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97715A - Manufacturing apparatus and manufacturing method of polymer thin film - Google Patents

Manufacturing apparatus and manufacturing method of polymer thin fil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97715A
KR20200097715A KR1020207016664A KR20207016664A KR20200097715A KR 20200097715 A KR20200097715 A KR 20200097715A KR 1020207016664 A KR1020207016664 A KR 1020207016664A KR 20207016664 A KR20207016664 A KR 20207016664A KR 20200097715 A KR20200097715 A KR 202000977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polymer
thin film
polymer thin
ro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1666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571964B1 (en
Inventor
요시아키 토미나가
키요시 미노우라
케이타 와다
Original Assignee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0977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771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19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196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1/00Shaping by coating a mould, core or other substrate, i.e. by depositing material and stripping-off the shaped article; Apparatus therefor
    • B29C41/02Shaping by coating a mould, core or other substrate, i.e. by depositing material and stripping-off the shaped article; Apparatus therefor for making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29C41/08Coating a former, core or other substrate by spraying or fluidisation, e.g. spraying powd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38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the manufacturing process
    • B29C33/40Plastics, e.g. foam or rubber
    • B29C33/405Elastomers, e.g. rub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42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moulding surface, e.g. ribs or grooves
    • B29C33/424Moulding surfaces provided with means for marking or patter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44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with means for, or specially constructed to facilitate, the removal of articles, e.g. of undercut articles
    • B29C33/48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with means for, or specially constructed to facilitate, the removal of articles, e.g. of undercut articles with means for collapsing or disassembling
    • B29C33/5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with means for, or specially constructed to facilitate, the removal of articles, e.g. of undercut articles with means for collapsing or disassembling elastic or flexi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5/00Heating, cool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sing; Apparatus therefor
    • B29C35/02Heat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zing during moulding, e.g. in a moul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7/00Component parts, detail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not covered by group B29C33/00 or B29C35/00
    • B29C37/0003Discharging moulded articles from the moul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1/00Shaping by coating a mould, core or other substrate, i.e. by depositing material and stripping-off the shaped article; Apparatus therefor
    • B29C41/24Shaping by coating a mould, core or other substrate, i.e. by depositing material and stripping-off the shaped article; Apparatus therefor for making articles of indefinite leng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1/00Shaping by coating a mould, core or other substrate, i.e. by depositing material and stripping-off the shaped article; Apparatus therefor
    • B29C41/34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1/36Feeding the material on to the mould, core or other substr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1/00Shaping by coating a mould, core or other substrate, i.e. by depositing material and stripping-off the shaped article; Apparatus therefor
    • B29C41/34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1/38Moulds, cores or other substr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1/00Shaping by coating a mould, core or other substrate, i.e. by depositing material and stripping-off the shaped article; Apparatus therefor
    • B29C41/34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1/42Removing articles from moulds, cores or other substr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oulding By Coating Moulds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 Shaping Of Tube Ends By Bending Or Straightening (AREA)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 Extru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특정 형상을 갖는 고분자 박막을, 공정용 가용성 고분자나 특수한 용매를 사용하지 않고, 연속적이며 또한 균일하게 제조하는 방법과, 그 제조 방법을 실현하는 제조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고분자 박막의 제조 방법은 볼록부의 상면이 특정 형상인 요철이 형성된 신축성 몰드를 반송하면서, 볼록부의 상면을 피복하도록 고분자 재료를 포함하는 도포 재료를 도포하고 건조시켜 고분자 피막을 형성한 후에, 몰드를 신장시키거나 1회 이상 신축시켜서 고분자 피막을 볼록부의 상면으로부터 박리시켜 고분자 박막을 얻고, 박리된 특정 형상을 갖는 고분자 박막을 회수한다.A method for continuously and uniformly manufacturing a polymer thin film having a specific shape without using a process soluble polymer or a special solvent, and a manufacturing apparatus for realizing the manufacturing method are provided. In the method for producing a polymer thin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a polymer film is formed by applying and drying a coating material containing a polymer material so as to cover the upper surface of the convex portion while conveying an elastic mold in which an uneven upper surface of the convex portion has a specific shape. The mold is stretched or stretched one or more times to peel the polymer film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convex portion to obtain a polymer thin film, and the peeled polymer thin film having a specific shape is recovered.

Description

고분자 박막의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Manufacturing apparatus and manufacturing method of polymer thin film

본 발명은, 특정 형상을 갖는 몰드 상에 고분자 재료를 도포한 후에, 박리 회수함으로써 특정 형상을 갖는 고분자 박막을 제조하는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a polymer thin film having a specific shape by applying a polymer material onto a mold having a specific shape and then peeling and recovering it.

특정 형상을 갖는 고분자 박막의 제조 방법으로서, 특정 형상을 갖는 몰드 상에 고분자 재료를 도포하고, 건조 전에 상기 고분자 재료와는 다른 수용성 고분자막 상에 전사한 후, 수용성 고분자를 물로 용해해서 특정 형상을 갖는 고분자막을 얻는 방법이 있다.As a method of manufacturing a polymer thin film having a specific shape, a polymer material is coated on a mold having a specific shape, transferred onto a water-soluble polymer film different from the polymer material before drying, and then dissolved in water to have a specific shape. There is a method of obtaining a polymer membrane.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는 이하의 공정을 순서대로 행하는 고분자 박막의 제조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For example, Patent Document 1 discloses a method for producing a polymer thin film in which the following steps are sequentially performed.

(a) 기체의 액상과의 계면에 있어서의 임의 형상의 영역에 다관능성 분자를 흡착시킨다.(a) Polyfunctional molecules are adsorbed to a region of an arbitrary shape at the interface with the liquid phase of the gas.

(b) 흡착한 다관능성 분자를 중합 및/또는 가교해서 고분자의 박막을 형성시킨다.(b) The adsorbed polyfunctional molecules are polymerized and/or crosslinked to form a polymer thin film.

(c) 형성된 박막을 기체로부터 박리한다.(c) The formed thin film is peeled from the substrate.

또한, 특허문헌 2에는 막의 표면(A면)과 이면(B면)에 기능성 물질을 갖는 박막 형상 고분자 구조체의 제조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이하의 공정을 순서대로 행하는 박막 형상 구조체의 제조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In addition, Patent Document 2 discloses a method for producing a thin film-shaped polymer structure having a functional substance on the surface (A side) and the back side (B side) of the film. More specifically, for example, a method of manufacturing a thin film-shaped structure in which the following steps are performed in order is disclosed.

(a) 기체의 액상과의 계면에 있어서의 임의 형상의 영역에 다관능성 분자를 흡착시킨다.(a) Polyfunctional molecules are adsorbed to a region of an arbitrary shape at the interface with the liquid phase of the gas.

(b) 흡착시킨 다관능성 분자를 중합 및/또는 가교해서 고분자의 박막을 형성시킨다.(b) The adsorbed polyfunctional molecules are polymerized and/or crosslinked to form a polymer thin film.

(c) 형성시킨 박막의 A면에 기능성 물질을 결합시킨 후, 또한 그 위에 가용성 수용성 고분자막을 형성시킨다.(c) After bonding the functional material to the A side of the formed thin film, a soluble water-soluble polymer film is formed thereon.

(d) 박막 및 가용성 수용성 지지막을 기체로부터 박리시킨다.(d) The thin film and the soluble water-soluble support film are peeled from the gas.

(e) 박막의 B면에, A면에 결합시킨 기능성 물질과 동일 또는 다른 기능성 물질을 결합시킨 후, 가용성 수용성 고분자막을 용제에 용해시킨다.(e) After bonding the same or different functional material to the functional material bonded to the A side on the B side of the thin film, the soluble water-soluble polymer film is dissolved in a solvent.

국제공개 제 2006/025592호International Publication No. 2006/025592 국제공개 제 2008/050913호International Publication No. 2008/050913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고분자 박막의 제조 방법에서는, 기재로부터 고분자 박막을 박리하기 위해 소정의 용제 등에 침지시킬 필요가 있다. 또한, 기재로부터 박리된 상태의 고분자 박막을, 용제에 침지시킨 상태에서 생체 조직 등의 대상물에 적용하지 않으면 안되기 때문에, 핸들링성이 현저하게 낮다는 문제가 있었다.However, in the method for producing a polymer thin film described in Patent Document 1, it is necessary to immerse the polymer thin film in a predetermined solvent or the like in order to peel the polymer thin film from the substrate. In addition, since the polymer thin film peeled off from the substrate must be applied to an object such as a living body tissue while immersed in a solven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handling property is remarkably low.

또한, 특허문헌 2에 기재된 고분자 박막의 제조 방법에서는, 표면과 이면에 기능성 물질을 부가한 임의 형상의 고분자 박막을 얻기 위해서, 표면에 기능성 물질을 결합시킨 후에 A면 상에 가용성 수용성 고분자막을 형성하여, 기재로부터 박리하지 않으면 안되었다. 또한 그 후, B면에 기능성 물질을 결합시켜, 최후에 가용성 수용성 고분자막을 물로 용해하지 않으면 안되기 때문에, 공정이 번잡하고 생산성이 낮다는 문제가 있었다.In addition, in the method for producing a polymer thin film described in Patent Document 2, in order to obtain a polymer thin film of an arbitrary shape in which a functional substance is added to the surface and the back surface, a soluble water-soluble polymer film is formed on the A side after bonding the functional material to the surface. , Had to be peeled off from the substrate. Further, after that, the functional substance is bonded to the B side, and the soluble water-soluble polymer film must be finally dissolved in water, so that the process is complicated and the productivity is low.

본 발명의 목적은, 특정 형상을 갖는 고분자 박막을 공정용 가용성 고분자나 특수한 용매를 사용하지 않고, 연속적이며 또한 균일하게 제조하는 방법과, 그 제조 방법을 실현하는 제조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continuously and uniformly manufacturing a polymer thin film having a specific shape without using a process soluble polymer or a special solvent, and a manufacturing apparatus for realizing the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의 고분자 박막의 제조 장치는, 특정 형상을 갖는 고분자 박막을 제조하는 제조 장치로서, 표면에 요철이 형성되고, 그 볼록부의 상면의 형상이 상기 특정 형상인 신축성을 갖는 몰드와, 상기 몰드를 공급, 반송하는 몰드 공급 수단과, 상기 몰드 공급 수단에 의해 반송되는 상기 몰드의 상기 볼록부의 상면을 피복하도록, 상기 요철이 형성된 면에 고분자 재료를 포함하는 도포 재료를 도포하는 도포 유닛과, 상기 도포 유닛보다 반송 방향 하류측에 있고, 도포된 상기 고분자 재료를 건조시켜 고분자 피막을 형성하는 건조 유닛과, 상기 건조 유닛보다 반송 방향 하류측에 있고, 상기 몰드를 신장시키거나 1회 이상 신축시킴으로써, 상기 고분자 피막을 상기 볼록부의 상면으로부터 박리해서 상기 고분자 박막을 얻는 박리 유닛과, 상기 볼록부의 상면으로부터 박리된 상기 고분자 박막을 회수하는 회수 유닛을 구비하고 있다.The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polymer thin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anufacturing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polymer thin film having a specific shape, wherein an unevenness is formed on the surface, and the shap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convex portion is an elastic mold having the specific shape, and the mold A coating unit for applying a coating material containing a polymer material to the uneven surface so as to cover the upper surface of the convex portion of the mold conveyed by the mold supply means for supplying and conveying; and the coating A drying unit located downstream in the conveying direction than the unit, drying the applied polymer material to form a polymer film, and a drying unit located downstream in the conveying direction than the drying unit, and extending the mold or stretching the mold one or more times. A peeling unit for removing the polymer film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convex portion to obtain the polymer thin film, and a recovery unit for recovering the polymer thin film peele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convex portion.

또한, 본 발명의 제조 방법은, 특정 형상을 갖는 고분자 박막을 제조하는 제조 방법으로서, 표면에 요철이 형성되고, 그 볼록부의 상면의 형상이 상기 특정 형상인 신축성을 갖는 몰드를 반송하고, 상기 반송된 몰드의 상기 볼록부의 상면을 피복하도록, 상기 요철이 형성된 면에 고분자 재료를 포함하는 도포 재료를 도포하고, 이어서, 도포된 상기 고분자 재료를 건조시켜서 고분자 피막을 형성하고, 이어서, 상기 몰드를 신장시키거나 1회 이상 신축시켜서, 건조한 상기 고분자 피막을 상기 볼록부의 상면으로부터 박리하여 상기 고분자 박막을 얻고, 상기 몰드로부터 박리된 상기 고분자 박막을 회수한다.In addition,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anufacturing method for manufacturing a polymer thin film having a specific shape, wherein irregularities are formed on the surface, and the shap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convex portion is conveyed with an elastic mold having the specific shape, and the conveyance A coating material containing a polymer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rface on which the irregularities are formed so as to cover the upper surface of the convex portion of the mold, and then the applied polymer material is dried to form a polymer film, and then the mold is stretched. The polymer film, which is dried or stretched once or more, is peeled off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convex portion to obtain the polymer thin film, and the polymer thin film peeled from the mold is recovered.

본 발명에 의하면, 신축성을 갖는 몰드 상에 고분자 재료를 직접 도포하고, 고분자 재료에 특정 형상을 부여한 후에, 고분자 박막을 건조한 상태에서 회수할 수 있다. 종래 기술과 같이 수용성 고분자막으로서 희생막을 도포하고, 그 후, 수용성 고분자막을 용해해서 고분자막을 인출하는 공정을 생략할 수 있기 때문에, 고분자막 제조의 저비용화와 생산성의 향상이 도모된다. 또한, 본 발명은 수용성 고분자막을 용해하는 공정이 없고, 고분자막을 건조한 상태에서 회수할 수 있기 때문에, 미립자로서도 취급 가능하여 용도의 확대를 도모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fter a polymer material is directly applied onto a mold having elasticity and a specific shape is given to the polymer material, the polymer thin film can be recovered in a dry state. As in the prior art, since the step of applying the sacrificial film as a water-soluble polymer film and then dissolving the water-soluble polymer film to take out the polymer film can be omitted, the cost of producing the polymer film and improvement in productivity can be improved. Further,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re is no step of dissolving the water-soluble polymer membrane, and the polymer membrane can be recovered in a dry state, it can be handled as fine particles, and the use can be expanded.

도 1은 본 발명의 고분자 박막의 제조 장치의 단면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몰드의 일례의 개략도로서, (a)는 볼록부의 상면이 원형인 몰드, (b)는 볼록부의 상면이 다각형인 몰드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고분자 박막의 제조 장치의 박리 유닛을 단면으로부터 본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형태의 고분자 박막의 제조 장치의 단면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형태의 고분자 박막의 제조 장치의 단면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형태의 고분자 박막의 제조 장치의 단면 개략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특정 형상을 갖는 고분자 박막의 제조에 적용되는 몰드를 제조하는 장치의 일례를 표면으로부터 본 개략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특정 형상을 갖는 고분자 박막의 제조에 적용되는 몰드를 제조하는 장치의 일례를 단면으로부터 본 개략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박리 유닛에 있어서의 고분자 박막 및 몰드의 거동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조 방법의 도중 단계에서 얻어지는 몰드와 고분자 박막의 적층체를 전자 현미경에 의해 관찰한 사진이다.
도 11은 실시예 1에 의해 제조된 특정 형상을 갖는 고분자 박막을 전자 현미경에 의해 관찰한 사진이다.
도 12는 실시예 2에 의해 제조된 특정 형상을 갖는 고분자 박막을 전자 현미경에 의해 관찰한 사진이다.
1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n apparatus for producing a polymer thin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chematic diagram of an example of a mold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a) is a mold having a circular upper surface of the convex portion, and (b) is a mold having a polygonal upper surface of the convex portion.
3 is a schematic view of a peeling unit of the apparatus for producing a polymer thin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as viewed from a cross section.
4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n apparatus for producing a polymer thin film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n apparatus for producing a polymer thin film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n apparatus for producing a polymer thin film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schematic view of an example of a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mold applied to manufacturing a polymer thin film having a specific shap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viewed from the surface.
8 is a schematic view of an example of a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mold applied to the manufacture of a polymer thin film having a specific shap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viewed from a cross section.
9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behavior of a polymer thin film and a mold in the peeling unit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photograph of a laminate of a mold and a polymer thin film obtained in an intermediate step of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observed by an electron microscope.
11 is a photograph of a polymer thin film having a specific shape prepared in Example 1 observed by an electron microscope.
12 is a photograph of observation of a polymer thin film having a specific shape prepared in Example 2 by an electron microscope.

본 발명의 특정 형상을 갖는 고분자 박막의 제조 장치는, 적어도 이하의 (a)∼(f)의 기기 또는 부재를 구비하고 있다.The apparatus for producing a polymer thin film having a specific sha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t least the following devices or members (a) to (f).

(a) 표면에 요철이 형성되고, 그 볼록부의 상면의 형상이 상기 특정 형상인 신축성을 갖는 몰드.(a) A mold having unevenness formed on the surface, and the shap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convex portion is the specific shape.

(b) 상기 몰드를 공급, 반송하는 몰드 공급 수단.(b) Mold supply means for supplying and conveying the mold.

(c) 상기 몰드 공급 수단에 의해 반송되는 상기 몰드의 상기 볼록부의 상면을 피복하도록, 상기 요철이 형성된 면에 고분자 재료를 포함하는 도포 재료를 도포하는 도포 유닛.(c) An application unit for applying a coating material containing a polymer material to the surface on which the irregularities are formed so as to cover the upper surface of the convex portion of the mold conveyed by the mold supply means.

(d) 상기 도포 유닛보다 반송 방향 하류측에 있고, 도포된 고분자 재료를 건조시켜서 고분자 피막을 형성하는 건조 유닛.(d) A drying unit located downstream from the coating unit in the conveyance direction, and drying the applied polymer material to form a polymer film.

(e) 상기 건조 유닛보다 반송 방향 하류측에 있고, 상기 몰드를 신장시키거나 1회 이상 신축시킴으로써, 상기 고분자 피막 재료를 상기 볼록부의 상면으로부터 박리해서 상기 고분자 박막을 얻는 박리 유닛.(e) A peeling unit located downstream from the drying unit in the conveyance direction, wherein the polymer film material is peele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convex portion by extending the mold or stretching the mold one or more times to obtain the polymer thin film.

(f) 상기 볼록부의 상면으로부터 박리된 상기 고분자 박막을 회수하는 회수 유닛.(f) a recovery unit for recovering the polymer thin film peeled off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convex portion.

도 1은 본 발명의 고분자 박막의 제조 장치의 일례를 단면으로부터 본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몰드의 일례의 개략도이다. 도 2(a)는 몰드의 상면이 원형, 도 2(b)는 볼록부의 상면이 다각형인 몰드를 표면 및 단면으로부터 본 개략도이다. 몰드(11)의 표면에 요철 구조를 이루는 볼록부(15)의 상면(15a)은, 최종적으로 얻으려고 하는 고분자 박막(16)을 특정 형상으로 하기 위해서, 그 특정 형상에 대응한 형상으로 되어 있다. 고분자 박막(16)의 제조 장치(10)는, 신축성을 갖는 몰드(11)의 볼록부(15)의 상면(15a)을 피복하도록, 고분자 재료를 포함하는 도포 재료(13)를 도포하고, 도포 재료(13)를 건조시켜서 고분자 피막(14)을 형성한 후, 신축성을 갖는 몰드(11)의 신축에 의해 고분자 피막(14)을 박리해서 고분자 박막(16)을 얻고, 회수 유닛(60)에 의해 볼록부(15)의 상면(15a)과 동일 형상인 특정 형상을 갖는 고분자 박막(16)을 회수한다.1 is a schematic view of an example of an apparatus for producing a polymer thin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as viewed from a cross section. 2 is a schematic diagram of an example of a mold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a) is a schematic view of a mold having a circular upper surface and a polygonal upper surface of the convex portion viewed from the surface and cross section. The upper surface 15a of the convex portion 15 forming an uneven structure on the surface of the mold 11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shape in order to give the polymer thin film 16 to be finally obtained into a specific shape. . The apparatus 10 for manufacturing the polymer thin film 16 applies a coating material 13 containing a polymer material so as to cover the upper surface 15a of the convex portion 15 of the mold 11 having elasticity and is applied. After drying the material 13 to form a polymer film 14, the polymer film 14 is peeled off by stretching the mold 11 having elasticity to obtain a polymer thin film 16, and the recovery unit 60 As a result, the polymer thin film 16 having a specific shape having the same shape as the top surface 15a of the convex portion 15 is recovered.

또, 고분자 재료를 포함하는 도포 재료(13)는, 용매에 의해 고분자 재료를 용해시킨 것이어도, 가열에 의해 고분자 재료를 용융시킨 것이어도 좋다. 도포의 용이성을 고려하면 도포 재료(13)의 점도 조정이나 고형분 농도 조정이 용이하므로, 용매에 의해 고분자 재료를 용해시킨 것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coating material 13 containing a polymer material may be one obtained by dissolving a polymer material with a solvent, or may be one obtained by melting a polymer material by heating. In consideration of the ease of application, since it is easy to adjust the viscosity of the coating material 13 and adjust the solid content concentration, it is preferable to select a polymer material dissolved in a solvent.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고분자 박막(16)의 제조 장치(10)는, 롤 형상의 신축성을 갖는 몰드(11), 몰드(11)를 구동 반송시키는 몰드 공급 수단(20), 몰드(11)의 표면에 도포 재료(13)를 도포하는 도포 유닛(30), 도포된 도포 재료(13)를 건조시키는 건조 유닛(40), 몰드(11)의 표면으로부터 고분자 피막(14)을 박리하는 박리 유닛(50), 및 박리한 고분자 박막(16)을 회수하는 회수 유닛(60)을 구비하고 있다. 각 구성의 개요는 이하와 같다.As shown in FIG. 1, the apparatus 10 for manufacturing a polymer thin film 16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old 11 having a roll-shaped elasticity, a mold supply means 20 for driving and transporting the mold 11, and a mold The coating unit 30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13 to the surface of (11), the drying unit 40 for drying the applied coating material 13, and the polymer film 14 are peeled from the surface of the mold 11 A peeling unit 50 is provided, and a recovery unit 60 for recovering the peeled polymer thin film 16 is provided. The outline of each configuration is as follows.

롤 형상의 신축성을 갖는 몰드(11)는 표면에 요철이 형성되고, 그 볼록부(15)의 상면(15a)은 원형(도 2(a) 참조) 또는 다각형(도 2(b) 참조)의 특정 형상을 갖고 있다. 몰드(11)는 도포 재료(13)에 사용되는 용매 등의 약품에의 내약품성이 있는 재료로 이루어지고, 균일하게 도포 재료(13)를 도포하기 위해 균일한 두께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내약품성이 있다란, JIS-K-6258(2003년판)에 준한 시험에 있어서, 몰드(11)를 도포 재료(13)에 사용되는 약품에, 상온에서 72시간 침지시켰을 경우의 체적 변화율이 5% 이하인 것을 말한다. 내약품성이 없으면, 몰드(11)의 표면이 약품에 의해 팽윤하여, 고분자 박막(16)의 박리가 저해될 경우나, 몰드(11)의 신축시에 몰드(11)가 파단될 경우가 있기 때문에, 내약품성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roll-shaped stretchable mold 11 has irregularities on its surface, and the upper surface 15a of the convex portion 15 is circular (see Fig. 2(a)) or polygonal (see Fig. 2(b)). It has a specific shape. The mold 11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chemical resistance to chemicals such as a solvent used for the coating material 13, and is preferably of a uniform thickness in order to uniformly apply the coating material 13. Here, in the test according to JIS-K-6258 (2003 version), that there is chemical resistance, the volume change rate when the mold 11 is immersed in the chemical used for the coating material 13 for 72 hours at room temperature. This means less than 5%. If there is no chemical resistance, the surface of the mold 11 swells by chemicals, and the peeling of the polymer thin film 16 is inhibited, or the mold 11 may break when the mold 11 is stretched and contracted. , It is preferable to have chemical resistance.

몰드 공급 수단(20)은, 롤 형상으로 감긴 몰드(11)를 권출해가는 권출롤(21), 권출된 몰드를 권취하는 권취롤(22), 몰드(11)를 일정한 속도로 반송하는 구동롤(23, 24), 도시는 하지 않지만 각 롤을 회전시키는 구동 수단, 및, 몰드의 반송 경로에 맞도록 가이드롤(21a, 25, 26, 22a)을 구비하고 있다. 권출롤(21) 및 권취롤(22)은 반송 장력을 조정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반송 중의 몰드(11)의 반송 방향에 대한 신장량이 10% 이하로 되도록 장력을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몰드(11)의 반송 속도의 조정은 닙롤(53)과 대향해서 배치되는 구동롤(23), 및 닙롤(54)과 대향해서 배치되는 구동롤(24)에 의해 행해진다.The mold supply means 20 includes a take-up roll 21 for unwinding the mold 11 wound in a roll shape, a take-up roll 22 for winding the unwound mold, and a drive roll for conveying the mold 11 at a constant speed. (23, 24), although not shown, drive means for rotating each roll, and guide rolls 21a, 25, 26, and 22a so as to fit in the conveyance path of the mold are provided. The take-up roll 21 and the take-up roll 22 are preferably capable of adjusting the conveyance tension, and the tension is preferably controlled so that the elongation amount of the mold 11 in the conveyance direction during conveyance becomes 10% or less. Adjustment of the conveyance speed of the mold 11 is performed by a drive roll 23 disposed to face the nip roll 53 and a drive roll 24 disposed to face the nip roll 54.

도포 유닛(30)은, 도포 재료(13)를 몰드(11)의 폭방향으로 균일하며 또한 연속적으로 일정하게 도포할 수 있는 것이면 좋다. 예를 들면,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슬릿 다이(31)로 이루어지는 토출기와 연속적으로 정량의 도포 재료를 공급할 수 있는 송액 기구 등을 조합시킨 구조인 것이면 좋다. 또한, 슬릿 다이(31)의 토출 선단면과 몰드(11)의 간격을 고정밀도로 유지하기 위해서, 몰드(11)의 도포면의 반대측에 지지롤(32)을 배치해도 좋다. 슬릿 다이(31)의 위치를 좌우에서 높은 분해능으로 위치 조정 가능한 위치 조정 기구를 설치하는 것도 바람직하다.The coating unit 30 may be one that can uniformly and continuously uniformly apply the coating material 13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mold 11. For example, a structure in which an ejector comprising a slit die 31 as shown in Fig. 1 and a liquid transfer mechanism capable of continuously supplying a fixed amount of coating material may be combined. Further, in order to keep the distance between the discharge tip end surface of the slit die 31 and the mold 11 with high accuracy, the support roll 32 may be dispos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application surface of the mold 11. It is also preferable to provide a position adjusting mechanism capable of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slit die 31 from left to right with high resolution.

건조 유닛(40)으로서, 도포된 도포 재료(13)를 단시간에 건조시키기 위해, 열풍이나 원적외선 등의 가열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휘발된 용매를 회수 또는 배기하기 위한 국소 배기 장치를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As the drying unit 40, in order to dry the applied coating material 13 in a short time, it is preferable to provide a heating means such as hot air or far infrared rays. In addition, a local exhaust device for recovering or exhausting the volatilized solvent may be provided.

박리 유닛(50)은 닙롤(53), 장력 조정롤(55) 및 닙롤(54)을 연결하는 반송 경로인 박리 구간에 있어서, 몰드(11)의 반송에 따른 장력을 차단하는 장력 차단 기구로서 기능하는 닙롤(53), 구동롤(23), 닙롤(54) 및 구동롤(24)과, 몰드(11)로부터 고분자 피막(14)을 박리하는데에 필요한 신장도까지 몰드(11)를 신장시키기 위한 장력을 조정하는 장력 조정 기구로서 기능하는 장력 조정롤(55)을 구비하고 있다. 장력 차단 기구로서 기능하는 닙롤(53)과 구동롤(23), 및 닙롤(54)과 구동롤(24)로 협압함으로써, 몰드 공급 수단(20)에서 발생시킨 장력을 차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장력 조정 기구로서는, 몰드(11)의 길이를 몰드(11)로부터 고분자 피막(14)을 박리하는데에 필요한 만큼까지 신장시킬 수 있으면 좋다. 구체적으로는, 장력 조정롤(55)에 의해 닙롤(53)과 구동롤(23), 및 닙롤(54)과 구동롤(24)로 파지된 몰드(11)를, 몰드(11)의 도포 재료를 도포한 면과는 반대의 면으로부터 장력을 부여하여 몰드(11)를 신장시키는 기구가 바람직하다. 발명자들의 검토에 의하면, 몰드(11)의 길이를 장력 부여 전의 박리 구간의 길이의 3배 이상으로 신장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peeling unit 50 functions as a tension blocking mechanism that blocks the tension caused by the transport of the mold 11 in the peeling section, which is a transport path connecting the nip roll 53, the tension adjustment roll 55 and the nip roll 54. To elongate the mold 11 to an elongation required to peel the polymer film 14 from the nip roll 53, the driving roll 23, the nip roll 54 and the driving roll 24, and the mold 11 A tension adjustment roll 55 is provided that functions as a tension adjustment mechanism for adjusting tension. It is preferable to block the tension generated in the mold supply means 20 by pinching with the nip roll 53 and the drive roll 23, and the nip roll 54 and the drive roll 24 functioning as a tension blocking mechanism. As the tension adjusting mechanism, it is sufficient that the length of the mold 11 can be extended to an extent necessary for peeling the polymer film 14 from the mold 11. Specifically, the nip roll 53 and the drive roll 23 by the tension adjustment roll 55, and the mold 11 held by the nip roll 54 and the drive roll 24 are applied as a material for the mold 11 A mechanism for elongating the mold 11 by applying tension from a surface opposite to the surface to which is applied is preferable. According to the investigation of the inventors, it is preferable to elongate the length of the mold 11 to three or more times the length of the peeling section before applying tension.

회수 유닛(60)은 몰드(11)의 표면으로부터 박리한 고분자 박막(16)을 회수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회수 수단으로서는, 진공 펌프 등의 부압 발생 장치(62)에 접속된 흡인 노즐(61)을 이용한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외에도, 몰드(11)의 표면에 액체를 흘려서, 액체 중에 고분자 박막(16)이 분산되도록 회수하는 방법을 이용해도 좋다. 또한, 어느 회수 수단을 이용했을 경우에 있어서도, 회수 수단에 의해 회수된 고분자 박막(16)을 모으기 위해서, 부직포나 멤브레인 필터 등의 포집재(63)를, 고분자 박막(16)이 흘러가는 경로에 설치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recovery unit 60 is provided with a means for recovering the polymer thin film 16 peeled off from the surface of the mold 11. As the recovery means, it is preferable to use a suction nozzle 61 connected to a negative pressure generating device 62 such as a vacuum pump. In addition to that, a method of recovering the polymer thin film 16 so that the polymer thin film 16 is dispersed in the liquid may be used by flowing a liquid on the surface of the mold 11. In addition, even when any recovery means is used, in order to collect the polymer thin film 16 recovered by the recovery means, a collecting material 63 such as a nonwoven fabric or a membrane filter is placed in the path through which the polymer thin film 16 flows. It is desirable to have it installed.

고분자 박막(16)의 제조 장치(10)에 의한 일련의 제조 동작은 이하와 같다. 신축성을 갖는 몰드(11)는 권출롤(21)로부터 권출되고, 도포 유닛(30), 건조 유닛(40), 박리 유닛(50), 회수 유닛(60)의 경로를 거쳐, 권취롤(22)에 권취된 상태로 된다. 몰드(11)는 몰드 공급 수단(20)에 의해 반송에 필요한 일정의 장력이 부여되고, 구동롤(23) 및 구동롤(24)의 회전에 의해 소정의 속도로 반송되고 있다. 그리고, 도포 유닛(30)에 의해 몰드(11)의 볼록부(15)의 상면(15a)을 피복하도록 고분자 재료를 포함하는 도포 재료(13)를 도포한다. 도포한 후, 건조 유닛(40)을 통과함으로써 도포 재료(13) 중에 잔류하고 있는 용매가 휘발되고, 몰드(11)의 볼록부(15)의 상면(15a)에, 상면(15a)의 특정 형상을 갖는 고분자 피막(14)이 형성된다. 그 후, 고분자 피막(14)이 형성된 몰드(11)는, 박리 유닛(50)의 닙롤(53)과 구동롤(23), 및 닙롤(54)과 구동롤(24)로 협압됨으로써 반송 장력으로부터 차단된 상태로 되고, 추가하여 장력 조정롤(55)에 의해 장력이 부여된다. 장력이 부여된 몰드(11)는 그 장력에 따라 신장된다. 이 때, 용매가 휘발해서 건조된 고분자 피막(14)이 신장 가능한 길이 이상으로 몰드(11)가 신장되면, 고분자 피막(14)은 그 신장량에 추종할 수 없어, 몰드(11)와 고분자 피막(14)의 적층 계면, 즉 고분자 피막(14)과 몰드(11)의 계면에 있어서 박리가 발생하여, 고분자 박막(16)이 몰드(11)의 표면으로부터 뜬 상태로 된다. 발명자들의 검토에 의하면, 몰드(11)를 300% 이상 신장시키면, 거의 확실하게 고분자 피막(14)을 몰드(11)로부터 박리할 수 있다. 박리 유닛(50)에서의 몰드(11)의 표면에는, 진공 펌프 등의 부압 발생 장치(62)에 의해 부압으로 제어된 흡인 노즐(61)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몰드(11)의 표면으로부터 박리한 고분자 박막(16)은 압력이 낮은 쪽으로 빨아당겨지고, 흡인 노즐(61)과 부압 발생 장치(62) 사이에 설치된 부직포 형상의 포집재(63)에 포착되게 된다. 표면으로부터 고분자 박막(16)이 회수된 몰드(11)는 그대로 권취롤(22)에 권취되어 간다. 상기 동작이 연속적으로 행해진다.A series of manufacturing operations by the manufacturing apparatus 10 of the polymer thin film 16 are as follows. The mold 11 having elasticity is unwound from the take-up roll 21, and through the path of the application unit 30, the drying unit 40, the peeling unit 50, and the recovery unit 60, the take-up roll 22 It is wound in the state. The mold 11 is supplied with a certain tension required for conveyance by the mold supply means 20, and is conveyed at a predetermined speed by rotation of the driving roll 23 and the driving roll 24. Then, a coating material 13 containing a polymer material is applied so as to cover the upper surface 15a of the convex portion 15 of the mold 11 by the coating unit 30. After coating, the solvent remaining in the coating material 13 is volatilized by passing through the drying unit 40, and on the upper surface 15a of the convex portion 15 of the mold 11, a specific shape of the upper surface 15a A polymer film 14 having a is formed. Thereafter, the mold 11 on which the polymer film 14 is formed is pinched by the nip roll 53 and the driving roll 23 of the peeling unit 50, and the nip roll 54 and the driving roll 24, thereby reducing the transport tension. It is in a blocked state and, in addition, tension is applied by the tension adjustment roll 55. The mold 11 to which tension is applied is elongated according to the tension. At this time, if the mold 11 is elongated beyond the stretchable length of the dried polymer film 14 due to volatilization of the solvent, the polymer film 14 cannot follow the elongation amount, and thus the mold 11 and the polymer film ( At the lamination interface of 14), that is, the interface between the polymer film 14 and the mold 11, peeling occurs, and the polymer thin film 16 is brought into a state floating from the surface of the mold 11. According to the investigation of the inventors, when the mold 11 is elongated by 300% or more, the polymer film 14 can be almost certainly peeled off from the mold 11. On the surface of the mold 11 in the peeling unit 50, a suction nozzle 61 controlled to a negative pressure by a negative pressure generating device 62 such as a vacuum pump is provided, so that it is separated from the surface of the mold 11 One polymer thin film 16 is sucked into the lower pressure side, and is captured by the non-woven collecting material 63 provided between the suction nozzle 61 and the negative pressure generating device 62. The mold 11 from which the polymer thin film 16 has been recovered from the surface is wound on the take-up roll 22 as it is. The above operation is performed continuously.

상기 장치 구성 및 동작에 의해, 특정 형상을 갖는 고분자 박막(16)을 형성할 수 있다. 신축성을 갖는 몰드(11)의 신장이 10% 이하인 상태에서, 몰드(11)의 표면에 고분자 재료를 포함하는 도포 재료(13)를 도포함으로써, 몰드(11)의 볼록부(15)의 상면(15a)이 갖는 특정 형상을 고분자 재료에 정밀도 좋게 전사할 수 있다. 또한, 도포 유닛(30)으로서 슬릿 다이(31)를 사용함으로써, 고분자 박막(16)의 형성에 필요한 양만큼 고분자 재료를 도포할 수 있기 때문에 재료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By the above devic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it is possible to form a polymer thin film 16 having a specific shape. In a state where the elongation of the mold 11 having elasticity is 10% or less, by applying a coating material 13 containing a polymer material to the surface of the mold 11, the upper surface of the convex portion 15 of the mold 11 ( The specific shape of 15a) can be accurately transferred to a polymer material. Further, by using the slit die 31 as the coating unit 30, the polymer material can be applied in an amount necessary for the formation of the polymer thin film 16, so that the material cost can be reduced.

또한, 박리 유닛(50)에 있어서 몰드(11)를 신축시켜서, 몰드(11)로부터 고분자 피막(14)을 박리하여 고분자 박막(16)을 형성하고, 회수 유닛(60)에 있어서 고분자 박막(16)을 흡인에 의해 회수하기 때문에, 회수된 고분자 박막(16)은 건조된 상태이므로 취급이 용이해지고, 용도의 확대가 도모된다. 권취롤(22)에 권취된 몰드(11)는, 열화된 시점이나 결점이 발생한 시점에서 몰드(11)를 교환하도록 관리하면 좋고, 몰드(11)에 소요되는 비용을 낮게 억제할 수 있다.Further, the mold 11 is stretched and contracted in the peeling unit 50 to peel the polymer film 14 from the mold 11 to form the polymer thin film 16, and the polymer thin film 16 is formed in the recovery unit 60. ) Is recovered by suction, the recovered polymer thin film 16 is in a dried state, so handling becomes easy, and the use of the polymer film 16 is expanded. The mold 11 wound on the take-up roll 22 may be managed to replace the mold 11 at the time of deterioration or when a defect occurs, and the cost required for the mold 11 can be kept low.

이어서 각 부의 구성에 대하여 도 1에서 도 6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몰드(11)는 표면에 미세한 요철 구조가 가공되어 있고, 신축성을 가지며, 롤 형상으로 권취 가능하다. 몰드(11)의 반송 방향에 평행한 방향에 있어서의 신장량으로서는 20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파단까지의 허용 신장량을 고려해서 신축 파단율은 300%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신축 파단율이란 JIS-C-2151(2006년판)에서 정의되는 값이며, 인장력을 부여했을 때에 몰드(11)가 파단된 시점에서의 몰드(11)의 길이를, 인장력을 부여하기 전의 몰드(11)의 길이로 나눈 값이다. 신축 후의 치수 복원율을 나타내는 복원율에 대해서는, 신장도 300%까지 신장된 후의 복원율이 95% 이상이 바람직하고, 98%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다. 신장된 후의 복원율이 높음으로써, 고분자 피막(14)과 몰드(11)의 박리가 촉진될 뿐만 아니라, 몰드(11)를 반복해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표면의 요철 구조로서는, 볼록부(15)가 최밀 충전으로 배치된 것이 적합하다. 이것은, 몰드(11)의 총면적에 대한 볼록부(15)의 상면(15a)의 면적 점유율이 커짐으로써, 도포 재료(13)를 도포했을 때에 보다 많은 고분자 박막(16)이 얻어지는 것에 추가해, 도포의 안정성이 늘기 때문이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볼록부(15)의 상면(15a)의 형상으로서는 원형(도 2(a)) 또는 다각형(도 2(b))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상면(15a)의 형상은, 요철이 형성된 면으로부터 보아, 기하학적으로 완전할 필요는 없고, 각각의 형상과 유사하다고 인식할 수 있으면 좋기 때문에, 대략 원형 또는 대략 다각형이라도 좋다. 볼록부(15)의 형상으로서, 바람직하게는 상면(15a)의 면적이 3000∼10000㎛2, 높이가 10㎛∼200㎛인 기둥 형상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면(15a)의 면적 5000∼8000㎛2, 높이가 50∼100㎛인 기둥 형상이며, 요철이 형성된 면으로부터 보아 최밀 충전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최밀 충전 배치에 있어서의 오목부의 폭(인접하는 볼록부(15)의 간격)은, 요철 구조가 가공 가능한 범위의 안에서 작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50㎛ 이하가 바람직하며, 20㎛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적용되는 몰드(11)의 재료는 열경화성 수지, 열가소성 수지, 광경화성 수지 중 어느 것이라도 좋지만, 높은 신축성과 복원율에 추가해서, 요철 구조의 부여가 비교적 용이한 열경화성 수지가 적합하다. 예를 들면, 실리콘 고무, 우레탄 고무, 니트릴 고무, 불소 고무,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클로로프렌 고무, 폴리우레탄,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등이 적합하게 사용되지만, 도포 재료(13)에 사용되는 약품에 대한 내약품성을 고려하여, 적합한 재료를 선정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Next, the configuration of each uni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6. The mold 11 has a fine uneven structure on its surface, has elasticity, and can be wound in a roll shape. Although it is preferable that it is 200% or more as an elongation amount in the direction parallel to the conveyance direction of the mold 11, it is more preferable that the elasticity breaking rate is 300% or more in consideration of the allowable elongation amount until fracture. Here,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breaking rate is a value defined in JIS-C-2151 (2006 edition), and the length of the mold 11 at the time when the mold 11 breaks when a tensile force is applied, before the tensile force is applied. It is a value divided by the length of the mold 11. Regarding the recovery rate indicating the dimensional recovery rate after stretching, the recovery rate after stretching to 300% is preferably 95% or more, and more preferably 98% or more. Since the recovery rate after elongation is high, not only the peeling of the polymer film 14 and the mold 11 is promoted, but the mold 11 can be repeatedly used. In addition, as for the uneven structure of the surface, it is preferable that the convex portions 15 are arranged in the tightest filling. This increases the area occupancy of the upper surface 15a of the convex portion 15 with respect to the total area of the mold 11, so that more polymer thin film 16 is obtained when the coating material 13 is applied. This is because stability increases. As shown in FIG. 2, as a shape of the upper surface 15a of the convex part 15, a circle (FIG. 2(a)), a polygon (FIG. 2(b)), etc. can be illustrated. The shape of the upper surface 15a may be substantially circular or substantially polygonal, since it is not necessary to be geometrically complete as viewed from the surface on which the irregularities are formed, and it is only necessary to recognize that it is similar to each shape. As the shape of the convex portion 15, preferably, the upper surface 15a has an area of 3000 to 10000 µm 2 and a height of 10 µm to 200 µm is a columnar shape, and more preferably, the upper surface 15a has an area of 5000 to 8000. It is a columnar shape having a µm 2 and a height of 50 to 100 µm, and is preferably arranged in the tightest filling as viewed from the surface on which the irregularities are formed. The width of the concave portions in the tightest filling arrangement (the spacing of the adjacent convex portions 15) is preferably made small within the range in which the uneven structure can be processed, preferably 50 μm or less, and more preferably 20 μm or less. . The material of the mold 11 to be applied may be any of a thermosetting resin, a thermoplastic resin, and a photocurable resin, but in addition to a high elasticity and a recovery rate, a thermosetting resin which is relatively easy to impart an uneven structure is suitable. For example, silicone rubber, urethane rubber, nitrile rubber, fluorine rubber, ethylene propylene rubber, chloroprene rubber, polyurethane, styrene butadiene rubber, etc. are suitably used, but chemical resistance to the chemicals used in the coating material (13). In consideration, it is more preferable to select a suitable material.

몰드 공급 수단(20)은, 롤 형상으로 감긴 몰드(11)로부터 몰드(11)를 권출해가는 권출롤(21)과, 권출된 몰드(11)를 권취하는 권취롤(22)과, 몰드(11)를 일정한 속도로 반송하는 구동롤(23, 24), 도시는 하지 않지만 각 롤을 회전시키는 구동 수단, 및, 몰드의 반송 경로에 맞도록 가이드롤(21a, 25, 26, 22a)을 구비하고 있다. 각 롤을 구동시키는 구동 수단으로서는, 몰드(11)가 신축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장력에 의해 몰드(11)가 불필요하게 신장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몰드(11)에 부가하는 반송 장력을 조정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송 장력의 조정은 1N∼100N의 범위에서 0.1N의 분해능으로 조정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몰드(11)의 반송 속도를 정하는 구동 수단으로서 구동롤(23)과 구동롤(24)이 설치된다. 구동롤(23) 및 구동롤(24)은, 각각 닙롤(53)과 닙롤(54)과 대향해서 배치되고, 닙롤(53), 및 닙롤(54)에 의해 몰드(11)를 개재하여 협압됨으로써 구동력을 몰드(11)에 전달하고, 설정한 속도로 몰드(11)의 반송을 행할 수 있다. 구동롤(24)의 구동 수단은 구동롤(23)의 단부와 체인 또는 벨트 등으로 연결하고, 구동롤(23)과 연동해서 회전할 수 있도록 하거나, 또는, 구동롤(23)과 속도를 동기 가능한 모터 등을 이용하여 독립적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동롤(23)은 도시하지 않은 모터 등의 구동 수단과 연결되어, 속도를 제어하면서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속도로서 바람직하게는 1∼30m/분의 범위에서 반송하고, 고분자 재료를 포함하는 도포 재료(13)를 고정밀도로 도포하면서 생산성을 높게 할 수도 있다.The mold supply means 20 includes a take-up roll 21 for unwinding the mold 11 from the mold 11 wound in a roll shape, a take-up roll 22 for winding the unwound mold 11, and a mold ( 11) Drive rolls (23, 24) for conveying at a constant speed, driving means for rotating each roll, although not shown, and guide rolls (21a, 25, 26, 22a) to fit the conveying path of the mold. Are doing. As a driving means for driving each roll, since the mold 11 has elasticity, in order to prevent the mold 11 from being unnecessarily elongated due to tension, the conveyance tension added to the mold 11 can be adjusted. It is desirable. It is preferable that the adjustment of the conveyance tension can be adjusted with a resolution of 0.1N in the range of 1N to 100N. A drive roll 23 and a drive roll 24 are provided as drive means for determining the conveyance speed of the mold 11. The driving roll 23 and the driving roll 24 are arranged opposite to the nip roll 53 and the nip roll 54, respectively, and are pinched by the nip roll 53 and the nip roll 54 through the mold 11 The driving force is transmitted to the mold 11, and the mold 11 can be conveyed at a set speed. The drive means of the drive roll 24 is connected to the end of the drive roll 23 with a chain or belt, and can rotate in conjunction with the drive roll 23, or synchronizes the speed with the drive roll 23 It is desirable to make it possible to independently rotate using a motor or the like. The drive roll 23 is connected to a driving means such as a motor (not shown) and is capable of rotating while controlling the speed. As a speed, it is conveyed preferably in the range of 1 to 30 m/min, and productivity can also be improved while coating the coating material 13 containing a polymer material with high precision.

또한, 몰드 사행 수정 기구를 설치하는 것이 안정적으로 몰드(11)를 반송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몰드 사행 억제 기구의 바람직한 형태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몰드(11)의 반송 경로에 있어서, 몰드(11)의 단부의 위치를 검지하는 단부 검출 센서(28)와, 검출된 값에 의거하여 권출롤(21) 및 권취롤(22)의 이동을 제어함으로써, 몰드(11)의 반송 위치를 조정하기 위한 컨트롤러(27)를, 각각 1대씩 또는 복수대씩 갖는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o provide the mold meandering correction mechanism because it transports the mold 11 stably. A preferred form of the mold meandering suppression mechanism is based on an end detection sensor 28 that detects the position of the end of the mold 11 in the conveyance path of the mold 11 and the detected value as shown in FIG. 1. Thus, by controlling the movement of the take-up roll 21 and the take-up roll 22, the controller 27 for adjusting the conveyance position of the mold 11 is provided by one unit or a plurality of units, respectively.

권출롤(21) 및 권취롤(22)의 구동 수단으로서는, 몰드(11)의 반송 방향에 대하여 연직인 방향으로, 각각의 롤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부 검출 센서(28)로부터의 값에 근거하여, 이동시키고 싶은 방향으로 이동량을 조정하는 구조가 바람직하다. 상기 몰드(11)의 사행 억제 기구를 구비함으로써, 도포 재료(13)의 도포 위치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균일한 두께, 및 형상의 고분자 박막(16)을 형성할 수 있다.As the driving means of the take-up roll 21 and the take-up roll 22, it is preferable that the position of each roll can be adjust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conveyance direction of the mold 11. It is preferable to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 amount of movement is adjusted in the direction to be moved based on the value from the end detection sensor 28. By providing the meander suppression mechanism of the mold 11, since the application position of the coating material 13 can be kept constant, the polymer thin film 16 having a uniform thickness and shape can be formed.

도포 유닛(30)은, 몰드(11)의 반송 과정에 있어서 건조 유닛(40)보다 반송 방향 상류측에 배치되고, 슬릿 다이(31)와 이것에 접속된 도포 재료 공급 기구를 구비한다. 슬릿 다이(31)는, 몰드(11)의 표면 요철 구조가 형성된 면에 고분자 재료를 포함하는 도포 재료(13)를 도포할 수 있도록 대향시킨다. 균일한 도포막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슬릿 다이(31)와 몰드(11)의 간격이 고정밀도로 균일하게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지롤(32)을 표면 요철 구조가 형성된 면과는 반대측의 면으로부터 몰드(11)를 지지하도록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슬릿 다이(31)와 몰드(11)의 간격에 대해서, 슬릿 다이(31)의 토출면과 몰드(11) 표면의 볼록부(15) 상면(15a)의 거리가 10㎛∼500㎛의 간격으로 위치를 제어할 수 있게 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반송 방향과 연직인 방향에 있어서의 간격(슬릿 다이(31)와 상면(15a)의 거리)의 정밀도로서는, 바람직하게는 1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3㎛ 이하이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정밀도를 실현하기 위해서 지지롤(32)의 진직도 및 회전 진동은 5㎛ 이하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 이하이다. 또, 여기에서는 슬릿 다이(31)를 이용한 도포 방식을 예시하고 있지만, 다른 도포 방식이어도 좋다.The coating unit 30 is disposed upstream from the drying unit 40 in the conveying direction in the conveying process of the mold 11, and includes a slit die 31 and a coating material supplying mechanism connected thereto. The slit die 31 is opposed so that a coating material 13 containing a polymer material can be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mold 11 on which the uneven structure is formed. In order to form a uniform coating film, it is preferable that the spacing between the slit die 31 and the mold 11 is maintained uniformly with high precision, and as shown in FIG. 1, the support roll 32 is formed on the surface on which the surface irregularities are formed. It is preferable to arrange it so as to support the mold 11 from the side opposite to the side. Here, with respect to the distance between the slit die 31 and the mold 11, the distance between the discharge surface of the slit die 31 and the upper surface 15a of the convex portion 15 on the surface of the mold 11 is 10 μm to 500 μm. It is desirable to be able to control the position at intervals of. In addition, the precision of the distance (the distance between the slit die 31 and the upper surface 15a)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conveying direction is preferably 10 µm or less, more preferably 3 µm or less. Further, in order to realize the precis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traightness and rotational vibration of the support roll 32 are preferably 5 μm or less, more preferably 1 μm or less. In addition, although the coating method using the slit die 31 is illustrated here, other coating methods may be used.

도포 재료 공급 기구로서는, 목표로 하는 막두께에 따른 송액을 연속적이며 또한 균일하게 행할 수 있으면 좋다. 예를 들면, 시린지 펌프나 튜브 펌프 등을 사용한 정량 송액이나, 압축 공기와 압력 조절 기구를 사용한 정압 송액 중 어느쪽을 선택해도 좋지만, 몰드(11)의 반송 속도를 변경했을 경우의 도포 재료(13)의 송액량을 용이하게 계산할 수 있는 정량 송액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the coating material supplying mechanism, it is sufficient if it can continuously and uniformly deliver liquid according to the target film thickness.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select either a fixed-quantity liquid delivery using a syringe pump or a tube pump, or a static pressure delivery liquid using a compressed air and a pressure control mechanism, but the coating material 13 when the transport speed of the mold 11 is changed. ) It is desirable to select a fixed amount of delivery that can easily calculate the amount of delivery.

박리 유닛(50)은, 몰드 반송 과정에 있어서, 건조 유닛(40)보다 반송 방향 하류측에 배치된다. 박리 유닛(50)은, 박리 유닛(50)보다 반송 방향 상류측으로부터의 장력 전파와 박리 유닛(50)보다 반송 방향 하류측으로부터의 장력 전파를 차단하는 장력 차단 기구와, 박리 구간에서의 몰드의 장력을 조정하는 장력 조정 기구로 구성되어 있다. 장력 차단 기구는 닙롤(53), 구동롤(23), 닙롤(54) 및 구동롤(24)로 구성된다. 도 3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닙롤(53)과 구동롤(23), 및 닙롤(54)과 구동롤(24)의 2개소에서 몰드(11)를 협압함으로써, 몰드 공급 수단(20)에 의해 발생하는 반송 장력을 차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장력 조정 기구는 장력 조정롤(55)로 구성된다. 장력 조정롤(55)은, 박리 구간에 있어서의 몰드(11)의 길이를, 장력 부여 전의 박리 구간의 길이의 3배 이상으로 신장시킬 수 있는 기구가 바람직하다. 도 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장력 조정롤(55)은 닙롤(53)과 닙롤(54)로 파지된 몰드(11)를, 도포면과는 반대의 면으로부터 밀어 올리는 기구가 바람직하다. 장력 조정 기구로서는, 구체적으로는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는 장력 조정롤(55)이 에어 실린더의 로드의 선단에 접속되어 있는 기구가 바람직하다.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는 롤로 함으로써, 장력 부여시에 있어서의 몰드(11)와의 마찰을 저감하고, 반송을 저해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에어 실린더를 적용함으로써 에어 실린더의 스트로크를 제어함으로써, 장력의 제어 즉 몰드의 신장량을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복잡한 기구가 필요해지지 않고, 또한 장력 제어에 필요한 제어 기구가 용이해진다. 에어 실린더로서는, 복동 타입의 에어 실린더가 적합하게 사용된다. 몰드(11)의 표면으로부터 고분자 피막(14)을 효율적으로 박리하기 위해서는, 300% 이상까지 몰드(11)를 신장시킨 후에 100% 이하까지 수축하는 신축 동작을 1회 또는 복수회 행하는 것이 좋고, 복동 타입의 에어 실린더를 사용하면, 이 신축 운동의 반복을 고속으로 행할 수 있기 때문에 매우 효율이 좋은 박리가 행해진다.The peeling unit 50 is disposed downstream from the drying unit 40 in the conveying direction in the mold conveying process. The peeling unit 50 includes a tension blocking mechanism that blocks tension propagation from an upstream side in the conveying direction than the peeling unit 50 and a tension propagation from a downstream side in the conveying direction than the peeling unit 50, and the mold in the peeling section. It consists of a tension adjustment mechanism that adjusts the tension. The tension blocking mechanism is composed of a nip roll 53, a drive roll 23, a nip roll 54, and a drive roll 24. As shown in Fig. 3A, by clamping the mold 11 at two locations, the nip roll 53 and the drive roll 23, and the nip roll 54 and the drive roll 24, it is generated by the mold supply means 20. It is desirable to block the conveying tension. The tension adjustment mechanism is composed of a tension adjustment roll 55. The tension adjusting roll 55 is preferably a mechanism capable of extending the length of the mold 11 in the peeling section to three or more times the length of the peeling section before tension is applied. As shown in Fig. 3(b), the tension adjustment roll 55 is preferably a mechanism for pushing up the nip roll 53 and the mold 11 held by the nip roll 54 from the surface opposite to the application surface. As the tension adjustment mechanism, specifically, a mechanism in which the tension adjustment roll 55 that can freely rotate is connected to the tip of the rod of the air cylinder is preferable. By setting it as a roll which can rotate freely, friction with the mold 11 at the time of tension application can be reduced, and it can prevent that conveyance is inhibited. In addition, by controlling the stroke of the air cylinder by applying the air cylinder, since the tension control, that is, the amount of extension of the mold can be controlled, a complicated mechanism is not required, and a control mechanism required for tension control becomes easy. As the air cylinder, a double-acting type air cylinder is suitably used. In order to efficiently peel the polymer film 14 from the surface of the mold 11, after stretching the mold 11 to 300% or more, it is preferable to perform an expansion and contraction operation of shrinking to 100% or less once or multiple times. When a type of air cylinder is used, since the repetition of this stretching motion can be performed at high speed, very efficient peeling is performed.

장력 조정롤(55)의 재질은 금속, 비금속 중 어느쪽을 선택해도 좋지만, 몰드(11)와의 마찰이 작아지는 재료를 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표면 거칠기는, JIS B 0601(2001년판)에서 정의되는, 산술 평균 거칠기(Ra)가 1.6㎛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Ra가 1.6㎛ 이하이면, 장력을 부여했을 때에, 몰드(11)의 이면에 장력 조정롤(55)의 표면 형상이 전사되어 버릴 걱정이 없다.The material of the tension adjustment roll 55 may be selected from a metal or a non-metal, but it is preferable to select a material that reduces friction with the mold 11. In addition, as for the surface roughness, it is preferable that the arithmetic mean roughness (Ra) defined in JIS B 0601 (2001 edition) is 1.6 micrometers or less. If Ra is 1.6 µm or less, there is no worry that the surface shape of the tension adjustment roll 55 is transferred to the back surface of the mold 11 when tension is applied.

닙롤(53, 54) 및 구동롤(23, 24)의 가공 정밀도는, JIS B 0621(1984년판)에서 정의되는 원통도 공차에 있어서 0.03㎜ 이하, 원주 진동 공차에 있어서 0.03㎜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각각 0.03㎜ 이하이면, 협압시의 구동롤(23, 24)과 닙롤(53, 54) 사이에 부분적인 간극이 생기지 않으므로, 몰드(11)와 고분자 피막(14)의 적층체를 폭방향에서 균일한 힘으로 압박할 수 있어, 반송 및 장력 제어가 잘 된다. 또한, 각 롤의 표면 거칠기는 JIS B 0601(2001년판)에서 정의되는, 산술 평균 거칠기(Ra)가 1.6㎛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Ra가 1.6㎛ 이하이면, 압박시에 고분자 피막(14)의 표면이나 몰드(11)의 이면에, 각 롤의 표면 형상이 전사될 걱정이 없어진다.It is preferable that the processing precision of the nip rolls 53 and 54 and the drive rolls 23 and 24 is 0.03 mm or less in the cylindrical degree tolerance defined in JIS B 0621 (1984 edition) and 0.03 mm or less in the circumferential vibration tolerance. If each of 0.03 mm or less, there is no partial gap between the driving rolls 23 and 24 and the nip rolls 53 and 54 at the time of pinching, so that the laminate of the mold 11 and the polymer film 14 is uniform in the width direction. It can be pressed with one force, so conveyance and tension control are good.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surface roughness of each roll has an arithmetic mean roughness (Ra) defined in JIS B 0601 (2001 edition) of 1.6 µm or less. If Ra is 1.6 µm or less, there is no worry that the surface shape of each roll is transferred to the surface of the polymer film 14 or the back surface of the mold 11 during pressing.

닙롤(53, 54) 및 구동롤(23, 24)의 재질은 금속, 비금속 중 어느쪽을 선택해도 좋지만, 비금속의 경우에서는, 예를 들면 고무를 사용할 경우에는, 실리콘 고무나 EPDM(에틸렌·프로필렌·디엔 고무), 네오프렌, CSM(클로로술폰화폴리에틸렌 고무), 우레탄 고무, NBR(니트릴 고무), 에보나이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더욱 높은 탄성률과 경도를 요구하는 경우에는, 인성을 향상시킨 경질 내압 수지(예: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탄성체의 고무 경도는 ASTM D 2240:2005(쇼어 D)규격으로 70∼97°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경도가 70°이상이면, 탄성체의 변형량이 지나치게 커지지 않고, 고분자 피막(14)과의 가압 접촉폭이 지나치게 커지지 않으므로, 고분자 피막(14)에 과대한 마찰력이 발생하지 않는다. 그 결과, 몰드(11)로부터 고분자 피막(14)이 박리될 걱정도 없다. 경도가 97°이하이면, 반대로 탄성체의 변형량이 지나치게 작아지지 않기 때문에, 적당한 가압 접촉폭에서 적당한 마찰력이 발생하므로, 장력의 제어나 반송을 할 수 있다.The material of the nip rolls 53 and 54 and the drive rolls 23 and 24 may be selected from either metal or non-metal, but in the case of non-metal, for example, when using rubber, silicone rubber or EPDM (ethylene propylene Diene rubber), neoprene, CSM (chlorosulfonated polyethylene rubber), urethane rubber, NBR (nitrile rubber), ebonite, etc. can be used. When a higher modulus of elasticity and hardness are required, a hard pressure-resistant resin with improved toughness (eg, polyester resin) can be used. The rubber hardness of the elastic body is preferably in the range of 70 to 97° according to ASTM D 2240:2005 (Shore D) standard. When the hardness is 70° or more, the amount of deformation of the elastic body is not too large, and the pressure contact width with the polymer film 14 is not too large, so that excessive frictional force is not generated on the polymer film 14. As a result, there is no worry that the polymer film 14 will be peeled off from the mold 11. If the hardness is 97° or less, on the contrary, since the amount of deformation of the elastic body is not too small, an appropriate frictional force is generated at an appropriate pressure contact width, so that the tension can be controlled and conveyed.

회수 유닛(60)은, 진공 펌프 등의 부압 발생 장치(62)에 접속된 흡인 노즐(61)을 1개 이상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흡인 노즐(61)의 형태는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고분자 박막(16)을 빠른 유속으로 효율적으로 흡인하기 위해서, 흡인구가 작은 노즐을 복수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흡인 노즐(61)과 부압 발생 장치(62)의 경로에는, 흡인에 의해 회수된 고분자 박막(16)을 포집하기 위한 포집재(63)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포집재(63)의 형태는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구멍 지름은 고분자 박막(16)의 특정 형상보다 작고, 압력 손실을 작게 하기 위해서 높은 개공률을 갖는 포집재가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멤브레인 필터나 부직포 필터 등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recovery unit 60 includes one or more suction nozzles 61 connected to a negative pressure generator 62 such as a vacuum pump. The shape of the suction nozzle 61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n order to efficiently suck the polymer thin film 16 at a high flow rate, it is preferable to provide a plurality of nozzles having a small suction port.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o provide a collecting material 63 for collecting the polymer thin film 16 recovered by suction in the path between the suction nozzle 61 and the negative pressure generator 62. The shape of the collecting material 63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the pore diameter is smaller than the specific shape of the polymer thin film 16, and a collecting material having a high porosity is preferable in order to reduce pressure loss. More specifically, it is preferable to apply a membrane filter or a nonwoven filter.

도 4는 본 발명의 고분자 박막의 제조 장치의 다른 형태의 단면 개략도이다. 이 고분자 박막의 제조 장치(70)에서는, 건조 유닛(40)과 박리 유닛(50) 사이에 별도의 도포 유닛(71)과 건조 유닛(75)을 더 구비하고 있다. 반송 방향 상류측에 있는 도포 유닛(30)과 건조 유닛(40)을 거쳐, 몰드(11)에 고분자 피막(14)을 형성한 후에, 또한 반송 방향 하류측에 있는 도포 유닛(71)과 건조 유닛(75)을 거쳐, 고분자 피막(14) 상에 다른 고분자 피막(73)을 적층할 수 있다. 이 때, 반송 방향 상류측에 있는 도포 유닛(30)의 슬릿 다이(31)로부터 도포되는 도포 재료(13)에 포함되는 고분자 재료와, 반송 방향 하류측에 있는 도포 유닛(71)의 슬릿 다이(72)로부터 도포되는 도포 재료(74)에 포함되는 고분자 재료를 다른 종류로 함으로써, 다른 고분자 재료로 이루어지는 고분자 박막의 적층체를 얻을 수 있다. 추가하는 도포 유닛과 건조 유닛의 세트는, 적층하고 싶은 고분자 재료의 수에 따라 추가하면 좋고, 특별히 제한은 없다. 또한, 3층 이상의 고분자 재료를 적층할 때에, 모든 층의 고분자 재료를 다른 종류의 고분자 재료로 해도 좋고, 이웃하는 층의 고분자 재료만을 다른 종류의 고분자 재료로 해도 좋다.4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nother form of the apparatus for producing a polymer thin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manufacturing apparatus 70 of this polymer thin film, a separate coating unit 71 and a drying unit 75 are further provided between the drying unit 40 and the peeling unit 50. After forming the polymer film 14 on the mold 11 through the coating unit 30 and drying unit 40 on the upstream side in the conveyance direction, the coating unit 71 and the drying unit further downstream in the conveyance direction Via 75, another polymer film 73 can be laminated on the polymer film 14. At this time, the polymer material contained in the coating material 13 applied from the slit die 31 of the coating unit 30 on the upstream side in the conveying direction, and the slit die of the coating unit 71 on the downstream side in the conveying direction ( By making the polymer material contained in the coating material 74 applied from 72) a different type, a laminate of a polymer thin film made of another polymer material can be obtained. The set of the coating unit and the drying unit to be added may be add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polymer materials to be laminated, and there is no particular limitation. In addition, when three or more layers of polymeric materials are laminated, the polymeric materials of all layers may be different types of polymeric materials, or only the polymeric materials of adjacent layers may be used as different types of polymeric materials.

도 5는 본 발명의 고분자 박막의 제조 장치의 또 다른 형태의 단면 개략도이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분자 박막의 제조 장치(80)에서는, 몰드(11)에 직접 도포를 행하는 것은 아니고, 도포 재료(13)를 도포한 도포용 기재(83)를, 몰드(11)와 함께 닙롤(33)과 구동롤(34)로 협압함으로써, 도포 재료(13)를 몰드(11)의 표면에 전사해서 도포한다. 즉, 도 5에 나타내는 고분자 박막의 제조 장치(80)의 도포 유닛(30)은, 슬릿 다이(31), 도포용 기재 권출롤(81), 도포용 기재 권취롤(82), 도포용 기재(83), 닙롤(33) 및 구동롤(34)에 의해 구성된다. 도포용 기재 권출롤(81)로부터 권출된 도포용 기재(83)는, 몰드(11)와 대향하는 표면에 슬릿 다이(31)에 의해 도포 재료(13)가 도포된 후, 몰드(11)와 함께 닙롤(33)과 구동롤(34)로 협압됨으로써 몰드(11)의 표면에 도포 재료(13)를 전사한다. 몰드(11)에 도포 재료(13)를 전사한 도포용 기재(83)는, 도포용 기재 권취롤(82)에 권취된다. 볼록부(15)의 상면(15a)에 도포 재료(13)가 전사된 몰드(11)는, 건조 유닛(40)을 통과한 후, 박리 유닛(50)에 의해 고분자 피막(14)이 박리되고, 회수 유닛(60)에 의해 고분자 박막(16)이 회수되어 권취롤(22)에 의해 권취된다. 도 5에 나타내는 장치에서는, 몰드(11)의 볼록부(15)의 상면(15a) 이외 즉 오목부에의 도포 재료(13)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어, 양호하게 상면(15a)의 형상을 전사한 고분자 박막(16)을 얻을 수 있다.5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still another form of the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polymer thin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5, in the apparatus 80 for producing a polymer thin film, the coating material 83 coated with the coating material 13 is not applied directly to the mold 11, but Together, the application material 13 is transferred and applied onto the surface of the mold 11 by being pinched with the nip roll 33 and the drive roll 34. That is, the coating unit 30 of the apparatus for producing a polymer thin film 80 shown in FIG. 5 includes a slit die 31, a substrate unwinding roll 81 for coating, a winding roll 82 for coating, and a substrate for coating ( 83), a nip roll 33 and a drive roll 34. The coating substrate 83 unwound from the coating substrate unwinding roll 81 is coated with the coating material 13 by the slit die 31 on the surface facing the mold 11, and then the mold 11 and Together, the coating material 13 is transferred to the surface of the mold 11 by being pinched by the nip roll 33 and the driving roll 34. The coating base material 83 having the coating material 13 transferred to the mold 11 is wound on the coating base winding roll 82. The mold 11 having the coating material 13 transferred to the upper surface 15a of the convex portion 15 passes through the drying unit 40, and then the polymer film 14 is peeled off by the peeling unit 50. , The polymer thin film 16 is recovered by the recovery unit 60 and wound up by the take-up roll 22. In the apparatus shown in FIG. 5, inflow of the coating material 13 to the concave portion other than the upper surface 15a of the convex portion 15 of the mold 11 can be prevented, and the shape of the upper surface 15a can be favorably improved. The transferred polymer thin film 16 can be obtained.

도 6은 본 발명의 고분자 박막의 제조 장치의 또 다른 형태의 단면 개략도이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분자 박막(16)의 제조 장치(90)에서는, 고분자 박막(16)의 표면에 닙롤로부터의 마찰을 부여하지 않고, 몰드(11)의 반송 및 고분자 박막(16)의 박리를 행할 수 있다. 구동롤(91), 장력 조정롤(92)에는 석션롤을 사용하고 있고, 몰드(11)의 도포면과는 반대의 면을 흡착하여 반송할 수 있는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박리 유닛(50)에서는, 박리 구간에 있어서의 반송 장력은, 구동롤(91)과 장력 조정롤(92)에 의해 몰드(11)가 흡착됨으로써 차단된다. 장력 조정 기구로서는, 몰드의 반송 속도로 구동 회전하는 구동롤(91)보다 빠른 회전 속도로 장력 조정롤(92)을 구동 회전시킴으로써 구동롤(91)과 장력 조정롤(92) 사이에서 몰드에는 장력이 부여되고, 구동롤(91)과 장력 조정롤(92)의 속도차에 따른 신장량으로 몰드(11)가 신장된다. 또한, 구동롤(91)과 장력 조정롤(92)을 동일한 속도로 구동 반송할 경우에 있어서도, 구동롤(91)과 장력 조정롤(92)의 거리를 몰드(11)의 반송 중에 신장시킴으로써 몰드(11)를 신장시킬 수도 있다. 회수 유닛(60)에 의해 고분자 박막(16)이 회수된 몰드(11)는, 장력 조정롤(92)을 통과한 후, 다시 권취롤(22)로부터의 반송 장력을 받아서 가이드롤(22a, 22b)을 따르면서 권취롤(22)에 권취된다. 도 6에 나타내는 장치에서는, 고분자 박막(16)의 표면에 마찰을 부여하지 않고, 반송이나 장력 차단, 몰드 신축을 행할 수 있기 때문에, 몰드 신축시에 롤과의 마찰에 의한 고분자 박막(16)의 손상이나 형상의 무너짐을 방지할 수 있다.6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still another form of the apparatus for producing a polymer thin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6, in the manufacturing apparatus 90 of the polymer thin film 16, the surface of the polymer thin film 16 is not subjected to friction from the nip roll, and the mold 11 is transported and the polymer thin film 16 is transferred. Peeling can be performed. A suction roll is used for the drive roll 91 and the tension adjustment roll 92, and a mechanism capable of adsorbing and conveying a surface opposite to the coated surface of the mold 11 is provided. In the peeling unit 50, the conveyance tension in the peeling section is blocked by the mold 11 being adsorbed by the drive roll 91 and the tension adjusting roll 92. As the tension adjustment mechanism, the tension adjustment roll 92 is driven and rotated at a rotational speed higher than that of the driving roll 91 that rotates driven at the conveying speed of the mold, so that tension is applied to the mold between the driving roll 91 and the tension adjustment roll 92. Is applied, and the mold 11 is elongated at an elongation amount according to the difference in speed between the driving roll 91 and the tension adjusting roll 92. In addition, in the case of driving and conveying the drive roll 91 and the tension adjusting roll 92 at the same speed, the distance between the driving roll 91 and the tension adjusting roll 92 is extended during the conveyance of the mold 11, (11) can also be elongated. The mold 11 from which the polymer thin film 16 is recovered by the recovery unit 60 passes through the tension adjustment roll 92 and then receives the conveyance tension from the winding roll 22 again, and the guide rolls 22a and 22b ) Is wound on the winding roll 22 while pouring. In the apparatus shown in Fig. 6, since the surface of the polymer thin film 16 can be transported, tensioned, and mold stretched and contracted without applying friction to the surface of the polymer thin film 16, It can prevent damage or collapse of shape.

여기에서, 롤 형상의 신축성을 갖는 몰드(11)의 제작 방법에 대해서, 도 7과 도 8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몰드(11)의 재료가 열경화성 수지일 경우, 예를 들면,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몰드 제조 장치(100)를 통한 프로세스에 의해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7은 열경화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롤 형상의 몰드(11)를 엔드리스 벨트 형상의 금형(101)을 사용하여 제조하기 위한 장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Here,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mold 11 which has the roll shape elasticity is demonstrated using FIG. 7 and FIG. When the material of the mold 11 is a thermosetting resin, for example, it can be manufactured by a process through the mold manufacturing apparatus 100 as shown in FIG. 7. 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xample of a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roll-shaped mold 11 made of a thermosetting resin using an endless belt-shaped mold 101.

도 7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제 1 가열롤(110)과 제 2 가열롤(120)에 현가되고, 가열되면서 주회 반송하고 있는 엔드리스 벨트 형상의 금형(101)의 표면에, 도포 유닛(130)을 사용해서 열경화성 수지(102)를 도포한다. 도포된 열경화성 수지(102)는 닙롤(140)로 협압되고, 열경화성 수지(102)의 도포면측으로부터 공급되는 기재(103)와 밀착함과 동시에, 금형(101)의 표면 요철 구조의 반전 구조가 표면에 전사된다. 그 후, 금형(101)과 밀착한 상태로 반송되고, 가열에 의해 열경화가 진행된다. 열경화성 수지(102)가 완전히 경화한 후, 박리롤(150)에 의해, 열경화성 수지(102)와 기재(103)의 적층체(104)는 금형(101)으로부터 박리된다. 박리된 적층체(104)를 적층 계면에서 다시 박리함으로써, 기재(103)는 권취롤(160)에, 열경화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몰드(11)는 권취롤(170)에 각각 권취된다. 이와 같은 프로세스에 의해, 열경화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롤 형상의 몰드(11)를 얻는다.In the example shown in FIG. 7, the coating unit 130 is placed on the surface of the endless belt-shaped mold 101 which is suspended by the first heating roll 110 and the second heating roll 120 and conveyed circumferentially while being heated. The thermosetting resin 102 is applied by using. The applied thermosetting resin 102 is pinched with a nip roll 140 and comes into close contact with the substrate 103 supplied from the application surface side of the thermosetting resin 102, and at the same time, the reverse structure of the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mold 101 Is transferred to. After that, it is conveyed in a state in close contact with the mold 101, and thermal curing proceeds by heating. After the thermosetting resin 102 is completely cured, the laminate 104 of the thermosetting resin 102 and the substrate 103 is peeled from the mold 101 by the release roll 150. By peeling the peeled laminate 104 again at the lamination interface, the base material 103 is wound on a take-up roll 160 and the mold 11 made of a thermosetting resin is wound on a take-up roll 170, respectively. By such a process, a roll-shaped mold 11 made of a thermosetting resin is obtained.

또한, 신축성을 가지는 몰드(11)의 재료가 열가소성 필름일 경우, 예를 들면,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몰드 제조 장치(200)를 통한 프로세스에 의해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8은 열가소성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롤 형상의 몰드(11)를 엔드리스 벨트 형상의 금형(201)을 사용하여 제조하기 위한 장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Further, when the material of the mold 11 having elasticity is a thermoplastic film, for example, it can be manufactured by a process through the mold manufacturing apparatus 200 as shown in FIG. 8. 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xample of a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roll-shaped mold 11 made of a thermoplastic film using an endless belt-shaped mold 201.

도 8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필름(202)이 권출롤(210)로부터 인출되고, 가열롤(220)에 의해, 가열된 표면 구조를 갖는 엔드리스 벨트 형상의 금형(201)의 표면에 공급된다. 금형(201)의 표면 구조는 몰드(11)의 표면 구조를 반전한 요철 구조가 형성되어 있다. 금형(201)은 필름과 접촉하기 직전에 가열롤(220)에 의해 가열된다.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필름(202)은 닙롤(221)에 의해 금형(201)의 표면 구조가 압박되고, 필름(202)에 금형(201)의 표면 구조가 반전된 구조가 형성된다.In the example shown in FIG. 8, the film 202 is taken out from the unwinding roll 210 and supplied to the surface of the endless belt-shaped mold 201 having a heated surface structure by the heating roll 220. The surface structure of the mold 201 has an uneven structure in which the surface structure of the mold 11 is reversed. The mold 201 is heated by the heating roll 220 just before contacting the film. In the continuously supplied film 202, the surface structure of the mold 201 is pressed by the nip roll 221, and a structure in which the surface structure of the mold 201 is inverted is formed on the film 202.

그 후, 필름(202)은 금형(201)과 밀착된 상태로 냉각롤(230)의 외표면 위치까지 반송된다. 필름(202)은 냉각롤(230)에 의해 금형(201)을 통해서 열전도에 의해 냉각된 후, 박리롤(240)에 의해 금형(201)으로부터 박리되어, 몰드(11)로서 권취롤(250)에 권취된다. 이와 같은 프로세스에 의해, 열가소성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롤 필름 형상의 몰드(11)를 얻는다.After that, the film 202 is conveyed to the outer surface position of the cooling roll 230 in a state in close contact with the mold 201. The film 202 is cooled by heat conduction through the mold 201 by the cooling roll 230, and then peeled from the mold 201 by the release roll 240, and the winding roll 250 as the mold 11 Is wound on. By such a process, a roll film-shaped mold 11 made of a thermoplastic film is obtained.

이어서, 본 발명의 특정 형상을 갖는 고분자 박막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특정 형상을 갖는 고분자 박막의 제조 방법은, 표면에 요철이 형성되고, 그 볼록부의 상면의 형상이 상기 특정 형상인 신축성을 갖는 몰드를 반송하고, 상기 반송된 몰드의 상기 볼록부의 상면을 피복하도록, 상기 요철이 형성된 면에 고분자 재료를 포함하는 도포 재료를 도포하고, 이어서, 도포된 상기 고분자 재료를 건조시켜서 고분자 피막을 형성하고, 이어서, 상기 몰드를 신장시키거나 1회 이상 신축시켜서, 건조한 상기 고분자 피막을 상기 볼록부의 상면으로부터 박리하여 상기 고분자 박막을 얻고, 상기 몰드로부터 박리된 상기 특정 형상을 갖는 고분자 박막을 회수함으로써, 특정 형상을 갖는 고분자 박막을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Next, a method for producing a polymer thin film having a specific sha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the method for producing a polymer thin film having a specific shape of the present invention, a mold having unevenness is formed on the surface, the shap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convex portion is the specific shape,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convex portion of the conveyed mold is To cover, a coating material containing a polymer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rface on which the irregularities are formed, and then the applied polymer material is dried to form a polymer film, and then the mold is stretched or stretched one or more times, A polymer thin film having a specific shape is prepared by peeling the dried polymer film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convex portion to obtain the polymer thin film, and recovering the polymer thin film having a specific shape peeled from the mold.

이어서 도 1 및 도 9를 참조하면서, 고분자 박막(16)의 제조 방법을 설명한다. 준비 단계로서, 고분자 재료를 포함하는 도포 재료(13)를 준비하고, 슬릿 다이(31)에 접속된 도포 재료 공급 수단의 탱크에 충전해 둔다. 또한, 몰드(11)를 권출롤(21)로부터 인출하고, 가이드롤(21a)을 따르게 해서 도포 유닛(30), 건조 유닛(40)을 지나고, 가이드롤(25)을 따르게 해서 박리 유닛(50), 회수 유닛(60)을 거쳐, 가이드롤(26, 22a)을 따르게 해서 권취롤(22)에서 권취하고 있는 상태로 한다. 이 때, 몰드(11)에는 몰드 공급 수단(20)에 의해, 반송에 필요한 일정한 장력이 부여되어 있다. 또한, 슬릿 다이(31)의 토출 선단면과 몰드(11)의 표면의 간격을 소정의 간격으로 설정하고, 도포 재료(13)의 송액의 조건을 막두께에 대응하는 조건으로 도포 재료 공급 수단의 설정을 해 둔다. 건조 유닛(40)은 도시되어 있지 않은 가열 수단에 의해 일정 온도로 가열되어 있다.Next,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polymer thin film 16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9. As a preparatory step, a coating material 13 containing a polymer material is prepared and filled in a tank of the coating material supplying means connected to the slit die 31. In addition, the mold 11 is taken out from the unwinding roll 21, passed through the coating unit 30 and the drying unit 40 by pouring the guide roll 21a, and the peeling unit 50 by pouring the guide roll 25. ), through the collection unit 60, the guide rolls 26 and 22a are poured, and the take-up roll 22 is wound up. At this time, a constant tension required for conveyance is applied to the mold 11 by the mold supply means 20. In addition, the distance between the discharge front end surface of the slit die 31 and the surface of the mold 11 is set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the condition of the liquid supply of the coating material 13 is set to a condition corresponding to the film thickness. Make the settings. The drying unit 40 is heated to a constant temperature by a heating means not shown.

계속해서, 구동롤(23, 24)을 구동시키고, 닙롤(53)과 구동롤(23), 및 닙롤(54)과 구동롤(24)에 의해 몰드(11)를 개재해서 협압함으로써 몰드(11)를 일정 속도로 반송한다. 도포 유닛(30)의 도포 재료 공급 수단을 작동시켜, 도포 재료(13)의 송액을 개시한다. 슬릿 다이(31)의 토출구로부터 토출된 고분자 재료를 포함하는 도포 재료(13)를, 몰드(11)의 표면의 볼록부(15)의 상면(15a)에 균일하게 도포하여, 건조 유닛(40)으로 반송한다. 건조 유닛(40)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서서히 도포 재료(13)의 내부에 잔존하고 있는 용매가 휘발하고, 용매의 휘발이 완료되면, 몰드(11)의 볼록부(15)의 상면(15a)에는 특정 형상의 고분자 재료가 피막으로서 적층된 상태로 된다. 계속해서, 고분자 피막(14)이 형성된 몰드(11)를 박리 유닛(50)으로 반송하고, 장력 차단 기구인 닙롤(53)과 구동롤(23), 및 닙롤(54)과 구동롤(24)의 2세트의 롤 쌍으로 각각 협압된, 반송 장력이 차단된 박리 구간에 진입한다. 장력 조정 기구인 장력 조정롤(55)에 의해 몰드(11)의 도포면과는 반대의 면으로부터 몰드(11)에 장력을 부가하고, 몰드(11)를 장력 부여 전과 비교해서 300% 이상의 신장도로 되도록 신장시킨다. 여기에서, 장력 차단 기구에 의해 장력이 차단된 몰드(11)의 표면에는 볼록부(15)를 피복하도록 고분자 피막(14)이 적층되어 있는 상태이다(도 9(a)). 장력 조정롤(55)에 의해 신장된 몰드(11)의 표면에서는, 몰드(11)의 신장량에 추종할 수 없는 고분자 피막(14)이 떠올라, 고분자 박막(16)이 박리된다(도 9(b)). 몰드(11)로부터 박리된 고분자 박막(16)을, 회수 유닛(60)의 부압 발생 장치(62)에 접속된 흡인 노즐(61)에 의해 흡인하고, 흡인 경로에 설치한 포집재(63)에 의해 회수한다. 표면으로부터 고분자 박막(16)이 박리된 몰드(11)는 닙롤(54)을 통과하고, 다시 몰드 공급 수단(20)에 의한 반송 장력을 받아서 권취롤(22)에 권취된다.Subsequently, the drive rolls 23 and 24 are driven, and the mold 11 is pinched by the nip roll 53 and the drive roll 23, and the nip roll 54 and the drive roll 24 through the mold 11 ) Is conveyed at a constant speed. The application material supply means of the application unit 30 is operated to start the liquid delivery of the application material 13. The coating material 13 containing the polymer material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port of the slit die 31 is uniformly applied to the upper surface 15a of the convex portion 15 of the surface of the mold 11, and the drying unit 40 To return. In the process of passing through the drying unit 40, the solvent remaining inside the coating material 13 gradually volatilizes, and when the volatilization of the solvent is completed, the upper surface 15a of the convex portion 15 of the mold 11 is A polymer material of a specific shape is laminated as a film. Subsequently, the mold 11 on which the polymer film 14 was formed is conveyed to the peeling unit 50, and the nip roll 53 and the driving roll 23, which are tension blocking mechanisms, and the nip roll 54 and the driving roll 24. Enter the peeling section where the conveying tension is blocked, each pinched with two sets of roll pairs. Tension is applied to the mold 11 from the surface opposite to the applied surface of the mold 11 by the tension adjusting roll 55, which is a tension adjusting mechanism, and the mold 11 is stretched by 300% or more compared to before the tension is applied. Elongate Here, the polymer film 14 is laminated on the surface of the mold 11 whose tension is blocked by the tension blocking mechanism so as to cover the convex portion 15 (Fig. 9(a)). On the surface of the mold 11 elongated by the tension adjustment roll 55, a polymer film 14 that cannot follow the elongation amount of the mold 11 rises, and the polymer thin film 16 is peeled off (Fig. 9(b)). )). The polymer thin film 16 peeled off from the mold 11 is sucked by a suction nozzle 61 connected to the negative pressure generating device 62 of the recovery unit 60, and is attached to the collecting material 63 installed in the suction path. It is recovered by The mold 11 from which the polymer thin film 16 has been peeled off from the surface passes through the nip roll 54 and is wound around the take-up roll 22 by receiving the conveyance tension by the mold supply means 20 again.

고분자 박막(16)으로서 적용되는 고분자 재료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고분자 재료와 몰드(11)의 신축 파단율의 차를 이용하여 고분자 박막(16)을 몰드(11)로부터 박리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분자 재료의 신축 파단율은 100% 이하가 바람직하고, 50%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의료품이나 화장품 등에 사용되는 고분자 박막(16)에서는, 생분해성을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구체적으로 바람직하게는, 폴리락트산, 폴리글리콜산, 폴리디옥사논, 폴리카프로락톤 등의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에틸렌글리콜 등의 폴리에테르계 수지,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에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히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 등의 폴리메타크릴레이트계 수지, 아세트산 셀룰로오스, 알긴산, 키토산 등의 다당류 또는 다당류 에스테르, 폴리아세트산 비닐, 폴리비닐알콜, 폴리비닐피롤리돈 등의 폴리비닐계 수지 등으로부터 선택되는 단독 중합체 및/또는 적어도 1종류 이상의 고분자를 포함하는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고분자이며, 경제성의 관점으로부터 폴리락트산, 폴리글리콜산, 폴리디옥사논, 폴리카프로락톤,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및 그 공중합체가 보다 바람직하다. 도료 등의 산업용의 용도에 있어서는, 생분해성은 반드시 필요하지는 않고,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2,6-나프탈레이트, 폴리프로필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에틸렌, 폴리스티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이소부틸렌, 폴리부텐, 폴리메틸펜텐 등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폴리이미드계 수지, 폴리에테르계 수지, 폴리에스테르아미드계 수지, 폴리에테르에스테르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또는 폴리염화비닐계 수지 등도 적합하게 사용된다.The polymeric material applied as the polymeric thin film 16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t is preferable that the polymeric thin film 16 can be peeled from the mold 11 by using the difference in the elasticity breaking rate between the polymeric material and the mold 11 Do. The stretch breaking rate of the polymer material is preferably 100% or less, and more preferably 50% or less. In addition, in the polymer thin film 16 used for medical products or cosmetics, it is preferable that it has biodegradability, and specifically, polyester-based such as polylactic acid, polyglycolic acid, polydioxanone, polycaprolactone, etc. Resins, polyether resins such as polyethylene glycol, polymethacrylate resins such as polymethyl methacrylate, polyethyl methacrylate, and polyhydroxyethyl methacrylate, polysaccharides or polysaccharides such as cellulose acetate, alginic acid, and chitosan It is a polymer comprising a homopolymer selected from polyvinyl resins such as esters, polyvinyl acetate, polyvinyl alcohol, and polyvinylpyrrolidone, and/or a copolymer containing at least one or more polymers. Polylactic acid, polyglycolic acid, polydioxanone, polycaprolactone, polyethylene glycol, polymethyl methacrylate, and copolymers thereof are more preferable. In industrial applications such as paints, biodegradability is not necessarily required, and for example, polyester resins such as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ethylene-2,6-naphthalate, polypropylene terephthalate, and polybutylene terephthalate, Polyolefin resins such as polyethylene, polystyrene, polypropylene, polyisobutylene, polybutene, and polymethylpentene, polyamide resins, polyimide resins, polyether resins, polyesteramide resins, polyether ester resins , Acrylic resin, polycarbonate resin, or polyvinyl chloride resin is also suitably used.

본 발명의 제조 방법 등에 의해 제조한 특정 형상을 갖는 고분자 박막의 형태의 일례를 도 10에 나타낸다. 도 10(a)는 고분자 박막(16)과 몰드(11)가 적층된 것의 한 영역을 잘라낸 주사형 전자 현미경의 사진이다. 고분자 박막(16)은, 몰드(11)의 볼록부(15)의 상면(15a)에 균일하게 도포되어, 상면(15a)의 특정 형상을 정밀도 좋게 전사하고 있다. 도 10(b)는 몰드(11)의 신축 후의 고분자 박막(16)과 몰드(11)가 적층된 것의 한 영역을 잘라낸 주사형 전자 현미경의 사진이다. 특정 형상이 형성된 고분자 박막(16)이 몰드(11)의 신축에 의해 몰드의 표면으로부터 박리되어 있다.Fig. 10 shows an example of the form of a polymer thin film having a specific shape produced by the produc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or the like. 10(a) is a photograph of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in which a region in which the polymer thin film 16 and the mold 11 are stacked is cut out. The polymer thin film 16 is uniformly applied to the upper surface 15a of the convex portion 15 of the mold 11, and a specific shape of the upper surface 15a is transferred with high precision. FIG. 10(b) is a photograph of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in which a region of the polymer thin film 16 and the mold 11 after the mold 11 is stretched and contracted is cut out. The polymer thin film 16 having a specific shape is peeled off from the surface of the mold by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of the mold 11.

본 발명의 고분자 박막(16)의 특정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특정 형상의 면적이 최대로 되도록 이차원 평면 상에 투영한 도형에 있어서, 원형, 타원형, 다각형 중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기하학적으로 완전할 필요는 없고, 각각의 형상과 유사하고 있으면 좋으므로, 대략 원형, 대략 타원형, 대략 다각형 중 어느 하나인 것도 바람직하다. 고분자 박막(16)끼리의 겹치기 용이함의 관점으로부터 원형, 대략 원형 또는 다각형, 대략 다각형이 보다 바람직하다.The specific shape of the polymer thin film 16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n the figure projected on a two-dimensional plane so that the area of the specific shape is maximized, it is preferable to be any one of a circle, an ellipse, and a polygon. In addition, it is not necessary to be geometrically complete, and since it is good to have similar shapes to each of the shapes, it is preferable to be any one of approximately circular, approximately elliptical, and approximately polygonal. From the viewpoint of ease of overlapping of the polymer thin films 16, a circular, substantially circular or polygonal, or substantially polygonal is more preferable.

본 발명에 의해 얻어지는 특정 형상을 갖는 고분자 박막(16)은, 일반적으로 플레이크 형상이나 디스크 형상 등으로 불리는 미소한 편평 형상을 하고 있고, 단면 형상 및 영률을 제어함으로써, 고분자 박막(16)끼리가 서로 겹쳤을 때 고분자 박막(16)끼리의 접착력을 강고하게 할 수 있고, 외력이 추가되었을 때에 붕괴될 일이 없어, 고분자 박막(16)의 집적체로서 안정적인 형상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이 박막이기 때문에, 피부, 내장 등의 장기 등에의 추수성, 밀착성에도 우수하다.The polymer thin film 16 having a specific shape obtained by the present invention has a fine flat shape generally called a flake shape or a disk shape, and by controlling the cross-sectional shape and Young's modulus, the polymer thin films 16 When superimposed, the adhesion between the polymer thin films 16 can be strengthened, and there is no collapse when an external force is added, so that a stable shape can be maintained as an aggregate of the polymer thin films 16. In addition, since each is a thin film, it is excellent in harvestability and adhesion to organs such as skin and intestines.

이와 같은 효과를 갖기 때문에, 본 발명에 의해 얻어지는 특정 형상을 갖는 고분자 박막(16)은, 생분해성을 활용한 체내 창상피복용, 체외 창상피복용, 유착 방지재 등의 의료용 필름, 스킨케어 용품, 미소 박막 형상을 활용한 화장용 재료 등의 피부 외용재와 같은, 미크론 사이즈의 크기와 나노 사이즈의 두께를 필요로 하는 부재로서 적합하게 사용된다.Since it has such an effect, the polymer thin film 16 having a specific shape obtain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dical film, skin care product, such as for internal wound coating, external wound coating, and adhesion prevention material utilizing biodegradability, It is suitably used as a member that requires a micron-sized size and a nano-sized thickness, such as external skin materials such as cosmetic materials utilizing a micro-thin shape.

(실시예)(Example)

[실시예 1][Example 1]

신축성을 갖는 롤 형상의 몰드(11)의 재료에는, 2액 경화성 실리콘 고무(상 품명 RBL-9101-05, 도레이·다우코닝사제)를 사용하고, 2액을 혼합하여 교반한 후에 탈포한 것을 사용했다. 표면 요철 구조의 형성에는, 도 7에 나타내는 열경화성 수지의 표면에 금형을 압박해서 형상을 성형하는 장치를 사용했다. 몰드(11)의 표면 요철 구조는, 볼록부(15)의 상면(15a)의 특정 형상이 1변의 길이가 80㎛인 정방형이고, 볼록부(15)의 높이 50㎛의 기둥 형상 돌기가, 오목부의 폭 20㎛에서 최밀 충전 배치로 되도록 배치되어 있었다. 몰드(11)의 폭은 300㎜, 몰드(11)의 길이는 300m로 되도록 롤 형상의 몰드(11)를 제작하고, 제작한 몰드(11)를 도 1에 나타내는 장치로 반송할 수 있도록 부착했다.For the material of the roll-shaped mold 11 having elasticity, a two-component curable silicone rubber (trade name RBL-9101-05, manufactured by Toray Dow Corning) is used, and two liquids are mixed and stirred, and then defoamed is used. did. In the formation of the surface uneven structure, an apparatus for forming a shape by pressing a mold against the surface of the thermosetting resin shown in FIG. 7 was used. The surface uneven structure of the mold 11 has a specific shape of the upper surface 15a of the convex portion 15 is a square having a side length of 80 µm, and a columnar projection having a height of 50 µm of the convex portion 15 is concave. It was arrange|positioned so that it might become the tightest packing arrangement|position at the width of negative 20 micrometers. A roll-shaped mold 11 was produced so that the width of the mold 11 was 300 mm and the length of the mold 11 was 300 m, and the produced mold 11 was attached so that it could be conveyed by the apparatus shown in FIG. .

도포 재료(13)로서, 고분자 재료인 폴리락트산(와코쥰야쿠사제)을 아세트산에틸(CAS No.141-78-6 와코쥰야쿠사제)로 용해한 것을 사용하고, 도포 재료(13) 전체에 대한 폴리락트산의 농도가 2.5질량%로 되도록 조합했다.As the coating material 13, a polymer material polylactic acid (manufactured by Wako Pure Chemical Industries, Ltd.) was dissolved in ethyl acetate (CAS No.141-78-6 manufactured by Wako Pure Chemicals Corporation), and polylactic acid for the entire coating material 13 was used. It was combined so that the concentration of lactic acid was 2.5% by mass.

몰드(11)를 권출 장력 10N, 권취 장력 10N, 반송 속도 3m/분으로 반송하고, 도포 유닛(30)으로서, 토출폭이 290㎜, 슬릿폭이 100㎛인 슬릿 다이(31)를 사용하고, 슬릿 다이(31)와 몰드(11) 표면의 간격을 100㎛로 해서, 상기 반송 속도에 있어서의 건조 후의 고분자 피막(14)의 막두께가 150㎚로 되는 토출 속도로 도포 재료(13)를 도포했다.The mold 11 was conveyed at an unwinding tension of 10 N, a winding tension of 10 N, and a conveying speed of 3 m/min, and as the coating unit 30, a slit die 31 having a discharge width of 290 mm and a slit width of 100 μm was used,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13 at a discharge rate such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slit die 31 and the surface of the mold 11 is set to 100 μm, and the thickness of the dried polymer film 14 at the transfer rate is 150 nm. did.

건조 유닛(40)은 아세트산 에틸의 휘발성이 높음을 이용하여, 40℃에서 일정하게 되도록 온도 조절된 건조 공간을 사용했다.The drying unit 40 used a drying space controlled at a temperature so as to be constant at 40° C. using the high volatility of ethyl acetate.

박리 유닛(50)에서는 닙롤(53)과 구동롤(23), 및 닙롤(54)과 구동롤(24)로 각각 0.2㎫의 압력으로 몰드(11)를 협압하여, 박리 구간에서의 몰드(11)에 작용하는 장력을 대략 0N으로 했다. 몰드(11)에 작용하는 장력이 대략 0N으로 된 시점에서, 장력 조정 기구로서, 에어 실린더의 로드 선단에 접속된 회전 자유로운 장력 조정롤(55)을 몰드(11)의 도포면과는 반대면에 꽉 눌렀다. 박리 구간에 있어서의 몰드(11)의 신장량이 300%로 되도록 에어 실린더의 스트로크를 조정하고, 박리 구간에서의 몰드(11)의 길이를 200㎜로부터 600㎜까지 신장시켰다.In the peeling unit 50, the mold 11 is pinched with the nip roll 53 and the drive roll 23, and the nip roll 54 and the drive roll 24 with a pressure of 0.2 MPa, respectively, and the mold 11 in the peeling section ) Was set to approximately 0N. When the tension acting on the mold 11 becomes approximately 0N, as a tension adjustment mechanism, the rotationally free tension adjustment roll 55 connected to the rod tip of the air cylinder is tightly attached to the surface opposite to the applied surface of the mold 11. Pressed. The stroke of the air cylinder was adjusted so that the elongation amount of the mold 11 in the peeling section was 300%, and the length of the mold 11 in the peeling section was elongated from 200 mm to 600 mm.

몰드(11)가 신장됨으로써, 몰드(11)의 표면으로부터 박리된 고분자 박막(16)을 회수 유닛(60)의 흡인 노즐로 회수하고, 흡인 노즐(61)과 진공 펌프 등의 부압 발생 장치(62) 사이에 설치한 포집재(63)인 부직포 필터(상품명 FS6200, 니혼바이린사제)에 의해 포집했다.When the mold 11 is elongated, the polymer thin film 16 peeled off from the surface of the mold 11 is recovered by the suction nozzle of the recovery unit 60, and the suction nozzle 61 and a negative pressure generating device 62 such as a vacuum pump. ) Was collected by a non-woven fabric filter (trade name FS6200, manufactured by Nippon Bairin), which is a collecting material 63 provided between.

포집한 고분자 박막(16)을 관찰한 결과, 고분자 박막(16)에는 몰드(11)의 상면(15a)의 형상과 대략 동 형상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확인했다. 도 11에 본 실시예 1에서 얻은 특정 형상을 갖는 고분자 박막(16)의 표면을 주사형 전자 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를 나타낸다.As a result of observing the collected polymer thin film 16, it was confirmed that the polymer thin film 16 had substantially the same shape as that of the upper surface 15a of the mold 11. 11 shows the results of observing the surface of the polymer thin film 16 having a specific shape obtained in Example 1 with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실시예 2][Example 2]

신축성을 갖는 롤 형상의 몰드(11)의 재료 및 도포 재료(13)에는 실시예 1에 기재된 것과 마찬가지의 것을 사용했다. 몰드(11)의 표면 요철 구조는, 볼록부(15)의 상면(15a)의 특정 형상이 대각선의 길이가 100㎛인 정육각형이고, 볼록부(15)의 높이 50㎛의 기둥 형상 돌기가 오목부의 폭 20㎛에서 최밀 충전 배치로 되도록 배치했다. 몰드(11)의 폭은 300㎜, 몰드(11)의 길이는 300m로 되도록 롤 형상의 몰드(11)를 제작했다. 도포용 기재(83)에는, 2축 연신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로 이루어지는 두께 100㎛의 필름(상품명 “루미러”(등록상표), S10, 도레이 가부시키가이샤제)을 사용하고, 폭은 300㎜, 길이는 300m로 했다. 몰드(11)와 도포용 기재(83)를 도 5에 나타내는 장치에 반송할 수 있도록 부착했다.The same material as described in Example 1 was used for the material of the roll-shaped mold 11 and the coating material 13 having elasticity. The uneven structure of the surface of the mold 11 is that the specific shape of the upper surface 15a of the convex portion 15 is a regular hexagon having a diagonal length of 100 µm, and the columnar projection having a height of 50 µm of the convex portion 15 is It was arrange|positioned so that it might become the tightest packing arrangement at a width of 20 micrometers. A roll-shaped mold 11 was produced so that the width of the mold 11 was 300 mm and the length of the mold 11 was 300 m. For the coating substrate 83, a film having a thickness of 100 μm made of biaxially stretched polyethylene terephthalate (trade name “Lumirr” (registered trademark), S10, manufactured by Toray Corporation) is used, and the width is 300 mm, The length was set to 300 m. The mold 11 and the substrate 83 for application were attached so that they could be conveyed to the apparatus shown in FIG. 5.

몰드(11)는 권출 장력 10N, 권취 장력 10N, 반송 속도 3m/분으로 반송하고, 도포용 기재(83)는 권출 장력 30N, 권취 장력 30N, 반송 속도 3m/분으로 반송하고, 도포 유닛(30)으로서, 토출폭이 290㎜, 슬릿폭이 100㎛인 슬릿 다이(31)를 사용하고, 슬릿 다이(31)와 도포용 기재(83)의 표면의 간격을 100㎛로 해서, 상기 반송 속도에 있어서의 건조 후의 고분자 재료의 막두께가 150㎚로 되는 토출 속도로 도포 재료를 도포했다.The mold 11 is conveyed at an unwinding tension of 10 N, a winding tension of 10 N, and a conveying speed of 3 m/min, and the coating substrate 83 is conveyed at an unwinding tension of 30 N, a winding tension of 30 N, and a conveying speed of 3 m/min, and the application unit 30 ), a slit die 31 having a discharge width of 290 mm and a slit width of 100 µm is used,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slit die 31 and the surface of the coating substrate 83 is set to 100 µm. The coating material was applied at a discharge rate such that the film thickness of the polymer material after drying was 150 nm.

몰드(11)의 볼록부(15)의 상면(15a)과 도포용 기재(83)의 도포 재료(13)의 도포면이 접촉하도록, 구동롤(34)과 닙롤(33)로 0.2㎫의 압력으로 협압했다.The driving roll 34 and the nip roll 33 are used at a pressure of 0.2 MPa so that the upper surface 15a of the convex portion 15 of the mold 11 and the application surface of the coating material 13 of the coating substrate 83 contact. Coerced.

건조 유닛(40)은 아세트산 에틸의 휘발성이 높음을 이용하여, 40℃에서 일정해지도록 온도 조절된 건조 공간을 사용했다.The drying unit 40 used a drying space controlled at a temperature so as to be constant at 40° C. by using the high volatility of ethyl acetate.

박리 유닛(50)에서는, 닙롤(53)과 구동롤(23), 및 닙롤(54)과 구동롤(24)로 각각 0.2㎫의 압력으로 몰드(11)를 협압하고, 박리 구간에서의 몰드(11)에 작용하는 장력을 대략 0N으로 했다. 몰드(11)에 작용하는 장력이 대략 0N으로 된 시점에서, 장력 조정 기구로서, 에어 실린더의 로드 선단에 접속된 회전 자유로운 장력 조정롤(55)을 몰드(11)의 도포면과는 반대면에 꽉 눌렀다. 박리 구간에 있어서의 몰드의 신장량이 300%로 되도록 에어 실린더의 스트로크를 조정하고, 박리 구간에서의 몰드(11)의 길이를 200㎜로부터 600㎜까지 신장시켰다.In the peeling unit 50, the mold 11 is pinched with the nip roll 53 and the drive roll 23, and the nip roll 54 and the drive roll 24 at a pressure of 0.2 MPa, respectively, and the mold ( The tension acting on 11) was set to approximately 0N. When the tension acting on the mold 11 becomes approximately 0N, as a tension adjustment mechanism, the rotationally free tension adjustment roll 55 connected to the rod tip of the air cylinder is tightly attached to the surface opposite to the applied surface of the mold 11. Pressed. The stroke of the air cylinder was adjusted so that the elongation amount of the mold in the peeling section was 300%, and the length of the mold 11 in the peeling section was elongated from 200 mm to 600 mm.

몰드(11)가 신장됨으로써, 몰드(11)의 표면으로부터 박리된 고분자 박막(16)을 회수 유닛(60)의 흡인 노즐(61)로 회수하고, 흡인 노즐(61)과 진공 펌프 등의 부압 발생 장치(62) 사이에 설치한 포집재(63)인 부직포 필터(상품명 FS6200, 니혼바이린사제)에 의해 포집했다.As the mold 11 is elongated, the polymer thin film 16 peeled off from the surface of the mold 11 is recovered by the suction nozzle 61 of the recovery unit 60, and negative pressure such as the suction nozzle 61 and the vacuum pump is generated. It was collected by a nonwoven fabric filter (trade name FS6200, manufactured by Nippon Bairin), which is a collecting material 63 provided between the devices 62.

포집된 고분자 박막(16)을 관찰한 결과, 고분자 박막(16)에는 몰드(11)의 상면(15a)의 형상과 대략 동 형상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확인했다. 도 12에 본 실시예 2에서 얻어진 특정 형상을 갖는 고분자 박막(16)의 표면을 주사형 전자 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를 나타낸다.As a result of observing the collected polymer thin film 16, it was confirmed that the polymer thin film 16 had substantially the same shape as that of the upper surface 15a of the mold 11. 12 shows the results of observing the surface of the polymer thin film 16 having a specific shape obtained in Example 2 with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Industrial availability)

본 발명의 특정 형상을 갖는 고분자 박막의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에 의해 얻어진 고분자 박막은, 피착체에 대하여 높은 추종성을 나타내면서 서로 겹침으로써 집적되고, 높은 밀착성 및 안정성을 나타내는 막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외과 수술시의 지혈이나 창상피복재, 유착방지재, 화장용 재료, 경피 흡수 재료 등에 최적이다. 또한, 수계 용매에 분산시킴으로써 코팅제 등으로서도 사용할 수 있다.The polymer thin film obtained by the apparatus and method for producing a polymer thin film having a specific shap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ntegrated by overlapping each other while exhibiting high followability with respect to an adherend, and a film exhibiting high adhesion and stability can be formed. For example, it is most suitable for hemostasis and wound covering material, anti-adhesion material, cosmetic material, transdermal absorption material, etc. in surgical operation. Moreover, it can be used also as a coating agent etc. by dispersing in an aqueous solvent.

10, 70, 80, 90 : 고분자 박막의 제조 장치
11, 11A : 몰드
13, 74 : 도포 재료
14 : 고분자 피막
15 : 볼록부
15a : 상면
16 : 고분자 박막
20 : 몰드 공급 수단
21, 210 : 권출롤
21a, 22a, 25, 26 : 가이드롤
22, 160, 170, 250 : 권취롤
23, 24, 34, 91 : 구동롤
27 : 컨트롤러
28 : 단부 검출 센서
30, 71 : 도포 유닛
31, 72, 130 : 슬릿 다이
32 : 지지롤
33, 53, 54, 140, 221 : 닙롤
40, 75 : 건조 유닛
50 : 박리 유닛
55, 92 : 장력 조정롤
60 : 회수 유닛
61 : 흡인 노즐
62 : 부압 발생 장치
63 : 포집재
81 : 도포용 기재 권출롤
82 : 도포용 기재 권취롤
83 : 도포용 기재
100, 200 : 몰드 제조 장치
101, 201 : 금형
102 : 열경화성 수지
103 : 기재
104 : 열경화성 수지와 기재의 적층체
110 : 제 1 가열롤
120 : 제 2 가열롤
150, 240 : 박리롤
202 : 필름
220 : 가열롤
230 : 냉각롤
10, 70, 80, 90: device for manufacturing a polymer thin film
11, 11A: mold
13, 74: applied material
14: polymer film
15: convex
15a: top surface
16: polymer thin film
20: mold supply means
21, 210: winding roll
21a, 22a, 25, 26: guide roll
22, 160, 170, 250: winding roll
23, 24, 34, 91: drive roll
27: controller
28: end detection sensor
30, 71: application unit
31, 72, 130: slit die
32: support roll
33, 53, 54, 140, 221: nip roll
40, 75: drying unit
50: peeling unit
55, 92: tension adjustment roll
60: recovery unit
61: suction nozzle
62: negative pressure generating device
63: collecting material
81: base material unwinding roll for application
82: substrate winding roll for coating
83: substrate for application
100, 200: mold manufacturing device
101, 201: mold
102: thermosetting resin
103: substrate
104: laminate of thermosetting resin and substrate
110: first heating roll
120: second heating roll
150, 240: peeling roll
202: film
220: heating roll
230: cooling roll

Claims (9)

특정 형상을 갖는 고분자 박막을 제조하는 제조 장치로서,
표면에 요철이 형성되고, 그 볼록부의 상면의 형상이 상기 특정 형상인 신축성을 갖는 몰드와,
상기 몰드를 공급, 반송하는 몰드 공급 수단과,
상기 몰드 공급 수단에 의해 반송되는 상기 몰드의 상기 볼록부의 상면을 피복하도록, 상기 요철이 형성된 면에 고분자 재료를 포함하는 도포 재료를 도포하는 도포 유닛과,
상기 도포 유닛보다 반송 방향 하류측에 있고, 도포된 상기 도포 재료를 건조시켜서 고분자 피막을 형성하는 건조 유닛과,
상기 건조 유닛보다 반송 방향 하류측에 있고, 상기 몰드를 신장시키거나 1회 이상 신축시킴으로써, 상기 고분자 피막을 상기 볼록부의 상면으로부터 박리해서 상기 고분자 박막을 얻는 박리 유닛과,
상기 볼록부의 상면으로부터 박리된 상기 고분자 박막을 회수하는 회수 유닛을 구비한 고분자 박막의 제조 장치.
As a manufacturing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polymer thin film having a specific shape,
A mold having unevenness formed on the surface, and the shap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convex portion being the specific shape;
A mold supply means for supplying and conveying the mold,
An application unit for applying a coating material containing a polymer material to the uneven surface to cover the upper surface of the convex portion of the mold conveyed by the mold supply means;
A drying unit located downstream from the coating unit in the conveyance direction, and drying the applied coating material to form a polymer film;
A peeling unit located downstream in the conveyance direction than the drying unit, wherein the mold is stretched or stretched one or more times to peel the polymer film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convex portion to obtain the polymer thin film;
A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polymer thin film having a recovery unit for recovering the polymer thin film peeled off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convex por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박리 유닛이, 상기 몰드의 상기 볼록부의 상면에 부착되어 있는 상기 고분자 피막에 접촉하지 않는 구조인 고분자 박막의 제조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apparatus for producing a polymer thin film having a structure in which the peeling unit does not contact the polymer film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convex portion of the mold.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몰드의 신축 파단율이 300% 이상인 고분자 박막의 제조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A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polymer thin film having an expansion/contraction breaking rate of the mold of 300% or more.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몰드가, 신장도 300%로 신장된 후의 복원율이 95% 이상인 고분자 박막의 제조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The apparatus for producing a polymer thin film having a recovery rate of 95% or more after the mold is elongated to 300%.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몰드는, 상기 볼록부의 상면의 형상이 원형 또는 다각형이고, 상기 요철이 형성된 면으로부터 관찰했을 때에, 상기 원형 또는 상기 다각형이 최밀 충전으로 배치되도록 상기 요철이 형성된 고분자 박막의 제조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In the mold, the shap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convex portion is circular or polygonal, and when observed from the surface on which the irregularities are formed, the apparatus for producing a polymer thin film in which the irregularities are formed so that the circular or polygonal shapes are arranged in the tightest filling.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 유닛과 상기 박리 유닛 사이에, 도포 유닛과 건조 유닛의 세트를 1세트 이상 더 구비하고,
각각의 세트의 도포 유닛이, 그 반송 방향 상류측의 건조 유닛에 의해 형성된 고분자 피막 상에, 그 고분자 피막의 재료와는 다른 고분자 재료를 포함하는 도포 재료를 도포하기 위한 것인 고분자 박막의 제조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Between the drying unit and the peeling unit, one or more sets of a coating unit and a drying unit are further provided,
An apparatus for producing a polymer thin film, wherein each set of coating units is for coating a coating material containing a polymer material different from the material of the polymer coating on a polymer coating formed by a drying unit on the upstream side in the conveyance direction .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박리 유닛이, 상기 몰드를 신축시키는 장력 조정 기구를 구비한 고분자 박막의 제조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6,
An apparatus for producing a polymer thin film, wherein the peeling unit has a tension adjusting mechanism for extending and contracting the mold.
특정 형상을 갖는 고분자 박막을 제조하는 제조 방법으로서,
표면에 요철이 형성되고, 그 볼록부의 상면의 형상이 상기 특정 형상인 신축성을 갖는 몰드를 반송하고,
상기 반송된 몰드의 상기 볼록부의 상면을 피복하도록, 상기 요철이 형성된 면에 고분자 재료를 도포하고,
이어서, 도포된 상기 고분자 재료를 건조시켜서 고분자 피막을 형성하고,
이어서, 상기 몰드를 신장시키거나 1회 이상 신축시켜서, 건조된 상기 고분자 피막을 상기 볼록부의 상면으로부터 박리해서 고분자 박막을 얻고,
상기 몰드로부터 박리된 상기 고분자 박막을 회수하는 고분자 박막의 제조 방법.
As a manufacturing method for manufacturing a polymer thin film having a specific shape,
Convex and convexity is formed on the surface, and the shap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convex portion conveys a mold having elasticity of the specific shape,
Applying a polymer material to the uneven surface to cover the upper surface of the convex portion of the conveyed mold,
Subsequently, the applied polymer material is dried to form a polymer film,
Then, the mold is stretched or stretched one or more times to peel the dried polymer film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convex portion to obtain a polymer thin film,
A method of manufacturing a polymer thin film for recovering the polymer thin film peeled off from the mold.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몰드의 상기 볼록부의 상면에 부착되어 있는 상기 고분자 피막에 접촉하지 않고, 상기 고분자 피막을 상기 볼록부의 상면으로부터 박리하는 고분자 박막의 제조 방법.
The method of claim 8,
A method of manufacturing a polymer thin film in which the polymer film is peele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convex part without contacting the polymer film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convex part of the mold.
KR1020207016664A 2017-12-15 2018-12-03 Manufacturing apparatus and manufacturing method of polymer thin film KR102571964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240261 2017-12-15
JP2017240261 2017-12-15
PCT/JP2018/044431 WO2019116951A1 (en) 2017-12-15 2018-12-03 Thin polymer film production apparatus and production metho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7715A true KR20200097715A (en) 2020-08-19
KR102571964B1 KR102571964B1 (en) 2023-08-29

Family

ID=668202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16664A KR102571964B1 (en) 2017-12-15 2018-12-03 Manufacturing apparatus and manufacturing method of polymer thin film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7156036B2 (en)
KR (1) KR102571964B1 (en)
CN (1) CN111295274A (en)
TW (1) TWI782154B (en)
WO (1) WO2019116951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WO2022168578A1 (en) * 2021-02-05 2022-08-11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25592A1 (en) 2004-08-31 2006-03-09 Oxygenix Co., Ltd. Thin-filmy polymeric structure and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WO2008050913A1 (en) 2006-10-27 2008-05-02 Shinji Takeoka Thin film-like polymer structure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KR20110024623A (en) * 2009-09-02 2011-03-09 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Spatially separation nano array biochip and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KR101104479B1 (en) * 2011-04-07 2012-01-12 양진효 Apparatus for manufacturing prism powder with retro-reflection propert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prism powder produced by the manufacturing method
JP2014051029A (en) * 2012-09-07 2014-03-20 Konica Minolta Inc Method for producing optical film
JP2015199349A (en) * 2014-03-31 2015-11-12 新日鉄住金化学株式会社 Method of producing flexible device and flexible device, and production apparatus for flexible device
KR20170012123A (en) * 2015-07-24 2017-02-02 주식회사 엘지화학 A process for manufacturing a flexible substrate
KR20170026300A (en) * 2015-08-31 2017-03-08 신닛테츠 수미킨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Method for producing polyimide substrate film with functional layer, long polyimide substrate film with functional layer, long polyimide laminate and long polyimide laminate with functional layer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63969A (en) * 1992-08-19 1994-03-08 Unitika Ltd Production of cylindrical molding
WO2008047540A1 (en) * 2006-09-27 2008-04-24 Toray Industries, Inc. Intermittent film forming system and intermittent film forming method
AU2013233704C1 (en) * 2012-03-16 2016-07-14 Jx Nippon Oil & Energy Corporation Manufacturing method and manufacturing device for optical substrate having concavo-convex pattern using film-shaped mold,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device provided with optical substrate
JP2016007767A (en) 2014-06-24 2016-01-18 旭化成イーマテリアルズ株式会社 Resin mold, transfer resin, and production method of resin mold
KR102454079B1 (en) * 2015-06-23 2022-10-14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Manufacturing method and manufacturing apparatus of surface structure film
WO2017018753A1 (en) * 2015-07-24 2017-02-02 주식회사 엘지화학 Method for fabricating flexible substrate
JP2017065173A (en) 2015-09-30 2017-04-06 旭化成株式会社 Mold and processing laminate
KR102490286B1 (en) * 2016-01-18 2023-01-19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surface structured film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25592A1 (en) 2004-08-31 2006-03-09 Oxygenix Co., Ltd. Thin-filmy polymeric structure and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WO2008050913A1 (en) 2006-10-27 2008-05-02 Shinji Takeoka Thin film-like polymer structure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KR20110024623A (en) * 2009-09-02 2011-03-09 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Spatially separation nano array biochip and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KR101104479B1 (en) * 2011-04-07 2012-01-12 양진효 Apparatus for manufacturing prism powder with retro-reflection propert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prism powder produced by the manufacturing method
JP2014051029A (en) * 2012-09-07 2014-03-20 Konica Minolta Inc Method for producing optical film
JP2015199349A (en) * 2014-03-31 2015-11-12 新日鉄住金化学株式会社 Method of producing flexible device and flexible device, and production apparatus for flexible device
KR20170012123A (en) * 2015-07-24 2017-02-02 주식회사 엘지화학 A process for manufacturing a flexible substrate
KR20170026300A (en) * 2015-08-31 2017-03-08 신닛테츠 수미킨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Method for producing polyimide substrate film with functional layer, long polyimide substrate film with functional layer, long polyimide laminate and long polyimide laminate with functional layer
JP2017047684A (en) * 2015-08-31 2017-03-09 新日鉄住金化学株式会社 Manufacturing method of polyimide substrate film with functional layer, long-sized polyimide substrate film with functional layer, long-sized polyimide laminate and long-sized polyimide laminate with functional lay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116951A1 (en) 2019-06-20
JPWO2019116951A1 (en) 2020-10-22
JP7156036B2 (en) 2022-10-19
KR102571964B1 (en) 2023-08-29
TWI782154B (en) 2022-11-01
TW201930043A (en) 2019-08-01
CN111295274A (en) 2020-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07459B2 (en) Method for producing transdermal absorption sheet
WO2016200685A1 (en) Article provided with adhesive layer and release layer
JP2001254257A (en) Roll of thermoplastic elastomer nonwoven fabric, method and apparatus of producing the same
WO2015174161A1 (en) Transdermal absorption shee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ransdermal absorption sheet
EP2839949A1 (en)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a structured film
EP2263858A1 (en) Production method and production device of film having fine irregular pattern on surface
JP6738732B2 (en) Surface structure film manufacturing method and manufacturing apparatus
US10059044B2 (en) Methods of forming composite structures and methods of forming material with a removable backing for composite structures
KR20200097715A (en) Manufacturing apparatus and manufacturing method of polymer thin film
KR20180018687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liquid coating using deformable metal rolls
JP6738743B2 (en) Surface structure film manufacturing method and manufacturing apparatus
JP2021142746A (en) Manufacturing apparatus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polymer thin film
JP2004201703A (en) Working line for plaster sheet
WO2005040018A1 (en) Web smoothing roller, and web roll producing device and method
JP725717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SPIRAL SEPARATION MEMBRANE ELEMENT
WO2016067916A1 (en) Grooved roller, and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plastic film using same
JP2006264071A (en) Manufacturing method of resin sheet
JP2004150008A (en) Thermoplastic elastomer nonwoven fabric roll,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the same
KR101900896B1 (en) Chamber and method for adhering thermal transfer film
CN115003420A (en) Coating device, thin film manufacturing system, and thin film manufacturing method
JP2012030164A (en) Coating apparatus and method of producing optical film
JP5394954B2 (en) Winding up the gel sheet
KR20170035836A (en) Device for the manufacture of pharmaceutical patches
KR20160042354A (en) A film coating roll to roll device and a coating method thereof
JP2005300877A (en) Sheet with alignment film, optical anisotropic sheet, and polarizing plat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