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22500A - Molding System For Jointing Structure Of Power Cable - Google Patents

Molding System For Jointing Structure Of Power Cab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22500A
KR20200122500A KR1020190045251A KR20190045251A KR20200122500A KR 20200122500 A KR20200122500 A KR 20200122500A KR 1020190045251 A KR1020190045251 A KR 1020190045251A KR 20190045251 A KR20190045251 A KR 20190045251A KR 20200122500 A KR20200122500 A KR 202001225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rmediate connection
power cable
housing
layer
connection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525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조동식
이수봉
최승명
정의환
홍성표
한상훈
Original Assignee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452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22500A/en
Publication of KR202001225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2500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5/00Heating, cool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sing; Apparatus therefor
    • B29C35/02Heat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zing during moulding, e.g. in a mould
    • B29C35/04Heat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zing during moulding, e.g. in a mould using liquids, gas or steam
    • B29C35/045Heat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zing during moulding, e.g. in a mould using liquids, gas or steam using gas or fl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5/00Heating, cool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sing; Apparatus therefor
    • B29C35/00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3/00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 B29C63/02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using sheet or web-like material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8Cable jun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5/00Heating, cool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sing; Apparatus therefor
    • B29C35/02Heat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zing during moulding, e.g. in a mould
    • B29C35/04Heat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zing during moulding, e.g. in a mould using liquids, gas or steam
    • B29C35/045Heat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zing during moulding, e.g. in a mould using liquids, gas or steam using gas or flames
    • B29C2035/046Heat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zing during moulding, e.g. in a mould using liquids, gas or steam using gas or flames dried 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7/00Component parts, detail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not covered by group B29C33/00 or B29C35/00
    • B29C2037/90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34Electrical apparatus, e.g. sparking plugs or parts thereof
    • B29L2031/3462C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34Electrical apparatus, e.g. sparking plugs or parts thereof
    • B29L2031/36Plugs, connectors, or parts thereof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lding system of an intermediate connection part of a power cable, which minimizes temperature deviation in a molding space by winding a tape consisting of an uncrosslinked material at a flexible intermediate connection part connecting an XLPE power cable in a flexible structure, and is capable of cross-molding with an XLPE insulation restoration layer.

Description

전력케이블 중간접속부의 몰딩 시스템{Molding System For Jointing Structure Of Power Cable}Molding System For Jointing Structure Of Power Cable}

본 발명은 전력케이블 중간접속부의 몰딩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은 XLPE 전력케이블을 유연한 구조로 접속하는 플렉서블 중간접속부에서 미가교 재질의 테이프를 감아 몰딩 공간 내의 온도 편차를 최소화하며 XLPE 절연 복원층으로 가교 몰딩할 수 있는 전력케이블 중간접속부의 몰딩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lding system for an intermediate connection part of a power cable. In more detail, the present invention minimizes temperature variation in the molding space by winding a tape made of an uncrosslinked material at a flexible intermediate connection that connects XLPE power cables in a flexible structure, and a power cable intermediate connection capable of crosslinking molding with an XLPE insulation restoration layer. It relates to a molding system.

전력공급을 위한 전력케이블은 도체 외부의 절연층 재질에 따라 절연유 함침 지절연 케이블과 XPLE 케이블로 구분될 수 있다.Power cables for power supply can be classified into insulating oil-impregnated ground insulating cables and XPLE cables according to the material of the insulating layer outside the conductor.

그리고, 전력케이블은 포설길이에 따라 중간접속함 등을 사용하여 접속할 수 있다. XPLE 전력케이블은 프리몰드 조인트(PMJ)가 구비되는 XLPE 전력케이블의 중간접속함은 하우징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And, the power cable can be connected using an intermediate junction box or the like according to the length of the installation. In the XPLE power cable, the intermediate junction box of the XLPE power cable provided with a pre-molded joint (PMJ) may be configured in a housing shape.

해저에 전력케이블을 장거리 포설하는 경우, 포설용 선박을 이용하여 선박에 설치된 턴테이블 등에 권취된 전력케이블을 풀어 포설하며, 포설용 선박에서 중간접속함을 통해 분할된 양 전력케이블을 중간접속 후 연속적으로 전력케이블 포설을 이어갈 수 있다. 이러한 포설용 선박 등에서의 중간접속함을 통한 전력케이블의 중간접속은 상당한 작업시간과 비용이 요구된다.In the case of long-distance installation of power cables on the seabed, unwind the power cables wound on the turntable installed on the ship using the installation ship, and connect the two divided power cables through the intermediate connection box in the installation ship and then continuously Installation of power cables can be continued. Intermediate connection of power cables through an intermediate junction box in such an installation ship requires considerable work time and cost.

이 경우, 중간접속함으로 중간접속된 양 전력케이블을 중간접속된 상태로 드럼 또는 턴테이블에 권취하고 연속으로 포설하는 방법을 고려할 수 있겠으나, 전술한 바와 같이 중간접속함의 부피가 크고 중간접속함의 유연성이 없으므로 중간접속된 전력케이블을 포설용 선박의 턴테이블 또는 드럼 등에 연속으로 권취할 수 없고 부득이하게 중간접속 장소인 선박 등에서 중간접속을 수행하는 것이다.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consider a method of winding the two power cables intermediately connected to the intermediate junction box on a drum or turntable in an intermediate connection state and laying them continuously, but as described above, the volume of the intermediate junction box is large and the flexibility of the intermediate junction box is Therefore, the intermediate connected power cable cannot be continuously wound on the turntable or drum of the ship for installation, and the intermediate connection is inevitably performed at the ship, which is an intermediate connection place.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해저케이블 또는 현장에서 중간접속 작업이 어려운 전력케이블 등에서 플렉서블한 중간접속부(이하 '플렉서블 조인트'라 함)의 연구와 적용이 확대되고 있다.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in recent years, research and application of a flexible intermediate connec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a'flexible joint') in a submarine cable or a power cable where intermediate connection work is difficult in the field has been expanded.

플렉서블 조인트란 일반적인 중간접속함이 아닌 케이블과 외경이 거의 비슷하고 자유롭게 밴딩이 가능한 전력케이블의 중간접속부를 의미한다.The flexible joint is not a general intermediate junction box, but an intermediate connection part of a power cable that has almost the same outer diameter as a cable and can be freely bent.

플렉서블 조인트 등을 적용하는 경우 외경과 유연성이 접속되는 케이블과 유사하여 해저 케이블 포설을 위한 포설선박의 턴테이블에 연속적으로 접속된 케이블을 권취하여 포설이 가능할 수 있다.In the case of applying a flexible joint, the outer diameter and flexibility are similar to the connected cables, so it may be possible to install by winding a cable continuously connected to the turntable of a ship for laying submarine cables.

양 XLPE 전력케이블을 플렉서블한 중간접속부로 접속하는 경우 중간접속부 역시 XLPE 전력케이블과 마찬가지의 층구조를 갖도록 복원층을 형성할 수 있다.When both XLPE power cables are connected with a flexible intermediate connection, the intermediate connection can also be formed with a restoration layer to have the same layer structure as the XLPE power cable.

특히, XLPE 절연층은 튜브 형태로 구성되기 어려워 미가교 폴리에틸렌 등의 재질로 구성된 테이프를 중간접속부에 감아 몰딩기를 사용하여 몰딩하는 방식으로 가교 공정을 수행하여 절연층에 대응되는 절연 복원층을 구성한다.In particular, since the XLPE insulation layer is difficult to form in a tube shape, a crosslinking process is performed by winding a tape made of a material such as uncrosslinked polyethylene to the intermediate connection and molding using a molding machine to form an insulation restoration layer corresponding to the insulation layer. .

종래에는 중간접속부의 절연 복원층을 가교 몰딩하기 위한 몰딩장치는 중간접속부를 수용하며 내주면에 열선 등이 구비된 하우징 형태로 구성되었으나 열선의 위치에 따라 온도 편차가 발생되고, 하우징 단부에서 열이 누설되어 절연 복원층의 몰딩 품질의 편차가 발생되는 문제가 있었다.Conventionally, a molding device for crosslinking the insulation restoration layer of the intermediate connection was configured in the form of a housing that accommodates the intermediate connection and includes a heating wire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As a result,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molding quality of the insulating restoration layer is varied.

미가교 상태의 몰딩 테이프를 감아 열과 압력을 일정 시간 가하는 방식으로 수행되는 가교 몰딩 공정은 가교 상태의 절연 복원층을 형성하는 공정으로, 영역별 온도 또는 압력 편차가 최소화되어야 한다.A crosslinking molding process performed by winding an uncrosslinked molding tape and applying heat and pressure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is a process of forming an insulating restoration layer in a crosslinked state, and temperature or pressure variation for each region should be minimized.

본 발명은 XLPE 전력케이블을 유연한 구조로 접속하는 플렉서블 중간접속부에서 미가교 재질의 테이프를 감아 몰딩 공간 내의 온도 편차를 최소화하며 XLPE 절연 복원층으로 가교 몰딩할 수 있는 전력케이블 중간접속부의 몰딩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olding system for an intermediate connection part of a power cable capable of cross-linking molding with an XLPE insulation restoration layer by winding a tape made of an uncrosslinked material at a flexible intermediate connection that connects XLPE power cables in a flexible structure. Make what you do as a task to be solved.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한 쌍의 XLPE 전력케이블의 중간접속부의 절연 보강을 위한 절연 복원층을 몰딩하기 위한 전력케이블 중간접속부의 몰딩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중간접속부가 수용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 내부와 급기관과 회수관으로 연결되며, 송풍유닛 및 상기 송풍유닛에서 송풍된 공기를 가열하기 위한 가열유닛을 포함하는 열풍장치;를 포함하는 전력케이블 중간접속부의 몰딩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olding system for an intermediate connection part of a power cable for molding an insulation restoration layer for reinforcing insulation of an intermediate connection part of a pair of XLPE power cables, comprising: a housing in which the intermediate connection part is accommodated; And a heating unit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housing, through a supply pipe, and a recovery pipe, and including a blowing unit and a heating unit for heating air blown from the blowing unit. I can.

이 경우, 상기 하우징은 상기 중간접속부가 수용되는 파이프 형태로 구성되되, 상부와 하부로 이분할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housing is configured in the shape of a pipe in which the intermediate connection part is accommodated, and may be divided into upper and lower portions.

또한, 상기 하우징은 내부 수용공간의 압력 기밀이 유지된 상태로 상기 중간접속부에 의하여 접속되는 양 전력케이블의 외주면을 지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housing may support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of both power cables connected by the intermediate connection portion while maintaining pressure-tightness of the inner accommodation space.

그리고, 상기 하우징과 상기 열풍장치를 연결하는 급기관 및 회수관은 상기 중 간접속구조의 상기 하우징 내부 배치 위치 외측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In addition, a supply pipe and a return pipe connecting the housing and the hot air device may be respectively connected to an outside of the inner arrangement position of the housing having an indirect speed structure.

여기서, 상기 하우징 내부 공간의 온도 편차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상기 하우징 내부 공간에 난류 발생부가 구비될 수 있다.Here, a turbulence generator may be provided in the interior space of the housing in order to minimize temperature deviation of the interior space of the housing.

또한, 상기 난류 발생부는 상기 하우징 내부 공간을 유동하는 열풍의 유로 상에 장애물 형태로 구비되어 난류를 발생시켜, 상기 하우징 내부 공간에서의 영역별 온도 편차는 5도 이내가 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urbulence generator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n obstacle on the flow path of the hot air flowing through the interior space of the housing to generate turbulence, so that the temperature deviation for each region in the interior space of the housing is within 5 degrees.

이 경우, 상기 하우징 내에 온도 센서 및 압력 센서가 구비될 수 있다.In this case, a temperature sensor and a pressure sensor may be provided in the housing.

또한, 상기 온도 센서는 복수 개가 이격되어 배치되어 영역별 온도 편차 또는 평균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temperature sensors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o measure a temperature deviation or average temperature for each region.

그리고, 상기 온도센서 또는 상기 압력센서에 의하여 측정된 하우징 내부 공간의 온도, 온도 편차 또는 압력에 따라 상기 열풍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In addition,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hot air device may be further provided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sensor or the temperature deviation or pressure of the inner space of the housing measured by the temperature sensor or the pressure sensor.

여기서, 상기 하우징 내부 공간을 가압하기 위한 가압 펌프를 더 구비할 수 있다.Here, a pressure pump for pressurizing the inner space of the housing may be further provided.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술한 중간접속부의 절연 복원층 몰딩 시스템에 의하여 몰딩된 절연 복원층을 구비하는 전력케이블의 중간접속부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n intermediate connection portion of a power cable having an insulation recovery layer molded by the above-described intermediate connection portion insulation recovery layer molding system.

그리고, 상기 전력케이블이 직류 전력케이블인 경우, 상기 중간접속부에서 상기 절연 복원층 내부에 반도전 테이프를 감아 형성되는 내부 반도전 복원층, 상기 절연 복원층 및 상기 절연 복원층 외부에 반도전 테이프를 감아 형성되는 외부 반도전 복원층은 순차적으로 몰딩될 수 있다.And, when the power cable is a DC power cable, an internal semiconducting restoration layer formed by winding a semiconducting tape inside the insulation restoration layer at the intermediate connection part, a semiconducting tape outside the insulation restoration layer and the insulation restoration layer. The outer semiconducting restoration layer formed by winding may be sequentially molded.

본 발명에 따른 전력케이블 중간접속부의 몰딩 시스템에 의하면, 하우징 내부에 열풍을 공급하는 방법으로 열원을 공급하여 몰딩 공간의 영역별 온도차를 최소화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molding system of an intermediate connection part of a power c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heat source is supplied by a method of supplying hot air into the housing, thereby minimizing a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regions of the molding spac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력케이블 중간접속부의 몰딩 시스템에 의하면, 하우징 내부에 열풍을 난류발생시키는 난류 발생부가 구비되어 하우징 내부의 몰딩 공간에서의 영역별 온도 편차를 더욱 감소시킬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molding system of the power cable intermediate connection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turbulence generation unit for generating turbulent flow of hot air is provided inside the housing, thereby further reducing temperature deviation for each region in the molding space inside the housing.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력케이블 중간접속부의 몰딩 시스템에 의하면, 하우징 내부에 온도 센서 또는 압력 센서를 구비하고 제어부가 그에 따라 열풍장치 또는 가압펌프를 제어하도록 하여 다양한 조건에 따른 정교한 가교 몰딩 공정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molding system of the power cable intermediate connection pa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temperature sensor or a pressure sensor is provided inside the housing, and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hot air device or the pressure pump accordingly, thereby automatically performing a sophisticated crosslinking molding process according to various conditions. Can be done with

도 1은 전력케이블의 하나의 예로서 해저 전력케이블의 순차적으로 다단 탈피된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전력케이블의 중간접속부의 케이블 외장부가 제거된 상태에서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전력케이블의 중간접속부의 몰딩 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다.
도 6은 전력케이블 중간접속부의 몰딩 시스템의 하나의 실시예의 사시도를 도시하며, 도 7은 전력케이블 중간접속부의 몰딩 시스템의 구성도를 도시한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ulti-stage stripped perspective view of a submarine power cable as an example of a power cable.
2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cable sheath of the intermediate connection part of the power cabl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removed.
3 to 5 sequentially show the molding process of the intermediate connection part of the power cable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mbodiment of a molding system of an intermediate connection of a power cable, and FIG. 7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molding system of an intermediate connection of a power cable.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and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Rather, the embodiments introduced herein are provided so that the disclosed content may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sufficiently conveyed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e same reference number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denote the same elements.

일반적으로 전력케이블은 수백m 내지는 수km 간격으로 중간접속함에 의해 접속이 구성되며, 전력케이블의 말단은 종단접속함에 의해 가공선과 접속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하에서는 먼저 전력케이블(100) 및 이를 접속하기 위한 전력케이블의 중간접속 시스템(1)을 설명한다.In general, the power cable is connected by intermediate connection at intervals of several hundred m to several kilometers, and the end of the power cable is connected to the overhead line by terminating. Hereinafter, the power cable 100 and the intermediate connection system 1 of the power cable for connecting the power cable 100 will be described.

도 1은 전력케이블의 하나의 예로서 해저 전력케이블(100)의 순차적으로 다단 탈피된 사시도를 도시한다.1 shows a perspective view of a submarine power cable 100 sequentially stripped of multiple stages as an example of a power cable.

도 1을 참조하면, 해저용 전력케이블(100)은 도체(11), 내부반도전층(12), 케이블 절연층(14), 외부반도전층(16)을 포함하여, 도체(11)를 따라 케이블 길이 방향으로만 전력을 전송하고, 케이블 반경 방향으로는 전류가 누설되지 않도록 하는 케이블 코어부(10)를 구비한다.Referring to FIG. 1, the submarine power cable 100 includes a conductor 11, an inner semiconducting layer 12, a cable insulation layer 14, and an outer semiconducting layer 16, along with a conductor 11 A cable core portion 10 is provided that transmits power onl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prevents current from leaking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cable.

상기 도체(11)는 전력을 전송하기 위해 전류가 흐르는 통로 역할을 하며, 전력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도전율이 우수하고 케이블 제조 및 사용에 적절한 강도와 유연성을 가진 소재, 예를 들어 구리 또는 알루미늄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conductor 11 serves as a path through which current flows in order to transmit power, and a material having excellent conductivity and strength and flexibility suitable for manufacturing and use of cables, for example copper or aluminum, so as to minimize power loss. Can be made.

상기 도체(1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의 중심소선(11A)과 상기 원형 중심소선(11A)을 감싸도록 연선된 평각소선(11B)으로 이루어진 평각소선층(11C)을 구비하며 전체적으로 원형의 단면을 가지는 평각도체(11)일 수 있으며, 다른 예로서 복수개의 원형소선을 연선하여 원형으로 압축한 원형 압축도체(11)일 수 있다. 상기 평각도체(11)는 원형 압축도체(11)에 비하여 점적율이 상대적으로 높아 케이블 외경을 축소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s shown in FIG. 1, the conductor 11 includes a circular center element line 11A and a flat element wire layer 11C made of a square element wire 11B stranded to surround the circular center element line 11A, and It may be a flat angle conductor 11 having a circular cross section as a whole, and as another example, it may be a circular compression conductor 11 compressed into a circular shape by twisting a plurality of circular element wires. The flat angle conductor 11 has an advantage of being able to reduce the outer diameter of the cable due to a relatively high dot ratio compared to the circular compression conductor 11.

상기 도체(11)는 복수개의 소선이 연선되어 형성되므로 그 표면이 평활하지 않아 전계가 불균일할 수 있으며, 부분적으로 코로나 방전이 일어나기 쉽다. 또한, 도체(11) 표면과 후술하는 케이블 절연층(14) 사이에 공극이 생기게 되면 절연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Since the conductor 11 is formed by stranding a plurality of wires, the surface thereof is not smooth, so that the electric field may be uneven, and corona discharge is likely to occur partially. In addition, if a gap is formed between the surface of the conductor 11 and the cable insulating layer 14 to be described later, the insulating performance may be deteriorated.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도체(11) 외부에는 내부반도전층(1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내부반도전층(12)은 절연성 물질에 카본블랙, 카본 나노튜브, 카본나노플레이트, 그라파이트 등의 도전성 입자가 첨가되어 반도전성을 가질 수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inner semiconductor layer 12 may be formed outside the conductor 11. The inner semiconducting layer 12 may have semiconducting properties by adding conductive particles such as carbon black, carbon nanotubes, carbon nanoplates, and graphite to an insulating material.

상기 내부반도전층(12)은 상기 도체(11)와 후술하는 케이블 절연층(14) 사이에서 급격한 전계변화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절연성능을 안정화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도체(11)면의 불균일한 전하분포를 억제함으로써 전계를 균일하게 하고, 도체(11)와 케이블 절연층(14) 사이에 간격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여 코로나 방전, 절연파괴 등을 억제하는 역할도 하게 된다.The inner semiconducting layer 12 functions to stabilize insulation performance by preventing a rapid electric field change from occurring between the conductor 11 and the cable insulating layer 14 to be described later. In addition, by suppressing uneven electric charge distribution on the surface of the conductor 11, the electric field is made uniform, and the formation of a gap between the conductor 11 and the cable insulation layer 14 is prevented, thereby suppressing corona discharge and insulation breakdown. It also plays a role.

상기 내부반도전층(12)의 바깥쪽에는 절연층(14)이 구비되어 도체(10)를 따라 흐르는 전류가 외부로 누설되지 않도록 외부와 전기적으로 절연시켜 준다. 일반적으로 상기 절연층(14)은 파괴전압이 높고, 절연성능이 장기간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어야 한다. An insulating layer 14 is provided outside the inner semiconducting layer 12 to electrically insulate the current flowing along the conductor 10 from the outside so as not to leak to the outside. In general, the insulating layer 14 must have a high breakdown voltage and must be able to stably maintain the insulating performance for a long period of time.

절연층은 오일 함침지 또는 수지 재질이 사용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지절연 전력케이블에 대한 논의는 제외한다.Oil-impregnated paper or resin material may be used for the insulating layer, but the present invention excludes discussion of the ground-insulated power cable.

상기 절연층(14)은 유전손실이 적으며 내열성 등의 열에 대한 저항 성능을 지니고 있어야 한다. 따라서, 상기 절연층(14)은 폴리에틸렌 및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올레핀 수지가 사용될 수 있으며, 나아가 폴리에틸렌 수지가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폴리에틸렌 수지는 가교 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케이블 절연층(14)은 폴리에틸렌 재질을 가교시키는 방법으로 XLPE 재질의 절연층으로 구성되어 XLPE 전력케이블로 구성될 수 있다.The insulating layer 14 should have low dielectric loss and have resistance to heat such as heat resistance. Therefore, the insulating layer 14 may be a polyolefin resin such as polyethylene and polypropylene, and further preferably a polyethylene resin. Here, the polyethylene resin may be made of a crosslinked resin. That is, the cable insulating layer 14 may be composed of an XLPE insulating layer by crosslinking a polyethylene material to form an XLPE power cable.

상기 케이블 절연층(14)은 상기 내부반도전층(12)의 바깥쪽에 구비되어 도체(11)를 따라 흐르는 전류가 외부로 누설되지 않도록 외부와 전기적으로 절연시켜 준다.The cable insulating layer 14 is provided outside the inner semiconducting layer 12 and electrically insulates the current flowing along the conductor 11 from the outside so as not to leak to the outside.

상기 케이블 절연층(14)의 외부에는 외부반도전층(16)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외부반도전층(16)은 내부반도전층과 같이 절연성 물질에 도전성 입자, 예를 들면 카본블랙, 카본나뉴튜브, 카본나노플레이트, 그라파이트 등이 첨가되어 반도전성을 가지는 물질로 형성되어, 상기 케이블 절연층(14)과 후술하는 금속시스(22) 사이의 불균일한 전하 분포를 억제하여 절연 성능을 안정화한다. 또한, 상기 외부반도전층(16)은 케이블에 있어서 케이블 절연층(14)의 표면을 평활하게 하여 전계집중을 완화시켜 코로나 방전을 방지하며, 상기 케이블 절연층(14)을 물리적으로 보호하는 기능도 수행할 수 있다.An outer semiconducting layer 16 may be provided outside the cable insulating layer 14. The outer semiconducting layer 16 is formed of a material having semiconducting properties by adding conductive particles such as carbon black, carbon nanotubes, carbon nanoplates, graphite, etc. to an insulating material like the inner semiconducting layer. Insulation performance is stabilized by suppressing uneven electric charge distribution between the layer 14 and the metal sheath 22 to be described later. In addition, the outer semiconducting layer 16 smoothes the surface of the cable insulation layer 14 in the cable to reduce the electric field concentration to prevent corona discharge, and also has a function of physically protecting the cable insulation layer 14 Can be done.

상술한 내부반도전층(12) 및 외부반도전층(16)은 베이스 수지에 카본블랙, 카본나뉴튜브, 카본나노플레이트, 그라파이트 등의 전도성 입자가 분산되어 있고, 가교제, 산화방지제, 스코치 억제제 등이 추가로 첨가된 반도전 조성물의 압출에 의해 형성된다.In the above-described inner semiconducting layer 12 and outer semiconducting layer 16, conductive particles such as carbon black, carbon nanotube, carbon nanoplate, and graphite are dispersed in a base resin, and a crosslinking agent, antioxidant, and scorch inhibitor are added. It is formed by extrusion of the semiconductive composition added to.

여기서, 상기 베이스 수지는 상기 반도전층(12, 16)과 상기 절연층(14)의 층간 접착력을 위해 상기 절연층(14)을 형성하는 절연 조성물의 베이스 수지와 유사한 계열의 올레핀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도성 입자와의 상용성을 고려하여 결정되는 바람직하다.Here, the base resin is to use an olefin resin similar to the base resin of the insulating composition forming the insulating layer 14 for interlayer adhesion between the semiconducting layers 12 and 16 and the insulating layer 14. Preferably, it is more preferably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compatibility with the conductive particles.

또한, 상기 가교제는 상기 반도전층(12, 16)에 포함된 베이스 수지의 가교방식에 따라 실란계 가교제, 또는 디큐밀퍼옥사이드, 벤조일퍼옥사이드, 라우릴퍼옥사이드, t-부틸 큐밀퍼옥사이드, 디(t-부틸 퍼옥시 아이소프로필) 벤젠, 2,5-디메틸-2,5-디(t-부틸 퍼옥시)헥산, 디-t-부틸 퍼옥사이드 등의 유기과산화물계 가교제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crosslinking agent is a silane-based crosslinking agent, or dicumyl peroxide, benzoyl peroxide, lauryl peroxide, t-butyl cumyl peroxide, di() depending on the cross-linking method of the base resin included in the semiconducting layers 12 and 16. t-butyl peroxy isopropyl) benzene, 2,5-dimethyl-2,5-di (t-butyl peroxy) hexane, it may be an organic peroxide-based cross-linking agent such as di-t-butyl peroxide.

절연층이 XLPE 재질로 구성되는 XLPE 전력케이블 중 직류 전력케이블의 경우 내부 반도전층 및 외부반도전층은 카본블랙, 카본나뉴튜브, 카본나노플레이트, 그라파이트 등이 첨가되지만 베이스 소재가 XLPE를 기반으로 하며, 중간접속부(200)에서 각각 내부반도전층, 절연층 내지 외부반도전층 역시 동일한 재질로 복원층이 형성되며, 복원층 형성방법으로 가교 몰딩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Among XLPE power cables whose insulation layer is composed of XLPE material, in the case of DC power cables, carbon black, carbon nanotubes, carbon nanoplates, graphite, etc. are added to the inner and outer semiconducting layers, but the base material is based on XLPE. In the intermediate connection part 200, the inner semiconducting layer, the insulating layer, and the outer semiconducting layer are also formed of the same material, and a crosslinking molding method may be applied as a method of forming the restoration layer.

따라서, 전력케이블의 중간접속부(200)에서 직류 전력케이블의 내부반도전층, 절연층 및 외부반도전층에 대응되는 내부반도전 복원층(212), 절연 복원층(214) 및 외부반도전 복원층(216) 역시 직류 전력케이블의 내부반도전층, 절연층 및 외부반도전층과 마찬가지로 공간전하의 생성, 축적 내지 주입에 따른 전계왜곡 및 이로 인한 절연파괴가 가장 우려되는 부분으로 가교 몰딩 과정에서 가교 품질이 상당히 중요하다.Therefore, in the intermediate connection part 200 of the power cable, the inner semiconducting layer 212, the insulating restoration layer 214, and the outer semiconducting restoration layer corresponding to the inner semiconducting layer, the insulating layer and the outer semiconducting layer of the DC power cable ( 216) Like the inner semiconducting layer, insulating layer, and outer semiconducting layer of DC power cables, the electric field distortion caused by the generation, accumulation or injection of space charges and the resulting insulation breakdown are the most concerned. It is important.

상기 케이블 코어부(10)는 케이블에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수분 흡수부(21)를 추가적으로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수분 흡수부는 상기 도체(11)의 연선된 소선 사이 및/또는 상기 도체(11)의 외부에 형성될 수 있으며, 케이블에 침투한 수분을 흡수하는 속도가 빠르고, 흡수 상태를 유지하는 능력이 우수한 고흡수성 수지(super absorbent polymer; SAP)를 포함하는 분말, 테이프, 코팅층 또는 필름 등의 형태로 구성되어 케이블 길이방향으로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수분 흡수부는 급격한 전계 변화를 방지하기 위하여 반도전성을 가질 수 있다.The cable core portion 10 may additionally include a moisture absorbing portion 21 for preventing moisture from penetrating into the cable. The moisture absorbing part may be formed between stranded wires of the conductor 11 and/or outside of the conductor 11, the speed of absorbing moisture penetrating into the cable is fast, and the ability to maintain the absorption state is excellent. It is formed in the form of a powder, tape, coating layer, or film containing a super absorbent polymer (SAP), and serves to prevent moisture from penetrating in the length direction of the cable. In addition, the moisture absorbing part may have semiconducting properties in order to prevent rapid electric field change.

상기 케이블 코어부(10)의 외부에는 케이블 보호부(20)가 구비되며, 해저에 포설되는 전력케이블(100)은 케이블 외장부(30)를 추가적으로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케이블 보호부 및 케이블 외장부는 케이블의 전력 전송 성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수분침투, 기계적 외상, 부식 등의 다양한 환경요인으로부터 코어부를 보호한다.A cable protection part 20 is provided outside the cable core part 10, and the power cable 100 installed on the seabed may additionally include a cable sheath part 30. The cable protection part and the cable sheath protect the core part from various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moisture penetration, mechanical trauma, and corrosion that may affect the power transmission performance of the cable.

상기 케이블 보호부(20)는 금속시스(22)와 고분자 시스(24)를 포함하여, 사고전류, 외력 내지 기타 외부환경 요인으로부터 케이블을 보호한다.The cable protection unit 20 includes a metal sheath 22 and a polymer sheath 24 to protect the cable from accidental current, external force, and other external environmental factors.

상기 금속시스(22)는 상기 코어부(10)를 둘러싸도록 형성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전력케이블(100)이 해저와 같은 환경에 포설되는 경우, 수분과 같은 이물질이 상기 케이블 코어부(10)에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케이블 코어부(10)를 실링하도록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케이블 코어부(10) 외부에 용융된 금속을 압출하여 이음새가 없는 연속적인 외면을 가지도록 형성하여 차수성능이 우수하게 할 수 있다. 상기 금속으로는 납(Lead) 또는 알루미늄을 사용하며, 해저에 포설되는 전력케이블(100)의 경우에는 해수에 대한 내식성이 우수한 납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기계적 성질을 보완하기 위해 금속 원소를 첨가한 합금 연(Lead alloy)을 사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The metal sheath 22 may be formed to surround the core part 10. In particular, when the power cable 100 is installed in an environment such as the seabed, it may be formed to seal the cable core portion 10 to prevent foreign matter such as moisture from entering the cable core portion 10. In addition, by extruding the molten metal outside the cable core portion 10, it is formed to have a continuous outer surface without a seam, so that the ordering performance can be excellent. Lead or aluminum is used as the metal, and in the case of the power cable 100 installed on the seabed, it is preferable to use lead having excellent corrosion resistance to seawater, and a metal element is added to complement the mechanical properties. It is more preferable to use a lead alloy.

또한, 상기 금속시스(22)는 전력케이블(100) 단부에서의 접지되어 지락 또는 단락 등의 사고 발생시 사고 전류가 흐르는 통로 역할을 하며,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케이블을 보호하고, 전계가 케이블 외부로 방전되지 못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etal sheath 22 is grounded at the end of the power cable 100 and serves as a path through which accident current flows in case of an accident such as a ground fault or short circuit, protects the cable from external shock, and discharges the electric field to the outside of the cable. Can be prevented.

또한, 상기 금속시스(22)는 케이블의 내식성, 차수성 등을 추가로 향상시키고 상기 고분자 시스(24)와의 접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표면에 부식 방지 컴파운드, 예를 들어, 블로운 아스팔트 등이 도포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metal sheath 22 may be coated with an anti-corrosion compound, for example, blown asphalt, to the surface of the metal sheath 22 to further improve the corrosion resistance and water resistance of the cable and to improve the adhesion with the polymer sheath 24. I can.

뿐만 아니라, 상기 금속 시스(22)와 상기 케이블 코어부(10) 사이에는 동선직입 테이프 내지 수분 흡수층(21)이 추가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동선직입 테이프는 동선(Copper wire)과 부직포 테이프 등으로 구성되어 외부반도전층(16)과 금속시스(22)간의 전기적 접촉을 원활히 하는 작용을 하며, 상기 수분흡수층(21)은 케이블에 침투한 수분을 흡수하는 속도가 빠르고, 흡수 상태를 유지하는 능력이 우수한 고흡수성 수지(super absorbent polymer; SAP)를 포함하는 분말, 테이프, 코팅층 또는 필름 등의 형태로 구성되어 케이블 길이방향으로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동선직입 테이프와 수분 흡수층(21)은 급격한 전계 변화를 방지하기 위해 반도전성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통전 및 수분흡수 작용을 모두 할 수 있도록, 수분 흡수층에 동선을 포함시켜 구성할 수도 있다.In addition, between the metal sheath 22 and the cable core portion 10, a direct copper wire tape or a moisture absorbing layer 21 may be additionally provided. The copper wire direct-attached tape is composed of a copper wire and a non-woven tape to facilitate electrical contact between the outer semiconducting layer 16 and the metal sheath 22, and the moisture absorbing layer 21 penetrates the cable. It is composed of a powder, tape, coating layer, or film containing a super absorbent polymer (SAP) that has a high rate of absorbing moisture and has excellent ability to maintain the absorbent state, so that moisture penetrates the length of the cable. Plays a role in preventing. In addition, the direct copper wire tape and the moisture absorption layer 21 are preferably semiconducting in order to prevent rapid electric field change, and may be configured by including copper wire in the moisture absorption layer so that both conduction and moisture absorption functions can be performed. .

상기 고분자 시스(24)는 상기 금속시스(22)의 외부에 형성되어 케이블의 내식성, 차수성 등을 향상시키고, 기계적 외상 및 열, 자외선 등의 기타 외부 환경 요인으로부터 케이블을 보호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고분자 시스(24)는 폴리염화비닐(PVC), 폴리에틸렌 등과 같은 수지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해저에 포설되는 전력케이블(100)의 경우에는 차수성이 우수한 폴리에틸렌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난연성이 요구되는 환경에서는 폴리염화비닐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polymer sheath 24 is formed outside the metal sheath 22 to improve the corrosion resistance and water resistance of the cable, and protect the cable from mechanical trauma and other external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heat and ultraviolet rays. I can. The polymer sheath 24 may be formed of a resin such as polyvinyl chloride (PVC), polyethylene, etc., and in the case of the power cable 100 installed on the sea floor, it is preferable to use a polyethylene resin having excellent water-repellency, and flame retardancy It is preferable to use polyvinyl chloride resin in this required environment.

상기 전력케이블(100)은 상기 고분자 시스(24)의 외측에 아연도금 처리된 강철 테이프 등으로 구성되는 금속강대층(26)을 구비하여, 상기 절연유의 팽창에 의해 상기 금속시스(22)가 팽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금속강대층(26)의 상부 및/또는 하부에는 반도전성 부직포 테이프 등으로 이루어져 전력케이블(100)에 가해지는 외력을 완충하는 베딩층(미도시)을 구비할 수 있으며, 폴리염화비닐 내지 폴리에틸렌 등의 수지로 구성되는 외부 시스(28)를 더 구비하여 전력케이블(100)의 내식성, 차수성 등을 더욱 향상시키고, 기계적 외상 및 열, 자외선 등의 기타 외부 환경 요인으로부터 케이블을 추가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The power cable 100 includes a metal steel strip 26 formed of a galvanized steel tape on the outside of the polymer sheath 24, and the metal sheath 22 expands by the expansion of the insulating oil. Can be prevented. In addition, a bedding layer (not shown)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and/or lower portion of the metal steel strip 26 to buffer an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power cable 100 made of semiconductive nonwoven tape, etc., and polyvinyl chloride To further improve the corrosion resistance and water resistance of the power cable 100 by further comprising an external sheath 28 made of a resin such as polyethylene, and additionally protect the cable from mechanical trauma and other external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heat and ultraviolet rays. can do.

또한, 해저에 포설되는 해저용 전력케이블(100)은 선박의 닻 등에 의해 외상을 입기 쉬우며, 해류나 파랑 등에 의한 굽힘력, 해저면과의 마찰력 등에 의해서도 파손될 수 있으므로 이를 막기 위하여 상기 케이블 보호부의 외부에 케이블 외장부(30)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undersea power cable 100 installed on the seabed is easy to be injured by the anchor of the ship, and can be damaged by bending force due to ocean currents or waves, friction with the sea floor, etc. An external cable sheath 30 may be additionally provided.

상기 케이블 외장부는 금속 아머층(34) 및 써빙층(38)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금속 아머층(34)은 강철, 아연도금강, 구리, 황동, 청동 등으로 이루어지고 단면 형태가 원형, 평각형 등인 아머 와이어를 횡권하여 적어도 1층 이상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상기 전력케이블(100)의 기계적 특성과 성능을 강화하는 기능을 수행할 뿐만 아니라 외력으로부터 케이블을 추가적으로 보호한다.The cable sheathing portion may include a metal armor layer 34 and a serving layer 38. The metal armor layer 34 is made of steel, galvanized steel, copper, brass, bronze, etc., and may be composed of at least one layer by transversely winding an armor wire having a circular shape or a flat shape in cross section, and the power cable ( It not only performs the function of enhancing the mechanical properties and performance of 100), but also additionally protects the cable from external force.

폴리프로필렌 얀 등으로 구성되는 상기 써빙층(38)은 상기 금속 아머층(34)의 상부 및/또는 하부에 1층 이상으로 형성되어 케이블을 보호하며, 최외곽에 형성되는 써빙층(38)은 색상이 다른 2종 이상의 재료로 구성되어 해저에서 포설된 케이블의 가시성을 확보할 수 있다.The serving layer 38 made of polypropylene yarn, etc. is formed in one or more layers above and/or below the metal armor layer 34 to protect the cable, and the serving layer 38 formed on the outermost side is It is composed of two or more materials of different colors to ensure visibility of cables laid in the seabed.

이러한 전력케이블은 중간접속부를 통해 미리 결정된 간격으로 접속되어야 하며, 현장 접속시에는 중간접속함을 사용할 수 있으나, 해저 전력케이블과 같이 현장접속의 비용 등을 고려하는 경우 플렉서블 조인트 형태의 중간접속부를 구비하여, 케이블 제조단계에서 중간접속을 수행하여 포설용 선박에 설치된 턴테이블 등에 귄취하여 이송할 수 있게 된다.These power cables must be connect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through the intermediate connection, and an intermediate connection box can be used for field connection, but when considering the cost of on-site connection, such as a submarine power cable, an intermediate connection in the form of a flexible joint is provided. Thus, it is possible to perform an intermediate connection in the cable manufacturing step and transfer it by winding it on a turntable installed in a ship for installation.

도 2는 본 발명의 전력케이블의 중간접속부(200)의 케이블 외장부가 제거된 상태에서의 단면도를 도시한다.2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cable sheath of the intermediate connection part 200 of the power cabl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removed.

한 쌍의 상기 전력케이블(100a, 100b)의 도체(11)를 접속하는 도체 접속부(210)는 양도체의 단면, 용접면(11s)을 직접 용접(지그 용접 등)하는 방법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conductor connection part 210 connecting the conductors 11 of the pair of power cables 100a and 100b may be configured by a method of directly welding the cross-section of the good conductor and the welding surface 11s (such as jig welding).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체 접속부(210)는 도체를 맞댄 후 직접 용접하는 방법을 적용하여 도체 접속부의 직경 증가가 거의 발생되지 않도록 구성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2, the conductor connection part 210 may be configured such that an increase in diameter of the conductor connection part hardly occurs by applying a method of directly welding after butting the conductors.

상기 도체 접속부(210) 외측에는 내부 반도전 복원층(212)이 몰딩 등의 방법으로 복원되어 각각의 전력케이블의 내부반도전층(12)과 연결되어 중간접속부에서의 전계를 완화할 수 있다.An inner semiconducting restoration layer 212 is restored outside the conductor connection part 210 by a method such as molding, and is connected to the inner semiconducting layer 12 of each power cable, thereby mitigating an electric field at the intermediate connection part.

상기 XLPE 전력케이블(100)의 XLPE 재질의 케이블 절연층(14)은 중간접속부에서 단일 경사면(14P)으로 펜슬링될 수 있다. The cable insulation layer 14 made of XLPE material of the XLPE power cable 100 may be penciled with a single inclined surface 14P at the intermediate connection part.

각 전력케이블의 도체(11)를 용접으로 접속한 후 상기 도체 접속부(210) 및 케이블의 절연층(14)을 감싸는 절연 복원층(214)을 구성하여 중간접속부(200)에서도 절연층이 연장되어 구성된 것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절연 복원층(214)에 의하여 상기 도체(11) 및 도체 접속부(210)를 통해 흐르는 전류가 상기 중간접속 시스템(1)의 길이방향으로만 흐르고, 반경방향으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After connecting the conductors 11 of each power cable by welding, an insulation restoration layer 214 surrounding the conductor connection part 210 and the insulation layer 14 of the cable is formed, and the insulating layer is extended in the intermediate connection part 200 as well. The same effect as constructed can be achieved. Provides an effect of preventing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conductor 11 and the conductor connection part 210 from flowing onl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termediate connection system 1 and leakage in the radial direction by the insulation restoration layer 214 can do.

상기 절연 복원층(214)은 상기 도체 접속부(210), 상기 노출된 내부반도전층(12) 내지 케이블 절연층(14)을 둘러싸도록 미가교 상태의 폴리프로필렌(polyethylene) 테이프를 권취하고 이를 가교 몰딩하여 가교 상태의 절연 복원층(214)를 구성할 수 있다. The insulation restoration layer 214 winds up a polypropylene tape in an uncrosslinked state so as to surround the conductor connection part 210 and the exposed inner semiconducting layer 12 to the cable insulation layer 14, and cross-linking molding it Thus, the insulating restoration layer 214 in a crosslinked state can be formed.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각각의 절연 복원층(214) 외측에 전력케이블과 마찬가지로 외부반도전 복원층(216)이 구비될 수 있다.In the embodiment illustrated in FIG. 2, an outer semiconducting restoration layer 216 may be provided outside each of the insulating restoration layers 214 as in a power cable.

그리고, 상기 외부반도전 복원층(216) 외측에 금속시스 복원층(222)이 복원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전력케이블(100a, 100b)의 금속시스(22)는 수분과 같은 이물질이 상기 전력케이블 전력케이블(100a, 100b)에 침투하는 것과 절연유가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며, 절연유 실링을 보장하기 위한 실링수단으로 연피 등의 재질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중간접속부(200)를 구성하는 금속시스 복원층(222) 역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연피 튜브를 중간접속부(200)에 장착한 후 연피 튜브의 양단을 전력케이블의 금속시스에 고정한 후 축관롤러 등의 축관장치(미도시)를 이용하여 금속시스 복원층(222)을 복원할 수 있고, 금속시스 복원층(222)와 금속시스(22) 단부를 연공 작업하여 연공부(2221)를 형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etal sheath restoration layer 222 may be restored outside the outer semiconductor restoration layer 216. As described above, the metal sheath 22 of the power cables 100a and 100b prevents foreign substances such as moisture from penetrating into the power cable power cables 100a and 100b and the loss of insulating oil, and ensures insulating oil sealing. It may be made of a material such as soft skin as a sealing means for performing the same, and in order to perform the same function, the metal sheath restoration layer 222 constituting the intermediate connection part 200 is also equipped with a soft skin tube on the intermediate connection part 200. After fixing both ends of the softened tube to the metal sheath of the power cable, the metal sheath restoration layer 222 can be restored using a shaft pipe device (not shown) such as a shaft pipe roller, and the metal sheath restoration layer 222 and the metal sheath (22) It is possible to form the soft hole 2221 by performing soft work on the end.

상기 금속시스 복원층(222)은 실링을 보장하기 어려우므로 연피 테이프 등을 나선형 횡권하는 방식으로 복원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연피 튜브를 사용한다.Since it is difficult to ensure sealing of the metal sheath restoration layer 222, a soft-skinned tube is used because it is impossible to restore a soft-coated tape or the like in a spirally transverse manner.

또한, 도 2에 도시된 양 전력케이블의 중간 접속을 위하여 노출된 금속시스(22)의 길이가 동일하지만, 실제 전력케이블의 접속과정에서 금속시스 복원층(222) 구성을 위한 연피 튜브를 금속시스(22)가 더 길게 노출되도록 탈피된 접속 케이블에 미리 장착한 후 내부 구성의 접속 또는 복원 후 연피 튜브를 접속 부위로 이동시키고 연피 튜브의 축관 과정을 통해 금속시스 복원층(222)의 복원이 수행되므로 각각의 케이블의 금속시스(22)의 노출 길이 또는 노출 면적의 차이가 존재할 수 있다. In addition, although the length of the exposed metal sheath 22 for intermediate connection of both power cables shown in FIG. 2 is the same, in the actual power cable connection process, a soft-coated tube for configuring the metal sheath restoration layer 222 is used as a metal sheath. After attaching in advance to the stripped connection cable so that the (22) is exposed for a longer period, after connecting or restor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the softened tube is moved to the connection part, and the metal sheath restoration layer 222 is restored through the axial pipe process of the softened tube. Therefore, there may be a difference in the exposed length or exposed area of the metal sheath 22 of each cable.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전력케이블의 금속시스(22)의 단부와 상기 금속시스 복원층(222)의 단부는 기밀성 유지를 위하여 연공부(2221)를 형성하여 마감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end of the metal sheath 22 and the end of the metal sheath restoration layer 222 of the power cable may be closed by forming a soft hole 2221 to maintain airtightness.

그리고, 상기 금속시스 복원층(222) 외측에 상기 금속강대 복원층(226)을 금속 강대를 횡권하는 등의 방법으로 복원하고 전력케이블의 종류에 따라 케이블 외장층이 구비되는 경우 케이블 외장층 등을 추가로 복원하여 플렉서블 조인트 형태의 중간접속부(200)를 완성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metal steel strip restoration layer 226 is restored outside the metal sheath restoration layer 222 by a method such as cross-winding the metal steel strip, and a cable outer layer is provided according to the type of power cable, a cable outer layer, etc. It may be further restored to complete the intermediate connection part 200 in the form of a flexible joint.

그리고,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전력케이블(100)의 금속강대층(26)과 금속강대 복원층(226)은 분리된 구성으로 도시되나, 현장에서 전력케이블의 접속 작업시 상기 전력케이블(100)의 금속강대층(26)을 풀어 내부 구성을 복원한 후 상기 바인딩 테이프층(270)을 바인딩한 후 풀었던 금속 강대를 계속 감는 방법으로 금속강대 복원층(226)을 복원할 수 있다. 즉, 상기 전력케이블의 금속강대층(26)과 전력케이블의 중간접속부(200)를 구성하는 금속강대 복원층(226)은 연속 구성되고 외관상 구별되지 않도록 구성할 수 있다.And,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ure 2, the metal steel strip layer 26 and the metal steel strip restoration layer 226 of the power cable 100 are shown in separate configurations, but the power when connecting the power cable in the field After the metal strip layer 26 of the cable 100 is released and the internal structure is restored, the metal strip restoration layer 226 can be restored by binding the binding tape layer 270 and then continuously winding the unwound metal strip. have. That is, the metal steel strip layer 26 of the power cable and the metal steel strip restoration layer 226 constituting the intermediate connection portion 200 of the power cable may be configured to be continuous and not be distinguished in appearance.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전력케이블의 중간접속부(200)의 몰딩 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다.3 to 5 sequentially show the molding process of the intermediate connection part 200 of the power cabl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한 쌍의 XLPE 전력케이블의 접속을 위한 중간접속부(200)를 구성하기 위하여 양 전력케이블의 단부의 도체를 용접하여 도체 접속부를 구성한 후 도체 접속부 외측에 내부반도전 복원층(212)을 복원한 상태를 도시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한 쌍의 전력케이블의 도체 단면을 지그 용접 등의 방법으로 접합할 수 있다.3 shows an internal semiconducting restoration layer 212 on the outside of the conductor connection after forming a conductor connection by welding conductors at the ends of both power cables in order to configure the intermediate connection part 200 for connection of a pair of XLPE power cables. It shows the restored state. As described above, the conductor cross-sections of the pair of power cables can be joined by a method such as jig welding.

상기 내부반도전 복원층(212) 역시 반도전 테이프 등을 권취한 후 몰딩 등의 방법으로 복원하여 양 전력케이블의 내부반도전층과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inner semiconducting restoration layer 212 may also be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the inner semiconducting layer of both power cables by winding up a semiconducting tape and then restoring by a method such as molding.

도 4는 도체 접속과 내부반도전 복원층(212)의 복원이 완료된 후 도체 접속부 및 펜슬링된 절연층 둘레를 미가교 재질의 절연 테이프로 권취한 상태를 도시한다. 중간접속함 방식으로 양 전력케이블을 중간접속하는 경우 프리몰드 조인트 등을 사용하여 절연을 보강하지만, 플렉서블 조인트 형태의 중간접속부는 전력케이블의 절연층과 동일한 재질의 가교 폴리에틸렌 재질로 절연 복원층(214)을 구성한다.FIG. 4 shows a state in which the conductor connection portion and the penciled insulating layer are wound with an insulating tape made of an uncrosslinked material after the conductor connection and restoration of the internal semiconducting restoration layer 212 are completed. In the case of intermediate connection of both power cables in an intermediate junction box method, insulation is reinforced by using a pre-mold joint, but the intermediate connection in the form of a flexible joint is made of a crosslinked polyethylene material of the same material as the insulation layer of the power cable. ).

가교 폴리에틸렌 재질로 절연 복원층(214)을 구성하는 방법으로 본 발명은 폭이 10밀리미터(mm) 내지 30밀리미터(mm)인 미가교 폴리에틸렌 테이프로 도체 접속부 및 펜슬링된 절연층 둘레를 권취하고 후술하는 가교 몰딩 공정으로 권취된 테이프층을 가교 폴리에틸렌 즉 XLPE로 변환하는 방법을 적용한다.As a method of constructing the insulation restoration layer 214 made of crosslinked polyethylene, the present invention winds the conductor connection portion and the penciled insulation layer around the non-crosslinked polyethylene tape having a width of 10 mm (mm) to 30 mm (mm),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 method of converting the wound tape layer into crosslinked polyethylene, that is, XLPE, is applied by a crosslinking molding process.

따라서, 미가교 폴리에틸렌 테이프로 도체 접속부 및 펜슬링된 절연층 둘레를 권취한 상태에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권취된 테이프층에 미리 결정된 온도와 압력으로 가교 몰딩 공정을 통해 절연 복원층(214)을 복원할 수 있다.Therefore, the insulation restoration layer 214 through a crosslinking molding process at a predetermined temperature and pressure on the wound tape layer as shown in FIG. 5 in a state where the conductor connection portion and the penciled insulating layer are wound with an uncrosslinked polyethylene tape. Can be restored.

이 경우, 절연 복원층(214)의 두께 등에 따라 몰딩 공정은 몰딩 대상층의 요구되는 가교도 또는 두께 등에 따라 몰딩 시간, 몰딩 온도 또는 몰딩 압력 등이 적절하게 선택 또는 조절될 수 있다. In this case, in the molding process, depending on the thickness of the insulating restoration layer 214, or the like, a molding time, a molding temperature, or a molding pressure may be appropriately selected or adjusted according to the required degree of crosslinking or thickness of the molding target layer.

가교 공정에서 공정 시간 동안 미리 결정된 온도 범위로 모든 권취 테이프층이 가열되어야 요구되는 가교율 이상으로 가교될 수 있으며, 미리 결정된 압력이 가해져야 하는 이유는 절연층과 절연 복원층(214)의 경계면에서의 일체화에 필요하기 때문이다.In the crosslinking process, all the winding tape layers must be heated in a predetermined temperature range during the process time to be crosslinked at a required crosslinking rate or higher, and the reason for applying a predetermined pressure is at the interface between the insulating layer and the insulating restoration layer 214. This is because it is necessary for the integration of

도 3 내지 도 5는 XLPE 전력 케이블 중 직류 전력케이블의 중간접속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 도체 접속부 외측에 내부반도전 복원층(212), 절연 복원층(214) 및 외부반도전 복원층(216)을 순차적으로 몰딩하여 복원하거나, 내부반도전 복원층(212), 절연 복원층(214) 및 외부반도전 복원층(216)을 한번에 몰딩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내부반도전 복원층(212) 및 외부반도전 복원층(216)은 각각 반도전 테이프가 아닌 반도전 튜브 등을 장착하여 몰딩을 수행할 수도 있다.3 to 5 are diagrams illustrating an intermediate connection process of a DC power cable among XLPE power cables, and an inner semiconducting restoration layer 212, an insulation restoration layer 214 and an outer semiconducting restoration layer 216 outside the conductor connection part. It may be reconstructed by sequentially molding the inner semiconductor restoration layer 212, the insulating restoration layer 214, and the outer semiconducting restoration layer 216 at a time. In this case, the inner semiconducting restoration layer 212 and the outer semiconducting restoration layer 216 may be molded by mounting a semiconducting tube or the like instead of a semiconducting tape, respectively.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에는 가교 몰딩을 위한 몰딩장치가 전열 히터에 의한 가열방식이 적용되었으나, 히터의 위치에 따른 영역별 온도 편차 등에 의하여 몰딩 품질의 편차가 발생되는 등 만족스러운 가교가 수행될 수 없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전력케이블 중간접속부의 몰딩 시스템(300)은 히터를 통한 비접촉 직접 가열방식이 아닌 열풍 공급에 의한 가열 방식을 적용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As described above, in the conventional molding apparatus for crosslinking molding, a heating method using an electric heater was applied, but satisfactory crosslinking can be performed, such as variations in molding quality due to temperature variations for each region depending on the location of the heater. There was no. Accordingly, the molding system 300 of the power cable intermediate connection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pplies a heating method by supplying hot air rather than a non-contact direct heating method through a heater. I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6은 전력케이블 중간접속부의 몰딩 시스템(300)의 하나의 실시예의 사시도를 도시한다.6 shows a perspective view of an embodiment of a molding system 300 of an intermediate connection of a power cable.

본 발명은 한 쌍의 XLPE 전력케이블의 중간접속부(200)의 절연 보강을 위한 절연 복원층(214)을 몰딩하기 위한 전력케이블 중간접속부의 몰딩 시스템(300)에 관한 것으로, 상기 중간접속부(200)가 수용되는 하우징(310) 및, 상기 하우징(310) 내부와 급기관(320)과 회수관(330)으로 연결되며, 송풍유닛(341) 및 상기 송풍유닛(341)에서 송풍된 공기를 가열하기 위한 가열유닛(346)을 포함하는 열풍장치(3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lding system 300 of an intermediate connection part of a power cable for molding an insulation restoration layer 214 for reinforcing insulation of the intermediate connection part 200 of a pair of XLPE power cables, and the intermediate connection part 200 The housing 310 is accommodated, and the housing 310 is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air supply pipe 320 and the recovery pipe 330, to heat the blowing unit 341 and the air blown from the blowing unit 341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hot air device 340 including a heating unit 346 for.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력케이블 중간접속부의 몰딩 시스템(300)은 양 전력케이블의 중간접속부(200)가 수용 또는 장착되는 하우징(310)을 구비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6, the molding system 300 of the power cable intermediate connection part may include a housing 310 in which the intermediate connection part 200 of both power cables is accommodated or mounted.

상기 하우징(310)은 내부에 몰딩 공간을 구비하고, 고압 상태에서 열풍이 공급되어 가교 몰딩이 수행될 수 있다.The housing 310 has a molding space therein, and hot air is supplied under high pressure to perform crosslinking molding.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310)은 상기 중간접속부(200)가 수용되는 파이프 형태로 구성되되, 상부 하우징(310a)과 하부 하우징(310b)으로 이분할되어 구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6, the housing 310 may be configured in a pipe shape in which the intermediate connection part 200 is accommodated, and may be divided into an upper housing 310a and a lower housing 310b.

상기 상부 하우징(310a)을 분리하여 도체 접속 후 내부반도전 복원층(212)이 복원되고 미가교 폴리에틸렌 등의 재질의 테이프가 권취된 중간접속부를 장착하고 상기 상부 하우징(310a)을 장착하여 각각의 하우징(310) 단부가 내부 공간을 밀폐할 수 있다.After separating the upper housing 310a and connecting the conductor, the inner semiconducting restoration layer 212 is restored, and the intermediate connection part is wound with a tape made of non-crosslinked polyethylene, and the upper housing 310a is mounted. The end of the housing 310 may seal the inner space.

여기서, 상기 하우징(310)은 내부 수용공간의 압력 기밀이 유지된 상태로 상기 중간접속부(200)에 의하여 접속되는 양 전력케이블의 외주면을 지지할 수 있다.Here, the housing 310 may support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of both power cables connected by the intermediate connection part 200 in a state in which pressure-tightness of the internal accommodation space is maintained.

상기 하우징(310) 하부에는 열풍장치(34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310)의 내부 공간과 상기 열풍장치(340)는 급기관(320)과 회수관(330)으로 연결될 수 있다.A hot air device 340 may be provided under the housing 310. The inner space of the housing 310 and the hot air device 340 may be connected to a supply pipe 320 and a recovery pipe 330.

상기 열풍장치(340)는 캐비닛(330) 등의 내부에 수용되어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캐비닛(330)에는 컨트롤 패널(미도시) 등이 구비되어 몰딩 과정을 제어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캐비닛(330)에는 상기 하우징(310) 내부에 열풍을 공급하기 위한 열풍장치(340) 이외에도 상기 하우징(310) 내부를 가압하기 위한 가압 펌프(370) 등이 구비될 수 있다.The hot air device 340 may be configured to be accommodated in a cabinet 330, and the like, and a control panel (not shown) may be provided in the cabinet 330 to have a structure capable of controlling a molding process. . In addition, in addition to the hot air device 340 for supplying hot air into the housing 310, the cabinet 330 may be provided with a pressure pump 370 for pressurizing the interior of the housing 310.

도 7은 본 발명의 전력케이블 중간접속부의 몰딩 시스템(300)의 구성도를 도시한다.7 show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molding system 300 of an intermediate connection part of a power cabl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전력케이블 중간접속부의 몰딩 시스템(300)은 중간접속부가 몰딩되는 몰딩 공간이 구비되는 하우징(310)과 열풍을 공급하는 열풍장치(340)가 급기관(320)과 회수관(330)으로 연결되고, 급기관(320) 및 회수관(330)은 상기 중 간접속구조의 상기 하우징(310) 내부 배치 위치 외측에 각각 연결되어 몰딩 영역에서의 온도 편차를 최소화할 수 있다. 즉, 상기 급기관(320)과 상기 회수관(330)은 상기 하우징(310)의 단부 가까운 위치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The molding system 300 of the power cable intermediate connection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using 310 provided with a molding space in which the intermediate connection part is molded, and a hot air device 340 for supplying hot air, a supply pipe 320 and a recovery pipe 330 And the supply pipe 320 and the return pipe 330 are connected to the outside of the inner arrangement position of the housing 310 of the indirect speed structure, so that temperature deviation in the molding area can be minimized. That is, the supply pipe 320 and the collection pipe 330 may be connected to a position near the end of the housing 310, respectively.

상기 열풍장치(340)는 상기 하우징(310) 내부와 급기관(320)과 회수관(330)으로 연결되며, 송풍유닛(341) 및 상기 송풍유닛(341)에서 송풍된 공기를 가열하기 위한 가열유닛(346)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hot air device 340 is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housing 310 through a supply pipe 320 and a recovery pipe 330, and heating for heating the air blown by the blowing unit 341 and the blowing unit 341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unit 346.

즉, 상기 하우징(310)에서 회수되는 공기는 송풍유닛(341)을 경유하여 전열히터 형태의 가열유닛(346)으로 공급된 후 다시 급기관(320)을 통해 상기 하우징(310) 내부로 공급되는 방식으로 하우징(310) 내부에 열풍을 공급할 수 있다.That is, the air recovered from the housing 310 is supplied to the heating unit 346 in the form of an electric heater through the blowing unit 341 and then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housing 310 through the supply pipe 320. In this way, hot air may be supplied into the housing 310.

상기 하우징(310) 내부로 공급된 열풍이 몰딩 공간에서 온도 편차가 최소화되기 위해서는 하우징(310) 내로 공급된 열풍이 층류(laminar flow) 형태로 유동하는 것보다 난류(turbulent flow) 형태로 유동하여 공기 입자들의 충돌과 섞임이 발생되도록 하는 것이 유리하다.In order for the hot air supplied into the housing 310 to minimize temperature deviation in the molding space, the hot air supplied into the housing 310 flows in a turbulent flow rather than a laminar flow. It is advantageous to allow collision and mixing of particles to occur.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전력케이블 중간접속부의 몰딩 시스템(300)은 상기 하우징(310) 내부 공간의 온도 편차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상기 하우징(310) 내부 공간에 난류 발생부(316)가 구비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molding system 300 of the power cable intermediate connection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with a turbulence generator 316 in the interior space of the housing 310 in order to minimize the temperature deviation of the interior space of the housing 310. .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난류 발생부(316)는 상기 하우징(310) 내부 공간을 유동하는 열풍의 유로 상에 장애물 형태로 구비되어 난류를 발생시키는 구조물일 수 있다. 상기 난류 발생부(316)는 상기 하우징(310) 내주면에 구비된 돌출 리브 또는 돌출 블레이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그 형상은 하우징(310)의 몰딩 공간의 크기 또는 길이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급기관(320)을 통해 상기 하우징(310) 내부로 공급된 열풍은 상기 돌출 리브 또는 돌출 블레이드 형태의 난류 발생부(316)와 충돌하여 하우징(310) 내부의 몰딩 공간에서 난류화되어 몰딩 공간 내부의 온도차를 최소화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7, the turbulence generator 316 may be a structure that generates turbulence by being provided in the form of an obstacle on a flow path of hot air flowing through the inner space of the housing 310. The turbulence generator 316 may be configured in the form of a protruding rib or protruding blade provid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using 310, and the shape may be variously changed according to the size or length of the molding space of the housing 310. have. Therefore, the hot air supplied into the housing 310 through the air supply pipe 320 collides with the turbulence generation unit 316 in the form of the protruding rib or protruding blade, and turbulence in the molding space inside the housing 310 The temperature difference inside the molding space can be minimized.

시험적으로, 상기 난류 발생부(316)가 없는 하우징(310) 내부에서는 영역별 온도차가 10도 이상 발생되는 경우가 있었으나 상기 하우징(310) 내부에 난류 발생부(316)를 복수 개 구비하는 경우, 상기 하우징(310) 내부 공간에서의 영역별 온도 편차는 5도 이내가 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As a test, there was a case where the temperature difference for each region was 10 degrees or more in the housing 310 without the turbulence generating unit 316, but when a plurality of turbulence generating units 316 are provided inside the housing 310 , It was confirmed that the temperature deviation for each region in the interior space of the housing 310 may be within 5 degrees.

또한, 가교 몰딩은 고온 고압 조건에서 수행되므로 상기 하우징(310) 내부의 압력을 증대시키는 가압 펌프(37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가압 펌프(37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310)에 연결될 수도 있고, 상기 열풍장치(340)에 연결되어 송풍되는 열풍의 압력을 증대시키는 방법이 적용될 수도 있다.In addition, since the crosslinking molding is performed under high temperature and high pressure conditions, a pressure pump 370 for increasing the pressure inside the housing 310 may be further provided. As shown in FIG. 7, the pressure pump 370 may be connected to the housing 310, or a method of increasing the pressure of the hot air blown by being connected to the hot air device 340 may be applied.

가교 몰딩 공정은 몰딩 대상층의 요구되는 가교도 또는 두께 등에 따라 몰딩 시간, 몰딩 온도 또는 몰딩 압력 등이 적절하게 선택 또는 조절될 수 있음은 전술한 바와 같다.As described above, in the crosslinking molding process, the molding time, the molding temperature, or the molding pressure may be appropriately selected or adjusted according to the required degree of crosslinking or thickness of the layer to be molded.

이를 위하여, 상기 하우징(310) 내에 온도 센서(361) 및 압력 센서(366)가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온도 센서(361) 또는 상기 압력 센서(366)에 의하여 측정된 하우징(310) 내부 공간의 온도 또는 압력에 따라 상기 열풍장치(340)를 제어하는 제어부(350)를 구비하여 하우징(310) 내부 공간의 온도 또는 압력에 따라 열풍장치(340)를 구성하는 송풍유닛(341), 가열유닛(346) 및 상기 가압 펌프(370) 등을 정밀하게 제어하도록 자동화될 수 있다.To this end, a temperature sensor 361 and a pressure sensor 366 may be provided in the housing 310, and the internal space of the housing 310 measured by the temperature sensor 361 or the pressure sensor 366 A blowing unit 341, a heating unit, which have a control unit 350 for controlling the hot air device 340 according to temperature or pressure, and constitute the hot air device 340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or pressure of the interior space of the housing 310. 346) and the pressure pump 370 may be automated to precisely control.

그리고, 상기 온도 센서(361)는 복수 개가 이격되어 배치되어 영역별 온도 편차 또는 평균 온도를 측정할 수도 있다.Further, a plurality of temperature sensors 361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o measure a temperature deviation or average temperature for each region.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급기관(320)과 회수관(330) 근방에 각각 온도 센서가 구비되는 경우, 급기관(320)과 회수관(330) 근방의 온도차가 예를 들면 5도 이상이 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350)는 상기 송풍유닛(341)의 송풍량을 증대시킬 수 있을 것이고, 평균온도가 낮은 경우 상기 가열유닛(346)의 출력이 상승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압력 센서에 의하여 측정된 상기 하우징(310) 내부 전술한 압력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제어부(350)는 상기 가압 펌프(370)를 작동시켜 상기 하우징(310) 내부의 몰딩 공간의 압력을 증대시키도록 제어될 수 있다.When a temperature sensor is provided in the vicinity of the supply pipe 320 and the recovery pipe 330 as shown in FIG. 7,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supply pipe 320 and the recovery pipe 330 is, for example, 5 degrees or more. If so, the control unit 350 may increase the blowing amount of the blowing unit 341, and when the average temperature is low, the output of the heating unit 346 may be controlled to increase. Likewise, when the pressure in the housing 310 measured by the pressure sensor is outside the above-described pressure range, the control unit 350 operates the pressure pump 370 to increase the pressure in the molding space inside the housing 310 Can be controlled to let.

본 명세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이하에서 서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변형된 실시가 기본적으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면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범주에 포함된다고 보아야 한다.Although the present specifica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variously modify and change the present invention within the scope no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described below. You will be able to do it. Therefore, if the modified implementation basically includes the elements of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seen that all are included in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전력케이블
200 : 중간접속부
300 : 전력케이블 중간접속부의 몰딩 시스템
100: power cable
200: intermediate connection
300: Molding system of the power cable intermediate connection

Claims (12)

한 쌍의 XLPE 전력케이블의 중간접속부의 절연 보강을 위한 절연 복원층을 몰딩하기 위한 전력케이블 중간접속부의 몰딩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중간접속부가 수용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 내부와 급기관과 회수관으로 연결되며, 송풍유닛 및 상기 송풍유닛에서 송풍된 공기를 가열하기 위한 가열유닛을 포함하는 열풍장치;를 포함하는 전력케이블 중간접속부의 몰딩 시스템.
In the molding system of an intermediate connection part of a power cable for molding an insulation restoration layer for reinforcing insulation of an intermediate connection part of a pair of XLPE power cables,
A housing in which the intermediate connection part is accommodated; And,
A molding system of an intermediate connection of a power cable including a heating unit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housing, through a supply pipe and a return pipe, and including a blowing unit and a heating unit for heating air blown from the blowing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중간접속부가 수용되는 파이프 형태로 구성되되, 상부와 하부로 이분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케이블 중간접속부의 몰딩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housing is configured in the form of a pipe in which the intermediate connection part is accommodated, and the molding system of the power cable intermediate connection part is divided into an upper part and a lower par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내부 수용공간의 압력 기밀이 유지된 상태로 상기 중간접속부에 의하여 접속되는 양 전력케이블의 외주면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케이블 중간접속부의 몰딩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housing is a molding system of the power cable intermediate connection portion, characterized in that support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of both power cables connected by the intermediate connection portion in a state in which pressure-tightness of the internal accommodation space is maintain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과 상기 열풍장치를 연결하는 급기관 및 회수관은 상기 중 간접속구조의 상기 하우징 내부 배치 위치 외측에 각각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케이블 중간접속부의 몰딩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molding system of the power cable intermediate connection part, wherein the supply pipe and the return pipe connecting the housing and the hot air device are respectively connected to an outside of the inner arrangement position of the housing of the indirect speed structur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내부 공간의 온도 편차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상기 하우징 내부 공간에 난류 발생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케이블 중간접속부의 몰딩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A molding system for an intermediate connection of a power cable, characterized in that a turbulence generator is provided in the interior space of the housing in order to minimize temperature deviation of the interior space of the housing.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난류 발생부는 상기 하우징 내부 공간을 유동하는 열풍의 유로 상에 장애물 형태로 구비되어 난류를 발생시켜, 상기 하우징 내부 공간에서의 영역별 온도 편차는 5도 이내가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케이블 중간접속부의 몰딩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5,
The turbulence generator is provided in the form of an obstacle on the flow path of the hot air flowing through the housing interior space to generate turbulence, so that the temperature deviation for each region in the housing interior space is within 5 degrees. Molding system of the connec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내에 온도 센서 및 압력 센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케이블 중간접속부의 몰딩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A molding system of an intermediate connection of a power cable, characterized in that a temperature sensor and a pressure sensor are provided in the housing.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 센서는 복수 개가 이격되어 배치되어 영역별 온도 편차 또는 평균 온도가 측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케이블 중간접속부의 몰딩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7,
A plurality of temperature sensors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o measure a temperature deviation or average temperature for each region.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센서 또는 상기 압력센서에 의하여 측정된 하우징 내부 공간의 온도, 온도 편차 또는 압력에 따라 상기 열풍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케이블 중간접속부의 몰딩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7,
The molding system of an intermediate connection of a power cable, further comprising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hot air device according to a temperature, temperature deviation, or pressure of the inner space of the housing measured by the temperature sensor or the pressure senso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내부 공간을 가압하기 위한 가압 펌프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케이블 중간접속부의 몰딩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A molding system for an intermediate connection of a power cable, further comprising a pressure pump for pressurizing the space inside the housing.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따른 중간접속부의 절연 복원층 몰딩 시스템에 의하여 몰딩된 절연 복원층을 구비하는 전력케이블의 중간접속부.An intermediate connection part of a power cable having an insulation recovery layer molded by the insulation recovery layer molding system of the intermediate connection part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0.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케이블이 직류 전력케이블인 경우, 상기 중간접속부에서 상기 절연 복원층 내부에 반도전 테이프를 감아 형성되는 내부 반도전 복원층, 상기 절연 복원층 및 상기 절연 복원층 외부에 반도전 테이프를 감아 형성되는 외부 반도전 복원층은 순차적으로 몰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케이블의 중간접속부.
The method of claim 11,
When the power cable is a DC power cable, an internal semiconducting restoration layer formed by winding a semiconducting tape inside the insulation restoration layer at the intermediate connection part, and a semiconducting tape formed outside the insulation restoration layer and the insulation restoration layer The intermediate connection part of the power cable, characterized in that the outer semiconducting restoration layer is molded sequentially.
KR1020190045251A 2019-04-18 2019-04-18 Molding System For Jointing Structure Of Power Cable KR20200122500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5251A KR20200122500A (en) 2019-04-18 2019-04-18 Molding System For Jointing Structure Of Power Cab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5251A KR20200122500A (en) 2019-04-18 2019-04-18 Molding System For Jointing Structure Of Power Cab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2500A true KR20200122500A (en) 2020-10-28

Family

ID=730182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5251A KR20200122500A (en) 2019-04-18 2019-04-18 Molding System For Jointing Structure Of Power Cab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22500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9092B1 (en) * 2021-01-13 2021-08-12 한성중공업 주식회사 XLPE cable maintenance method for high voltage motor stato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9092B1 (en) * 2021-01-13 2021-08-12 한성중공업 주식회사 XLPE cable maintenance method for high voltage motor stato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799716C (en) Electrical cable with semi-conductive outer layer distinguishable from jacket
KR20200122530A (en) Drying System For Jointing Structure Of Power Cable
EP3879652A1 (en) Power cable joint system
KR20200122500A (en) Molding System For Jointing Structure Of Power Cable
US11594349B2 (en) Power cable joint system
KR20210120368A (en) Connecting Structure of Power Cable Conductor And Connecting Box Of Power Cable Using The Same
KR20180089837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mpaensating pressure of joint box
KR102378680B1 (en) Joint for high voltage DC power cable and high voltage DC power cable joint system comprising the same
KR102499648B1 (en) High voltage DC power cable joint system
EP4322351A1 (en) Power cable system having different-type conductor junction, and power cable connection method using different-type conductors
EP3930129A1 (en) Intermediate connection structure of power cable
EP3879653A1 (en) Joint system of power cable
US20240047956A1 (en) Jointing system of power cable
KR102594700B1 (en) Conductor compression sleeve and ultra high voltage DC power cable system using the same
JP6659829B2 (en) Transmission cables and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transmission cables
US11881692B2 (en) Intermediate connection structure of power cable
JP3429234B2 (en) DC transmission line
KR20200090379A (en) Pressure compensating device for joint box of power cable and jointing system of power cable having the same
KR101839725B1 (en) Jointing power cable system using joint box
KR20180111457A (en) Jointing power cable system using joint box
WO2017052119A1 (en) Conductor compression sleeve and ultra-high-voltage direct current power cable system using same
KR20180101946A (en) Apparatus for trimming compressing sleeve
KR102608270B1 (en) Oil supply system of joint box for oil impregnated cable and method for the same
KR20220078323A (en) Connection box of power cable
KR101810359B1 (en) Jointing power cable system using joint bo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