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00684A - 혈전제거 카테터 및 사용 방법 - Google Patents

혈전제거 카테터 및 사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00684A
KR20200100684A KR1020207019846A KR20207019846A KR20200100684A KR 20200100684 A KR20200100684 A KR 20200100684A KR 1020207019846 A KR1020207019846 A KR 1020207019846A KR 20207019846 A KR20207019846 A KR 20207019846A KR 20200100684 A KR20200100684 A KR 202001006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theter
lumen
pigtail
deformable
deformable ri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198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에릭 라울 게라
소치틀 브람스 게라
메이라 파울리나 게라
Original Assignee
에릭 라울 게라
메이라 파울리나 게라
소치틀 브람스 게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릭 라울 게라, 메이라 파울리나 게라, 소치틀 브람스 게라 filed Critical 에릭 라울 게라
Publication of KR202001006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068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22Implements for squeezing-off ulcers or the like on the inside of inner organs of the body; Implements for scraping-out cavities of body organs, e.g. bones; Calculus removers; Calculus smashing apparatus; Apparatus for removing obstructions in blood vess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B17/221Gripping devices in the form of loops or baskets for gripping calculi or similar types of obstruc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2Surgical cutting instruments
    • A61B17/3205Excision instruments
    • A61B17/3207Atherectomy devices working by cutting or abrading; Simila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non-vascular obstruc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21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form of the tubing
    • A61M25/0023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form of the tubing by the form of the lumen, e.g. cross-section, variable diameter
    • A61M25/0026Multi-lumen catheters with stationary elements
    • A61M25/003Multi-lumen catheters with stationary elements characterized by features relating to least one lumen located at the distal part of the catheter, e.g. filters, plugs or val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67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distal end, e.g. tips
    • A61M25/0074Dynamic characteristics of the catheter tip, e.g. openable, closable, expandable or deforma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9Guide wires
    • A61M25/0905Guide wires extendable, e.g. mechanisms for extens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023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61B2017/0029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mounted on or guided by flexible, e.g. catheter-like, means
    • A61B2017/003Steerable
    • A61B2017/00318Steering mechanisms
    • A61B2017/00331Steering mechanisms with preformed be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023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61B2017/00358Snares for grasp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22Implements for squeezing-off ulcers or the like on the inside of inner organs of the body; Implements for scraping-out cavities of body organs, e.g. bones; Calculus removers; Calculus smashing apparatus; Apparatus for removing obstructions in blood vess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B2017/22038Implements for squeezing-off ulcers or the like on the inside of inner organs of the body; Implements for scraping-out cavities of body organs, e.g. bones; Calculus removers; Calculus smashing apparatus; Apparatus for removing obstructions in blood vess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a guide wi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22Implements for squeezing-off ulcers or the like on the inside of inner organs of the body; Implements for scraping-out cavities of body organs, e.g. bones; Calculus removers; Calculus smashing apparatus; Apparatus for removing obstructions in blood vess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B2017/22072Implements for squeezing-off ulcers or the like on the inside of inner organs of the body; Implements for scraping-out cavities of body organs, e.g. bones; Calculus removers; Calculus smashing apparatus; Apparatus for removing obstructions in blood vess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an instrument channel, e.g. for replacing one instrument by the oth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22Implements for squeezing-off ulcers or the like on the inside of inner organs of the body; Implements for scraping-out cavities of body organs, e.g. bones; Calculus removers; Calculus smashing apparatus; Apparatus for removing obstructions in blood vess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B17/221Gripping devices in the form of loops or baskets for gripping calculi or similar types of obstructions
    • A61B2017/2215Gripping devices in the form of loops or baskets for gripping calculi or similar types of obstructions having an open distal en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46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brought in contact with an internal body part, i.e. invasive
    • A61B5/6847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brought in contact with an internal body part, i.e. invasive mounted on an invasive device
    • A61B5/6852Catheters
    • A61B5/6857Catheters with a distal pigtail shap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21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form of the tubing
    • A61M25/0023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form of the tubing by the form of the lumen, e.g. cross-section, variable diameter
    • A61M25/0026Multi-lumen catheters with stationary elements
    • A61M2025/0037Multi-lumen catheters with stationary elements characterized by lumina being arranged side-by-sid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9Guide wires
    • A61M2025/09175Guide wires having specific characteristics at the distal ti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105Steering means as part of the catheter or advancing means; Markers for positioning
    • A61M25/0133Tip steering devices
    • A61M25/0147Tip steering devices with movable mechanical means, e.g. pull wir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Pulmon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Abstract

통과하는 이중 루멘을 포함하는 카테터 또는 전달 덮개를 포함하는 혈전제거 카테터로, 상기 카테터는 근위 세그먼트와 원위 세그먼트 및 그들 사이에 연결된 선형 섹션을 포함하고, 상기 원위 세그먼트는 루프로 구성되고, 상기 카테터의 상기 이중 루멘 내에 형성된 포트 또는 구멍, 상기 원위 세그먼트에 근접하여 위치한 포트, 상기 카테터의 이중 루멘 중 하나를 통해 종방향으로 횡단하도록 구성된 가이드와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와이어는 메시 스트레이너에 부착된 제1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메시 스트레이너는 상기 카테터의 이중 루멘 중 다른 하나를 통해 종방향으로 횡단하고 상기 포트를 통해 빠져나가서 상기 루프를 따라 수축 가능한 메시 스트레이너를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혈전제거 카테터 및 사용 방법
<관련 출원의 상호 참조>
법률이 허용하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의 미국 정규 특허 출원은 2017년 12월 13일자로 출원된 "X-tractor Thrombectomy Catheter and Methods of Use" 제목의 미국 가출원 번호 62/598,436의 우선권 및 전체 이익을 주장하며, 이는 그 전문이 본원에 참조로 포함된다.
<기술분야>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의료 카테터 장치(catheter device)에 관한 것이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혈전(응혈)을 제거하기 위해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기구(deployable instrument)를 포함하는 의료 카테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카테터는 질병을 치료하거나 수술 절차를 수행하기 위해 신체에 삽입하는 것과 같은 광범위한 기능을 제공하는 의료용 재료(medical grade material)로 만들어진 의료 장치 또는 장치이다. 더욱이, 카테터는 종종 그 원위 단부(distal end)에 조종기 수단을 갖는 길쭉한 형태이며, 인체 또는 동물 내의 한정된 또는 접근 불가능한 공간에서 문제(matter)의 수술 조작(surgical manipulation)에 이용된다. 예를 들어, 카테터는 작은 관절경(arthroscopic), 내시경 절개(endoscopic incision), 경피 또는 신체 개구부를 통해 봉합, 칼 또는 가위 동작으로 절단, 또는 포획 및 적출 장치를 수행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더욱이, 혈관 성형술(angioplasty), 죽종절제술(atherectomy) 및 스텐트 및 스텐트-이식편의 배치, 혈관 질환 치료 절차, 종종 혈관벽에서 물질 또는 플라크를 제거는 혈전이 형성되거나 색전이 방출될 수 있고, 이는 혈류로 유입될 수 있으며, 더 작은 하류 혈관을 막고 조직으로의 혈류를 잠재적으로 차단할 수 있을 정도로 클 수 있다. 심장, 폐 또는 뇌와 같은 중요한 조직에서 막힘이 발생하면 결과가 환자의 건강이나 생명에 심각한 위협을 줄 수 있다.
하나의 이전의 접근법은 축 방향 보어를 갖는 캐뉼라를 포함하는 카테터 장치를 포함하며, 근위 단부(proximate end) 상의 원격 작동기 수단은 원위 단부 상의 전개 개구부(deployment opening)의 경계를 지나 연장되도록 슬라이딩 탄성 변형 루프를 활성화하고 이에 부착된 탄성 변형 루프 및 베리어 부재를 배치하고 그 배치 구성을 달성한다. 이 접근법의 한 가지 단점은 탄성 변형 가능한 루프가 과도하게 팽창하거나 선형으로 팽창하여 전개 영역(deployment area)에서 조직 또는 혈관의 파열을 야기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 접근법의 다른 단점은 슬라이딩 탄성 변형 루프가 전개 개구부 내로 팽창 및/또는 수축될 때 탄성 변형 루프가 바이옵시(biopsy)를 절단하거나 천공하거나 혈관 벽을 찌르는 것일 수 있다는 것이다.
더욱이, 이러한 탄성 변형 루프는 일반적으로 붕괴 및 수축 과정에서 물질이 필터(베리어 부재)로부터 빠져 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없다.
다른 이전의 접근법은 혈관 시스템 내에서 물질을 여과 또는 제거하고 색전(emboli)을 포획하기 위한 주머니(sac) 또는 메시 필터를 지지하기 위해 관절 영역으로 확장 가능한 지지 후프(support hoop)와 같은 자체-확장(self-expanding) 혈관 장치를 갖는 카테터 장치를 포함한다. 이 접근법의 한가지 단점은 메시 필터가 혈관를 통한 흐름을 저하시킬 수 있고 차단된 혈관에 의해 정상적으로 공급되는 하류 세포 및 조직에 손상을 줄 수 있다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이러한 장치를 작은 직경의 혈관에 사용하는 것은 어렵거나 불가능할 수 있다.
따라서, 조직 또는 혈관에서 파열, 바이옵시(biopsy), 응고(clot)를 슬라이스 또는 천공, 혈관 벽을 찌르지 않고 혈관벽으로부터 물질, 플라크, 응고 및 색전을 전개, 스쿠프, 수집 및 제거하는 기능을 하는 혈전제거 카테터 및 그 사용 방법에 대한 충족되지 않은 필요성이 명백히 명백하다. 또한, 붕괴 및 수축 과정에서 물질이 필터(베리어 부재)로부터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용기를 통한 흐름을 저하시키지 않으며 차단된 용기에 의해 정상적으로 공급되는 하류 세포 및 조직에 손상을 초래하지 않을 수 있고, 작은 직경의 용기에서 작동될 수 있다.
간략히 설명된 예시적인 실시 예에서, 본 장치는 관통하는 이중 루멘(통로)을 포함하는 카테터 또는 전달 외피(delivery sheath)를 제공함으로써 상기 언급된 단점을 극복하고, 혈전 절제술 카테터 및 사용 방법에 대한 인식된 요구를 충족시키며, 상기 카테터는 근위 세그먼트(proximal segment)와 원위 세그먼트(distal segment) 및 그들 사이에 연결된 선형 섹션(linear section); 상기 카테터의 상기 이중 루멘(lumen) 내에 형성된 포트 또는 구멍(aperture); 및 상기 카테터의 이중 루멘 중 하나를 통해 종 방향으로(longitudinally) 횡단하도록(traverse) 구성된 가이드와이어(guidewire)를을 포함하고, 상기 원위 세그먼트는 루프(피그테일) 또는 림으로 구성되고, 상기 포트는 상기 원위 세그먼트에 근접하여 위치하고, 수축식 메시 스트레이너(retractable mesh strainer)를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가이드와이어는 상기 카테터의 이중 루멘 중 다른 하나를 통해 종방향으로 횡단하고 상기 포트를 통해 빠져나와 상기 루프를 따라가도록 구성된 메시 스트레이너(바스켓/네트)와 함께 구성되고, 따라서 조직이나 혈관의 찢어짐, 바이옵시의 슬라이스 또는 천공, 혈전(clot), 또는 상기 혈관 벽을 찌르지 않고도 상기 혈관 내부에서 물질, 플라크, 혈전 및 색전을 전개, 퍼내기, 수집 및 제거하고, 혈관을 통한 흐름을 저하시키지 않으면서 붕괴 및 수축 과정에서 물질이 필터(베리어 부재)에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고, 차단된 혈관에 의해 정상적으로 공급되는 하류 세포 및 조직에 손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작은 직경 혈관에서 작동할 수 있다.
주요 측면 및 광범위하게 언급된 바와 같이, 혈전제거 카테터 및 사용 방법은 카테터 또는 전달 외피(delivery sheath)를 포함하고 이는 이를 통해 연장되는 이중 루멘을 포함하고, 상기 카테터는 근위 세그먼트(proximal segment)와 원위 세그먼트(distal segment) 및 그들 사이에 연결된 선형 섹션(linear section)을 포함하고, 상기 원위 세그먼트는 상기 카테터의 상기 이중 루멘 내에 형성된 루프, 포트 또는 구멍으로 구성되고, 상기 포트는 상기 원위 세그먼트에 근접하여 위치하고, 그리고 가이드와이어는 상기 카테터의 이중 루멘 중 하나를 통해 종 방향으로 횡단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가이드와이어는 메시 스트레이너에 결합된 제1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메시 스트레이너는 상기 카테터의 이중 루멘 중 다른 하나를 통해 종 방향으로 횡단하고 상기 포트를 통해 빠져나가서 상기 루프를 따라 수축 가능한 메시 스트레이너를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원격으로 작동되는 외과용 장치(remotely operated surgical device)의 예시적인 실시 예에서, 가요성 포지셔닝 기구(flexible positioning instrument)를 포함하고, 이는 내부에 제1카테터 단부로부터 제2카테터 단부까지 연장되는 이중 루멘 보어(dual lumen bore)를 포함하는 연장된 카테터(elongated catheter)를 포함하고, 상기 이중 루멘 보어는 제1루멘 및 제2루멘을 포함하고, 피그테일은 상기 제2카테터 단부에 결합하고, 상기 제1루멘은 상기 연장된 카테터 및 상기 피그테일을 통해 연장되고, 상기 제2루멘은 연장된 카테터를 통해 연장되고, 가이드와이어는 연장된 카테터의 제1루멘 및 피그테일을 통해 연장 가능하고, 상기 피그테일로부터 연장 가능하고, 상기 가이드와이어는 상기 피그테일을 구부러지도록 구성되고, 수축 기구는 근위 부재(proximal member) 및 상기 근위 부재에 연결된 원위 부재(distal member)를 포함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원위 부재는 변형 가능한 림(deformable rim) 및 상기 변형 가능한 림에 결합된 베리어 막(barrier membrane)을 포함하고 상기 연장된 카테터의 상기 제2루멘을 통해 연장된다.
환자의 혈관으로부터 생체 물질(biomaterial)을 제거하는 방법의 또 다른 예시적인 실시 예에서, 가요성 포지셔닝 기구를 포함하는 원격으로 작동하는 외과용 장치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가요성 포지셔닝 기구는 내부에 제1카테터 단부로부터 제2카테터 단부까지 연장되는 이중 루멘 보어를 갖는 연장된 카테터; 상기 제2카테터 단부에 결합된 피그테일; 연장된 카테터의 제1루멘 및 피그테일을 통해 연장 가능한 가이드와이어; 근위 부재(proximal member) 및 상기 근위 부재에 연결된 원위 부재(distal member)를 포함하도록 구성된 수축 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이중 루멘 보어는 제1루멘 및 제2루멘을 포함하고, 상기 제1루멘은 상기 연장된 카테터 및 상기 피그테일을 통해 연장되고, 상기 제2루멘은 연장된 카테터를 통해 연장되고, 상기 원위 부재는 변형 가능한 림(deformable rim) 및 상기 변형 가능한 림에 결합된 베리어 막(barrier membrane)을 포함하고 상기 연장된 카테터의 상기 제2루멘을 통해 연장되고, 상기 환자의 혈관을 통해 상기 작동하는 외과용 장치를 조작하는 단계(maneuvering); 상기 생체 물질에 근접하여 상기 피그테일을 위치시키는 단계(positioning); 상기 제2루멘으로부터 상기 변형 가능한 림 및 상기 베리어 막을 전개하는 단계(deploying); 상기 생체 물질에 근접하여 상기 변형 가능한 림 및 상기 베리어 막을 회전시키는 단계(rotating); 상기 베리어 막 내에 생체 물질을 수집하는 단계(collecting); 상기 제2루멘을 통해 상기 변형 가능한 림, 상기 베리어 막, 및 상기 생체 물질을 수축시키는 단계(retracting)를 포함한다.
따라서, 혈전제거 카테터 및 사용 방법의 특징은 바람직하지 않은 물질에 근접하여 루프로 구성된 피그테일 또는 원위 세그먼트를 여러 번 회전시켜 응고(clot), 플라크(plaque), 색전(emboli), 혈전(혈액 응고), 지방 침착물 또는 기타 바람직하지 않은 물질 또는 잔해물을 메시 혈액 스트레이너 내부로 퍼내고 인간 혈관으로부터 추출할 수 있는 것이다.
혈전제거 카테터 및 사용 방법의 또 다른 특징은 메시 스트레이너 또는 바스켓 포러스(basket porous)를 제공하는 능력으로, 따라서 응고(clot), 플라크(plaque), 색전(emboli), 혈전(혈액 응고), 지방 침착물 또는 기타 바람직하지 않은 물질 또는 잔해물이 그 안에 포집되어 혈액 세포는 자유롭게 통과할 수 있다.
혈전제거 카테터 및 사용 방법의 또 다른 특징은 하나의 루멘이 가이드와이어(guidewire)를 위한 통로를 형성하고 다른 루멘이 메시 스트레이너를 위한 통로를 형성하는 이중 루멘 카테터를 제공하는 능력이다.
혈전제거 카테터 및 사용 방법의 또 다른 특징은 원격으로 작동 가능한 외과용 장치 또는 가이드와이어를 제공하는 능력이다.
혈전제거 카테터 및 사용 방법의 또 다른 특징은 유연한 이중 루멘 카테터를 제공하는 능력이다.
혈전제거 카테터 및 사용 방법의 또 다른 특징은 가이드와이어를 위한 통로를 포함하는 가요성 피그테일 및 인접부(proximate) 또는 팁 단부에 형성된 배치 또는 출구 포트를 포함하는 가요성 이중 루멘 카테터를 제공하는 능력이다.
혈전제거 카테터 및 사용 방법의 또 다른 특징은 바스켓 또는 네트를 형성하기 위해 메시 스트레이너 내에 응고, 클라크, 색전 또는 다른 바람직하지 않은 물질을 퍼내기 위해 루프로 구성된 원위 세그먼트 주변을 가로지르는 수축 가능한 메시 스트레이너를 제공하는 능력이다
혈전제거 카테터 및 사용 방법의 또 다른 특징은 카테터에 카테터의 원위 세그먼트 상의 루프 피그테일을 추적할 수 있는 배치 가능한 메시 바스켓, 네트, 메시 스트레이너를 카테터에 제공하는 능력이다.
혈전제거 카테터 및 사용 방법의 또 다른 특징은 이전에 공지된 혈관 필터 네트 및 혈전 절제술(thrombectomy)/색전 제거술(embolectomy) 장치의 단점을 극복하고 적은 구성 요소를 사용하는 혈관 장치를 제공하는 능력이다.
혈전제거 카테터 및 사용 방법의 또 다른 특징은 작은 전달 프로파일(delivery profile)로 수축될 수 있고 따라서 작은 혈관에서 상기 장치의 사용을 허락하는 혈관 장치를 제공하는 능력이다.
혈전제거 카테터 및 사용 방법의 또 다른 특징은 전문화된 전달 카테터 없이 혈관 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능력이다.
혈전제거 카테터 및 사용 방법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장치가 수축 또는 제거될 때 상기 장치로부터 탈출하는 응고(clot), 플라크(plaque), 색전(emboli), 혈전(혈액 응고), 지방 침착물 또는 기타 바람직하지 않은 물질 또는 잔해물의 위험을 감소시키는 혈관 장치를 제공하는 능력이다.
혈전제거 카테터 및 사용 방법의 또 다른 특징은 수술을 하지 않거나 혈전 용해제(clot buster)를 제공하지 않으면서 인간 혈관으로부터 응고(clot), 플라크(plaque), 색전(emboli), 혈전(혈액 응고), 지방 침착물 또는 기타 바람직하지 않은 물질 또는 잔해물을 경피적으로 제거하기 위한 혈관 장치를 제공하는 능력이다.
혈전제거 카테터 및 사용 방법의 또 다른 특징은 바람직하지 않은 물질에 근접하여 피그테일, 루프 또는 루프로 구성된 원위 세그먼트를 회전시킴으로써 인간 혈관으로부터 응고(clot), 플라크(plaque), 색전(emboli), 혈전(혈액 응고), 지방 침착물 또는 기타 바람직하지 않은 물질 또는 잔해물을 포획하는 혈관 장치를 제공하는 능력이다.
혈전제거 카테터 및 사용 방법의 또 다른 특징은 작업 영역에 인접한 피그테일, 루프 또는 루프로 구성된 원위 세그먼트의 위치를 잃지 않으면서 이중 루멘 카테터를 통해 네트, 바구니, 배치 가능한 메시 바구니 또는 메시 스트레이너를 여러 번 제거하는 능력이다.
혈전제거 카테터의 이들 및 다른 특징 및 사용 방법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읽을 때 다음의 실시 예 및 청구 범위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당업자에보다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혈전제거 카테터 및 사용 방법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 예의 상세한 설명을 읽음으로써 더 잘 이해될 것이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 부호는 유사한 구조를 나타내고 유사한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A는 혈전제거 카테터의 예시적인 실시 예의 사시도이다;
도 1B는 도 1A의 혈전제거 카테터의 이중 루멘 연장 카테터(dual lumen elongated catheter)의 예시적인 실시 예의 사시 단면도이다;
도 1C는 도 1A의 혈전제거 카테터의 단일 루멘 피그테일(single lumen pigtail)의 예시적인 실시 예의 사시 단면도이다;
도 2는 피그테일을 연장하는 제1루멘을 통과하는 가이드와이어(guidewire)가 도시된, 도 1A의 혈전제거 카테터의 예시적인 실시 예의 상부 사시도이다;
도 3은 혈관 의료 기구(vascular medical instrument)의 예시적인 실시 예의 사시도이다;
도 4A는 제1루멘을 가로지르는(traversing) 가이드와이어, 및 제2루멘을 가로지르는 수축 가능한 기구(retractable instrument)가 도시된, 도 1의 혈전제거 카테터의 예시적인 실시 예의 상부 사시도이다;
도 4B는 가이드와이어 및 그것을 통과하여 가로지르는 수축 가능한 기구가 도시된, 도 1의 혈전제거 카테터의 연장된 카테터의 사시 단면도이다;
도 5A는 피그테일 사이에 수축 가능한 기구가 배치된, 도 1의 예시적인 혈전제거 카테터의 상부 사시도이다;
도 5B는 회수(retrieval)를 위해 바람직하지 않은 물질 또는 잔해의 네팅(netting)이 도시된, 혈관 의료 기구를 구비한 도 5A의 혈전제거 카테터의 정면 사시도이다;
도 6은 심장을 통과하는 도 5A의 혈전제거 카테터의 평면도이고, 회수를 위해 바람직하지 않은 물질 또는 잔해의 네팅(netting)이 도시된 수축 가능한 기구가 폐의 혈관에 배치된다; 및
도 7은 혈관 용기로부터 바람직하지 않은 물질 또는 잔해를 제거하기 위해 도 1-6의 혈전제거 카테터를 전개, 사용 및 회수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제시된 도면은 단지 예시의 목적으로 의도된 것이며, 따라서 청구된 발명의 필수적으로 간주될 수 있는 것을 제외하고, 그것이 도시된 구조의 정확한 세부 사항 중 일부 또는 전부로 본 개시를 제한하고자하는 것은 아니다.
도 1A, 1B, 1C, 2, 3, 4A, 4B, 5A, 5B, 6 및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명확성을 위해 특정 용어가 사용된다. 그러나 본 개시는 그렇게 선택된 특정 용어로 제한되도록 의도되지 않으며, 각각의 특정 요소는 유사한 기능을 달성하기 위해 유사한 방식으로 동작하는 모든 기술적 등가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그러나 청구 범위의 실시 예는 많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 설명된 실시 예로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명세서에 제시된 예는 비제한적인 예이며, 다른 가능한 예 중 단지 예일 뿐이다.
이제 비제한적인 예로서, 도 1A, 1B, 1C를 참조하면, 가요성 외과용 포지셔닝 기구(flexible surgical positioning instrument)(10)의 예시적인 실시 예가 도시되어 있다. 외과용 포지셔닝 기구(10)는 핸드 그립(36)으로부터 선형으로 연장된 카테터(20)와 같은 종 방향 선형 부재(longitudinal linear member), 캐뉼라, 하우징, 카테터 또는 시스(sheath)에 결합된 제1회전 플랩(37) 및 제2회전 플랩(38)을 포함하는 핸드 그립(36)과 같은 베이스 섹션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연장된 카테터(20)는 연장된 카테터(20) 내부에 생성되고 제1카테터 단부(21)로부터 제2카테터 단부(22)로 연장되는 2개 또는 이중 축 보어 또는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관통하는 2개 또는 이중 축 보어는 분배기(divider)(33)에 의해 분리된 제1루멘(31) 및 제2루멘(32)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외과용 포지셔닝 기구(10)의 제2카테터 단부(22)는 제2카테터 단부(22)에 부착되고 그 위에 형성된 루프, 개방 단부 루프 또는 피그테일(pigtail)(50)과 같은 인클로저(enclosure)가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피그테일(50)은 다양한 크기 및 구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1피그테일 섹션(51) 및 연장된 카테터(20)의 제2카테터 단부(22)에 고정된 제1피그테일 섹션(51)이 부착된 제2피그테일 섹션(52)을 포함하고 제2피그테일 섹션(52)은 제2카테터 단부(22)에 근접한 위치로 되돌아가는 인클로저를 형성한다. 연장된 카테터(20) 및 피그테일(50)은 바람직하게는 플라스틱,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폴리우레탄, 폴리에틸렌, 테플론 등과 같은 폴리머 재료로 구성되거나 제조될 수 있으며, 이러한 재료는 다양한 형태, 형상, 제조 용이성 및 유연성을 제공한다; 그러나 이러한 재료가 본 명세서에 설명된 목적을 충족시키는 충분한 강도, 유연성 및/또는 내구성을 갖는 경우 다른 적합한 재료가 이용될 수 있다. 연장된 카테터(20), 제2루멘(32) 피그테일(50), 제2루멘 또는 의료기구 출구 개구부(medical instrument exit aperture)(25)의 재료는 예를 들어 제2루멘(32) 내에 구속되고 연장된 카테터(20)에 의해 변형되는 동안 개폐 가능한 기구(retractable instrument)(60)에 의해 가해지는 힘을 견딜 수 있도록 섬유, 링 또는 종 방향 리브로 강화될 수 있다.
제1루멘(31)은 핸드 그립(36), 연장된 카테터(20) 및 피그테일(50)을 통해 연장될 수 있으며, 이는 제1루멘 또는 가이드와이어 입구 구멍(aperture)(24)과 같은 입구 홀(entrance hole)로 시작하여 제1루멘 또는 가이드와이어 출구 구멍(26)과 같은 환경으로의 출구 또는 배치 홀 개구부(deployment hole opening)를 통해 피그테일(50) 근방 피그테일 단부(53)로부터 배출된다.
제2루멘(32)은 핸드 그립(36) 및 연장된 카테터(20)를 통해 연장될 수 있으며, 제1기구 구멍(23)과 같은 입구 홀로 시작하여 제2카테터 단부(22)에 근접한 제2기구 구멍(instrument aperture)(25)와 같은 출구 또는 배치 홀을 통해 제2카테터 단부(22)에 근접한 연장된 카테터(20)로부터 배출된다.
이제 도 2를 참조하면, 비제한적인 예로서, 연장된 카테터(20)의 제1루멘(31) 및 피그테일(50)의 피그테일 루멘(31B)에 배치 및 수축 사용을 위한 가이드와이어(40)의 예시적인 실시 예가 도시되어있다. 가이드와이어(40)는 제1가이드와이어 단부(41) 및 제2가이드와이어 단부(42)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시에, 가이드와이어(40)와 같은 경로 또는 혈관 가이딩 장치는 연장된 카테터(20)의 제1루멘(31) 및 피그테일(50)의 피그테일 루멘(31B)을 통해 피그테일(50)을 넘어서거나 연장 및 연장 가능한 위치로 연장될 수 있으며, 이는 제1루멘 입구 구멍(24)과 같은 입구 홀로 시작하여 제1루멘 출구 구멍(26)과 같은 환경으로의 출구 또는 배치 홀 개구부를 통해 피그테일(50) 근방 피그테일 단부(53)로부터 배출되어, 제2카테터 단부(22) 및 피그테일(50)을 통해 혈관(V), 회전, 포크 또는 다른 혈관 조작성(maneuverability)을 보조하거나 안내할 수 있다. 제1가이드와이어 단부(41)는 가이드와이어 구멍(26)과 같은 전개 개구부를 통해 연장되고 제2가이드와이어 단부(42)로부터 원격 제어된다. 또한, 가이드와이어(40)가 피그테일(50)을 통과함에 따라, 피그테일(50)은 그것을 통과하는가이드와이어 단부(41)의 가요성 또는 강성에 따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부러지거나 직선이거나 피그테일 각도(A)(예를 들어 연장된 카테터(20)에 수직인 것에 대해 대략 0 내지 270도, 반시계 방향으로 9시부터 12시까지)와 같은 각도로 각이질 수 있다. 또한, 연장된 카테터(20)의 제1회전(R1)은 피그테일(50)의 회전(R2)과 같은 유사한 회전을 도출하거나 야기한다. 피그테일 각도(A) 및 회전(R2)는 모두 제1가이드와이어 단부(41)의 다양한 위치를 가능하게 하여, 가이드와이어(40), 제2카테터 단부(22) 및 피그테일(50)을 통해 혈관(V), 회전, 포크 또는 다른 혈관 조작성(maneuverability)을 보조하거나 안내 또는 위치시킬 수 있다. 또한, 제2가이드와이어 단부(42)의 푸시/풀(P1)과 같은 가이드와이어(40)의 운동 또는 이동은 제1가이드와이어 단부(41)가 가이드와이어 구멍(26) 내외로 이동하게 하여, 가이드와이어(40), 제2카테터 단부(22) 및 피그테일(50)을 통해 혈관(V), 회전, 포크 또는 다른 혈관 조작성(maneuverability)을 보조하거나 안내 또는 위치시킬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제1루멘(31) 및 피그테일 루멘(31B)은 추가 복강경 또는 내시경 장치에 대한 접근 및/또는 유체 접근 또는 인출, 조명, 비디오 및 유사 의료 기기(40A)로서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내시경은 또한 레이저, 메스, 관개 및 흡인 수단, 시각화 수단 등과 같은 외과기구를 제공할 수 있다. 제1루멘(31) 및 피그테일 루멘(31B)의 구체적인 구성 및 치수는 외과용 포지셔닝 기구(10)의 의도된 용도 및 추가의 의료기구(40A)에 대한 접근이 제공되는지 여부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1루멘(31)의 축 방향 보어는 6-12F(French=1/3 mm)의 내부 직경을 가질 수 있지만, 내시경의 작업 채널을 수용하기 위해 다른 직경이 본 명세서에서 고려된다.
이제, 제한이 아닌 예로서, 도 3을 참조하면, 외과용 포지셔닝 기구(10)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수축 가능한 기구(retractable instrument)(60)의 예시적인 실시 예가 도시되어 있다. 수축 가능한 기구(60)는 제1부재 단부(65) 및 제2부재 단부(66)를 포함하는 근위 부재(proximal member)(64)와 같은 근위 또는 연장 부재 또는 조작기(operator)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부재 단부(65)는 그 위에 구성된 변형 가능한 림(deformable rim)(67)과 같은 루프, 인클로저 또는 바스켓 피그테일 및 근접한 제2부재 단부(66)를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변형 가능한 림(67)은 바람직하게는 크기 및 형상이 피그테일(50)과 일치하는 다양한 크기 및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는 것으로 고려된다.
또한, 변형 가능한 림(67)은 제1변형 가능한 섹션(61) 및 제2변형 가능한 섹션(62)과 같은 하나 또는 두 개의 구성 요소로 구성될 수 있고 대안적으로 제1변형 가능한 섹션(61)과 제2변형 가능한 섹션(62) 사이에 하나 이상의 피봇 조인트(68)를 포함할 수 있다. 변형 가능한 림(67)은 바람직하게는 제2루멘(32)의 축 방향 보어를 가로지르고 제1기구 구멍(23)에 출입할 수 있는 구성으로 유연하거나 구부리거나 접을 수 있는, 제2기구 구멍(26)을 통과한 후 전개된 그물로 팽창하고, 혈관 또는 다른 혈관 채널 또는 도관(V)으로부터 생체 재료를 추출하기 위해 제2기구 구멍(26)에 다시 들어가도록 붕괴될 수 있는 가요성, 탄성 또는 형상 기억 재료 또는 합금 생체 적합성 재료(alloy biocompatible material)로 제조된다.
변형 가능한 림(67)은 변형 가능한 림(67), 제1변형 가능한 섹션(61) 및 제2변형 가능한 섹션(62)이 제1기구 구멍(23), 제2루멘(32)의 축 보어 및 제2기구 구멍(25)을 통해 선형으로 붕괴되거나 접히고 횡단할 수 있도록 변형 가능한 림(67) 주위 또는 제1변형 가능한 섹션(61)과 제2변형 가능한 섹션(62) 사이에 위치된 피봇 포인트(68)와 같은 하나 이상의 조인트 또는 힌지를 포함할 수 있음이 본 명세서에서 추가로 고려된다. 변형 가능한 림(67)은 림 유입구(69)와 같은 개구부를 형성할 수 있다는 것이 본 명세서에서 여전히 고려된다.
팽창될 때, 변형 가능한 림(67)은 약 1 cm 이하 내지 약 3 cm의 직경을 가질 수 있지만, 다른 크기가 본 명세서에서 고려된다. 더욱이, 메시 스트레이너(63)와 같은 베리어 막 또는 다른 체질 또는 여과 막은 바람직하게는 변형 가능한 림(67)을 느슨하게 진행, 스팬 또는 이에 부착되어 림 유입구(69)를 가로 질러 둥근 개방 단부 캡쳐 네트를 형성한다. 메시 스트레이너(Mesh strainer)(63)는 응혈, 플라크, 색전, 혈전(응혈), 지방 침착물, 또는 인간 혈관(V) 내에서 다른 바람직하지 않은 물질 또는 잔해물을 여과 또는 포획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제2루멘(32)의 축 방향 보어의 특정 구성 및 치수는 외과용 포지셔닝 기구(10)의 사용, 삽입/후퇴 부재(64)와 같은 수축 가능한 기구(60)의 파라미터에 따라 변할 수 있고 제1변형 가능한 섹션(61), 제2변형 가능한 섹션(62) 및 삽입/후퇴 부재(64) 주위에 퍼진 메시 스트레이너(63)를 갖는 제한된 구성으로 제1변형 가능한 섹션(61) 및 제2변형 가능한 섹션(62)을 포함하는 변형 가능 림(67)을 수용하는 크기를 갖는다. 일반적으로, 제2루멘(32)의 축 구멍은 제한적인 구성으로 수축 가능한 기구(60)를 수용하기 위해 축 구멍 또는 6-12 F(French = 1/3 mm)의 내부 직경을 가질 수 있지만, 다른 직경이 본 명세서에서 고려된다.
대안적으로, 제2루멘(32)은 추가적인 복강경 또는 내시경 장치에 대한 접근 및/또는 유체 접근 또는 인출, 조명, 비디오 및 유사 의료 기기(40A)로서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내시경은 또한 레이저, 메스(scalpels), 세정(irrigation) 및 흡인 수단, 시각화 수단 등과 같은 외과기구(40A)를 제공할 수 있다.
다시 도 1A를 참조하면, 상기 카테터(20)의 외경은 적용, 제1루멘(31) 및 제2루멘(32)의 크기, 제1변형 가능한 섹션(61) 및 제2변형 가능한 섹션(62)을 포함하는 수축 가능한 기구(60)의 변형 가능한 림(67)의 크기, 추가 복강경 또는 내시경 장치에 대한 접근, 및/또는 유체 접근 또는 인출, 조명, 비디오 등(40A), 및 추가 루멘이 외과용 포지셔닝 기구(10)에 포함되는지 여부에 따라 변할 수 있다.
이제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비제한적인 예로서, 외과용 포지셔닝 기구(10)의 제2루멘(32)에 배치 및 수축 사용을 위한 수축 가능한 기구(60)의 예시적인 실시 예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제2가이드와이어 단부(42)가 당겨질 수 있고 가이드와이어(40)가 피그테일(50)을 통해 후퇴함에 따라, 피그테일(50)은 도 1 및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그테일 또는 루프 구성으로 복귀할 수 있다.
사용시, 제1부재 단부(65)의 변형 가능한 림(67)은 바람직하게는 붕괴될 수 있고 메시 스트레이너(63)는 수축 가능한 기구(60)의 주변의 변형 가능한 림(67) 및/또는 제1부재 단부(65)에 접히거나(furle) 감싸질 수 있다. 제2루멘(32)의 제1기구 구멍(23)에는 붕괴된 변형 가능한 림(67) 및 접힌 메시 스트레이너(63)가 삽입될 수 있다. 붕괴된 변형 가능한 림(67) 및 접힌 메시 스트레이너(63)는 연장된 카테터(20)의 제2루멘(32) 내에 배치되고, 연장되며, 이를 통해 연장되거나 그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변형 가능한 림(67) 및 접힌 메시 스트레이너(63)가 제2루멘(32)을 빠져나올 때, 변형 가능한 림(67)은 접힌 메시 스트레이너(63)와 함께 전개된 변형 가능한 림(67)으로 확장되어 피그테일(50)에 근접하여 위치된 확장된 수집 상태로 펼쳐지지 않는다. 림 유입구(69) 및 메시 스트레이너(63)를 포함하는 확장된 변형 가능한 림(67)을 생성하기 위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압축 위치로 되돌아가 배치된 변형 가능한 림(67)의 제1변형 가능한 섹션(61) 및 제2변형 가능한 섹션(62)이 확장될 때, 확장된 변형 가능한 림(67)은 바람직하게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그테일(50)에 근접하거나 피그테일(50) 내에 위치될 수 있다.
이제,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비제한적인 예로서, 외과용 포지셔닝 기구(103)의 제2루멘(32)으로부터 배치된 수축 가능한 기구(60)의 예시적인 실시 예가 도시되어 있다. 사용시, 변형 가능한 림(67) 및 이에 부착된 메시 스트레이너(63)를 배치하기(deploy) 위하여 제2부재 단부(66)의 푸시/풀(P1)은 피그테일(50) 내에 또는 제2카테터 단부(22)의 원위 단부 상의 제2기구 구멍(25)의 경계를 지나서 변형 가능한 림(67)을 전개 또는 연장할 수 있고 그의 배치 구성을 달성한다. 혈전, 플라크, 색전, 혈전(응혈), 지방 침착물, 생체 물질 또는 기타 바람직하지 않은 물질 또는 혈관(V)에서 잔해물(M)을 퍼내거나 수집 또는 포획하기 위하여 제2부재 단부(66)의 회전(R3)은 림 유입구(69) 및 메시 스트레이너(63)를 포함하는 변형 가능한 림(67)의 회전(R4)과 같은 유사한 회전을 발생시키거나 야기하며, 이는 결과적으로 림 유입구(69) 및 메시 스트레이너(63)를 포함하는 수축 가능한 기구(60)의 변형 가능한 림(67)을 야기한다. 또한, 혈전, 플라크, 색전, 혈전(응혈), 지방 침착물, 생체 물질 또는 기타 바람직하지 않은 물질 또는 혈관(V)에서 잔해물(M)을 퍼내거나 수집 또는 포획하기 위하여 연장된 카테터(20)의 회전(R1)은 피그테일(50)의 회전(R2)을 초래하고, 결과적으로 피그테일(50)과 변형 가능한 림(67) 사이의 접촉 또는 결합으로 인해 림 유입구(69) 및 메시 스트레이너(63)를 포함하는 변형 가능한 림(67)의 회전(R4)을 초래하고(변형 가능한 림(67)은 피그테일(50)에 접촉함), 이는 결과적으로 림 유입구(69) 및 메시 스트레이너(63)를 포함하는 수축 가능한 기구(60)의 변형 가능한 림(67)을 야기한다. 도 4A 및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람직하지 않은 물질 또는 잔해물(M)은 수축 가능한 기구(60) 및 림 유입구(69) 및 바람직하지 않은 물질 또는 잔해물을 포함하는 메시 스트레이너(63)를 포함하는 변형 가능한 림(67)을 제2기구 구멍(25)으로 다시 꺼내고 변형 가능한 림(67)을 붕괴시키고 수축 가능한 기구(60)를 외과용 포지셔닝 기구(10)의 제2루멘(32) 아래로 끌어당기고 제1기구 구멍(23) 밖으로 빼냄으로써 혈관(V)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제2부재 단부(66)의 푸시/풀(P1)은 변형 가능한 림(67)을 접음으로써 변형 가능한 림(67)을 회수할 수 있고 메시 스트레이너(63)는 주위의 변형 가능한 림(67) 및/또는 제1부재 단부(65)를 퍼지거나 감싸고, 바람직하지 않은 재료 또는 잔해물(M)를 포함하는 수축 가능한 기구(60)는 제2기구 구멍(25)을 통해 당겨져 제1기구 구멍(23)을 빠져 나갈 수 있다.
변형 가능한 림(67) 및 피그테일(50)은 피그테일(50)과 변형 가능한 림(67) 사이에 인접하거나 접촉할 수 있도록 원주 및/또는 직경과 같은 크기 및 형상으로 유사하거나 매칭될 수 있음이 본 명세서에서 고려될 수 있다(변형 가능한 림(67)은 피그테일(50)에 결합함).
이제 도 6을 참조하면, 비제한적인 예로서, 수축 가능한 기구(60)와 외과용 포지셔닝 기구(10)의 조합인 수술 장치의 예시적인 실시 예가 도시되어 있다. 사용시, 피그테일(50)이 환자에 삽입되고 혈관(V), 심장(H), 폐(L) 및 폐 혈관(V)에 구불구불하게 배치된 것으로 도시된 외과용 포지셔닝 기구(10). 여기에서 외과용 포지셔닝 기구(10)는 잔해(debris)가 제거되어야 하는 유체 운반 혈관(fluid-carrying vessel) 내에 배치될 수 있는 것으로 고려된다.
사용시, 가이드와이어(40)의 푸시/풀 PI는 피그테일(50)을 통해 연장될 수 있으며, 이는 피그테일(50)이 그것을 통과하는 제1가이드와이어 단부(41)의 유연성 또는 강성에 따라 혈관(V) 내부에서 피그테일 각도(A)와 같이 각지거나 구부러지거나(도 2에 도시됨) 직선이 되게 한다. 또한, 연장된 카테터(20)의 제1회전(R1)은 피그테일(50)이 혈관(V) 내에서 유사하게 회전(R2)하도록 한다. 피그테일 각도(A) 및 회전(R2)은 가이드와이어(40), 피그테일(50) 및 제2카테터 단부(22)를 통해 또는 그 안에서 혈관(V), 심장(H), 폐(L)를 보조하거나 안내하기 위해 제1가이드와이어 단부(41)의 다양한 위치를 가능하게 한다. 외과용 포지셔닝 기구(10)의 목적은 바람직하게는 피그테일(50)을 환자의 혈관 내의 특정 위치에 위치시키는 것이다.
제2부재 단부(66)의 푸시/풀(P1)은 제2카테터 단부(22) 사이의 접합부에 근접한 제2기구 구멍(25)을 통해 림 유입구(69) 및 메시 스트레이너(63)를 포함하는 변형 가능한 림(67)의 배출 또는 배치로 이어지고, 제2기구 구멍(25)을 통해 통과한 후 혈관(V) 내부에서 피그테일(50)에 근접한 위치로 메시 스트레이너(63)와 함께 전개된 변형 가능한 림(67)으로 확장된다.
또한, 혈전, 플라크, 색전, 혈전(응혈), 지방 침착물, 생체 물질 또는 기타 바람직하지 않은 물질 또는 혈관(V)에서 잔해물(M)을 퍼내거나 수집 또는 포획하기 위하여 제2부재 단부(66)의 회전(R3)은 혈관(V) 내에서 림 유입구(69) 및 메시 스트레이너(63)를 포함하는 변형 가능한 림(67)의 회전(R4)을 초래하고, 이는 결국 수축 가능한 기구(60)의 림 유입구(69) 및 메시 스트레이너(63)를 포함하는 변형 가능한 림(67)을 야기한다.
또한, 혈전, 플라크, 색전, 혈전(응혈), 지방 침착물, 생체 물질 또는 기타 바람직하지 않은 물질 또는 혈관(V)에서 잔해물(M)을 퍼내거나 수집 또는 포획하기 위하여 연장된 카테터(20)의 회전(R1)은 혈관(V) 내에서 피그테일(50)의 회전(R2)을 초래하며, 이는 피그테일(50)과 변형 가능한 림(67) 사이의 접촉 또는 결합으로 인해 림 유입구(69) 및 메시 스트레이너(63)를 포함하는 변형 가능한 림(67)의 회전(R4)을 초래하고, 이는 결국 수축 가능한 기구(60)의 림 유입구(69) 및 메시 스트레이너(63)를 포함하는 변형 가능한 림(67)을 야기한다.
메시 스트레이너(63)에 포획된 바람직하지 않은 물질 또는 파편(M)을 혈관(V)으로부터 제거하기 위해 제2부재 단부(66)의 푸시/풀(P1)은 림 유입구(69) 및 메시 스트레이너(63)를 포함하는 변형 가능한 림(67)을 접고(collapse), 이는 제2기구 구멍(25)의 안으로 들어가거나 들어가서 제2루멘(32)을 통해 제1기구 구멍(23)으로 가로지른다. 바람직하지 않은 물질 또는 잔해물(M)의 이러한 포획 및 회수는 외과용 포지셔닝 기구(10)의 제2루멘(32)을 통해 수축 가능한 기구(60)의 복수의 통과, 배치, 수축 및 회수로 여러 번 달성될 수 있는 것으로 고려된다.
본 명세서에서 제2루멘(32) 혈관 성형술(angioplasty), 죽종절제술(atherectomy) 및 스텐트 및 스텐트-이식편(stent-graft)의 배치, 혈관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절차가 제2루멘(32)을 통해 효율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고려된다. 이러한 기구는 종종 혈관(V)의 혈관벽으로부터 물질 또는 플라크(plaque)를 제거하여 혈전의 형성, 색전, 바람직하지 않은 물질 또는 잔해물(M)과 같은 생체 물질의 방출을 초래할 수 있으며, 이는 혈류로 유입되고, 더 작은 하류 혈관을 막고 조직으로의 혈류를 잠재적으로 차단할 수 있을 정도로 클 수 있다. 심장, 폐 또는 뇌와 같은 중요한 조직에서 막힘이 발생하면 결과가 환자의 건강이나 생명에 심각한 위협을 줄 수 있다. 수축 가능한 기구(60)는 혈관(V)으로부터 바람직하지 않은 물질 또는 잔해(M)를 포획 및 제거하고 제2루멘(32)을 가로지르기 위해 본 명세서에서 이용될 수 있다.
변형 가능한 림(67)을 둘러싸는 피그테일(50)은 혈관(V)과의 접촉을 방지하여 확장될 때 혈관(V)을 보호할 수 있으며, 배치 영역에서 조직 또는 혈관의 파열을 방지할 수 있음이 본 명세서에서 추가로 고려된다.
변형 가능한 림(67)을 둘러싸는 피그테일(50)은 변형 가능한 림(67)이 팽창되거나 수축될 때 혈관(V)과의 접촉을 방지고 혈관(V)의 혈관벽을 찌르거나 바이옵시(biopsy), 혈전(clot)을 슬라이스 하거나 천공하는 것을 방지하여 혈관(V)을 보호할 수 있다는 것이 본원에서 추가로 고려된다.
본 명세서에서 외과용 포지셔닝 기구(10)로 수행되는 의료 적용의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제2루멘(32)이 바이옵시 또는 다른 의료 기기를 수행하기 위한 봉합사(suture)와 같은 다른 의료 기기(들)의 전달을 위해 이용될 수 있음이 추가로 고려된다.
본 명세서에서 제2루멘(32)은 상이한 직경 또는 크기의 의료기구(60)를 수용하도록 크기가 조정되거나 구성될 수 있음이 추가로 고려된다.
이제 도 7을 참조하면, 혈관(V)으로부터 혈전(clot)을 제거하고 색전(emboli), 바람직하지 않은 물질 또는 잔해물(M)과 같은 생체 물질의 방출을 위하여 외과용 포지셔닝 기구(10) 및 수축 가능한 기구(60)를 이용하는 흐름도(700)가 도시되어 있다.
블록 또는 단계 710에서, 도 1 내지 6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제1루멘(31) 및 제2루멘(32)과 같은 2개 또는 이중(dual) 축 방향 보어를 포함하는 연장된 부재(20) 및 일 단부에 피그테일(50) 및 변형 가능한 림(67) 및 메시 스트레이너(63)를 포함하는 일체형 수축 가능한 기구(60)를 포함하는 외과용 포지셔닝 기구(10)를 제공할 수 있다;(변형 가능한 림(67)을 접는 단계 및 제1부재 단부(65) 주위에서 메시 스트레이너(63)를 둘러싸는 단계 및 제2루멘(32)의 제1기구 구멍(23)에 삽입하는 단계) 및(제2루멘(32)의 제2기구 구멍(25)으로 제1기구 구멍(23)을 횡단하는 단계(제2부재 단부(66)의 푸시/풀(P1)))을 포함.
블록 또는 단계 715에서, 혈관(V), 회전, 포크 또는 다른 혈관 조작성을 통하여 외과용 포지셔닝 기구(10)를 작동 또는 전진시키기 위하여 경로 또는 혈관 안내 장치에 대해 피그테일(50)의 위치를 변경시키기 위해 가이드와이어(40)를 조작 또는 이동시킬 수 있고(가이드와이어(40)의 푸시/풀(P1) 또는 연장 부재(20)를 회전(R1)), 물질 또는 잔해물(M)에 근접하여 피그테일(50)을 위치시킬 수 있다.
블록 또는 단계 720에서, 제2기구 구멍(25)을 통해 통과한 후 메시 스트레이너(63)를 포함하는 전개된(deployed) 변형 가능한 림(67)을 팽창시켜 수축 가능한 기구(60)를 피그테일(50)에 근접하는 위치로 전개한다(제2루멘(32)으로부터 변형 가능한 림(67) 및 메시 스트레이너(63)을 배치함). 전개될 때, 변형 가능한 림(67)의 제1변형 가능한 섹션(61) 및 제2변형 가능한 섹션(62)은 비-압축 위치로 다시 확장된다.
블록 또는 단계 730에서, 혈전, 플라크, 색전, 혈전(응혈), 지방 침착물, 생체 물질 또는 기타 바람직하지 않은 물질 또는 혈관(V)에서 잔해물(M)을 퍼내거나 수집 또는 포획하기 위하여 림 유입구(69) 및 메시 스트레이너(63)를 포함하는 변형 가능한 림(67)의 회전(R4)을 야기하는 수축 가능한 기구(60)의 제2부재 단부(66)의 회전, 회전(R3)을 통하여 물질 또는 잔해물(M)에 인접하여 수축 가능한 기구(60) 및 메시 스트레이너(63)를 회전시키고, 이는 수축 가능한 기구(60)의 림 유입구(69) 및 메시 스트레이너(63)를 포함하는 팽창된 변형 가능한 림(67)을 야기한다.
블록 또는 단계 730에서, 혈전, 플라크, 색전, 혈전(응혈), 지방 침착물, 생체 물질 또는 기타 바람직하지 않은 물질 또는 혈관(V)에서 잔해물(M)을 퍼내거나 수집 또는 포획하기 위하여 피그테일(50)의 회전(R2)을 초래하는 연장된 카테터(20)의 회전, 회전(R1)을 통하여 물질 또는 잔해물(M)에 인접하여 회전 변형 가능한 림(67) 및 메시 스트레이너(63)를 회전시키고, 이는 수축 가능한 기구(60)의 림 유입구(69) 및 메시 스트레이너(63)를 포함하는 변형 가능한 림(67)을 야기한다.
블록 또는 단계 735에서, 메시 스트레이너(63) 내부에 혈전(clot), 플라크, 색전, 트롬비(혈액 응결), 지방 침착물, 생체 물질 또는 혈관(V)으로부터의 다른 바람직하지 않은 물질 또는 잔해물(M)을 스쿠핑(scooping) 또는 수집 또는 포획함으로써 메시 스트레이너(63) 내부에 물질 또는 잔해물(M)를 수집한다.
블록 또는 단계 740에서, 접혀진(collapsing) 변형 가능한 림(67)을 회수하기 위하여 제2부재 단부(66)의 푸시/풀(P1)에 의해 변형 가능한 림(67)을 접어서 제2루멘(32)의 제2기구 구멍(25)을 통해 변형 가능한 림(67), 메시 스트레이너(63), 및 물질 또는 잔해물(M)을 수축(retracting)시킬 수 있고, 메시 스트레이너(63)는 변형 가능한 림(67) 및/또는 제1부재 단부(65) 주위에서 접히거나 감싸질 수 있고, 바람직하지 않은 물질 또는 잔해물(M)을 포함하는 수축 가능한 기구(60)는 제2기구 구멍(25)을 통해 끌어 당겨지고 진입할 수 있고 제1기구 구멍(23)으로 빠져 나갈 수 있다.
블록 또는 단계 745에서, 단계 715-740을 반복한다.
전술한 설명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당해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명세서는 예시적인 것이며, 다양한 다른 대안, 개조 및 수정이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이루어질 수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단순히 특정 순서로 방법의 단계를 나열하거나 번호를 매기는 것은 해당 방법의 단계 순서에 대한 제한을 구성하지 않는다. 전술한 설명에서 제시된 교시의 이점을 취하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의 많은 변형 및 다른 실시예를 착안하게 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특정 용어가 사용될 수 있지만, 이들은 제한의 목적이 아닌 일반적이고 설명적인 의미로만 사용된다. 또한, 본 개시는 상세하게 설명되었지만,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 정의된 바와 같은 개시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변경, 대체 및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따라서, 본 개시는 여기에 예시된 특정 실시 예들로 제한되지 않고, 다음의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제한된다.

Claims (20)

  1. 원격으로 작동하는 외과용 장치(surgical device)로,
    내부에 제1카테터 단부로부터 제2카테터 단부까지 연장되는 이중 루멘 보어를 갖는 연장된 카테터 및 상기 제2카테터 단부에 부착된 피그테일을 포함하는 가요성 포지셔닝 기구 - 상기 이중 루멘 보어는 제1루멘 및 제2루멘을 포함하고, 상기 제1루멘은 상기 연장된 카테터 및 상기 피그테일을 통해 연장되고, 상기 제2루멘은 연장된 카테터를 통해 연장됨;
    상기 연장된 카테터의 상기 제1루멘 및 상기 피그테일을 통해 연장 가능하고 상기 피그테일로부터 연장 가능한 가이드와이어 - 상기 가이드와이어는 상기 피그테일을 구부러지게 구성됨;및
    근위 부재(proximal member) 및 상기 근위 부재에 연결된 원위 부재(distal member)를 포함하도록 구성된 수축 기구(retraction instrument)를 포함하고,
    상기 원위 부재는 변형 가능한 림 및 상기 변형 가능한 림에 부착된 베리어 막을 포함하고 상기 연장된 카테터의 상기 제2루멘을 통해 연장될 수 있는 외과용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카테터 단부에 인접하여 위치된 가이드와이어 입구 구멍 및 상기 피그테일의 피그테일 단부에 인접하여 위치된 가이드와이어 출구 구멍을 더 포함하는 원격으로 작동하는 외과용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된 카테터의 회전은 상기 피그테일의 회전을 초래하는 원격으로 작동하는 외과용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카테터 단부에 부착된 핸드 그립을 더 포함하는 원격으로 작동하는 외과용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피그테일은 환자의 혈관 내의 위치에 배치되는 원격으로 작동하는 외과용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카테터 단부에 인접하여 위치된 제1기구 구멍 및 상기 제2카테터 단부에 인접하여 위치된 제2기구 구멍을 더 포함하는 원격으로 작동하는 외과용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수축 기구의 상기 원위 부재는 상기 제1기구 구멍으로 진입할 때 접히고(collapse), 상기 제2루멘 내를 횡단하고(traverse), 상기 제2기구 구멍의 출구에서 팽창하도록 구성되는 원격으로 작동하는 외과용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 가능한 림 및 상기 베리어 막을 효율적으로 사용하는(deploy) 것을 포함하는 원격으로 작동하는 외과용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 가능한 림은 제1변형 가능한 섹션 및 제2변형 가능한 섹션을 더 포함하는 원격으로 작동하는 외과용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 가능한 림은 상기 제1변형 가능한 섹션과 상기 제2변형 가능한 섹션 사이에 위치된 피벗 조인트를 더 포함하는 원격으로 작동하는 외과용 장치.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수축 기구의 상기 근위 부재의 회전은 상기 원위 부재의 상기 회전을 일으켜 생체 재료를 수집하는 원격으로 작동하는 외과용 장치.
  12. 제8항에 있어서,
    확장된 상기 변형 가능한 림은 상기 피그테일과 인접해 있는(abut) 원격으로 작동하는 외과용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된 카테터의 회전은 상기 피그테일의 회전을 야기하고, 추가로 내부에 생체 재료를 수집하기 위해 상기 변형 가능한 림 및 상기 베리어 막의 상기 회전을 초래하는 원격으로 작동하는 외과용 장치.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수축 기구의 상기 원위 부재는 상기 제2기구 구멍에 진입할 때 접히고, 상기 제2루멘을 통해 횡단하고, 제1기구 구멍의 출구에서 팽창하여 그로부터 생체 물질을 추출하도록 구성되는 원격으로 작동하는 외과용 장치.
  15. 환자의 혈관으로부터 생체 물질을 제거하는 방법으로, 가요성 포지셔닝 기구를 포함하는 원격으로 작동하는 외과용 장치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가요성 포지셔닝 기구는 내부에 제1카테터 단부로부터 제2카테터 단부까지 연장되는 이중 루멘 보어를 갖는 연장된 카테터 및 상기 제2카테터 단부에 부착된 피그테일을 포함하고, 상기 이중 루멘 보어는 제1루멘 및 제2루멘을 포함하고, 상기 제1루멘은 상기 연장된 카테터 및 상기 피그테일을 통해 연장되고, 상기 제2루멘은 연장된 카테터를 통해 연장되고, 상기 연장된 카테터의 상기 제1루멘 및 상기 피그테일을 통해 연장 가능한 가이드와이어, 근위 부재(proximal member) 및 상기 근위 부재에 연결된 원위 부재(distal member)를 포함하도록 구성된 수축 기구(retraction instrument)를 포함하고, 상기 원위 부재는 변형 가능한 림 및 상기 변형 가능한 림에 부착된 베리어 막을 포함하고 상기 연장된 카테터의 상기 제2루멘을 통해 연장될 수 있음; 상기 환자의 혈관을 통해 상기 작동하는 외과용 장치를 조작하는 단계(maneuvering); 상기 생체 물질에 근접하여 상기 피그테일을 위치시키는 단계; 상기 변형 가능한 림 및 상기 베리어 막을 상기 제2루멘으로부터 전개하는 단계(deploying); 상기 생체 물질에 근접하여 상기 변형 가능한 림 및 상기 베리어 막을 회전시키는 단계; 상기 베리어 막 내에 생체 물질을 수집하는 단계; 상기 변형 가능한 림, 상기 베리어 막, 및 상기 생체 물질을 상기 제2루멘을 통해 수축시키는 단계(retracting)를 포함하는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피그테일을 각도로 똑바르게 하기(straighten) 위하여 상기 가이드와이어를 상기 제1루멘 내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근위 부재를 회전시키는 단계는 상기 생체 물질에 근접하여 상기 변형 가능한 림 및 상기 베리어 막을 회전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 가능한 림에 근접하여 상기 피그테일이 인접하도록 상기 가이드와이어를 상기 제1루멘 내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된 카테터를 회전시키는 단계는 상기 피그테일을 회전시키며, 상기 피그테일은 상기 변형 가능한 림 및 상기 베리어 막이 생체 물질에 근접하여 회전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 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상기 변형 가능한 림 및 상기 베리어 막을 상기 제2루멘을 통해 수축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KR1020207019846A 2017-12-13 2018-06-20 혈전제거 카테터 및 사용 방법 KR2020010068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762598436P 2017-12-13 2017-12-13
US62/598,436 2017-12-13
US15/964,593 US11134967B2 (en) 2017-12-13 2018-04-27 Thrombectomy catheter and methods of use
US15/964,593 2018-04-27
PCT/US2018/038446 WO2019117995A1 (en) 2017-12-13 2018-06-20 Thrombectomy catheter and methods of us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0684A true KR20200100684A (ko) 2020-08-26

Family

ID=667348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19846A KR20200100684A (ko) 2017-12-13 2018-06-20 혈전제거 카테터 및 사용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134967B2 (ko)
EP (1) EP3723620A4 (ko)
KR (1) KR20200100684A (ko)
CN (1) CN111683604A (ko)
CA (1) CA3086511A1 (ko)
MX (1) MX2020006531A (ko)
WO (1) WO2019117995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35120A1 (ko) 2020-08-11 2022-02-17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리튬-황 전지용 양극 활물질,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황 전지
KR20220132363A (ko) 2021-03-23 2022-09-30 주식회사 시브이바이오 혈전제거용 카테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209391B (zh) * 2021-11-25 2024-03-22 中国人民解放军陆军军医大学第一附属医院 一种具有伸缩功能的血栓清除装置
CN115670738B (zh) * 2022-12-28 2023-03-21 北京华脉泰科医疗器械股份有限公司 溶栓导管滤器及溶栓滤器组合套件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554361B1 (en) 1990-10-09 2000-12-06 Medtronic, Inc. Device for manipulating matter
US5192286A (en) 1991-07-26 1993-03-09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Method and device for retrieving materials from body lumens
US5846260A (en) 1997-05-08 1998-12-08 Embol-X, Inc. Cannula with a modular filter for filtering embolic material
US5848964A (en) 1997-06-06 1998-12-15 Samuels; Shaun Lawrence Wilkie Temporary inflatable filter device and method of use
US6007557A (en) 1998-04-29 1999-12-28 Embol-X, Inc. Adjustable blood filtration system
US6530939B1 (en) 1999-07-30 2003-03-11 Incept, Llc Vascular device having articulation region and methods of use
US6179861B1 (en) 1999-07-30 2001-01-30 Incept Llc Vascular device having one or more articulation regions and methods of use
US6544279B1 (en) 2000-08-09 2003-04-08 Incept, Llc Vascular device for emboli, thrombus and foreign body removal and methods of use
US7320697B2 (en) 1999-07-30 2008-01-22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One piece loop and coil
US6325815B1 (en) 1999-09-21 2001-12-04 Microvena Corporation Temporary vascular filter
US6537294B1 (en) * 2000-10-17 2003-03-25 Advanced Cardiovascular Systems, Inc. Delivery systems for embolic filter devices
US6610077B1 (en) 2001-01-23 2003-08-26 Endovascular Technologies, Inc. Expandable emboli filter and thrombectomy device
US7651514B2 (en) * 2003-12-11 2010-01-26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Nose rider improvement for filter exchange and methods of use
US20170007390A9 (en) 2004-11-24 2017-01-12 Contego Medical, Llc Percutaneous transluminal angioplasty device with integral embolic filter
US9707071B2 (en) 2004-11-24 2017-07-18 Contego Medical Llc Percutaneous transluminal angioplasty device with integral embolic filter
CA2541321A1 (en) 2005-03-31 2006-09-30 Sherwood Services Ag Percutaneous or surgical radiofrequency intravascular thrombectomy catheter system and method
US8068920B2 (en) * 2006-10-03 2011-11-29 Vincent A Gaudiani Transcoronary sinus pacing system, LV summit pacing, early mitral closure pacing, and methods therefor
EP2387427B1 (en) 2009-01-16 2014-08-27 Claret Medical, Inc. Intravascular blood filter
US20120330350A1 (en) 2011-06-27 2012-12-27 Jones Donald K Methods and systems for performing thrombectomy procedures
EP2903538A4 (en) 2012-10-03 2016-09-14 Univ Toledo MINIMALLY INVASIVE THROMBECTOMY INVENTION
US9439664B2 (en) 2013-05-29 2016-09-13 Thomas A. Sos Thrombus removal and intravascular distal embolic protection device
US10231751B2 (en) 2013-05-29 2019-03-19 Thomas A. Sos Thrombus removal and intravascular distal embolic protection device
US20150119853A1 (en) * 2013-10-29 2015-04-30 Medwerks, Llc Convertible Shape Catheter And Method Of Use
US9566412B2 (en) 2014-01-03 2017-02-14 Legacy Ventures LLC Method of manufacturing a catheter-delivered medical device from a tube
JP6368291B2 (ja) 2015-10-20 2018-08-01 朝日インテック株式会社 カテーテル
US11986602B2 (en) 2016-05-31 2024-05-21 Abiomed, Inc. Catheter of a heart pump shaped for anatomic fit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35120A1 (ko) 2020-08-11 2022-02-17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리튬-황 전지용 양극 활물질,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황 전지
KR20220132363A (ko) 2021-03-23 2022-09-30 주식회사 시브이바이오 혈전제거용 카테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1683604A (zh) 2020-09-18
EP3723620A4 (en) 2021-09-22
WO2019117995A1 (en) 2019-06-20
US11134967B2 (en) 2021-10-05
MX2020006531A (es) 2021-01-08
CA3086511A1 (en) 2019-06-20
EP3723620A1 (en) 2020-10-21
US20190175196A1 (en) 2019-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19620B2 (en) Minimally invasive thrombectomy
US20200155293A1 (en) Intra vascular guidewire filter system for pulmonary embolism protection and embolism removal or maceration
CN107920827B (zh) 轴向伸长的血栓捕获***
AU2009294864B2 (en) Flow rest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use
JP6352642B2 (ja) 血管内異物除去用カテーテル
US5800457A (en) Intravascular filter and associated methodology
US7056328B2 (en) Apparatus for capturing objects beyond an operative site utilizing a capture device delivered on a medical guide wire
KR20200100684A (ko) 혈전제거 카테터 및 사용 방법
EP3539486A1 (en) Minimally invasive thrombectomy
JP2021502139A (ja) トラッキングを向上させた反転式血栓除去装置
US20060100658A1 (en) Interventional guiding sheath system and method of use
JP2002102232A (ja) 引戻し装填カテーテル
JP2006525082A (ja) 遠位側保護装置
US11229451B2 (en) Thrombectomy catheter and methods of use
WO2018118706A1 (en) Clot retrievers and methods for deployment
US11737769B2 (en) Clot retrievers and methods for deployment
CN113423451B (zh) 取栓导管及使用方法
CA3035481A1 (en) Thrombus retriever
US20080195141A1 (en) Backstop protection device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US20220378566A1 (en) Intravascular catheter having an expandable incising portion and embolic protection device
CN116600728A (zh) 具有多个独立可控元件的血液凝块移除方法和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