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21222A - Air Cleaner Device - Google Patents

Air Cleaner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21222A
KR20200121222A KR1020190121035A KR20190121035A KR20200121222A KR 20200121222 A KR20200121222 A KR 20200121222A KR 1020190121035 A KR1020190121035 A KR 1020190121035A KR 20190121035 A KR20190121035 A KR 20190121035A KR 20200121222 A KR20200121222 A KR 202001212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er case
filter
air
case
filter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103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546344B1 (en
Inventor
이동엽
Original Assignee
이동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90043800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032401B1/en
Application filed by 이동엽 filed Critical 이동엽
Priority to KR10201901210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6344B1/en
Publication of KR202001212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122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63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634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24F3/1603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08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dry filter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5Mounting a ventilator fan therei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20Air quality improvement or preservation, e.g. vehicle emission control or emission reduction by using catalytic converters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air purifier capable of being moved and carried and purifying or sterilizing air. The portable air purifier includes: an outer case in which an intake hole and an exhaust hole are formed on an outer surface; an inner case forming an air flow path communicating between the intake hole and the exhaust hole inside the outer case; a fan provided in the air flow path to generate air flow; a filter holder with ventilation holes on the side part; and a filter for filtering external air introduced through the intake hole and flowing into a ventilation hole.

Description

공기청정기{Air Cleaner Device}Air Cleaner Device

본 발명은 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은 이동과 휴대가 가능하고 공기 정화 또는 공기 살균이 가능한 휴대용 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purifier, and 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air purifier capable of moving and carrying and purifying air or sterilizing air.

공기정화장치란 쾌적한 환경을 제공하기 위하여 실내의 공기를 정화하는 장치를 말하는 것으로서, 최근 대기오염의 심각성으로 인하여 신선한 공기를 호흡하려는 요구가 급증하고 있으며 이러한 요구는 웰빙을 추구하는 현대인에게 있어서 매우 당연한 현상이다.Air purifier refers to a device that purifies indoor air in order to provide a pleasant environment. Recently, due to the seriousness of air pollution, the demand to breathe fresh air is increasing rapidly, and this demand is very natural for modern people seeking well-being. It is a phenomenon.

일반적으로 대기오염은 공장이나 자동차에서 나오는 매연, 각종 소각시설, 휘발성 유기화합물 등의 유입으로 공기의 물리, 화학적 변화가 일어나 각종 피부질환이나 호흡기질환 등 다양한 질환을 유발시키고 있다. 이와 같은 대기 오염물질들은 현대인에게 있어 치명적 피해를 주고 있어 공기정화를 위한 장치가 많이 제안되고 있다. In general, air pollution causes various diseases such as various skin diseases or respiratory diseases due to physical and chemical changes in the air due to the inflow of smoke from factories or automobiles, various incineration facilities, and volatile organic compounds. Air pollutants such as these are causing fatal damage to modern people, so many devices for air purification have been proposed.

이러한 공기정화장치는 필터부 방식, 음이온 방식, 광촉매 흡착 방식 등을 사용하고, 송풍팬과 필터를 이용하여 한쪽에서 오염된 공기를 흡입하고 필터를 통해 오염물질을 여과한 후 반대편으로 배출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These air purifiers use a filter unit method, an anion method, a photocatalyst adsorption method, etc., and use a blower fan and a filter to inhale contaminated air from one side, filter the pollutants through the filter, and discharge them to the other side. consist of.

그러나 대부분의 공기정화장치는 실내 전체의 공기를 정화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할 뿐, 협소한 공간에서 사용자와 가까운 위치에 배치하여 사용하는 것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most of the air purifiers are only used to purify the air in the entire room, and it is difficult to use them by placing them in a location close to the user in a narrow space.

특히, 최근 들어, 미세먼지 및 초미세먼지가 사회의 이슈로 부각되면서 유아들의 실외 활동에 제약이 생기고 유아들의 기관지 질환이 늘어나는 등 사회적 문제로서 인식되고 있어, 휴대성이 높고 유모차나 옥외에서도 사용 가능한 공기청정기의 필요성이 늘어나고 있다. In particular, in recent years, as fine dust and ultrafine dust emerge as social issues, it is recognized as a social problem such as restrictions on outdoor activities of infants and increasing bronchial diseases of infants.It is highly portable and can be used in strollers or outdoors. The need for air purifiers is increasing.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79985호 (가습 겸용 공기 정화 장치)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7-0079985 (air purifier for both humidification)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기청정기는 휴대가 용이하고 간편하고 공기를 정화 또는 공기를 살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 ai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asy and convenient to carry and aims at purifying air or sterilizing air.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기청정기는 필터의 교환이 용이하고, 흡기된 모든 외부 공기가 필터를 통과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 air purifie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object to facilitate replacement of a filter and to allow all inhaled external air to pass through the filter.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기청정기는 필터가 구비되는 필터 공간을 포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 ai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object to include a filter space in which a filter is provided.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기청정기는 가볍고 부피가 작기 때문에 이동 중에도 사용 가능하고, 유모차 또는 옥외에서 사용 가능한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ai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ight and has a small volume, so it can be used while moving, and it is intended to be used in a stroller or outdoors.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청정기는, 측부에 흡기홀이 형성되고 상부에 배기홀이 형성된 외부 케이스; 상기 외부 케이스와 함께 상기 외부 케이스의 내측에 공기 유로를 형성하는 내부 케이스; 상기 흡기홀 보다 상기 배기홀에 인접하게 상기 공기 유로 내에 구비되어 공기 유동을 생성하는 팬; 제1 개방 상부와 상기 제1 개방 상부 보다 넓은 면적의 제1 개방 하부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 케이스에 의해서 상기 제1 개방 상부 및 상기 제1 개방 하부가 관통되며, 상기 흡기홀을 통해 유입된 외부 공기를 필터링하는 필터; 및 제2 개방 상부와 상기 제2 개방 상부 보다 넓은 면적의 제2 개상 하부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 케이스에 의해서 상기 제2 개상 상부 및 상기 제2 개방 하부가 관통되며, 측부에 통기홀이 형성되고, 상기 필터의 내측면을 지지하는 필터 거치대;를 포함하며, 상기 필터 거치대는 상기 필터 거치대의 하부 단부에 구비되어 자력으로 상기 내부 케이스에 결합 고정되는 제1 자성물질을 포함하고, 상기 내부 케이스의 외경은 상기 필터 거치대의 제2 개상 상부의 내경과 일치하는 부분을 포함하여, 상기 필터 거치대의 외측으로 상기 필터가 구비되는 필터 공간을 구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를 제공할 수 있다.An ai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outer case having an intake hole formed at a side portion and an exhaust hole formed at an upper portion thereof; An inner case forming an air passage inside the outer case together with the outer case; A fan provided in the air flow path adjacent to the exhaust hole rather than the intake hole to generate air flow; It includes a first open upper part and a first open lower part of a larger area than the first open upper part, the first open upper part and the first open lower part are penetrated by the inner case, and the external part introduced through the intake hole A filter to filter air; And a second opening upper portion and a second opening lower portion having an area larger than that of the second opening upper portion, wherein the second opening upper portion and the second opening lower portion are penetrated by the inner case, and a ventilation hole is formed on the side thereof, , A filter holder supporting the inner side of the filter, wherein the filter holder includes a first magnetic material provided at a lower end of the filter holder and fixed to the inner case by magnetic force, and the inner case The outer diameter may include a portion coincident with the inner diameter of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opening of the filter holder, and may provide an air purifier, characterized in that the filter space in which the filter is provided is divided outside the filter holder.

상기 필터 거치대의 하부 단부를 지지하는 상기 내부 케이스의 부분은 상기 제1 자성물질에 자력으로 결합할 수 있는 금속 재질로 구성되거나 제2 자성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The portion of the inner case supporting the lower end of the filter holder may be made of a metal material capable of magnetically coupled to the first magnetic material or may include a second magnetic material.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청정기는, 상기 필터 거치대의 상부 단부에 구비된 제3 자성물질; 및 상기 제3 자성물질에 자력으로 결합할 수 있도록 상기 내부 케이스에 구비된 제4 자성물질;을 더 포함하는 공기청정기를 제공할 수 있다.An ai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third magnetic material provided at an upper end of the filter holder; And a fourth magnetic material provided in the inner case so as to be magnetically coupled to the third magnetic material.

상기 외부 케이스는, 상기 배기홀이 형성되어 외부 케이스의 상부를 구성하는 제1 외부 케이스; 상기 제1 외부 케이스의 하측 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흡기홀이 형성되어 외부 케이스의 측부를 구성하는 제2 외부 케이스; 및 상기 제2 외부 케이스의 하측 단부에 결합되어 외부 케이스의 하부를 구성하는 제3 외부 케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The outer case may include: a first outer case having the exhaust hole formed thereon to form an upper portion of the outer case; A second outer case coupled to a lower end of the first outer case and formed with the intake hole to form a side portion of the outer case; And a third outer case coupled to a lower end of the second outer case to constitute a lower portion of the outer case.

상기 내부 케이스는, 상기 공기 유로를 제1 공기 유로와 제2 공기 유로로 구획하고, 상기 제1 공기 유로와 상기 제2 공기 유로 사이를 연통하는 연통홀이 형성된 제1 내부 케이스; 상기 제1 내부 케이스에 연결되고 상기 제2 공기 유로를 구획하여 배터리가 구비되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제2 내부 케이스; 및 상기 제2 내부 케이스의 하부에서 연장되며, 상기 제3 외부 케이스에 결합하는 제3 내부 케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The inner case may include: a first inner case dividing the air passage into a first air passage and a second air passage, and having a communication hole communicating between the first air passage and the second air passage; A second inner case connected to the first inner case and defining an inner space in which a battery is provided by dividing the second air passage; And a third inner case extending from a lower portion of the second inner case and coupled to the third outer case.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청정기는, 상기 제1 외부 케이스의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배기홀을 개폐하는 고무 재질의 덮개;를 더 포함하는 공기청정기를 제공할 수 있다.The ai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provide an air purifier further comprising a rubber cover that is detachably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outer case and opens and closes the exhaust hole.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기청정기는 휴대가 용이하고 간편하고 공기를 정화 또는 공기를 살균하는 효과를 가진다.The ai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asy and convenient to carry, and has an effect of purifying air or sterilizing air.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기청정기는 필터의 교환이 용이하고, 흡기된 모든 외부 공기가 필터를 통과하는 효과를 가진다.The ai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that the filter can be easily replaced, and all inhaled external air passes through the filter.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기청정기는 필터가 구비되는 필터 공간을 포함하는 효과를 가진다.The ai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including a filter space in which a filter is provided.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기청정기는 가볍고 부피가 작기 때문에 이동 중에도 사용 가능하고, 유모차 또는 옥외에서 사용 가능한 효과가 있다.Since the ai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ight and has a small volume, it can be used while moving, and has an effect that can be used in a stroller or outdoor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청정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분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A 부분 및 제1 외부케이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은 도 2의 D 부분 및 제3 외부케이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은 도 1의 A-A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는 도 2의 C 부분, 제1 내부 케이스 및 제4 내부 케이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2의 B 부분 및 필터 거치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1의 B-B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필터 거치대의 사용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사용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an ai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view of an ai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view showing part A of FIG. 2 and a first outer case.
FIG. 4 is a diagram illustrating part D and a third outer case of FIG. 2.
5 is a view showing a cross-section AA of FIG. 1.
FIG. 6 is a diagram illustrating part C of FIG. 2, a first inner case, and a fourth inner case.
7 is a view showing part B of FIG. 2 and a filter holder.
FIG.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ross section taken along BB of FIG. 1.
9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using the filter holder.
10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using the ai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청정기가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된다.Hereinafter, an ai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청정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분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A 부분 및 제1 외부케이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은 도 2의 D 부분 및 제3 외부케이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an ai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view of an ai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view showing part A of FIG. 2 and a first outer case. FIG. 4 is a diagram illustrating part D and a third outer case of FIG. 2.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청정기는(1000)에서, 덮개(310), 외부 케이스(100), 외부 케이스(100)의 내측에 구비되는 필터(320) 및 필터 거치대(330), 필터(320) 및 필터 거치대(330)의 내측에 삽입되는 내부 케이스(200), 내부 케이스(200)의 내측에 구비되는 팬(141) 및 배터리(222)를 포함할 수 있다.1 and 2, in the air purifier 10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ver 310, an outer case 100, a filter 320 provided inside the outer case 100 And a filter holder 330, a filter 320, and an inner case 200 inserted into the filter holder 330, a fan 141 and a battery 222 provided inside the inner case 200. I can.

덮개(310)는 고무 재질로 우산 형상으로 가지며, 덮개(310)의 하부 내측면에서 돌출된 덮개 돌기(310a)는 외부 케이스(100)의 덮개 체결홈(111b)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덮개(310)는 배기홀(111a)를 개폐할 수 있다.The cover 310 is made of a rubber material and has an umbrella shape, and the cover protrusion 310a protruding from the lower inner surface of the cover 310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cover fastening groove 111b of the outer case 100 . The cover 310 may open and close the exhaust hole 111a.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외부 케이스(100)는 공기청정기의 외형을 형성할 수 있다. 외부 케이스(100)는 제1 외부 케이스(110), 제2 외부 케이스(120), 제3 외부 케이스(1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3 외부 케이스는 별개의 부재로 형성될 수 있으나, 적어도 2개의 외부 케이스를 일체의 부재로 형성할 수도 있다.3 and 4, the outer case 100 may form the outer shape of an air purifier. The outer case 100 may include a first outer case 110, a second outer case 120, and a third outer case 130. The first to third outer cases may be formed as separate members, but at least two outer cases may be formed as an integral member.

도 3을 참조하면, 제1 외부 케이스(110)는 외부 케이스(100)의 상부와, 외부 케이스(100)의 측부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제1 외부 케이스(110)는 상부에 중심축으로 갈수록 깊어지는 제1 경사부(111)와, 중심축에서 돌출되며 상측으로 개방된 홈을 가지는 덮개 체결홈(111b)을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 the first outer case 110 may form an upper portion of the outer case 100 and a part of a side portion of the outer case 100. The first outer case 110 may include a first inclined portion 111 that becomes deeper toward a central axis at an upper portion, and a cover fastening groove 111b having a groove protruding from the central axis and opening upward.

제1 외부 케이스(100)는 상부에 구비된 배기홀(111a)을 포함할 수 있다. 배기홀(111a)은 제1 경사부(111)에 중심축을 기준으로 대칭되게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배기홀(111a)은 중심축에서 방사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가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first outer case 100 may include an exhaust hole 111a provided thereon. A plurality of exhaust holes 111a may be formed in the first inclined portion 111 to be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The exhaust hole 111a may be provided to have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radial direction from the central axis.

덮개 체결홈(111b)은 덮개(310)의 덮개 돌기(310a)에 의해 삽입될 수 있다.The cover fastening groove 111b may be inserted by the cover protrusion 310a of the cover 310.

제1 외부 케이스(110)는 하부 단부에서 아래로 연장된 제1 연장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연장부(112)는 아래로 갈수록 좁아지는 폭을 가질 수 있다. 제1 연장부(112)는 제1 외부 케이스(110)의 하부 단부에 마주 보도록 대칭되게 2개로 구비될 수 있다. 2개의 제1 연장부(112) 사이에서 제1 외부 케이스(110)의 하부 단부는 곡선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outer case 110 may include a first extension part 112 extending downward from a lower end. The first extension part 112 may have a width that narrows downward. The first extension part 112 may be provided in two symmetrically so as to face the lower end of the first outer case 110. The lower end of the first outer case 110 between the two first extension parts 112 may be formed in a curved shape.

제1 연장부(112)는 그 내측면에 내부 케이스(200)와 체결을 위한 제1 연장부 체결부(112a)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연장부 체결부(112a)는 후술할 내부 케이스(200)의 제3-2 연장부 체결돌기(237b)가 삽입되어 체결될 수 있는 홈 형상을 가질 수 있다.The first extension part 112 may include a first extension part fastening part 112a for fastening with the inner case 200 on an inner surface thereof. The first extension part fastening part 112a may have a groove shape in which the 3-2th extension part fastening protrusion 237b of the inner case 200 to be described later is inserted and fastened.

제1 외부 케이스(110)는 제1 연장부(112)가 구비되지 않는 하부 단부의 내측면에 제1 체결부(11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체결부(113)는 후술할 제2 외부 케이스(120)의 제2 체결부(122)가 삽입될 수 있는 홈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체결부(113)는 제1 외부 케이스(110)의 내측면에서 소정 거리 이격되며 원주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홈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체결부(113)는 상기 제2 체결부(122)의 단부에 구비된 돌기가 삽입될 수 있도록 홈 내측에 구비된 제1 체결부 내측홀(113a)을 포함할 수 잇다. 제1 체결부 내측홀(113a)는 제1 외부 케이스(110)의 내측을 향해 개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outer case 110 may include a first fastening part 113 on an inner surface of a lower end where the first extension part 112 is not provided. The first fastening part 113 may have a groove shape into which the second fastening part 122 of the second outer case 120 to be described later can be inserted. The first fastening part 113 may have a groove shape spaced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outer case 110 and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he first fastening part 113 may include a first fastening part inner hole 113a provided inside the groove so that a protrusion provided at the end of the second fastening part 122 can be inserted. The first fastening part inner hole 113a may be formed to open toward the inside of the first outer case 110.

제2 외부 케이스(120)는 외부 케이스(100)의 측부을 형성할 수 있다. 제2 외부 케이스(120)의 단부는 곡선의 형상을 구비할 수 있다. 제2 외부 케이스(120)는 좌우로 길게 구비될 수 있고, 내측면 및 외측면은 바깥쪽으로 볼록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The second outer case 120 may form a side portion of the outer case 100. The end of the second outer case 120 may have a curved shape. The second outer case 120 may be elongated to the left and right, and the inner side and the outer side may have an outwardly convex shape.

제2 외부 케이스(120)는, 2개의 제1 연장부(112) 사이에 제1 외부 케이스(110)의 하부 단부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외부 케이스(120)는 제1 외부 케이스(110)와의 체결을 위한 제2 체결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체결부(122)는 제2 외부 케이스(120)의 상부 단부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며, 원주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The second outer case 120 may be connected to a lower end of the first outer case 110 between the two first extension parts 112. The second outer case 120 may include a second fastening part 122 for fastening with the first outer case 110. The second fastening part 122 extends upward from the upper end of the second outer case 120 and may be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제2 체결부(122)는 그 단부에서 내측으로 돌출되며 제1 체결부 내측홀(113a)에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체결부 돌기(122a)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서, 제2 체결부 돌기(122a)가 3개인 경우로서, 각각의 제2 체결부 돌기(122a)는 소정 거리로 이격되어 배치되어 있다.The second fastening part 122 may include at least one second fastening part protrusion 122a protruding inward from its end and inserted into the first fastening part inner hole 113a. In FIG. 3, when there are three second fastening part protrusions 122a, each of the second fastening part protrusions 122a ar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제2 외부 케이스(120)는 제1 외부 케이스(110)와 체결을 위하여 내측면에서 돌출된 제2 연장부 체결부(123)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연장부 체결부(123)는 제1 연장부(112)의 내측에 구비된 제1 연장부 체결홀(112b)에 나사, 볼트와 같은 고정부재로 체결되어 제1 외부 케이스(110)와 제2 외부 케이스(120)를 결합하여 고정할 수 있다.The second outer case 120 may include a second extension part fastening part 123 protruding from an inner surface for fastening with the first outer case 110. The second extension part fastening part 123 is fastened to the first extension part fastening hole 112b provided on the inner side of the first extension part 112 with a fixing member such as a screw or a bolt, so that it is connected to the first outer case 110. The second outer case 120 may be combined and fixed.

제2 외부 케이스(120)는 측부에 구비된 흡기홀(121)를 포함할 수 있다. 흡기홀(121)은 소정의 길이를 가지고 우측 사선으로 기울어진 제1 흡기홀(121a), 소정의 길이를 가지고 좌측 사선으로 기울어진 제2 흡기홀(121b), 원 모양의 제3 흡기홀(121c) 중 적어도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흡기홀(121)는 제2 외부 케이스(120)의 둘레를 띠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흡기홀(121)은 제2 외부케이스(120)의 측면 전체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outer case 120 may include an intake hole 121 provided on the side. The intake hole 121 has a predetermined length and has a first intake hole 121a inclined in a right diagonal line, a second intake hole 121b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inclined in a left diagonal line, and a third intake hole in a circular shape ( 121c) may be formed of at least one of. The intake hole 121 may be formed in a belt shape around the second outer case 120. The plurality of intake holes 121 may be formed in the entire side area of the second outer case 120.

제2 외부 케이스(120)는 흡기홀(121)을 포함하므로, 흡기홀(121)이 형성된 제2 외부 케이스(120)의 외부면과 내부면은 먼지가 쌓일 수 있다. 쌓인 먼지를 물로 세척하기 위하여 제2 외부 케이스(120)는 제1 외부 케이스(110) 및 제3 외부 케이스(130)으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분리될 수 있다.Since the second outer case 120 includes the intake hole 121, dust may accumulate on the outer surface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outer case 120 in which the intake hole 121 is formed. In order to wash the accumulated dust with water, the second outer case 120 may be detachably separated from the first outer case 110 and the third outer case 130.

도 4를 참조하면, 제3 외부 케이스(130)는 외부 케이스(100)의 하부를 형성할 수 있다. 제3 외부 케이스(130)는 제2 외부 케이스(120)의 하부에 연결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the third outer case 130 may form a lower portion of the outer case 100. The third outer case 130 may be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second outer case 120.

제3 외부 케이스(130)는 상부 단부에서 위로 연장된 제2 연장부(131)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연장부(131)는 위로 갈수록 좁아지는 폭을 가질 수 있다. 제2 연장부(131)는 제3 외부 케이스(130)의 상부 단부에 마주 보도록 대칭되게 2개로 구비될 수 있다. 2개의 제2 연장부(131) 사이에서 제3 외부 케이스(130)의 상부 단부는 곡선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외부 케이스(120)는 2개의 제2 연장부(131) 사이에 제3 외부 케이스(130)의 상부 단부에 연결될 수 있다. 이로써, 제2 외부 케이스(120)는 제1 외부 케이스(110) 및 제3 외부 케이스(130)에 의해서 둘러 쌓이게 배치될 수 있다.The third outer case 130 may include a second extension part 131 extending upward from an upper end. The second extension part 131 may have a width that becomes narrower toward the top. Two second extension parts 131 may be provided symmetrically to face the upper end of the third outer case 130. An upper end of the third outer case 130 between the two second extension parts 131 may be formed in a curved shape. The second outer case 120 may be connected to an upper end of the third outer case 130 between the two second extension parts 131. Accordingly, the second outer case 120 may be arranged to be surrounded by the first outer case 110 and the third outer case 130.

제2 연장부(131)는 내부 케이스(200)와 체결될 수 있는 제2 연장부 체결부(1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연장부 체결부(132)는 내부 케이스(200)의 제3-1 연장부 체결돌기(237a)가 삽입되어 체결될 수 있는 홀(hole) 형상을 가질 수 있다.The second extension part 131 may include a second extension part fastening part 132 that may be fastened to the inner case 200. The second extension part fastening part 132 may have a hole shape through which the 3-1 extension part fastening protrusion 237a of the inner case 200 is inserted and fastened.

도 5은 도 1의 A-A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는 도 2의 C 부분, 제1 내부 케이스 및 제4 내부 케이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5 is a view showing a cross-section A-A of FIG. 1. FIG. 6 is a diagram illustrating part C of FIG. 2, a first inner case, and a fourth inner case.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청정기는, 외부 케이스(100)의 내측에 흡기홀(121)와 배기홀(111a)를 연통하는 공기유로(140)와, 공기유로(140) 내에서 공기 유동을 생성하는 팬(141)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the ai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air flow passage 140 communicating with an intake hole 121 and an exhaust hole 111a inside the outer case 100, and an air flow passage ( 140) may include a fan 141 for generating air flow.

공기유로(140)는 내부 케이스(200)에 의해서 제1 공기유로(140a)와 제2 공기유로(140b)으로 구획될 수 있다. 제1 공기유로(140a)와 제2 공기유로(140b)는 후술할 연통홀(211)에 의해서 연통할 수 있다. 제1 공기유로(145)는 배기홀(111a)에 연통하고, 제2 공기유로(146)는 흡기홀(121)에 연통할 수 있다.The air passage 140 may be divided into a first air passage 140a and a second air passage 140b by the inner case 200. The first air passage 140a and the second air passage 140b may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rough a communication hole 211 to be described later. The first air flow passage 145 may communicate with the exhaust hole 111a and the second air flow passage 146 may communicate with the intake hole 121.

팬(141)은 흡기홀(121) 보다 배기홀(111a)에 근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팬(141)는 제1 공기유로(140a)에 배치될 수 있다. 차폐부(143)는 공기유로(140) 내의 모든 공기 유동이 팬(141)을 통과할 수 있도록 팬(141)과 외부 케이스(100) 사이를 막는다. 차폐부(143)는 내측에 팬(141)이 삽입될 수 있는 차폐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The fan 141 may be disposed closer to the exhaust hole 111a than the intake hole 121. The fan 141 may be disposed in the first air flow path 140a. The shield 143 blocks between the fan 141 and the outer case 100 so that all air flow in the air flow path 140 can pass through the fan 141. The shielding part 143 may include a shielding hole (not shown) into which the fan 141 may be inserted.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청정기는, 공기유로(140) 내 공기를 살균할 수 있는 살균장치(14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살균장치(142)는 팬(141)의 하단에 구비되어 팬(141)으로 흡기되는 공기를 살균할 수 있다. 살균장치(142)는 제1 공기유로(140a)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제2 공기유로(140b)로부터 연통홀(211)을 통해서 흘러오는 공기를 살균할 수 있다. 살균장치(142)는 자외선 램프, 자외선 LED 중 적어도 하나로 이뤄질 수 있다. 살균장치(142)가 UV 광원으로 이뤄지는 경우 광원의 발산 방향은 배기홀(111a)의 반대 방향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흡기홀(121)과는 나란하지 않은 방향으로 구비되어 외부로 UV 광원이 나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The ai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terilization device 142 capable of sterilizing the air in the air flow path 140. The sterilization device 142 may be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fan 141 to sterilize the air inhaled by the fan 141. The sterilization device 142 may be disposed in the first air passage 140a and may sterilize the air flowing from the second air passage 140b through the communication hole 211. The sterilization device 142 may be formed of at least one of an ultraviolet lamp and an ultraviolet LED. When the sterilization device 142 is made of a UV light source, the emission direction of the light source may be provid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exhaust hole 111a, and is provided in a direction not parallel to the intake hole 121 so that the UV light source does not exit to the outside. Can be avoided.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내부 케이스(200)는 제1 내부 케이스(210), 제2 내부 케이스(220), 제3 내부 케이스(230), 제4 내부 케이스(2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4 내부 케이스는 별개의 부재로 형성될 수 있으나, 적어도 2개의 내부 케이스를 일체의 부재로 형성할 수도 있다.5 and 6, the inner case 200 may include a first inner case 210, a second inner case 220, a third inner case 230, and a fourth inner case 240. I can. The first to fourth inner cases may be formed as separate members, but at least two inner cases may be formed as an integral member.

제1 내부 케이스(210)는 내측에 팬(141)이 거치될 수 있는 제1 내부 공간(214)을 형성하도록 수직하게 형성된 제1 부재(212)와, 제2 부재(212)에서 하측으로 연장되어 중심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제2 부재(213)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부재(213)는 하부로 갈수록 그 단면적이 작아지게 구비될 수 있다.The first inner case 210 extends downward from the first member 212 and the second member 212 vertically formed to form a first inner space 214 in which the fan 141 can be mounted It may include a second member 213 inclined toward the center. The second member 213 may have a smaller cross-sectional area as it goes downward.

제1 내부 케이스(210)는 공기유로(140)를 제1 공기유로(140a) 및 제2 공기유로(140b)으로 구획하며, 연통홀(211)을 포함할 수 있다. 연통홀(211)은 제2 부재(212)에 원주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가지도록 적어도 2개씩 형성될 수 있다. 연통홀(211)이 복수개로 형성될 경우 제2 부재(213)에 수직한 방향으로 소정 거리로 이격되어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연통홀(211)은 제2 부재(212)의 수직한 방향에서 위치가 낮아질수록 짧아지게 형성될 있다.The first inner case 210 divides the air passage 140 into a first air passage 140a and a second air passage 140b, and may include a communication hole 211. At least two communication holes 211 may be formed in the second member 212 so as to have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When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holes 211 are formed, each of the communication holes 211 may be provided to be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econd member 213. The communication hole 211 may be formed to be shorter as the posit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second member 212 decreases.

제2 내부 케이스(220)는 제1 내부 케이스(210)의 하부 단부에서 하측으로 연장되고 내부에 제2 내부공간(221)을 포함할 수 있다. The second inner case 220 may extend downward from the lower end of the first inner case 210 and include a second inner space 221 therein.

제2 내부공간(221)은 제2 내부 케이스(220)에 의해서 제2 공기유로(140b)로부터 구획된 공간이며, 제2 공기 유로(140b)의 중심에 구비될 수 있다. 흡기홀(121)를 통해서 흡기된 공기는 제2 내부 케이스(220)의 외측에 형성된 제2 공기유로(140b)를 거쳐서 연통홀(211)을 통과하여 제1 공기유로(140a)로 이동한다.The second inner space 221 is a space partitioned from the second air passage 140b by the second inner case 220 and may be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second air passage 140b. The air inhaled through the intake hole 121 passes through the communication hole 211 through the second air channel 140b formed outside the second inner case 220 and moves to the first air channel 140a.

제2 내부공간(221)는 내부의 공간에 배터리(222)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222)는 팬(141), 살균장치(142)에 전기를 공급하며, 후술할 회로기판(232), 스위치(233), 발광부(234), 충전케이블 홈(235)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기를 공급받거나 공급할 수 있다.The second internal space 221 may include a battery 222 in the internal space. The battery 222 supplies electricity to the fan 141 and the sterilizer 142,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a circuit board 232, a switch 233, a light emitting unit 234, and a charging cable groove 235 to be described later. It can be supplied or supplied with electricity.

제3 내부 케이스(230)는 제2 내부 케이스(220)의 외측면에서 바깥 방향으로 돌출되어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The third inner case 230 may be formed to protrude outward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inner case 220 and extend.

제3 내부 케이스(230)는 단부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는 제3 연장부(237)와, 제3 연장부(237)의 외측면에서 바깥쪽으로 돌출된 제3-1 연장부 체결돌기(237a)와, 제3 연장부(237)의 상부 단부에서 바깥쪽으로 돌출된 제3-2 연장부 체결돌기(237b)를 포함할 수 있다.The third inner case 230 includes a third extension part 237 extending upward from the end, and a 3-1 extension part fastening protrusion 237a protruding outward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third extension part 237. , It may include a 3-2 extending portion fastening protrusion 237b protruding outward from the upper end of the third extension portion 237.

제3연장부(237)는 적어도 2개 이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대칭되게 배치될 수 있다.At least two third extension parts 237 may be provided, and may be symmetrically disposed at positions facing each other.

제3-1 연장부 체결 돌기(237a)는 제3 외부 케이스(130)의 제2 연장부 체결부(132)에 삽입될 수 있다. 제3 내부 케이스(230)의 단부는 제3 외부 케이스(130)의 내주면에서 소정의 길이로 돌출된 지지리브(133)에 의해서 지지될 수 있다. 제3-2 연장부 체결 돌기(237b)는 제1 외부 케이스(110)의 제1 연장부 체결부(112a) 안으로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The 3-1 extension part fastening protrusion 237a may be inserted into the second extension part fastening part 132 of the third outer case 130. The end of the third inner case 230 may be supported by a support rib 133 protruding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hird outer case 130 to a predetermined length. The 3-2 extension part fastening protrusion 237b may be inserted into and fixed to the first extension part fastening part 112a of the first outer case 110.

제3 내부 케이스(230)는 단부에 하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제3 내부 케이스 단턱부(236)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내부 케이스 단턱부(236)는 상기 지지리브(133)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제3 내부 케이스 단턱부(236)는 제2 외부 케이스(120)의 하부 단부를 지지할 수 있다. 제3 내부 케이스 단턱부(236)는 후술할 필터 거치대(330)의 하부 단부를 지지할 수 있다.The third inner case 230 may include a third inner case stepped portion 236 formed to be concave downward at an end thereof. The third inner case stepped portion 236 may be formed on the support rib 133. The third inner case stepped portion 236 may support the lower end of the second outer case 120. The third inner case stepped portion 236 may support the lower end of the filter holder 330 to be described later.

제3 내부 케이스(230)는 제3 외부 케이스(130)과 함께 제3 내부공간(231)을 형성할 수 있다. 제3 내부 공간(231)는 제3 내부 케이스(230)의 하부를 관통하여 제2 내부 공간(221)과 연통할 수 있다. 이 경우 배터리(222)는 제2 내부공간(221) 및 제3 내부공간(231)을 연결한 공간 내에 배치될 수 있다. The third inner case 230 may form a third inner space 231 together with the third outer case 130. The third inner space 231 may pass through the lower portion of the third inner case 230 and communicate with the second inner space 221. In this case, the battery 222 may be disposed in a space connecting the second inner space 221 and the third inner space 231.

제3 내부공간(231)는 부품들을 전기적으로 제어하는 회로기판(232)를 포함할 수 있다. 회로기판(232)는 프로세서와 같은 제어부를 포함하며, 제어부는 팬(141), 살균장치(142), 발광부(234a, 234b), 배터리(222) 등을 전기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The third internal space 231 may include a circuit board 232 for electrically controlling components. The circuit board 232 includes a controller such as a processor, and the controller may electrically control the fan 141, the sterilizer 142, the light emitting units 234a and 234b, and the battery 222.

스위치(233)는 회로기판(232)에 연결되고 제3 외부 케이스(130)를 관통하여 외부 케이스(100)의 하부에 설치될 수 있다. 스위치(233)는 제1 RPM으로 팬(141)을 가동하고 살균장치(142)를 구동하거나 끄는 ON 모드 및 OFF 모드를 포함하고, 제1 RPM 보다 큰 제2 RPM으로 팬을 가동하고 살균장치(142)를 구동하는 TURBO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The switch 233 may be connected to the circuit board 232 and penetrate the third outer case 130 to be installed under the outer case 100. The switch 233 operates the fan 141 at a first RPM and includes an ON mode and an OFF mode for driving or turning off the sterilizer 142, and operates the fan at a second RPM greater than the first RPM, and the sterilizer ( It may include a TURBO mode driving 142).

발광부(234a, 234b)는 회로기판(232)에 연결되고 제3 외부 케이스(130)를 관통하여 외부 케이스(100)의 하부에 설치될 수 있다. 발광부(234a, 234b)는 적외선 LED(234a), 가시광선 LED(234b)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light emitting units 234a and 234b may be connected to the circuit board 232 and penetrate the third outer case 130 to be installed under the outer case 100. The light-emitting units 234a and 234b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n infrared LED 234a and a visible light LED 234b.

충전케이블 홈(235)은 회로기판(232)에 연결되고 제3 외부 케이스(130)를 관통하여 외부 케이스(100)의 하부에 설치될 수 있다. 충전케이블 홈(235)는 외부 전력에 연결되어 전력을 공급받아 배터리(222)를 충전하거나 팬(141) 또는 살균장치(142)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The charging cable groove 235 may be connected to the circuit board 232 and penetrate the third outer case 130 to be installed under the outer case 100. The charging cable groove 235 may be connected to external power to receive power to charge the battery 222 or supply power to the fan 141 or the sterilizer 142.

제4 내부 케이스(240)는 상측으로 개구된 제1 내부공간(214)의 막을 수 있도록 제1 내부 케이스(210)의 상부에 결합될 수 있다. The fourth inner case 240 may be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first inner case 210 so as to block the first inner space 214 opened upward.

제4 내부 케이스(240)는 제1 내부공간(214)의 내부에 구비된 팬(141)에 의해서 상측으로 유동하는 공기를 배출할 수 있는 공기홀(241)을 포함할 수 있다. 공기홀(241)는 원주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는 가지는 복수개의 제1 공기홀(241a)를 포함하고, 공기홀(241)는 복수개의 제1 공기홀(241a) 중 적어도 하나의 일측에만 직선으로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제2 공기홀(241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공기홀(241b)는 반시계 방향으로 제1 공기홀(241a)의 끝단에 연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2 공기홀(241b)을 제1 공기홀(241a)의 일측에만 구비함으로써 공기홀(241)은 비대칭 형상을 가지게 되고, 팬(141)에 의한 공기 유동은 제2 공기홀(241b)을 통해서 방사 방향으로 퍼질 수 있다.The fourth inner case 240 may include an air hole 241 capable of discharging air flowing upward by a fan 141 provided inside the first inner space 214. The air hole 241 includes a plurality of first air holes 241a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the air hole 241 is formed in a straight line only at one side of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first air holes 241a. A second air hole 241b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may be further included. The second air hole 241b may be formed by being connected to the end of the first air hole 241a in a counterclockwise direction. By providing the second air hole 241b only on one side of the first air hole 241a, the air hole 241 has an asymmetrical shape, and the air flow by the fan 141 is through the second air hole 241b. It can spread in the radial direction.

도 7은 도 2의 B 부분 및 필터 거치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1의 B-B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필터 거치대의 사용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7 is a view showing part B of FIG. 2 and a filter holder. FIG.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ross-section B-B of FIG. 1. 9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using the filter holder.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필터(320)는 상측으로 개방된 제1 개방 상부(321)와, 하측으로 개방되고 제1 개방 상부(321) 보다 넓은 면적을 가지는 제1 개방 하부(3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개방 상부(321) 및 제1 개방 하부(322)가 내부 케이스(200)에 의해서 관통되도록 필터(320)는 공기유로(140) 내에 배치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7 and 8, the filter 320 includes a first open upper portion 321 that is open upward, and a first open lower portion 322 that is open to the lower side and has a larger area than the first open upper portion 321. It may include. The filter 320 may be disposed in the air passage 140 so that the first open upper portion 321 and the first open lower portion 322 are penetrated by the inner case 200.

필터(320)는 교체가 가능한 1회용 타입으로 할 수 있으며, 1회의 실외 활동 혹은 하루 동안 사용한 후에는 교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필터(320)는 상부가 좁고 하부가 넓은 깔데기 모양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필터(320)는 필터 거치대(330)의 외면에 거치될 때 필터 거치대(330)의 하측으로 이탈되지 않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The filter 320 may be a disposable type that can be replaced, and it is preferable to replace it after one outdoor activity or one day of use. The filter 320 may have a funnel shape with a narrow upper portion and a wide lower portion. Accordingly, when the filter 320 is mount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ilter holder 330, it is possible to obtain an effect of not being separated from the lower side of the filter holder 330.

제1 개방 상부(321)의 직경은 제1 개방 하부(322)의 직경보다 작게 구비될 수 있다. 제1 개방 상부(321)과 제1 개방 하부(322) 사이의 외측 경사는 직선으로 구비될 수 있다. 필터(320)의 직경은 제1 개방 상부(321)부터 제1 개방 하부(322)까지 일정한 비율로 커질 수 있다.The first open upper portion 321 may have a diameter smaller than that of the first open lower portion 322. The outer slope between the first open upper portion 321 and the first open lower portion 322 may be provided in a straight line. The diameter of the filter 320 may increase from the first open upper portion 321 to the first open lower portion 322 at a constant rate.

필터(320)는 원뿔대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흡기홀(121)를 통해서 유입된 외부 공기는 필터(320)의 외부면을 통해서 유입되고 필터링되어 필터(320)의 내부면을 통해서 배출된다. 필터(320)는 직물 재질로서 외부 공기로부터 유해 물질을 필터링한다. 필터(320)는 일정한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The filter 320 may have a shape of a truncated cone. The external air introduced through the intake hole 121 is introduced through the outer surface of the filter 320, filtered, and discharged through the inner surface of the filter 320. The filter 320 is a fabric material and filters harmful substances from outside air. The filter 320 may be formed to have a certain thickness.

필터(320)는 여러 조각면을 붙이지 않고 하나의 부재로 형성함으로써 필터(320)의 찢김을 방지할 수 있다. 필터(320)는 필터 거치대(330)의 외측면에 지지되면서 흡기홀(124)을 통과한 공기에 의해서 필터(320)의 외측면에서 압력을 받으므로 필터(320)의 강도를 높이기 위하여 일체로 형성된 한 개의 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The filter 320 may prevent the filter 320 from being torn by forming a single member without attaching several pieces of surface. The filter 320 is support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ilter holder 330 and receives pressure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filter 320 by the ai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intake hole 124, so that the filter 320 is integrated in order to increase the strength of the filter 320. It may be formed of one formed member.

필터 거치대(330)는 상측으로 개방된 제2 개방 상부(331)와, 하측으로 개방되고 제2 개방 상부(331) 보다 넓은 면적을 가지는 제2 개방 하부(3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개방 상부(331) 및 제2 개방 하부(332)가 내부 케이스(200)에 의해서 관통되도록 필터 거치대(330)는 공기유로(140) 내에 배치될 수 있다.The filter holder 330 may include a second open upper portion 331 that is open upward, and a second open lower portion 332 that is open downward and has a larger area than the second open upper portion 331. The filter holder 330 may be disposed in the air passage 140 so that the second open upper portion 331 and the second open lower portion 332 are penetrated by the inner case 200.

제2 개방 상부(331)의 직경은 제2 개방 하부(332)의 직경보다 작게 구비될 수 있다. 제2 개방 상부(331)과 제2 개방 하부(332) 사이의 외측 경사는 직선으로 구비될 수 있다. 필터 거치대(330)의 직경은 제2 개방 상부(331)부터 제2 개방 하부(332)까지 일정한 비율로 커질 수 있다.The diameter of the second open upper portion 331 may be provided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second open lower portion 332. The outer slope between the second open upper portion 331 and the second open lower portion 332 may be provided in a straight line. The diameter of the filter holder 330 may increase from the second open upper portion 331 to the second open lower portion 332 at a constant rate.

필터 거치대(330)는 원뿔대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필터 거치대(330)는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필터 거치대(330)의 수직 길이는 필터(320)의 수직 길이보다 크게 구비될 수 있다.The filter holder 330 may have a shape of a truncated cone. The filter holder 330 may be formed of a plastic material, and the vertical length of the filter holder 330 may be larger than the vertical length of the filter 320.

필터(320)의 제1 개방 상부(321)의 직경은 필터 거치대(330)의 제2 개방 상부(331)의 직경 보다 크고 제2 개방 하부(332)의 직경 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필터(320)의 제2 개방 하부(322)의 직경은 필터 거치대(330)의 제2 개방 상부(331)의 직경 보다 크고 제2 개방 하부(332)의 직경 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The diameter of the first open upper portion 321 of the filter 320 may be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second open upper portion 331 of the filter holder 330 and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second open lower portion 332. In addition, the diameter of the second open lower portion 322 of the filter 320 may be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second open upper portion 331 of the filter holder 330 and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second open lower portion 332.

필터 거치대(330)는 필터(320)의 제1 개방 하부(322) 및 제1 개방 상부(321) 순서로 관통하여, 필터(320)의 내측면을 지지할 수 있다. 필터 거치대(330)의 외측면은 필터(320)의 내측면에 면 접촉하여 필터(320)를 지지할 수 있다. The filter holder 330 may pass through the first open lower portion 322 and the first open upper portion 321 of the filter 320 in this order to support the inner surface of the filter 320. The outer surface of the filter holder 330 may be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filter 320 to support the filter 320.

필터 거치대(330)의 외측면에 지지되는 필터(320)는 필터(320)의 내경 보다 필터 거치대(330)의 외경이 커질 때 필터 거치대(330)의 외측면에 필터(320)의 하중에 의해서 고정될 수 있다.When the outer diameter of the filter holder 330 is larg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filter holder 330, the filter 320 support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ilter holder 330 is appli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filter holder 330 by the load of the filter 320. Can be fixed.

도시되진 않았지만, 필터 거치대(330)는 필터(320)의 하중 또는 사용자의 힘에 의해서 필터(320)가 찢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하부 단부를 지지하는 필터 거치대 날개를 포함할 수 있다. 필터 거치대 날개는 필터 거치대(330)의 외측면의 하부에서 방사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으며, 필터 거치대(330)의 외주의 전체 둘레에 구비되거나 소정의 길이로 2개 내지 4개로 구비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the filter holder 330 may include a filter holder blade supporting the lower end of the filter 320 to prevent tearing of the filter 320 due to a load of the filter 320 or a user's force. The filter holder blades may protrude from a lower portion of the outer surface of the filter holder 330 in a radial direction, and may be provided around the entire outer circumference of the filter holder 330 or may be provided in two to four lengths.

필터 거치대(330)는 외측면에 형성된 통기홀(333)을 포함할 수 있다. 통기홀(333)은 필터(320)에 가려지는 필터 거치대(330)의 외측면에만 형성될 수 있다. 통기홀(333)은 원주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가지도록 적어도 2개씩 형성될 수 있다. 통기홀(333)이 복수개로 형성될 경우 필터 거치대(330)의 외측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소정 거리로 이격되게 각각 구비될 수 있다. 통기홀(333)은 수직한 방향에서 위치가 낮아질수록 길게 형성될 수 있다.The filter holder 330 may include a ventilation hole 333 formed on an outer surface. The ventilation hole 333 may be formed only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ilter holder 330 covered by the filter 320. At least two ventilation holes 333 may be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When a plurality of ventilation holes 333 are formed, each may be provided to be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outer surface of the filter holder 330. The ventilation hole 333 may be formed longer as the position decreases in the vertical direction.

필터 거치대(330)은 필터 거치대(330)의 하부 단부에 제1 자성물질(335)를 포함할 수 있다. The filter holder 330 may include a first magnetic material 335 at a lower end of the filter holder 330.

필터 거치대(330)의 하부 단부가 지지되는 제3 내부 케이스 단턱부(236)는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필터 거치대(330)는 제1 자성물질(335)와 제3 내부 케이스 단턱부(236) 사이의 자력에 의해서 제3 내부 케이스(230)에 결합된다. 또는 제3 내부 케이스 단턱부(236)는 내부에 제1 자성물질(235)와 인력을 작용하는 자력을 가지는 제2 자성물질(236a)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필터 거치대(330)는 제1 자성물질(335) 및 제2 자성물질(236a) 사이의 자력에 의해서 제3 내부 케이스(230)에 결합될 수 있다.The third inner case stepped portion 236 supporting the lower end of the filter holder 330 may be formed of a metal material, and in this case, the filter holder 330 may include the first magnetic material 335 and the third inner case end. It is coupled to the third inner case 230 by the magnetic force between the jaws 236. Alternatively, the third inner case stepped portion 236 may include a first magnetic material 235 and a second magnetic material 236a having a magnetic force that acts as an attractive force therein. In this case, the filter holder 330 may be coupled to the third inner case 230 by a magnetic force between the first magnetic material 335 and the second magnetic material 236a.

제1 자성물질(335)는 원통의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필터 거치대(330)의 하부 단부에 구비된 자석 삽입홀(334)의 내측에 구비될 수 있다. 도시되진 않았지만, 제1 자성물질은 원주 방향으로 부채꼴 형상 또는 원 형상으로 구비되어 필터 거치대(330)의 하부 단부에 구비될 수 있다.The first magnetic material 335 may have a cylindrical shape, and may be provided inside the magnet insertion hole 334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filter holder 330. Although not shown, the first magnetic material may be provided in a fan shape or a circle shape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may be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filter holder 330.

내부 케이스(200)의 외경은 필터 거치대(330)의 제2 개방 상부(331)의 내경과 일치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필터 거치대(330)가 제3 내부 케이스 단턱부(236)에 거치된 경우 필터 거치대(330)의 제2 개방 상부(331)의 내측면은 내부 케이스(200)의 외측면과 빈 공간 없이 접촉할 수 있다. 따라서 내부 케이스(200)와 필터 거치대(330)에 의해서 형성된 제2 공기유로(140b)는 필터 거치대(330)의 통기홀(333), 내부 케이스(200)의 연통홀(211)을 제외하고 닫힌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The outer diameter of the inner case 200 may include a portion that matches the inner diameter of the second open upper portion 331 of the filter holder 330. Specifically, when the filter holder 330 is mounted on the third inner case stepped portion 236, the inner side of the second open upper portion 331 of the filter holder 330 is the outer side and the empty side of the inner case 200. You can touch without space. Therefore, the second air passage 140b formed by the inner case 200 and the filter holder 330 is closed except for the ventilation hole 333 of the filter holder 330 and the communication hole 211 of the inner case 200. Space can be formed.

도 9을 참조하면, 필터 거치대(330)는 내부 케이스(200)에 의해서 관통되며, 필터 거치대(330)의 제1 자성물질(335)는 내부 케이스(200)의 제2 자성물질(236a)에 자력으로 결합되고, 필터 거치대(330)의 하부는 공기 유로(140) 내부에서 움직임 없이 고정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9, the filter holder 330 is penetrated by the inner case 200, and the first magnetic material 335 of the filter holder 330 is attached to the second magnetic material 236a of the inner case 200. It is coupled by magnetic force,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filter holder 330 may be fixed without movement in the air flow path 140.

또한, 필터 거치대(330)는 상부 단부에 제3 자성물질(337)을 포함하고, 내부 케이스(200)는 제3 자성물질(337)에 인력으로 결합하는 제4 자성물질(215)를 포함할 수 있다. 제4 자성물질(215)는 필터 거치대(330)가 제3 내부 케이스 단턱부(236)에 거치되었을 때 필터 거치대(330)의 상부 단부가 접촉하는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4 자성물질(215)는 제1 내부 케이스(210)의 제1 부재(212)에 구비될 수 있다. 제3 자성물질(337)과 제4 자성물질(215) 사이의 자력에 의해서 필터 거치대(330)의 상부는 공기 유로(140) 내부에서 움직임 없이 고정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lter holder 330 includes a third magnetic material 337 at its upper end, and the inner case 200 includes a fourth magnetic material 215 coupled to the third magnetic material 337 by attractive force. I can. The fourth magnetic material 215 may be disposed at a portion where the upper end of the filter holder 330 contacts when the filter holder 330 is mounted on the third inner case stepped portion 236. Specifically, the fourth magnetic material 215 may be provided on the first member 212 of the first inner case 210. The upper portion of the filter holder 330 may be fixed without movement in the air flow path 140 by the magnetic force between the third magnetic material 337 and the fourth magnetic material 215.

다시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필터 거치대(330)는 강도 보강을 위하여 필터 거치대 리브(336)을 포함할 수 있다. 필터 거치대 리브(336)는 필터 거치대(330)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필터 거치대(330)의 높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필터 거치대 리브(336)는 상측으로 갈수록 너비가 작아지게 구비될 수 있다. 필터 거치대 리브(330)는 서로 마주보도록 필터 거치대(330)의 내측면에 쌍으로 구비되거나 필터 거치대 리브(330)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대칭하도록 적어도 2개 이상 구비될 수 있다.Referring back to FIGS. 7 and 8, the filter holder 330 may include a filter holder rib 336 to reinforce strength. The filter holder rib 336 is formed to protrude to the inside of the filter holder 330 and may be elongated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filter holder 330. The filter holder rib 336 may be provided to have a smaller width toward the upper side. The filter holder ribs 330 may be provided in pairs on the inner side of the filter holder 330 to face each other, or at least two or more may be provided to be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of the filter holder ribs 330.

자석 삽입홀(334)은 필터 거치대 리브(330)의 하부에 구비되어 자석 삽입홀(334) 때문에 필터 거치대(330)의 강도가 약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magnet insertion hole 334 is provided under the filter holder rib 330 to prevent the strength of the filter holder 330 from being weakened due to the magnet insertion hole 334.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청정기(1000)는, 필터 거치대(330)의 통기홀(333) 보다 높게 위치하며 흡기홀(121)과 통기홀(333)을 제외하고 필터(320)가 구비된 공간을 닫힌 공간인 필터 공간(340)으로 형성하는 유로 차단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The air purifier 10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ocated higher than the ventilation hole 333 of the filter holder 330 and includes a filter 320 except for the intake hole 121 and the ventilation hole 333 It may include a flow path blocking part 400 forming the closed space as a filter space 340 which is a closed space.

필터공간(340)은 흡기홀(121)과 필터 거치대(330)의 후술할 통기홀(333)을 제외하고 닫힌 공간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흡기홀(121)을 통과한 모든 외부 공기는 필터(320)에 의해서 필터링된 후 통기홀(333)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필터 공간(340)은 필터(320)에 의해서 걸러진 먼지 등이 쌓이는 공간이다.The filter space 340 may be formed as a closed space except for the intake hole 121 and the ventilation hole 333 to be described later of the filter holder 330. Through this, all the external ai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intake hole 121 is filtered by the filter 320 and then discharged to the vent hole 333. In addition, the filter space 340 is a space in which dust or the like filtered by the filter 320 is accumulated.

유로 차단부(400)는 외부 케이스(100)의 내주면의 둘레에서 돌출하여 내부 케이스(200)의 외주면의 둘레에 접촉하여 필터 공간(340)을 형성할 수 있다. 도시되진 않았지만, 유로 차단부는 외부 케이스(100)의 내주면의 둘레에서 돌출하여 통기홀(333) 보다 상부의 필터 거치대(330)의 외주면의 둘레에 접촉하여 필터 공간(340)을 형성할 수 있다.The channel blocking part 400 may protrude from the circumference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uter case 100 and contact the circumferenc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ner case 200 to form the filter space 340. Although not shown, the flow path blocking portion may protrude from the circumference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uter case 100 and contact the circumferenc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lter holder 330 above the ventilation hole 333 to form the filter space 340.

또는, 유로 차단부(400)는 내부 케이스(200)의 외주면의 둘레에서 돌출하여 외부 케이스(100)의 내주면의 둘레에 접촉하여 필터 공간(340)을 형성할 수 있다. 도시되진 않았지만, 유로 차단부는 통기홀(333) 보다 상부의 필터 거치대(330)의 외주면의 둘레에서 돌출하여 외부 케이스(100)의 내주면의 둘레에 접촉하여 필터 공간(340)을 형성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flow path blocking part 400 may protrude from the circumferenc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ner case 200 and contact the circumference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uter case 100 to form the filter space 340. Although not shown, the flow path blocking portion may protrude from the circumferenc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lter holder 330 above the ventilation hole 333 to contact the circumference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uter case 100 to form the filter space 340.

흡기홀(121)을 통해서 흡기된 외부 공기는 필터 공간(340)의 내부로 유입되고, 필터 공간(340)는 흡기홀(121) 및 통기홀(333)를 제외하고 닫힌 공간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흡기된 외부 공기는 필터(320), 통기홀(330), 제2 공기유로(140b), 연통홀(211), 제1 공기유로(140a), 살균장치(142), 팬(141), 배기홀(111a)의 순서로 외부로 배기 된다.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청정기는 사용됨에 따라서 걸러진 먼지는 필터(320)에 쌓이게 된다. 필터(320)를 교체하기 위하여 제1 외부 케이스(110) 및 제2 외부 케이스(120)는 제3 케이스(13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External air inhaled through the intake hole 121 is introduced into the filter space 340, and the filter space 340 is composed of a closed space except for the intake hole 121 and the vent hole 333, The external air is a filter 320, a ventilation hole 330, a second air flow path 140b, a communication hole 211, a first air flow path 140a, a sterilizing device 142, a fan 141, and an exhaust hole. It is exhausted to the outside in the order of 111a. As the ai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the filtered dust accumulates in the filter 320. In order to replace the filter 320, the first outer case 110 and the second outer case 120 may be separated from the third case 130.

도 8을 참조하면, 제1 외부 케이스(110)의 제1 연장부 체결부(112a)의 홈으로부터 내부 케이스(200)의 제3-2 연장부 체결돌기(237b)가 인출되면, 제1 외부 케이스(110) 및 제2 외부 케이스(120)는 자유롭게 다른 부재들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Referring to FIG. 8, when the 3-2 extension part fastening protrusion 237b of the inner case 200 is withdrawn from the groove of the first extension part fastening part 112a of the first outer case 110, the first external The case 110 and the second outer case 120 can be freely separated from other members.

분리된 제1 외부 케이스(110)와 제2 외부 케이스(120)는 도 3과 같이 다시 서로 분리시킬 수 있다. 흡기홀(121)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먼지가 많이 쌓이는 제2 외부 케이스(120)는 물로 세척될 수 있다. 또한, 배기홀(110a)이 형성된 제1 외부 케이스(110)도 물로 세척될 수 있다.The separated first outer case 110 and second outer case 120 may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again as shown in FIG. 3. Since the intake hole 121 is formed, the second outer case 120 in which a lot of dust accumulates may be washed with water. Also, the first outer case 110 in which the exhaust hole 110a is formed may be washed with water.

도 9와 같이, 제1 외부 케이스(110) 및 제2 외부 케이스(120)가 내부 케이스(200)로부터 분리된 경우, 내부 케이스(200)는 외부에 노출되며, 내부 케이스(200)에 의해서 관통된 필터(320) 및 필터 거치대(330)도 외부로 노출된다.9, when the first outer case 110 and the second outer case 120 are separated from the inner case 200, the inner case 200 is exposed to the outside and penetrated by the inner case 200 The filter 320 and the filter holder 330 are also exposed to the outside.

이 경우 먼지가 쌓인 필터(320)만 교체될 수 있다. 또는 먼지가 쌓인 필터 거치대(330) 및 필터(320)가 함께 분리시켜서 물로 세척하여 쌓여 있는 먼지를 제거할 수도 있다.In this case, only the filter 320 in which dust has accumulated may be replaced. Alternatively, the dust accumulated filter holder 330 and the filter 320 may be separated together and washed with water to remove accumulated dust.

도시되진 않았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청정기는 필터 조립체를 포함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the ai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filter assembly.

상술한 필터(320)는 1회용으로 1회의 실외 활동 또는 하루 동안 사용할 수 있는 필터 용량을 가지고 있다. 1회용이 아닌 복수 회의 실외 활동 또는 복수 날 동안 사용할 수 있는 필터 용량이 필요한 경우, 사용자는 필터(320) 및 필터 거치대(330)을 대신하여 필터 조립체(미도시)으로 교체할 수 있다. 소비자는 매일 필터의 교체가 어려운 환경에 있거나 소비자의 민감도 또는 선호도에 따라서 필터(320) 및 필터 거치대(330) 또는 필터 조립체(미도시) 중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할 있다.The above-described filter 320 has a filter capacity that can be used for one outdoor activity or a day for a single use. When a filter capacity that can be used for a plurality of outdoor activities or a plurality of days is required instead of a single use, the user may replace the filter 320 and the filter holder 330 with a filter assembly (not shown). The consumer may be in an environment where it is difficult to change the filter every day, or select one of the filter 320 and the filter holder 330 or a filter assembly (not shown) according to the consumer's sensitivity or preference.

필터 조립체(미도시)는 복수 회 이상의 실외 활동 또는 복수 일 이상의 날 동안 사용할 수 있는 필터 용량을 가질 수 있다. The filter assembly (not shown) may have a filter capacity that can be used for a plurality of outdoor activities or a plurality of days or more.

필터 조립체(미도시)는 필터(320) 및 필터 거치대(330)를 대신하여 공기유로(140) 내에 배치될 수 있다. 필터 조립체(미도시)는 공기를 필터링하는 필터(미도시)와, 필터(미도시)의 상부에 결합되는 상부링과, 필터의 하부에 결합되는 하부링을 포함할 수 있다.The filter assembly (not shown) may be disposed in the air flow path 140 instead of the filter 320 and the filter holder 330. The filter assembly (not shown) may include a filter (not shown) for filtering air, an upper ring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filter (not shown), and a lower ring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filter.

필터(미도시)는 상측과 하측이 개방되며, 수평 단면은 도넛 형상으로 하측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크게 구비될 수 있다. 필터(미도시)의 외측면은 하측으로 갈수록 중심에서 멀어지게 경사지며, 내측면은 수직하게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필터 조립체(미도시)의 필터(미도시)의 외측면은 원뿔대 형상으로, 내측면은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filter (not shown) has an upper side and a lower side open, and the horizontal cross-section is a donut shape, and the cross-sectional area may be larger toward the lower side. The outer surface of the filter (not shown) is inclined away from the center toward the lower side, and the inner surface may be formed vertically. In other words, the outer surface of the filter (not illustrated) of the filter assembly (not illustrated) may be formed in a truncated cone shape, and the inner surface may b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사용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10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using the ai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310)는 볼록한 상부면과 오목한 하부면으로 형성되고, 하부면에서 돌출되어 연장된 덮개 돌기(310a)를 포함할 수 있다. 덮개 돌기(310a)는 덮개 체결홈(111b)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으며, 덮개(310)는 공기청정기의 상부면에 고정될 수 있다. 3 and 5, the cover 310 may have a convex upper surface and a concave lower surface, and may include a cover protrusion 310a protruding and extending from the lower surface. The cover protrusion 310a may be inserted into and fixed to the cover fastening groove 111b, and the cover 310 may be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air purifier.

일반적인 공기청정기는 부피가 크고 무거워 실내 공간에 배치하여 실내 공간 내부의 공기를 필터링하는데 반해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청정기는 작고 가벼워 휴대가 가능하여 실외에서 사용될 수 있다. While a general air purifier is bulky and heavy and disposed in an indoor space to filter the air inside the indoor space, the ai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mall and light and can be carried and used outdoors.

실외에서 공기청정기를 사용하는 경우, 배기홀(111a)이 외부 공기에 의해서 오염되면, 외부 공기가 필터(320)에 의해서 필터링되더라도 필더링된 공기는 배기홀(111a)를 통해서 배기되면서 오염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즉 공기청정기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배기홀(124)을 통해서 먼지, 이물질 혹은 물 등이 내부로 유입되는 문제가 생길 수 있다.When using an air purifier outdoors, if the exhaust hole 111a is polluted by external air, the filtered air is polluted while being exhausted through the exhaust hole 111a even if the outside air is filtered by the filter 320 Can occur. That is, when the air purifier is not used, there may be a problem in which dust, foreign matter, or water flows into the interior through the exhaust hole 124.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하여, 덮개(310)는 외부 케이스(100)의 상부면에 구비된 배기홀(111a)을 덮어서 막을 수 있으며, 배기홀(111a)을 통해서 외부로부터 먼지, 이물질 혹은 물 등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In order to prevent such a problem, the cover 310 can be prevented by covering the exhaust hole 111a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outer case 100, and dust, foreign matter or water from the outside through the exhaust hole 111a. It can prevent inflow.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310)는 변형 가능한 탄성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덮개(310)는 고무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덮개(310)의 상부면이 오목하게 덮개(310)의 하부면이 볼록하게 변형될 수 있다. 덮개(310)의 형상을 도 8과 같이 변형함으로써 배기홀(111a)은 외부 공간으로 개방되며, 필터링된 공기가 배기홀(111a)을 통해서 원할하게 배기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10, the cover 310 may be formed of a deformable elastic material. For example, the cover 310 may be made of a rubber material. The upper surface of the cover 310 may be concave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cover 310 may be convexly deformed. By changing the shape of the cover 310 as shown in FIG. 8, the exhaust hole 111a is opened to the outside space, and the filtered air can be smoothly exhausted through the exhaust hole 111a.

덮개(310)는 변형 전에는 우산의 형상을 가지고 있으나, 변형 후에는 뒤집어진 우산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The cover 310 has the shape of an umbrella before deformation, but may have the shape of an inverted umbrella after deformation.

또한, 변형된 덮개(310)의 하부면은 배기홀(111a)을 향해서 볼록한 형상을 가지므로, 배기홀(111a)을 통해서 상부 방향으로 배기된 공기는 덮개(310)의 하부면에 의해서 사방으로 흩어지도록 가이드 된다. 가이드된 공기는 중심에서 사방으로 내뻗치도록 사용자에게 방사한다.In addition, since the lower surface of the deformed cover 310 has a convex shape toward the exhaust hole 111a, the air exhausted upward through the exhaust hole 111a is in all directions by the lower surface of the cover 310 Guided to scatter. The guided air is radiated to the user so that it extends in all directions from the center.

외부 케이스(100) 제1 외부 케이스(110)
배기홀(111a) 제2 외부 케이스(120)
흡기홀(121) 제3 외부 케이스(130)
공기 유로(140) 팬(141)
살균장치(142) 내부 케이스(200)
제1 내부 케이스(210) 연통홀(211)
제2내부 케이스(220) 배터리(222)
제3내부 케이스(230) 온오프 스위치(233)
발광부(234) 충전케이블 홈(235)
제4내부 케이스(240) 공기홀(241)
덮개(310) 필터(320)
필터 거치대(330) 통기홀(333)
필터 공간(340)
Outer case 100 First outer case 110
Exhaust hole (111a) second outer case 120
Intake hole 121, third outer case 130
Air Flow Path(140) Fan(141)
Sterilizing device 142, inner case 200
First inner case 210 communication hole 211
Second inner case 220, battery 222
Third inner case 230 on-off switch 233
Light emitting part (234) Charging cable groove (235)
4th inner case 240 air hole 241
Cover(310) Filter(320)
Filter holder (330) ventilation hole (333)
Filter space (340)

Claims (6)

외부면에 흡기홀과 배기홀이 형성된 외부 케이스;
상기 외부 케이스의 내측에 상기 흡기홀과 상기 배기홀 사이를 연통하는 공기 유로를 형성하는 내부 케이스;
상기 공기 유로 내에 구비되어 공기 유동을 생성하는 팬;
제2 개방 상부와 상기 제2 개방 상부 보다 넓은 면적의 제2 개방 하부를 포함하는 원뿔대 형상을 가지고, 상기 내부 케이스에 거치되어 상기 공기 유로의 일부를 구획하고, 측부에 통기홀이 형성된 필터 거치대; 및
제1 개방 상부와 상기 제1 개방 상부 보다 넓은 면적의 제1 개방 하부를 포함하는 원뿔대 형상을 가지고, 상기 필터 거치대에 의해서 상기 제1 개방 상부 및 상기 제1 개방 하부가 관통되어 상기 필터 거치대의 외측면에 거치되며, 상기 흡기홀을 통해 유입되어 상기 통기홀로 유동하는 외부 공기를 필터링는 필터;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개방 상부의 직경 및 상기 제1 개방 하부의 직경은 상기 제2 개방 상부의 직경 보다 크고 상기 제2 개방 하부의 직경 보다 작으며, 상기 필터의 수직 길이는 상기 필터 거치대의 수직 길이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
An outer case having an intake hole and an exhaust hol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An inner case forming an air flow passage communicating between the intake hole and the exhaust hole inside the outer case;
A fan provided in the air flow path to generate air flow;
A filter holder having a truncated cone shape including a second opening upper portion and a second opening lower portion having a larger area than the second opening upper portion, being mounted on the inner case to partition a part of the air flow passage, and having a ventilation hole formed on a side thereof; And
It has a shape of a truncated cone including a first open upper and a first open lower part of a larger area than the first open upper, and the first open upper and the first open lower are penetrated by the filter holder, Includes; a filter mounted on the side and filtering external air flowing through the intake hole and flowing into the vent hole,
The first open upper diameter and the first open lower diameter are larger than the second open upper diameter and smaller than the second open lower diameter, and the vertical length of the filter is smaller than the vertical length of the filter holder. Air purifier, characterized in tha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거치대는 상기 필터 거치대의 하부 단부에 구비되어 자력으로 상기 내부 케이스에 결합 고정되는 제1 자성물질을 포함하며,
상기 필터 거치대의 하부 단부를 지지하는 상기 내부 케이스의 부분은 상기 제1 자성물질에 자력으로 결합할 수 있는 금속 재질로 구성되거나 제2 자성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filter holder includes a first magnetic material provided at a lower end of the filter holder and fixed to the inner case by magnetic force,
An air purifier, characterized in that the portion of the inner case supporting the lower end of the filter holder is made of a metal material capable of magnetically coupling to the first magnetic material or includes a second magnetic material.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거치대의 상부 단부에 구비된 제3 자성물질; 및
상기 제3 자성물질에 자력으로 결합할 수 있도록 상기 내부 케이스에 구비된 제4 자성물질;을 더 포함하는 공기청정기.
The method of claim 2,
A third magnetic material provided at an upper end of the filter holder; And
The air purifier further comprising a fourth magnetic material provided in the inner case so as to be magnetically coupled to the third magnetic material.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케이스는,
상기 배기홀이 형성되어 외부 케이스의 상부를 구성하는 제1 외부 케이스;
상기 제1 외부 케이스의 하측 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흡기홀이 형성되어 외부 케이스의 측부를 구성하는 제2 외부 케이스; 및
상기 제2 외부 케이스의 하측 단부에 결합되어 외부 케이스의 하부를 구성하는 제3 외부 케이스;를 포함하는 공기청정기.
The method of claim 2,
The outer case,
A first outer case in which the exhaust hole is formed to form an upper portion of the outer case;
A second outer case coupled to a lower end of the first outer case and formed with the intake hole to form a side portion of the outer case; And
And a third outer case coupled to a lower end of the second outer case to constitute a lower portion of the outer cas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케이스는,
상기 공기 유로를 제1 공기 유로와 제2 공기 유로로 구획하고, 상기 제1 공기 유로와 상기 제2 공기 유로 사이를 연통하는 연통홀이 형성된 제1 내부 케이스;
상기 제1 내부 케이스에 연결되고 상기 제2 공기 유로를 구획하여 배터리가 구비되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제2 내부 케이스; 및
상기 제2 내부 케이스의 하부에서 연장되며, 상기 제3 외부 케이스에 결합하는 제3 내부 케이스;를 포함하는 공기청정기.
The method of claim 4,
The inner case,
A first inner case that divides the air flow path into a first air flow passage and a second air flow passage, and has a communication hole communicating between the first air flow passage and the second air flow passage;
A second inner case connected to the first inner case and defining an inner space in which a battery is provided by dividing the second air passage; And
And a third inner case extending from a lower portion of the second inner case and coupled to the third outer cas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외부 케이스의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배기홀을 개폐하는 고무 재질의 덮개;를 더 포함하는 공기청정기.

The method of claim 4,
An air purifier further comprising a rubber cover that is detachably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outer case and opens and closes the exhaust hole.

KR1020190121035A 2019-04-15 2019-09-30 Air Cleaner Device KR10254634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1035A KR102546344B1 (en) 2019-04-15 2019-09-30 Air Cleaner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3800A KR102032401B1 (en) 2019-04-15 2019-04-15 Air Cleaner Device
KR1020190121035A KR102546344B1 (en) 2019-04-15 2019-09-30 Air Cleaner Device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3800A Division KR102032401B1 (en) 2019-04-15 2019-04-15 Air Cleaner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1222A true KR20200121222A (en) 2020-10-23
KR102546344B1 KR102546344B1 (en) 2023-06-20

Family

ID=869948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1035A KR102546344B1 (en) 2019-04-15 2019-09-30 Air Cleaner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6344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70491A (en) * 2021-06-23 2022-12-30 주식회사 서연이화 Sterilizer for vehicl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56797A (en) * 2008-11-20 2010-05-28 삼성전자주식회사 Air conditioner
KR20170079985A (en) 2015-12-31 2017-07-10 (주)이컴정보기술 Purification apparatus having humidification function
KR20180048540A (en) * 2016-06-15 2018-05-10 엘지전자 주식회사 Air cleaning apparatus
KR20180127275A (en) * 2018-11-19 2018-11-28 주식회사 에어텍 Potable air clean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56797A (en) * 2008-11-20 2010-05-28 삼성전자주식회사 Air conditioner
KR20170079985A (en) 2015-12-31 2017-07-10 (주)이컴정보기술 Purification apparatus having humidification function
KR20180048540A (en) * 2016-06-15 2018-05-10 엘지전자 주식회사 Air cleaning apparatus
KR20180127275A (en) * 2018-11-19 2018-11-28 주식회사 에어텍 Potable air clean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70491A (en) * 2021-06-23 2022-12-30 주식회사 서연이화 Sterilizer for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46344B1 (en) 2023-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96044B1 (en) Air Cleaner Device
EP1660211B1 (en) System for purifying and removing contaminants from gaseous fluids
CN105987446B (en) Compact air purifier including UV light emitting diode and photocatalytic filter
CN104949213A (en) Air purifier
KR20070118583A (en) Systems for and methods of providing air purification in combination with fragrancing
JP6995507B2 (en) Small air purifier
CN104949212A (en) Air purifier
KR102464930B1 (en) An air cleaner using uv led and photocatalytic filter
CN105987445B (en) Compact air purifier including UV light emitting diode and photocatalytic filter
KR102032401B1 (en) Air Cleaner Device
KR102026048B1 (en) Portable fan for clean zone formation using air curtain
KR101912444B1 (en) Air cleaner using plant
KR102546344B1 (en) Air Cleaner Device
KR20160054732A (en) A Compact Air Cleaner Using UV LED and Photocatalytic Filter
CN105987444B (en) Compact air purifier including UV light emitting diode and photocatalytic filter
KR102422310B1 (en) Air Cleaner Device
TWI761127B (en) Portable air purifier device
KR20220016508A (en) An Air Purifier
KR200432774Y1 (en) The filter for the air cleaner
KR20200002647U (en) Air Cleaner Having Light Apparatus
KR20210043228A (en) Portable air freshener
KR20190020895A (en) Portable air conditioner
KR20210023124A (en) Air cleaner for vehicle
CN205842901U (en) Tubulose photocatalyst purifier
KR102567970B1 (en) Air purification steriliz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