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30080A - 덴쳐용 어태치먼트 - Google Patents

덴쳐용 어태치먼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30080A
KR20200130080A KR1020200018301A KR20200018301A KR20200130080A KR 20200130080 A KR20200130080 A KR 20200130080A KR 1020200018301 A KR1020200018301 A KR 1020200018301A KR 20200018301 A KR20200018301 A KR 20200018301A KR 20200130080 A KR20200130080 A KR 202001300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ing part
denture
attachment
elastic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83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형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덴플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덴플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덴플렉스
Priority to US16/832,813 priority Critical patent/US20200352684A1/en
Priority to KR1020200146063A priority patent/KR102443125B1/ko
Publication of KR202001300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008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57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elastic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93Features of im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C8/0095Total denture impla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225Fastening prostheses in the mouth
    • A61C13/265Sliding or snap attach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225Fastening prostheses in the mouth
    • A61C13/30Fastening of peg-teeth in the mou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53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angular adjustment means, e.g. ball and socket joi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74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external threa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86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with shock absorb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덴쳐용 어태치먼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틀니에 결합된 제1 체결부와, 자연치나 임플란트 고정체 상부쪽에 구비된 제2 체결부를 간단한 조작에 의해 착탈시킬 수 있음은 물론, 틀니에 교합력이 지속적으로 가해질 경우에도 어태치먼트 자체의 탄성살대 구조에 의해 전달되는 힘을 완충시킬 수 있고, 그 결과 어태치먼트의 수명 뿐만 아니라 임플란트 고정체 또는 자연치 치근의 수명까지도 연장시킬 수 있으며, 또한 기존 어태치먼트 대비 현저하게 적은 부피로도 보다 우수한 성능을 발휘하며, 내구성 또한 우수한 덴쳐용 어태치먼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덴쳐용 어태치먼트{ATTACHMENT DEVICE FOR DENTURE}
본 발명은 덴쳐용 어태치먼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틀니에 결합된 제1 체결부와, 자연치나 임플란트 고정체 상부쪽에 구비된 제2 체결부를 간단한 조작에 의해 착탈시킬 수 있음은 물론, 틀니에 교합력이 지속적으로 가해질 경우에도 어태치먼트 자체의 탄성살대 구조에 의해 전달되는 힘을 완충시킬 수 있고, 그 결과 어태치먼트의 수명 뿐만 아니라 임플란트 고정체 또는 자연치 치근의 수명까지도 연장시킬 수 있으며, 또한 기존 어태치먼트 대비 현저하게 적은 부피로도 보다 우수한 성능을 발휘하며, 내구성 또한 우수한 덴쳐용 어태치먼트에 관한 것이다.
틀니는 영구치아의 손상을 대체하는 치료방법의 일종으로서, 임플란트 형태의 인공치아에 비해 경제적 부담이 적어 널리 이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틀니는 사용자의 잇몸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서, 예컨데, 틀니를 세척하거나 취침할 때는 잇몸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고, 음식물의 섭취나 외출을 할 때는 잇몸에 결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틀니의 유지력은 틀니용 어태치먼트에 의해 보강되어지는데, 종래 틀니용 어태치먼트는 인체의 치조골에 식립된 고정체(fixture)의 상부쪽에 위치되는 제2 체결부와, 틀니의 저면부에 매립된 부위의 제1 체결부가 상호 착탈되는 구조로서, 그 체결방식은 일반적으로 제2 체결부는 금속으로 구성되고 틀니 저면에 결합되어 있는 제1 체결부는 금속으로 된 하우징내의 좁은 공간에 플라스틱이나 고무링과 같은 폴리머를 위치시켜 플라스틱이나 고무링의 탄성력을 이용한 체결방식이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틀니용 어태치먼트에 있어서는 고정체(fixture) 일측에 위치되는 금속으로 된 제2 체결부와 틀니 저면에 매립된 금속 하우징내의 좁은 공간에 플라스틱이나 고무로 이루어진 탄성체가 위치되어진 제1 체결부가 착탈되기 때문에, 틀니 사용시간이 증가할수록 플라스틱이나 고무재질의 마모가 발생하고, 틀니에 가해지는 다양한 방향의 교합력에 의해 틀니의 위치가 계속 변화되면서 지속적으로 어태치먼트에 응력을 가하여, 플라스틱 또는 고무와 같은 폴리머 재질이 파손되는 등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틀니 사용시간이 증가할수록, 제1 체결부의 금속 하우징내에 있는 플라스틱이나 고무링의 마모에 의해서 틀니 착용상태에서 틀니가 잇몸에 견고하게 고정되지 못하고 흔들리는 등 착용 견고성이 저하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나아가, 상기 종래기술은, 제1 체결부의 금속 하우징내에 있는 아주 작은 사이즈의 플라스틱이나 고무가 탄성적 변형한계 내에서 발휘할 수 있는 완충기능의 재질적 한계로 인해, 상기 틀니를 착용한 상태에서 음식물을 씹을 때 발생하는 저작력이 상기 틀니에서부터 고정체로 직접 전달되게 되고, 이때 상기 저작력이 상기 고정체에 집중됨에 따라 어태치먼트 또는 고정체가 변형 및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이로 인해 어태치먼트의 유지보수가 자주 필요하여 불편하고 유지보수비용이 과다하게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일반적으로 틀니에 교합력이 가해지면, 틀니 저면과 접촉되어 있는 잇몸 부위가 압박을 받아 수축되고, 그 결과 잇몸 위에 놓인 틀니 위치 또한 수축된 만큼 잇몸 쪽으로 변위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한다. 이와 같이 교합력이 지속적으로 틀니에 가해져 틀니가 잇몸 쪽으로 계속 변위될 경우, 그러한 교합력이 어태치먼트 또는 고정체에 과도한 힘을 집중적으로 전달함으로써, 사용 수명을 단축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사용자가 간단한 조작에 의해 틀니를 착탈시킬 수 있음은 물론, 틀니에 저작력 또는 교합력이 지속적으로 가해질 경우에도 어태치먼트 자체의 구조적 특징에 의해 전달되는 힘을 완충시킬 수 있는 덴쳐용 어태치먼트가 요구된다.
또한, 종래의 어태치먼트는 틀니 저면에 매립되는 금속 하우징내의 좁은 공간에 플라스틱이나 고무링과 같은 비금속성의 폴리머를 장착하여 폴리머의 탄성을 이용하는 타입인데, 이러한 타입의 어태치먼트는 재질의 한계로 인해 틀니의 탈착에 필요한 충분한 탄성과 내구성을 얻기 힘들며, 일정 이상의 탄성과 내구성을 얻기 위해서는 많은 공간이 필요하므로, 보다 큰 부피의 금속 하우징이 필요하고, 이와 같은 금속 하우징을 틀니 저면에 매립시키면, 많은 경우 틀니의 협측 또는 설측으로 튀어나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충분한 탄성적 유지력과 내구성을 가지면서도 가능한한 부피가 작은 어태치먼트가 요구되었다.
종래의 어태치먼트의 또다른 문제점은 치조골에 복수개의 고정체를 식립하고 복수개의 고정체 상부에 대응부가 위치하고 틀니 저면에 이에 대응하는 체결부를 복수개 매립하고자 하였을 때, 즉 복수개의 어태치먼트를 사용하고자 하였을 때, 치조골에 식립된 고정체들의 식립각도가 서로 평행하지 않고 20도 이상 틀어져 있으면, 각각의 어태치먼트들이 체결될 수 있는 각도의 한계때문에, 고정체 상부에 위치하는 대응부를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스트레이트 타입(straight type)의 대응부로 사용할 수 없고, 별도의 경사진 지대주(angled abutment)라는 특수한 대응부를 사용하여, 많이 차이나는 식립각도를 보상해줘야 하는 번거러운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설령 경사진 지대주라는 특수한 대응부를 사용한다 하더라도 경사진 지대주가 모든 각도를 보상할 수 있도록 다양한 모든 각도별로 생산하는 게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고정체들의 식립각도가 많이 차이가 나더라도, 하나의 대응부로 해결할 수 있는 틀니용 어태치먼트가 요구되었다.
또다른 종래기술인 후크 체결방식은 틀니 저면에 매립되는 플랜지부로부터 잇몸까지의 거리가 너무 짧은 관계로 인해, 틀니 저면에 매립되는 플랜지부로부터 잇몸방향으로 단순 직선절개로 형성된 짧은 길이의 후크돌기로는 반복되는 틀니 탈착시 요구되는 충분하게 부드럽고 적절한 탄성력과 내구성 및 적절한 틀니 유지력을 얻기가 불가능하였으며, 이로 인해 반복되는 틀니 탈착에 의해 어태치먼트가 짧은 시간안에 급격히 탄성력을 잃게되고 틀니가 구강내에 장착된 상태에서 계속 가해지는 다양한 방향의 교합력에 의해 전후,좌우를 포함한 전방향으로의 틀니의 움직임을 일정부분 탄성적으로 완충시키는 완압(stress break) 기능 또한 발휘할 수 없어 짧은길이의 후크돌기의 영구변형이 오기가 쉬운 문제점과 완충되지 않은 교합력의 지속적충격으로 인해 고정체(fixture)의 수명도 짧아질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311250호 [2013년 9월 16일 등록]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2-0020405호 [2012년 3월 8일 공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틀니에 결합된 제1 체결부와, 자연치나 임플란트 고정체 상부쪽에 구비된 제2 체결부를 간단한 조작에 의해 착탈시킬 수 있음은 물론, 틀니에 교합력이 지속적으로 가해질 경우에도 어태치먼트 자체의 탄성살대 구조에 의해 전달되는 힘을 완충시킬 수 있고, 그 결과 어태치먼트의 수명 뿐만 아니라 제2 체결부가 결합되어 있는 임플란트 고정체 또는 자연치 치근의 수명까지도 연장시킬 수 있는 덴쳐용 어태치먼트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헬리칼 형태를 갖는 복수의 탄성살대들에 의해 어태치먼트 자체가 완충 기능을 가지도록 구성함으로써, 교합력에 의해 가해지는 응력이 완충되어 어태치먼트 또는 임플란트 고정체에 집중되지 않고, 나아가 수직 및 측방압에 의한 응력 또한 완충시킬 수 있는 덴쳐용 어태치먼트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적은 부피를 가지면서도 충분한 유지력과 내구성 및 탄성체결력을 갖는 덴쳐용 어태치먼트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한, 본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치조골에 식립된 복수개의 고정체(fixture)들의 식립각도가 서로 차이가 많이 나더라도, 별도의 경사진(angled) 제2 체결부가 필요없는 덴쳐용 어태치먼트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구강내에 안착되는 틀니(denture)의 유지력을 보강하기 위해 사용되는 틀니(denture)용 어태치먼트에 있어서, 틀니에 결합되는 제1 체결부, 및 치조골에 식립되어 있는 자연치나 임플란트 고정체(fixture) 상부쪽에 구비되어 상기 제1 체결부와 상호 결합되는 제2 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체결부와 제2 체결부 중 적어도 한 곳에는, 일정구간이 헬리칼 형태를 이루는 복수개의 탄성살대들이 내경 중심축(A)을 중심으로 외측 원주를 따라 구비되고, 단위의 탄성살대들 각각은 일단이 서로 연결되고 타단은 서로 분리되어, 타단이 외력에 의해 내경 중심축(A)을 기준으로 내측이나 외측으로 변형 되었다가 외력이 제거되면 원래 형태로 복원되는 탄성체결부를 구비하고, 이러한 탄성살대들의 탄성 복원 작용에 의해, 상기 제1 체결부와 상기 제2 체결부의 탄성적인 탈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복수개의 탄성살대들은 일정구간에서 헬리칼 형태를 갖고, 말단부에서 직선 형태를 갖는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헬리칼 형태를 갖는 복수개의 탄성살대들 외주면에는 탄성살대 보호하우징이 더 구비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탄성살대 보호하우징은 일정구간에서 보호하우징이 길이방향으로 접혀 길이가 짧아질 수 있도록, 원주를 따라 주름이 형성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헬리칼 형태를 갖는 복수개의 탄성살대들의 말단부가 형성하는 내경은 대응되어 체결되는 부위의 최대 외경보다 더 적다.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헬리칼 형태를 갖는 복수개의 탄성살대들이 모여 형성하는 탄성체결부 내경의 직경은 수직적 위치에 따라 변화된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체결부와 상기 제2 체결부가 결합될 때, 복수개의 탄성살대들로 둘러싸여 이루어진 제1 체결부의 축공저면과 제2 체결부 상단 사이에, 틀니의 수직적 위치변화 수용공간(B)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틀니에 결합된 제1 체결부와, 자연치나 임플란트 고정체 상부쪽에 구비된 제2 체결부를 간단한 조작에 의해 착탈시킬 수 있음은 물론, 틀니에 교합력이 지속적으로 가해질 경우에도 어태치먼트 자체의 탄성살대 구조에 의해 전달되는 힘을 완충시킬 수 있고, 결과적으로 어태치먼트의 수명 뿐만 아니라 제2 체결부가 결합되어 있는 임플란트 고정체 또는 자연치 치근의 수명까지도 연장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헬리칼 형태를 갖는 복수의 탄성살대들에 의해 어태치먼트 자체가 완충 기능을 가지도록 구성함으로써, 교합력에 의해 가해지는 응력이 완충되어 어태치먼트 또는 임플란트 고정체에 집중되지 않고, 나아가 수직 및 측방압에 의한 응력 또한 전체에 걸쳐 분산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고정체(fixture) 일면에 위치되는 제2 체결부나 틀니 저면에 매립되는 제1 체결부 중 적어도 한곳에, 일정구간이 헬리칼 형태를 이루는 복수개의 탄성살대들이 모여 형성하는 탄성체결부가 구비되고 상기 일정구간 헬리칼 형태를 이루는 탄성살대들의 개방되어 있는 말단부가 탄성살대들의 내경중심축(A)을 중심으로 내측이나 외측으로의 탄성적 움직임에 의한 탄성 체결력을 갖도록 함으로서, 직선형태로 탄성살대들을 형성하여 체결력을 갖도록 형성했을 때 보다 탄성살대의 길이를 최소 2.5배 이상 길게 늘릴 수 있어, 헬리칼 형태의 탄성살대의 영구변형없는 탄성적 변형양을 매우 크게할 수 있고, 그 결과 어태치먼트의 탄성적 내구성을 크게할 수 있고 부드러운 탈착력을 발휘할 수 있으며, 틀니에 다양한 방향의 교합력이 가해졌을 때 발생할 수 있는 전후좌우를 포함한 전방향으로의 틀니움직임을 일정부분 탄성적으로 허용할 수 있는 완압(stress break) 기능 또한 발휘할 수 있어 고정체(fixture)나 어태치먼트(attachment)의 수명을 연장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수직적으로 아주 짧은 거리를 갖는 덴쳐용 어태치먼트에서 나선형(spiral) 형태로 인해 얻어지는 충분한 탄성력과 이러한 충분한 탄성력으로 인해 어태치먼트의 제1 체결부와 제2 체결부를 폴리머 없이 금속으로만 구성할 수 있어서, 어태치먼트의 부피를 줄일 수 있고, 내마모성과 내구성이 우수한 반영구적인 어태치먼트를 얻을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이러한 영구변형없이 변형되었다 원상회복할 수 있는 탄성적 변형양이 커짐으로 인해, 탄성체결부에 대응 결합되는 부위를 구 또는 반구형태로 형성하면,고정체(fixture)들의 식립각도가 서로 45°가 넘더라도 별도의 경사진(angled) 제2 체결부 필요없이, 탈착될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덴쳐용 어태치먼트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덴쳐용 어태치먼트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덴쳐용 어태치먼트의 결합 사시도이고,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덴쳐용 어태치먼트의 결합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덴쳐용 어태치먼트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덴쳐용 어태치먼트의 결합 사시도이고, 도 4(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덴쳐용 어태치먼트의 결합 단면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제1 체결부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5(b)는 본 발명의 제1 체결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 체결부의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 체결부의 구조 및 그 제2 체결부에 대응되게 결합되는 제1 체결부의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살대들을 보호하기 위한 탄성살대 보호하우징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 체결부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0(a)는 도 9의 제2 체결부에 제1 체결부가 결합된 제1 체결 형태를 도시하고, 도 10(b)는 도 9의 제2 체결부에 제1 체결부가 결합된 제2 체결 형태를 도시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틀니의 수직적위치변화 수용공간"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덴쳐용 어태치먼트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1(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덴쳐용 어태치먼트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덴쳐용 어태치먼트의 결합 사시도이고,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덴쳐용 어태치먼트의 결합 단면도이다.
먼저, 도 1(a), 도 1(b),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덴쳐용 어태치먼트(100)는 구강내에 안착되는 틀니의 유지력을 보강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서, 잇몸과 접촉되는 틀니의 저면 부위에 결합되는 베이스부(10); 상기 베이스부(10) 하측으로 연장되며, 외측 원주를 따라 복수개의 탄성살대들(20a, 20b)이 하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제1 체결부(20); 및 치조골에 식립되어 있는 자연치 치근 상부 또는 임플란트 고정체(1)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1 체결부(20)와 상호 결합되는 제2 체결부(40)를 구비한다. 도 1(a) 및 도 1(b)에서는 제2 체결부(40)가 구비된 지대주(30)가 임플란트 고정체(1) 상부쪽에 결합된 것을 도시하고 있지만, 제2 체결부(40)는 다양한 방식으로 자연치 또는 임플란트 고정체 상부쪽에 구비될 수 있으며, 또 다르게는 치조골에 식립되는 고정체에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상기 베이스부(10)는 틀니의 저면 부위에 접착용 레진 등으로 고정된다. 상기 베이스부(10)는 틀니에 고정되는 제 기능만 할 수 있다면, 다양한 형상 및 형태로 제조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부(10)는 그 외측면의 적어도 하나의 부위에서 내측을 향해 움푹 패인 요홈부(12)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요홈부(12)는 3개의 만곡진 요홈들로 형성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개수 또는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어태치먼트를 틀니 저면에 결합시킬 때 사용하는 접착용 레진(resin)이 상기 요홈부(12)에도 충진되어, 레진의 부착 강도를 보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회전 방지 기능까지 가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1(a), 도 1(b),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체결부(20)는 상기 베이스부(10)의 하측으로 연장되며, 일정구간 헬리칼 형태를 이루는 복수개의 탄성살대들(20a, 20b)이 동일한 내경 중심축(A)을 중심으로 외측 원주를 따라 하방으로 돌출되게 구비된다. 바람직하게는, 단위의 탄성살대들(20a, 20b) 각각은 일단이 서로 연결되고 타단은 서로 분리되어, 타단이 외력에 의해 동일한 내경 중심축(A)을 기준으로 내측이나 외측으로 변형되었다가 외력이 제거되면 원래 형태로 복원되는 탄성체결부를 형성하고, 이러한 탄성살대들의 탄성 복원 작용에 의해, 상기 제1 체결부(20)와 상기 제2 체결부(40)의 탄성적인 탈착이 가능하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체결부(40)에도 헬리칼 형태를 이루는 복수개의 탄성살대들이 동일한 내경 중심축(A)을 중심으로 외측 원주를 따라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체결부(20)와 제2 체결부(40) 중 적어도 한 곳에는, 일정구간이 헬리칼 형태를 이루는 복수개의 탄성살대들이 동일한 내경 중심축(A)을 중심으로 외측 원주를 따라 구비될 수 있다.
도 1a를 참조하면, 상기 지대주(30)는 치조골에 식립되어 있는 자연치 치근 상부 또는 임플란트 고정체(10) 상부에 체결되며, 상부에는 상기 제1 체결부(20)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체결부(40)가 구비된다. 즉, 지대주(30)의 나사산(32)이 임플란트 고정체(10)의 축공내에 나사 결합되어 고정된다.
도 2(b)를 참조하면, 지대주(30)는 임플란트 고정체(1)에 나사결합되고, 지대주(30)의 상부에 돌출되게 형성된 제2 체결부(40)는 복수개의 탄성살대들(20a, 20b)로 둘러싸여 내측에 형성된 체결공간, 즉 제1 체결공에 결합된다. 즉, 사용자는 접착용 레진에 의해 틀니에 고정된 베이스부(10)로부터 연장된 제1 체결부(20)를 제2 체결부(40)의 상측에 대응되게 위치시킨 상태에서 틀니 전체를 하방으로 가압하는 간단한 조작만으로도, 딸깍하는 소리와 함께 용이하게 틀니를 잇몸 위에 장착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복수개의 탄성살대들(20a, 20b)로 이루어진 상기 제1 체결부(20)가 상기 제2 체결부(40)와 체결됨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탄성살대들(20a, 20b)은 동일한 내경 수직중심축(A)을 기준으로 외측 또는 내측으로 변형되었다가 체결완료 시 원상복원되는 탄성복원작용에 의해 상기 제2 체결부(40)에 탄성 체결된다. 경우에 따라서는 제2 체결부가 임플란트 고정체에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상기 제1 체결부(20)는 일정 구간에 걸쳐 헬리칼 형태를 갖는 복수개의 탄성살대들(20a, 20b)로 이루어지는데, 이러한 헬리칼 형태를 갖는 복수개의 탄성살대들(20a, 20b)은 그 자체가 완충 기능을 가져서, 교합력에 의해 가해지는 응력을 완충시킴은 물론, 수직 및 측방압에 의한 응력 또한 분산시키는 기능을 한다.
도 5(a)는 본 발명의 제1 체결부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5(b)는 본 발명의 제1 체결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바람직하게는,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탄성살대들(20a, 20b)은 제1 체결부(20)의 하측 말단까지 헬리칼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이 경우 인접하는 탄성살대들 사이에 헬리컬 형태의 간극(22)을 가진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탄성살대들(20a, 20b)은 일정 구간에서 헬리칼 형태를 갖고, 말단부에서 직선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이 경우 상부의 인접하는 탄성살대들 사이에서는 헬리컬 형태의 간극(22)을 가지며, 말단부 일정 구간에서는 수직 방향의 간극(24)을 가진다. 이와 같이, 특히 하부 개방되어 있는 말단부에서 수직 방향의 간극(24)으로 구성한 이유는 탄성살대들의 충분한 기계적 강도를 확보하기 위함이다. 만약, 탄성살대들이 도 5(a)와 같이 베이스부(10)에서부터 제1 체결부(20)의 하측 말단까지 헬리칼 형태로 구성될 경우, 특히 개방된 부위의 모서리 부분의 기계적 강도가 약해질 수 있음을 고려한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복수개의 탄성살대들이 제1 체결부(20)의 적어도 일정 구간에서 헬리칼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모든 구조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복수개의 탄성살대들(20a, 20b)의 외주면에는 탄성살대 보호하우징(5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탄성살대 보호하우징(50)은 베이스부(10)를 틀니의 저면부에 고정시킬 때 사용되는 접착용 레진 등이 제1 체결부(20)의 탄성살대들(20a, 20b) 사이로 스며드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베이스부(10)에 일체형으로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 베이스부 고정 작업이 끝난 후 제거할 수 있도록 분리형으로 제작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탄성살대 보호하우징(50)은 제1 체결부(20)가 제2 체결부(40)에 체결될 때 또는 틀니에 교합력이 가해질 때, 탄성살대 보호하우징(50)내에서 탄성살대들이 변형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탄성살대 보호하우징(50)의 내면과 제1 체결부(20)의 외면 사이에 탄성 변형될 수 있는 공간만큼의 간극을 가지도록 제조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살대 보호하우징(50)의 외주면에 요철부(52)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는 베이스부(10)와 탄성살대 보호하우징(50) 전체가 레진 등에 의해 틀니내에 매립될 경우, 상기 요철부(52)가 레진과 결합되어, 견고성과 내구성을 확보하기 위함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탄성살대 보호하우징(50)은 일정 구간에서 수직 길이 방향으로 접혀 길이가 짧아질 수 있도록, 원주를 따라 주름이 형성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탄성살대 보호하우징(50)은 폴리머 등과 같은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져, 주름 가공이 용이하게 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덴쳐용 어태치먼트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4(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덴쳐용 어태치먼트의 결합 사시도이고, 도 4(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덴쳐용 어태치먼트의 결합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b)를 참조하면, 제2 체결부(40)는 지대주(30)의 상면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이는 복수개의 탄성살대들(20a, 20b)로 둘러싸여 탄성살대들 내측에 형성된 제1 체결공에 착탈가능하게 탄성 체결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돌출되게 형성된 제2 체결부(40)에는 수직중심축을 기준으로 120도 또는 180도 각도 마다 그 외측면에 드라이버 체결을 위한 그루브(42)가 형성된다. 따라서, 시술자는 상기 그루브(42)에 드라이버를 체결시킨 상태에서 지대주(30)을 회전시켜 임플란트 고정체(1)에 용이하게 체결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체결부(40)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컨대 렌치가 끼움 결합될 수 있는 홈이 다양한 모양, 예컨대 육각 홈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체결부(20)가 복수개의 탄성살대들로 이루어진 제2 체결부(40)에 체결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제2 체결부(40)의 복수개의 탄성살대들은 제1 체결부(20)가 끼워 체결될 경우, 중심축(A)을 기준으로 외측으로 변형되었다가 체결완료 시 원상복원되는 탄성복원작용에 의해 탄성 체결된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제2 체결부(40)의 외측면에는 원주를 따라 링형태의 홈부(44, 46, 48) 또는 돌출부가 수직적 상하로 복수개 형성되고, 상기 제1 체결부(20)의 탄성살대 내측면에는 상기 링형태의 홈부에 대응 결합되는 돌기(26) 또는 홈이 형성되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링형태의 홈부 또는 돌출부가 제2 체결부의 외측면에 2개 형성될 때, 하부측 링형태의 홈부 또는 돌출부 직경이 상부측 링형태의 홈부 또는 돌출부 직경 보다 더 크도록 형성된다.
종래에는, 치조골에 복수개의 고정체를 식립하여 식립된 고정체에 각각 어태치먼트가 체결될수 있도록, 고정체의 대응되는 틀니의 저면 위치에 어태치먼트들을 삽입시켜 위치시키고자 할 때, 식립된 복수개의 고정체의 수직중심축들이 만나 형성하는 각도의 크기가 너무 크게 되면, 기존의 어태치먼트들은 고정체와 체결될 수 있는 각도가 좁은 각도로 제한되어 있어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는데, 본 발명의 상기 체결 구조에 의하면, 임플란트 고정체들의 수직중심축들이 만나 형성하는 각도가 45도 이내에만 들어오면, 아무런 문제 없이 틀니를 임플란트 고정체에 체결할 수 있다.
즉, 치조골에 식립된 복수개의 임플란트 고정체의 수직중심축들이 만나 이루는 각도가 25도를 벗어나면, 기존의 많은 어태치먼트들은 틀니 저면에 결합되어 사용되는 것이 불가능한 경우가 많다. 그러나, 본 발명의 상기 체결 구조에 의하면, 식립된 복수개의 임플란트 고정체의 수직중심측들이 만나 형성하는 각도가 25도 보다 클 때도, 제2 체결부에 제1 체결부를 제2 체결부의 수직중심축에 대해 경사지게 결합시킬 수 있어서, 체결력을 유지하면서 상기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다.
예컨대, 도 10(b)를 참조하면, 치조골에 식립되는 복수개의 임플란트 고정체들 중 하나가 치조골에 25도 이상으로 경사지게 식립된 경우, 별도의 경사진(angled) 지대주를 사용하지 않고도 틀니를 임플란트 고정체에 체결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체결부의 내측 돌기가 수직적 위치가 동일한 큰 링형태의 홈부에 체결될 때의 돌기 간 거리[도 10(a) 참조]와 제1 체결부의 돌기가 수직적 위치가 다른 링형태의 홈부들에 걸쳐 체결될 때의 돌기 간 거리가 같아지도록, 복수개의 링형태의 홈부들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틀니의 수직적위치변화 수용공간"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제1 체결부(20)와 제2 체결부(40)가 체결될 때, 일정구간 헬리칼 형태를 갖는 복수개의 탄성살대들로 둘러싸여 이루어진 제1 체결부(20)의 축공저면과 제2 체결부(40) 상단 사이에는 "틀니의 수직적 위치변화 수용공간(B)"이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용공간(B)의 수직 거리는 적어도 0.6mm 이상이 된다.
틀니에 교합력이 가해져 틀니 저면과 접촉하고 있는 잇몸이 눌려져 틀니의 수직적위치가 변화할 때, 제2 체결부(40)를 감싸고 있는 제1 체결부(즉, 복수의 탄성살대들)가 외측으로 변형되면서, 제2 체결부(40)가 "틀니의 수직적위치변화 수용공간"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 후, 교합력이 제거되어 눌려있던 잇몸이 복원되면, 제1 체결부(20)가 원래 위치로 복원되어, 결국 제2 체결부(40)가 제1 체결부(20)의 축공 내에서 교합력을 받기 이전의 수직위치로 탄성적으로 복원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실시 예에 관련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은 특정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당 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및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고서도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다. 그렇지만 그와 같은 단순한 설계적인 재료 수정 또는 변형 구조들은 모두 명백하게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속하게 됨을 미리 밝혀 두고자 한다.

Claims (7)

  1. 구강내에 안착되는 틀니(denture)의 유지력을 보강하기 위해 사용되는 틀니(denture)용 어태치먼트에 있어서,
    틀니에 결합되는 제1 체결부, 및 치조골에 식립되어 있는 자연치나 임플란트 고정체(fixture) 상부쪽에 구비되어 상기 제1 체결부와 상호 결합되는 제2 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체결부와 제2 체결부 중 적어도 한 곳에는, 일정구간이 헬리칼 형태를 이루는 복수개의 탄성살대들이 내경 중심축(A)을 중심으로 외측 원주를 따라 구비되고,
    단위의 탄성살대들 각각은 일단이 서로 연결되고 타단은 서로 분리되어, 타단이 외력에 의해 내경 중심축(A)을 기준으로 내측이나 외측으로 변형 되었다가 외력이 제거되면 원래 형태로 복원되는 탄성체결부를 구비하고,
    이러한 탄성살대들의 탄성 복원 작용에 의해, 상기 제1 체결부와 상기 제2 체결부의 탄성적인 탈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덴쳐용 어태치먼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탄성살대들은 일정구간에서 헬리칼 형태를 갖고, 말단부에서 직선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덴쳐용 어태치먼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헬리칼 형태를 갖는 복수개의 탄성살대들 외주면에는 탄성살대 보호하우징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덴쳐용 어태치먼트.
  4.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살대 보호하우징은 일정구간에서 보호하우징이 길이방향으로 접혀 길이가 짧아질 수 있도록, 원주를 따라 주름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덴쳐용 어태치먼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헬리칼 형태를 갖는 복수개의 탄성살대들의 말단부가 형성하는 내경은 대응되어 체결되는 부위의 최대 외경보다 더 적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덴쳐용 어태치먼트.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헬리칼 형태를 갖는 복수개의 탄성살대들이 모여 형성하는 탄성체결부 내경의 직경은 수직적 위치에 따라 변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덴쳐용 어태치먼트.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체결부와 상기 제2 체결부가 결합될 때, 복수개의 탄성살대들로 둘러싸여 이루어진 제1 체결부의 축공저면과 제2 체결부 상단 사이에, 틀니의 수직적 위치변화 수용공간(B)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덴쳐용 어태치먼트.

KR1020200018301A 2019-05-09 2020-02-14 덴쳐용 어태치먼트 KR20200130080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6/832,813 US20200352684A1 (en) 2019-05-09 2020-03-27 Denture Attachment
KR1020200146063A KR102443125B1 (ko) 2019-05-09 2020-11-04 덴쳐용 어태치먼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4434 2019-05-09
KR20190054434 2019-05-0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0080A true KR20200130080A (ko) 2020-11-18

Family

ID=7369815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8301A KR20200130080A (ko) 2019-05-09 2020-02-14 덴쳐용 어태치먼트
KR1020200146063A KR102443125B1 (ko) 2019-05-09 2020-11-04 덴쳐용 어태치먼트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6063A KR102443125B1 (ko) 2019-05-09 2020-11-04 덴쳐용 어태치먼트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30263602A1 (ko)
EP (1) EP4241729A1 (ko)
JP (1) JP7251863B2 (ko)
KR (2) KR20200130080A (ko)
WO (1) WO2022098112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31674A (ko) * 2021-08-27 2023-03-07 주식회사 디오 디지털 오버덴쳐용 결합 장치
KR20230033136A (ko) * 2021-08-27 2023-03-08 주식회사 디오 디지털 오버덴쳐 및 그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0080A (ko) * 2019-05-09 2020-11-18 주식회사 덴플렉스 덴쳐용 어태치먼트
US11950980B1 (en) * 2023-08-18 2024-04-09 Kwang Seob Kim Tooth implant system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20405A (ko) 2010-08-30 2012-03-08 박숙규 틀니용 어태치먼트
KR101311250B1 (ko) 2012-04-06 2013-09-27 김만용 틀니용 어태치먼트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04321A (en) * 1978-03-24 1980-05-27 Scott Edward S Dental post
DE3778354D1 (de) * 1986-11-25 1992-05-21 Ceka Nv Dentaltechnischer kupplungsbausatz und verfahren zu dessen verwendung.
US5049072A (en) * 1990-06-26 1991-09-17 Calcitek, Inc. O-ring attachment system for dental prosthesis
US5871357A (en) * 1998-04-15 1999-02-16 Tseng; Hsien-Jung Fixing device for a removable denture
SE522803C2 (sv) * 2002-12-19 2004-03-09 Exopro L A Fixtur för förankring i benvävnad
FR2853828B1 (fr) * 2003-04-16 2006-07-28 Remy Tanimura Procede de fixation reversible d'un outil sur un element implantable et dispositif pour la mise en oeuvre d'un tel procede de fixation
US7959439B2 (en) * 2008-10-23 2011-06-14 Intrinsic Medical, Llc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implanting dental prosthesis
US8454363B2 (en) 2008-11-06 2013-06-04 William B. Worthington Dental implant system
IT1394182B1 (it) * 2009-05-07 2012-06-01 Nardi Gruppo di accoppiamento, particolarmente per impianti dentali
US8317515B2 (en) * 2009-07-16 2012-11-27 Rodo Medical, Inc. Shape memory dental retention systems
EP2496846A4 (en) * 2009-11-02 2014-06-11 Puku Ltd FLEXIBLE SPRING MOUNTING
US20120003606A1 (en) * 2010-07-02 2012-01-05 Elisabeth Fischler Connection of a prosthesis structure with an implant structure
KR101239298B1 (ko) * 2011-04-26 2013-03-05 (주)이비아이 임플란트용 틀니 구조
US8926326B2 (en) * 2012-08-03 2015-01-06 John S. Shepard Denture retention system
EP2862542B1 (de) * 2013-10-15 2016-05-25 ZL Microdent-Attachment GmbH & Co. KG Retentionsmatrize und Dentalimplantatsystem
WO2015093673A1 (ko) * 2013-12-19 2015-06-25 김형우 치과용 임플란트
KR101407224B1 (ko) 2014-03-06 2014-06-17 왕제원 틀니 고정용 어태치먼트
US9931181B2 (en) * 2014-07-22 2018-04-03 Zest Ip Holdings, Llc Fixed hybrid dental attachment assembly and methods of use
CH710130A1 (de) * 2014-09-19 2016-03-31 Cendres & Métaux Sa Matrizenteil zur Bildung einer lösbaren Verbindung mit einem im Mund befestigbaren Patrizenteil.
KR101684019B1 (ko) * 2014-12-15 2016-12-08 장재우 치과 임플란트 유닛
KR101719402B1 (ko) * 2014-12-15 2017-03-23 장재우 치과 임플란트 유닛 및 그 제조 방법
US10258435B2 (en) * 2016-10-28 2019-04-16 Rodo Medical, Inc. Removable and adjustable abutment devices and methods of operation thereof
LU93307B1 (en) * 2016-11-15 2018-05-25 Laboratoire Dentaire Hornbeck Jacques S A R L Screwdriver and Screw for a surgical application
US20200214798A1 (en) * 2017-03-17 2020-07-09 Denflex Co., Ltd. Endodontic file for dental endodontic treatment
KR102036605B1 (ko) * 2017-07-31 2019-10-25 (주) 예스바이오테크 픽스쳐체결용 틀니고정장치
US20220047360A1 (en) * 2018-09-10 2022-02-17 Myung Heon Ha Implant structure
KR20200130080A (ko) * 2019-05-09 2020-11-18 주식회사 덴플렉스 덴쳐용 어태치먼트
US20230414329A1 (en) * 2022-06-23 2023-12-28 Igor Roshkovan Dental implant attachment system in screw-retained configuration for implant-supported and implant-retained removable dentures and method of us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20405A (ko) 2010-08-30 2012-03-08 박숙규 틀니용 어태치먼트
KR101311250B1 (ko) 2012-04-06 2013-09-27 김만용 틀니용 어태치먼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31674A (ko) * 2021-08-27 2023-03-07 주식회사 디오 디지털 오버덴쳐용 결합 장치
KR20230033136A (ko) * 2021-08-27 2023-03-08 주식회사 디오 디지털 오버덴쳐 및 그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3921A (ko) 2021-08-24
EP4241729A1 (en) 2023-09-13
JP2023504331A (ja) 2023-02-03
JP7251863B2 (ja) 2023-04-04
US20230263602A1 (en) 2023-08-24
KR102443125B1 (ko) 2022-09-14
WO2022098112A1 (ko) 2022-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130080A (ko) 덴쳐용 어태치먼트
CN107847303B (zh) 牙科用种植体
US4634382A (en) Attachment for dental prosthesis
PT848593E (pt) Escova de dentes
US20100206314A1 (en) Dental appliance for minimizing effects of bruxism
KR20030089602A (ko) 치과용 임플란트의 구조
KR101669893B1 (ko) 임플란트의 2중 구조 어버트먼트
CN107205800B (zh) 牙科植入体
US20200352684A1 (en) Denture Attachment
CN110198682B (zh) 牙科用种植体
KR100997553B1 (ko) 일체형 임플란트
KR101916229B1 (ko) 치과용 임플란트
KR101673379B1 (ko) 치과용 임플란트
KR101331496B1 (ko) 임플란트 장치
US8926326B2 (en) Denture retention system
JP2008220418A (ja) 部分床義歯
KR20140000101A (ko) 치과용 어버트먼트 드라이버
KR20130002210U (ko) 틀니용 어태치먼트
US20090263762A1 (en) Denture abutment & retention system
KR102123803B1 (ko) 결합구조를 개선시킨 임플란트 구조체
KR102080084B1 (ko) 스위볼스크류를 이용한 커브드 임프레션 코핑
JP6120036B1 (ja) 歯科インプラント
CN214231586U (zh) 一种义齿用具有根冠连体功能的装置
KR200381071Y1 (ko) 스프링이 장착된 교정용 칫솔
TWI638644B (zh) Dental impl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