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08714A - Inter connect board assembly and battery module including the same - Google Patents

Inter connect board assembly and battery module includ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08714A
KR20200108714A KR1020190027739A KR20190027739A KR20200108714A KR 20200108714 A KR20200108714 A KR 20200108714A KR 1020190027739 A KR1020190027739 A KR 1020190027739A KR 20190027739 A KR20190027739 A KR 20190027739A KR 20200108714 A KR20200108714 A KR 202001087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 bar
seating
board assembly
busbar
seating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773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안혁
백소영
박정훈
정규빈
김병룡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900277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08714A/en
Publication of KR202001087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8714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1M2/206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H01M10/482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for several batteries or cells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 H01M2/1077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The embodiment provides an interconnection board assembly, which is an interconnection board assembly which connects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constituting a battery module and senses information. The interconnection board assembly comprises: a bus ba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plurality of battery cells; a printed circuit boar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bus bar to sense electrical or thermal information of the plurality of battery cells; a bus bar seating unit having a seating surface on which the bus bar is placed; and an insulating frame including an opposing support portion having a support surface in a direction opposite to a seating surface on at least one end of the bus bar seating unit. The bus bar may be seated and fixed on the seating surface while a first end part is constrained to the opposing support portion.

Description

상호 연결 보드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한 전지 모듈{INTER CONNECT BOARD ASSEMBLY AND BATTERY MODULE INCLUDING THE SAME}Interconnect board assembly and battery module including the same {INTER CONNECT BOARD ASSEMBLY AND BATTERY MODULE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전지 모듈의 상호 연결 보드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전지 셀의 전극단자들 간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상호 연결 보드 조립체와 이를 포함한 전지 모듈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terconnection board assembly of a battery module, and to an interconnection board assembly for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electrode terminals of a battery cell and a battery module including the same.

이차 전지는 제품군에 따른 적용 용이성이 높고, 높은 에너지 밀도 등의 전기적 특성을 가지기 때문에, 휴대용 기기뿐만 아니라 전기적 구동원에 의해 구동하는 전기 자동차 또는 하이브리드 자동차, 전력 저장 장치 등에 보편적으로 응용되고 있다. 이러한 이차 전지는 화석 연료의 사용을 획기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는 일차적인 장점뿐만 아니라 에너지의 사용에 따른 부산물이 전혀 발생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친환경 및 에너지 효율성 제고를 위한 새로운 에너지원으로 주목 받고 있다.Since secondary batteries are highly applicable according to product groups and have electrical characteristics such as high energy density, they are commonly applied to electric vehicles or hybrid vehicles driven by electric drive sources, power storage devices, as well as portable devices. Such a secondary battery is attracting attention as a new energy source for eco-friendly and energy efficiency enhancement in that it does not generate by-products from the use of energy as well as the primary advantage that it can dramatically reduce the use of fossil fuels.

상기 전기 자동차 등에 적용되는 전지 팩은 고출력을 얻기 위해 복수의 단위 셀을 포함하는 다수의 셀 조립체를 직렬로 연결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상기 단위 셀은 양극 및 음극 집전체, 세퍼레이터, 활물질, 전해액 등을 포함하여 구성 요소들 간의 전기 화학적 반응에 의하여 반복적인 충방전이 가능하다.The battery pack applied to the electric vehicle or the like has a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cell assemblies including a plurality of unit cells are connected in series in order to obtain high output. In addition, the unit cell may be repeatedly charged and discharged by an electrochemical reaction between constituent elements including a positive electrode and a nega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a separator, an active material, and an electrolyte.

최근에는 생성된 전기를 저장해 두었다가 필요한 시점에 안정적으로 전력계통에 다시 전기를 공급해주는 전력 저장장치에 관한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전력 저장장치는 전력 수요가 적을 때 에너지를 저장하고, 과부하가 걸리는 등의 비상시에는 전력을 공급하는 장치로서, 전력 품질 및 에너지 사용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특히 가정용 전력 저장장치 및 산업용 또는 상업용 중형 전력 저장장치는 스마트 그리드(Smart Grid) 기술과 결부되어 시장규모가 급성장 하고 있다.Recently, a technology related to a power storage device that stores generated electricity and then stably supplies electricity to the power system at the time of need has been developed. Such a power storage device stores energy when the power demand is low, and supplies power in an emergency such as an overload, and has an advantage of improving power quality and energy use efficiency. In particular, household power storage devices and industrial or commercial medium-sized power storage devices are rapidly growing in market size as they are linked with Smart Grid technology.

한편, 근래 에너지 저장원으로서의 활용을 비롯하여 대용량 구조에 대한 필요성이 높아지면서 다수의 이차 전지가 직렬 및/또는 병렬로 연결된 다수의 전지 모듈을 집합시킨 멀티 모듈 구조의 전지팩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Meanwhile, as the need for a large-capacity structure, including use as an energy storage source, is increasing in recent years, the demand for a multi-module structure battery pack in which a number of secondary batteries are connected in series and/or in parallel is increasing. .

복수개의 전지 셀을 직렬/병렬로 연결하여 전지 팩을 구성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전지 셀로 이루어지는 전지 모듈을 먼저 구성하고, 이러한 적어도 하나의 전지 모듈을 이용하여 기타 구성 요소를 추가하여 전지 팩을 구성하는 방법이 일반적이다. 상기 전지 팩에 포함되는 전지 모듈의 개수, 또는 전지 모듈에 포함되는 전지 셀의 개수는 요구되는 출력 전압 또는 충방전 용량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When configuring a battery pack by connecting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in series/parallel, first construct a battery module consisting of at least one battery cell, and then construct a battery pack by adding other components using at least one battery module. How to do it is common. The number of battery modules included in the battery pack or the number of battery cells included in the battery module may be variously set according to a required output voltage or charge/discharge capacity.

전지 모듈에서 전지셀들을 상호 연결하기 위하여 채용되는 상호 연결 보드(Inter Connect Board, ICB)는 버스바와 이를 수용하는 절연성 사출물의 복합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절연성 사출물에 버스바를 고정하는 방법에 따라 조립 시에 과도한 힘이 가해져야 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 때 조립성이 떨어져 버스바가 변형되거나 체결이 제대로 되지 않아 사출물로부터 이탈될 우려가 있다.An Inter Connect Board (ICB) used to interconnect battery cells in a battery module may be formed of a composite structure of a bus bar and an insulating molded material accommodating the same. Depending on the method of fixing the busbar to the insulating molded object, there is a case that excessive force must be applied during assembly. In this case, the assembling property is poor, and the busbar is deformed or the fastening is not properly made, so there is a risk of separation from the molded object.

따라서 상호 연결 보드에서 버스바와 이를 수용하는 사출물 간의 견고한 결합구조가 요구되는 상황이다.Therefore, in the interconnection board, a rigid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the busbar and the molded object receiving it is required.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버스바를 조립할 때 틸트(tilt) 방식으로 기울여 조립하도록 절연 프레임 구조를 설계하여 버스바의 조립성을 향상시킨 상호 연결 보드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nterconnection board assembly in which the assembling property of the bus bar is improved by designing an insulating frame structure so as to assemble the bus bar by tilting it when assembling the bus bar.

또한 틸트 방식으로 버스바를 조립한 상호 연결 보드 조립체를 셀 조립체를 수용하고 있는 모듈 케이스에 체결한 전지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In addition, it is to provide a battery module in which an interconnection board assembly in which a bus bar is assembled in a tilt manner is fastened to a module case accommodating a cell assembly.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술한 과제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에서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다.However, the problems to be solved by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d may be variously expanded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호 연결 보드 조립체는, 전지 모듈을 구성하는 복수의 전지셀들을 연결하며 정보를 센싱하는 상호 연결 보드 조립체로서, 상기 복수의 전지셀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버스바, 상기 버스바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복수의 전지셀들의 전기적 또는 열적 정보를 센싱하는 인쇄 회로 기판, 상기 버스바가 놓여지는 안착면을 갖는 버스바 안착부와, 상기 버스바 안착부의 적어도 일측 단부에 상기 안착면에 대향하는 방향으로의 지지면을 갖는 대향 지지부를 포함하는 절연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버스바는 제1 단부가 상기 대향 지지부에 구속되면서 상기 안착면에 안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An interconnection board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interconnection board assembly that connects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constituting a battery module and senses information, the bus ba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plurality of battery cells, the A printed circuit board electrically connected to a busbar to sense electrical or thermal information of the plurality of battery cells, a busbar seat having a seating surface on which the busbar is placed, and the seating surface at at least one end of the busbar seating portion And an insulating frame including an opposite support portion having a support surface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bus bar, and the bus bar may be seated and fixed on the seating surface while a first end of the bus bar is constrained to the opposite support portion.

상기 대향 지지부는 상기 버스바 안착부의 안착면 가장자리 외측에서 상기 안착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이격되어 있을 수 있다.The opposing support portion may be spaced apart from an edge of the seating surface of the busbar seating portion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eating surface.

상기 버스바 안착부의 안착면에 수직한 방향에서 볼 때, 상기 대향 지지부의 지지면은 상기 버스바 안착부의 안착면과 중첩하지 않도록 위치할 수 있다.When viewed from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eating surface of the busbar seating portion, the support surface of the opposing support portion may be positioned so as not to overlap with the seating surface of the busbar seating portion.

상기 대향 지지부의 지지면 하방으로 상기 버스바 안착부의 안착면 가장자리 외측에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A space may be formed outside the edge of the seating surface of the bus bar seating portion below the support surface of the opposite support portion.

상기 대향 지지부는 상기 버스바의 제1 단부의 각 모서리를 구속하는 서로 이격된 한 쌍의 모서리 돌출단을 포함할 수 있다.The opposing support portion may include a pair of spaced apart corner protruding ends constraining each corner of the first end of the bus bar.

상기 대향 지지부는 상기 버스바의 제1 단부의 중앙부를 구속하는 중앙 돌출단을 포함할 수 있다.The opposing support portion may include a central protruding end for restraining a central portion of the first end of the bus bar.

상기 대향 지지부는 상기 버스바의 제1 단부를 구속하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단을 포함하고, 상기 대향 지지부의 돌출단은 상기 버스바 안착부를 향하는 모서리가 경사지게 모따기 되어 있을 수 있다.The opposing support por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protruding end for restraining the first end of the bus bar, and the protruding end of the opposing support portion may be chamfered so that an edge facing the bus bar seating portion is inclined.

상기 버스바는 상기 버스바 안착부에 안착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인쇄 회로 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속부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는 길이방향인 제1 방향을 따라 상기 버스바 안착부의 안착면 길이보다 더 길게 연장하여, 적어도 상기 대향 지지부의 지지면 하부까지 이를 수 있다.The bus bar includes a body portion seated on the bus bar seating portion, and a connection portion extending from the body portion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and the body portion is the bus bar along a first direction in a longitudinal direction. By extending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seating surface of the seating portion, it may reach at least to a lower portion of the support surface of the opposite support portion.

상기 버스바의 몸체부는 상기 제1 방향에 수직한 제2 방향으로 측정되는 폭이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균일할 수 있다.The width of the body portion of the busbar measured in a second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may be uniform along the first direction.

상기 접속부의 상기 제2 방향으로 측정되는 폭은 상기 몸체부의 상기 제2 방향으로 측정되는 폭보다 더 좁을 수 있다.A width of the connection part measured in the second direction may be narrower than a width measured in the second direction of the body part.

상기 몸체부는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전체적으로 평평할 수 있다. The body portion may be generally flat along the first direction.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지 모듈은, 상기 상호 연결 보드 조립체, 각각이 파우치형 이차 전지 구조를 가지며 전극 단자가 돌출된 복수의 전지셀을 포함하는 셀 조립체, 및 상기 셀 조립체를 수용하는 모듈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전지셀의 전극 단자는 상기 상호 연결 보드 조립체의 버스바와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A battery modu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ell assembly including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each having a pouch-type secondary battery structure and protruding electrode terminals, and a module accommodating the cell assembly Including a case, the electrode terminals of the plurality of battery cells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bus bar of the interconnection board assembly.

상기 상호 연결 보드 조립체는 상기 셀 조립체를 상부에서 덮으며 상기 모듈 케이스에 결합될 수 있다.The interconnection board assembly may cover the cell assembly from an upper portion and be coupled to the module case.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호 연결 보드 조립체를 조립하는 방법은, 상기 버스바를 기울여 상기 제1 단부를 상기 대향 지지부와 상기 버스바 안착부 사이로 삽입하는 단계, 상기 버스바의 제1 단부가 상기 대향 지지부의 지지면에 접촉하도록 상기 제1 단부의 반대쪽인 제2 단부를 눌러 상기 버스바를 상기 버스바 안착부에 안착시키는 단계, 및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을 상기 절연 프레임에 실장하면서 상기 버스바와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 method of assembling an interconnection board assembl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inclining the bus bar and inserting the first end between the opposing support part and the bus bar seating part, wherein the first end of the bus bar is Pressing a second end opposite to the first end so as to contact the support surface of the opposite support part to seat the bus bar on the bus bar seating unit, and mounting the printed circuit board on the insulating frame while electrically It may include the step of connecting.

상기 제2 단부를 누르는 단계는, 상기 버스바의 제1 단부가 상기 대향 지지부의 지지면에 접촉하는 동시에 상기 버스바의 몸체부가 상기 버스바 안착부의 안착면에 접촉하도록 누를 수 있다.In the pressing of the second end, the first end of the bus bar may be pressed so that the first end of the bus bar contacts the support surface of the opposing support part and the body part of the bus bar contact the seating surface of the bus bar seating part.

실시예에 따르면, 상호 연결 보드 조립체를 조립할 때에 버스바를 기울여 삽입한 후 눌러 절연 프레임에 고정시킴으로써 버스바의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when assembling the interconnection board assembly, the assembling property of the busbar may be improved by pressing the busbar in an inclined manner and then fixing it to the insulating frame.

또한 과도한 힘을 주어 조립하지 않아도 되므로 조립 불량의 발생을 최소화 할 수 있으므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since it is not necessary to assemble by applying excessive force, the occurrence of assembly failure can be minimized, thereby improving productivity.

아울러 버스바의 형상을 단순화할 수 있으므로 원가 절감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단순한 구조의 버스바를 채택함으로써 용접을 위한 버스바의 직선 거리를 최대로 확보할 수 있어 전극 단자들과의 용접성도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shape of the bus bar can be simplified, cost savings can be expected, and by adopting a simple bus bar, the straight line distance of the bus bar for welding can be maximized, thereby improving the weldability with electrode terminals. hav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지 모듈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호 연결 보드 조립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호 연결 보드 조립체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IV-IV 선을 따라 잘라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V-V 선을 따라 잘라서 나타낸 단면도로서, 버스바와 접한 버스바 안착부만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비교예에 따른 상호 연결 보드 조립체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7a 및 7b는 도 6의 VII-VII 선을 따라 잘라서 나타낸 단면도로서, 도 7a는 버스바와 버스바 안착부를 조립하기 전의 상태이고, 도 7b는 조립한 후의 상태이다.
도 8은 비교예에 따른 상호 연결 보드 조립체가 불량 조립된 경우의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attery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nterconnection board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artially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an interconnection board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V-IV of FIG. 3.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VV of FIG. 3 and schematically showing only a bus bar seating portion in contact with the bus bar.
6 is a plan view showing an interconnection board assembly according to a comparative example.
7A and 7B are cross-sectional views taken along the line VII-VII of FIG. 6, and FIG. 7A is a state before assembling the bus bar and the bus bar seating portion, and FIG. 7B is a state after the assembly.
8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when the interconnection board assembly according to the comparative example is poorly assembled.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Hereinafter,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may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In addition,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it means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further included rather than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지 모듈을 도시한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attery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전지 모듈(100)은 복수의 전지셀들이 각각 카트리지들에 고정된 상태로 적층되어 형성된 셀 조립체를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전지셀들은 각각 파우치형 이차 전지 구조를 가지며, 일측 또는 양측으로 전극 단자(108)가 돌출될 수 있다. 이러한 셀 조립체의 일측에는 전지셀들의 전기적 연결을 형성하면서 전지셀들의 열적 정보 및 전기적 정보를 센싱하기 위한 상호 연결 보드 조립체(Inter Connect Board Assembly, ICB Ass'y)(110)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셀 조립체는 모듈 케이스(103) 내에 수용될 수 있으며, 이 때 상호 연결 보드 조립체(110)는 상기 셀 조립체를 일측에서 덮으며 모듈 케이스(103)와 결합될 수 있다.The battery module 100 includes a cell assembly formed by stacking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in a state fixed to each cartridge. Each of the plurality of battery cells has a pouch-type secondary battery structure, and electrode terminals 108 may protrude toward one or both sides. One side of the cell assembly may be equipped with an Inter Connect Board Assembly (ICB Ass'y) 110 for sensing thermal information and electrical information of the battery cells while forming electrical connection of the battery cells. The cell assembly may be accommodated in the module case 103, in which case the interconnection board assembly 110 covers the cell assembly from one side and may be coupled to the module case 103.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호 연결 보드 조립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nterconnection board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상호 연결 보드 조립체(110)는 외관을 형성하도록 구성된 절연 프레임(115)을 포함하고, 절연 프레임(115)에는 버스바(150)와 인쇄 회로 기판(Printed Circuit Board, PCB)(180)이 수용될 수 있다. 버스바(150)는 복수의 전지셀들의 전극 단자(108; 도 1 참조)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상기 전지셀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인쇄 회로 기판(180)는 또한 버스바(1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복수의 전지셀들의 전기적 또는 열적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the interconnection board assembly 110 includes an insulating frame 115 configured to form an exterior, and the insulating frame 115 includes a bus bar 150 and a printed circuit board (PCB). 180 can be accommodated. The bus bar 15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lectrode terminals 108 (refer to FIG. 1) of the plurality of battery cells to electrically connect the battery cells. The printed circuit board 180 may als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bus bar 150 to sense electrical or thermal information of the plurality of battery cells.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호 연결 보드 조립체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IV-IV 선을 따라 잘라서 나타낸 단면도로서, 버스바를 기울여 조립하는 모습을 함께 나타내었다.3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rt of the interconnection board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cut along the line IV-IV of FIG. 3,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us bar is tilted and assembled. Indicated.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상호 연결 보드 조립체(110)에서 절연 프레임(115)은 버스바(150)가 놓여지는 버스바 안착부(120)와, 버스바 안착부(120)의 적어도 일측 단부에 위치하여 버스바(150)를 구속하는 대향 지지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in the interconnection board assembly 11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insulating frame 115 includes a bus bar seat 120 on which a bus bar 150 is placed and a bus bar seat 120. It may include an opposing support part 130 positioned at least at one end to constrain the bus bar 150.

도 4를 참조하면, 버스바 안착부(120)는 버스바(150)가 놓여지도록 안착면(120a)을 가지며, 대향 지지부(130)는 안착면(120a)에 대향하는 방향으로의 지지면(130a)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대향 지지부(130)는 버스바 안착부(120)의 안착면(120a) 가장자리 외측에서 안착면(120a)에 수직한 방향으로 이격되어 있다. 즉, 도 4에서 안착면(120a)은 양(+)의 z축 방향을 향하고, 지지면(130a)은 음(-)의 z축 방향을 향하고 있으며, 안착면(120a)과 지지면(130a)은 z축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그 사이에 버스바(150)가 삽입될 수 있다. 또한 버스바 안착부(120)의 안착면(120a)에 수직한 방향, 즉 z축 방향 상부에서 볼 때, 대향 지지부(130)의 지지면(130a)은 버스바 안착부(120)의 안착면(120a)과 중첩하지 않도록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대향 지지부(130)의 지지면(130a) 하방으로는 버스바 안착부(120)의 안착면(120a) 가장자리 외측에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the bus bar mounting portion 120 has a mounting surface 120a so that the bus bar 150 is placed, and the opposite supporting portion 130 is a supporting surface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mounting surface 120a ( 130a). In addition, the opposite support portion 130 is spaced apart from the outer edge of the seating surface 120a of the bus bar seating portion 120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eating surface 120a. That is, in FIG. 4, the seating surface 120a faces the positive (+) z-axis direction, the support surface 130a faces the negative (-) z-axis direction, and the seating surface 120a and the support surface 130a )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z-axis direction so that the bus bar 150 may be inserted therebetween. In addition, when viewed from the top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eating surface 120a of the busbar seating portion 120, that is, in the z-axis direction, the support surface 130a of the opposite support portion 130 is the seating surface of the busbar seating portion 120 It can be positioned so as not to overlap with (120a). In addition, a space may be formed outside the edge of the seating surface 120a of the busbar seating portion 120 below the support surface 130a of the opposite support portion 130.

버스바(150)는 길이 방향인 제1 방향(x축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하여 이루어지는데, 상기 제1 방향을 따라서 서로 반대쪽에 위치하는 제1 단부(154)와 제2 단부(155)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버스바(150)는 제1 단부(154)가 대향 지지부(130)에 구속되면서 안착면(120a)에 안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즉, 버스바(150)의 제1 단부(154)는 조립 시에 대향 지지부(130)의 지지면(130a) 하부의 안착면(120a) 가장자리 외측에 형성된 공간으로 삽입될 수 있다. 지지면(130a)은 안착면(120a)에 안착된 버스바(150)가 고정될 수 있도록 버스바(150)의 제1 단부(154)를 하방으로 눌러주게 된다.The bus bar 150 is formed by elongating along a first direction (x-axis direction), which is a longitudinal direction, and includes first and second ends 154 and 155 opposite to each other along the first direction. Include. In this embodiment, the bus bar 150 may be seated and fixed on the seating surface 120a while the first end 154 is constrained to the opposite support part 130. That is, the first end 154 of the bus bar 150 may be inserted into a space formed outside the edge of the seating surface 120a under the support surface 130a of the opposite support part 130 during assembly. The support surface 130a presses the first end 154 of the bus bar 150 downward so that the bus bar 150 seated on the seating surface 120a can be fixed.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대향 지지부(130)는 버스바(150)의 제1 단부(154)의 각 모서리를 구속하는 서로 이격된 한 쌍의 모서리 돌출단(132)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버스바(150)의 제1 단부(154)의 중앙부를 구속하는 중앙 돌출단(135)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대향 지지부(130)의 돌출단(132, 135)은 버스바 안착부(120)를 향하는 모서리가 경사지게 모따기 되어 있을 수 있다. 이로써 버스바(150)를 기울여 삽입할 때 대향 지지부(130)의 돌출단(132, 135)의 모서리가 버스바(150)의 표면을 긁어 손상시키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Meanwhile, as shown in FIG. 3,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opposite support part 130 is a pair of corner protruding ends 132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for restraining each corner of the first end 154 of the bus bar 150. It may include. In addition, it may include a central protruding end 135 for restraining the central portion of the first end 154 of the bus bar 150. In addition, as shown in FIG. 4,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protruding ends 132 and 135 of the opposing support part 130 may be chamfered so that the corners facing the bus bar seating part 120 are inclined. As a result, when the bus bar 150 is inserted at an inclined angle, the corners of the protruding ends 132 and 135 of the opposing support unit 130 may be prevented from scratching and damaging the surface of the bus bar 150.

다른 실시예로 대향 지지부가 서로 이격된 복수의 돌출단으로 구성되지 않고 단일의 지지턱이 구비될 수도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대향 지지부가 z축 방향 상부에서 볼 때 버스바 안착면과 일부분 중첩하도록 위치할 수도 있다.In another embodiment, the opposite support portion may not be composed of a plurality of protruding end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ut a single support jaw may be provided. In another embodiment, the opposing support portion may be positioned to partially overlap the busbar seating surface when viewed from the top in the z-axis direction.

버스바(150)는 버스바 안착부(120)에 안착되는 몸체부(152)와, 몸체부(152)로부터 연장되어 인쇄 회로 기판(18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속부(156)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부(152)는 제1 방향을 따라 버스바 안착부(120)의 안착면 길이보다 더 길게 연장하여, 적어도 대향 지지부(130)의 지지면(130a) 하부까지 이르도록 연장될 수 있다.The bus bar 150 may include a body portion 152 seated on the bus bar seat portion 120 and a connection portion 156 extending from the body portion 152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180. have. The body portion 152 may extend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seating surface of the bus bar seating portion 120 along the first direction, and extend to at least the lower portion of the support surface 130a of the opposite support portion 130.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스바(150)의 몸체부(152)는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측정되는 폭이 제1 방향(x축 방향)을 따라 균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버스바(150)의 접속부(156)는 제2 방향으로 측정되는 폭이 몸체부(152)의 제2 방향으로 측정되는 폭보다 더 좁게 이루어질 수 있다. As shown in FIG. 3, the body portion 152 of the bus bar 150 may have a width measured in the second direction (y-axis direction) uniformly along the first direction (x-axis direction). However, the width measured in the second direction of the connection portion 156 of the bus bar 150 may be narrower than the width measured in the second direction of the body portion 152.

또한 몸체부(152)는 제1 방향을 따라 전체적으로 평평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접속부(156)는 몸체부(152)로부터 연장되면서 대략 U자형으로 굽어져 인쇄 회로 기판(180)에 형성된 접속홈(180a)에 삽입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body portion 152 may be formed entirely flat along the first direction. The connection part 156 may be extended from the body part 152 and bent in a substantially U-shape to be inserted into the connection groove 180a formed in the printed circuit board 180.

도 5는 도 3의 V-V 선을 따라 잘라서 나타낸 단면도로서, 버스바와 접한 버스바 안착부만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V-V of FIG. 3, and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only a bus bar seating portion in contact with the bus bar.

버스바(150)의 몸체부(152)는 전체적으로 평평하게 이루어지므로, 버스바 안착부(120)도 전체적으로 평형하게 이루어지며 버스바 몸체부(152)와 동일한 폭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버스바 몸체부(152)의 평평한 면은 전지셀의 전극 단자와 용접하는 데 사용되는데, 버스바 몸체부(152)의 평평한 면의 제2 방향으로의 직선 거리가 충분히 길수록 용접성이 증대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버스바(150)에서는 몸체부(152)가 전체적으로 평평하게 형성됨에 따라 제2 방향으로의 직선 거리(W1)를 몸체부(152)의 최대 폭만큼 확보할 수 있다.Since the body portion 152 of the bus bar 150 is made flat as a whole, the bus bar seating portion 120 is also made to be balanced as a whole and may be formed to have the same width as the bus bar body portion 152. The flat surface of the busbar body 152 is used to weld the electrode terminal of the battery cell, and the weldability can be increased as the straight distance of the flat surface of the busbar body 152 in the second direction is sufficiently long. . Accordingly, in the bus bar 15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s the body portion 152 is formed entirely flat, a straight line distance W 1 in the second direction can be secured as much as the maximum width of the body portion 152.

한편, 도 4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상호 연결 보드 조립체를 조립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Meanwhile, a method of assembling the interconnection board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

먼저 버스바(150)를 기울여 버스바(150)의 제1 단부(154)를 대향 지지부(130)와 버스바 안착부(120) 사이로 삽입한다. 즉, 버스바 안착부(120) 외측으로 대향 지지부(130)의 지지면(130a) 하부에 형성된 공간을 향해 버스바(150)의 제1 단부(154)를 삽입한다.First, the bus bar 150 is tilted to insert the first end 154 of the bus bar 150 between the opposite support 130 and the bus bar seat 120. That is, the first end 154 of the bus bar 150 is inserted into the space formed under the support surface 130a of the opposite support part 130 outside the bus bar seating part 120.

다음으로, 버스바(150)의 제1 단부(154)가 대향 지지부(130)의 지지면(130a)에 접촉하도록 제1 단부(154)의 반대쪽인 제2 단부(155)를 눌러 버스바(150)를 버스바 안착부(120)에 안착시킨다. 이 때 버스바(150)의 제1 단부(154)는 대향 지지부(130)의 지지면(130a)에 접촉하는 동시에 버스바(150)의 몸체부(152)는 버스바 안착부(120)의 안착면(120a)에 접촉하게 된다.Next, by pressing the second end 155 opposite the first end 154 so that the first end 154 of the bus bar 150 contacts the support surface 130a of the opposite support part 130, the bus bar ( 150) is seated on the bus bar seat 120. At this time, the first end 154 of the bus bar 150 is in contact with the support surface 130a of the opposing support part 130 and the body part 152 of the bus bar 150 is I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seating surface (120a).

다음으로, 인쇄 회로 기판(180)을 절연 프레임(115)에 실장하면서 버스바(150)와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인쇄 회로 기판(180)은 버스바(150)의 접속부(156)를 위에서 아래로 누르면서 절연 프레임(115)에 실장되므로, 버스바(150)를 대향 지지부(130)와 함께 눌러 고정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Next, the printed circuit board 180 is mounted on the insulating frame 115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bus bar 150. Since the printed circuit board 180 is mounted on the insulating frame 115 while pressing the connection part 156 of the bus bar 150 from top to bottom, it serves to press and fix the bus bar 150 together with the opposing support part 130. I can.

도 6은 비교예에 따른 상호 연결 보드 조립체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7a 및 7b는 도 6의 VII-VII 선을 따라 잘라서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8은 비교예에 따른 상호 연결 보드 조립체가 불량 조립된 경우의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6 is a plan view showing an interconnection board assembly according to a comparative example, FIGS. 7A and 7B are cross-sectional views cut along the line VII-VII of FIG. 6, and FIG. 8 is a defective assembly of the interconnection board assembly according to the comparative example It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state of the case.

도 6을 참조하면, 비교예의 상호 연결 보드 조립체(10)에 장착되는 버스바(50)는 길이 방향 가장자리 일부가 몸체부(52)의 평면에 대해 수직하게 굽어져 체결부(54)를 형성한다. 버스바 안착부(20)에는 버스바(50)의 체결부(54)에 대응되는 부분에 걸림 돌기(25)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이렇게 형성된 버스바(50)의 체결부(54)는 후크 방식으로 걸림 돌기(25)에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6, the bus bar 50 mounted on the interconnection board assembly 10 of the comparative example has a part of its longitudinal direction bent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body 52 to form a fastening part 54. . In the busbar seating portion 20, a locking protrusion 25 is formed to protrude from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fastening portion 54 of the bus bar 50. The fastening portion 54 of the bus bar 50 thus formed may be coupled to and fixed to the locking protrusion 25 in a hook manner.

도 7a는 버스바(50)와 버스바 안착부(20)를 조립하기 전의 상태로서 이를 참조하면, 버스바(50)의 체결부(54)에는 체결홈(54a)이 형성되는데, 이러한 체결부(54)는 폭 방향 중심에 대하여 대칭되게 양쪽편에 형성된다. 도 7b는 조립한 후의 상태로서 이를 참조하면, 걸림 돌기(25)는 체결부(54)의 체결홈(54a)에 삽입되어 버스바(50)를 버스바 안착부(52)에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즉, 버스바(50)를 상부에서 하방으로 누르게 되면 버스바(50)의 결합부(54)는 살짝 벌어졌다가 버스바 안착부(20)의 걸림 돌기(25)가 결합홈(54a)에 삽입되면서 탄성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돌아오면서 고정된다. 7A is a state before assembling the bus bar 50 and the bus bar mounting portion 20, and referring to this, a fastening groove 54a is formed in the fastening part 54 of the bus bar 50, such a fastening part 54 are formed on both sides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center in the width direction. 7B is a state after assembly, and referring to this, the locking protrusion 25 is inserted into the fastening groove 54a of the fastening part 54 so that the bus bar 50 can be fixed to the bus bar mounting part 52. do. That is, when the bus bar 50 is pressed from the top to the bottom, the engaging portion 54 of the bus bar 50 is slightly widened, and then the locking protrusion 25 of the bus bar seating portion 20 is in the engaging groove 54a. As it is inserted, it is fixed as it returns to its original position by elasticity.

그러나 도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조립되는 과정에서 걸림 돌기(25)와 결합홈(54a)의 크기가 서로 부합하지 않아서 버스바(50)의 결합부(54)가 벌어지고 나서 다시 복귀하지 않는 경우가 있다. 즉 걸림 돌기(25)가 제대로 결합부(54)의 결합홈(54a)에 끼워지지 않게 되면 버스바(50)는 고정되지 못하고 버스바 안착부(20)로부터 이탈하게 될 수도 있다.However, as shown in FIG. 8, when the size of the locking protrusion 25 and the coupling groove 54a do not match each other during the assembly process, the coupling portion 54 of the bus bar 50 is opened and then does not return again. There is. That is, if the locking protrusion 25 is not properly fitted into the coupling groove 54a of the coupling portion 54, the bus bar 50 may not be fixed and may be separated from the bus bar seating portion 20.

뿐만 아니라, 도 7a를 참조하면, 버스바(50)의 몸체부(52)에는 체결부(54)가 형성되기 때문에 이 부분에서는 전체적으로 평평한 구조를 가지지 못하고, 평평한 제2 방향으로의 직선 거리(W2)는 버스바(50)의 최대 폭보다 더 작게 형성된다. 결과적으로 비교예의 버스바(50) 몸체부(52)의 직선 거리(W2)는 본 실시예의 버스바(150) 몸체부(152)의 직선 거리(W1)가 보다 더 작게 된다.In addition, referring to FIG. 7A, since the fastening portion 54 is formed in the body portion 52 of the bus bar 50, this portion does not have a flat structure as a whole, and a linear distance W in the second flat direction (W 2 ) is formed smaller than the maximum width of the bus bar 50. As a result, the linear distance W 2 of the body portion 52 of the bus bar 50 of the comparative example is smaller than the linear distance W 1 of the body portion 152 of the bus bar 150 of the present embodiment.

따라서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본 실시예에 따른 상호 연결 보드 조립체(110)는 위 비교예의 상호 연결 보드 조립체(10)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예방하여 버스바와 절연 프레임 간의 조립성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단순화된 형상의 버스바를 제공함으로써 전극 단자와의 용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refore, the interconnection board assembly 11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to 5 prevents problems that may occur in the interconnection board assembly 10 of the above comparative example, thereby improving assembly between the busbar and the insulating frame. In addition, by providing a bus bar having a simplified shape, it is possible to improve weldability with an electrode terminal.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지 모듈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이 단자 연결구조물을 통하여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면서 팩 케이스 내에 패키징되어 전지 팩을 형성할 수 있다. 즉, 서로 인접한 전지 모듈의 단자 버스바를 연결하는 모듈간 버스바를 볼트를 이용하여 고정함으로써 복수의 전지 모듈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으며, 이로써 전지 팩을 구성할 수 있다.Meanwhile, in the battery modul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ne or more of the battery modules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 terminal connection structure and packaged in a pack case to form a battery pack. That is, a plurality of battery modules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by fixing the inter-module busbars connecting terminal busbars of adjacent battery modules with bolts, thereby configuring a battery pack.

앞에서 설명한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팩은 다양한 디바이스에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디바이스에는, 전기 자전거, 전기 자동차, 하이브리드 자동차 등의 운송 수단에 적용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고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팩을 사용할 수 있는 다양한 디바이스에 적용 가능하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The battery module and the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may be applied to various devices. Such a device may be applied to a vehicle such as an electric bicycle, an electric vehicle, or a hybrid vehicl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cable to various devices that can use a battery module and a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It belongs to the scope of the invention.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improvements by those skilled in the art using the basic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defined in the following claims are also present. It belongs to the scope of rights of

100: 전지 모듈 103: 모듈 케이스
108: 전극 리드 110: 상호 연결 보드 조립체
115: 절연 프레임 120: 버스바 안착부
120a: 안착면 130: 대향 지지부
130a: 지지면 132: 모서리 돌출단
135: 중앙 돌출단 150: 버스바
152: 몸체부 154: 제1 단부
155: 제2 단부 156: 접속부
180: 인쇄 회로 기판 180a: 접속홈
100: battery module 103: module case
108: electrode lead 110: interconnection board assembly
115: insulation frame 120: busbar seat
120a: seating surface 130: opposite support
130a: support surface 132: edge protruding end
135: center protruding end 150: bus bar
152: body portion 154: first end
155: second end 156: connection
180: printed circuit board 180a: connection groove

Claims (15)

전지 모듈을 구성하는 복수의 전지셀들을 연결하며 정보를 센싱하는 상호 연결 보드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전지셀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버스바;
상기 버스바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복수의 전지셀들의 전기적 또는 열적 정보를 센싱하는 인쇄 회로 기판; 및
상기 버스바가 놓여지는 안착면을 갖는 버스바 안착부와, 상기 버스바 안착부의 적어도 일측 단부에 상기 안착면에 대향하는 방향으로의 지지면을 갖는 대향 지지부를 포함하는 절연 프레임
을 포함하고,
상기 버스바는 제1 단부가 상기 대향 지지부에 구속되면서 상기 안착면에 안착되어 고정될 수 있는, 상호 연결 보드 조립체.
In the interconnection board assembly for sensing information and connecting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constituting a battery module,
A bus ba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plurality of battery cells;
A printed circuit boar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bus bar to sense electrical or thermal information of the plurality of battery cells; And
Insulation frame comprising a busbar seating portion having a seating surface on which the busbar is placed, and an opposite support portion having a support surface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seating surface at at least one end of the busbar seating portion
Including,
The busbar may be seated and fixed on the seating surface while a first end of the bus bar is constrained to the opposite suppor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대향 지지부는 상기 버스바 안착부의 안착면 가장자리 외측에서 상기 안착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이격되어 있는, 상호 연결 보드 조립체.
The method of claim 1,
The opposing support portion is spaced apart from an edge of the seating surface of the busbar seating portion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eating surfac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바 안착부의 안착면에 수직한 방향에서 볼 때, 상기 대향 지지부의 지지면은 상기 버스바 안착부의 안착면과 중첩하지 않도록 위치하는, 상호 연결 보드 조립체.
The method of claim 2,
When viewed from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eating surface of the busbar seating portion, the support surface of the opposing support portion is positioned so as not to overlap with the seating surface of the busbar seating por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대향 지지부의 지지면 하방으로 상기 버스바 안착부의 안착면 가장자리 외측에 공간이 형성된, 상호 연결 보드 조립체.
The method of claim 1,
The interconnection board assembly, wherein a space is formed outside the edge of the seating surface of the busbar seating portion below the support surface of the opposite support por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대향 지지부는 상기 버스바의 제1 단부의 각 모서리를 구속하는 서로 이격된 한 쌍의 모서리 돌출단을 포함하는, 상호 연결 보드 조립체.
The method of claim 1,
The opposing support portion includes a pair of spaced apart corner protruding ends for constraining each corner of the first end of the bus ba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대향 지지부는 상기 버스바의 제1 단부의 중앙부를 구속하는 중앙 돌출단을 포함하는, 상호 연결 보드 조립체.
The method of claim 1,
The opposite support portion includes a central protruding end for restraining a central portion of the first end of the bus ba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대향 지지부는 상기 버스바의 제1 단부를 구속하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단을 포함하고, 상기 대향 지지부의 돌출단은 상기 버스바 안착부를 향하는 모서리가 경사지게 모따기 되어 있는, 상호 연결 보드 조립체.
The method of claim 1,
The opposing support portion includes at least one protruding end for restraining the first end of the bus bar, and the protruding end of the opposing support portion is chamfered so that an edge facing the bus bar seating portion is inclin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바는 상기 버스바 안착부에 안착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인쇄 회로 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속부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는 길이방향인 제1 방향을 따라 상기 버스바 안착부의 안착면 길이보다 더 길게 연장하여, 적어도 상기 대향 지지부의 지지면 하부까지 이르는, 상호 연결 보드 조립체.
The method of claim 1,
The bus bar includes a body portion seated on the bus bar seating portion, and a connection portion extending from the body portion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The body portion extends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seating surface of the busbar seating portion along a first direc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extends to at least a lower portion of the support surface of the opposite support portion.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바의 몸체부는 상기 제1 방향에 수직한 제2 방향으로 측정되는 폭이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균일한, 상호 연결 보드 조립체.
The method of claim 8,
An interconnection board assembly, wherein the width of the body portion of the busbar measured in a second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is uniform along the first direction.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의 상기 제2 방향으로 측정되는 폭은 상기 몸체부의 상기 제2 방향으로 측정되는 폭보다 더 좁은, 상호 연결 보드 조립체.
The method of claim 9,
A width of the connection part measured in the second direction is narrower than a width measured in the second direction of the body part.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전체적으로 평평한, 상호 연결 보드 조립체.
The method of claim 8,
The body portion is generally flat along the first direction, the interconnection board assembly.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상호 연결 보드 조립체;
각각이 파우치형 이차 전지 구조를 가지며 전극 단자가 돌출된 복수의 전지셀을 포함하는 셀 조립체; 및
상기 셀 조립체를 수용하는 모듈 케이스
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전지셀의 전극 단자는 상기 상호 연결 보드 조립체의 버스바와 전기적으로 접속된, 전지 모듈.
An interconnect board assembly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1;
A cell assembly including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each having a pouch-type secondary battery structure and protruding electrode terminals; And
Module case accommodating the cell assembly
Including,
The electrode terminals of the plurality of battery cells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a bus bar of the interconnection board assembly.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상호 연결 보드 조립체는 상기 셀 조립체를 상부에서 덮으며 상기 모듈 케이스에 결합된, 전지 모듈.
The method of claim 12,
The interconnection board assembly covers the cell assembly from an upper portion and is coupled to the module case.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상호 연결 보드 조립체를 조립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버스바를 기울여 상기 제1 단부를 상기 대향 지지부와 상기 버스바 안착부 사이로 삽입하는 단계;
상기 버스바의 제1 단부가 상기 대향 지지부의 지지면에 접촉하도록 상기 제1 단부의 반대쪽인 제2 단부를 눌러 상기 버스바를 상기 버스바 안착부에 안착시키는 단계; 및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을 상기 절연 프레임에 실장하면서 상기 버스바와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상호 연결 보드 조립체 조립방법.
In the method of assembling the interconnection board assembly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1,
Inclining the bus bar to insert the first end portion between the opposite support portion and the bus bar seating portion;
Pressing a second end opposite to the first end so that the first end of the bus bar is in contact with the support surface of the opposing support part to seat the bus bar on the bus bar seating part; And
Electrically connecting the printed circuit board to the busbar while mounting the printed circuit board on the insulating frame
Interconnecting board assembly assembly method comprising a.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부를 누르는 단계는,
상기 버스바의 제1 단부가 상기 대향 지지부의 지지면에 접촉하는 동시에 상기 버스바의 몸체부가 상기 버스바 안착부의 안착면에 접촉하도록 누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호 연결 보드 조립체 조립방법.
The method of claim 14,
The step of pressing the second end,
The method of assembling an interconnection board assembly,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end of the bus bar is in contact with the support surface of the opposing support portion and at the same time, the body of the bus bar is pressed to contact the seating surface of the bus bar seating portion.
KR1020190027739A 2019-03-11 2019-03-11 Inter connect board assembly and battery module including the same KR20200108714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7739A KR20200108714A (en) 2019-03-11 2019-03-11 Inter connect board assembly and battery module includ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7739A KR20200108714A (en) 2019-03-11 2019-03-11 Inter connect board assembly and battery module includ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8714A true KR20200108714A (en) 2020-09-21

Family

ID=727078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7739A KR20200108714A (en) 2019-03-11 2019-03-11 Inter connect board assembly and battery module includ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08714A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7251A (en) * 2020-10-29 2022-05-09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Battery Sensing Structure
WO2022158954A1 (en) * 2021-01-19 2022-07-28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including same
KR20230038007A (en) 2021-09-10 2023-03-17 인지컨트롤스 주식회사 Busbar assembly and battery having the same
KR20240000087A (en) 2022-06-23 2024-01-02 인지컨트롤스 주식회사 Busbar assembly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7251A (en) * 2020-10-29 2022-05-09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Battery Sensing Structure
WO2022158954A1 (en) * 2021-01-19 2022-07-28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including same
KR20230038007A (en) 2021-09-10 2023-03-17 인지컨트롤스 주식회사 Busbar assembly and battery having the same
KR20240000087A (en) 2022-06-23 2024-01-02 인지컨트롤스 주식회사 Busbar assembl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20826B2 (en) Middle or large-sized battery module
US9997758B2 (en) Battery module having bus bar assembly and battery pack comprising the same
EP2645454B1 (en) Bus bar assembly having a novel structure
EP2765632B1 (en) Battery module assembly having improved reliability and medium or large-sized battery pack including same
EP1839349B1 (en) Sensing board assembly for secondary battery module
KR100863729B1 (en) Battery Module Interface
EP2590242B1 (en) Method and device for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battery module by leveling voltage
KR102317639B1 (en) Battery module including insert injection molded busbar
KR20200108714A (en) Inter connect board assembly and battery module including the same
US11158895B2 (en) Battery module, battery pack including battery module, and vehicle including battery pack
KR101326182B1 (en) Battery Module Based upon Unit Module Having External Covering Member and Cartridge
KR101281811B1 (en) Battery Pack Having Improved Structure Stability
JP7038942B2 (en) battery pack
CN110114932B (en) Battery module,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and vehicle
JP7171119B2 (en) Battery module having terminal connection structure with floating nut and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KR20080025429A (en) Battery module, and middle or large-sized battery pack containing the same
CN115336098A (en) Battery module,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and vehicle
CN111971817B (en) Battery module including connector having bidirectional coupling structure
KR102093943B1 (en) Battery module, battery pack comprising the battery module and vehicle comprising the battery pack
CN110277531B (en) Battery pack
EP4030515A1 (en) Battery module
JP7371983B2 (en)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containing it
KR102371373B1 (en) Battery module
KR20220012037A (en) Battery module having a simple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cell lead and voltage sensing member and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CN217823061U (en)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