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09926A - 다단 추진형 비행로켓 완구 - Google Patents

다단 추진형 비행로켓 완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09926A
KR20200109926A KR1020190029761A KR20190029761A KR20200109926A KR 20200109926 A KR20200109926 A KR 20200109926A KR 1020190029761 A KR1020190029761 A KR 1020190029761A KR 20190029761 A KR20190029761 A KR 20190029761A KR 20200109926 A KR20200109926 A KR 202001099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cket
propulsion
aircraft
release pin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97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명관
Original Assignee
(주)아카데미과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카데미과학 filed Critical (주)아카데미과학
Priority to KR10201900297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09926A/ko
Publication of KR202001099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992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27/00Toy aircraft; Other flying toys
    • A63H27/005Rockets; Missil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27/00Toy aircraft; Other flying toys
    • A63H27/14Starting or launching devices for toy aircraft; Arrangements on toy aircraft for starting or launch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29/00Drive mechanisms for toys in general
    • A63H29/18Driving mechanisms with extensible rubber band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29/00Drive mechanisms for toys in general
    • A63H29/22Electric driv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29/00Drive mechanisms for toys in general
    • A63H29/24Details or accessories for drive mechanisms, e.g. means for winding-up or starting toy engines

Landscapes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사대로부터 제공되는 공기압력의 1차 추진력을 시작으로 추진력을 단계적으로 부여하여 비행체를 보다 높고 멀리 발사시키고, 상대적으로 긴 비행시간을 확보할 수 있는 비행로켓 완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다단 추진형 비행로켓 완구{Multi-stage propulsion type toy rocket}
본 발명은 다단 추진형 비행로켓 완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단계에 걸친 연속 추진력을 제공함으로써 공중으로 비행체를 더욱 높고 멀리, 장시간 비행시킬 수 있는 다단 추진형 비행로켓 완구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주말 여가시간을 활용해서 다양한 종류의 취미를 함께 즐기는 가족들이 늘어나고 있다. 특히 부모와 아이들이 함께 즐길 수 있는 완구들의 숫자가 늘어나고 있으며, 새로운 구조 및 볼거리를 제공하는 완구들의 개발이 이어지고 있다. 또한, 가볍고 튼튼하며 대량생산으로 가격이 저렴해진 소재들의 증가와 연구개발로 강도가 현저히 높아진 플라스틱 소재의 개발로 일반인에게 부담이 적은 가격의 완구용 비행체들의 수요가 늘고 있다. 완구용 자동차, 헬리콥터, 쿼드콥터, 비행기, 비행로켓 등의 완구들이 그 예이다.
특히, 비행로켓은 학교 등에서 주로 학생들이 과학적인 원리를 학습하기 위한 교구로 활용된다. 통상 완구용 비행로켓은 순간적으로 토출되는 공기압에 의해 공중으로 발사되어 기류를 타며 비행한 뒤 추진력을 소진하면 지면으로 자유낙하하는 원리이며 이와 관려된 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46623호(선행문헌)에 개시된 바 있다.
상기 선행문헌을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종래 학습용 에어로켓은 내부에 관통홈이 형성되고 일정 직경 및 길이를 갖는 로켓몸체와, 상기 로켓몸체의 전방 단부에 고정결합되는 기수와, 상기 로켓몸체의 후방 외면에 고정결합되는 기익과, 상기 로켓몸체 내부에 끼움결합되는 한 쌍의 고정판과, 상기 한 쌍의 고정판 사이에 개재되는 일정무게의 무게중심구와, 상기 고정판의 후방에 위치하고 상기 로켓몸체 내부에 끼움결합되는 압축공기 도달판으로 구성되는 로켓과 연질의 재질로 이루어지고 일측에 공기배출구가 형성된 공기압축통과 일단부는 상기 공기압축통의 공기배출구에 고정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로켓몸체의 내부로 인입되어 관통홈에 결합되는 일정 직경의 발사관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상기 학습용 에어로켓은 무게중심구 및 고정판의 위치를 로켓몸체의 전방으로부터 후방에 이르기까지 다양하게 변화시키면서 공기압축통에 동일한 압력을 가하여 로켓을 발사시킴으로써 로켓의 무게중심에 따른 비행거리를 측정하여 과학원리를 학습할 수 있다는 효과를 제공한다는 이점이 있으나, 단순히 공기압축통에 가해지는 압력을 통한 압축공기의 추진력으로만 로켓이 공중을 비행하기 때문에 로켓의 충분한 비행시간을 확보하기 어려웠으며, 이에 따라, 종래 학습용 에어로켓을 이용한 학습 진행 과정에서의 흥미가 현저하게 떨어졌다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46623호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발사대로부터 제공되는 공기압력의 1차 추진력을 시작으로 추진력을 단계적으로 부여하여 비행체를 보다 높고 멀리 발사시키고, 상대적으로 긴 비행시간을 확보할 수 있는 비행로켓 완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발사대, 상기 발사대에 장착되며 상기 발사대의 조작에 따라 공중으로 발사되는 로켓부, 일단은 상기 로켓부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발사대에 고정되는 와이어 및 상기 로켓부에 장착되되 공중에서 상기 로켓부와 분리되어 활공하는 비행체를 포함하는 다단 추진형 비행로켓 완구에 있어서, 상기 로켓부는, 상기 발사대에 장착되는 로켓몸체; 상기 로켓몸체의 외측으로 설치되며 상기 비행체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는 레일이 마련되는 추진 거치대; 상기 와이어의 일단이 접속되고 상기 추진 거치대의 타측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와이어에 의해 타측으로 견인되는 릴리즈핀; 상기 추진 거치대의 내측에서 상기 릴리즈핀의 일측으로 배치되어 회전 작동되며 상기 릴리즈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릴리즈핀과 접촉되는 제1 지지돌기와 상기 레일의 내부를 향해 연장 돌출되어 비행체의 슬라이딩을 제한하는 제2 지지돌기가 마련된 작동캠; 상기 작동캠을 일방향으로 탄성 가압하는 제1 탄성스프링; 상기 릴리즈핀을 상기 제1 지지돌기 방향으로 탄성 가압하도록 상기 릴리즈핀의 외주면으로 설치되는 제2 탄성스프링; 및 상기 릴리즈핀이 타측으로 견인되고 상기 작동캠이 상기 제1 탄성스프링의 탄성 가압에 따라 일방향으로 회전하여 제2 지지돌기가 레일을 개방하였을 때 상기 레일을 따라 비행체를 활주시켜 추진 거치대에서 분리시키는 추진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비행체는 프로펠러가 장착되며 상기 로켓부와 분리되면 구동되는 콘덴서 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추진수단은, 상기 추진 거치대의 일측으로 이격 배치되어 상기 로켓몸체에 장착되는 고정대; 및 상기 고정대와 비행체에 상호 밴딩되어 상기 비행체를 일방향으로 탄성 견인하는 탄성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추진수단은, 상기 레일의 내부에서 상기 비행체를 일방향으로 탄성 가압하는 제3 탄성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추진 거치대의 일측에는 상기 탄성밴드를 추진 거치대의 외측으로 안내하는 안내돌기가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비행체는, 상기 콘덴서 모터를 지지하는 비행몸체; 일측은 상기 비행몸체의 외측에 장착되며 타측은 상기 레일에 접속되는 클립; 및 상기 추진 거치대에서 상기 비행몸체의 이탈을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생성하는 모션 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콘덴서 모터는 상기 모션 센서에서 생성되는 감지신호에 따라 프로펠러를 회전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발사대로부터 제공되는 공기압력의 1차 추진력을 시작으로 추진력이 단계적으로 부여되기 때문에 비행체를 보다 높고 멀리 발사시키고, 비행체가 상대적으로 긴 비행시간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비행로켓 완구의 전체적인 외관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비행로켓 완구의 개략적인 분해관계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로켓부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4는 로켓부와 비행체의 결합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5는 로켓부가 1단 추진력을 얻어 발사대에서 발사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와이어에 의해 릴리즈핀이 타측 방향으로 당겨져 작동캠이 회전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2단 추진력을 얻어 비행체가 로켓부에서 분리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안내돌기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 내지 도 10은 추진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비행로켓 완구의 전체적인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비행로켓 완구의 개략적인 분해관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로켓부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로켓부와 비행체의 결합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로켓부가 1단 추진력을 얻어 발사대에서 발사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와이어에 의해 릴리즈핀이 타측 방향으로 당겨져 작동캠이 회전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2단 추진력을 얻어 비행체가 로켓부에서 분리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비행로켓 완구는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발사대(10), 상기 발사대(10)에 장착되며 상기 발사대(10)의 조작에 따라 공중으로 발사되는 로켓부(20), 일단은 상기 로켓부(20)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발사대(10)에 고정되는 와이어(40) 및 상기 로켓부(20)에 장착되되 공중에서 상기 로켓부(20)와 분리되어 활공하는 비행체(30)를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비행로켓 완구는 비행체(30)를 공중으로 비행시키기 위한 추진력을 단계적으로 제공함으로써 공중으로 비행체(30)를 더욱 높고 멀리, 장시간 비행시킬 수 있게 된다.
발사대(10)를 통해 1단 추진력을 제공받아 로켓부(20)가 발사되면 비행체(30)가 장착된 로켓부(20) 조립체(AS)가 공중으로 상승한다. 이때, 로켓부(20)는 와이어(40)의 길이에 대응되는 높이까지만 공중으로 상승하게 되며 로켓부(20) 조립체(AS)가 와이어(40)의 길이에 대응되는 높이에 도달하면 발사대(10)에 고정된 와이어(40)에 의해 로켓부(20)의 릴리즈핀(23)이 진행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당겨지게 된다. 이때, 비행체(30)는 저항 없이 로켓부(20) 상에서 2차 추진력을 제공받아 로켓부(20)로부터 슬라이딩하면서 분리되어 공중으로 날아오르고 로켓부(20)에서 분리된 비행체(30)는 선택적으로 3차 추진력을 제공받아 공중의 기류를 타면서 비행하다 에너지를 소진하면 지상으로 서서히 자유낙하하여 착륙하게 된다.
이와 같이 비행체(30)에 연속 추진력을 제공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비행로켓 완구는 다음과 같은 세부 구성을 갖춘다.
먼저, 발사대(10)는 로켓부(20) 조립체(AS)를 공중으로 발사시키기 위해 로켓부(20) 내부로 압축공기를 주입하기 위한 역할을 담당하며, 그 일례로, 지면에 지지되는 지지대(11), 상기 지지대(11)에 수직으로 직립 설치되는 주입관(12), 연질의 공기펌프(13) 및 상기 주입관(12)과 공기펌프(13)를 연통시키는 연결호스(14)를 포함하는 발사대(10)를 예시한다.
사용자가 공기펌프(13)를 압축시키면 공기펌프(13) 내부에서 생성된 압축공기가 연결호스(14)를 타고 주입관(12)으로 공급되는 유체흐름구조를 갖추게 되며 로켓부(20)는 상기 주입관(12)의 외경으로 장착되어 주입관(12)으로 공급된 압축공기에 의해 공중으로 발사된다.
필요에 따라 지지대(11) 상에서 주입관(12)이 이루는 각도를 조절하여 로켓부(20)의 발사 각도를 변경시킬 수도 있다.
발사대(10)에서 제공되는 압축공기는 비행체(30)가 공중으로 날아오르기 위한 1단 추진력으로 사용되어진다.
발사대(10)는 로켓부(20)를 공중으로 발사시킬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로켓부(20)는 발사대(10)로부터 제공되는 1단 추진력으로 비행체(30)를 공중으로 발사시키되 와이어(40)의 길이에 대응되는 높이에 도달하면 와이어(40)에 의해 지면으로 당겨지게 된다. 로켓부(20)의 릴리즈핀(23)이 와이어(40)에 의해 당겨지는 순간 비행체(30)를 향해 2단 추진력을 제공하여 로켓부(20) 상에서 비행체(30)가 분리된다.
이를 위해, 로켓부(20)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사대(10)에 장착되는 로켓몸체(21), 상기 로켓몸체(21)의 외측으로 설치되며 상기 비행체(30)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는 레일(22a)이 마련되는 추진 거치대(22), 상기 와이어(40)의 일단이 접속되고 상기 추진 거치대(22)의 타측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와이어(40)에 의해 타측으로 견인되는 릴리즈핀(23), 상기 추진 거치대(22)의 내측에서 상기 릴리즈핀(23)의 일측으로 배치되어 회전 작동되며 상기 릴리즈핀(23)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릴리즈핀(23)과 접촉되는 제1 지지돌기(24a)와 상기 레일(22a)의 내부를 향해 연장 돌출되어 비행체(30)의 슬라이딩을 제한하는 제2 지지돌기(24b)가 마련된 작동캠(24), 상기 작동캠(24)을 일방향으로 탄성 가압하는 제1 탄성스프링(25), 상기 릴리즈핀(23)을 상기 제1 지지돌기(24a) 방향으로 탄성 가압하도록 상기 릴리즈핀(23)의 외주면으로 설치되는 제2 탄성스프링(26) 및 상기 릴리즈핀(23)이 타측으로 견인되고 상기 작동캠(24)이 상기 제1 탄성스프링(25)의 탄성 가압에 따라 일방향으로 회전하여 제2 지지돌기(24b)가 레일(22a)을 개방하였을 때 상기 레일(22a)을 따라 비행체(30)를 활주시켜 추진 거치대(22)에서 분리시키는 추진수단(27)을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
로켓몸체(21)는 일단이 막히고 내부가 빈 원형의 파이프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주입관(12)의 외경으로 끼워진다.
추진 거치대(22)는 2조 한 쌍으로 분할 구성되는 브라켓 형태로 이루어지며, 로켓몸체(21)의 중간 지점의 외면에 장착 고정된다.
추진 거치대(22)에 형성되는 레일(22a)은 로켓몸체(21)의 길이방향과 평행하게 연장 형성되며 레일(22a) 상에 비행체(30)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된다.
비행체(30)가 추진 거치대(22)에서 분리될 때 레일(22a)을 따라 일직선으로 슬라이딩된 뒤 분리됨으로써 공중에서 방향성을 잃지 않고 직진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릴리즈핀(23)은 추진 거치대(22)의 내부 타측 지점에서 소정 거리 직선 왕복 이동되며 릴리즈핀(23)의 왕복 이동은 와이어(40)의 당겨짐에 따른 견인력과 상기 견인력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릴리즈핀(23)을 이동시키는 제2 탄성스프링(26)의 탄성 가압력에 의해 이루어지게 된다.
작동캠(24)은 릴리즈핀(23)의 왕복 이동에 연동하여 제자리 회전하면서 레일(22a)에 장착된 비행체(30)의 구속을 단속하게 된다.
도 4의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캠(24)의 제1 지지돌기(24a)가 릴리즈핀(23)에 접촉된 상태에서는 제2 지지돌기(24b)가 레일(22a)의 내부로 돌출되어 비행체(30)가 추진 거치대(22)에서 분리되지 않게 구속하고 있는 상태가 된다.
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릴리즈핀(23)이 와이어(40)에 의해 로켓부(20)의 발사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당겨지면 릴리즈핀(23)과 제1 지지돌기(24a)의 접촉이 해제되면서 작동캠(24)이 제1 탄성스프링(25)에 의해 탄성 가압되면서 일방향으로 회전하여 비행체(30)를 구속하고 있던 제2 지지돌기(24b)가 레일(22a)을 개방한다. 이렇게 되면 비행체(30)가 레일(22a)을 타고 슬라이딩하여 추진 거치대(22)에서 분리될 수 있는 요건이 갖춰진다.
다음으로, 추진수단(27)은 추진 거치대(22) 상에서 분리될 수 있는 요건이 갖춰진 비행체(30)를 레일(22a)을 타고 슬라이딩시켜 추진 거치대(22)에서 분리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추진수단(27)에서 제공되는 추진력은 비행체(30)를 공중으로 날려보내기 위한 2단 추진력으로 사용되어진다.
추진수단(27)은 그 일례로, 상기 추진 거치대(22)의 일측으로 이격 배치되어 상기 로켓몸체(21)에 장착되는 고정대(27a) 및 상기 고정대(27a)와 비행체(30)에 상호 밴딩되어 상기 비행체(30)를 일방향으로 탄성 견인하는 탄성밴드(27b)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될 수 있다.
제2 지지돌기(24b)에 의해 레일(22a) 상에 구속된 비행체(30)와 고정대(27a)를 탄성밴드(27b)가 상호 밴딩하고 있다가 작동캠(24)이 회전하여 제2 지지돌기(24b)가 비행체(30)의 구속을 해제시키면 탄성밴드(27b)의 장력이 해제됨과 동시에 탄성밴드(27b)가 탄성 복원력에 의해 고정대(27a)를 향해 복원되면서 2단 추진력을 비행체(30)로 인가시키게 되는 것이다.
즉, 비행체(30)는 추진수단(27)을 통한 2단 추진력을 얻어 로켓부(20)에서 상대 이동되면서 공중으로 날아오르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진 거치대(22)의 일측에는 탄성밴드(27b)를 추진 거치대(22)의 외측으로 안내하는 안내돌기(22b)가 돌출될 수 있다.
안내돌기(22b)는 고정대(27a)와 비행체(30)에 밴딩되는 탄성밴드(27b)가 신장되거나 탄성 복원될 때 레일(22a)의 내부로 삽입되지 않도록 탄성밴드(27b)를 외측으로 전개시키는 기능을 담당하며, 만일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밴드(27b)가 작동되는 과정에서 탄성밴드(27b)가 레일(22a)의 내부로 삽입되면 탄성밴드(27b)와 비행체(30) 간에 간섭이 발생되거나 탄성밴드(27b)의 탄성 복원 자체가 불가해질 수 있다.
탄성밴드(27b)가 비행체(30)에 밴딩될 때 탄성밴드(27b) 사이를 충분히 벌려 안내돌기(22b)에 안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 8a에 확대 도시된 도면에서처럼 고정대(27a)와 레일(22a)에 높이차(h)를 형성하도록 하여 레일(22a)에서 이탈되는 비행체(30)가 고정대(27a)에 충돌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고하여 추진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9에 도시된 추진수단(27')은 레일(22a)의 내부에서 상기 비행체(30)를 일방향으로 탄성 가압하는 제3 탄성스프링(27c)을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될 수 있다.
제3 탄성스프링(27c)은 제2 지지돌기(24b)에 의해 레일(22a) 상에 구속된 비행체(30)를 일방향으로 탄성 지지하고 있다가 작동캠(24)이 회전하여 제2 지지돌기(24b)가 비행체(30)의 구속을 해제시키면 제3 탄성스프링(27c)의 탄성 복원력에 따른 2단 추진력을 비행체(30)로 직접 인가시키게 되고, 비행체(30)가 2단 추진력을 얻어 로켓부(20)에서 상대 이동되면서 공중으로 날아오르게 되는 것이다.
한편, 추진 거치대(22)로부터 분리된 비행체(30)는 비행체(30) 자체에서 3단 추진력을 얻어 공중을 비행할 수도 있다. 비행체(30)는 3단 추진력이 완전히 소실되면 기류를 타고 활강하다 지면으로 착륙하게 된다.
3단 추진력을 얻어 비행하는 비행체(30)는 그 일례로, 프로펠러(31)가 장착되며 상기 로켓부(20)와 분리되면 구동되는 콘덴서 모터(미도시), 상기 콘덴서 모터를 지지하는 비행몸체(32), 일측은 상기 비행몸체(32)의 외측에 장착되며 타측은 상기 레일(22a)에 접속되는 클립(33) 및 상기 추진 거치대(22)에서 상기 비행몸체(32)의 이탈을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생성하는 모션 센서(미도시)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될 수 있다.
비행체(30)는 전술한 예 외에도 무동력 글라이더, 무동력 추진기, 고무 동력기, 콘덴서 비행기 등과 같은 것들로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음을 밝힌다.
먼저, 비행몸체(32)는 복수 개의 경량 판재가 일반적인 비행기 형상으로 조립 구성되는 형체를 갖추며 그 형체에 특별한 제한을 두지 않는다. 필요에 따라 날개를 접고 펼 수 있는 접지 글라이더형 비행몸체가 채택될 수도 있으며, 이에 필요한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콘덴서 모터는 비행 몸체의 적소에 배치되어 충전된 소정의 전원으로 프로펠러(31)를 회전 구동시키는 공지의 것들로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겠다. 첨부되는 도면에는 비행몸체(32)의 후단에 형성된 한 쌍의 꼬리날개 사이에 프로펠러(31)가 배치된 것을 예시하나, 그 설치 위치는 특별히 제한하지 않는다.
특히, 콘덴서 모터는 비행체(30)가 추진 거치대(22)에서 이탈되는 순간 프로펠러(31)를 회전 구동시켜 3단 추진력을 제공하게 된다.
즉, 모션 센서가 비행체(30)의 이탈을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생성하면 콘덴서 모터는 상기 모션 센서에서 생성되는 감지신호에 따라 프로펠러(31)를 회전 구동시게 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비행로켓 완구의 작용을 첨부되는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하겠다. 본 작용에서는 비행로켓 완구의 동작 과정을 예로 들어 설명하겠다.
먼저, 로켓부(20)에 비행체(30)를 장착시키기 위하여 비행체(30)의 클립(33)을 레일(22a)에 접속시키고 이와 동시에 탄성밴드(27b)를 고정대(27a)와 클립(33)에 상호 밴딩시킨다.
이렇게 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립(33)이 제2 지지돌기(24b)에 의해 걸림되어 추진 거치대(22) 상에 발사 제한되도록 구속된다.
이 상태의 조립체(AS)를 발사대(10) 장착시키면 비행체(30)의 발사 준비가 완료되고, 공기펌프(13)를 발로 강하게 압축시키면 압축공기가 연결호스(14)를 타고 주입관(12)으로 주입되어 로켓몸체(21)의 내부로 강하게 토출된다.
조립체(AS)는 압축공기를 통한 1단 추진력을 얻어 공중으로 상승하게 되는데 일정 높이에 도달하게 되면 와이어(40)에 의해 상승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당겨지게 된다. 이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40)가 릴리즈핀(23)을 타측 방향으로 견인하여 제1 지지돌기(24a)에서 이격시키고 릴리즈핀(23)과 이격된 작동캠(24)이 일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클립(33)을 레일(22a) 상에서 구속하고 있던 제2 지지돌기(24b)가 클립(33)의 구속을 해제시키고 이와 동시에 탄성밴드(27b)가 탄성 복원되면서 2차 추진력을 발생시켜 비행체(30)가 레일(22a) 상에서 슬라이딩되면서 추진 거치대(22) 상에서 분리되어 공중으로 발사된다.
한편, 릴리즈핀(23)이 당겨지는 것은 와이어(40)에 의한 견인력이 제공되는것에 기인하는데 릴리즈핀(23)의 견인 조작은 와이어(40) 외에도 일정 시간이 흐른 뒤 릴리즈핀(23)을 자동으로 견인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갖출 수도 있다. 이때, 로켓부(20)는 이에 필요한 구성요소, 예컨대, 전자식 타이머 등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비행체(30)가 로켓부(20)에서 이탈되는 즉시 프로펠러(31)가 회전되도록 콘덴서 모터가 작동되어 3단 추진력을 비행체(30) 자체에서 발생시킨다.
이에 따라 비행체(30)는 콘덴서 모터의 충전 전원을 모두 소진하기까지 공중을 비행하다가 전원의 방전에 따라 콘덴서 모터의 작동이 중지되면 기류를 타고 활강하면서 지면으로 자유낙하하게 되는 것이다.
정리하면, 본 발명에 따른 비행로켓 완구는 발사대(10)로부터 제공되는 공기압력의 1차 추진력을 시작으로 로켓부(20)에서 제공되는 2차 추진력 및 비행체(30) 자체에서 제공되는 3차 추진력이 단계적으로 부여되기 때문에 비행체(30)가 보다 높고 멀리 발사됨은 물론 상대적으로 긴 비행시간을 확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발사대 20: 로켓부
30: 비행체 40: 와이어

Claims (5)

  1. 발사대, 상기 발사대에 장착되며 상기 발사대의 조작에 따라 공중으로 발사되는 로켓부, 일단은 상기 로켓부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발사대에 고정되는 와이어 및 상기 로켓부에 장착되되 공중에서 상기 로켓부와 분리되어 활공하는 비행체를 포함하는 다단 추진형 비행로켓 완구에 있어서,
    상기 로켓부는,
    상기 발사대에 장착되는 로켓몸체;
    상기 로켓몸체의 외측으로 설치되며 상기 비행체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는 레일이 마련되는 추진 거치대;
    상기 와이어의 일단이 접속되고 상기 추진 거치대의 타측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와이어에 의해 타측으로 견인되는 릴리즈핀;
    상기 추진 거치대의 내측에서 상기 릴리즈핀의 일측으로 배치되어 회전 작동되며 상기 릴리즈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릴리즈핀과 접촉되는 제1 지지돌기와 상기 레일의 내부를 향해 연장 돌출되어 비행체의 슬라이딩을 제한하는 제2 지지돌기가 마련된 작동캠;
    상기 작동캠을 일방향으로 탄성 가압하는 제1 탄성스프링;
    상기 릴리즈핀을 상기 제1 지지돌기 방향으로 탄성 가압하도록 상기 릴리즈핀의 외주면으로 설치되는 제2 탄성스프링; 및
    상기 릴리즈핀이 타측으로 견인되고 상기 작동캠이 상기 제1 탄성스프링의 탄성 가압에 따라 일방향으로 회전하여 제2 지지돌기가 레일을 개방하였을 때 상기 레일을 따라 비행체를 활주시켜 추진 거치대에서 분리시키는 추진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추진형 비행로켓 완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비행체는 프로펠러가 장착되며 상기 로켓부와 분리되면 구동되는 콘덴서 모터;를 포함하며,
    상기 추진수단은,
    상기 추진 거치대의 일측으로 이격 배치되어 상기 로켓몸체에 장착되는 고정대; 및
    상기 고정대와 비행체에 상호 밴딩되어 상기 비행체를 일방향으로 탄성 견인하는 탄성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추진형 비행로켓 완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비행체는 프로펠러가 장착되며 상기 로켓부와 분리되면 구동되는 콘덴서 모터;를 포함하며,
    상기 추진수단은,
    상기 레일의 내부에서 상기 비행체를 일방향으로 탄성 가압하는 제3 탄성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추진형 비행로켓 완구.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추진 거치대의 일측에는 상기 탄성밴드를 추진 거치대의 외측으로 안내하는 안내돌기가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추진형 비행로켓 완구.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비행체는,
    상기 콘덴서 모터를 지지하는 비행몸체;
    일측은 상기 비행몸체의 외측에 장착되며 타측은 상기 레일에 접속되는 클립; 및
    상기 추진 거치대에서 상기 비행몸체의 이탈을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생성하는 모션 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콘덴서 모터는 상기 모션 센서에서 생성되는 감지신호에 따라 프로펠러를 회전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추진형 비행로켓 완구.
KR1020190029761A 2019-03-15 2019-03-15 다단 추진형 비행로켓 완구 KR2020010992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9761A KR20200109926A (ko) 2019-03-15 2019-03-15 다단 추진형 비행로켓 완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9761A KR20200109926A (ko) 2019-03-15 2019-03-15 다단 추진형 비행로켓 완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9926A true KR20200109926A (ko) 2020-09-23

Family

ID=727082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9761A KR20200109926A (ko) 2019-03-15 2019-03-15 다단 추진형 비행로켓 완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0992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018881A (zh) * 2021-04-25 2021-06-25 航天创客(北京)科技有限公司 一种航天科普模型自适应弹射装置
KR102328048B1 (ko) * 2021-06-16 2021-11-17 신연우 물 로켓 발사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46623A (ko) 2009-10-29 2011-05-06 조건호 학습용 에어로켓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46623A (ko) 2009-10-29 2011-05-06 조건호 학습용 에어로켓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018881A (zh) * 2021-04-25 2021-06-25 航天创客(北京)科技有限公司 一种航天科普模型自适应弹射装置
KR102328048B1 (ko) * 2021-06-16 2021-11-17 신연우 물 로켓 발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587686B (zh) 弹射折叠翼飞行机器人
EP1630517A2 (en) Toy projectile
US6752682B1 (en) Hand-launched toy rocket
CN107380402B (zh) 一种折叠翼无人机
US20050287916A1 (en) Pneumatically actuated stunt device
KR20200109926A (ko) 다단 추진형 비행로켓 완구
US5471968A (en) Projectile launcher with folding housing
US2870570A (en) Toy jet projectile
US2559458A (en) Toy parachute and projector therefor
CN2882742Y (zh) 一种玩具飞行器的飞行员弹射跳伞装置
US3754349A (en) Multiple use toy
CN202506124U (zh) 一种趣味性强的玩具导弹装置
CN109489499B (zh) 一种3d打印折叠式机翼巡飞弹
US3025634A (en) Toy balloon ejecting pistol
US6179680B1 (en) Safety device for a spring loaded flying toy
US3918197A (en) Trigger-launched jet plane
CN108190003B (zh) 一种具有缓冲机构的无人机
CN204409823U (zh) 闪灯空中伞
US9522340B1 (en) Compressed air power systems that use stored energy to propel toy items
US3021640A (en) Self-propelled toy projectile
US3134194A (en) Multi-stage toy missile
CN211158602U (zh) 玩具弹射器
KR20240112107A (ko) 타이머식 런칭 장치를 구비한 다단 추진형 비행로켓 완구
US2879624A (en) Toy jet missile
CN113362692A (zh) 一种基于水火箭助推滑翔机的教学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