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06416A - Air cleaner and method of calculating filter performance thereof - Google Patents

Air cleaner and method of calculating filter performance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06416A
KR20200106416A KR1020190024943A KR20190024943A KR20200106416A KR 20200106416 A KR20200106416 A KR 20200106416A KR 1020190024943 A KR1020190024943 A KR 1020190024943A KR 20190024943 A KR20190024943 A KR 20190024943A KR 20200106416 A KR20200106416 A KR 202001064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performance
dust
particles
proces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494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장성만
노진희
배성원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249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06416A/en
Publication of KR202001064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6416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84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provided with safety means
    • B01D46/0086Filter condition indic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01D46/44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controlling filtration
    • B01D46/4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controlling filtration by measuring the concentration of particl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ir purifier that calculates filter performance in consideration of the size of particles collected in a filter, and a filter performance calculation method thereof. The air purifier comprises a filter, a fan motor that drives a fan to pass air through the filter, a dust sensor that detects the particles collected in the filter, and a processor that calculates the performance of the filter based on the detection result of the dust sensor and a signal that controls the fan motor, wherein the processor differently calculates the performance of the filter depending on the size distribution of the particles collected in the filter when calculating the performance of the filter.

Description

공기 청정기 및 그의 필터 성능 산출 방법{Air cleaner and method of calculating filter performance thereof}Air cleaner and method of calculating filter performance thereof

본 발명은 공기 청정기 및 그의 필터 성능 산출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cleaner and a method of calculating its filter performance.

일반적으로, 공기 청정기는 사용자에게 보다 쾌적한 실내 환경을 조성하기 위하여 실내공기를 정화하여 신선한 공기로 바꾸는 기기이다.In general, an air purifier is a device that purifies indoor air and converts it into fresh air in order to create a more comfortable indoor environment for users.

이러한 공기 청정기는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필터로 이루어지는 필터유닛이 구비되어, 실내공기를 필터유닛에 통과시킴으로서 공기 중의 이물질과 악취 등이 제거되도록 구성된다.Such an air purifier is provided with a filter unit including at least one filter therein, and is configured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and odors in the air by passing indoor air through the filter unit.

한편, 필터는 이물질이 쌓일수록 공기 청정기 내부로 흡입된 공기의 이물질을 포집하는 능력(이하, '필터 성능'이라고 한다.)이 저하될 수 있다. 즉, 공기 청정기가 사용될수록 필터 성능이 저하되므로, 필터의 적절한 교체가 요구될 수 있다.Meanwhile, as foreign matter accumulates, the filter's ability to collect foreign matter from the air sucked into the air purifier (hereinafter, referred to as “filter performance”) may decrease. That is, since the filter performance is deteriorated as the air purifier is used, appropriate replacement of the filter may be required.

따라서, 종래에는 공기 청정기의 사용 시간을 측정하거나, IR 센서(Infrared Ray Sensor) 또는 차압 센서를 이용하여 필터에 누적된 먼지량을 측정함으로써 필터의 교체 시기를 예측하고 있다. Accordingly, conventionally, the replacement time of the filter is predicted by measuring the usage time of the air purifier or by measuring the amount of dust accumulated in the filter using an infrared ray sensor or a differential pressure sensor.

그러나, 종래 방법은 필터에 포집된 입자의 크기를 고려하지 않기 때문에 필터 성능의 산출 정확도가 낮은 한계가 있다. 일 예로, 담배 등에 의해 주로 작은 입자가 발생하는 공간에 설치된 공기 청정기와 인체 활동 등에 의해 주로 큰 입자가 발생하는 공간에 설치된 공기 청정기가 동일 시간 사용된 경우 필터의 성능 변화가 다를 수 있으나, 종래 방법에 따르면 필터의 성능 변화를 동일하게 산출하는 문제가 있다. However, since the conventional method does not consider the size of the particles collected in the filter, there is a limitation in the calculation accuracy of the filter performance is low. For example, when an air purifier installed in a space where small particles are mainly generated by cigarettes, and an air purifier installed in a space where large particles are mainly generated by human activities are used for the same time, the performance change of the filter may be different. According to, there is a problem that the performance change of the filter is calculated equally.

본 발명은 필터에 포집된 입자의 크기를 고려하여 필터 성능을 산출하는 공기 청정기 및 그의 필터 성능 산출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ir purifier that calculates filter performance in consideration of the size of particles collected in a filter, and a method of calculating filter performance thereof.

본 발명은 필터에 포집된 입자의 분포를 고려하여 필터 성능을 산출하는 공기 청정기 및 그의 필터 성능 산출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ir cleaner that calculates filter performance in consideration of the distribution of particles collected in a filter, and a method for calculating filter performance thereof.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는 필터, 공기가 필터를 통과하도록 팬을 구동시키는 팬 모터, 필터에 포집된 입자를 감지하는 먼지 센서 및 먼지 센서의 감지 결과와 팬 모터를 제어한 신호에 기초하여 필터의 성능을 산출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프로세서는 필터의 성능을 산출하는 경우 필터에 포집된 입자의 크기 분포에 따라 필터의 성능을 상이하게 산출할 수 있다.The ai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based on a filter, a fan motor that drives a fan so that air passes through the filter, a dust sensor that detects particles collected in the filter, and a detection result of the dust sensor and a signal controlling the fan motor. Thus, the processor includes a processor for calculating the performance of the filter, and the processor may calculate the performance of the filter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size distribution of particles collected in the filter when calculating the performance of the filter.

프로세서는 필터에 포집된 입자의 양이 동일한 경우, 필터에 포집된 입자 중 직경이 기준값 미만인 작은 입자가 직경이 기준값 이상인 큰 입자 보다 많은 경우의 제1 필터 성능을 작은 입자가 큰 입자 보다 적은 경우의 제2 필터 성능 보다 낮게 산출할 수 있다.When the amount of particles trapped in the filter is the same, the processor reduces the first filter performance when small particles having a diameter less than the reference value among the particles collected in the filter are larger than larger particles having a diameter greater than the reference value. It can be calculated lower than the second filter performance.

먼지 센서는 다채널 먼지센서이고, 다채널 먼지센서는 제1 채널을 통해 입자의 직경이 제1 크기 이상인 먼지의 양을 감지하고, 제2 채널을 통해 입자의 직경이 제1 크기 보다 큰 제2 크기 이상인 먼지의 양을 감지할 수 있다.The dust sensor is a multi-channel dust sensor, and the multi-channel dust sensor detects the amount of dust having a particle diameter greater than or equal to a first size through a first channel, and a second channel having a particle diameter larger than the first size through the second channel. The amount of dust larger than the size can be detected.

프로세서는 제1 채널을 통해 감지한 먼지의 양과 제2 채널을 통해 감지한 먼지의 양의 차와 제2 채널을 통해 감지한 먼지의 양에 기초하여 필터에 포집된 입자의 크기 분포를 획득할 수 있다.The processor may obtain a size distribution of the particles collected in the filter based 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amount of dust detected through the first channel and the amount of dust detected through the second channel and the amount of dust detected through the second channel. have.

입자의 크기 분포에 따라 성능 감소 가중치를 맵핑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A memory for storing data obtained by mapping the performance reduction weight according to the particle size distribution may be further included.

프로세서는 입자의 크기 분포에 기초하여 메모리에서 성능 감소 가중치를 상이하게 획득하고, 필터의 성능을 산출시 성능 감소 가중치에 기초하여 필터의 성능을 감소시킬 수 있다.The processor may differently obtain a performance reduction weight from the memory based on the particle size distribution, and may reduce the performance of the filter based on the performance reduction weight when calculating the performance of the filter.

프로세서는 직전 성능에서 필터에 포집된 입자의 무게와 팬 모터의 작동 회전수와 팬의 작동시간과 입자의 크기 분포에 따른 계수를 곱한 값을 빼는 연산을 통해 필터의 성능을 산출할 수 있다.The processor can calculate the filter performance by subtracting a value obtained by subtracting the product of the weight of the particles collected in the filter from the previous performance, the number of rotations of the fan motor, the operating time of the fan, and a coefficient according to the particle size distribution.

프로세서는 필터의 성능이 기 설정된 설정값 이하가 되는 경우 필터의 교체 시기로 판단할 수 있다.When the performance of the filter becomes less than or equal to a preset value, the processor may determine the replacement time of the filter.

필터의 교체 시기를 나타내는 알람을 출력하는 출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t may further include an output for outputting an alarm indicating the replacement time of the filter.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필터에 포집된 입자의 크기 분포에 기초하여 필터의 성능을 산출하므로, 필터의 교체 시기를 보다 정확하게 예측 가능한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performance of the filter is calculated based on the size distribution of the particles collected in the filter,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replacement timing of the filter can be predicted more accurately.

또한, 작은 입자가 많이 발생하는 공간에 설치된 필터의 교체 시기를 큰 입자가 많이 발생하는 공간에 설치된 필터의 교체 시기 보다 빠르게 획득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실제 공기 청정기가 사용되는 환경을 반영하여 필터의 교체 시기를 예측 가능한 이점이 있다.In addition, the replacement time of the filter installed in the space where many small particles are generated can be obtained faster than the replacement time of the filter installed in the space where a lot of large particles are generated. Accordingly, the filter's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predict the replacement timing.

또한, 다채널 먼지센서를 통해 별도의 부품을 추가하지 않아도 입자의 크기 분포를 감지할 수 있어, 공기 청정기의 부피 증가를 최소화하며 제작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multi-channel dust sensor can detect the size distribution of particles without adding additional parts, thereby minimizing an increase in the volume of the air purifier and minimizing manufacturing cost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의 필터 성능 산출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5는 도 4의 먼지 입자 분포에 따른 성능 감소 가중치를 산출하는 단계(S10)를 구체화한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먼지 입자 분포에 따른 성능 감소 가중치를 맵핑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i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ai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ontrol block diagram of an ai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alculating filter performance of an ai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tep (S10) of calculating a performance reduction weight according to the distribution of dust particles of FIG. 4.
6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storing data obtained by mapping a performance reduction weight according to a dust particle distribution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ogether with the drawings.

이하, 공기 청정기 및 공기 청정기의 필터 성능 산출 방법을 설명하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예시로 든 것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은 공기 청정기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은 필터를 구비하는 에어컨과 에어컨의 필터 성능 산출 방법 등과 같이 필터를 구비하는 모든 기기에 적용될 수 있다. Hereinafter, an air purifier and a method of calculating the filter performance of the air purifier will be described, but since this is merely an example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ir purifier. 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ll devices having a filter, such as an air conditioner having a filter and a method of calculating the filter performance of the air conditioner.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의 분해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i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ai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1)는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10)과 하우징(10)의 전방에 결합되는 전면패널(11)을 포함할 수 있다.1 and 2, the air purifier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using 10 forming an exterior and a front panel 11 coupled to the front of the housing 10. I can.

자세하게는, 하우징(10)은 공기 청정기(1)의 후면 및 측면 외관을 형성하고, 전면패널(11)은 공기 청정기(1)의 전면 외관을 형성한다. 이때, 전면패널(11)은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10)의 일 구성으로 이해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housing 10 forms the rear and side appearances of the air purifier 1, and the front panel 11 forms the front appearance of the air purifier 1. In this case, the front panel 11 may be understood as a configuration of the housing 10 forming the exterior.

공기 청정기(1)는 디스플레이부(12) 및 입력부(13)를 포함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부(12) 및 입력부(13)는 전면패널(11)에 형성될 수 있다. The air purifier 1 may include a display unit 12 and an input unit 13, and the display unit 12 and the input unit 13 may be formed on the front panel 11.

디스플레이부(12)는 공기 청정기(1)의 작동 상태나 필터의 교체 시기 등과 같은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입력부(13)는 공기 청정기(1)의 작동 모드 등을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입력부(13)는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The display unit 12 may display information such as an operating state of the air purifier 1 or a filter replacement time. The input unit 13 may receive an input for selecting an operation mode or the like of the air purifier 1. The input unit 13 may include at least one button for receiving an input from a user.

이와 같은 하우징(10)과 전면패널(11)이 결합되어 형성된 공기 청정기(1)는 대략 직육면체, 박스형태의 외관을 가진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1)는 원형, 원통형 등 다양한 외관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air purifier 1 formed by combining the housing 10 and the front panel 11 as described above has a substantially rectangular parallelepiped, box-shaped appearance. However, this is exemplary, and the air purifier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in various appearances such as a circular shape or a cylindrical shape.

공기 청정기(1)에는 하우징(10)과 전면패널(11)에 의해 형성되는 소정의 내부공간이 구비될 수 있고, 공기 청정기(1)는 내부공간으로 공기가 유입 및 토출되는 흡입구(14) 및 토출구(15)를 포함할 수 있다.The air purifier 1 may be provided with a predetermined internal space formed by the housing 10 and the front panel 11, and the air purifier 1 includes an inlet 14 through which air is introduced and discharged into the internal space. It may include a discharge port (15).

흡입구(14)는 전면패널(11)과 인접한 하우징(10)에 형성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구(14)는 하우징(10)의 전방외측에 형성된다. 또한, 흡입구(14)는 하우징(10)과 전면패널(11)의 사이에 둘레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The suction port 14 may be formed in the housing 10 adjacent to the front panel 11. 1 and 2, the suction port 14 is formed on the front and outside of the housing 10. In addition, the suction port 14 may be formed along the circumference between the housing 10 and the front panel 11.

토출구(15)는 하우징(10)의 후방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흡입구(14) 및 토출구(15)의 형상 및 위치는 예시적인 것이며, 흡입구(14) 및 토출구(15)는 공기가 유동될 수 있는 개구로 다양하게 마련될 수 있다.The discharge port 15 may be formed at the rear and upper portions of the housing 10. The shape and position of the suction port 14 and the discharge port 15 are exemplary, and the suction port 14 and the discharge port 15 may be variously provided as openings through which air can flow.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 청정기(1)의 내부공간에는 필터유닛(20), 팬(33) 및 프로세서(40) 등 다양한 장치들이 구비될 수 As shown in FIG. 2, various devices such as a filter unit 20, a fan 33, and a processor 40 may be provided in the internal space of the air purifier 1

필터유닛(20)은 흡입구(14)로 유입된 공기가 정화되어 토출구(15)로 토출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필터유닛(20)은 흡입구(14)와 인접한 전면패널(11)의 후방에 설치될 수 있다. 즉, 흡입구(14)로 유입된 공기가 필터유닛(20)를 바로 통과하도록 설치된다.The filter unit 20 may be installed so that the air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14 is purified and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15. In detail, the filter unit 20 may be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front panel 11 adjacent to the suction port 14. That is, it is installed so that the air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14 passes directly through the filter unit 20.

필터유닛(20)의 전방에는 전면패널(11)이 위치되며, 후방에는 오리피스(30)가 위치된다.The front panel 11 is located in front of the filter unit 20, and the orifice 30 is located in the rear.

오리피스(30)는 공기의 유동을 안내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오리피스(30)의 중앙부에는 에어관통구(31)가 형성된다. 에어관통구(31)는 원형으로 형성되며, 오리피스(30)의 전후방으로 공기가 유동되는 통로의 기능을 한다.The orifice 30 serves to guide the flow of air. In addition, an air through hole 31 is formed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orifice 30. The air through hole 31 is formed in a circular shape, and functions as a passage through which air flows forward and backward of the orifice 30.

오리피스(30)의 전면 상반부에는 공기청정기(10)의 작동을 제어하는 프로세서(40)가 장착될 수 있다. 프로세서(40)는 PCB 등 다수의 전장부품이 구비되는 박스의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A processor 40 tha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air purifier 10 may be mounted on the front upper half of the orifice 30. The processor 40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box including a plurality of electronic components such as a PCB.

오리피스(30)의 후방에는 팬(미도시) 및 팬(미도시)에 회전 동력을 제공하는 팬 모터(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팬(미도시)은 팬 모터(미도시)에 의해 공기를 강제 유동시킨다. 팬(미도시)의 구동에 따라, 흡입구(14)를 통해 공기가 유입되고, 필터유닛(20)를 통과하여 토출구(15)로 토출될 수 있다.A fan (not shown) and a fan motor (not shown) providing rotational power to the fan (not shown) may be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orifice 30. A fan (not shown) forces air to flow by a fan motor (not shown). As the fan (not shown) is driven, air may be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14 and may be discharged to the discharge port 15 through the filter unit 20.

이하, 필터유닛(20)의 구성에 대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filter unit 2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유닛(20)은 공기 중의 이물질을 걸러내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다양한 기능을 가지는 필터(22)가 적어도 하나 구비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2, the filter unit 20 serves to filter foreign substances in air, and at least one filter 22 having various functions may be provided.

필터유닛(20)은 필터 프레임(24)과 필터 프레임(24)에 장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필터(22)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lter unit 20 may include a filter frame 24 and at least one filter 22 mounted on the filter frame 24.

필터 프레임(24)은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필터 프레임(24)은 전방이 개구된 사각박스 형상으로 마련되어, 소정의 필터설치공간을 형성한다. 필터설치공간에는 적어도 하나의 필터(22)가 설치될 수 있다.The filter frame 24 may form an exterior. The filter frame 24 is provided in the shape of a square box with an open front to form a predetermined filter installation space. At least one filter 22 may be installed in the filter installation space.

필터(22)는 헤파필터(High Efficiency Particulate Air filter)일 수 있다. 헤파필터는 에어(air)필터로, 공기중의 미세먼지는 물론, 분진, 진드기 사체, 꽃가루, 담배연기(입자), 부유곰팡이균, 동물털 등과 같은 미세입자를 제거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The filter 22 may be a HEPA filter (High Efficiency Particulate Air filter). The HEPA filter is an air filter and can remove fine particles in the air as well as fine particles such as dust, mites, pollen, cigarette smoke (particles), floating fungi, and animal hair.

그러나, 헤파필터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필터(22)는 프리필터, 플라즈마필터, 항균필터 및 탈취필터 등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필터의 구성은 예시적이며, 다양한 필터가 더 설치되거나 생략될 수 있다.However, the HEPA filter is merely exemplary, and the filter 22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of a pre-filter, a plasma filter, an antibacterial filter, and a deodorization filter. The configuration of such a filter is exemplary, and various filters may be further installed or omitted.

프리필터는 공기 중의 비교적 큰 이물질을 걸러내는 기능을 하며, 일반적으로 흡입구(14)와 가장 인접하게 설치될 수 있다. 플라즈마필터는 전기에 의해 이물을 집진하는 기능을 하고, 항균필터는 알레르기(Allergy)를 일으키는 알레르겐을 흡착하여 분해하거나 항균작용을 할 수 있다. 탈취필터는 종합 탈취필터로, 공기중의 담배연기(냄새), 생활악취, 음식쓰레기 냄새, 화장실 악취 등과 같은 다양한 냄새를 제거하는 기능을 한다.The pre-filter functions to filter out relatively large foreign substances in the air, and may generally be installed closest to the inlet 14. The plasma filter functions to collect foreign substances by electricity, and the antibacterial filter absorbs and decomposes allergens that cause allergy or can act as antibacterial. The deodorization filter is a comprehensive deodorization filter and functions to remove various odors such as cigarette smoke (odor) in the air, household odor, food waste odor, and toilet odor.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는 필터(22)에 포집된 입자의 양과 입지의 크기를 고려하여 필터(22)의 성능을 산출하고, 필터(22)의 성능에 기초하여 필터(22)의 교체 시기를 산출할 수 있다.The ai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lculates the performance of the filter 22 in consideration of the amount of particles collected in the filter 22 and the size of the location, and based on the performance of the filter 22 The replacement timing can be calculated.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의 제어 블록도이다.3 is a control block diagram of an ai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공기 청정기(1)는 팬 모터(32), 팬(33), 먼지 센서(34), 메모리(36), 출력부(12), 입력부(13) 및 프로세서(40) 중 적어도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air purifier 1 includes at least some or all of a fan motor 32, a fan 33, a dust sensor 34, a memory 36, an output unit 12, an input unit 13, and a processor 40. can do.

팬 모터(32)는 팬(33)을 구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팬 모터(32)는 Brushless DC 모터일 수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므로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The fan motor 32 may drive the fan 33. For example, the fan motor 32 may be a Brushless DC motor, but this is only an example and is not limited thereto.

프로세서(40)는 팬 모터(32)를 제어할 수 있고, 팬 모터(32)의 작동 회전수를 획득할 수 있다.The processor 40 may control the fan motor 32 and may obtain an operating rotational speed of the fan motor 32.

팬(33)은 팬 모터(32)에 의해 구동되며, 팬(33)의 구동시 실내 공기가 흡입구(14)를 통해 공기 청정기(1) 내부로 유입되고, 공기 청정기(1)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필터유닛(20)를 통과하여 토출구(15)로 토출될 수 있다.The fan 33 is driven by the fan motor 32, and when the fan 33 is driven, indoor air flows into the air purifier 1 through the inlet 14, and flows into the air purifier 1 Air may pass through the filter unit 20 and be discharged to the discharge port 15.

먼지 센서(34)는 필터(22)에 포집된 입자의 양을 감지할 수 있다. 일 예로, 먼지 센서(34)는 발광 소자가 광을 조사한 후 필터(22)에 포집된 입자에 의해 반사되는 광을 감지하여 필터(22)에 포집된 입자의 양을 감지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예시로 든 것에 불과하므로,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The dust sensor 34 may detect the amount of particles collected in the filter 22. For example, the dust sensor 34 may detect the amount of particles collected by the filter 22 by detecting light reflected by particles collected by the filter 22 after the light emitting element irradiates light. However, this is merely an example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d is not limited thereto.

먼지 센서(34)는 다채널 먼지 센서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다채널 먼지 센서는 먼지의 양을 입자 크기 별로 감지할 수 있다. 일 예로, 먼지 센서(34)는 제1 채널을 통해 입자의 직경이 제1 크기(예를 들어, 0.1㎛) 이상인 먼지의 양을 감지하고, 제2 채널을 통해 입자의 직경이 제2 크기(예를 들어, 3㎛) 이상인 먼지의 양을 감지할 수 있다. 먼지 센서(34)는 2이상의 채널을 통해 다양한 입자 크기 별로 먼지의 양을 감지할 수 있다.The dust sensor 34 may be a multi-channel dust sensor. Specifically, the multi-channel dust sensor can detect the amount of dust by particle size. As an example, the dust sensor 34 detects an amount of dust having a particle diameter greater than or equal to a first size (eg, 0.1 μm) through a first channel, and the particle diameter is a second size ( For example, the amount of dust larger than 3㎛) can be detected. The dust sensor 34 may detect the amount of dust according to various particle sizes through two or more channels.

즉, 프로세서(40)는 다채널 먼지 센서를 통해 큰 입자와 작은 입자의 비를 산출할 수 있다.That is, the processor 40 may calculate the ratio of the large particles to the small particles through the multi-channel dust sensor.

실시 예에 따라, 공기 청정기(1)는 먼지 센서를 복수개 구비하고, 복수개의 먼지 센서 각각이 서로 다른 크기의 먼지를 감지할 수도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air purifier 1 may include a plurality of dust sensors, and each of the plurality of dust sensors may sense different sizes of dust.

메모리(36)는 공기 청정기(1)의 동작에 필요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36)는 필터(22)의 성능 산출에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The memory 36 may store information necessary for the operation of the air purifier 1. For example, the memory 36 may store data necessary for calculating the performance of the filter 22.

출력부(12)는 필터(22)의 성능 산출 결과와 필터(22)의 성능 산출 결과에 따른 필터(22)의 잔여 수명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할 수 있다.The output unit 12 may display at least one of a result of calculating the performance of the filter 22 and the remaining life of the filter 22 according to the result of calculating the performance of the filter 22.

입력부(13)는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부(13)는 먼지 센서(34)가 측정할 입자의 크기를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The input unit 13 may receive an input from a user. For example, the input unit 13 may receive an input for selecting the size of particles to be measured by the dust sensor 34.

프로세서(40)는 공기 청정기(1)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40)는 팬 모터(31), 팬(32), 먼지 센서(34), 메모리(36), 출력부(12) 및 입력부(13) 중 적어도 하나 또는 전부를 제어할 수 있다.The processor 40 ma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air purifier 1. The processor 40 may control at least one or all of the fan motor 31, the fan 32, the dust sensor 34, the memory 36, the output unit 12, and the input unit 13.

한편, 도 3에 도시된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해 예시로 든 것에 불과하며, 공기 청정기(1)는 도 3에 도시된 구성요소 중 일부를 생략하거나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omponents shown in FIG. 3 are merely examples for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air purifier 1 may omit some of the components shown in FIG. 3 or may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의 필터 성능 산출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고, 도 5는 도 4의 먼지 입자 분포에 따른 성능 감소 가중치를 산출하는 단계(S10)를 구체화한 순서도이다.FIG.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alculating filter performance of an air purifie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tep (S10) of calculating a performance reduction weight according to the distribution of dust particles of FIG. 4.

프로세서(40)는 먼지 입자의 크기 분포에 따른 성능 감소 가중치를 산출할 수 있다(S10).The processor 40 may calculate a performance reduction weight according to the size distribution of the dust particles (S10).

여기서, 먼지 입자의 크기 분포에 따른 성능 감소 가중치는 필터(22)에 포집된 먼지 입자들의 크기 분포에 따라 필터 성능이 상이하게 산출되도록 부여되는 계수를 의미할 수 있다. Here, the performance reduction weight according to the size distribution of the dust particles may mean a coefficient given so that the filter performance is calculat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size distribution of the dust particles collected in the filter 22.

프로세서(40)는 먼지의 양이 동일한 경우 입자의 크기가 큰 먼지가 많을수록 성능 감소 가중치를 낮게 설정하고, 입자의 크기가 작은 먼지가 많을수록 성능 감소 가중치를 높게 설정할 수 있다. 입자의 크기가 작은 먼지(예를 들어, 연소성 먼지)일수록 필터(22)의 집진 효율(η)에 미치는 영향이 크고, 입자의 크기가 큰 먼지(예를 들어, 마모성 먼지)일수록 집진 효율(η)에 미치는 영향이 미미하다. 또한, 입자의 크기가 작은 먼지(예를 들어, 연소성 먼지)일수록 풍량(Q)에 미치는 영향이 적고, 입자의 크기가 큰 먼지(예를 들어, 마모성 먼지)일수록 풍량(Q)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When the amount of dust is the same, the processor 40 may set a lower performance reduction weight as more dust having a larger particle size increases, and set a higher performance reduction weight as more dust with a smaller particle size increases. Dust with a small particle size (eg, combustible dust) has a greater effect on the dust collection efficiency (η) of the filter 22, and dust with a larger particle size (eg, abrasive dust) has a larger dust collection efficiency (η ) Has a negligible effect. In addition, dust with a small particle size (e.g., combustible dust) has less effect on the air volume (Q), and dust with a large particle size (e.g., abrasive dust) has an effect on the air volume (Q). Big.

따라서, 필터(22)의 성능을 산출시 입자의 크기를 고려하지 않으면 필터 성능 산출의 정확도가 떨어질 수 있고, 본 발명은 필터 성능 산출시 입자의 크기를 고려하고자 한다.Therefore, if the size of the particles is not considered when calculating the performance of the filter 22, the accuracy of calculating the filter performance may be degraded, and the present invention attempts to consider the size of the particles when calculating the filter performance.

도 5를 참고하면, 프로세서(40)는 먼지 입자 분포에 따라 성능 감소 가중치를 맵핑한 데이터를 메모리(36)에 저장할 수 있다(S11). Referring to FIG. 5, the processor 40 may store data in which the performance reduction weight is mapped according to the dust particle distribution in the memory 36 (S11).

다음으로,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먼지 입자 분포에 따른 성능 감소 가중치를 맵핑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Next, FIG. 6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storing data obtained by mapping a performance reduction weight according to a dust particle distribution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프로세서(40)는 사용된 적 없는 필터(22)의 성능을 100(%)로 가정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40)는 포집된 입자가 전혀 없는 필터(22)의 성능을 100(%)로 가정할 수 있다.First, the processor 40 may assume that the performance of the filter 22 that has not been used is 100 (%). That is, the processor 40 may assume that the performance of the filter 22 without any collected particles is 100 (%).

프로세서(40)는 필터(22)의 성능이 100%에서 50%가 되는 경우를 필터(22)의 교체 시기로 인식할 수 있다. 도 6에서는, 필터(22)의 교체 시기로 인식하는 필터(22)의 성능을 50%로 예를 들었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예시로 든 것에 불과하므로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The processor 40 may recognize a case in which the performance of the filter 22 becomes 100% to 50% as a replacement time for the filter 22. In FIG. 6, the performance of the filter 22 recognized as the replacement time of the filter 22 is exemplified as 50%, but this is only an example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d thus is not limited thereto.

이 때, 프로세서(40)는 필터(22)에 포집된 입자들의 크기 분포에 따라 필터(22)의 성능이 50%가 되는 기준을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40)는 필터(22)에 포집된 먼지 입자 분포에 따라 필터(22)의 성능이 50%가 되는 기준 포집량을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processor 40 may differently set a criterion at which the performance of the filter 22 is 50% according to the size distribution of the particles collected in the filter 22. That is, the processor 40 may differently set the reference collection amount at which the performance of the filter 22 is 50% according to the distribution of dust particles collected by the filter 22.

여기서, 먼지 입자 분포는 작은 입자와 큰 입자의 비를 의미하며, 작은 입자는 직경이 기준값(예를 들어, 3㎛) 미만인 입자이고, 큰 입자는 직경이 기준값(예를 들어, 3㎛) 이상인 입자를 의미하는 것으로 가정하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므로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Here, the dust particle distribution means the ratio of small particles and large particles, and small particles are particles whose diameter is less than the reference value (eg, 3 μm), and large particles are particles whose diameter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reference value (eg, 3 μm). It is assumed to mean a particle, but this is only an example and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기준 포집량은 필터(22)에 포집된 입자로 인해 필터(22)의 성능이 기준 비율로 저하된 경우 필터(22)에 포집된 입자의 무게(이하, '먼지량'이라고 한다.)를 의미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reference collection amount is the weight of the particles collected in the filter 22 (hereinafter referred to as'dust amount') when the performance of the filter 22 is degraded to a standard ratio due to the particles collected in the filter 22. It can mean.

도 6의 (a)에 도시된 예시에 참고하면, 프로세서(40)는 필터(22)에 작은 입자만 포집된 경우에는 기준 포집량을 작은 입자 기준량(예를 들어, 1g)으로 설정하고, 필터(22)에 큰 입자만 포집된 경우에는 기준 포집량을 큰 입자 기준량(예를 들어, 30g)으로 설정할 수 있다.Referring to the example shown in (a) of FIG. 6, when only small particles are collected in the filter 22, the processor 40 sets the reference collection amount to a small particle reference amount (for example, 1g), and the filter When only large particles are collected in (22), the standard collection amount can be set as a large particle reference amount (eg, 30 g).

여기서, 작은 입자 기준량을 1g, 큰 입자 기준량을 30g으로 예를 들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므로,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Here, the reference amount of small particles is 1 g and the reference amount of large particles is 30 g, but this is only exemplary,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프로세서(40)는 필터(22)에 포집된 입자가 작은 입자와 큰 입자가 섞인 경우에는, 아래 수학식 1을 통해 산출되는 먼지량을 기준 포집량으로 설정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particles collected in the filter 22 are mixed with small particles and large particles, the processor 40 may set the amount of dust calculated through Equation 1 below as the reference collection amount.

[수학식 1][Equation 1]

먼지량(g)= 작은 입자 기준량(g)×작은 입자의 비율+큰 입자 기준량(g)×큰 입자의 비율Dust amount (g) = small particle standard amount (g) × small particle ratio + large particle standard amount (g) × large particle ratio

위 수학식 1에 따르면, 프로세서(40)는 작은 입자와 큰 입자의 비가 1:0인 경우에는 기준 포집량을 1g으로 설정하고, 작은 입자와 큰 입자의 비가 25:4인 경우에는 기준 포집량을 5g으로 설정하고, 작은 입자와 큰 입자의 비가 20:9인 경우에는 기준 포집량을 10g으로 설정하고, 작은 입자와 큰 입자의 비가 15:14인 경우에는 기준 포집량을 15g으로 설정하고, 작은 입자와 큰 입자의 비가 10:19인 경우에는 기준 포집량을 20g으로 설정하고, 작은 입자와 큰 입자의 비가 5:24인 경우에는 기준 포집량을 25g으로 설정하고, 작은 입자와 큰 입자의 비가 0:1인 경우에는 기준 포집량을 30g으로 설정할 수 있다.According to Equation 1 above, the processor 40 sets the reference collection amount to 1g when the ratio of the small particles and the large particles is 1:0, and when the ratio between the small particles and the large particles is 25:4, the reference collection amount Is set to 5g, and when the ratio of small and large particles is 20:9, the standard collection amount is set to 10g, and when the ratio between small and large particles is 15:14, the standard collection amount is set to 15g, When the ratio of small and large particles is 10:19, the standard collection amount is set to 20g, and when the ratio of small and large particles is 5:24, the standard collection amount is set to 25g. When the ratio is 0:1, the standard collection amount can be set to 30g.

프로세서(40)는 작은 입자와 큰 입자의 비, 즉 먼지 입자 분포에 따라 기준 포집량을 다르게 설정할 수 있고,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준 포집량 각각에 대해 성능 감소 가중치를 맵핑한 데이터를 메모리(36)에 저장할 수 있다.The processor 40 may set the reference collection amount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ratio of the small particles and the large particles, that is, the distribution of dust particles, and map the performance reduction weights for each of the reference collection amounts as shown in FIG. 6B. One data can be stored in the memory 36.

도 6의 (b)에 도시된 예시를 참고하면, 프로세서(40)는 기준 포집량이 1g일 때(작은 입자와 큰 입자의 비가 1:0인 경우)의 성능 감소 가중치를 7로 맵핑하고, 기준 포집량이 5g일 때(작은 입자와 큰 입자의 비가 25:4인 경우)의 성능 감소 가중치를 6으로 맵핑하고, 기준 포집량이 10g일 때(작은 입자와 큰 입자의 비가 20:9인 경우)의 성능 감소 가중치를 5로 맵핑하고, 기준 포집량이 15g일 때(작은 입자와 큰 입자의 비가 15:14인 경우)의 성능 감소 가중치를 4로 맵핑하고, 기준 포집량이 20g일 때(작은 입자와 큰 입자의 비가 10:19인 경우)의 성능 감소 가중치를 3로 맵핑하고, 기준 포집량이 25g일 때(작은 입자와 큰 입자의 비가 5:24인 경우)의 성능 감소 가중치를 2로 맵핑하고, 기준 포집량이 30g일 때(작은 입자와 큰 입자의 비가 0:1인 경우)의 성능 감소 가중치를 1로 맵핑할 수 있다.Referring to the example shown in (b) of FIG. 6, the processor 40 maps the performance reduction weight to 7 when the reference collection amount is 1g (when the ratio of small particles and large particles is 1:0), and When the collection amount is 5g (the ratio of small particles to large particles is 25:4), the performance reduction weight is mapped to 6, and when the standard collection amount is 10g (the ratio of small particles to large particles is 20:9). Map the performance reduction weight to 5, and map the performance reduction weight to 4 when the reference collection amount is 15g (the ratio of small particles to large particles is 15:14), and when the reference collection amount is 20g (small particles and large particles) When the ratio of particles is 10:19), the weight of reduction in performance is mapped to 3, and the weight of reduction in performance when the standard collection amount is 25g (when the ratio of small particles to large particles is 5:24) is mapped to 2, and the reference When the collection amount is 30g (the ratio of small particles to large particles is 0:1), the weight of the reduction in performance can be mapped to 1.

한편, 프로세서(40)는 작은 입자와 큰 입자의 비, 즉 먼지 입자 분포 각각에 대해 성능 감소 가중치를 직접 맵핑한 데이터를 메모리(36)에 저장할 수도 있다.Meanwhile, the processor 40 may store data obtained by directly mapping the ratio of small particles to large particles, that is, a performance reduction weight for each of the dust particle distribution, in the memory 36.

또한, 도 6에서는 기준 포집량[g]이 1, 5, 10, 15, 20, 25 및 30인 경우를 예로 들었으나, 프로세서(40)는 작은 입자 기준량(1g) 이상 큰 입자 기준량(30g) 이하에 속하는 기준 포집량 각각에 대해 성능 감소 가중치를 맵핑한 데이터를 메모리(36)에 저장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FIG. 6, the case where the reference collection amount [g] is 1, 5, 10, 15, 20, 25, and 30 is exemplified, but the processor 40 is a small particle reference amount (1g) or more and a large particle reference amount (30g) Data obtained by mapping a performance reduction weight for each of the following reference collection amounts may be stored in the memory 36.

즉, 프로세서(40)는 선형 보간(Linear interpolation)을 통해 작은 입자와 큰 입자의 비 각각에 대해 성능 감소 가중치를 맵핑한 데이터를 메모리(36)에 저장할 수 있다.That is, the processor 40 may store, in the memory 36, data obtained by mapping a performance reduction weight for each ratio of a small particle to a large particle through linear interpolation.

프로세서(40)는 공기 청정기(1)를 초기화할 때 먼지 입자 분포에 따라 성능 감소 가중치를 맵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When initializing the air purifier 1, the processor 40 may store data obtained by mapping a performance reduction weight according to a distribution of dust particles.

다시, 도 5를 참고하면, 프로세서(40)는 먼지 입자 분포를 산출할 수 있다(S13).Again, referring to FIG. 5, the processor 40 may calculate a dust particle distribution (S13).

일 예로, 프로세서(40)는 다채널 먼지 센서를 통해 먼지 입자 분포를 산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40)는 다채널 먼지 센서를 통해 입자의 직경이 제1 크기(예를 들어, 0.1㎛) 이상인 먼지의 무게인 제1 무게를 측정하고, 입자의 직경이 제2 크기(예를 들어, 3㎛) 이상인 먼지의 무게인 제2 무게를 측정하고, 먼지 입자 분포로서 작은 입자와 큰 입자의 비인 (제1 무게-제2 무게):(제2 무게)로 획득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processor 40 may calculate a dust particle distribution through a multi-channel dust sensor. Specifically, the processor 40 measures a first weight, which is the weight of dust having a particle diameter of at least a first size (eg, 0.1 μm) through a multi-channel dust sensor, and the particle diameter is a second size (eg For example, a second weight, which is the weight of dust having a size of 3 μm) or more, may be measured and obtained as the ratio of the small particles and the large particles as the dust particle distribution (first weight-second weight):(second weight).

예를 들어, 프로세서(40)는 입자의 직경이 제1 크기(예를 들어, 0.1㎛) 이상인 먼지의 무게 측정시 0.58g을 획득하고, 자의 직경이 제2 크기(예를 들어, 3㎛) 이상인 먼지의 무게 측정시 0.38g을 획득한 경우 먼지 입자 분포로서 작은 입자와 큰 입자의 비인 0.2:0.38=10:19를 획득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processor 40 obtains 0.58g when measuring the weight of dust having a particle diameter equal to or larger than a first size (eg, 0.1 μm), and the ruler diameter is a second size (eg, 3 μm). When 0.38g is obtained when measuring the weight of the above dust, it is possible to obtain 0.2:0.38=10:19, which is the ratio of small particles to large particles as the dust particle distribution.

프로세서(40)는 데이터에서 먼지 입자 분포에 맵핑된 성능 감소 가중치를 획득할 수 있다(S15).The processor 40 may obtain a performance reduction weight mapped to the dust particle distribution from the data (S15).

프로세서(40)는 메모리(36)에 저장된 데이터에서 먼지 입자 분포에 맵핑된 성능 감소 가중치를 획득할 수 있다. 앞에서 든 예시를 다시 참고하면, 프로세서(40)는 먼지 입자 분포를 10:19로 획득시, 먼지 입자 분포 10:19에 맵핑된 성능 감소 가중치 3을 획득할 수 있다.The processor 40 may obtain a performance reduction weight mapped to a dust particle distribution from data stored in the memory 36. Referring back to the above example, when the dust particle distribution is obtained as 10:19, the processor 40 may obtain a performance reduction weight 3 mapped to the dust particle distribution 10:19.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방법으로, 프로세서(40)는 먼지 입자 분포에 따른 성능 감소 가중치를 산출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40)는 필터(22)에 포집된 작은 입자와 큰 입자의 비에 따라 성능 감소 가중치를 상이하게 산출할 수 있다.In a method as shown in FIG. 5, the processor 40 may calculate a performance reduction weight according to the dust particle distribution. That is, the processor 40 may differently calculate the performance reduction weight according to the ratio of the small particles and the large particles collected in the filter 22.

한편, 도 5 및 도 6을 통해 설명한 먼지 입자 분포와 성능 감소 가중치를 맵핑하는 방법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예시로 든 것에 불과하고, 프로세서(40)는 다양한 방법으로 먼지 입자 분포 각각에 대해 성능 감소 가중치를 맵핑한 데이터를 메모리(36)에 저장할 수 있다.Meanwhile, the method of mapping the dust particle distribution and the performance reduction weight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5 and 6 is provided as an example only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d the processor 40 reduces the performance of each dust particle distribution in various ways. Data to which the weights are mapped may be stored in the memory 36.

다시, 도 4를 설명한다.Again, Fig. 4 will be described.

프로세서(40)는 먼지 무게를 산출할 수 있다(S20).The processor 40 may calculate the dust weight (S20).

여기서, 먼지 무게는 먼지 센서(34)를 통해 측정한 먼지의 무게로, 필터(22)에 포집된 입자의 무게를 의미할 수 있다.Here, the dust weight is the weight of dust measured through the dust sensor 34 and may mean the weight of the particles collected in the filter 22.

한편, 실시 예에 따라, 프로세서(40)는 먼지 무게 대신 먼지 농도량을 산출할 수도 있다.Meanwhi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processor 40 may calculate the dust concentration amount instead of the dust weight.

프로세서(40)는 팬 모터(32)의 작동 회전수를 획득할 수 있다(S30).The processor 40 may acquire the number of rotations of the fan motor 32 (S30).

프로세서(40)는 팬 모터(32)를 제어한 신호에 기초하여 팬 모터(32)의 작동 회전수를 획득할 수 있다.The processor 40 may acquire the operating rotation speed of the fan motor 32 based on a signal controlling the fan motor 32.

프로세서(40)는 팬 사용시간을 획득할 수 있다(S40).The processor 40 may acquire the fan usage time (S40).

마찬가지로, 프로세서(40)는 팬 모터(32)를 제어한 신호에 기초하여 팬(33)의 작동시간을 획득할 수 있고, 팬(33)의 작동시간은 팬 사용시간과 동일할 수 있다.Likewise, the processor 40 may obtain an operating time of the fan 33 based on a signal controlling the fan motor 32, and the operating time of the fan 33 may be the same as the fan use time.

프로세서(40)는 필터 성능을 산출할 수 있다(S50).The processor 40 may calculate the filter performance (S50).

프로세서(40)는 아래 수학식 2를 통해 필터 성능을 산출할 수 있다.The processor 40 may calculate the filter performance through Equation 2 below.

[수학식 2][Equation 2]

필터 성능= 직전 성능 - (먼지 무게 * 팬 모터의 작동 회전수 * 팬 사용시간 * 성능 감소 가중치)Filter performance = previous performance-(dust weight * fan motor rotation speed * fan usage time * performance reduction weight)

프로세서(40)는 필터 성능을 처음 산출하는 경우에는 초기 성능을 직전 성능으로 인식할 수 있다. 팬 모터의 작동 회전수와 팬 사용시간의 곱은 풍량 정보로 인식할 수 있다. 성능 감소 가중치는 단계 S10에서 획득한 성능 감소 가중치를 의미할 수 있다.When calculating the filter performance for the first time, the processor 40 may recognize the initial performance as the immediately preceding performance. The product of the fan motor's operating speed and the fan usage time can be recognized as air volume information. The performance reduction weight may mean the performance reduction weight obtained in step S10.

수학식 2와 같은 필터 성능 산출 방법에 따르면, 프로세서(40)는 직전 성능에서 먼지 무게와 팬 모터의 작동 회전수와 팬 사용시간을 곱한 값에 성능 감소 가중치를 곱한 값을 빼는 연산을 통해 먼지 입자 분포를 고려한 필터 성능을 산출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filter performance calculation method shown in Equation 2, the processor 40 subtracts a value obtained by multiplying a value obtained by multiplying a value obtained by multiplying a value obtained by multiplying a value obtained by multiplying a value obtained by multiplying a value obtained by multiplying a value obtained by multiplying the dust weight, the operating rotation speed of the fan motor and the fan usage time from the previous performance, The filter performance considering the distribution can be calculated.

즉, 프로세서(40)는 필터(22)에 포집된 먼지 입자 중 작은 먼지 입자가 큰 먼지 입자 보다 많을수록 성능 감소 가중치를 작게 설정함으로써, 먼지 무게가 동일할 때 작은 먼지 입자가 큰 먼지 입자 보다 많은 경우 큰 먼지 입자가 작은 먼지 입자 보다 많은 경우 보다 필터 성능을 많이 감소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먼지 입자 분포를 고려하여 필터 성능을 보다 정확하게 예측 가능한 이점이 있다.That is, the processor 40 sets the performance reduction weight to be smaller as the smaller dust particles among the dust particles collected in the filter 22 are larger than the larger dust particles, so that when the dust weight is the same, the small dust particles are larger than the larger dust particles. When there are more large dust particles than smaller dust particles, the filter performance can be significantly reduced, and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filter performance can be predicted more accurately in consideration of the dust particle distribution through this.

프로세서(40)는 주기적으로 필터 성능을 산출할 수 있고, 필터 성능이 설정값 이하가 되는 경우 필터(22)의 교체 시기로 판단하고, 출력부(12)를 통해 필터(22)의 교체 시기를 나타내는 알람을 출력할 수 있다. 설정값은 초기 성능의 설정 비율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40)는 초기 성능이 1,000,000 인경우, 필터 성능이 초기 성능의 1/1000인 1,000 이하가 되는 경우 필터(22)의 교체 시기로 판단할 수 있다. The processor 40 may periodically calculate the filter performance, and when the filter performance falls below the set value, it is determined as the replacement time of the filter 22, and the replacement time of the filter 22 through the output unit 12 is determined. You can output the indicated alarm. The set value may be a set ratio of initial performance. For example, when the initial performance is 1,000,000, the processor 40 may determine the replacement time of the filter 22 when the filter performance is 1,000 or less, which is 1/1000 of the initial performance.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be able to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Accordingly,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explain the technical idea,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equivalent thereto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2: 출력부 13: 입력부
32: 팬 모터 33: 팬
34: 먼지 센서 36: 메모리
40: 프로세서
12: output part 13: input part
32: fan motor 33: fan
34: dust sensor 36: memory
40: processor

Claims (9)

필터;
공기가 상기 필터를 통과하도록 팬을 구동시키는 팬 모터;
상기 필터에 포집된 입자를 감지하는 먼지 센서; 및
상기 먼지 센서의 감지 결과와 상기 팬 모터를 제어한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필터의 성능을 산출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필터의 성능을 산출하는 경우 상기 필터에 포집된 입자의 크기 분포에 따라 상기 필터의 성능을 상이하게 산출하는
공기 청정기.
filter;
A fan motor that drives a fan so that air passes through the filter;
A dust sensor detecting particles collected in the filter; And
A processor for calculating the performance of the filter based on a detection result of the dust sensor and a signal controlling the fan motor,
The processor is
When calculating the performance of the filter, the performance of the filter is calculat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size distribution of particles collected in the filter.
air clean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필터에 포집된 입자의 양이 동일한 경우, 상기 필터에 포집된 입자 중 직경이 기준값 미만인 작은 입자가 상기 직경이 기준값 이상인 큰 입자 보다 많은 경우의 제1 필터 성능을 상기 작은 입자가 상기 큰 입자 보다 적은 경우의 제2 필터 성능 보다 낮게 산출하는
공기 청정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processor is
When the amount of particles collected in the filter is the same, the first filter performance when the small particles having a diameter less than the reference value among the particles collected in the filter are larger than the larger particles having the diameter more than the reference value, the small particles are better than the larger particles. Less than the second filter performance
air clean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먼지 센서는 다채널 먼지센서이고,
상기 다채널 먼지센서는
제1 채널을 통해 입자의 직경이 제1 크기 이상인 먼지의 양을 감지하고, 제2 채널을 통해 입자의 직경이 제1 크기 보다 큰 제2 크기 이상인 먼지의 양을 감지하는
공기 청정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dust sensor is a multi-channel dust sensor,
The multi-channel dust sensor
The first channel detects the amount of dust having a particle diameter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first size, and the second channel detects the amount of dust having a particle diameter greater than the first size.
air cleaner.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채널을 통해 감지한 먼지의 양과 상기 제2 채널을 통해 감지한 먼지의 양의 차와 상기 제2 채널을 통해 감지한 먼지의 양에 기초하여 상기 필터에 포집된 입자의 크기 분포를 획득하는
공기 청정기.
The method of claim 3,
The processor is
The size distribution of the particles collected in the filter is obtained based 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amount of dust detected through the first channel and the amount of dust detected through the second channel and the amount of dust detected through the second channel. doing
air cleaner.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입자의 크기 분포에 따라 성능 감소 가중치를 맵핑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하는
공기 청정기.
The method of claim 4,
Further comprising a memory for storing data obtained by mapping the performance reduction weight according to the size distribution of the particles.
air cleaner.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입자의 크기 분포에 기초하여 상기 메모리에서 성능 감소 가중치를 상이하게 획득하고, 상기 필터의 성능을 산출시 상기 성능 감소 가중치에 기초하여 필터의 성능을 감소시키는
공기 청정기.
The method of claim 5,
The processor is
Obtaining a performance reduction weight differently from the memory based on the particle size distribution, and reducing the performance of the filter based on the performance reduction weight when calculating the performance of the filter
air clean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직전 성능에서 상기 필터에 포집된 입자의 무게와 상기 팬 모터의 작동 회전수와 상기 팬의 작동시간과 상기 입자의 크기 분포에 따른 계수를 곱한 값을 빼는 연산을 통해 상기 필터의 성능을 산출하는
공기 청정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processor is
The performance of the filter is calculated by subtracting a value obtained by multiplying the weight of the particles collected in the filter from the previous performance, the number of rotations of the fan motor, the operating time of the fan, and a coefficient according to the size distribution of the particles.
air clean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필터의 성능이 기 설정된 설정값 이하가 되는 경우 상기 필터의 교체 시기로 판단하는
공기 청정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processor is
When the performance of the filter falls below a preset value, it is determined as the replacement time of the filter.
air cleaner.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의 교체 시기를 나타내는 알람을 출력하는 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공기 청정기.
The method of claim 8,
Further comprising an output for outputting an alarm indicating the replacement time of the filter
air cleaner.
KR1020190024943A 2019-03-04 2019-03-04 Air cleaner and method of calculating filter performance thereof KR20200106416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4943A KR20200106416A (en) 2019-03-04 2019-03-04 Air cleaner and method of calculating filter performance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4943A KR20200106416A (en) 2019-03-04 2019-03-04 Air cleaner and method of calculating filter performance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6416A true KR20200106416A (en) 2020-09-14

Family

ID=724714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4943A KR20200106416A (en) 2019-03-04 2019-03-04 Air cleaner and method of calculating filter performance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06416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20965A1 (en) * 2021-12-20 2023-06-29 삼성전자주식회사 Air purifier and control method therefo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20965A1 (en) * 2021-12-20 2023-06-29 삼성전자주식회사 Air purifier and control method therefo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6058B1 (en) Artificial intelligence Air condition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6491767B2 (en) Air cleaner
KR102401660B1 (en) Air condition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00089605A (en) Method of determining exchange time of aircleaner filter
CN112168065B (en) Method, device,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for determining blockage of air duct in cleaning equipment
KR102321002B1 (en) Air clean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6725213B2 (en) Air cleaner
JP4366776B2 (en) air purifier
KR101927587B1 (en) Air cleaner and method for judging time for cleaning or changing of air cleaner filter
JP4756888B2 (en) Air cleaner
JP5991893B2 (en) Filter device and air conditioner
KR20200106416A (en) Air cleaner and method of calculating filter performance thereof
KR20100019824A (en) Air clean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5800617B2 (en) Air cleaner
JPH08318117A (en) Air purifier
JP2015232433A (en) Air cleaner
KR20060112755A (en) Air cleaner
JP3404223B2 (en) air purifier
KR20090113697A (en) Air cleaner
JP3843653B2 (en) Air conditioner
US20200179858A1 (en) Device and method for determining the pollution status of a particle filter in an air-cleaning device
JP3331923B2 (en) Odor detector and air purifier
JPH0636879B2 (en) Air cleaner
JPH0577757U (en) Photoelectric dust sensor device
JP3707225B2 (en) air purifi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