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25084A - Network system with identification function - Google Patents

Network system with identification func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25084A
KR20200125084A KR1020190048837A KR20190048837A KR20200125084A KR 20200125084 A KR20200125084 A KR 20200125084A KR 1020190048837 A KR1020190048837 A KR 1020190048837A KR 20190048837 A KR20190048837 A KR 20190048837A KR 20200125084 A KR20200125084 A KR 202001250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dentification
network
lan cable
adapter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883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191911B1 (en
Inventor
이경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시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시스
Priority to KR10201900488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1911B1/en
Publication of KR202001250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508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19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191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60Contacts spaced along planar side wall transverse to longitudinal axis of engagement
    • H01R24/62Sliding engagements with one side only, e.g. modular jack coupling devices
    • H01R24/64Sliding engagements with one side only, e.g. modular jack coupling devices for high frequency, e.g. RJ 45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17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light source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etwork system having an identification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network system having an identification function comprises: a network hub; at least one network device; a LAN cable; a first identification adapter detachably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LAN cable; and a second identification adapter detachably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LAN c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accident due to erroneous separation or connection of a LAN cable can be prevented in advance.

Description

식별 기능을 구비한 네트워크 시스템{Network system with identification function}Network system with identification function

본 발명은 네트워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복수의 네트워크 포트(201) 중, 어느 하나의 네트워크 포트(201)를 통해 랜 케이블의 일측에 연결되는 네트워크 허브와 랜 케이블의 타측 중, 한쪽에서 식별 스위치를 온(on) 상태로 동작시키면, 다른 쪽에서 발광부를 통해 식별 광이 표시될 수 있도록 하고 더 나아가 부저부를 통해 식별 음이 발생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네트워크 허브의 해당 네트워크 포트(201)에 일측이 연결되는 랜 케이블의 타측이 어느 네트워크 기기에 연결되어 있는지를 간단하고 명확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하고, 네트워크 허브와 네트워크 기기들 사이에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고 데이터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랜 케이블을 찾는데 소요되는 시간, 노력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네트워크 기기에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고 데이터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랜 케이블의 잘못된 분리 및 연결로 인한 예기치 못한 사고 및 손실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식별 기능을 구비한 네트워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etwork system, in particular, a network hub connected to one side of a LAN cable through any one network port 201 among a plurality of network ports 201 and an identification switch at one of the other side of the LAN cable. When operated in the on state, the other side allows the identification light to be displayed through the light emitting part and furthermore, the identification sound is generated through the buzzer part, so that one side is connected to the corresponding network port 201 of the network hub. The time required to easily and clearly identify which network device the other side of the LAN cable is connected to, and to find a LAN cable that is connected between the network hub and the network devices to supply power and enable data communication. Identification that can save effort and cost, and further prevent unexpected accidents and losses due to incorrect disconnection and connection of LAN cables that are connected to network devices to supply power and enable data communication. It relates to a network system with functions.

각종 전자제품 또는 다양한 장비 등이 해당하는 기존의 상용 네트워크 기기(3)에 전원을 공급하고 데이터 통신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기존의 상용 랜 케이블(1)이 사용된다. 그리고, 상기 기존의 상용 랜 케이블(1)은 전원을 인가받아 공급하고 통신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기존의 상용 네트워크 허브(2)에 연결되어 상기 네트워크 기기(3)에 전원을 공급하고 통신 데이터를 송수신 한다(도 1 참조).In order to supply power to an existing commercial network device 3 corresponding to various electronic products or various equipment and to enable data communication, an existing commercial LAN cable 1 is used. In addition, the existing commercial LAN cable 1 is connected to an existing commercial network hub 2 that receives and supplies power and transmits and receives communication data to supply power to the network device 3 and transmit and receive communication data. (See Fig. 1).

구체적으로, 기존의 일반적인 네트워크 시스템은 상용 네트워크 허브(2), 여기에 일측이 연결되는 상용 랜 케이블(1) 및 상기 상용 랜 케이블(1)의 타측에 연결되는 상기 상용 네트워크 기기(3)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기존의 상용 랜 케이블(1)은 전원을 인가받아 분배 및 공급하고 통신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상용 네트워크 허브(2)와 상기 다양한 상용 네트워크 기기(3) 사이를 연결하여 상기 상용 네트워크 기기(3)에 전원을 공급하거나 데이터 통신을 가능하게 한다.Specifically, the existing general network system is composed of a commercial network hub (2), a commercial LAN cable (1) connected to one end thereof, and the commercial network device (3)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commercial LAN cable (1). do. Here, the conventional commercial LAN cable (1) is connected between the commercial network hub (2) and the various commercial network devices (3), which distributes and supplies power and transmits and receives communication data, and connects the commercial network device (3). ) To supply power or enable data communication.

각종 장비들에 해당하는 상용 네트워크 기기(3)들을 사용하면서 상용 네트워크 허브(2)에 사용되는 랜 케이블이 어떤 사용 네트워크 기기(3)에 사용되는 랜 케이블인지를 쉽게 식별할 수 없다면, 각종 상용 네트워크 기기 이설이나 추가 장비 증설 또는 유지보수시 다른 랜 케이블을 뽑아 고장의 원인 또는 불편사항을 발생시킬 수 있는 문제점이 발생한다.When using commercial network devices (3) corresponding to various devices, if it is not possible to easily identify which LAN cable used in the commercial network hub (2) is the LAN cable used in the network device (3), various commercial networks There is a problem that may cause malfunction or inconvenience by unplugging other LAN cables during device relocation or additional equipment expansion or maintenance.

상기 상용 네트워크 허브는 미관상 이유로 구석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상용 네트워크 허브(2)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상용 네트워크 기기(3)들과 멀리 떨어져 있기 때문에, 특정 상용 네트워크 기기에 연결된 랜 케이블의 플러그를 간단하고 정확하게 식별할 수 없고, 이로 인하여 유지보수, 증설, 이설시 많은 시간, 노력 및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Since the commercial network hub is installed in a corner for aesthetic reasons, and the commercial network hub 2 is far from the commercial network devices 3 that are generally used, the plug of the LAN cable connected to the specific commercial network device is simple. And cannot be accurately identified, and this causes a problem that requires a lot of time, effort, and cost during maintenance, expansion, and relocation.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산업 현장이나 전산실에 사용시, 랜 케이블들을 포함한 기존의 네트워크 시스템은 정리되지 않은 채로 사용되거나(도 2의 (a) 참조) 또는 선 정리를 위하여 장비 랙에 케이블 타이로 결박되는 것이 일반적이다(도 2의 (b) 참조). 그러나, 후자의 경우에도, 해당 랜 케이블을 찾기 위해서는 케이블 타이 결박을 풀어서 찾는 과정을 거쳐야 하기 때문에,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고, 작업이 끝나면, 다시 선들을 결박하여 정리하는 과정을 되풀이해야 하기 때문에, 불필요한 시간, 노력 및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2, when used in an industrial site or computer room, the existing network system including LAN cables is used unorganized (see Fig. 2(a)), or cables are connected to the equipment rack for line arrangement. It is common to be tied with a tie (see Fig. 2(b)). However, even in the latter case, since you have to go through the process of finding the corresponding LAN cable by unscrewing the cable tie, it takes a lot of time and effort, and after the work is finished, the process of binding and arranging the cables again has to be repeated. In this case, unnecessary time, effort, and cost are required.

사용되는 네트워크 기기들을 비정상적으로 종료시키거나 작동중인 랜 케이블을 뽑아 버리면, 네트워크 기기가 고장 나거나 데이터가 날아가고, 더 나아가 네트워크 연결이 끊어지고 오류가 발생하며, 대단위 사업장일수록 큰 손실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If the network devices in use are abnormally terminated or the operating LAN cable is unplugged, the network device breaks down or data is blown away, furthermore, the network connection is disconnected and errors occur, and the larger the business site, the larger the loss occurs. do.

기존에는 연결된 랜 케이블을 쉽게 찾기 위한 방편으로, 한국 실용신안등록 제20-0278823호 및 한국 실용신안등록 제20-0217843호에서는 랜 케이블에 네임 타이를 체결하는 방법, 스티커를 붙이는 방법 등이 사용되고 있으나, 이와 같은 기존 방법들은 인쇄물이 시간이 흐르면서 먼지가 쌓이고 지워지면서 네임을 알아볼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유지보수시 랜 케이블을 해당 네트워크 포트(201)에 인입 하지 않고 작업자의 마음대로 편리한 빈 네트워크 포트(201)에 인입하여 네임 타이나 스티커의 부착 목적을 달성하지 못하는 무용지물이 되어 실효성이 떨어지는 단점을 가진다.Conventionally, as a way to easily find the connected LAN cable,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278823 and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217843 use a method of fastening a name tie and attaching a sticker to the LAN cable. , These existing methods have a problem that the name cannot be recognized as the prints accumulate and erase dust over time, and during maintenance, the LAN cable is not inserted into the corresponding network port 201 and is a convenient empty network port at the operator's discretion. It has a drawback of being ineffective as it is a useless object that cannot achieve the purpose of attaching a name tie or sticker by entering (201).

선행기술문헌 1 :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0278823호(공고일자 : 2002년 06월 21일, 고안의 명칭 : 절전 스위치 내장 및 색상띠 표시형 교류 전원 프러그)Prior Art Document 1: Republic of Korea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278823 (announcement date: June 21, 2002, name of design: built-in power saving switch and color band display type AC power plug) 선행기술문헌 2 :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0217843호(공고일자 : 2003년 06월 27일, 고안의 명칭 : 케이블 식별용 라벨링)Prior Art Document 2: Republic of Korea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217843 (Notification date: June 27, 2003, name of design: Labeling for cable identification)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복수의 네트워크 포트(201) 중, 어느 하나의 네트워크 포트(201)를 통해 랜 케이블의 일측에 연결되는 네트워크 허브와 랜 케이블의 타측 중, 한쪽에서 식별 스위치를 온(on) 상태로 동작시키면, 다른 쪽에서 발광부를 통해 식별 광이 표시될 수 있도록 하고 더 나아가 부저부를 통해 식별 음이 발생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네트워크 허브의 해당 네트워크 포트(201)에 일측이 연결되는 랜 케이블의 타측이 어느 네트워크 기기에 연결되어 있는지를 간단하고 명확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하고, 네트워크 허브와 네트워크 기기들 사이에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고 데이터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랜 케이블을 찾는데 소요되는 시간, 노력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네트워크 기기에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고 데이터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랜 케이블의 잘못된 분리 및 연결로 인한 예기치 못한 사고 및 손실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식별 기능을 구비한 네트워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of a network hub and a LAN cable connected to one side of a LAN cable through any one network port 201 among a plurality of network ports 201. When the identification switch is operated on one of the other sides, the identification light can be displayed through the light emitting unit on the other side, and furthermore, the identification sound can be generated through the buzzer. It allows simple and clear identification of which network device the other end of the LAN cable connected to (201) is connected to, and is connected between the network hub and the network devices to supply power and enable data communication. You can reduce the time, effort, and cost required to find the LAN cable to be used, and furthermore, it prevents unexpected accidents and losses due to incorrect disconnection and connection of the LAN cable that is connected to the network device to supply power and enable data communication. An object thereof is to provide a network system with an identification function that can be prevented in advance.

또한, 본 발명은 네트워크 허브와 별개로, 상기 랜 케이블의 양측에 각각 식별 어댑터를 탈부착 가능하게 접속하여 랜 케이블의 양측 중, 한쪽에서 식별 스위치를 온(on) 상태로 동작시키면, 다른 쪽에서 발광부를 통해 식별 광이 표시될 수 있도록 하고 더 나아가 부저부를 통해 식별 음이 발생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랜 케이블의 양측이 동일한 랜 케이블의 양측인지를 간단하고 명확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하고, 이로 인하여 네트워크 허브에 식별 기능이 구비되어 있는지와 별개로 특정 네트워크 기기에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고 데이터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랜 케이블을 찾는데 소요되는 시간, 노력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네트워크 허브에 식별 기능이 구비되어 있는지와 별개로 특정 네트워크 기기에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고 데이터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랜 케이블의 잘못된 분리 및 연결로 인한 예기치 못한 사고 및 손실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식별 기능을 구비한 네트워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separates from the network hub, by detachably connecting identification adapters to both sides of the LAN cable and operating the identification switch on one of both sides of the LAN cable in an on state, the other side By allowing the identification light to be displayed through and further, by configuring the identification sound to be generated through the buzzer, it is possible to easily and clearly identify whether both sides of the LAN cable are both sides of the same LAN cable. Apart from whether the identification function is equipped, the time, effort, and cost required to find a LAN cable that is connected to a specific network device to supply power and enable data communication can be saved. A network with an identification function to prevent unexpected accidents and losses due to incorrect disconnection and connection of LAN cables that are connected to a specific network device to supply power and enable data communication independently of whether they are equipped or not. Its purpose is to provide a system.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별 기능을 구비한 네트워크 시스템을 이루는 구성수단은, 네트워크 시스템에 있어서, 네트워크 허브, 상기 네트워크 허브와 네트워크 통신을 수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기기 및 상기 네트워크 허브에 형성되는 복수의 네트워크 포트(201) 중, 어느 하나의 네트워크 포트(201)에 일측이 연결되고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타측이 연결되는 랜 케이블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랜 케이블의 일측에 탈부착 가능하게 접속되는 제1 식별 어댑터와 상기 랜 케이블의 타측에 탈부착 가능하게 접속되는 제2 식별 어댑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식별 어댑터는 제1 식별 스위치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식별 어댑터는 상기 제1 식별 스위치의 온(on) 동작에 따라 전송되는 식별 스위치 신호에 의해 발광하는 제2 발광부를 구비하거나, 상기 제2 식별 어댑터는 제2 식별 스위치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식별 어댑터는 상기 제2 식별 스위치의 온(on) 동작에 따라 전송되는 식별 스위치 신호에 의해 발광하는 제1 발광부를 구비하거나, 상기 제1 식별 어댑터는 제1 식별 스위치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식별 어댑터는 제2 식별 스위치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식별 어댑터는 상기 제2 식별 스위치의 온(on) 동작에 따라 전송되는 식별 스위치 신호에 의해 발광하는 제1 발광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식별 어댑터는 상기 제1 식별 스위치의 온(on) 동작에 따라 전송되는 식별 스위치 신호에 의해 발광하는 제2 발광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 configuration means constituting a network system having an identification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 a network system, a network hub, at least one for performing network communication with the network hub. A network device and a plurality of network ports 201 formed in the network hub, including a LAN cable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network port 201 and the other side connected to the network device, the LAN cable Further comprising a first identification adapter detachably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LAN cable and a second identification adapter detachably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LAN cable, wherein the first identification adapter includes a first identification switch, and the second The identification adapter includes a second light emitting unit that emits light by an identification switch signal transmitted according to an on operation of the first identification switch, or the second identification adapter includes a second identification switch, and the first identification The adapter includes a first light emitting unit that emits light by an identification switch signal transmitted according to an on operation of the second identification switch, or the first identification adapter includes a first identification switch, and the second identification adapter And a second identification switch, wherein the first identification adapter includes a first light-emitting unit that emits light by an identification switch signal transmitted according to an on operation of the second identification switch, and the second identification adapter includes the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econd light emitting unit that emits light by an identification switch signal transmitted according to an on operation of the first identification switch.

또한, 본 발명은 네트워크 시스템에 있어서, 네트워크 허브, 상기 네트워크 허브와 네트워크 통신을 수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기기 및 상기 네트워크 허브에 형성되는 복수의 네트워크 포트(201) 중, 어느 하나의 네트워크 포트(201)에 일측이 연결되고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타측이 연결되는 랜 케이블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각 네트워크 포트(201)에 대응하여 상기 네트워크 허브에 내장되는 제1 식별 모듈과, 상기 각 네트워크 포트(201)에 일측이 연결되는 상기 랜 케이블의 타측에 연결되는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내장되거나 외장 연결되는 제2 식별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식별 모듈은 제3 식별 스위치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식별 모듈은 상기 제3 식별 스위치의 온(on) 동작에 따라 전송되는 식별 스위치 신호에 의해 발광하는 제4 발광부를 구비하거나, 상기 제2 식별 모듈은 제4 식별 스위치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식별 모듈은 상기 제4 식별 스위치의 온(on) 동작에 따라 전송되는 식별 스위치 신호에 의해 발광하는 제3 발광부를 구비하거나, 상기 제1 식별 모듈은 제3 식별 스위치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식별 모듈은 제4 식별 스위치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식별 모듈은 상기 제4 식별 스위치의 온(on) 동작에 따라 전송되는 식별 스위치 신호에 의해 발광하는 제3 발광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식별 모듈은 상기 제3 식별 스위치의 온(on) 동작에 따라 전송되는 식별 스위치 신호에 의해 발광하는 제4 발광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network system, one of a network hub, at least one network device performing network communication with the network hub, and a plurality of network ports 201 formed in the network hub. ), one end is connected to the network device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LAN cable, the first identification module built in the network hub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network ports 201, and each of the network ports 201 ) Further comprising a second identification module built-in or externally connected to the network device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LAN cable, the first identification module having a third identification switch, and the second identification The module includes a fourth light emitting unit that emits light by an identification switch signal transmitted according to an on operation of the third identification switch, or the second identification module includes a fourth identification switch, and the first identification module Is provided with a third light emitting unit that emits light by an identification switch signal transmitted according to an on operation of the fourth identification switch, or the first identification module includes a third identification switch and the second identification module 4, the first identification module includes a third light emitting unit that emits light by an identification switch signal transmitted according to an on operation of the fourth identification switch, and the second identification module 3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fourth light emitting unit that emits light by an identification switch signal transmitted according to an on operation of the identification switch.

여기서, 상기 제1 식별 모듈은 상기 제3 식별 스위치의 온(on) 동작에 따라, 상기 제1 식별 모듈에 대응하는 네트워크 포트(201)에 연결되는 랜 케이블의 거리와 단선 여부를 측정하고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the first identification module measures and displays the distance and disconnection of the LAN cable connected to the network port 201 corresponding to the first identification module according to the on operation of the third identification switch. It features.

여기서, 상기 네트워크 허브를 원격에서 모니터링하고 제어하는 모니터링 서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모니터링 서버는 각 네트워크 포트(201) 별로, 대응하는 랜 케이블 및 네트워크 기기의 상태를 표시하고 원격 제어를 조작할 수 있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it is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monitoring server for remotely monitoring and controlling the network hub, wherein the monitoring server displays the status of the corresponding LAN cable and network device for each network port 201 and operates the remote control. It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user interface that can be.

상기와 같은 과제 및 해결수단을 가지는 본 발명인 식별 기능을 구비한 네트워크 시스템에 의하면, 복수의 네트워크 포트(201) 중, 어느 하나의 네트워크 포트(201)를 통해 랜 케이블의 일측에 연결되는 네트워크 허브와 랜 케이블의 타측 중, 한쪽에서 식별 스위치를 온(on) 상태로 동작시키면, 다른 쪽에서 발광부를 통해 식별 광이 표시될 수 있도록 하고 더 나아가 부저부를 통해 식별 음이 발생할 수 있도록 구성하기 때문에, 네트워크 허브의 해당 네트워크 포트(201)에 일측이 연결되는 랜 케이블의 타측이 어느 네트워크 기기에 연결되어 있는지를 간단하고 명확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하고, 네트워크 허브와 네트워크 기기들 사이에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고 데이터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랜 케이블을 찾는데 소요되는 시간, 노력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네트워크 기기에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고 데이터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랜 케이블의 잘못된 분리 및 연결로 인한 예기치 못한 사고 및 손실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발생된다.According to a network system having an identification function of the inventors having the above problems and solutions, a network hub connected to one side of a LAN cable through any one network port 201 among a plurality of network ports 201 and When the identification switch is operated on one of the other sides of the LAN cable, the identification light can be displayed through the light emitting unit on the other side and furthermore, the identification sound can be generated through the buzzer. It is possible to easily and clearly identify which network device the other end of the LAN cable connected to the corresponding network port 201 of, is connected between the network hub and the network devices to supply power and data The time, effort, and cost required to find a LAN cable that enables communication can be reduced, and furthermore, unexpected disconnection and connection of the LAN cable that is connected to the network device to supply power and enable data communication There is an advantage of preventing accidents and losses in advance.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네트워크 허브와 별개로, 상기 랜 케이블의 양측에 각각 식별 어댑터를 탈부착 가능하게 접속하여 랜 케이블의 양측 중, 한쪽에서 식별 스위치를 온(on) 상태로 동작시키면, 다른 쪽에서 발광부를 통해 식별 광이 표시될 수 있도록 하고 더 나아가 부저부를 통해 식별 음이 발생할 수 있도록 구성하기 때문에, 랜 케이블의 양측이 동일한 랜 케이블의 양측인지를 간단하고 명확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하고, 이로 인하여 네트워크 허브에 식별 기능이 구비되어 있는지와 별개로 특정 네트워크 기기에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고 데이터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랜 케이블을 찾는데 소요되는 시간, 노력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네트워크 허브에 식별 기능이 구비되어 있는지와 별개로 특정 네트워크 기기에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고 데이터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랜 케이블의 잘못된 분리 및 연결로 인한 예기치 못한 사고 및 손실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발생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eparate from the network hub, when the identification adapter is detachably connected to both sides of the LAN cable and the identification switch is operated in an on state on one of both sides of the LAN cable, the other side Since the identification light can be displayed through the light emitting unit and furthermore, the identification sound can be generated through the buzzer, it is possible to easily and clearly identify whether both sides of the LAN cable are both sides of the same LAN cable. Apart from whether the network hub is equipped with an identification function, the time, effort, and cost required to find a LAN cable that is connected to a specific network device to supply power and enable data communication can be saved. Apart from whether or not the identification function is equipped, the effect of preventing unexpected accidents and losses due to incorrect disconnection and connection of LAN cables that are connected to a specific network device to supply power and enable data communication is generated. do.

도 1은 기존의 상용 랜 케이블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2는 기존 랙에 적용된 기존의 상용 랜 케이블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시스템의 사용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별 기능을 구비한 네트워크 시스템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식별 기능을 구비한 네트워크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식별 기능을 구비한 네트워크 시스템에 적용되는 식별 어댑터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식별 기능을 구비한 네트워크 시스템의 회로 구성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식별 기능을 구비한 네트워크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식별 기능을 구비한 네트워크 시스템의 회로 구성 블록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식별 기능을 구비한 네트워크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식별 기능을 구비한 네트워크 시스템을 구성하는 모니터링 서버에서 적용되는 유저 인터페이스의 구성도이다.
1 is a schematic diagram of a network system including a conventional commercial LAN cable.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using a network system including an existing commercial LAN cable applied to an existing rack.
3 is a block diagram of a network system having an identification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block diagram of a network system having an identification function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of an identification adapter applied to a network system having an identification function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block diagram of a circuit configuration of a network system having an identification function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block diagram of a network system having an identification function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block diagram of a circuit configuration of a network system having an identification function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block diagram of a network system having an identification function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block diagram of a user interface applied in a monitoring server constituting a network system having an identification function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apply various transformations and have various embodiments,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tailed description. Effect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ethod of achieving them will b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later in detail together with the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and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when describing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same or corresponding components are assigne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redundant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In the following embodiments, terms such as include or have means that the features or elements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are present, and do not preclude the possibility of adding one or more other features or elements in advance.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In the drawings, components may be exaggerated or reduced in size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For example, the size and thickness of each component shown in the drawings are arbitrarily shown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what is shown.

어떤 실시예가 달리 구현 가능한 경우에 특정한 공정 순서는 설명되는 순서와 다르게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속하여 설명되는 두 공정이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설명되는 순서와 반대의 순서로 진행될 수 있다.When a certain embodiment can be implemented differently, a specific process order may be performed differently from the described order. For example, two processes described in succession may be performed substantially simultaneously, or may be performed in an order opposite to the described order.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별 기능을 구비한 네트워크 시스템(500)의 구성 블록도이다.3 is a block diagram of a network system 500 having an identification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별 기능을 구비한 네트워크 시스템(500)은 전원을 분배 및 공급하거나 통신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네트워크 허브(200), 상기 네트워크 허브(200)와 네트워크 통신을 수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기기(300) 및 상기 네트워크 허브(200)에 형성되는 복수의 네트워크 포트(201) 중, 어느 하나의 네트워크 포트(201)에 일측이 연결되고 상기 네트워크 기기(300)에 타측이 연결되어 상기 네트워크 허브(200)를 통해 분배 및 공급되는 전원 및 통신 데이터를 상기 타측에 연결되는 네트워크 기기(300)에 공급하는 랜 케이블(1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in FIG. 3, a network system 500 having an identification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network hub 200 for distributing and supplying power 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communication data, the network hub 200, and One of the at least one network device 300 performing network communication and a plurality of network ports 201 formed in the network hub 200, one side is connected to any one network port 201, and the network device 300 ) Is connected to the other side to supply power and communication data distributed and supplied through the network hub 200 to the network device 300 connected to the other side.

상기 네트워크 허브(200)는 외부 전원 인가 장치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을 분배하고 공급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통신 데이터 역시 상기 랜 케이블(100)을 통해 상기 네트워크 기기(300)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네트워크 허브(200)는 복수의 네트워크 기기(300)들에게 상기 랜 케이블(100)을 통해 전원과 통신 데이터를 공급하기 위하여 복수의 네트워크 포트(201)를 구비하고 있다. The network hub 200 not only distributes and supplies power applied from an external power supply device, but also transmits communication data to the network device 300 through the LAN cable 100. The network hub 200 includes a plurality of network ports 201 to supply power and communication data to the plurality of network devices 300 through the LAN cable 100.

상기 네트워크 허브(200)는 복수의 네트워크 기기(300)들에게 전원을 분배/공급하고 통신 데이터를 함께 전송하기 위하여, 복수의 랜 케이블(100)이 연결될 수 있도록 복수의 네트워크 포트(201)를 구비하고 있다.The network hub 200 has a plurality of network ports 201 so that a plurality of LAN cables 100 can be connected to distribute/supply power to the plurality of network devices 300 and transmit communication data together. Are doing.

도 4에 도시된 네트워크 허브(200)는 5개의 네트워크 포트(201)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예시하고 있고, 도 7에 도시된 네트워크 허브(200)는 24개의 네트워크 포트(201)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예시하고 있다.The network hub 200 shown in FIG. 4 illustrates that it has 5 network ports 201, and the network hub 200 shown in FIG. 7 has 24 network ports 201. It is illustrated.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네트워크 허브(200)에는 복수의 네트워크 포트(201)들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네트워크 포트(201) 각각에 상기 랜 케이블(100)의 일측이 연결될 수 있으며, 이 랜 케이블(100)의 타측은 해당 네트워크 기기(300)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네트워크 기기(300)는 상기 랜 케이블(100)을 통해 상기 네트워크 허브(200)로부터 전원을 분배 및 공급받아 동작할 수 있고 네트워크 통신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In this way, a plurality of network ports 201 are formed in the network hub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one side of the LAN cable 100 may be connect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network ports 201. The other end of the LAN cable 100 may be connected to the corresponding network device 300. The network device 300 may operate by distributing and supplying power from the network hub 200 through the LAN cable 100, and may transmit and receive network communication data.

상기 네트워크 허브(200)와 상기 네트워크 기기(300) 사이에서 해당 연결된 네트워크 기기(300)로 전원을 공급하고 네트워크 통신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상기 랜 케이블(100)은 일측이 상기 네트워크 허브(200)에 형성된 복수의 네트워크 포트(201) 중, 특정 어느 하나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네트워크 기기(300)에 연결된다.One side of the LAN cable 100 for supplying power to the connected network device 300 and transmitting and receiving network communication data between the network hub 200 and the network device 300 is formed in the network hub 200. Among the plurality of network ports 201, it is connected to a specific one, and the other side is connected to the network device 300.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별 기능을 구비한 네트워크 시스템(500)은 특정 네트워크 기기(300)에 타측이 연결된 랜 케이블(100)의 일측이 상기 네트워크 허브(200)에 형성된 복수의 네트워크 포트(201) 중, 어느 특정 네트워크 포트(201)에 연결되어 있는지를 쉽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한다.In the network system 500 having an identification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one side of the LAN cable 100 connected to the other end to the specific network device 300 is formed in the network hub 200. Among the network ports 201, it is possible to easily identify which specific network port 201 is connected to.

이를 위하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식별 기능을 구비한 네트워크 시스템(500)은 상기 네트워크 허브(200)의 복수의 네트워크 포트(201) 중, 어느 하나의 네트워크 포트(201)에 연결되기 위하여 상기 랜 케이블(100)의 일측에 탈부착 가능하게 접속되는 제1 식별 어댑터(10)와 상기 네트워크 기기(300)에 연결되기 위하여 상기 랜 케이블(100)의 타측에 탈부착 가능하게 접속되는 제2 식별 어댑터(20)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식별 어댑터(10)와 상기 제2 식별 어댑터(20) 중, 어느 한쪽에서 식별 스위치를 온(on) 상태로 동작시키면, 다른 쪽에서 발광부를 통해 식별 광이 표시될 수 있도록 하고 더 나아가 부저부를 통해 식별 음이 발생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To this end, as shown in FIG. 4, the network system 500 having an identification function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y one of a plurality of network ports 201 of the network hub 200. The first identification adapter 10 detachably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LAN cable 100 to be connected to the network port 201 and the other side of the LAN cable 100 to be connected to the network device 300 When a second identification adapter (20) that is detachably connected is provided, and the identification switch is operated in an on state from one of the first identification adapter (10) and the second identification adapter (20), It is configured to allow the identification light to be displayed through the light emitting unit from the other side and to generate an identification sound through the buzzer.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식별 기능을 구비한 네트워크 시스템(500)은 상기 랜 케이블(100)의 일측에 탈부착 가능하게 접속되는 제1 식별 어댑터(10)와 상기 랜 케이블(100)의 타측에 탈부착 가능하게 접속되는 제2 식별 어댑터(2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As described above, the network system 500 having an identification function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first identification adapter 10 and the LAN cable 100 detachably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LAN cable 100. ) Is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second identification adapter (20) detachably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상기 랜 케이블(100)은 UTP 케이블에 해당하는 케이블 라인(50)의 일측에 제1 커넥터(30)가 연결되고 타측에 제2 커넥터(40)가 연결되어 구성된다. 상기 제1 커텍터(30)와 상기 제2 커넥터(40)는 RJ45 커넥터에 해당한다. 일반적으로 상기 제1 커넥터(30)는 상기 네트워크 허브(200)의 네트워크 포트(201)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커넥터(40)는 상기 네트워크 기기(300)의 연결 소켓(301)에 연결된다. The LAN cable 100 is configured by connecting a first connector 30 to one side of a cable line 50 corresponding to a UTP cable and a second connector 40 to the other side. The first connector 30 and the second connector 40 correspond to an RJ45 connector. In general, the first connector 30 is connected to the network port 201 of the network hub 200, and the second connector 40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socket 301 of the network device 300.

그러나,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식별 기능을 구비한 네트워크 시스템(50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커넥터(30)에 탈부착 가능하게 상기 제1 식별 어댑터(10)가 접속되고, 상기 제2 커넥터(40)에 탈부착 가능하게 상기 제2 식별 어댑터(20)가 접속되어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1 식별 어댑터(10)가 상기 네트워크 허브(200)의 네트워크 포트(201)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식별 어댑터(20)가 상기 네트워크 기기(300)의 연결 소켓(301)에 연결된다.However, in the network system 500 having an identification function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4, the first identification adapter 10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first connector 30. It is connected, and the second identification adapter 20 is connected to the second connector 40 to be detachable. Accordingly, the first identification adapter 10 is connected to the network port 201 of the network hub 200 and the second identification adapter 20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socket 301 of the network device 300.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식별 기능은 상기 랜 케이블(100)의 일측에 해당하는 상기 제1 식별 어댑터(10) 또는 타측에 해당하는 상기 제2 식별 어댑터(20)에서 식별 스위치 신호를 보내면 제2 식별 어댑터(20) 또는 제1 식별 어댑터(10)에서 상기 식별 스위치 신호에 반응하여 식별 광, 더 나아가 식별 음이 표출됨으로써, 사용자 또는 작업자가 랜 케이블의 양측이 동일한 랜 케이블의 양측인지 여부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는 기능에 해당한다. 따라서, 사용자 또는 작업자들은 특정 네트워크 기기(300)에 연결되는 랜 케이블(100)이 상기 네트워크 허브(200)의 어느 네트워크 포트(201)에 꽂혀 있는지를 용이하고 정확하게 식별할 수 있다.As a result, the identification function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identification switch signal from the first identification adapter 10 corresponding to one side of the LAN cable 100 or the second identification adapter 20 corresponding to the other side. When the second identification adapter 20 or the first identification adapter 10 responds to the identification switch signal, the identification light and further identification sound are displayed, so that the user or the operator can use both sides of the LAN cable with the same LAN cable. Corresponds to the function to easily identify whether or not. Accordingly, users or workers can easily and accurately identify to which network port 201 of the network hub 200 the LAN cable 100 connected to the specific network device 300 is plugged.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식별 기능을 구비한 네트워크 시스템(500)을 구현하기 위한 방법은 크게 세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The method for implementing the network system 500 having an identification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three types.

첫째, 제1 구현 형태에 따라, 상기 제1 식별 어댑터(10)는 제1 식별 스위치(11)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식별 어댑터(20)는 상기 제1 식별 스위치(11)의 온(on) 동작에 따라 전송되는 식별 스위치 신호에 의해 발광하는 제2 발광부(23)를 구비한다.Firs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the first identification adapter 10 includes a first identification switch 11, and the second identification adapter 20 is turned on of the first identification switch 11. ) And a second light emitting unit 23 that emits light by an identification switch signal transmitt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상기 제1 구현 형태에 따른 식별 기능은 상기 제1 식별 어댑터(10) 측에서 식별 스위치 신호를 보내면 상기 제2 식별 어댑터(20) 측에서 발광으로 표출하는 것으로 구현되는 형태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네트워크 허브(200)의 특정 네트워크 포트(201)에 꽂혀 있는 랜 케이블(100)의 제1 식별 어댑터(10)에 구비되는 제1 식별 스위치(11)를 작업자 또는 사용자가 온(on) 상태로 동작시키면, 상기 네트워크 기기(300)에 연결되는 동일한 랜 케이블(100)의 제2 식별 어댑터(20)에 구비되는 제2 발광부(23)에서 식별 광이 발광하는 식별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작업자 또는 사용자들은 상기 네트워크 허브(200)의 특정 네트워크 포트(201)에 꽂혀 있는 랜 케이블이 어느 네트워크 기기(300)에 연결되어 있는지를 용이하고 정확하게 식별할 수 있다.The identification function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is implemented by emitting light from the second identification adapter 20 when an identification switch signal is transmitted from the first identification adapter 10 side. Specifically, an operator or user turns on the first identification switch 11 provided in the first identification adapter 10 of the LAN cable 100 plugged into the specific network port 201 of the network hub 200. ), it is possible to implement an identification function in which identification light emits light from the second light emitting unit 23 provided in the second identification adapter 20 of the same LAN cable 100 connected to the network device 300. have. Through this, workers or users can easily and accurately identify to which network device 300 the LAN cable plugged into the specific network port 201 of the network hub 200 is connected.

둘째, 제2 구현 형태에 따라, 상기 제2 식별 어댑터(20)는 제2 식별 스위치(21)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식별 어댑터(10)는 상기 제2 식별 스위치(21)의 온(on) 동작에 따라 전송되는 식별 스위치 신호에 의해 발광하는 제1 발광부(13)를 구비한다.Second,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the second identification adapter 20 includes a second identification switch 21, and the first identification adapter 10 turns on the second identification switch 21. ) And a first light emitting unit 13 that emits light by an identification switch signal transmitt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상기 제2 구현 형태에 따른 식별 기능은 상기 제2 식별 어댑터(20) 측에서 식별 스위치 신호를 보내면 상기 제1 식별 어댑터(10) 측에서 발광으로 표출하는 것으로 구현되는 형태이다. 구체적으로, 특정 네트워크 기기(300)에 연결되어 있는 랜 케이블(100)의 제2 식별 어댑터(20)에 구비되는 제2 식별 스위치(21)를 작업자 또는 사용자가 온(on) 상태로 동작시키면, 상기 네트워크 허브(200)의 네트워크 포트(201)에 꽂혀있는 동일한 랜 케이블(100)의 제1 식별 어댑터(10)에 구비되는 제1 발광부(13)에서 식별 광이 발광하는 식별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작업자 또는 사용자들은 특정 네트워크 기기(300)에 연결되는 랜 케이블이 상기 네트워크 허브(200)의 어느 네트워크 포트(201)에 꽂혀 있는지를 용이하고 정확하게 식별할 수 있다.The identification function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is implemented by emitting light from the first identification adapter 10 when an identification switch signal is transmitted from the second identification adapter 20 side. Specifically, when an operator or user operates the second identification switch 21 provided in the second identification adapter 20 of the LAN cable 100 connected to the specific network device 300 in an on state, An identification function in which identification light emits light from the first light emitting unit 13 provided in the first identification adapter 10 of the same LAN cable 100 plugged into the network port 201 of the network hub 200 can be implemented. have. Through this, workers or users can easily and accurately identify which network port 201 of the network hub 200 a LAN cable connected to the specific network device 300 is plugged into.

셋째, 제3 구현 형태에 따라, 상기 제1 식별 어댑터(10)는 제1 식별 스위치(11)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식별 어댑터(20)는 제2 식별 스위치(21)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식별 어댑터(10)는 상기 제2 식별 스위치(21)의 온(on) 동작에 따라 전송되는 식별 스위치 신호에 의해 발광하는 제1 발광부(13)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식별 어댑터(20)는 상기 제1 식별 스위치(11)의 온(on) 동작에 따라 전송되는 식별 스위치 신호에 의해 발광하는 제2 발광부(23)를 구비한다. 상기 제3 구현 형태는 도 4에 도시된 형태에 해당한다.Third,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the first identification adapter 10 includes a first identification switch 11 and the second identification adapter 20 includes a second identification switch 21, and 1 The identification adapter 10 includes a first light emitting unit 13 that emits light by an identification switch signal transmitted according to an on operation of the second identification switch 21, and the second identification adapter 20 ) Includes a second light-emitting unit 23 that emits light by an identification switch signal transmitted according to an on operation of the first identification switch 11. The third implementation form corresponds to the form shown in FIG. 4.

상기 제3 구현 형태에 따른 식별 기능은 상기 제1 구현 형태와 상기 제2 구현 형태에 따라 식별 기능을 모두 수행할 수 있는 구현 형태에 해당된다. 따라서, 사용자 또는 작업자의 선택의 폭을 넓히고 편의에 따라 선택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가장 바람직한 구현 형태에 해당된다.The identification function according to the third implementation type corresponds to an implementation type capable of performing both the identification function according to the first implementation type and the second implementation type. Therefore, it is the most desirable implementation form because the user or operator can select and use it according to their convenience.

구체적으로, 상기 제3 구현 형태에 따른 식별 기능은 상기 제1 식별 어댑터(10) 측에서 식별 스위치 신호를 보내면 상기 제2 식별 어댑터(20) 측에서 발광으로 표출하는 것으로 구현되는 형태와 상기 제2 식별 어댑터(20) 측에서 식별 스위치 신호를 보내면 상기 제1 식별 어댑터(10) 측에서 발광으로 표출하는 것으로 구현되는 형태를 모두 포함한다.Specifically, the identification function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is implemented by emitting light from the second identification adapter 20 when an identification switch signal is sent from the first identification adapter 10 side, and the second identification function. When the identification switch signal is transmitted from the identification adapter 20 side, the first identification adapter 10 side includes all forms implemented by emitting light.

따라서, 가장 바람직한 상기 제3 구현 형태는 상기 네트워크 허브(200)의 네트워크 포트(201)에 꽂혀 있는 랜 케이블(100)의 제1 식별 어댑터(10)에 구비되는 제1 식별 스위치(11)를 작업자 또는 사용자가 온(on) 상태로 동작시키면, 상기 네트워크 기기(300)에 연결되는 동일한 랜 케이블(100)의 제2 식별 어댑터(20)에 구비되는 제2 발광부(23)에서 식별 광이 발광하는 식별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작업자 또는 사용자들은 상기 네트워크 허브(200)의 특정 네트워크 포트(201)에 꽂혀 있는 랜 케이블이 어느 네트워크 기기(300)에 연결되어 있는지를 용이하고 정확하게 식별할 수 있다.Therefore, the most preferable third embodiment is the first identification switch 11 provided in the first identification adapter 10 of the LAN cable 100 plugged into the network port 201 of the network hub 200. Alternatively, when the user operates in the on state, the identification light is emitted from the second light emitting unit 23 provided in the second identification adapter 20 of the same LAN cable 100 connected to the network device 300 The identification function can be implemented. Through this, workers or users can easily and accurately identify to which network device 300 the LAN cable plugged into the specific network port 201 of the network hub 200 is connected.

또한, 가장 바람직한 상기 제3 구현 형태는 특정 네트워크 기기(300)에 연결되어 있는 랜 케이블(100)의 제2 식별 어댑터(20)에 구비되는 제2 식별 스위치(21)를 작업자 또는 사용자가 온(on) 상태로 동작시키면, 상기 네트워크 허브(200)의 네트워크 포트(201)에 꽂혀있는 동일한 랜 케이블(100)의 제1 식별 어댑터(10)에 구비되는 제1 발광부(13)에서 식별 광이 발광하는 식별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작업자 또는 사용자는 특정 네트워크 기기(300)에 연결되는 랜 케이블이 상기 네트워크 허브(200)의 어느 네트워크 포트(201)에 꽂혀 있는지를 용이하고 정확하게 식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ost preferable third embodiment is that the operator or user turns on the second identification switch 21 provided in the second identification adapter 20 of the LAN cable 100 connected to the specific network device 300 ( On) operation, the identification light from the first light emitting unit 13 provided in the first identification adapter 10 of the same LAN cable 100 plugged into the network port 201 of the network hub 200 It is possible to implement a light-emitting identification function. Through this, the operator or the user can easily and accurately identify which network port 201 of the network hub 200 a LAN cable connected to the specific network device 300 is plugged into.

상기 제1 구현 형태, 제2 구현 형태 및 제3 구현 형태들은 모두 사용자 및 작업자가 랜 케이블을 용이하고 정확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하지만, 사용 또는 작업 환경 및 조건에 따라 사용자 또는 작업자들의 편의성을 고려하면, 도 4에 도시된 상기 제3 구현 형태가 가장 바람직하다.The first implementation form, the second implementation form, and the third implementation form all allow users and workers to easily and accurately identify the LAN cable, but considering the convenience of users or workers according to use or work environment and conditions, The third embodiment shown in FIG. 4 is most preferred.

상기 제1 구현 형태에서, 상기 제2 식별 어댑터(20)에는 제2 발광부(23)가 구비되는데, 제2 부저부(25)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사용자 또는 작업자는 상기 제2 식별 어댑터(20) 측에서 제2 발광부(23)에서 발광하는 식별 광을 시각적으로 확인하고 더 나아가 상기 제2 부저부(25)에서 울리는 식별 음을 청각적으로 인지하여 랜 케이블을 용이하고 정확하게 식별할 수 있다.In the first embodiment, the second identification adapter 20 is provided with a second light-emitting unit 23, 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second buzzer unit 25 is further provided. Therefore, the user or operator visually checks the identification light emitted from the second light emitting unit 23 from the side of the second identification adapter 20, and furthermore, audibly hears the identification sound emitted from the second buzzer unit 25. LAN cable can be easily and accurately identified by recognition.

또한, 상기 제2 구현 형태에서, 상기 제1 식별 어댑터(10)에는 제1 발광부(13)가 구비되는데, 제1 부저부(15)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사용자 또는 작업자는 상기 제1 식별 어댑터(10) 측에서 제1 발광부(13)에서 발광하는 식별 광을 시각적으로 확인하고 더 나아가 상기 제1 부저부(15)에서 울리는 식별 음을 청각적으로 인지하여 랜 케이블을 용이하고 정확하게 식별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second embodiment, the first identification adapter 10 is provided with a first light-emitting unit 13, and a first buzzer unit 15 is preferably further provided. Therefore, the user or operator visually checks the identification light emitted from the first light emitting unit 13 from the side of the first identification adapter 10, and furthermore, audibly hears the identification sound emitted from the first buzzer unit 15. LAN cable can be easily and accurately identified by recognition.

또한, 상기 제3 구현 형태에서, 상기 제1 식별 어댑터(10)에는 제1 발광부(13)가 구비되고, 동시에 상기 제2 식별 어댑터(20)에는 제2 발광부(23)가 구비되는데,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식별 어댑터(10)에는 상기 제1 부저부(15)가 더 구비되고, 동시에 상기 제2 식별 어댑터(20)에는 상기 제2 부저부(25)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in the third embodiment, the first identification adapter 10 is provided with a first light emitting part 13, and at the same time, the second identification adapter 20 is provided with a second light emitting part 23, 4 to 6, the first identification adapter 10 is further provided with the first buzzer portion 15, and at the same time, the second identification adapter 20 includes the second buzzer portion 25 It is preferable that) is further provided.

따라서, 상기 제1 식별 어댑터(10)에 구비되는 상기 제1 식별 스위치(11)가 온(on) 상태로 동작됨에 따라, 사용자 또는 작업자들은 상기 제2 식별 어댑터(20) 측에서 제2 발광부(23)에서 발광하는 식별 광을 시각적으로 확인하고 더 나아가 상기 제2 부저부(25)에서 울리는 식별 음을 청각적으로 인지하여 랜 케이블을 용이하고 정확하게 식별할 수 있고, 반대로 상기 제2 식별 어댑터(20)에 구비되는 상기 제2 식별 스위치(21)가 온(on) 상태로 동작됨에 따라, 사용자 또는 작업자들은 상기 제1 식별 어댑터(10) 측에서 제1 발광부(13)에서 발광하는 식별 광을 시각적으로 확인하고 더 나아가 상기 제1 부저부(15)에서 울리는 식별 음을 청각적으로 인지하여 랜 케이블을 용이하고 정확하게 식별할 수 있다.Therefore, as the first identification switch 11 provided in the first identification adapter 10 is operated in an on state, a user or a worker is a second light emitting unit at the side of the second identification adapter 20 By visually checking the identification light emitted from (23) and further audibly recognizing the identification sound sounding from the second buzzer (25), the LAN cable can be easily and accurately identified, and conversely, the second identification adapter As the second identification switch 21 provided in (20) is operated in an on state, users or workers identify the light emitted from the first light-emitting unit 13 from the first identification adapter 10 side. The LAN cable can be easily and accurately identified by visually checking the light and further audibly recognizing the identification sound ringing from the first buzzer unit 15.

상기 제1 식별 어댑터(10)에 구비되는 상기 제1 발광부(13) 및 상기 제2 식별 어댑터(20)에 구비되는 상기 제2 발광부(23)는 각각 LED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상기 제1 식별 어댑터(10)와 상기 제2 식별 어댑터(20)의 둘레는 따라 띠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irst light emitting part 13 provided in the first identification adapter 10 and the second light emitting part 23 provided in the second identification adapter 20 may each include an LED, 4 and 5, each of the first identification adapter 10 and the second identification adapter 20 is preferably formed in a belt shape along the circumference.

또한, 제1 식별 어댑터(10)에 구비되는 상기 제1 부저부(15) 및 상기 제2 식별 어댑터(20)에 구비되는 상기 제2 부저부(25)는 각각 압전 부저 소자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각각 상기 제1 식별 어댑터(10)와 상기 제2 식별 어댑터(20)의 외측으로 부저 음을 발산할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first buzzer part 15 provided in the first identification adapter 10 and the second buzzer part 25 provided in the second identification adapter 20 each include a piezoelectric buzzer element.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each of the first identification adapter 10 and the second identification adapter 20 be formed in a shape capable of emitting a buzzer sound.

상기 사용자 또는 작업자가 상기 랜 케이블의 일측에 형성되는 상기 제1 식별 어댑터(10)에 구비되는 제1 식별 스위치(11)를 온(on) 상태로 동작시키면, 식별 스위치 신호가 발생하여 상기 랜 케이블의 타측에 형성되는 상기 제2 식별 어댑터(20)에 전송된다. 그러면, 상기 제2 식별 어댑터(20)에 구비되는 제2 발광부(23) 및 제2 부저부(25)가 동작되어 각각 식별 광을 발광하고 부저음인 식별 음을 울린다.When the user or the operator operates the first identification switch 11 provided in the first identification adapter 10 formed on one side of the LAN cable in an on state, an identification switch signal is generated and the LAN cable It is transmitted to the second identification adapter 20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Then, the second light emitting unit 23 and the second buzzer unit 25 provided in the second identification adapter 20 are operated to emit light for identification and sound an identification sound, which is a buzzer sound.

반대로, 상기 사용자 또는 작업자가 상기 랜 케이블의 타측에 형성되는 상기 제2 식별 어댑터(20)에 구비되는 제2 식별 스위치(21)를 온(on) 상태로 동작시키면, 식별 스위치 신호가 발생하여 상기 랜 케이블의 일측에 형성되는 상기 제1 식별 어댑터(10)에 전송된다. 그러면, 상기 제1 식별 어댑터(10)에 구비되는 제1 발광부(13) 및 제1 부저부(15)가 동작되어 각각 식별 광을 발광하고 부저음인 식별 음을 울린다.Conversely, when the user or the operator operates the second identification switch 21 provided in the second identification adapter 20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LAN cable in an on state, an identification switch signal is generated and the It is transmitted to the first identification adapter 10 formed on one side of the LAN cable. Then, the first light emitting unit 13 and the first buzzer unit 15 provided in the first identification adapter 10 are operated to emit light for identification and sound an identification sound, which is a buzzer sound.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식별 기능을 구비한 네트워크 시스템(500)에서 적용하는 상기 제1 식별 어댑터(10) 및 제2 식별 어댑터(20)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식별 어댑터(10) 및 제2 식별 어댑터(20)는 각각 제1 식별 스위치(11), 제2 식별 스위치(21)를 구비하고, 제1 발광부(13), 제2 발광부(23)를 구비하고, 제1 부저부(15), 제2 부저부(25)를 구비하며, 상기 랜 케이블(100)의 제1 커넥터(30)와 제2 커넥터(40)에 연결되는 제1 어댑터 소켓(18), 제2 어댑터 소켓(28)을 구비하고, 상기 네트워크 포트(201)와 상기 연결 소켓(301)에 연결되는 제1 어댑터 커넥터(19), 제2 어댑터 커넥터(29)를 포함하여 구성된다.5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first identification adapter 10 and the second identification adapter 20 applied to the network system 500 having an identification function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5, the first identification adapter 10 and the second identification adapter 20 each have a first identification switch 11 and a second identification switch 21, and a first light-emitting unit ( 13), a second light emitting portion 23, a first buzzer portion 15, a second buzzer portion 25, the first connector 30 and the second connector of the LAN cable 100 A first adapter connector (19) having a first adapter socket (18) and a second adapter socket (28) connected to the 40, and connected to the network port 201 and the connection socket 301, It consists of 2 adapter connectors (29).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식별 스위치 신호는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에 의하여 전송된다. 즉, 상기 식별 스위치 신호는 상기 랜 케이블(100)인 유선을 통해 전송될 수도 있고, 다양한 무선 통신 방식으로도 전송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랜 케이블(100)의 일측에 형성되는 상기 제1 식별 어댑터(10)에 구비되는 상기 제1 식별 스위치(11) 또는 타측에 형성되는 상기 제2 식별 어댑터(20)에 구비되는 상기 제2 식별 스위치(21)를 동작시킴에 따라 발생하는 상기 식별 스위치 신호는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랜 케이블(100)의 타측에 형성되는 제2 식별 어앱터(20) 또는 일측에 형성되는 제1 식별 어댑터(10)로 전송될 수 있다.The identification switch sig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ransmitted by wired communication or wireless communication. That is, the identification switch signal may be transmitted through a wired LAN cable 100 or may be transmitted through various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s. Specifically, the first identification switch 11 provided on the first identification adapter 10 formed on one side of the LAN cable 100 or the second identification adapter 20 provided on the other side The identification switch signal generated by operating the second identification switch 21 is formed on the second identification adapter 20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LAN cable 100 or on one side through wired communication or wireless communication. It may be transmitted to the first identification adapter 10.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식별 기능을 구비한 네트워크 시스템을 구성하는 랜 케이블(100)을 이용한 통신 방식을 보여주는 회로 구성 블록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적용되는 식별 기능을 구비한 네트워크 시스템(500)은 랜 케이블(100)의 일측에 연결되는 상기 제1 식별 어앱터(10)에 제1 식별 스위치(11), 제1 발광부(13), 제1 부저부(15) 및 제1 MCU(17)를 구비하고, 타측에 연결되는 상기 제2 식별 어댑터(20)에 제2 식별 스위치(21), 제2 발광부(23), 제2 부저부(25) 및 제2 MCU(27)를 구비한다. 도 6에 도시된 식별 기능을 구비한 네트워크 시스템을 구성하는 랜 케이블(100)은 UTP 케이블인 케이블 라인(50)을 통해 식별 스위치 신호를 전송한다. 6 is a circuit configuration block diagram showing a communication method using a LAN cable 100 constituting a network system having an identification function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6, the network system 500 having an identification function applied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to the first identification adapter 10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LAN cable 100. 1 identification switch (11), a first light emitting unit (13), a first buzzer unit (15) and a second identification switch to the second identification adapter (20) connected to the other side provided with the first MCU (17) (21), a second light emitting unit 23, a second buzzer unit 25 and a second MCU (27). The LAN cable 100 constituting the network system having the identification function shown in FIG. 6 transmits the identification switch signal through the cable line 50 which is a UTP cable.

이와 같은 회로 구성에 따라, 사용자 또는 작업자가 상기 제1 식별 어댑터(10)에 구비되는 상기 제1 식별 스위치(11)를 온(on) 상태로 동작시키면, 상기 제1 MCU(17)는 상기 식별 스위치 신호에 해당하는 패킷 데이터를 상기 랜 케이블(100)을 통해 상기 제2 식별 어댑터(20)로 전송한다. 그러면, 상기 제2 식별 어댑터(20)의 제2 MCU(27)는 상기 제2 발광부(23)와 상기 제2 부저부(25)를 동작시킨다. 결과적으로, 상기 제2 발광부(23)는 식별 광을 발광하고, 상기 제2 부저부(25)는 부저음에 해당하는 식별 음을 울린다.According to such a circuit configuration, when a user or an operator operates the first identification switch 11 provided in the first identification adapter 10 in an on state, the first MCU 17 identifies the identification Packet data corresponding to a switch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second identification adapter 20 through the LAN cable 100. Then, the second MCU 27 of the second identification adapter 20 operates the second light emitting unit 23 and the second buzzer unit 25. As a result, the second light-emitting unit 23 emits identification light, and the second buzzer unit 25 sounds an identification sound corresponding to a buzzer sound.

또한, 이와 같은 회로 구성에 따라, 사용자 또는 작업자가 상기 제2 식별 어댑터(20)에 구비되는 상기 제2 식별 스위치(21)를 온(on) 상태로 동작시키면, 상기 제2 MCU(27)는 상기 식별 스위치 신호에 해당하는 패킷 데이터를 상기 랜 케이블(100)을 통해 상기 제1 식별 어댑터(10)로 전송한다. 그러면, 상기 제1 식별 어댑터(10)의 제1 MCU(17)는 상기 제1 발광부(13)와 상기 제1 부저부(15)를 동작시킨다. 결과적으로, 상기 제1 발광부(23)는 식별 광을 발광하고, 상기 제1 부저부(15)는 부저음에 해당하는 식별 음을 울린다.In addition, according to such a circuit configuration, when a user or an operator operates the second identification switch 21 provided in the second identification adapter 20 in an on state, the second MCU 27 Packet data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cation switch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first identification adapter 10 through the LAN cable 100. Then, the first MCU 17 of the first identification adapter 10 operates the first light-emitting unit 13 and the first buzzer unit 15. As a result, the first light-emitting unit 23 emits identification light, and the first buzzer unit 15 sounds an identification sound corresponding to a buzzer sound.

한편, 상기 제1 식별 어댑터(10) 및 상기 제2 식별 어댑터(20)는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식별 스위치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1 MCU(17)는 제1 무선 모뎀으로 대체되고 상기 제2 MCU(27)는 제2 무선 모뎀으로 대체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 사용자 또는 작업자가 상기 제1 식별 어댑터(10)에 구비되는 상기 제1 식별 스위치(11)를 온(on) 상태로 동작시키면, 상기 제1 무선 모뎀은 상기 식별 스위치 신호를 무선을 통해 상기 제2 식별 어댑터(20)로 전송한다. 그러면, 상기 제2 식별 어댑터(20)의 제2 MCU(27)는 상기 제2 발광부(23)와 상기 제2 부저부(25)를 동작시킨다. 결과적으로, 상기 제2 발광부(23)는 식별 광을 발광하고, 상기 제2 부저부(25)는 부저음에 해당하는 식별 음을 울린다. 반대로, 사용자 또는 작업자가 상기 제2 식별 어댑터(20)에 구비되는 상기 제2 식별 스위치(21)를 온(on) 상태로 동작시키면, 상기 제2 무선 모뎀은 상기 식별 스위치 신호를 무선을 통해 상기 제1 식별 어댑터(10)로 전송한다. 그러면, 상기 제1 식별 어댑터(10)의 제1 MCU(17)는 상기 제1 발광부(13)와 상기 제1 부저부(15)를 동작시킨다. 결과적으로, 상기 제1 발광부(13)는 식별 광을 발광하고, 상기 제1 부저부(15)는 부저음에 해당하는 식별 음을 울린다.Meanwhile, the first identification adapter 10 and the second identification adapter 20 may transmit and receive the identification switch signal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To this end, the first MCU 17 is replaced with a first wireless modem and the second MCU 27 is replaced with a second wireless modem. In such a configuration, when a user or a worker operates the first identification switch 11 provided in the first identification adapter 10 in an on state, the first wireless modem transmits the identification switch signal wirelessly. It is transmitted to the second identification adapter 20 through. Then, the second MCU 27 of the second identification adapter 20 operates the second light emitting unit 23 and the second buzzer unit 25. As a result, the second light-emitting unit 23 emits identification light, and the second buzzer unit 25 sounds an identification sound corresponding to a buzzer sound. Conversely, when a user or an operator operates the second identification switch 21 provided in the second identification adapter 20 in an on state, the second wireless modem transmits the identification switch signal through the radio. It transmits to the first identification adapter (10). Then, the first MCU 17 of the first identification adapter 10 operates the first light-emitting unit 13 and the first buzzer unit 15. As a result, the first light-emitting unit 13 emits identification light, and the first buzzer unit 15 sounds an identification sound corresponding to a buzzer sound.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식별 기능을 구비한 네트워크 시스템(500)의 구성 블록도이다.7 is a block diagram of a network system 500 having an identification function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식별 기능을 구비한 네트워크 시스템(500)은 상술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식별 기능을 구비한 네트워크 시스템(500)과 기본적인 구성이 동일하다. 따라서 기본적인 구성과 동작은 상술한 기술적 특징이 적용된다.As shown in FIG. 7, a network system 500 having an identification function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network system 500 having an identification function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asic configuration is the same. Therefore, the above-described technical characteristics are applied to the basic configuration and operation.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식별 기능을 구비한 네트워크 시스템(500)은 역시 특정 네트워크 기기(300)에 타측이 연결된 랜 케이블(100)의 일측이 상기 네트워크 허브(200)에 형성된 복수의 네트워크 포트(201) 중, 어느 특정 네트워크 포트(201)에 연결되어 있는지를 쉽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한다.In the network system 500 having an identification function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ne side of the LAN cable 100 connected to the other end to the specific network device 300 is formed in the network hub 200. Among the ports 201, it is possible to easily identify which specific network port 201 is connected to.

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식별 기능을 구비한 네트워크 시스템(500)은 상술한 제1 실시예와 같이, 상기 랜 케이블(100)의 양측에 탈부착 가능하게 접속되는 상기 제1 식별 어댑터(10) 및 제2 식별 어댑터(20)를 적용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 네트워크 허브(200)의 복수의 네트워크 포트(201)에 각각 대응하여 상기 네트워크 허브(200)에 내장되는 제1 식별 모듈(210)과 상기 랜 케이블(100)의 타측에 연결되기 위하여 상기 네트워크 기기(300)에 내장되거나 외장 연결되는 제2 식별 모듈(310)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식별 모듈(210)과 상기 제2 식별 모듈(310) 중, 어느 한쪽에서 식별 스위치를 온(on) 상태로 동작시키면, 다른 쪽에서 발광부를 통해 식별 광이 표시될 수 있도록 하고 더 나아가 부저부를 통해 식별 음이 발생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On the other hand, the network system 500 having the identification function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in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the first identification adapter detachably connected to both sides of the LAN cable 100 (10) and the second identification adapter (20) is not applied, but a first identification module (210) embedded in the network hub (200)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plurality of network ports (201) of the network hub (200) ) And a second identification module 310 that is built-in or externally connected to the network device 300 to be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LAN cable 100, and the first identification module 210 and the second identification Of the modules 310, when the identification switch is operated in an on state on one side, the identification light can be displayed through the light emitting unit on the other side, and further, the identification sound can be generated through the buzzer.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식별 기능을 구비한 네트워크 시스템(500)은 상기 각 네트워크 포트(201)에 대응하여 상기 네트워크 허브(200)에 내장되는 상기 제1 식별 모듈(210)과, 상기 각 네트워크 포트에 일측이 연결되는 상기 랜 케이블(100)의 타측에 연결되는 상기 네트워크 기기(300)에 내장되거나 외장 연결되는 제2 식별 모듈(31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network system 500 having an identification function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first identification module 210 embedded in the network hub 200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network ports 201. And, a second identification module 310 that is built-in or externally connected to the network device 300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LAN cable 100 connected to each of the network ports.

상기 제1 식별 모듈(210)은 각 네트워크 포트(201)에 대응하여 내장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네트워크 포트(201)의 개수만큼 내장 형성된다. 상기 제2 식별 모듈(310)은 상기 네트워크 기기(300)에 내장될 수도 있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장형으로 연결될 수도 있는데, 외장 연결되는 경우 상기 네트워크 기기(300)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또는 탈부착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식별 모듈(310)이 외장 연결되는 경우, 그 구성은 기본적으로 도 5에 도시된 제1 식별 어댑터(10)(또는 도 2 식별 어댑터(20))와 유사하다. 구체적으로, 탈부착 가능한 경우에는 동일하고, 일체 형성되는 경우에는 제1 어댑터 커넥터(19)(또는 제2 어댑터 커넥터(29))가 없는 제1 식별 어댑터(10)(또는 도 2 식별 어댑터(20)) 구조와 동일하다.Since the first identification module 210 is built-in corresponding to each network port 201, it is built-in as many as the number of network ports 201. The second identification module 310 may be embedded in the network device 300 or may be externally connected as shown in FIG. 7. When externally connected, the second identification module 310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network device 300 or It may be formed to be detachable. When the second identification module 310 is externally connected, the configuration is basically similar to the first identification adapter 10 (or the identification adapter 20 in FIG. 2) shown in FIG. 5. Specifically, the first identification adapter 10 (or FIG. 2 identification adapter 20) without the first adapter connector 19 (or the second adapter connector 29) is the same when it is detachable, and when integrally formed ) Is the same as the structure.

상기 랜 케이블(100)은 UTP 케이블에 해당하는 케이블 라인(50)의 일측에 제1 커넥터(30)가 연결되고 타측에 제2 커넥터(40)가 연결되어 구성된다. 상기 제1 커텍터(30)와 상기 제2 커넥터(40)는 RJ45 커넥터에 해당한다. 상기 제1 커넥터(30)는 상기 네트워크 허브(200)의 네트워크 포트(201)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커넥터(40)는 상기 네트워크 기기(300)에 내장되거나 또는 외장 연결되는 상기 제2 식별 모듈(310)에 연결된다. The LAN cable 100 is configured by connecting a first connector 30 to one side of a cable line 50 corresponding to a UTP cable and a second connector 40 to the other side. The first connector 30 and the second connector 40 correspond to an RJ45 connector. The first connector 30 is connected to the network port 201 of the network hub 200, and the second connector 40 is the second identification module built-in or externally connected to the network device 300 Connected to 310.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식별 기능을 구비한 네트워크 시스템(50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커넥터(30)가 상기 제1 식별 모듈(210)에 대응되는 상기 네트워크 포트(201)에 접속되고, 상기 제2 커넥터(40)가 상기 제2 식별 모듈(310)에 접속되어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1 식별 모듈(210)은 상기 네트워크 허브(200)의 대응하는 네트워크 포트(201)를 통해 상기 랜 케이블(100)에 연결되고 상기 네트워크 기기(300)는 상기 제2 식별 모듈(310)을 통해 상기 랜 케이블(100)에 연결된다.In the network system 500 having an identification function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7, the first connector 30 is the network port corresponding to the first identification module 210. It is connected to 201, and the second connector 40 is connected to the second identification module 310 and configured. Therefore, the first identification module 210 is connected to the LAN cable 100 through the corresponding network port 201 of the network hub 200, and the network device 300 is the second identification module 310 It is connected to the LAN cable 100 through.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식별 기능은 상기 랜 케이블(100)의 일측이 연결되는 해당 네트워크 포트(201)에 대응하는 상기 제1 식별 모듈(210) 또는 상기 랜 케이블(100)의 타측에 연결되는 상기 제2 식별 모듈(310)에서 식별 스위치 신호를 보내면 제2 식별 모듈(310) 또는 제1 식별 모듈(210)에서 상기 식별 스위치 신호에 반응하여 식별 광, 더 나아가 식별 음이 표출됨으로써, 사용자 또는 작업자가 랜 케이블의 양측이 동일한 랜 케이블의 양측인지 여부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는 기능에 해당한다. 따라서, 사용자 또는 작업자들은 특정 네트워크 기기(300)에 연결되는 랜 케이블(100)이 상기 네트워크 허브(200)의 어느 네트워크 포트(201)에 꽂혀 있는지를 용이하고 정확하게 식별할 수 있다.As a result, the identification function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of the first identification module 210 or the LAN cable 100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network port 201 to which one side of the LAN cable 100 is connected. When an identification switch signal is sent from the second identification module 310 connected to the other side, the identification light and further identification sound are displayed in response to the identification switch signal from the second identification module 310 or the first identification module 210 As a result, it corresponds to a function that allows a user or an operator to easily identify whether both sides of the LAN cable are both sides of the same LAN cable. Accordingly, users or workers can easily and accurately identify to which network port 201 of the network hub 200 the LAN cable 100 connected to the specific network device 300 is plugged.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식별 기능을 구비한 네트워크 시스템(500)을 구현하기 위한 방법은 역시 크게 세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The method for implementing the network system 500 having an identification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also be implemented in three large forms.

첫째, 제1 구현 형태에 따라, 상기 제1 식별 모듈(210)은 제3 식별 스위치(211)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식별 모듈(310)은 상기 제3 식별 스위치(211)의 온(on) 동작에 따라 전송되는 식별 스위치 신호에 의해 발광하는 제4 발광부(313)를 구비한다.First, according to the first implementation form, the first identification module 210 includes a third identification switch 211, and the second identification module 310 is turned on the third identification switch 211. ) And a fourth light emitting unit 313 that emits light by an identification switch signal transmitt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상기 제1 구현 형태에 따른 식별 기능은 상기 제1 식별 모듈(210) 측에서 식별 스위치 신호를 보내면 상기 제2 식별 모듈(310) 측에서 발광으로 표출하는 것으로 구현되는 형태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랜 케이블(100)의 일측이 연결되는 특정 네트워크 포트(201)에 대응하여 상기 네트워크 허브(200)에 내장되는 상기 제1 식별 모듈(210)에 구비되는 제3 식별 스위치(211)를 작업자 또는 사용자가 온(on) 상태로 동작시키면, 상기 랜 케이블(100)의 타측에 연결되는 상기 네트워크 기기(300)에 내장 연결되거나 외장 연결되는 상기 제2 식별 모듈(310)에 구비되는 제4 발광부(313)에서 식별 광이 발광하는 식별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작업자 또는 사용자들은 상기 네트워크 허브(200)의 특정 네트워크 포트(201)에 꽂혀 있는 랜 케이블이 어느 네트워크 기기(300)에 연결되어 있는지를 용이하고 정확하게 식별할 수 있다.The identification function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is a type implemented by emitting light from the second identification module 310 when an identification switch signal is sent from the first identification module 210 side. Specifically, a third identification switch 211 provided in the first identification module 210 embedded in the network hub 200 corresponding to a specific network port 201 to which one side of the LAN cable 100 is connected When the operator or the user operates in the on state, the second identification module 310 which is internally connected or externally connected to the network device 300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LAN cable 100 4 An identification function in which identification light emits light from the light-emitting unit 313 may be implemented. Through this, workers or users can easily and accurately identify to which network device 300 the LAN cable plugged into the specific network port 201 of the network hub 200 is connected.

둘째, 제2 구현 형태에 따라, 상기 제2 식별 모듈(310)은 제4 식별 스위치(311)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식별 모듈(210)은 상기 제4 식별 스위치(311)의 온(on) 동작에 따라 전송되는 식별 스위치 신호에 의해 발광하는 제3 발광부(213)를 구비한다.Second,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the second identification module 310 includes a fourth identification switch 311, and the first identification module 210 turns on the fourth identification switch 311. ) And a third light-emitting unit 213 that emits light by an identification switch signal transmitt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상기 제2 구현 형태에 따른 식별 기능은 상기 제2 식별 모듈(310) 측에서 식별 스위치 신호를 보내면 상기 제1 식별 모듈(210) 측에서 발광으로 표출하는 것으로 구현되는 형태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랜 케이블(100)의 타측에 연결되는 상기 네트워크 기기(300)에 내장 연결되거나 외장 연결되는 상기 제2 식별 모듈(310)에 구비되는 제4 식별 스위치(311)를 작업자 또는 사용자가 온(on) 상태로 동작시키면, 상기 랜 케이블(100)의 일측이 연결되는 특정 네트워크 포트(201)에 대응하여 상기 네트워크 허브(200)에 내장되는 상기 제1 식별 모듈(210)에 구비되는 제3 발광부(213)에서 식별 광이 발광하는 식별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작업자 또는 사용자들은 특정 네트워크 기기(300)에 연결되는 랜 케이블(100)이 상기 네트워크 허브(200)의 어느 네트워크 포트(201)에 꽂혀 있는지를 용이하고 정확하게 식별할 수 있다.The identification function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is a form in which, when an identification switch signal is transmitted from the second identification module 310 side, the first identification module 210 side emits light. Specifically, a fourth identification switch 311 provided in the second identification module 310 that is internally connected or externally connected to the network device 300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LAN cable 100 is provided by an operator or a user. When operating in an on state, the first identification module 210 included in the network hub 200 corresponds to a specific network port 201 to which one side of the LAN cable 100 is connected. 3 An identification function in which identification light emits light from the light-emitting unit 213 may be implemented. Through this, workers or users can easily and accurately identify to which network port 201 of the network hub 200 the LAN cable 100 connected to the specific network device 300 is plugged.

셋째, 제3 구현 형태에 따라, 상기 제1 식별 모듈(210)은 제3 식별 스위치(211)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식별 모듈(310)은 제4 식별 스위치(311)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식별 모듈(210)은 상기 제4 식별 스위치(311)의 온(on) 동작에 따라 전송되는 식별 스위치 신호에 의해 발광하는 제3 발광부(213)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식별 모듈(310)은 상기 제3 식별 스위치(211)의 온(on) 동작에 따라 전송되는 식별 스위치 신호에 의해 발광하는 제4 발광부(313)를 구비한다. 상기 제3 구현 형태는 도 7에 도시된 형태에 해당한다.Third, according to the third implementation form, the first identification module 210 includes a third identification switch 211 and the second identification module 310 includes a fourth identification switch 311, and the 1 The identification module 210 includes a third light-emitting unit 213 that emits light by an identification switch signal transmitted according to an on operation of the fourth identification switch 311, and the second identification module 310 ) Includes a fourth light-emitting unit 313 that emits light by an identification switch signal transmitted according to an on operation of the third identification switch 211. The third implementation form corresponds to the form shown in FIG. 7.

상기 제3 구현 형태에 따른 식별 기능은 상기 제1 구현 형태와 상기 제2 구현 형태에 따라 식별 기능을 모두 수행할 수 있는 구현 형태에 해당된다. 따라서, 사용자 또는 작업자의 선택의 폭을 넓히고 편의에 따라 선택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가장 바람직한 구현 형태에 해당된다.The identification function according to the third implementation type corresponds to an implementation type capable of performing both the identification function according to the first implementation type and the second implementation type. Therefore, it is the most desirable implementation form because the user or operator can select and use it according to their convenience.

구체적으로, 상기 제3 구현 형태에 따른 식별 기능은 상기 제1 식별 모듈(210) 측에서 식별 스위치 신호를 보내면 상기 제2 식별 모듈(310) 측에서 발광으로 표출하는 것으로 구현되는 형태와 상기 제2 식별 모듈(310) 측에서 식별 스위치 신호를 보내면 상기 제1 식별 모듈(210) 측에서 발광으로 표출하는 것으로 구현되는 형태를 모두 포함한다.Specifically, the identification function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is a form implemented by emitting light from the second identification module 310 when an identification switch signal is sent from the first identification module 210 side, and the second When the identification switch signal is transmitted from the identification module 310 side, the first identification module 210 side includes all forms implemented by emitting light.

따라서, 가장 바람직한 상기 제3 구현 형태는 상기 랜 케이블(100)의 일측이 연결되는 특정 네트워크 포트(201)에 대응하여 상기 네트워크 허브(200)에 내장되는 상기 제1 식별 모듈(210)에 구비되는 제3 식별 스위치(211)를 작업자 또는 사용자가 온(on) 상태로 동작시키면, 상기 랜 케이블(100)의 타측에 연결되는 상기 네트워크 기기(300)에 내장 연결되거나 외장 연결되는 상기 제2 식별 모듈(310)에 구비되는 제4 발광부(313)에서 식별 광이 발광하는 식별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작업자 또는 사용자들은 상기 네트워크 허브(200)의 특정 네트워크 포트(201)에 꽂혀 있는 랜 케이블이 어느 네트워크 기기(300)에 연결되어 있는지를 용이하고 정확하게 식별할 수 있다.Therefore, the most preferable third implementation form is provided in the first identification module 210 embedded in the network hub 200 corresponding to a specific network port 201 to which one side of the LAN cable 100 is connected. When an operator or user operates the third identification switch 211 in an on state, the second identification module is internally connected or externally connected to the network device 300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LAN cable 100 An identification function in which identification light emits light from the fourth light-emitting unit 313 provided in 310 may be implemented. Through this, workers or users can easily and accurately identify to which network device 300 the LAN cable plugged into the specific network port 201 of the network hub 200 is connected.

또한, 가장 바람직한 상기 제3 구현 형태는 상기 랜 케이블(100)의 타측에 연결되는 상기 네트워크 기기(300)에 내장 연결되거나 외장 연결되는 상기 제2 식별 모듈(310)에 구비되는 제4 식별 스위치(311)를 작업자 또는 사용자가 온(on) 상태로 동작시키면, 상기 랜 케이블(100)의 일측이 연결되는 특정 네트워크 포트(201)에 대응하여 상기 네트워크 허브(200)에 내장되는 상기 제1 식별 모듈(210)에 구비되는 제3 발광부(213)에서 식별 광이 발광하는 식별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작업자 또는 사용자는 특정 네트워크 기기(300)에 연결되는 랜 케이블이 상기 네트워크 허브(200)의 어느 네트워크 포트(201)에 꽂혀 있는지를 용이하고 정확하게 식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ost preferable third embodiment is a fourth identification switch provided in the second identification module 310 that is internally connected or externally connected to the network device 300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LAN cable 100 ( When a worker or a user operates 311) in an on state, the first identification module embedded in the network hub 200 corresponding to a specific network port 201 to which one side of the LAN cable 100 is connected An identification function in which identification light emits light from the third light-emitting unit 213 provided in 210 may be implemented. Through this, the operator or the user can easily and accurately identify which network port 201 of the network hub 200 a LAN cable connected to the specific network device 300 is plugged into.

상기 제1 구현 형태, 제2 구현 형태 및 제3 구현 형태들은 모두 사용자 및 작업자가 랜 케이블을 용이하고 정확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하지만, 사용 또는 작업 환경 및 조건에 따라 사용자 또는 작업자들의 편의성을 고려하면, 도 7에 도시된 상기 제3 구현 형태가 가장 바람직하다.The first implementation form, the second implementation form, and the third implementation form all allow users and workers to easily and accurately identify the LAN cable, but considering the convenience of users or workers according to use or work environment and conditions, The third embodiment shown in FIG. 7 is most preferred.

상기 제1 구현 형태에서, 상기 제2 식별 모듈(310)에는 제4 발광부(313)가 구비되는데, 제4 부저부(315)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사용자 또는 작업자는 상기 제2 식별 모듈(310) 측에서 제4 발광부(313)에서 발광하는 식별 광을 시각적으로 확인하고 더 나아가 상기 제4 부저부(315)에서 울리는 식별 음을 청각적으로 인지하여 랜 케이블을 용이하고 정확하게 식별할 수 있다.In the first embodiment, the second identification module 310 is provided with a fourth light emitting unit 313, and it is preferable that a fourth buzzer unit 315 is further provided. Therefore, the user or the operator visually checks the identification light emitted from the fourth light emitting unit 313 from the side of the second identification module 310, and further, audibly hears the identification sound emitted from the fourth buzzer unit 315. LAN cable can be easily and accurately identified by recognition.

또한, 상기 제2 구현 형태에서, 상기 제1 식별 모듈(210)에는 제3 발광부(213)가 구비되는데, 제3 부저부(215)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사용자 또는 작업자는 상기 제1 식별 모듈(210) 측에서 제3 발광부(213)에서 발광하는 식별 광을 시각적으로 확인하고 더 나아가 상기 제3 부저부(215)에서 울리는 식별 음을 청각적으로 인지하여 랜 케이블을 용이하고 정확하게 식별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second embodiment, the first identification module 210 is provided with a third light-emitting unit 213, and it is preferable that a third buzzer part 215 is further provided. Therefore, the user or the operator visually checks the identification light emitted from the third light emitting unit 213 from the side of the first identification module 210, and furthermore, audibly hears the identification sound ringing from the third buzzer unit 215. LAN cable can be easily and accurately identified by recognition.

또한, 상기 제3 구현 형태에서, 상기 제1 식별 모듈(210)에는 제3 발광부(213)가 구비되고, 동시에 상기 제2 식별 모듈(310)에는 제4 발광부(313)가 구비되는데,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식별 모듈(210)에는 상기 제3 부저부(215)가 더 구비되고, 동시에 상기 제2 식별 모듈(310)에는 상기 제4 부저부(315)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in the third embodiment, the first identification module 210 is provided with a third light emitting part 213, and at the same time, the second identification module 310 is provided with a fourth light emitting part 313, As shown in FIGS. 7 and 8, the third buzzer part 215 is further provided in the first identification module 210, and the fourth buzzer part 315 is provided in the second identification module 310 at the same time. It is preferable that) is further provided.

따라서, 상기 제1 식별 모듈(210)에 구비되는 상기 제3 식별 스위치(211)가 온(on) 상태로 동작됨에 따라, 사용자 또는 작업자들은 상기 제2 식별 모듈(310) 측에서 제4 발광부(313)에서 발광하는 식별 광을 시각적으로 확인하고 더 나아가 상기 제4 부저부(315)에서 울리는 식별 음을 청각적으로 인지하여 랜 케이블을 용이하고 정확하게 식별할 수 있고, 반대로 상기 제2 식별 모듈(310)에 구비되는 상기 제4 식별 스위치(311)가 온(on) 상태로 동작됨에 따라, 사용자 또는 작업자들은 상기 제1 식별 모듈(210) 측에서 제3 발광부(213)에서 발광하는 식별 광을 시각적으로 확인하고 더 나아가 상기 제3 부저부(215)에서 울리는 식별 음을 청각적으로 인지하여 랜 케이블을 용이하고 정확하게 식별할 수 있다.Accordingly, as the third identification switch 211 provided in the first identification module 210 is operated in an on state, a user or a worker may receive a fourth light emitting unit from the second identification module 310 side. By visually checking the identification light emitted from 313 and further audibly recognizing the identification sound ringing in the fourth buzzer 315, the LAN cable can be easily and accurately identified, and conversely, the second identification module As the fourth identification switch 311 provided in 310 is operated in an on state, users or workers identify the light emitted from the third light emitting unit 213 at the side of the first identification module 210 By visually checking the light and further, by audibly recognizing the identification sound ringing from the third buzzer part 215, it is possible to easily and accurately identify the LAN cable.

상기 제1 식별 모듈(210)에 구비되는 상기 제3 발광부(213) 및 상기 제2 식별 모듈(310)에 구비되는 상기 제4 발광부(313)는 각각 LED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식별 모듈(310)이 상술한 제1 식별 어댑터(10)(또는 제2 식별 어댑터(20))와 유사하게 형성되면 상기 제4 발광부(313)는 상기 제2 식별 모듈(310)의 둘레는 따라 띠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third light-emitting unit 213 provided in the first identification module 210 and the fourth light-emitting unit 313 provided in the second identification module 310 may each include an LED, As shown in FIG. 7, when the second identification module 310 is formed similar to the first identification adapter 10 (or the second identification adapter 20) described above, the fourth light-emitting unit 313 It is preferable that the circumference of the second identification module 310 is formed in a strip shape along the circumference.

또한, 제1 식별 모듈(210)에 구비되는 상기 제3 부저부(215) 및 상기 제2 식별 모듈(310)에 구비되는 상기 제4 부저부(315)는 각각 압전 부저 소자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각각 상기 제1 식별 모듈(210)와 상기 제2 식별 모듈(310)의 외측으로 부저 음을 발산할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third buzzer part 215 provided in the first identification module 210 and the fourth buzzer part 315 provided in the second identification module 310 are each configured to include a piezoelectric buzzer element.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each of the first identification module 210 and the second identification module 310 be formed in a shape capable of emitting a buzzer sound.

상기 사용자 또는 작업자가 상기 랜 케이블의 일측에 연결되는 특정 네트워크 허브(201)에 대응하여 네트워크 허브(200)에 내장되는 상기 제1 식별 모듈(210)에 구비되는 제3 식별 스위치(211)를 온(on) 상태로 동작시키면, 식별 스위치 신호가 발생하여 상기 랜 케이블(100)의 타측에 연결되는 상기 제2 식별 모듈(310)에 전송된다. 그러면, 상기 제2 식별 모듈(310)에 구비되는 제4 발광부(313) 및 제4 부저부(315)가 동작되어 각각 식별 광을 발광하고 부저음인 식별 음을 울린다.The user or operator turns on the third identification switch 211 provided in the first identification module 210 built in the network hub 200 in response to a specific network hub 201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LAN cable. When operating in the (on) state, an identification switch signal is generated and transmitted to the second identification module 310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LAN cable 100. Then, the fourth light emitting unit 313 and the fourth buzzer unit 315 provided in the second identification module 310 are operated to emit identification light and sound identification sounds, which are buzzers.

반대로, 상기 사용자 또는 작업자가 상기 랜 케이블의 타측에 연결되는 상기 제2 식별 모듈(310)에 구비되는 제4 식별 스위치(311)를 온(on) 상태로 동작시키면, 식별 스위치 신호가 발생하여 상기 랜 케이블의 일측에 연결되는 특정 네트워크 허브(201)에 대응하는 상기 제1 식별 모듈(210)에 전송된다. 그러면, 상기 제1 식별 모듈(210)에 구비되는 제3 발광부(213) 및 제3 부저부(215)가 동작되어 각각 식별 광을 발광하고 부저음인 식별 음을 울린다.Conversely, when the user or the worker operates the fourth identification switch 311 provided in the second identification module 310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LAN cable in an on state, an identification switch signal is generated and the It is transmitted to the first identification module 210 corresponding to a specific network hub 201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LAN cable. Then, the third light emitting unit 213 and the third buzzer unit 215 provided in the first identification module 210 are operated to emit identification light and sound identification sounds, which are buzzers.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식별 기능을 구비한 네트워크 시스템(500)을 구성하는 상기 제1 식별 모듈(210)은 부가적으로,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3 식별 스위치(211)의 온(on) 동작에 따라, 상기 제1 식별 모듈(210)에 대응하는 해당 네트워크 포트(201)에 연결되는 상기 랜 케이블(100)의 거리와 단선 여부를 측정하고 표시하는 동작을 수행한다.The first identification module 210 constituting the network system 500 having the identification function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dditionally, as shown in Figs. 7 and 8, the third identification An operation of measuring and displaying the distance and disconnection of the LAN cable 100 connected to the corresponding network port 201 corresponding to the first identification module 210 according to the on operation of the switch 211 Perform.

이와 같은 동작을 수행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적용되는 상기 제1 식별 모듈(210)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3 식별 스위치(211), 상기 제3 발광부(213) 및 상기 제3 부저부(215) 이외에, 제3 MCU(217), 케이블 상태 표시부(214), PSE(Power sourcing equipment)(216) 및 펄스 발생기(218)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2 식별 모듈(310)은 상기 제4 식별 스위치(311), 상기 제4 발광부(313) 및 상기 제4 부저부(315) 이외에, 제4 MCU(317) 및 PD(Power Device)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In order to perform such an operation, the first identification module 210 applied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third identification switch 211 and the third light emitting unit as shown in FIG. 8. 213) and the third buzzer unit 215, a third MCU 217, a cable status display unit 214, a power sourcing equipment (PSE) 216 and a pulse generator 218 are further included, and the In addition to the fourth identification switch 311, the fourth light emitting unit 313, and the fourth buzzer unit 315, the second identification module 310 further includes a fourth MCU 317 and a power device (PD). It consists of including.

사용자 또는 작업자들이 상기 제1 식별 모듈(210)을 구성하는 상기 제3 식별 스위치(211)를 온(on) 상태로 동작시키면, 상기 제3 MCU(217)는 식별 스위치 신호에 해당하는 패킷을 생성하여 대응하는 네트워크 포트(201)에 연결된 상기 랜 케이블(100)을 통해 상기 제2 식별 모듈(310)을 구성하는 제4 MCU(317)로 전송한다. 그러면, 상기 제4 MUC(317)는 상기 제4 발광부(313) 및 상기 제4 부저부(315)를 동작시켜 각각 식별광이 발광되도록 하고 식별음이 울릴 수 있도록 한다.When a user or workers operates the third identification switch 211 constituting the first identification module 210 in an on state, the third MCU 217 generates a packet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cation switch signal. Thus, it is transmitted to the fourth MCU 317 constituting the second identification module 310 through the LAN cable 100 connected to the corresponding network port 201. Then, the fourth MUC 317 operates the fourth light emitting unit 313 and the fourth buzzer unit 315 to emit light for identification and to sound an identification sound.

한편, 상기 제3 MCU(217)는 상기 제3 식별 스위치(211)가 온(on) 상태로 동작되면, 상기 펄스 발생기(218)를 동작시켜 상기 랜 케이블(100)의 거리를 측정하고 상기 랜 케이블(100)의 심선 일부에 대한 단선 여부를 판단하며, 더 나아가 상기 PSE(216)를 동작시켜 상기 랜 케이블(100)의 심선 전체에 대한 단선 여부, 즉 랜 케이블(100)의 단선 여부를 판단한다.Meanwhile, when the third identification switch 211 is operated in an on state, the third MCU 217 measures the distance of the LAN cable 100 by operating the pulse generator 218 and It is determined whether a part of the core wire of the cable 100 is disconnected, and further, by operating the PSE 216,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entire core wire of the LAN cable 100 is disconnected, that is, whether the LAN cable 100 is disconnected. do.

구체적으로, 상기 제3 MCU(217)는 상기 펄스 발생기(218)를 동작시켜 일정 주파수의 테스트 펄스가 발생되도록 한 후, 이 테스트 펄스를 상기 랜 케이블(100)의 각 심선들(8개 심선)을 통해 전송한다. 그러면, 상기 각 심선을 통해 전송되는 테스트 펄스는 상기 랜 케이블의 종단에서 반사되어 되돌아 온다. 상기 제3 MCU(217)는 각 심선을 통해 전송된 후 되돌아온 시간을 이용하여 각 심선의 테스트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third MCU 217 operates the pulse generator 218 to generate a test pulse of a certain frequency, and then transmits the test pulse to each of the core wires (8 core wires) of the LAN cable 100. Transmit through. Then, the test pulse transmitted through each core wire is reflected from the end of the LAN cable and returned. The third MCU 217 may measure the test distance of each core wire using a time returned after being transmitted through each core wire.

상기 제3 MCU(217)는 상기 각 심선들, 즉 8개의 심선들에 대한 테스트 거리 중, 다른 테스트 거리들과 상이한 테스트 거리가 적어도 하나라도 존재하면 상기 랜 케이블(100)의 심선 일부에 대한 단선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다. 이 경우, 상기 제3 MCU(217)는 상기 케이블 상태 표시부(214)를 통해 "단선"이 표시될 수 있도록 제어한다. 반면, 상기 제3 MCU(217)는 각 심선들, 즉 8개의 심선들에 대한 테스트 거리가 모두 동일하면, 상기 랜 케이블(100)의 심선 일부에 대한 단선이 발생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모든 심선들에 대한 동일한 테스트 거리를 상기 랜 케이블(100)의 거리로 판단하여 상기 케이블 상태 표시부(214)를 통해 테스트 거리가 표시될 수 있도록 제어한다.The third MCU 217 disconnects a part of the core wire of the LAN cable 100 when at least one test distance different from other test distances exists among the test distances for each of the core wires, that is, eight core wires. It is judged that this has occurred. In this case, the third MCU 217 controls the cable status display unit 214 to display "breakdown". On the other hand, the third MCU 217 determines that disconnection of a part of the core wire of the LAN cable 100 does not occur when the test distances for each core wire, that is, the eight core wires, are the same, and all the The same test distance for the core wires is determined as the distance of the LAN cable 100 and the test distance is controlled to be displayed through the cable status display unit 214.

그러나, 상기 랜 케이블(100)이 일정한 지점에서 완전히 단선된 경우, 즉 일정한 지점에서 모든 심선들(8개의 심선들)이 단선된 경우에, 상기 제3 MCU(217)는 각 심선들, 즉 8개의 심선들을 통해 전송된 테스트 펄스가 동일한 지점에서 반사되어 되돌아오기 때문에, 각 심선들, 즉 8개의 심선들에 대한 테스트 거리가 동일한 것으로 측정한다. 결과적으로, 상기 제3 MCU(217)는 상기 랜 케이블(100)의 단선(동일 지점에서 모든 심선들에 대한 단선)이 발생하였음에도 불구하고 단선으로 판단하지 못하고 상기 단선된 랜 케이블(100)의 테스트 거리를 전체 거리로 판단하여 상기 케이블 상태 표시부(214)를 통해 잘못된 거리가 표시될 수 있도록 하는 잘못된 제어를 수행할 수도 있다.However, when the LAN cable 100 is completely disconnected at a certain point, that is, when all the core wires (8 core wires) are disconnected at a certain point, the third MCU 217 is Since the test pulse transmitted through the two core wires is reflected and returned at the same point, it is measured that the test distances for each core wire, that is, eight core wires, are the same. As a result, the third MCU 217 does not judge the disconnection even though the disconnection of the LAN cable 100 (disconnection of all core cables at the same point) occurs, and the test of the disconnected LAN cable 100 It is also possible to perform erroneous control such that an erroneous distance may be displayed through the cable status display unit 214 by determining the distance as the total distance.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제3 MCU(217)는 상기 PSE(216)를 동작시켜 테스트 전압이 상기 랜 케이블(100)을 통해 상기 제2 식별 모듈(310)을 구성하는 상기 PD(316)에 공급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3 MCU(217)는 상기 PSE(216)과 상기 PD(316)가 상기 랜 케이블(100)의 4번 및 5번 심선을 (+) 라인으로 하고, 7번 및 8번 심선을 (-) 라인으로 하여 폐회로를 구성할 수 있도록 하여 48V의 전압이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the third MCU 217 operates the PSE 216 so that the test voltage is applied to the PD 316 constituting the second identification module 310 through the LAN cable 100. ). Specifically, in the third MCU 217, the PSE 216 and the PD 316 use the 4 and 5 core wires of the LAN cable 100 as a (+) line, and the 7 and 8 core wires. By using a (-) line to form a closed circuit, a voltage of 48V can be supplied.

상기 제3 MCU(217)는 상기 PSE(216)에서 상기 PD(316)로 상기 랜 케이블(100)을 통해 전원이 정상적으로 공급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랜 케이블(100)의 모든 심선이 단선된 상태가 아닌 것으로 판단하고, 정상적으로 공급되지 않으면 상기 랜 케이블의 모든 심선이 단선(즉, 랜 케이블의 단선)된 것으로 판단한다.When it is determined that power is normally supplied from the PSE 216 to the PD 316 through the LAN cable 100, the third MCU 217 is in a state in which all core wires of the LAN cable 100 are disconnected. If not, and if it is not normally supplied, it is determined that all core wires of the LAN cable are disconnected (ie, the LAN cable is disconnected).

상기 제3 MCU(217)는 상기 PSE(216)에서 상기 PD(316)로 상기 랜 케이블(100)을 통해 전원이 정상적으로 공급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어 상기 랜 케이블의 모든 심선이 단선(즉, 랜 케이블의 단선)된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각 심선들에 대한 테스트 펄스를 통한 테스트 거리 측정 결과와 무관하게 상기 케이블 상태 표시부(214)를 통해 "단선"이 표시될 수 있도록 제어한다. 반면, 제3 MCU(217)는 상기 PSE(216)에서 상기 PD(316)로 상기 랜 케이블(100)을 통해 전원이 정상적으로 공급되는 것으로 판단되어 상기 랜 케이블(100)의 모든 심선이 단선된 상태가 아닌 것으로 판단한 경우에만, 상기 테스트 펄스를 통해 측정한 모든 심선들에 대한 동일한 테스트 거리가 상기 랜 케이블(100)의 진정한 전체 거리로 판단하여 상기 케이블 상태 표시부(214)를 통해 상기 모든 심선들에 대한 동일한 테스트 거리가 표시될 수 있도록 제어한다.The third MCU 217 determines that power is not normally supplied from the PSE 216 to the PD 316 through the LAN cable 100, so that all core wires of the LAN cable are disconnected (i.e., LAN cable). If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a disconnection of the core wires), control is performed so that "disconnection" can be displayed through the cable status display unit 214 regardless of a test distance measurement result through a test pulse for each of the core wires. On the other hand, the third MCU 217 is determined that power is normally supplied from the PSE 216 to the PD 316 through the LAN cable 100, so that all core wires of the LAN cable 100 are disconnected. Only when it is determined that it is not, the same test distance for all the core wires measured through the test pulse is determined to be the true total distance of the LAN cable 100, and is applied to all the core wires through the cable status display unit 214. Control so that the same test distance can be displayed.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허브(200)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네트워크 포트(201)들과 별개로 테스트 포트(202)와 테스트 식별 스위치(212)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Meanwhile, the network hub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est port 202 and a test identification switch 212 separately from the above-described network ports 201, as shown in FIGS. 7 and 8. It may be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작업자들은 특정 네트워크 기기(300)에 연결된 랜 케이블(100)을 상기 네트워크 허브(200)에 구비되는 복수의 네트워크 포트(201) 중, 특정 네트워크 포트(201)에 연결하고자 할 때, 복수의 네트워크 기기(300)로부터 연결된 복수의 랜 케이블(100)들을 테스트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네트워크 허브(200)는 상기 테스트 포트(202)와 테스트 식별 스위치(212)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When workers want to connect the LAN cable 100 connected to a specific network device 300 to a specific network port 201 among a plurality of network ports 201 provided in the network hub 200, a plurality of network devices It is necessary to test a plurality of LAN cables 100 connected from 300. To this end, the network hub 200 is preferably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the test port 202 and a test identification switch 212.

상기 작업자가 테스트할 랜 케이블(100)의 일측을 상기 테스트 포트(202)에 연결하고 상기 테스트 식별 스위치(212)를 온(on) 상태로 동작시키면, 상기 테스트할 랜 케이블(100)의 타측과 연결된 네트워크 기기(300)에서 식별광이 발광하고 식별음이 울린다. 이를 통해, 상기 테스트할 랜 케이블(100)에 연결된 네트워크 기기(300)가 어느 네트워크 기기인지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작업자가 찾는 네트워크 기기(300)가 식별되면, 해당 랜 케이블(100)을 작업자가 원하는 특정 네트워크 포트(201)에 연결할 수 있다.When the operator connects one side of the LAN cable 100 to be tested to the test port 202 and operates the test identification switch 212 in an on state, the other side of the LAN cable 100 to be tested and An identification light is emitted from the connected network device 300 and an identification sound sounds.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ich network device the network device 300 connected to the LAN cable 100 to be tested is. When the network device 300 that the worker is looking for is identified through this process, the corresponding LAN cable 100 may be connected to a specific network port 201 desired by the worker.

한편, 상기 랜 케이블(100)을 상기 테스트 포트(202)에 연결한 상태에서 상기 테스트 식별 스위치(212)를 온(on) 상태로 동작시키면, 상기 제3 MCU(217)는 상술한 랜 케이블의 연결 상태 및 표시 동작을 동일하게 수행한다. 이에 대해서는 상술한 제3 MCU(217), 케이블 상태 표시부(214), 펄스 발생기(218) 및 PSE(216)의 동작 및 기술적 특징이 동일하게 적용되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test identification switch 212 is operated in an on state while the LAN cable 100 is connected to the test port 202, the third MCU 217 is The connection status and display operation are performed identically. As for this, since the operation and technical features of the third MCU 217, the cable status display unit 214, the pulse generator 218, and the PSE 216 described above are the same, a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허브(200)는 외부와 광 통신을 위하여 광 케이블이 연결될 수 있는 광 포트(203)가 구비된다. 상기 광 포트(203)는 외부 장치들, 예를 들어 후술할 모니터링 서버(400)와 상기 네트워크 허브(200)를 광 케이블을 통해 연결하기 위하여 구비된다.On the other hand, the network hub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n optical port 203 to which an optical cable can be connected for optical communication with the outside. The optical port 203 is provided to connect external devices, for example, the monitoring server 400 to be described later and the network hub 200 through an optical cable.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식별 기능을 구비한 네트워크 시스템(500)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네트워크 허브(200)를 원격에서 모니터링하고 제어하는 모니터링 서버(4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모니터링 서버(4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광 케이블이 상기 네트워크 허브(200)에 구비되는 상기 광 포트(203)에 연결되어 상기 네트워크 허브(200)와 연결될 수 있다.The network system 500 having an identification function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monitoring server 400 that remotely monitors and controls the network hub 200 as shown in FIG. 9. Is composed. As described above, the monitoring server 400 may be connected to the network hub 200 by connecting an optical cable to the optical port 203 provided in the network hub 200.

상기 모니터링 서버(40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각 네트워크 포트(201) 별로, 대응하는 랜 케이블(100) 및 네트워크 기기(300)의 상태를 표시하고 원격 제어를 조작할 수 있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UI)인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광 케이블을 통해 연결되는 상기 네트워크 허브(200)의 구성에 따라 그 구성이 역시 달라진다. 예를 들어, 상기 모니터링 서버(400)의 유저 인터페이스는 도 10의 (a), (b) 및 (c)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10, the monitoring server 400 displays the status of the corresponding LAN cable 100 and the network device 300 for each of the network ports 201, and a user who can operate a remote control It has an interface. The user interface is preferably a graphic user interface (GUI), and its configuration is also changed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network hub 200 connected through the optical cable. For example, the user interface of the monitoring server 400 may be configured in the form of (a), (b) and (c) of FIG. 10.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는 상기 네트워크 허브(200)에 구비되는 복수의 네트워크 포트(201) 각각에 연결되는 랜 케이블(100) 및 이 랜 케이블(100)에 연결되는 네트워크 기기(300)의 상태, 예를 들어 소비 전력, 랜 케이블의 거리, 랜 케이블의 단선 상태 등을 표시할 수 있고, 원격 제어, 예를 들어 원격 리셋 조작, 원격 테스트 조작 등을 조작할 수 있다.The user interface includes a LAN cable 100 connected to each of a plurality of network ports 201 provided in the network hub 200 and a state of a network device 300 connected to the LAN cable 100, for example It can display the power consumption, the distance of the LAN cable, the disconnection status of the LAN cable, etc., and remote control such as remote reset operation, remote test operation, etc. can be operated.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유저 인터페이스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본적으로 허브 IP 표시부(421), 허브 명칭 표시부(423), 온도 표시부(425), 습도 표시부(427) 및 SFP 포트 상태 표시부(429)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허브 IP 표시부(421)는 연결된 상기 네트워크 허브(200)의 IP 주소를 표시하고, 상기 허브 명칭 표시부(423)는 연결된 네트워크 허브(200)의 명칭을 표시하고, 상기 온도 표시부(425)는 연결된 네트워크 허브(200)의 현재 온도를 표시하고, 상기 습도 표시부(427)는 연결된 네트워크 허브(200)의 현재 습도를 표시하며, 상기 SFP 포트 상태 표시부(429)는 연결된 네트워크 허브(200)에 구비되는 각각의 광 포트(203) 즉, 각각의 SFP 포트의 명칭과 링크 상태를 표시한다.Specifically, the user interfa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basically a hub IP display unit 421, a hub name display unit 423, a temperature display unit 425, a humidity display unit 427, and an SFP port status display unit, as shown in FIG. It contains (429). The hub IP display unit 421 displays the IP address of the connected network hub 200, the hub name display unit 423 displays the name of the connected network hub 200, and the temperature display unit 425 is connected The current temperature of the network hub 200 is displayed, the humidity display unit 427 displays the current humidity of the connected network hub 200, and the SFP port status display unit 429 is provided in the connected network hub 200. The name and link status of each optical port 203, that is, each SFP port are displayed.

상이 유저 인터페이스는 도 10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트별 상태 및 제어 조작부(410)를 포함한다. 상기 포트별 상태 및 제어 조작부(410)는 상기 연결된 네트워크 허브(200)에 구비되는 네트워크 포트(201)와 동일한 개수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포트별 상태 및 제어 조작부(410)는 각각의 네트워크 포트(201)에 대응하여 구성된다.The different user interface includes a state for each port and a control operation unit 410 as shown in FIG. 10A. It is preferable that the port-specific state and control operation unit 410 is configured in the same number as the network ports 201 provided in the connected network hub 200. That is, the status and control operation unit 410 for each port is configured corresponding to each network port 201.

상기 각각의 포트별 상태 및 제어 조작부(410)는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지만, 도 10의 (a)에서는 소비전력 표시부(411), 원격 리셋 제어부(413), 원격 테스트 제어부(415) 및 케이블 거리 표시부(417)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The state and control operation unit 410 for each port may be configured in various ways, but in FIG. 10A, the power consumption display unit 411, the remote reset control unit 413, the remote test control unit 415 and the cable distance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display unit 417.

상기 소비전력 표시부(411)는 대응하는 네트워크 포트(201)가 소비하는 소비전력, 더 구체적으로 대응하는 네트워크 포트(201)에 랜 케이블(100)을 통해 연결되는 네트워크 기기(300)에서 소비하는 소비전력을 표시한다. 상기 소비전력 표시부(411)는 상기 소비전력을 표시함과 동시에 대응하는 포트와 네트워크 기기(300) 사이의 네트워크 연결 상태를 광을 통해 표시한다. 예를 들어, 상기 소비전력 표시부(411)는 네트워크 연결이 정상이면 녹색, 비정상이면 적색, 연결이 안되어 있으면 회색으로 표시한다. 상기 소비전력 표시부(411)가 상기 소비전력 및 네트워크 연결 상태를 표시할 수 있도록, 상기 네트워크 허브(200)에 구비되는 컨트롤러는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상기 소비전력 및 네트워크 연결 상태에 관한 정보를 상기 모니터링 서버(400)에 전송한다.The power consumption display unit 411 is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corresponding network port 201, more specifically, the consumption of the network device 300 connected to the corresponding network port 201 through the LAN cable 100 Display power. The power consumption display unit 411 displays the power consumption and simultaneously displays a network connection state between a corresponding port and the network device 300 through light. For example, the power consumption display unit 411 displays green when the network connection is normal, red when the network connection is abnormal, and gray when there is no connection. In order for the power consumption display unit 411 to display the power consumption and the network connection state, the controller provided in the network hub 200 displays information on the power consumption and the network connection state in real time or periodically. Transfer to 400.

상기 원격 리셋 제어부(413)는 상기 대응하는 네트워크 포트(201)의 온/오프 제어(리셋 제어), 즉 상기 네트워크 포트(201)에 연결된 네트워크 기기(300)의 온/오프 제어(리셋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원격 모니터링 서버의 조작자 또는 관리자는 특정 네트워크 기기(300)에 오류가 발생한 것으로 확인하면, 상기 특정 네트워크 기기(300)에 연결된 네트워크 포트(201)에 대응하는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의 원격 리셋 제어부(413)를 조작하여 상기 특정 네트워크 기기(300)가 리셋될 수 있도록 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상기 원격 리셋 제어부(413)는 예를 들어 버튼 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조작자가 상기 원격 리셋 제어부(413)에 해당하는 버튼을 누르면, 특정 포트 리셋 신호가 상기 네트워크 허브(200)의 컨트롤러에 전송된다. 그러면,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특정 포트 리셋 신호에 관련된 해당 특정 네트워크 포트(210)를 통해 인가되는 전원을 오프(off)하였다가 다시 온(on)으로 동작시킨다. 이와 같은 절차를 통해 해당 네트워크 기기는 리셋될 수 있다.The remote reset control unit 413 performs on/off control (reset control) of the corresponding network port 201, that is, on/off control (reset control) of the network device 300 connected to the network port 201. Can be done. Specifically, when the operator or administrator of the remote monitoring server determines that an error has occurred in the specific network device 300, the remote reset control unit of the user interface corresponding to the network port 201 connected to the specific network device 300 ( By manipulating 413), the specific network device 300 may be reset. More specifically, the remote reset control unit 413 is configured in the form of, for example, a button, and when the operator presses a button corresponding to the remote reset control unit 413, a specific port reset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network hub 200 Is sent to the controller. Then, the controller turns off the power applied through the specific network port 210 related to the specific port reset signal, and then operates it on again. Through this procedure, the network device may be reset.

상기 원격 테스트 제어부(415)는 상기 대응하는 네트워크 포트(201)에 연결된 랜 케이블(100)의 식별, 단선 여부, 거리 등을 체크하기 위하여 조작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원격 모니터링 서버의 조작자 또는 관리자는 특정 랜 케이블(100)에 대한 식별, 단선 여부, 거리를 확인하고자 하는 경우에, 상기 특정 랜 케이블(100)에 연결된 네트워크 포트(201)에 대응하는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의 원격 테스트 제어부(415)를 조작하여 상기 특정 랜 케이블(100)의 식별, 단선 여부 체크, 거리 체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상기 원격 테스트 제어부(415)는 예를 들어 버튼 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조작자가 상기 원격 테스트 제어부(413)에 해당하는 버튼을 누르면, 특정 케이블 테스트 신호가 상기 네트워크 허브(200)의 컨트롤러에 전송된다. 그러면,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특정 케이블 테스트 신호에 관련된 해당 특정 네트워크 포트(210)에 연결된 특정 랜 케이블을 식별하고, 단선 여부를 체크하도고 하며 거리를 체크할 수 있도록 한다.The remote test control unit 415 may be manipulated to check the identification, disconnection, distance, etc. of the LAN cable 100 connected to the corresponding network port 201. Specifically, when the operator or administrator of the remote monitoring server wants to identify a specific LAN cable 100, whether it is disconnected, or check the distance, the network port 201 connected to the specific LAN cable 100 By manipulating the remote test control unit 415 of the user interface, the specific LAN cable 100 is identified, disconnected, and distance checked. More specifically, the remote test control unit 415 is configured in the form of, for example, a button, and when the operator presses a button corresponding to the remote test control unit 413, a specific cable test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network hub 200 Is sent to the controller. Then, the controller identifies a specific LAN cable connected to the specific network port 210 related to the specific cable test signal, checks for disconnection, and checks the distance.

구체적으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특정 네트워크 포트(201)에 대응하는 상기 제3 MCU(217)에게 대응하는 랜 케이블(100)의 식별 동작, 단선 체크 동작 및 거리 체크 동작을 수행하도록 명령한다. 그러면, 상기 제3 MCU(217)는 상술한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 랜 케이블 식별 동작, 랜 케이블 단선 체크 동작 및 랜 케이블 거리 체크 동작을 수행하고, 해당 결과를 케이블 상태 표시부(214)에 표시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랜 케이블 단선 체크 동작 및 랜 케이블 거리 체크 동작을 수행한 결과를 상기 모니터링 서버(400)에 전송한다. 그러면, 상기 모니터링 서버(400)는 상기 유저 인터페에스의 케이블 거리 표시부(417)에 상기 랜 케이블의 거리 또는 단선 상태가 표시될 수 있도록 한다.Specifically, the controller instructs the third MCU 217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network port 201 to perform an identification operation, a disconnection check operation, and a distance check operation of the corresponding LAN cable 100. Then, the third MCU 217 performs the LAN cable identification operation, the LAN cable disconnection check operation, and the LAN cable distance check operatio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7 and 8, and displays the result of the cable status display unit 214 To be displayed in The controller transmits a result of performing the LAN cable disconnection check operation and the LAN cable distance check operation to the monitoring server 400. Then, the monitoring server 400 allows the distance or disconnection of the LAN cable to be displayed on the cable distance display unit 417 of the user interface.

상기 케이블 거리 표시부(417)는 상기 대응하는 네트워크 포트(201)에 연결된 랜 케이블(100)의 거리 또는 단선 상태를 표시한다. 상기 케이블 거리 표시부(417)에 표시되는 대응하는 랜 케이블(100)의 거리 또는 단선 상태는 상술한 원격 테스트 제어부(415)의 조작을 통해 확인하여 표시할 수도 있고, 상술한 제3 MCU(217)의 동작에 따라 대응하는 랜 케이블(100)에 대한 거리 체크 및 단선 체크가 이루어질 때마다 상기 네트워크 허브(200)의 컨트롤러가 상기 대응하는 랜 케이블의 체크 결과를 상기 모니터링 서버(400)에 전송함에 따라 표시될 수도 있다.The cable distance display unit 417 displays the distance or disconnection status of the LAN cable 100 connected to the corresponding network port 201. The distance or disconnection status of the corresponding LAN cable 100 displayed on the cable distance display unit 417 may be checked and displayed through manipulation of the remote test control unit 415 described above, or the third MCU 217 described above As the controller of the network hub 200 transmits the check result of the corresponding LAN cable to the monitoring server 400 whenever the distance check and disconnection check for the corresponding LAN cable 100 is perform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May be displayed.

도 10의 (b)에 도시된 유저 인터페이스는 상기 포트별 상태 및 제어 조작부(410)가 상기 소비전력 표시부(411) 및 원격 리셋 제어부(413)만으로 구성되고, 이와 별개로 개별 포트 테스트 조작부(430)를 구비하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상기 개별 포트 테스트 조작부(430)는 테스트하고자 하는 네트워크 포트(201)에 연결된 특정 랜 케이블의 식별, 단선 여부, 거리를 체크하기 위하여 구비된다.In the user interface shown in (b) of FIG. 10, the state and control operation unit 410 for each port is composed of only the power consumption display unit 411 and the remote reset control unit 413. Separately, the individual port test operation unit 430 ). The individual port test operation unit 430 is provided to identify a specific LAN cable connected to the network port 201 to be tested, whether it is disconnected, or check a distance.

상기 개별 포트 테스트 조작부(430)는 테스트 포트 처리부(431), 테스트 케이블 거리 표시부(433) 및 테스트 케이블 단선 표시부(43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테스트 포트 처리부(431)는 조작자에 의하여 테스트하고자 하는 특정 랜 케이블(100)이 연결된 네트워크 포트(201)가 기입되면 특정 케이블 테스트 신호가 상기 네트워크 허브(200)의 컨트롤러에 전송되도록 한다. 그러면,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특정 케이블 테스트 신호에 관련된 해당 특정 네트워크 포트(210)에 연결된 특정 랜 케이블을 식별하고, 단선 여부를 체크하도고 하며 거리를 체크할 수 있도록 한다.The individual port test operation unit 430 includes a test port processing unit 431, a test cable distance display unit 433, and a test cable disconnection display unit 435. When the network port 201 to which the specific LAN cable 100 to be tested is connected is written by an operator, the test port processing unit 431 transmits a specific cable test signal to the controller of the network hub 200. Then, the controller identifies a specific LAN cable connected to the specific network port 210 related to the specific cable test signal, checks for disconnection, and checks the distance.

구체적으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특정 네트워크 포트(201)에 대응하는 상기 제3 MCU(217)에게 대응하는 랜 케이블(100)의 식별 동작, 단선 체크 동작 및 거리 체크 동작을 수행하도록 명령한다. 그러면, 상기 제3 MCU(217)는 상술한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 랜 케이블 식별 동작, 랜 케이블 단선 체크 동작 및 랜 케이블 거리 체크 동작을 수행하고, 해당 결과를 케이블 상태 표시부(214)에 표시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랜 케이블 단선 체크 동작 및 랜 케이블 거리 체크 동작을 수행한 결과를 상기 모니터링 서버(400)에 전송한다. 그러면, 상기 모니터링 서버(400)는 상기 유저 인터페에스의 개별 포트 테스트 조작부(430)에 포함되는 상기 테스트 케이블 거리 표시부(433)에 상기 테스트한 랜 케이블(100)의 거리가 표시되도록 하고, 상기 테스트 케이블 단선 표시부(435)에 상기 테스트한 랜 케이블(100)의 단선 상태가 표시될 수 있도록 한다.Specifically, the controller instructs the third MCU 217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network port 201 to perform an identification operation, a disconnection check operation, and a distance check operation of the corresponding LAN cable 100. Then, the third MCU 217 performs the LAN cable identification operation, the LAN cable disconnection check operation, and the LAN cable distance check operatio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7 and 8, and displays the result of the cable status display unit 214 To be displayed in The controller transmits a result of performing the LAN cable disconnection check operation and the LAN cable distance check operation to the monitoring server 400. Then, the monitoring server 400 displays the distance of the tested LAN cable 100 on the test cable distance display unit 433 included in the individual port test operation unit 430 of the user interface, and the test The disconnection status of the tested LAN cable 100 can be displayed on the cable disconnection display unit 435.

도 10의 (c)는 도 10의 (b)에서 도시한 유저 인터페이스에서 서지 보호기 상태 표시부(451), 누전차단기 상태 표시부(453) 및 상기 원격 멀티콘센트 조작부(455)가 더 포함된 구성을 보여주고 있다. 이와 같은 상기 도 10의 (c)에 도시된 유저 인터페이스의 구성은 연결된 상기 네트워크 허브(200)에 서지 보호기, 누전 차단기 및 멀티콘센트가 구비된 경우에 해당된다.FIG. 10(c) shows a configuration further including a surge protector status display unit 451, an earth leakage breaker status display unit 453, and the remote multi-outlet control unit 455 in the user interface shown in FIG. 10(b). Are giving. The configuration of the user interface shown in FIG. 10C corresponds to a case where a surge protector, an earth leakage breaker, and a multi-outlet are provided in the connected network hub 200.

상기 서지보호기 상태 표시부(451)는 서지보호기의 상태, 즉 정상적인 전원공급 여부 및 고장 여부를 표시한다. 예를 들어, 상기 서지보호기 상태 표시부(451)는 상기 네트워크 허브(200)에 구비되는 서지지보호기에 전원이 정상적으로 인가되고 동시에 고장 상태가 아닌 경우에는 녹색광이 표시되고, 상기 서지보호기에 전원이 정상적으로 인가되지 않거나 또는 고장 상태에 있는 경우이거나 또는 둘 모두 상태인 경우에는 적색광이 표시된다.The surge protector status display unit 451 displays the state of the surge protector, that is, whether power is normally supplied or whether there is a failure. For example, the surge protector status display unit 451 displays a green light when power is normally applied to the surge protector provided in the network hub 200 and is not in a fault state, and power is normally supplied to the surge protector. A red light is displayed if it is not applied, if it is in a fault condition, or if both are present.

상기 누전차단기 상태 표시부(453)는 서지보호기의 상태, 즉 정상적인 전원공급 여부 및 정상적인 동작 여부를 표시한다. 예를 들어, 상기 누전차단기 상태 표시부(453)는 상기 네트워크 허브(200)에 구비되는 누전차단기에 전원이 정상적으로 인가되고 동시에 정상적인 동작 상태, 즉 고장 상태가 아닌 경우에는 녹색광이 표시되고, 상기 누전차단기에 전원이 정상적으로 인가되지 않거나 또는 비정상적인 동작 상태, 즉 고장 상태에 있는 경우이거나 또는 둘 모두 상태인 경우에는 적색광이 표시된다.The earth leakage circuit breaker status display unit 453 displays the state of the surge protector, that is, whether power is supplied normally and whether it operates normally. For example, when power is normally applied to the earth leakage circuit breaker provided in the network hub 200 and at the same time, when the earth leakage circuit breaker status display unit 453 is not in a normal operation state, that is, a failure state, a green light is displayed, and the earth leakage circuit breaker Red light is displayed when the power is not normally applied or is in an abnormal operating state, that is, in a fault state, or both.

상기 원격 멀티콘센트 조작부(455)는 복수의 삽입구 각각에 전원 공급 상태, 즉 각 삽입구에 전원이 공급되어 멀티콘센트에 연결된 외부 장비에 전원이 공급되는지를 표시한다. 예를 들어, 상기 원격 멀티콘센트 조작부(455)는 대응하는 삽입구를 통해 연결되어 있는 외부 장비에 전원이 공급되면 녹색광이 표시되고 반대로 삽입구를 통해 연결되어 있는 외부 장비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으면 적색광이 표시된다. 전자의 경우는 외부 장비 전원 단속용 릴레이가 상기 외부 장비에 전원이 공급될 수 있도록 제어된 상태이고, 후자의 경우는 반대로 외부 장비 단속용 릴레이가 상기 외부 장비에 전원이 공급될 수 없도록 제어된 상태이다.The remote multi-outlet control unit 455 displays a state of power supply to each of the plurality of insertion ports, that is, whether power is supplied to each insertion port and power is supplied to external equipment connected to the multi-outlet. For example, the remote multi-outlet control unit 455 displays a green light when power is supplied to an external device connected through a corresponding insertion port, and displays a red light when power is not supplied to an external device connected through the insertion port. do. In the former case, the external equipment power control relay is controlled to supply power to the external equipment, and in the latter case, the external equipment control relay is controlled so that power cannot be supplied to the external equipment. to be.

상기 원격 멀티콘센트 조작부(455) 각각은 토글형 조작 버튼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원격 멀티콘센트 조작부(455)가 녹색광을 표시하고 있는 상태에서, 관리자는 원격 멀티콘센트 조작부(455)를 한번 눌러서, 상기 외부 장비로 전원이 공급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원격 멀티콘센트 조작부(455)는 적색광을 표시한 상태로 전환된다. 이후, 다시 관리자는 원격 멀티콘센트 조작부(455)가 적색광을 표시하고 있는 상태에서, 관리자는 상기 원격 멀티콘센트 조작부(455)를 다시 한번 눌러서, 상기 외부 장비로 전원이 공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Each of the remote multi-outlet manipulation units 455 is formed as a toggle type manipulation button. Accordingly, while the remote multi-outlet control unit 455 is displaying green light, the administrator can control to cut off the supply of power to the external device by pressing the remote multi-outlet control unit 455 once. Then, the remote multi-outlet control unit 455 is converted to a state displaying red light. Thereafter, the manager can control the remote multi-outlet control unit 455 to be supplied with power by pressing the remote multi-outlet control unit 455 again while the remote multi-outlet control unit 455 is displaying red light.

상술한 바와 같이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경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but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variously modify the present invention within the scope no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following claims. Can be modified or changed.

1 : 상용 랜 케이블 2 : 상용 네트워크 허브
3 : 상용 네트워크 기기 10 : 제1 식별 어댑터
11 : 제1 식별 스위치 13 : 제1 발광부
15 : 제1 부저부 17 : 제1 MCU
18 : 제1 어댑터 소켓 19 : 제1 어댑터 커넥터
20 : 제2 식별 어댑터 21 : 제2 식별 스위치
23 : 제2 발광부 25 : 제2 부저부
27 : 제2 MCU 28 : 제2 어댑터 소켓
29 : 제2 어댑터 커넥터 30 : 제1 커넥터
40 : 제2 커넥터 50 : 케이블 라인
100 : 랜(LAN) 케이블 200 : 네트워크 허브
201 : 네트워크 포트(201) 202 : 테스트 포트(201)
203 : 광 포트(201) 204 : 포트(201) 상태 표시부
210 : 제1 식별 모듈 211 : 제3 식별 스위치
212 : 테스트 식별 스위치 213 : 제3 발광부
214 : 케이블 상태 표시부 215 : 제3 부저부
216 : PSE(Power sourcing equipment) 217 : 제3 MCU
218 : 펄스 발생기 300 : 네트워크 기기
301 : 연결 소켓 310 : 제2 식별 모듈
311 : 제4 식별 스위치 313 : 제4 발광부
315 : 제4 부저부 316 : PD(Power Device)
317 : 제4 MCU 400 : 모니터링 서버
410 : 포트(201)별 상태 및 제어 조작부 411 : 소비전력 표시부
413 : 원격 리셋 제어부 415 : 원격 테스트 제어부
417 : 케이블 거리 표시부 421 : 허브 IP 표시부
423 : 허브 명칭 표시부 425 : 온도 표시부
427 : 습도 표시부 429 : SFP 포트(201) 상태 표시부
430 : 개별 포트(201) 테스트 조작부 431 : 테스트 포트(201) 처리부
433 : 테스트 케이블 거리 표시부 435 : 테스트 케이블 단선 표시부
451 : 서지보호기 상태 표시부 453 : 누전차단기 상태 표시부
455 : 원격 멀티콘센트 조작부
500 : 식별 기능을 구비한 네트워크 시스템
1: Commercial LAN cable 2: Commercial network hub
3: commercial network device 10: first identification adapter
11: first identification switch 13: first light emitting unit
15: first buzzer 17: first MCU
18: first adapter socket 19: first adapter connector
20: second identification adapter 21: second identification switch
23: second light emitting portion 25: second buzzer portion
27: second MCU 28: second adapter socket
29: second adapter connector 30: first connector
40: second connector 50: cable line
100: LAN cable 200: network hub
201: network port (201) 202: test port (201)
203: optical port 201 204: port 201 status display unit
210: first identification module 211: third identification switch
212: test identification switch 213: third light emitting unit
214: cable status display portion 215: third buzzer portion
216: PSE (Power sourcing equipment) 217: 3rd MCU
218: pulse generator 300: network device
301: connection socket 310: second identification module
311: fourth identification switch 313: fourth light emitting unit
315: fourth buzzer 316: PD (Power Device)
317: fourth MCU 400: monitoring server
410: status and control operation unit for each port 201 411: power consumption display unit
413: remote reset control unit 415: remote test control unit
417: cable distance display unit 421: hub IP display unit
423: hub name display unit 425: temperature display unit
427: humidity display unit 429: SFP port 201 status display unit
430: individual port 201 test operation unit 431: test port 201 processing unit
433: test cable distance display unit 435: test cable disconnection display unit
451: surge protector status display unit 453: earth leakage breaker status display unit
455: remote multi-outlet control panel
500: network system with identification function

Claims (4)

네트워크 시스템에 있어서,
네트워크 허브, 상기 네트워크 허브와 네트워크 통신을 수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기기 및 상기 네트워크 허브에 형성되는 복수의 네트워크 포트(201) 중, 어느 하나의 네트워크 포트(201)에 일측이 연결되고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타측이 연결되는 랜 케이블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랜 케이블의 일측에 탈부착 가능하게 접속되는 제1 식별 어댑터와 상기 랜 케이블의 타측에 탈부착 가능하게 접속되는 제2 식별 어댑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식별 어댑터는 제1 식별 스위치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식별 어댑터는 상기 제1 식별 스위치의 온(on) 동작에 따라 전송되는 식별 스위치 신호에 의해 발광하는 제2 발광부를 구비하거나,
상기 제2 식별 어댑터는 제2 식별 스위치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식별 어댑터는 상기 제2 식별 스위치의 온(on) 동작에 따라 전송되는 식별 스위치 신호에 의해 발광하는 제1 발광부를 구비하거나,
상기 제1 식별 어댑터는 제1 식별 스위치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식별 어댑터는 제2 식별 스위치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식별 어댑터는 상기 제2 식별 스위치의 온(on) 동작에 따라 전송되는 식별 스위치 신호에 의해 발광하는 제1 발광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식별 어댑터는 상기 제1 식별 스위치의 온(on) 동작에 따라 전송되는 식별 스위치 신호에 의해 발광하는 제2 발광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별 기능을 구비한 네트워크 시스템.
In the network system,
One of the network hub, at least one network device performing network communication with the network hub, and a plurality of network ports 201 formed in the network hub, one end is connected to any one network port 201 and is connected to the network device. It is composed including a LAN cable to which the other side is connected,
Further comprising a first identification adapter detachably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LAN cable and a second identification adapter detachably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LAN cable,
The first identification adapter includes a first identification switch, and the second identification adapter includes a second light emitting unit that emits light by an identification switch signal transmitted according to an on operation of the first identification switch, or
The second identification adapter includes a second identification switch, and the first identification adapter includes a first light emitting unit that emits light by an identification switch signal transmitted according to an on operation of the second identification switch, or
The first identification adapter includes a first identification switch, the second identification adapter includes a second identification switch, and the first identification adapter is an identification switch transmitted according to an on operation of the second identification switch. And a first light-emitting unit that emits light by a signal, and the second identification adapter includes a second light-emitting unit that emits light by an identification switch signal transmitted according to an on operation of the first identification switch. Network system with identification function.
네트워크 시스템에 있어서,
네트워크 허브, 상기 네트워크 허브와 네트워크 통신을 수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기기 및 상기 네트워크 허브에 형성되는 복수의 네트워크 포트(201) 중, 어느 하나의 네트워크 포트(201)에 일측이 연결되고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타측이 연결되는 랜 케이블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각 네트워크 포트(201)에 대응하여 상기 네트워크 허브에 내장되는 제1 식별 모듈과, 상기 각 네트워크 포트(201)에 일측이 연결되는 상기 랜 케이블의 타측에 연결되는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내장되거나 외장 연결되는 제2 식별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식별 모듈은 제3 식별 스위치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식별 모듈은 상기 제3 식별 스위치의 온(on) 동작에 따라 전송되는 식별 스위치 신호에 의해 발광하는 제4 발광부를 구비하거나,
상기 제2 식별 모듈은 제4 식별 스위치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식별 모듈은 상기 제4 식별 스위치의 온(on) 동작에 따라 전송되는 식별 스위치 신호에 의해 발광하는 제3 발광부를 구비하거나,
상기 제1 식별 모듈은 제3 식별 스위치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식별 모듈은 제4 식별 스위치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식별 모듈은 상기 제4 식별 스위치의 온(on) 동작에 따라 전송되는 식별 스위치 신호에 의해 발광하는 제3 발광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식별 모듈은 상기 제3 식별 스위치의 온(on) 동작에 따라 전송되는 식별 스위치 신호에 의해 발광하는 제4 발광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별 기능을 구비한 네트워크 시스템.
In the network system,
One of the network hub, at least one network device performing network communication with the network hub, and a plurality of network ports 201 formed in the network hub, one end is connected to any one network port 201 and is connected to the network device. It is composed including a LAN cable to which the other side is connected,
A first identification module built into the network hub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network ports 201, and a built-in or external connection to the network device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LAN cable connected to each of the network ports 201 Further comprising a second identification module,
The first identification module includes a third identification switch, and the second identification module includes a fourth light emitting unit that emits light by an identification switch signal transmitted according to an on operation of the third identification switch, or
The second identification module includes a fourth identification switch, and the first identification module includes a third light emitting unit that emits light by an identification switch signal transmitted according to an on operation of the fourth identification switch, or
The first identification module includes a third identification switch, the second identification module includes a fourth identification switch, and the first identification module is an identification switch transmitted according to an on operation of the fourth identification switch. And a third light-emitting unit that emits light by a signal, and the second identification module includes a fourth light-emitting unit that emits light by an identification switch signal transmitted according to an on operation of the third identification switch. Network system with identification function.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식별 모듈은 상기 제3 식별 스위치의 온(on) 동작에 따라, 상기 제1 식별 모듈에 대응하는 네트워크 포트(201)에 연결되는 랜 케이블의 거리와 단선 여부를 측정하고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별 기능을 구비한 네트워크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The first identification module measures and displays a distance and disconnection of a LAN cable connected to the network port 201 corresponding to the first identification module according to an on operation of the third identification switch. A network system with an identification function.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허브를 원격에서 모니터링하고 제어하는 모니터링 서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모니터링 서버는 각 네트워크 포트(201) 별로, 대응하는 랜 케이블 및 네트워크 기기의 상태를 표시하고 원격 제어를 조작할 수 있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별 기능을 구비한 네트워크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or 3,
It is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monitoring server for remotely monitoring and controlling the network hub,
The monitoring server, for each network port 201, has a user interface capable of displaying the status of a corresponding LAN cable and network device and operating remote control.
KR1020190048837A 2019-04-26 2019-04-26 Network system with identification function KR10219191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8837A KR102191911B1 (en) 2019-04-26 2019-04-26 Network system with identification func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8837A KR102191911B1 (en) 2019-04-26 2019-04-26 Network system with identification func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5084A true KR20200125084A (en) 2020-11-04
KR102191911B1 KR102191911B1 (en) 2020-12-16

Family

ID=735714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8837A KR102191911B1 (en) 2019-04-26 2019-04-26 Network system with identification func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1911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4650B1 (en) * 2023-08-28 2023-10-26 이룸유비쿼터스(주) Integrated switchboard with easy cable routing managem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8823Y1 (en) 2002-01-18 2002-06-21 김상석 Electricity Plug of AC Switch insertion and Collar Band Type.
KR200317843Y1 (en) 2003-03-22 2003-06-27 채한병 discernment matter for cognizing power cable
JP2010238582A (en) * 2009-03-31 2010-10-21 Nomura Research Institute Ltd Wiring tracking device, electric power supply communication adapter, and signal announcement communication adapter
KR101496169B1 (en) * 2014-09-18 2015-03-02 (주) 티씨아이네트 System and method for inspecting local area network cables
JP2015198310A (en) * 2014-03-31 2015-11-09 パナソニック デバイスSunx株式会社 Terminal device and connection confirmation method
KR101753724B1 (en) * 2016-05-12 2017-07-06 주식회사 아이티지 A poe hub device for controllable of power source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8823Y1 (en) 2002-01-18 2002-06-21 김상석 Electricity Plug of AC Switch insertion and Collar Band Type.
KR200317843Y1 (en) 2003-03-22 2003-06-27 채한병 discernment matter for cognizing power cable
JP2010238582A (en) * 2009-03-31 2010-10-21 Nomura Research Institute Ltd Wiring tracking device, electric power supply communication adapter, and signal announcement communication adapter
JP2015198310A (en) * 2014-03-31 2015-11-09 パナソニック デバイスSunx株式会社 Terminal device and connection confirmation method
KR101496169B1 (en) * 2014-09-18 2015-03-02 (주) 티씨아이네트 System and method for inspecting local area network cables
KR101753724B1 (en) * 2016-05-12 2017-07-06 주식회사 아이티지 A poe hub device for controllable of power sour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4650B1 (en) * 2023-08-28 2023-10-26 이룸유비쿼터스(주) Integrated switchboard with easy cable routing manage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1911B1 (en) 2020-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38761B2 (en) Intelligent patching system
US7768418B2 (en) Power patch panel with guided MAC capability
US11747876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network port occupancy state change monitoring using low energy wireless communications
US20230140676A1 (en) Rack controller with native support for intelligent patching equipment installed in multiple racks
JP6457509B2 (en) NETWORK CABLE INCLUDING VISUAL MARKING DEVICE AND VISUAL MARKING DEVICE OF END
KR20080098950A (en) Fire sensing system f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KR102191911B1 (en) Network system with identification function
US2017004813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identifying interconnections among physical-layer cross-connect switches
US6888996B2 (en) Fiber optic cable identification kit and its method
KR101744022B1 (en) The multi-tester devices for easy identification of communication port and cable
KR20230146247A (en) Network Management System.
KR101865622B1 (en) LAN Tester
US2017004813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onitoring and managing communication paths
US20220416480A1 (en) Patch panel traceable networking system
KR101527130B1 (en) Multi terminals tester
JP5804527B2 (en) Power connection device
KR102295205B1 (en) Apparatus for supplying power with identification function
KR102594650B1 (en) Integrated switchboard with easy cable routing management
JP4425219B2 (en) How to identify line pairs
KR102011711B1 (en) Patch panel with function of port extension
KR20200119975A (en) Power cable with identification function
KR102418183B1 (en) Patch panel system with network monitoring function, and communication cable management systems using the same
JP2006039165A (en) Wiring board
JP3001196B2 (en) Communication line checker and communication line identification method
KR102383850B1 (en) Network management device and network communica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