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26662A - 정수기 - Google Patents

정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26662A
KR20200126662A KR1020190050572A KR20190050572A KR20200126662A KR 20200126662 A KR20200126662 A KR 20200126662A KR 1020190050572 A KR1020190050572 A KR 1020190050572A KR 20190050572 A KR20190050572 A KR 20190050572A KR 20200126662 A KR20200126662 A KR 202001266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water
seating space
fixing member
water purif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05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원일
박만욱
심상구
김성진
김규준
방상우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505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26662A/ko
Publication of KR202001266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666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6Filter mounting adap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002Purifying means
    • B67D2210/00005Filters
    • B67D2210/0001Filters for liqui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정수기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정수기는 일측이 개방되어 정수필터가 삽입되어 안착되는 필터안착공간이 형성된 정수기본체; 상기 필터안착공간의 개방된 타측을 덮도록 상기 정수기본체에 구비되어 상기 정수필터가 상기 필터안착공간에 안착되면 상기 정수필터에 구비되는 유출입구가 연결되는 유출입구 연결유닛; 상기 정수기본체에 구비되며 상기 필터안착공간에 안착된 상기 정수필터가 상기 필터안착공간으로부터 분리되지 않거나 분리되도록 하는 필터고정분리유닛; 을 포함하며, 상기 필터고정분리유닛은 상기 정수필터가 상기 필터안착공간으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상기 정수필터의 이동을 막는 필터고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정수기{WATER PURIFIER}
본 발명은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정수기는 적어도 하나의 정수필터가 구비되어 물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된 물을 정수필터로 여과한 후 사용자에게 공급하는 것이다.
종래에는 정수필터가 나사연결방식으로 정수기에 연결되도록 하였다. 이에 따라, 정수필터가 정수기에 구비되도록 하거나 정수필터의 교체를 위해서 정수필터를 정수기로부터 분리하기 위해서, 비교적 무거운 정수필터를 사용자가 돌려야만 하였다. 이에 의해서, 사용자의 손목 등에 무리가 발생하여 정수필터의 교체가 용이하지 않았으며 정수필터의 교체에 비교적 많은 시간이 소요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에서 발생하는 요구 또는 문제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인식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의 일 측면은 정수필터의 교체가 용이하게 이루어져서 정수필터의 교체에 소요되는 시간이 감소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의 다른 측면은 정수필터가 정수기본체의 필터안착공간에 삽입되어 안착되면, 정수필터의 유출입구가 유출입구 연결유닛에 의해서 연결관에 연결되고 정수필터가 필터고정분리유닛의 필터고정부재에 의해서 필터안착공간으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의 또 다른 측면은 필터고정분리유닛의 필터고정부재의 이동에 의해서 정수필터가 정수기본체의 필터안착공간으로부터 분리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들 중 적어도 하나의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일실시 형태와 관련된 정수기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른 정수기는 일측이 개방되어 정수필터가 삽입되어 안착되는 필터안착공간이 형성된 정수기본체; 상기 필터안착공간의 개방된 타측을 덮도록 상기 정수기본체에 구비되어 상기 정수필터가 상기 필터안착공간에 안착되면 상기 정수필터에 구비되는 유출입구가 연결되는 유출입구 연결유닛; 상기 정수기본체에 구비되며 상기 필터안착공간에 안착된 상기 정수필터가 상기 필터안착공간으로부터 분리되지 않거나 분리되도록 하는 필터고정분리유닛; 을 포함하며, 상기 필터고정분리유닛은 상기 정수필터가 상기 필터안착공간으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상기 정수필터의 이동을 막는 필터고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필터고정부재는 상기 정수필터가 상기 필터안착공간으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상기 정수필터의 이동을 막는 필터고정위치와, 막지 않는 필터분리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수필터에는 필터고정위치에서 상기 필터고정부재의 일단부가 걸리는 걸림턱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필터고정분리유닛은 상기 필터고정부재가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고정분리유닛본체와, 상기 필터고정부재를 탄성지지하도록 상기 고정분리유닛본체에 구비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터고정부재에는 상기 정수필터의 상기 필터안착공간에의 삽입시 상기 정수필터에 접촉되는 제1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필터고정부재에는 상기 고정분리유닛본체 외부로 적어도 일부가 돌출되는 레버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터고정분리유닛은 적어도 일부가 상기 고정분리유닛본체 외부로 돌출되며 상기 고정분리유닛본체에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버튼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필터고정부재에는 제2경사면이 형성되는 경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버튼부재에는 상기 제2경사면과 접촉하는 접촉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터고정부재에는 상기 제2경사면이 상기 필터고정부재 내부까지 연장되도록 경사면 연장홈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유출입구 연결유닛에는 상기 유출입구가 연결되는 유출입구 연결구와 상기 유출입구 연결구와 연통되며 연결관이 연결되는 관연결구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출입구 연결유닛은 상기 필터안착공간의 타측의 상기 정수기본체의 부분에 구비되는 연결유닛본체와, 상기 필터안착공간의 개방된 타측을 덮도록 상기 연결유닛본체에 구비되며 상기 유출입구 연결구와 관연결구가 구비되는 연결구 형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관연결구 중 적어도 하나에는 상기 유출입구가 상기 유출입구 연결구에 연결되면 개방되고 상기 유출입구가 상기 유출입구 연결구로부터 분리되면 닫히는 체크밸브유닛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체크밸브유닛은 상기 관연결구에 구비되며 개폐구멍이 형성되는 밸브유닛본체, 상기 개폐구멍을 개폐하도록 상기 밸브유닛본체에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개폐부재 및, 상기 개폐부재를 탄성지지하도록 상기 밸브유닛본체에 구비되는 밸브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필터안착공간에는 안착가이드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정수필터에는 상기 안착가이드돌기가 삽입되는 안착가이드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정수필터가 정수기본체의 필터안착공간에 삽입되어 안착되면, 정수필터의 유출입구가 유출입구 연결유닛에 의해서 연결관에 연결되고 정수필터가 필터고정분리유닛의 필터고정부재에 의해서 필터안착공간으로부터 분리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필터고정분리유닛의 필터고정부재의 이동에 의해서 정수필터가 정수기본체의 필터안착공간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정수필터의 교체가 용이하게 이루어져서 정수필터의 교체에 소요되는 시간이 감소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의 일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의 일실시예의 정수기본체에서 정수필터, 유출입구 연결유닛, 필터고정분리유닛 및, 체크밸브유닛을 분리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의 일실시예의 정수기본체와 정수필터를 다른 각도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의 일실시예의 유출입구 연결유닛과 체크밸브유닛의 분해사시도이다.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의 일실시예의 필터고정분리유닛의 분해사시도이다.
도6은 도1의 Ⅰ-Ⅰ'선에 따른 단면도의 일부 확대도이다.
도7 내지 도9는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의 일실시예에 정수필터가 안착되고 안착된 정수필터가 분리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6의 A분과 B부분의 확대도이다.
도10은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의 일실시예의 필터고정분리유닛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11 내지 도13은 도10에 도시된 필터고정분리유닛의 다른 실시예가 구비된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의 일실시예에 정수필터가 안착되고 안착된 정수필터가 분리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7 내지 도9와 같은 도면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들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정수기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하겠다.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을 이해시키기에 가장 적합한 실시예들을 기초로 하여 설명될 것이며,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과 같이 본 발명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예시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아래 설명된 실시예들을 통해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 속한다 할 것이다. 그리고,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기재된 부호에 있어서, 각 실시예에서 동일한 작용을 하게 되는 구성요소 중 관련된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연장 선상의 숫자로 표기하였다.
이하, 도1 내지 도11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의 일실시예의 사시도이며,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의 일실시예의 정수기본체에서 정수필터, 유출입구 연결유닛, 필터고정분리유닛 및, 체크밸브유닛을 분리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의 일실시예의 정수기본체와 정수필터를 다른 각도에서 본 사시도이다.
또한,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의 일실시예의 유출입구 연결유닛과 체크밸브유닛의 분해사시도이고,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의 일실시예의 필터고정분리유닛의 분해사시도이며, 도6은 도1의 Ⅰ-Ⅰ'선에 따른 단면도의 일부 확대도이다.
그리고, 도7 내지 도9는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의 일실시예에 정수필터가 안착되고 안착된 정수필터가 분리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6의 A분과 B부분의 확대도이다.
또한, 도10은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의 일실시예의 필터고정분리유닛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이며, 도11 내지 도13은 도10에 도시된 필터고정분리유닛의 다른 실시예가 구비된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의 일실시예에 정수필터가 안착되고 안착된 정수필터가 분리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7 내지 도9와 같은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100)의 일실시예는 정수기본체(200), 유출입구 연결유닛(300), 필터고정분리유닛(400)을 포함할 수 있다.
정수기본체(200)에는 도2와 도3 및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안착공간(210)이 형성될 수 있다. 필터안착공간(210)은 일측이 개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정수필터(FT)가 필터안착공간(210)의 개방된 일측을 통해 필터안착공간(210)에 삽입되어 필터안착공간(210)에 안착될 수 있다. 그리고, 필터안착공간(210)에 안착된 정수필터(FT)는 필터안착공간(210)의 개방된 일측을 통해 필터안착공간(210)으로부터 나올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정수필터(FT)의 교체가 이루어질 수 있다.
필터안착공간(210)은 도2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수기본체(200)에, 예컨대 2개가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정수기본체(200)에 형성되는 필터안착공간(210)의 개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필요한 정수필터(FT)가 정수기본체(200)에 구비될 수 있는 개수라면 어떠한 개수라도 가능하다.
필터안착공간(210)은, 예컨대 도2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상일 수 있다. 그러나, 필터안착공간(210)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일측이 개방되어 정수필터(FT)가 삽입되어 안착될 수 있는 형상이라면 어떠한 형상이라도 가능하다.
필터안착공간(210)에는 도3과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착가이드돌기(211)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필터안착공간(210)에 삽입되어 안착되는 정수필터(FT)에는 안착가이드돌기(211)가 삽입되는 안착가이드홈(GV)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정수필터(FT)의 필터안착공간(210)에의 삽입시, 정수필터(FT)의 안착가이드홈(GV)에 필터안착공간(210)의 안착가이드돌기(211)가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동작없이 바로 정수필터(FT)에 구비되는 유출입구(IO)가 유출입구 연결유닛(300)에 구비되는 후술할 유출입구 연결구(321)에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정수필터(FT)의 유출입구(IO)를 유출입구 연결유닛(300)의 유출입구 연결구(321)에 보다 용이하고 신뢰성있게 연결할 수 있다.
안착가이드돌기(211)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자형상이고, 안착가이드홈(GV)은 일부는 일자형상이고 나머지 부분은 정수필터(FT)의 단부로 갈수록 점점 넓어지는 대략 Y자와 유사한 형상일 수 있다. 그러나, 안착가이드돌기(211)와 안착가이드홈(GV)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정수필터(FT)의 필터안착공간(210)에의 삽입시, 정수필터(FT)의 안착가이드홈(GV)에 필터안착공간(210)의 안착가이드돌기(211)가 삽입되도록 하는 형상이라면 어떠한 형상이라도 가능하다.
유출입구 연결유닛(300)은 정수기본체(200)의 필터안착공간(210)의 개방된 타측을 덮도록 정수기본체(200)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정수필터(FT)가 정수기본체(200)의 필터안착공간(210)에 안착되면 정수필터(FT)의 유출입구(IO)가 연결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수도 등의 물공급원의 물이 정수필터(FT)에 공급되고 정수필터(FT)에서 여과된 물, 즉 정수가 정수필터(FT)로부터 배출될 수 있다. 정수필터(FT)에서 배출된 물은 다른 정수필터(FT)에 유입되거나 콕크나 파우셋 등의 물배출부재(도시되지 않음)로 유동하여 물배출부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사용자에게 공급될 수 있다.
유출입구 연결유닛(300)에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출입구 연결구(321)와, 관연결구(322)가 구비될 수 있다. 유출입구 연결구(312)에는, 정수필터(FT)가 정수기본체(200)의 필터안착공간(210)에 삽입되어 안착되면, 정수필터(FT)의 유출입구(IO)가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정수필터(FT)의 유출입구(IO)는 유출입구 연결구(321)에 삽입되어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정수필터(FT)의 유출입구(IO)에는 도8과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봉부재(OL)가 구비되어, 정수필터(FT)의 유출입구(IO)가 유출입구 연결구(321)에 밀봉되게 연결될 수 있다. 관연결구(322)는 유출입구 연결구(321)와 연통될 수 있다. 그리고, 관연결구(322)에는 연결관(도시되지 않음)이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관연결구(322)가 연결관에 삽입되는 것으로 관연결구(322)에 연결관이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관연결구(322)에는 도7 내지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봉부재(OL)가 구비되어, 관연결구(322)에 연결관이 밀봉되게 연결될 수 있다. 관연결구(322)에 연결된 연결관은 다른 관연결구(322)에 연결되거나 콕크나 파우셋 등의 물배출부재에 연결되거나 드레인관 등의 다른 관에 연결될 수 있다.
유출입구 연결유닛(300)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유닛본체(310)와, 연결구 형성부재(320)을 포함할수 있다.
연결유닛본체(310)는 정수기본체(200)의 필터안착공간(210)의 타측의 정수기본체(200)의 부분에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유닛본체(310)에, 정수기본체(200)의 필터안착공간(210)의 타측의 정수기본체(200)의 부분이 끼워지는 것에 의해서 연결유닛본체(310)가 정수기본체(200)의 필터안착공간(210)의 타측의 정수기본체(200)의 부분에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연결유닛본체(310)가 정수기본체(200)의 필터안착공간(210)의 타측의 정수기본체(200)의 부분에 구비되는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연결유닛본체(310)에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구멍(311)이 형성될 수 있다. 설치구멍(311)을 덮도록 후술할 바와 같이 연결구 형성부재(320)가 연결유닛본체(310)에 구비될 수 있다. 연결유닛본체(310)에는, 예컨대 2개의 설치구멍(311)이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연결유닛본체(310)에 형성되는 설치구멍(311)의 개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어떠한 개수라도 가능하다.
연결구 형성부재(320)는 정수기본체(200)의 필터안착공간(210)의 개방된 타측을 덮도록 연결유닛본체(310)에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연결구 형성부재(320)가 연결유닛본체(310)의 전술한 설치구멍(311)을 덮도록 연결유닛본체(310)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상태에서 연결유닛본체(310)가 정수기본체(200)의 필터안착공간(210)의 타측의 정수기본체(200)의 부분에 구비되면, 연결구 형성부재(320)가 정수기본체(200)의 필터안착공간(210)의 개방된 타측을 덮을 수 있다. 그러나, 연결구 형성부재(320)가 정수기본체(200)의 필터안착공간(210)의 개방된 타측을 덮도록 연결유닛본체(310)에 구비되는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연결유닛본체(310)의 설치구멍(311)과 연결구 형성부재(320)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원형일 수 있다. 그러나, 연결유닛본체(310)의 설치구멍(311)과 연결구 형성부재(320)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연결구 형성부재(320)가 연결유닛본체(310)의 설치구멍(311)을 덮도록 연결유닛본체(310)에 구비되어 정수기본체(200)의 필터안착공간(210)의 개방된 타측을 덮을 수 있는 형상이라면 어떠한 형상이라도 가능하다.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연결구 형성부재(320)가 연결유닛본체(310)의 2개의 설치구멍(311) 각각을 덮도록 연결유닛본체(310)에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연결구 형성부재(320)의 개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연결유닛본체(310)의 설치구멍(311)을 덮도록 연결유닛본체(310)에 구비될 수 있는 개수라면 어떠한 개수라도 가능하다.
연결구 형성부재(320)에는 전술한 유출입구 연결구(321)와 관연결구(322)가 구비될 수 있다. 연결구 형성부재(320)에 구비되는 유출입구 연결구(321)와 관연결구(322)의 개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정수기본체(200)의 필터안착공간(210)에 삽입된 정수필터(FT)의 유출입구(IO)와, 연결관 각각이 연결될 수 있는 개수라면 어떠한 개수라도 가능하다.
한편, 관연결구(322) 중 적어도 하나에는 체크밸브유닛(500)이 구비될 수 있다. 체크밸브유닛(500)은 정수필터(FT)의 유출입구(IO)가 유출입구 연결구(321)에 연결되면 도8과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될 수 있다. 또한, 정수필터(FT)의 유출입구(IO)가 유출입구 연결구(321)로부터 분리되면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닫힐 수 있다. 이에 따라, 정수필터(FT)가 정수기본체(200)의 필터안착공간(210)에 삽입되고 안착되어 정수필터(FT)의 유출입구(IO)가 유출입구 연결구(321)에 연결되면, 정수필터(FT)에 물공급원의 물이 공급되고 정수필터(FT)에서 여과된 물이 정수필터(FT)로부터 배출되어 다른 정수필터(FT)나 물배출부재로 유동할 수 있다. 또한, 정수필터(FT)가 정수기본체(200)의 필터안착공간(210)으로부터 분리되어 정수필터(FT)의 유출입구(IO)가 유출입구 연결구(321)로부터 분리되면, 정수필터(FT)에 물공급원의 물이 공급되지 않고 정수필터(FT)로부터 물이 배출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정수필터(FT)의 교체시 물이 누수되지 않을 수 있다.
체크밸브유닛(500)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유닛본체(510), 개폐부재(520) 및, 밸브탄성부재(530)를 포함할 수 있다. 밸브유닛본체(510)는 관연결구(322)에 구비되며 개폐구멍(511)이 형성될 수 있다. 밸브유닛본체(510)에는 캡부재(512)가 연결되어 전술한 개폐구멍(511)을 형성하면서 개폐부재(520)가 밸브탄성부재(530)의 탄성력에 의해서 밸브유닛본체(51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개폐부재(520)는 개폐구멍(511)을 개폐하도록 밸브유닛본체(510)에 이동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개폐부재(520)는 개폐구멍(511)을 닫는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멍폐쇄위치와 개폐구멍(511)을 여는 도7과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멍개방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다. 밸브탄성부재(530)는 개폐부재(520)를 탄성지지하도록 밸브유닛본체(510)에 구비될 수 있다. 밸브탄성부재(530)는 개폐구멍(511)을 닫는 방향으로 개폐부재(520)에 탄성력을 작용할 수 있다. 그러므로, 정수필터(FT)의 유출입구(IO)가 연결구 형성부재(320)의 유출입구 연결구(321)에 연결되지 않아서 밸브탄성부재(530)의 탄성력만이 개폐부재(520)에 작용하는 경우에, 개폐부재(520)는 밸브탄성부재(530)의 탄성력에 의해서 개폐구멍(511)을 닫는 구멍폐쇄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또한, 정수필터(FT)의 유출입구(IO)가 연결구 형성부재(320)의 유출입구 연결구(321)에 연결되어서 개폐부재(520)의 탄성력을 이기는 외력이 개폐부재(520)에 작용하는 경우에, 개폐부재(520)는 외력에 의해서 개폐구멍(511)을 여는 구멍개방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필터고정분리유닛(400)은 정수기본체(200)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정수기본체(200)의 필터안착공간(210)에 안착된 정수필터(FT)가 필터안착공간(210)으로부터 분리되지 않거나 분리되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필터고정분리유닛(400)은 도1과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수기본체(200)의 필터안착공간(210)이 일측의 정수기본체(200)의 부분에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필터고정분리유닛(400)의 정수기본체(200)에서의 구비위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정수기본체(200)의 필터안착공간(210)에 안착된 정수필터(FT)가 필터안착공간(210)으로부터 분리되지 않거나 분리되도록 할 수 있는 위치라면 어떠한 위치에도 구비될 수 있다.
필터고정분리유닛(400)은 필터고정부재(410)를 포함할 수 있다. 필터고정부재(410)는 도8과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수필터(FT)가 정수기본체(200)의 필터안착공간(210)으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정수필터(FT)의 이동을 막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정수필터(FT)가 정수기본체(200)의 필터안착공간(210)에 삽입되어 안착되는 것으로, 전술한 바와 같이 정수필터(FT)의 유출입구(IO)가 유출입구 연결유닛(300)의 유출입구 연결구(321)에 연결되면서, 정수필터(FT)가 필터안착공간(210)으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필터고정부재(410)에 의해서 정수필터(FT)의 이동이 막아질 수 있다. 또한, 필터고정부재(410)가 정수필터(FT)의 이동을 막지 않도록 하면, 예컨대 후술할 바와 같이 필터고정부재(410)가 정수필터(FT)의 이동을 막지 않는 필터분리위치로 이동되도록 하면, 정수필터(FT)를 정수기본체(200)의 필터안착공간(210)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그러므로, 정수필터(FT)의 교체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정수필터(FT)의 교체에 소요되는 시간이 감소될 수 있다.
필터고정부재(410)는 정수필터(FT)가 정수기본체(200)의 필터안착공간(210)으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정수필터(FT)의 이동을 막는 도8과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은 필터고정위치와, 정수필터(FT)가 정수기본체(200)의 필터안착공간(210)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정수필터(FT)를 막지 않는 도9 및 도13에 도시된 바와 같은 필터분리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필터고정부재(410)가 필터고정위치로 이동하면, 필터고정부재(410)가 정수필터(FT)의 이동을 막아서 정수필터(FT)가 정수기본체(200)의 필터안착공간(210)으로부터 분리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필터고정부재(410)가 필터분리위치로 이동하면, 필터고정부재(410)가 정수필터(FT)의 이동을 막지 않아서 정수필터(FT)가 정수기본체(200)의 필터안착공간(210)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한편, 정수필터(FT)에는 도2와 도3 및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턱(CH)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8과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은 필터고정위치에서 필터고정부재(410)의 일단부가 정수필터(FT)의 걸림턱(CH)에 걸릴 수 있다. 이에 따라, 필터고정부재(410)가 정수필터(FT)의 이동을 막아서 정수필터(FT)가 정수기본체(200)의 필터안착공간(210)으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필터고정부재(410)에는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경사면(411)이 형성될 수 있다. 제1경사면(411)은 정수필터(FT)의 정수기본체(200)의 필터안착공간(210)에의 삽입시 도7과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수필터(FT)에 접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정수필터(FT)에 의한 외력에 의해서 필터고정부재(410)가 필터분리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정수필터(FT)가 정수기본체(200)의 필터안착공간(210)에서 이동할 수 있어서, 정수필터(FT)가 필터안착공간(210)에 삽입되어 안착될 수 있다.
필터고정부재(410)에는 필터고정부재(410)가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후술할 고정분리유닛본체(420) 외부로 적어도 일부가 돌출되는 레버(412)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레버(412)에 외력을 가하여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고정부재(410)가 필터분리위치로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정수필터(FT)가 정수기본체(200)의 필터안착공간(210)에서 이동할 수 있어서, 정수필터(FT)가 필터안착공간(210)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필터고정부재(410)에는 탄성부재 삽입돌기(413)가 형성될 수 있다. 탄성부재 삽입돌기(413)에는 후술할 탄성부재(430)가 삽입되어 필터고정부재(410)를 탄성지지할 수 있다.
필터고정부재(410)에는 가이드삽입홈(414)이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삽입홈(414)에는 필터고정부재(410)의 이동을 가이드하도록 후술할 고정분리유닛본체(420)에 형성되는 이동가이드(422)가 삽입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필터고정부재(410)의 이동이 가이드될 수 있다.
필터고정분리유닛(400)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분리유닛본체(420)와, 탄성부재(4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분리유닛본체(420)에는 필터고정부재(410)가 이동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고정분리유닛본체(420)는 전면이 개방될 수 있다. 그리고, 고정분리유닛본체(420)에는 본체덮개(421)가 연결되어 고정분리유닛본체(420)의 개방된 전면을 덮을 수 있다. 본체덮개(421)에는 부재통과구멍(421a)이 형성될 수 있다. 부재통과구멍(421a)을 통해, 필터고정부재(410)에 형성된 전술한 레버(412)의 적어도 일부가 고정분리유닛본체(420)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고정분리유닛본체(420)에는 이동가이드(422)가 형성될 수 있다. 이동가이드(422)는 필터고정부재(410)의 전술한 가이드삽입홈(414)에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필터고정부재(410)의 고정분리유닛본체(420)에서의 이동이 가이드될 수 있다.
탄성부재(430)는 필터고정부재(410)를 탄성지지하도록 고정분리유닛본체(420)에 구비될 수 있다. 탄성부재(430)는 필터고정부재(410)의 전술한 탄성부재 삽입돌기(413)에 삽입되도록 고정분리유닛본체(420)에 구비되어 필터고정부재(410)를 탄성지지할 수 있다. 탄성부재(430)는 필터고정부재(410)가 필터고정위치로 이동하도록 필터고정부재(410)에 탄성력을 작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필터고정부재(410)에 탄성부재(430)의 탄성력 이외에 다른 외력이 작용하지 않으면, 필터고정부재(410)는 탄성부재(430)의 탄성력에 의해서 필터고정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또한, 정수필터(FT)가 필터고정부재(410)의 제1경사면(411)에 접촉하거나 사용자가 레버(412)에 외력을 가하여, 필터고정부재(410)에 탄성부재(430)의 탄성력을 이기는 외력이 작용하면, 필터고정부재(410)는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부재(430)의 탄성력을 이기는 외력에 의해서 필터분리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한편, 도10 내지 도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고정부재(410)에 레버(412)가 형성되지 않고, 필터고정분리유닛(400)이 버튼부재(44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버튼부재(440)는 적어도 일부가 고정분리유닛본체(420) 외부로 돌출되며 고정분리유닛본체(420)에 이동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버튼부재(440)는 본체덮개(421)의 부재통과구멍(421a)을 통해 적어도 일부가 고정분리유닛본체(420) 외부로 돌출되며 부재통과구멍(421a)에 이동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필터고정부재(410)에는 제2경사면(415a)이 형성되는 경사부(415)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필터고정부재(410)에는 제2경사면(415a)이 필터고정부재(410) 내부까지 연장되도록 경사면 연장홈(415b)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버튼부재(440)에는 필터고정부재(410)의 제2경사면(415a)에 접촉하는 접촉경사면(441)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버튼부재(440)를 누르면, 버튼부재(440)가 본체덮개(421)의 부재통과구멍(421a)을 이동하여, 버튼부재(440)의 접촉경사면(441)과 필터고정부재(410)의 제2경사면(415a)에 의해서, 필터고정부재(410)가 필터분리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버튼부재(440)에 외력이 작용하지 않으면, 필터고정부재(410)에 작용하는 탄성부재(430)의 탄성력에 의해서 필터고정부재(410)가 필터고정위치로 이동하여 버튼부재(440)가 제자리로 이동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를 사용하면, 정수필터가 정수기본체의 필터안착공간에 삽입되어 안착되면, 정수필터의 유출입구가 유출입구 연결유닛에 의해서 연결관에 연결되고 정수필터가 필터고정분리유닛의 필터고정부재에 의해서 필터안착공간으로부터 분리되지 않을 수 있으며, 필터고정분리유닛의 필터고정부재의 이동에 의해서 정수필터가 정수기본체의 필터안착공간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고, 정수필터의 교체가 용이하게 이루어져서 정수필터의 교체에 소요되는 시간이 감소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정수기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의 구성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00 : 정수기 200 : 정수기본체
210 : 필터안착공간 211 : 안착가이드돌기
300 : 유출입구 연결유닛 310 : 연결유닛본체
311 : 설치구멍 320 : 연결구 형성부재
321 : 유출입구 연결구 322 : 관연결구
400 : 필터고정분리유닛 410 : 필터고정부재
411 : 제1경사면 412 : 레버
413 : 탄성부재 삽입돌기 414 : 가이드삽입홈
415 : 경사부 415a : 제2경사면
415b : 경사면 연장홈 420 : 고정분리유닛본체
421 : 본체덮개 421a : 부재통과구멍
422 : 이동가이드 430 : 탄성부재
440 : 버튼부재 441 : 접촉경사면
500 : 체크밸브유닛 510 : 밸브유닛본체
511 : 개폐구멍 512 : 캡부재
520 : 개폐부재 530 : 밸브탄성부재
FT : 정수필터 IO : 유출입구
CH : 걸림턱 GV : 안착가이드홈
OL : 밀봉부재

Claims (14)

  1. 일측이 개방되어 정수필터가 삽입되어 안착되는 필터안착공간이 형성된 정수기본체;
    상기 필터안착공간의 개방된 타측을 덮도록 상기 정수기본체에 구비되어 상기 정수필터가 상기 필터안착공간에 안착되면 상기 정수필터에 구비되는 유출입구가 연결되는 유출입구 연결유닛;
    상기 정수기본체에 구비되며 상기 필터안착공간에 안착된 상기 정수필터가 상기 필터안착공간으로부터 분리되지 않거나 분리되도록 하는 필터고정분리유닛; 을 포함하며,
    상기 필터고정분리유닛은 상기 정수필터가 상기 필터안착공간으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상기 정수필터의 이동을 막는 필터고정부재를 포함하는 정수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고정부재는 상기 정수필터가 상기 필터안착공간으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상기 정수필터의 이동을 막는 필터고정위치와, 막지 않는 필터분리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는 정수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수필터에는 필터고정위치에서 상기 필터고정부재의 일단부가 걸리는 걸림턱이 형성되는 정수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고정분리유닛은 상기 필터고정부재가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고정분리유닛본체와, 상기 필터고정부재를 탄성지지하도록 상기 고정분리유닛본체에 구비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정수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고정부재에는 상기 정수필터의 상기 필터안착공간에의 삽입시 상기 정수필터에 접촉되는 제1경사면이 형성되는 정수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고정부재에는 상기 고정분리유닛본체 외부로 적어도 일부가 돌출되는 레버가 형성되는 정수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고정분리유닛은 적어도 일부가 상기 고정분리유닛본체 외부로 돌출되며 상기 고정분리유닛본체에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버튼부재를 더 포함하는 정수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고정부재에는 제2경사면이 형성되는 경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버튼부재에는 상기 제2경사면과 접촉하는 접촉경사면이 형성되는 정수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고정부재에는 상기 제2경사면이 상기 필터고정부재 내부까지 연장되도록 경사면 연장홈이 형성되는 정수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출입구 연결유닛에는 상기 유출입구가 연결되는 유출입구 연결구와 상기 유출입구 연결구와 연통되며 연결관이 연결되는 관연결구가 구비되는 정수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유출입구 연결유닛은 상기 필터안착공간의 타측의 상기 정수기본체의 부분에 구비되는 연결유닛본체와, 상기 필터안착공간의 개방된 타측을 덮도록 상기 연결유닛본체에 구비되며 상기 유출입구 연결구와 관연결구가 구비되는 연결구 형성부재를 포함하는 정수기.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관연결구 중 적어도 하나에는 상기 유출입구가 상기 유출입구 연결구에 연결되면 개방되고 상기 유출입구가 상기 유출입구 연결구로부터 분리되면 닫히는 체크밸브유닛이 구비되는 정수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체크밸브유닛은 상기 관연결구에 구비되며 개폐구멍이 형성되는 밸브유닛본체, 상기 개폐구멍을 개폐하도록 상기 밸브유닛본체에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개폐부재 및, 상기 개폐부재를 탄성지지하도록 상기 밸브유닛본체에 구비되는 밸브탄성부재를 포함하는 정수기.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안착공간에는 안착가이드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정수필터에는 상기 안착가이드돌기가 삽입되는 안착가이드홈이 형성되는 정수기.
KR1020190050572A 2019-04-30 2019-04-30 정수기 KR2020012666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0572A KR20200126662A (ko) 2019-04-30 2019-04-30 정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0572A KR20200126662A (ko) 2019-04-30 2019-04-30 정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6662A true KR20200126662A (ko) 2020-11-09

Family

ID=734294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0572A KR20200126662A (ko) 2019-04-30 2019-04-30 정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26662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54257A (ko) 2021-10-15 2023-04-24 코웨이 주식회사 정수기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 조립체
KR20230054262A (ko) 2021-10-15 2023-04-24 코웨이 주식회사 정수기 조립체
WO2023158182A1 (ko) * 2022-02-15 2023-08-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및 이를 위한 필터모듈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54257A (ko) 2021-10-15 2023-04-24 코웨이 주식회사 정수기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 조립체
KR20230054262A (ko) 2021-10-15 2023-04-24 코웨이 주식회사 정수기 조립체
WO2023158182A1 (ko) * 2022-02-15 2023-08-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및 이를 위한 필터모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126662A (ko) 정수기
KR100804302B1 (ko) 정수기용 필터카트리지 결합구조
US7237569B2 (en) Ball check valve
US7501057B1 (en) Detachable rotational filter supporter
KR0156082B1 (ko) 디버터 및 이를 구비한 정수기
KR101164159B1 (ko) 정수필터 조립모듈
US10077847B2 (en) Water stoppage structure utilized in a water purifier filter core
KR20150101374A (ko) 수처리장치
KR20030020726A (ko) 용수 공급을 위한 매니폴드
KR20180023593A (ko) 정수필터 모듈
KR20210000147A (ko) 냉장고용 정수필터 커넥터
CN214063868U (zh) 一种出水装置及抽拉式出水龙头
KR101903124B1 (ko) 필터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
CN114909496A (zh) 废水阀及净水设备
KR20170119647A (ko) 위쪽 방향으로 교체되는 정수장치용 정수필터
KR20120064955A (ko) 외부밸브 승강식 오토 셧오프밸브가 구비된 필터 조립체
KR200360715Y1 (ko) 입출구가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된 필터조립체의착탈만으로 정수의 공급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비데용필터 및 그 연결장치.
KR0156714B1 (ko) 정수기용 여과장치
KR100431475B1 (ko) 미네랄 이온정수기의 정수필터 소켓
KR20190015442A (ko) 필터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
KR101673608B1 (ko) 필터카트리지 결합 장치
JP7318448B2 (ja) 自動水栓装置
CN215137630U (zh) 龙头***
KR101118540B1 (ko) 필터 카트리지 커넥터
CN215842023U (zh) 一种用于***的滤芯安装结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