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09438A - 가상 영상 표시장치 및 헤드 마운트 장치 - Google Patents

가상 영상 표시장치 및 헤드 마운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09438A
KR20200109438A KR1020190028411A KR20190028411A KR20200109438A KR 20200109438 A KR20200109438 A KR 20200109438A KR 1020190028411 A KR1020190028411 A KR 1020190028411A KR 20190028411 A KR20190028411 A KR 20190028411A KR 20200109438 A KR20200109438 A KR 202001094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lenses
display device
virtual image
pixe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84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수민
권재중
이지원
허수정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284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09438A/ko
Priority to US16/802,540 priority patent/US11515509B2/en
Priority to CN202010156031.1A priority patent/CN111694154A/zh
Publication of KR202001094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943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02B27/0172Head mounted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5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 H10K50/858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comprising refractive means, e.g.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Wearable computers, e.g. on a bel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02Image reproducers for viewing without the aid of special glasses, i.e. using autostereoscopic displays
    • H04N13/307Image reproducers for viewing without the aid of special glasses, i.e. using autostereoscopic displays using fly-eye lenses, e.g. arrangements of circular lens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32Displays for viewing with the aid of special glasses or head-mounted displays [HMD]
    • H04N13/344Displays for viewing with the aid of special glasses or head-mounted displays [HMD] with head-mounted left-right display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2Containers
    • H10K50/8426Peripheral sealing arrangements, e.g. adhesives, seala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4Encapsul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9/873Encapsul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0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02B2027/0123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comprising devices increasing the field of view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02B2027/0178Eyeglass typ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9/871Self-supporting sealing arrangements
    • H10K59/8722Peripheral sealing arrangements, e.g. adhesives, seala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5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 H10K59/879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comprising refractive means, e.g. len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가상 영상 표시장치는 복수의 화소를 갖고,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패널, 상기 표시패널 상에 배치되는 윈도우 및 상기 표시패널과 상기 윈도우 사이에 구비되고, 복수의 렌즈를 갖는 다시점층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가상 영상 표시장치 및 헤드 마운트 장치{VIRTUAL IMAGE DISPLAY DEVICE AND HEAD-MOUNTED DEVICE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가상 영상 표시장치 및 헤드 마운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가상 영상을 제공하는 가상 영상 표시장치 및 이를 갖는 헤드 마운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헤드 마운트 장치는 머리에 착용하는 장치로, 사용자에게 증강 현실(augmented reality) 또는 가상 현실(Virtual reality)을 제공하는 미디어 장치이다. 가상 현실을 구현하기 위한 헤드 마운트 장치는 표시장치를 통해 가상의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가상의 영상과 실제의 사물을 동시에 시인할 수 있다. 가상 현실 구현하기 위해 헤드 마운트 장치는 표시장치 및 렌즈 모듈을 구비한다. 렌즈 모듈은 표시장치로부터 출력된 영상을 확대하고, 가상면에 확대된 가상 영상을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확대된 가상 영상을 시인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헤드 마운트 장치의 전체적인 두께를 감소시킬 수 있고, 가상 영상의 화질을 개선할 수 있는 가상 영상 표시장치 및 이를 채용하는 헤드 마운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영상 표시장치는 복수의 화소를 갖고,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패널; 상기 표시패널 상에 배치되는 윈도우; 및 상기 표시패널과 상기 윈도우 사이에 구비되고, 복수의 렌즈를 갖는 다시점층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표시패널은 상기 복수의 화소가 각각 배치되는 복수의 화소 영역 및 상기 화소 영역들 사이에 위치하는 비화소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렌즈는 상기 복수의 화소 영역에 각각 대응하여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복수의 화소 영역 각각은, 상기 발광 영역; 및 상기 발광 영역에 인접한 비발광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렌즈 각각은 대응하는 화소의 상기 발광 영역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복수의 화소는, 상기 발광 영역에 대응하여 배치되는 발광층을 포함하는 유기 발광 소자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표시패널은, 상기 복수의 화소를 커버하는 박막 봉지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다시점층은 상기 박막 봉지층의 상면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서로 대응하는 렌즈와 화소 사이의 거리는, 10㎛ 내지 450㎛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복수의 렌즈 각각은 1㎛ 내지 20㎛의 높이를 갖는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복수의 렌즈 각각은, 상기 화소들 각각의 사이즈보다 작은 피치를 갖는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복수의 렌즈 각각은, 5 내지 20의 곡률 반경을 갖는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다시점층은 복수의 시점 유닛을 포함하고, 각 시점 유닛은 상기 복수의 렌즈들 중 N 개의 렌즈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N 개의 렌즈는 기준 렌즈 및 N-1개의 주변 렌즈를 포함하고, 상기 기준 렌즈의 중점 및 상기 기준 렌즈에 대응하는 기준 화소의 중점은 일치한다.
본 실시예에서, N-1개의 주변 렌즈 각각의 중점은 N-1개의 주변 렌즈에 각각 대응하는 주변 화소들 각각의 중점과 다른 위치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가상 영상 표시장치는 상기 다시점층과 상기 윈도우 사이에 개재된 접착층을 더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가상 영상 표시장치는 상기 다시점층과 상기 윈도우 사이에 기능층 및 보호층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영상 표시장치는 복수의 화소를 갖고,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패널; 및 상기 표시패널 상에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화소와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렌즈를 갖는 다시점층을 포함한다. 상기 표시패널은 상기 복수의 화소가 각각 배치되는 복수의 화소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화소 영역 각각은, 상기 발광 영역; 및 상기 발광 영역에 인접한 비발광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렌즈 각각은 대응하는 화소의 상기 발광 영역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표시패널은, 상기 복수의 화소를 커버하는 박막 봉지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다시점층은 상기 박막 봉지층의 상면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서로 대응하는 렌즈와 화소 사이의 거리는, 10㎛ 내지 450㎛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 마운트 장치는 복수의 화소를 갖고,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패널 및 상기 표시패널 상에 배치되고, 복수의 렌즈를 갖는 다시점층을 포함하는 가상 영상 표시장치; 상기 가상 영상 표시장치가 안착되는 안착 공간이 제공되는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에 연결되고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되는 착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의 눈과 상기 가상 영상 표시장치가 35mm 이하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 영상 표시장치는 표시패널의 최상면에 직접 형성된 다시점층을 포함한다. 다시점층이 표시패널 상에 직접적으로 형성됨으로써, 다시점층에 구비되는 렌즈들 각각의 사이즈를 화소 사이즈로 감소시킬 수 있고, ㄹ렌즈와 화소 사이의 거리를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가상 영상 표시장치를 채용하는 헤드 마운트 장치의 전체적인 두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렌즈들을 표시패널의 화소 영역 중 발광 영역에 대응하도록 배치시킴으로써, 비발광 영역이 확대되어 시인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그 결과 화질을 개선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영상 표시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I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가상 영상 표시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가상 영상 표시장치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다시점층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영상 표시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가상 영상 표시장치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영상 표시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패널의 평면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Ⅱ 영역의 화소들과 렌즈들의 배치 관계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다시점층을 통과한 후의 영상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패널의 평면도이다.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Ⅲ 영역의 화소들과 렌즈들의 배치 관계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다시점층을 통과한 후의 영상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헤드 장착형 표시장치의 사시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또는 영역, 층, 부분 등)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 "연결된다", 또는 "결합된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배치/연결/결합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3의 구성요소가 배치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두께, 비율, 및 치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및/또는"은 연관된 구성들이 정의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조합을 모두 포함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아래에", "하측에", "위에", "상측에" 등의 용어는 도면에 도시된 구성들의 연관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다. 상기 용어들은 상대적인 개념으로, 도면에 표시된 방향을 기준으로 설명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모든 용어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서 정의된 용어와 같은 용어는 관련 기술의 맥락에서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고, 이상적인 또는 지나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 한, 명시적으로 여기에서 정의될 수 있다.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영상 표시장치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I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가상 영상 표시장치(DD)는 표시패널(DP), 윈도우(WM) 및 다시점층(MLA)을 포함한다.
표시패널(DP)은 리지드(rigid) 표시패널 또는 플렉서블(flexible) 표시패널일 수 있다. 플렉서블 표시패널의 경우, 표시패널(DP)은 벤딩, 폴딩, 롤딩 등의 동작에 의해 형상 변형이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로, 표시패널(DP)은 유기발광 소자를 포함하는 표시패널일 수 있다. 표시패널(DP)은 사용자의 눈(UE)에 근접하도록 배치되어 영상을 표시한다.
표시패널(DP)은 영상을 표시하는 최소 단위인 복수의 화소(PX)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패널(DP)은 복수의 화소(PX)가 각각 배치되는 복수의 화소 영역(PA)을 포함한다.
윈도우(WM)는 표시패널(DP)의 상에 구비되어 영상이 출력되는 표시장치(DD)의 출사면(ES)을 정의할 수 있다. 윈도우(WM)는 광학적으로 투명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표시패널(DP)에서 생성된 영상은 윈도우(WM)를 통과할 수 있다.
다시점층(MLA)은 표시패널(DP)과 윈도우(WM)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로 다시점층(MLA)은 복수의 화소(PX)와 윈도우(WM) 사이에 배치된다. 다시점층(MLA)은 복수의 화소(PX)와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렌즈(LS)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렌즈들(LS)은 대응하는 화소(PX)로부터 출력된 영상을 확대한 후 가상면(VS)에 확대된 영상을 투사시킨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다시점층(MLA)에 의해 사용자의 눈(UE)으로부터 일정 거리(d1)로 이격된 가상면(VS)에 투사된 가상 영상(VI)을 시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각 화소(PX)로부터 출사된 영상은 대응하는 렌즈(LS)에 의해 확대되어 사용자 눈(UE)의 수정체에 입사되고 다시 수정체에 의해 망막으로 포커싱됨으로써 사용자 눈(UE)은 가상면(VS)으로 투사된 가상 영상(VI)을 시감하게 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패널(DP)의 각 화소 영역(PA)은 발광 영역(PXA) 및 비발광 영역(NPXA)을 포함할 수 있다. 발광 영역(PXA)은 각 화소 영역(PA) 중 실제 광이 출력하는 발광층이 배치된 영역이며, 비발광 영역(NPXA)은 발광 영역(PXA)에 인접하고 블랙 매트릭스와 같은 차광 물질이 배치된 차광 영역일 수 있다.
복수의 렌즈(LS)는 복수의 화소 영역(PA)에 각각 대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즉, 복수의 렌즈(LS) 각각은 대응하는 화소 영역(PA)의 발광 영역 및 비발광 영역에 중첩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렌즈(LS) 각각은 대응하는 화소 영역(PA) 중 발광 영역(PXA)에 대응하여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렌즈들(LS) 각각은 대응하는 화소들(PX)에 포커싱되는 초점을 갖도록 설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복수의 렌즈들(LS) 각각의 피치(P1)는 화소 영역(PA)에 대응하는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렌즈들(LS) 각각의 곡률 반경 및 높이 등을 조절하여 렌즈들(LS) 각각의 초점을 대응하는 화소(PX)에 포커싱시킬 수 있다. 렌즈들(LS) 각각은 1 내지 20의 곡률 반경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다시점층(MLA)은 표시패널(DP)에 직접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다시점층(MLA)은 연속 공정을 통해 표시패널(DP)의 최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
다시점층(MLA) 위로는 윈도우(WM)가 배치될 수 있다. 다시점층(MLA)과 윈도우(WM) 사이에는 이들을 결합시키기 위한 접착층(AL)이 개재된다. 다시점층(MLA)과 윈도우(WM) 사이에는 기능층 및 보호층 등이 추가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처럼, 다시점층(MLA)이 표시패널(DP) 상에 직접적으로 형성됨으로써, 다시점층(MLA)에 구비되는 렌즈들(LS) 각각의 사이즈를 화소 사이즈로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렌즈들(LS) 사이즈가 감소함에 따라 렌즈들(LS)와 화소(PX) 사이의 거리(즉, 초점 거리)(f1)가 감소한다. 본 발명의 일 예로, 상기 렌즈들(LS)과 화소 사이의 거리(f1)는 10㎛ 내지 450㎛일 수 있다. 이에 따라, 표시패널(DP)의 화소(PX)와 사용자의 눈(UE) 사이의 거리(d2)를 감소시킬 수 있다. 즉, 표시패널(DP)의 화소(PX)와 사용자의 눈(UE) 사이의 거리(d2)는 35mm 이하로 감소될 수 있다. 따라서, 가상 영상 표시장치(DD)를 채용하는 헤드 마운트 장치의 전체적인 두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렌즈들(LS)은 복수의 렌즈(LS) 각각은 대응하는 화소 영역(PA) 중 발광 영역(PXA)에 대응하여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렌즈들(LS) 각각이 비발광 영역(NPXA)까지 형성되면, 화소(PX)로부터 출력된 영상을 확대할 때 비발광 영역(NPXA)까지 확대되어 사용자의 눈(UE)에 비발광 영역(NPXA)이 시인되는 스크린 도어 효과(screen door effect)가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렌즈들(LS)은 발광 영역(PXA)에 대응하여 배치되어, 비발광 영역(NPXA)이 확대되어 보이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그 결과 화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가상 영상 표시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가상 영상 표시장치의 확대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다시점층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가상 영상 표시장치(DD1)는 표시패널(DP), 윈도우(WM) 및 다시점층(MLA)을 포함한다.
가상 영상 표시장치(DD1)에는 표시 영역(DA) 및 비표시 영역(NDA)이 정의될 수 있다. 표시 영역(DA)은 영상이 표시되는 영역이고, 비표시 영역(NDA)는 표시 영역(DA)에 인접한 영역으로, 영상이 표시되지 않는 영역이다. 비표시 영역(NDA)은 표시 영역(DA)을 에워쌀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비표시 영역(NDA)은 표시 영역(DA)의 가장자리 중 일부에만 인접할 수도 있으며 어느 하나의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표시패널(DP)은 베이스층(SUB), 베이스층(SUB) 상에 배치된 회로층(DP-CL), 표시 소자층(DP-OLED), 및 박막 봉지층(TFE)을 포함한다. 베이스층(SUB)은 적어도 하나의 플라스틱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층(SUB)은 플렉서블한 기판으로 플라스틱 기판, 유리 기판, 메탈 기판, 또는 유/무기 복합재료 기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회로층(DP-CL)은 적어도 하나의 중간 절연층, 복수 개의 도전층들 및 반도체층을 포함할 수 있다. 회로층(DP-CL)의 복수 개의 도전층들은 신호라인들 또는 화소 회로를 구성할 수 있다. 화소 회로는 박막 트랜지스터들과 커패시터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 소자층(DP-OLED)은 회로층(DP-CL) 상에 배치된다. 일 예로, 표시 소자층(DP-OLED)은 표시 영역(DA)에 대응하여 배치될 수 있다. 표시 소자층(DP-OLED)은 표시소자, 예컨대 유기발광 다이오드들을 포함할 수 있다.
박막 봉지층(TFE)은 표시 소자층(DP-OLED) 상에 직접 형성되거나, 표시 소자층(DP-OLED) 상에 배치된 기능층 상에 직접 형성된다. 박막 봉지층(TFE)은 표시 소자층(DP-OLED)과 연속공정을 통해 제조될 수 있다.
박막 봉지층(TFE)은 적어도 하나의 무기층과 적어도 하나의 유기층을 포함할 수 있다. 무기층은 수분/산소로부터 표시 소자층(DP-OLED)을 보호하고, 유기층은 먼지 입자와 같은 이물질로부터 표시 소자층(DP-OLED)을 보호한다.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베이스층(SUB) 상에 회로층(DP-CL)이 배치된다. 회로층(DP-CL)은 복수 개의 절연층들(BFL,10, 20, 30)과 박막 트랜지스터(TFT)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 개의 절연층들(BFL,10, 20, 30) 각각은 유기물 및/또는 무기물을 포함할 수 있고, 단층 또는 다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복수 개의 절연층들(BFL,10, 20, 30) 중 일부, 예컨대 버퍼층(BFL)은 생략될 수 있고, 또 다른 절연층이 더 배치될 수 있다.
회로층(DP-CL) 상에 표시 소자층(DP-OLED)이 배치된다. 표시 소자층(DP-OLED)은 화소 정의막(PDL) 및 유기발광 다이오드(OLED)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패널(DP)의 각 화소 영역(PA)은 평면상에서 유기발광 다이오드(OLED)가 배치된 발광 영역(PXA)과 그에 인접한 비발광 영역(NPXA)으로 구분될 수 있다. 화소 정의막(PDL)의 개구부(OP)는 제1 전극(AE)의 적어도 일부분을 노출시킨다. 화소 정의막(PDL)의 개구부(OP)는 발광영역(PXA)과 대응할 수 있다.
유기발광 다이오드(OLED)는 제1 전극(AE), 제2 전극(CE), 및 제1 전극(AE)과 제2 전극(CE) 사이에 배치된 발광 기능층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2 전극(CE)을 향하여 광을 출사하는 전면 발광 구조의 유기발광 다이오드(OLED)를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제2 전극(CE)은 제1 전극(AE)보다 박막 봉지층(TFE)에 더 인접하게 배치된다.
도 4에서, 발광 기능층은 제1 전하 제어층(HCL), 발광층(EML), 및 제2 전하 제어층(ECL)을 포함하나, 발광 기능층의 적층 구조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발광층(EML)은 호스트와 도펀트가 혼합된 유기 발광 물질 및/또는 반도체 나노결정(예컨대, 퀀텀닷, 퀀텀로드, 퀀텀튜브)과 같은 무기 발광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하 제어층(HCL) 및 제2 전하 제어층(ECL) 각각은 전자 및 정공 중 대응하는 전하를 주입 및/또는 수송한다. 별도로 도시되지 않았으나, 발광 기능층과 제2 전극(CE)은 복수 개의 발광 영역(PXA)과 그에 인접한 비발광 영역(NPXA)에 공통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1 전극(AE)은 반사층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반사층은 은(Ag), 마그네슘(Mg), 알루미늄(Al), 백금(Pt), 팔라듐(Pd), 금(Au), 니켈(Ni), 네오디뮴(Nd), 이리듐(Ir) 및 크롬(Cr)을 포함하는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극(AE)은 인듐틴옥사이드(ITO: indium tin oxide), 인듐징크옥사이드(IZO: indium zinc oxide), 징크옥사이드(ZnO: zinc oxide), 인듐옥사이드(In2O3: indium oxide), 인듐갈륨옥사이드(IGO: indium galium oxide) 및 알루미늄징크옥사이드(AZO: aluminium zinc oxide)를 포함하는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로 형성된 투명층 또는 반투명층이 더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전극(AE)은 인듐틴옥사이드(ITO)/은(Ag)/ 인듐틴옥사이드(ITO)의 3개의 층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전극(CE)은 흡수율이 작으면서 반사율이 높은 도전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전극(CE)은 제1 전극(AE)과 공진구조를 형성하기 위해 반투명전극일 수 있다. 제2 전극(CE)은 가시광 영역에서 굴절률과 흡광 계수(extinction ratio)의 곱이 1 내지 10인 도전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전극(CE)은 은(Ag), 알루미늄(Al), 이터븀(Yb), 티타늄(Ti), 마그네슘(Mg), 니켈(Ni), 리튬(Li), 칼슘(Ca), 구리(Cu), LiF/Ca, LiF/Al, MgAg 및 CaAg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다시점층(MLA)은 박막 봉지층(TFE) 상에 구비된다. 다시점층(MLA)은 평탄층(PL) 및 평탄층(PL)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된 렌즈층을 포함한다. 렌즈층은 복수의 렌즈(LS)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렌즈(LS)는 서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복수의 렌즈들(LS)은 서로 소정 간격 이격되고, 평탄층(PL)에 의해서 연결될 수 있다. 복수의 렌즈들(LS) 각각은 화소 영역(PA) 중 발광 영역(PXA)에 대응하여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렌즈들(LS) 각각은 발광 영역(PXA)과 중첩할 수 있다. 평탄층(PL)은 화소 영역(PA)의 발광 영역(PXA) 및 비발광 영역(NPXA)을 전체적으로 커버할 수 있다.
도 4에서는 다시점층(MLA)이 평탄층(PL)을 포함하고, 복수의 렌즈들(LS)이 평탄층(PL)에 의해서 연결된 구조를 도시하였으나, 다시점층(MLA)의 구조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의 다른 일 예로, 다시점층(MLA)에서 평탄층(PL)이 생략되고, 복수의 렌즈들(LS)이 직접 박막 봉지층(TFE)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렌즈들(LS) 각각은 평탄층(PL)의 상면 또는 박막 봉지층(TFE)의 상면으로부터 볼록하게 돌출된 볼록 렌즈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렌즈들(LS) 각각은 평면에서 봤을 때 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복수의 렌즈들(LS) 각각은 반구형으로 돌출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렌즈들(LS)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데, 렌즈들(LS) 각각은 평면 상에서 다각형 또는 타원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도 5에서 렌즈들(LS)은 서로 동일한 사이즈를 갖는 것으로 도시되었다. 그러나, 다른 일 예로 렌즈들(LS)은 서로 다른 사이즈를 가질 수 있다.
다시점층(MLA)은 아크릴 수지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포토(Photo) 공정 또는 인프린팅(Inprinting) 공정을 통해 박막 봉지층(TFE)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렌즈(LS) 각각은 1㎛ 내지 20㎛의 높이(H1)를 가질 수 있다. 각 렌즈(LS)가 발광 영역(PXA)에 대응하여 배치되는 경우, 각 렌즈(LS)의 피치(P1)는 각 화소 영역(PA)의 폭보다 작을 수 있다. 렌즈(LS)의 피치(P1)는 각 화소의 발광 영역(PXA)의 폭보다 클 수 있으나, 1㎛ 이상으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렌즈(LS) 각각의 곡률 반경은 5 내지 20일 수 있다.
가상 영상 표시장치(DD1)는 다시점층(MLA) 상에 배치된 윈도우(WM)를 더 포함한다. 윈도우(WM)는 유리 기판, 사파이어 기판, 플라스틱 기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윈도우(WM)는 다층 또는 단층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윈도우(WM)는 접착제로 결합된 복수 개의 플라스틱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윈도우(WM)는 비표시 영역(NDA, 도 3에 도시됨)에 대응하여 배치된 베젤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베젤층은 블랙의 안료 또는 염료를 포함하는 유기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베젤층은 증착, 프린트, 코팅 등의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별도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윈도우(WM)는 기능성 코팅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기능성 코팅층은 지문 방지층, 반사 방지층, 및 하드 코팅층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가상 영상 표시장치(DD1)는 윈도우(WM)와 다시점층(MLA) 사이에 배치된 접착층(AL)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접착층(AL)은 윈도우(WM)와 표시패널(DP)을 결합시킨다. 상기 접착층(AL)은 광학투명접착필름(OCA, Optically Clear Adhesive film) 또는 광학투명접착수지(OCR, Optically Clear Resin) 또는 감압접착필름(PSA, Pressure Sensitive Adhesive film)일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영상 표시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가상 영상 표시장치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영상 표시장치(DD2)에서, 표시패널(DP)은 베이스층(SUB), 베이스층(SUB) 상에 배치된 회로층(DP-CL), 표시 소자층(DP-OLED), 봉지 기판(CP) 및 실링층(SM)을 포함할 수 있다.
봉지기판(CP)은 표시 소자층(DP-OLED)을 밀봉한다. 봉지기판(CP)은 플라스틱 기판 및/또는 유리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이미지가 생성되지 않는 비표시 영역(NDA)에 배치된 실링층(SM)을 통해 봉지기판(CP)과 회로층(DP-CL)이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표시 소자층(DP-OLED)은 표시 영역(DA)에만 배치되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표시 소자층(DP-OLED)은 비표시 영역(NDA)의 일부분에 더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실링층(SM)은 회로층(DP-CL)과 표시 소자층(DP-OLED)과 봉지기판(CP)을 결합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봉지기판(CP)은 표시 소자층(DP-OLED)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봉지기판(CP)과 표시 소자층(DP-OLED) 사이에는 소정의 굴절률을 갖는 매질이 배치될 수 있다. 매질은 공기이거나 실링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표시패널(DP)은 표시 소자층(DP-OLED) 상에 배치된 기능층(FL1, FL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7에서 기능층(FL1, FL2)은 제2 전극(CE) 상에 배치된 제1 기능층(FL1) 및 제1 기능층(FL1) 상에 배치된 제2 기능층(FL2)을 포함한다.
제1 기능층(FL1)은 외부 입력을 감지하는 입력감지층일 수 있다. 입력감지층(FL1)은 가상 영상 표시장치(DD2)의 외부에서 제공되는 다양한 형태의 입력들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감지층(FL1)은 사용자의 신체에 의한 입력을 인지하거나, 광, 열, 또는 압력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외부 입력들을 인지할 수 있다. 또한, 입력감지층(FL1)은 감지면에 접촉하는 입력은 물론, 감지면에 근접한 입력 역시 감지할 수도 있다.
제2 기능층(FL2)은 외광 반사를 차단하는 반사방지층일 수 있다. 반사방지층(FL2)은 가상 영상 표시장치(DD2)의 전면을 통해 입사되는 외광에 의해 표시패널(DP)을 구성하는 소자들이 외부에서 시인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반사방지층(FL2)은 편광층 및/또는 위상지연층을 포함할 수 있다. 반사방지층의 동작 원리에 따라 위상지연층의 개수와 위상지연층의 위상지연 길이(λ/4 또는 λ/2)가 결정될 수 있다.
기능층의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기능층은 제1 및 제2 기능층(FL1, FL2) 이외에도 다른 기능층을 추가로 포함하거나, 기능층은 제1 및 제2 기능층(FL1, FL2) 중 어느 하나의 기능층만을 포함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다시점층(MLA)은 봉지기판(CP) 상에 배치된다. 다시점층(MLA)은 평탄층(PL) 및 평탄층(PL)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된 렌즈층을 포함한다. 렌즈층은 복수의 렌즈(LS)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렌즈(LS)는 평탄층(PL) 상에서 서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렌즈들(LS) 각각은 화소 영역(PA) 중 발광 영역(PXA)에 대응하여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렌즈들(LS) 각각은 발광 영역(PXA)과 중첩할 수 있다. 평탄층(PL)은 화소 영역(PA)의 발광 영역(PXA) 및 비발광 영역(NPXA)을 전체적으로 커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예로, 다시점층(MLA)에서 평탄층(PL)이 생략되고, 복수의 렌즈들(LS)이 직접 봉지기판(CP)의 상면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렌즈들(LS) 각각은 평탄층(PL)의 상면 또는 봉지 기판(CP)의 상면으로부터 볼록하게 돌출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복수의 렌즈들(LS) 각각은 반구형으로 돌출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가상 영상 표시장치(DD2)는 다시점층(MLA) 상에 배치된 윈도우(WM) 및 윈도우(WM)와 다시점층(MLA) 사이에 배치된 접착층(AL)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접착층(AL)은 윈도우(WM)와 봉지기판(CP)을 결합시킨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영상 표시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영상 표시장치(DD3)은 윈도우(WM)와 다시점층(MLA) 사이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기능층(FL) 및 적어도 하나의 보호층(PTL)을 포함할 수 있다.
기능층(FL)은 사용자의 입력(예를 들어, 터치 동작 등)을 감지하는 입력 감지층 및 외부광의 반사를 방지하는 반사 방지층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보호층(PTL)은 외부에서 인가되는 충격을 흡수하여 표시패널(DP)을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층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로, 기능층(FL)은 다시점층(MLA) 상에 배치되고, 기능층(FL) 위로 보호층(PTL)이 배치될 수 있다.
가상 영상 표시장치(DD3)는 제1 내지 제3 접착층(AL1, AL2, AL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접착층(AL1)은 기능층(FL)과 다시점층(MLA) 사이에 개재되어 기능층(FL)과 다시점층(MLA)을 결합시킬 수 있다. 제2 접착층(AL2)은 기능층(FL)과 보호층(PTL) 사이에 개재되어 이들을 결합시키고, 제3 접착층(AL3)은 보호층(PTL)과 윈도우(WM) 사이에 개재되어 윈도우(WM)와 보호층(PTL)을 결합시킬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패널의 평면도이고,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Ⅱ 영역의 화소들과 렌즈들의 배치 관계를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다시점층을 통과한 후의 영상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표시패널(DP)은 제1 화소 그룹들(PG1) 및 제2 화소 그룹들(PG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화소 그룹들(PG1)과 제2 화소 그룹들(PG2)은 제1 방향(DR1)을 따라 서로 교대로 반복하여 배열될 수 있다.
제1 화소 그룹들(PG1)은 복수의 제1 화소들(PX1)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제1 화소들(PX1)은 제2 방향(DR2)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제2 화소 그룹들(PG2)은 복수의 제2 화소들(PX2) 및 복수의 제3 화소들(PX3)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화소들(PX2) 및 제3 화소들(PX3)은 서로 교대로 반복되며 제2 방향(DR2)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3 화소들(PX1, PX2, PX3) 사이에는 비화소 영역(NPA)이 정의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한 제1 내지 제3 화소들(PX1, PX2, PX3)의 배열 구조는 하나의 예시로 도시한 것일 뿐,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제1 화소(PX1), 제2 화소(PX2), 및 제3 화소(PX3)가 제2 방향(DR2)을 따라 번갈아 배치되는 스트라이프 형태로 배열될 수도 있다. 또한, 제1 내지 제3 화소들(PX1, PX2, PX3) 각각이 사각 형상을 갖는 것을 예시적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제1 내지 제3 화소들(PX1, PX2, PX3) 각각의 형상은 다각형, 원형, 타원형 등으로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다른 일 예로, 제1 내지 제3 화소(PX1, PX2, PX3)의 형상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즉, 제1 화소(PX1)는 원 형상을 갖고, 제2 및 제3 화소(PX2, PX3)는 사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도 9에서는 제1 화소들(PX1)의 사이즈가 제2 화소들(PX2) 및 제3 화소들(PX3)의 사이즈보다 작은 것을 예시적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제1 내지 제3 화소들(PX1, PX2, PX3)은 서로 동일한 사이즈를 가질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예로, 제1 화소들(PX1)은 녹색의 화소이고, 제2 화소들(PX2)은 청색의 화소이고, 제3 화소들(PX3)은 적색의 화소일 수 있다. 하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가상 영상 표시장치(DD)가 5 시점 영상을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된 다시점층(MLA1)을 포함한다.
다시점층(MLA1)은 제1 화소 그룹(PG1)에 대응하여 배치된 제1 렌즈 그룹(LG1) 및 제2 화소 그룹(PG2)에 대응하여 배치된 제2 렌즈 그룹(LG2)을 포함한다. 제1 렌즈 그룹(LG1)은 제1 화소들(PX1)에 각각 대응하여 배치되는 제1 렌즈들(LS1)을 포함하고, 제2 렌즈 그룹(LG2)은 제2 화소들(PX2)에 각각 대응하여 배치되는 제2 렌즈들(LS2) 및 제3 화소들(PX3)에 각각 대응하여 배치되는 제3 렌즈들(LS3)을 포함한다.
제1 및 제2 렌즈 그룹들(LG1, LG2)은 제1 방향(DR1)으로 서로 교대로 반복되어 배치되고, 제2 렌즈들(LS2) 및 제3 렌즈들(LS3)은 제2 방향(DR2)으로 서로 교대로 반복되어 배치된다. 제1 내지 제3 렌즈들(LS1~LS3) 각각은 평면에서 봤을 때 원 형상을 갖는다.
도 10에서는 제1 내지 제3 렌즈(LS1~LS3)의 사이즈가 서로 동일한 것을 예시적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데, 제1 렌즈(LS1)의 사이즈는 제2 및 제3 렌즈(LS2, LS3)의 사이즈보다 작을 수 있다. 즉, 렌즈들(LS1~LS3) 각각은 대응하는 화소의 사이즈가 따라 다른 사이즈를 가질 수 있다.
가상 영상 표시장치(DD)에서 다시점층(MLA1)은 표시패널(DP)로부터 출력된 영상을 확대한다. 이 경우, 다시점층(MLA1)의 각 렌즈(LS1~LS3)는 화소 영역(PA)에 대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화소 영역(PA)이 렌즈(LS1~LS3)에 의해 확대되고, 비화소 영역(NPA)은 다시점층(MLA1)에 의해 확대되지 않는다. 따라서, 비화소 영역(NPA)이 확대되어 사용자에게 시인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그 결과 가상 영상 표시장치(DD)의 표시 품질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시점층(MLA1)의 렌즈들(LS1~LS3)은 5 시점 영상을 제공하기 위해 복수의 시점 유닛(VU5)으로 그룹핑될 수 있다. 각 시점 유닛(VU5)은 5개의 렌즈(RLS, PLS1~PLS4)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예로, 각 시점 유닛(VU5)은 기준 화소(RPX)에 대응하는 기준 렌즈(RLS) 및 기준 화소(RPX)의 주변 화소(PPX1~PPX4)에 대응하는 주변 렌즈(PLS1~PLS4)를 포함한다. 예컨데, 기준 화소(RPX)는 제1 화소(PX1)이고, 주변 화소(PPX1~PPX4)는 제1 화소(PX1)의 주변에 배치된 두 개의 제2 화소(PX2) 및 두 개의 제3 화소(PX3)를 포함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4개의 주변 화소를 제1 내지 제4 주변 화소(PPX1~PPX4)로 지칭하고, 4개의 주변 렌즈를 제1 내지 제4 주변 렌즈(PLS1~PLS4)로 지칭한다.
기준 화소(RPX)의 중점(C1)은 기준 렌즈(RLS)의 중점(C1)과 일치할 수 있다. 기준 렌즈(RLS)의 중점(C1)을 기준으로 제1 내지 제4 주변 렌즈(PLS1~PLS4) 각각의 중점(C2)은 제1 간격(d5)으로 이격될 수 있다. 기준 화소(RPX)의 중점(C1)을 기준으로 제1 내지 제4 주변 화소(PPX1~PPX4) 각각의 중점(C3)은 제2 간격(d6)으로 이격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간격(d6)은 제1 간격(d5)보다 클 수 있다. 즉, 제1 내지 제4 주변 화소(PPX1~PPX4) 각각의 중점(C3)은 제1 내지 제4 주변 렌즈(PLS1~PLS4) 각각의 중점(C2)과 매칭되지 않는다. 따라서, 제1 내지 제4 주변 화소(PPX1~PPX4)로부터 출력된 영상들은 대응하는 주변 렌즈로부터 굴절되어 기준 화소(RPX)로부터 출력된 영상과 한 지점에 포커싱될 수 있다. 이에, 상기 시점 유닛(VU5)에 의해 5개의 시점 영상(VIM1~VIM5)을 표현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패널의 평면도이고,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Ⅲ 영역의 화소들과 렌즈들의 배치 관계를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다시점층을 통과한 후의 영상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가상 영상 표시장치(DD)가 9 시점 영상을 제공할 수 있는 다시점층(MLA2)을 포함한다.
다시점층(MLA2)의 렌즈들은 9 시점 영상을 제공하기 위해 복수의 시점 유닛(VU9)으로 그룹핑될 수 있다. 각 시점 유닛(VU9)은 9개의 렌즈(RLS, PLS1~PLS8)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예로, 각 시점 유닛(VU9)은 기준 화소(RPX)에 대응하는 기준 렌즈(RLS) 및 기준 화소(RPX)의 주변 화소(PPX1~PPX8)에 대응하는 주변 렌즈(PLS1~PLS8)를 포함한다. 예컨데, 기준 화소(RPX)는 제1 화소(PX1)이고, 주변 화소(PPX1~PPX8)는 제1 화소(PX1)의 주변에 배치된 네 개의 제1 화소(PX1), 두 개의 제2 화소(PX2) 및 두 개의 제3 화소(PX3)를 포함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8개의 주변 화소를 제1 내지 제8 주변 화소(PPX1~PPX8)로 지칭하고, 8개의 주변 렌즈를 제1 내지 제8 주변 렌즈(PLS1~PLS8)로 지칭한다.
기준 화소(RPX)의 중점(C1)은 기준 렌즈(RLS)의 중점(C1)과 일치할 수 있다. 제2, 제4, 제5 및 제7 주변 렌즈(PLS2, PLS4, PLS5, PLS7)는 기준 렌즈(RLS)를 기준으로 상하 방향(즉, 제1 방향(DR1)) 및 좌우 방향(즉, 제2 방향(DR2))에 각각 위치할 수 있다. 제1, 제3, 제6 및 제8 주변 렌즈(PLS1, PLS3, PLS6, PLS8)는 기준 렌즈(RLS)를 기준으로 대각선 방향에 각각 위치할 수 있다. 여기서, 대각선 방향은 제1 및 제2 방향(DR1, DR2)에 대해 기울어진 방향, 구체적으로 제1 및 제2 방향(DR1, DR2)에 대해 45°기울어진 방향으로 정의될 수 있다.
제1, 제3, 제6 및 제8 주변 렌즈(PLS1, PLS3, PLS6, PLS8) 각각의 중점(C2)은 기준 렌즈(RLS)의 중점(C1)과 제1 간격(d5)으로 이격될 수 있다. 제2, 제4, 제5 및 제7 주변 렌즈(PLS2, PLS4, PLS5, PLS7) 각각의 중점(C4)은 상기 기준 렌즈(RLS)의 중점(C1)과 제3 간격(d7)으로 이격될 수 있다.
제1, 제3, 제6 및 제8 주변 화소(PPX1, PPX3, PPX6, PPX8)는 기준 화소(RPX)를 기준으로 대각선 방향에 각각 위치하고, 제2, 제4, 제5 및 제7 주변 화소(PPX2, PPX4, PPX5, PPX7)는 기준 화소(RPX)를 기준으로 상하 및 좌우 방향(DR1, DR2)에 각각 위치할 수 있다. 제1, 제3, 제6 및 제8 주변 화소(PPX1, PPX3, PPX6, PPX8) 각각의 중점(C3)은 기준 화소(RPX)의 중점(C1)과 제2 간격(d6)으로 이격되고, 제2, 제4, 제5 및 제7 주변 화소(PPX2, PPX4, PPX5, PPX7) 각각의 중점(C5)은 상기 기준 화소의 중점(C5)과 제4 간격(d8)으로 이격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간격(d6)은 제1 간격(d5)보다 크고, 제4 간격(d8)은 제3 간격(d7)보다 클 수 있다. 제1 내지 제8 주변 화소(PPX1~PPX8) 각각의 중점은 제1 내지 제8 주변 렌즈(PLS1~PLS8) 각각의 중점과 매칭되지 않는다. 따라서, 제1 내지 제8 주변 화소(PPX1~PPX8)로부터 출력된 영상들은 대응하는 주변 렌즈로부터 굴절되어 기준 화소(RPX)로부터 출력된 영상과 한 지점에 포커싱될 수 있다. 이에, 상기 시점 유닛(VU9)에 의해 9개의 시점 영상(VIM1~VIM9)을 표현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영상 표시장치를 포함하는 헤드 마운트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15를 참조하면, 헤드 마운트 장치(HMD)는 사용자(US)의 머리에 착용되는 장치이다. 헤드 마운트 장치(HMD)는 사용자(US)의 실제 주변 시야를 차단한 상태에서 가상 영상 표시장치(DD)를 통해 사용자(US)에게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헤드 마운트 장치(HMD)를 착용한 사용자(US)는 가상 영상 표시장치(DD)를 통해 가상 현실로의 몰입이 보다 용이할 수 있다.
가상 영상 표시장치(DD)는 영상을 표시하고, 터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상 영상 표시장치(DD)는 스마트폰(smart phone), 태블릿 PC(tablet personal computer), 이동 전화기(mobile phone), 전자북 리더기(e-book reader), 노트북(note book), PDS(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P3 플레이어, 모바일 의료기기, 카메라, 또는 웨어러블 표시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헤드 마운트 장치(HMD)는 프레임(100, frame), 착용부(200, support member), 및 쿠션부(300, cushion member)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100)은 사용자(US)의 머리에 착용될 수 있다. 프레임(100) 내에는 안착 공간이 제공되고, 안착 공간에 가상 영상 표시장치(DD)가 장착될 수 있다. 다른 일 예로, 가상 영상 표시장치(DD)는 프레임(100)에 장착된 상태에서 외부에 일부 노출될 수 있다. 사용자(US)는 노출된 가상 영상 표시장치(DD)의 일부를 이용하여 헤드 마운트 장치(HMD)를 제어할 수 있다.
가상 영상 표시장치(DD)는 표시패널(DP) 상에 형성된 다시점층(MLA)을 구비한다. 따라서, 가상 영상 표시장치(DD)는 표시패널(DP)로부터 출력된 영상을 확대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헤드 마운트 장치(HMD)는 가상 영상 표시장치(DD) 이외에 가상 영상 표시장치(DD)로부터 출력된 영상을 확대시키기 위한 별도의 렌즈 모듈을 구비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헤드 마운트 장치(HMD)의 전체적인 두께를 감소시킬 수 있다.
헤드 마운트 장치(HMD)는 가상 영상 표시장치(DD)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프레임(100)은 내부에 커넥터를 포함하고, 가상 영상 표시장치(DD)가 프레임(100)에 장착되었을 때, 커넥터는 가상 영상 표시장치(DD)의 입력단자에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헤드 마운트 장치(HMD)와 가상 영상 표시장치(DD)는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하여 무선으로 신호를 주고 받을 수 있다. 이때, 프레임(100)과 가상 영상 표시장치(DD) 각각은 통신 모듈을 내장할 수 있다.
프레임(100) 내부에는 다양한 기능을 갖는 부품들이 수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레임(100) 내부에는 가속도 센서(미도시)가 수납될 수 있다. 가속도 센서는 사용자(US)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가상 영상 표시장치(DD)로 소정의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상 영상 표시장치(DD)는 사용자(US)의 시선 변화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사용자(US)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프레임(100) 내부에는 근접 센서(미도시)가 수납될 수 있다. 근접 센서는 사용자(US)가 헤드 마운트 장치(HMD)를 착용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착용부(200)는 프레임(100)과 결합하여, 프레임(100)이 사용자(US)에게 용이하게 착용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착용부(200)는 메인 스트랩(210) 및 상단 스트랩(220)을 포함할 수 있다.
메인 스트랩(210)은 사용자(US)의 머리의 둘레를 따라 착용될 수 있다. 메인 스트랩(210)은 프레임(100)이 사용자(US)의 머리에 밀착될 수 있도록 프레임(100)을 사용자(US)에 고정시킬 수 있다. 상단 스트랩(220)은 사용자(US)의 머리 윗부분을 따라 프레임(100)과 메인 스트랩(210)을 연결할 수 있다. 상단 스트랩(220)은 프레임(100)이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단 스트랩(220)은 프레임(100)의 하중을 분산시켜 사용자(US)의 착용감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에서는 메인 스트랩(210)과 상단 스트랩(220)이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형태를 예시적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다른 실시예에서는 메인 스트랩(210)과 상단 스트랩(220)이 탄성을 갖고, 길이 조절할 수 있는 부분이 생략 될 수 있다.
프레임(100)을 사용자(US)에게 고정할 수 있다면, 착용부(200)는 도 1 및 도 2 에 개시된 형태 외에도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단 스트랩(220)은 생략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착용부(200)는 프레임(100)과 결합된 헬멧, 또는 프레임(100)과 결합된 안경 다리 등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쿠션부(300)는 프레임(100)과 사용자(US)의 머리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쿠션부(300)는 그 형상의 변형이 자유로운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쿠션부(300)는 고분자 수지(예를 들어, 폴리우레탄(polyurethane),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및 폴리에틸렌(polyethylene))로 형성되거나, 고무액, 우레탄 계열 물질, 또는 아크릴 계열 물질을 발포 성형한 스폰지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쿠션부(300)는 프레임(100)이 사용자(US)에게 밀착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US)의 착용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쿠션부(300)는 프레임(100)으로부터 탈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쿠션부(300)는 생략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DD: 가상 영상 표시장치 DP: 표시패널
MLA: 다시점층 WM: 윈도우
LS: 복수의 렌즈 PX: 복수의 화소
AL: 접착층 TFE: 박막 봉지층
PA: 화소 영역 PXA: 발광 영역
NPXZ: 비발광 영역 PL: 평탄층
CP: 봉지기판 SM: 실링층
HMD: 헤드 마운트 장치 100: 프레임
200: 착용부

Claims (20)

  1. 복수의 화소를 갖고,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패널;
    상기 표시패널 상에 배치되는 윈도우; 및
    상기 표시패널과 상기 윈도우 사이에 구비되고, 복수의 렌즈를 갖는 다시점층을 포함하는 가상 영상 표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패널은,
    상기 복수의 화소가 각각 배치되는 복수의 화소 영역 및 상기 화소 영역들 사이에 위치하는 비화소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렌즈는 상기 복수의 화소 영역에 각각 대응하여 배치되는 가상 영상 표시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화소 영역 각각은,
    상기 발광 영역; 및
    상기 발광 영역에 인접한 비발광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렌즈 각각은 대응하는 화소의 상기 발광 영역에 배치되는 가상 영상 표시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화소는,
    상기 발광 영역에 대응하여 배치되는 발광층을 포함하는 유기 발광 소자를 포함하는 가상 영상 표시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패널은,
    상기 복수의 화소를 커버하는 박막 봉지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다시점층은 상기 박막 봉지층의 상면에 배치되는 가상 영상 표시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서로 대응하는 렌즈와 화소 사이의 거리는,
    10㎛ 내지 450㎛인 가상 영상 표시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렌즈 각각은,
    1㎛ 내지 20㎛의 높이를 갖는 가상 영상 표시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렌즈 각각은,
    상기 화소들 각각의 사이즈보다 작은 피치를 갖는 가상 영상 표시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렌즈 각각은,
    5 내지 20의 곡률 반경을 갖는 가상 영상 표시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시점층은 복수의 시점 유닛을 포함하고,
    각 시점 유닛은 상기 복수의 렌즈들 중 N 개의 렌즈를 포함하는 가상 영상 표시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N 개의 렌즈는 기준 렌즈 및 N-1개의 주변 렌즈를 포함하고,
    상기 기준 렌즈의 중점 및 상기 기준 렌즈에 대응하는 기준 화소의 중점은 일치하는 가상 영상 표시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N-1개의 주변 렌즈 각각의 중점은 N-1개의 주변 렌즈에 각각 대응하는 주변 화소들 각각의 중점과 다른 위치에 배치되는 가상 영상 표시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시점층과 상기 윈도우 사이에 개재된 접착층을 더 포함하는 가상 형상 표시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시점층과 상기 윈도우 사이에 기능층 및 보호층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가상 영상 표시장치.
  15. 복수의 화소를 갖고,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패널; 및
    상기 표시패널 상에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화소와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렌즈를 갖는 다시점층을 포함하며,
    상기 표시패널은 상기 복수의 화소가 각각 배치되는 복수의 화소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화소 영역 각각은,
    상기 발광 영역; 및
    상기 발광 영역에 인접한 비발광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렌즈 각각은 대응하는 화소의 상기 발광 영역에 배치되는 가상 영상 표시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패널은,
    상기 복수의 화소를 커버하는 박막 봉지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다시점층은 상기 박막 봉지층의 상면에 배치되는 가상 영상 표시장치.
  17. 제15항에 있어서, 서로 대응하는 렌즈와 화소 사이의 거리는,
    10㎛ 내지 450㎛인 가상 영상 표시장치.
  18. 복수의 화소를 갖고,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패널 및 상기 표시패널 상에 배치되고, 복수의 렌즈를 갖는 다시점층을 포함하는 가상 영상 표시장치;
    상기 가상 영상 표시장치가 안착되는 안착 공간이 제공되는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에 연결되고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되는 착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의 눈과 상기 가상 영상 표시장치가 35mm 이하인 헤드 마운트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패널은,
    상기 복수의 화소를 커버하는 박막 봉지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다시점층은 상기 박막 봉지층의 상면에 배치되는 헤드 마운트 장치.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렌즈는 상기 복수의 화소에 각각 대응하고,
    서로 대응하는 렌즈와 화소 사이의 거리는,
    10㎛ 내지 450㎛인 헤드 마운트 장치.
KR1020190028411A 2019-03-12 2019-03-12 가상 영상 표시장치 및 헤드 마운트 장치 KR20200109438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8411A KR20200109438A (ko) 2019-03-12 2019-03-12 가상 영상 표시장치 및 헤드 마운트 장치
US16/802,540 US11515509B2 (en) 2019-03-12 2020-02-26 Virtual image display device and head-mounted device
CN202010156031.1A CN111694154A (zh) 2019-03-12 2020-03-09 虚拟图像显示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8411A KR20200109438A (ko) 2019-03-12 2019-03-12 가상 영상 표시장치 및 헤드 마운트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9438A true KR20200109438A (ko) 2020-09-23

Family

ID=724234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8411A KR20200109438A (ko) 2019-03-12 2019-03-12 가상 영상 표시장치 및 헤드 마운트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515509B2 (ko)
KR (1) KR20200109438A (ko)
CN (1) CN111694154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910769B (zh) * 2019-11-29 2022-04-08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虚拟显示装置及其制备方法、控制方法
CN111384297A (zh) * 2020-03-19 2020-07-07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Oled显示面板及显示装置
US11956994B2 (en) * 2020-08-20 2024-04-09 Applied Materials, Inc. OLED light field architectures
CN112510073B (zh) * 2020-12-15 2023-02-03 云谷(固安)科技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及显示装置
KR20220094849A (ko) * 2020-12-29 2022-07-0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이형 렌즈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CN114442359A (zh) * 2022-01-21 2022-05-06 惠州Tcl移动通信有限公司 像素排布结构和显示装置
US20230254475A1 (en) * 2022-02-04 2023-08-10 Meta Platforms, Inc. Color tuned optical modules with color calibration operations
CN115696965A (zh) * 2022-11-14 2023-02-03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显示面板及显示装置
WO2024116879A1 (ja) * 2022-11-30 2024-06-06 ソニーセミコンダクタ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発光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電子機器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21656A1 (ja) * 2010-03-31 2011-10-06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表示パネル装置及び表示パネル装置の製造方法
JP6221480B2 (ja) * 2013-08-07 2017-11-0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気光学装置、電気光学装置の製造方法、および電子機器
KR20150019325A (ko) * 2013-08-13 2015-02-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20809B1 (ko) * 2013-10-15 2020-06-09 삼성전자주식회사 광학필름의 이미지 블러 평가 방법 및 이미지 블러가 감소된 광학 필름
US10139669B2 (en) * 2014-10-15 2018-11-27 Seiko Epson Corporation Electro-optical device and electronic instrument
KR20160087463A (ko) 2015-01-13 2016-07-2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다시점 영상 표시 장치
KR20180013591A (ko) 2016-07-29 2018-02-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가상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장치
KR20180029177A (ko) * 2016-09-09 2018-03-2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모듈 및 헤드 장착 표시장치
CN108107572B (zh) * 2016-11-25 2020-07-14 中强光电股份有限公司 近眼显示装置
US10983388B2 (en) * 2017-03-15 2021-04-20 L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KR102413218B1 (ko) 2017-03-22 2022-06-2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장치
KR102449093B1 (ko) * 2017-03-24 2022-09-2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07529055A (zh) * 2017-08-24 2017-12-29 歌尔股份有限公司 显示屏、头戴显示设备及其显示控制方法和装置
KR20200042582A (ko) 2018-10-15 2020-04-2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00295308A1 (en) 2020-09-17
US11515509B2 (en) 2022-11-29
CN111694154A (zh) 2020-09-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109438A (ko) 가상 영상 표시장치 및 헤드 마운트 장치
JP7156808B2 (ja) 入力検知ユニットを備える表示装置
EP3174100B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head-mounted display including the same
US11043656B2 (en) Display device incorporating a scattering pattern
US11611057B2 (en) Display device
US11056546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display device
KR102650669B1 (ko) 표시 장치
KR102603232B1 (ko) 표시장치
US8300315B2 (en) Head-mounted display
JP7258520B2 (ja) 表示装置
US11747926B2 (en) Display apparatus with black matrix
US20180180888A1 (en) Display module and head-mounte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US20200328382A1 (en) Display device
US20240147760A1 (en) Display panel and electronic apparatus
US20220121301A1 (en) Display device
US11476446B2 (en)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230025562A (ko) 표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센싱 시스템
CN112510073A (zh) 一种显示面板及显示装置
US20240032405A1 (en)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same
KR20220097681A (ko) 표시장치
KR20210107220A (ko) 증강현실 표시장치
CN111129337A (zh) 显示装置
US20220336781A1 (en) Display device
EP4333600A2 (en) Display device
CN114899202A (zh) 一种显示面板和显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