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10498A - Smart Monitoring System for elderly people living alone - Google Patents

Smart Monitoring System for elderly people living alo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10498A
KR20200110498A KR1020190028707A KR20190028707A KR20200110498A KR 20200110498 A KR20200110498 A KR 20200110498A KR 1020190028707 A KR1020190028707 A KR 1020190028707A KR 20190028707 A KR20190028707 A KR 20190028707A KR 20200110498 A KR20200110498 A KR 202001104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ving alone
elderly
elderly living
information
al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870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홍석
박웅옥
리스키 아유 페브리아니
Original Assignee
(주)아이티엔제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이티엔제이 filed Critical (주)아이티엔제이
Priority to KR10201900287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10498A/en
Publication of KR202001104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0498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4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Alarm Systems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 elderly living alone monitoring system for monitoring the elderly living alone. Th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plurality of sensors installed in a house in which the elderly living alone resides, installed in the door of the house or inside the house to detect the movement of the elderly living alone, and generating an abnormal signal when the movement of the elderly living alone is not detected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a control module collecting signals generated from the plurality of sensors and, when an abnormal signal is detected by the sensors, and transmitting information on a location of the sensor which generated the abnormal signal to a management server; and a management server collecting the information received by the control module, transmitting the information on the house received in a manager terminal when the information includes the abnormal signal, and generating a call to the family of the elderly living alone or the emergency room in accordance with feedback received from the manager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ulticultural families or delivery workers other than the welfare workers periodically visit the elderly living alone and input the state of the elderly living alone into the application, thereby conveniently performing integrated management for the elderly living alone residing under the control.

Description

스마트 독거 노인 모니터링 시스템{Smart Monitoring System for elderly people living alone}Smart Monitoring System for elderly people living alone

본 발명은 스마트 독거 노인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센서와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독거 노인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모티터링된 결과에 따라 관리자, 독거노인의 친척 및 응급의료센터에 콜을 발생하는 스마트 독거 노인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 alone elderly monitoring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monitors the condition of the elderly living alone using sensors and applications, and generates a call to a manager, relatives of the elderly living alone, and emergency medical centers according to the monitored results. It relates to a smart monitoring system for the elderly living alone.

고령화 사회란, 총 인구 중에 65세 이상의 인구가 총인구를 차지하는 비율이 7%이상인 사회를 의미한다. 우리나라는 2015년 기준 65세 이상 노인인구가 전체 인구의 13.1%에 이르며, 2026년에는 전체인구의 40%에 이를 것으로 추정된다. An aging society refers to a society in which the proportion of the total population of 65 or older is 7% or more among the total population. In Korea, the population aged 65 or older as of 2015 reached 13.1% of the total population, and is estimated to reach 40% of the total population by 2026.

급속한 고령화의 속도에 맞춰 사람들의 부양의식 및 가치관의 변화 등에 따라 독거노인도 급증하고 있다. In line with the rapid pace of aging, the number of elderly living alone is increasing rapidly as people's sense of support and values change.

독거노인은 가족, 친구, 이웃 등 사회적 관계망과의 교류가 단절되고 사회적 역할 상실에 따른 외로움과 고립감 등으로 사회단절에 따른 문제와 심각성은 매우 높다. The problems and seriousness of social disconnection are very high among the elderly living alone due to disconnection with social networks such as family, friends, and neighbors, and feelings of loneliness and isolation resulting from the loss of social roles.

따라서, 현재는 생활관리사가 요보호 독거노인을 주기적으로 방문하거나 안부전화 등을 통해 안전을 확인하고 있다. Therefore, the current life manager regularly visits the elderly living alone with need for protection or checks safety through a safety phone call.

그러나, 방문이나 전화를 통해 독거노인의 건강상태를 확인하는 것은 한계가 있었다. However, there was a limit to checking the health status of elderly people living alone through visits or phone calls.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10630 호(2017.12.26. 공고)에 개시되어 있다.The technology behind the present invention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1810630 (announced on December 26, 2017).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센서와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독거 노인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모티터링된 결과에 따라 관리자, 독거노인의 친척 및 응급의료센터에 콜을 발생하는 스마트 독거 노인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mart alone elderly monitoring system that monitors the condition of the elderly living alone using sensors and applications, and generates calls to managers, relatives of the elderly living alone, and emergency medical centers according to the monitored results. There is a purpose to provide.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독거 노인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스마트 독거 노인 모니터링 시스템에 있어서, 독거 노인이 거주하는 주택에 설치되며, 상기 주택의 문 또는 집안 내부에 설치되어 독거 노인의 움직임을 감지하며, 일정 시간동안 독거 노인의 움직임을 감지하지 못할 경우 이상신호를 발생하는 복수의 센서, 상기 복수의 센서에서 발생되는 신호를 수집하며, 상기 센서에서 이상 신호가 감지될 경우 관리 서버에 이상 신호를 발생한 센서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전달하는 제어 모듈, 그리고 상기 제어 모듈로부터 전달받은 정보를 수집하며, 상기 정보가 이상신호를 포함하고 있는 경우 관리자 단말기에 수신된 주택에 대한 정보를 전달하며, 관리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피드백에 따라 독거 노인의 가족 또는 응급실에 콜(call)을 발생시키는 관리 서버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such a technical problem, in the smart alone elderly monitoring system for monitoring the elderly living alone, the elderly living alone is installed in a house where the elderly living alone, and installed in the door or inside the house of the house to the elderly living alone A plurality of sensors that generate an abnormal signal when the movement of the elderly living alone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cannot be detected, and collects signals generated from the plurality of sensors, and a management server when an abnormal signal is detected by the sensor A control module that transmits information on the location of the sensor that generated an abnormal signal in the device, and collects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control module, and when the information contains an abnormal signal, the received information on the house is transmitted to the manager terminal. And, it includes a management server for generating a call (call) to the family or emergency room of the elderly living alone according to the feedback received from the manager terminal.

상기 관리자 단말기는, 상기 관리 서버에서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며,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독거 노인의 돌봄이 가능한 관할 관리자 및 독거노인의 존재를 확인하는 제3자가 소지할 수 있다. The manager terminal is installed with an application provided by the management server, and may be possessed by a competent administrator capable of caring for the elderly living alone and a third party who checks the existence of the elderly living alone through the application.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독거 노인의 건강 상태를 좋음, 보통, 나쁨으로 나타내는 3가지의 단계로 표시되며, 상기 독거 노인에게 배달되는 물품의 수거 여부 및 노크 또는 호명을 하였을 때 독거 노인의 반응에 따라 관리자가 입력한 단계에 따른 피드백 신호를 상기 관리 서버에 전달할 수 있다. The application is displayed in three stages representing the health status of the elderly living alone as good, normal, and poor, and depending on whether or not the goods delivered to the elderly living alone are collected and the response of the elderly living alone when a knock or call is made The feedback signal according to the step input by may be transmitted to the management server.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복수의 센서에 대한 위치 정보를 수집하는 센서정보 수집부, 상기 복수의 센서에서 발생되는 신호가 지속적으로 수신되고 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신호 감지부, 그리고 수신 중인 신호가 기 설정된 시간 이상동안 수신되지 않는 경우 위험 발생신호를 생성하며, 위험 신호가 생성된 센서와 상기 센서의 위치 정보를 매칭하여 관리 서버에 전달하는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The control module includes a sensor information collection unit that collects location information for the plurality of sensors, a signal detection unit that detects whether signals generated from the plurality of sensors are continuously being received, and a signal being received is preset When it is not received for more than a period of time, it may include a communication unit that generates a danger occurrence signal, matches the sensor from which the danger signal is generated, an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sensor, and transmits it to the management server.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제어 모듈 및 관리자 단말기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데이터송수신부, 상기 관리자 단말기에 설치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프로그램 제공부, 구, 동, 면, 리로 나뉘어지는 지역의 관리자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정보수집부, 상기 위험 신호가 발생된 센서의 위치 정보와 관리자를 매칭하고, 상기 매칭된 관리자 단말기에 해당 위치 정보를 전달하는 정보전달부, 그리고 상기 관리자 단말기로부터 이상 신호가 수신될 경우에, 응급의료센터 및 독거 노인의 가족에게 콜(call)을 발생시키는 콜발생부를 포함할 수 있다. The management server includes a data transmission/reception unit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to and from the control module and the manager terminal, a program providing unit providing an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manager terminal, and information on a manager in a region divided into Gu, Dong, Myeon, and Lee. An information collection unit to collect, an information transmission unit that matche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sensor where the danger signal is generated and the manager, and transmits the location information to the matched manager terminal, and when an abnormal signal is received from the manager terminal , It may include an emergency medical center and a call generator for generating a call to the family of the elderly living alone.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복지사들 이외에 다문화 가정 또는 배달원들로 하여금 독거 노인을 주기적으로 방문하여 독거노인의 상태를 어플리케이션에 입력함으로써, 관할 내에 거주하고 있는 독거노인에 대해 편리하게 통합적인 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ulticultural families or delivery workers other than welfare workers regularly visit the elderly living alone and input the status of the elderly living alone into the application, thereby conveniently performing integrated management for the elderly living alone living in the jurisdiction. can do.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독거노인이 거주하는 주택 내에 복수의 센서를 설치하고, 설치된 센서로부터 발생되는 신호를 수집하여 노인의 상태를 실시간 모니터링 가능하므로, 독거 노인들의 고독사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a plurality of sensors are installed in a house in which the elderly living alone and the signals generated from the installed sensors are collected, the condition of the elderly can be monitored in real time, so that the lonely death of the elderly living alone can be prevented in advance. .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센서와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이중적으로 독거 노인을 모니터링하므로 독거 노인의 상태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고, 위험신호 발생시 독거 노인에 등록된 친족 또는 응급의료실에 콜을 발생하여 독거노인의 보살핌을 강화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elderly living alone is monitored dually through sensors and applications, the state of the elderly living alone can be accurately identified, and when a danger signal is generated, a call to a relative or emergency medical room registered with the elderly living alone can be made to help the elderly living alone Can be strengthen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독거 노인 모니터링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어모듈에 대해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관리 서버를 개략적으로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4는 도1에 도시된 스마트 독거 노인 모니터링 시스템에 대해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센서를 이용하여 독거 노인을 모니터링하는 방법에 대해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독거 노인을 모니터링하는 방법에 대해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S510단계에서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독거 노인 모니터링 시스템에 대한 계층적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계층적 구조에 따른 동작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mart alone elderly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configuration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the control module shown in FIG. 1.
FIG. 3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the management server shown in FIG. 1.
FIG. 4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the smart alone elderly monitoring system shown in FIG. 1.
5 is a flowchart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method of monitoring an elderly person living alone using a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lowchart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method of monitoring an elderly person living alone using an appl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application installed in step S510 shown in FIG. 6.
8 is a diagram showing a hierarchical structure of a smart alone elderly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hierarchical structure shown in FIG. 8.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is process, the thickness of the lines or the size of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description.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In addition, terms to be described later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according to the intention or custom of users or operators. Therefore,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e present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독거 노인 모니터링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mart alone elderly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 독거 노인 모니터링 시스템은 센서(100), 제어모듈(200), 관리서버(300) 및 관리자 단말기(400)를 포함한다. As shown in FIG. 1, the smart alone elderly monitoring system includes a sensor 100, a control module 200, a management server 300, and a manager terminal 400.

먼저, 센서(100)는 독거 노인이 거주하는 주택에 설치된다. 센서(100)는 현관문과 같은 주택의 출입구에 설치되며 문이 열리거나 닫히는 것을 감지하는 컨텍트 모션 센서(contact motion sensor)와, 방안 내부에 설치되며 사람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인체감지센서(PIR motion sensor) 등을 포함한다. First, the sensor 100 is installed in a house where the elderly living alone reside. The sensor 100 is installed at the entrance of a house, such as a front door, and a contact motion sensor that detects the opening or closing of the door, and a PIR motion sensor that is installed inside the room and detects the movement of a person. ), etc.

제어모듈(200)은 센서(100)에서 발생하는 신호를 수집한다. 제어모듈(200)은 수집되는 신호가 지속적으로 발생되는지의 여부를 감지한다. 그리고 제어모듈(200)은 지속적으로 감지되던 신호가 일정한 시간 이상으로 감지되지 않을 경우 위험신호를 송출한다. The control module 200 collects a signal generated by the sensor 100. The control module 200 detects whether or not the collected signal is continuously generated. In addition, the control module 200 transmits a danger signal when a signal that has been continuously detected is not detected for a predetermined time or longer.

관리 서버(300)는 관할 내에 거주하고 있는 독거 노인에 대한 정보와 관리자에 대한 정보를 수집한다. 그리고 관리 서버(300)는 제어모듈(200)에서 송출된 위험신호에 따라 독거 노인에 대한 정보에 기록되어 있는 친족과 응급의료센터에 콜(call)을 발생한다. 또한, 관리 서버(300)는 독거노인의 상태를 입력하는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The management server 300 collects information about the elderly living alone and managers living in the jurisdiction. In addition, the management server 300 generates a call to a relative and an emergency medical center recorded in information about the elderly living alone according to the danger signal transmitted from the control module 200. In addition, the management server 300 provides a program for inputting the state of the elderly living alone.

그리고, 관리자 단말기(400)는 독거 노인을 관리하는 관리자 및 제3자가 가지고 있는 단말기를 나타낸다. 관리자 단말기(400)는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할 수 있는 스마트폰이나 PDA와 같은 휴대 단말기를 포함한다. 따라서, 관리자 및 제3자는 단말기(400)에 관리 서버(300)에서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고,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독거 노인의 상태를 입력한다. In addition, the manager terminal 400 represents a terminal owned by a manager who manages the elderly living alone and a third party. The manager terminal 400 includes a portable terminal such as a smart phone or PDA capable of downloading an application. Accordingly, the manager and the third party install the application provided by the management server 300 on the terminal 400 and execute the installed application to input the status of the elderly living alone.

여기서, 관리자는 사회복지사를 나타내고, 제3자는 자원봉사자나 독거 노인에게 요쿠르트나 우유와 같이 매일 정기적으로 제공되는 물품을 배달하는 배달원 또는 다문화 가정의 멤버를 나타낸다. Here, the manager represents a social worker, and the third person represents a delivery worker or a member of a multicultural family who delivers items regularly provided daily, such as yogurt or milk, to volunteers or senior citizens living alone.

이하에서는 도 2를 이용하여 제어모듈(200)에 대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control module 20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2.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어모듈에 대해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FIG. 2 is a configuration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the control module shown in FIG. 1.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모듈(200)은 센서정보 수집부(210), 신호 감지부(220) 및 통신부(230)를 포함한다. As shown in FIG. 2, the control module 200 includes a sensor information collection unit 210, a signal detection unit 220 and a communication unit 230.

먼저, 센서정보 수집부(210)는 센서(100)의 위치정보를 수집한다. 독거 노인이 거주하는 주택에는 복수개의 센서(100)가 설치된다. 센서(100)는 설치된 위치와 센서의 종류에 따라 상이한 신호를 발생한다. 그러므로, 센서정보 수집부(210)는 센서(100)마다 설정된 고유번호와, 위치 및 센서의 종류에 대한 정보를 수집한다. First, the sensor information collection unit 210 collects location information of the sensor 100. A plurality of sensors 100 are installed in a house where the elderly living alone lives. The sensor 100 generates different signals depending on the installed location and the type of sensor. Therefore, the sensor information collection unit 210 collects a unique number set for each sensor 100 and information on a location and a type of sensor.

신호 감지부(220)는 센서(100)에서 발생되는 신호를 감지한다. 신호 감지부(220)는 각각의 센서(100)에서 발생하는 모든 신호를 수신하여, 센서(100)가 지속적으로 신호를 발생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감지한다. The signal detection unit 220 detects a signal generated by the sensor 100. The signal detection unit 220 receives all signals generated by each sensor 100 and detects whether the sensor 100 continuously generates signals.

그리고, 통신부(230)는 센서(100) 및 관리서버(300)에서 발생되는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통신부(230)는 신호 감지부(220)에서 감지되던 신호가 기 설정된 시간 이상 동안 수신되지 않는 경우 위험 발생신호를 생성한다. 그 다음, 통신부(230)는 생성한 위험 발생신호를 관리서버(300)에 전달한다. 이때, 통신부(230)는 위험 신호가 감지된 센서(100)에 대한 부가 정보를 센서정보 수집부(210)에 요청하여 수신하고, 수신된 부가정보를 관리 서버(300)에 전달한다. 여기서, 부가 정보는 위험 신호가 감지된 센서의 고유번호와, 위치 및 센서의 종류에 대한 정보이다. 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unit 230 transmits and receives data generated by the sensor 100 and the management server 300. The communication unit 230 generates a danger occurrence signal when the signal detected by the signal detection unit 220 is not received for more than a preset time. Then, the communication unit 230 transmits the generated risk generation signal to the management server 300. At this time, the communication unit 230 requests and receives additional information on the sensor 100 in which the danger signal is detected from the sensor information collection unit 210, and transmits the received additional information to the management server 300. Here, the additional information is information on the unique number of the sensor where the danger signal is detected, the location and the type of the sensor.

이하에서는 도 3을 이용하여 관리 서버(300)에 대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management server 30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3.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관리 서버를 개략적으로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FIG. 3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the management server shown in FIG. 1.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리 서버(300)는 데이터 송수신부(310), 프로그램 제공부(320), 정보수집부(330), 정보전달부(340) 및 콜발생부(350)을 포함한다. As shown in FIG. 3, the management server 300 includes a data transmission/reception unit 310, a program providing unit 320, an information collection unit 330, an information transmission unit 340, and a call generation unit 350. do.

먼저, 데이터 송수신부(310)는 제어모듈(200) 및 관리자 단말기(400)와의 사이에서 발생되는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First, the data transmission/reception unit 310 transmits and receives data generated between the control module 200 and the manager terminal 400.

프로그램 제공부(320)는 관리자 단말기(400)에 설치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한다. 프로그램 제공부(320)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제공되는 카테고리를 생성하기 위해 관할 내에 거주하고 있는 독거노인에 대한 정보를 수집한다. 그리고 프로그램 제공부(320)는 수집된 독거노인의 정보를 이용하여 카테고리를 생성한다. 그 다음, 프로그램 제공부는 각각의 독거노인에 대한 상태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하위 메뉴를 생성하여 제공한다. The program providing unit 320 provides an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manager terminal 400. The program providing unit 320 collects information on the elderly living alone residing in the jurisdiction in order to create a category provided through an application. In addition, the program providing unit 320 creates a category using the collected information of the elderly living alone. Then, the program providing unit generates and provides a sub-menu for transmitting status information for each elderly living alone.

정보수집부(330)는 구, 동, 면, 리로 나뉘어지는 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독거노인에 대한 정보와, 독거노인을 관리하는 관리자 및 제3자에 대한 정보를 수집한다. 먼저, 독거노인에 대한 정보는 나이, 이름 및 거주지 주소와 같은 일반적인 정보와 독거 노인에게 위험 발생 시 연락 가능한 친척에 대한 정보 및 병력 또는 특이 이력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그리고, 관리자에 대한 정보는 이름, 연락처에 대한 개인정보와 관리자가 관리하고 있는 독거노인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The information collection unit 330 collects information on the elderly living alone living in areas divided into Gu, Dong, Myeon, and Ri, and information on a manager and a third party who manages the elderly living alone. First, the information on the elderly living alone includes general information such as age, name, and address of residence, information on relatives who can be contacted in case of danger to the elderly living alone, and information on medical or specific history. And, the information on the manager includes personal information on the name and contact information, and information on the elderly living alone managed by the manager.

또한, 제3자에 대한 정보는 독거노인의 상태를 확인하기 위하여 독거 노인에게 매일 정기적으로 물품을 배달하는 배달원 또는 다문화 가정의 구성원 등으로 형성된 제3자에 대한 개인정보를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information on the third party includes personal information on the third party formed by a delivery man who regularly delivers goods to the elderly living alone or members of multicultural families on a daily basis in order to check the status of the elderly living alone.

정보전달부(340)는 독거노인에게 위험 발생시 관리자 또는 제3자에게 전달되는 정보를 제공한다. 부연하자면, 정보전달부(340)는 데이터 송수신부(310)를 통해 위험신호가 발생된 센서(100)에 대한 정보를 수신한다. 그리고 정보전달부(340)는 수신된 센서(100) 정보와 매칭되는 관리자에 대한 정보를 정보수집부(330)에 요청하여 수신한다. 그 다음, 정보전달부(340)는 관리자 단말기(400)에 독거노인에 대한 이름, 거주지 등을 포함하는 정보를 메시지 형태로 전달한다. The information delivery unit 340 provides information transmitted to a manager or a third party when a risk occurs to the elderly living alone. In addition, the information transmission unit 340 receives information on the sensor 100 in which a danger signal is generated through the data transmission/reception unit 310. In addition, the information transmission unit 340 requests and receives information on the manager matched with the received sensor 100 information from the information collection unit 330. Then, the information delivery unit 340 transmits information including a name and a residence of the elderly living alone to the manager terminal 400 in a message form.

그리고, 콜발생부(350)는 센서(100)로부터 감지된 위험 신호와 관리자 단말기(400)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조합하여 콜을 발생한다. 즉, 콜 발생부(350)는 기 등록된 독거노인의 친척 또는 응급의료센터 등에 콜을 발생한다. In addition, the call generating unit 350 generates a call by combining the danger signal detected from the sensor 100 and the signal received from the manager terminal 400. That is, the call generating unit 350 generates a call to a relative of a previously registered elderly person living alone or to an emergency medical center.

이하에서는 도 4를 이용하여 스마트 독거 노인 모니터링 시스템에 대해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Hereinafter, a smart alone elderly monitoring system will be described schematically with reference to FIG. 4.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스마트 독거 노인 모니터링 시스템에 대해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FIG. 4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the smart alone elderly monitoring system shown in FIG. 1.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 독거 노인 모니터링 시스템(100)은 독거노인의 주택마다 센서(100)를 설치하고, 설치된 센서(100)로부터 발생되는 신호는 제어모듈(200)에 수집된다. As shown in FIG. 4, the smart alone elderly monitoring system 100 installs a sensor 100 for each house of the elderly living alone, and a signal generated from the installed sensor 100 is collected in the control module 200.

그리고, 제어모듈(200)은 수집된 신호에 대해 정상신호와 위험신호로 분류 감지한 다음, 위험신호를 감지할 경우 위험신호를 발생한 센서(100)의 위치정보를 관리서버(300)에 전달한다. 그 다음, 관리서버(300)는 위험신호가 발생된 독거노인의 정보를 모니터에 출력하여 관리자로 하여금 독거노인의 상태를 모니터링한다. 이때, 관리서버(300)는 모니터링 결과에 따라 위급하다고 판단될 경우에 응급의료기관 또는 독거노인의 친척에게 콜을 발생한다. Then, the control module 200 classifies and detects the collected signal into a normal signal and a dangerous signal, and then transmit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sensor 100 generating the dangerous signal to the management server 300 when detecting a dangerous signal. . Then, the management server 300 outputs information on the elderly living alone in which a danger signal has been generated to the monitor so that the manager monitors the state of the elderly living alone. At this time, the management server 300 generates a call to an emergency medical institution or a relative of the elderly living alone when it is determined that it is urgent according to the monitoring result.

이하에서는 도 5를 이용하여 독거노인의 주택에 설치된 센서를 통해 독거노인을 모니터링하는 방법에 대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a method of monitoring the elderly living alone through a sensor installed in the house of the elderly living alone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5.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센서를 이용하여 독거 노인을 모니터링하는 방법에 대해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5 is a flowchart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method of monitoring an elderly person living alone using a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제어모듈(200)은 센서(100)에서 발생하는 신호를 수신한다(S510). As shown in FIG. 5, first, the control module 200 receives a signal generated from the sensor 100 (S510).

그 다음, 제어모듈(200)은 수신되는 신호와 기 설정된 임계값을 비교한다(S520).Then, the control module 200 compares the received signal with a preset threshold (S520).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독거노인의 주택에는 복수개의 센서(100)가 설치된다. 센서(100)는 종류에 따라 물리적 변화를 감지하는 방법이 상이하다. 따라서, 사용자는 각각의 센서마다 임계값을 설정하고, 제어모듈(200)은 설정된 임계값에 따라 센서(100)에서 발생되는 신호를 일반적인 신호와 위험신호로 분류하여 감지한다.As described above, a plurality of sensors 100 are installed in the house of the elderly living alone. The sensor 100 has a different method of detecting a physical change depending on the type. Accordingly, the user sets a threshold value for each sensor, and the control module 200 classifies and detects a signal generated by the sensor 100 into a general signal and a danger signal according to the set threshold value.

부연하자면, 컨택트 모션 센서는 주택의 문에 설치되어 문이 열릴 때 마다 신호를 발생하고, 인체감지센서는 집 내부 거실, 방, 부엌 등에 설치되어 인체에서 발열되는 열을 감지하여 신호를 발생한다. In addition, a contact motion sensor is installed on the door of a house to generate a signal whenever the door is opened, and a human body sensor is installed in the living room, room, kitchen, etc. inside the house to detect heat generated by the human body and generate a signal.

따라서, 사용자는 문이 하루에 오픈되는 횟수 및 벨 또는 노크 소리에 반응하여 움직임을 감지하는데 소요되는 시간 등에 대해 임계값을 설정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하루에 한번 이상 문이 열릴 경우와 벨소리 또는 노크 소리에 반응하여 움직임을 감지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5분 이내로 설정한다. 그러면 제어모듈(200)은 하루 동안에 컨택트 모션 센서에서 발생된 신호가 1회 미만일 경우에 해당되거나, 인체감지센서에서 5분이상 신호를 발생하지 않으면 위험신호를 생성한다(S530). Accordingly, the user sets a threshold value for the number of times the door is opened per day and the time it takes to detect movement in response to a bell or knock sound. For example, the user sets the time required to detect movement in response to a ringtone or knock sound when the door is opened more than once a day and within 5 minutes. Then, the control module 200 generates a danger signal when the signal generated by the contact motion sensor is less than once during a day, or when the human body sensor does not generate a signal for more than 5 minutes (S530).

상기 S530단계에서 위험 신호가 발생되면, 제어모듈(200)은 센서정보 수집부(210)에 수집되어 있던 센서의 위치정보를 관리서버(300)에 전달한다(S540). When a danger signal is generated in the step S530, the control module 200 transmit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sensor collected by the sensor information collecting unit 210 to the management server 300 (S540).

그러면 관리서버(300)는 정보수집부(330)에 저장되어 있는 관리자 단말기(400)에 위험신호가 발생된 독거노인의 정보를 전달한다(S550). 그리고, 관리서버(300)는 콜발생부(350)로 하여금 독거노인 정보에 등록된 친척 또는 응급의료센서에 콜을 발생한다(S560). Then, the management server 300 transmits the information of the elderly living alone in which a danger signal is generated to the manager terminal 400 stored in the information collecting unit 330 (S550). Then, the management server 300 causes the call generating unit 350 to generate a call to a relative or emergency medical sensor registered in the information for the elderly living alone (S560).

이하에서는 도 6 및 도 7을 이용하여 배달원이나 다문화 가정의 구성원 등으로 이루어진 제3자를 이용하여 독거노인의 상태를 모니터링 하는 방법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a method of monitoring the state of the elderly living alone by using a third party made up of a delivery man or a member of a multicultural family, etc.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6 and 7.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독거 노인을 모니터링하는 방법에 대해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S510단계에서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6 is a flowchart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method of monitoring an elderly person living alone using an appl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application installed in step S510 shown in FIG. .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제3자는 단말기(400)를 통해 관리서버(300)에 접속하여 어플리케이션은 설치한다(S610).As shown in FIG. 6, first, a third party accesses the management server 300 through the terminal 400 and installs the application (S610).

여기서, 제3자는 독거 노인에게 요쿠르트나 우유와 같이 매일 정기적으로 제공되는 물품을 배달하는 배달원 또는 독거노인의 주변에 거주하는 다문화 가정의 멤버를 의미한다.Here, the third person means a delivery man who delivers items regularly provided daily, such as yogurt or milk to the elderly living alone, or a member of a multicultural family living in the vicinity of the elderly living alone.

그 다음, 제3자는 독거노인을 방문하여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노인의 상태를 선택한다. 그러면, 관리자 단말기(300)는 선택된 노인의 상태 정보를 관리 서버(300)에 전송한다(S620).Then, the third person visits the elderly living alone and selects the elderly status through the executed application. Then, the manager terminal 300 transmits the status information of the selected elderly to the management server 300 (S620).

부연하자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플리케이션은 독거 노인의 건강 상태를 좋음, 보통, 나쁨으로 나타내는 3가지의 단계로 표시한다. 그리고, 어플리케이션은 제3자로부터 입력된 건강정보 신호를 관리 서버(300)에 전달한다. Incidentally, as shown in FIG. 7, the application displays the health status of the elderly living alone in three stages indicating good, normal, and bad. And, the application transmits the health information signal input from the third party to the management server 300.

예를 들어 설명하면, 배달원은 매일 독거노인의 주택을 방문하여 물품을 배달한다. 이때, 배달원은 어제 배달된 물품이 집앞에 그대로 있는지 확인하고, 배달되었던 물품이 없을 경우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노인의 건강상태를 좋음으로 체크한다. 만약, 배달된 물품이 이틀 연속으로 집앞에 놓여져 있을 경우에는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노인의 건강상태를 나쁨으로 체크한다.For example, the delivery man visits the house of the elderly living alone and delivers the goods every day. At this time, the delivery man checks whether the goods delivered yesterday are in front of the house, and if there is no goods delivered, the delivery man checks the health status of the elderly as good through the executed application. If the delivered goods are placed in front of the house for two consecutive days, the health status of the elderly is checked as bad through the executed application.

또한, 다문화 가정의 멤버는 매일 독거노인의 주택에 방문하여 벨 또는 노크를 하고, 그에 대해 노인을 반응을 살핀다. 만약, 벨 또는 노크를 하고 일정 시간 동안 노인이 반응이 없다고 판단될 경우, 다문화 가정의 멤버는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노인의 건강상태를 나쁨으로 체크한다.In addition, members of multicultural families visit the house of the elderly living alone every day to bell or knock, and check the reaction of the elderly to it. If, after a bell or knock, it is determined that the elderly does not respond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the member of the multicultural family checks the elderly's health as bad through the executed application.

상기 S620단계가 완료된 다음, 관리서버(300)는 전달받은 독거노인의 건강상태 정보에 따라 위험 정도를 판단한다(S630).After the step S620 is completed, the management server 300 determines the degree of risk according to the received health status information of the elderly living alone (S630).

이때, 제3자는 배달원, 다문화 가정의 구성원 등으로 이루어지므로 각각의 단말기(400)를 통해 독거노인의 건강상태 정보를 수신한다. 따라서, 관리서버(330)는 다수의 관리자 단말기(400)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통합하여 독거노인의 위험 정도를 상중하로 판단한다. 예를 들면, 배달원의 관리자 단말기(400)로부터는 좋음 단계를 수신하고, 다문화 가정의 관리자 단말기(400)로부터는 나쁨 단계를 수신하였을 경우, 관리서버(300)는 독거노인의 위험 정보를 "중"으로 판단한다. At this time, since the third party is made up of a delivery person, a member of a multicultural family, etc., the health status information of the elderly living alone is received through each terminal 400. Accordingly, the management server 330 integrates th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plurality of manager terminals 400 to determine the degree of risk of the elderly living alone as high or low. For example, when receiving a good level from the manager terminal 400 of the delivery man and a bad level from the manager terminal 400 of a multicultural family, the management server 300 receives the risk information of the elderly living alone. Judging by ".

그리고, 배달원의 관리자 단말기(400)로부터는 나쁨 단계를 수신하고, 다문화 가정의 관리자 단말기(400)로부터는 나쁨 단계를 수신하였을 경우, 관리서버(300)는 독거노인의 위험 정보를 "상"으로 판단한다.And, when receiving the bad stage from the manager terminal 400 of the delivery man, and receiving the bad stage from the manager terminal 400 of a multicultural family, the management server 300 sets the risk information of the elderly living alone as "upper". Judge.

상기 S630단계의 판단 결과에 따라 관리서버(300)는 콜발생부(350)로 하여금 독거노인 정보에 등록된 친척 또는 응급의료센서에 콜을 발생한다(S640).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of step S630, the management server 300 causes the call generator 350 to make a call to a relative or emergency medical sensor registered in the information for the elderly living alone (S640).

예를 들어, 독거노인의 위험정도가 낮다고 판단한 경우, 관리서버(300)는 복지사의 관리자 단말기(400)에 독거노인의 정보를 전달한다. 그러면, 복지사는 전달받은 독거노인의 정보에 따라 독거노인을 방문하여 돌봄서비스를 제공한다. For exampl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risk of the elderly living alone is low, the management server 300 transmits the information of the elderly living alone to the manager terminal 400 of the worker. Then, the worker provides care services by visiting the elderly living alone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of the elderly living alone.

또한, 독거노인의 위험정도가 높다고 판단한 경우, 관리서버(300)는 독거노인 정보에 등록된 친척 또는 응급의료센서에 콜을 발생한다.In addi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risk level of the elderly living alone is high, the management server 300 generates a call to a relative or emergency medical sensor registered in the information of the elderly living alone.

이하에서는 도 8 및 도 9를 이용하여 스마트 독거 노인 모니터링 시스템이 계층적 구조를 이용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a smart alone elderly monitoring system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using a hierarchical structure using FIGS. 8 and 9.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독거 노인 모니터링 시스템에 대한 계층적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9는 도 8에 도시된 계층적 구조에 따른 동작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FIG.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hierarchical structure of a smart single-living elderly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9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hierarchical structure shown in FIG. 8.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독거 노인 모니터링 시스템의 구성원은 독거노인, 방문자 그리고 복지사를 포함한다. 8 and 9, members of the smart alone elderly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lderly living alone, a visitor, and a welfare worker.

먼저, 독거노인의 주택에는 문 또는 주택 내부에 센서를 설치하고, 설치된 센서를 이용하여 문의 여닫힘과 독거노인의 움직임을 추적한다. 독거노인은 방문자가 발생한 노크 또는 벨소리에 반응하고, 센서는 독거 노인의 반응에 따라 신호를 발생한다. 여기서, 센서가 신호를 발생하지 않을 경우에 관리서버는 이를 응급상황으로 판단하여 관리자, 응급의료센터 및 독거노인의 친척에게 콜을 발생한다. First, a sensor is installed in the door or inside the house in the house of the elderly living alone, and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door and the movement of the elderly living alone are tracked using the installed sensor. The elderly living alone reacts to a knock or ringtone generated by a visitor, and the sensor generates a signal according to the reaction of the elderly living alone. Here, if the sensor does not generate a signal, the management server determines this as an emergency and makes a call to the manager, the emergency medical center, and the relatives of the elderly living alone.

그리고, 방문자는 관리자 단말기(400)를 이용하여 관리서버(300)에 접속하고, 관리서버(300)에서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한다. 그리고, 방문자가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좋음, 보통, 나쁨으로 표시되는 단계에 맞춰 독거노인의 상태를 입력하면, 어플리케이션은 입력된 정보를 관리서버에 전달한다. 관리서버(300)는 전달받은 정보를 이용하여 독거노인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며, 수신된 신호가 나쁨일 경우에는 응급상황으로 판단하여 콜을 발생한다. In addition, the visitor accesses the management server 300 using the manager terminal 400 and installs an application provided by the management server 300. In addition, when a visitor executes the application and inputs the status of the elderly living alone according to the stages marked as good, normal, or bad, the application transmits the input information to the management server. The management server 300 monitors the state of the elderly living alone using the received information, and if the received signal is bad, it determines it as an emergency situation and generates a call.

마지막으로 복지사는 관리자 단말기(400)를 이용하여 독거노인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한다. 이때, 관리서버(300)는 독거노인의 주택에 설치된 센서 및 방문자로부터 입력된 독거 노인의 상태 정보를 조합한다. 그리고 관리서버(300)는 독거노인의 컨디션이 3번이상 나쁨이거나 센서를 통해 독거노인의 움직임을 감지하지 못한다고 판단될 경우 응급상황으로 판단하여 응급의료기관 또는 독거노인의 친척에게 콜을 발생한다. Finally, the worker monitors the status of the elderly living alone using the manager terminal 400 in real time. At this time, the management server 300 combines the sensor installed in the house of the elderly living alone and the state information of the elderly living alone input from the visitor. In addition, when the management server 300 determines that the elderly living alone is in bad condition three or more times or cannot detect the movement of the elderly living alone through a sensor, it is determined as an emergency and generates a call to an emergency medical institution or a relative of the elderly living alone.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독거 노인 모니터링 시스템은 복지사들 이외에 다문화 가정 또는 배달원들로 하여금 독거 노인을 주기적으로 방문하여 독거노인의 상태를 어플리케이션에 입력함으로써, 관할 내에 거주하고 있는 독거노인에 대해 통합적으로 관리하기 편리한 효과가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smart alone elderly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multicultural families or delivery workers to periodically visit the elderly living alone and input the status of the elderly living alone into the application, so that the elderly living alone living in the jurisdiction It has a convenient effect to manage in an integrated manner.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독거 노인 모니터링 시스템은 독거노인이 거주하는 주택 내에 복수의 센서를 설치하고, 설치된 센서로부터 발생되는 신호를 수집하여 노인의 상태를 실시간 모니터링 가능하므로, 독거 노인들의 고독사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mart alone elderly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stalls a plurality of sensors in a house in which the elderly living alone and collects signals generated from the installed sensors to monitor the elderly's condition in real time, so that the elderly living alone Solitude can be prevented in advanc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독거 노인 모니터링 시스템은 센서와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이중적으로 독거 노인을 모니터링하므로 독거 노인의 상태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고, 위험신호 발생시 독거 노인에 등록된 친족 또는 응급의료실에 콜을 발생하여 독거노인의 보살핌을 강화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smart alone elderly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onitors the elderly living alone through a sensor and an application, it is possible to accurately identify the state of the elderly living alone, and when a danger signal is generated, a relative or emergency medical care unit registered with the elderly living alone Calls can be made to strengthen the care of the elderly living alone.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but these are only exemplary,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will be.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following claims.

100 : 센서 200 : 제어모듈
210 : 센서정보 수집부 220 : 신호 감지부
230 : 통신부 300 : 관리 서버
310 : 데이터 송수신부 320 : 프로그램 제공부
330 : 정보수집부 340 : 정보전달부
350 : 콜발생부 400 : 관리자 단말기
100: sensor 200: control module
210: sensor information collection unit 220: signal detection unit
230: communication unit 300: management server
310: data transmitting and receiving unit 320: program providing unit
330: information collection unit 340: information delivery unit
350: call generating unit 400: manager terminal

Claims (5)

독거 노인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스마트 독거 노인 모니터링 시스템에 있어서,
독거 노인이 거주하는 주택에 설치되며, 상기 주택의 문 또는 집안 내부에 설치되어 독거 노인의 움직임을 감지하며, 일정 시간동안 독거 노인의 움직임을 감지하지 못할 경우 이상신호를 발생하는 복수의 센서,
상기 복수의 센서에서 발생되는 신호를 수집하며, 상기 센서에서 이상 신호가 감지될 경우 관리 서버에 이상 신호를 발생한 센서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전달하는 제어 모듈, 그리고
상기 제어 모듈로부터 전달받은 정보를 수집하며, 상기 정보가 이상신호를 포함하고 있는 경우 관리자 단말기에 수신된 주택에 대한 정보를 전달하며, 관리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피드백에 따라 독거 노인의 가족 또는 응급실에 콜(call)을 발생시키는 관리 서버를 포함하는 스마트 독거 노인 모니터링 시스템.
In the smart alone elderly monitoring system for monitoring the elderly living alone,
A plurality of sensors installed in a house where the elderly living alone live, installed inside the door or inside the house to detect the movement of the elderly living alone, and generate an abnormal signal when the movement of the elderly living alone cannot be detected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A control module that collects signals generated from the plurality of sensors, and transmits information on the location of the sensor that generated the abnormal signal to the management server when an abnormal signal is detected by the sensor, and
Collects th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control module, if the information contains an abnormal signal, transfers the information on the house received to the manager terminal, and calls the family or emergency room of the elderly living alone according to the feedback received from the manager terminal. Smart alone elderly monitoring system including a management server generating (cal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자 단말기는,
상기 관리 서버에서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며,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독거 노인의 돌봄이 가능한 관할 관리자 및 독거노인의 존재를 확인하는 제3자가 소지하기 위한 스마트 독거 노인 모니터링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manager terminal,
An application provided by the management server is installed, and a smart alone elderly monitoring system possessed by a competent administrator capable of caring for the elderly living alone through the application and a third party checking the existence of the elderly living alon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독거 노인의 건강 상태를 좋음, 보통, 나쁨으로 나타내는 3가지의 단계로 표시되며, 상기 독거 노인에게 배달되는 물품의 수거 여부 및 노크 또는 호명을 하였을 때 독거 노인의 반응에 따라 관리자가 입력한 단계에 따른 피드백 신호를 상기 관리 서버에 전달하는 스마트 독거 노인 모니터링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2,
The above application,
The health status of the elderly living alone is displayed in three stages, indicating good, normal, and poor, and a step input by the manager according to the reaction of the elderly living alone when the item delivered to the elderly living alone is collected and knocked or called Smart alone elderly monitoring system for transmitting a feedback signal according to the management serv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복수의 센서에 대한 위치 정보를 수집하는 센서정보 수집부,
상기 복수의 센서에서 발생되는 신호가 지속적으로 수신되고 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신호 감지부, 그리고
수신 중인 신호가 기 설정된 시간 이상동안 수신되지 않는 경우 위험 발생신호를 생성하며, 위험 신호가 생성된 센서와 상기 센서의 위치 정보를 매칭하여 관리 서버에 전달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스마트 독거 노인 모니터링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trol module,
A sensor information collection unit that collects location information for the plurality of sensors,
A signal detection unit that detects whether signals generated from the plurality of sensors are continuously being received, and
Smart alone elderly monitoring system comprising a communication unit that generates a danger occurrence signal when the signal being received is not received for more than a preset time, and matches the sensor from which the danger signal is generated an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sensor, and transmits it to a management serv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제어 모듈 및 관리자 단말기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데이터송수신부,
상기 관리자 단말기에 설치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프로그램 제공부,
구, 동, 면, 리로 나뉘어지는 지역의 관리자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정보수집부,
상기 위험 신호가 발생된 센서의 위치 정보와 관리자를 매칭하고, 상기 매칭된 관리자 단말기에 해당 위치 정보를 전달하는 정보전달부, 그리고
상기 관리자 단말기로부터 이상 신호가 수신될 경우에, 응급의료센터 및 독거 노인의 가족에게 콜(call)을 발생시키는 콜발생부를 포함하는 스마트 독거 노인 모니터링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management server,
A data transmission/reception unit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with the control module and the manager terminal,
A program providing unit that provides an application installed on the manager terminal,
Information collection department that collects information on managers in districts divided into gu, dong, myeon, and ri,
An information delivery unit that matche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sensor where the danger signal is generated and the manager, and transmits the location information to the matched manager terminal, and
Smart alone elderly monitoring system comprising a call generator for generating a call (call) to the family of the elderly living alone and the emergency medical center when an abnormal signal is received from the manager terminal.
KR1020190028707A 2019-03-13 2019-03-13 Smart Monitoring System for elderly people living alone KR20200110498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8707A KR20200110498A (en) 2019-03-13 2019-03-13 Smart Monitoring System for elderly people living alo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8707A KR20200110498A (en) 2019-03-13 2019-03-13 Smart Monitoring System for elderly people living alon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0498A true KR20200110498A (en) 2020-09-24

Family

ID=727064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8707A KR20200110498A (en) 2019-03-13 2019-03-13 Smart Monitoring System for elderly people living alo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10498A (en)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462618A (en) * 2020-11-13 2021-03-09 深圳市凯而康智能科技有限公司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confirming safety of family elder and readable storage medium
KR102279243B1 (en) 2020-12-29 2021-07-20 에프엔에스테크 주식회사 Elderly monitoring electronic photo frame
CN114005230A (en) * 2021-10-27 2022-02-01 霍普(南京)生命科学研究院有限公司 Indoor solitary old man safety supervision device based on big data
CN114137849A (en) * 2021-12-01 2022-03-04 滨州市众智健康科技有限公司 Management system for home-based care of the aged
KR20220050302A (en) 2020-10-15 2022-04-25 (주)에픽랩 Server and method for generating artificial intelligence character using user data, and healthcare method using the same
CN114550412A (en) * 2022-02-21 2022-05-27 黄河水利职业技术学院 Home-based care management system for aged based on Internet of things
KR102405957B1 (en) 2020-12-30 2022-06-14 주식회사 아이유플러스 System for monitoring safety of living using sound waves and radio waves
KR102414722B1 (en) * 2021-12-03 2022-07-01 (주)밀 Healthy-safety complex care system for vulnerable social group
CN115277763A (en) * 2022-07-19 2022-11-01 威海中宏微宇科技有限公司 Monitoring device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0302A (en) 2020-10-15 2022-04-25 (주)에픽랩 Server and method for generating artificial intelligence character using user data, and healthcare method using the same
CN112462618A (en) * 2020-11-13 2021-03-09 深圳市凯而康智能科技有限公司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confirming safety of family elder and readable storage medium
KR102279243B1 (en) 2020-12-29 2021-07-20 에프엔에스테크 주식회사 Elderly monitoring electronic photo frame
KR102405957B1 (en) 2020-12-30 2022-06-14 주식회사 아이유플러스 System for monitoring safety of living using sound waves and radio waves
CN114005230A (en) * 2021-10-27 2022-02-01 霍普(南京)生命科学研究院有限公司 Indoor solitary old man safety supervision device based on big data
CN114005230B (en) * 2021-10-27 2023-08-15 南京索酷信息科技股份有限公司 Indoor solitary old man safety supervision device based on big data
CN114137849A (en) * 2021-12-01 2022-03-04 滨州市众智健康科技有限公司 Management system for home-based care of the aged
KR102414722B1 (en) * 2021-12-03 2022-07-01 (주)밀 Healthy-safety complex care system for vulnerable social group
CN114550412A (en) * 2022-02-21 2022-05-27 黄河水利职业技术学院 Home-based care management system for aged based on Internet of things
CN115277763A (en) * 2022-07-19 2022-11-01 威海中宏微宇科技有限公司 Monitoring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110498A (en) Smart Monitoring System for elderly people living alone
US20210280034A1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a building
JP7265995B2 (en) Scalable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and concierge services
US8289147B2 (en) Building security system
US20040133453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t home health care service
CN107341880A (en) A kind of home security method and system
KR20140134109A (en) Solitary senior people care system
JP2007183890A (en) Living condition monitoring system, apparatus, method, and program
KR100793814B1 (en) Remote control security and diagnosis system using internet network, cellular network and pstn
JP2019114107A (en) Bathroom watching apparatus and method, external device and program
KR101684298B1 (en) System and method for chenking user's health by means of iptv, and apparatusapplied to the same
KR102362223B1 (en) System for providing safe housihg service for vulnerable social group
JP2002109667A (en) Management device for life watching
US9594355B2 (en) Wireless monitoring method and device thereof
KR102407150B1 (en) Emergency notification service system and method for Resident in House
JP7171521B2 (en) Monitoring service system
JP4716723B2 (en) Safety confirmation system
KR102282710B1 (en) Farm House's Power Distribution Method with Patient Monitering Means and System thereof
US20140277621A1 (en) Monitoring health and exercise with a premise security or automation system
JP4999755B2 (en) Security equipment
AU2018317485B2 (en) Passive care control method and associated systems
US11164443B2 (en) Active care control method, electronic control device, central gateway device and server
JP6802455B2 (en) Emergency call system
JP5107115B2 (en) Security equipment
Morajkar et al. Can homes get smarter?–A study on the user perception about smart hom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