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38936A - Protective Film for Touch Input by Non-Conductive Material - Google Patents

Protective Film for Touch Input by Non-Conductive Materi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38936A
KR20200138936A KR1020190065312A KR20190065312A KR20200138936A KR 20200138936 A KR20200138936 A KR 20200138936A KR 1020190065312 A KR1020190065312 A KR 1020190065312A KR 20190065312 A KR20190065312 A KR 20190065312A KR 20200138936 A KR20200138936 A KR 202001389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ctive
conductive layer
layer
present
protective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531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영수
Original Assignee
이영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영수 filed Critical 이영수
Priority to KR10201900653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38936A/en
Priority to PCT/KR2020/007236 priority patent/WO2020246810A1/en
Publication of KR202001389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8936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5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resistive elements, e.g. a single continuous surface or two parallel surfaces put in contact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4Protective coatings, e.g. hard coating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3Manufacturing, i.e. details related to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suited for touch sensitive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otective film for a smart device capable of a touch input with a non-conductive object. More specifically, a touch signal is accurately inputted by touching an exact point on a surface of a touch panel of a smart device when using a non-conductive object such as wood or rubber gloves to touch the protective film for the smar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ttached on the touch panel of the smart device such as a smartphone by forming grid-shaped patterns electrically opened to each other on a first conductive layer, which is a lower conductive film constituting the protective film for the smart device such as the smartphone and forming a plurality of linear patterns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on left and rights sides on a second conductive layer, which is an upper conductive film.

Description

비전도성 물체로 터치입력이 가능한 스마트기기용 보호필름{Protective Film for Touch Input by Non-Conductive Material}Protective Film for Touch Input by Non-Conductive Material

본 발명은 비전도성 물체로 터치입력이 가능한 스마트기기용 보호필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히 설명하면, 스마트폰 등의 스마트기기용 보호필름을 구성하는 하부의 도전성 필름인 제 1 도전성층상에는 격자형의 서로 전기적으로 오픈된 패턴을 형성하고, 상부의 도전성 필름인 제 2 도전성층상에는 좌우로 다수개의 일자형으로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 패턴을 형성하여, 나무 또는 고무장갑 등의 비전도성 물체를 이용하여 스마트폰 등의 스마트기기의 터치패널 위에 부착된 본 발명의 스마트기기용 보호필름을 터치하는 경우에 해당 스마트기기의 터치패널 표면의 정확한 지점이 터치되어 터치신호가 정확히 입력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전도성 물체로 터치입력이 가능한 스마트기기용 보호필름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otective film for a smart device capable of touch input with a non-conductive object, and in more detail, on a first conductive layer, which is a lower conductive film constituting a protective film for smart devices such as a smartphone, a grid-shaped A pattern that is electrically open to each other is formed, and on the second conductive layer, which is an upper conductive film, a plurality of linear patterns are formed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using a non-conductive object such as a tree or rubber gloves, etc. In the case of touching the protective film for smart devices of the present invention attached on the touch panel of the smart device, the correct point on the surface of the touch panel of the smart device is touched to accurately input the touch signal. It relates to a protective film for smart devices capable of touch input.

종래 휴대폰과 같은 모바일 기기, 특히 접촉식 정전용량 방식 (Capacitive Overlay) 의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모바일 기기를 위한 보호필름과 관련된 기술은 휴대폰 등 모바일 기기의 터치스크린을 보호하는 기능에 치중하거나, 터치 감도를 높이는 기술 개발에 주안점을 둔 것이 대부분이었다.The technology related to the protection film for mobile devices such as conventional mobile phones, especially mobile devices with a touch screen of a capacitive overlay, focuses on the function of protecting the touch screen of mobile devices such as mobile phones, or touch sensitivity. Most of them were focused on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to increase the quality.

최근에는 장갑을 낀 사용자가 장갑을 낀 상태로 장갑을 낀 손가락으로 휴대폰 및 스마트폰의 터치 스크린을 조작하여 정보 입력 등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보호필름 기술의 개발이 필요하였다.Recently, there has been a need to develop a protective film technology that allows a gloved user to input information by manipulating the touch screen of a mobile phone or a smartphone with a gloved finger while wearing the glove.

휴대용 통신기기의 터치스크린 보호필름이나, 충격이나 오염물질로부터 휴대용 통신기기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케이스의 커버 (뚜껑) 를 비정전 물체에 의한 터치입력이 가능한 투명한 보호필름으로 구현한다면 휴대폰 보호케이스에 대한 상품성이 증대되어 새로운 시장 수요를 창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If the protective film of the touch screen of a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or the cover (cover) of the protective case to protect the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from impact or contaminants is implemented as a transparent protective film capable of touch input by non-electrostatic objects, the marketability of the mobile phone protective case Is expected to increase and create new market demand.

이러한 필요를 충족하고자 비정전용량형 터치 입력이 가능한 터치스크린용 적층보호필름 기술이 특허등록 10-1537659-0000 (발명의 명칭: 비정전용량형 터치 입력이 가능한 터치스크린용 적층필름, 이를 이용한 모바일기기 및 보호케이스) 및 특허출원 10-2013-103345 (발명의 명칭: 비정전용량형 터치 입력이 가능한 터치스크린용 적층필름, 이를 이용한 모바일기기 및 보호케이스) 에 개시되었다. In order to meet these needs, the technology of a laminated protective film for a touch screen capable of non-capacitive touch input was registered as a patent 10-1537659-0000 (Name of the invention: a laminated film for a touch screen capable of non-capacitive touch input, a mobile device using the same, and Protective case) and patent application 10-2013-103345 (name of the invention: a laminated film for a touch screen capable of non-capacitive touch input, a mobile device and a protective case using the same).

다만, 상기 종래의 특허문헌에 개시된 발명으로 제품을 구현해 보면, 사용자가 종래의 비정전용량형 터치 입력이 가능한 터치스크린용 적층필름을 눌러서 스마트폰상의 터치스크린을 조작하는 경우, 터치스크린의 정확한 부분이 터치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가끔 발생하였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ㄱ' 을 터치하고자 하더라도 'ㄱ' 부분이 터치되지 못하고 옆에 위치한 부분이 터치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However, if the product is implemented with the invention disclosed in the conventional patent document, when the user operates the touch screen on the smartphone by pressing the conventional laminated film for a touch screen capable of non-capacitive touch input, the correct part of the touch screen is The problem of not being able to touch occurred occasionally. For example, even if the user wants to touch'a', the'a' portion is not touched, and the side located next to it is touched.

또한, 제 1 도전성 박막층에 대한 센싱을 차폐하는 서포트로 인하여 서포트가 설치된 부분은 터치에 대한 인식이 제대로 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due to the support for shielding the sensing of the first conductive thin film layer,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support is not properly recognized for touch.

본 발명에 따른 비전도성 물체로 터치입력이 가능한 휴대용 통신기기용 보호필름과 유사한 특허문헌으로는 특허등록 10-1537659-0000 (발명의 명칭: 비정전용량형 터치 입력이 가능한 터치스크린용 적층필름, 이를 이용한 모바일기기 및 보호케이스) 및 특허출원 10-2013-103345 (발명의 명칭: 비정전용량형 터치 입력이 가능한 터치스크린용 적층필름, 이를 이용한 모바일기기 및 보호케이스) 이 있다.Patent registration 10-1537659-0000 as a patent document similar to the protective film for a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capable of touch input with a non-conductive obj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name of the invention: a laminated film for a touch screen capable of non-capacitive touch input, Used mobile device and protective case) and patent application 10-2013-103345 (name of invention: laminated film for touch screen capable of non-capacitive touch input, mobile device and protective cas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이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스마트폰 등의 스마트기기에서 방출되는 전자플럭스(FLUX) 를 제 1 도전성층 필름을 패턴화하여 각각의 도전성부가 서로 오픈이 되도록 구성하여, 각각의 도전성부에 전자플럭스를 모아두었다가, 사용자가 비도전성 물체로 본 발명의 보호필름의 상단 중 일점 부분을 누르게 되면 제 2 도전성층 필름이 제 1 도전성층에서 접촉되는 특정한 도전성부 눌러서 터치입력되는 부분이 정확하게 터치되도록 하는 비전도성 물체로 터치입력이 가능한 스마트기기용 보호필름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was conceiv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so that the electron flux (FLUX) emitted from smart devices such as a smartphone is patterned by a first conductive layer film so that each conductive part is open to each other. When the user presses one point of the top of the protective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a non-conductive object after collecting the electron flux in each conductive part, the second conductive layer film presses down on the specific conductive part contacted by the first conductive layer.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rotective film for a smart device capable of touch input with a non-conductive object that allows a touch input part to be accurately touched.

스마트폰 등의 스마트기기는 제품의 생산시에 사용자의 손가락 크기 등 터치패널을 누르는 부분 (예를 들어 손가락의 닿는 부분의 크기) 을 감안하여 소프트웨어를 개발하기 때문에 자음 또는 모음의 문자를 누를 때 하나의 자음 또는 모음이 인식되는 부분의 크기를 제품의 크기 등을 참조하여 제 1 도전성층의 패턴화된 도전성부의 가로 세로 길이를 휴대용 통신기기의 디스플레이 패널의 크기 등을 참조하여 제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보호필름에 대한 터치입력시 스마트기기의 터치패널은 본 발명의 보호필름을 통한 터치입력을 오작동 없이 인식을 할 수 있다.Smart devices such as smartphones develop software in consideration of the size of the user's finger, such as the size of the user's finger, and the size of the touch panel. If the size of the part where consonants or vowels are recognized is determined by referring to the size of the product and the horizontal and vertical length of the patterned conductive part of the first conductive layer with reference to the size of the display panel of the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the present invention When inputting a touch to the protective film according to the above, the touch panel of the smart device can recognize the touch input through the protective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malfunction.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비전도성 물체로 터치입력이 가능한 스마트기기용 보호필름은,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로 정보의 입력이 수행되는 디스플레이 패널에 비정전용량형 터치방식에 의한 정보의 입력을 수행하는 비전도성 물체로 터치입력이 가능한 보호필름으로,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otective film for a smart device capable of touch input with a non-conductive obj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information by a non-capacitive touch method on a display panel on which information is input by a capacitive touch. As a non-conductive object that performs the input of, it is a protective film capable of touch input.

제 1 보강층; 상기 제 1 보강층 위에 결합되는 제 1 도전성층; 상기 제 1 도전성층 위에 위치하는 제 2 도전성층; 및A first reinforcing layer; A first conductive layer coupled over the first reinforcing layer; A second conductive layer positioned on the first conductive layer; And

상기 제 2 도전성층 위에 결합되는 제 2 보강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도전성층과 상기 제 2 도전성층의 마주보는 안쪽 테두리는 테두리 접착층에 의해 결합되고,And a second reinforcing layer bonded on the second conductive layer, wherein an inner edge facing the first conductive layer and the second conductive layer is bonded by an edge adhesive layer,

상기 제 1 도전성층은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이 배치되는 격자무늬 모양이 형성되고, 각각의 격자무늬의 경계선은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지 못하는 비도전성부를 형성하고, 상기 비도전성부인 경계선을 제외한 부분에는 도전성물질로 구성된 도전성부를 형성하고, 상기 각각의 도전성부는 전기적으로 서로 오픈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The first conductive layer has a lattice pattern in which a rectangle or square is arranged, a boundary line of each grid pattern forms a non-conductive portion that does not transmit an electrical signal, and a conductive material is used in portions other than the boundary line of the non-conductive portion. Forming a configured conductive portion, characterized in that each of the conductive portions are electrically open to each other,

상기 제 2 도전성층은 길이방향에 대해 좌우로 연장된 선모양의 도전성부를 형성하고, 상기 선모양의 도전성부는 도전성 물질로 구성되고, 상기 도전성부의 테두리영역에는 도전성물질이 구성되고, 상기 선모양의 도전성부는 상기 테두리영역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The second conductive layer forms a line-shaped conductive portion extending left and right in a longitudinal direction, the line-shaped conductive portion is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and a conductive material is formed in an edge region of the conductive portion, and the line-shaped conductive portion is formed of a conductive material. The conductive part of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dge region,

상기 제 2 도전성층의 각각의 선모양의 도전성부의 사이의 길이는 상기 제 1 도전성층의 각각의 도전성부의 세로 길이보다 짧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The length between the respective linear conductive portions of the second conductive layer is configured to be shorter than the vertical length of each conductive portion of the first conductive layer,

상기 테두리 접착층에는 2 개의 개구가 상하 또는 좌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1 도전성층의 도전성부상에는 도전성 물질로 구성된 다수개의 도트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edge adhesive laye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two openings are formed vertically or horizontally. In addition, a plurality of dots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are formed on the conductive portion of the first conductive layer.

본 발명에 따른 비전도성 물체로 터치입력이 가능한 스마트기기용 보호필름은 스마트폰 등의 스마트기기의 정전용량형 터치스크린의 전면에 설치하고, 제 1 도전성층과 제 2 도전성층을 가압하여 서로 접촉되게 하여 전기적 신호를 인식하게 하는 방식으로, 본 발명에 따른 보호필름은 제 1 도전성층이 형성되어 있는 필름에 터치스크린의 입력버튼 또는 어플리케이션 버튼의 면적과 같거나 큰 각각의 오픈되어 있는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식의 셀을 구성하고, 서로 오픈된 셀의 간격은 1um (마이크로 미터) ~ 100um 로 하여, 전자 플럭스 (flux) 의 민감도를 상승시켜 주는 기능을 하며, 서로 오픈된 셀을 통과한 전자 플럭스는 민감도가 상승하여 스마트기기의 디스플레이부상에 표시되는 각각의 입력 버튼 또는 어플리케이션 버튼의 영역에 전달됨으로써 터치입력이 정확하게 전달되고, 스마트기기의 정전용량 터치윈도우의 방식에서 비전도성 물질이 접촉되는 경우에 정확하게 전기적 터치신호가 전달되어 터치입력의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otective film for a smart device capable of touch input with a non-conductive obj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the front surface of a capacitive touch screen of a smart device such as a smart phone, and contacts each other by pressing the first conductive layer and the second conductive layer. The protective fil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of recognizing an electrical signal, in which the protective fil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on the film on which the first conductive layer is formed, and each open square or rectangular shape equal to or larger than the area of the input button or the application button of the touch screen. A type of cell is constructed, and the gap between the open cells is 1 μm (micrometer) to 100 μm, which increases the sensitivity of the electron flux, and the electron flux passing through the open cells is sensitive. Is raised and transmitted to the area of each input button or application button displayed on the display of the smart device, so that the touch input is accurately transmitted, and when a non-conductive material is contacted in the method of the capacitive touch window of the smart device, There is an effect of preventing a malfunction of a touch input by transmitting a touch signal.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 2 도전성층에는 좌우로 연장되게 구성된 선모양의 도전성부를 통하여 제 1 도전성층과 접촉되는 부분이 최소화되기 때문에 제 2 도전성층을 폭이 얇은 다수개의 선모양으로 구성하고, 선의 폭은 30um (마이크로 미터)~ 300um로 하여야 전기적 신호의 입력이 정확하게 스마트기기의 디스플레이부에 전달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second conductive lay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portion in contact with the first conductive layer is minimized through a linear conductive portion configured to extend left and right, the second conductive layer is configured in a plurality of thin line shapes, The width of the line should be between 30um (micrometer) and 300um so that the input of the electrical signal can be accurately transmitted to the display of the smart device.

그리고 각각의 선모양의 도전성부 사이의 간격은 0.5mm ~ 4mm 로 구성한다. 또한, 제 2 도전성층의 외곽 부분에 접지가 큰 면적을 가지도록 형성이 되도록 스마트폰 등의 스마트기기의 배젤쪽에 큰 면적의 접지를 형성한다.And the interval between each line-shaped conductive part is composed of 0.5mm ~ 4mm. In addition, a large ground is formed on the bezel side of a smart device such as a smartphone so that the ground is formed to have a large area on the outer portion of the second conductive layer.

좌우로 연장된 선 모양으로 형성된 다수개의 도전성부가 외곽 도전성부에 전체적으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하고, 접지 면적은 최대한 넓게 형성하여 접지로써 최대한 활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 2 도전성층의 외곽에 형성되어 있는 외곽도전성부의 면적이 증가할 수록 스마트기기에 터치입력을 전달하였을때 터치입력의 정확도 및 입력신호 전달의 신속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다.A plurality of conductive parts formed in the shape of a line extending left and right are configured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outer conductive part as a whole, and the ground area is formed as wide as possible so that it can be utilized as a ground. As the area of the outer conductive portion formed on the outer side of the second conductive lay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reases, when a touch input is transmitted to a smart device, the accuracy of the touch input and the speed of transmission of the input signal can be greatly improved.

본 발명에 따른 제 2 도전성층과 제 1 도전성층 사이의 공기층이 사용자가 제 2 도전성층을 비전도성 물체를 이용하여 가압하지 않은 경우에는 본 발명에 따른 제 2 도전성층과 제 1 도전성층 사이가 이격되도록 공기가 신속하게 공기층으로 유입이 되도록 테두리 접착부의 상 하 및/또는 좌 우쪽에 공기가 유출입될 수 있는 개구를 형성시킬수 있다. When the air layer between the second conductive layer and the first conductive lay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press the second conductive layer by using a non-conductive object, there is no difference between the second conductive layer and the first conductive lay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opening through which air can flow in and out may be formed in the upper and lower and/or left and right sides of the edge bonding portion so that air is quickly introduced into the air layer so as to be spaced apart.

본 발명에 따른 제 2 도전성층과 제 1 도전성층 사이는 50um(마이크로 미터)~200um(마이크로 미터)의 공기층을 구비하여 공기가 유출입할 수 있는 개구를 형성함으로 인하여 제 2 도전성층을 누른 경우에 공기가 빠르게 공기층으로 유입이 되어 제 2 도전성층이 눌려지기 전 상태로 빠르게 복귀가 되고, 스마트폰 등의 스마트기기의 충전시 열이 발생함으로 인하여 공기층 내의 공기가 빠지는 경우에도 개구를 통하여 공기층내로 공기가 빠르게 유입이 되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When the second conductive layer is pressed by forming an opening through which air can flow in and out with an air layer of 50 μm (micrometer) to 200 μm (micrometer) between the second conductive layer and the first conductive lay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ir quickly enters the air layer and quickly returns to the state before the second conductive layer was pressed, and even when air in the air layer escapes due to heat generated when charging smart devices such as smartphones, air into the air layer through the opening There is a remarkable effect that is quickly introduced.

본 발명에 따른 비전도성 물체로 터치입력이 가능한 스마트기기용 보호필름을 스마트기기의 디스플레이부에 설치하여 되면 고무장갑 등의 비전도성 물체를 잉요 하여 정확하게 전기적으로 터치가 가능하게 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When the protective film for a smart device capable of touch input with a non-conductive obj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the display of the smart device, a remarkable effect of enabling accurate electrical touch by using a non-conductive object such as rubber gloves is achieved. have.

본 발명에 따른 비전도성 물체로 터치입력이 가능한 스마트기기용 보호필름으로 인하여 미세한 비전도성 물체 즉, 명함, 볼펜, 젓가락 등으로 터치가 가능해 짐에 따라 사용자들의 편의를 개선하고 향상시켰다.Due to the protective film for smart devices capable of touch input with a non-conductive obj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s convenience has been improved and improved as it is possible to touch with a fine non-conductive object, that is, a business card, a ballpoint pen, and chopsticks.

본 발명에 따른 제 2 도전성층의 도전성부를 선모양으로 형성하고 외곽부분 즉, 스마트 기기의 터치입력이 되지 않는 외곽부분에눈 접지층을 형성시키고, 접지층의 면적이 클수록 터치입력에 대한 센싱 감도가 향상되도록 한다.The conductive part of the second conductive lay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in a line shape, and a snow ground layer is formed in the outer part, that is, the outer part where the touch input of the smart device is not possible, and the larger the area of the ground layer, the sensing sensitivity to the touch input. To improve.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비전도성 물체로 터치입력이 가능한 스마트기기용 보호필름이 스마트기기의 디스플레이 패널상에 부착되는 모습의 사시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비전도성 물체로 터치입력이 가능한 스마트기기용 보호필름의 절단된 적층구조의 단면을 나타낸 절단된 적층구조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비전도성 물체로 터치입력이 가능한 스마트기기용 보호필름을 구성하는 제 1 도전성층과 제 2 도전성층을 포함하는 각각의 필름 층의 세부적인 구조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비전도성 물체로 터치입력이 가능한 스마트기기용 보호필름에서 제 1 도전성층의 패턴화된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 는 도 4 에 도시된 제 1 도전성층 일부분의 확대된 모습을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6 은 종래의 스마트폰 등의 스마트기기의 퀴티자판부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비전도성 물체로 터치입력이 가능한 스마트기기용 보호필름에서 제 2 도전성층의 패턴화된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8 은 도 7 에 도시된 제 2 도전성층 일부분의 확대된 모습을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9 는 본 발명에 따른 비전도성 물체로 터치입력이 가능한 스마트기기용 보호필름에서 제 1 도전성층과 제 2 도전성의 테두리를 서로 부착되는 테두리 접착층의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0 은 도 9 의 테두리접착층의 개구의 필요성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면이다.
도 11 은 본 발명에 따른 비전도성 물체로 터치입력이 가능한 스마트기기용 보호필름에서 테두리접착층으로 인하여 터치신호가 입력되기 어려운 부분을 아이들영역으로 제 1 도전성층에 형성한 모습의 평면도이다.
도 12 는 실제 생산공정에서 제작된 제 1 도전성층이 증착된 제 1 보강층의 외각 테두리를 따라 의도하지 않게 도전성물질이 증착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13 은 도 7 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비전도성 물체로 터치입력이 가능한 스마트기기용 보호필름에서 제 2 도전성층의 다른 실시예의 패턴화된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4 는 도 7 에 도시된 제 2 도전성층이 비전도성 물체로 눌렸을때 실제적으로 눌리는 모양을 이상적으로 눌리는 모양과 비교한 도면이다.
도 15 는 본 발명에 따른 비전도성 물체로 터치입력이 가능한 스마트기기용 보호필름에서 제 2 도전성층의 패턴화된 선모양의 도전성부에 도트가 형성된 구성의 확대도이다.
도 16 은 도 15 의 (b) 의 제 2 도전성층의 패턴화된 선모양의 도전성부에 도트가 형성된 구성의 확대도 및 A-A' 부분을 절단하여 측면에서 바라본 요약된 측면 절단면도이다.
도 17 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비전도성 물체로 터치입력이 가능한 스마트기기용 보호필름을 제작하는 제 1 단계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8 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비전도성 물체로 터치입력이 가능한 스마트기기용 보호필름을 제작하는 제 1 단계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9 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비전도성 물체로 터치입력이 가능한 스마트기기용 보호필름을 제작하는 제 1 단계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0 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비전도성 물체로 터치입력이 가능한 스마트기기용 보호필름을 제작하는 제 1 단계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1 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비전도성 물체로 터치입력이 가능한 스마트기기용 보호필름을 제작하는 제 1 단계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2 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비전도성 물체로 터치입력이 가능한 스마트기기용 보호필름에서 제 1 도전성층과 제 2 도전성의 테두리를 서로 부착되는 테두리 접착층의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ate in which a protective film for a smart device capable of touch input with a non-conductive obj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ttached on a display panel of a smart device.
2 is a cut stacked structure diagram showing a cross section of a cut stacked structure of a protective film for a smart device capable of touch input with a non-conductive obj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ront view showing a detailed structure of each film layer including a first conductive layer and a second conductive layer constituting a protective film for a smart device capable of touch input with a non-conductive obj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lan view showing a patterned structure of a first conductive layer in a protective film for a smart device capable of touch input with a non-conductive obj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nlarged view showing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of the first conductive layer shown in FIG. 4.
6 is a plan view showing a Quiti keyboard of a smart device such as a conventional smart phone.
7 is a plan view showing a patterned structure of a second conductive layer in the protective film for a smart device capable of touch input with a non-conductive obj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n enlarged view showing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of the second conductive layer shown in FIG. 7.
9 is a plan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edge adhesive layer in which a first conductive layer and a second conductive edge are attached to each other in the protective film for a smart device capable of touch input with a non-conductive obj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n exemplary view for explaining the necessity of the opening of the edge adhesive layer of FIG. 9.
FIG. 11 is a plan view showing a portion in which a touch signal is difficult to be input due to an edge adhesive layer formed on a first conductive layer as an idle area in the protective film for a smart device capable of touch input with a non-conductive obj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n explanatory view for explaining that a conductive material is unintentionally deposited along an outer edge of a first reinforcing layer on which a first conductive layer fabricated in an actual production process is deposited.
13 is a plan view showing a patterned structure of another embodiment of a second conductive layer in the protective film for a smart device capable of a touch input with a non-conductive obj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7.
FIG. 14 is a view in which the second conductive layer shown in FIG. 7 is actually pressed when pressed by a non-conductive object, compared with the ideally pressed shape.
15 is an enlarged view of a configuration in which dots are formed on a patterned line-shaped conductive portion of a second conductive layer in a protective film for a smart device capable of touch input with a non-conductive obj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6 is an enlarged view of a configuration in which dots are formed in the patterned linear conductive portion of the second conductive layer of FIG. 15B and a summarized side sectional view taken from the side by cutting AA′.
17 is a side view showing a first step of manufacturing a protective film for a smart device capable of touch input using a non-conductive objec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8 is a side view showing a first step of manufacturing a protective film for a smart device capable of touch input using a non-conductive objec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9 is a side view showing a first step of manufacturing a protective film for a smart device capable of a touch input using a non-conductive objec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0 is a side view showing a first step of manufacturing a protective film for a smart device capable of a touch input using a non-conductive objec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1 is a side view showing a first step of manufacturing a protective film for a smart device capable of a touch input using a non-conductive objec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2 is a plan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edge adhesive layer in which a first conductive layer and a second conductive edge are attached to each other in a protective film for a smart device capable of a touch input with a non-conductive objec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의 실시예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아래의 첨부된 도면에서 본 발명에 따른 보호필름을 구성하는 적층된 각각의 층들의 두께는 이해의 편의를 돕기 위하여 두껍게 또는 얇게 표현한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dified in various ways and can have various types of embodiments. In additio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below, the thickness of each of the stacked layers constituting the protective fil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expressed as thick or thin for convenience of understanding.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비전도성 물체로 터치입력이 가능한 스마트기기용 보호필름이 스마트기기의 디스플레이 패널상에 부착되는 모습의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ate in which a protective film for a smart device capable of touch input with a non-conductive obj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ttached on a display panel of a smart device.

본 발명에 따른 비전도성 물체로 터치입력이 가능한 스마트기기용 보호필름 (100) 이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PC 등과 같은 스마트기기 (110) 의 디스플레이부 (118) 에 밀착되어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장갑을 낀 손이나 볼펜과 같은 부도체 팁을 사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보호필름 (100) 상에서 터치입력을 하는 경우에 스마트폰과 같은 스마트기기 (110) 의 디스플레이부 (118) 에 상기 터치로 입력되는 신호가 전달이 되어 스마트기기 (10) 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의 조작이 가능하고 또는 스마트기기 (110) 상에서 인터넷서핑 등의 조작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In a state in which the protective film 100 for a smart device capable of touch input with a non-conductive obj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display unit 118 of a smart device 110 such as a smartphone or tablet PC, the user wears gloves. When a touch input is made on the protective film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sing a non-conductive tip such as a hand or a ballpoint pen, the signal input by the touch is transmitted to the display unit 118 of the smart device 110 such as a smartphone.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manipulate an application installed on the smart device 10 or to manipulate such as Internet surfing on the smart device 110.

본 발명에 적용되는 스마트폰과 같은 스마트기기 (110) 의 디스플레이부 (118) 에는 정전방식의 터치패널이 설치되어 있다.A capacitive touch panel is installed on the display unit 118 of a smart device 110 such as a smart phone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 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비전도성 물체로 터치입력이 가능한 스마트기기용 보호필름 (100) 은 스마트폰 등과 같은 터치패널이 설치되어 있는 스마트기기 (110) 의 디스플레이부 (118) 표면에 밀착되게 위치시킨 후 사용한다.Referring to FIG. 1, the protective film 100 for a smart device capable of touch input with a non-conductive obj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on the surface of the display unit 118 of a smart device 110 on which a touch panel such as a smart phone is installed. Use after placing it closely.

본 발명에 비전도성 물체로 터치입력이 가능한 스마트기기용 보호필름 (100) 은 스마트폰 등의 스마트기기 (110) 를 보호하기 위해 사용하는 휴대폰용 보호케이스 정면커버로 사용이 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tective film 100 for a smart device capable of a touch input as a non-conductive object may be used as a front cover for a protective case for a mobile phone used to protect the smart device 110 such as a smart phone.

따라서, 본 발명의 사용자는 종래의 스마트폰 케이스와 달리 스마트폰 케이스의 커버를 열지 않더라도 스마트폰 보호케이스의 커버 역할을 하는 본 발명의 보호필름 (100) 을 열지 않더라도, 즉 스마트폰 케이스의 커버 (본 발명의 보호필름 (100)) 가 닫힌 상태에서도 사용자가 고무장갑을 낀 상태에서 또는 볼펜 등으로 보호필름 (100) 을 터치하여 스마트기기 (110) 의 디스플레이부 (118) 에 터치입력이 가능하게 할 수 있다.Therefore, the user of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open the cover of the smart phone case, unlike the conventional smart phone case, even without opening the protective film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serving as a cover of the smart phone protective case, that is, the cover of the smart phone case ( Even when the protective film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losed, the user can touch the protective film 100 with a rubber glove or with a ballpoint pen to allow a touch input to the display unit 118 of the smart device 110 can do.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비전도성 물체로 터치입력이 가능한 스마트기기용 보호필름의 절단된 적층구조의 단면을 나타낸 절단된 적층구조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비전도성 물체로 터치입력이 가능한 스마트기기용 보호필름을 구성하는 제 1 도전성층과 제 2 도전성층을 포함하는 각각의 필름 층의 세부적인 구조를 도시한 정면도이다.2 is a cut stacked structure diagram showing a cross-section of a cut stacked structure of a protective film for a smart device capable of touch input with a non-conductive obj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ront view showing a detailed structure of each film layer including a first conductive layer and a second conductive layer constituting a protective film for a smart device capable of touch input with a non-conductive obj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를 참조하여, 도 1 의 A-B 부분을 절단한 단면으로 표현된 본 발명에 따른 비전도성 물체로 터치입력이 가능한 스마트기기용 보호필름 (100) 은 패턴화된 제 1 도전성층 (10), 상기 제 1 도전성층 (10) 위에 구성되는 패턴화된 제 2 도전성층 (20), 상기 제 1 도전성층 (10) 과 상기 제 2 도전성층 (20) 의 마주보는 안쪽 가장자리 부분을 밀착되게 결합시키는 테두리 접착층 (30), 상기 제 1 도전성층 (10) 의 아래에서 제 1 도전성층 (10) 과 접착되는 제 1 보강층 (18), 상기 제 2 도전성층 (20) 의 위에서 제 2 도전성층 (20) 과 접착되는 제 2 보강층 (28) 으로 구성되어 있다.Referring to FIG. 2, the protective film 100 for a smart device capable of touch input with a non-conductive obj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presented by a cross-section of the AB part of FIG. 1 is a patterned first conductive layer 10, The patterned second conductive layer 20 formed on the first conductive layer 10, the first conductive layer 10 and the second conductive layer 20 facing each other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A frame adhesive layer 30, a first reinforcing layer 18 adhered to the first conductive layer 10 under the first conductive layer 10, a second conductive layer 20 on the second conductive layer 20 ) And the second reinforcing layer 28 to be bonded.

본 발명에 따른 제 1 도전성층 (10) 및 제 2 도전성층 (20) 은 투명한 도전성 박막층으로, 현재 상용화되어 있는 ITO (Indium Tin Oxide) 투명 전극이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종래에 공지의 제품으로 PET 소재 또는 PP 등 투명한 합성수지 소재의 필름 또는 박막의 유리층으로 구성된 보강층 (18, 28) 과 함께 합지되어 판매되고 있다. The first conductive layer 10 and the second conductive layer 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transparent conductive thin film layers, and currently commercially available ITO (Indium Tin Oxide) transparent electrodes may be used. And, as a conventionally known product, it is sold by being laminated together with the reinforcing layers 18 and 28 composed of a film of a transparent synthetic resin material such as PET material or PP or a thin glass layer.

본 발명에 따른 테두리 접착층 (30) 은 양면테이프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제 1 도전성층 (10) 과 제 2 도전성층 (20) 의 안쪽 테두리 전체에 걸쳐서 폭이 1.5 ~ 1.8 mm 로 되게 구성된 양면테이프가 테두리 접착층 (30) 으로 설치된다.Border adhesive layer 3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 double-sided tape. A double-sided tape configured to have a width of 1.5 to 1.8 mm over the entire inner edge of the first conductive layer 10 and the second conductive layer 2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as the edge adhesive layer 30.

본 발명에 따른 테두리 접착층 (30) 에 의해 제 1 도전성층 (10) 과 제 2 도전성층 (20) 이 서로 마주보는 가장자리의 안쪽 부분이 서로 밀착되게 결합되게 구성된다.By the edge adhesive layer 3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nner portions of the edges of the first conductive layer 10 and the second conductive layer 20 facing each other are configured to b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본 발명에 따른 테두리 접착층 (30) 의 상부와 하부에는 각각 개방된 개구 (34) 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상부와 하부의 개구 (34) 를 통하여 외부의 공기가 내부의 공기층 (25) 으로 유입된다.Open openings 34 are formed i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edge adhesive layer 3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External air is introduced into the internal air layer 25 through the upper and lower openings 34.

도 3 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제 1 도전성층 (10) 의 아래부분에 부착된 보강층 (18) 의 밑면에는 점착력을 보유한 점착층 (19) 이 더 구비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점착층 (19) 은 스마트기기 (110) 에 직접 부착시에 사용되는 것으로 실리콘으로 점착층 (19) 을 구성할 수가 있다.Referring to FIG. 3, an adhesive layer 19 having adhesive strength may be further provided on the underside of the reinforcing layer 18 attach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conductive layer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dhesive layer 19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when directly attached to the smart device 110 and may constitute the adhesive layer 19 of silicone.

본 발명에 따른 비전도성 물체로 터치입력이 가능한 스마트기기용 보호필름 (100) 의 아래면이 스마트기기 (110) 의 디스플레이부 (118) 에 밀착된 상태에서, 본 발명의 사용자가 고무장갑을 낀 상태의 손가락 또는 볼펜 등을 이용하여, 길이 방향에 대해 좌우로 연장되게 선 모양으로 구성되고, ITO 필름으로 구성되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 도전성부 (21) 가 형성된 제 2 도전성층 (20) 를 눌러서, 제 2 도전성층 (20) 의 도전성부 (21) 가 에칭되지 않아 돌출된 제 1 도전성층 (10) 의 일정 지점의 도전성부 (11) 를 터치하게 되면 스마트기기 (110) 의 디스플레이부 (118) 의 대응하는 영역에 전기적 신호가 입력되게 된다. In a state in which the lower surface of the protective film 100 for a smart device capable of touch input with a non-conductive obj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display unit 118 of the smart device 110, the user of the present invention wears rubber gloves. Using a finger or a ballpoint pen in a state, by pressing the second conductive layer 20 formed in a line shape to extend left and right with respect to the length direction, and formed of an ITO film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When the conductive part 21 of the second conductive layer 20 is not etched and touches the conductive part 11 at a certain point of the first conductive layer 10, the display part 118 of the smart device 110 Electrical signals are input to the corresponding region of.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비전도성 물체로 터치입력이 가능한 스마트기기용 보호필름에서 제 1 도전성층의 패턴화된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 는 도 4 에 도시된 제 1 도전성층 일부분의 확대된 모습을 도시한 확대도이다.4 is a plan view showing a patterned structure of a first conductive layer in a protective film for a smart device capable of touch input with a non-conductive obj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nlarged view showing an enlarged state of a portion of the first conductive layer shown in FIG. 4.

도 4 내지 도 5 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도전성층 (10) 은 제 1 보강층 (18) 위에 격자무늬 모양으로 도전성부의 경계선이 에칭처리되어 패턴화되게 구성된다. 도전성층 (10) 을 에칭하는 방식외에도 인쇄기법에 의해 도전성부 (11) 를 제 1 보강층 (18) 위에 인쇄할 수도 있다.4 to 5, the first conductive layer 1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be patterned by etching the boundary line of the conductive portion on the first reinforcing layer 18 in a grid pattern. In addition to the method of etching the conductive layer 10, the conductive portion 11 may be printed on the first reinforcing layer 18 by a printing technique.

본 발명에 따른 패턴화된 제 1 도전성층 (10) 와 제 1 보강층 (18) 은 스마트기기 (10) 의 디스플레이부 (118) 와 직접적으로 맞닿는 부분이다. The patterned first conductive layer 10 and the first reinforcing layer 18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portions in direct contact with the display unit 118 of the smart device 10.

본 발명의 제 1 도전성층 (10) 은 격자무늬 모양으로 각각의 도전성부 (11) 의 경계가 에칭 또는 인쇄로서 패턴화되고,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 모양의 도전성부 (11) 와 각각의 도전성부 (11) 사이는 ITO 투명전극필름 물질이 제거된 상태가 되어 각각의 도전성부 (11) 가 서로 전기적으로 오픈이 되도록 하는 비도전부 (13) 로서 구성된다.The first conductive layer 10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grid pattern in which the boundary of each conductive part 11 is patterned by etching or printing, and the rectangular or square-shaped conductive part 11 and each conductive part 11 ) Is configured as a non-conductive part 13 in which the ITO transparent electrode film material is removed so that the conductive parts 11 are electrically open to each other.

본 발명의 비도전부 (13) 의 폭은 최대한 좁게 구성될수록 사용자의 터치입력에 오작동 없이 동작한다.The narrower the width of the non-conductive part 13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more the user's touch input operates without malfunction.

본 발명에 따른 제 1 도전성층 (10) 의 도전성부들 (11) 이 서로 전기적으로 오픈이 되고 격자무늬 패턴으로 구성된 다수개의 도전성부 (11) 로 구성이 되기 때문에 디스플레이 부 (118) 가 신호를 입력받는데 정확성이 높게 된다.Since the conductive parts 11 of the first conductive layer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electrically open to each other and consist of a plurality of conductive parts 11 formed in a grid pattern, the display unit 118 inputs a signal. The accuracy is high to receive.

본 발명에 따른 제 1 도전성층 (10) 에 격자무늬 모양으로 서로 미세한 간격으로 떨어져 배치된 각각의 도전성부 (11) 가 서로 전기적으로 오픈된 패턴을 형성하게 된다. In the first conductive layer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ductive portions 11 disposed in a grid pattern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fine intervals form a pattern electrically open to each other.

본 발명에 따른 제 1 도전성부 (10) 및 제 1 보강층 (18) 이 스마트기기 (110) 의 디스플레이부 (118) 상에 직접적으로 맞닿게 배치된 상태가 되면, 해당 스마트기기 (110) 는 외부의 도전성 필름이 닿았다고 인식하는 것이 아니라, 스마트기기 (110) 의 정전용량 터치 판넬로 구성된 디스플레이부 (118) 와 일체화되어 있다고, 스마트기기 (110) 에 내장된 소프트웨어는 인식을 한다. When the first conductive part 10 and the first reinforcing layer 18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placed in direct contact with the display part 118 of the smart device 110, the smart device 110 is It is not recognized that the conductive film of is touched, but that it is integrated with the display unit 118 formed of the capacitive touch panel of the smart device 110, and the software embedded in the smart device 110 recognizes.

따라서 격자무늬 모양으로 패턴화된 제 1 도전성층 (10) 의 도전성부 (11) 들중 일정 지역의 도전성부 (11) 가 눌려지는 경우에 터치되어 입력되는 정보의 인식이 잘못되는 오작동이 거의 발생하지 않게 된다. Therefore, when the conductive parts 11 of the first conductive layer 10 patterned in a lattice pattern are pressed in a certain area, a malfunction in which the recognition of the information inputted by touch is incorrectly occurs. Will not do.

본 발명의 제 1 도전성층 (10) 처럼 서로 오픈된 도전성부 (11) 로 패턴화되지 않은 도전성 박막 필름으로 구성되었던 종래의 도전성층에서는 비전도성 물체로 눌려지는 경우 디스플레이부 (118) 에서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았던 부분까지 터치입력이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제 1 도전성층 (10) 을 도 4 와 같이 각각의 도전성부 (11) 가 서로 전기적으로 오픈이 되도록 패턴화하여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였다.In the conventional conductive layer, which was composed of a conductive thin film that is not patterned with the conductive parts 11 open to each other, like the first conductive layer 10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pressed by a non-conductive object, the user from the display unit 118 There was a problem in that touch input was made to an unintended part. The present invention has solved this conventional problem by patterning the first conductive layer 10 so that the conductive portions 11 are electrically open to each other as shown in FIG. 4.

본 발명에 따른 제 1 도전성층 (10) 은 알파벳을 입력하는 자판부와 맞닿는 자판영역 (130) 와 입력된 알파벳이 디스플레이 되는 디스플레이영역 (110) 으로 분리된다. The first conductive layer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divided into a keyboard region 130 in contact with a keyboard portion for inputting an alphabet and a display region 110 in which the input alphabet is displayed.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영역 (110) 은 비도전부 (13) 가 가로 방향 및 세로방향으로 일직선으로 연결되게 구성이 되고, 본 발명에 따른 자판영역 (130) 은 비도전부 (13) 가 가로방향으로는 일직선으로 구성이 되나 세로방향으로는 일직선으로 구성되지 않게 구성이 된다. 즉 가로방향으로 도전성부 (11) 의 갯수가 다르게 구성이 된다. The display area 1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such that the non-conductive part 13 is connected in a straight line i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and the keyboard area 13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non-conductive part 13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t is composed of a straight line, but it is configured not to be composed of a straight line in the vertical direction. That is, the number of conductive portions 11 is differen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본 발명에 따른 비전도성 물체로 터치입력이 가능한 스마트기기용 보호필름의 제 1 도전성부 (10) 의 자판영역 (130) 이 퀴티자판부의 구성과 대응되도록 제작을 하였기 때문이다.This is because the keyboard region 130 of the first conductive portion 10 of the protective film for a smart device capable of touch input with a non-conductive obj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as manufactured to correspond to the configuration of the Quiti keyboard portion.

도 6 은 종래의 스마트폰 등의 스마트기기의 퀴티자판부을 도시한 평면도이다.6 is a plan view showing a Quiti keyboard of a smart device such as a conventional smart phone.

도 6 을 참조하면, 종래의 스마트기기 (110) 의 퀴티자판부 (132) 는 맨 위쪽이 10개의 단위자판 (133) 으로 구성되고, 두번째는 9개의 단위자판 (133) 3번째는 9개의 단위자판 (133) 으로 구성이 되고, 맨 아래부분은 7개의 단위자판 (133) 으로 구성이 된다.Referring to FIG. 6, the Quiti keyboard portion 132 of the conventional smart device 110 is composed of 10 unit keyboards 133 at the top, the second is 9 unit keys 133, and the third is 9 units. It is composed of a keyboard 133, and the bottom part is composed of seven unit keyboards 133.

종래의 스마트기기의 퀴티자판부 (132) 의 단위자판 (133) 의 전기적 신호가 입력되는 위치에 자판영역 (130) 에 각각의 도전성부 (11) 가 매칭되도록 자판영역 (130) 의 도전성부 (11) 의 패턴모양이 구성이 된다. The conductive parts of the keyboard region 130 so that the respective conductive parts 11 are matched to the keyboard region 130 at a position where the electrical signal of the unit keyboard 133 of the QUITY keyboard part 132 of a conventional smart device is input. 11) The pattern shape is composed.

종래의 space 단위자판 및 return 단위자판의 경우에는 2 개의 gif 파일로 구성이 되어, 이중 하나의 파일만 터치가 되면 space 또는 return 을 요청하는 신호가 스마트폰에 입력이 되게 된다. 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space unit keyboard and the return unit keyboard, it is composed of two gif files, and when only one of them is touched, a signal requesting space or return is input to the smartphone.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자판영역 (130) 에서도 종래의 space 단위자판 및 return 단위자판에 매칭되는 부분에는 도전성부가 2 개로 분리되게 구성을 한다.Therefore, even in the keyboard region 13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conductive part is configured to be separated into two at a portion matching the conventional space unit keyboard and the return unit keyboard.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비전도성 물체로 터치입력이 가능한 보호필름에 의하면, 제 1 도전성 층의 자판영역 (130) 의 각각의 도전성부 (11) 셀의 면적을 서로 대응하는 퀴티자판을 구성하는 각각의 알파벳 버튼 (133) 의 면적보다 크게 구성을 하여야 터치입력이 오작동 없이 제대로 작동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otective film capable of touch input with a non-conductive obj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Quiti keyboard corresponding to the area of the cells of each of the conductive portions 11 of the keyboard region 130 of the first conductive layer is formed. The touch input must be configured to be larger than the area of each of the alphabet buttons 133 to be properly operated without malfunction.

예를 들어, 알파벳 y 의 버튼 (133) 과 대응하는 도전성부 (11) 셀의 면적은 y 버튼 (133) 의 gif 파일의 면적보다 크게 구성된다.For example, the area of the cell of the conductive part 11 corresponding to the button 133 of the alphabet y is larger than the area of the gif file of the y button 133.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비전도성 물체로 터치입력이 가능한 스마트기기용 보호필름에서 제 2 도전성층의 패턴화된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8 은 도 7 에 도시된 제 2 도전성층 일부분의 확대된 모습을 도시한 확대도이다.7 is a plan view showing a patterned structure of a second conductive layer in the protective film for a smart device capable of touch input with a non-conductive obj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n enlarged view showing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of the second conductive layer shown in FIG. 7.

본 발명의 제 2 도전성층 (20) 은 제 2 보강층 (28) 아래에서 제 1 도전성층 (10) 의 각각의 도전성부 (11) 의 세로 길이보다 간격이 더 좁은 좌우로 연장된 다수개의 일직선 모양으로 도전성부 (21) 가 패턴화되게 구성된다.The second conductive layer 20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plurality of straight lines extending from the left and right with a spacing smaller than the vertical length of each conductive portion 11 of the first conductive layer 10 under the second reinforcing layer 28. As a result, the conductive part 21 is configured to be patterned.

본 발명에 따른 제 2 도전성층 (20) 은 좌우로 일자의 선으로 연결되고 각각 일정한 간격을 가지는 선 모양의 도전성부 (21) 와 좌우로 연장되는 선 모양으로 구성된 도전성부 (21) 외의 부분에 대해 도전성 ITO 투명전극 물질이 도포되지 않은 비도전성부 (23) 로 구성된다.The second conductive layer 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the left and right by a straight line and is connected to a portion other than the linear conductive portion 21 having a regular interval and the conductive portion 21 formed in a line shape extending left and right. It is composed of a non-conductive portion 23 to which the conductive ITO transparent electrode material is not applied.

본 발명에 따른 제 2 도전성층 (20) 의 선 모양으로 구성된 도전성부 (21) 는 ITO 투명전극필름으로 구성되어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되게 구성되고, 선 모양의 각각의 도전성부 (21) 의 간격은 본 발명의 제 1 도전성층 (10) 에 형성된 각각의 도전성부 (11) 의 세로의 길이보다 더 짧게 구성된다.The conductive portions 21 configured in a line shape of the second conductive layer 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configured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by being composed of an ITO transparent electrode film, and the interval between each of the line-shaped conductive portions 21 is It is configured to be shorter than the vertical length of each conductive portion 11 formed on the first conductive layer 10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제 2 도전성층 (20) 에서 제 1 도전성부 (10) 와 접촉하는 선모양의 도전성부 (21) 에서 각각의 도전성부 (21) 의 선 (line) 의 두께를 1mm 이하로 형성되게 한다. In the second conductive layer 20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line-shaped conductive part 21 in contact with the first conductive part 10, the thickness of the line of each conductive part 21 is formed to be 1 mm or less. do.

본 발명의 사용자가 비전도성 물체로 제 2 보강층 (28) 을 누르지 않는다면 선의 두께가 극히 얇은 제 2 도전성층 (20) 의 도전성부 (21) 가 제 1 도전성층 (10) 의 도전성부 (11) 와 접촉하는 면적이 극히 좁기 때문에 접촉이 신속하게 해제되는 효과가 있게 된다.If the user of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press the second reinforcing layer 28 with a non-conductive object, the conductive part 21 of the second conductive layer 20, which has an extremely thin line thickness, is the conductive part 11 of the first conductive layer 10. Since the area in contact with the is extremely narrow, there is an effect that the contact is released quickly.

만일 본 발명에 따른 제 2 도전성층 (20) 의 선형태의 도전성부 (21) 의 선의 폭이 넓게 구성된다면, 본 발명의 사용자가 비전도성 물체를 이용하여 제 2 보강층 (28) 의 누름을 중지하는 경우에 본 발명의 제 2 도전성층 (20) 이 전기적으로 본 발명의 제 1 도전성층 (10) 과의 접촉을 신속하게 실시간적으로 해제하지 못하고 미세한 시간차이를 두고 전기적으로 접촉이 해제되는 시간 지연의 문제점이 발생할 수도 있다.If the line width of the linear conductive portion 21 of the second conductive layer 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be wide, the user of the present invention stops pressing the second reinforcing layer 28 by using a non-conductive object. In this case, the time when the second conductive layer 2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able to release the contact with the first conductive layer 10 of the present invention quickly in real time and is electrically released with a slight time difference. There may be a problem of delay.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 2 도전성층 (20) 의 좌우 외곽에는 외곽 도전성부 (121) 가 형성되어 있고, 모든 선모양의 도전성부 (21) 는 외곽도전성부 (121) 와 전기적으로 연결이 된다.In addition, outer conductive portions 121 are formed on the left and right outer edges of the second conductive layer 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ll linear conductive portions 21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outer conductive portions 121. .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 2 도전성층 (20) 의 상부와 하부에는 비도전성부 (23) 를 포함하도록 패턴화되지 않는 넓은 면적의 상부 및 하부 도전성부 (123, 125) 를 포함하도록 구성한다. 이는 제 2 도전성층 (20) 에서 선으로 구성된 도전성부 (21) 가 좁은 면적을 가지기 때문에 충분한 전기적 신호를 제 1 도전성층 (10) 에 전달하기 위해서는 ITO 도전성물질이 넓게 증착되거나 인쇄된 넓은 면적의 상부 및 하부 도전성부 (123, 125) 과 전기적으로 연결이 되어야 하기 때문이다.In addition, the second conductive layer 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include upper and lower conductive portions 123 and 125 having a large area not patterned so as to include the non-conductive portion 23. This is because the conductive part 21 composed of lines in the second conductive layer 20 has a narrow area, so in order to transmit a sufficient electrical signal to the first conductive layer 10, the ITO conductive material is widely deposited or printed. This is because it must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upper and lower conductive parts 123 and 125.

만일 제 2 도전성층 (20) 이 선으로만 구성된 도전성부 (21) 로만 구성이 된다면, 제 2 도전성층 (20) 의 ITO 도전성물질의 양이 적기 때문에 제 2 도전성층 (20) 이 눌려서 제 1 도전성층 (10) 과 접촉을 한 경우에 제대로된 터치신호를 전달하지 못하는 문제가 생긴다.If the second conductive layer 20 is composed of only the conductive portion 21 composed of only lines, the second conductive layer 20 is pressed because the amount of the ITO conductive material in the second conductive layer 20 is small. In the case of contact with the conductive layer 10, a problem occurs in that a proper touch signal cannot be transmitted.

본 발명에 따른 상부 및 하부 도전성부 (123, 125) 는 ITO 물질의 증착 및 인쇄에 의해 두께가 두껍게 도전성물질이 형성될 수 있다.The upper and lower conductive parts 123 and 125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of a conductive material having a thick thickness by deposition and printing of an ITO material.

본 발명에 따른 도전성층 (10, 20) 은 박막의 ITO 도전성 필름으로 구성된 것으로, ITO, 증착, 메탈 인쇄, UV성형 등으로 패턴모양을 구성할 수 있다.The conductive layers 10 and 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composed of a thin ITO conductive film, and may form a pattern shape by ITO, vapor deposition, metal printing, UV molding, or the like.

본 발명에 사용되는 도전성층 (10, 20) 인 도전성 필름에 대한 패턴화 공정은 도전성 필름 제작 업체에서 구매 또는 내 스크래치성을 가지고 있는 자재 (PET, PC 등 유사성을 가지고 있는 자재) 및 유리패널 등을 구매하여 상기 도전성 필름에 코팅, 인쇄, 도포 (ITO, 증착, 메탈인쇄, 성형) 를 한 후 제 1 도전성부 (11) 및 제 2 도전성부 (21) 와 같은 패턴을 형성한다.The patterning process for the conductive film, which is the conductive layer (10, 20)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purchased from a conductive film manufacturer, or a material having scratch resistance (materials having similarity such as PET, PC) and glass panels, etc. After purchasing, coating, printing, and applying (ITO, evaporation, metal printing, molding) on the conductive film, patterns such as the first conductive part 11 and the second conductive part 21 are formed.

본 발명에 따른 도전성층 (10, 20) 에 대한 도전성부 (11, 21) 및 비도전성부 (13, 23) 로 패턴형성은 레이져, 식각, 인쇄, 성형, 사출 등 현재 공지되어 있는 모든 작업방식으로 가능하다.Pattern formation with the conductive parts 11, 21 and the non-conductive parts 13, 23 for the conductive layers 10 and 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all known working methods such as laser, etching, printing, molding, injection, etc. It is possible with

도 9 는 본 발명에 따른 비전도성 물체로 터치입력이 가능한 스마트기기용 보호필름에서 제 1 도전성층과 제 2 도전성층의 테두리를 서로 부착하는 테두리 접착층의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0 은 도 9 의 테두리접착층의 개구의 필요성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면이다.9 is a plan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edge adhesive layer in which edges of a first conductive layer and a second conductive layer are attached to each other in a protective film for a smart device capable of touch input with a non-conductive obj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n exemplary view for explaining the necessity of the opening of the edge adhesive layer of FIG. 9.

도 9 및 도 10 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제 1 도전성층 (10) 과 제 2 도전성층 (20) 이 서로 마주보는 각각의 안쪽 외곽을 따라서 테두리 접착층 (30) 이 설치되고, 본 발명에 따른 제 1 도전성층 (10) 과 제 2 도전성층 (20) 이 테두리 접착층 (30) 에 의해 서로 부착되게 구성된다. 9 and 10, the first conductive layer 10 and the second conductive layer 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provided along the inner outer periphery of each other facing each other, the edge adhesive layer 30 is installed, in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first conductive layer 10 and the second conductive layer 20 are configured to be attached to each other by an edge adhesive layer 30.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가 볼펜 등의 비전도성 물체를 이용하여 제 2 보강층 (28) 을 눌러서 제 2 도전성층 (20) 의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된 돌출된 선 모양의 도전성부 (21) 를 제 1 도전성층 (10) 의 도전성부 (11) 와 접촉시킨다.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presses the second reinforcing layer 28 using a non-conductive object such as a ballpoint pen to form the protruding linear conductive portions 21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of the second conductive layer 20 as a first conductive layer. It is made to contact with the conductive part 11 of (10).

본 발명에 따른 테두리 접착층 (30) 의 상하부분에 개방된 개구 (34) 를 형성하여 제 1 도전성층 (10) 과 제 2 도전성층 (20) 사이의 공기층 (25) 으로 공기가 쉽게 유입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하에서 도 10 의 도면 번호 32 과 같은 테두리 접착층 (30) 와 근접한 영역까지도 제 2 도전성층 (10) 이 제 1 도전성층 (10) 과 눌리기 쉽게 되고, 공기층 (25) 의 외부로 빠진 공기가 상하 개부 (34) 를 통하여 재 유입되기가 쉽게 되는 구성이다.Openings 34 are formed i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edge adhesive layer 3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allow air to easily flow into the air layer 25 between the first conductive layer 10 and the second conductive layer 20. I can. Under such a configuration, the second conductive layer 10 is easily pressed against the first conductive layer 10 even in a region close to the edge adhesive layer 30 as shown by reference numeral 32 of FIG. 10, and air escaped to the outside of the air layer 25 It is a configuration in which it is easy to re-inflow through the upper and lower openings 34.

도 11 은 본 발명에 따른 비전도성 물체로 터치입력이 가능한 스마트기기용 보호필름에서 테두리접착층으로 인하여 터치신호가 입력되기 어려운 부분을 아이들영역으로 제 1 도전성층에 형성한 모습의 평면도이다. 도 12 는 실제 생산공정에서 제작된 제 1 도전성층이 증착된 제 1 보강층의 외각 테두리를 따라 의도하지 않게 도전성물질이 증착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FIG. 11 is a plan view showing a portion in which a touch signal is difficult to be input due to an edge adhesive layer formed on a first conductive layer as an idle area in the protective film for a smart device capable of touch input with a non-conductive obj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n explanatory view for explaining that a conductive material is unintentionally deposited along an outer edge of a first reinforcing layer on which a first conductive layer fabricated in an actual production process is deposited.

도 11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도전성층 (10) 의 외곽부분에는 각각의 도전성부 (11) 보다 전도성 영역의 면적이 더 적은 아이들 (idle) 영역 (117) 을 구성한다. Referring to FIG. 11, an idle area 117 having a smaller area of a conductive area than each of the conductive portions 11 is formed at an outer portion of the first conductive layer 10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제 1 도전성층 (10) 의 테두리에 형성되어 있는 아이들영역 (117) 에 제 2 도전성층 (20) 이 터치하는 경우에도 전기적 신호가 스마트기기 (110) 의 디스플레이부 (118) 에 전달되지 못하게 된다. 이는 각각의 아이들영역 (117) 의 면적이 좁기 때문에 충분한 전기적 플럭스가 저장이 되지 못하여 터치입력신호를 디스플레이부 (118) 에 전달하지 못하기 때문이다.Even when the second conductive layer 20 touches the idle area 117 formed on the edge of the first conductive layer 10 of the present invention, an electrical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display unit 118 of the smart device 110 It will not be possible. This is because, since the area of each idle area 117 is small, sufficient electrical flux cannot be stored and the touch input signal cannot be transmitted to the display unit 118.

본 발명에 따른 아이들 영역 (117) 을 구성한 이유는, 도 12 에 도시된 것을 참조하면, 실제 생산공정에서 제작된 제 1 도전성층 (10) 이 증착된 제 1 보강층 (18) 의 제품을 살펴보면 제 1 도전성층 (10) 외각 테두리를 따라 의도하지 않게 ITO 도전성 물질이 증착되게 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된 도전성부 (11) 가 되기 때문에 아이들 영역 (117) 을 구성하여 아이들 영역 (117) 에 이웃하는 제 1 도전성층 (10) 의 내부의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의 모양을 가지는 도전성부 (10) 의 셀들이 각각 전기적으로 오픈이 되게 하기 위해서다.The reason for configuring the idle region 117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referring to FIG. 12, when looking at the product of the first reinforcing layer 18 on which the first conductive layer 10 manufactured in the actual production process is deposited. 1 Since the ITO conductive material is unintentionally deposited along the outer edge of the conductive layer 10 to become the electrically connected conductive part 11, the idle area 117 is configured to form the first conductivity adjacent to the idle area 117. This is to make the cells of the conductive portion 10 having a rectangular or square shape inside the layer 10 electrically open, respectively.

본 발명에 따른 제 1 도전성층 (10) 을 제작하는 공정을 살펴보면, 제 1 도전성층 (10) 만을 별도로 제작을 하기는 극히 힘이 들고, 실제적으로는 미세한 두께를 가지는 유리 또는 PET 필름으로 구성된 제 1 보강층 (18) 을 가지고 보호필름의 형상을 재단하고, 그 위에 ITO 물질을 증착시켜서 제 1 도전성층 (10) 이 증착된 제 1 보강층 (18) 을 함께 생산하게 된다. Looking at the process of manufacturing the first conductive layer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extremely difficult to separately manufacture only the first conductive layer 10, and in reality, it is made of glass or PET film having a fine thickness. 1 The shape of the protective film is cut with the reinforcing layer 18, and an ITO material is deposited thereon to produce the first reinforcing layer 18 on which the first conductive layer 10 is deposited.

도전성의 ITO 물질을 증착하는 과정에서 제 1 도전성층 (10) 외각 테두리의 측면부분에 도전성의 ITO 물질이 의도하지 않게 증착이 되고, 이로 인하여 도 4 의 제 1 도전성층 (10) 의 외곽테두리 부분이 전기적으로 단락이 되게 제작이 된다.In the process of depositing a conductive ITO material, a conductive ITO material is unintentionally deposit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outer edge of the first conductive layer 10, and as a result, the outer edge of the first conductive layer 10 in FIG. 4 It is made to be electrically shorted.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아이들 영역 (117) 을 제작하여 상기 아이들 영역 (117) 과 근접한 제 1 도전성층 (10) 의 내부의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의 모양을 가지는 도전성부 (10) 의 셀들이 각각 전기적으로 오픈이 되게 하기 위해서다.Therefore, by fabricating the idle area 117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ells of the conductive part 10 having a rectangular or square shape inside the first conductive layer 10 adjacent to the idle area 117 are electrically opened. To make this happen.

만일 본 발명에 따른 아이들 영역 (117) 을 형성하지 않는다면 제 1 도전성층 (10) 의 외측 테두리부분과 이웃하고 있는 도전성부 (11) 는 의도하지 않게 전기적으로 단락이 되어 터치입력시 제대로된 터치입력신호가 전달되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을 하기 쉽다.If the idle region 117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formed, the conductive portion 11 adjacent to the outer edge portion of the first conductive layer 10 is unintentionally shorted, and a proper touch input signal is performed during touch input. It is easy to have a problem that is not transmitted.

도 13 은 도 7 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비전도성 물체로 터치입력이 가능한 스마트기기용 보호필름에서 제 2 도전성층의 다른 실시예의 패턴화된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13 is a plan view showing a patterned structure of another embodiment of a second conductive layer in the protective film for a smart device capable of a touch input with a non-conductive obj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7.

도 13 을 참조하면, 제 2 도전성층 (20) 의 도전성부 (21) 가 종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또 다른 실시예이다. Referring to FIG. 13, it is another embodiment in which the conductive portion 21 of the second conductive layer 20 i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도 14 는 도 7 에 도시된 제 2 도전성층이 비전도성 물체로 눌렸을때 실제적으로 눌리는 모양을 이상적으로 눌리는 모양과 비교한 도면이다. FIG. 14 is a view in which the second conductive layer shown in FIG. 7 is actually pressed when pressed by a non-conductive object, compared with the ideally pressed shape.

도 14 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볼펜 등의 비전도성 물체를 이용하여 제 2 도전성층 (20) 을 누르게 되면, (b) 와 같이 제 2 도전성층 (20) 의 특정 지점만 움푹들어가게 눌리는 것이 아니라, 실제로는 (a) 와 같이 제 2 도전성층 (20) 이 곡선형으로 넓은 면적이 눌리게 된다.Referring to FIG. 14, when a user presses the second conductive layer 20 using a non-conductive object such as a ballpoint pen, not only a specific point of the second conductive layer 20 is pressed in a recess as shown in (b), Actually, as shown in (a), the second conductive layer 20 is curved and a large area is pressed.

본 발명에 따른 제 2 도전성층 (20) 의 도전성부 (21) 를 종방향 또는 횡방향으로만 구성되도록 제작한 한 경우가 본 발명에 따른 보호필름 위를 눌렸을 경우에 정확하게 터치입력을 스마트기기의 터치패널이 전달할 수 있다. In the case where the conductive part 21 of the second conductive layer 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to be configured onl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r the transverse direction, when the protective fil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essed, the touch input is accurately applied to the smart device. The touch panel of can deliver.

도 15 는 본 발명에 따른 비전도성 물체로 터치입력이 가능한 스마트기기용 보호필름에서 제 2 도전성층의 패턴화된 선모양의 도전성부에 도트가 형성된 구성의 확대도이다.15 is an enlarged view of a configuration in which dots are formed on a patterned line-shaped conductive portion of a second conductive layer in a protective film for a smart device capable of touch input with a non-conductive obj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5 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제 2 도전성층 (20) 의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된 돌출된 선 모양의 도전성부 (21) 상에 도전성 물질로 구성된 도트(dot) (221) 가 일정한 간격마다 형성되어 있다. Referring to FIG. 15, dots 221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ar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on the protruding linear conductive portions 21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of the second conductive layer 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가 볼펜 등의 비전도성 물체를 이용하여 제 2 보강층 (28) 을 눌러서 제 2 도전성층 (20) 의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된 돌출된 선 모양의 도전성부 (21) 를 제 1 도전성층 (10) 의 도전성부 (11) 와 접촉시키는 경우에 더욱더 정확하게 터치입력을 스마트기기의 터치패널이 전달할 수 있다.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presses the second reinforcing layer 28 using a non-conductive object such as a ballpoint pen to form the protruding linear conductive portions 21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of the second conductive layer 20 as a first conductive layer. In the case of contacting the conductive part 11 of (10), the touch panel of the smart device can transmit the touch input more accurately.

본 발명에 따른 도트 (221) 를 선 모양의 도전성부 (21) 상에 구성하기 위하여, 제 2 도전성층 (20) 에 도 7 또는 도 13 과 같은 패턴을 형성한 후, 다수개의 줄로 형성된 선모양의 도전성부 (21) 위에 도전성 잉크 (SILVER PASTE, PE-DOT 등)를 이용하여 더욱 향상된 정확한 인식률과 감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최소 1mm ~ 최대 5mm 간격으로 도트 (221) 를 보강 인쇄해서 형성한다.In order to configure the dot 22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n the line-shaped conductive portion 21, after forming a pattern as shown in Fig. 7 or 13 on the second conductive layer 20, a line shape formed of a plurality of lines Dots 221 are reinforced and printed at intervals of at least 1mm to max. 5mm in order to improve more accurate recognition rate and sensitivity by using conductive ink (SILVER PASTE, PE-DOT, etc.) on the conductive part 21 of

상기와 같이 선모양의 도전성부 (21) 위에 도전성물질로 구성된 도트 (221) 를 형성함으로 사용자가 본 발명에 따른 보호필름을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패널위체 부착시킨후 터치입력을 하게 되면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 패널에 문자 인식을 더욱더 정확하게 하고, 눌렀을때의 감도를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지게 한다.By forming a dot 221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on the line-shaped conductive part 21 as described above, when a user attaches the protective fil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n the display panel of a smartphone and then touch input, the display of the smartphone It makes character recognition on the panel more accurate and has the effect of improving the sensitivity when pressed.

도 16 은 도 15 의 (b) 의 제 2 도전성층의 패턴화된 선모양의 도전성부에 도트가 형성된 구성의 확대도 및 A-A' 부분을 절단하여 측면에서 바라본 요약된 측면 절단면도이다.FIG. 16 is an enlarged view of a configuration in which dots are formed in a patterned linear conductive portion of the second conductive layer of FIG. 15B and a summary side sectional view taken from the side by cutting A-A'.

도 16 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제 2 도전성층 (20) 을 선모양으로 패턴화하고, 각각의 선모양의 도전성부 (21) 의 아래부분에 도전성물질로 구성된 도트 (221) 가 인쇄기법에 의해 일정한 간격마다 구성되어 있다.Referring to FIG. 16, the second conductive layer 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atterned in a line shape, and a dot 221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is formed at the lower portion of each line-shaped conductive portion 21. It is configured at regular intervals by

본 발명에 따른 보호필름을 이용하는 사용자가 손가락 등으로 제 2 도전성층 (20) 을 누르게 되면 선모양의 도전성부 (21) 및 도전성부 (21) 의 아래부분에 도전성물질로 구성된 도트 (221) 부분도 제 1 도전성층 (10) 의 도전성부 (11) 와 함께 접촉된다. When a user using the protective fil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esses the second conductive layer 20 with a finger, etc., the linear conductive part 21 and the dot 221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under the conductive part 21 It is in contact with the conductive portion 11 of the first conductive layer 10.

본 발명에 따른 도트 (221) 부분의 구성을 더 추가함으로 인하여, 사용자가 본 발명의 보호필름을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부 (118) 에 밀착시켜서 사용하는 경우에 문자의 입력에 더욱 정확하고, 또한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부 (118) 상에서의 정보입력에 대한 민감도가 더욱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Due to the addition of the configuration of the dot 221 pa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user uses the protective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in close contact with the display unit 118 of the smartphone, it is more accurate and smart The sensitivity to information input on the display unit 118 of the phone is further increased.

본 발명의 마이크로 도트의 성분은 도전성을 가진 잉크를 배합하여 약 3~20um정도의 높이를 형성하고 있다. 이 마이크로 도트의 기능은 제 1 도전성층에서 모아져 있는 전기적 플럭스를 미세한 마이크로도트를 통하여 전달된 전기적 플럭스를 제 2 도전성 패턴층으로 이동시켜주고 제 2 도전성 패턴층의 선을 따라 외곽으로 이동시켜줘서 외곽에서 상쇄되는 기능을 한다.The component of the micro do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with a height of about 3 to 20 μm by mixing an ink having conductivity. The function of this micro-dot is to move the electrical flux collected in the first conductive layer through the fine micro-dots to the second conductive pattern layer and move it to the outer side along the line of the second conductive pattern layer. It functions to be offset from.

도 17 내지 도 22 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비전도성 물체로 터치입력이 가능한 스마트기기용 보호필름의 제작방법이 도시된다. 도 17 내지 도 22 에 도시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비전도성 물체로 터치입력이 가능한 스마트기기용 보호필름의 구성은 테두리접착층 (30) 위에 접착되는 PET Film 으로 구성된 보강층 (36) 이 더 구비되는 구성만 다르고, 다른 구성요소들의 구성은 도 1 내지 도 16 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구성과 동일하다.17 to 22 illustrate a method of manufacturing a protective film for a smart device capable of a touch input using a non-conductive objec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figuration of the protective film for a smart device capable of touch input with a non-conductive objec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S. 17 to 22 includes a reinforcing layer 36 composed of a PET film adhered on the edge adhesive layer 30. Only the configurations provided are different, and the configurations of the other components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components shown in FIGS. 1 to 16.

도 17 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비전도성 물체로 터치입력이 가능한 스마트기기용 보호필름을 제작하는 제 1 단계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17 is a side view showing a first step of manufacturing a protective film for a smart device capable of touch input using a non-conductive objec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7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비전도성 물체로 터치입력이 가능한 스마트기기용 보호필름은 도전성부 (11) 가 형성된 제 1 도전성층 (10) 의 테두리에 양면테이프와 같은 테두리접착층 (30) 이 접착되게 부착되고, 본 발명의 테두리접착층 (30) 위에는 접착성분이 없는 PET film 으로 구성된 보강층 (36) 에 접착된다.Referring to FIG. 17, a protective film for a smart device capable of a touch input with a non-conductive objec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ouble-sided tape on the edge of the first conductive layer 10 on which the conductive part 11 is formed. The edge adhesive layer 30 is adhered to be adhered, and on the edge adhesive layer 3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dhered to a reinforcing layer 36 composed of a PET film without an adhesive component.

도 18 및 도 19 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비전도성 물체로 터치입력이 가능한 스마트기기용 보호필름을 제작하는 제 2 단계 및 제 3 단계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18 and 19 are side views showing a second step and a third step of manufacturing a protective film for a smart device capable of a touch input with a non-conductive objec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8 및 도 19 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보강층 (36) 의 바깥쪽 부분 (37) 은 절단하여 제거시킨다. 18 and 19, the outer portion 37 of the reinforcing layer 36 of the present invention is removed by cutting.

도 20 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비전도성 물체로 터치입력이 가능한 스마트기기용 보호필름을 제작하는 제 3 단계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20 is a side view showing a third step of manufacturing a protective film for a smart device capable of a touch input using a non-conductive objec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0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 도전성층 (20, 21) 을 접착물질이 전혀 도포되어 있지 않은 바깥쪽 부분 (37) 이 절단되어 제거된 보강층 (36) 위에 배치시킨다.Referring to FIG. 20, the second conductive layers 20 and 21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isposed on the reinforcing layer 36 from which the outer portion 37 to which no adhesive material is applied is cut and removed.

그리고 화살표 방향 부분인 본 발명의 제 2 도전성층 (20, 21) 의 테두리 부분을 눌러서 양면테이프인 테두리 접착층 (30) 에 본 발명의 제 2 도전성층 (20, 21) 의 테두리 부분이 접착되게 구성한다. And by pressing the edge portion of the second conductive layer (20, 21)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the edge portion of the second conductive layer (20, 21)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dhered to the edge adhesive layer (30), which is a double-sided tape. do.

도 21 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비전도성 물체로 터치입력이 가능한 스마트기기용 보호필름을 제작하는 제 1 단계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21 is a side view showing a first step of manufacturing a protective film for a smart device capable of a touch input using a non-conductive objec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1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 도전성층 (20, 21) 의 테두리 부분은 눌려져서 양면테이프인 테두리 접착층 (30) 에 부착된다. 동시에 접착성분이 전혀 도포되어 있지 않은 PET film 으로 구성된 보강층 (36) 의 두께만큼 올려지게 되는 C 부분 때문에 제 2 도전성층 (20, 21) 은 제 1 도전성층 (10) 에 대해 바깥쪽 방향으로 미세하게 볼록하게 구성된다.Referring to FIG. 21, the edge portions of the second conductive layers 20 and 21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ressed and attached to the edge adhesive layer 30, which is a double-sided tape. At the same time, the second conductive layers 20 and 21 are finely moved outward with respect to the first conductive layer 10 because of the portion C that is raised by the thickness of the reinforcing layer 36 composed of PET film to which no adhesive component is applied. It is configured to be convex.

상기와 같이, PET film 으로 구성된 보강층 (36) 의 두께만큼 올려지게 되는 C 부분 때문에 제 2 도전성층 (20, 21) 이 제 1 도전성층 (10) 에 대해 바깥쪽 방향으로 미세하게 볼록하게 구성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장갑을 낀 손가락, 볼펜 등으로 제 2 도전성층 (20) 을 누르고 나면 제 2 도전성층 (20) 의 표면이 즉각적으로 원상태로 회복이 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second conductive layers 20 and 21 are finely convex in the outward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first conductive layer 10 because of the portion C that is raised by the thickness of the reinforcing layer 36 composed of PET film. Therefore, after the user presses the second conductive layer 20 with a gloved finger or a ballpoint pen, the surface of the second conductive layer 20 is immediately restored to its original state.

본 발명에서 제 1 도전성층 (10) 과 제 2 도전성층 (20) 사이의 빈공간의 길이는 매우 미세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제 2 도전성층 (20) 을 누르고, 누름을 해제한 경우에도 제 2 도전성층 (20) 이 계속 제 1 도전성층 (10) 과 접촉하는 문제점이 있었는데, 이러한 문제점을 테두리접착층 (30) 의 안쪽 위에 보강층 (36) 을 설치하고, 보강층 (36) 에 의해 제 2 도전성층 (20) 이 미세하게 볼록한 형상을 유지하도록 하여 해결하였다.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length of the empty space between the first conductive layer 10 and the second conductive layer 20 is very fine, even when the user presses and releases the second conductive layer 20, the second conductive layer is There was a problem in that the layer 20 continues to contact the first conductive layer 10. This problem is solved by providing a reinforcing layer 36 on the inside of the edge bonding layer 30, and using the reinforcing layer 36 to provide a second conductive layer ( 20) This was solved by maintaining the finely convex shape.

도 22 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비전도성 물체로 터치입력이 가능한 스마트기기용 보호필름에서 제 1 도전성층과 제 2 도전성의 테두리를 서로 부착되는 테두리 접착층과 보강층의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이다.22 is a plan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n edge adhesive layer and a reinforcing layer in which a first conductive layer and a second conductive edge are attached to each other in a protective film for a smart device capable of touch input with a non-conductive objec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도 22 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도전성층 (10) 과 제 2 도전성층 (20) 사이의 공간에 공기가 유입되게 하고 유출되게 하는 구멍인 개구 (34) 가 도 9 와는 달리 1개만 형성되어 있다. Referring to FIG. 22, unlike FIG. 9, only one opening 34, which is a hole for allowing air to flow in and out of the space between the first conductive layer 10 and the second conductive layer 2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Has been.

이는 테두리접착층 (30) 의 안쪽 위에 보강층 (36) 을 설치되고, 보강층 (36) 에 의해 제 2 도전성층 (20) 이 미세하게 볼록한 형상을 유지하는 구성하에서는 개구 (34) 가 1개만 형성이 된 경우에 본 발명의 제 1 도전성층 (10) 과 제 2 도전성층 (20) 사이의 공간에 공기의 유입과 유출이 원할하게 되기 때문이다.In this configuration, a reinforcing layer 36 is provided on the inside of the edge bonding layer 30, and only one opening 34 is formed under 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second conductive layer 20 maintains a finely convex shape by the reinforcing layer 36. This is because the air in and out of the space between the first conductive layer 10 and the second conductive layer 2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mooth.

본 발명은 별도의 전원공급이 필요한 것이 아닌 미세 전기적 신호를 통하여그것을 제 1 도전성 층에서 전달을 받고, 모아 두었다가 마이크로 도트를 통하여 이 전기적 신호를 상측 제 2도전성층의 선 패턴부를 통하여 외곽으로 전달을 하고이를 바탕으로 외곽에서 방출을 하는 시스템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transmitted from the first conductive layer through a microelectric signal that does not require a separate power supply, is collected, and transmitt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line pattern portion of the upper second conductive layer. It is a system that emits from the outside based on this.

또한 제 1 도전성층과 제 2 도전성층에서 공기층인 에어갭을 형성시키는 부분에서 개구부만을 형성하는 것이 아니라 상세하게는 공기로 구성된 공기단층을 구성하여 이 단층을 통하여 계속적으로 제 1 도전성층과 제 2 도전성층이 접촉하지 않은 상태를 원할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한것이다.In addition, in the portion of the first conductive layer and the second conductive layer forming the air gap, which is an air layer, not only an opening is formed, but in detail, an air single layer composed of air is formed, and the first conductive layer and the second conductive layer are continuously formed through the single layer. This is to ensure that the conductive layer is smoothly maintained in a non-contact state.

본 발명에 따른 비전도성 물체로 터치입력이 가능한 스마트기기용 보호필름 (100) 은 사용자가 장갑을 낀 손이나 볼펜과 같은 부도체 팁을 사용하는 비정전 용량형 터치 입력 및 조작이 이루어지는 경우에도 휴대용통신기기의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된 디스플레이부에 대하여 정보입력이나 조작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The protective film 100 for a smart device capable of touch input with a non-conductive obj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even when the user performs a non-capacitive touch input and manipulation using a non-conductive tip such as a gloved hand or a ballpoint pen. This is to enable information input or manipulation to a display unit composed of a touch screen of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보호필름은 별도의 악세서리 제품으로 제작되어 스마트폰 등의 터치패널이 설치되어 있는 스마트기기 (110) 의 디스플레이부 (118) 에 밀착되게 사용할 수가 있고, 또한,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작하는데 있어서, 디스플레이 패널의 터치패널 위에 원천적으로 탑재되게 하여 스마트폰을 제작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protective fil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in close contact with the display unit 118 of the smart device 110 on which a touch panel such as a smart phone is installed, and is manufactured as a separate accessory product. In manufacturing the panel, it is possible to manufacture a smartphone by being originally mounted on the touch panel of the display panel.

또한, 본 발명은 스마트폰외에도 터치패널이 설치되어 있는 냉장고, 밥솥, TV, 모니터, 사물인터넷 기기 등에 설치하여 사용할 수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nstalled and used in refrigerators, rice cookers, TVs, monitors, IoT devices, etc. in which a touch panel is installed in addition to a smartphone.

이외에도 본 발명에 비전도성 물체로 터치입력이 가능한 스마트기기용 보호필름은 스마트폰 등의 스마트기기 (110) 의 보호하기 위해 사용하는 휴대폰 케이스의 열고 닫는 커버로 사용이 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otective film for a smart device capable of touch input with a non-conductive object i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sed as an opening and closing cover of a mobile phone case used to protect the smart device 110 such as a smart phone.

또한, 본 발명은 전자파 차단효과가 있고 미세한 물체로도 터치할 수 있도록 강화시킨 정전용량형 터치스크린용 악세서리로써 이를 휴대용 기기의 터치스크린 전면에 구비하였을때 모바일 기기의 전자파를 효과적으로(30%) 감소시켜는 효과를 가진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n accessory for a capacitive touch screen that has an electromagnetic wave blocking effect and is reinforced so that it can be touched with a fine object. When it is provided on the front of the touch screen of a portable device, the electromagnetic wave of the mobile device is effectively reduced (30%). It has the effect of letting go.

10: 제 1 도전성층 11, 21: 도전성부
13, 23: 비도전성부 18: 제 1 보강층
20: 제 2 도전성층 28: 제 2 보강층
30: 테두리 접착층
100: 보호필름
110: 스마트기기 118: 디스플레이부
10: first conductive layer 11, 21: conductive portion
13, 23: non-conductive portion 18: first reinforcing layer
20: second conductive layer 28: second reinforcing layer
30: border adhesive layer
100: protective film
110: smart device 118: display unit

Claims (5)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로 정보의 입력이 수행되는 디스플레이 패널에 비정전용량형 터치방식에 의한 정보의 입력을 수행하는 비전도성 물체로 터치입력이 가능한 보호필름으로,
제 1 보강층;
상기 제 1 보강층 위에 결합되는 제 1 도전성층;
상기 제 1 도전성층 위에 위치하는 제 2 도전성층; 및
상기 제 2 도전성층 위에 결합되는 제 2 보강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도전성층과 상기 제 2 도전성층의 마주보는 안쪽 테두리는 테두리 접착층에 의해 결합되고,
상기 제 1 도전성층은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이 배치되는 격자무늬 모양이 형성되고, 각각의 격자무늬의 경계선은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지 못하는 비도전성부를 형성하고, 상기 비도전성부인 경계선을 제외한 부분에는 도전성물질로 구성된 도전성부를 형성하고, 상기 각각의 도전성부는 전기적으로 서로 오픈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전도성 물체로 터치입력이 가능한 보호필름.
A protective film capable of touch input as a non-conductive object that inputs information by a non-capacitive touch method to a display panel where information is input by a capacitive touch method,
A first reinforcing layer;
A first conductive layer coupled over the first reinforcing layer;
A second conductive layer positioned on the first conductive layer; And
Comprising a second reinforcing layer bonded on the second conductive layer,
The inner edge facing each other of the first conductive layer and the second conductive layer is bonded by an edge adhesive layer,
The first conductive layer has a grid pattern in which a rectangle or square is arranged, a boundary line of each grid pattern forms a non-conductive part that does not transmit an electrical signal, and a part except for the boundary line, which is the non-conductive part, is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A protective film capable of touch input with a non-conductive object, characterized in that the formed conductive portion is formed, and the conductive portions are electrically opened to each oth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도전성층은 길이방향에 대해 좌우로 연장된 선모양의 도전성부를 형성하고, 상기 선모양의 도전성부는 도전성 물질로 구성되고, 상기 도전성부의 테두리영역에는 도전성물질이 구성되고, 상기 선모양의 도전성부는 상기 테두리영역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전도성 물체로 터치입력이 가능한 보호필름.
The method of claim 1,
The second conductive layer forms a line-shaped conductive portion extending left and right in a longitudinal direction, the line-shaped conductive portion is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and a conductive material is formed in an edge region of the conductive portion, and the line-shaped conductive portion is formed of a conductive material. A protective film capable of touch input with a non-conductive object,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ductive part of is configured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dge region.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도전성층의 각각의 선모양의 도전성부의 사이의 길이는 상기 제 1 도전성층의 각각의 도전성부의 세로 길이보다 짧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전도성 물체로 터치입력이 가능한 보호필름.
The method of claim 2,
A protective film capable of touch input with a non-conductive object, characterized in that the length between the respective linear conductive portions of the second conductive layer is shorter than the vertical length of each conductive portion of the first conductive lay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테두리 접착층에는 2 개의 개구가 상하 또는 좌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전도성 물체로 터치입력이 가능한 보호필름.
The method of claim 1,
A protective film capable of touch input by a non-conductive object, characterized in that two openings are formed in the upper and lower or left and right sides of the edge adhesive lay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도전성층의 도전성부상에는 도전성 물질로 구성된 다수개의 도트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전도성 물체로 터치입력이 가능한 보호필름.
The method of claim 1,
A protective film capable of touch input with a non-conductive object,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dots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are formed on the conductive portion of the first conductive layer.
KR1020190065312A 2019-06-03 2019-06-03 Protective Film for Touch Input by Non-Conductive Material KR20200138936A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5312A KR20200138936A (en) 2019-06-03 2019-06-03 Protective Film for Touch Input by Non-Conductive Material
PCT/KR2020/007236 WO2020246810A1 (en) 2019-06-03 2020-06-03 Smart device protective film enabling touch input through non-conductive objec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5312A KR20200138936A (en) 2019-06-03 2019-06-03 Protective Film for Touch Input by Non-Conductive Materia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8936A true KR20200138936A (en) 2020-12-11

Family

ID=736530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5312A KR20200138936A (en) 2019-06-03 2019-06-03 Protective Film for Touch Input by Non-Conductive Material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00138936A (en)
WO (1) WO2020246810A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7659B1 (en) 2013-01-29 2015-07-22 오영호 Laminated film for touch screen, mobile device and protective case us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7692B1 (en) * 2008-11-11 2015-07-20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US9538654B2 (en) * 2013-03-30 2017-01-03 Shenzhen O-Film Tech Co., Ltd. Conductive film,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touch screen including the same
KR20150093280A (en) * 2014-02-06 2015-08-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Display device
KR101669342B1 (en) * 2014-12-24 2016-10-25 오영호 Touch screen and laminated film for detecting touch input of capacitive overlay and pressurization
KR20170085408A (en) * 2016-01-14 2017-07-24 박윤배 Protective Film for Touch Input
KR102070588B1 (en) * 2017-12-06 2020-01-29 이영수 Protective Film for Touch Input by Non-Conductive Material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7659B1 (en) 2013-01-29 2015-07-22 오영호 Laminated film for touch screen, mobile device and protective case us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246810A1 (en) 2020-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98131B2 (en) Touch control device
US8666456B2 (en) Handheld electronic apparatus
TWI465964B (en) Touch keyboard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US20120050165A1 (en) Keyboard pad for touch screen
US20090315853A1 (en) Multi-induced touchpad
KR101274945B1 (en) Projected capacitive touch pane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CN114616538A (en) Keyboard with a keyboard body
US20170371449A1 (en) Touch-sensing electronic device with press-sensing function
KR20170085408A (en) Protective Film for Touch Input
KR102070588B1 (en) Protective Film for Touch Input by Non-Conductive Material
CN113778260A (en) Touch indication cover plate and electronic device applying same
KR101462147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Touch screen having mesh patterned electrode including sub-electrode line
TWI616900B (en) Dielectric substrate structure for 4-wire type touch pane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2393433B1 (en) Protective Film for Touch Input by Non-Conductive Material
KR20200138936A (en) Protective Film for Touch Input by Non-Conductive Material
KR101191145B1 (en) Touch film for capacitive type touchscreen, touchscreen comprising and mobile device comprising the same
US20070146329A1 (en) Touch keyboard
KR101721336B1 (en) Protective Film for Touch Input by Non-Conductive Material
CN211062023U (en) Touch display module with three-dimensional touch points
TWI545483B (en) Touch panel with a function of fingerprint identification
TWI683240B (en) Touch sensing apparatus
CN110597404B (en) Touch control device
US20150169098A1 (en) Touch panel, touch display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ouch panel
US20090065335A1 (en) Multi-functional keypad module for a mobile phone
CN207182259U (en) Touch screen type keyboar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