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20296A - 흑마늘 및 식물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로회복 또는 운동수행능력을 증강을 위한 식품조성물 - Google Patents

흑마늘 및 식물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로회복 또는 운동수행능력을 증강을 위한 식품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20296A
KR20200120296A KR1020190043023A KR20190043023A KR20200120296A KR 20200120296 A KR20200120296 A KR 20200120296A KR 1020190043023 A KR1020190043023 A KR 1020190043023A KR 20190043023 A KR20190043023 A KR 20190043023A KR 20200120296 A KR20200120296 A KR 202001202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ck garlic
extract
group
steaming
bl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30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용덕
박미선
김도원
박소현
신정혜
강민정
차건수
강재란
Original Assignee
새남해농업협동조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새남해농업협동조합 filed Critical 새남해농업협동조합
Priority to KR10201900430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20296A/ko
Publication of KR202001202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029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10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 A23L5/13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using water or stea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comfort perception and well-be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0Drying, dehydrat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4Extrac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50Concentrating, enriching or enhancing in functional facto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흑마늘 및 식물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로회복 또는 운동수행능력을 증강을 위한 식품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입수되는 원수를 다단의 여과필터와 역삼투막 여과를 통해 정제수를 만들어내는 정제수 제조단계;
소정의 온도를 소정의 시간 동안 스팀과 열을 가하여 마늘을 증숙한 후, 70 내지 80℃의 온도조건으로 12 내지 15일 동안 장기숙성시키는 과정을 거친 후, 숙성장치내에서 0 내지 5℃의 온도조건으로 7 내지 14일간 저온상태에서 수분을 제거하고 단맛을 증대시키는 후숙성과정을 포함하는 흑마늘 증숙 및 숙성단계;
상기 흑마늘 증숙 및 숙성단계를 거친 흑마늘에 상기 정제수 제조단계를 거친 정제수를 소정의 비율로 투입하여 흑마늘액을 추출한 후, 농축시켜 진액을 추출하는 흑마늘 진액 농축단계;
수세하여 준비된 갈근, 벌나무, 헛개나무열매, 민들레 및 섬애약숙을 소정의 비율로 선정한 천연약재 원재료를 60 내지 70℃에서 2 내지 3시간, 70 내지 80℃에서 4 내지 6시간 동안 2차에 걸쳐서 스팀처리를 통한 증숙시키는 천연약재 증숙단계;
상기 증숙단계를 거친 천연약재를 건조 과정을 거쳐서 추출 후 농축시키는 천연약재 추출 및 농축단계;를 통해서 추출되고,
상기 제조공정에 투입되는 흑마늘 및 식물혼합물의 원료의 배합비율은 헛개나무열매 1.5 내지 3.0, 벌나무 1.5 내지 3.0, 약쑥 0.5 내지 1.5, 갈근 1.5 내지 3.0 그리고 민들레 1.5 내지 1.5의 무게비율로 구성되고,
상기 제조공정을 통해서 추출되는 식품조성물이 액상스틱형인 경우에는,
흑마늘 추출액 60 내지 90%(정제수 포함), 벌꿀 5 내지 15%, 식물성혼합추출액(헛개나무과병, 벌나무, 약쑥, 갈근, 민들레) 5 내지 30%, 홍삼추출액 0.1 내지 1%, 홍삼미분 0.1 내지 1%의 중량%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흑마늘 및 식물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로회복 또는 운동수행능력을 증강을 위한 식품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할 때, 흑마늘과 생약제를 혼합하여 간기능 개선에 효능이 있는 음료 즉 항산화 활성과 더불어 간보호 활성이 있는 생약재와 흑마늘을 혼합한 식품조성물을 도출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Description

흑마늘 및 식물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로회복 또는 운동수행능력을 증강을 위한 식품조성물{ composition having active ingredient of black garlic and plant mixture for improving fatigue recovery and exercise ability }
흑마늘 및 식물 혼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흑마늘 및 식물혼합 조성물을 함유하는 피로회복 및 운동수행능력 향상을 위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흑마늘 및 식물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로회복 또는 운동수행능력 향상을 위한 식품조성물로서 항산화 활성 및 혈행개선 효과를 증진시키고 피로물질을 감소와 운동수행능력을 향상시키는 조성물 개발에 관한 것이다.
백합과식물 중 가장 매운 맛과 가장 특유한 향취를 가지고 있는 마늘은 지난 수천 년 동안 음식물 양념재료로, 건강식품으로 많은 문화권에서 중요하게 사용되어 왔다. 고대 이집트에서는 기원전 2500년대에 최고의 강장식품으로 애용되었고, 그리스시대에서는 히포크라테스가 감염된 폐에 생마늘을 처방할 정도로 약리적 효과가 높은 식물로 취급하였다.
이와 같이 전 세계적으로 건강식품으로서 선호하는 마늘은 기본적으로 알린(alliin), 알리신(allicin)과 관련된 황화합물들이 많이 함유되어 있어서 다양한 생리활성물질로서의 기능을 하고 있다는 것이 매우 구체적으로 보고되어 있다.
또한, 이 물질들은 각종 병원미생물에 대한 항균효과와 혈관내 혈전형성 억제효과, 콜레스테롤 저하효과, 암세포의 성장 억제효과 및 암세포의 이동 억제 효과, 면역 증진 효과 등 많은 유익한 기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예방의학적 차원에서 질병을 예방 할 수 있는 매우 탁월한 건강식품으로 애용되고 있기 때문이다.
한편, 간은 동물의 주요 생체기관중 하나로 해독작용, 단백질의 합성, 글리코겐과 같은 양분의 저장, 지방의 대사, 담즙과 요소의 생성 및 적혈구의 분해 등 여러 역할을 수행하며, 다양한 생화학적 작용을 조절하면서 평상시 건강의 유지를 위한 기본적인 조절기능을 가지고 있다.
간은 우리 체내에서 독소로 인식될 수 있는 각종 약물이나 술, 기타 독성물질을 분해, 대사하여 배설될 수 있는 형태로 만들어 소변이나 담즙을 통해서 배출하는 작용을 한다. 간경변증 환자에서는 이러한 해독작용이 저하되어 약물, 술, 독성물질에 의한 위험성이 증가될 수 있으므로 유의하여야 한다. 그리고, 간은 중요한 면역기관이며 동시에 체내의 살균작용을 담당한다. 대장 점막을 통해서 혈액에 흡수되어 몸으로 들어간 균은 간을 거치면서 쿠퍼 세포라는 대식작용(균을 잡아먹는 기능)을 하는 세포에 의해 다 죽기 때문에 약 1% 미만의 세균만이 무사히 간을 통과해서 나갈 수 있다. 그러나 간경변증 환자에게서는 이 기능이 저하되어 각종 세균에 감염되기 쉬우며 대표적인 예가 여름철에 익히지 않은 어패류를 먹고 발생하는 비브리오 패혈증으로 특히 간경변증 환자에게서 집중적으로 발생한다.
따라서 평소 간에 무리가 가지 않는 생활습관과 올바른 식생활, 적절한 운동을 통해 간을 보호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하지만 현대인들은 바쁜 일상으로 인하여 이러한 건강관리를 위한 균형을 유지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으므로 간의 건강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도움이 되는 식품을 섭취할 필요가 있다. 과거로부터 각종 생약재를 추출한 음료는 간 기능의 회복 및 활성화를 위해서 섭취되어 왔고, 한방의 각종 처방에도 활용이 되어 왔다.
이중에서도, 간 질환에 이용된 생약재 중 갈근(Pueraria radix)은 콩과의 덩굴나무인 칡의 인 주피를 제거한 뿌리로 한방에서는 고혈압, 협심증, 관상동맥 경화증, 당뇨병 완화, 혈압강하, 지방산화 억제, 항염, 해독, 항산화 작용, 숙취해소 효과 등이 있으며, 보간작용이 있고, 알코올로 인한 지방간의 생성을 억제하는데 주로 활용되어 왔다. 주요성분으로는 이소플라본인 다이자인(daidzein), 다이진(daidzin), 제니스틴(genistein), 포모네틴(formonetin) 등이 함유되어 있는데 이들 성분은 진정작용, 하열작용 및 혈관이완작용을 가진다.
벌나무(Acer tegmentosum Maxim.)는 단풍나무과의 낙엽활엽교목으로 국내의 고산지대에 분포하며, 산겨릅나무, 산저릅나무, 봉목, 산청목으로 불린다. 독성이 없어 어떤 체질에도 부작용이 거의 없는 약재로 맛이 담백하며, 청혈제와 이수제로도 사용된다. 잎, 가지, 줄기, 뿌리 등을 약으로 쓰는데, 간의 온도를 정상으로 회복시키고, 간에 쌓인 독을 해독하여 간세포를 살리는 효능이 있어 간경화증, 간염, 간암 등의 간 치료약으로 널리 사용된다. 기타 기능으로 지방분해작용, 이뇨작용, 신경안정작용, 청혈작용, 제독작용 등이 있다. 벌나무의 유효성분은 catechin 등의 페놀성화합물, methyl gallate 4-D-glucopyranosied, -sitosterol 등이 알려져 있다.
헛개나무(Hovenia dulcis Thunb)는 갈매나무과 헛개나무속에 속하는 낙엽교목으로 그 열매는 지구자, 뿌리는 지구근, 잎은 지구엽, 나무속의 즙액은 지구목즙, 나무껍질은 지구목피라 하여 모두 약용이 가능하다. 헛개나무 열매의 맛은 달고 시며 성질은 평하여 심경 비경에 작용하고 갈증을 멈추고 번열을 없애며, 해독, 구토, 배뇨작용에 효과가 있다. 헛개나무의 달인 물은 향이 은은하고 입안에 향기로운 단맛이 남아 있는데, 그 물과 헛개열매의 즙은 간의 기능을 높이고, 해독능력이 뛰어나며, 알코올 분해능이 우수하여 최근에는 음료로 대중의 인기를 얻고 있다.
울금(Curcuma longa L.)은 생강과(Zingiberaceae)의 울금속(Curcuma)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으로 열대아시아를 원산으로 하며, 인도, 중국, 동남아시아를 중심으로 한 열대, 아열대지역의 고온다습한 곳에 주로 분포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일부 재배하고 있으며, 오렌지색의 뿌리를 주로식용, 약용, 천연염료로 사용하고 있다. 울금의 종류는 3070 여종이 알려지고 있는데, 성질은 맵고 온하여 혈액순환을 개선시키고, 한방에서는 약재로 쓰이기도 한다. 울금의 대표적인 유효성분으로는 커큐민(curcumin)과 그 유도체인 demethoxycurcumin 및 bisdemethoxycurcumin이 알려져 있다. 울금의 약리효과로는 살균, 해독, 항염, 간기능 개선, 항암 및 항산화 효능 등이 규명되어 있다.
섬애약쑥(Artemisia argyi H.)은 해풍과 풍부한 일조량 등으로 쑥 재배에 적합한 기후조건을 갖춘 경남 남해군에서 자생되고 있는 황해쑥의 일종으로 산림청 품종보호등록(산림청 품종보호 제 42호, 2013.09.27)이 된 지역고유의 자원이다. 섬애약쑥은 항암, 항산화 항염증 효과 등을 가지는 것으로 알려진 jaceosidin과 eupatilin이 국내의 다른 약쑥에 비해 풍부하며, 섬애약쑥에 함유되어 있는 페놀 화합물은 높은 라디칼 소거 및 과산화지질 억제활성을 가지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흑마늘(aged black garlic)은 생마늘을 일정한 온도와 습도 하에서 평균 12일정도를 숙성발효시켜 마늘 특유의 강한 맛과 자극적인 냄새를 제거하고 단맛과 신맛이 조화를 이루며, 젤리에 가까운 물성을 가지며, 주요 성분으로 페놀성 화합물의 함량이 증가되는 특징을 가진다. 이로 인해 흑마늘은 생마늘에 비해 항산화력이 매우 높으며, 생마늘에 비해 유효물질은 S-allyl cysteine(SAC)의 함량이 증가되는 특성을 가진다.
여러 생약재를 이용한 간보호 활성을 가지는 추출음료의 제조방법과 관련한 기존의 발명으로는 등록특허 10-1482719호에서는 갈용, 갈근 및 마가목 추출물을 2:1:0.5의 비율로 혼합하여 거부감이 없고, 숙취해소 및 간기능 개선 효과가 있는 음료의 제조방법을 제안하고 있다. 등록특허 10-0920671호에서는 홍삼, 갈근 및 비타민을 포함하는 간질환 예방 및 치료 또는 간보호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안하고 있다. 중량의 15~25부피배의 0.7~3%의 초산을 넣고 80~100에서 3시간 동안 추출한 홍삼 조추출물과 비타민 C, B1, B2 및 B6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안하고 있다. 숙취해소 및 간장과 신장기능 개선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등록특허 10-0976816호)에서는 헛개나무, 벌나무, 오리나무, 꾸지뽕나무, 조릿대 및 개머루덩굴을 일정 비율로 혼합한 후 80~120에서 1~10시간 추출한 후 농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안하고 있다. 청호, 가래나무껍질, 오미자, 치자를 주원료로 하여 청호는 50에서 3시간 추출하고, 나머지 재료는 50의 저온에서 8시간 추출한 후 이들을 혼합한 후 벌꿀을 가하여 완성하는 시력향상 및 간 기능 보호에 효과가 있는 음료의 제조방법을 제안한 특허(공개특허 10-2014-0134949)가 있다.
한편, 근육 내 젖산의 축척은 운동 중에 일어나는 근육피로의 가장 큰 발생원인이며 이러한 젖산의 효율적인 처리에는 비타민 B1, B2, B6, niacine 등이 요구되므로 운동 직후에는 이와 같은 수용성 비타민을 섭취하는 것은 피로회복에 매우 효과적이다. 마늘은 타 야채에 비하여 비타민 B1과 B2의 함량 및 열량이 높고 인, 칼륨, 게르마늄 등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 마늘 회복에도 매우 큰 영향을 미치게 되며 운동으로 인해 과도하게 생성되는 활성산소 또한 thiosulfinate류에 의해 제거가 용이하다. 마늘뿐만 아니라 마늘 가공품도 육체피로의 회복효과를 가지는데 대표적인 마늘 가공품인 AGE (Aged Garlic Extract)는 항산화, 항스트레스, 심장질환, 간장보호의 효과를 지니며 정신적, 육체적 스트레스를 개선하는데 매우 우수하다고 알려져 있다. 지금까지 마늘의 육체적 피로회복 및 스트레스 개선 효능에 관한 연구로 장시간 운동시 마늘섭취가 항피로 및 피로회복에 미치는 영향, 운동으로 유발된 산화 스트레스와 마늘의 항산화 작용, 마늘의 섭취와 운동이 혈장지질과 항산화 효소계에 미치는 영향 등에 관한 보고가 있다.
이러한 연구는 흑마늘, 흑삼, 흑대추를 첨가한 건강 증진용 붕장어 음료 및 그제조방법(10-11819200000, 2012.09.05), 청보리잎 또는 흑마늘 성분을 포함한 인스턴트 커피와 커피 추출액 및 그 제조방법(10-16169550000, 2016.4.25), 발효흑마늘 및 흑양파가 포함된 조청 및 이의 제조방법(10-2015-0107240, 2017. 02. 08), 티아민이 강화된 흑마늘 및 그 제조방법(10-13439930000, 2012. 10. 05) 등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흑마늘과 간기능 개선에 효능이 있는 갈근, 벌나무, 헛개나무열매, 민들레, 울금, 섬애약쑥의 혼합 조성물은 간 활성을 증진시켜 흑마늘에 시너지를 부여하여 피로회복 활성에 도움이 되는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흑마늘과 간기능 개선에 효능이 있는 갈근, 벌나무, 헛개나무열매, 민들레, 울금, 섬애약쑥의 혼합 조성물은 간 활성을 증진시켜 흑마늘에 시너지를 부여하여 피로회복 활성에 도움이 되는 조성물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흑마늘 및 식물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로회복 또는 운동수행능력을 증강을 위한 식품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입수되는 원수를 다단의 여과필터와 역삼투막 여과를 통해 정제수를 만들어내는 정제수 제조단계; 소정의 온도를 소정의 시간 동안 스팀과 열을 가하여 마늘을 증숙한 후, 70 내지 80℃의 온도조건으로 12 내지 15일 동안 장기숙성시키는 과정을 거친 후, 숙성장치내에서 0 내지 5℃의 온도조건으로 7 내지 14일간 저온상태에서 수분을 제거하고 단맛을 증대시키는 후숙성과정을 포함하는 흑마늘 증숙 및 숙성단계; 상기 흑마늘 증숙 및 숙성단계를 거친 흑마늘에 상기 정제수 제조단계를 거친 정제수를 소정의 비율로 투입하여 흑마늘액을 추출한 후, 농축시켜 진액을 추출하는 흑마늘 진액 농축단계; 수세하여 준비된 갈근, 벌나무, 헛개나무열매, 민들레 및 섬애약숙을 소정의 비율로 선정한 천연약재 원재료를 60 내지 70℃에서 2 내지 3시간, 70 내지 80℃에서 4 내지 6시간 동안 2차에 걸쳐서 스팀처리를 통한 증숙시키는 천연약재 증숙단계; 상기 증숙단계를 거친 천연약재를 건조 과정을 거쳐서 추출 후 농축시키는 천연약재 추출 및 농축단계;를 통해서 추출되고, 상기 제조공정에 투입되는 흑마늘 및 식물혼합물의 원료의 배합비율은 헛개나무열매 1.5 내지 3.0, 벌나무 1.5 내지 3.0, 약쑥 0.5 내지 1.5, 갈근 1.5 내지 3.0 그리고 민들레 1.5 내지 1.5의 무게비율로 구성되고, 상기 제조공정을 통해서 추출되는 식품조성물이 액상스틱형인 경우에는, 흑마늘 추출액 60 내지 90%(정제수 포함), 벌꿀 5 내지 15%, 식물성혼합추출액(헛개나무과병, 벌나무, 약쑥, 갈근, 민들레) 5 내지 30%, 홍삼추출액 0.1 내지 1%, 홍삼미분 0.1 내지 1%의 중량%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흑마늘 및 식물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로회복 또는 운동수행능력을 증강을 위한 식품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흑마늘 및 식물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로회복 또는 운동수행능력을 증강을 위한 식품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수되는 원수를 다단의 여과필터와 역삼투막 여과를 통해 정제수를 만들어내는 정제수 제조단계; 정의 온도를 소정의 시간 동안 스팀과 열을 가하여 마늘을 증숙한 후, 70 내지 80℃의 온도조건으로 12 내지 15일 동안 장기숙성시키는 과정을 거친 후, 숙성장치내에서 0 내지 5℃의 온도조건으로 7 내지 14일간 저온상태에서 수분을 제거하고 단맛을 증대시키는 후숙성과정을 포함하는 흑마늘 증숙 및 숙성단계; 기 흑마늘 증숙 및 숙성단계를 거친 흑마늘에 상기 정제수 제조단계를 거친 정제수를 소정의 비율로 투입하여 흑마늘액을 추출한 후, 농축시켜 진액을 추출하는 흑마늘 진액 농축단계; 세하여 준비된 갈근, 벌나무, 헛개나무열매, 민들레 및 섬애약숙을 소정의 비율로 선정한 천연약재 원재료를 60 내지 70℃에서 2 내지 3시간, 70 내지 80℃에서 4 내지 6시간 동안 2차에 걸쳐서 스팀처리를 통한 증숙시키는 천연약재 증숙단계; 기 증숙단계를 거친 천연약재를 건조 과정을 거쳐서 추출 후 농축시키는 천연약재 추출 및 농축단계;를 통해서 추출되고, 기 제조공정에 투입되는 흑마늘 및 식물혼합물의 원료의 배합비율은 헛개나무열매 1.5 내지 3.0, 벌나무 1.5 내지 3.0, 약쑥 0.5 내지 1.5, 갈근 1.5 내지 3.0 그리고 민들레 1.5 내지 1.5의 무게비율로 구성되고, 기 제조공정을 통해서 추출되는 식품조성물이 타블렛형인 경우에는, 마늘 농축분말 3 내지 30%, 식물성혼합추출액(헛개나무과병, 벌나무, 약쑥, 갈근, 민들레) 1 내지 5%, 홍삼미분 0.1 내지 1%, 정제포도당 40 내지 60%, 결정셀룰로오즈 2 내지 8%, 비타민C 2 내지 5%, 스테아린산마그네슘 1 내지 3%, 산화아연 0.1 내지 0.5%의 중량%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흑마늘 및 식물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로회복 또는 운동수행능력을 증강을 위한 식품조성물을 제공한다.
이때, 흑마늘 및 식물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로회복 또는 운동수행능력을 증강을 위한 식품조성물에 있어서, 액상스틱형인 경우에는, 흑마늘 추출액 60 내지 90%(정제수 포함), 벌꿀 5 내지 15%, 식물성혼합추출액(헛개나무과병, 벌나무, 약쑥, 갈근, 민들레) 5 내지 30%, 홍삼추출액 0.1 내지 1%, 홍삼미분 0.1 내지 1%의 중량%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흑마늘 및 식물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로회복 또는 운동수행능력을 증강을 위한 식품조성물을 제공한다.
이때, 흑마늘 및 식물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로회복 또는 운동수행능력을 증강을 위한 식품조성물에 있어서, 타블렛형인 경우에는, 흑마늘 농축분말 3 내지 30%, 식물성혼합추출액(헛개나무과병, 벌나무, 약쑥, 갈근, 민들레) 1 내지 5%, 홍삼미분 0.1 내지 1%, 정제포도당 40 내지 60%, 결정셀룰로오즈 2 내지 8%, 비타민C 2 내지 5%, 스테아린산마그네슘 1 내지 3%, 산화아연 0.1 내지 0.5%의 중량%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흑마늘 및 식물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로회복 또는 운동수행능력을 증강을 위한 식품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조성물에 의할 때, 흑마늘 및 식물 혼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흑마늘 및 흑마늘과 식물혼합 조성물을 함유하는 피로회복 및 운동수행능력 향상을 위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흑마늘과 간기능 개선에 효능이 있는 갈근, 벌나무, 헛개나무열매, 민들레, 울금, 섬애약쑥의 혼합 조성물은 간 활성을 증진시켜 흑마늘에 시너지를 부여하여 피로회복 활성에 되움이 되는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흑마늘 및 식물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로회복 또는 운동수행능력을 증강을 위한 식품조성물의 제조공법의 전체구성을 나타낸 공정도이다.
도 2는 생약재의 농도에 따른 처리 세포별 세포 생존율에 관한 그래프들이다.
도 3은 Raw 264.7 세포에 대한 농도별 시료 추출물의 NO 생성억제 활성에 관한 비교 그래프이다.
도 4는 Raw 264.7 세포에 대한 농도별 시료 추출물의 ROS 생성억제 활성에 관한 비교 그래프이다.
도 5는 HepG2 세포에서 IL-8 분비에 대한 시료추출물의 활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6은 HepG2 세포에서 ALT 및 AST 활성에 대한 시료추출물의 활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흑마늘 및 식물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로회복 또는 운동수행능력을 증강을 위한 식품조성물의 제조공법의 전체구성을 나타낸 공정도이다. 도 2는 생약재의 농도에 따른 처리 세포별 세포 생존율에 관한 그래프들이다. 도 3은 Raw 264.7 세포에 대한 농도별 시료 추출물의 NO 생성억제 활성에 관한 비교 그래프이다. 도 4는 Raw 264.7 세포에 대한 농도별 시료 추출물의 ROS 생성억제 활성에 관한 비교 그래프이다. 도 5는 HepG2 세포에서 IL-8 분비에 대한 시료추출물의 활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6은 HepG2 세포에서 ALT 및 AST 활성에 대한 시료추출물의 활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흑마늘 및 식물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로회복 또는 운동수행능력을 증강을 위한 식품조성물의 제조공법을 설명하면, 흑마늘 농축액과 천연약재로부터 간기능 개선에 효능이 있는 음료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해서 공정순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입수되는 원수를 다단의 여과필터와 역삼투막 여과를 통해 정제수를 만들어내는 정제수 제조단계; 소정의 온도를 소정의 시간동안 스팀과 열을 가하여 마늘을 증숙한 후, 70 내지 80℃의 온도조건으로 12 내지 15일동안 장기숙성시키는 과정을 거친 후, 숙성장치내에서 0 내지 5℃의 온도조건으로 7 내지 14일간 저온상태에서 수분을 제거하고 단맛을 증대시키는 후숙성과정을 포함하는 흑마늘 증숙 및 숙성단계; 상기 흑마늘 증숙 및 숙성단계를 거친 흑마늘에 상기 정제수 제조단계를 거친 정제수를 소정의 비율로 투입하여 흑마늘액을 추출한 후, 농축시켜 진액을 추출하는 흑마늘 진액 농축단계; 수세하여 준비된 갈근, 벌나무, 헛개나무열매, 민들레, 울금 및 섬애약숙을 소정의 비율로 선정한 천연약재 원재료를 60 내지 70℃에서 2 내지 3시간, 70 내지 80℃에서 4 내지 6시간 동안 2차에 걸쳐서 스팀처리를 통한 증숙시키는 천연약재 증숙단계;상기 증숙단계를 거친 천연약재를 건조 과정을 거쳐서 추출 후 농축시키는 천연약재 추출 및 농축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정제수 제조단계는, 상기 원수를 5 마이크로미터(μm) 필터를 거쳐서 정수하는 1차 여과 단계; 상기 1차 여과된 정수를 다시 1 마이크로미터(μm) 필터를 거쳐서 정수하는 2차 여과 단계; 상기 2차 여과 단계를 거친 정수를 역삼투막 과정을 통해서 이물질과 이온성분을 제거하여 정제수를 제조하는 역삼투 여과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원수는 먹는 물 기준에 적합한 상수원에서 채취한 후, 원수 저장탱크에 보관한 후 25 마이크로미터(μm) 필터를 통한 백필터 여과과정을 거친 후, 1차 여과 단계와, 2차 여과 단계를 순차적으로 거친 다음 역삼투막 여과 단계를 거치는 과정을 거쳐서 사용에 적합한 정제수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정제수 제조단계는 원수의 상태에 따라서 수회 반복실시하여 정제수를 제조하게 된다. 이는 정제수의 최종 수질상태에 관한 측정 또는 검사를 통해서 이를 판단하게 되고, 상기 반복실시 여부는 검사자에 의한 수동 실시 또는 수질측정 센서 등을 통해서 자동으로 반복실시하는 시스템의 구성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상기 흑마늘 증숙 및 숙성단계에 있어서, 마늘 원재료를 숙성장치에 장입한 후, 숙성장치를 가동하여서 80 내지 90℃의 온도를 유지하면서 스팀과 열을 30 내지 60분 동안 가하여 마늘의 매운맛을 제거하는 스팀처리 단계가 더 포함되어 구성된다.
우선 원재료인 마늘을 깐마늘 또는 통마늘 상태로 입고되고 육안 검사 등을 통해서 사용가능한 마늘 원재료를 선별하는 공정을 거치게 된다. 선별된 마늘 원재료는 수세 등의 세척과정을 거친 후 마늘 특유의 매운 맛과 냄새를 유발시키는 알리신 성분을 제거하기 위해서 스팀처리를 통한 증숙공정을 거치게 된다.
이때, 상기 증숙공정은 숙성장치 내에 소정의 무게 또는 부피 단위로 장입된 원재료 마늘을 80 내지 90℃의 온도를 유지하면서 스팀과 열을 30 내지 60분 동안 가하는 공정을 통해서 실시된다.
상기 조건은 마늘 특유의 매운 맛과 냄새를 유발시키는 알리신 성분을 제거하면서도 에너지 절감 및 마늘에 포함된 유효 성분을 최대한 유지시키기 위해서 여러 시험을 통해서 도출된 최적의 증숙공정을 위한 조건이다.
다음으로, 천연약재 증숙단계에서, 2단계에 걸친 증숙단계 거친 후에 건조과정을 거친 후, 다시 천연약재 증숙단계와 건조과정을 2회 이상 반복하여 실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흑마늘을 주성분으로 하고 간기능 개선에 효능이 있는 음료에 포함되는 천연약재의 재료에 있어서, 수세하여 준비된 소정의 비율로 구성된 갈근, 벌나무, 헛개나무열매, 민들레, 울금 및 섬애약쑥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천연약재들은 남해 마늘연구소에서 문헌조사와 한의사의 자문을 통해서 간보호 활성이 있는 것으로 알려진 갈근, 벌나무, 헛개나무열매, 민들레, 울금 및 섬애약쑥을 그 재료로 선정하였다. 이들의 추출에 적절한 용매를 선정하고자 물과 30% 주정으로 80℃에서 3시간 추출한 후 여과한 여액을 동결건조하여 그 분말을 다시 일정농도로 정제수에 녹여서 이화학적 특성분석용 시료로 사용하여 여러 조건에 대해서 실험한 후 선정하였다.
도 3을 참조하면, 세포로부터 생성되는 NO의 양은 Giustarini 등(2008)의 방법을 응용하여, 세포배양액 중에 존재하는 NO2-를 그리스 시약(griess reagent)으로 측정하였다. 그리스 시약(0.5%의 설파닐아미드, 2.5%의 인산 및 0.5%의 나프틸에틸렌아민)은 아질산염과 화학 반응하여 보라색의 아조염을 형성하고 이것은 NO의 농도와 일치하기 때문에, 아조염의 농도로부터 아질산염의 농도를 추정하기 위해 NO 생성정도를 비교하였다. 다양한 농도의 시료(100, 150, 200, 400 g/mL)를 각 well에 처리한 다음, 30분 후에 LPS 1 μg/mL 농도로 처리하여 37, 5% CO2 incubator에서 24시간 배양한 후 세포 상층액을 회수하였다. 회수된 상층액 중 100 μL를 취해 그리스 시약 100 μL와 혼합하여 상온에서 10분간 반응시킨 후 microplate reader (Epoch, Bioteck, Winooski, VT, USA)를 이용하여 54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NO 생성 억제 활성은 LPS 단독 처리군 대비 시료 처리군의 NO 생성량을 비교하여 상대적인 값으로 나타내었다.
LPS에 의해 염증반응이 활성화되면 세포는 NO라는 염증성 chemokine이나 cytokine의 발현에 변화를 일으켜 일련의 반응을 거쳐 최종적으로 염증을 유발한다. 세포 내 염증유발인자의 자극으로 iNOS 및 COX-2의 발현이 증가하면 이는 염증인자인 NO의 생성을 유발하며 생성된 NO는 신경독성, 신호전달 및 체내방어 등의 생리적 기능을 수행하고, 또한 암의 유발과 관련하여 병리적으로 중요한 작용을 한다. 염증반응 부위에서 NO의 과다발현은 많은 염증과 자가 면역 질환의 매개물질로 작용한다는 것은 잘 알려져 있다. 따라서 NO 생성 억제능이 있는 시료는 간장 질환의 초기 증상인 염증의 유발을 억제함으로써 염증이 진전되어 발생되는 간질환을 효과적으로 예방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1차 선발된 시료를 농도별로 처리하여 NO 생성억제능을 확인한 결과는 도 3과 같으며, 벌나무, 민들레, 섬애약쑥 및 갈근의 순으로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Intracellular ROS 측정은 intracellular ROS assay kit (Cell biolabs, Arions, CA, USA)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96 well black plate에 5x104 cell/well의 Raw 264.7 cell을 black plate에 분주한 후 배양하여 세포를 well에 부착시켜 serum free DMEM 배지로 교환하였다. 세포를 24시간 배양한 후 각 시료를 농도별로 처리하여 37, 5% CO2 조건에서 24시간 배양하였다. PBS (pH 7.4)로 3회 세척한 다음 1X dichloro-dihydro-fluorescein diacetate (DCFH-DA)를 배지에 100 L 첨가하여 37, 5% CO2에서 1시간 배양한 후 또 다시 PBS로 3회 씻어냈다. Lysis buffer 100 μL를 첨가하여 혼합한 후 fluorescence microplate reader (VICTOR3 Multilabel Plate Reader, PerkinElmer life and analytical sciences, Shelton, CT, USA)를 이용하여 excitation 485 nm, emisssion 535 nm에서 형광을 측정하여 LPS 단독 처리군과 시료 처리군에 대한 ROS 생성을 비교하여 상대적인 값으로 나타내었다.
Dichlorofluorescin diacetate (DCF-DA)는 세포막을 통해 확산되며 세포 내 esterase에 의해 효소적으로 가수분해 되어 비형광성 DCF-H가 되며, 세포 내 ROS가 존재할 경우 매우 빠르게 높은 형광을 띈 DCF로 산화된다. DCFH-DA를 이용하여 세포 내 ROS 생성량을 측정함으로써 섬애약쑥 추출물의 산화적 스트레스를 저하시키는 효과를 확인하였다(도 3). 대조군 대비 ROS의 생성은 벌나무 추출물 처리시 가장 효과적이었고, 다음으로 민들레 추출물, 섬애약쑥 및 갈근의 순이었다. 갈근은 시료의 처리 농도 증가에 따른 활성의 차이가 미미하였으나 섬애약쑥의 경우 300 g/mL 이상의 농도에서는 시료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그 함량도 감소하는 경향을 확인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HepG2 cells을 24 well plate에 5x105 cell/well이 되도록 분주하고, 부착시킨 후 FBS를 뺀 DMEM 배지로 18시간 배양하였다. 섬애약쑥 추출물을 농도별로 처리하여 37, 5% CO2에서 1시간 배양한 후 1 μg/mL의 LPS를 처리하여 다시 18시간 배양한 다음 세포 배양액을 수거하여 실험 전까지 -70℃에 보관하였다.
IL-8의 생성양은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ELISA) kit (Pierce Biotechnology, Rockford, IL, USA)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Anti-mouse IL-8로 precoating된 96 well plate에 배양액 50 μL 혹은 standard reagent를 넣은 후 biotinlylated antibody reagent 50 μL씩을 첨가하여 2시간 반응시켰다. Washing buffer로 5회 세척한 후, 희석된 streptavidin-HRP concentrate를 100 L 첨가하여 30분 간 반응 시킨 다음 plate를 세척하였다. 여기에 TMB substrate 100 L를 첨가하여, 빛을 차단한 조건 하에서 30분 간 반응 시킨 후 stop solution 100 L를 처리하고 microplate reader (Epoch)를 이용하여 450 nm에서 측정한 흡광도 값을 550 nm 값으로 보정하였다.
알코올 및 C형 간염바이러스로 인한 간질환이 있는 사람의 혈청에서 IL-8이 고농도로 검출되었으며, 이는 간의 염증에 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IL-8 수준의 감소는 간질환의 위험도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추정해 볼 수 있는데, 본 발명에서 선발된 갈근, 벌나무와 섬애약쑥 모두 200 g/mL 이상의 농도에서는 대조군 대비 IL-8의 분비를 감소시킴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6을 참조하면, LPS 처리를 통한 간세포 독성 유도 실험과 같은 방법으로 시료를 처리한 후 배양액을 취해 배양액 중에 유리된 alanine transaminase (ALT) 및 aspartate transaminase (AST) 효소의 활성을 측정하였다. ALT와 AST의 활성은 ALT, AST 측정용 시액(Asan pharmaceutical Co., Seoul, Korea)을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ALT 및 AST 활성은 기질액인 L-aspartic acid 및 DL-alanine 1 mL에 배양액 0.2 mL를 가해 잘 혼합한 후 37에서 AST는 60분, ALT는 30분간 항온하였다. 정색시약 1 mL를 가하고 잘 혼합하여 실온에서 20분간 보관한 후 0.4 N NaOH를 10 mL 첨가하여 10분간 정치하고 50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AST 활성은 표준곡선을 이용하여 Karmen unit으로 나타내었다. ALT와 AST의 활성 비교를 위하여 시료를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에 대비한 시료 처리군의 활성을 비교하여 백분율로 나타내었다.
간세포 손상을 검사하기 위한 가장 일반적인 방법은 ALT, AST와 같은 효소의 활성도를 검사하는 것인데, 이들 효소의 활성치 증가는 간세포의 장애정도와 비교적 상관성과 민감도가 높다. ALT는 알라닌의 아미노기를 -케토글루타르산에 전달하여 피루브산과 글루탐산 생성반응을 촉매하는 효소이다. 간담도계 질환의 진단을 위해 주로 측정되며, AST는 L-아스파르트산의 아미노기를 -케토글루타르산으로 전달하여 옥살로아세트산과 L-글루탐산을 생성하는 가역반응을 촉매하는 효소로 간염, 심근경색 등의 진단에 활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제조공법으로 만들어진 식품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은 다음과 같다.
내용량을 80ml를 기준으로 할때, 고형분 8%와 정제수를 포함한 흑마늘 추출액은 78% 그리고 천연약재들(벌나무, 섬애약쑥, 갈근, 민들레)의 혼합 추출액이 10% 그리고 벌꿀이 7%, 유자농축액(35brix)이 5%의 비율을 차지한다. 이는, 이상적인 음료의 실시 예를 제시하는 것이고 그 비율은 제조공정에 따른 오차범위와, 맛을 유지하기 위한 범위 내에서의 오차범위 등은 상식적으로 고려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천연약재들의 혼합 추출액은 무게함량 기준으로 할때, 벌나무 33%, 섬애약쑥 17%, 갈근 33% 그리고 민들레 17%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원재료 중량이 3.6kg일때 정제수를 32L를 더해서 10배수로 희석시켜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추출공정에서 추출온도는 90℃정도에서 12 내지 16시간 지속하고, 105℃ 정도에서 4시간 가량 후살균하는 공정을 2회 반복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천연약재 추출 및 농축단계는, 상기 정제수 제조단계를 거친 정제수와 함께 믹싱하여 추출기에서 90내지 95℃로 1 내지 2시간동안 추출하는 1차추출단계; 상기 1차추출단계를 거친 천연약재를 84 내지 86℃에서 22 내지 24시간에 걸쳐서 추출하는 2차추출단계; 상기 2차추출단계를 거친 천연약재를 90내지 95℃로 추출기를 이용해서 1 내지 2시간에 걸쳐서 추출하는 3차추출단계; 상기 3차 추출단계를 거친 천연약재 추출액을 농축기를 이용해서 55 내지 65℃로 2~4시간동안 농축시키는 천연약재 농축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천연약재 추출 및 농축단계를 거친 후에, 천연약재 농축액을 5 마이크로미터(μm) 필터를 거쳐서 고형분과 수분을 분리시키는 천연약재 여과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다음으로, 상기 여과단계까지 마친 천연약재 농축액과 흑마늘 농축액을 소정의 비율로 혼합조에 투입한 후, 골고루 잘 섞이도록 배합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그리고, 순간고온 살균기를 이용해서 살균하는 순간고온살균과정을 거친 후, 5 마이크로미터(μm) 필터를 거쳐서 고형분과 수분을 분리시키는 여과단계를 거치게 된다.
상기 고형분 제거를 위한 여과단계를 거치고 나면, 92 내지95℃의 온도에서 개별용기에 핫필링 충진한 후, 1~4℃의 온도에서 저온상태로 보관하는 포장단계를 통해서 최종 제품이 완성된다.
상기와 같은 공정을 통해서 숙성 흑마늘 진액만의 생산뿐만 아니라 이에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천연약재와 같은 기타 첨가물이 포함된 음료의 생산이 병행가능하다 할 것이다.
또한, 상기 각 공정은 필요에 따라서 작업자가 수동으로 각 장치 및 과정을 수행할 수도 있고,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서 원격으로 프로그램에 의해서 자동으로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는 항산화활성과 더불어 간보호 활성이 있는 생약재와 흑마늘을 혼합한 음료의 제조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조성물은 갈근, 벌나무, 민들레, 약쑥 중 어느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하며, 갈근과 벌나무는 증숙공정을 민들레와 약쑥은 덖음 공정을 거친 것을 일정 비율로 혼합한 다음 추출한 조성물을 먼저 제조하고, 일정 농도로 추출한 흑마늘 추출액과 혼합한 조성물이다.
실시예 1. 흑마늘 추출물 및 식물혼합 추출물의 활성 검증
[실험예 1] 흑마늘 추출물 및 흑마늘과 식물혼합 추출물의 총 페놀 함량
총 페놀화합물의 함량은 변화는 총 페놀 화합물의 함량은 페놀성 물질이 phosphomolybdic acid와 반응하여 청색을 나타내는 원리인 Foiln-Denis 방법을 이용하여 정량하였다. 시료액 1 mL에 Foline-Ciocalteau 시약(Sigma-Aldrich Co., St. Louis, MO, USA) 및 10% NaCO3 용액(Daejung, Siheung, Gyenggi, Korea)을 각 1 mL씩 차례로 가한 다음 실온에서 1시간 정치한 후 분광광도계(Libra S 35, Biochrom, Cambridge, England)로 76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표준물질로 gallic acid(Sigma-Aldrich Co., St, Louis, MO, USA)를 사용하여 시료와 동일한 방법으로 분석하여 얻은 검량선으로부터 총 페놀 화합물의 함량을 계산하였다.
실험예 1의 결과에서 흑마늘 추출물의 총 페놀 함량은 9.21 mg/mL으로 가장 높았고 식물 혼합 추출액은 2.09 mg/mL였다. 두 소재를 8:1로 혼합한 시료는 8.45 mg/mL였다.
흑마늘 추출물 및 흑마늘과 식물혼합 추출물의 총 페놀 함량
시료명 총 페놀(mg/mL)
흑마늘 추출액 9.21±0.38
식물혼합 추출액 2.09±0.03
흑마늘 추출액+식물혼합추출액 8.45±0.06
[실험예 2] 흑마늘 추출물 및 흑마늘과 식물혼합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ABTS(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phonate) 라디칼 소거활성은 7 mM의 ABTS 용액에 potassium persulfate(Sigma-Aldrich Co., St. Louis, MO, USA)를 2.4 mM이 되도록 용해시킨 다음 암실에서 12-16시간 동안 반응시킨 후 415 nm에서 흡광도가 1.5가 되도록 증류수로 조정한 ABTS 용액을 사용하였다. ABTS 용액 150 μL에 시료액 50 μL를 혼합하고 실온에서 반응시킨 다음 분광광도계를 이용하여 41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ABTS 라디칼 소거활성은 시료 무첨가구에 대한 시료첨가구의 흡광도비로 계산하여 %로 나타내었다.
실험예 2의 흑마늘 추출물 및 흑마늘과 식물혼합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은 10 mg/100g의 농도에서 흑마늘 추출액은 60.64%의 활성으로 가장 높았고 흑마늘 추출액과 식물혼합 추출액을 혼합한 시료는 57.60%로 활성이 높았다.
흑마늘 추출물 및 흑마늘과 식물혼합 추출물의 ABTS 라디칼 소저 활성(%)
시료명 시료농도 (mg/100g)
10 20 50
흑마늘 추출액 60.64±1.16 86.97±0.70 99.84±0.10
식물혼합 추출액 14.60±1.33 26.33±0.68 61.04±1.49
흑마늘 추출액+식물혼합추출액 57.60±1.03 84.38±0.15 99.71±0.24
실시예 2. 동물실험을 통한 흑마늘 추출물 및 흑마늘 추출물과 식물 혼합 추출물 복합물의 피로회복 활성 검증
실험재료
동물실험에 사용된 흑마늘 농축액 및 식물 혼합 추출물은 새남해농협(경남 남해군)으로부터 제공 받았으며, 식물 혼합 추출물 및 흑마늘 농축액 혼합 시료는 식물 혼합 추출물과 흑마늘 농축액을 1:8의 비율로 혼합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실험동물의 사양
본 실험은 (재)남해마늘연구소 동물실험윤리위원회(RNGRI-2018-2)의 승인을 받아 평균 체중이 100~120 g인 Sprague-Dawley계 4주령의 수컷 흰쥐를 (주)샘타코(Osan, Korea)로부터 분양 받아 온도(22±2℃), 습도(50±5%) 및 명암주기(12시간, 07:00~19:00)가 자동 설정된 동물 사육실에서 시판 고형사료(Rat chow, Samyang Corp., Seoul, Korea)로 1주간 적응시킨 다음 2주째에 난괴법에 의해 각 군의 체중이 비슷하도록 5마리씩 5군으로 나눈 뒤 6주동안 사육을 진행하였다.
실험군의 구성 및 식이조성
본 연구의 실험군은 총 5군으로 운동은 실시하지 않은 대조군인 NC군, 최대운동부하를 실시한 대조군인 E군, 사육기간 동안 피로회복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 헛개나무 과병추출 분말을 41 mg/kg BW 농도로 6주간 경구투여한 후 최대운동부하를 실시한 PC군, 흑마늘 농축액을 0.66 g/kg BW 농도로 경구투여한 후 최대운동부하를 실시한 BGE군, 식물 혼합 추출물과 흑마늘 농축액을 8:1의 비율로 혼합한 시료를 0.66 g/kg BW 농도로 경구투여한 후 최대운동부하를 실시한 PBM군으로 구성하였다. 모든 실험군은 표 1에 근거하여 제조된 식이를 섭취하였다.
식이섭취량, 식이효율 및 체중 측정
실험 사육기간 동안 식이는 매일 오후 5시에 급이 하였고 다음날 오전 10경에 잔량을 조사하였으며, 식이섭취량의 오차를 최소화하고자 손실량을 보정하여 계산하였다. 물은 수도수를 매일 신선하게 공급하였다. 체중은 1주일에 한 번씩 일정한 시간에 측정하였으며, 실험기간 동안의 체중 증가량을 같은 기간 동안의 총 식이섭취량으로 나누어 식이효율(%)을 산출하였다.
실험동물의 사료 배합 비율
Ingredients g/100 g
Sucrose 50
Casein 20
Corn starch 15
Cellulose 5
Soybean oil 5
Mineral mix1) 3.5
Vitamin mix2) 1
L-cysteine 0.3
Choline bitartrate 0.2
1)AIN-93 Mineral mixture
2)AIN-93 Vitamin mixture
실험동물의 처리
수영 최대운동부하를 통해 탈진한 쥐를 소동물용 흡입마취기(Dae Jong, Korea)로 마취시켜 심장 채혈하였으며, 채혈된 혈액은 빙수 중에서 30분간 냉각시킨 후 3,000 rpm에서 15분간 원심분리 후 혈청을 분리하여 -70℃에 보관하면서 분석에 사용하였다. 실험동물의 장기(간장, 심장, 신장, 비장 및 고환) 및 부고환 주변 지방은 채혈 후 즉시 분리시켰으며, 생리식염수로 혈액을 씻은 다음 흡수지로 물기를 제거한 다음 중량을 측정하였고, 간은 생리식염수로 탈혈하여 -70℃에 보관하면서 분석용 시료로 사용하였다.
혈청 성분 측정
혈액 중의 글루코스, 중성 지질, 총 콜레스테롤, HDL-C (high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LDH (lactate dehydrogenase), CPK (creatine phosphokinase), NH3 (ammonia) AST (aspartate aminotransferase), 및 ALT (alanine aminotransferase)는 혈액자동분석기(DRICHAM 4000i, Fujifilm Co., Tokyo, Japan)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혈청 총 지질 농도 측정
혈액 총 지질 농도는 혈청 20 μL를 진한 황산으로 분해시킨 후 phospho-vanillin 시약을 첨가하여 37℃에서 15분간 반응시켜 시료 무첨가군을 대조로 하여 54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간 조직 중의 글리코겐 함량 측정
간 조직 0.2 g을 취해 30% KOH 1 mL를 첨가한 후 100℃의 수욕상에서 20분간 가열한 다음 빙수 중에서 냉각하였다. 여기에 95% ethanol 1.25 mL를 혼합하여 100℃ 수욕상에서 5분간 가열한 후 빙수 중에서 냉각한 다음 원심분리하여 상층액을 제거하였다. 침전물에 증류수를 가해 전체 부피를 10 mL로 만든 다음 이 중 1 mL를 취하였다. 여기에 0.2% anthrone 용액을 2 mL 첨가하고 100℃의 수욕상에서 10분간 가열한 다음 냉각해 620 nm에서 흡광도 값을 측정하였다. Glucose(Sigma-Aldrich Co., St. Louis, MO, USA)를 표준당으로 하여 동일한 방법으로 실험한 후 얻은 표준 검량선으로부터 glycogen 함량을 산출하였다.
간 조직의 지질 함량 측정
간 조직의 총 지질 함량은 간 조직 0.5 g에 chloroform : methanol 혼합액(C:M=2:1, v/v)을 가하고 이를 마쇄하여 30 mL로 정용한 다음 냉암소에 하룻밤 정치시켜 지질을 추출하였다. 이를 여과해 일정량을 취하여 50℃ 수욕상에서 완전 건조시킨 후 진한 황산으로 분해시키고 phospho-vanillin 시약을 첨가한 뒤 37℃에서 15분간 반응시켜 시료 무첨가구를 대조로 하여 54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총 콜레스테롤 및 중성지방 함량은 총지질과 같이 50℃ 수욕상에서 완전 건조시킨 뒤 총 콜레스테롤 측정용 kit 시약(AM 202-k, Asan, Seoul, Korea)을 사용하였으며, 중성지방 함량은 중성지방 측정용 kit 시약(AM 157S- k, Asan)으로 각각 측정하였다.
통계처리
각 실험은 3회 이상 반복 실험한 결과에 대하여 SPSS (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PSS Inc., Chicago, IL, USA) 통계 package를 이용하여 평균±표준편차로 표시하였고, 통계적 유의성 검정은 일원배치 분산분석을 한 후 p<0.05 수준에서 Duncan's multiple range test로 비교분석하였다.
실시예 1) 수영을 부하실험을 통한 최대 운동시간
육체적 피로유발은 수영부하 실험을 통하여 실시하였다. 수영부하는 22±2℃로 온도 조절이 되는 투명한 항온수조(600×600×500 mm)에서 실시하였으며, 운동훈련은 수영 환경에 적응시키기 위해 수영부하 실험 당일 1주일 전부터 수영상자에서 20~30분간 수영 연습을 시켰다. 최종 수영운동부하 실험은 꼬리에 체중의 5% 무게에 해당하는 추를 매단 후 항온 수조에 입수시켜 사지가 모두 움직이도록 막대를 이용하여 자극 하면서 탈진 판정 직전까지 수영시켰다.
표 3은 흑마늘 진액과 흑마늘진액과 식물 혼합 추출물 혼합 조성물을 6주 동안 투여한 흰 쥐의 최대운동시간을 측정한 결과이다. 운동 실시 군들의 수영시간은 실험군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운동대조군은 11.28분으로 실험군 중 운동 시간이 가장 짧았다. 양성대조군인 헛개나무추출물을 섭취한군과 식물혼합 추출물과 흑마늘진액이 첨가된 조성물을 섭이한 군은 각각 25.16분과 28.11분으로 대조군보다 길었다. 반면 흑마늘 진액을 단독 투여한 흑마늘 진액 급이군의 운동시간은 38.13분으로 실험군 중 가장 길었으며, 양성 대조군 보다도 수영시간이 길었다.
Figure pat00001
EC: 대조군, PC: 운동대조군, PC: 헛개나무 추출액 섭취군(양성대조군), BGE: 흑마늘 농축액 섭취군, BPM: 흑마늘농축액 : 식물혼합추출액 혼합 섭취군
그림 1. 흑마늘 진액과 식물혼합 추출물과 흑마늘 진액이 함유된 조성물을 6주간 섭취한 흰쥐의 수영시간
실험예 2. 혈중 글루코스 농도
혈액 중의 글루코스 농도는 혈액자동분석기(DRICHAM 4000i, Fujifilm Co., Tokyo, Japan)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표 4는 흑마늘 진액과 흑마늘 진액에 식물 혼합 추출물 혼합 조성물을 6주 동안 투여한 후 수영으로 최대운동부하를 실시한 흰 쥐의 혈청 중 글루코스 농도를 측정한 결과이다.
Figure pat00002
그림 2. 흑마늘 진액과 식물혼합 추출물과 흑마늘 진액이 함유된 조성물을 6주간 섭취한 흰쥐의 수영부하실험 후의 혈중 글루코스 농도
EC: 운동하지 않은 대조군, PC: 운동을 실시한 대조군, PC: 헛개나무 추출액 섭취 후 운동군(양성대조군), BGE: 흑마늘 농축액 섭취 후 운동군, BPM: 흑마늘농축액 : 식물혼합추출액 혼합 섭취후 운동군
운동 실시 군의 혈중 글루코스 농도는 18.00~37.00 mg/dL로 NC군(113.00 mg/dL)의 15.9~32.8% 수준이었다. 운동 실시 군 중에서는 EC군이 여타 운동군보다 유의하게 높은 반면 PC군, BGE군 및 BPM군 간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일반적으로 운동수행 중 혈당의 감소와 유리지방산의 증가는 에너지 소비형태를 반영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혈당이 감소하면 피로감을 느끼게 되고, 지구력 운동능력을 저해하는 결과를 초래한다.
실험예 3. 혈중 LDH 및 CPK 효소 활성도와 NH 3 농도
혈액 중의 LDH (lactate dehydrogenase), CPK (creatine phosphokinase), NH3 (ammonia)는 혈액자동분석기(DRICHAM 4000i, Fujifilm Co., Tokyo, Japan)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표 4는 흑마늘 진액 및 식물 혼합 추출물과 흑마늘 진액 조성물을 6주 동안 투여한 후 수영으로 최대운동부하를 실시한 흰 쥐에 대하여 운동 중 혈청효소 활성도의 반응이 체력을 평가할 수 있는 생화학적 지표로 사용되는 혈청 중 LDH와 CPK 효소 활성도와 NH3 농도를 측정하였다.
흑마늘 진액과 식물혼합 추출물과 흑마늘 진액이 함유된 조성물을 6주간 섭취한 흰쥐의 수영부하실험 후의혈중 혈중 LDH 및 CPK 효소 활성도와 NH 3 농도
Groups1) LDH (U/L) CPK (U/L) NH3 (μg/dL)
NC 1020.60±41.462)A3) 1624.00±56.79A 610.40±20.18A
EC 2239.20±87.24D 2606.60±91.97C 1670.40±45.85D
PC 1828.40±85.75C 1961.60±86.21B 1580.20±78.50C
BGE 1916.60±80.13C 1704.20±65.53A 1504.00±42.23B
BPM 1584.80±58.17B 1619.20±77.64A 1461.00±53.34B
1) EC: 운동하지 않은 대조군, PC: 운동을 실시한 대조군, PC: 헛개나무 추출액 섭취 후 운동군(양성대조군), BGE: 흑마늘 농축액 섭취 후 운동군, BPM: 흑마늘농축액 : 식물혼합추출액 혼합 섭취후 운동군
2)한군당 6마리를 실험하였음
3) p<0.05 수준에서 유의차를 검증하였음
LDH 효소 활성도는 1020.60~2239.20 U/L로 운동을 실시한 군들의 활성도가 대조구보다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LDH는 당질의 이화 및 동화작용의 평형을 이루는 주효소로 에너지 생산과정에서 젖산을 형성시키는 무산소성 운동 능력과 관련이 있고 단시간의 격렬한 운동 시 현저히 변화하며, 특히 5~15분으로 피로에 이르는 격한 운동 실시 시 종료 직후에 일관성의 상승을 한다.
운동 실시 군 중 양성대조군은 2239.20 U/L로 유의하게 가장 높은 반면 흑마늘 진액과 식물혼합추출물 조성물군은 1584.80 U/L로 운동 실시 군 중 가장 낮았으며, 흑마늘 진액과 운동대조군보다 약 29% 적었다. PC군과 BGE군의 활성도는 각각 1828.40 U/L와 1916.60 U/L로 BPM군보다는 유의하게 높고 EC군보다는 유의하게 낮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CPK 활성도는 1619.20~2606.60 U/L였으며, EC군(2606.60 U/L)> PC군(1961.60 U/L)> BGE군(1704.20 U/L), NC군(1624.00 U/L), BPM군(1619.20 U/L) 순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CPK는 ATP-PC계를 조절하는 주효소이며, 혈청 CPK는 운동 시 근조직 내 에너지 기질(ATP, Glycogen)의 고갈과 세포내 저산소증 대사과정에서 생성된 free radical의 증가로 인한 세포막 투과성의 항진이 그 원인이 되어 증가하게 된다. 본 연구 EC군과 PC군의 CPK 활성도는 NC군보다 유의하게 증가된 결과를 보였으나 BGE군과 BPM군의 LDH 활성도는 NC군과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고 EC군보다는 약 35%와 38% 가량 유의하게 더 적어 시료 투여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본 결과를 종합해보면 헛개나무 과병추출 분말, 흑마늘 진액 및 식물 혼합 추출물과 흑마늘 진액 혼합물을 지속적으로 급이하면 최대운동부하 실시 시 증가하는 혈중 피로물질(LDH와 CPK 활성도, NH3 농도)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데, 세 가지 시료 중에서 흑마늘 진액 및 식물 혼합 추출물과 흑마늘 진액 혼합물이 가장 효과적으로 피로물질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실험예 4. 혈중 지질 농도
6주 동안 흑마늘 진액 및 식물 혼합 추출물과 흑마늘 진액 1:8 혼합액을 투여한 후 최대운동부하를 실시한 흰 쥐의 혈청 지질(총 지질, 중성 지질 및 총 콜레스테롤) 농도를 측정한 결과는 Table 5와 같다. 총 지질 농도는 319.33~497.67 mg/dL로 실험군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 EC군을 제외한 운동 실시 군들의 총 지질 함량은 NC군(485.33 mg/dL)보다 유의하게 낮았으며, 운동 실시 군들은 EC군(497.67 mg/dL)> PC군(406.00 mg/dL)> BPM군(335.33 mg/dL), BGE군(319.33 mg/dL) 순으로 같은 운동 실시 군이라 할지라도 경구투여한 시료에 따라 총 지질 농도 차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중성지질 농도는 84.20~141.20 mg/dL였으며, NC군(130 mg/dL), EC군(141.20 mg/dL) 및 PC군(129.60 mg/dL) 간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BGE군과 BPM군의 중성 지질은 각각 95.20 mg/dL와 84.20 mg/dL로 다른 실험군보다 유의하게 낮았다.
총 콜레스테롤 농도는 80.60~118.40 mg/dL로 실험군 중 EC군이 유의적으로 가장 높은 반면 BGE군이 유의적으로 가장 낮았다. NC군과 PC군은 각각 93.00 mg/dL와 96.40 mg/dL로 EC군보다는 유의하게 낮고 NC군보다는 유의하게 높았다. 반면 BPM군의 총 콜레스테롤 농도는 87.80 mg/dL로 BGE군과도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NC군과 PC군과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는 최대운동부하의 실시로 체내 에너지 소비가 급증함에 따라 혈중 지질 농도가 평상시보다 증가한 것으로 사료된다. 반면 PC군은 총 지질이 NC군보다 유의하게 낮았고, BPM군은 총 지질과 중성 지질이 NC군보다 유의하게 낮았으며, BGE군은 모든 항목이 NC군보다 유의하게 낮았다. 이와 같은 결과는 PC군, BGE군 및 BPM군의 최대운동량이 EC군보다 상대적으로 많이 길어 에너지 소모 또한 증가한 것으로 추정되지만 운동 실시 전에 이루어진 체중 측정 결과(최종 체중)에서 PC군, BGE군 및 BPM군의 체중이 NC군과 EC군보다 유의하게 낮은 점을 비추어보면 헛개나무 과병추출 분말, 흑마늘 진액, 식물혼합 추출물과 흑마늘 진액 혼합물의 급이가 혈중 지질 개선에 긍정적인 미쳤다고 판단된다.
혈중 지질 농도(mg/dL)
Groups1) 총지질 중성지질 총콜레스테롤
NC 485.33±14.02C 130.20±7.09B 93.00±8.03B
EC 497.67±14.43C 141.20±10.55B 118.40±8.02C
PC 410.67±13.04B 129.60±8.96B 96.40±6.50B
BGE 319.33±10.00A 95.20±9.81A 80.60±6.07A
BPM 335.33±12.34A 84.20±5.45A 87.80±4.49AB
1) EC: 운동하지 않은 대조군, PC: 운동을 실시한 대조군, PC: 헛개나무 추출액 섭취 후 운동군(양성대조군), BGE: 흑마늘 농축액 섭취 후 운동군, BPM: 흑마늘농축액 : 식물혼합추출액 혼합 섭취후 운동군
2)한군당 6마리를 실험하였음
3) p<0.05 수준에서 유의차를 검증하였음
실험예 5. 혈중 AST 및 ALT 효소 활성도
흑마늘 진액 및 식물 혼합 추출물과 흑마늘 진액 1:8 혼합액을 6주 동안 투여한 후 수영으로 최대운동부하를 실시한 흰 쥐의 간 기능 지표(AST 및 ALT) 효소 활성도를 측정한 결과는 Table 6과 같다.
혈중 AST 및 ALT 효소 활성도(U/L)
Groups1) AST ALT
NC 108.60±9.452)A3) 30.20±4.87A
EC 307.40±18.08D 45.60±5.41B
PC 241.40±12.20C 44.20±4.15B
BGE 256.20±15.96C 39.40±5.59B
BPM 190.80±9.18B 43.00±5.34B
1) EC: 운동하지 않은 대조군, PC: 운동을 실시한 대조군, PC: 헛개나무 추출액 섭취 후 운동군(양성대조군), BGE: 흑마늘 농축액 섭취 후 운동군, BPM: 흑마늘농축액 : 식물혼합추출액 혼합 섭취후 운동군
2)한군당 6마리를 실험하였음
3) p<0.05 수준에서 유의차를 검증하였음
운동 중 혈청효소 활성도는 체력을 평가할 수 있는 생화학적 지표로써 유그 대표적인 효소로는 LDH, CPK와 함께 AST가 있다. 본 연구의 AST 효소 활성도는 LDH 및 CPK와 마찬가지로 최대부하 운동을 실시한 실험군들이 190.80~307.40 U/L로 NC군(108.60 U/L)과 비교하여 크게 증가되었다. 운동군 중에서는 EC군의 활성도가 유의적으로 가장 높은 반면 BPM군이 유의적으로 활성이 가장 낮았다. PC군과 BGE군의 활성은 각각 241.40 U/L와 256.20 U/L로 EC군보다는 유의하게 높고 PC군보다는 유의하게 낮은 결과를 보였다. 따라서 헛개나무 과병추출 분말, 흑마늘 진액, 식물혼합 추출물과 흑마늘 진액 혼합물의 급이는 최대운동부하로 AST 활성도가 증가하는 것을 억제시키는데 효과가 있으며, 세 시료 중에서 식물혼합 추출물과 흑마늘 진액 혼합물은 AST 효소 활성도 증가를 가장 효과적으로 억제하였다.
ALT 효소 활성도 또한 NC군(30.20 U/L)과 비교하여 운동 실시 군들이 39.40~45.60 U/L 활성도로 유의하게 증가되었으나, AST 활성과는 달리 운동 실시 군 간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실험예 6. 간 조직 내 글리코겐 함량
그림. 3은 6주 동안 흑마늘 진액 및 식물 혼합 추출물과 흑마늘 진액 1:8 혼합액을 투여한 후 최대운동부하를 실시한 흰 쥐의 간 조직 내 글리코겐 함량을 측정한 결과이다.
Figure pat00003
그림 3. 간조직내 글리코겐 함량
1) EC: 운동하지 않은 대조군, PC: 운동을 실시한 대조군, PC: 헛개나무 추출액 섭취 후 운동군(양성대조군), BGE: 흑마늘 농축액 섭취 후 운동군, BPM: 흑마늘농축액 : 식물혼합추출액 혼합 섭취 후 운동군
2)한군당 6마리를 실험하였음
3) p<0.05 수준에서 유의차를 검증하였음
운동 실시 군들의 글리코겐 함량은 19.46~22.12 mg/dL로 NC군(26.98 mg/dL)보다 유의하게 낮았다. 운동 실시군 내에서는 PC군이 22.12 mg/dL로 19.46 mg/dL를 보인 BGE군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EC군과 BPM군은 각각 20.20 mg/dL와 20.83 mg/dL로 PC군과 BGE군 모두와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지구성 운동 중 운동수행력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 것은 근육과 간에 저장되어 있는 글리코겐이라 할 수 있다. 또한 대다수 선행연구에서는 근글리코겐의 농도를 증가시키는 방법과 지구성운동 중에 운동수행 능력을 결정하는 근 글리코겐을 절약(glycogen sparing)시키기 위해 지방 대사를 촉진시키는 방법들이 연구되어 왔다.
실험예 7. 간 조직 내 지질 함량
흑마늘 진액 및 식물 혼합 추출물과 흑마늘 진액 1:8 혼합액을 6주 동안 투여한 후 수영으로 최대운동부하를 실시한 흰 쥐의 간 조직 내 지질(총 지질, 중성 지질 및 총 콜레스테롤) 함량을 측정한 결과이다.
총 지질 함량은 22.88~30.19 mg/g으로 실험군 중 EC군은 30.19 mg/g으로 NC군(24.63 mg/g)보다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PC군(25.33 mg/g)과 BPM군(23.31 mg/g)은 NC군과 유의차가 없었고, BGE군은 NC군보다도 유의적으로 낮은 결과를 나타내 운동 실시군 간에도 차이가 있었다.
실험군의 중성 지질 함량은 5.91~7.33 mg/g이었으며, EC군이 유의적으로 가장 높았으며 EC군을 제외한 실험군 간에는 유의차가 없었다. 총 콜레스테롤 함량은 2.61~2.96 mg/g이었으며, NC군(2.96 mg/g), EC군(2.91 mg/g)> BPM군(2.74 mg/g)> BGE군(2.62 mg/g), PC군(2.61 mg/g) 순으로 그 함량이 높았다. 상기의 결과들을 종합하면 헛개나무 과병추출 분말, 흑마늘 진액, 식물혼합 추출물과 흑마늘 진액 혼합물의 급이는 간 조직 내 지질 함량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생각된다.
간 중 총지질, 중성지질, 총 클레스테롤 농도 (mg/g)
Groups1) 총 지질 중성지질 총 콜레스테롤
NC 24.63±0.922)BC3) 5.91±0.65A 2.96±0.12C
EC 30.19±1.28D 7.33±0.70B 2.91±0.04C
PC 25.33±0.54C 5.44±0.93A 2.61±0.09A
BGE 22.88±1.19A 5.98±0.39A 2.62±0.10A
BPM 23.31±1.00AB 5.62±0.92A 2.74±0.06B
1) EC: 운동하지 않은 대조군, PC: 운동을 실시한 대조군, PC: 헛개나무 추출액 섭취 후 운동군(양성대조군), BGE: 흑마늘 농축액 섭취 후 운동군, BPM: 흑마늘농축액 : 식물혼합추출액 혼합 섭취후 운동군.
2)한군당 6마리를 실험하였음.
3) p<0.05 수준에서 유의차를 검증하였음.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식품조성물에 의할 때, 흑마늘 및 흑마늘과 식물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로회복 또는 운동수행능력 향상을 위한 식품조성물로서 항산화 활성 및 혈행개선 효과를 증진시키고 피로물질을 감소와 운동수행능력을 향상시키는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도면에 부호없음

Claims (4)

  1. 흑마늘 및 식물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로회복 또는 운동수행능력을 증강을 위한 식품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입수되는 원수를 다단의 여과필터와 역삼투막 여과를 통해 정제수를 만들어내는 정제수 제조단계;
    소정의 온도를 소정의 시간 동안 스팀과 열을 가하여 마늘을 증숙한 후, 70 내지 80℃의 온도조건으로 12 내지 15일 동안 장기숙성시키는 과정을 거친 후, 숙성장치내에서 0 내지 5℃의 온도조건으로 7 내지 14일간 저온상태에서 수분을 제거하고 단맛을 증대시키는 후숙성과정을 포함하는 흑마늘 증숙 및 숙성단계;
    상기 흑마늘 증숙 및 숙성단계를 거친 흑마늘에 상기 정제수 제조단계를 거친 정제수를 소정의 비율로 투입하여 흑마늘액을 추출한 후, 농축시켜 진액을 추출하는 흑마늘 진액 농축단계;
    수세하여 준비된 갈근, 벌나무, 헛개나무열매, 민들레 및 섬애약숙을 소정의 비율로 선정한 천연약재 원재료를 60 내지 70℃에서 2 내지 3시간, 70 내지 80℃에서 4 내지 6시간 동안 2차에 걸쳐서 스팀처리를 통한 증숙시키는 천연약재 증숙단계;
    상기 증숙단계를 거친 천연약재를 건조 과정을 거쳐서 추출 후 농축시키는 천연약재 추출 및 농축단계;를 통해서 추출되고,
    상기 제조공정에 투입되는 흑마늘 및 식물혼합물의 원료의 배합비율은 헛개나무열매 1.5 내지 3.0, 벌나무 1.5 내지 3.0, 약쑥 0.5 내지 1.5, 갈근 1.5 내지 3.0 그리고 민들레 1.5 내지 1.5의 무게비율로 구성되고,
    상기 제조공정을 통해서 추출되는 식품조성물이 액상스틱형인 경우에는,
    흑마늘 추출액 60 내지 90%(정제수 포함), 벌꿀 5 내지 15%, 식물성혼합추출액(헛개나무과병, 벌나무, 약쑥, 갈근, 민들레) 5 내지 30%, 홍삼추출액 0.1 내지 1%, 홍삼미분 0.1 내지 1%의 중량%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흑마늘 및 식물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로회복 또는 운동수행능력을 증강을 위한 식품조성물.
  2. 흑마늘 및 식물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로회복 또는 운동수행능력을 증강을 위한 식품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입수되는 원수를 다단의 여과필터와 역삼투막 여과를 통해 정제수를 만들어내는 정제수 제조단계;
    소정의 온도를 소정의 시간 동안 스팀과 열을 가하여 마늘을 증숙한 후, 70 내지 80℃의 온도조건으로 12 내지 15일 동안 장기숙성시키는 과정을 거친 후, 숙성장치내에서 0 내지 5℃의 온도조건으로 7 내지 14일간 저온상태에서 수분을 제거하고 단맛을 증대시키는 후숙성과정을 포함하는 흑마늘 증숙 및 숙성단계;
    상기 흑마늘 증숙 및 숙성단계를 거친 흑마늘에 상기 정제수 제조단계를 거친 정제수를 소정의 비율로 투입하여 흑마늘액을 추출한 후, 농축시켜 진액을 추출하는 흑마늘 진액 농축단계;
    수세하여 준비된 갈근, 벌나무, 헛개나무열매, 민들레 및 섬애약숙을 소정의 비율로 선정한 천연약재 원재료를 60 내지 70℃에서 2 내지 3시간, 70 내지 80℃에서 4 내지 6시간 동안 2차에 걸쳐서 스팀처리를 통한 증숙시키는 천연약재 증숙단계;
    상기 증숙단계를 거친 천연약재를 건조 과정을 거쳐서 추출 후 농축시키는 천연약재 추출 및 농축단계;를 통해서 추출되고,
    상기 제조공정에 투입되는 흑마늘 및 식물혼합물의 원료의 배합비율은 헛개나무열매 1.5 내지 3.0, 벌나무 1.5 내지 3.0, 약쑥 0.5 내지 1.5, 갈근 1.5 내지 3.0 그리고 민들레 1.5 내지 1.5의 무게비율로 구성되고,
    상기 제조공정을 통해서 추출되는 식품조성물이 타블렛형인 경우에는,
    흑마늘 농축분말 3 내지 30%, 식물성혼합추출액(헛개나무과병, 벌나무, 약쑥, 갈근, 민들레) 1 내지 5%, 홍삼미분 0.1 내지 1%, 정제포도당 40 내지 60%, 결정셀룰로오즈 2 내지 8%, 비타민C 2 내지 5%, 스테아린산마그네슘 1 내지 3%, 산화아연 0.1 내지 0.5%의 중량%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흑마늘 및 식물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로회복 또는 운동수행능력을 증강을 위한 식품조성물.
  3. 흑마늘 및 식물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로회복 또는 운동수행능력을 증강을 위한 식품조성물에 있어서,
    액상스틱형인 경우에는,
    흑마늘 추출액 60 내지 90%(정제수 포함), 벌꿀 5 내지 15%, 식물성혼합추출액(헛개나무과병, 벌나무, 약쑥, 갈근, 민들레) 5 내지 30%, 홍삼추출액 0.1 내지 1%, 홍삼미분 0.1 내지 1%의 중량%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흑마늘 및 식물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로회복 또는 운동수행능력을 증강을 위한 식품조성물.
  4. 흑마늘 및 식물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로회복 또는 운동수행능력을 증강을 위한 식품조성물에 있어서,
    타블렛형인 경우에는,
    흑마늘 농축분말 3 내지 30%, 식물성혼합추출액(헛개나무과병, 벌나무, 약쑥, 갈근, 민들레) 1 내지 5%, 홍삼미분 0.1 내지 1%, 정제포도당 40 내지 60%, 결정셀룰로오즈 2 내지 8%, 비타민C 2 내지 5%, 스테아린산마그네슘 1 내지 3%, 산화아연 0.1 내지 0.5%의 중량%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흑마늘 및 식물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로회복 또는 운동수행능력을 증강을 위한 식품조성물.
KR1020190043023A 2019-04-12 2019-04-12 흑마늘 및 식물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로회복 또는 운동수행능력을 증강을 위한 식품조성물 KR2020012029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3023A KR20200120296A (ko) 2019-04-12 2019-04-12 흑마늘 및 식물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로회복 또는 운동수행능력을 증강을 위한 식품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3023A KR20200120296A (ko) 2019-04-12 2019-04-12 흑마늘 및 식물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로회복 또는 운동수행능력을 증강을 위한 식품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0296A true KR20200120296A (ko) 2020-10-21

Family

ID=730344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3023A KR20200120296A (ko) 2019-04-12 2019-04-12 흑마늘 및 식물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로회복 또는 운동수행능력을 증강을 위한 식품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2029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013348B1 (en) A medicinal composition of amaranth extract origin having enriched nitrate content and a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KR102107387B1 (ko) 흑삼 추출물을 함유하는 숙취해소용 음료 조성물
JP5762693B2 (ja) 生脈散エキスを利用した生脈散豆腐の製造方法(preparingmethodofsaengmaeksanbeancurdusingsaengmaeksanextract)
KR101689652B1 (ko) 저장안정성이 우수한 음료 제조방법
JP6446162B1 (ja) 二日酔い解消用組成物
KR20070105486A (ko) 간 기능 개선과 숙취해소용 차 및 그 제조방법
KR101371143B1 (ko) 클로렐라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기능 개선 또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KR101663379B1 (ko) 효모 및 천연효소를 이용한 발효삼채 제조 및 혼합음료 제조방법
KR101394358B1 (ko) 숙취 해소용 조성물
KR100969460B1 (ko) 산겨릅나무를 주재료로 한 숙취해소용 음료의 제조방법
CN110810693A (zh) 一种含有显齿蛇葡萄的饮料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101930026B1 (ko) 간기능 개선에 효능이 있는 흑마늘 음료의 제조공법
KR20130130131A (ko) 흑마늘 발효 식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113603B1 (ko) 간기능 개선 및 숙취해소 증진 기능을 가지는 한방복합제재 조성물(dts20, dts21)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322279B1 (ko) 천마 엑기스를 함유하는 기능성 음료 및 그 제조방법
KR102487459B1 (ko) 발효하수오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기능성 건강식품의 제조방법과 이에 의해 제조된 항산화 기능성 건강식품
KR20200120296A (ko) 흑마늘 및 식물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로회복 또는 운동수행능력을 증강을 위한 식품조성물
KR102050554B1 (ko) 숙취해소용 액상차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391647B1 (ko) 항비만 조성물
KR101935861B1 (ko) 숙취해소 및 간 기능 개선용 건강 기능성 식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CN111096344A (zh) 一种具有缓解酒精性肝损伤功能的夹心饼干及其制备方法
KR101880239B1 (ko) 젖산발효물을 이용한 쑥식초 및 그 제조방법
KR20070097386A (ko) 당귀, 송이버섯을 첨가한 저염 된장 및 그 제조방법
KR20210002221A (ko) 노니가 함유된 홍삼 가공품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69936B1 (ko) 숙취 해소용 음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