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01187A - 전자 장치에서 사용자 입력을 위한 피드백 제공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전자 장치에서 사용자 입력을 위한 피드백 제공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01187A
KR20200101187A KR1020190019487A KR20190019487A KR20200101187A KR 20200101187 A KR20200101187 A KR 20200101187A KR 1020190019487 A KR1020190019487 A KR 1020190019487A KR 20190019487 A KR20190019487 A KR 20190019487A KR 20200101187 A KR20200101187 A KR 202001011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area
fingerprint recognition
electronic device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94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형민
곽상헌
김보원
김현호
이재명
좌연주
오영학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194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01187A/ko
Priority to PCT/KR2020/002319 priority patent/WO2020171543A1/ko
Priority to US17/431,938 priority patent/US20210382615A1/en
Publication of KR202001011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118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2Fingerprints or palmprints
    • G06V40/13Sensors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3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associated to a digitizer, e.g. laptops that can be used as penp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2User authentication using biometric data, e.g. fingerprints, iris scans or voicepri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7Interaction techniques to control parameter settings, e.g. interaction with sliders or di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9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dedicated keyboard keys or combinations thereof
    • G06F3/04895Guidance during keyboard input operation, e.g. prompting
    • G06K9/00006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2Fingerprints or palmpri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33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33
    • G06F2203/0338Fingerprint track pad, i.e. fingerprint sensor used as pointing device tracking the fingertip im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다양한 실시예들은 전자 장치에서 사용자 입력(예: 지문(fingerprint) 입력)에 관련된 피드백(feedback)을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하여 개시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디스플레이, 터치 센서, 상기 디스플레이의 아래에 배치되는 지문 인식 센서,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터치 센서에 기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에서 상기 지문 인식 센서가 포함된 지문 인식 영역에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고, 상기 지문 인식 센서에 기반하여, 상기 사용자 입력에 따른 지문 인식을 수행하고, 상기 지문 인식을 수행하는 동안, 상기 사용자 입력에 관련된 그래픽 효과를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전자 장치에서 사용자 입력을 위한 피드백 제공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FEEDBACK FOR USER INPUT IN ELECTRONIC DEVICE}
다양한 실시예들은 전자 장치에서 사용자 입력(예: 지문(fingerprint) 입력)을 가이드 하기 위한 피드백(feedback)을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하여 개시한다.
최근 전자 장치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 수신, 또는 통화(call) 기능과 같은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이러한 전자 장치는 디스플레이(display)를 구비하며, 디스플레이에 기반하여 기능들에 관련된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전자 장치에서 다양한 기능의 실행이 가능해 짐에 따라, 전자 장치에는 사용자의 사생활과 관련된 정보, 및/또는 보안을 필요로 하는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에는 연락처, 통화내역, 또는 메시지와 같은 정보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위치 정보, 메모 정보, 사진, 또는 금융 거래 정보와 같이 다양한 프라이버시 정보(privacy information)(또는 개인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따라서 전자 장치는 복합 기능에 의해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반면, 사용자의 프라이버시 정보를 저장하고 있으므로, 사생활 노출, 개인정보 유출, 또는 보안에 취약할 수 있다.
최근 전자 장치는 사용자의 프라이버시 정보 또는 사생활 보호를 위해 다양한 보안 기능을 제공하고 있으며, 각 전자 장치마다 사용자 고유의 인증 수단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보안 기능 중에는 지문 인식 방법이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지문 인식 방법은 소형 전자 장치에 구현하기 용이하고 비교적 정확도 및 보안성이 높은 장점이 있어, 전자 장치의 인증 수단으로 많이 적용되고 있다.
전자 장치는 지문 인식 센서(fingerprint scan sensor, 또는 fingerprint reader)를 이용하여 지문을 인식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전자 장치의 전기적 또는 기계적 입력 장치의 일부분에 지문 인식 센서를 내장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지문을 입력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는 전자 장치의 하단의 기계적 입력 장치인 물리 버튼(physical button)(예: 홈 버튼(home button) 또는 홈키(home key)) 또는 전자 장치의 후의 별도의 물리 버튼을 통해 지문 인식 센서를 내장하여, 해당 물리 버튼을 통해 지문을 인식할 수 있다. 최근 전자 장치는 전기적 입력 장치인 디스플레이 내부에 지문 인식 센서를 내장하는 추세에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는 디스플레이 뒷면(예: 디스플레이 패널 하단)에 지문 인식 센서를 내장하고, 디스플레이 앞면(예: 디스플레이 면(또는 화면)) 상에 닿은(또는 터치된) 지문을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는 그 형태에 따라 버튼 형태의 지문 인식 센서 및/또는 디스플레이 지문 인식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는, 디스플레이 지문 인식 센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에서 디스플레이 상에서 지문 인식(예: FOD(fingerprint on display) 또는 in-display fingerprint)(이하, ‘디스플레이 지문 인식’이라 한다) 기능을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하여 개시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는, 전자 장치에서 디스플레이 지문 인식 기능을 제공할 때, 사용자의 지문 입력을 가이드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하여 개시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는, 전자 장치에서 디스플레이 지문 인식 기능을 제공할 때, 사용자의 지문을 인식하는 동안, 사용자에게 지문 인식에 대한 그래픽 효과에 기반하여, 사용자의 지문 입력에 상호작용하는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하여 개시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는, 전자 장치에서 디스플레이 지문 인식에 관련된 그래픽 효과를 제공할 때, 사용자 입력에 따라 터치된 터치 영역(예: 사용자의 손가락 터치로 인하여 사용자 시야에서 가려지는 영역)은 예외 처리하고, 나머지 영역에 기반하여 그래픽 효과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하여 개시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는, 전자 장치에서 디스플레이 지문 인식 기능을 수행할 때, 사용자 입력에 따른 터치 영역이 제외된 영역에 기반하여, 그래픽 효과를 위한 그래픽 객체를 제공하거나, 또는 터치 영역에 포함된 그래픽 객체를 이동하여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하여 개시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디스플레이, 터치 센서, 상기 디스플레이의 아래에 배치되는 지문 인식 센서,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터치 센서에 기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에서 상기 지문 인식 센서가 포함된 지문 인식 영역에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고, 상기 지문 인식 센서에 기반하여, 상기 사용자 입력에 따른 지문 인식을 수행하고, 상기 지문 인식을 수행하는 동안, 상기 사용자 입력에 관련된 그래픽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은, 터치 센서에 기반하여, 디스플레이에서 지문 인식 센서가 포함된 지문 인식 영역에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는 동작, 상기 지문 인식 센서에 기반하여, 상기 사용자 입력에 따른 지문 인식을 수행하는 동작, 상기 지문 인식을 수행하는 동안, 상기 사용자 입력에 관련된 그래픽 효과를 제공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방법을 프로세서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내부에 지문 인식 센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를 제공하며, 디스플레이 앞면(예: 디스플레이 면(또는 화면)) 상에 닿은(또는 터치된) 지문을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지문 인식 센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에서 디스플레이 상에서 지문 인식(예: FOD(fingerprint on display) 또는 in-display fingerprint)(이하, ‘디스플레이 지문 인식’이라 한다)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에서 디스플레이 지문 인식 기능을 제공할 때, 사용자의 지문 입력을 가이드를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에서 디스플레이 지문 인식에 관련된 그래픽 효과를 제공할 때, 사용자 입력에 따라 터치된 터치 영역(예: 사용자의 손가락 터치로 인하여 사용자 시야에서 가려지는 영역)은 예외 처리하고, 나머지 영역에 기반하여 그래픽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에서 디스플레이 지문 인식 기능을 제공할 때, 사용자 입력에 따른 터치 영역이 제외된 영역에 기반하여, 그래픽 효과를 위한 그래픽 객체를 제공하거나, 또는 터치 영역에 포함된 그래픽 객체를 이동하여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에서 디스플레이 지문 인식 기능을 제공할 때, 사용자의 지문을 인식하는 동안, 사용자에게 지문 인식에 대한 그래픽(또는 시각적) 효과에 기반하여, 사용자의 지문 입력에 상호작용하는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에서 지문 인식을 지원하기 위한 최적의 환경을 구현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하고, 전자 장치의 사용성 및 편의성을 향상할 수 있다.
도 1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 내의 전자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a 및 도 3b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1)에서 지문 인식 센서의 사용 시나리오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들이다.
도 4 및 도 5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지문 인식을 위한 손가락 터치의 예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하는 도면들이다.
도 6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1)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1)의 동작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8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1)에서 그래픽 효과를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0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그래픽 효과를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그래픽 효과를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3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터치가 감지된 영역을 식별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4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5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그래픽 효과를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6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그래픽 효과를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7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8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그래픽 효과를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9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그래픽 효과를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0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그래픽 효과를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100) 내의 전자 장치(101)의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네트워크 환경(100)에서 전자 장치(101)는 제1 네트워크(198)(예: 근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자 장치(102)와 통신하거나, 또는 제2 네트워크(199)(예: 원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8)와 통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서버(108)를 통하여 전자 장치(104)와 통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프로세서(120), 메모리(130), 입력 장치(150), 음향 출력 장치(155), 표시 장치(160), 오디오 모듈(170), 센서 모듈(176), 인터페이스(177), 햅틱 모듈(179), 카메라 모듈(180), 전력 관리 모듈(188), 배터리(189), 통신 모듈(190), 가입자 식별 모듈(196), 또는 안테나 모듈(197)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전자 장치(101)에는, 이 구성 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예: 표시 장치(160) 또는 카메라 모듈(180))가 생략되거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 요소가 추가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이 구성 요소들 중 일부들은 하나의 통합된 회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센서 모듈(176)(예: 지문 센서, 홍채 센서, 또는 조도 센서)은 표시 장치(160)(예: 디스플레이)에 임베디드(embedded)된 채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예를 들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를 실행하여 프로세서(120)에 연결된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 요소(예: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 요소)를 제어할 수 있고, 다양한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의 적어도 일부로서, 프로세서(120)는 다른 구성 요소(예: 센서 모듈(176) 또는 통신 모듈(190))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휘발성 메모리(volatile memory)(132)에 로드(load)하고, 휘발성 메모리(132)에 저장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처리하고, 결과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non-volatile memory)(134)에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메인 프로세서(121)(예: 중앙 처리 장치(CPU, central processing unit)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 application processor)), 및 이와는 독립적으로 또는 함께 운영 가능한 보조 프로세서(123)(예: 그래픽 처리 장치(GPU, graphic processing unit),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ISP, image signal processor), 센서 허브 프로세서(sensor hub processor),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CP, communication processor))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보조 프로세서(123)는 메인 프로세서(121)보다 저전력을 사용하거나, 또는 지정된 기능에 특화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보조 프로세서(123)는 메인 프로세서(121)와 별개로, 또는 그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보조 프로세서(123)는, 예를 들면, 메인 프로세서(121)가 인액티브(inactive)(예: 슬립(sleep))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121)를 대신하여, 또는 메인 프로세서(121)가 액티브(active)(예: 어플리케이션 실행)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121)와 함께, 전자 장치(101)의 구성 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예: 표시 장치(160), 센서 모듈(176), 또는 통신 모듈(190))과 관련된 기능 또는 상태들의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보조 프로세서(123)(예: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는 기능적으로 관련 있는 다른 구성 요소(예: 카메라 모듈(180) 또는 통신 모듈(190))의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130)는,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예: 프로세서(120) 또는 센서 모듈(176))에 의해 사용되는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 및, 이와 관련된 명령에 대한 입력 데이터 또는 출력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30)는, 휘발성 메모리(132)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134)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140)은 메모리(130)에 소프트웨어로서 저장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운영 체제(OS, operating system)(142), 미들웨어(middleware)(144) 또는 어플리케이션(146)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 장치(150)는, 전자 장치(101)의 구성 요소(예: 프로세서(120))에 사용될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전자 장치(101)의 외부(예: 사용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입력 장치(150)는, 예를 들면, 마이크, 마우스, 키보드, 또는 디지털 펜(예: 스타일러스 펜)을 포함할 수 있다.
음향 출력 장치(155)는 음향 신호를 전자 장치(101)의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장치(155)는, 예를 들면, 스피커(speaker) 또는 리시버(receiver)를 포함할 수 있다. 스피커는 멀티미디어 재생 또는 녹음 재생과 같이 일반적인 용도로 사용될 수 있고, 리시버는 착신 전화를 수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리시버는 스피커와 별개로, 또는 그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표시 장치(160)는 전자 장치(101)의 외부(예: 사용자)로 정보를 시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표시 장치(160)는,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홀로그램 장치, 또는 프로젝터 및 해당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표시 장치(160)는 터치를 감지하도록 설정된 터치 회로(touch circuitry), 또는 상기 터치에 의해 발생되는 힘의 세기를 측정하도록 설정된 센서 회로(예: 압력 센서(pressure sensor))를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모듈(170)은 소리를 전기 신호로 변환시키거나, 반대로 전기 신호를 소리로 변환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오디오 모듈(170)은, 입력 장치(150)를 통해 소리를 획득하거나, 음향 출력 장치(155), 또는 전자 장치(101)와 직접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예: 스피커 또는 헤드폰))를 통해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센서 모듈(176)은 전자 장치(101)의 작동 상태(예: 전력 또는 온도), 또는 외부의 환경 상태(예: 사용자 상태)를 감지하고, 감지된 상태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 또는 데이터 값을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센서 모듈(176)은, 예를 들면, 제스처 센서(gesture sensor), 자이로 센서(gyro sensor), 기압 센서(barometer sensor), 마그네틱 센서(magnetic sensor),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그립 센서(grip sensor), 근접 센서(proximity sensor), 컬러 센서(color sensor)(예: RGB(red, green, blue) 센서), IR(infrared) 센서, 생체 센서(biometric sensor), 온도 센서(temperature sensor), 습도 센서(humidity sensor), 또는 조도 센서(illuminance sensor)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177)는 전자 장치(101)의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와 직접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지정된 프로토콜(protocol)들을 지원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터페이스(177)는, 예를 들면,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USB(universal serial bus) 인터페이스, SD(secure digital) 카드 인터페이스, 또는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 단자(connection terminal)(178)는, 그를 통해서 전자 장치(101)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와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연결 단자(178)는, 예를 들면, HDMI 커넥터, USB 커넥터, SD 카드 커넥터, 또는 오디오 커넥터(예: 헤드폰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179)은 전기적 신호를 사용자가 촉각 또는 운동 감각을 통해서 인지할 수 있는 기계적인 자극(예: 진동 또는 움직임) 또는 전기적인 자극으로 변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햅틱 모듈(179)은, 예를 들면, 모터(motor), 압전 소자(piezoelectric element), 또는 전기 자극 장치(electrical stimulation device)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80)은 정지 영상 및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카메라 모듈(180)은 하나 이상의 렌즈들, 이미지 센서들,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들, 또는 플래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전력 관리 모듈(188)은 전자 장치(101)에 공급되는 전력을 관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력 관리 모듈(188)은, 예를 들면, PMIC(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의 적어도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배터리(189)는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배터리(189)는, 예를 들면, 재충전 불가능한 1차 전지, 재충전 가능한 2차 전지 또는 연료 전지(fuel cell)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190)은 전자 장치(101)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8)) 간의 직접(예: 유선) 통신 채널 또는 무선 통신 채널의 수립, 및 수립된 통신 채널을 통한 통신 수행을 지원할 수 있다. 통신 모듈(190)은 프로세서(120)(예: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와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직접(예: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하나 이상의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 모듈(190)은 무선 통신 모듈(192)(예: 셀룰러 통신 모듈,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또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통신 모듈) 또는 유선 통신 모듈(194)(예: LAN(local area network) 통신 모듈, 또는 전력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통신 모듈 중 해당하는 통신 모듈은 제1 네트워크(198)(예: 블루투스, Wi-Fi direct 또는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같은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 또는 제2 네트워크(199)(예: 셀룰러 네트워크, 인터넷, 또는 컴퓨터 네트워크(예: LAN 또는 WAN(wide area network))와 같은 원거리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외부 전자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이런 여러 종류의 통신 모듈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예: 단일 칩)로 통합되거나, 또는 서로 별도의 복수의 구성 요소들(예: 복수 칩들)로 구현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192)은 가입자 식별 모듈(196)에 저장된 가입자 정보(예: 국제 모바일 가입자 식별자(IMSI, 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ty))를 이용하여 제1 네트워크(198) 또는 제2 네트워크(199)와 같은 통신 네트워크 내에서 전자 장치(101)를 확인 및 인증할 수 있다.
안테나 모듈(197)은 신호 또는 전력을 외부(예: 외부 전자 장치)로 송신하거나 외부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안테나 모듈(197)은 서브스트레이트(예: PCB) 위에 형성된 도전체 또는 도전성 패턴으로 이루어진 방사체를 포함하는 하나의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안테나 모듈(197)은 복수의 안테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제1 네트워크(198) 또는 제2 네트워크(199)와 같은 통신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통신 방식에 적합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가, 예를 들면, 통신 모듈(190)에 의하여 상기 복수의 안테나들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신호 또는 전력은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를 통하여 통신 모듈(190)과 외부 전자 장치 간에 송신되거나 수신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 따르면, 방사체 이외에 다른 부품(예: RFIC)가 추가로 안테나 모듈(197)의 일부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성 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주변 기기들간 통신 방식(예: 버스, GPIO(general purpose input and output), SPI(serial peripheral interface), 또는 MIPI(mobile industry processor interface))를 통해 서로 연결되고, 신호(예: 명령 또는 데이터)를 상호 간에 교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명령 또는 데이터는 제2 네트워크(199)에 연결된 서버(108)를 통해서 전자 장치(101)와 외부의 전자 장치(104) 간에 송신 또는 수신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2, 104) 각각은 전자 장치(101)와 동일한 또는 다른 종류의 장치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에서 실행되는 동작들의 전부 또는 일부는 외부 전자 장치들(102, 104 또는 108) 중 하나 이상의 외부 장치들에서 실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1)가 어떤 기능이나 서비스를 자동으로, 또는 사용자 또는 다른 장치로부터의 요청에 반응하여 수행해야 할 경우에, 전자 장치(101)는 기능 또는 서비스를 자체적으로 실행시키는 대신에 또는 추가적으로, 하나 이상의 외부 전자 장치들(102, 104)에게 그 기능 또는 그 서비스의 적어도 일부를 수행하라고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요청을 수신한 하나 이상의 외부 전자 장치들(102, 104)은 요청된 기능 또는 서비스의 적어도 일부, 또는 상기 요청과 관련된 추가 기능 또는 서비스를 실행하고, 그 실행의 결과를 전자 장치(101)로 전달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상기 결과를, 그대로 또는 추가적으로 처리하여,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의 적어도 일부로서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예를 들면, 클라우드 컴퓨팅(cloud computing), 분산 컴퓨팅(distributed computing), 또는 클라이언트-서버 컴퓨팅(client-server computing) 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1)는 다양한 형태의 장치가 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예를 들면, 휴대용 통신 장치(예: 스마트폰),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 휴대용 의료 기기, 카메라, 웨어러블 장치(wearable device), 또는 가전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1)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적 특징들을 특정한 실시예들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s), 균등물(equivalents), 또는 대체물(alternatives)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또는 관련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아이템에 대응하는 명사의 단수 형은 관련된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지시하지 않는 한, 상기 아이템 한 개 또는 복수 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 "A, B 또는 C",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 및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와 같은 문구들 각각은 그 문구들 중 해당하는 문구에 함께 나열된 항목들 중 어느 하나, 또는 그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제2", 또는 "첫째" 또는 "둘째"와 같은 용어들은 단순히 해당 구성 요소를 다른 해당 구성 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해당 구성 요소들을 다른 측면(예: 중요성 또는 순서)에서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예: 제1) 구성 요소가 다른(예: 제2) 구성 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라는 용어와 함께 또는 이런 용어 없이, “커플드” 또는 “커넥티드”라고 언급된 경우, 그것은 상기 어떤 구성 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예: 유선으로), 무선으로, 또는 제3 구성 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 "모듈"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firmware)로 구현된 유닛(unit)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로직(logic), 논리 블록(logic block), 부품(component), 또는 회로(circuit)와 같은 용어와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상기 부품의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듈은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기기(machine)(예: 전자 장치(101))에 의해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storage medium)(예: 내장 메모리(136) 또는 외장 메모리(138))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instructions)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로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기(예: 전자 장치(101))의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20))는, 저장 매체로부터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 중 적어도 하나의 명령을 호출하고, 그것을 실행할 수 있다. 이것은 기기가 상기 호출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운영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은 컴파일러(compiler) 생성된 코드 또는 인터프리터(interpreter)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코드(code)를 포함할 수 있다.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 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은 저장 매체가 실재(tangible)하는 장치이고, 신호(signal)(예: 전자기파)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할 뿐이며, 이 용어는 데이터가 저장 매체에 반영구적으로 저장되는 경우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경우를 구분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 CD-ROM,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의 형태로 배포되거나,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TM)를 통해 또는 두 개의 사용자 장치들(예: 스마트폰들) 간에 직접, 온라인으로 배포(예: 다운로드 또는 업로드)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기술한 구성 요소들의 각각의 구성 요소(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는 단수 또는 복수의 개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술한 해당 구성 요소들 중 하나 이상의 구성 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 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대체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복수의 구성 요소들(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은 하나의 구성 요소로 통합될 수 있다. 이런 경우, 통합된 구성 요소는 상기 복수의 구성 요소들 각각의 구성 요소의 하나 이상의 기능들을 상기 통합 이전에 상기 복수의 구성 요소들 중 해당 구성 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모듈, 프로그램 또는 다른 구성 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으로, 병렬적으로, 반복적으로, 또는 휴리스틱(heuristic)하게 실행되거나, 상기 동작들 중 하나 이상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서술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는 전자 장치(101)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1)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1)(예: 도 1의 전자 장치(101))는, 하우징(210), 디스플레이(220)(예: 도 1의 표시 장치(160)), 음향 출력 장치(230)(예: 도 1의 음향 출력 장치(155)), 센서 모듈(260)(예: 도 1의 센서 모듈(176)), 카메라 모듈(270)(예: 도 1의 카메라 모듈(180)), 키 입력 장치(280)(예: 도 1의 입력 장치(150)), 인디케이터(290), 및 지문 인식 센서(200)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상기 전자 장치(101)는, 구성 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예: 키 입력 장치(280), 또는 인디케이터(290))를 생략하거나 다른 구성 요소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우징(210)은 전자 장치(101)를 둘러싸는 외부 부분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하우징(210)은 제1 면(또는 앞면), 제1 면과 마주보는 제2 면(또는 후면), 및 제1 면과 제2 면 사이의 공간을 둘러싸는 측면(예: 측면 부재)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면은 적어도 일부분이 실질적으로 투명한 전면 플레이트(예: 다양한 코팅 레이어들을 포함하는 글라스 플레이트, 또는 폴리머 플레이트)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면은 실질적으로 불투명한 후면 플레이트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후면 플레이트는, 예를 들어, 코팅 또는 착색된 유리, 세라믹, 폴리머, 금속(예: 알루미늄,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마그네슘), 또는 상기 물질들 중 적어도 둘의 조합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측면은, 전면 플레이트 및 후면 플레이트와 결합하며, 금속 및/또는 폴리머를 포함하는 측면 베젤 구조(또는 측면 부재)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220)는, 예를 들어, 하우징(210)의 제1 면(예: 전면 플레이트)에 배치되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220)는, 터치 감지 회로(또는 터치 센서), 터치의 세기(압력)를 측정할 수 있는 압력 센서, 및/또는 자기장 방식의 스타일러스 펜을 검출하는 디지타이저와 결합되거나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22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또는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와 같은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220)는 프로세서(예: 도 1의 프로세서(120))의 제어에 기반하여 다양한 영상(예: 동영상 및/또는 정지 영상)을 표시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220) 상의 다양한 외부 객체(예: 사람의 손)에 의한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220)는 다양한 외부 객체에 의한 입력을 수신하기 위해서 터치 센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220)의 디스플레이 패널과 독립적인 레이어로 구성되거나, 디스플레이 패널과 같이 통합된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외부 객체와 디스플레이(220)가 직접적으로 접촉함으로써 구현되는 터치인 접촉 터치 입력 또는 외부 객체와 디스플레이(220)가 접촉하지는 않으나, 근접(예: 호버링)함으로써 구현되는 터치인 근접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센서 모듈(204)의 적어도 일부, 및/또는 키 입력 장치(217)의 적어도 일부가, 디스플레이(220)의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음향 출력 장치(230)는 스피커들을 포함할 수 있다. 스피커들은, 외부 스피커(미도시) 및 통화용 리시버(230)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마이크, 스피커들 및 커넥터(미도시)들은 전자 장치(101)의 하우징(210)에 의해 형성되는 일 공간에 배치되고, 하우징(210)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홀(또는 오프닝)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센서 모듈(260)은, 전자 장치(101)의 내부의 작동 상태, 또는 외부의 환경 상태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 또는 데이터 값을 생성할 수 있다. 센서 모듈(260)은, 예를 들어, 하우징(210)의 제1 면에 배치된 제1 센서 모듈(240)(예: 근접 센서) 및/또는 제2 센서 모듈(250)(예: 조도 센서), 및/또는 하우징(210)의 제2 면에 배치된 제3 센서 모듈(미도시)(예: HRM 센서)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센서 모듈(240)(예: 근접 센서)은 전자 장치(101)에 근접하는 외부 객체를 감지할 수 있다. 제1 센서 모듈(240)은 적외선을 발광하는 발광부(241) 및 외부 객체에 의해 반사된 적외선을 수신하는 수광부(243)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제2 센서 모듈(250)(예: 조도 센서)은 전자 장치(101)의 주변(또는 주위) 영역의 조도(illumination)를 측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카메라 모듈(270)은, 전자 장치(101)의 제1 면에 배치된 제1 카메라 장치(270), 및/또는 제2 면에 배치된 제2 카메라 장치(미도시), 및/또는 플래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장치(270)는, 하나 또는 복수의 렌즈들, 이미지 센서, 및/또는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플래시는, 예를 들어, 발광 다이오드 또는 제논 램프(xenon lamp)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2개 이상의 렌즈들(예: 광각 및 망원 렌즈) 및 이미지 센서들이 전자 장치(101)의 한 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키 입력 장치(280)는, 하우징(210)의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전자 장치(101)는 키 입력 장치(280)들 중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고, 포함되지 않은 키 입력 장치(280)는 디스플레이(220) 상에 소프트 키 등 다른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키 입력 장치(280)는 디스플레이(220)에 포함된 터치 센서 및/또는 압력 센서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디케이터(290)는, 예를 들어, 하우징(210)의 제1 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인디케이터(290)는,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의 상태 정보를 광 형태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인디케이터(206)는 LED 상태 표시등(pilot lamp)(또는 indicating lamp)으로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인디케이터(290)는, 예를 들어, 카메라 모듈(270)의 동작과 연동되는 광원을 제공할 수 있다. 인디케이터(290)는, 예를 들어, LED, IR LED 및 제논 램프와 같은 발광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전자 장치(101)는 입력 장치(미도시) 및/또는 커넥터 홀(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 장치는 소리의 방향을 감지할 수 있도록 배치되는 복수개의 마이크를 포함할 수 있다. 커넥터 홀은, 외부 전자 장치와 전력 및/또는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커넥터(예: USB 커넥터)를 수용할 수 있는 제1 커넥터 홀, 및/또는 외부 전자 장치와 오디오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커넥터를 수용할 수 있는 제2 커넥터 홀(또는 이어폰 잭)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도시되지 않은 센서 모듈(예: 도 1의 센서 모듈(176)), 예를 들어, 제스처 센서, 자이로 센서, 기압 센서, 마그네틱 센서, 가속도 센서, 그립 센서, 컬러 센서, IR(infrared) 센서, 생체 센서, 온도 센서, 또는 습도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의 디스플레이(220)는 제1 면 상에서 차지하는 영역을 증가하는 디자인(예: 베젤리스 디스플레이)으로 구현될 수 있고, 제1 면 상에 배치된 다양한 부품(예: 제1 센서 모듈(240), 및/또는 제2 센서 모듈(250))을 디스플레이(220)와 제2 면 사이에 배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근접 센서 및/또는 조도 센서는 디스플레이(220)와 제2 면 사이(또는, 디스플레이(220)의 하부(예: 언더 패널(under panel))에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디스플레이(220) 상에서 지문 인식(예: FOD(fingerprint on display) 또는 in-display fingerprint)(이하, ‘디스플레이 지문 인식’이라 한다)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2에 예시한 바와 같이, 전자 장치(101)는 디스플레이(220)와 제2 면 사이(또는, 디스플레이(220)의 하부(예: 언더 패널))(또는 하우징(210)이 형성하는 공간)의 일부에 지문 인식 센서(200)(예: 디스플레이 지문 인식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지문 인식 센서(200)는 전자 장치(101)의 전면(예: 제1 면)에 위치되는 디스플레이(220)와 제2 면 사이(또는, 디스플레이(220)의 하부(예: 언더 패널(under panel))에 배치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미도시)에서는, 지문 인식 센서(200)는, 하우징(210)의 제1 면에 위치되는 디스플레이(220)의 하단의 별도의 버튼(예: 물리적 홈 버튼), 및/또는 제2 면의 일부 영역의 별도의 버튼에 배치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미도시)에서는, 전자 장치(101)는 디스플레이 지문 인식 센서와 함께, 버튼 형태의 지문 인식 센서를 더 포함하여 구현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미도시)에서는, 지문 인식 센서(200)는, 디스플레이(220)의 전체 면(예: 전면적)에 대응하는 면적을 가지도록(예: 디스플레이(220)의 전체 면을 통해 지문 인식을 지원할 수 있는) 전면적 지문 인식 센서를 포함하여 구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지문 인식 센서(200)에 기반하여 디스플레이 지문 인식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지문 인식은 디스플레이(220) 뒷면(예: 언더 패널)에 지문 인식 센서(200)가 배치되어, 지문 인식 센서(200)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1)는 디스플레이 뒷면(예: 디스플레이 패널 하단)에 지문 인식 센서(200)를 내장하고, 디스플레이 앞면(예: 디스플레이 면(또는 화면)) 상에 닿은(또는 터치된) 지문을 인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지문 인식 센서(200)는 광학식 방식, 초음파 방식, 및/또는 정전용량 방식(또는 반도체 방식)의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광학식 방식은 가시광선에 반사된 지문 이미지(또는 영상)을 획득하는 방식일 수 있다. 초음파 방식은 초음파검사 원리를 사용하여 지문 이미지를 획득하는 방식일 수 있다. 정전용량 방식은 전기 용량의 차이를 이용하여 지문 이미지를 획득하는 방식일 수 있다. 예를 들면, 광학식 방식은 빛을 플래튼(platen)에 비추고, 플래튼에 얹혀진 손 끝의 지문 형태에 따라 반사되는 지문의 이미지를 인식하는 방식이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반도체 방식은 피부의 전기 전도 특성을 이용해 칩 표면에 직접 손 끝을 접촉시키면 칩 표면에 접촉된 지문의 특수한 모양을 전기 신호로 읽어 들이는 방식으로, 생체학적 특징을 이용하는 방식이 될 수 있다. 일 실시예들에 따라, 지문 인식 센서(200)는 터치 센서 타입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터치 센서는 지문의 골(valley)과 산(ridge)의 크기 및 간격보다 작은 간격으로 전극들을 배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지문 인식 센서(200)는 스와이프 타입(swipe type) 또는 고정영역 타입(area type)으로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스와이프 타입은 지문 인식 센서(200)의 위치를 손가락으로 드래그하는 방법으로, 1차원 또는 선형으로 배치된 센서 전극에서 드래그되는 손가락(즉, 지문)을 순차적으로 인식한 뒤, 후 처리를 통해 2차원의 지문 이미지로 합성하는 방식일 수 있다. 예를 들면, 고정영역 타입은 2차원으로 배치된 센서에 손가락을 대고 있는 동안 2차원 지문 이미지를 얻는 방식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지문을 인식하기 위한 터치 센서는 전극이 1차원 또는 2차원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디스플레이(220)는 지문 인식 센서(200)(예: 디스플레이 지문 인식 센서)의 지문 입력 위치(또는 지문 인식 센서(200)가 배치된 위치)를 가이드 하기 위한 인디케이팅 객체(indicating object)(예: 지문 이미지 객체 및/또는 안내 텍스트)를, 디스플레이(220) 상에서 지문 인식 센서(200)가 배치된 해당 영역을 통해 제공(또는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20)는 지문 입력을 필요로 하는 상황에서, 지문 입력을 사용자에게 가이드 하기 위한 영역(예: 지문 인식 센서(200)가 배치된 영역)에 기반하여, 인디케이팅 객체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인디케이팅 객체를 제공할 때, 디스플레이(220)에서 지문 인식 센서(200)가 배치된 영역 및 그 주변 영역에서 터치 입력의 수신 기능을 활성화 하는 동작을 포함하고, 및/또는 터치 입력 기능을 활성화 하기 위한 영역(예: 지문 인식 센서(200)가 배치된 영역 및 그 주변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은 터치 입력의 수신 기능을 비활성화 상태로 할 수 있다.
도 3a 및 도 3b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1)에서 지문 인식 센서의 사용 시나리오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들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도 3a는 사용자가 잠금 화면(또는 락스크린(lockscreen))에서 지문 인식을 통해 잠금 해제(예: 사용자 인증)를 수행하려고 하는 경우의 동작 예시를 나타낼 수 있다. 도 3a 에서는 지문 인식 영역, 즉 지문 인식 센서(200)가 디스플레이(220)에 내장되는 경우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가 지문 인증 기반(예: 지문 모드)에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때, 동작 30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표시 중인 잠금 화면(310) 상의 일 영역(예: 지문 인식 센서(220)가 배치된 영역)에서는 지문 인식을 수행(또는 가이드)할 수 있도록 하는 인디케이팅 객체(300)(예: 지문 이미지 객체 및/또는 안내 텍스트 객체)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는 전자 장치(101)의 디스플레이(220)를 통해 지문 인식을 위한 인디케이팅 객체(300)가 표시된 화면(310)(예: 잠금 화면)에서, 인디케이팅 객체(300) 상에 손가락을 터치하여 지문 인식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지문 인식 수행은 인디케이팅 객체(300)에 대응하는 지문 인식 영역에서 스와이프 타입 또는 고정영역 타입에 기반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220)에서의 지문 인식 수행은 디스플레이(220)의 지문 인식 영역(예: 인디케이팅 객체(300) 영역 상)을 길게 터치(예: 롱 터치)할 경우 지문 인식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인디케이팅 객체(300)에 대응하는 지문 인식 영역을 통해 터치 입력이 감지(예: 터치 센서로부터 제공되는 측정 값 감지)되면, 지문 인식 센서(200)를 통해 지문 이미지를 획득하고, 획득된 지문 이미지를 분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101)는 지문 이미지 분석 결과에 기반하여, 지문 이미지가 완전체 이미지(예: 사용자가 지문 인식 센서(200)를 통해 지문을 완전히 인식한 경우의 지문 이미지)인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동작 30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문 인식을 통해 잠금 화면 해제에 관련된 동작을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1)는 지문 인식 센서(200)를 통해 획득된 지문 이미지에 기반하여 인증을 수행할 수 있고, 지문 인식에 따른 인증 결과(예: 인증 성공)에 기반하여 잠금 화면이 해제된 화면(320)(예: 홈 화면, 또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디케이팅 객체(300)는, 예를 들면, 지문 모드(또는 지문 인식 기능)가 활성화 되는 동안 표시될 수 있고, 지문 모드가 비활성화 되는 동안 표시되지 않을 수 있다.
도 3b를 참조하면, 도 3b는 사용자가 임의의 웹사이트에서 지문 인식을 통해 계정 인증(예: 로그인)을 수행하려고 하는 경우의 동작 예시를 나타낼 수 있다. 도 3b 에서는 지문 인식 영역, 즉 지문 인식 센서(200)가 디스플레이(220)에 내장되는 경우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가 지문 인증 기반(예: 지문 모드)에서 계정 인증을 수행할 때, 동작 3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표시 중인 웹사이트 화면(330) 상의 일 영역(예: 지문 인식 센서(220)가 배치된 영역)에서는 지문 인식을 수행(또는 가이드)할 수 있도록 하는 인디케이팅 객체(300)(예: 지문 이미지 객체 및/또는 안내 텍스트 객체)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는 전자 장치(101)의 디스플레이(220)를 통해 지문 인식을 위한 인디케이팅 객체(300)가 표시된 화면(330)(예: 로그인 화면)에서, 인디케이팅 객체(300) 상에 손가락을 터치하여 지문 인식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지문 인식 수행은 인디케이팅 객체(300)에 대응하는 지문 인식 영역에서 스와이프 타입 또는 고정영역 타입에 기반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220)에서의 지문 인식 수행은 디스플레이(220)의 지문 인식 영역(예: 인디케이팅 객체(300) 영역 상)을 길게 터치(예: 롱 터치)할 경우 지문 인식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인디케이팅 객체(300)에 대응하는 지문 인식 영역을 통해 터치 입력이 감지(예: 터치 센서로부터 제공되는 측정 값 감지)되면, 지문 인식 센서(200)를 통해 지문 이미지를 획득하고, 획득된 지문 이미지를 분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101)는 지문 이미지 분석 결과에 기반하여, 지문 이미지가 완전체 이미지(예: 사용자가 지문 인식 센서(200)를 통해 지문을 완전히 인식한 경우의 지문 이미지)인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동작 3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문 인식을 통해 웹사이트에 계정 인증(로그인) 수행과 관련된 동작을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1)는 지문 인식 센서(200)를 통해 획득된 지문 이미지에 기반하여 인증을 수행할 수 있고, 지문 인식에 따른 인증 결과에 기반하여 관련 가이드 화면(340)을 표시할 수 있고, 인증이 성공할 시 웹사이트에 로그인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디케이팅 객체(300)는, 예를 들면, 지문 모드(또는 지문 인식 기능)가 활성화 되는 동안 표시될 수 있고, 지문 모드가 비활성화 되는 동안 표시되지 않을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이하의 설명에서 지문 모드 또는 지문 인식 모드는 지문 등록 모드 및 지문 입력 모드를 포함하는 용어로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지문 등록 모드는 최초 지문을 전자 장치(101)에 등록하는 모드가 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지문 입력 모드는 지문이 등록된 상태에서 특정 기능(예: 잠금 해제 기능, 또는 지문 기반 사용자 인증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지문을 입력하는 모드로, 전자 장치(101)는 입력된 지문과 등록된 지문을 비교하여 일치 여부에 따라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1)에서 지문 인식을 위한 손가락 터치의 예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하는 도면들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도 4는 손 끝으로 지문을 스캔하는 예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 5는 손가락 전체로 지문을 스캔하는 예를 도시하고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는 지문을 인식하기 위하여 도 4 또는 도 5와 같은 터치 방식으로 지문 입력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사용자의 지문을 인식하기 위하여 손가락을 스캔할 때, 도 4의 예시와 같은 사용자 입력(또는 터치 입력)에 따라 손가락 끝(410)(예: 손가락 에지 부분)(예: 상대적으로 좁은 면적을 갖는 터치 입력)에 기반하여 스캔할 수 있고, 도 5의 예시와 같은 사용자 입력(또는 터치 입력)에 따라 손가락 면적(420)(예: 상대적으로 넓은 면적을 갖는 터치 입력)로 스캔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지문 입력 시 지문 인식 센서(200)가 위치된 영역으로 손가락을 일정 방향에서 진입(예: 전자 장치(101)의 아래로부터 진입, 또는 전자 장치(101)의 측면으로부터 진입)한 후 지문 인식 센서(200)가 위치된 영역을 스와이프 타입으로 입력하거나, 또는 지문 인식 센서(200)가 위치된 영역에 손가락을 일정 시간 동안 대는 고정영역 타입으로 입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전자 장치(101)는 지문 인식 센서(200)에 기반하여 지문 인식을 위한, 지문 인식 대기 중에는 터치 센서에 의한 터치 입력에 대해서는 동작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지문 인식 센서(200)가 위치된 영역에 터치 입력하고, 전자 장치(101)는 터치 입력에 응답하여 지문 센싱을 수행하는 중에, 터치 입력에 관련된 동작(또는 기능)은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도 6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1)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1)는 디스플레이(220), 지문 인식 센서(200), 및 프로세서(12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101)는 집적 회로(IC, integrated circuit)의 형태로 모듈화된 지문 인식 센서(200) 및 프로세서(120)가 인쇄회로기판에 장착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220)(예: 도 1의 표시 장치(160))는 전자 장치(101)의 외부(예: 사용자)로 정보를 시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220)는 터치를 감지하도록 설정된 터치 센서(610)(또는 터치 회로(touch circuitry)), 또는 터치에 의해 발생되는 힘의 세기를 측정하도록 설정된 압력 센서(pressure sensor)(또는 센서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터치 센서(610)는 디스플레이(220)의 특정 위치에 대한 신호(예: 전압, 광량, 저항, 또는 전하량)의 변화를 측정함으로써 터치 입력 또는 호버링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터치 센서(610)는 감지된 터치 입력 또는 호버링 입력에 관한 정보(예: 위치, 면적, 압력, 또는 시간)를 프로세서(120)에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220)는 프로세서(120)의 제어에 기반하여 다양한 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기능 및 디스플레이(220) 상의 외부 객체에 의한 입력을 수신하는 터치 입력의 수신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220)는 내부에 지문 인식 센서(200)를 내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지문 인식 센서(200)는 사용자의 지문을 인식하는 센서가 될 수 있다. 지문 인식 센서(200)는 디스플레이(220)와 하우징(210)의 제2 면 사이(또는, 디스플레이(220)의 하부(예: 언더 패널))의 일부에 배치될 수 있다. 지문 인식 센서(200)는 디스플레이(220) 내부에 실장되어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지문을 인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지문 인식 센서(200)는 사용자 고유의 특성 차이를 나타내는 손가락 지문의 이미지 정보(또는 지문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지문 인식 센서(200)는 광학식, 정전 용량이나 전기 전도를 감지하는 반도체 소자 방식, 초음파 방식, 열감지 방식, 비접촉식, 또는 이런 방식들의 복합 등 다양한 방법으로 지문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프로세서(120)는 전자 장치(101)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지문 인식에 따른 기능을 수행하는 것과 관련된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디스플레이(220) 및 지문 인식 센서(200)와 작동적 및/또는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디스플레이(220) 및 지문 인식 센서(200)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메모리(예: 도 1의 메모리(130))에 저장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그램들(또는 인스트럭션들)을 실행하여 다양한 실시예들의 전자 장치(101)의 동작을 제어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one or more processors)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 application processor),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CP, communication processor), 및/또는 보조 프로세서(supplementary processor) 중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디스플레이(220)에 실장되는 지문 인식 센서(200)에 대응하는 지문 인식 영역으로부터 입력된 정보를 정해진 기준에 맞게 처리하고, 지문 인식 센서(220)를 통해 획득되는 지문 이미지의 유효성 유무를 검사할 수 있고, 그 결과를 디스플레이(220)에 전달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지문 인식과 관련된 이벤트 발생을 감지하고, 이벤트 발생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220), 터치 센서(610), 및/또는 지문 인식 센서(200)의 적어도 하나를 제어(예: 활성화/비활성화 제어, 기능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20)는 지문 인식과 관련된 모드(예: 지문 인식 모드)에서, 터치 센서(610)로부터 지문 인식 센서(200)가 위치된 지문 인식 영역에 관련된 터치 입력을 감지하고, 터치 입력에 기반하여 지문 인식 센서(200)를 활성화 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이벤트 발생을 감지하면 이벤트 발생과 관련된 화면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22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벤트 발생과 관련된 화면은 이벤트 발생을 지시하는 인디케이터(또는 인디케이팅 객체) 또는 이벤트와 관련한 정보를 포함한 다양한 화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220)는 이벤트 발생과 관련된 화면을 표시하는 동안 터치 입력 또는 근접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입력 수신 기능을 활성화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디스플레이(220) 상에서 지문 인식(예: FOD(fingerprint on display) 또는 in-display fingerprint)(이하, ‘디스플레이 지문 인식’이라 한다) 기능을 제공하는 것과 관련된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이벤트 발생에 대응하여 터치 센서(610) 및 지문 인식 센서(200)를 활성화시키고, 터치 센서(610)에 기반하여 지문 인식 센서(200)가 배치된 영역에서 사용자에 의해 터치된 터치 영역을 식별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터치 영역에 기반하여 지문 인식에 관련된 그래픽 객체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22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20)는 디스플레이 지문 인식 기능을 제공할 때, 인디케이팅 객체에 기반하여 사용자의 지문 입력을 가이드 할 수 있고, 사용자의 지문을 인식하는 동안, 사용자에게 지문 인식에 대한 그래픽 효과에 기반하여, 사용자의 지문 입력에 상호작용하는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프로세서(120)는 디스플레이 지문 인식에 관련된 그래픽 효과를 제공할 때, 사용자 입력에 따라 터치된 터치 영역은 예외(또는 제외) 처리하고, 나머지 영역에 기반하여 그래픽 효과를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터치 영역은,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220)에서 사용자의 손가락 터치로 인하여 사용자 시야에서 가려지는 디스플레이(220)의 적어도 일부 영역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디스플레이 지문 인식 기능을 수행할 때, 사용자 입력에 따른 터치 영역이 제외된 영역에 기반하여, 그래픽 효과를 위한 그래픽 객체를 제공하거나, 또는 터치 영역에 포함된 그래픽 객체를 이동하여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프로세서(120)의 동작에 관하여 후술하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지문 처리 모듈(fingerprint processing module)(620)과, 기능 처리 모듈(function processing module)(630)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지문 처리 모듈(620)은 지문 인식 센서(200)로부터 지문 이미지를 획득하고, 획득된 지문 이미지를 분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지문 처리 모듈(620)은 지문 인식 센서(200)를 통해 획득된 원시 지문 이미지의 특징을 추출한 후, 데이터베이스(database)(예: 도 1의 메모리(130))에 미리 등록되어 있는 사용자의 특징 정보(예: 지문 정보)와 비교, 정합하여 사용자 본인 여부(또는 인증)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기능 처리 모듈(630)은 지문 인식 센서(200)에 기반하여 지문 인식 기능이 수행될 시, 그래픽 효과를 처리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기능 처리 모듈(630)은 터치 영역에 기반하여 지문 인식에 관련된 그래픽 객체를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능 처리 모듈(630)은 디스플레이 지문 인식 기능을 제공할 때, 인디케이팅 객체에 기반하여 사용자의 지문 입력을 가이드 할 수 있고, 사용자의 지문을 인식하는 동안, 사용자에게 지문 인식에 대한 그래픽 효과에 기반하여, 사용자의 지문 입력에 상호작용하는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기능 처리 모듈(630)은 디스플레이 지문 인식에 관련된 그래픽 효과를 제공할 때, 사용자 입력에 따라 터치된 터치 영역(예: 사용자의 손가락 터치로 인하여 사용자 시야에서 가려지는 영역)은 예외(또는 제외) 처리하고, 나머지 영역에 기반하여 그래픽 효과를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능 처리 모듈(630)은 디스플레이 지문 인식 기능을 수행할 때, 사용자 입력에 따른 터치 영역이 제외된 영역에 기반하여, 그래픽 효과를 위한 그래픽 객체를 제공하거나, 또는 터치 영역에 포함된 그래픽 객체를 이동하여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지문 모드 또는 지문 인식 모드는 지문 등록 모드 및 지문 입력 모드를 포함하는 용어로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지문 등록 모드는 최초 지문을 전자 장치(101)에 등록하는 모드가 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지문 입력 모드는 지문이 등록된 상태에서 특정 기능(예: 잠금 해제 기능, 또는 지문 기반 사용자 인증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지문을 입력하는 모드로, 프로세서(120)(또는 기능 처리 모듈(630)는 입력된 지문과 등록된 지문을 비교하여 일치 여부에 따라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프로세서(120)는 상기의 기능 외에 전자 장치(101)의 통상적인 기능과 관련된 각종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20)는 특정 어플리케이션 실행 시 그의 운영 및 화면 표시를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프로세서(120)는 터치 기반 또는 근접 기반의 입력 인터페이스(예: 터치 센서(610))에서 지원하는 다양한 터치 이벤트 또는 근접 이벤트 입력에 대응하는 입력신호를 수신하고, 그에 따른 기능 운영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들은 소프트웨어(software), 하드웨어(hardware)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computer)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설명되는 동작들은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unit)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기록 매체는 디스플레이 지문 인식 기능을 제공할 때, 지문을 인식하는 동안, 디스플레이(220)를 통해 지문 인식에 대한 시각 효과(그래픽 효과)를 제공하고, 시각 효과를 제공할 때, 지정된 효과 영역에서 사용자에 의해 터치된 터치 영역을 제외하고, 나머지 비터치 영역에 기반하여 시각 효과를 제공하는 동작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1)는, 디스플레이(220), 터치 센서(610), 상기 디스플레이(220)의 아래에 배치되는 지문 인식 센서(200),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120)는, 상기 터치 센서(610)에 기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220)에서 상기 지문 인식 센서(200)가 포함된 지문 인식 영역에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고, 상기 지문 인식 센서(200)에 기반하여, 상기 사용자 입력에 따른 지문 인식을 수행하고, 상기 지문 인식을 수행하는 동안, 상기 사용자 입력에 관련된 그래픽 효과를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120)는, 지문 인식 모드로 진입하는 이벤트 발생을 감지하고, 상기 이벤트 발생에 기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220)에서, 상기 지문 인식 영역에 대응하는 위치에 지문 입력과 관련된 인디케이팅 객체(indicating object)(300)를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120)는, 상기 디스플레이(220)에 지정된 효과 영역에서, 상기 사용자 입력으로 터치된 터치 영역을 제외하고, 나머지 비터치 영역에 기반하여, 상기 사용자 입력에 상호작용하는 상기 그래픽 효과를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120)는, 지정된 그래픽 객체에 기반하여 상기 그래픽 효과를 제공하거나, 또는 상기 터치 영역에 포함된 객체의 이동에 기반하여 상기 그래픽 효과를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120)는, 상기 지문 인식을 수행하는 동안, 상기 사용자 입력이 감지된 터치 영역을 식별하고, 그래픽 효과를 위한 지정된 효과 영역에서 상기 터치 영역을 제외하고, 상기 효과 영역에서 상기 터치 영역이 제외된 나머지 비터치 영역을 상기 그래픽 효과를 위한 영역으로 설정하고, 상기 비터치 영역을 통해 상기 그래픽 객체를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120)는, 상기 지문 인식을 수행하는 동안, 상기 사용자 입력이 감지된 터치 영역과 상기 사용자 입력의 터치 방향을 식별하고, 그래픽 효과를 위한 지정된 효과 영역에서 상기 터치 영역을 제외하고, 상기 효과 영역에서 상기 터치 영역이 제외된 나머지 비터치 영역에서 상기 터치 방향에 기반하여 상기 그래픽 객체를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120)는, 상기 지문 인식을 수행하는 동안, 상기 사용자 입력이 감지된 터치 영역과 상기 사용자 입력의 터치 방향을 식별하고, 상기 터치 영역에 객체가 포함되는지 확인하고, 상기 터치 영역에 객체가 포함하는 경우, 상기 객체를 상기 터치 영역 또는 상기 터치 방향에 적어도 기반하여 변경하는 상기 그래픽 효과를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120)는, 상기 객체의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객체가 상기 터치 영역 또는 상기 터치 방향의 적어도 하나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120)는, 지정된 시간 동안 상기 그래픽 효과를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지정된 시간은, 상기 지문 인식 센서를 통해 사용자의 지문을 인식하여 처리하는 데 소요되는 시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120)는, 랜덤 방식으로 상기 그래픽 객체를 선택하거나, 또는 지정된 그래픽 객체를 선택하여, 상기 그래픽 효과를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120)는, 배경 컬러에서 적어도 하나의 컬러를 추출하고, 추출된 적어도 하나의 컬러를 틴트(tint)하여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이하에서 설명하는 전자 장치(101)에서 수행하는 동작들은,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예: 프로세싱 회로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서, 예를 들면, 도 1의 프로세서서(120))(이하, ‘프로세서(120)’라 한다)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101)에서 수행하는 동작들은, 메모리(예: 도 1의 메모리(130))(이하, ‘메모리(130)’라 한다)에 저장되고, 실행 시에, 프로세서(120)가 동작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instructions)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도 7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1)의 동작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7은 전자 장치(101)에서 디스플레이 지문 인식 센서(200)를 통해 지문 인식을 처리하고, 지문 인식을 처리하는 동안에 그래픽 효과에 기반하여 사용자에게 피드백 하는 예를 나타낼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동작 701에서, 전자 장치(101)의 프로세서(120)는 이벤트의 발생을 감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 따라, 이벤트 발생은, 지문 입력을 필요로 하는 상황, 예를 들면, 지문 인식 센서(200)에 기반하여 동작하는 지문 인식 모드(또는 지문 모드)로 진입하는 이벤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지문 인식 모드는 지문 등록 모드 및 지문 입력 모드를 포함하는 용어로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지문 등록 모드는 최초 지문을 전자 장치(101)에 등록하는 모드가 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지문 입력 모드는 지문이 등록된 상태에서 특정 기능(예: 잠금 해제 기능, 또는 지문 기반 사용자 인증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지문을 입력하는 모드로, 전자 장치(101)는 입력된 지문과 등록된 지문을 비교하여 일치 여부에 따라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지문 인식 센서(200)의 지문 입력 위치(또는 지문 인식 센서(200)가 배치된 위치)를 사용자에게 가이드 하기 위한 인디케이팅 객체(indicating object)(예: 지문 이미지 객체 및/또는 안내 텍스트)를, 디스플레이(220) 상에서 지문 인식 센서(200)가 배치된 지문 인식 영역(또는 인디케이팅 객체(300) 영역)을 통해 제공할 수 있다.
동작 703에서, 프로세서(120)는 지문 인식 실행을 감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지문 인식 모드를 운영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20)는 디스플레이(220)에서 지문 인식 센서(200)가 배치된 영역 상에서 사용자의 입력(예: 터치 입력)에 기반하여 지문 인식 실행을 감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사용자가 지문 인식을 수행하기 위하여 디스플레이(220) 표면, 즉, 디스플레이(220) 상에서 지문 인식 센서(200)가 배치된 영역(예: 인디케이팅 객체(300)가 제공된 영역)에 손가락을 터치할 경우, 지문 인식 모드를 활성화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지문 인식 영역(또는 인디케이팅 객체(300) 영역)(예: 지문 인식 센서(200)가 내장된 디스플레이(220)) 상에 터치를 입력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지문 인식 모드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지문 인식 영역을 통해 사용자 입력(예: 터치 입력)이 검출되면, 이를 지문 인식 실행 요청으로 식별할 수 있다.
동작 705에서, 프로세서(120)는 지문 인식 영역의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이미지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지문 인식 센서(200)를 통해 지문 인식 영역 상의 사용자 입력(예: 터치)을 감지할 수 있고,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지문 인식 센서(200)를 통해 사용자의 지문을 스캔(또는 센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프로세서(120)는 지문 스캔 진행에 대응하여 지문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동작 707에서, 프로세서(120)는 이미지 처리를 수행하는 동안 그래픽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이미지 처리 중, 예를 들면, 지문 인식 센서(200)에 기반하여 사용자의 지문을 센싱하는 동작 중에, 사용자 입력에 따른 터치된 영역(예: 지문 인식 영역)에 기반하여 그래픽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20)는 지문 인식 기능을 제공할 때,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는 시점에서 지문을 센싱하여 이미지 처리를 수행하는 동안(또는 사용자의 지문을 인식하는 동안), 사용자에게 지문 인식에 대한 그래픽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20)는 사용자의 지문 입력에 상호작용하는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프로세서(120)는 그래픽 효과를 제공할 때, 사용자 입력에 따라 터치된 터치 영역(예: 사용자의 손가락 터치로 인하여 사용자 시야에서 가려지는 영역)은 예외(또는 제외) 처리하고, 나머지 비터치 영역에 기반하여 그래픽 효과를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20)는 사용자 입력에 따른 터치 영역이 제외된 비터치 영역에 기반하여, 그래픽 효과를 위한 그래픽 객체를 제공하거나, 또는 터치 영역에 포함된 그래픽 객체를 이동하여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그래픽 효과는, 그래픽 효과의 특성(또는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운영될 수 있다. 일 예로, 그래픽 효과의 특성 별로 제공되는 지정된 시간을 상이하게 운영, 동적/정적 이미지를 구분하여 운영, 그래픽 객체 이동, 또는 그래픽 객체 분할 후 이동과 같이, 그래픽 효과의 특성에 기반하여 다양하게 제공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그래픽 효과를 제공하는 것과 관련하여 후술하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동작 709에서, 프로세서(120)는 기능 실행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입력된 지문과 등록된 지문을 비교하여 일치 여부에 따라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20)는 잠금 화면 해제, 잠금(또는 보안 설정된) 어플리케이션 또는 컨텐츠 실행, 또는 사용자 인증에 관련된 인증 정보를 자동 입력(예: 로그인)과 같은 동작을 처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이미지 처리에 따른 결과에 기반하여, 관련 기능을 실행하거나 또는 입력된 지문에 의한 인증 실패 시에, 관련 화면을 표시할 수 있고, 그래픽 효과를 완료(예: 표시하지 않거나, 또는 복원(예: 이동된 그래픽 객체 원위치 복원))할 수 있다.
도 8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1)에서 그래픽 효과를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예시 화면 801에서, 전자 장치(101)는 지문 입력을 필요로 하는 상황, 예를 들면, 지문 인식 센서(200)에 기반하여 동작하는 지문 인식 모드(또는 지문 모드)에서, 디스플레이(220)를 통해 관련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1)는 예시 화면 80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잠금 화면(예: lockscreen)을 디스플레이(220) 상에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101)는 디스플레이(220)의 지정된 일 영역 아래(예: 언더 패널)에 지문 인식 센서(200)(예: 디스플레이 지문 인식 센서)가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220)는 지문 인식 센서(200)에 대응하는 영역(예: 지문 인식 영역) 상에, 지문 인식 센서(220)(또는 지문 인식 영역)의 위치를 가이드하고, 사용자의 지문 입력을 가이드 할 수 있는 인디케이팅 객체(300)를 표시할 수 있다. 인디케이팅 객체(300)는 디스플레이(220) 상에 표시되지 않은 상태(예: 기능 비활성화 상태)에서, 사용자 인증과 관련된 동작을 수행할 시에 디스플레이(220) 상에 지정된 영역을 통해 제공(예: 기능 활성화 상태)될 수 있다.
예시 화면 803에서, 전자 장치(101)는 사용자의 터치를 감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인디케이팅 객체(300)가 지시하는 지문 인식 영역에 기반하여 손가락 터치를 입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101)는 터치 센서(610)에 기반하여 지문 인식 영역에서의 사용자 입력(예: 터치)을 감지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터치 센서(610)를 통해 지문 인식 영역에서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고,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지문 인식 센서(200)를 통해 사용자의 지문을 스캔(또는 센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101)는 지문 스캔 진행에 대응하여 지문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예시 화면 805에서, 전자 장치(101)는 지문을 스캔하는 동안(또는 지문 인식을 수행하는 동안), 시각 효과(800)(또는 그래픽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101)는 지문 인식 영역에서 터치가 감지된 영역(예: 터치 영역)을 중심으로, 일정 범위(또는 반경) 상에 시각 효과(800)를 제공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미도시)에서는, 전자 장치(101)는 디스플레이(220)의 전체 영역 및/또는 디스플레이(220)의 에지 영역의 적어도 일부에 기반하여 시각 효과(800)를 제공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시각 효과(800)는, 예를 들면, 다양한 그래픽 객체(예: 디지털 모션 그래픽 및/또는 합성 객체)(예: 동적 객체 및/또는 정적 객체)가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1)는 움직이는(animated) 객체(또는 비디오(video) 객체, 모션(motion) 객체)에 기반하여 생동감 있는 시각 효과(800)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예로, 전자 장치(101)는 터치가 감지된 영역을 중심으로, 물결이 움직이는(또는 수면에 파동이 일어나는) 것과 같은 시각 효과(예: 물 파동 효과, 방사형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예시에서, 전자 장치(101)는 물 파동 효과와 같은 시각 효과를 제공할 때, 크기가 바뀌지 않고(예: 지정된 범위(또는 경계) 내에서 표시) 퍼져 나가게 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전자 장치(101)는 디스플레이(220)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기반하여 빛 내림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1)는 정적 객체의 반복 출력 방식으로 동적인 시각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1)는 정적 객체를 제공하되, 컬러 및/또는 하이라이팅 방식으로 동적인 시각 효과를 제공할 수도 있다.
예시 화면 807에서, 전자 장치(101)는 지문 인식을 완료하는 것에 기반하여 기능 실행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차(101)는 획득된 지문 이미지와 미리 등록된 지문 이미지를 비교하여 일치 여부에 따라 해당하는 기능을 실행하고, 디스플레이(220) 상에 관련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1)는 잠금 화면이 해제된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1)는 잠금(또는 보안 설정된) 어플리케이션 또는 컨텐츠 실행, 또는 사용자 인증에 관련된 인증 정보를 자동 입력(예: 로그인)과 같은 동작을 처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이미지 처리에 따른 결과에 기반하여, 관련 기능을 실행하는 경우, 예시 화면 80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각 효과(800)(또는 그래픽 효과) 제공을 완료할 수 있다(또는 표시하지 않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지문 인식 모드가 아닌 화면에서는, 예시 화면 80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220)의 지문 인식 영역에 인디케이팅 객체(300)는 표시하지 않을 수 있다.
도 9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1)의 동작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9는 전자 장치(101)에서 디스플레이 지문 인식 센서(200)를 통해 지문 인식을 처리하고, 지문 인식을 처리하는 동안에, 터치가 감지된 영역(예: 터치 영역)을 식별하고, 터치가 감지된 영역에서 그래픽 효과를 제공(예: 표시)하지 않고, 터치가 감지된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비터치 영역에 기반하여 그래픽 효과를 제공하는 예를 나타낼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동작 901에서, 전자 장치(101)의 프로세서(120)는 지정된 지문 인식 영역에 기반하여 터치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20)는 디스플레이(220) 하단에 배치된 지문 인식 센서(200)의 위치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220)의 일 영역에 인디케이팅 객체(300)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는 인디케이팅 객체(300)가 지시하는 지문 인식 영역을 인지하고, 지문 인식 영역에 기반하여 손가락 터치를 입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터치 센서(610)에 기반하여 지문 인식 영역에서의 터치를 감지할 수 있고, 터치를 감지하는 것에 기반하여 지문 인식 센서(200)를 통해 사용자의 지문을 스캔(또는 센싱)하는 동작을 내부적(또는 백그라운드)으로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20)는 백그라운드에서 지문 인식을 수행할 수 있다.
동작 903에서, 프로세서(120)는 터치가 감지된 영역(예: 터치 영역)을 식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지문 인식 영역에서 사용자의 손가락이 접촉된 부분 및/또는 면적을 식별(또는 계산)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터치가 감지된 영역을 식별하는 동작 예시와 관련하여 후술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동작 905에서, 프로세서(120)는 지정된 효과 영역에서 터치가 감지된 영역을 제외(또는 예외) 처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그래픽 효과를 위한 지정된 효과 영역에서, 터치가 감지된 영역(예: 사용자의 손가락 터치로 인하여 사용자 시야에서 가려지는 영역)을 제외하고, 나머지 비터치 영역(예: 사용자 시야에서 가려지지 않은 영역)을 그래픽 효과를 위한 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동작 907에서, 프로세서(120)는 지정된 효과 영역에서 터치가 감지된 영역이 제외된 나머지 영역에 기반하여 그래픽 객체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디스플레이(220)에서 지정된 효과 영역 전체가 아닌, 터치가 감지된 영역을 제외하고 나머지 비터치 영역에서 시각 효과(또는 그래픽 효과)를 위한 그래픽 객체를 표시할 수 있다.
도 10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1)에서 그래픽 효과를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예시 화면 1001에서, 전자 장치(101)는 지문 입력을 필요로 하는 상황, 예를 들면, 지문 인식 센서(200)에 기반하여 동작하는 지문 인식 모드(또는 지문 모드)에서, 디스플레이(220)를 통해 관련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1)는 예시 화면 100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잠금 화면을 디스플레이(220) 상에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220)는 지문 인식 센서(200)에 대응하는 영역(예: 지문 인식 영역) 상에, 인디케이팅 객체(300)를 표시할 수 있다. 인디케이팅 객체(300)는 디스플레이(220) 상에 표시되지 않은 상태(예: 기능 비활성화 상태)에서, 사용자 인증과 관련된 동작을 수행할 시에 디스플레이(220) 상에 지정된 영역을 통해 제공(예: 기능 활성화 상태)될 수 있다.
예시 화면 1003에서, 전자 장치(101)는 사용자의 터치를 감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인디케이팅 객체(300)가 지시하는 지문 인식 영역에 기반하여 손가락 터치를 입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101)는 터치 센서(610)에 기반하여 지문 인식 영역에서의 사용자 입력(예: 터치)을 감지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터치 센서(610)를 통해 지문 인식 영역에서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고,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지문 인식 센서(200)를 통해 사용자의 지문을 스캔(또는 센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101)는 지문 스캔 진행에 대응하여 지문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예시 화면 1005에서, 전자 장치(101)는 터치가 감지된 영역(1050)(예: 터치 영역)을 계산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지문 인식 영역에서 사용자의 손가락이 접촉된 부분 및/또는 면적을 계산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터치가 감지된 영역을 계산하는 동작 예시와 관련하여 후술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지문을 스캔하는 동작에 병렬적으로 터치가 감지된 영역을 계산하는 동작을 처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백그라운드에서 지문 인식과 터치 영역 계산을 병렬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전자 장치(101)는 터치 영역을 계산하는 동작을 우선적으로 처리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1)는 그래픽 효과를 제공하기 위한 기능과 지문 인식 기능을 병렬 처리하거나, 및/또는 그래픽 효과를 제공하기 위한 기능을 선처리하고, 지문 인식 기능을 후처리 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시각 효과를 위한 지정된 효과 영역(1010)에서 터치가 감지된 영역(1050)을 제외(또는 예외) 처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그래픽 효과를 위한 지정된 효과 영역(1010)에서, 터치가 감지된 영역(1030)(예: 사용자의 손가락 터치로 인하여 사용자 시야에서 가려지는 영역)을 제외하고, 나머지 영역(1020)(예: 사용자 시야에서 가려지지 않은 영역)을 그래픽 효과를 위한 영역(1020)으로 설정할 수 있다.
예시 화면 1007에서, 전자 장치(101)는 지문을 스캔하는 동안(또는 지문 인식을 수행하는 동안), 시각 효과(1000)(또는 그래픽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101)는 시각 효과를 위한 지정된 효과 영역(1010)에서 터치가 감지된 영역(1050)(예: 터치 영역)이 제외된 나머지 영역(1020)에 기반하여 그래픽 객체(1000)를 이용하여 시각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그래픽 객체(1000)는 일정 범위(또는 반경)(예: 지정된 효과 영역(1010)이 설정되는 범위)에 기반하여 제공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미도시)에서는, 전자 장치(101)는 디스플레이(220)의 전체 영역 및/또는 디스플레이(220)의 에지 영역의 적어도 일부에 기반하여 시각 효과(1000)를 제공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시각 효과(1000)는, 예를 들면, 다양한 그래픽 객체(예: 디지털 모션 그래픽 및/또는 합성 객체)(예: 동적 객체 및/또는 정적 객체)가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1)는 움직이는(animated) 객체(또는 비디오(video) 객체, 모션(motion) 객체)에 기반하여 생동감 있는 시각 효과(1000)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예로, 전자 장치(101)는 터치가 감지된 영역을 중심으로, 물결이 움직이는(또는 수면에 파동이 일어나는) 것과 같은 시각 효과(예: 물 파동 효과, 방사형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예시에서, 전자 장치(101)는 물 파동 효과와 같은 시각 효과를 제공할 때, 크기가 바뀌지 않고(예: 효과 영역(1010)과 같이 지정된 범위(또는 경계) 내에서 표시) 퍼져 나가게 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전자 장치(101)는 디스플레이(220)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기반하여 빛 내림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1)는 정적 객체의 반복 출력 방식으로 동적인 시각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1)는 정적 객체를 제공하되, 컬러 및/또는 하이라이팅 방식으로 동적인 시각 효과를 제공할 수도 있다.
도 11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1)에서 그래픽 효과를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예시 화면 1101에서, 전자 장치(101)는 지문 입력을 필요로 하는 상황, 예를 들면, 지문 인식 센서(200)에 기반하여 동작하는 지문 인식 모드(또는 지문 모드)에서, 디스플레이(220)를 통해 관련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1)는 예시 화면 110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잠금 화면을 디스플레이(220) 상에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220)는 지문 인식 센서(200)에 대응하는 영역(예: 지문 인식 영역) 상에, 인디케이팅 객체(300)를 표시할 수 있다. 인디케이팅 객체(300)는 디스플레이(220) 상에 표시되지 않은 상태(예: 기능 비활성화 상태)에서, 사용자 인증과 관련된 동작을 수행할 시에 디스플레이(220) 상에 지정된 영역을 통해 제공(예: 기능 활성화 상태)될 수 있다.
예시 화면 1103에서, 사용자는 인디케이팅 객체(300)가 지시하는 지문 인식 영역에 기반하여 손가락 터치를 입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101)는 터치 센서(610)에 기반하여 지문 인식 영역에서의 사용자 입력(예: 터치)을 감지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터치 센서(610)를 통해 지문 인식 영역에서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고,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지문 인식 센서(200)를 통해 사용자의 지문을 스캔(또는 센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101)는 지문 스캔 진행에 대응하여 지문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예시 화면 1103 내지 예시 화면 1107에서, 전자 장치(101)는 지문을 스캔하는 동안(또는 지문 인식을 수행하는 동안), 그래픽 객체(1100)에 기반하여 시각 효과(또는 그래픽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101)는 지문 인식 영역에서 터치가 감지된 영역(예: 터치 영역)을 중심으로, 일정 범위(또는 반경) 내(예: 지정된 효과 영역 내)에서, 그래픽 객체(1100)가 동적으로 변화되는 시각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지털 모션 그래픽 및/또는 합성 객체를 이용하여, 움직이는(animated) 객체(또는 비디오(video) 객체, 모션(motion) 객체)를 순차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1)는 예시 화면 1103의 그래픽 객체(1100)의 제1 서브 객체(1110), 예시 화면 1105의 그래픽 객체(1100)의 제2 서브 객체(1120), 및 예시 화면 1107의 그래픽 객체(1100)의 제3 서브 객체(1130)와 같이, 수면에 파동이 일어나는 것과 같은 생동감 있는 시각 효과(예: 물 파동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예시에서, 전자 장치(101)는 물 파동 효과와 같은 시각 효과를 제공할 때, 크기가 바뀌지 않고(예: 지정된 범위(또는 경계) 내에서 표시) 퍼져 나가게 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예시 화면 1103 내지 예시 화면 1107에서, 전자 장치(101)는 터치가 감지된 영역(예: 터치 영역)을 계산할 수 있고, 시각 효과를 위한 지정된 효과 영역에서 터치가 감지된 영역을 제외(또는 예외) 처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그래픽 효과(1100)를 위한 지정된 효과 영역에서, 터치가 감지된 영역(예: 사용자의 손가락 터치로 인하여 사용자 시야에서 가려지는 영역)을 제외하고, 나머지 영역(예: 사용자 시야에서 가려지지 않은 영역)에서 그래픽 객체(1100)에 기반하여 그래픽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예시 화면 1109에서, 전자 장치(101)는 지문 인식을 완료하는 것에 기반하여 기능 실행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차(101)는 획득된 지문 이미지와 미리 등록된 지문 이미지를 비교하여 일치 여부에 따라 해당하는 기능을 실행하고, 디스플레이(220) 상에 관련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1)는 잠금 화면이 해제된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1)는 잠금(또는 보안 설정된) 어플리케이션 또는 컨텐츠 실행, 또는 사용자 인증에 관련된 인증 정보를 자동 입력(예: 로그인)과 같은 동작을 처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이미지 처리에 따른 결과에 기반하여, 관련 기능을 실행하는 경우, 예시 화면 110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각 효과(또는 그래픽 객체(1100)) 제공을 완료할 수 있다(또는 표시하지 않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지문 인식 모드가 아닌 화면에서는, 예시 화면 110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220)의 지문 인식 영역에 인디케이팅 객체(300)는 표시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지문 인식 센서(200)를 이용하여 지문 인식 시(또는 사용자 인증 수행 시), 사용자의 손가락이 닿는 면적에서는 터치 입력 인터랙션을 감지하여, 터치가 닿은 부분(예: 터치 영역)에서는 그래픽 요소(예: 그래픽 객체)가 나타나지 않고, 터치가 닿은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서 그래픽 요소를 나타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그래픽 객체에 의한 시각 효과는, 예를 들면, 지정된 시간(예: 약 1000ms)동안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지정된 시간은, 예를 들면, 지문 인식 센서(200)를 통해 사용자의 지문을 인식하여 처리하는 데 소요되는 시간에 대응하거나, 그에 대응한 시간에 인접하게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그래픽 객체의 종류는 랜덤(random) 하게 제공되거나, 지정된 적어도 하나의 그래픽 객체가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1)(또는 프로세서(120))는 전자 장치(101)에 설정된 방식에 기반하여, 랜덤 방식으로 그래픽 객체를 선택하거나, 또는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특정 그래픽 객체를 선택하여, 그래픽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그래픽 객체의 컬러는, 예를 들면, 현재 표시된 화면의 배경 화면의 컬러에 기반하여 자동 설정되거나, 미리 지정된 컬러에 기반하여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그래픽 객체의 컬러는 현재 표시된 화면의 배경 컬러에서 컬러 추출을 통해 선택된 하나 또는 그 이상(예: 2개의 컬러)를 틴트(tint)하여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1)(또는 프로세서(120)는 화면의 배경 컬러에서 적어도 하나의 컬러를 추출하고, 추출된 적어도 하나의 컬러를 틴트하여 그래픽 객체의 컬러로 설정할 수 있다.
도 12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1)의 동작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3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1)에서 터치가 감지된 영역을 식별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하는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12 및 도 13은 전자 장치(101)에서 지문 인식 영역에서 터치가 감지된 영역(예: 터치 영역)을 식별하는 예를 나타낼 수 있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동작 1201에서, 전자 장치(101)의 프로세서(120)는 터치 센서(610)에 기반하여 지문 인식 영역의 터치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3의 예시 화면 <1301>에 예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인디케이팅 객체(300)가 지시하는 지문 인식 영역(1310)에 기반하여 손가락 터치를 입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101)는 터치 센서(610)에 기반하여 지문 인식 영역(1310)에서의 터치를 감지할 수 있고, 터치를 감지하는 것에 기반하여 지문 인식 센서(200)를 통해 사용자의 지문을 스캔(또는 센싱)하는 동작을 내부적(또는 백그라운드)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예시 화면 <1301>에 예시한 바와 같이, 전자 장치(101)는 지문 인식 센서(200)와 인접하고 지정된 범위의 일정 영역(1320)(예: 효과 영역)에 기반하여, 터치 센서(610)로부터 제공되는(또는 유입되는) 터치 신호에 기반하여 터치를 감지할 수 있다.
동작 1203에서, 프로세서(120)는 터치 센서(610)로부터 제공되는 터치 신호를 디지털 데이터(digital data)로 변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도 13의 예시 화면 <1303>에 예시한 바와 같이, 프로세서(120)는 일정 영역(1320)에 기반하여 터치 센서(610)에서 유입된 터치 신호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다.
동작 1205에서, 프로세서(120)는 샘플링 데이터(sampling data)를 추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변환된 디지털 데이터에 기반하여, 일정 영역(3120)에서 사용자의 손가락 접촉(예: 터치)로 판별할 수 있는 수전의 데이터(예: 샘플링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도 13의 예시 화면 <1305>에 예시한 바와 같이, 프로세서(120)는 일정 영역(1320)의 디지털 데이터 중에서, 지정된 기준(예: threshold)(1350) 이상의 세기(또는 감도)를 가지는 디지털 데이터를 샘플링 데이터로 추출할 수 있다.
동작 1207에서, 프로세서(120)는 샘플링 데이터를 변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일정 영역(1320)에서 추출된 샘플링 데이터에 대응되는 영역(예: 제1 영역)과 나머지 영역(예: 제2 영역)을 구분하고, 제1 영역과 제2 영역의 데이터를 상이한 디지털 값(예: 이진 값 ‘0’ 또는 ‘1’)으로 변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도 13의 예시 화면 <1307>에 예시한 바와 같이, 추출된 샘플링 데이터에 대응되는 제1 영역은 “1”로 설정하고, 나머지 영역에 대응되는 제2 영역은 “0”으로 설정하여, 손가락 접촉 영역(예: 터치 영역)에 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동작 1209에서, 프로세서(120)는 터치 영역을 식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일정 영역(1320)에서 디지털 값 “1”로 설정되는 영역에 기반하여 터치가 감지된 터치 영역으로 설정(또는 식별)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터치 센서(610)로부터 측정 값을 받아, 터치 영역을 결정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터치 센서(610)로부터 지문 인식 영역(1310)에 관련된 터치 이벤트(예: key event function)가 전달되는 경우, 일정 영역(1320)에서, 터치된 영역과 비터치된 영역을 결정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프로세서(120)는 터치 이벤트에 관련된 디지털 데이터에 기반하여 일정 수준 이상의 값(예: 세기 값)의 샘플링 데이터(예: 실질적으로 손가락 접촉이 인식된 영역)를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샘플링 데이터가 인식되지 않을 경우에는, 예를 들면, 샘플링 데이터의 디지털 값이 모두 “0”인 경우에는, 일정 영역(1320)의 전체에 기반하여 그래픽 객체가 표시되도록 시각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샘플링 데이터가 적어도 일부 인식되는 경우에는, 예를 들면, 샘플링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 디지털 값이 “1”을 가지는 경우에는, 일정 영역(1320)에서 디지털 값이 “1”로 설정된 영역(예: 터치 영역)을 제외하고, 터치 영역이 제외된 나머지 영역(예: 디지털 값이 “0”으로 설정된 영역(예: 비터치 영역))에 기반하여 그래픽 객체가 표시되도록 시각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4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1)의 동작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14는 전자 장치(101)에서 디스플레이 지문 인식 센서(200)를 통해 지문 인식을 처리하고, 지문 인식을 처리하는 동안에, 터치가 감지된 영역(예: 터치 영역)과 터치 방향(또는 터치 입력 방향)을 식별하고, 터치가 감지된 영역에서 그래픽 효과를 제공(예: 표시)하지 않고, 터치가 감지된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서 터치 방향에 기반하여 그래픽 효과를 제공하는 예를 나타낼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동작 1401에서, 전자 장치(101)의 프로세서(120)는 지정된 지문 인식 영역에 기반하여 터치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20)는 디스플레이(220) 하단에 배치된 지문 인식 센서(200)의 위치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220)의 일 영역에 인디케이팅 객체(300)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는 인디케이팅 객체(300)가 지시하는 지문 인식 영역을 인지하고, 지문 인식 영역에 기반하여 손가락 터치를 입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터치 센서(610)에 기반하여 지문 인식 영역에서의 터치를 감지할 수 있고, 터치를 감지하는 것에 기반하여 지문 인식 센서(200)를 통해 사용자의 지문을 스캔(또는 센싱)하는 동작을 내부적(또는 백그라운드)으로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20)는 백그라운드에서 지문 인식을 수행할 수 있다.
동작 1403에서, 프로세서(120)는 터치가 감지된 영역(예: 터치 영역) 및 터치 방향(또는 터치 입력 방향)을 식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지문 인식 영역에서 사용자의 손가락이 접촉된 부분 및/또는 면적을 식별(또는 계산)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지문 인식 영역에서 사용자의 손가락이 접촉된 방향을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터치 센서(610)에 기반하여 사용자의 터치가 근접(또는 호버링)하여 진입하는 근접 이벤트를 감지할 수 있고, 근접 이벤트가 감지된 영역을 기반으로 사용자의 손가락이 진입하는(또는 디스플레이(220)의 에지에 대응하는) 제1 지점을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프로세서(120)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진입된 후 사용자의 손가락이 접촉되는 터치 이벤트를 감지할 수 있고, 터치 이벤트가 감지된 영역(예: 사용자의 손가락 끝이 접촉된 에지 부분)을 기반으로 사용자의 손가락의 끝에 대응하는 제2 지점을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제1 지점과 제2 지점에 기반하여 터치 방향을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20)는 제1 지점과 제2 지점 간에 가상의 선을 긋고(예: 인위적으로 설정한 선으로 제1 지점과 제2 지점 연결하고), 그어진 선에 기반하여 방위를 판단하고, 판단된 방위에 기반하여 터치 방향을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방위는 제1 지점(예: 시작 지점)으로부터 제2 지점(예: 목표 지점) 간의 인위적인 선을 기준으로 360 각법으로 계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원을 360등분하고, 시계 방향(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돌면서 각도를 측정하고, 각도에 기반하여 방향을 판단할 수 있다.
동작 1405에서, 프로세서(120)는 지정된 효과 영역에서 터치 영역을 제외(또는 예외) 처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그래픽 효과를 위한 지정된 효과 영역에서, 터치가 감지된 터치 영역(예: 사용자의 손가락 터치로 인하여 사용자 시야에서 가려지는 영역)을 제외하고, 나머지 비터치 영역(예: 사용자 시야에서 가려지지 않은 영역)을 그래픽 효과를 위한 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동작 1407에서, 프로세서(120)는 지정된 효과 영역에서 터치 영역이 제외된 나머지 비터치 영역에서 터치 방향(또는 터치 영역과 터치 방향)에 기반하여 그래픽 객체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디스플레이(220)에서 지정된 효과 영역 전체가 아닌, 터치가 감지된 터치 영역을 제외하고 나머지 영역에서 터치 방향에 따른 시각 효과(또는 그래픽 효과)를 위한 그래픽 객체를 표시할 수 있다.
도 15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1)에서 그래픽 효과를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예시 화면 1501에서, 전자 장치(101)는 지문 입력을 필요로 하는 상황, 예를 들면, 지문 인식 센서(200)에 기반하여 동작하는 지문 인식 모드(또는 지문 모드)에서, 디스플레이(220)를 통해 관련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1)는 예시 화면 150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잠금 화면을 디스플레이(220) 상에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220)는 지문 인식 센서(200)에 대응하는 영역(예: 지문 인식 영역) 상에, 인디케이팅 객체(300)를 표시할 수 있다.
예시 화면 1503 또는 예시 화면 1505에서, 사용자는 인디케이팅 객체(300)가 지시하는 지문 인식 영역을 인지하고, 지문 인식 영역에 기반하여 손가락 터치를 입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터치 센서(610)에 기반하여 지문 인식 영역에서의 터치를 감지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터치가 감지된 영역(예: 터치 영역(1550, 1560)) 및 터치 방향(또는 터치 입력 방향)(1520, 1540)을 식별하고, 터치 영역(1550, 1560) 및 터치 방향(1520, 1540)에 기반하여 그래픽 객체(1510, 1530)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지문 인식 영역에서 터치 영역(1550, 1560)과 사용자의 손가락이 접촉된 방향(1520, 1540)을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101)는 제1 지점(1521, 1541)으로부터 제2 지점(1523, 1543)에 기반하여 터치 방향(또는 터치 입력 방향)(예: 아래에서 위로 디스플레이(220) 내로 진입하는 방향(1520), 우에서 좌로 디스플레이(220) 내로 진입하는 방향(1540))을 식별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그래픽 효과를 위한 효과 영역에서 터치가 감지된 터치 영역(1550, 1560)(예: 사용자의 손가락 터치로 인하여 사용자 시야에서 가려지는 영역)을 제외하고, 나머지 비터치 영역(예: 사용자 시야에서 가려지지 않은 영역)을 그래픽 효과를 위한 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효과 영역에서 터치 영역(1550, 1560)이 제외된 나머지 비터치 영역에서 터치 방향(1520, 1540)(또는 터치 영역(1550, 1560)과 터치 방향(1520, 1540))에 기반하여 그래픽 객체(1510, 1530)를 이용한 시각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디스플레이(220)에서 지정된 효과 영역 전체가 아닌, 터치가 감지된 터치 영역(1550, 1560)을 제외하고 나머지 영역에서 터치 방향(1520, 1540)에 따른 시각 효과(또는 그래픽 효과)를 위한 그래픽 객체(1510, 1540)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터치가 감지된 터치 영역(1550, 1560)을 중심으로, 물결이 움직이는(또는 수면에 파동이 일어나는) 것과 같은 시각 효과(예: 물 파동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예시에서, 전자 장치(101)는 물 파동 효과와 같은 시각 효과를 제공할 때, 크기가 바뀌지 않고(예: 효과 영역과 같이 지정된 범위(또는 경계) 내에서 표시) 퍼져 나가게 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6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1)에서 그래픽 효과를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예시 화면 1601에서, 전자 장치(101)는 지문 입력을 필요로 하는 상황, 예를 들면, 지문 인식 센서(200)에 기반하여 동작하는 지문 인식 모드(또는 지문 모드)에서, 디스플레이(220)를 통해 관련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1)는 예시 화면 160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잠금 화면을 디스플레이(220) 상에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220)는 지문 인식 센서(200)에 대응하는 영역(예: 지문 인식 영역) 상에, 인디케이팅 객체(300)를 표시할 수 있다.
예시 화면 1603 또는 예시 화면 1605에서, 사용자는 인디케이팅 객체(300)가 지시하는 지문 인식 영역을 인지하고, 지문 인식 영역에 기반하여 손가락 터치를 입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터치 센서(610)에 기반하여 지문 인식 영역에서의 터치를 감지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터치가 감지된 영역(예: 터치 영역(1650, 1660)) 및 터치 방향(또는 터치 입력 방향)(1620, 1640)을 식별하고, 터치 영역(1650, 1660) 및 터치 방향(1620, 1640)에 기반하여 그래픽 객체(1610, 1630)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지문 인식 영역에서 터치 영역(1650, 1660)과 사용자의 손가락이 접촉된 방향(1620, 1640)을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101)는 제1 지점(1621, 1641)으로부터 제2 지점(1623, 1643)에 기반하여 터치 방향(또는 터치 입력 방향)(예: 아래에서 위로 디스플레이(220) 내로 진입하는 방향(1620), 우에서 좌로 디스플레이(220) 내로 진입하는 방향(1640))을 식별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그래픽 효과를 위한 효과 영역에서 터치가 감지된 터치 영역(1650, 1660) (예: 사용자의 손가락 터치로 인하여 사용자 시야에서 가려지는 영역)을 제외하고, 나머지 비터치 영역(예: 사용자 시야에서 가려지지 않은 영역)을 그래픽 효과를 위한 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효과 영역에서 터치 영역(1650, 1660)이 제외된 나머지 비터치 영역에서 터치 방향(1620, 1640)(또는 터치 영역(1650, 1660)과 터치 방향(1620, 1640))에 기반하여 그래픽 객체(1610, 1630)를 이용한 시각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디스플레이(220)에서 지정된 효과 영역 전체가 아닌, 터치가 감지된 터치 영역(1650, 1660)을 제외하고 나머지 영역에서 터치 방향(1620, 1640)에 따른 시각 효과(또는 그래픽 효과)를 위한 그래픽 객체(1610, 1640)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터치가 감지된 터치 영역(1650, 1660)을 시작점으로, 물결(또는 에너지)이 점차 확산되는 것과 같은 시각 효과(예: 일 방향 확산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예시에서, 전자 장치(101)는 그래픽 객체가 시작점에서 점차 확산되는 효과와 같은 시각 효과를 제공할 때, 크기가 바뀌지 않고(예: 효과 영역과 같이 지정된 범위(또는 경계) 내에서 표시) 퍼져 나가게 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7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1)의 동작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17은 전자 장치(101)에서 디스플레이 지문 인식 센서(200)를 통해 지문 인식을 처리하고, 지문 인식을 처리하는 동안에, 터치가 감지된 영역(예: 터치 영역)과 터치 방향(또는 터치 입력 방향)을 식별하고, 터치 영역 내에 객체가 포함되는 경우 터치 영역과 터치 방향에 기반하여 그래픽 효과(예: 객체 분할 및/또는 이동)를 제공하는 예를 나타낼 수 있다.
도 17을 참조하면, 동작 1701에서, 전자 장치(101)의 프로세서(120)는 지정된 지문 인식 영역에 기반하여 터치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20)는 디스플레이(220) 하단에 배치된 지문 인식 센서(200)의 위치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220)의 일 영역에 인디케이팅 객체(300)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는 인디케이팅 객체(300)가 지시하는 지문 인식 영역을 인지하고, 지문 인식 영역에 기반하여 손가락 터치를 입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터치 센서(610)에 기반하여 지문 인식 영역에서의 터치를 감지할 수 있고, 터치를 감지하는 것에 기반하여 지문 인식 센서(200)를 통해 사용자의 지문을 스캔(또는 센싱)하는 동작을 내부적(또는 백그라운드)으로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20)는 백그라운드에서 지문 인식을 수행할 수 있다.
동작 1703에서, 프로세서(120)는 터치가 감지된 영역(예: 터치 영역) 및 터치 방향(또는 터치 입력 방향)을 식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지문 인식 영역에서 사용자의 손가락이 접촉된 부분 및/또는 면적을 식별(또는 계산)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지문 인식 영역에서 사용자의 손가락이 접촉된 방향을 판단할 수 있다.
동작 1705에서, 프로세서(120)는 지정된 효과 영역에서 터치 영역에 기반하여 객체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20)는 터치 영역에 포함(또는 중첩, 또는 겹치는)되는 객체(예: 기능(또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객체, 텍스트 객체)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그래픽 효과를 위한 지정된 효과 영역에서, 객체의 위치 정보에 적어도 기반하여, 터치 영역(예: 사용자의 손가락 터치로 인하여 사용자 시야에서 가려지는 영역) 내에 적어도 하나의 객체가 존재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동작 1707에서, 프로세서(120)는 터치 영역 또는 터치 방향에 적어도 기반하여 객체를 이용한 그래픽 효과(또는 시각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디스플레이(220)에서 지정된 효과 영역에서, 터치 영역에 포함(또는 중첩)되는 객체가 존재하는 경우, 해당 객체가 터치 영역과 중첩되지 않도록(또는 사용자의 손가락 터치로 인하여 사용자 시야에서 가려지지 않도록), 객체를 터치 영역 및/또는 터치 방향에 적어도 기반하여 분할, 이동 및/또는 재배치하는 시각 효과(또는 그래픽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8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1)에서 그래픽 효과를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예시 화면 1801에서, 전자 장치(101)는 지문 입력을 필요로 하는 상황, 예를 들면, 지문 인식 센서(200)에 기반하여 동작하는 지문 인식 모드(또는 지문 모드)에서, 디스플레이(220)를 통해 관련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220)는 지문 인식 센서(200)에 대응하는 영역(예: 지문 인식 영역) 상에, 인디케이팅 객체(300)를 표시할 수 있다.
예시 화면 1803 또는 예시 화면 1805에서, 사용자는 인디케이팅 객체(300)가 지시하는 지문 인식 영역을 인지하고, 지문 인식 영역에 기반하여 손가락 터치를 입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터치 센서(610)에 기반하여 지문 인식 영역에서의 터치를 감지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터치가 감지된 영역(예: 터치 영역(1840, 1850)) 및 터치 방향(또는 터치 입력 방향)(1860, 1870)을 식별하고, 터치 영역(1840, 1850) 및 터치 방향(1860, 1870)에 기반하여 객체(예: 기능(또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객체, 텍스트 객체)(1810)를 변경하는 시각 효과(1820, 1830)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지문 인식 영역에서 터치 영역(1840, 1850)과 사용자의 손가락이 접촉된 터치 방향(1860, 1870)을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101)는 예시 화면 1803에 예시한 바와 같이, 아래에서 위로 디스플레이(220) 내로 진입하는 방향(1860)을 식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101)는 예시 화면 1805에 예시한 바와 같이, 우하에서 좌상의 대각으로 디스플레이(220) 내로 진입하는 방향(1870)을 식별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그래픽 효과를 위한 효과 영역에서 터치가 감지된 터치 영역(1840, 1850)(예: 사용자의 손가락 터치로 인하여 사용자 시야에서 가려지는 영역)에 기반하여 객체(1810)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1)는 터치 영역(1840, 1850)에 포함(또는 중첩, 또는 겹치는)되는 객체(1810)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101)는 그래픽 효과를 위한 지정된 효과 영역에서, 객체의 위치 정보에 적어도 기반하여, 터치 영역(1840, 1850) 내에 적어도 하나의 객체(1810)가 존재하는지 식별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효과 영역에서 터치 영역(1840, 1850)과 터치 방향(1860, 1870)에 기반하여 객체(1810)를 이용한 시각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디스플레이(220)에서 터치 영역(1840, 1850)과 터치 방향(1860, 1870)에 중첩되는 객체(1810)에 대해, 해당 객체(1810)가 중첩되지 않도록(또는 사용자의 손가락 터치로 인하여 사용자 시야에서 가려지지 않도록)하는 시각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예시 화면 1803에 예시한 바와 같이, 전자 장치(101)는 객체(1810)가 터치 영역(1840)에 중첩되지 않도록, 객체(1810)를 터치 영역(1840) 및/또는 터치 방향(1860)에 적어도 기반하여 분할 및/또는 이동하여 표시하는 시각 효과(1820)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예시 화면 1805에 예시한 바와 같이, 전자 장치(101)는 객체(1810)가 터치 영역(1850)에 중첩되지 않도록, 객체(1810)를 터치 영역(1850) 및/또는 터치 방향(1870)에 적어도 기반하여 분할, 이동, 및/또는 재배치(또는 정렬)하여 표시하는 시각 효과(1830)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9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1)에서 그래픽 효과를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예시 화면 1901에서, 전자 장치(101)는 지문 입력을 필요로 하는 상황, 예를 들면, 지문 인식 센서(200)에 기반하여 동작하는 지문 인식 모드(또는 지문 모드)에서, 디스플레이(220)를 통해 관련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220)는 지문 인식 센서(200)에 대응하는 영역(예: 지문 인식 영역) 상에, 인디케이팅 객체(300)를 표시할 수 있다.
예시 화면 1903 또는 예시 화면 1905에서, 사용자는 인디케이팅 객체(300)가 지시하는 지문 인식 영역을 인지하고, 지문 인식 영역에 기반하여 손가락 터치를 입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터치 센서(610)에 기반하여 지문 인식 영역에서의 터치를 감지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터치가 감지된 영역(예: 터치 영역(1940, 1950)) 및 터치 방향(또는 터치 입력 방향)(1960, 1970)을 식별하고, 터치 영역(1940, 1950) 및 터치 방향(1960, 1970)에 기반하여 객체(예: 기능(또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객체, 텍스트 객체)(1910)를 변경하는 시각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지문 인식 영역에서 터치 영역(1940, 1950)과 사용자의 손가락이 접촉된 터치 방향(1960, 1970)을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101)는 예시 화면 1903에 예시한 바와 같이, 아래에서 위로 디스플레이(220) 내로 진입하는 방향(1960)을 식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101)는 예시 화면 1805에 예시한 바와 같이, 우에서 좌로 디스플레이(220) 내로 진입하는 방향(1970)을 식별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그래픽 효과를 위한 효과 영역에서 터치가 감지된 터치 영역(1940, 1950)(예: 사용자의 손가락 터치로 인하여 사용자 시야에서 가려지는 영역)에 기반하여 객체(1910)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1)는 터치 영역(1940, 1950)과 터치 방향(1960, 1970)에 포함(또는 중첩, 또는 겹치는)되는 객체(1910)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101)는 그래픽 효과를 위한 지정된 효과 영역에서, 객체의 위치 정보에 적어도 기반하여, 터치 영역(1940, 1950) 또는 터치 방향(1960, 1970)의 적어도 하나에 적어도 하나의 객체(1810)가 존재하는지(또는 포함되는지) 식별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효과 영역에서 터치 영역(1940, 1950)과 터치 방향(1960, 1970)에 기반하여 객체(1910)를 이용한 시각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디스플레이(220)에서 터치 영역(1940, 1950)과 터치 방향(1960, 1890)에 포함(또는 중첩)되는 객체(1910)에 대해, 해당 객체(1910)가 중첩되지 않도록(또는 사용자의 손가락 터치로 인하여 사용자 시야에서 가려지지 않도록)하는 시각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예시 화면 1903에 예시한 바와 같이, 전자 장치(101)는 터치 영역(1940) 또는 터치 방향(1960)에 적어도 기반하여, 객체(1910)를 이동 및/또는 재배치(또는 정렬)하여 표시하는 시각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1)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아래에서 위 방향(1960)으로 진입하는 것에 기반하여, 객체(1910)를 터치 영역(1940)의 상측으로 이동 및 재배치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예시 화면 1905에 예시한 바와 같이, 전자 장치(101)는 터치 영역(1950)과 터치 방향(1970)에 기반하여, 객체(1910)를 이동 및/또는 재배치(또는 정렬)하여 표시하는 시각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1)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우에서 좌 방향(1970)으로 진입하는 것에 기반하여, 객체(1910)를 터치 영역(1950)의 좌측으로 이동 및 재배치하여 표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도 19의 예시에서, 객체(1910)는, 예를 들면, 지문 인식 센서(200)에 의한 사용자 인증으로 잠금 해제와 함께, 해당 객체(예: 전화 아이콘, 카메라 아이콘)에 관련된 기능을 바로 실행 가능한 객체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지문 인식에 의한 잠금 해제와 함께 객체(1910)에 의한 기능을 바로 실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는 인디케이팅 객체(300)에 따른 지문 인식 영역에서 터치하여 지문 인식을 수행하고, 연속된 입력(예: 스와이프, 또는 드래그 입력)으로 실행할 기능과 관련된 객체(1910)(예: 전화 아이콘, 또는 카메라 아이콘)를 선택할 수 있다. 이에, 다양한 실시예들에서는, 사용자의 지문 인식과 병행하여, 연속된 기능 실행의 편의성을 위해, 터치 영역과 터치 방향에 따라 객체(1910)를 이동하여, 사용자의 연속된 입력의 편의성 및 접근성을 향상하도록 할 수 있다.
도 20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1)에서 그래픽 효과를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 따라, 도 20은 전자 장치(101)를 가로 방향(landscape case)(예: 화면 가로)으로 운영하는 경우의 예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1)는 세로 방향(portrait case)(예: 화면 세로)에서 디스플레이 지문 인식 기능을 제공하거나, 가로 방향에서 디스플레이 지문 인식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가로 방향에서 디스플레이 지문 인식 기능 운영 시에도, 전술된 바와 같은 세로 방향에서 디스플레이 지문 인식 기능 운영에 따른 시각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20을 참조하면, 예시 화면 2001에서, 전자 장치(101)는 가로 방향(예: 화면 가로)으로 동작(또는 설정)되고, 지문 입력을 필요로 하는 상황, 예를 들면, 지문 인식 센서(200)에 기반하여 동작하는 지문 인식 모드(또는 지문 모드)에서, 디스플레이(220)를 통해 관련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220)는 지문 인식 센서(200)에 대응하는 영역(예: 지문 인식 영역) 상에, 인디케이팅 객체(300)를 표시할 수 있다.
예시 화면 2003 또는 예시 화면 2005에서, 사용자는 인디케이팅 객체(300)가 지시하는 지문 인식 영역을 인지하고, 지문 인식 영역에 기반하여 손가락 터치를 입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터치 센서(610)에 기반하여 지문 인식 영역에서의 터치를 감지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터치가 감지된 터치 영역(2040, 2050) 및 터치 방향(또는 터치 입력 방향)(2060, 2070)을 식별하고, 터치 영역(2040, 2050) 및 터치 방향(2060, 2070)에 기반하여 객체(예: 기능(또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객체, 텍스트 객체)(2010)를 변경하는 시각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지문 인식 영역에서 터치 영역(2040, 2050)과 사용자의 손가락이 접촉된 터치 방향(2060, 2070)을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101)는 예시 화면 2003에 예시한 바와 같이, 우상에서 좌하의 대각으로 디스플레이(220) 내로 진입하는 방향(2060)을 식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101)는 예시 화면 2005에 예시한 바와 같이, 좌하에서 우상의 대각으로 디스플레이(220) 내로 진입하는 방향(2070)을 식별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그래픽 효과를 위한 효과 영역에서 터치가 감지된 터치 영역(2040, 2050)(예: 사용자의 손가락 터치로 인하여 사용자 시야에서 가려지는 영역)에 기반하여 객체(2010)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1)는 터치 영역(2040, 2050)과 터치 방향(2060, 2070)에 포함(또는 중첩, 또는 겹치는)되는 객체(2010)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101)는 그래픽 효과를 위한 지정된 효과 영역에서, 객체의 위치 정보에 적어도 기반하여, 터치 영역(2040, 2050)과 터치 방향(2060, 2070)에 적어도 하나의 객체(2010)가 존재하는지 식별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효과 영역에서 터치 영역(2040, 2050)과 터치 방향(2060, 2070)에 기반하여 객체(2010)를 이용한 시각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디스플레이(220)에서 터치 영역(2040, 2050)과 터치 방향(2060, 2090)에 중첩되는 객체(2010)에 대해, 해당 객체(2010)가 중첩되지 않도록(또는 사용자의 손가락 터치로 인하여 사용자 시야에서 가려지지 않도록)하는 시각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예시 화면 2003에 예시한 바와 같이, 전자 장치(101)는 터치 영역(2040)과 터치 방향(2060)에 기반하여, 객체(2010)를 이동 및/또는 재배치하여 표시하는 시각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1)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우상에서 좌하의 대각 방향(1960)으로 진입하는 것에 기반하여, 객체(2010)를 우측으로 이동 및 재배치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예시 화면 2005에 예시한 바와 같이, 전자 장치(101)는 터치 영역(2050)과 터치 방향(2070)에 기반하여, 객체(2010)를 이동 및/또는 재배치하여 표시하는 시각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1)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좌하에서 우상의 대각 방향(2070)으로 진입하는 것에 기반하여, 객체(2010)를 터치 영역(2050)의 우측으로 이동 및 재배치하여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1)의 동작 방법은, 터치 센서(610)에 기반하여, 디스플레이(220)에서 지문 인식 센서(220)가 포함된 지문 인식 영역에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는 동작, 상기 지문 인식 센서(220)에 기반하여, 상기 사용자 입력에 따른 지문 인식을 수행하는 동작, 상기 지문 인식을 수행하는 동안, 상기 사용자 입력에 관련된 그래픽 효과를 제공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는 동작은, 지문 인식 모드로 진입하는 이벤트 발생을 감지하는 동작, 상기 이벤트 발생에 기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220)에서, 상기 지문 인식 영역에 대응하는 위치에 지문 입력과 관련된 인디케이팅 객체(indicating object)(300)를 표시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그래픽 효과를 제공하는 동작은, 상기 디스플레이(220)에 지정된 효과 영역에서, 상기 사용자 입력으로 터치된 터치 영역을 제외하고, 나머지 비터치 영역에 기반하여, 상기 사용자 입력에 상호작용하는 상기 그래픽 효과를 제공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그래픽 효과를 제공하는 동작은, 지정된 그래픽 객체에 기반하여 상기 그래픽 효과를 제공하는 동작, 또는 상기 터치 영역에 포함된 객체의 이동에 기반하여 상기 그래픽 효과를 제공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그래픽 효과를 제공하는 동작은, 상기 지문 인식을 수행하는 동안, 상기 사용자 입력이 감지된 터치 영역을 식별하는 동작, 상기 그래픽 효과를 위한 지정된 효과 영역에서 상기 터치 영역을 제외하는 동작, 상기 효과 영역에서 상기 터치 영역이 제외된 나머지 비터치 영역을 상기 그래픽 효과를 위한 영역으로 설정하는 동작, 상기 비터치 영역을 통해 상기 그래픽 객체를 표시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그래픽 효과를 제공하는 동작은, 상기 사용자 입력의 터치 방향을 식별하는 동작을 포함하고, 상기 효과 영역에서 상기 터치 영역이 제외된 나머지 비터치 영역에서 상기 터치 방향에 기반하여 상기 그래픽 객체를 표시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그래픽 효과를 제공하는 동작은, 상기 지문 인식을 수행하는 동안, 상기 사용자 입력이 감지된 터치 영역과 상기 사용자 입력의 터치 방향을 식별하는 동작, 상기 터치 영역에 객체가 포함되는지 확인하는 동작, 상기 터치 영역에 객체가 포함하는 경우, 상기 객체를 상기 터치 영역 또는 상기 터치 방향에 적어도 기반하여 변경하는 상기 그래픽 효과를 제공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확인하는 동작은, 상기 객체의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객체가 상기 터치 영역 또는 상기 터치 방향의 적어도 하나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바탕으로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1: 전자 장치
120: 프로세서
130: 메모리
220: 디스플레이
200: 지문 인식 센서
300: 인디케이팅 객체

Claims (20)

  1. 전자 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터치 센서;
    상기 디스플레이의 아래에 배치되는 지문 인식 센서;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터치 센서에 기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에서 상기 지문 인식 센서가 포함된 지문 인식 영역에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고,
    상기 지문 인식 센서에 기반하여, 상기 사용자 입력에 따른 지문 인식을 수행하고,
    상기 지문 인식을 수행하는 동안, 상기 사용자 입력에 관련된 그래픽 효과를 제공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지문 인식 모드로 진입하는 이벤트 발생을 감지하고,
    상기 이벤트 발생에 기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에서, 상기 지문 인식 영역에 대응하는 위치에 지문 입력과 관련된 인디케이팅 객체(indicating object)를 표시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에 지정된 효과 영역에서, 상기 사용자 입력으로 터치된 터치 영역을 제외하고, 나머지 비터치 영역에 기반하여, 상기 사용자 입력에 상호작용하는 상기 그래픽 효과를 제공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지정된 그래픽 객체에 기반하여 상기 그래픽 효과를 제공하거나, 또는 상기 터치 영역에 포함된 객체의 이동에 기반하여 상기 그래픽 효과를 제공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지문 인식을 수행하는 동안, 상기 사용자 입력이 감지된 터치 영역을 식별하고,
    그래픽 효과를 위한 지정된 효과 영역에서 상기 터치 영역을 제외하고,
    상기 효과 영역에서 상기 터치 영역이 제외된 나머지 비터치 영역을 상기 그래픽 효과를 위한 영역으로 설정하고,
    상기 비터치 영역을 통해 상기 그래픽 객체를 표시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지문 인식을 수행하는 동안, 상기 사용자 입력이 감지된 터치 영역과 상기 사용자 입력의 터치 방향을 식별하고,
    그래픽 효과를 위한 지정된 효과 영역에서 상기 터치 영역을 제외하고,
    상기 효과 영역에서 상기 터치 영역이 제외된 나머지 비터치 영역에서 상기 터치 방향에 기반하여 상기 그래픽 객체를 표시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지문 인식을 수행하는 동안, 상기 사용자 입력이 감지된 터치 영역과 상기 사용자 입력의 터치 방향을 식별하고,
    상기 터치 영역에 객체가 포함되는지 확인하고,
    상기 터치 영역에 객체가 포함하는 경우, 상기 객체를 상기 터치 영역 또는 상기 터치 방향에 적어도 기반하여 변경하는 상기 그래픽 효과를 제공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객체의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객체가 상기 터치 영역 또는 상기 터치 방향의 적어도 하나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지정된 시간 동안 상기 그래픽 효과를 제공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지정된 시간은, 상기 지문 인식 센서를 통해 사용자의 지문을 인식하여 처리하는 데 소요되는 시간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11.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랜덤 방식으로 상기 그래픽 객체를 선택하거나, 또는 지정된 그래픽 객체를 선택하여, 상기 그래픽 효과를 제공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12.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배경 컬러에서 적어도 하나의 컬러를 추출하고, 추출된 적어도 하나의 컬러를 틴트(tint)하여 제공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13.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터치 센서에 기반하여, 디스플레이에서 지문 인식 센서가 포함된 지문 인식 영역에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는 동작,
    상기 지문 인식 센서에 기반하여, 상기 사용자 입력에 따른 지문 인식을 수행하는 동작,
    상기 지문 인식을 수행하는 동안, 상기 사용자 입력에 관련된 그래픽 효과를 제공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는 동작은,
    지문 인식 모드로 진입하는 이벤트 발생을 감지하는 동작,
    상기 이벤트 발생에 기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에서, 상기 지문 인식 영역에 대응하는 위치에 지문 입력과 관련된 인디케이팅 객체(indicating object)를 표시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픽 효과를 제공하는 동작은,
    상기 디스플레이에 지정된 효과 영역에서, 상기 사용자 입력으로 터치된 터치 영역을 제외하고, 나머지 비터치 영역에 기반하여, 상기 사용자 입력에 상호작용하는 상기 그래픽 효과를 제공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픽 효과를 제공하는 동작은,
    지정된 그래픽 객체에 기반하여 상기 그래픽 효과를 제공하는 동작, 또는 상기 터치 영역에 포함된 객체의 이동에 기반하여 상기 그래픽 효과를 제공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픽 효과를 제공하는 동작은,
    상기 지문 인식을 수행하는 동안, 상기 사용자 입력이 감지된 터치 영역을 식별하는 동작,
    상기 그래픽 효과를 위한 지정된 효과 영역에서 상기 터치 영역을 제외하는 동작,
    상기 효과 영역에서 상기 터치 영역이 제외된 나머지 비터치 영역을 상기 그래픽 효과를 위한 영역으로 설정하는 동작,
    상기 비터치 영역을 통해 상기 그래픽 객체를 표시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픽 효과를 제공하는 동작은,
    상기 사용자 입력의 터치 방향을 식별하는 동작을 포함하고,
    상기 효과 영역에서 상기 터치 영역이 제외된 나머지 비터치 영역에서 상기 터치 방향에 기반하여 상기 그래픽 객체를 표시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픽 효과를 제공하는 동작은,
    상기 지문 인식을 수행하는 동안, 상기 사용자 입력이 감지된 터치 영역과 상기 사용자 입력의 터치 방향을 식별하는 동작,
    상기 터치 영역에 객체가 포함되는지 확인하는 동작,
    상기 터치 영역에 객체가 포함하는 경우, 상기 객체를 상기 터치 영역 또는 상기 터치 방향에 적어도 기반하여 변경하는 상기 그래픽 효과를 제공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하는 동작은,
    상기 객체의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객체가 상기 터치 영역 또는 상기 터치 방향의 적어도 하나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KR1020190019487A 2019-02-19 2019-02-19 전자 장치에서 사용자 입력을 위한 피드백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200101187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9487A KR20200101187A (ko) 2019-02-19 2019-02-19 전자 장치에서 사용자 입력을 위한 피드백 제공 장치 및 방법
PCT/KR2020/002319 WO2020171543A1 (ko) 2019-02-19 2020-02-18 전자 장치에서 사용자 입력을 위한 피드백 제공 장치 및 방법
US17/431,938 US20210382615A1 (en) 2019-02-19 2020-02-18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feedback for user input in electronic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9487A KR20200101187A (ko) 2019-02-19 2019-02-19 전자 장치에서 사용자 입력을 위한 피드백 제공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1187A true KR20200101187A (ko) 2020-08-27

Family

ID=721433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9487A KR20200101187A (ko) 2019-02-19 2019-02-19 전자 장치에서 사용자 입력을 위한 피드백 제공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10382615A1 (ko)
KR (1) KR20200101187A (ko)
WO (1) WO2020171543A1 (ko)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3494B1 (ko) * 2012-10-11 2015-02-16 크루셜텍 (주) 터치 스크린 내에 지문 인식 영역을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기
KR20150018349A (ko) * 2013-08-08 2015-02-23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휴대 단말기의 지문 입력 가이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비휘발성 기록매체
KR20150056353A (ko) * 2013-11-15 2015-05-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KR102290892B1 (ko) * 2014-12-12 2021-08-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20160141566A (ko) * 2015-06-01 2016-12-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CN106708496B (zh) * 2015-11-18 2020-03-17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图形界面中标签页的处理方法和装置
US20180074627A1 (en) * 2016-09-13 2018-03-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display emitting light to provide optics-based fingerprint detection
KR102578253B1 (ko) * 2016-10-21 2023-09-12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지문 정보 획득 방법
KR102143148B1 (ko) * 2017-09-09 2020-08-10 애플 인크. 생체측정 인증의 구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10382615A1 (en) 2021-12-09
WO2020171543A1 (ko) 2020-08-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68459B2 (en) Operation method with fingerprint recognition, apparatus, and mobile terminal
US11016611B2 (en) Touch processing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supporting the same
KR102578253B1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지문 정보 획득 방법
KR102354415B1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 제어 방법
KR102561736B1 (ko) 터치 디스플레이를 가지는 전자 장치 및 이의 지문을 이용한 기능 실행 방법
KR102552312B1 (ko) 복수의 지문 센싱 모드를 갖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582973B1 (ko) 지문 센서를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그 방법
KR102496531B1 (ko) 지문 인식을 위한 방법, 전자 장치 및 저장 매체
CN106095295B (zh) 一种基于指纹识别的处理方法和移动终端
KR102041984B1 (ko) 추가 구성 요소를 이용한 얼굴 인식 기능을 가지는 모바일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0599823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ordinating applications with a user interface
EP3054399A1 (en) Electronic device with touch sensor and driving method therefor
CN111758097A (zh) 电子设备及其指纹认证界面方法
KR20150128377A (ko) 지문 처리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US11275458B2 (en) Method, electronic device, and storage medium for fingerprint recognition
US11366888B2 (en) Electronic device using a fingerprint sensor included in a display of the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20190093003A (ko) 지문 상태를 변경하기 위한 가이드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20240029476A1 (en) Electronic device and fingerprint recognition method of same
KR102096824B1 (ko) 보안 환경을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US20210382615A1 (en)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feedback for user input in electronic device
KR20190027704A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지문 인식 방법
KR20220117540A (ko) 지문 센서를 갖는 전자 장치 및 그의 지문 정보 업데이트 방법
KR20210123156A (ko) 전자 장치 및 비접촉 제스처를 이용한 전자 장치의 기능 운용 방법
KR20210050652A (ko) 모바일 기기의 핑거프린트 인식을 위한 방법
KR20210128797A (ko) 사용자의 지문을 인식하는 전자 장치 및 동작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