구비될 수 있다. An opening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house, and the recovery device may be provid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opening and the dust collecting device.

상기 유동변경장치는 상기 집진장치와 상기 용기 사이에 공기의 흐름을 형성하도록 상기 집진장치보다 낮고 상기 용기보다 높은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The flow changing device may be provided at a position lower than the dust collecting device and higher than the container to form a flow of air between the dust collecting device and the container.

상기 유동변경장치는 송풍기 및 흡인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flow change device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blower and an aspirator.

상기 유동변경장치는 상기 흑연을 상기 회수장치로 유도하기 위한 유도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flow change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guide member for guiding the graphite to the recovery device.

상기 흑연의 회수량을 조절하기 위해 상기 유동발생장치와 상기 유동변경장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기를 포함할 수 있다.It may include a controller capable of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flow generating device and the flow changing device to control the recovery amount of the graphite.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흑연 회수 방법은, 용융물이 수용된 용기를 마련하는 과정; 상기 용융물의 상부에 형성된 슬래그를 제거하는 과정; 상기 슬래그를 제거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흑연을 함유한 분진을 부유시키는 과정; 부유되는 분진의 이동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공기의 흐름을 형성하는 과정; 및 상기 공기의 흐름에 따라 이동한 흑연을 회수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Graphite recovery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cess of providing a container containing a melt; Removing the slag formed on the top of the melt; Floating the dust containing graphite generated in the process of removing the slag; Forming a flow of air in a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moving direction of the floating dust; And recovering the graphite that has moved according to the flow of air.

상기 분진을 부유시키는 과정은, 분진을 상부로 이동시키도록 상승 기류를 형성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다른 방향으로 공기의 흐름을 형성하는 과정은, 흑연을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수평 흐름을 형성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The process of floating the dust includes a process of forming an upward air current to move the dust upward, and the process of forming the air flow in the other direction forms a horizontal flow to move the graphite in a horizontal direction. May include the process of doing.

상기 분진을 부유시키는 과정은, 상기 분진을 집진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The process of floating the dust may include a process of collecting the dust.

상기 분진을 집진하는 과정은, 상기 흑연의 회수량을 조절하기 위해 상기 분진의 집진량을 조절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The process of collecting the dust may include a process of adjusting the amount of dust collected in order to control the amount of collected graphite.

상기 분진의 집진량을 조절하는 과정은, 집진장치의 덕트의 개도와 흡인력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조절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The process of adjusting the amount of dust collected may include a process of adjusting at least one of an opening degree and a suction force of the duct of the dust collector.

상기 수평 흐름을 형성하는 과정은, 분진 중 상대적으로 비중이 작은 흑연을 상대적으로 비중이 큰 기타 물질보다 멀리 이동시키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The process of forming the horizontal flow may include a process of moving graphite having a relatively small specific gravity among dusts farther than other materials having a relatively large specific gravity.

상기 흑연을 회수하는 과정은, 상기 기타 물질과 구분되어 상기 용기에서 이격되어 낙하된 흑연을 회수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The process of recovering the graphite may include a process of recovering the graphite separated from the other materials and separated from the container and dropped.

상기 수평 흐름을 형성하는 과정은, 공기를 송풍하는 과정과, 공기를 흡인하는 과정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용기와 상기 집진장치의 사이에 상기 수평 흐름을 형성할 수 있다.In the process of forming the horizontal flow, the horizontal flow may be formed between the container and the dust collecting device by using at least one of a process of blowing air and a process of sucking air.

상기 수평 흐름을 형성하는 과정은, 상기 기타 물질은 상기 분진을 집진하는 위치에서 낙하시키고, 상기 기타 물질보다 상대적으로 비중이 작은 상기 흑연은 상기 수평 흐름을 따라 이동시켜 상기 분진을 집진하는 위치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낙하시킬 수 있다. In the process of forming the horizontal flow, the other material is dropped from the location where the dust is collected, and the graphite, which has a relatively smaller specific gravity than the other material, moves along the horizontal flow and is separated from the location where the dust is collected. It can be dropped from the position where it is set.

상기 용융물은 용선을 포함하고, 상기 기타 물질은 생석회 및 황화칼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melt includes molten iron, and the other material may include at least one of quicklime and calcium sulfide.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제철 부산물, 예컨대 슬래그로부터 흑연을 용이하게 회수할 수 있다. 예컨대 용선예비처리 시, 슬래그를 제거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분진으로부터 흑연을 회수할 수 있다. 이때, 분진에 함유되는 흑연과 기타 물질 간의 비중 차이를 이용하여 흑연을 분리할 수 있다. 이렇게 분리된 흑연은 다양한 공정이나 장치에서 첨가제, 감마제 등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특히, 흑연은 윤활성이 좋기 때문에 슬래그 제거장치에 유압을 제공하기 위한 호스 등에 마찰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호스가 마찰로 인해 마모되거나 절단되는 것을 억제 혹은 방지하여 호스의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고, 호스를 유지 보수하는데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graphite can be easily recovered from by-products of iron making, such as slag. For example, during the pretreatment of hot iron, graphite can be recovered from dust generated in the process of removing slag. At this time, graphite may be separated by using a difference in specific gravity between graphite and other materials contained in the dust. The separated graphite can be usefully used as an additive or an anti-friction agent in various processes or devices. In particular, since graphite has good lubricity,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occurrence of friction in a hose for providing hydraulic pressure to the slag removal device. Therefore,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life of the hose by suppressing or preventing the hose from being worn or cut due to friction, and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cost required to maintain the hos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흑연 회수 설비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변형 예에 따른 흑연 회수 설비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흑연 회수 방법을 순서대로 보여주는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흑연 회수 방법으로 흑연을 회수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흑연 회수 방법으로 회수된 흑연을 마찰방지재로 사용하는 예를 보여주는 사진.
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graphite recovery faci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graphite recovery facility according to a modified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lowchart sequentially showing a graphite recovery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graphite is recovered by a graphite recovery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hotograph showing an example of using the graphite recovered by the graphite recovery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n anti-friction material.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 도면은 과장될 수 있고,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will be implemented in a variety of different forms, only the present embodiments mak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lete, and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It is provided to inform you. In order to describe the invention in detail,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the same elements in the drawings.

본 발명을 설명하기 앞서, 용선예비처리공정에 대해서 설명한다. Prior to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a preliminary treatment process for hot iron will be described.

고로에서 출선된 용선은 탄소(C), 인(P), 황(S), 규소(Si)와 같은 불순물이 다량 포함되어 있어, 후속 정련 공정의 부하를 저감시키기 위해 용선예비처리공정을 거친 후 정련공정으로 이송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불순물의 일부는 용선예비처리공정에서 용선으로부터 제거되어 슬래그로 형성될 수 있다. The molten iron discharged from the blast furnace contains a large amount of impurities such as carbon (C), phosphorus (P), sulfur (S), and silicon (Si), so after going through a pre-treatment process to reduce the load on the subsequent refining process. It can be transferred to the refining process. Some of these impurities may be removed from the molten iron in the pre-treatment process to form slag.

용선 상부에 형성되는 슬래그는 슬래그 제거공정(전배재 공정, 후배재 공정)을 통해 제거될 수 있다. 슬래그는 냉각되면서 상변태를 일으키고, 이로 인해 부피가 팽창하면서 가루로 변하는 분화(粉化) 현상을 일으킨다. 그래서 전체 슬래그 중에서 상당한 양이 미분으로 존재하며, 0.1㎜ 이하의 입자 크기를 갖는 슬래그가 슬래그 전체 중량에 대해서 약 40 내지 50중량% 정도를 차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용선 상부의 슬래그를 제거하는 공정에서 미분으로 존재하는 슬래그에 의해 다량의 분진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분진은 집진장치를 이용하여 포집되어 제거될 수 있다.The slag formed on the top of the molten iron can be removed through a slag removal process (pre-discharge process, post-discharge process). As the slag cools, it causes a phase transformation, which causes a differentiation phenomenon in which the volume expands and turns into powder. Therefore, a significant amount of the total slag exists as fine powder, and the slag having a particle size of 0.1 mm or less occupies about 40 to 50% by weight of the total weight of the slag. Accordingly, in the process of removing the slag above the molten iron, a large amount of dust is generated by the slag present as fine powder. Such dust can be collected and removed using a dust collector.

한편, 용선 중에는 약 4 내지 5중량% 정도의 탄소가 함유되어 있다. 이렇게 용선 중에 함유되어 있는 탄소 중 일부는 용선예비처리공정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용선의 온도가 저하되면 용선 중 탄소의 포화농도가 낮아져 흑연으로 정출될 수 있다. 이렇게 용선 등과 같은 용융물로부터 정출되는 흑연은 키쉬 흑연(Kish graphite), 초정 흑연(primary graphite), 편상 흑연 등으로 불리고 있다. 이하에서는 용융물로부터 정출되는 흑연을 흑연이라 한다. 흑연은 얇은 판이 적층된 층상의 결정 구조를 갖고 있어 매끄러운 특성을 갖기 때문에, 다양한 산업에서 윤활제, 감마제(마찰 방지제) 등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흑연은 슬래그 중 미분으로 존재하고, 슬래그 제거 중 분진을 일으키며 집진장치에 의해 포집되어 제거될 수 있다. Meanwhile, about 4 to 5% by weight of carbon is contained in the molten iron. In this way, some of the carbon contained in the molten iron may be crystallized into graphite as the saturation concentration of carbon in the molten iron is lowered when the temperature of the molten iron is lowered during the pretreatment process. The graphite crystallized from the molten material such as molten iron is referred to as Kish graphite, primary graphite, flake graphite, and the like. In the following, graphite crystallized from the melt is referred to as graphite. Since graphite has a layered crystal structure in which thin plates are stacked and has a smooth property, it can be used as a lubricant, anti-friction agent, etc. in various industries. Such graphite exists as fine powder in the slag, generates dust during slag removal, and can be collected and removed by a dust collector.

그런데 슬래그에 함유되는 흑연은 집진장치에 의해 포집되어 제거되기 때문에 슬래그에 함유되는 흑연을 회수할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된다. However, since the graphite contained in the slag is collected and removed by a dust collector, a method of recovering the graphite contained in the slag is required.

따라서 본 발명은 슬래그로부터 흑연을 회수할 수 있는 흑연 회수 설비 및 방법에 대해서 제안한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서는 용선예비처리 시 슬래그를 제거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분진으로부터 흑연을 회수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용선, 용강 등 다양한 종류의 용융물을 처리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슬래그 등과 같은 부산물로부터 흑연을 회수하는데 적용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graphite recovery facility and method capable of recovering graphite from slag. In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a method of recovering graphite from dust generated in a process of removing slag during pretreatment of hot iron will be describe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recover graphite from by-products such as slag generated in the process of processing various types of melts such as molten iron and molten steel.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흑연 회수 설비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변형 예에 따른 흑연 회수 설비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graphite recovery faci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graphite recovery facility according to a modified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흑연 회수 설비는, 처리물이 수용된 용기(30)가 설치되는 하우스(10)에 연결되고, 처리물 중 적어도 일부를 용기(30)의 상부로 부유시키도록 기류를 형성하기 위한 유동발생장치(100)와, 처리물에 함유되는 흑연을 이동시키기 위하여 기류와 다른 방향으로 공기의 흐름을 형성하기 위한 유동변경장치(200) 및 이동된 흑연을 회수하기 위한 회수장치(30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흑연 회수 설비는 유동발생장치(100)와 유동변경장치(2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기(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에서 처리물은 용선 및 용선 상부에 존재하는 슬래그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the graphite recovery faci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a house 10 in which a container 30 accommodating a processed product is installed, and at least part of the processed material is transferred to the top of the container 30. A flow generating device 100 for forming an airflow so as to float, a flow changing device 200 for forming a flow of air in a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airflow in order to move the graphite contained in the processed product, and recovering the moved graphite It may include a recovery device 300 for. Further, the graphite recovery facility may include a controller (not shown)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flow generating device 100 and the flow changing device 200. Here, the treated material may include molten iron and slag present on the top of the molten iron.

먼저, 하우스(10)는 용융물을 처리할 수 있는 작업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하우스(10)의 일측에는 용융물이 수용되는 용기(30)를 이동시키기 위한 통로를 형성하도록 개구(12)가 형성될 수 있다. First, the house 10 may provide a work space capable of processing the melt. At this time, an opening 12 may be formed at one side of the house 10 to form a passage for moving the container 30 in which the melt is accommodated.

하우스(10)의 내부에는 용융물, 예컨대 고로에서 제조된 용선으로부터 슬래그를 제거하기 위한 슬래그 제거장치(2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슬래그 제거장치(20)는 하우스(10) 내부에서 개구(12)와 멀리 떨어지도록, 예컨대 개구(12)의 반대방향에 구비될 수 있다. The inside of the house 10 may be provided with a slag removal device 20 for removing slag from molten material, for example, molten iron manufactured in a blast furnace. At this time, the slag removing device 20 may be provided in the house 10 so as to be far away from the opening 12, for example,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opening 12.

슬래그 제거장치(20)는 용기(30)에 수용된 용선 상부의 슬래그를 긁어내서 용기(30) 하부에 배치되는 슬래그 포트(40)로 떨어뜨려 제거할 수 있다. 슬래그 제거장치(20)는 슬래그를 긁어 내기 위한 패들(26)과, 패들(26)을 지지하는 암(24) 및 암(24)과 연결되어 암(24)을 지지하는 본체(22)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22)는 암(24)을 상하좌우로 이동시켜, 암(24)의 단부에 연결된 패들(26)이 용선 상부에 떠있는 슬래그를 긁어낼 수 있다. The slag removal device 20 may scrape off the slag on the top of the molten iron accommodated in the container 30 and drop it into the slag port 40 disposed under the container 30 to remove it. The slag removal device 20 includes a paddle 26 for scraping off the slag, an arm 24 supporting the paddle 26 and a body 22 connected to the arm 24 to support the arm 24 can do. The main body 22 moves the arm 24 up, down, left and right, so that the paddle 26 connected to the end of the arm 24 may scrape the slag floating above the molten iron.

본체(22)는 주행바퀴(미도시)와 유압을 이용하여 암(24)을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기(28)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본체(22)는 주행 레일(미도시) 상에 배치되어 전후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구동기(28)가 암(24)을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구동기(28)에는 유압을 제공하기 위한 호스(미도시)가 연결될 수 있고, 호스는 슬래그 제거장치(20) 주변 바닥에 배치될 수 있다. The main body 22 may include a driving wheel (not shown) and an actuator 28 for moving the arm 24 using hydraulic pressure. Accordingly, the main body 22 is disposed on a running rail (not shown). You can move back and forth. In addition, the actuator 28 can move the arm 24 up and down. At this time, a hose (not shown) for providing hydraulic pressure may be connected to the actuator 28, and the hose may be disposed on the floor around the slag removal device 20.

유동발생장치(100)는 용기(30)에 수용되어 있는 처리물 중 일부, 예컨대 용선 상부에 존재하는 슬래그 중 일부를 용기(30)의 상부로 부유시키도록 기류를 형성할 수 있다. 유동발생장치(100)가 다양한 방법으로 기류, 예컨대 상승 기류를 형성할 수 있다. 예컨대 용기(30)의 상부에서 공기를 흡인하여 상승 기류를 형성할 수 있고, 용기(30)의 하부에서 공기를 송풍하여 상승 기류를 형성할 수도 있다. 여기에서는 용선 상부의 슬래그를 제거할 때 발생하는 분진을 집진하는 과정에서 흑연을 회수하는 예에 대해서 설명하고 있으므로, 유동발생장치(100)는 분진을 집진하기 위해 상승 기류를 형성할 수 있는 집진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유동발생장치(100)를 집진장치(100)라 한다. The flow generating device 100 may form an airflow so as to float some of the processed material contained in the container 30, for example, some of the slag existing above the molten iron to the top of the container 30. The flow generating device 100 may form an airflow, such as an upward airflow, in various ways. For example, air may be sucked in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container 30 to form an upward airflow, and air may be blown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container 30 to form an upward airflow. Here, since an example of recovering graphite in the process of collecting dust generated when removing the slag from the upper part of the molten iron is described, the flow generator 100 is a dust collecting device capable of forming an upward air current to collect dust. It may include. Hereinafter, the flow generating device 100 is referred to as a dust collecting device 100.

하우스(10)의 내부에는 슬래그를 제거하거나 용선을 처리할 때 발생하는 분진을 집진하기 위한 집진장치(100)가 연결될 수 있다. 집진장치(100)는 용기(30)에서 발생하는 분진을 수집하기 위한 후드(110)와, 후드(110)에서 수집된 분진을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후드(110)와 연통되는 덕트(120)와, 덕트(120)의 개도를 조절하도록 덕트(120)에 연결되는 댐퍼(130) 및 덕트(120) 내부를 흡인하기 위한 제1흡인기(140)를 포함할 수 있다. A dust collecting device 100 for collecting dust generated when removing slag or processing hot iron may be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house 10. The dust collector 100 includes a hood 110 for collecting dust generated from the container 30, a duct 120 communicating with the hood 110 to discharge dust collected from the hood 110 to the outside, and , A damper 130 connected to the duct 120 to adjust the opening degree of the duct 120 and a first aspirator 140 for sucking the inside of the duct 120 may be included.

후드(110)는 슬래그 제거 또는 용선을 처리할 때 발생하는 분진을 수집할 수 있도록 용기(30)의 상부에 구비될 수 있다. 이때, 후드(110)는 용기(30)는 물론, 슬래그 처리 장치(20)와 용기(30) 사이의 공간을 커버할 수 있도록, 슬래그 제거장치(20)의 일부와 용기(30) 상부에 걸쳐 구비될 수 있다. The hood 110 may be provided on the top of the container 30 so as to collect dust generated during slag removal or molten iron processing. At this time, the hood 110 covers a part of the slag removal device 20 and the top of the container 30 so as to cover the space between the container 30 as well as the slag treatment device 20 and the container 30. It can be provided.

덕트(120)는 후드(110)에서 수집된 분진을 하우스(10)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일측은 후드(110)와 연결되고, 하우스(10) 외부에 설치되는 별도의 분진 처리 장치(미도시)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덕트(120)의 소정 위치에는 덕트(120) 내부를 흡인할 수 있도록 제1흡인기(140)가 설치될 수 있고, 덕트(120)에서 후드(110)와 제1흡인기(140) 사이에는 덕트(120)의 개방 정도, 예컨대 개도를 조절할 수 있는 댐퍼(130)가 구비될 수 있다. The duct 120 is connected to the hood 110 on one side so that the dust collected in the hood 110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house 10, and a separate dust treatment device (not shown) installed outside the house 10 ) Can be connected. In addition, a first suction machine 140 may be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duct 120 to suck the inside of the duct 120, and between the hood 110 and the first suction unit 140 in the duct 120, a duct A damper 130 capable of adjusting the degree of opening of the 120, for example, the degree of opening may be provided.

이러한 구성을 통해 집진장치(100)는 용기(30)에서 발생하는 분진을 흡인할 수 있도록, 용기(30)로부터 후드(110) 방향 또는 상하방향으로 기류를 형성할 수 있다. 즉, 집진장치(100)는 용선을 처리하는 과정이나 슬래그를 제거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분진을 부유시킬 수 있도록 상승 기류를 형성할 수 있다. Through this configuration, the dust collector 100 may form an airflow from the container 30 in the hood 110 direction or in the vertical direction so as to suck dust generated in the container 30. That is, the dust collector 100 may form an upward airflow so as to float dust generated during a process of treating molten iron or a process of removing slag.

유동변경장치(200)는 집진장치(100)에 의한 상승 기류를 타고 후드(110)로 이동하는 분진으로부터 흑연을 이동시키기 위하여 상승 기류와 다른 방향으로 공기의 흐름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승 기류와 다른 방향이란, 상승 기류와 교차하는 방향 또는 수평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유동변경장치(200)는 분진이 하우스(10)의 개구(12)를 통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억제 혹은 방지하기 위해서 개구(12)가 형성된 방향과는 다른 방향, 예컨대 개구(12)의 반대 방향 또는 개구(12)에서 멀리 떨어진 방향으로 수평 흐름을 형성할 수 있다. 회수된 흑연은 슬래그 제거장치(20)에 유압을 제공하는 호스의 감마제로 사용할 수도 있다. 따라서 흑연을 회수하기 위한 목표 위치 또는 목표 장소로 슬래그 처리장치(20)가 설치된 위치가 되도록 유동변경장치(200)를 이용하여 수평 흐름을 형성할 수 있다. The flow change device 200 may form a flow of air in a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rising air flow in order to move graphite from dust moving to the hood 110 by riding the rising air current by the dust collector 100. In this case, the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rising airflow may mean a direction crossing the rising airflow or a horizontal direction. In addition, the flow change device 200 is in a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direction in which the opening 12 is formed, for example, in order to prevent or prevent dust from flowing out through the opening 12 of the house 10 to the outside. It is possible to form a horizontal flow in the opposite direction or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opening 12. The recovered graphite may be used as an anti-friction agent for a hose that provides hydraulic pressure to the slag removal device 20. Accordingly, a horizontal flow can be formed by using the flow changing device 200 so that the slag processing device 20 is installed at a target location for recovering graphite or a target location.

이와 같이 유동변경장치(200)를 이용하여 하우스(10) 내부에 공기의 흐름, 예컨대 수평 흐름을 형성하면, 분진에 함유되는 흑연이 수평 흐름을 따라 이동하여 목표로 하는 장소 또는 공간에서 회수될 수 있다. 이때, 유동변경장치(200)는 상승 기류가 형성되는 용기(30)와 후드(110) 사이 공간에 수평 흐름을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용기(30)와 후드(110) 사이에 수평 흐름을 형성하면, 집진장치(100)에 의해 발생한 상승 기류를 타고 용기(110)의 상부로 상승 또는 부유하는 분진에 함유된 흑연을 수평 흐름을 따라 이동시켜 목표 장소, 즉 회수장치(300)에서 회수할 수 있다. 분진은 흑연 이외에도 생석회(CaO), 황화칼슘(CaS) 등과 같은 기타 물질을 함유할 수 있는데, 흑연은 약 1.9 내지 2.3 정도의 비중을 가질 수 있고, 기타 물질인 생석회(CaO), 황화칼슘(CaS) 은 약 3.0 내지 3.3 정도의 비중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은 슬래그, 예컨대 슬래그 분진으로부터 흑연을 회수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기 때문에 분진에 함유된 흑연 이외의 성분은 기타 물질이라 정의한다. 이와 같이 흑연과 기타 물질의 비중 차이를 이용하여, 분진 중 상대적으로 비중이 작은 흑연은 수평 흐름을 따라 집진 위치에서 멀리 이동하여 낙하하게 되고, 상대적으로 비중이 큰 기타 물질은 집진 위치 또는 집진 위치 주변에 낙하하게 된다. 이에 분진에 함유된 흑연을 원하는 장소, 즉 회수장치(300)로 이동시켜 회수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해서는 나중에 다시 설명한다.In this way, when the flow of air, for example, a horizontal flow is formed in the house 10 by using the flow change device 200, the graphite contained in the dust moves along the horizontal flow and can be recovered in a target place or space. have. At this time, the flow change device 200 may form a horizontal flow in the space between the container 30 and the hood 110 in which an upward airflow is formed. When a horizontal flow is formed between the container 30 and the hood 110 in this way, the graphite contained in the dust rising or floating above the container 110 by riding the rising airflow generated by the dust collector 100 is horizontally flowed. By moving along the target place, that is, it can be recovered in the recovery device 300. In addition to graphite, dust may contain other substances such as quicklime (CaO), calcium sulfide (CaS), etc., and graphite may have a specific gravity of about 1.9 to 2.3, and other substances such as quicklime (CaO) and calcium sulfide (CaS). ) May have a specific gravity of about 3.0 to 3.3. Since 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recover graphite from slag, such as slag dust, components other than graphite contained in the dust are defined as other substances. By using the difference in specific gravity between graphite and other materials as described above, graphite with a relatively small specific gravity among dust moves away from the dust collection location and falls along a horizontal flow, and other materials with a relatively large specific gravity fall at the location or around the dust collection location. Will fall on. Accordingly, the graphite contained in the dust can be recovered by moving it to a desired location, that is, the recovery device 300.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유동변경장치(200)는 제1송풍기(200a)와 제2흡인기(200b)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유동변경장치(200)로 제1송풍기(200a)를 사용한 예를 보여주고 있고, 도 2는 유동변경장치(200)로 제2흡인기(200b)를 사용한 예를 보여주고 있다. 도 1과 도 2는 유동변경장치(200)로 제1송풍기(200a) 또는 제2흡인기(200b)를 사용한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제1송풍기(200a)와 제2흡인기(200b)를 동시에 사용할 수도 있다. The flow change device 20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first blower 200a and a second suction device 200b. FIG. 1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first blower 200a is used as the flow change device 200, and FIG. 2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second suction device 200b is used as the flow change device 200. 1 and 2 illustrate that the first blower 200a or the second suction unit 200b is used as the flow change device 200, the first blower 200a and the second suction unit 200b may be used at the same time. have.

유동변경장치(200)로 제1송풍기(200a)를 사용하는 경우, 제1송풍기(200a)는 하우스(10) 내부에서 개구(12)에 인접하도록 구설치될 수 있다. 이때, 제1송풍기(200a)는 후드(110)와 용기(30) 사이에 공기의 흐름, 즉 수평 흐름을 형성할 수 있는 위치에 구설치될 수 있다. 예컨대 제1송풍기(200a)는 슬래그 제거장치(20) 쪽으로 공기의 흐름을 형성할 수 있도록 개구(12) 주변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집진장치(100)를 이용하여 용기(30) 상부로 부유시킨 분진으로부터 흑연을 이동시킬 수 있도록, 제1송풍기(200a)는 후드(110)보다 낮고 용기(30)의 상부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When the first blower 200a is used as the flow change device 200, the first blower 200a may be previously installed so as to be adjacent to the opening 12 in the house 10. At this time, the first blower 200a may be installed at a position capable of forming a flow of air, that is, a horizontal flow between the hood 110 and the container 30. For example, the first blower 200a may be installed around the opening 12 to form a flow of air toward the slag removing device 20. In addition, the first blower 200a is located lower than the hood 110 and higher than the upper portion of the container 30 so that graphite can be moved from the dust suspended above the container 30 by using the dust collector 100. Can be installed.

반면, 유동변경장치(200)로 제2흡인기(200b)를 적용하는 경우, 제2흡인기(200b)는 흑연을 회수하기 위한 회수장치(300)가 구비되는 방향에 설치될 수 있다. 예컨대, 제2흡인기(200b)는 하우스(10) 내부를 흡인할 수 있도록 개구(12)와 마주보고 있는 하우스(10)의 벽체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제2흡인기(200b)는 후드(110)와 용기(30) 사이에 공기의 흐름, 즉 수평 흐름을 형성할 수 있도록, 후드(110)보다 낮고 용기(30)의 상부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분진에 함유되는 흑연이 제2흡인기(200b)에 의해 형성되는 공기의 흐름을 따라 이동하기 때문에 목표로 하는 장소나 공간에 쌓이지 않고 흑연은 제2흡인기(200b) 주변에서 비산되거나 제2흡인기(200b)에 부착될 수 있다. 이에 유동변경장치(200)는 회수장치(300)로 흑연의 낙하를 유도할 수 있는 유도부재(200c)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유도부재(200c)는 제2흡인기(200b)에 의한 수평 흐름을 타고 이동한 흑연을 하강시킬 수 있도록 하강 기류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유도부재(200c)는 제3흡인기와 제2송풍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second suction device 200b is applied as the flow change device 200, the second suction device 200b may be install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recovery device 300 for recovering graphite is provided. For example, the second suction device 200b may be installed on the wall of the house 10 facing the opening 12 so as to suck the inside of the house 10. At this time, the second aspirator 200b is installed at a position lower than the hood 110 and higher than the upper portion of the container 30 so as to form a horizontal flow of air between the hood 110 and the container 30 Can be. In this case, since the graphite contained in the dust moves along the flow of air formed by the second suction unit 200b, it does not accumulate in the target place or space, and the graphite is scattered around the second suction unit 200b or the second It may be attached to the aspirator 200b. Accordingly, the flow change device 200 may additionally include an induction member 200c capable of inducing the fall of the graphite to the recovery device 300. The induction member 200c may form a descending airflow so as to descend the graphite that has moved through the horizontal flow by the second suction device 200b. In this case, the induction member 200c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third suction unit and a second blower.

제어기는 흑연의 회수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집진장치(100)와 유동변경장치(2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즉, 흑연은 용기(30)와 후드(110) 사이의 분진으로부터 회수되기 때문에 흑연의 회수량은 분진의 양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따라서 집진장치(100)로 집진되는 분진의 양이 많아지면, 회수되는 흑연의 양이 감소하고, 집진장치(100)로 집진되는 분진의 양이 감소하면, 회수되는 흑연의 양은 증가하게 된다. 이에 제어기는 흑연의 회수량을 조절하기 위해서 집진장치(100)로 집진되는 분진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집진장치(100)에서 집진되는 분진의 양은 덕트(120)의 개도와, 제1흡인기(140)에 의한 흡인력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제어기는 집진장치(100)의 개도 및 흡인력을 조절하도록 덕트(120)의 개도를 조절하기 위한 댐퍼(130)와, 흡인력을 조절하기 위한 제1흡인기(14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제어기는 슬래그 제거 시 흑연을 효과적으로 회수하기 위해 흑연의 이동 방향 및 속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유동변경장치(200)의 동작을 제어할 수도 있다. The controller ma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dust collecting device 100 and the flow change device 200 so as to adjust the amount of graphite recovered. That is, since graphite is recovered from the dust between the container 30 and the hood 110, the amount of graphite recovered may be determined by the amount of dust. Accordingly, when the amount of dust collected by the dust collecting device 100 increases, the amount of graphite collected is reduced, and when the amount of dust collected by the dust collecting device 100 decreases, the amount of graphite recovered increases. Accordingly, the controller may adjust the amount of dust collected by the dust collector 100 in order to control the amount of graphite recovered. The amount of dust collected by the dust collecting device 100 may vary depending on the opening degree of the duct 120 and the suction force by the first aspirator 140. Accordingly, the controller ma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damper 130 for adjusting the opening degree of the duct 120 to adjust the opening degree and the suction force of the dust collector 100 and the first suction machine 140 for adjusting the suction force. In addition, the controller ma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flow changing device 200 so as to adjust the moving direction and speed of graphite in order to effectively recover the graphite when removing the slag.

흑연을 집진장치(100)로부터 이격된 목표 위치 또는 목표 장소로 이동시켜 회수하기 때문에 회수장치(300)는 집진장치(100) 또는 분진이 집진되는 위치로부터 이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회수장치(300)는 부유시켰던 분진 중 기타 물질이 낙하하는 위치로부터 멀리 이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때, 회수장치(300)는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하우스(10) 내부의 바닥일 수도 있고,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흑연을 수집할 수 있는 별도의 저장기(300a)를 포함할 수도 있다.Since graphite is recovered by moving to a target location or a target location spaced apart from the dust collecting device 100, the recovery device 300 may be provid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dust collecting device 100 or a location where dust is collected. That is, the recovery device 300 may be provided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a position where other substances among the suspended dust fall. In this case, the recovery device 300 may be a floor inside the house 10 as shown in FIG. 1, or may include a separate storage device 300a capable of collecting graphite as shown in FIG. 2.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흑연 회수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Hereinafter, a graphite recovery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흑연 회수 방법을 순서대로 보여주는 순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흑연 회수 방법으로 흑연을 회수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흑연 회수 방법으로 흑연을 회수한 상태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FIG. 3 is a flow chart sequentially showing a graphite recovery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view showing a state of recovering graphite by a graphite recovery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This is a photograph showing a state in which graphite was recovered by the graphite recovery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흑연 회수 방법은, 용융물이 수용된 용기(30)를 마련하는 과정과, 용융물의 상부에 형성된 슬래그를 제거하는 과정과, 슬래그를 제거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흑연을 함유한 분진을 부유시키는 과정과, 부유되는 분진의 이동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공기의 흐름을 형성하는 과정 및 공기의 흐름에 따라 이동한 흑연을 회수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는 고로에서 제조된 용선을 용선예비처리하는 과정에서 흑연을 회수하는 방법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따라서 용융물은 용선을 포함할 수 있고, 슬래그를 제거하는 과정은 용선을 용선예비처리공정이 이루어지는 장소로 이송한 직후 실시되는 전배재 공정과, 용선을 탈황처리한 이후 실시되는 후배재공정을 포함할 수 있다. The graphite recovery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process of preparing the container 30 in which the melt is accommodated, the process of removing the slag formed on the upper part of the melt, and the dust containing graphite generated in the process of removing the slag. It may include a process of floating, a process of forming a flow of air in a direction different from a movement direction of the floating dust, and a process of recovering the graphite that has moved according to the flow of air. Here, a method of recovering graphite in the process of pretreating the molten iron produced in the blast furnace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Therefore, the molten material may contain molten iron, and the process of removing the slag includes a pre-discharge process performed immediately after transferring the molten iron to a place where the pre-treatment process for hot-water heating and a post-distribution process performed after the desulfurization treatment of the hot water. I can.

먼저, 고로에서 제조된 용선을 래들 등과 같은 용기(30)에 수선한 다음, 용기(30)를 용선예비처리공정이 이루어지는 하우스(10) 내부에 인입시켜 집진장치(100)의 하부에 마련할 수 있다(S110). 이때, 하우스(10)의 일측에는 용기(30)를 인입 또는 인출시킬 수 있는 개구(12)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하우스(10) 내부에는 슬래그를 제거하기 위한 슬래그 제거장치(20)와, 용선 상부에서 제거되는 슬래그를 담기 위한 슬래그 포트(40)가 배치되어 있을 수 있다. First, the molten iron manufactured in the blast furnace is repaired in a container 30 such as a ladle, and then the container 30 is inserted into the house 10 in which the preliminary treatment process is performed, so that it can be provided under the dust collector 100. Yes (S110). In this case, an opening 12 through which the container 30 can be inserted or withdrawn may be formed at one side of the house 10. In addition, a slag removal device 20 for removing slag and a slag port 40 for containing the slag removed from the top of the molten iron may be disposed inside the house 10.

그리고 하우스(10) 내부에 설치된 집진장치(100)를 가동시켜 상승 기류를 형성할 수 있다(S120). 이때, 집진장치(100)는 상시 가동되고 있을 수도 있고, 용기(30)를 하우스(10) 내부에 인입하기 전 가동시킬 수도 있으며, 슬래그 제거를 시작하기 이전 또는 슬래그를 제거한 직후에 가동시킬 수도 있다. And by operating the dust collecting device 100 installed inside the house 10 it is possible to form a rising air flow (S120). At this time, the dust collector 100 may be operated at all times, the container 30 may be operated before being inserted into the house 10, or may be operated before starting slag removal or immediately after removing the slag. .

또한, 유동변경장치(200)를 가동시켜 집진장치(100)와 용기(30) 사이의 공간에 수평 흐름을 형성할 수 있다(S130). 이때, 수평 흐름은 흑연을 회수하기 위한 회수장치(300) 즉, 흑연을 이동시키기 위한 목표 장소 또는 목표 위치를 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유동변경장치(200)는 집진장치(100)를 가동하기 이전에 가동할 수도 있고, 집진장치(100)와 동시에 가동할 수도 있고, 집진장치(100)를 가동한 이후에 가동할 수도 있다. 또한, 슬래그를 제거한 직후, 또는 슬래그를 제거하는 동안 연속적 또는 단속적으로 가동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form a horizontal flow in the space between the dust collector 100 and the container 30 by operating the flow change device 200 (S130). In this case, the horizontal flow may be formed toward the recovery device 300 for recovering graphite, that is, a target location or a target location for moving graphite. The flow changing device 200 may be operated before the dust collecting device 100 is operated, may be operated simultaneously with the dust collecting device 100, or may be operated after the dust collecting device 100 is operated. Further, it may be operated continuously or intermittently immediately after slag removal or during slag removal.

이후, 용기(30)를 슬래그 제거장치(20) 측으로 경동시키고 슬래그 제거장치(100)를 이용하여 슬래그를 제거, 예컨대 전배재공정을 실시할 수 있다(S140). 그리고 집진장치(100)를 이용하여 슬래그를 제거하는 동안 발생하는 분진을 집진하고, 분진으로부터 흑연을 회수할 수 있다(S150). 여기에서 집진장치(100)를 가동하는 과정, 유동변경장치(200)를 가동하는 과정 및 슬래그를 제거하는 과정이 순서대로 수행되는 것으로 설명하지만, 그 순서는 정해져 있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Thereafter, the container 30 may be tilted toward the slag removing device 20 and slag may be removed using the slag removing device 100, for example, a pre-discharge process may be performed (S140). In addition, dust generated during slag removal may be collected using the dust collecting device 100 and graphite may be recovered from the dust (S150). Here, the process of operating the dust collector 100, the process of operating the flow change device 200, and the process of removing slag are described as being performed in order, but the order is not determined and can be changed in various ways.

슬래그를 제거할 때 발생하는 분진으로부터 회수되는 흑연의 양을 조절하기 위해서는 집진되는 분진의 양을 조절할 필요가 있다. 즉, 회수하고자 하는 흑연의 양에 따라 집진장치(100)의 댐퍼(130)와 제1흡인기(14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어하여 덕트(120)의 개도와 제1흡인기(140)에 의한 흡인력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조절할 수 있다. 예컨대 흑연의 회수량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집진장치(100)를 통해 배출되는 분진의 양을 감소시켜 후드(110)와 용기(30) 사이에 분진의 양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에 댐퍼(130)를 이용하여 덕트(120)의 개도를 덕트(120)의 최대 개도보다 작게 조절하거나, 제1흡인기(140)의 출력을 감소시켜 집진장치(100)의 흡인력을 집진장치(100)의 최대 흡인력보다 작게 조절할 수 있다. 또는, 덕트(120)의 개도와 집진장치(100)의 흡인력을 동시에 감소시킬 수도 있다. 이때, 덕트(120)의 개도는 덕트(120)의 최대 개도의 약 50% 이상, 또는 50 내지 70% 정도가 되도록 조절할 수 있고, 집진장치(100)의 흡인력은 최대 흡인력의 70 내지 80% 정도가 되도록 조절할 수 있다. 덕트(120)의 개도를 조절하면, 후드(110)에서 수집된 분진이 덕트(120)로 유입되면서, 댐퍼(130)에 충돌하여 일부는 덕트(12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고, 일부는 댐퍼(130)나 댐퍼(130) 주변의 덕트(120)에 충돌하여 외부로 배출되지 않는다. 그리고 집진장치(100)의 흡인력을 감소시키면, 1㎜ 이하의 입자 크기를 갖는 미세한 분진 대부분은 집진장치(100)의 흡인력에 의해 집진될 수 있으나, 상대적으로 입자 크기가 큰 1㎜를 초과하는 분진은 자체 하중에 의해 집진장치(100)로 집진되지 못하고 후드(110)와 용기(30) 사이의 공간에서 여러 방향으로 비산되면서 낙하할 수 있다. 이때, 입자 크기가 1㎜ 이하인 미세한 분진과, 입자 크기가 1㎜를 초과하는 분진은 각각 흑연과 기타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집진장치(100)로 집진되지 못하고 후드(110)와 용기(30) 사이의 공간에서 여러 방향으로 비산되면서 낙하하는 분진으로부터 흑연을 회수할 수 있다. 이때, 분진은 입자 크기가 1㎜ 초과 5㎜ 이하의 입자 크기를 가질 수 있다. In order to control the amount of graphite recovered from dust generated when slag is removed, it is necessary to control the amount of dust collected. That is, by controlling at least one of the damper 130 and the first suction device 140 of the dust collector 100 according to the amount of graphite to be recovered, the opening degree of the duct 120 and the suction force by the first suction device 140 At least one of them can be adjusted. For example, in order to increase the recovery amount of graphite, the amount of dust discharged through the dust collector 100 may be reduced to increase the amount of dust between the hood 110 and the container 30. Accordingly, the opening of the duct 120 is adjusted to be smaller than the maximum opening of the duct 120 using the damper 130, or the output of the first aspirator 140 is reduced to reduce the suction force of the dust collecting device 100. It can be adjusted less than the maximum suction force of ). Alternatively, the opening of the duct 120 and the suction force of the dust collecting device 100 may be simultaneously reduced. At this time, the opening degree of the duct 120 can be adjusted to be about 50% or more, or about 50 to 70% of the maximum opening degree of the duct 120, and the suction force of the dust collector 100 is about 70 to 80% of the maximum suction force. Can be adjusted to be. When the opening degree of the duct 120 is adjusted, dust collected from the hood 110 is introduced into the duct 120, colliding with the damper 130, and some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duct 120, and some It is not discharged to the outside by colliding with 130 or the duct 120 around the damper 130. And if the suction force of the dust collector 100 is reduced, most of the fine dust having a particle size of 1 mm or less can be collected by the suction force of the dust collector 100, but dust having a relatively large particle size exceeding 1 mm The silver cannot be collected by the dust collector 100 due to its own load, and may fall while scattering in various directions in the space between the hood 110 and the container 30. In this case, fine dust having a particle size of 1 mm or less and dust having a particle size exceeding 1 mm may each include graphite and other materials. In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graphite may be recovered from dust falling while scattering in various directions in the space between the hood 110 and the container 30 without being collected by the dust collector 100. In this case, the dust may have a particle size of more than 1 mm and 5 mm or less.

한편, 슬래그를 제거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분진은 집진장치(100)에 의해 형성되는 상승 기류를 타고 용기(30) 상부로 부유될 수 있다. 이렇게 용기(30) 상부로 부유된 분진에 함유되는 흑연은 유동변경장치(200)에 의해 형성된 수평 흐름을 따라 회수장치(300)로 이동하게 된다. 수평 흐름은 분진이 집진되는 위치에서 멀리 이격된 회수장치(300)를 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회수장치(300)는 슬래그 제거장치(20)가 설치된 장소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회수장치(300)는 슬래그 제거장치(20)의 구동기(28)에 유압을 제공하기 위한 호스가 배치되는 영역 또는 장소를 포함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dust generated in the process of removing the slag may float above the container 30 by riding the rising airflow formed by the dust collecting device 100. The graphite contained in the dust floating above the container 30 is moved to the recovery device 300 along the horizontal flow formed by the flow change device 200. The horizontal flow may be formed toward the recovery device 300 spaced apart from the location where dust is collected. At this time, the recovery device 300 may include a place where the slag removal device 20 is installed. More specifically, the recovery device 300 may include an area or place in which a hose for providing hydraulic pressure to the actuator 28 of the slag removal device 20 is disposed.

한편, 고로에서 제조된 용선은 탈황제 등이 투입되지 않은 상태이다. 따라서 슬래그를 제거하는 전배재 과정에서 발생하는 분진은 용선의 온도 저하되면서 용선 중에 함유되어 있던 카본이 정출되서 형성되는 흑연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따라서 용기(30)와 후드(110) 사이에 수평 방향으로 공기의 흐름을 형성하면, 분진 중에 함유되는 흑연이 부유하면서 공기가 흐르는 방향, 즉 목표 장소인 회수장치(300)로 이동하여 낙하하면서 쌓이게 된다. 이때, 흑연은 비중이 작고, 얇은 판이 적층된 층상 형태로 형성되기 때문에 공기에 저항을 받아 부유하면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molten iron manufactured in the blast furnace is in a state in which a desulfurization agent is not added. Therefore, most of the dust generated during the pre-exclusion process to remove slag is formed by crystallization of carbon contained in the molten iron as the temperature of the molten iron is lowered. Therefore, when the flow of air is form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between the container 30 and the hood 110, the graphite contained in the dust is floating and the air flows in the direction, that is, it moves to the recovery device 300, which is a target place, and accumulates while falling. do. At this time, since graphite has a small specific gravity and is formed in a layered form in which thin plates are stacked, it is resistant to air and can move easily while floating.

슬래그 제거 공정이 완료되면, 용선의 탈황 처리 여부를 확인(S160)하고, 탈황 처리가 필요하지 않으면 흑연 회수 공정을 완료한 후, 용선을 다음 공정으로 이송할 수 있다. When the slag removal process is completed, it is checked whether the molten iron is desulfurized (S160), and if the desulfurization treatment is not required, after the graphite recovery process is completed, the molten iron can be transferred to the next process.

반면, 용선의 탈황 처리가 필요한 경우, 유동변경장치(200)의 가동을 중단(S170)시키고, 용기(30)를 직립시킬 수 있다. 그리고 용선에 탈황제를 투입하고 교반하면서 탈황 처리를 실시할 수 있다(S180). 이렇게 용선을 탈황 처리하는 동안 흑연을 회수할 수 없기 때문에 집진장치(100)는 슬래그를 제거할 때보다 개도 및 흡인력을 증가시켜 용선을 처리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분진을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desulfurization treatment of the molten iron is required, the operation of the flow change device 200 is stopped (S170), and the container 30 may be erected. In addition, a desulfurization treatment may be performed while adding a desulfurization agent to the molten iron and stirring (S180). Since graphite cannot be recovered during the desulfurization treatment of the molten iron, the dust collector 100 can discharge dust generated in the process of treating the molten iron to the outside by increasing the opening degree and suction power than when removing the slag.

이와 같이 용선의 탈황 처리를 실시하면, 용선 중 황성분과 탈황제가 반응하여 슬래그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용선의 탈황 처리가 완료되면, 탈황 처리 과정에서 발생한 슬래그를 제거하는 공정, 예컨대 후배재공정을 실시할 수 있다(S140). 후배재공정을 실시하기 앞서, 유동변경장치(200)를 가동하여 용기(30)와 후드(110) 사이에 수평 흐름을 다시 형성하고(S130), 집진장치(100)의 개도 및 흡인력을 다시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집진장치(100)의 개도 및 흡인력은 앞서 설명한 조건과 유사하게 조절될 수 있다. When the desulfurization treatment of the molten iron is performed as described above, the sulfur component and the desulfurization agent in the molten iron may react, thereby generating slag. Therefore, when the desulfurization treatment of the molten iron is completed, a step of removing slag generated in the desulfurization treatment process, for example, a post-exclusion process may be performed (S140). Before performing the post-discharge process, the flow change device 200 is operated to re-form the horizontal flow between the container 30 and the hood 110 (S130), and the opening degree and the suction force of the dust collecting device 100 are adjusted again. I can. In this case, the opening degree and the suction force of the dust collecting device 100 may be adjusted similarly to the conditions described above.

그리고 슬래그를 제거하면서 발생하는 분진을 집진하고, 분진으로부터 흑연을 회수할 수 있다(S150).In addition, dust generated while removing the slag may be collected, and graphite may be recovered from the dust (S150).

전배재공정에서는 용선에 탈황제 등과 같은 첨가제가 투입되지 않은 상태이기 때문에 슬래그 제거 시 발생하는 분진의 대부분을 흑연이 차지하고 있다. 그러나 후배재공정에는 용선 중 황 성분을 제거하기 위해 탈황제가 투입되었기 때문에, 후배재공정 시 발생하는 분진은 흑연과, 생석회(CaO), 황화칼슘(CaS) 등의 기타 물질을 다량 포함할 수 있다. 기타 물질인 생석회와 황화칼슘은 용선의 탈황 공정에서 탈황제로 투입된 생석회로부터 기인한 것으로, 용선 중 황성분과 반응하지 못한 생석회는 슬래그 중에 생석회로 존재하고, 용선 중 황성분과 반응한 생석회는 슬래그 중에 황화칼슘으로 존재할 수 있다. 흑연은 1.9 내지 2.3 정도의 비중을 갖고, 생석회와 황화칼슘은 3.0 내지 3.3 정도의 비중을 갖고 있다. 따라서 흑연과 생석회 및 황화칼슘의 비중 차이를 이용하여 분진으로부터 흑연을 이동시켜 목표 장소인 회수장치(300)에서 회수할 수 있다. In the pre-exclusion process, since additives such as desulfurization agents are not added to the molten iron, graphite occupies most of the dust generated during slag removal. However, since a desulfurization agent was added to the post-exhaust process to remove the sulfur component in the molten iron, the dust generated during the post-exhaust process may contain a large amount of other substances such as graphite, quicklime (CaO), and calcium sulfide (CaS). . Other substances, such as quicklime and calcium sulfide, are derived from quicklime that was added as a desulfurization agent in the desulfurization process of molten iron, and the quicklime that did not react with the sulfur component in the molten iron exists as quicklime in the slag, and the quicklime that reacted with the sulfur component in the molten iron is calcium sulfide in the slag. Can exist as Graphite has a specific gravity of about 1.9 to 2.3, and quicklime and calcium sulfide have a specific gravity of about 3.0 to 3.3. Accordingly, graphite can be moved from dust by using the difference in specific gravity between graphite, quicklime, and calcium sulfide, and recovered in the recovery device 300, which is a target place.

즉, 용기(30)와 후드(110) 사이에 수평 흐름이 형성되면,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비중이 상대적으로 작은 흑연은 수평 흐름을 따라 멀리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흑연보다 상대적으로 비중이 큰 기타 물질은 집진 위치에서 그대로 낙하하게 된다. 흑연은 비중이 작고, 얇은 판이 적층된 층상 형태로 형성되서 공기에 저항을 받기 쉽기 때문에 수평 흐름을 타고 부유하면서 멀리 이동할 수 있다. 반면, 기타 물질은 흑연보다 상대적으로 비중이 크고, 대체로 구형 또는 블록 형상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공기에 저항을 거의 받지 않고 집진 위치에서 그대로 낙하하게 된다. 이때, 분진에 함유되는 기타 물질 중 일부는 수평 흐름을 타고 흑연과 함께 이동할 수 있다. 그러나 비중이 상대적으로 작은 흑연은 수평 흐름을 타고 회수장치(300)까지 이동할 수 있지만, 기타 물질은 흑연보다 비중이 크기 때문에 이동 거리가 짧아 회수장치(300)까지 이동하지 못하고 집진 위치 주변에서 낙하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흑연을 분진에 함유되는 기타 물질과 분리하여 원하는 위치에서 회수할 수 있다. That is, when a horizontal flow is formed between the container 30 and the hood 110, graphite having a relatively small specific gravity moves away along the horizontal flow, as shown in FIG. 4. In addition, other materials that have a higher specific gravity than graphite fall as it is from the dust collection location. Graphite has a small specific gravity and is formed in a layered form in which thin plates are stacked, so it is easily resistant to air, so it can float and move farther along a horizontal flow. On the other hand, other materials have a relatively higher specific gravity than graphite, and are generally formed in a spherical or block shape, so that they are not affected by air and fall from the dust collecting position as they are. At this time, some of the other substances contained in the dust may move along with the graphite in a horizontal flow. However, graphite, which has a relatively small specific gravity, can move to the recovery device 300 through a horizontal flow, but other materials have a larger specific gravity than graphite, so the movement distance is short and cannot move to the recovery device 300 and may fall around the dust collection location. I can. Through this, graphite can be separated from other substances contained in dust and recovered at a desired location.

이와 같이 용기(30)와 후드(110) 사이에 수평 흐름을 형성하면, 분진에 함유되는 흑연은 수평 흐름을 타고 대기 중에 부유하면서 목표 장소인 회수장치(300)가 설치된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회수장치(300)에 다다른 흑연은 천천히 낙하하여 회수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흑연 회수 방법으로 흑연을 회수한 상태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여기에서는 슬래그 제거장치의 구동기(28)에 유압을 제공하기 위한 호스가 배치된 장소에서 흑연을 회수하고, 흑연을 호스의 마찰방지제, 즉 감마제로 사용하고 있는 예를 보여주고 있다. When a horizontal flow is formed between the container 30 and the hood 110 in this way, the graphite contained in the dust floats in the atmosphere while riding the horizontal flow and moves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recovery device 300, which is a target place, is installed. The graphite that has reached the device 300 may slowly drop and be recovered. 5 is a photograph showing a state in which graphite is recovered by a graphite recovery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 graphite is recovered at a place where a hose for providing hydraulic pressure to the actuator 28 of the slag removal device is arranged, and graphite is used as an antifriction agent, that is, an antifriction agent for the hose.

이후, 슬래그 제거 공정, 즉 후배재공정이 완료되면, 용선을 후속 공정으로 이송할 수 있다. Thereafter, when the slag removal process, that is, the post-discharge process, is completed, the molten iron can be transferred to a subsequent process.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As described above,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but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and should not be defined, and should be defined by the claims and equivalents as well as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10: 하우스 30: 용기
100: 집진장치 200: 유동발생장치
10: House 30: Courage
100: dust collector 200: flow generator

Claims (18)

처리물이 수용된 용기가 설치되는 하우스에 연결되고, 상기 처리물 중 적어도 일부를 부유시키도록 기류를 형성하기 위한 유동발생장치;
상기 처리물에 함유되는 흑연을 이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기류와 다른 방향으로 공기의 흐름을 형성하기 위한 유동변경장치; 및
이동된 흑연을 회수하기 위한 회수장치;를 포함하는 흑연 회수 설비.
A flow generating device connected to a house in which a container accommodating the processed material is installed, and configured to form an airflow to float at least a portion of the processed material;
A flow changing device for forming a flow of air in a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air flow in order to move the graphite contained in the processed material; And
Graphite recovery equipment comprising a; recovery device for recovering the moved graphi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동발생장치는 상기 기류를 상하방향으로 형성하며,
상기 유동변경장치는 상기 기류의 방향과 교차하는 수평방향으로 공기의 흐름을 형성하는 흑연 회수 설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low generating device forms the airflow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flow change device is a graphite recovery facility for forming a flow of air in a horizontal direction crossing the direction of the air flow.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유동발생장치는 상기 하우스의 상부에 연결되는 집진장치를 포함하는 흑연 회수 설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The flow generating device is a graphite recovery facility including a dust collector connect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house.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하우스의 일측에는 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회수장치는 상기 개구 및 상기 집진장치와 이격되어 구비되는 흑연 회수 설비.
The method of claim 3,
An opening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house,
The recovery device is a graphite recovery facility provided spaced apart from the opening and the dust collecting device.
청구항 3 또는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유동변경장치는 상기 집진장치와 상기 용기 사이에 공기의 흐름을 형성하도록 상기 집진장치보다 낮고 상기 용기보다 높은 위치에 구비되는 흑연 회수 설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or 4,
The flow changing device is a graphite recovery facility provided at a position lower than the dust collecting device and higher than the container to form a flow of air between the dust collecting device and the container.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유동변경장치는 송풍기 및 흡인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흑연 회수 설비.
The method of claim 5,
The flow change device is a graphite recovery facility including at least one of a blower and an aspirator.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유동변경장치는 상기 흑연을 상기 회수장치로 유도하기 위한 유도부재를 더 포함하는 흑연 회수 설비.
The method of claim 6,
The flow change device further comprises a guide member for guiding the graphite to the recovery devic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흑연의 회수량을 조절하기 위해 상기 유동발생장치와 상기 유동변경장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기를 포함하는 흑연 회수 설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Graphite recovery facility comprising a controller capable of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flow generating device and the flow changing device to control the recovery amount of the graphite.
용융물이 수용된 용기를 마련하는 과정;
상기 용융물의 상부에 형성된 슬래그를 제거하는 과정;
상기 슬래그를 제거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흑연을 함유한 분진을 부유시키는 과정;
부유되는 분진의 이동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공기의 흐름을 형성하는 과정; 및
상기 공기의 흐름에 따라 이동한 흑연을 회수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흑연 회수 방법.
The process of providing a container in which the melt is accommodated;
Removing the slag formed on the top of the melt;
Floating the dust containing graphite generated in the process of removing the slag;
Forming a flow of air in a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moving direction of the floating dust; And
Graphite recovery method comprising a; the process of recovering the graphite moved according to the flow of the air.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분진을 부유시키는 과정은, 분진을 상부로 이동시키도록 상승 기류를 형성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다른 방향으로 공기의 흐름을 형성하는 과정은, 흑연을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수평 흐름을 형성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흑연 회수 방법.
The method of claim 9,
The process of floating the dust includes a process of forming an upward airflow to move the dust upward,
The process of forming the flow of air in the other direction comprises forming a horizontal flow to move the graphite in a horizontal direction.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분진을 부유시키는 과정은,
상기 분진을 집진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흑연 회수 방법.
The method of claim 10,
The process of floating the dust,
Graphite recovery method comprising the step of collecting the dust.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분진을 집진하는 과정은, 상기 흑연의 회수량을 조절하기 위해 상기 분진의 집진량을 조절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흑연 회수 방법.
The method of claim 11,
The process of collecting the dust includes a process of controlling the amount of dust collected in order to control the amount of the graphite collected.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분진의 집진량을 조절하는 과정은, 집진장치의 덕트의 개도와 흡인력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조절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흑연 회수 방법.
The method of claim 12,
The process of adjusting the amount of dust collected includes controlling at least one of an opening degree and a suction force of a duct of the dust collector.
청구항 10 내지 청구항 1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흐름을 형성하는 과정은, 분진 중 상대적으로 비중이 작은 흑연을 상대적으로 비중이 큰 기타 물질보다 멀리 이동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는 흑연 회수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0 to 13,
The process of forming the horizontal flow includes a process of moving graphite having a relatively small specific gravity among dusts farther than other materials having a relatively large specific gravity.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흑연을 회수하는 과정은, 상기 기타 물질과 구분되어 상기 용기에서 이격되어 낙하된 흑연을 회수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흑연 회수 방법.
The method of claim 14,
The process of recovering the graphite includes a process of recovering the graphite separated from the other materials and separated from the container and dropped.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수평 흐름을 형성하는 과정은, 공기를 송풍하는 과정과, 공기를 흡인하는 과정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용기와 상기 집진장치의 사이에 상기 수평 흐름을 형성하는 흑연 회수 방법.
The method of claim 15,
The process of forming the horizontal flow includes at least one of a process of blowing air and a process of suctioning air to form the horizontal flow between the container and the dust collector.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수평 흐름을 형성하는 과정은,
상기 기타 물질은 상기 분진을 집진하는 위치에서 낙하시키고, 상기 기타 물질보다 상대적으로 비중이 작은 상기 흑연은 상기 수평 흐름을 따라 이동시켜 상기 분진을 집진하는 위치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낙하시키는 흑연 회수 방법.
The method of claim 16,
The process of forming the horizontal flow,
The graphite recovery method in which the other material falls at a location where the dust is collected, and the graphite, which has a relatively smaller specific gravity than the other material, moves along the horizontal flow and falls at a location separated from the location where the dust is collected.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용융물은 용선을 포함하고,
상기 기타 물질은 생석회 및 황화칼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흑연 회수 방법.
The method of claim 14,
The melt contains molten iron,
The other material is a graphite recovery method comprising at least one of quicklime and calcium sulfide.
KR1020190065411A 2019-06-03 2019-06-03 Collecting Equipment for graphite and method thereof KR10224175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5411A KR102241753B1 (en) 2019-06-03 2019-06-03 Collecting Equipment for graphite and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5411A KR102241753B1 (en) 2019-06-03 2019-06-03 Collecting Equipment for graphite and method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8974A true KR20200138974A (en) 2020-12-11
KR102241753B1 KR102241753B1 (en) 2021-04-19

Family

ID=737861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5411A KR102241753B1 (en) 2019-06-03 2019-06-03 Collecting Equipment for graphite and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1753B1 (en)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50488B2 (en) * 1973-08-09 1980-12-18
KR100986635B1 (en) * 2009-10-28 2010-10-08 (주)조은이엔티 Blow-sorting device with conveyor apparatus
JP2012041624A (en) * 2010-08-23 2012-03-01 Kobe Steel Ltd Building capable of housing molten iron container
KR101121852B1 (en) 2010-06-28 2012-03-21 현대제철 주식회사 Method for recovering graphite from by-product of in pre-treating process molten pig-iron
KR101382964B1 (en) * 2012-07-30 2014-04-10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Method for Recovering Kish Graphite Using Byproducts of Steelmaking and Method for Preparing Graphene or Graphene-like Graphite Platelet from the Kish Graphite
KR20180085102A (en) 2017-01-17 2018-07-26 (주)유진에코씨엘 (kish graphite dust separation appatatus and separation method
KR101888458B1 (en) * 2017-09-20 2018-08-14 이호성 A Multi-screening apparatus using air pulse back filter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50488B2 (en) * 2010-08-23 2014-07-16 株式会社神戸製鋼所 Building that can accommodate hot metal containers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50488B2 (en) * 1973-08-09 1980-12-18
KR100986635B1 (en) * 2009-10-28 2010-10-08 (주)조은이엔티 Blow-sorting device with conveyor apparatus
KR101121852B1 (en) 2010-06-28 2012-03-21 현대제철 주식회사 Method for recovering graphite from by-product of in pre-treating process molten pig-iron
JP2012041624A (en) * 2010-08-23 2012-03-01 Kobe Steel Ltd Building capable of housing molten iron container
KR101382964B1 (en) * 2012-07-30 2014-04-10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Method for Recovering Kish Graphite Using Byproducts of Steelmaking and Method for Preparing Graphene or Graphene-like Graphite Platelet from the Kish Graphite
KR20180085102A (en) 2017-01-17 2018-07-26 (주)유진에코씨엘 (kish graphite dust separation appatatus and separation method
KR101924908B1 (en) * 2017-01-17 2018-12-05 (주)유진에코씨엘 (kish graphite dust separation appatatus and separation method
KR101888458B1 (en) * 2017-09-20 2018-08-14 이호성 A Multi-screening apparatus using air pulse back fil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1753B1 (en) 2021-04-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94678B2 (en) Hot metal desulfurization method
KR20130045955A (en) Method for removing copper in steel scraps
KR102241753B1 (en) Collecting Equipment for graphite and method thereof
CN106957938B (en) The slag sluicing system of desulfurizing slag of hot metal, the overall structure of cooling device
US7993467B2 (en) Apparatus for removing matte-sticking and method for using the apparatus
JP6650020B2 (en) Hot metal processing equipment
JP2007247045A (en) Method for desulfurizing molten iron
JP2011042815A (en) Method for desulfurizing molten iron
JP5707668B2 (en) Hot copper decoppering method
JP6071138B2 (en) Desulfurization method of ferronickel
RU2542042C2 (en) Depletion of copper-bearing slags
JP2010234171A (en) Flotation treatment method
JP6542560B2 (en) Method of treating non-ferrous smelting slag
EP3976837B1 (en) Device and method for continuous desulphurisation of liquid hot metal
JP4533293B2 (en) Converter discharge method
JP2017206719A (en) Desulfurization method of molten steel
JP6473074B2 (en) Hot metal processing method
KR20110050197A (en) Highly efficient deslagging method
JP7257594B1 (en) Smelting furnace and its operation method
JP5085096B2 (en) Continuous refining method of blast furnace cast floor and blast furnace cast floor equipment
JP5326591B2 (en) Hot metal manufacturing method using steel scrap as iron source
JPS6342335A (en) Treatment of slag concentrate of copper converter
JP5949637B2 (en) Method for preventing hot metal after desulphurization
JP2016191115A (en) Method of treating copper smelting slag
CN102441665A (en) Slag absorption device and slag removal method using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