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11672A - 노크식 필기구 - Google Patents

노크식 필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11672A
KR20200111672A KR1020207016889A KR20207016889A KR20200111672A KR 20200111672 A KR20200111672 A KR 20200111672A KR 1020207016889 A KR1020207016889 A KR 1020207016889A KR 20207016889 A KR20207016889 A KR 20207016889A KR 20200111672 A KR20200111672 A KR 202001116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nock
writing implement
writing
rotation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168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39027B1 (ko
Inventor
사토루 스미요시
요시하루 나미키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 엔피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 엔피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 엔피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claimed from PCT/JP2018/047095 external-priority patent/WO2019150828A1/ja
Publication of KR202001116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16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90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90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4/00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 B43K24/02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locking a single writing unit in only fully projected or retracted positions
    • B43K24/08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locking a single writing unit in only fully projected or retracted positions operated by push-butt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4/00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 B43K24/02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locking a single writing unit in only fully projected or retracted positions
    • B43K24/04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locking a single writing unit in only fully projected or retracted positions operated by means sliding in longitudinally-slotted cas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4/00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 B43K24/02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locking a single writing unit in only fully projected or retracted positions
    • B43K24/06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locking a single writing unit in only fully projected or retracted positions operated by turn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4/00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 B43K24/02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locking a single writing unit in only fully projected or retracted positions
    • B43K24/08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locking a single writing unit in only fully projected or retracted positions operated by push-buttons
    • B43K24/082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locking a single writing unit in only fully projected or retracted positions operated by push-buttons placed on the s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4/00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 B43K24/02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locking a single writing unit in only fully projected or retracted positions
    • B43K24/08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locking a single writing unit in only fully projected or retracted positions operated by push-buttons
    • B43K24/084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locking a single writing unit in only fully projected or retracted positions operated by push-buttons with saw-like or analogous ca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9/00Combinations of writing implements with other articles
    • B43K29/02Combinations of writing implements with other articles with rubbers

Landscapes

  • Mechanical Pencils And Projecting And Retracting Systems Therefor, And Multi-System Writing Instruments (AREA)

Abstract

안정된 찰과 동작 등을 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간단한 기구를 구비한 노크식 필기구를 제공한다.
노크식의 필기구(1)가, 축통(4)과 조작부를 구비하고, 조작부를 전방으로 압압하는 노크 조작을 행하는 것에 의해서, 필기 상태와 비필기 상태를 전환할 수 있고, 중력에 의해서 축통(4) 내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브레이크 로드(90)와, 조작부와 함께 이동하고 또한 중심축선 둘레로 회전 가능한 노크 링(100)과, 노크 링(100)과 걸림 가능한 걸림부를 더 구비하며, 축통(4)의 전단을 상부로 향하게 하면 브레이크 로드(90)가 후방으로 이동하고, 노크 링(100)의 회전이 규제되어 노크 링(100)이 걸림부와 걸리는 것에 의해서, 조작부의 전방으로의 이동이 저지된다.

Description

노크식 필기구
본 발명은, 노크식 필기구에 관한 것이다.
중력에 의해서 축통(軸筒) 내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또한 통 모양으로 형성된 노크 락 부재를 가지는 노크식 필기구가 공지이다(특허 문헌 1).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노크식 필기구는, 전단이 상향 상태에서, 노크 락 부재가 걸리는 것에 의해서, 축통의 후단부에 배치된 조작부의 전방으로의 이동이 저지되어, 노크 조작을 할 수 없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조작부의 후단부에 마련된 소거(消去) 부재를 이용한 해당 노크식 필기구에 의한 필적의 소거시에, 안정된 찰과(擦過) 동작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즉, 노크식 필기구를 바꿔 쥐고 소거 부재를 필기면에 대해서 압압(押壓)하여 찰과 동작을 행해도, 소거 부재가 덜컹거리지 않는다.
특허 문헌 1 : 일본특허공개 제2016-107615호 공보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노크식 필기구에서는, 통 모양의 노크 락 부재가, 중력에 의해서 축통의 내주면 근방을 소정 거리에 걸쳐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내부 기구의 부품 형상이나 부품의 배치 장소에 대해서 제약이 있다. 내부 기구의 설계의 폭을 넓히기 위해, 전단이 상향 상태에서의 조작부의 전방으로의 이동의 저지를, 다른 기구에서도 실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안정된 찰과 동작 등을 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간단한 기구를 구비한 노크식 필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의하면, 축통(軸筒)과 조작부를 구비하고, 상기 조작부를 전방으로 압압(押壓)하는 노크 조작을 행하는 것에 의해서, 필기 상태와 비필기 상태를 전환할 수 있는 노크식 필기구로서, 중력에 의해서 상기 축통 내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브레이크(break) 부재와, 상기 조작부와 함께 이동하고 또한 중심축선 둘레로 회전 가능한 회전 부재와, 상기 회전 부재와 걸림 가능한 걸림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축통의 전단을 상부로 향하게 하면 상기 브레이크 부재가 후방으로 이동하고, 상기 회전 부재의 회전이 규제되어 상기 회전 부재가 상기 걸림부와 걸리는 것에 의해서, 상기 조작부의 전방으로의 이동이 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크식 필기구가 제공된다.
상기 회전 부재가 통 모양의 부재라도 괜찮다. 상기 회전 부재의 내면에 돌기가 마련되고, 상기 회전 부재 내에 삽입된 상기 브레이크 부재가 상기 돌기와 걸림으로써, 상기 회전 부재의 회전이 규제되도록 해도 괜찮다. 상기 회전 부재가 전후 방향에 대해서 수직인 평면에 대해서 둘레 방향으로 경사진 제1 경사면을 가지고, 상기 걸림부가 전후 방향에 대해서 수직인 평면에 대해서 둘레 방향으로 경사진 제2 경사면을 가지며, 회전이 규제된 상기 회전 부재의 제1 경사면이, 상기 걸림부의 제2 경사면과 맞닿음으로써, 상기 조작부의 전방으로의 이동이 저지되도록 해도 괜찮다. 상기 제1 경사면 또는 상기 제2 경사면이, 해당 노크식 필기구의 축선 방향에 대한 경사 각도에 있어서, 45도보다도 크게 해도 괜찮다. 복수의 필기체와, 해당 필기체 각각이 접속된 슬라이딩 부재와, 해당 슬라이딩 부재의 전방에 배치되고 또한 상기 슬라이딩 부재 각각과 협동하는 제1 캠면을 구비하고, 필기 상태에서, 적어도 1개의 상기 슬라이딩 부재와 상기 제1 캠면이 이간하도록 해도 괜찮다. 상기 조작부의 전부 또는 일부가, 해당 노크식 필기구의 필적을 소거할 수 있는 소거부라도 괜찮다. 상기 소거부가, 폴리프로필렌계 수지가 50질량% 이상이며, 인장 탄성률(JIS K 7161:2014-1)이 70MPa 이상의 마찰체라도 괜찮다.
본 발명의 형태에 의하면, 안정된 찰과 동작 등을 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간단한 기구를 구비한 노크식 필기구를 제공한다고 하는 공통의 효과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의한 필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비필기 상태이고 또한 전단이 하향인 필기구의 종단면도이다.
도 3은 필기 상태이고 또한 전단이 하향인 필기구의 종단면도이다.
도 4는 전단이 상향인 필기구의 확대 종단면도이다.
도 5는 필기구의 후부(後部)의 부분 단면 사시도이다.
도 6은 비필기 상태의 필기구의 후부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필기구의 반대측의 사시도이다.
도 8은 후축의 종단면도이다.
도 9는 내통의 종단면도이다.
도 10은 스페이서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칼라(collar)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회전 캠의 배면도이다.
도 13은 슬라이딩 피스(piece)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조작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15는 회전자의 사시도이다.
도 16은 브레이크 로드의 사시도이다.
도 17은 노크 링의 사시도이다.
도 18은 노크 링의 동작을 설명하는 모식도이다.
도 19는 브레이크 로드의 동작을 설명하는 횡단면도이다.
도 20은 노크 링의 동작을 설명하는 다른 모식도이다.
도 21은 노크 링의 동작을 설명하는 다른 모식도이다.
도 22는 노크 조작시의 리필의 동작을 설명하는 모식도이다.
도 23은 출몰 가능한 리필의 전환 동작을 설명하는 모식도이다.
도 24는 다른 실시 형태에서의 노크 조작시의 리필의 동작을 설명하는 모식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의한 필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26은 후축의 종단면도이다.
도 27은 스페이서의 사시도이다.
도 28은 노크 조작시의 리필의 동작을 설명하는 모식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모든 도면에 걸쳐,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공통의 참조 부호를 붙인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의한 필기구(1)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비필기 상태이고 또한 전단이 하향인 필기구(1)의 종단면도이고, 도 3은, 필기 상태이고 또한 전단이 하향인 필기구(1)의 종단면도이고, 도 4는, 전단이 상향인 필기구(1)의 확대 종단면도이고, 도 5는, 필기구(1)의 후부(後部)의 부분 단면 사시도이고, 도 6은, 비필기 상태의 필기구(1)의 후부의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6의 필기구(1)의 반대측의 사시도이다.
필기구(1)는, 통 모양으로 형성되고 또한 전축(2) 및 후축(3)을 구비한 축통(4)과, 축통(4) 내에 배치되고 또한 일단에 필기부(5a)를 구비한 필기체인 복수의 리필(5)을 가지고 있다. 전축(2) 및 후축(3)을 일체로 형성해도 좋다. 또, 도 6 및 도 7에서는, 후축(3)이 생략되어 그려져 있다.
본 명세서 중에서는, 필기구(1)의 축선 방향에서, 필기부(5a) 측을 「전」측으로 규정하고, 필기부(5a)와는 반대측을 「후」측으로 규정한다. 특별히 언급이 없는 한, 중심축선 또는 축선 방향은 필기구(1)의 중심축선 또는 축선 방향을 말한다.
필기구(1)는, 조작부를 전방으로 압압(押壓)하는 노크 조작에 의해서 리필(5)이 축통(4)으로부터 출몰하는 노크식 필기구이다. 또, 필기구(1)는, 복수의 리필(5)을 가지는 다심식(多芯式) 필기구이기도 하다.
필기구(1)는, 후축(3)의 후단부에 장착되고 또한 클립(28)을 구비한 내통(20)을 가지고 있다. 내통(20)도 포함하여 축통(4)이라고 칭해도 괜찮다. 필기구(1)는, 축통(4) 내에서, 스페이서(30)와, 스페이서(30)의 둘레에 배치된 칼라(collar) 부재(40)와, 칼라 부재(40)의 후방에 배치된 회전 캠(50)과, 내통(20)과 칼라 부재(40)와의 사이에 배치된 복수의 슬라이딩 부재인 슬라이딩 피스(piece)(60)와, 스페이서(30)의 후방에 배치된 조작 부재(70)와, 조작 부재(70)의 둘레에 배치된 회전자(80)와, 조작 부재(70)의 내부에 배치된 브레이크 로드(90)와, 회전자(80)의 후방에서 조작 부재(70)의 둘레에 배치된 노크 링(100)을 가지고 있다.
조작 부재(70)의 후단부에는, 유지 부재(6)를 사이에 두고 소거(消去) 부재(7)가 장착되어 있다. 유지 부재(6)에는, 커버 부재(8)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고, 소거 부재(7)는 커버 부재(8)에 의해서 덮여져 있다. 소거 부재(7)는, 유지 부재(6)에 대해서 접착 또는 2색 성형 등에 의해서 일체적으로 마련되어 있다. 소거 부재(7)는, 유지 부재(6)에 대해서 착탈 가능하게 해도 좋고, 유지 부재(6)의 일부를 소거 부재로서 기능시키도록 해도 괜찮다. 장착된 상태의 커버 부재(8)를, 또는, 커버 부재(8)가 떼어내어진 상태에서는 소거 부재(7)를, 전방으로 압압하는 것에 의해서 조작 부재(70)가 전방으로 이동하고, 노크 조작이 행해진다. 환언하면, 필기구(1)의 후단, 즉 소거 부재(7) 또는 커버 부재(8)가, 노크 조작을 위한 조작부로서 기능한다. 또, 조작부의 전부 또는 일부를, 필기구(1)의 필적을 소거할 수 있는 소거부로 해도 좋다. 도 4 및 도 5에서, 커버 부재(8)가 생략되어 그려져 있다.
유지 부재(6)는 후방 스프링(10)에 의해서 후방으로 가압되어 있다. 따라서, 필기구(1)가 필기 상태라도 비필기 상태라도, 유지 부재(6), 소거 부재(7) 및 커버 부재(8)는, 축선 방향에서 항상 동일 위치에 배치된다. 또, 후방 스프링(10)은 생략해도 괜찮다. 칼라 부재(40)의 전방에는 전방 스프링(11)이 배치되고, 칼라 부재(40)는 전방 스프링(11)에 의해서 후방으로 가압되어 있다. 전축(2)과 후축(3)과의 사이에는, 고리 모양의 표시 부재(12)가 배치되어 있다. 표시 부재(12)의 외면에는, 둘레 방향에서 서로 역방향을 가리키는 2개의 삼각형 모양의 표시가 마련되어 있다.
도 2 내지 도 4에서, 상부는 연직 상부이고, 하부는 연직 하부이다. 즉, 중력이, 각 도면에서 하부를 향해 작용한다. 브레이크 로드(9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중력에 의해서 축통(4) 내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도 2 및 도 3에서는, 필기구(1)의 전단, 즉 축통(4)의 전단이 하향이기 때문에, 브레이크 로드(90)는, 축통(4) 내에서 전단 측으로 치우쳐 있다. 한편, 도 4에서는, 필기구(1)의 전단이 상향이기 때문에, 브레이크 로드(90)는, 도 2 및 도 3과 비교하여, 축통(4) 내에서 후단 측으로 치우쳐 있다.
도 1 내지 도 7을 적절히 참조하면서, 주요한 부품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8은, 후축(3)의 종단면도이다. 후축(3)은, 필기구(1)의 조립 상태에서는, 도 8에서 상부가 필기구(1)의 후측이 되도록 배치된다. 후축(3)의 내주면에는, 걸림부로서, 대략 T자형의 2개의 T자 돌기(13)가 마련되어 있다. 2개의 T자 돌기(13)는, 중심축선 둘레로 120도만큼 이간하여 배치되어 있다. 후축(3)의 전단부의 내주면에는, 축선 방향으로 이간한 복수의 고리 모양 홈(14)이 형성되어 있다. 또, T자 돌기(13)는, 후축(3)의 내주면에 마련되지 않고, 예를 들면 별체(別體)의 부재로서 마련해도 괜찮다.
도 9는, 내통(20)의 종단면도이다. 내통(20)은, 필기구(1)의 조립 상태에서는, 도 9에서 상부가 필기구(1)의 후측이 되도록 배치된다. 내통(20)은, 후축(3)의 후단부에 대해서 감합(嵌合) 또는 압입(壓入)에 의해서 장착된다. 내통(20)의 내주면에는, 후방에 면(面)한 계단부(21)가 형성되어 있다. 계단부(21)보다도 전방의 내통(20)의 내주면에는, 축선 방향으로 연장되는 6개의 제1 내측 돌기(22)가 둘레 방향을 따라서 등간격으로 마련되어 있다. 제1 내측 돌기(22) 각각의 전단면(前端面)에는, 둘레 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면(22a)이 형성되어 있다. 6개의 제1 내측 돌기(22)는, 제1 외측 캠(23)을 구성한다. 제1 내측 돌기(22) 각각의 후단부에는, 걸림부로서, 제1 내측 돌기(22)보다도 더 돌출되는 제2 내측 돌기(24)가 형성되어 있다. 제2 내측 돌기(24) 각각의 후단면에는, 둘레 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면(24a)이 형성되고, 제2 내측 돌기(24) 각각의 전단면의 일부에는, 둘레 방향으로 경사진 부분 경사면(24b)(후술하는 도 18의 (A) 참조)이 형성되어 있다. 6개의 제2 내측 돌기(24)는, 제2 외측 캠(25)을 구성한다. 내통(20)의 전단부에는, 직사각형으로 절결(cutout)된 오목부(26)가 형성되어 있다.
도 10은, 스페이서(30)의 사시도이다. 스페이서(30)는, 필기구(1)의 조립 상태에서는, 도 10에서 상부가 필기구(1)의 후측이 되도록 배치된다. 스페이서(30)는, 통 모양의 본체부(31)와, 본체부(31)의 후단부로부터 후방을 향해 연장되는 3개의 레일부(32)와, 3개의 레일부(32)의 후단부를 연결하도록 형성된 연결부(33)를 가지고 있다. 연결부(33)는, 외주가 3개의 레일부(32)의 외경보다도 소경(小徑)으로 형성된 2개의 연결부편(33a)과, 레일부(32)의 연장으로서 형성 또는 연결부편(33a)보다 대경으로 형성된 1개의 회전 규제편(33b)을 가지고 있다. 인접하는 2개의 레일부(32) 및 연결부(33)에 의해서, 리필(5)을 삽입할 수 있는 3개의 홈이 형성되어 있다. 즉, 본 실시 형태에서는, 필기구(1)는 3개의 리필(5)을 수용할 수 있다. 본체부(31)의 외주면에는 플랜지부(34)가 형성되고, 플랜지부(34)에 의해서, 본체부(31)의 외주면이 전후로 분할되어 있다. 플랜지부(34)의 전단면에는, 전방을 향해 연장되는 돌기 모양의 마크부(35)가 형성되어 있다. 마크부(35)는, 표시 부재(12)의 홈부에 감합(嵌合)된다(도 1). 본체부(31)의 전부(前部)에는, 수나사부(36)가 형성되고, 수나사부(36)에 의해서 스페이서(30)는 전축(2)과 나사 결합된다. 본체부(31)의 후부에는, 축선 방향으로 이간한 복수의 고리 모양 돌기(37)가 형성되어 있다.
도 11은, 칼라 부재(40)의 사시도이다. 칼라 부재(40)는, 필기구(1)의 조립 상태에서는, 도 11에서 상부가 필기구(1)의 후측이 되도록 배치된다. 칼라 부재(40)는, 전체로서 통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칼라 부재(40)의 외주면에는, 후축(3)의 T자 돌기(13)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또한 상보적인 형상으로, 2개의 T자 홈부(41)가 형성되어 있다. 2개의 T자 홈부(41) 사이에 상당하는 후단면의 부분은 계단 모양으로 융기한 융기부(42)가 형성되어 있다. 칼라 부재(40)의 후단면의 일부는, 후단측으로부터 전방을 향해 경사지게 절결된 절결부(43)가 형성되어 있다(도 7). 절결부(43)의 단면(端面)을 포함하는 칼라 부재(40)의 후단면은, 제1 캠면(44)을 구성한다.
도 12는, 회전 캠(50)의 배면도이다. 회전 캠(50)은, 필기구(1)의 조립 상태에서는, 도 12에서 상부가 필기구(1)의 후측이 되도록 배치된다. 회전 캠(50)은, 중심축선 둘레로 고리 모양으로 형성된 고리 모양부(51)와, 클로(claw) 형상의 클로부(52)를 가지고 있다. 고리 모양부(51)는, 클로부(52)의 후단부의 내면에 장착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클로부(52)의 내면에는, 고리 모양부(51)의 전단면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도록 돌기 모양의 가이드 돌기(53)가 형성되어 있다. 도 7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클로부(52)의 후부의 외형은, 내통(20)의 오목부(26)와 상보적인 직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비필기 상태의 필기구(1)에서, 클로부(52)는 내통(20)의 오목부(26)에 감합되고, 회전 캠(50)의 외면이 내통(20)의 외주면과 면일(面一, 단차가 없음)이 된다. 또, 고리 모양부(51)의 외경은, 내통(20)의 내경보다도 약간만 작게 형성되어 있다. 클로부(52)의 전부(前部)는, 평탄하게 형성된 평탄면(54)과, 경사지게 형성된 단면(端面)(55)을 가지고 있다. 클로부(52)의 평탄면(54) 및 단면(55)은, 내통(20)의 전단면(27)(도 9)과 함께 제2 캠면(56)을 구성한다.
도 13은, 슬라이딩 피스(60)의 사시도이다. 슬라이딩 피스(60)는, 필기구(1)의 조립 상태에서는, 도 13에서 상부가 필기구(1)의 후측이 되도록 배치된다. 슬라이딩 피스(60)는, 리필(5)의 후단부에 삽입되는 삽입부(61)와, 삽입부(61)의 측면에 형성된 습동자(褶動子)(62)를 가지고 있다. 습동자(62)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1 캠면(44)을 따라서 슬라이딩하기 위해, 슬라이딩시의 마찰 저항이 적게 되도록, 습동자(62)의 전단면에 미소(微小) 돌기(63)가 형성되어 있다. 습동자(62)는, 제2 캠면(56)을 따라서 슬라이딩하기 위해, 습동자(62)의 후단면에 동일한 미소 돌기를 형성해도 좋다.
도 14는, 조작 부재(70)의 사시도이다. 조작 부재(70)는, 필기구(1)의 조립 상태에서는, 도 14에서 상부가 필기구(1)의 후측이 되도록 배치된다. 조작 부재(70)는, 전단이 개구되고 또한 후단이 폐쇄된 중공의 부재이다. 조작 부재(70)의 외주면에는 캠 플랜지(71)가 형성되어 있다. 캠 플랜지(71)의 전단면에는, 대칭적이고 또한 연속적인 산부(山部) 및 골부(谷部)로 이루어지는 회전 캠면(72)이 형성되어 있다. 캠 플랜지(71)의 외주면에는, 축선 방향으로 연장되는 6개의 가이드 홈(73)이 둘레 방향을 따라서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캠 플랜지(71)의 후방의 조작 부재(70)의 외주면에는, 중심축선 둘레로 180도만큼 이간하여 축선 방향으로 연장되는 2개의 직사각형의 관통공(74)이 형성되어 있다. 조작 부재(70)의 외주면에서, 관통공(74)의 후방에는 후방에 면한 계단부(75)가 형성되고, 계단부(75)의 후방에는 감합 돌기(76)가 형성되어 있다. 유지 부재(6)를 조작 부재(70)의 후단부에 장착할 때에는, 유지 부재(6)에 마련된 개구에 대해서 감합 돌기(76)가 감합된다.
도 15는, 회전자(80)의 사시도이다. 회전자(80)는, 필기구(1)의 조립 상태에서는, 도 15에서 상부가 필기구(1)의 후측이 되도록 배치된다. 회전자(80)는 통 모양의 부재이다. 회전자(80)의 후단면에는, 조작 부재(70)의 회전 캠면(72)과 상보적으로 형성된 회전 캠 받이면(81)이 형성되어 있다. 회전 캠 받이면(81)은, 조작 부재(70)의 회전 캠면(72)과 협동한다. 회전자(80)의 외주면에는, 축선 방향으로 연장되고 또한 둘레 방향을 따라서 등간격으로 배치된 6개의 돌기(82)가 형성되고, 돌기(82)의 후단면은 제1 내측 캠(83)을 구성한다. 인접하는 2개의 돌기(82)에 의해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6개의 걸림 홈(84)이 형성되어 있다. 돌기(82) 각각의 후단면에는, 걸림부(85)가 형성되어 있다.
도 16은, 브레이크 로드(90)의 사시도이다. 브레이크 로드(90)는, 필기구(1)의 조립 상태에서는, 도 16에서 상부가 필기구(1)의 후측이 되도록 배치된다. 브레이크 로드(90)는, 중실(中實)의 부재이다. 브레이크 로드(90)의 후단부에는, 소경부(小徑部)(91)가 형성되고, 소경부(91)의 전방에는, 보다 대경의 대경부(大徑部)(92)가 형성되어 있다. 소경부(91) 및 대경부(92)는, 테이퍼면(93)에 의해서 접속되어 있다. 대경부(92)의 외주면에는, 중심축선 둘레로 180도만큼 이간하여 축선 방향으로 연장되는 2개의 직사각형의 돌기(94)가 형성되고, 돌기(94)의 후부의 일부가 직사각형으로 절결되는 것에 의해서, 규제부(95)가 형성되어 있다.
도 17은, 노크 링(100)의 사시도이다. 노크 링(100)은, 필기구(1)의 조립 상태에서는, 도 17에서 상부가 필기구(1)의 후측이 되도록 배치된다. 노크 링(100)은 통 모양의 부재이다. 노크 링(100)의 내주면에는, 중심축선 둘레로 180도만큼 이간하여 축선 방향으로 연장되는 2개의 규제 돌기(101)가 형성되어 있다. 노크 링(100)의 전단부의 외주면에는, 직각 삼각형 모양의 4개의 제1 외측 돌기(102)가 형성되어 있다. 2개의 제1 외측 돌기(102)는, 중심축선 둘레로 60도만큼 이간하여 배치되고, 대응하는 다른 2개의 제1 외측 돌기(102)는, 서로 중심축선 둘레로 180도만큼 이간하여 배치되어 있다. 제1 외측 돌기(102) 각각의 후방에는, 평행사변형 모양의 제2 외측 돌기(103)가 형성되어 있다. 제1 외측 돌기(102) 및 제2 외측 돌기(103)는, 제2 내측 캠(104)을 구성한다.
다음으로,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서, 필기구(1)에서의 각 부품의 조합 및 배치에 대해 설명한다.
스페이서(30)는, 수나사부(36)에 의해서 전축(2)과 나사 결합되어 있다. 후축(3)의 전단부는, 스페이서(30)의 본체부(31)의 후부에 삽입되어 있다. 이 때, 스페이서(30)의 고리 모양 돌기(37) 각각이, 대응하는 후축(3)의 고리 모양 홈(14)에 감합하는 것에 의해서, 후축(3)이, 스페이서(30), 나아가서는 전축(2)에 대해서, 용이하게 빠지지 않고 회전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전방 스프링(11) 및 칼라 부재(40)가, 스페이서(30)의 레일부(32)의 둘레에 배치되어 있다. 전방 스프링(11)의 전단은 스페이서(30)의 본체부(31)의 후단면에 의해서 지지되고, 전방 스프링(11)의 후단은 칼라 부재(40)의 전단면과 맞닿아 있다. 칼라 부재(40)는,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전방 스프링(11)에 의해서 후방으로 가압되어 있다. 후축(3)의 T자 돌기(13) 각각이, 대응하는 칼라 부재(40)의 T자 홈부(41)에 수용되는 것에 의해서, 칼라 부재(40)의 중심축선 둘레의 회전이 규제되어 있다. 따라서, 후축(3)을 전축(2)에 대해서 회전시키면, 칼라 부재(40)는 후축(3)과 함께 회전한다.
3개의 리필(5) 각각의 후단부에 슬라이딩 피스(60)의 삽입부(61)가 삽입되는 것에 의해서, 리필(5)과 슬라이딩 피스(60)가 접속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리필(5) 각각은, 스페이서(30)의 레일부(32) 사이의 홈 내에 삽입되고, 전후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 때, 슬라이딩 피스(60)의 습동자(62)는, 스페이서(30)의 레일부(32)로부터 지름 방향 외부로 돌출되어 있다. 습동자(62)는, 레일부(32)의 가장자리에 걸리고, 리필(5)이 레일부(32) 사이로부터 탈락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습동자(62), 특히 습동자(62)의 미소 돌기(63)는, 칼라 부재(40)의 제1 캠면(44)에 맞닿아 있다. 이 때, 3개의 슬라이딩 피스(60)의 습동자(62) 중 하나가, 칼라 부재(40)의 절결부(43)의 제1 캠면(44)에 배치되어 있고, 나머지의 습동자(62)는, 칼라 부재(40)의 후단면의 제1 캠면(44)에 배치되어 있다.
칼라 부재(40)는, 전방 스프링(11)에 의해서 후방으로 가압되어 있기 때문에, 칼라 부재(40)를 통해서 슬라이딩 피스(60) 각각도 후방으로 가압되고, 또한 슬라이딩 피스(60)를 통해서 회전 캠(50)도 후방으로 가압되어 있다. 칼라 부재(40), 나아가서는 슬라이딩 피스(60)의 후방으로의 이동은, 습동자(62)의 후단면이, 내통(20)의 전단면(27)을 포함하는 회전 캠(50)의 제2 캠면(56)에 맞닿는 것에 의해서 규제된다. 따라서, 슬라이딩 피스(60)의 습동자(62) 각각은, 제1 캠면(44)과 제2 캠면(56)과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회전 캠(50)의 클로부(52)는, 내통(20)의 오목부(26) 내에서 전후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 때, 회전 캠(50)의 고리 모양부(51)는, 내통(20)의 내주면을 따라서 슬라이딩한다.
조작 부재(70)는, 내통(20)의 제1 내측 돌기(22) 각각이 대응하는 가이드 홈(73)에 배치되도록 축통(4) 내에 배치되어 있다. 그것에 의해서, 노크 조작시에, 조작 부재(70)가, 회전하지 않고 축통(4) 내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된다. 후방 스프링(10)의 전단은, 내통(20)의 계단부(21)에 의해서 지지되고, 후방 스프링(10)의 후단은 유지 부재(6)에 맞닿아 있다. 그 결과, 후방 스프링(10)에 의해서, 유지 부재(6), 나아가서는 유지 부재(6)가 장착되어 있는 조작 부재(70)가 후방으로 가압되어 있다. 조작 부재(70)의 후방으로의 이동은, 캠 플랜지(71)의 후단면이 내통(20)의 제2 내측 돌기(24)의 전단면과 맞닿는 것에 의해서 규제된다.
캠 플랜지(71)의 전방의 조작 부재(70)의 외주면에는, 회전자(80)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또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이 때, 회전자(80)의 제1 내측 캠(83)은, 내통(20)의 제1 외측 캠(23)과 협동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비필기 상태의 필기구(1)에서(도 2), 회전자(80)의 전단부는 회전 캠(50)의 고리 모양부(51) 내에 삽입되고, 회전자(80)의 돌기(82)의 전단면이, 회전 캠(50)의 고리 모양부(51)의 후단면에 맞닿아 있다. 이 때, 회전자(80)의 후단면, 즉 회전 캠 받이면(81)은, 조작 부재(70)의 회전 캠면(72)에 맞닿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회전 캠(50)은, 슬라이딩 피스(60)를 통해서 전방 스프링(11)에 의해서 후방으로 가압되어 있기 때문에, 회전자(80), 나아가서는 이것에 맞닿는 조작 부재(70)도 후방으로 가압되어 있다.
브레이크 로드(90)가, 조작 부재(70), 나아가서는 회전자(80)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다. 브레이크 로드(90)는, 중력에 의해서 조작 부재(70) 내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브레이크 로드(90)의 전방으로의 이동은, 스페이서(30)의 후단면, 즉 연결부(33)의 후단면과 맞닿는 것에 의해서 규제된다. 브레이크 로드(90)의 후방으로의 이동은, 브레이크 로드(90)의 테이퍼면(93)이 조작 부재(70)의 내면과 걸리는 것에 의해서 규제된다(도 4).
조작 부재(70)의 관통공(74)의 둘레에는, 노크 링(100)이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고, 노크 링(100)은, 조작 부재(70)와 함께 일체적으로 전후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노크 링(100)은, 조작 부재(70)의 캠 플랜지(71)와, 조작 부재(70)에 장착된 유지 부재(6)와의 사이에 배치되고, 조작 부재(70)에 대한 전후 방향의 이동이 규제되어 있다. 이 때, 도 19를 참조하면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노크 링(100)의 규제 돌기(101) 각각은, 조작 부재(70)의 대응하는 관통공(74)내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노크 링(100)은, 관통공(74) 내에서 소정 각도의 범위내에서 회전할 수 있다. 게다가, 노크 링(100)의 제2 내측 캠(104)은, 내통(20)의 제2 외측 캠(25)과 협동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다음으로, 필기구(1)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필기구(1)는, 후방 스프링(10) 및 전방 스프링(11)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필기구(1)의 후단의 조작부를 전방으로 압압하는 노크 조작을 행하는 것에 의해서, 필기 상태 및 비필기 상태 사이의 전환이 행해지는데, 그 기본적인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필기 상태 및 비필기 상태 사이의 전환은, 조작 부재(70)의 회전 캠면(72) 및 회전자(80)의 회전 캠 받이면(81)의 협동에 의해서, 회전자(80)의 제1 내측 캠(83) 및 내통(20)의 제1 외측 캠(23)이 협동하는 것에 의해서 행해진다. 이들 캠 사이의 협동 동작에 대해서는, 종래의 노크식 필기구와 동일하므로, 이하 간단하게 설명한다.
비필기 상태에서는, 회전자(80)는, 돌기(82) 각각이 내통(20)의 제1 내측 돌기(22) 사이에 배치되고, 그것에 의해서 회전자(80)의 회전이 규제되어 있다. 환언하면, 회전자(80)의 걸림 홈(84) 내에, 내통(20)의 제1 내측 돌기(22)가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회전자(80)의 회전은 규제되어 있다. 이 때, 조작 부재(70)의 회전 캠면(72)과 회전자(80)의 회전 캠 받이면(81)은 맞닿아 있지만, 이들 위상은 서로 어긋나 있다.
노크 조작에 의해서 조작 부재(70)가 전방으로 이동하면, 캠 플랜지(71)에 압압되어 회전자(80)가 전방으로 이동한다. 회전자(80)가 전방으로 이동하면, 클로부(52)에 압압되어, 칼라 부재(40)의 절결부(43)에 배치된 습동자(62)를 구비한 슬라이딩 피스(60)와, 또한 칼라 부재(40)가 전방으로 이동한다. 결과로서, 이 슬라이딩 피스(60)에 접속된 리필(5)이, 축통(4)으로부터 돌출된다.
회전자(80)가 전방으로 이동하고, 전후 방향에서, 돌기(82)의 후단이 내통(20)의 제1 내측 돌기(22)의 전단을 넘으면, 회전자(80)의 회전의 규제가 해제된다. 그 순간, 조작 부재(70)의 회전 캠면(72)과 회전자(80)의 회전 캠 받이면(81)과의 어긋나 있던 위상을 원래로 되돌리려고 하는 둘레 방향의 분력(分力)이 작용하고, 이 분력이 회전자(80)를 약간만 회전시킨다.
다음으로, 노크 조작을 멈추면, 전방 스프링(11)의 가압력에 의해서, 칼라 부재(40)를 통해서, 슬라이딩 피스(60), 회전 캠(50), 회전자(80) 및 조작 부재(70)가 약간만 후방으로 이동한다. 이 때, 회전자(80)의 제1 내측 캠(83) 및 내통(20)의 제1 외측 캠(23)이 협동하여, 회전자(80)를 더 회전시킨다. 즉, 서로 동일 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면인, 내통(20)의 제1 내측 돌기(22)의 경사면(22a)과 회전자(80)의 돌기(82)의 후단면이 맞닿아 둘레 방향의 분력이 작용하고, 이 분력이 회전자(80)를 더 약간만 회전시킨다. 이 회전에 의해서, 조작 부재(70)의 회전 캠면(72)과 회전자(80)의 회전 캠 받이면(81)과의 위상은 다시 어긋난 상태가 된다. 회전자(80)의 회전 및 후방으로의 이동은, 내통(20)의 제1 내측 돌기(22)가 회전자(80)의 걸림부(85)에 걸림으로써 규제된다. 결과로서, 리필(5)은 축통(4)으로부터 돌출된 상태가 유지되어, 필기구(1)는 필기 상태가 된다.
필기 상태로부터 비필기 상태로 하기 위해서는, 다시 노크 조작을 행한다. 노크 조작에 의해서, 조작 부재(70)가 전방으로 이동하면, 캠 플랜지(71)에 압압 되어 회전자(80)가 전방으로 이동한다. 회전자(80)가 전방으로 이동하고, 전후 방향에서, 돌기(82)의 후단이 내통(20)의 제1 내측 돌기(22)의 전단을 넘으면, 회전자(80)의 회전의 규제가 해제된다. 그 순간, 조작 부재(70)의 회전 캠면(72)과 회전자(80)의 회전 캠 받이면(81)과의 어긋나 있던 위상을 원래로 되돌리려고 하는 둘레 방향의 분력이 작용하고, 이 분력이 회전자(80)를 약간만 회전시킨다.
다음으로, 노크 조작을 멈추면, 전방 스프링(11)의 가압력에 의해서, 칼라 부재(40)를 통해서, 슬라이딩 피스(60), 회전 캠(50), 회전자(80) 및 조작 부재(70)가 약간만 후방으로 이동한다. 이 때, 회전자(80)의 제1 내측 캠(83) 및 내통(20)의 제1 외측 캠(23)이 협동하여, 회전자(80)를 더 회전시킨다. 즉, 서로 동일 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면인, 내통(20)의 제1 내측 돌기(22)의 경사면(22a)과 회전자(80)의 돌기(82)의 후단면이 맞닿아 둘레 방향의 분력이 작용하고, 이 분력이 회전자(80)를 더 약간만 회전시킨다. 이 회전에 의해서, 조작 부재(70)의 회전 캠면(72)과 회전자(80)의 회전 캠 받이면(81)과의 위상은 다시 어긋난 상태가 된다. 회전자(80)의 회전은, 회전자(80)의 돌기(82) 각각이 내통(20)의 제1 내측 돌기(22)사이에 다시 배치되는 것에 의해서 규제된다. 회전자(80)의 후방으로의 이동은, 조작 부재(70)의 캠 플랜지(71)에 의해서 규제된다. 회전자(80)의 후방으로의 이동에 의해서, 전방 스프링(11)에 의해서 가압된 칼라 부재(40), 슬라이딩 피스(60) 및 회전 캠(50)도 후방으로 이동한다. 결과로서, 리필(5)은 축통(4)에 몰입한 상태가 되어, 필기구(1)는 비필기 상태가 된다.
상술한 필기 상태 및 비필기 상태 사이의 전환을 위한 노크 조작은, 필기구(1)의 전단이 하향인 상태에서 행해진다. 한편, 필기구(1)의 전단이 상향인 상태에서는, 노크 조작을 행할 수 없다. 즉, 조작부를 전방으로 압압하려고 해도, 조작 부재(70)의 이동이 저지되고, 조작 부재(70)를 전방으로 이동시킬 수 없다. 이것에 관해, 이하 설명한다.
도 18은, 노크 링(100)의 동작을 설명하는 모식도이다. 도 18은, 제2 외측 캠(25)을 둘레 방향으로 전개한 것에 대해서, 노크 링(100)의 제2 내측 캠(104)의 위치 관계, 즉, 내통(20)의 제2 내측 돌기(24)와, 노크 링(100)의 제1 외측 돌기(102) 및 제2 외측 돌기(103)와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도 18에서, 상부가 필기구(1)의 후측이며, 하부가 필기구(1)의 전측이다. 도 18의 (A)는, 노크 조작을 행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고, 도 18의 (B)는, 노크 조작에 의해서 조작부가 전방으로의 이동을 개시한 직후의 상태를 나타내고, 도 18의 (C)는, 노크 조작에 의해서 조작부가 전방으로 이동한 상태를 나타내고, 도 18의 (D)는, 노크 조작의 정지에 의해서, 조작부가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기 직전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8의 (A)를 참조하면, 노크 조작을 행하기 전에는, 내통(20)의 제2 내측 돌기(24)가, 노크 링(100)의 제2 외측 돌기(103)의 전방에 배치되어 있다. 이 상태로부터 노크 조작을 행하면, 내통(20)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조작 부재(70)가 전방으로 이동하고, 따라서 노크 링(100)도 전방으로 이동한다. 이 때, 내통(20)의 제2 외측 캠(25) 및 노크 링(100)의 제2 내측 캠(104)이 협동하여, 노크 링(100)을 회전시킨다. 즉, 서로 동일 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면을 가지는, 내통(20)의 제2 내측 돌기(24)의 경사면(24a)과 노크 링(100)의 제2 외측 돌기(103)의 전단면이 맞닿고, 둘레 방향의 분력이 작용하여 노크 링(100)이 전진하면서 회전한다(도 18의 (B)). 조작 부재(70)가 전방으로 더 이동하면, 내통(20)의 제2 내측 돌기(24)가, 제2 외측 돌기(103)의 옆을 통과하고, 노크 링(100), 나아가서는 조작 부재(70)를 충분히 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어(도 18의 (C)), 노크 조작이 행해진다.
도 18의 (C)에 나타내어진 상태로부터 노크 조작을 멈추면, 후방 스프링(10)의 가압력에 의해서, 내통(20)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조작 부재(70)가 후방으로 이동하고, 따라서 노크 링(100)도 후방으로 이동한다. 이 때, 내통(20)의 제2 외측 캠(25) 및 노크 링(100)의 제2 내측 캠(104)이 협동하여, 노크 링(100)을 방금전과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즉, 서로 동일 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면을 가지는, 내통(20)의 제2 내측 돌기(24)의 부분 경사면(24b)과 노크 링(100)의 제1 외측 돌기(102)의 후단면이 맞닿고, 둘레 방향의 분력이 작용하여 노크 링(100)이 후퇴하면서 회전한다(도 18의 (D)). 그 결과, 노크 링(100), 나아가서는 조작 부재(70)가 원래의 위치로 복귀한다(도 18의 (A)).
이상에 의해, 필기구(1)의 전단이 하향인 상태에서는, 노크 링(100)이 노크 조작에 따라 회전하는 것에 의해서, 조작 부재(70), 즉 조작부의 전방으로의 이동이 저지되지 않고 노크 조작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한편, 필기구(1)의 전단이 상향인 상태에서는, 브레이크 로드(90)에 의해서 노크 링(100)의 회전이 규제되는 것에 의해서, 조작부의 전방으로의 이동이 저지되어, 노크 조작을 행할 수 없다. 이러한 노크 락 기구에 대해서, 도 19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9는, 브레이크 로드(90)의 동작을 설명하는 횡단면도이다. 도 19의 (A)는, 필기구(1)의 전단이 하향인 상태인 도 3의 선 A-A에서의 단면도이며, 도 19의 (B)는, 필기구(1)의 전단이 상향인 상태인 도 4의 선 B-B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19의 (A)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필기구(1)의 전단이 하향인 상태에서는, 조작 부재(70)의 관통공(74) 내에는 각각, 노크 링(100)의 규제 돌기(101)가 배치되어 있다. 도 19의 (A)는, 도 18의 (A)와 마찬가지로, 노크 조작을 행하기 전 의 상태이고, 이 때, 규제 돌기(101)는 관통공(74)의 일방의 단부 가장자리에 걸쳐 있다. 따라서, 노크 링(100)은, 규제 돌기(101)가 관통공(74)의 단부 가장자리로부터 받는 규제의 범위 내에서, 소정 각도의 범위 내에서 회전할 수 있다.
도 19의 (B)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필기구(1)의 전단이 상향인 상태에서는, 조작 부재(70)의 관통공(74) 내에는 각각, 노크 링(100)의 규제 돌기(101)가 배치되어 있지만, 관통공(74)의 간극을 메우도록, 규제부(95)가 배치되어 있다. 즉, 필기구(1)의 전단을 상향으로 하면, 중력에 의해서 브레이크 로드(90)가 후방으로 이동한다. 그것에 의해서, 브레이크 로드(90)는, 조작 부재(70) 내에서 보다 내부에 삽입되고, 관통공(74)의 간극에 규제부(95)가 삽입된다. 그 결과, 노크 링(100)의 규제 돌기(101)가, 브레이크 로드(90)의 규제부(95)와 걸림으로써, 노크 링(100)의 회전이 규제된다.
노크 링(100)을 회전시킬 수 없으면, 도 18의 (B)를 참조하면서 설명한 바와 같이, 내통(20)의 제2 내측 돌기(24)의 경사면(24a)과 노크 링(100)의 제2 외측 돌기(103)의 전단면이 맞닿아도, 노크 링(100)이 회전하지 않는다. 그 결과, 내통(20)의 제2 내측 돌기(24)와 노크 링(100)의 제2 외측 돌기(103)가 걸리고, 조작 부재(70)의 그것 이상의 전방으로의 이동이 저지된다. 따라서, 필기구(1)의 전단이 상향인 상태에서는, 조작부의 전방으로의 이동이 저지되어, 노크 조작을 행할 수 없다.
또, 필기구(1)의 전단을, 상향인 상태로부터 하향인 상태로 하면, 브레이크 로드(90)가 전방으로 이동하여, 노크 링(100)의 회전의 규제가 해제된다. 그 결과, 다시 노크 조작을 행할 수 있게 된다.
필기구(1)는, 전단이 상향 상태에서 조작부의 전방으로의 이동이 저지되기 때문에, 예를 들면, 소거 부재(7)를 이용한 해당 필기구(1)에 의한 필적의 소거시에, 안정된 찰과 동작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필기구(1)를 바꿔 쥐고 조작부를 필기면에 대해서 압압하여 찰과 동작을 행해도, 조작부가 덜컹거리지 않는다. 필기구(1)에 의하면, 안정된 찰과 동작을, 종래보다도 간단한 기구로 실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특허 문헌 1(일본특허공개 제2016-107615호 공보)에 기재된 종래의 노크 락 기구는, 단일의 노크 락 부재를 가지는 것이며, 노크 락 부재의 중력에 의한 전후 방향의 이동 및 회전에 의해서, 조작부의 전방으로의 이동을 저지하는 구성이었다. 이것에 대해, 필기구(1)의 노크 락 기구는, 브레이크 로드(90) 및 노크 링(100)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브레이크 로드(90)는 중력에 의해 이동만을 행하고, 노크 링(100)은 회전만을 행한다고 하는 것과 같이, 이동 및 회전을 담당하는 부재를 분리하고 있다. 그 결과, 필기구(1)의 노크 락 기구는, 특허 문헌 1의 노크 락 기구보다도 기구부로서의 전체 길이를 짧게 할 수 있고, 축통의 내주면 근방 등의 내부 기구의 부품 형상이나 부품의 배치 장소에 대해서 설계를 보다 자유롭게 할 수 있다.
브레이크 로드는, 중력에 의해서 축통 내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으면 임의의 형상의 브레이크 부재라도 괜찮다. 또, 노크 링은, 완전한 고리 모양이 아닌 C자형 모양이라도 괜찮고, 조작부와 함께 이동하고 또한 중심축선 둘레로 회전 가능하면 임의의 형상의 회전 부재라도 괜찮다. 그리고, 축통의 전단을 상부로 향하게 하면 브레이크 부재가 후방으로 이동하고, 회전 부재의 회전이 규제되어 회전 부재가 걸림부와 걸리는 것에 의해서, 조작부의 전방으로의 이동이 저지되는 한에서, 브레이크 부재 및 회전 부재는 임의의 형상을 채용할 수 있다.
그런데, 필기구(1)의 전단이 상향인 상태에서, 잘못하여 필기구(1)를 낙하시켜 버리면, 조작부에 대해서 축선 방향의 강한 충격이 가해진다. 이 때, 내통(20)의 제2 내측 돌기(24)의 경사면(24a)과 노크 링(100)의 제2 외측 돌기(103)의 전단면이 충돌하고, 제2 내측 돌기(24)가 둘레 방향으로 부풀도록 변형된다. 그러면, 변형된 제2 내측 돌기(24)는, 노크 링(100)의 인접하는 제2 외측 돌기(103) 사이를, 도 18의 (B)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통과할 수 없어, 노크 조작을 할 수 없을 우려가 있다. 또, 만일, 변형된 제2 내측 돌기(24)가 노크 링(100)의 인접하는 제2 외측 돌기(103) 사이를 통과할 수 있었다고 해도, 변형된 제2 내측 돌기(24)가 제2 외측 돌기(103) 사이에 걸려 버려, 조작부가 원래의 위치로 복귀할 수 없게 되어 버릴 우려가 있다. 이것에 관해, 도 20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20은, 노크 링(100)의 동작을 설명하는 다른 모식도이다. 도 20은, 도 18과 동일한 도면이며, 도 20에서, 상부가 필기구(1)의 후측이며, 하부가 필기구(1)의 전측이다. 도 20에 나타내어진 노크 링(100)은, 인접하는 제2 외측 돌기(103) 중, 인접하는 제2 외측 돌기(103) 사이를 통과하는 제2 내측 돌기(24)에 대응하는 제2 외측 돌기(103), 즉 도면 중 우측의 제2 외측 돌기(103)를, 축선 방향에 대해 보다 짧게 형성하고 있다. 즉, 도면 중 우측의 제2 외측 돌기(103)의 전단면을, 타방의 제2 외측 돌기(103)의 전단면보다도 후방에 배치되도록 형성하고 있다.
도 20의 (A)는, 필기구(1)의 낙하에 의해서, 인접하는 제2 외측 돌기(103) 사이를 통과하지 않는 내통(20)의 제2 내측 돌기(24)의 후단면과, 대응하는 노크 링(100)의 제2 외측 돌기(103)의 전단면이 충돌한 순간을 나타내고 있다. 이 때, 내통(20)의 타방의 제2 내측 돌기(24)는, 대응하는 노크 링(100)의 제2 외측 돌기(103)의 전단면이 보다 후방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이 제2 외측 돌기(103)와는 충돌은 하고 있지 않다. 도 20의 (B)에서는, 충돌의 결과, 인접하는 제2 외측 돌기(103) 사이를 통과하지 않는 내통(20)의 제2 내측 돌기(24)는, 변형된 변형부(24c)를 가지고 있다. 이 때, 타방의 내통(20)의 제2 내측 돌기(24)는, 변형을 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인접하는 제2 외측 돌기(103) 사이를 통과하는 것이 가능해져, 노크 조작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그런데, 통상의 노크 조작에서, 내통(20)의 제2 내측 돌기(24)의 후단면과 노크 링(100)의 제2 외측 돌기(103)의 전단면이 맞닿는 것을 시작으로 하여, 내통(20)의 제2 내측 돌기(24)와 노크 링(100)의 제2 외측 돌기(103)가 서로 걸려 버려, 노크 링(100)이 회전할 수 없게 되어 버리는 경우가 있다. 이것에 관해, 도 21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21은, 노크 링(100)의 동작을 설명하는 다른 모식도이다. 도 21은, 도 18과 동일한 도면이며, 도 21에서, 상부가 필기구(1)의 후측이고, 하부가 필기구(1)의 전측이다. 도 21에서, 노크 링(100)의 제2 외측 돌기(103), 특히 도면 중 좌측의 제2 외측 돌기(103)의 전단의 예각 부분의 각도(α)를, 45도~90도의 범위로 하는 것에 의해서, 내통(20)의 제2 내측 돌기(24)와 노크 링(100)의 제2 외측 돌기(103)와의 의도하지 않은 걸림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노크 조작을 행하는 것에 의해서, 조작 부재(70), 회전자(80) 및 회전 캠(50)이 전방으로 이동한다. 회전 캠(50)이 전방으로 이동하면, 클로부(52)에 압압되어, 칼라 부재(40)의 절결부(43)에 배치된 습동자(62)를 구비한 슬라이딩 피스(60)와, 또한 칼라 부재(40)가 전방으로 이동한다. 결과로서, 이 슬라이딩 피스(60)에 접속된 리필(5)의 필기부(5a)가, 축통(4)으로부터 돌출된다. 소정의 리필(5)을 돌출시키는 동작에 대해서, 도 22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22는, 노크 조작시의 리필의 동작을 설명하는 모식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슬라이딩 피스(60)의 습동자(62) 각각은, 제1 캠면(44)과 제2 캠면(56)과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도 22에서는, 이들을 둘레 방향으로 전개하여 나타내고 있기 때문에, 각 도면에서, 좌우는 연결되어 있다. 슬라이딩 피스(60) 각각은, 제1 캠면(44)과 제2 캠면(56)은 협동한다. 3개의 슬라이딩 피스(60) 중 하나에 붙여진 ○ 표시는, 슬라이딩 피스(60)의 특정을 위해 편의상 그려진 표시이다. 도 22에서, 상부가 필기구(1)의 후측이고, 하부가 필기구(1)의 전측이다. 도 22의 (A)는, 필기구(1)의 비필기 상태에서의 칼라 부재(40), 회전 캠(50) 및 슬라이딩 피스(60)를 나타내고 있고, 도 22의 (B)는, 노크 조작 개시 직후의 칼라 부재(40), 회전 캠(50) 및 슬라이딩 피스(60)를 나타내고 있고, 도 22의 (C)는, 필기구(1)의 필기 상태에서의 칼라 부재(40), 회전 캠(50) 및 슬라이딩 피스(60)를 나타내고 있다. 또, 도 22에서, 후축(3)의 내주면에 마련된 T자 돌기(13)가, 모식적으로 나타내어져 있다.
도 22의 (A)에 나타내어진 상태로부터 노크 조작을 행하면, 조작 부재(70)의 전방으로의 이동에 의해서, 회전 캠(50)도 전방으로 이동하고, 절결부(43)에 배치되어 있는 ○ 표시가 붙여진 슬라이딩 피스(60)와 칼라 부재(40)가 전진한다. 이 때, 나머지의 2개의 슬라이딩 피스(60)는, 상대적으로 정지하고 있는 후축(3)의 내주면에 마련된 T자 돌기(13)에 걸린다(도 22의 (B)). 따라서, 제1 캠면(44)은, T자 돌기(13)의 후단면을 포함한다고도 말할 수 있다. 다음으로, 회전 캠(50)이 더 이동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회전자(80)의 제1 내측 캠(83) 및 내통(20)의 제1 외측 캠(23)이 협동하여, 필기구(1)는 필기 상태가 된다(도 22의 (C)). 이 때, 나머지의 2개의 슬라이딩 피스(60)는, 후축(3)의 내주면에 마련된 T자 돌기(13)에 걸려 있기 때문에, 전방으로 이동하지 않는다.
만일 T자 돌기(13)가 없는 경우, 축통(4)으로부터 돌출되는 리필(5) 이외의 다른 리필(5)도, 중력에 의해서 전방으로 이동한다. 그렇다면, 전축(2)의 전단의 테이퍼 모양의 부분에서 복수의 리필(5)이 집합하게 되고, 돌출시키고 싶은 리필(5)의 이동을 저해할 우려가 있다. 그래서, 필기구(1)에서는, T자 돌기(13)를 마련하고, 다른 리필(5)을 이것에 걸리게 함으로써, 다른 리필(5)의 불필요한 전진을 규제하고 있다. 따라서, T자 돌기(13)는, 리필(5)을 걸리게 할 수 있는 한, 임의의 형상으로 할 수 있다.
도 22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노크 조작에 의해서, 3개의 리필(5) 중에서 상대적으로 전진하고 있는 슬라이딩 피스(60)에 접속된 리필(5)이, 축통(4)의 전단 개구로부터 돌출되어, 필기구(1)는 필기 상태가 된다. 따라서, 필기구(1)의 비필기 상태에서, 상대적으로 전진하고 있는 리필(5)의 필기부(5a)가, 축통(4)의 전단 개구의 근방에 배치되도록 하는 것에 의해서, 보다 작은 노크 조작량, 즉 보다 작은 노크 스트로크로, 리필(5)을 돌출시켜 필기 상태로 할 수 있다. 또, 노크 조작시에는, 회전 캠(50)의 제2 캠면(56) 자체가 전진하고, 슬라이딩 피스(60)를 압압하기 때문에, 부품 사이의 덜컹거림을 억제할 수 있다. 또, 회전 캠(50), 특히 클로부(52)는 비교적 큰 부품인 것이 가능하여, 강도를 크게 할 수 있다.
도 23은, 출몰 가능한 리필(5)의 전환 동작, 즉 필기할 리필(5)을 변경하기 위한 동작을 설명하는 모식도이다. 도 23은, 도 22와 동일한 도면이며, 도 23에서, 상부가 필기구(1)의 후측이고, 하부가 필기구(1)의 전측이다. 스페이서(30)는 전축(2)에 대해서 고정되어 있다. 한편, 내통(20), 칼라 부재(40), 회전 캠(50) 및 후축(3)은, 전축(2)에 대해서 회전 가능하고, 회전 선택 부재를 구성한다. 환언하면, 전축(2)는, 후축(3)에 대해서 회전 가능하다.
도 23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전축(2)에 대한 후축(3)의 회전을, 후축(3)을 기준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후축(3)의 회전에 따라서, 슬라이딩 피스(60)만이 도 23에서 좌우 방향으로 이동한다. 실제는, 슬라이딩 피스(60)는, 스페이서(30)의 레일부(32) 사이의 홈 내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할 뿐이다. 또, 설명의 편의상, 3개의 슬라이딩 피스(60)를, 슬라이딩 피스(60A), 슬라이딩 피스(B) 및 슬라이딩 피스(60C)로 하여 구별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노크 조작시, 칼라 부재(40)의 절결부(43)에 배치된 슬라이딩 피스(60)에 접속된 리필(5), 즉 선택된 위치에 배치된 리필(5)이, 클로부(52)에 압압되어 축통(4)으로부터 돌출된다. 따라서, 선택된 위치에 배치되는 리필(5)을 변경하는 것에 의해서, 소망의 리필(5)을 출몰시킬 수 있다. 게다가, 설명의 편의상, 후축(3)은 전축(2)에 대해서 자유 자재로 회전 가능한 것으로 한다.
도 23의 (A)는, 비필기 상태의 필기구(1)에서, 슬라이딩 피스(60A)가 전진한 위치에 배치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상태에서 노크 조작을 행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슬라이딩 피스(60A)에 접속된 리필(5)이 필기 상태가 된다. 이 때, 다른 슬라이딩 피스(60B) 및 슬라이딩 피스(60C)는, 도 22를 참조하면서 설명한 바와 같이, 후축(3)의 내주면에 마련된 T자 돌기(13)와 걸려, 전방으로의 이동이 규제되어 있다.
도 23의 (A)에 나타내어진 상태에서, 전축(2)에 대해서 후축(3)을, 필기구(1)의 후방으로부터 보아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슬라이딩 피스(60) 각각은, 도면 중 우측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이동한다. 이 때, 후축(3)의 회전, 즉 칼라 부재(40)의 회전에 따라, 전진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던 슬라이딩 피스(60A)가 제1 캠면(44)의 경사면을 따라서 후방으로 이동함과 아울러, 슬라이딩 피스(60B)가 전방 스프링(11)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융기부(42) 상에 올라앉는다(도 23의 (B)). 슬라이딩 피스(60B)가 융기부(42) 상에 올라앉는 것에 의해서, 칼라 부재(40)는, 도 23의 (A)에 나타내어진 상태와 비교해서, 융기부(42)의 높이의 분(分)만큼 전방으로 이동하여 있다.
게다가, 후축(3)을 회전시키면, 슬라이딩 피스(60B)는 융기부(42)를 따라서 상대적으로 둘레 방향으로 이동함과 아울러 슬라이딩 피스(60C)는 회전 캠(50)의 단면(55)을 따라서 전방으로 이동한다(도 23의 (C)). 다음으로, 슬라이딩 피스(60B)가 융기부(42)의 단부를 넘는 순간에, 융기부(42)의 높이의 분(分)만큼 전방으로 이동하여 있던 칼라 부재(40)가, 전방 스프링(11)의 가압력에 의해서 순간적으로 후방으로 이동한다(도 23의 (D)). 이 때, 슬라이딩 피스(60B)는 칼라 부재(40)의 후단면에 충돌한다. 이것과 동시에, 슬라이딩 피스(60C)는 칼라 부재(40)의 절결부(43)의 단면에 충돌한다. 또 이것과 동시에, 슬라이딩 피스(60A)는, 내통(20)의 전단면(27)과 충돌한다. 그 결과, 슬라이딩 피스(60C)가, 칼라 부재(40)의 절결부(43)에 배치되고, 리필(5)의 전환이 완료된다(도 23의 (E)). 이들 충돌은 대략 동시에 행해지기 때문에, 후축(3)을 회전시키고 있던 사용자는, 그 충격 및 충격에 기인하는 클릭 소리를 느낄 수 있고, 출몰 가능한 리필(5)의 전환 동작이 완료된 것을 인식할 수 있다. 또, 융기부(42)는 생략해도 괜찮다.
출몰 가능한 리필(5)의 전환을 위해서 후축(3)을 회전시키기 시작하는데 필요한 토크, 즉 초동(初動) 토크는, 계단 모양으로 융기한 융기부(42)의 높이나 계단 모양의 부분의 형상 등을 변경하는 것에 의해서, 소망의 값으로 변경할 수 있다. 슬라이딩 피스(60)의 이동에 따른 마찰 저항 등을 고려하여, 초동 토크를 적절히 조정하는 것에 의해서, 초동 토크 이상의 토크를 가하여 회전시키면, 그 후의 관성력에 의해서 순간적으로 인접하는 리필(5)로의 전환이 행해지도록 할 수 있다.
도 24는, 다른 실시 형태에서의 노크 조작시의 리필(5)의 동작을 설명하는 모식도이다. 도 24는, 도 22와 동일한 도면이며, 상부가 필기구(1)의 후측이고, 하부가 필기구(1)의 전측이다. 도 24에서는, 회전 캠(150)의 클로부(152)의 축선 방향의 길이를, 클로부(152)의 전단면이 내통(20)의 전단면(27)과 정렬하도록 설정하고 있다. 이 경우, 선택된 위치에 있는 리필(5)은, 전진한 위치, 즉 절결부(43)에 배치된 슬라이딩 피스(60)에 접속된 리필(5)이 아니고, 축선 방향에서 회전 캠(150)의 클로부(152)에 대향한 위치에 배치된 슬라이딩 피스(60)에 접속된 리필(5)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후축(3)을 회전시킬 때에, 슬라이딩 피스(60)와 회전 캠(150)이 접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보다 스무스하게 출몰 가능한 리필(5)의 전환을 행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전축(2)에 대한 후축(3)의 회전, 즉 회전 선택 부재의 회전을 소정 각도의 범위로 규제하고 있다. 즉, 도 2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비필기 상태의 필기구(1)에서, 회전 캠(50)의 가이드 돌기(53)의 전단부는, 스페이서(30)의 연결부편(33a)의 외측에 배치할 수 있다. 환언하면, 스페이서(30)의 연결부편(33a)과 회전 캠(50)의 가이드 돌기(53)는 간섭하지 않는다. 이 상태에서, 후축(3)을 전축(2)에 대해서 일방으로 회전시키면, 스페이서(30)의 회전 규제편(33b)과 회전 캠(50)의 가이드 돌기(53)가 맞닿아, 후축(3)의 회전이 규제된다. 즉, 스페이서(30)의 회전 규제편(33b)의 둘레 방향에서의 일방의 측면(33c)(도 10)과 회전 캠(50)의 가이드 돌기(53)가 맞닿는다. 후축(3)을 전축(2)에 대해서 타방으로 회전시키면, 스페이서(30)의 회전 규제편(33b)의 둘레 방향에서의 타방의 측면(33c)과 회전 캠(50)의 가이드 돌기(53)가 맞닿는다. 따라서, 회전 선택 부재의 회전을 소정 각도의 범위로 규제할 수 있다. 이 때, 예를 들면, 도 23의 (A)에 나타내어진 상태로부터, 후축(3)을 120도만큼 회전시켜 슬라이딩 피스(60C)가 칼라 부재(40)의 절결부(43)에 배치된 도 23의 (E)에 나타내어진 상태로 천이한 후, 그것 이상, 후축(3)을 회전시킬 수 없도록 구성한다. 따라서, 슬라이딩 피스(60B)를 칼라 부재(40)의 절결부(43)에 배치시키기 위해서는, 후축(3)을 역방향으로 240도만큼 회전시킬 필요가 있다. 또, 스페이서(30)의 복수의 고리 모양 돌기(37) 또는 후축(3)의 복수의 고리 모양 홈(14) 등에 걸림 기구를 마련하는 것에 의해서, 회전 선택 부재의 회전을 소정 각도의 범위로 규제해도 괜찮다.
후축(3)이 회전 가능한 각도를 소정의 범위(즉 240도의 범위)로 규제하는 것에 의해서, 그 시점에서의 노크 조작에 의해서 돌출되는 리필(5)을, 언뜻 봐서 판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즉, 도 23의 (A)에 나타내어진 상태일 때, 도 1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내통(20)의 클립(28)과 표시 부재(12)에 배치된 마크부(35)가 정렬하도록 구성한다. 클립(28)과 마크부(35)가 정렬하고 있을 때에는, 노크 조작에 의해서 슬라이딩 피스(60A)에 접속된 리필(5)이 돌출된다. 마크부(35)는 전축(2)과 일체로 움직이기 때문에, 전축(2)의 회전 방향에 따라서, 클립(28)과 마크부(35)와의 위치 관계가 변화한다. 따라서, 클립과 마크부(35)와의 위치 관계를 보면, 어느 리필(5)이 선택된 위치에 있고 노크 조작에 의해서 필기 상태가 될지, 판별할 수 있다. 이 때, 리필(5)의 잉크의 색에 의해, 마크부(35) 및 2개의 삼각형의 표시(도 1)를 착색함으로써, 보다 판별하기 쉽게 해도 괜찮다.
전축(2)과 후축(3)은, 필기구(1)가 비필기 상태일 때에만 상대적으로 회전할 수 있다. 환언하면, 회전 선택 부재는, 필기구(1)가 비필기 상태일 때에만 회전시킬 수 있다. 즉, 필기 상태의 필기구(1)에서는, 도 22의 (C)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회전 캠(50)이 전방으로 이동하고 있다. 이 때, 회전 캠(50)은, 대응하는 슬라이딩 피스(60)를 전방으로 압압하고 있음과 아울러, 회전 캠(50)의 가이드 돌기(53)가, 스페이서(30)의 레일부(32) 사이의 홈 내에 삽입되어 있다. 그 때문에, 회전 선택 부재를 회전시키려고 해도, 회전 캠(50)의 가이드 돌기(53) 및 레일부(32)와의 걸림에 의해서 회전이 규제되어, 회전시킬 수 없다. 따라서, 필기구(1)가 필기 상태일 때에는, 후축(3)에 대해서 전축(2)을 회전시킬 수 없다. 따라서, 필기 중에, 의도하지 않게 회전 선택 부재를 회전시켜 버려, 리필(5)이 변경되어 버린다고 하는 오동작이 방지된다. 한편, 필기구(1)가 비필기 상태일 때에는, 회전 캠(50)의 가이드 돌기(53)는, 레일부(32)보다도 후방에 배치되고, 레일부(32)와 걸리지 않기 때문에, 회전 선택 부재를 회전시킬 수 있다.
또, 노크 조작에 의해서, 필기구(1)를 필기 상태로부터 비필기 상태로 했다고 해도, 도 23을 참조하면서 설명한 바와 같이 회전 선택 부재를 회전시키지 않는 한, 동일한 리필(5)이 선택된 위치에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흑색으로 필기한 후에, 노크 조작을 하여 비필기 상태로 하고, 재차, 흑색으로 필기를 하려고 하는 경우에는, 각 리필에 대응하는 조작부의 선택 등을 하지 않고, 단일의 조작부를 노크 조작하는 것만으로, 다시 흑색의 리필(5)을 필기 상태로 할 수 있다. 즉, 매회, 복수의 조작부 중에서 소망의 리필(5)을 돌출시키기 위해서 소정의 조작부를 찾지 않고, 단일의 조작부를 노크 조작함으로써, 동일한 리필(5)의 출몰의 반복을 간단하게 행할 수 있다. 한편, 노크 조작에 의해서 필기 상태가 되는 리필(5)을 전환하려면, 상술한 바와 같이, 회전 선택 부재를 축선 둘레로 회전시킴으로써 간단하게 행할 수 있다.
또, 회전 선택 부재를 축선 둘레로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서, 슬라이딩 피스(60) 각각은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슬라이딩 피스(60)에 접속된 리필(5) 각각을 개별로 가압하는 복수의 스프링을 배치할 필요가 없다. 즉, 단일의 전방 스프링(11)에 의해, 다심식이고 또한 노크식의 필기구를 실현할 수 있다. 그 결과, 필기구(1)는, 축선 방향의 전체 길이에 대해서, 출몰 기구나 리필 선택 기구가 차지하는 비율을 작게 하고 또한 필기구(1)의 외경을 보다 가늘게 하는 것도 가능하며, 게다가 간편한 기구로 할 수 있다. 또, 단일의 전방 스프링(11)을 스페이서(30)의 외측, 즉 축통(4)의 내주면 근방에 배치하는 것에 의해서, 리필(5)이 전방 스프링(11)과 접촉하여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스페이서(30)의 레일부(32)는, 리필(5)의 지름 방향 외부에 면한 외주면의 많은 부분을 덮고 있기 때문에, 리필(5)은 전방 스프링(11)에 접촉하지 않는다. 게다가, 필기구(1)의 외주면에 복수의 조작부가 배치되지 않기 때문에, 요철이 적고, 도안을 프린트하거나, 장식을 하거나 할 수 있다.
노크 조작에 의해서 어느 리필(5)이 필기 상태가 될지, 즉 어느 리필(5)이 선택된 위치에 있을지 판별 가능하도록, 축통(4)의 측면에 개구를 마련하거나 또는 축통(4)을 투명 또는 반투명으로 해도 괜찮다. 구체적으로는, 축통(4)의 측면에 개구를 마련하는 경우, 슬라이딩 피스(60)가 전진한 위치에 있을 때에만 개구로부터 시인할 수 있도록, 각 슬라이딩 피스(60)의 대응하는 축통(4)의 측면에 개구를 형성해도 좋다. 슬라이딩 피스(60)를, 삽입되는 리필(5)의 필기색과 동일색으로 착색해도 괜찮다.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필기구(1)는, 3개의 리필(5)을 가지고 있지만, 2개 또는 4개 이상이라도 좋고, 그 중의 하나를, 볼펜용 리필 대신에 샤프 펜슬, 마킹 펜, 터치 펜, 지우개 또는 마찰체 등의 그 외의 종류의 리필로 한 복식(複式) 필기구로 해도 좋다. 또, 필기구(1)는, 그 후단부에, 필기구(1)에 의한 필적을 소거하는 소거 부재(7)가 마련되어 있었는데, 이것에 더하여 또 이것을 대신하여, 필기구(1)의 다른 개소에 소거 부재를 마련해도 좋다. 예를 들면, 전축(2)의 일부, 예를 들면 전단부에 소거 부재를 마련해도 좋고, 클립에 소거 부재를 마련해도 괜찮다.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돌기나 홈, 캠 구조 등의 구체적인 예를 나타냈지만, 동일한 효과를 가지는 한, 다른 수, 형상 또는 독립된 별도 부품으로 구성해도 괜찮다.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의 리필(5)의 적어도 1개를, 열변색성(熱變色性) 색재를 함유하는 열변색성 잉크를 수용한 리필로 해도 좋다. 이 경우, 필기구(1)는 열변색성 필기구이며, 소거 부재로서의 마찰체에 의해서 찰과했을 때에 생기는 마찰열 등에 의해서, 필기구(1)의 필적을 열변색할 수 있다.
여기서, 열변색성 잉크는, 상온(예를 들면 25℃)에서 소정의 색채(제1 색)를 유지하고, 소정 온도(예를 들면 60℃)까지 승온시키면 다른 색채(제2 색)로 변화되고, 그 후, 소정 온도(예를 들면 -5℃)까지 냉각시키면, 다시 원래의 색채(제1 색)로 복귀하는 성질을 가지는 잉크를 말한다. 열변색성 잉크를 이용한 필기구(1)에서는 상기 제2 색을 무색으로 하고, 제1 색(예를 들면 빨강)으로 필기한 묘선을 승온시켜 무색으로 하는 것을, 여기에서는 「소거한다」라고 하는 것으로 한다. 따라서, 묘선이 필기된 필기면 등에 대해서 마찰체에 의해서 찰과하여 마찰열을 일으키고, 그것에 의해서 묘선을 무색으로 변화, 즉 소거시킨다. 또, 당연한 것이지만 상기 제2 색은, 무색 이외의 유색이라도 괜찮다.
열변색성 색재가 되는 열변색성 마이크로캡슐 안료로서는, 마찰열 등의 열에 의해 변색하는 것, 예를 들면, 유색으로부터 무색, 유색으로부터 유색, 무색으로부터 유색 등이 되는 기능을 가지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여러 가지의 것을 이용할 수 있고, 적어도 류코(leuco) 색소, 현색제(顯色劑), 변색 온도 조정제를 포함하는 열변색성 조성물을, 마이크로캡슐화한 것을 들 수 있다.
이용할 수 있는 류코 색소로서는, 전자(電子) 공여성(供輿性) 염료이고, 발색제로서 기능하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구체적으로는, 발색 특성이 뛰어난 잉크를 얻는 점으로부터, 트리페닐 메탄계, 스피로피란계, 플루오란계, 디페닐 메탄계, 로다민 락탐계, 인돌일 프탈리드계, 류코 오라민계 등 종래 공지의 것이, 단독(1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이하, 간단하게 「적어도 1종」이라고 함) 이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6-(디메틸 아미노)-3, 3-비스[4-(디메틸 아미노) 페닐]-1(3 H)-이소벤조 푸라논, 3, 3-비스(p-디메틸 아미노 페닐)-6-디메틸 아미노프탈리드, 3-(4-디에틸 아미노 페닐)-3-(1-에틸-2-메틸인돌-3-일(yl)) 프탈리드, 3-(4-디에틸 아미노-2-에톡시 페닐)-3-(1-에틸-2-메틸인돌-3-일(yl))-4-아자프탈리드(azaphthalide), 1, 3-디메틸-6-디에틸 아미노플루오란, 2-클로로-3-메틸-6-디메틸 아미노플루오란, 3-디부틸 아미노-6-메틸-7-아닐리노 플루오란, 3-디에틸 아미노-6-메틸-7-아닐리노 플루오란, 3-디에틸 아미노-6-메틸-7-크실리디노 플루오란, 2-(2-클로로 아닐리노)-6-디부틸 아미노플루오란, 3, 6-디메톡시 플루오란, 3, 6-디-n-부톡시 플루오란, 1, 2-벤즈(Benz)-6-디에틸 아미노플루오란, 1, 2-벤즈-6-디부틸 아미노플루오란, 1, 2-벤즈-6-에틸이소아밀 아미노플루오란, 2-메틸-6-(N-p-토릴(tolyl)-N-에틸 아미노) 플루오란, 2-(N-페닐-N-메틸 아미노)-6-(N-p-토릴-N-에틸 아미노) 플루오란, 2-(3'-트리플루오로 메틸 아닐리노)-6-디에틸 아미노플루오란, 3-클로로-6-시클로헥실 아미노플루오란, 2-메틸-6-시클로헥실 아미노플루오란, 3-디(n-부틸) 아미노-6-메톡시-7-아닐리노 플루오란, 3, 6-비스(디페닐 아미노) 플루오란, 메틸-3', 6'-비스 디페닐 아미노플루오란, 클로로-3', 6'-비스 디페닐 아미노플루오란, 3-메톡시-4-도데콕시(dodecoxy) 스티릴 퀴놀린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류코 염료는, 락톤 골격, 피리딘 골격, 퀴나졸린 골격, 비스퀴나졸린 골격 등을 가지는 것이며, 이들 골격(고리)이 개환(開環)함으로써 발색을 발현하는 것이다.
이용할 수 있는 현색제는, 상기 류코 색소를 발색시키는 능력을 가지는 성분이 되는 것이며, 예를 들면, 페놀 수지계 화합물, 살리실산계 금속 염화물, 살리실산 수지계 금속 염화합물, 고체산계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o-크레졸, tert-부틸카테콜, 노닐페놀, n-옥틸페놀, n-도데실페놀, n-스테아릴페놀, p-클로로페놀, p-브로모페놀, o-페닐페놀, 헥사플루오로 비스페놀, p-히드록시 안식향산(安息香酸) n-부틸, p-히드록시 안식향산 n-옥틸, 레조르신, 몰식자산(沒食子酸) 도데실, 2, 2-비스(4'-히드록시페닐) 프로판, 4, 4-디히드록시 디페닐 설폰, 1, 1-비스(4'-히드록시페닐) 에탄, 2, 2-비스(4'-히드록시-3-메틸 페닐) 프로판, 비스(4-히드록시페닐) 설피드, 1-페닐-1, 1-비스(4'-히드록시페닐) 에탄, 1, 1-비스(4'-히드록시페닐)-3-메틸부탄, 1, 1-비스(4'-히드록시페닐)-2-메틸 프로판, 1, 1-비스(4'-히드록시페닐) n-헥산, 1, 1-비스(4'-히드록시페닐) n-헵탄, 1, 1-비스(4'-히드록시페닐) n-옥탄, 1, 1-비스(4'-히드록시페닐) n-노난, 1, 1-비스(4'-히드록시페닐) n-데칸, 1, 1-비스(4'-히드록시페닐) n-도데칸, 2, 2-비스(4'-히드록시페닐) 부탄, 2, 2-비스(4'-히드록시페닐) 에틸프로피오네이트, 2, 2-비스(4'-히드록시페닐)-4-메틸펜탄, 2, 2-비스(4'-히드록시페닐) 헥사플루오로 프로판, 2, 2-비스(4'-히드록시페닐) n-헵탄, 2, 2-비스(4'-히드록시페닐) n-노난등 중 적어도 1종을 들 수 있다.
이용하는 현색제의 사용량은, 소망되는 색채 농도에 따라 임의로 선택하면 좋고,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통상, 상술한 류코 색소 1질량부에 대해서, 0.1~100 질량부 정도의 범위 내에서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용할 수 있는 변색 온도 조정제는, 상기 류코 색소와 현색제의 정색(呈色)에서 변색 온도를 컨트롤하는 물질이다. 이용할 수 있는 변색 온도 조정제는, 종래 공지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알코올류, 에스테르류, 케톤류, 에테르류, 산(酸)아미드류, 아조메틴류, 지방산류, 탄화수소류 등을 들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비스(4-히드록시 페닐) 페닐메탄 디카프릴레이트(C7H15), 비스(4-히드록시 페닐) 페닐메탄 디라우레이트(C11H23), 비스(4-히드록시 페닐) 페닐메탄 디미리스테이트(C13H27), 비스(4-히드록시 페닐) 페닐에탄디미리스테이트(C13H27), 비스(4-히드록시 페닐) 페닐메탄디팔미테이트(C15H30), 비스(4-히드록시 페닐) 페닐메탄디베헤네이트(C21H43), 비스(4-히드록시 페닐) 페닐에틸헥실리덴 디미리스테이트(C13H27) 등 적어도 1종을 들 수 있다.
이 변색 온도 조정제의 사용량은, 소망되는 히스테리시스 폭 및 발색시의 색채 농도 등에 따라 적절히 선택하면 되며,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통상, 류코 색소 1질량부에 대해서, 1~100 질량부 정도의 범위 내에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열변색성 마이크로캡슐 안료는, 적어도 상기 류코 색소, 현색제, 변색 온도 조정제를 포함하는 열변색성 조성물을, 평균 입자 지름이 0.1~5μm가 되도록, 마이크로캡슐화하는 것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마이크로캡슐화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계면중합법, 계면중축합법, insitu 중합법, 액중(液中) 경화 피복법, 수용액으로부터의 상분리법, 유기용매로부터의 상분리법, 융해 분산 냉각법, 기중(氣中) 현탁 피복법, 스프레이 드라이닝법 등을 들 수 있고, 용도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수용액으로부터의 상분리법에서는, 류코 색소, 현색제, 변색 온도 조정제를 가열 용융 후, 유화제 용액에 투입하고, 가열 교반하여 유적(油滴, 기름 방울) 모양으로 분산시키고, 다음으로, 캡슐막제로서, 수지 원료 등을 사용, 예를 들면, 아미노 수지 용액, 이소시아네이트계 수지 용액 등을 서서히 투입하고, 계속 반응시켜 조제 후, 이 분산액을 여과하는 것에 의해 목적의 열변색성의 마이크로캡슐 안료를 제조할 수 있다.
이들 류코 색소, 현색제, 변색 온도 조정제의 함유량은, 이용하는 류코 색소, 현색제, 변색 온도 조정제의 종류, 마이크로캡슐화법 등에 의해 변동하지만, 해당 색소 1에 대해서, 질량비로 현색제 0.1~100, 변색 온도 조정제 1~100이다. 또, 캡슐막제는, 캡슐 내용물에 대해서, 질량비로 0.1~1이다.
열변색성 마이크로캡슐 안료는, 상기 류코 색소, 현색제 및 변색 온도 조정제의 종류, 양 등을 바람직하게 조합시키는 것에 의해, 각 색의 발색 온도(예를 들면, -20℃ 이상에서 발색), 소색 온도(예를 들면, 60℃ 이상에서 소색(消色))를 적합한 온도로 설정할 수 있고, 마찰열 등의 열에 의해 유색으로부터 무색이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열변색성 마이크로캡슐 안료에서는, 묘선 농도, 보존 안정성, 필기성의 보다 나은 향상의 점으로부터, 벽막이 우레탄 수지, 우레아/우레탄 수지, 에폭시 수지, 혹은 아미노 수지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우레탄 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이소시아네이트와 폴리올과의 화합물을 들 수 있다. 에폭시 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에폭시 수지와 아민의 화합물을 들 수 있다. 아미노 수지로서는, 멜라민 수지, 우레아 수지, 벤조구아나민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마이크로캡슐 색재의 벽막의 두께는, 필요로 하는 벽막의 강도나 묘선 농도에 따라 적절히 결정된다.
열변색성 마이크로캡슐 안료의 평균 입자 지름은, 착색성, 발색성, 역소색성(易消色性), 안정성, 잉크 중에서의 유동성의 점, 및, 필기성으로의 악영향을 억제, 후술하는 광 변색성 마이크로캡슐 안료와의 상용성 등의 점으로부터, 바람직하게는, 0.1~5μm, 더 바람직하게는, 0.3~3μm 이다. 또, 여기서 규정하는 「평균 입자 지름」은, 입도 분석계〔마이크로 트랙 HRA9320-X100(닛키소사제)〕에 의해, 평균 입자 지름(50% 지름)을 측정(굴절률 1.8)한 값이다.
이 평균 입자 지름이 0.2μm 미만이면, 충분한 묘선 농도를 얻지 못하고, 한편, 5μm를 넘으면, 필기성의 열화, 열변색성 마이크로캡슐 안료의 분산 안정성의 저하, 진동에 의한 잉크 백(back)이 발생하기 쉬워져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90% 지름이 8μm 이하, 바람직하게는 6μm 이하이다. 지름이 큰 입자가 일정 비율 이상 존재하면, 상술한 영향이 보다 현저하게 되는 경향이 보인다. 또, 상술한 평균 입자 지름의 범위 (0.1~5μm)가 되는 마이크로캡슐 안료는, 마이크로캡슐화법에 의해 변동하지만, 수용액으로부터의 상분리법 등에서는, 마이크로캡슐 안료를 제조할 때의 교반 조건을 바람직하게 조합시키는 것에 의해 조제할 수 있다.
열변색성 마이크로캡슐 안료의 비중은, 0.9~1.3, 바람직하게는 1.0~1.2의 범위이다. 비중이 이 범위 밖이면, 마이크로캡슐 안료의 분산 안정성이 저하되기 쉽다. 또, 비중이 1.3을 넘는 마이크로캡슐 안료는, 진동에 의해서 잉크 백이 발생하기 쉽다.
필기구용 수성(水性) 잉크 조성물에서, 상기 열변색성 마이크로캡슐 안료 외에, 잔부로서 용매인 물(수도물, 정제수, 증류수, 이온 교환수, 순수(純水) 등) 외에, 각 필기구용(볼펜용, 마킹 펜용 등)의 용도에 따라서, 그 효과를 해치지 않는 범위에서, 수용성 유기용제, 증점제(增粘劑), 윤활제, 방수제, 방부제 혹은 방균제 등을 적절히 함유할 수 있다.
이용할 수 있는 수용성 유기용제로서는, 예를 들면, 에틸렌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트리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3-부틸렌 글리콜, 티오디에틸렌 글리콜, 글리세린 등의 글리콜류나, 에틸렌 글리콜 모노메틸 에테르, 디에틸렌 글리콜 모노메틸 에테르, 단독 혹은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중, 잉크 백에 의한 필기부에서의 잉크 고체화를 억제할 목적으로 하여, 글리세린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 첨가량은 잉크 전량(全量)에 대해서 1~10질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글리세린에 의한 작용의 메카니즘은 불명하지만, 건조 상태에서의 안료 및 잉크 성분과의 응집력을 저하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이라고 추측된다.
이용할 수 있는 증점제로서는, 예를 들면, 합성 고분자, 셀룰로오스 및 다당류로 이루어지는 군(群)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아라비아 검, 트라가칸스 검, 구아 검, 로커스트 빈 검, 알긴산, 카라기난, 젤라틴, 크산탄 검, 웰란 검, 숙시노글라이칸, 디우탄 검, 덱스트란, 메틸 셀룰로오스, 에틸 셀룰로오스, 히드록시 에틸 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전분 글리콜산 및 그 염(鹽), 알긴산 프로필렌 글리콜 에스테르, 폴리비닐 알코올, 폴리비닐 피롤리돈, 폴리비닐 메틸 에테르, 폴리 아크릴산 및 그 염(鹽), 카르복시비닐 폴리머, 폴리에틸렌 옥사이드, 아세트산 비닐과 폴리비닐 피롤리돈의 공중합체, 가교형 아크릴산 중합체 및 그 염(鹽), 비가교형 아크릴산 중합체 및 그 염(鹽), 스틸렌 아크릴산 공중합체 및 그 염(鹽)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 다당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당류는 그 레올로지(rheology) 특성으로부터, 진동에 의한 유동성으로의 영향을 받기 어려운 경향이 있고, 잉크 백에 기인하는 필기 불량 등의 문제점이 생기기 어렵다. 특히 크산탄 검은, 필기구 잉크에 요구되는 그 외의 특성과의 밸런스가 뛰어난 것이 바람직하다.
윤활제로서는, 안료의 표면 처리제에도 이용되는 다가(多價) 알코올의 지방산 에스테르, 당(糖)의 고급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 알킬렌 고급 지방산 에스테르, 알킬 인산 에스테르, 고급 지방산 아미드의 알킬 설폰산염, 알킬 아릴 설폰 산염, 폴리 알킬렌 글리콜의 유도체나 불소계 계면활성제, 폴리 에테르 변성 실리콘 등을 들 수 있다. 또, 방수제로서는, 벤조트리아졸, 토릴(tolyl) 트리아졸, 디시클로헥실 암모늄 나이트라이트, 사포닌류 등을 들 수 있다. 방부제 혹은 방균제로서는, 페놀, 나트륨 오마딘, 안식향산 나트륨, 벤조이미다졸계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이 필기구용 수성 잉크 조성물을 제조하려면, 종래부터 알려져 있는 방법을 채용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상기 열변색성, 광 변색성 마이크로캡슐 안료 외에, 상기 수성에서의 각 성분을 소정량 배합하고, 호모 믹서, 혹은 디스퍼(disper) 등의 교반기에 의해 교반 혼합하는 것에 의해서 얻어진다. 게다가 필요에 따라서, 여과나 원심 분리에 의해서 잉크 조성물 중의 조대(粗大) 입자를 제거해도 괜찮다.
필기구용 수성 잉크 조성물의 점도값은, 25℃, 전단 속도 3.83/s에서, 500~2000mPa·s, 전단 속도 383/s에서 20~100mPa·s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점도 범위로 설정하는 것에 의해서, 필기성과 시간 경과 안정성이 뛰어난 잉크로 할 수 있다. 게다가, S=αDn(단, 1>n>0)(S는 전단응력(dyn/cm2), D는 전단 속도(s-1), α는 비뉴턴 점성 계수)로 나타내어지는 점성식에서 구해지는 비(非)뉴턴 점성 지수 n이, 0.2~0.6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점도 범위에 더하여 비뉴턴 점성 지수 n을 상기 범위로 함으로써, 진동에 대한 잉크의 유동성을 적절히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잉크 백의 발생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필기구용 수성 잉크 조성물의 표면 장력은, 25~45mN/m, 또는 30~40mN/m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범위 내이면, 펜 끝 내부와 잉크의 젖음성의 밸런스가 적절하게 되어, 잉크 백의 발생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리필 내에서는, 잉크의 바로 후방에 잉크 추종체를 배치해도 괜찮다. 추종체를 구성하는 재료로서는, 적어도, 불휘발성 혹은 난휘발성 유기용제와, 증점제에 의해 구성할 수 있다. 잉크 추종체에 사용하는 불휘발성 혹은 난휘발성 유기용제는, 잉크 추종체의 기유(基油)로서 이용하는 것이며, 예를 들면, 유동 파라핀이 이용된다. 유동 파라핀에는, 광물유, 화학 합성유가 이용되고, 화학 합성유로서는, 폴리브덴, 폴리α-올레핀, 에틸렌α-올레핀 올리고머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이용할 수 있는 구체적인 광물유로서는, 예를 들면, 시판품인 다이아나 프로세스 오일 NS-100, PW-32, PW-90, NR-68, AH-58(이데미쯔코산사제) 등을 들 수 있다.
이용할 수 있는 구체적인 폴리브덴으로서는, 예를 들면, 시판품인 닛산폴리브덴 200N, 폴리브덴 30N, 폴리브덴 10N, 폴리브덴 5N, 폴리브덴 3N, 폴리브덴 015N, 폴리브덴 06N, 폴리브덴 0N(이상, 일본 유시사제), 폴리브덴 HV-15(일본 세키유카가쿠사제), 35R(이데미쯔코산사제) 등을 들 수 있다.
이용할 수 있는 구체적인 폴리α-올레핀으로서는, 예를 들면, 시판품인 배럴 프로세스유 P-26, P-46, P-56, P-150, P-350, P-1500, P-2200, (P-10000, P-37500)(마쓰무라 세키유사제) 등을 들 수 있다.
이용할 수 있는 구체적인 에틸렌α-올레핀 올리고머로서는, 예를 들면, 시판품의 루칸트(lucant) HC-10, HC-20, HC-100, HC-150, (HC-600, HC-2000)(이상, 미쯔이 카가쿠사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불휘발성 혹은 난휘발성 유기용제는, 1종 또는 2종 이상을 합쳐 사용할 수 있다.
잉크 추종체에 사용하는 증점제로서는, 예를 들면, 인산 에스테르의 칼슘염, 미립자 실리카, 폴리스틸렌-폴리에틸렌/부틸렌 고무-폴리스틸렌의 블록 코폴리머, 폴리스틸렌-폴리에틸렌/프로필렌 고무-폴리스틸렌의 블록 코폴리머, 수소 첨가 스틸렌-부타디엔 러버, 스틸렌-에틸렌 부틸렌-올레핀 결정의 블록 코폴리머, 올레핀 결정-에틸렌 부틸렌-올레핀 결정의 블록 코폴리머 및 아세트알콕시알미늄 디알킬레이트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은 1종 혹은 2종 이상 이용할 수 있다.
이용할 수 있는 인산 에스테르의 칼슘염의 바람직한 시판품으로서는, CrodaxDP-301LA(크로다 재팬(Croda Japan)사제) 등을 들 수 있다. 이용할 수 있는 미립자 실리카는, 친수성 미립자 실리카와 소수성 미립자 실리카가 있으며, 친수성 실리카의 바람직한 시판품으로서는, AEROSIL-300, AEROSIL-380(일본 에어로질사제) 등을 들 수 있고, 또, 소수성 실리카의 바람직한 시판품으로서는, AEROSIL-974 D, AEROSIL-972(일본 에어로질사제) 등을 들 수 있다.
또, 폴리스틸렌-폴리에틸렌/부틸렌 고무-폴리스틸렌의 블록 코폴리머의 바람직한 시판품으로서는, 크레이톤(Kraton) GFG-1901X, 크레이톤 GG-1650(이상, 쉘 재팬사제), 셉톤 8007, 셉톤 8004(이상, 쿠라레이사제) 등을 들 수 있다. 게다가, 폴리스틸렌-폴리에틸렌/프로필렌 고무-폴리스틸렌의 블록 코폴리머의 바람직한 시판품으로서는, 크레이톤 GG-1730(쉘 재팬사제), 셉톤 2006, 셉톤 2063(이상, 쿠라레이사제) 등을 들 수 있다.
수소 첨가 스틸렌-부타디엔 러버의 바람직한 시판품으로서는, DYNARON 1320P, DYNARON 1321P(이상, JSR사제), 터프텍(TUFTEC) Hl041, 터프텍 Hl141(이상, 아사히 카세이공업사제) 등을 들 수 있다.
스틸렌-에틸렌 부틸렌-올레핀 결정의 블록 코폴리머의 바람직한 시판품으로서는, DYNARON 4600P(JSR사제) 등을 들 수 있고, 올레핀 결정-에틸렌 부틸렌-올레핀 결정의 블록 코폴리머의 바람직한 시판품으로서는, DYNARON 6200P, DYNARON 6201B(JSR사제) 등을 들 수 있다.
아세트알콕시알미늄 디알킬레이트의 바람직한 시판품으로서는, 플렌액트(PLENACT) AL-M(아지노모도 파인 테크노사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증점제 중에서, 본 발명의 효과를 더 발휘시키는 점으로부터, 스틸렌-에틸렌 부틸렌-올레핀 결정의 블록 코폴리머, 올레핀 결정-에틸렌 부틸렌-올레핀 결정의 블록 코폴리머 등의 열가소성 올레핀계 엘라스토머의 사용이 바람직하다.
게다가, 잉크 백의 발생을 방지하는 잉크 추종체를 얻는 점으로부터, 주파수 영역 1~63rad/s로 지수 함수적으로 증가시키면서 주파수마다 측정한 tanδ값의 평균값이 1.0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1.7~3.4로 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여기서, tanδ는, 손실 탄성률/저장 탄성률을 의미하는 값이며, 종래에는, 주파수 영역 「1~63rad/s」에서 지수 함수적으로 증가시키면서 주파수마다 측정한 tanδ값의 평균값이 1.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한 것이 알려져 있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1~63rad/s에서 주파수마다 측정한 tanδ값의 평균값을 1.0 이상으로 하는 것에 의해, 진동을 흡수하여 잉크 백의 발생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마찰체는, 필기구(1)에 수용된 열변색성 잉크의 색보다도 명도값이 낮은 색으로 착색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마찰체의 사용시에 필기구(1)의 열변색성 잉크가 변색하지 않고 마찰체의 표면에 전사(轉寫)된 경우에, 열변색성 잉크의 전사를 눈에 띄지 않게 할 수 있다. 특히, 마찰체의 색을 흑색 또는 명도값을 2.5 이하로 하는 것에 의해서, 마찰체의 사용에 따른 표면의 오염도 눈에 띄지 않게 할 수 있다.
명도값은 범용형 색차계(色差計)(TC-8600A, 도쿄 덴쇼쿠 주식회사제) 등의 측정 장치를 이용하여 먼셀표 색계를 사용하고, 마찰체의 명도값은 표면을 측정하고, 열변색성 잉크의 명도값은, 지면(구JIS P3201;화학 펄프 100%를 원료에 초조(抄造)된 상질지(上質紙), 평량 범위 40~157g/m2, 백색도 75.0% 이상) 상에 필기 속도 4.5m/min, 피치 간격 0.1 mm로 필기한 묘선 상의 잉크를 측정하는 것에 의해서 구해진다.
마찰체를 구성하는 재료로서,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를 50질량% 이상 사용하는 것이며, 마찰체의 인장 탄성률(JIS K 7161:2014-1)이 70MPa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특성의 마찰체를 이용하는 것에 의해, 열변색성 잉크에 의해 형성된 필적을, 찰과하여 변색 또는 소색시킬 때의 저항감이 적고, 또, 가벼운 힘에 의해서도 충분한 마찰열이 얻어지며, 게다가, 가는 부분의 소거 등도 용이해지는 것이다.
이용할 수 있는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는, 마찰체의 기재가 되는 것이며, 예를 들면,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프로필렌과 다른 소량의α-올레핀(예를 들면, 에틸렌, 1-부텐, 1-헥센, 1-옥텐, 및 4-메틸-1-펜텐 등)과의 공중합체(블록 공중합체, 및 랜덤 공중합체를 포함함)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로서는, 이들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를 마찰체 전량 중, 50질량% 이상 사용하는 것에 의해, 본 실시 형태의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이외에 이용할 수 있는 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이오노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수지는, 본 실시 형태의 효과를 더 발휘하게 하는 점으로부터, 마찰체 전량 중, 0.5~30질량%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게다가, 마찰체를 구성하는 재료에는, 바람직하게는, 점착성을 조정하고, 가벼운 힘에 의해서도 충분한 마찰열을 발휘하게 하는 점으로부터, 로진계 수지, 테르펜계 수지, 석유계 수지, 페놀계 수지, 석탄계 수지, 크실렌계 수지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수지를 함유시킬 수 있다.
이들 수지 중에서, 분자량이 수백으로부터 수천인 것이 선택되고, 마찰체의 주성분이 되는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의 배합계에 배합하는 것에 의해서 마찰체에 점착성을 부여하게 하며, 본 실시 형태의 효과를 더 발휘하게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로진계 수지, 테르펜계 수지 등의 천연 수지, 석유계 수지, 페놀계 수지, 석탄계 수지, 크실렌계 수지 등의 분자량이 바람직하게는, 500~5000, 보다 바람직하게는 700~4000의 상기 각종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로진계 수지로서는, 검 로진, 톨유(tall oil) 로진, 우드 로진, 수소 첨가 로진, 불균화 로진, 중합 로진, 변성 로진의 글리세린, 펜타에리트리톨 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고, 테르펜계 수지로서는,α-피넨계, β-피넨계, 디펜텐계 등의 테르펜 수지, 방향족 변성 테르펜 수지, 테르펜페놀 수지, 수소 첨가 테르펜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수지 중에서도, 한층 더 안정성의 관점으로부터, 중합 로진, 테르펜 수지, 수소 첨가 테르펜 수지, 방향족 변성 수소 첨가 테르펜 수지, 테르펜페놀 수지가 바람직하다.
석유계 수지는, 예를 들면, 석유 화학 공업의 나프타의 열분해에 의해, 에틸렌, 프로필렌 등의 석유화학 기초 원료와 함께 부생(副生)하는 올레핀이나 디올레핀 등의 불포화탄화수소를 포함하는 분해유 유분을 혼합물인 채 프리델 크래프츠형 촉매에 의해 중합하여 얻어진다.
해당 석유계 수지로서는, 나프타의 열분해에 의해서 얻어지는 C5 유분(留分)을 (공)중합하여 얻어지는 지방족계 석유 수지, 나프타의 열분해에 의해서 얻어지는 C9 유분을 (공)중합하여 얻어지는 방향족계 석유 수지, 상기 C5 유분과 C9 유분을 공중합하여 얻어지는 공중합계 석유 수지, 수소 첨가계, 디시클로펜타디엔 등의 지환식(脂環式) 화합물계 석유 수지, 스틸렌, 치환 스틸렌, 스틸렌과 다른 모노머와의 공중합체 등의 스틸렌계 수지 등의 석유계 수지를 들 수 있다.
나프타의 열분해에 의해서 얻어지는 C5 유분에는, 통상 1-펜텐, 2-펜텐, 2-메틸-1-부텐, 2-메틸-2-부텐, 3-메틸-1-부텐 등의 올레핀계 탄화수소, 2-메틸-1, 3-부타디엔, 1, 2-펜타디엔, 1, 3-펜타디엔, 3-메틸-1, 2-부타디엔 등의 디올레핀계 탄화수소 등이 포함된다.
또, C9 유분을 (공)중합하여 얻어지는 방향족계 석유 수지는, 비닐 톨루엔, 인덴을 주요한 모노머로 하는 탄소수 9의 방향족을 중합한 수지이며, 나프타의 열분해에 의해서 얻어지는 C9 유분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α-메틸 스틸렌, β-메틸 스틸렌, γ-메틸 스틸렌 등의 스틸렌 동족체(同族體)나 인덴, 쿠마론 등의 인덴 동족체(同族體) 등을 들 수 있다.
상품명으로서는, 미쯔이 카가쿠제 페트로진(PETROSIN), 미쿠니(Mikuni) 카가쿠제 페트라이트, JX닛코우 닛세키 에너지제 네오 폴리머, 토소제 페트콜(Petcoal), 페트로택(Petrotack) 등이 있다.
게다가, 상기 C9 유분으로 이루어지는 석유 수지를 변성한 변성 석유 수지가, 점착성, 점착 지속성을 고도로 양립하는 수지로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변성 석유 수지로서는, 불포화 지환식 화합물에서 변성한 C9계 석유 수지, 수산기를 가지는 화합물에서 변성한 C9계 석유 수지, 불포화 카르복시산 화합물에서 변성한 C9계 석유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한 불포화 지환식 화합물로서는, 시클로펜타디엔, 메틸시클로펜타디엔 등, 또, 알킬시클로펜타디엔의 딜스 알더(Diels Alder) 반응 생성물로서, 디시클로펜타디엔, 시클로펜타디엔/메틸시클로펜타디엔 공(共)2량화물, 트리시클로펜타디엔등을 들 수 있고, 디시클로펜타디엔이 특히 바람직하다.
디시클로펜타디엔 변성 C9계 석유 수지는, 디시클로펜타디엔 및 C9 유분 양자의 존재하, 열중합 등에 의해 얻을 수 있다.
디시클로펜타디엔 변성 C9계 석유 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JX닛코우 닛세키 에너지제 네오 폴리머 130S를 들 수 있다.
또, 수산기를 가지는 화합물로서는, 알콜 화합물이나 페놀 화합물을 들 수 있다.
알콜 화합물의 구체예로서는, 예를 들면, 알릴알코올, 2-부텐 1, 4 디올 등의 이중 결합을 가지는 알콜 화합물을 들 수 있다.
페놀 화합물로서는, 페놀, 크레졸, 크실레놀, p-t-부틸 페놀, p-옥틸 페놀, p-노닐 페놀 등의 알킬 페놀류를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수산기 함유 화합물은, 단독으로 이용해도 좋고, 2종 이상을 병용하여 사용해도 괜찮다.
수산기 함유 C9계 석유 수지는, 석유 유분과 함께 (메타)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 등을 열중합하여 석유 수지 중에 에스테르기를 도입한 후, 해당 에스테르기를 환원하는 방법, 석유 수지 중에 이중 결합을 잔존 또는 도입한 후, 해당 이중 결합을 수화(水和)하는 방법 등에 의해서도 제조할 수 있다.
또, 수산기 함유 C9계 석유 수지로서, 상기와 같이 각종의 방법에 의해 얻어지는 것을 사용할 수 있지만, 성능면, 제조면으로부터 보아, 페놀 변성 석유 수지 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페놀 변성 석유 수지는, C9 유분을 페놀의 존재하에서 양이온 중합하여 얻어지고, 변성이 용이하고, 저가격이다.
페놀 변성 C9계 석유 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JX닛코우 닛세키 에너지제 네오 폴리머--E-130을 들 수 있다.
게다가, 불포화 카르복시산 화합물에서 변성한 C9계 석유 수지로서는, C9계 석유 수지를 에틸렌성 불포화 카르복시산에서 변성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에틸렌성 불포화 카르복시산의 대표적인 것으로 하여, (무수) 마레인산, 퓨말산, 이타콘산, 테트라 히드로 (무수) 프탈산, (메타) 아크릴산 또는 시트라콘산 등을 들 수 있다.
불포화 카르복시산 변성 C9계 석유 수지는, C9계 석유 수지 및 에틸렌계 불포화 카르복시산을 열중합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마레인산 변성 C9계 석유 수지가 바람직하다.
불포화 카르복시산 변성 C9계 석유 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JX닛코우 닛세키 에너지제 네오 폴리머 160을 들 수 있다.
또, 나프타의 열분해에 의해서 얻어지는 C5 유분과 C9 유분의 공중합 수지를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C9 유분으로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나프타의 열분해에 의해서 얻어진 C9 유분인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SCHILL&SEILACHER사제 Struktol 시리즈의 TS30, TS30-DL, TS35, TS35-DL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페놀계 수지로서는, 알킬 페놀 포름알데히드계 수지 및 그 로진 변성체, 알킬 페놀 아세틸렌계 수지, 변성 알킬 페놀 수지, 테르펜 페놀 수지 등을 들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노볼락형 알킬 페놀 수지인 상품명 히타놀 1502(히타치 카세이공업사제), p-t-부틸 페놀 아세틸렌 수지인 상품명 크레신(BASF사제) 등을 들 수 있다.
또, 석탄계 수지로서는, 쿠마론 인덴 수지 등을 들 수 있고, 크실렌계 수지로서는, 크실렌 포름알데히드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그 외 폴리브덴도 점착 부여성을 가지는 수지로서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수지 중에서, 점착성, 점착 지속성의 관점으로부터, C5 유분과 C9 유분의 공중합 수지, C9 유분을 (공)중합하여 얻어지는 방향족계 석유 수지, 페놀계 수지 및 쿠마론 인덴 수지가 바람직하다.
이들 수지는, 연화점이 200℃(측정법:ASTM E28-58-T)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또는 80~150℃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연화점이 200℃를 넘으면, 가공성을 악화시키는 경우가 있고, 또, 80℃ 미만에서는 점착 성능이 뒤떨어지는 경우가 있다. 이들 관점으로부터 연화점은 90~120℃의 범위가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수지는, 단독으로 사용해도 괜찮고,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해도 괜찮다.
이들 점착성을 조정하는 목적으로 이용하는 상기 로진계 수지, 테르펜계 수지, 석유계 수지, 페놀계 수지, 석탄계 수지, 크실렌계 수지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수지의 배합량은, 본 실시 형태의 효과를 더 발휘하게 하는 점으로부터, 마찰체 전량 중, 바람직하게는, 0.05~20질량%, 더 바람직하게는, 0.05~10질량%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 형태의 마찰체에는, 상기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등 외에, 점착성을 조정할 목적으로 이용하는 상기 수지 이외에, 본 실시 형태의 효과를 해치지 않는 범위에서, 소망에 의해, 열안정제, 산화 방지제, 광 안정제, 자외선 흡수제, 결정핵제, 블로킹 방지제, 씰성(seal性) 개량제, 이형제(예를 들면, 스테아린산, 및 실리콘 오일 등), 폴리에틸렌 왁스 등의 윤활제, 착색제, 안료, 무기 충전제(예를 들면, 알루미나, 탈크, 탄산 칼슘, 마이카, 규회석(wollastonite), 및 점토 등), 발포제(유기계, 무기계), 및 난연제(예를 들면, 수화 금속 화합물, 적린(赤燐), 폴리 인산 암모늄, 안티몬 화합물, 및 실리콘 등) 등의 임의 성분을 적당량 포함시킬 수 있다.
또, 마찰체의 재료에 대해서, 알킬 설폰산 페닐 에스테르, 시클로헥산 디카르본산 에스테르를 더 함유시켜도 좋다. 마찰체에, 알킬 설폰산 페닐 에스테르, 시클로헥산 디카르본산 에스테르를 포함하는 것에 의해서, 추가로, 지면을 손상시키지 않고 또한 인쇄 문자 등을 긁히게 하지 않고, 필적의 소거 등이 가능해진다.
본 실시 형태의 마찰체의 제조는, 상기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등을 이용하여, 예를 들면, 압출 성형, 사출 성형 등의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의 마찰체는, 내구성을 부여하여, 본 실시 형태의 효과를 발휘 하게 하는 점으로부터, 인장 탄성률(JIS K 7161:2014-1)이 70MPa 이상으로 하는 것이 필요하고, 바람직하게는, 80~5000MPa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인장 탄성률이 70MPa 미만이면, 본 실시 형태의 효과를 발휘할 수 없게 되어, 바람직하지 않다.
이 마찰체의 인장 탄성률이 70MPa 이상으로 하려면, 이용하는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의 종류, 배합량, 그 외의 수지종, 그 함유량 등을 바람직하게 조합시키는 것에 의해 조정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는, 본 실시 형태의 효과를 더 발휘시키고, 저항감을 작게 하는 점으로부터, 마찰체의 영구 신장(JIS K 6273:2006)을 50%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50~100%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 형태에서 규정하는 「영구 신장」이란, 시험편을 2배로 신장한 상태에서 23℃, 6시간 유지한 후, 응력을 없앤다. 신장된 길이를 신장 전의 길이로 나눈 값(%)을 말한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과도하게 미끄러지지 않고 적당한 저항감을 부여하는 점으로부터, 마찰체의 마찰 계수를 0.3~0.5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 형태에서 규정하는 「마찰 계수」란, 시판의 표면성 측정기(HEIDON-14D, 신토 카가쿠 주식회사)를 사용하고, 마찰체를 상질지에 대해서, 가중(加重) 4.9N, 각도 90℃), 필기 속도 100mm/min로 마찰하는 것에 의해서 계측된 마찰 계수를 말한다.
상기 마찰체의 영구 신장, 마찰 계수를 적합한 범위로 하려면, 이용하는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의 배합량, 그 외의 수지종, 그 함유량 등을 바람직하게 조합시키는 것에 의해 조정할 수 있다.
또, 마찰체는, 터치 펜, 스타일러스 펜으로서도 적용 가능하고, 도전성을 부여해도 괜찮다.
본 실시 형태의 마찰체에 의하면, 종래의 스틸렌계 엘라스토머 등의 엘라스토머나, 플라스틱 발포체 등에 비해,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를 50질량% 이상으로, 마찰체의 인장 탄성률을 70MPa 이상으로 하고 있으므로, 열변색성 잉크에 의해 형성된 필적을, 찰과하여 변색 또는 소색시킬 때의 저항감이 적고, 또, 가벼운 힘에 의해서도 충분한 마찰열이 얻어지며, 게다가, 가는 부분의 소거 등도 용이해지는 지금까지 없는 뛰어난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것이 된다.
게다가, 마찰체의 영구 신장을 50% 이상, 및/또는, 마찰 계수 0.3~0.5로 하는 것에 의해, 상기 기능을 더 효과적으로 발휘하게 할 수 있게 된다.
도 2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의한 필기구(201)의 사시도이다. 필기구(201)는, 상술한 실시 형태에 관한 필기구(1)와 비교하여, 후축 및 스페이서의 형상에서 다르고, 그 외의 부재에 대해서는 동일 또는 실질적으로 동일하기 때문에, 차이점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도 26은, 후축(203)의 종단면도이다. 후축(203)은, 필기구(1)의 조립 상태에서는, 도 26에서 상부가 필기구(201)의 후측이 되도록 배치된다. 후축(203)의 내주면에는, 걸림부로서, 대략 I자형의 2개의 가늘고 긴 돌기(213)가 마련되어 있다. 2개의 가늘고 긴 돌기(213)는, 중심축선 둘레로 120도만큼 이간하여 배치되어 있다. 또, 가늘고 긴 돌기(213)는, 후축(203)의 내주면에 마련되지 않고, 예를 들면 별체의 부재로서 마련해도 좋다. 후축(203)에서의 가늘고 긴 돌기(213)의 전단부의 위치는, 대응하는 필기구(1)의 후축(3)에서의 T자 돌기(13)의 전단부의 위치와 동일하다. 그렇지만, 후축(203)에서의 가늘고 긴 돌기(213)의 후단부의 위치는, 필기구(1)의 후축(3)에서의 T자 돌기(13)의 후단부의 위치보다도 전방에 위치하고 있다. 즉, 가늘고 긴 돌기(213)의 축선 방향의 길이는, T자 돌기(13)의 축선 방향의 길이보다도 짧게 형성되어 있다.
도 27은, 스페이서(230)의 사시도이다. 스페이서(230)는, 필기구(201)의 조립 상태에서는, 도 27에서 상부가 필기구(201)의 후측이 되도록 배치된다. 스페이서(230)는, 3개의 레일부(32)의 후단부를 연결하도록 형성된 연결부(233)를 가지고 있다. 연결부(233)는, 3개의 레일부(32)의 외경보다도 약간만 소경으로 형성된 외형을 구비한 3개의 연결부편(33a)을 가지고 있다. 즉, 스페이서(230)는, 필기구(1)의 스페이서(30)에서의 회전 규제편(33b)을 가지고 있지 않다. 따라서, 필기구(201)에서는, 후축(203)은 전축(2)에 대해서 자유 자재로 회전 가능하다. 즉, 후축(203)의 축선 방향의 회전은, 스페이서(230)의 연결부(233)와 회전 캠(50)의 가이드 돌기(53)와의 맞닿음에 의해서 규제되지 않는다. 플랜지부(34)의 전단면에는, 전방을 향해 연장되는 돌기 모양의 마크부(235)가 형성되어 있다. 마크부(235)는, 필기구(1)에서의 마크부(35)보다도 지름 방향 외부로 돌출되어 있다. 따라서, 필기구(201)에서, 마크부(235)는, 손가락으로 대고 분명하게 판별할 수 있을 정도로 축통(4)의 외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다(도 25). 그것에 의해서, 전축(2) 및 후축(3)의 접속부를 용이하게 판별할 수 있다.
도 28은, 노크 조작시의 리필의 동작을 설명하는 모식도이다. 필기구(201)에서의 노크 조작시의 리필의 동작은, 기본적으로, 도 22를 참조하면서 상술한, 필기구(1)에서의 노크 조작시의 리필의 동작과 동일하다. 다만, 필기구(1)에서의 T자 돌기(13)와 달리, 필기구(201)에서의 가늘고 긴 돌기(213)는, 노크 조작시의 리필의 동작에 관련하지 않고, 그 때문에 도 28에서 도시되어 있지 않다. 필기 상태의 필기구(1)에서는, 도 22를 참조하면서 설명한 바와 같이, 3개의 슬라이딩 피스(60) 중 2개 슬라이딩 피스(60)가, T자 돌기(13)에 걸리고, 2개의 슬라이딩 피스(60)의 전진이 규제되어 있었다. 그렇지만, 필기구(201)에서, 가늘고 긴 돌기(213)의 후단부의 위치는, 필기구(1)의 T자 돌기(13)의 후단부의 위치보다도 전방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슬라이딩 피스(60)가 가늘고 긴 돌기(213)에 걸리지 않는다.
여기서, 필기구(1)에서는, 비필기 상태(도 22의 (A)) 및 필기 상태(도 22의 (C)) 중 어느 경우도, 슬라이딩 피스(60)는, T자 돌기(13)에 걸리거나 또는 대략 걸려 있다. 따라서, 필기구(1)의 전단이 하향인 상태에서, 잘못하여 필기구(1)를 낙하시켜 버리면, 슬라이딩 피스(60) 및 슬라이딩 피스(60)에 접속된 리필(5)에 대해서 축선 방향의 강한 충격이 가해진다. 이 때, 슬라이딩 피스(60)는, T자 돌기(13)에 걸려 있기 때문에, 리필(5)은 슬라이딩 피스(60)로부터 빠지는 방향으로 관성력을 받는다.
이것에 대해, 필기구(201)에서는, 슬라이딩 피스(60)는, 가늘고 긴 돌기(213)에 걸리지 않기 때문에, 필기구(201)의 전단이 하향인 상태에서 낙하했다고 해도, 리필(5)은 슬라이딩 피스(60)와 함께 전방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리필(5)이 슬라이딩 피스(60)로부터 빠질 우려는 없다. 환언하면, 필기구(201)의 필기 상태에서, 슬라이딩 피스(60)와 제1 캠면(44)이 이간하고 있기 때문에, 슬라이딩 피스(60)만이 전진이 규제되지 않아, 리필(5)이 슬라이딩 피스(60)로부터 빠질 우려는 없다. 또, 리필(5) 및 슬라이딩 피스(60)의 전진은, 리필(5)의 필기부(5a)가 전축(2)의 전단의 테이퍼 모양의 부분에 맞닿는 것에 의해서, 규제된다.
1 : 필기구 4 : 축통
5 : 리필 7 : 소거 부재
10 : 후방 스프링 11 : 전방 스프링
13 : T자 돌기 20 : 내통
30 : 스페이서 40 : 칼라 부재
50 : 회전 캠 60 : 슬라이딩 피스
70 : 조작 부재 80 : 회전자
90 : 브레이크 로드 100 : 노크 링

Claims (8)

  1. 축통(軸筒)과 조작부를 구비하고, 상기 조작부를 전방으로 압압(押壓)하는 노크 조작을 행하는 것에 의해서, 필기 상태와 비필기 상태를 전환할 수 있는 노크식 필기구로서,
    중력에 의해서 상기 축통 내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브레이크(break) 부재와, 상기 조작부와 함께 이동하고 또한 중심축선 둘레로 회전 가능한 회전 부재와, 상기 회전 부재와 걸림 가능한 걸림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축통의 전단을 상부로 향하게 하면 상기 브레이크 부재가 후방으로 이동하고, 상기 회전 부재의 회전이 규제되어 상기 회전 부재가 상기 걸림부와 걸리는 것에 의해서, 상기 조작부의 전방으로의 이동이 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크식 필기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 부재가 통 모양의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크식 필기구.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회전 부재의 내면에 돌기가 마련되고, 상기 회전 부재 내에 삽입된 상기 브레이크 부재가 상기 돌기와 걸림으로써, 상기 회전 부재의 회전이 규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크식 필기구.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부재가 전후 방향에 대해서 수직인 평면에 대해서 둘레 방향으로 경사진 제1 경사면을 가지고, 상기 걸림부가 전후 방향에 대해서 수직인 평면에 대해서 둘레 방향으로 경사진 제2 경사면을 가지며,
    회전이 규제된 상기 회전 부재의 제1 경사면이, 상기 걸림부의 제2 경사면과 맞닿음으로써, 상기 조작부의 전방으로의 이동이 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크식 필기구.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 경사면 또는 상기 제2 경사면이, 상기 노크식 필기구의 축선 방향에 대한 경사 각도에 있어서, 45도보다도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크식 필기구.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복수의 필기체와, 상기 필기체 각각이 접속된 슬라이딩 부재와, 상기 슬라이딩 부재의 전방에 배치되고 또한 상기 슬라이딩 부재 각각과 협동하는 제1 캠면을 구비하며, 필기 상태에서, 적어도 1개의 상기 슬라이딩 부재와 상기 제1 캠면이 이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크식 필기구.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의 전부 또는 일부가, 상기 노크식 필기구의 필적을 소거(消去)할 수 있는 소거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크식 필기구.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소거부가, 폴리프로필렌계 수지가 50질량% 이상이며, 인장 탄성률(JIS K 7161:2014-1)이 70MPa 이상의 마찰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크식 필기구.
KR1020207016889A 2018-01-31 2018-12-20 노크식 필기구 KR10263902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8015802 2018-01-31
JPJP-P-2018-015802 2018-01-31
JP2018218232A JP7106432B2 (ja) 2018-01-31 2018-11-21 ノック式筆記具
JPJP-P-2018-218232 2018-11-21
PCT/JP2018/047095 WO2019150828A1 (ja) 2018-01-31 2018-12-20 ノック式筆記具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1672A true KR20200111672A (ko) 2020-09-29
KR102639027B1 KR102639027B1 (ko) 2024-02-22

Family

ID=675470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16889A KR102639027B1 (ko) 2018-01-31 2018-12-20 노크식 필기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7106432B2 (ko)
KR (1) KR10263902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107615A (ja) 2014-06-06 2016-06-20 三菱鉛筆株式会社 ノック式筆記具
WO2017098612A1 (ja) * 2015-12-09 2017-06-15 三菱鉛筆株式会社 ノック式筆記具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784967B2 (ja) 2011-04-30 2015-09-24 パイロットインキ株式会社 熱変色性筆記具
JP6304958B2 (ja) 2013-07-16 2018-04-04 三菱鉛筆株式会社 消去部材を備えた筆記具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107615A (ja) 2014-06-06 2016-06-20 三菱鉛筆株式会社 ノック式筆記具
WO2017098612A1 (ja) * 2015-12-09 2017-06-15 三菱鉛筆株式会社 ノック式筆記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9130893A (ja) 2019-08-08
JP7106432B2 (ja) 2022-07-26
KR102639027B1 (ko) 2024-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367588B (zh) 揿动式书写工具
JP7518876B2 (ja) ノック式筆記具
KR102639027B1 (ko) 노크식 필기구
JP6779765B2 (ja) ノック式筆記具
JP2023058706A (ja) 多芯式筆記具
JP7433002B2 (ja) 複式筆記具
JP7290700B2 (ja) 多芯式筆記具
JP7100459B2 (ja) 多芯式筆記具
JP7301608B2 (ja) 筆記具セット
JP6684582B2 (ja) ノック式筆記具
JP6951135B2 (ja) 摩擦体及び熱変色性筆記具
JP7354512B2 (ja) 熱変色性筆記具
JP7192038B2 (ja) ノック式筆記具
JP6896909B2 (ja) ノック式筆記具
JP6929067B2 (ja) 筆記具用カバー部材及び筆記具用カバー部材を備えた筆記具
JP2021003901A (ja) ノック式筆記具
JP7486560B2 (ja) 熱変色性筆記具
JP2019166729A (ja) ノック式筆記具
JP2019202539A (ja) 筆記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