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18196A - 무선 백홀 통신 처리 방법 및 관련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무선 백홀 통신 처리 방법 및 관련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18196A
KR20200118196A KR1020207026172A KR20207026172A KR20200118196A KR 20200118196 A KR20200118196 A KR 20200118196A KR 1020207026172 A KR1020207026172 A KR 1020207026172A KR 20207026172 A KR20207026172 A KR 20207026172A KR 20200118196 A KR20200118196 A KR 202001181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backhaul
network
side device
backhaul device
wirel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261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16256B1 (ko
Inventor
징 류
밍쩡 다이
위안핑 주
Original Assignee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001181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81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62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62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5Setup of multiple wireless link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 H04W74/0833Random access procedures, e.g. with 4-step acc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5Setup of multiple wireless link connections
    • H04W76/16Involving different core network technologies, e.g. a packet-switched [PS] bearer in combination with a circuit-switched [CS] bear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2Processing or transfer of terminal data, e.g. status or physical capabilities
    • H04W8/24Transfer of terminal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16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 H04W92/20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between access poi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5Access point devices with remote compon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출원의 실시예들은 무선 백홀 통신 처리 방법 및 관련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이 방법에서, 무선 백홀 디바이스에 대한 보조 액세스 디바이스를 추가하기로 결정한 후에, 제1 네트워크측 디바이스는 무선 백홀 디바이스에 관한 능력 표시 정보를 보조 액세스 디바이스에 전송하여, 무선 백홀 디바이스가 보조 액세스 디바이스에 대한 무선 링크를 확립하게 한다.

Description

무선 백홀 통신 처리 방법 및 관련 디바이스
본 출원은 2018년 2월 14일자로 출원된 이전 출원 제201810153124.1호에 대해 우선권을 주장하며, 참조로 본 명세서에 포함된다.
본 출원의 실시예들은 무선 통신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무선 백홀(backhaul) 통신 처리 기술에 관한 것이다.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백홀 디바이스는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예를 들어, 기지국)에 전송되거나 네트워크측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되는 무선 신호를 포워딩 및 증폭하여, 신호 커버리지를 확장하고 단말기측 디바이스가 신호 커버리지의 에지에 위치할 때 단말기측 디바이스의 신호 대 잡음비를 증가시키고, 그에 의해 데이터 송신 품질을 향상시킨다.
롱 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 무선 통신 시스템에 대한 3세대 파트너쉽 프로젝트(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3GPP)에 의해 공식화된 사양의 릴리즈 10에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워 온된 후에, 무선 백홀 디바이스는 먼저 공통 단말기측 디바이스로서, 랜덤 액세스(random access) 프로세스를 통해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에 대한 접속을 확립하여, 무선 백홀 디바이스가 액세스하도록 허용되는 모든 셀들의 리스트를 획득한다. 그 후, 무선 백홀 디바이스는 현재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와의 접속을 끊고, 리스트로부터 셀을 선택하고, 랜덤 액세스를 재시작하고, 접속이 확립될 때, 셀이 속하는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에 표시 정보를 전송한다. 표시 정보는 무선 백홀 디바이스가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에 액세스하는 것을 표시하고, 무선 백홀 디바이스의 무선 링크에 대한 송신 시간 단위 구성을 수행하라고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에 요청하는데 사용된다. 또한, 무선 백홀 디바이스는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와의 X2 인터페이스 및 S1 인터페이스의 설정을 추가로 트리거한다. 네트워크에 액세스한 후에, 무선 백홀 디바이스는 무선 백홀 디바이스의 작동, 관리 및 유지보수(Operations, Administration, and Maintenance, OAM) 시스템으로부터 셀 식별자를 획득하여, 무선 백홀 디바이스가 단말기측 디바이스에 대한 신호 커버리지를 제공하기 위한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의 셀의 역할을 한다.
3GPP 사양의 릴리즈 15에서, 새로운 무선(new radio, NR) 통신 시스템(5G 시스템으로도 지칭됨)의 처음 논의된 배치 시나리오는 비-독립형(non-standalone) 배치 시나리오이다. 구체적으로, 제1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예를 들어, LTE 기지국)는 주 액세스 디바이스의 역할을 하고, 제2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예를 들어, 비-독립형 NR 기지국)는 단말기측 디바이스의 이중 접속(적어도 2개의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에 접속)을 구현하기 위해 보조 액세스 디바이스의 역할을 한다. 비-독립형 배치 시나리오에서, 단말기측 디바이스가 보조 액세스 디바이스를 통해 송신하는 데이터를 백홀하기 위해 무선 백홀 디바이스가 도입됨으로써, 데이터 송신 성능을 향상시킨다. 따라서, 비-독립형 배치 시나리오에서, 무선 백홀 디바이스가 제2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에 액세스하게 하는 방법은 해결될 긴급한 문제이다.
전술한 기술적 문제를 고려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들은 무선 백홀 통신 처리 방법 및 관련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본 출원의 제1 양태는 무선 백홀 통신 처리 방법을 제공하며, 이 방법은:
제2 네트워크측 디바이스를 무선 백홀 디바이스의 보조 액세스 디바이스로서 결정한 후에, 제1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에 의해, 제1 정보를 제2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제1 정보는: 무선 백홀 디바이스가 액세스를 수행하는지, 무선 백홀 디바이스가 비-독립형 non-standalone 디바이스 또는 독립형 standalone 디바이스인지, 무선 백홀 디바이스가 전이중 모드 또는 반이중 모드를 지원하는지, 무선 백홀 디바이스가 대역내 백홀 기능 또는 대역외 백홀 기능을 지원하는지, 및 무선 백홀 디바이스가 패킷 데이터 수렴 프로토콜 PDCP 계층 위의 데이터 포워딩 기능 또는 PDCP 계층에서의 그리고 그 아래의 데이터 포워딩 기능을 지원하는지를 표시하는 표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제1 양태에서 제공된 기술적 해결책에 따르면, 무선 백홀 디바이스의 보조 액세스 디바이스를 결정한 후에, 제1 네트워크측 디바이스는 무선 백홀 디바이스에 관한 능력 표시 정보를 보조 액세스 디바이스에 전송하여, 무선 백홀 디바이스가 보조 액세스 디바이스에 대한 무선 링크를 확립하게 한다.
선택적으로, 방법은: 제1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에 의해, 제2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에 의해 생성된 구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고, 구성 정보는 무선 백홀 디바이스와 제2 네트워크측 디바이스 사이의 무선 링크를 구성하는데 사용된다. 이 선택적 구현에서, 무선 백홀 디바이스가 제2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에 액세스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알았을 때, 제2 네트워크측 디바이스는 무선 백홀 디바이스에 대한 무선 링크를 구성하여, 무선 백홀 디바이스가 제2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에 액세스하게 한다.
선택적으로, 구성 정보는 무선 링크의 송신 시간 단위 구성 및 무선 백홀 디바이스의 셀 식별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이 선택적 구현에서, 구성 정보 내의 가능한 구성된 내용이 열거된다.
선택적으로, 방법은: 제1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에 의해, 제1 정보를 제2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에 전송하는 단계 이전에, 제1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무선 백홀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된 제2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고, 제2 정보는: 무선 백홀 디바이스가 액세스를 수행하는지, 무선 백홀 디바이스가 이중 접속 기능을 지원하는지, 무선 백홀 디바이스가 비-독립형 디바이스 또는 독립형 디바이스인지, 무선 백홀 디바이스가 전이중 모드 또는 반이중 모드를 지원하는지, 무선 백홀 디바이스가 대역내 백홀 기능 또는 대역외 백홀 기능을 지원하는지, 및 무선 백홀 디바이스가 패킷 데이터 수렴 프로토콜 PDCP 계층 위의 데이터 포워딩 기능 또는 PDCP 계층에서의 그리고 그 아래의 데이터 포워딩 기능을 지원하는지를 표시하는 표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이 가능한 구현에서, 무선 백홀 디바이스는 무선 백홀 디바이스에 관한 능력 표시를 제1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에 전송하여, 제1 네트워크측 디바이스가 무선 백홀 디바이스에 대한 보조 액세스 디바이스를 결정하게 하여 비-독립형 시나리오에서 이중 접속을 구현하는 것을 돕는다.
선택적으로, 본 방법은: 제1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제2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된 제3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고, 제3 정보는 제2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와 무선 백홀 디바이스의 셀 사이의 연관 관계, 제2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의 셀과 무선 백홀 디바이스의 셀 사이의 연관 관계, 또는 제2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의 셀과 무선 백홀 디바이스 사이의 연관 관계를 표시한다. 이 선택적 구현에서, 제1 네트워크측 디바이스는, 제2 네트워크측 디바이스로부터, 무선 백홀 디바이스가 제2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에 접속할 때 존재하는 연관 관계를 알고, 제1 네트워크측 디바이스가 시스템 관리를 최적화하게 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들의 제2 양태는 무선 백홀 통신 처리 방법을 제공하며, 이 방법은:
무선 백홀 디바이스에 의해, 제1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에 대한 랜덤 액세스 프로세스를 개시하는 단계; 및
무선 백홀 디바이스에 의해, 랜덤 액세스 프로세스에서 또는 랜덤 액세스 프로세스가 완료된 후에:
무선 백홀 디바이스가 액세스를 수행하는지, 무선 백홀 디바이스가 이중 접속 기능을 지원하는지, 무선 백홀 디바이스가 비-독립형 non-standalone 디바이스 또는 독립형 standalone 디바이스인지, 무선 백홀 디바이스가 전이중 모드 또는 반이중 모드를 지원하는지, 무선 백홀 디바이스가 대역내 백홀 기능 또는 대역외 백홀 기능을 지원하는지, 및 무선 백홀 디바이스가 패킷 데이터 수렴 프로토콜 PDCP 계층 위의 데이터 포워딩 기능 또는 PDCP 계층에서의 그리고 그 아래의 데이터 포워딩 기능을 지원하는지를 표시하는 표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제1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2 양태에서 제공된 기술적 해결책에 따르면, 무선 백홀 디바이스는 무선 백홀 디바이스에 관한 능력 표시를 제1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에 전송하여, 제1 네트워크측 디바이스가 무선 백홀 디바이스에 대한 보조 액세스 디바이스를 결정하게 하여 비-독립형 시나리오에서 이중 접속을 구현하는 것을 돕는다.
선택적으로, 무선 백홀 디바이스가 이중 접속 기능을 지원할 때, 이 방법은: 무선 백홀 디바이스에 의해, 제2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에 의해 생성된 구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고, 구성 정보는 무선 백홀 디바이스와 제2 네트워크측 디바이스 사이의 무선 링크를 구성하는데 사용된다. 이 선택적 구현에서, 무선 백홀 디바이스는 제2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에 의해 생성된 구성 정보를 사용하여 제2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에 대한 무선 링크를 확립하여 제2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에 액세스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구성 정보는 무선 링크의 송신 시간 단위 구성 및 무선 백홀 디바이스의 셀 식별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이 선택적 구현에서, 구성 정보 내의 가능한 구성된 내용이 열거된다.
선택적으로, 제2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에 액세스한 후에, 무선 백홀 디바이스는 제2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와 무선 백홀 디바이스의 셀 사이의 연관 관계, 제2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의 셀과 무선 백홀 디바이스의 셀 사이의 연관 관계, 또는 제2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의 셀과 무선 백홀 디바이스 사이의 연관 관계를 제2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에게 통지하여, 무선 백홀 디바이스가 제2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의 신호 커버리지를 확장하게 한다.
선택적으로, 무선 백홀 디바이스는 연관 관계를 제1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에게 통지하여, 제1 네트워크측 디바이스가 무선 백홀 디바이스가 제2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에 액세스하여 제2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의 신호 커버리지를 확장한다는 것을 알게 한다.
본 출원의 제3 양태는 무선 백홀 통신 처리 방법을 제공하며, 이 방법은:
무선 백홀 디바이스에 의해, 제2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된 시스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시스템 정보는 다음의 표시 정보: 무선 백홀 디바이스의 액세스를 허용하는 표시, 및 제2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에 액세스하기 위해 무선 백홀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되는 랜덤 액세스 자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 -; 및 무선 백홀 디바이스에 의해, 표시 정보에 기초하여 제2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에 대한 랜덤 액세스 프로세스를 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3 양태에서 제공된 기술적 해결책에 따르면, 무선 백홀 디바이스는 제2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된 시스템 정보 내의 표시에 기초하여 제2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에 액세스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방법은: 무선 백홀 디바이스에 의해, 랜덤 액세스 프로세스에서 또는 랜덤 액세스 프로세스가 완료된 후에:
무선 백홀 디바이스가 액세스를 수행하는지, 무선 백홀 디바이스가 비-독립형 non-standalone 디바이스 또는 독립형 standalone 디바이스인지, 무선 백홀 디바이스가 전이중 모드 또는 반이중 모드를 지원하는지, 무선 백홀 디바이스가 대역내 백홀 기능 또는 대역외 백홀 기능을 지원하는지, 및 무선 백홀 디바이스가 패킷 데이터 수렴 프로토콜 PDCP 계층 위의 데이터 포워딩 기능 또는 PDCP 계층에서의 그리고 그 아래의 데이터 포워딩 기능을 지원하는지를 표시하는 표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제2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에 전송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이러한 선택적 구현에서, 무선 백홀 디바이스는 기능 표시를 제2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에 전송하여, 제2 네트워크측 디바이스가 무선 백홀 디바이스에 관한 기본 정보를 알도록 도움으로써, 무선 링크를 확립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방법은: 무선 백홀 디바이스에 의해, 통지를 제2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에 전송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고, 통지는 제2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와 무선 백홀 디바이스의 셀 사이의 연관 관계, 제2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의 셀과 무선 백홀 디바이스의 셀 사이의 연관 관계, 또는 제2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의 셀과 무선 백홀 디바이스 사이의 연관 관계를 표시한다. 이 선택적 구현에서, 무선 백홀 디바이스는 무선 백홀 디바이스가 제2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에 액세스할 때 존재하는 연관 관계를 통지하여, 무선 링크가 확립된 후에 이중 접속을 구현하는 것을 돕는다.
본 출원의 실시예들의 제4 양태는 무선 백홀 디바이스를 제공하고, 이 무선 백홀 디바이스는:
제2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에 의해, 시스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시스템 정보는 다음의 표시 정보: 무선 백홀 디바이스의 액세스를 허용하는 표시, 및 제2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에 액세스하기 위해 무선 백홀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되는 랜덤 액세스 자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 -; 및 제2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에 의해, 표시 정보에 기초하여 무선 백홀 디바이스와의 랜덤 액세스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4 양태에서 제공되는 기술적 해결책에 따르면, 제2 네트워크측 디바이스는 시스템 정보를 사용하여, 무선 백홀 디바이스가 제2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에 액세스할 때 사용되는 랜덤 액세스 자원과 무선 백홀 디바이스의 액세스가 허용된다는 것을 표시하여, 무선 백홀 디바이스가 제2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에 액세스하게 한다.
선택적으로, 본 방법은: 제2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에 의해, 랜덤 액세스 프로세스에서 또는 랜덤 액세스 프로세스가 완료된 후에, 무선 백홀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되는, 다음 표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고, 표시 정보는:
무선 백홀 디바이스가 액세스를 수행하는지, 무선 백홀 디바이스가 비-독립형 non-standalone 디바이스 또는 독립형 standalone 디바이스인지, 무선 백홀 디바이스가 전이중 모드 또는 반이중 모드를 지원하는지, 무선 백홀 디바이스가 대역내 백홀 기능 또는 대역외 백홀 기능을 지원하는지, 및 무선 백홀 디바이스가 패킷 데이터 수렴 프로토콜 PDCP 계층 위의 데이터 포워딩 기능 또는 PDCP 계층에서의 그리고 그 아래의 데이터 포워딩 기능을 지원하는지를 표시하는 표시 정보이다. 이 선택적 구현에서, 무선 백홀 디바이스는 무선 백홀 디바이스에 관한 능력 표시를 제2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에 전송하여, 무선 링크가 제2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와 무선 백홀 디바이스 사이에 설정되게 하여, 비-독립형 시나리오에서 이중 접속을 구현하는 것을 돕는다.
선택적으로, 본 방법은: 제2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에 의해, 랜덤 액세스 프로세스에서 또는 랜덤 액세스 프로세스가 완료된 후에, 무선 백홀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된 통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고, 통지는 제2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와 무선 백홀 디바이스의 셀 사이의 연관 관계, 제2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의 셀과 무선 백홀 디바이스의 셀 사이의 연관 관계, 또는 제2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의 셀과 무선 백홀 디바이스 사이의 연관 관계를 표시한다. 이 선택적 구현에서, 무선 백홀 디바이스는 무선 백홀 디바이스가 제2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에 액세스할 때 존재하는 연관 관계를 통지하여, 무선 링크가 확립된 후에 이중 접속을 구현하는 것을 돕는다.
선택적으로, 본 방법은: 제2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에 의해, 통지를 제1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에 전송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고, 통지는 제2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와 무선 백홀 디바이스의 셀 사이의 연관 관계, 제2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의 셀과 무선 백홀 디바이스의 셀 사이의 연관 관계, 또는 제2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의 셀과 무선 백홀 디바이스 사이의 연관 관계를 표시한다. 이 선택적 구현에서, 제2 네트워크측 디바이스는 무선 백홀 디바이스가 제2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에 액세스할 때 존재하는 연관 관계를 제1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에게 통지하여, 이중 접속을 구현하는 것을 돕는다.
본 출원의 실시예들의 제5 양태는 네트워크측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네트워크측 디바이스는 수신 유닛, 처리 유닛, 및 전송 유닛을 포함한다. 수신 유닛은 제1 양태, 제1 양태의 가능한 구현들, 제4 양태, 및 제4 양태의 가능한 구현들 중 어느 하나에서 수신 액션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처리 유닛은, 제1 양태, 제1 양태의 가능한 구현들, 제4 양태, 및 제4 양태의 가능한 구현들 중 어느 하나에서, 결정 액션과 같은 처리 액션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전송 유닛은 제1 양태, 제1 양태의 가능한 구현들, 제4 양태, 및 제4 양태의 가능한 구현들 중 어느 하나에서, 전송 액션과 같은 액션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특정한 물리적 구현에서, 수신 유닛은 수신 회로 또는 수신기일 수 있고, 처리 유닛은 처리 회로 또는 프로세서일 수 있으며, 전송 유닛은 전송 회로 또는 송신기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네트워크측 디바이스는 독립적 네트워크 디바이스일 수 있거나, 또는 네트워크측 디바이스 내의 칩 또는 회로 시스템일 수 있다. 칩 또는 회로 시스템은 전술한 기능 유닛들의 기능들을 구현하기 위한 복수의 게이트 회로를 포함한다. 제5 양태에서 제공된 네트워크측 디바이스는 제1 양태, 제1 양태의 가능한 구현들, 제4 양태, 및 제4 양태의 가능한 구현들 중 어느 하나에서 달성되는 유리한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세부사항은 다시 설명되지 않는다.
본 출원의 실시예들의 제6 양태는 무선 백홀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무선 백홀 디바이스는 수신 유닛, 처리 유닛, 및 전송 유닛을 포함한다. 수신 유닛은 제2 양태, 제2 양태의 가능한 구현들, 제3 양태, 및 제3 양태의 가능한 구현들 중 어느 하나에서 수신 액션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처리 유닛은 제1 양태, 제1 양태의 가능한 구현들, 제3 양태, 및 제3 양태의 가능한 구현들 중 어느 하나에서, 결정 액션과 같은 처리 액션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전송 유닛은 제1 양태, 제1 양태의 가능한 구현들, 제3 양태, 및 제3 양태의 가능한 구현들 중 어느 하나에서, 전송 액션과 같은 액션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특정한 물리적 구현에서, 수신 유닛은 수신 회로 또는 수신기일 수 있고, 처리 유닛은 처리 회로 또는 프로세서일 수 있으며, 전송 유닛은 전송 회로 또는 송신기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네트워크측 디바이스는 독립적 네트워크 디바이스일 수 있거나, 또는 네트워크측 디바이스 내의 칩 또는 회로 시스템일 수 있다. 칩 또는 회로 시스템은 전술한 기능 유닛들의 기능들을 구현하기 위한 복수의 게이트 회로를 포함한다. 제6 양태에서 제공된 네트워크측 디바이스는 제1 양태, 제1 양태의 가능한 구현들, 제3 양태, 및 제3 양태의 가능한 구현들 중 어느 하나에서 달성되는 유리한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세부사항은 다시 설명되지 않는다.
본 출원의 실시예들의 제7 양태는 네트워크측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네트워크측 디바이스는 전송 유닛 및 수신 유닛을 포함한다. 전송 유닛은 제2 양태 및 제2 양태의 가능한 구현들 중 어느 하나에서 전송 액션을 수행하도록 구성되고, 수신 유닛은 제2 양태 및 제2 양태의 가능한 구현들 중 어느 하나에서 수신 액션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특정한 물리적 구현에서, 전송 유닛은 전송 회로일 수 있고, 수신 유닛은 수신 회로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네트워크측 디바이스는 독립적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예를 들어, 기지국)일 수 있거나, 또는 네트워크측 디바이스 내의 칩 또는 회로 시스템일 수 있다. 칩 또는 회로 시스템은 전술한 기능 유닛들의 기능들을 구현하기 위한 복수의 게이트 회로를 포함한다. 제4 양태에서 제공되는 통신 처리 장치는 제2 양태 및 제2 양태의 가능한 구현들 중 어느 하나에서 달성되는 유리한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세부사항은 다시 설명되지 않는다.
본 출원의 실시예들의 제8 양태는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포함하는 통신 처리 장치를 제공한다. 메모리는 명령어 코드를 저장하고, 코드가 프로세서에 의해 호출될 때, 제1 양태, 제2 양태, 제3 양태, 제4 양태, 및 가능한 구현들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방법이 구현된다. 선택적으로, 제8 양태에서 제공되는 통신 처리 장치는 칩 시스템, 또는 칩 시스템을 포함하는 네트워크측 디바이스 또는 무선 백홀 디바이스일 수 있다. 제8 양태에서 제공되는 통신 처리 장치는 전술한 양태들 및 가능한 구현들 중 어느 하나에서 달성되는 유리한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세부사항은 다시 설명되지 않는다.
본 출원의 제9 양태는 컴퓨터 저장 매체를 제공한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코드를 저장하고, 코드는 전술한 양태들 및 가능한 구현들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방법을 구현하는데 사용된다. 제9 양태에서 제공되는 컴퓨터 저장 매체는 칩 시스템, 또는 칩 시스템을 포함하는 네트워크측 디바이스 또는 무선 백홀 디바이스에 포함될 수 있다. 제6 양태에서 제공되는 컴퓨터 저장 매체는 전술한 양태들 및 가능한 구현들 중 어느 하나에서 달성되는 유리한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세부사항은 다시 설명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백홀 디바이스에 의해 무선 통신 시스템에 액세스하는 개략적인 상호작용 도면이다.
도 2a는 본 출원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아키텍처의 개략도이다.
도 2b는 본 출원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도 2a에 도시된 시스템 아키텍처에 기초한 시스템 상호작용의 개략도이다.
도 2c는 본 출원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무선 백홀 디바이스에 의해 표시 정보를 전송하는 가능한 구현을 도시한다.
도 2d는 본 출원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무선 백홀 디바이스에 의해 표시 정보를 전송하는 다른 가능한 구현을 도시한다.
도 3a는 본 출원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아키텍처의 개략도이다.
도 3b는 본 출원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도 3a에 도시된 시스템 아키텍처에 기초한 시스템 상호작용의 개략도이다.
도 4a는 본 출원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아키텍처의 개략도이다.
도 4b는 본 출원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도 4a에 도시된 시스템 아키텍처에 기초한 시스템 상호작용의 개략도이다.
도 4c는 본 출원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도 4a에 기초한 프로토콜 스택의 개략적인 아키텍처 도면이다.
도 4d는 본 출원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도 4a에 기초한 다른 프로토콜 스택의 개략적인 아키텍처 도면이다.
도 5a는 본 출원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아키텍처의 개략도이다.
도 5b는 본 출원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도 5a에 도시된 시스템 아키텍처에 기초한 시스템 상호작용의 개략도이다.
도 5c는 본 출원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도 5a에 기초한 프로토콜 스택의 개략적인 아키텍처 도면이다.
도 6은 본 출원의 제5 실시예에 따른 통신 처리 디바이스의 유닛들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7은 본 출원의 제5 실시예에 따른 통신 처리 디바이스의 하드웨어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본 출원의 실시예들에서, 무선 통신 시스템은 네트워크측 디바이스 및 무선 백홀 디바이스를 포함하고, 선택적으로, 단말기측 디바이스 및 코어 네트워크측 디바이스들(코어 네트워크 제어 평면 디바이스 및 코어 네트워크 사용자 평면 디바이스를 포함함)을 추가로 포함한다. 네트워크측 디바이스는 기지국 또는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와 같은 다양한 송신 수신 포인트들(transmission reception point, TRP)일 수 있고, 허가 스펙트럼에서의 액세스 서비스 또는 비허가 스펙트럼에서의 액세스 서비스를 제공한다. 네트워크측 디바이스는 유선 또는 무선 방식으로 코어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에 접속된다. 무선 백홀 디바이스는 기지국 또는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일 수 있고, 데이터 백홀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네트워크측 디바이스는 단말기측 디바이스에 대한 서비스를 직접 제공할 수 있거나, 또는 무선 백홀 디바이스를 통해 단말기측 디바이스에 대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와 무선 백홀 디바이스 사이의 링크는 무선 링크이고, 무선 백홀 디바이스와 단말기측 디바이스 사이의 링크는 액세스 링크이다. LTE 시스템에서, 무선 백홀 디바이스는 릴레이(relay)라고도 지칭된다. NR 시스템에서, 무선 백홀 디바이스는 통합된 액세스 및 백홀(integrated access and backhaul, IAB) 노드라고도 지칭된다. LTE 시스템에서, 기지국은 진화된 NodeB(evolved node B, eNB)이다. NR 시스템에서, 기지국은 차세대 노드 B(generation node B, gNB)이다. 네트워크측 디바이스는 프로토콜 계층들에 기초하여 무선 백홀 디바이스 또는 단말기측 디바이스와 통신할 수 있다. 프로토콜 계층들은 물리적(physical, PHY) 계층, 매체 액세스 제어(media access control, MAC) 계층, 무선 링크 제어(radio link control, RLC) 계층, 패킷 데이터 수렴 프로토콜(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PDCP) 계층, 무선 자원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RRC) 계층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비-액세스 계층(non-access stratum, NAS) 계층은 무선 백홀 디바이스 또는 단말기측 디바이스와 코어 네트워크측 디바이스 사이에 추가로 포함된다.
네트워크측 디바이스는 독립적인 디바이스로서 사용될 수 있거나, 프로토콜 계층들에 기초하여 상이한 디바이스들로 분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측 디바이스가 프로토콜 계층들에 기초하여 분할된 후에, 네트워크측 디바이스는 하나의 제어 유닛(control unit, CU) 및 적어도 하나의 분산 유닛(distributed unit, DU)을 포함할 수 있다. CU는 PDCP 계층, RRC 계층, 및 PDCP 계층 또는 RRC 계층 위의 프로토콜 계층에서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의 기능들을 구현하도록 구성된다. DU는 RLC 계층, MAC 계층, 및 PHY 계층에서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의 기능들을 구현하도록 구성된다.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다음의 구현들에서, PDCP 계층, RRC 계층, 또는 PDCP 계층 또는 RRC 계층 위의 프로토콜 계층에서의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의 기능이 CU에 의해 수행될 수 있고, RLC 계층, MAC 계층, 또는 PHY 계층에서의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의 기능이 적어도 하나의 DU에 의해 수행된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들에서, 물리적 구현의 관점에서, 무선 백홀 디바이스는 기지국 또는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일 수 있거나, 또는 기지국 내의 또는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 내의 칩 또는 회로 시스템일 수 있다. 네트워크측 디바이스는 기지국 또는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일 수 있거나, 기지국 내의 또는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 내의 칩 또는 회로 시스템일 수 있다. 네트워크측 디바이스는 비-독립형 네트워크측 디바이스 및 독립형 네트워크측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무선 백홀 디바이스는 비-독립형 네트워크측 디바이스 및 독립형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에 동시에 접속될 수 있음으로써, 이중 접속을 구현한다. 그러나, 비-독립형 네트워크측 디바이스는 시스템 메시지를 사용하여, 단말기측 디바이스가 비-독립형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에 캠프 온하는 것을 금지하도록 표시하고 있기 때문에, 무선 백홀 디바이스는 비-독립형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에 캠프 온할 수 없고, 그 결과 무선 백홀 디바이스는 네트워크에 액세스할 수 없고 따라서 단말기측 디바이스에 대한 데이터 백홀을 제공할 수 없다.
본 출원의 제1 실시예는 무선 백홀 통신 처리 방법을 제공한다. 도 2a에 도시된 시스템 아키텍처의 개략도 및 도 2b에 도시된 시스템 상호작용의 개략도는 다음의 내용을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서, 무선 백홀 디바이스는 제2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에 대한 무선 링크를 확립하고, 제2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와 제1 네트워크측 디바이스를 통해, 제1 네트워크측 디바이스가 위치하는 네트워크의 코어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에 접속한다.
201: 무선 백홀 디바이스는 제1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에 대한 랜덤 액세스 프로세스를 개시한다.
202: 무선 백홀 디바이스는 랜덤 액세스 프로세스에서 또는 랜덤 액세스 프로세스가 완료된 후에:
무선 백홀 디바이스가 액세스를 수행하는지, 무선 백홀 디바이스가 이중 접속 기능을 지원하는지, 무선 백홀 디바이스가 비-독립형 디바이스 또는 독립형 디바이스인지, 무선 백홀 디바이스가 전이중 모드 또는 반이중 모드를 지원하는지, 무선 백홀 디바이스가 대역내 백홀 기능 또는 대역외 백홀 기능을 지원하는지, 및 무선 백홀 디바이스가 패킷 데이터 수렴 프로토콜 PDCP 계층 위의 데이터 포워딩 기능 또는 PDCP 계층에서의 그리고 그 아래의 데이터 포워딩 기능을 지원하는지를 표시하는 표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제1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에 전송한다.
독립형 디바이스는 독립적으로 존재할 수 있는 디바이스이고, 단말기측 디바이스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으며, 단말기측 디바이스에 제어 평면 종단간 접속(control plane end-to-end connectivity) 및 사용자 평면 종단간 접속(user plane end-to-end connectivity)을 제공할 수 있다. 비-독립형 디바이스는 독립적으로 존재할 수 없는 디바이스이고, 독립형 디바이스와 함께일 때만, 단말 디바이스에 대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비-독립형 디바이스는 유휴 상태의 단말기측 디바이스가 비-독립형 디바이스에 캠프 온하도록 허용하지 않고, 유휴 상태의 단말 디바이스가 비-독립형 디바이스의 셀에서 랜덤 액세스를 개시하도록 허용하지 않는다.
전이중 모드에서는, 무선 백홀 디바이스가 동시 전송 및 수신 동작들을 지원한다. 반이중 모드에서는, 무선 백홀 디바이스가 동시 전송 및 수신 동작을 지원하지 않으며, 즉, 동일한 순간에, 무선 백홀 디바이스는 수신 동작을 수행하거나 전송 동작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무선 백홀 디바이스는 전이중 모드가 지원되는지를 표시하기 위해 부울 타입의 표시 정보를 사용할 수 있다. 부울 타입이 예일 때, 전이중 모드가 지원되거나; 또는 부울 타입이 아니오일 때, 반이중 모드는 디폴트로 지원된다. 대안적으로, 무선 백홀 디바이스는 열거 타입의 표시 정보{전이중, 반이중}를 사용하고, 그 중 하나를 선택하여 전이중 모드 또는 반이중 모드가 현재 지원되는지를 표시한다.
대역내 백홀 기능이 지원될 때, 무선 백홀 디바이스와 액세스된 네트워크측 디바이스 사이의 무선 링크 및 단말기측 디바이스에 액세스하는데 사용되는 무선 링크는 (인접한 주파수들 사이의 주파수 차이가 임계값보다 작은) 인접한 주파수들 또는 동일 주파수 상에서 동작한다. 대역외 백홀 기능이 지원될 때, 무선 백홀 디바이스와 액세스된 네트워크측 디바이스 사이의 무선 링크 및 단말기측 디바이스에 액세스하는데 사용되는 무선 링크는 주파수 차이가 임계값보다 큰 주파수들 또는 상이한 주파수들에서 동작한다. 구체적으로, 무선 백홀 디바이스는 대역내 백홀 기능이 지원되는지를 표시하기 위해 부울 타입의 표시 정보를 사용할 수 있다. 부울 타입이 예일 때, 대역내 백홀 기능이 지원되거나; 또는 부울 타입이 아니오일 때, 대역외 백홀 기능이 지원된다. 대안적으로, 무선 백홀 디바이스는 열거 타입의 표시 정보{대역내 백홀, 대역외 백홀}를 사용하고 그 중 하나를 선택하여 대역내 백홀 기능 또는 대역외 백홀 기능이 현재 지원되는지를 표시한다.
PDCP 계층 위의 데이터 포워딩 기능은 PDCP 서비스 데이터 유닛(service data unit, SDU) 또는 IP 패킷에 기초한 데이터 포워딩을 지칭하고, PDCP 계층 위의 데이터 포워딩 기능을 지원하는 무선 백홀 디바이스는 3GPP 표준들에 명시된 L3 무선 백홀 장치이다. PDCP 계층에서의 그리고 그 아래의 데이터 포워딩 기능은 PDCP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protocol data unit, PDU), RLC PDU 등에 기초한 데이터 포워딩을 지칭하고, PDCP 계층에서의 그리고 그 아래의 데이터 포워딩 기능을 지원하는 무선 백홀 디바이스는 3GPP 표준들에 명시된 L2 무선 백홀 디바이스이다. 구체적으로, 무선 백홀 디바이스는 무선 백홀 디바이스가 L2 무선 백홀 디바이스인지를 표시하기 위해 부울 타입의 표시 정보를 사용할 수 있다. 부울 타입이 예일 때, 무선 백홀 디바이스는 L2 무선 백홀 디바이스이거나; 또는 부울 타입이 아니오일 때, 무선 백홀 디바이스는 L3 무선 백홀 디바이스이다. 대안적으로, 무선 백홀 디바이스는 열거 타입의 표시 정보{L2, L3}를 사용하고, 그 중 하나를 선택하여 무선 백홀 디바이스가 L2 무선 백홀 디바이스인지 또는 L3 무선 백홀 디바이스인지를 표시한다.
201에서, 무선 백홀 디바이스는 제1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에 대한 랜덤 액세스 프로세스를 개시하고, 무선 백홀 디바이스는 랜덤 액세스 프로세스를 통해 제1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에 대한 RRC 접속을 확립한다. 또한, 무선 백홀 디바이스는 제1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와 제1 네트워크측 디바이스가 위치하는 네트워크의 코어 네트워크 제어 평면 디바이스에 대한 제어 평면 접속을 확립하고, 무선 백홀 디바이스는 제1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와 제1 네트워크측 디바이스가 위치하는 네트워크 내의 코어 네트워크 사용자 평면 디바이스에 대한 사용자 평면 접속을 확립한다. 무선 백홀 디바이스에 대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코어 네트워크 사용자 평면 디바이스는 제1 네트워크측 디바이스 내부에 배치될 수 있거나, 또는 제1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의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202에서, 무선 백홀 디바이스는 표시 정보를 제1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에 전송하여, 제1 네트워크측 디바이스가 무선 백홀 디바이스가 제1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에 액세스한다는 것을 알 수 있게 할 수 있고, 무선 백홀 디바이스의 능력 정보, 예를 들어, 이중 접속 기능이 지원되는지, 무선 백홀 디바이스가 독립형 디바이스 또는 비-독립형 디바이스인지, 전이중 모드 또는 반이중 모드가 지원되는지, 대역내 백홀 기능 또는 대역외 백홀 기능이 지원되는지, 및 패킷 데이터 수렴 프로토콜 PDCP 계층 위의 데이터 포워딩 기능 또는 PDCP 계층에서의 그리고 그 아래의 데이터 포워딩 기능이 지원되는지를 알 수 있게 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무선 백홀 디바이스가 LTE-NR 이중 접속 기능을 지원할 때, 제1 네트워크측 디바이스는 LTE 기술이고, 제2 네트워크측 디바이스는 NR 기술이고, 제1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접속된 코어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LTE 코어 네트워크 디바이스이며, 제2 네트워크측 디바이스는 제1 네트워크측 디바이스를 통해 LTE 코어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에 접속된다. 제1 실시예에서의 네트워킹 방식에서, 제2 네트워크측 디바이스는 NR 코어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접속되지 않는다. 이중 접속 기능이 지원되는지는: LTE-NR 이중 접속 기능이 지원되는지, NR-NR 이중 접속 기능이 지원되는지, LTE-LTE 이중 접속 기능이 지원되는지 등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는 RRC 메시지에서 운반되고 무선 백홀 디바이스에 의해 제1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에 전송될 수 있고, 제1 네트워크측 디바이스는 표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하기 위해 RRC 메시지를 파싱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도 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는 대안적으로 비-액세스 계층(non-access stratum, NAS) 메시지에서 운반될 수 있다. 제1 네트워크측 디바이스가 NAS를 가지고 있지 않기 때문에, 제1 네트워크측 디바이스는 NAS 메시지를 제1 네트워크측 디바이스가 위치하는 네트워크 내의 코어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에 투명하게 송신한다. NAS 메시지를 파싱함으로써 표시 정보를 획득한 후에, 코어 네트워크측 디바이스는 표시 정보(예를 들어, 제1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코어 네트워크측 디바이스 사이의 S1 인터페이스 메시지 또는 NG 인터페이스 메시지에 포함됨)를 제1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에 전송하고, 여기서 NG 인터페이스는 NR 시스템에서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와 코어 네트워크측 디바이스 사이의 인터페이스이다.
203: 제1 네트워크측 디바이스는 제2 네트워크측 디바이스를 무선 백홀 디바이스에 대한 이중 접속 서비스를 제공하는 보조 액세스 디바이스로서 결정하고, 하기 표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제2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에 전송하며, 이 표시 정보는:
무선 백홀 디바이스가 액세스를 수행하는지, 무선 백홀 디바이스가 비-독립형 non-standalone 디바이스 또는 독립형 standalone 디바이스인지, 무선 백홀 디바이스가 전이중 모드 또는 반이중 모드를 지원하는지, 무선 백홀 디바이스가 대역내 백홀 기능 또는 대역외 백홀 기능을 지원하는지, 및 무선 백홀 디바이스가 패킷 데이터 수렴 프로토콜 PDCP 계층 위의 데이터 포워딩 기능 또는 PDCP 계층에서의 그리고 그 아래의 데이터 포워딩 기능을 지원하는지를 표시한다.
선택적으로, 표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는 보조 액세스 디바이스 추가 요청 메시지, 예를 들어, SgNB 추가 요청에서 운반되어, 제2 네트워크측 디바이스가 제2 네트워크측 디바이스가 무선 백홀 디바이스의 보조 액세스 디바이스의 역할을 하는 것을 알 수 있게 한다.
선택적으로, 제1 네트워크측 디바이스는 주 액세스 디바이스이고, 제2 네트워크측 디바이스는 보조 액세스 디바이스이다. 대응적으로, 제1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의 셀은 주 셀 그룹에 속하고, 제2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의 셀은 보조 셀 그룹에 속한다. 주 셀 그룹은 하나의 주 셀과 적어도 하나의 보조 셀을 포함하고, 보조 셀 그룹은 주 셀과 동일한 보조 셀 그룹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보조 셀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제1 네트워크측 디바이스는 독립형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이고, 제2 네트워크측 디바이스는 비-독립형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이다.
선택적으로, 무선 백홀 디바이스가 랜덤 액세스 프로세스를 통해 제1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에 대한 접속을 확립한 후에, 제1 네트워크측 디바이스는 측정 구성을 무선 백홀 디바이스에 전송할 수 있고, 여기서 측정 구성은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의 셀의 측정될 주파수를 표시한다. 무선 백홀 디바이스는 측정 구성에 기초하여 측정을 수행하고, 제1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에,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의 셀에 대한 측정 결과를 보고한다. 제1 네트워크측 디바이스는 측정 결과에 기초하여, 무선 백홀 디바이스에 의해 액세스될 제2 네트워크측 디바이스로서 하나의 네트워크측 디바이스를 선택한다. 제2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와 제1 네트워크측 디바이스는 동일한 네트워크 기술을 가질 수 있거나, 또는 상이한 네트워크 기술들을 가질 수 있다. 제2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와 제1 네트워크측 디바이스는 동일한 네트워크 기술, 예를 들어, LTE 기술 또는 NR 기술을 채택한다. 대안적으로, 제2 네트워크측 디바이스 및 제1 네트워크측 디바이스는 상이한 네트워크 기술을 채택하는데, 예를 들어, 제2 네트워크측 디바이스는 NR 기술을 채택하고, 제1 네트워크측 디바이스는 LTE 기술을 채택한다. 주 액세스 디바이스의 역할을 하는 eNB는 마스터 eNB(MeNB)로서 표현될 수 있고, 보조 액세스 디바이스의 역할을 하는 gNB는 보조 gNB(SgNB)로서 표현될 수 있다.
204: 제2 네트워크측 디바이스는, 제1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에, 제2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에 의해 생성되고 무선 백홀 디바이스와 제2 네트워크측 디바이스 사이의 무선 링크를 구성하는데 사용되는 구성 정보를 전송한다.
선택적으로, 구성 정보는 보조 액세스 디바이스 추가 응답 메시지, 예를 들어, SgNB Addition Request Acknowledge에서 운반되어, 제1 네트워크측 디바이스가 제2 네트워크측 디바이스가 보조 액세스 추가 요청에 동의한다는 것을 알 수 있게 한다.
선택적으로, 구성 정보는 무선 링크의 송신 시간 단위 구성, 및 무선 백홀 디바이스의 셀 식별자 중 하나 또는 그 조합을 포함한다. 무선 링크의 송신 시간 단위는 구체적으로 무선 링크 상의 데이터 송신에 사용될 수 있는 시간이며, 밀리초, 시간 도메인 심볼(symbol), 슬롯(slot) 등의 단위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2 네트워크측 디바이스는, 제1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에, 제2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와 무선 백홀 디바이스의 셀 사이의 연관 관계, 제2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의 셀과 무선 백홀 디바이스의 셀 사이의 연관 관계, 또는 제2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의 셀과 무선 백홀 디바이스 사이의 연관 관계를 추가로 표시한다. 연관 관계는 무선 백홀 디바이스의 셀 식별자로서 구현될 수 있다. 무선 백홀 디바이스의 셀은 제2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의 셀의 역할을 하고, 구체적으로, 무선 백홀 디바이스의 셀 식별자와 제2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의 셀 식별자는 동일한 네트워크측 디바이스 식별자(예를 들어, 기지국 식별자)를 포함한다. 따라서, 제2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된 무선 백홀 디바이스의 셀 식별자를 수신한 후에, 제1 네트워크측 디바이스는, 무선 백홀 디바이스의 셀 식별자에 포함된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예를 들어, 기지국) 식별자에 기초하여, 무선 백홀 디바이스의 셀이 제2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의 셀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205: 제1 네트워크측 디바이스는 구성 정보를 무선 백홀 디바이스에 전송한다.
선택적으로, 구성 정보는 RRC 메시지(예를 들어, RRC 접속 재구성)에서 운반되고 무선 백홀 디바이스에 전송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구성 정보가 무선 백홀 디바이스의 셀 식별자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 무선 백홀 디바이스는 무선 백홀 디바이스가 제2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에 대한 무선 백홀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것을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에 통지하여,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예를 들어, OAM 시스템)이 무선 백홀 디바이스에 셀 식별자를 할당하게 한다. 즉, 무선 백홀 디바이스는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으로부터 할당된 셀 식별자를 획득한다. 무선 백홀 디바이스는 획득된 셀 식별자를 제1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와 제2 네트워크측 디바이스 모두에게 통지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무선 백홀 디바이스는 획득된 셀 식별자를 제1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에 통지하고, 제1 네트워크측 디바이스는 셀 식별자를 제2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에 추가로 통지한다. 대안적으로, 무선 백홀 디바이스는 획득된 셀 식별자를 제2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에 통지하고, 제2 네트워크측 디바이스는 셀 식별자를 제1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에 추가로 통지한다.
획득된 셀 식별자를 제2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에게 통지하기 위해, 무선 백홀 디바이스는, 제2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에 액세스한 후에, 무선 백홀 디바이스에 의해 제2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와 X2 인터페이스의 확립을 트리거하는 프로세스에서 제2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에게 통지할 수 있다. 제2 네트워크측 디바이스가 제1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에게 무선 백홀 디바이스의 셀 식별자를 통지하는 것은 제2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에 의해, 제1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에 의해 기지국 구성을 갱신하는 절차를 트리거링하는 것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206: 무선 백홀 디바이스는 구성 정보에 기초하여 제2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에 대한 무선 링크를 확립한다.
본 출원의 제1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기술적 해결책에 따르면, 무선 백홀 디바이스는 제1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에 액세스하고, 제1 네트워크측 디바이스가 위치하는 네트워크 내의 코어 네트워크 디바이스에서의 인증 및 허가를 완료할 수 있다. 무선 백홀 디바이스가 이중 접속 기능을 지원한다는 것(또는 상이한 액세스 기술들의 무선 백홀 기능들을 지원한다는 것)을 알았을 때, 제1 네트워크측 디바이스는 제2 네트워크측 디바이스를 무선 백홀 디바이스에 대한 보조 액세스 디바이스로서 구성하여, 무선 백홀 디바이스의 이중 접속을 구현한다.
본 출원의 제2 실시예는 무선 백홀 통신 처리 방법을 제공한다. 도 3a에 도시된 시스템 아키텍처의 개략도와 도 3b에 도시된 시스템 상호작용의 개략도는 다음의 내용을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서, 무선 백홀 디바이스는 제2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에 대한 무선 링크를 확립하고, 제2 네트워크측 디바이스를 통해, 제2 네트워크측 디바이스가 위치하는 네트워크의 코어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에 접속한다.
301: 제2 네트워크측 디바이스는 시스템 정보를 전송하고, 여기서 시스템 정보는 다음의 표시 정보: 무선 백홀 디바이스의 액세스를 허용하는 표시, 및 제2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에 액세스하기 위해 무선 백홀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되는 랜덤 액세스 자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301에서, 시스템 정보 내의 표시 정보는 무선 백홀 디바이스의 액세스만이 허용된다는 것을 표시한다. 따라서, 비-무선 백홀 디바이스, 예를 들어, 3GPP 표준 사양의 릴리즈 15 및 이전 버전에 따른 모든 단말기측 디바이스는 제2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에 액세스할 수 없다.
선택적으로, 시스템 정보는 마스터 정보 블록(master information block, MIB)에서 운반되거나, 또는 시스템 정보 블록(system information block, SIB), 예를 들어, SIB 1에서 운반될 수 있다.
302: 무선 백홀 디바이스는 시스템 정보를 수신하고, 표시 정보에 기초하여 랜덤 액세스 프로세스를 개시한다.
303: 무선 백홀 디바이스는 랜덤 액세스 프로세스에서 또는 랜덤 액세스 프로세스가 완료된 후에, 다음의 표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제2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에 전송하며, 이 표시 정보는:
무선 백홀 디바이스가 액세스를 수행하는지, 무선 백홀 디바이스가 비-독립형 non-standalone 디바이스 또는 독립형 standalone 디바이스인지, 무선 백홀 디바이스가 전이중 모드 또는 반이중 모드를 지원하는지, 무선 백홀 디바이스가 대역내 백홀 기능 또는 대역외 백홀 기능을 지원하는지, 및 무선 백홀 디바이스가 패킷 데이터 수렴 프로토콜 PDCP 계층 위의 데이터 포워딩 기능 또는 PDCP 계층에서의 그리고 그 아래의 데이터 포워딩 기능을 지원하는지를 표시한다.
선택적으로, 이 방법은 다음을 추가로 포함한다:
304: 무선 백홀 디바이스는 통지를 제2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에 전송하고, 여기서 통지는 제2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와 무선 백홀 디바이스의 셀 사이의 연관 관계, 제2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의 셀과 무선 백홀 디바이스의 셀 사이의 연관 관계, 또는 제2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의 셀과 무선 백홀 디바이스 사이의 연관 관계를 표시한다. 연관 관계는 무선 백홀 디바이스의 셀 식별자로서 구현될 수 있다. 무선 백홀 디바이스의 셀은 제2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의 셀의 역할을 하고, 구체적으로, 무선 백홀 디바이스의 셀 식별자와 제2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의 셀 식별자는 동일한 네트워크측 디바이스 식별자를 포함한다. 따라서, 무선 백홀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된 무선 백홀 디바이스의 셀 식별자를 수신한 후에, 제2 네트워크측 디바이스는 무선 백홀 디바이스의 셀 식별자에 포함된 네트워크측 디바이스 식별자에 기초하여, 무선 백홀 디바이스의 셀이 제2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의 셀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획득된 셀 식별자를 제2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에게 통지하기 위해, 무선 백홀 디바이스는, 제2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에 액세스한 후에, 무선 백홀 디바이스에 의해 제2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와 X2 인터페이스의 확립을 트리거하는 프로세스에서 제2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에게 통지할 수 있다.
305: 제2 네트워크측 디바이스는 통지시 연관 관계를 제1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에게 통지한다.
선택적으로, 제2 네트워크측 디바이스는 제1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에 전송된 네트워크측 구성 갱신시 연관 관계를 통지한다. 연관 관계는 무선 백홀 디바이스의 셀 식별자로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네트워크측 디바이스가 제1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에게 무선 백홀 디바이스의 셀 식별자를 통지하는 것은, 제2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에 의해, 제1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에 의한 네트워크측 구성을 갱신하는 절차를 트리거링하는 것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306: 제1 네트워크측 디바이스는 수신된 통지에 연관 관계를 저장한다.
선택적으로, 연관 관계를 저장한 후에, 제1 네트워크측 디바이스는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의 구성 응답을 제2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에 전송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무선 백홀 디바이스에 대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코어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2 네트워크측 디바이스가 위치하는 네트워크 내의 코어 네트워크 디바이스이다. 코어 네트워크의 사용자 평면 디바이스는 제2 네트워크측 디바이스 내부에 배치될 수 있거나, 또는 코어 네트워크의 사용자 평면 디바이스 및 제어 평면 디바이스 둘 다 제2 네트워크측 디바이스 내부에 배치된다.
본 출원의 제2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기술적 해결책에 따르면, 무선 백홀 디바이스는 제1 네트워크측 디바이스를 통하지 않고 직접적으로 제2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에 접속하여, 무선 링크를 확립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제3 실시예는 무선 백홀 통신 처리 방법을 제공한다. 도 4a에 도시된 시스템 아키텍처의 개략도와 도 4b에 도시된 시스템 상호작용의 개략도는 다음의 내용을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서, 무선 백홀 디바이스는 제2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에 대한 무선 링크를 확립하고, 제2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와 제1 네트워크측 디바이스를 통해, 제1 네트워크측 디바이스가 위치하는 네트워크의 코어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에 접속한다. 선택적으로, 제1 네트워크측 디바이스는 독립형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이고, 제2 네트워크측 디바이스는 비-독립형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이다. 선택적으로, 제1 네트워크측 디바이스는 LTE 기술이고, 제2 네트워크측 디바이스는 NR 기술이고, 제2 네트워크측 디바이스는 제1 네트워크측 디바이스를 통해 LTE 코어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에 접속된다. 이 실시예에서의 네트워킹 방식에서, 제2 네트워크측 디바이스는 NR 코어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접속되지 않는다.
401: 제2 네트워크측 디바이스는 시스템 정보를 전송하고, 여기서 시스템 정보는 다음의 표시 정보: 무선 백홀 디바이스의 액세스를 허용하는 표시, 및 제2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에 액세스하기 위해 무선 백홀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되는 랜덤 액세스 자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401에서, 시스템 정보 내의 표시 정보는 무선 백홀 디바이스의 액세스만이 허용된다는 것을 표시한다. 따라서, 비-무선 백홀 디바이스, 예를 들어, 3GPP 표준 사양의 릴리즈 15 및 이전 버전에 따른 모든 단말기측 디바이스는 제2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에 액세스할 수 없다.
선택적으로, 시스템 정보는 마스터 정보 블록에서 운반되거나, 또는 시스템 정보 블록, 예를 들어, SIB 1에서 운반될 수 있다.
402: 무선 백홀 디바이스는 시스템 정보에 기초하여 제2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에 대한 랜덤 액세스 프로세스를 개시하고, 랜덤 액세스 프로세스에서 또는 랜덤 액세스 프로세스가 완료된 후에, 다음 표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제2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에 전송하며, 이 표시 정보는:
무선 백홀 디바이스가 액세스를 수행하는지, 무선 백홀 디바이스가 비-독립형 non-standalone 디바이스인지, 무선 백홀 디바이스가 이중-접속 무선 백홀 기능을 지원하는지, 무선 백홀 디바이스가 전이중 모드 또는 반이중 모드를 지원하는지, 무선 백홀 디바이스가 대역내 백홀 기능 또는 대역외 백홀 기능을 지원하는지, 및 무선 백홀 디바이스가 패킷 데이터 수렴 프로토콜 PDCP 계층 위의 데이터 포워딩 기능 또는 PDCP 계층에서의 그리고 그 아래의 데이터 포워딩 기능을 지원하는지를 표시한다.
403: 제2 네트워크측 디바이스는 무선 백홀 디바이스에 대한 제1 네트워크측 디바이스를 선택하고, 표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제1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에 전송한다.
403에서, 무선 백홀 디바이스에 대해 제2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에 의해 선택된 제1 네트워크측 디바이스는 무선 백홀 디바이스의 액세스를 허용하는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이다. 예를 들어, 무선 백홀 디바이스에 대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코어 네트워크 사용자 평면 디바이스는 제1 네트워크측 디바이스 내부에 배치된다. 제1 네트워크측 디바이스는 표시 정보에 기초하여, 무선 백홀 디바이스에 대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코어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선택하고, 여기서 코어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1 네트워크측 디바이스가 위치하는 네트워크 내의 코어 네트워크 디바이스이다. 가능한 구현에서, 도 4c의 프로토콜 스택의 개략적인 아키텍처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백홀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된 랜덤 액세스 요청을 수신한 후에, 제2 네트워크측 디바이스는 무선 백홀 디바이스의 NAS 메시지를 제1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에 전송될 제1 인터페이스 메시지(예를 들어, X2 인터페이스(X2AP) 메시지)로 캡슐화하고, 제1 인터페이스 메시지를 제1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에 전송할 수 있다. 제1 네트워크측 디바이스는 제1 인터페이스 메시지로부터 NAS 메시지를 추출하고; 제1 인터페이스 메시지에 기초하여, 제1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와 제1 네트워크측 디바이스가 위치하는 네트워크 내의 코어 네트워크측 디바이스 사이에 제2 인터페이스 메시지(예를 들어, S1 인터페이스(S1AP) 메시지)를 생성하고; NAS 메시지를 제2 인터페이스 메시지로 재캡슐화하며; 제2 인터페이스 메시지를 코어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에 전송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코어 네트워크측 디바이스는 제2 인터페이스 메시지를 파싱하여 무선 백홀 디바이스의 NAS 메시지를 획득함으로써, 무선 백홀 디바이스와 코어 네트워크측 디바이스 사이의 접속을 구현한다. SCTP는 스트림 제어 송신 프로토콜(stream control transmission protocol) 계층의 약어이고, IP는 인터넷 프로토콜(internet protocol, IP) 계층의 약어이고, L1 계층은 물리적 계층이고, L2 계층은 데이터 링크 계층이다. 예를 들어, L1 계층은 개방 시스템 상호접속(open system interconnection reference model, OSI) 참조 모델에 의해 정의된 물리적 계층이고, L2 계층은 OSI-정의된 데이터 링크 계층(data link layer, DLL)이다.
다른 가능한 구현에서, 도 4d의 프로토콜 스택의 개략적인 아키텍처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백홀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된 랜덤 액세스 요청을 수신한 후에, 제2 네트워크측 디바이스는, 무선 백홀 디바이스의 NAS 메시지가 캡슐화되는 RRC 메시지에 기초하여, 제1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와 제1 네트워크측 디바이스가 위치하는 네트워크 내의 코어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의 S1 인터페이스 메시지를 생성하고; 제1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에, NAS 메시지가 캡슐화되는 S1 인터페이스 메시지를 포함하는, 제1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에 전송될 X2 인터페이스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X2 인터페이스 메시지를 수신한 후, 제1 네트워크측 디바이스는 X2 인터페이스 메시지로부터 S1 인터페이스 메시지를 추출하고, S1 인터페이스 메시지를 제1 네트워크측 디바이스가 위치하는 네트워크 내의 코어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에 포워딩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코어 네트워크측 디바이스는 인터페이스 메시지를 파싱하여 무선 백홀 디바이스의 NAS 메시지를 획득함으로써, 무선 백홀 디바이스와 코어 네트워크측 디바이스 사이의 접속을 구현한다.
이 실시예에서, 제2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비-독립형 네트워크 디바이스이고, 제2 네트워크측 디바이스는 제2 네트워크측 디바이스가 위치하는 네트워크 내의 코어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접속하지 않는다.
본 출원의 제3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기술적 해결책에 따르면, 제2 네트워크측 디바이스(특히, 비-독립형 네트워크측 디바이스)는 무선 백홀 디바이스의 액세스 디바이스의 역할을 할 수 있고, 제1 네트워크측 디바이스를 통해, 제1 네트워크측 디바이스가 위치하는 네트워크 내의 코어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접속함으로써, 무선 백홀 디바이스의 네트워크 액세스 프로세스를 구현한다.
본 출원의 제4 실시예는 무선 백홀 통신 처리 방법을 제공한다. 도 5a에 도시된 시스템 아키텍처의 개략도와 도 5b에 도시된 시스템 상호작용의 개략도는 다음의 내용을 포함한다.
501: 단말기측 디바이스는 랜덤 액세스 프로세스를 통해 제1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에 대한 RRC 접속을 확립한다.
502: 제1 네트워크측 디바이스는 측정 구성을 단말기측 디바이스에 전송하고, 단말기측 디바이스에 의해 보고된 측정 결과에 기초하여, 무선 백홀 디바이스를 단말기측 디바이스의 보조 액세스 디바이스로서 선택하고, 여기서 제1 네트워크측 디바이스는 단말기측 디바이스의 주 액세스 디바이스이다.
502에서, 선택적으로, 제1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와 무선 백홀 디바이스는 동일한 네트워크 기술을 가질 수 있거나, 또는 상이한 네트워크 기술들을 가질 수 있다. 제1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와 무선 백홀 디바이스는 동일한 네트워크 기술, 예를 들어, LTE 기술 또는 NR 기술을 채택한다. 대안적으로, 제1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무선 백홀 디바이스는 상이한 네트워크 기술들을 채택하고, 예를 들어, 제1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LTE 기술을 채택하고, 무선 백홀 디바이스는 NR 기술을 채택한다.
제1 네트워크측 디바이스는 측정 결과에 기초하여 무선 백홀 디바이스에 대한 제2 네트워크측 디바이스를 추가로 선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네트워크측 디바이스는 단말기측 디바이스에 의해 보고된 무선 백홀 디바이스의 셀 식별자에 기초하여 그리고 또한 무선 백홀 디바이스와 제2 네트워크측 디바이스 사이의 이전에 획득된 연관 관계에 기초하여 대응하는 제2 네트워크측 디바이스를 찾는다. 예를 들어, 제1 네트워크측 디바이스는 무선 백홀 디바이스의 셀 식별자에 포함된 네트워크측 디바이스 식별자에 기초하여, 무선 백홀 디바이스의 셀이 제2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의 셀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503: 제1 네트워크측 디바이스는 무선 백홀 디바이스에 접속된 제2 네트워크측 디바이스를 통해 무선 백홀 디바이스에, 보조 액세스 디바이스 추가 요청 메시지, 예를 들어, SgNB Addition Request를 전송하여, 무선 백홀 디바이스가 단말기측 디바이스의 보조 액세스 디바이스의 역할을 하도록 요청한다.
504: 무선 백홀 디바이스는 제2 네트워크측 디바이스를 통해 제1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에, 보조 액세스 디바이스 추가 응답 메시지, 예를 들어, SgNB Addition Request Acknowledge를 전송하며, 여기서 응답 메시지는 무선 백홀 디바이스와 단말기측 디바이스 사이의 무선 자원 구성을 포함한다.
단계들 503 및 504에서, 사용자 데이터 베어러에 대응하는 GTP 터널은, 단말기측 디바이스에 대해, 제1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와 제2 네트워크측 디바이스 사이에 확립되고, 사용자 데이터 베어러에 대응하는 GTP 터널은, 단말기측 디바이스에 대해, 제2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와 무선 백홀 디바이스 사이에 추가로 확립된다. 또한,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GTP 터널은 일대일 대응관계를 갖는다. GTP는 일반 패킷 무선 서비스 터널링 프로토콜(general packet radio service tunneling protocol) 계층의 약어이고, UDP는 사용자 데이터그램 프로토콜(user datagram protocol) 계층의 약어이다.
505: 제1 네트워크측 디바이스는 무선 자원 구성을 단말기측 디바이스에 전송한다.
506: 단말기측 디바이스는 무선 자원 구성에 기초하여 단말기측 디바이스와 무선 백홀 디바이스 사이의 링크의 구성을 완료한다.
본 출원의 제4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기술적 해결책에 따르면, 제2 네트워크측 디바이스(특히, 비-독립형 네트워크측 디바이스)는 제2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에 접속된 무선 백홀 디바이스를 단말기측 디바이스의 보조 액세스 디바이스로서 사용하여, 단말측 디바이스의 이중 접속을 구현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제5 실시예는 통신 처리 장치(600)를 제공한다. 도 6은 통신 처리 장치의 유닛들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통신 처리 장치(600)는 수신 유닛(601), 전송 유닛(602), 및 처리 유닛(603)을 포함한다.
본 출원의 제5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통신 처리 장치(600)는 제1 실시예, 제2 실시예, 제3 실시예, 및 제4 실시예 중 어느 하나에서 무선 백홀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을 구현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백홀 디바이스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신 유닛(601)은 무선 백홀 디바이스의 수신 액션을 수행하도록 구성되고, 전송 유닛(602)은 무선 백홀 디바이스의 전송 액션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며, 처리 유닛은 무선 백홀 디바이스의 처리 액션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세부사항들에 대해서는, 제1 실시예, 제2 실시예, 제3 실시예, 및 제4 실시예에서 설명된 내용을 참조한다.
본 출원의 제5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통신 처리 장치(600)는 대안적으로 제1 실시예, 제2 실시예, 제3 실시예, 및 제4 실시예 중 어느 하나에서 제1 네트워크측 디바이스 또는 제2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을 구현하도록 구성된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신 유닛(601)은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의 수신 액션을 수행하도록 구성되고, 전송 유닛(1102)은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의 전송 액션을 수행하도록 구성되고, 처리 유닛은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의 처리 액션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세부사항들에 대해서는, 제1 실시예, 제2 실시예, 제3 실시예, 및 제4 실시예에서 설명된 내용을 참조한다.
특정 하드웨어 구현에서, 도 7의 통신 처리 장치의 하드웨어의 개략적인 구조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신 유닛(601)의 기능은 수신기(701)에 의해 구체적으로 구현될 수 있고, 전송 유닛(602)의 기능은 송신기(702)에 의해 구현될 수 있고, 처리 유닛(703)의 기능은 프로세서(703)에 의해 구체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통신 처리 장치는 다양한 전자 배선, 예를 들어, 버스(704), 메모리(705), 및 통신 인터페이스(706)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는 명령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명령어 코드가 프로세서(703)에 의해 호출될 때, 명령어 코드는 제1 실시예, 제2 실시예, 제3 실시예, 및 제4 실시예 중 어느 하나에서 제1 네트워크측 디바이스, 제2 네트워크측 디바이스, 또는 무선 백홀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을 구현하는데 사용된다. 명령어 코드는 프로토콜 계층들(예를 들어, RRC 계층, MAC 계층, 및 PHY 계층)의 기능들을 구현하는데 사용되는 데이터 구조를 포함한다.
통신 인터페이스는 유선 통신 인터페이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유선 통신 인터페이스는 예를 들어, 이더넷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이더넷 인터페이스는 광학 인터페이스, 전기적 인터페이스,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는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버스는 주변 컴포넌트 인터커넥트(peripheral component interconnect, PCI) 버스, 확장된 산업 표준 아키텍처(extended industry standard architecture, EISA) 버스 등일 수 있다. 버스는 어드레스 버스, 데이터 버스, 제어 버스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출원의 실시예가 방법, 시스템, 또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서 제공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따라서, 본 출원은 하드웨어 전용 실시예, 소프트웨어 전용 실시예, 또는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의 조합을 갖는 실시예의 형태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은 컴퓨터 사용가능한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사용가능한 저장 매체(자기 디스크 메모리, CD-ROM, 광학 메모리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음) 상에 구현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형태를 사용할 수 있다.
본 출원은 본 출원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 장치(시스템), 및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흐름도들 및/또는 블록도들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흐름도들 및/또는 블록도들에서의 각각의 절차 및/또는 각각의 블록과 흐름도들 및/또는 블록도들에서의 절차 및/또는 블록의 조합은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들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는 점이 이해되어야 한다.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들이 범용 컴퓨터, 특수 목적 컴퓨터, 내장된 프로세서, 또는 다른 프로그램가능 데이터 처리 디바이스의 프로세서를 위해 제공되어, 머신을 형성함으로써, 컴퓨터 또는 다른 프로그램가능 데이터 처리 디바이스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명령어들은 흐름도들에서의 하나 이상의 절차 및/또는 블록도들에서의 하나 이상의 블록에서 특정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장치를 생성한다.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들은 대안적으로 특정 방식으로 동작하도록 컴퓨터 또는 다른 프로그램가능 데이터 처리 디바이스에게 지시할 수 있는 컴퓨터 판독가능 메모리에 저장되어, 컴퓨터 판독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어들이 명령어 장치를 포함하는 아티팩트를 생성하게 한다. 명령어 장치는 흐름도들에서의 하나 이상의 절차 및/또는 블록도들에서의 하나 이상의 블록의 기능을 구현한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들은 대안적으로 컴퓨터 또는 다른 프로그램가능 데이터 처리 디바이스 상에 로딩될 수 있어서, 일련의 동작들 및 단계들이 컴퓨터 또는 다른 프로그램가능 디바이스 상에서 수행되고, 그렇게 함으로써 컴퓨터 구현 처리를 생성한다. 따라서, 컴퓨터 및 다른 프로그램가능 디바이스 상에서 실행된 명령어들은 흐름도에서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스 및/또는 블록도들에서의 하나 이상의 블록의 기능을 구현하는 단계들을 제공한다.

Claims (30)

  1. 무선 백홀 통신 처리 방법으로서,
    제1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에 의해, 제2 네트워크측 디바이스를 무선 백홀 디바이스의 보조 액세스 디바이스로서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에 의해, 제1 정보를 상기 제2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1 정보는:
    상기 무선 백홀 디바이스가 액세스를 수행하는지, 상기 무선 백홀 디바이스가 비-독립형 non-standalone 디바이스 또는 독립형 standalone 디바이스인지, 상기 무선 백홀 디바이스가 전이중 모드 또는 반이중 모드를 지원하는지, 상기 무선 백홀 디바이스가 대역내 백홀 기능 또는 대역외 백홀 기능을 지원하는지, 및 상기 무선 백홀 디바이스가 패킷 데이터 수렴 프로토콜 PDCP 계층 위의 데이터 포워딩 기능 또는 PDCP 계층에서의 그리고 그 아래의 데이터 포워딩 기능을 지원하는지를 표시하는 표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무선 백홀 통신 처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제2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에 의해 생성된 구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구성 정보는 상기 무선 백홀 디바이스와 상기 제2 네트워크측 디바이스 사이의 무선 링크를 구성하는데 사용되는 무선 백홀 통신 처리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 정보는 상기 무선 링크의 송신 시간 단위 구성 및 상기 무선 백홀 디바이스의 셀 식별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무선 백홀 통신 처리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에 의해, 제1 정보를 상기 제2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에 전송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제1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무선 백홀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된 제2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제2 정보는:
    상기 무선 백홀 디바이스가 액세스를 수행하는지, 상기 무선 백홀 디바이스가 이중 접속 기능을 지원하는지, 상기 무선 백홀 디바이스가 비-독립형 디바이스 또는 독립형 디바이스인지, 상기 무선 백홀 디바이스가 전이중 모드 또는 반이중 모드를 지원하는지, 상기 무선 백홀 디바이스가 대역내 백홀 기능 또는 대역외 백홀 기능을 지원하는지, 및 상기 무선 백홀 디바이스가 패킷 데이터 수렴 프로토콜 PDCP 계층 위의 데이터 포워딩 기능 또는 PDCP 계층에서의 그리고 그 아래의 데이터 포워딩 기능을 지원하는지를 표시하는 표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무선 백홀 통신 처리 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제2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된 제3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제3 정보는 상기 제2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와 상기 무선 백홀 디바이스의 셀 사이의 연관 관계, 상기 제2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의 셀과 상기 무선 백홀 디바이스의 셀 사이의 연관 관계, 또는 상기 제2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의 셀과 상기 무선 백홀 디바이스 사이의 연관 관계를 표시하는 무선 백홀 통신 처리 방법.
  6. 무선 백홀 통신 처리 방법으로서,
    무선 백홀 디바이스에 의해, 제1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에 대한 랜덤 액세스 프로세스를 개시하는 단계; 및
    상기 무선 백홀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랜덤 액세스 프로세스에서 또는 상기 랜덤 액세스 프로세스가 완료된 후에:
    상기 무선 백홀 디바이스가 액세스를 수행하는지, 상기 무선 백홀 디바이스가 이중 접속 기능을 지원하는지, 상기 무선 백홀 디바이스가 비-독립형 non-standalone 디바이스 또는 독립형 standalone 디바이스인지, 상기 무선 백홀 디바이스가 전이중 모드 또는 반이중 모드를 지원하는지, 상기 무선 백홀 디바이스가 대역내 백홀 기능 또는 대역외 백홀 기능을 지원하는지, 및 상기 무선 백홀 디바이스가 패킷 데이터 수렴 프로토콜 PDCP 계층 위의 데이터 포워딩 기능 또는 PDCP 계층에서의 그리고 그 아래의 데이터 포워딩 기능을 지원하는지를 표시하는 표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제1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백홀 통신 처리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백홀 디바이스가 상기 이중 접속 기능을 지원할 때, 상기 방법은:
    상기 무선 백홀 디바이스에 의해, 제2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에 의해 생성된 구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구성 정보는 상기 무선 백홀 디바이스와 상기 제2 네트워크측 디바이스 사이의 무선 링크를 구성하는데 사용되는 무선 백홀 통신 처리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 정보는 상기 무선 링크의 송신 시간 단위 구성 및 상기 무선 백홀 디바이스의 셀 식별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무선 백홀 통신 처리 방법.
  9. 무선 백홀 통신 처리 방법으로서,
    무선 백홀 디바이스에 의해, 제2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된 시스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시스템 정보는 다음의 표시 정보: 상기 무선 백홀 디바이스의 액세스를 허용하는 표시, 및 상기 제2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에 액세스하기 위해 상기 무선 백홀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되는 랜덤 액세스 자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 -; 및
    상기 무선 백홀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표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2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에 대한 랜덤 액세스 프로세스를 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백홀 통신 처리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백홀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랜덤 액세스 프로세스에서 또는 상기 랜덤 액세스 프로세스가 완료된 후에:
    상기 무선 백홀 디바이스가 액세스를 수행하는지, 상기 무선 백홀 디바이스가 비-독립형 non-standalone 디바이스 또는 독립형 standalone 디바이스인지, 상기 무선 백홀 디바이스가 전이중 모드 또는 반이중 모드를 지원하는지, 상기 무선 백홀 디바이스가 대역내 백홀 기능 또는 대역외 백홀 기능을 지원하는지, 및 상기 무선 백홀 디바이스가 패킷 데이터 수렴 프로토콜 PDCP 계층 위의 데이터 포워딩 기능 또는 PDCP 계층에서의 그리고 그 아래의 데이터 포워딩 기능을 지원하는지를 표시하는 표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제2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에 전송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무선 백홀 통신 처리 방법.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백홀 디바이스에 의해, 통지를 상기 제2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에 전송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통지는 상기 제2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와 상기 무선 백홀 디바이스의 셀 사이의 연관 관계, 상기 제2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의 셀과 상기 무선 백홀 디바이스의 셀 사이의 연관 관계, 또는 상기 제2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의 셀과 상기 무선 백홀 디바이스 사이의 연관 관계를 표시하는 무선 백홀 통신 처리 방법.
  12. 무선 백홀 통신 처리 방법으로서,
    제2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에 의해, 시스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시스템 정보는 다음의 표시 정보: 상기 무선 백홀 디바이스의 액세스를 허용하는 표시, 및 상기 제2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에 액세스하기 위해 상기 무선 백홀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되는 랜덤 액세스 자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 -; 및
    상기 제2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표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 백홀 디바이스와의 랜덤 액세스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백홀 통신 처리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제2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랜덤 액세스 프로세스에서 또는 상기 랜덤 액세스 프로세스가 완료된 후에, 무선 백홀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되는, 다음 표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표시 정보는:
    상기 무선 백홀 디바이스가 액세스를 수행하는지, 상기 무선 백홀 디바이스가 비-독립형 non-standalone 디바이스 또는 독립형 standalone 디바이스인지, 상기 무선 백홀 디바이스가 전이중 모드 또는 반이중 모드를 지원하는지, 상기 무선 백홀 디바이스가 대역내 백홀 기능 또는 대역외 백홀 기능을 지원하는지, 및 상기 무선 백홀 디바이스가 패킷 데이터 수렴 프로토콜 PDCP 계층 위의 데이터 포워딩 기능 또는 PDCP 계층에서의 그리고 그 아래의 데이터 포워딩 기능을 지원하는지를 표시하는 무선 백홀 통신 처리 방법.
  14.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제2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랜덤 액세스 프로세스에서 또는 상기 랜덤 액세스 프로세스가 완료된 후에, 상기 무선 백홀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된 통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통지는 상기 제2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와 상기 무선 백홀 디바이스의 셀 사이의 연관 관계, 상기 제2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의 셀과 상기 무선 백홀 디바이스의 셀 사이의 연관 관계, 또는 상기 제2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의 셀과 상기 무선 백홀 디바이스 사이의 연관 관계를 표시하는 무선 백홀 통신 처리 방법.
  15. 제12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제2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에 의해, 통지를 제1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에 전송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통지는 상기 제2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와 상기 무선 백홀 디바이스의 셀 사이의 연관 관계, 상기 제2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의 셀과 상기 무선 백홀 디바이스의 셀 사이의 연관 관계, 또는 상기 제2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의 셀과 상기 무선 백홀 디바이스 사이의 연관 관계를 표시하는 무선 백홀 통신 처리 방법.
  16. 처리 유닛 및 전송 유닛을 포함하는 제1 네트워크측 디바이스로서,
    상기 처리 유닛은 제2 네트워크측 디바이스를 무선 백홀 디바이스의 보조 액세스 디바이스로서 결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전송 유닛은 제1 정보를 상기 제2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에 전송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정보는:
    상기 무선 백홀 디바이스가 액세스를 수행하는지, 상기 무선 백홀 디바이스가 비-독립형 non-standalone 디바이스인지, 상기 무선 백홀 디바이스가 다중-접속 무선 백홀 기능을 지원하는지, 상기 무선 백홀 디바이스가 대역내(in-band) 백홀 기능 또는 대역외(out-of-band) 백홀 기능을 지원하는지, 및 상기 무선 백홀 디바이스가 패킷 데이터 수렴 프로토콜 PDCP 계층 위의 데이터 포워딩 기능 또는 PDCP 계층에서의 그리고 그 아래의 데이터 포워딩 기능을 지원하는지를 표시하는 표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제1 네트워크측 디바이스.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된 구성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 유닛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구성 정보는 상기 제2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에 대한 무선 링크를 확립하기 위해 상기 무선 백홀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되는 제1 네트워크측 디바이스.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 정보는 상기 무선 링크의 송신 시간 단위 구성 및 상기 무선 백홀 디바이스의 셀 식별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제1 네트워크측 디바이스.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네트워크측 디바이스가 상기 제1 정보를 상기 제2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에 전송하기 전에, 상기 무선 백홀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된 제2 정보를 수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된 수신 유닛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제2 정보는:
    상기 무선 백홀 디바이스가 액세스를 수행하는지, 상기 무선 백홀 디바이스가 이중 접속 기능을 지원하는지, 상기 무선 백홀 디바이스가 비-독립형 디바이스 또는 독립형 디바이스인지, 상기 무선 백홀 디바이스가 전이중 모드 또는 반이중 모드를 지원하는지, 상기 무선 백홀 디바이스가 대역내 백홀 기능 또는 대역외 백홀 기능을 지원하는지, 및 상기 무선 백홀 디바이스가 패킷 데이터 수렴 프로토콜 PDCP 계층 위의 데이터 포워딩 기능 또는 PDCP 계층에서의 그리고 그 아래의 데이터 포워딩 기능을 지원하는지를 표시하는 표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제1 네트워크측 디바이스.
  2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된 제3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 유닛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제3 정보는 상기 제2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와 상기 무선 백홀 디바이스의 셀 사이의 연관 관계, 상기 제2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의 셀과 상기 무선 백홀 디바이스의 셀 사이의 연관 관계, 또는 상기 제2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의 셀과 상기 무선 백홀 디바이스 사이의 연관 관계를 표시하는 제1 네트워크측 디바이스.
  21. 처리 유닛 및 전송 유닛을 포함하는 무선 백홀 디바이스로서,
    상기 처리 유닛은 제1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에 대한 랜덤 액세스 프로세스를 개시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전송 유닛은 상기 랜덤 액세스 프로세스에서 또는 상기 랜덤 액세스 프로세스가 완료된 후에:
    상기 무선 백홀 디바이스가 액세스를 수행하는지, 상기 무선 백홀 디바이스가 이중 접속 기능을 지원하는지, 상기 무선 백홀 디바이스가 비-독립형 non-standalone 디바이스 또는 독립형 standalone 디바이스인지, 상기 무선 백홀 디바이스가 전이중 모드 또는 반이중 모드를 지원하는지, 상기 무선 백홀 디바이스가 대역내 백홀 기능 또는 대역외 백홀 기능을 지원하는지, 및 상기 무선 백홀 디바이스가 패킷 데이터 수렴 프로토콜 PDCP 계층 위의 데이터 포워딩 기능 또는 PDCP 계층에서의 그리고 그 아래의 데이터 포워딩 기능을 지원하는지를 표시하는 표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제1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에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백홀 디바이스.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백홀 디바이스가 상기 이중 접속 기능을 지원할 때, 상기 디바이스는: 상기 제2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에 의해 생성된 구성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 유닛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구성 정보는 상기 무선 백홀 디바이스와 상기 제2 네트워크측 디바이스 사이의 무선 링크를 구성하는데 사용되는 무선 백홀 디바이스.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 정보는 상기 무선 링크의 송신 시간 단위 구성 및 상기 무선 백홀 디바이스의 셀 식별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무선 백홀 디바이스.
  24. 수신 유닛 및 처리 유닛을 포함하는 무선 백홀 디바이스로서,
    상기 수신 유닛은 제2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된 시스템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시스템 정보는 다음의 표시 정보: 상기 무선 백홀 디바이스의 액세스를 허용하는 표시, 및 상기 제2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에 액세스하기 위해 상기 무선 백홀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되는 랜덤 액세스 자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처리 유닛은 상기 표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2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에 대한 랜덤 액세스 프로세스를 개시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백홀 디바이스.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랜덤 액세스 프로세스에서 또는 상기 랜덤 액세스 프로세스가 완료된 후에:
    상기 무선 백홀 디바이스가 액세스를 수행하는지, 상기 무선 백홀 디바이스가 비-독립형 non-standalone 디바이스 또는 독립형 standalone 디바이스인지, 상기 무선 백홀 디바이스가 전이중 모드 또는 반이중 모드를 지원하는지, 상기 무선 백홀 디바이스가 대역내 백홀 기능 또는 대역외 백홀 기능을 지원하는지, 및 상기 무선 백홀 디바이스가 패킷 데이터 수렴 프로토콜 PDCP 계층 위의 데이터 포워딩 기능 또는 PDCP 계층에서의 그리고 그 아래의 데이터 포워딩 기능을 지원하는지를 표시하는 표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제2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에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전송 유닛을 추가로 포함하는 무선 백홀 디바이스.
  26. 제24항 또는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유닛은 통지를 상기 제2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에 전송하도록 추가로 구성되고, 상기 통지는 상기 제2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와 상기 무선 백홀 디바이스의 셀 사이의 연관 관계, 상기 제2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의 셀과 상기 무선 백홀 디바이스의 셀 사이의 연관 관계, 또는 상기 제2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의 셀과 상기 무선 백홀 디바이스 사이의 연관 관계를 표시하는 무선 백홀 디바이스.
  27. 전송 유닛 및 처리 유닛을 포함하는 제2 네트워크측 디바이스로서,
    상기 전송 유닛은 시스템 정보를 전송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시스템 정보는 다음의 표시 정보: 상기 무선 백홀 디바이스의 액세스를 허용하는 표시, 및 상기 제2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에 액세스하기 위해 상기 무선 백홀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되는 랜덤 액세스 자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처리 유닛은 상기 표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 백홀 디바이스와의 랜덤 액세스 프로세스를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제2 네트워크측 디바이스.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랜덤 액세스 프로세스에서 또는 상기 랜덤 액세스 프로세스가 완료된 후에, 상기 무선 백홀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되는, 다음 표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전송 유닛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표시 정보는:
    상기 무선 백홀 디바이스가 액세스를 수행하는지, 상기 무선 백홀 디바이스가 비-독립형 non-standalone 디바이스 또는 독립형 standalone 디바이스인지, 상기 무선 백홀 디바이스가 전이중 모드 또는 반이중 모드를 지원하는지, 상기 무선 백홀 디바이스가 대역내 백홀 기능 또는 대역외 백홀 기능을 지원하는지, 및 상기 무선 백홀 디바이스가 패킷 데이터 수렴 프로토콜 PDCP 계층 위의 데이터 포워딩 기능 또는 PDCP 계층에서의 그리고 그 아래의 데이터 포워딩 기능을 지원하는지를 표시하는 제2 네트워크측 디바이스.
  29.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랜덤 액세스 프로세스에서 또는 상기 랜덤 액세스 프로세스가 완료된 후에, 상기 무선 백홀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된 제1 통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 유닛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제1 통지는 상기 제2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와 상기 무선 백홀 디바이스의 셀 사이의 연관 관계, 상기 제2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의 셀과 상기 무선 백홀 디바이스의 셀 사이의 연관 관계, 또는 상기 제2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의 셀과 상기 무선 백홀 디바이스 사이의 연관 관계를 표시하는 제2 네트워크측 디바이스.
  30. 제27항 내지 제2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유닛은 제2 통지를 상기 제1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에 전송하도록 추가로 구성되고, 상기 제2 통지는 상기 제2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와 상기 무선 백홀 디바이스의 셀 사이의 연관 관계, 상기 제2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의 셀과 상기 무선 백홀 디바이스의 셀 사이의 연관 관계, 또는 상기 제2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의 셀과 상기 무선 백홀 디바이스 사이의 연관 관계를 표시하는 제2 네트워크측 디바이스.
KR1020207026172A 2018-02-14 2019-02-01 무선 백홀 통신 처리 방법 및 관련 디바이스 KR10241625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810153124.1 2018-02-14
CN201810153124.1A CN110167199B (zh) 2018-02-14 2018-02-14 一种无线回传通信处理方法和相关设备
PCT/CN2019/074401 WO2019157985A1 (zh) 2018-02-14 2019-02-01 一种无线回传通信处理方法和相关设备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8196A true KR20200118196A (ko) 2020-10-14
KR102416256B1 KR102416256B1 (ko) 2022-07-05

Family

ID=676191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26172A KR102416256B1 (ko) 2018-02-14 2019-02-01 무선 백홀 통신 처리 방법 및 관련 디바이스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832322B2 (ko)
EP (1) EP3749046B1 (ko)
KR (1) KR102416256B1 (ko)
CN (2) CN113923799A (ko)
BR (1) BR112020016490A2 (ko)
WO (1) WO201915798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039039A1 (en) * 2018-09-27 2022-02-03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Detection of Neighboring Satellite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CN112996061B (zh) * 2019-12-12 2022-07-01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小区重配置方法、网络控制节点和移动iab节点
WO2021232182A1 (en) * 2020-05-18 2021-11-25 Qualcomm Incorporated Recovery from a problematic cell
EP4213569A4 (en) * 2020-09-08 2024-06-12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SENDING OR RECEIVING DATA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SUPPORTING FULL DUPLEX RADIO AND DEVICE THEREFOR
US11546967B2 (en) 2020-11-18 2023-01-03 Apple Inc. Determining a radio access technology availability indicator to present
US11979227B2 (en) 2020-12-09 2024-05-07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and apparatus for relaying data in communication system
WO2022205347A1 (en) * 2021-04-01 2022-10-06 Zte Corporation Traffic transmission schemes in wireless communications
CN115699992A (zh) * 2021-05-31 2023-02-03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一种组网的方法及其装置
US20230101801A1 (en) * 2021-09-28 2023-03-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switching duplex mode during random acces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65068A2 (en) * 2014-10-21 2016-04-28 Intel IP Corporation Methods and apparatuses to form self-organized multi-hop millimeter wave backhaul links
JP2017503393A (ja) * 2013-12-13 2017-01-26 シャープ株式会社 マルチ接続性オペレーションの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105221B (zh) * 2013-04-15 2019-05-21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双连接的实现方法及基站
CN104581680B (zh) * 2013-10-23 2018-06-05 普天信息技术研究院有限公司 一种双连接用户标识的指示方法
US20150133122A1 (en) 2013-11-08 2015-05-14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Method of Handling Radio Link Failure
CN103731842B (zh) * 2013-12-19 2017-03-22 上海顶竹通讯技术有限公司 一种无线中继组网***及方法
EP3089511B1 (en) * 2013-12-24 2019-04-24 KYOCERA Corporatio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base station, processor and user terminal
US9900844B2 (en) * 2014-01-13 2018-02-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Uplink transmissions for dual connectivity
CN106162817A (zh) * 2015-04-03 2016-11-23 北京佰才邦技术有限公司 无线回传链路的建立方法、装置及通信***
US10009260B2 (en) * 2015-06-30 2018-06-26 Qualcomm Incorporated Management of network routing domains in communication networks
WO2017022870A1 (en) * 2015-08-03 2017-02-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initial acces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0841872B2 (en) * 2016-03-28 2020-11-17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device by which terminal performs mobility
US10630410B2 (en) * 2016-05-13 2020-04-2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Network architecture, methods, and devices for a wireless communications network
KR102494314B1 (ko) * 2016-07-18 2023-02-06 삼성전자 주식회사 네트워크 상호 연결의 개선 및 네트워크 상호 연결과 관련된 개선
KR102463290B1 (ko) * 2016-08-02 2022-11-04 삼성전자 주식회사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소모 전력을 효과적으로 절감시키는 방법 및 장치
KR20180017909A (ko) * 2016-08-11 2018-02-21 삼성전자주식회사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빔의 특성에 따라 랜덤 엑세스 과정을 선택하는 방법 및 장치
US10498504B2 (en) * 2016-08-12 2019-12-03 Futurewei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user equipment operations management
WO2018062286A1 (ja) * 2016-09-28 2018-04-05 日本電気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無線アクセス装置、及び無線通信端末並びにこれらの制御方法
EP3497971B1 (en) * 2016-11-04 2022-03-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sioning the same quality of service in the uplink as in the downlink
CN110199537B (zh) * 2016-11-04 2022-10-04 瑞典爱立信有限公司 用于紧密互通的ue能力信令
US10630661B2 (en) * 2017-02-03 2020-04-21 Qualcomm Incorporated Techniques for securely communicating a data packet via at least one relay user equipment
US11184785B2 (en) * 2017-03-17 2021-11-23 Qualcomm Incorporated Radio measurement and configuration
CN115767778A (zh) * 2017-06-15 2023-03-07 日本电气株式会社 第一无线电接入网络节点、用户设备及其方法
US10368253B2 (en) * 2017-07-25 2019-07-30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dual connectivity with dynamic anchor cell selection
WO2019148321A1 (en) * 2018-01-30 2019-08-08 Apple Inc. Single transmitter dual connectivity cellular communicatio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503393A (ja) * 2013-12-13 2017-01-26 シャープ株式会社 マルチ接続性オペレーションの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WO2016065068A2 (en) * 2014-10-21 2016-04-28 Intel IP Corporation Methods and apparatuses to form self-organized multi-hop millimeter wave backhaul links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R2-1800953* *
3GPP R2-1801023* *
3GPP R2-1801603*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020129991A3 (ko) 2022-05-05
KR102416256B1 (ko) 2022-07-05
RU2020129991A (ru) 2022-03-14
CN113923799A (zh) 2022-01-11
CN110167199B (zh) 2024-03-19
US11832322B2 (en) 2023-11-28
EP3749046A1 (en) 2020-12-09
US20200374958A1 (en) 2020-11-26
BR112020016490A2 (pt) 2020-12-15
EP3749046B1 (en) 2023-10-11
EP3749046C0 (en) 2023-10-11
WO2019157985A1 (zh) 2019-08-22
CN110167199A (zh) 2019-08-23
EP3749046A4 (en) 2021-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16256B1 (ko) 무선 백홀 통신 처리 방법 및 관련 디바이스
CN102405610B (zh) 在无线通信***中使用中继节点的方法
KR20200139261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US10342061B2 (en) Radio communication system and control method
JP7483898B2 (ja) 通信方法及び装置
US10506644B2 (en) Radio access network device, data processing method, and IP packet processing method
CN109315008B (zh) 多连接通信方法和设备
JP7516578B2 (ja) Iabネットワーク通信方法及び関連デバイス
CN108184249B (zh) 回程链路的信息传输方法及***、代理设备、接入设备
CN113556794A (zh) 通信方法、装置及***
US20230171651A1 (en) Logical channel lch configuration method, communication apparatus, and communication system
US20230239940A1 (en)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EP3687223B1 (en) Terminal device, access network device, air interface configuration method, and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WO202322219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user device
WO2022082690A1 (zh) 群组切换的方法、装置和***
WO2022167611A1 (en) Handover technique for time-sensitive networking
RU2780823C2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обработки беспроводной связи по транзитному соединению
JP2024503681A (ja) 通信方法および装置
WO2019232683A1 (zh) 小区建立的方法和装置
CN116056171B (zh) 终端切换***、方法、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6074801A (zh) 通信***、通信方法和通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