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97551A - Purifier Water Discharging Unit for Purifier - Google Patents

Purifier Water Discharging Unit for Purifi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97551A
KR20200097551A KR1020190015078A KR20190015078A KR20200097551A KR 20200097551 A KR20200097551 A KR 20200097551A KR 1020190015078 A KR1020190015078 A KR 1020190015078A KR 20190015078 A KR20190015078 A KR 20190015078A KR 20200097551 A KR20200097551 A KR 202000975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water outlet
outlet unit
connection pipe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507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211141B1 (en
Inventor
임주영
박종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교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교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교원
Priority to KR10201900150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1141B1/en
Publication of KR202000975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755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11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114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042Details of specific parts of the dispensers
    • B67D1/0081Dispensing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003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the beverage being a single liquid
    • B67D1/0014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the beverage being a single liquid the beverage being supplied from water m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95Heat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12Flow or pressure control devices or systems, e.g. valves, gas pressure control, level control in storage containers
    • B67D1/1202Flow control, e.g. for controlling total amount or mixture ratio of liquids to be dispens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002Purifying means
    • B67D2210/00005Filters
    • B67D2210/0001Filters for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028Constructional details
    • B67D2210/00047Piping
    • F16B2001/0035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200/00Constructional details of connections not cover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16B2200/83Use of a magnetic material

Landscapes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Abstract

A water discharge unit for a water purifier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se of which at least one surface is opened so that a connecting pipe passes therethrough; and a housing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base and having a water intake cock. Therefore, the water discharge unit for a water purifier can be positioned in a position desired by a user in a limited space of a kitchen.

Description

정수기용 출수유닛{Purifier Water Discharging Unit for Purifier} Purifier Water Discharging Unit for Purifier}

본 발명은 사용자에게 사용자에게 정수를 공급하기 위한 정수기에 있어서, 필터 등 정수를 위한 구성이 구비되는 본체와 분리되어 출수를 위한 최소한의 구성만으로 이루어진 출수유닛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ter purifier for supplying purified water to a user to a user, and is separated from a main body provided with a configuration for purifying water such as a filter, and to a water outlet unit having only a minimum configuration for water outlet.

대부분의 정수기의 경우 하나의 몸체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최근 깨끗한 물, 다양한 온도 조건의 물 등 단순 음수를 떠난 소비자의 다양한 수요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필터, 온수 또는 냉수를 공급하기 위한 가열기품 또는 냉각부품, 다양한 전장부품 등이 정수기 내부에 구비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에 따라 정수기의 부피는 종래에 비하여 점점 커지게 된다. Most water purifiers consist of one body. However, according to the various demands of consumers who have left simple drinking water such as clean water and water with various temperature conditions, various types of filters, heating appliances or cooling parts for supplying hot or cold water, and various electrical components are provided inside the water purifier. It is common. Accordingly, the volume of the water purifier gradually increases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one.

한편, 정수기의 경우 음수가 편리한 주방의 싱크대 등에 위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상기 설명한 것과 같이 최근 정수기의 부피 증가에 따라 싱크대 상부의 많은 면적을 차지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주방을 주로 사용하는 주부들의 싱크대 상부 공간 활용성이 떨어지게 된다.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a water purifier, it is common to be located in a kitchen sink where drinking water is convenient. However,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recent increase in the volume of the water purifier, there is a problem that it occupies a large area above the sink. Accordingly, the utilization of the space above the sink by housewives who mainly use the kitchen decreases.

또한,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정수기의 위치를 일시적으로 옮기거나 설치위치를 변경하는 것이 불편하다는 문제점도 있었다.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inconvenient to temporarily move the location of the water purifier or change the installation location according to the user's needs.

한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9-0112903호에는 정수된 물이 저정되는 저장용기가 분리되는 개념에 대한 분리형 정수기가 개시되어 있지만, 여전치 전체 정수기의 부피는 크기 때문에 상기한 문제점이 해결되지는 않는다. Meanwhile,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09-0112903 discloses a separate type water purifier for the concept of separating a storage container in which purified water is stored, but the above problem is not solved due to the large volume of the entire water purifier. .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112903호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09-0112903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효과적인 출수를 위한 최소한의 부품만 포함된 별도의 출수유닛을 구비하여 사용자가 주방에 원하는 지점에 편리하게 설치할 수 있는 정수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s to provide a water purifier that can be conveniently installed at a location desired by a user in the kitchen by having a separate water watering unit including only a minimum number of parts for effective watering.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가 상술한 과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과제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d problems that are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from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정수기용 출수유닛은 연결배관이 통과하도록 적어도 일면이 개구 형성된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의 상부에 결합되고, 취수코크가 구비되는 하우징을 포함한다. The water outlet unit for a water purifier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ncludes a base having an opening formed at least on one side so that the connection pipe passes, and a housing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base and having a water intake cock.

여기서 상기 하우징은 취수코크가 고정되는 내측하우징 및 상기 내측하우징을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외측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내측하우징은 상기 베이스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Here, the housing may include an inner housing to which the water intake cock is fixed and an outer housing formed to surround the inner housing. And the inner housing may be rotatably coupled to the base.

그리고 상기 하우징은 상면이 개구된 형태로 구비되며, 상기 개구된 상면에는 정수기의 조작을 위한 조작부가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housing may have an open upper surface, and an operation unit for operating the water purifier may be provided on the opened upper surface.

한편, 상기 취수코크는 상기 하우징의 측면에 노출되고, 상기 하우징은 노출되는 취수코그가 하방을 향하도록 절곡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water intake cock may be exposed on the side of the housing, and the housing may be formed such that the exposed water intake cog is bent downward.

한편, 상기 출수유닛은 인체감지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배관은 정수를 공급하는 정수연결배관 및 정수연결배관의 물이 배출되는 배수연결배관을 포함하며, 상기 인체감지센서의 신호에 따라 상기 정수연결배관의 물을 상기 배수연결배관으로 유동시키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water outlet unit further includes a human body detection sensor, the connection pipe includes a water purification connection pipe for supplying purified water and a drainage connection pipe through which water of the water purification connection pipe is discharged, and according to a signal from the human body detection sensor, the It may further include a control unit for flowing water from the water purification connection pipe to the drain connection pipe.

그리고 상기 출수유닛의 측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받침대를 더 포함할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받침대는 상기 출수유닛에 자력에 의하여 고정될 수 있다.And it may further include a pedestal detachably coupled to the side of the water outlet unit. Here, the pedestal may be fixed to the water outlet unit by magnetic force.

그리고 상기 연결배관은 정수연결배관 및 온수연결배관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에는 온수연결배관을 유동하는 물을 가열하기 위한 가열기가 구비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nection pipe may further include a purified water connection pipe and a hot water connection pipe, and a heater for heating water flowing through the hot water connection pipe may be provided in the housing.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용 출수유닛은 아래와 같은 효과가 있다. The water outlet unit for a wate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출수를 위한 최소한의 부품만으로 이루어지는 슬림한 형태의 출수유닛을 구비하여, 주방의 한정된 공간에서 사용자는 원하는 위치에 출수유닛을 위치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First, there is an advantage that a user can locate the water outlet unit at a desired location in a limited space of the kitchen by providing a slim water outlet unit consisting of only a minimum number of parts for water outlet.

둘째, 종래의 정수기의 경우 출수코크의 위치 등의 변경이 어렵지만, 본 발명에서는 출수유닛을 슬림한 형태로 형성함에 따라 출수유닛을 구성하는 하우징 자체를 회전 가능하게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출수유닛을 회전시켜 음수를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Second, in the case of a conventional water purifier, it is difficult to change the location of the water outlet cock, but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housing constituting the water outlet unit may be rotatably provided as the water outlet unit is formed in a slim shape. Therefor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user can make negative water by rotating the water outlet unit in the desired direction.

셋째, 출수를 위한 최소한의 구성을 채택한 분리된 출수유닛을 구비함에 따라 종래의 큰 부피의 일체형 정수기에 비하여 디자인적인 요소의 적용이 용이하여, 주방에 새로운 형태의 다양한 디자인적 요소가 적용된 정수기를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Third, it is easy to apply design elements compared to conventional large-volume integrated water purifiers as it has a separate water outlet unit that adopts the minimum configuration for water outlet, and provides a water purifier with various design elements of a new type in the kitchen. There is an advantage that you can do it.

본 발명의 효과가 상술한 효과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효과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ffects, and effects that are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from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정수기가 주방에 설치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2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출수유닛의 사시도;
도3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출수유닛의 분해 사시도;
도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출수유닛이 회전하는 것을 설명하는 도면;
도5는 본 발명의 일시예의 정수기를 설치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6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본체의 사시도;
도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본체의 분해사시도;
도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에의 연결배관 및 연결전선이 출수유닛 및 본체를 연결하는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9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연결전선의 연결구를 수용하는 하우징을 나타내는 도면;
도10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출수유닛 및 본체 간의 배관 연결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11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출수유닛 및 본체 간의 배관 연결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12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출수유닛 및 본체 간의 배관 연결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13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출수유닛 및 본체를 연결하는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14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의 출수유닛이 주방에 설치되는 개념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15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의 출수유닛의 분해사시도.
1 is a view for explaining a state in which a wate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kitche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water outlet unit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water outlet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explaining that the water outlet unit rotat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for explaining a process of installing a water purifier according to a temporary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body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body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for explaining a concept in which a connection pipe and a connection wire connect a water outlet unit and a main body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view showing a housing accommodating a connector of a connecting wir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view for explaining a pipe connection between a water outlet unit and a main body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view for explaining a pipe connection between a water outlet unit and a main body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view for explaining a pipe connection between a water outlet unit and a main body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view for explaining a concept of connecting a water outlet unit and a main body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cept in which a water outlet unit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kitchen;
1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water outlet unit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However,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presented embodiment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ho understand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add, change, or delete other elements within the scope of the same idea. Other embodiments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inventive concept may be easily proposed, but it will be said that this is also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inventive concept.

도1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정수기가 주방에 설치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1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정수기는 출수유닛(100), 본체(200), 연결배관(300), 연결전선(400)를 포함한다. 1 is a view for explaining a state in which a wate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kitchen. Referring to FIG. 1, the water purifier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ater outlet unit 100, a main body 200, a connection pipe 300, and a connection wire 400.

정수기의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부품은 출수유닛(100) 및 본체(200)에 나누어 구비된다. 그리고 출수유닛(100)과 본체(200)은 물이 유동하는 배관(300) 및 전기적 연결을 위한 전선(400)으로 연결된다. Parts for performing various functions of the water purifier are provided separately in the water outlet unit 100 and the main body 200. In addition, the water outlet unit 100 and the main body 200 are connected by a pipe 300 through which water flows and a wire 400 for electrical connection.

특히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에 효과적인 정수, 온수, 냉수를 제공하기 위한 최소한의 부품만 출수유닛(100)에 구비하고, 나머지 부품은 본체(200)에 구비하여, 출수유닛(100)의 부피를 최소화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본체(200)는 싱크대의 하부 등 상대적으로 공간의 여부가 있는 곳에 위치시키고, 적은 부피의 출수유닛(100)을 원하는 지점에 간편하게 위치시키거나 옮길 수 있게 된다. In particular, in the present invention, only a minimum number of parts for providing effective purified water, hot water, and cold water to the user are provided in the water outlet unit 100, and the remaining parts are provided in the body 200, thereby minimizing the volume of the water outlet unit 100. . Accordingly, the user may place the main body 200 in a place where there is a relatively space, such as a lower portion of the sink, and conveniently position or move the water outlet unit 100 having a small volume at a desired point.

특히 온수공급기능이 있는 정수기에 일반적으로 구비되는 유량제어부(50)와 가열기(60)의 배치에 있어서, 본 발명에서는 유량제어부(50)는 본체(200)에 구비하고, 가열기(60)만 출수유닛(100)에 배치를 시킨다. 따라서 출수유닛(100)의 크기를 최소화하고, 출수되는 물을 보다 효과적으로 가열을 할 수 있게 된다. In particular, in the arrangement of the flow control unit 50 and the heater 60 generally provided in a water purifier having a hot water supply func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low control unit 50 is provided in the main body 200, and only the heater 60 is discharged. Place it in the unit 100. Therefore,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size of the water outlet unit 100 and to more effectively heat the water to be discharged.

한편, 아일랜드 식탁에 설치되는 경우 아일랜드 식탁의 하부에 급수관이 제공되는 경우 본체(200)를 아일랜드 식탁의 하부에 배치할 수 있지만, 급수관이 싱크대의 하부에만 제공되는 경우, 본체(200)는 싱크대의 하부에 배치되고, 본체(200)와 출수유닛(100)을 연결하는 배관(300) 및 전선(400)을 차폐하기 위한 차폐부재(1)가 구비될 수 있을 것이다. On the other hand, when installed on an island dining table, if a water supply pipe is provided under the island dining table, the main body 200 may be disposed under the island dining table. However, when the water supply pipe is provided only under the sink, the main body 200 is A shielding member 1 for shielding the pipe 300 and the electric wire 400 may be disposed below and connecting the main body 200 and the water outlet unit 100 to each other may be provided.

도2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출수유닛의 사시도이고, 도3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출수유닛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출수유닛이 회전하는 것을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5는 본 발명의 일시예의 정수기를 설치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water outlet unit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water outlet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view explaining the rotation of the water outlet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for explaining a process of installing the water purifier of the temporary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2 내지 도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출수유닛(100)은 전체적으로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부가 절곡되도록 형성되고, 절곡된 출수유닛(100)의 상부에 취수코크(101)가 노출된다. 따라서 하부에 컵 또는 받침대(102)가 위치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게 된다. 2 to 4, the water outlet unit 100 of this embodiment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s a whole. Further, the upper portion is formed to be bent, and the water intake cock 101 is expos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bent water outlet unit 100. Accordingly, a space in which the cup or pedestal 102 can be positioned is formed at the bottom.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의 출수유닛(100)은 베이스(110), 하우징(120), 조작부(130), 고정부(140)를 포함한다. Specifically, the water outlet unit 100 of this embodiment includes a base 110, a housing 120, an operation unit 130, and a fixing unit 140.

베이스(110)는 전체 출수유닛(100)의 하부구조를 형성한다. 베이스(110)는 후술하는 실시예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놓을 수 있도록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선택한 지점에 고정이 되는 방식이 채택된다. The base 110 forms the lower structure of the entire water outlet unit 100. The base 110 may be provided to be movable so that the user can place it in a desired position as in the embodiments described later, but in this embodiment, a method of being fixed to a point selected by the user is adopted.

도5를 참조하면, 싱크대 등의 설치위치에 관통구(H)를 타공하고, 관통구(H)를 통과하여 고정부(140)와 결합이 되면서 설치위치에 고정이 된다. Referring to FIG. 5, a through hole (H) is drilled at an installation location such as a sink, and the through hole (H) passes through the through hole (H) and is coupled to the fixing unit 140 to be fixed at the installation location.

베이스(110)와 고정부(140) 사이의 체결에는 다양한 구조 또는 방식이 채택될 수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의 베이스(110)의 하부에는 관통구(H)에 삽입되는 돌기(111)가 형성된다. 그리고 돌기(111)와 고정부(140)의 나사결합에 의하여 베이스(110)가 설치 위치에 고정이 된다. Various structures or methods may be adopted for fastening between the base 110 and the fixing part 140, but a protrusion 111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H is form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base 110 in this embodiment. do. And the base 110 is fixed to the installation position by screwing the protrusion 111 and the fixing part 140.

한편, 베이스(110), 돌기(111) 및 고정부(140)에는 후술하는 배관(300) 및 전선(400)이 출수유닛(100)의 외부로 내부에 노출되도록 내부에 상, 하 관통된 공간이 형성된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배관(300), 전선(400) 및 주요부품이 수용된 본체(200)는 싱크대의 하부에 배치되고, 출수유닛(100)만 싱크대의 상부 사용자가 선택한 위치에 노출되게 된다. On the other hand, the base 110, the protrusion 111, and the fixing part 140 have a space penetrated up and down inside so that the pipe 300 and the electric wire 4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r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water outlet unit 100. Is formed. That is, in this embodiment, the pipe 300, the electric wire 400, and the main body 200 in which the main parts are accommodated are disposed under the sink, and only the water outlet unit 100 is exposed at a location selected by the user above the sink.

하우징(120)은 베이스(110)의 상부에 결합되어 전체적인 출수유닛(100)의 외형을 형성한다. 구체적으로 하우징(120)은 상부가 절곡된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하우징(120)은 출수유닛(100)의 측면 및 상면을 형성할 수도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의 하우징은 출수유닛(100)의 측면을 형성한다. 그리고 원기둥의 상면에는 후술하는 조작부(130)가 구비된다. The housing 120 is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base 110 to form the overall appearance of the water outlet unit 100. Specifically, the housing 120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with an upper portion bent. That is, the housing 120 may form a side surface and an upper surface of the water outlet unit 100, but the housing in this embodiment forms a side surface of the water outlet unit 100.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cylinder is provided with a manipulation unit 130 to be described later.

그리고 하우징(120)는 출수유닛(100) 내부에 부품의 고정 및 보호를 위한 내측하우징 및 사용자에 노출되는 출수유닛(100)의 외관을 형성하는 외측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housing 120 may include an inner housing for fixing and protecting parts inside the water outlet unit 100 and an outer housing forming the exterior of the water outlet unit 100 exposed to the user.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의 하우징(120)은 제1내측하우징(121), 제2내측하우징(122), 제3내측하우징(123), 제1외측하우징(124) 및 제2외측하우징(125)를 포함한다. Specifically, the housing 120 in this embodiment includes a first inner housing 121, a second inner housing 122, a third inner housing 123, a first outer housing 124 and a second outer housing 125. ).

제1내측하우징(121) 및 제2내측하우징(122)은 결합에 의하여 중공된 원통을 형성한다. 출수유닛(100)의 내부에 위치하는 히팅부(103) 및 출수밸브(104) 등은 제1내측하우징(121) 및 제2내측하우징(122)에 고정될 수 있고, 제1내측하우징(121) 및 제2내측하우징(122)는 베이스(110)의 둘레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The first inner housing 121 and the second inner housing 122 form a hollow cylinder by coupling. The heating unit 103 and the water outlet valve 104 located inside the water outlet unit 100 may be fixed to the first inner housing 121 and the second inner housing 122, and the first inner housing 121 ) And the second inner housing 122 are coupled to be rotatable around the base 110.

따라서 제1내측하우징(121) 및 제2내측하우징(122)이 베이스(110) 상에서 회전을 하는 경우 제1내측하우징(121) 및 제2내측하우징(122)에 고정된 출수유닛(100) 내부의 부품들은 제1내측하우징(121) 및 제2내측하우징(122)와 같이 회전을 하게 된다. Therefore, when the first inner housing 121 and the second inner housing 122 rotate on the base 110, the inside of the water outlet unit 100 fixed to the first inner housing 121 and the second inner housing 122 The parts of the first inner housing 121 and the second inner housing 122 are rotated together.

나아가 후술하는 제1외측하우징(124) 및 제2외측하우징(125) 역시 제1내측하우징(121) 및 제2내측하우징(122)을 둘러싸도록 고정이 되므로, 외부에는 도4에 도시된 것과 같이 베이스(110)를 중심으로 제1외측하우징(124) 및 제2외측하우징(125)이 회전을 하는 모습이 노출되게 된다. Furthermore, since the first outer housing 124 and the second outer housing 125 to be described later are also fixed to surround the first inner housing 121 and the second inner housing 122, as shown in FIG. A state in which the first outer housing 124 and the second outer housing 125 rotate around the base 110 is exposed.

한편, 받침대(102)는 베이스(110)에 결합되어 베이스(102)와 같이 회전을 할 수도 있으나, 본 실시예서는 베이스(110)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돌기 및 홈 등 기구적인 착탈 구조가 채택될 수도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베이스(110) 및 받침대(102)에 서로 대향하는 부분에 자석(미도시)이 구비되어 별도의 고정을 위한 기구적 구조 없이 자력에 의하여 간단하게 부착이 될 수 있을 것이다. On the other hand, the pedestal 102 may be coupled to the base 110 to rotate like the base 102, but in this embodiment, it may be coupled to the base 110 so as to be detachable. And although a mechanical detachable structure such as protrusions and grooves may be adopted, in this embodiment, a magnet (not shown) is provided on the base 110 and the pedestal 102 opposite to each other, so that a mechanical structure for separate fixing Without it, it can be attached simply by magnetic force.

따라서 사용자는 받침대(102)를 용이하게 제거하거나, 다른 높이의 받침대를 선택을 할 수 있고, 도4에서와 같이 하우징(120)이 회전을 하는 경우에도 회전한 하우징(120)의 취수코크(101)의 하부에 받침대(102)를 고정시킬 수 있을 것이다. Therefore, the user can easily remove the pedestal 102 or select a pedestal having a different height, and even when the housing 120 rotates as shown in FIG. 4, the water intake cock 101 of the rotated housing 120 It will be possible to fix the pedestal 102 at the bottom of ).

제3내측하우징(123)은 제1내측하우징(121) 및 제2내측하우징(122)의 후방에 결합된다. 그리고 제1외측하우징(124) 및 제2외측하우징(125)는 제1내측하우징(121), 제2내측하우징(122) 및 제3내측하우징(123)을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The third inner housing 123 is coupled to the rear of the first inner housing 121 and the second inner housing 122. In addition, the first outer housing 124 and the second outer housing 125 may be formed to surround the first inner housing 121, the second inner housing 122 and the third inner housing 123.

구체적으로 제1외측하우징(124) 및 제2외측하우징(125)는 결합에 의하여 상부가 절곡된 원통 형상을 구현하며, 원통의 상면은 개방되어 있는 상태를 형성한다. Specifically, the first outer housing 124 and the second outer housing 125 have a cylindrical shape in which the upper portion is bent by coupling,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cylinder is formed in an open state.

한편, 출수유닛(100)의 전면 외관을 형성하는 제1외측하우징(124)에는 취수코크의 노출을 위한 제1개구홀(미도시) 및 인체감지를 위한 센서의 노출을 위한 제2개구홀(124a)가 형성된다. On the other hand, in the first outer housing 124 forming the front exterior of the water outlet unit 100, a first opening hole (not shown) for exposure of the water intake cock and a second opening hole for exposure of a sensor for human body detection ( 124a) is formed.

조작부(130)은 원형으로 형성되어 제1외측하우징(124) 및 제2외측하우징(125)의 상면 개구된 부분에 설치되어 전체 출수유닛(100)의 상부를 형성한다. 조작부에는 정수기의 상태를 나타내는 디스플레이(131)가 구비될 수 있고, 조작을 위한 다양한 버튼이 형성될 수 있다. The operation unit 130 is formed in a circular shape and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outer housing 124 and the second outer housing 125 to form the upper part of the entire water outlet unit 100. The operation unit may be provided with a display 131 indicating the state of the water purifier, and various buttons for manipulation may be formed.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원형의 디스플레이(131)가 원형의 조작부(130)의 가운데 위치하고, 둘레를 따라 조작을 위한 버튼부가 형성되거나 조작을 위한 터치패널 등이 구비될 수 있을 것이다. Specifically,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ircular display 131 may be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circular manipulation unit 130, and a button unit for manipulation may be formed along the periphery, or a touch panel for manipulation may be provided.

도6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본체의 사시도이고, 도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본체의 분해사시도이고, 도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에의 연결배관 및 연결전선이 출수유닛 및 본체를 연결하는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9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연결전선의 연결구를 수용하는 하우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Fig. 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body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body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is a connection pipe and a connecting wir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concept of connecting the main body, and FIG. 9 is a view showing a housing accommodating a connector of a connection wir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 내지 도9을 참조하면, 본체(200)는 출수유닛(100)과 연결배관(300) 및 전선(400)으로 연결된다. 그리고 본체(200)는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내부에 다양한 종류의 필터, 냉각시스템 등이 수용된다. 6 to 9, the main body 200 is connected to the water outlet unit 100 by a connection pipe 300 and an electric wire 400. In addition, the main body 200 has an accommodation space formed therein to accommodate various types of filters and cooling systems.

특히 본체(200)의 내부에 구비되는 필터(201)의 경우 주기적으로 교체를 하여야 한다. 따라서 본체(200)의 전면에 위치하고, 전면커버(202)를 분리한 다음 교체를 할 수 있을 것이다.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the filter 201 provided inside the body 200, it must be replaced periodically. Therefore, it is located in the front of the main body 200, it will be possible to replace after removing the front cover 202.

또한, 상기 설명한 것과 같이 온수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유량제어부(50) 및 가열기(60)의 배치에 있어서 본 발명에서는 유량제어부만 본체(200)에 구비되게 된다. In addition, in the arrangement of the flow rate control unit 50 and the heater 60 for implementing the hot water function 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only the flow rate control unit is provided in the main body 200.

본체(200)에는 연결배관결합부(210), 연결전선결합부(220), 배수배관결합부(230), 원수배관결합부(240)가 구비된다. 본 발명의 정수기는 사용자가 출수유닛(100)의 위치 및 본체(200)의 위치를 주방에 상황에 맞게 선택을 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The main body 200 is provided with a connection pipe coupling portion 210, a connection wire coupling portion 220, a drain pipe coupling portion 230, and a raw water pipe coupling portion 240. The water purifi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user can select the location of the water outlet unit 100 and the location of the main body 200 according to the situation in the kitchen.

따라서 사용자가 선택한 위치에 따라 본체(200)와 출수유닛(100) 사이의 거리는 달라지게 된다. 그리고 본체(200)와 원수공급원과의 거리 및 본체(200)와 배수구와의 거리 역시 달라지게 된다. Accordingly, the distance between the main body 200 and the water outlet unit 100 varies depending on the location selected by the user. In addition, the distance between the main body 200 and the raw water supply source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main body 200 and the drain port are also different.

이러한 조건에서 정수기 설치작업을 효과적으로 하기 위하여 본체(200)에는 연결배관결합부(210), 연결전선결합부(220), 배수배관결합부(230), 원수배관결합부 (240)가 구비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정수기를 설치과정에서 작업자는 사용자가 취수유닛(100) 및 본체(200)의 위치를 결정하면, 상기 거리에 따라 배관 및 전선 등의 거리를 결정하고, 본체에 배관 및 전선 등을 결합시키는 작업만으로 간단하게 설치를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In order to effectively install the water purifier under these conditions, the main body 200 is provided with a connection pipe coupling part 210, a connection wire coupling part 220, a drain pipe coupling part 230, and a raw water pipe coupling part 240. . Therefore, in the process of installing the water purifier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user determines the locations of the water intake unit 100 and the main body 200, the operator determines the distances of pipes and wires according to the distance, and connects pipes and wires to the main body.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can be installed simply by combining it.

물론 물이 유동하는 배관이 연결되는 연결배관결합부(210), 배수배관결합부(230), 원수배관결합부(240)의 경우 결합시 누수가 되지 않는 구성을 채택하여야 할 것이다. Of course, in the case of the connection pipe coupling part 210, the drain pipe coupling part 230, and the raw water pipe coupling part 240 to which a pipe through which water flows are connected, a configuration that does not leak when combined should be adopted.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의 연결배관결합부(210)는 온수연결배관결합부(211), 정수연결배관결합부(212) 및 배수연결배관결합부(213)을 포함한다. 연결전선결합부(220)는 신호전선결합부(221) 및 전기전선결합부(222)를 포함한다. Specifically, the connection pipe coupling portion 210 in this embodiment includes a hot water connection pipe coupling portion 211, a water purification pipe coupling portion 212, and a drainage pipe coupling portion 213. The connection wire coupling unit 220 includes a signal wire coupling unit 221 and an electric wire coupling unit 222.

연결배관(300)은 출수유닛(100) 및 본체(200) 사이에 연결되고, 출수유닛(100) 및 본체(200) 사이를 유동하는 물이 흐른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의 연결배관(300)은 온수연결배관(310), 정수연결배관(320) 및 배수연결배관(330)을 포함한다. 그러나 정수기의 기능에 따른 추가적인 배관이 구비될 수도 있을 것이다. The connection pipe 300 is connected between the water outlet unit 100 and the main body 200, and water flowing between the water outlet unit 100 and the main body 200 flows. Specifically, the connection pipe 300 in this embodiment includes a hot water connection pipe 310, a water purification connection pipe 320, and a drain connection pipe 330. However, additional piping may be provided according to the function of the water purifier.

연결배관(300)은 출수유닛(100) 및 본체(200) 사이에 다양한 방법으로 연결될 수 있을 것이나, 사용자가 선택한 출수유닛(100) 및 본체(200)의 위치에 따른 길이 및 연결 후 누수가 되지 않아야 한다는 점이 고려가 되어야 할 것이다. The connection pipe 300 may be connected between the water outlet unit 100 and the body 200 in various ways, but the length according to the location of the water outlet unit 100 and the body 200 selected by the user and no leakage after connection. It should be considered that it should not be.

예를 들어, 사용자의 출수유닛(100) 및 본체(200) 위치결정에 따라 연결배관(300)의 길이가 결정되고, 연결배관(300)의 양측에 출수유닛(100) 및 본체(200)에 결합을 위한 고정구를 결합한 다음 출수유닛(100) 및 본체(200)에 결합이 될 수 있을 것이다. For example, the length of the connection pipe 300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user's positioning of the water outlet unit 100 and the main body 200, and the water outlet unit 100 and the main body 200 are on both sides of the connection pipe 300. After combining the fixture for coupling, it may be coupled to the water outlet unit 100 and the main body 200.

본 실시예에서는 출수유닛(100)에 충분한 길이의 연결배관(300)이 결합된 상태에서 사용자에 제공이 된다. 그리고 설치과정에서 사용자의 출수유닛(100) 및 본체(200)의 위치결정에 따라 결정된 길이로 자른 다음 끝단에 연결구(340)를 결합시키고, 본체(200)의 온수연결배관결합부(211), 정수연결배관결합부(212) 및 배수연결배관결합부(213)에 각각 결합을 시키게 된다. In this embodiment, a connection pipe 300 having a sufficient length is coupled to the water outlet unit 100 and provided to the user. And during the installation process, cut into a length determined according to the location of the user's water outlet unit 100 and the body 200, and then couple the connector 340 to the end, and the hot water connection pipe coupling part 211 of the body 200, It is coupled to the water connection pipe coupling portion 212 and the drainage connection pipe coupling portion 213, respectively.

연결전선(400)은 출수유닛(100) 및 본체(200) 사이에 연결되어, 출수유닛(100) 및 본체(200)에 분산되어 배치되는 각 부품에 제어적인 신호와 전기를 공급한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의 연결전선(400)는 전원연결전선(410) 및 신호연결전선(420)을 포함한다. 그러나 설계과정에 따라 하나의 전선이 연결전선이 구비되거나 3개 이상의 연결전선이 구비될 수도 있을 것이다. The connection wire 400 is connected between the water outlet unit 100 and the main body 200 to supply control signals and electricity to each component distributed and arranged in the water outlet unit 100 and the main body 200. Specifically, the connection wire 400 in this embodiment includes a power connection wire 410 and a signal connection wire 420. However, depending on the design process, one wire may be provided with a connection wire or three or more connection wires may be provided.

연결전선(400)도 연결배관과 마찬가지로 설치과정에서 길이가 선택이 되어야 할 것이고, 출수유닛(100) 및 본체(200) 사이에 효과적으로 연결되지 위한 다양한 구조가 채택될 수 있을 것이다. The length of the connection wire 400 should be selected during the installation process as well as the connection pipe, and various structures to be effectively connected between the water outlet unit 100 and the main body 200 may be adopted.

본 실시예에서는 출수유닛(100) 및 본체(200) 각각에서 연결전선(400)이 연장되고, 연장된 끝단에 연결구(430)가 결합되고, 각 연결구가 체결됨에 따라 연결이 되게 된다. In this embodiment, the connection wire 400 is extended from each of the water outlet unit 100 and the main body 200, the connector 430 is coupled to the extended end, and the connection is made as each connector is fastened.

한편, 배수배관(300)과 달리 출수유닛(100) 및 본체(200) 사이에서 연결구에 의하여 체결이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연결구(430)를 수용하는 하우징(440)이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하우징(440)의 내부에는 연결구(430)의 형태에 대응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연결구(430)는 하우징(440) 내부에 수용되어 고정이 되게 된다. On the other hand, unlike the drainage pipe 300, it is fastened by a connector between the water outlet unit 100 and the main body 200. 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a housing 440 for accommodating the connector 430 may be additionally provided. An accommodation spac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connector 430 is formed inside the housing 440 so that the connector 430 is accommodated and fixed inside the housing 440.

일반적으로 연결구(430)가 싱크대 하부 공간 등에 위치하는 바, 싱크대 하부 등의 누수 등이 발생을 하더라도 하우징(440)은 연결구(430)가 누수에 노출되어 누전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In general, since the connector 430 is located in a space under the sink, the housing 440 functions to prevent a short circuit due to exposure of the connector 430 to water leakage even if a leak occurs in the lower portion of the sink.

한편, 본 발명의 정수기는 원수배관(500) 및 배수배관(600)을 더 포함한다. On the other hand, the water purifier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raw water pipe 500 and a drain pipe 600.

원수배관(500)의 일단은 본체(200)의 원수배관결합부(240)에 결합되고, 타단은 주방의 원수공급원에 연결된다. 그리고 배수배관(600)의 일단은 본체(200)의 배수배관결합부(230)에 결합되고, 타단은 배수구에 결합된다. One end of the raw water pipe 500 is coupled to the raw water pipe coupling portion 240 of the main body 200,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raw water supply source of the kitchen. And one end of the drain pipe 600 is coupled to the drain pipe coupling portion 230 of the main body 200, and the other end is coupled to the drain port.

도10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출수유닛 및 본체 간의 배관 연결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10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정수기의 유동흐름을 설명한다. 10 is a view for explaining a pipe connection between a water outlet unit and a main body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low flow of the water purifier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0.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정수기는 정수, 냉수, 온수의 공급을 하기 위한 주요부품은 출수유닛(100)과 본체(200)에 나누어 배치된다. 특히 출수유닛(100)에는 온수배관(310)을 유동하는 물을 가열하기 위한 가열기(60)와 정수, 온수, 냉수의 배출을 결정하는 출수밸브(80) 등 최소한의 부품만 구비된다. 따라서 주방에 노출되는 출수유닛(100)의 크기를 슬림하게 형성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water purifier of the present invention, main parts for supplying purified water, cold water, and hot water are divided into the water outlet unit 100 and the main body 200. In particular, the water outlet unit 100 is provided with only a minimum number of components such as a heater 60 for heating water flowing through the hot water pipe 310 and a water outlet valve 80 for determining discharge of purified water, hot water, and cold water. Therefore, it is possible to form a slim size of the water outlet unit 100 exposed to the kitchen.

한편, 본 발명에서는 출수유닛(100) 및 본체(200)의 위치를 사용자가 선택을 하게 된다. 선택에 따라 출수유닛(100) 및 본체(200) 사이의 거리가 수 미터가 될 수도 있다. 이 경우 가열기(60)가 본체(200)에 있는 경우 가열기(60)을 통과하면서 가열된 온수가 수 미터의 온수배관(310)을 유동하는 과정에서 온도가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가열기(60)를 출수유닛(100)의 출수밸브(80)과 인접하도록 배치하여 사용자게 제공하는 온수의 온도를 보다 효과적으로 조절한다. Meanwhil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selects the locations of the water outlet unit 100 and the main body 200. Optionally, the distance between the water outlet unit 100 and the main body 200 may be several meters. In this case, when the heater 60 is in the main body 200, there is a problem that the temperature drops while the hot water heated while passing through the heater 60 flows through the hot water pipe 310 of several meters. 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heater 60 is disposed to be adjacent to the water outlet valve 80 of the water outlet unit 100 to more effectively control the temperature of hot water provided to the user.

즉, 상기 설명한 것과 같이 온수공급기능이 있는 정수기에 일반적으로 구비되는 유량제어부(50) 및 가열기(60)의 배치에 있어서 유량제어부(50)는 본체(200)에 배치하고, 가열기(60)는 출수유닛(100)에 배치하여 온수온도조절을 효과적으로 하면서도 출수유닛(100)의 부피를 줄일 수 있다. That is, in the arrangement of the flow control unit 50 and the heater 60 generally provided in a water purifier having a hot water supply function as described above, the flow control unit 50 is disposed on the main body 200, and the heater 60 is By placing it in the water outlet unit 100, the volume of the water outlet unit 100 can be reduced while effectively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hot water.

그리고 도시된 것과 같이 필터(10), 응축기(20), 살균모듈(30), 냉각기(40), 유량제어부(50), 냉수밸브(70), 정수밸브(80), 원수밸브(90), 살균밸브(95) 등의 주요부품 등은 본체(200)에 구비된다. And as shown, the filter 10, the condenser 20, the sterilization module 30, the cooler 40, the flow control unit 50, the cold water valve 70, the water purification valve 80, the raw water valve 90, Main parts such as the sterilization valve 95 are provided in the main body 200.

정수의 유동은 다음과 같다. 원수배관(500)을 통하여 유입되는 원수가 필터(10), 원수밸브(85), 정수밸브(80)을 순차적으로 유동하여 정수연결배관(320)으로 유동한다. 그리고 출수밸브(80)를 통하여 사용자에 제공된다. The flow of integer is as follows. The raw water flowing through the raw water pipe 500 flows through the filter 10, the raw water valve 85, and the water purification valve 80 in sequence to flow to the purified water connection pipe 320. And it is provided to the user through the water outlet valve (80).

온수의 유동은 다음과 같다. 원수배관(50)을 통하여 유입되는 원수가 필터(10), 원수밸브(90)를 통하여 유량제어부(50)로 유동한다. 유량제어부(50)를 통하여 유량이 제어된 물은 온수연결배관(310)으로 유동하고, 가열기(60)를 통하여 가열된 다음 출수밸브(80)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제공된다. The flow of hot water is as follows. The raw water introduced through the raw water pipe 50 flows to the flow control unit 50 through the filter 10 and the raw water valve 90. The water whose flow rate is controlled through the flow rate control unit 50 flows to the hot water connection pipe 310, is heated through the heater 60, and is then provided to the user through the water outlet valve 80.

냉수의 유동은 다음과 같다. 원수배관(500)을 통하여 유입되는 원수가 필터(10), 원수밸브(90)를 통하여 냉각기(40)로 유입된다. 냉각기(40)를 통과하면서 냉각된 물은 냉수밸브(70)를 통과하여 냉수연결배관(330)으로 유입되고, 출수밸브(80)를 통하여 사용자에 제공된다. The flow of cold water is as follows. Raw water flowing through the raw water pipe 500 is introduced into the cooler 40 through the filter 10 and the raw water valve 90. The water cooled while passing through the cooler 40 passes through the cold water valve 70, flows into the cold water connection pipe 330, and is provided to the user through the water outlet valve 80.

한편 냉각기(40)로는 유동하는 물의 온도를 떨어뜨릴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이 사용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냉각기(40)를 흐르는 냉매를 이용하여 유동하는 물의 온도를 떨어뜨린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열을 흡수한 냉매는 응축기(20)로 유동을 하게 되고, 응축기를 유동하는 원수가 냉매를 응축시키게 된다. 이는 일반적으로 공지된 냉각사이클의 구성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Meanwhile, as the cooler 40, various methods for lowering the temperature of the flowing water may be used, but in this embodiment, the temperature of the flowing water is decreased by using the refrigerant flowing through the cooler 40. Meanwhile, although not shown, the refrigerant absorbing heat flows to the condenser 20, and raw water flowing through the condenser condenses the refrigerant. Since this is a configuration of a generally known cooling cycle, a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여기서 응축기(20)를 통과하면서 냉매를 응축시키는 응축수는 원수배관(500)을 통하여 응축기(20)로 유입되고, 배수배관(600)을 통하여 배수구로 배출된다. Here, the condensed water that condenses the refrigerant while passing through the condenser 20 flows into the condenser 20 through the raw water pipe 500 and is discharged through the drain pipe 600 to the drain.

한편, 본 발명의 정수기의 경우 배관의 살균을 위한 살균수를 생성하기 살균모듈(90)이 구비된다. 즉 원수배관(500)을 통하여 유입되는 원수는 살균모듈(20)를 통과하면서 살균수가 생성되고, 살균수는 정수, 냉수, 온도배관을 유동한 다음 배수배관(600)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water purifier of the present invention, a sterilization module 90 is provided to generate sterilization water for sterilization of a pipe. That is, raw water flowing through the raw water pipe 500 passes through the sterilization module 20 to generate sterilized water, and the sterilized water flows through purified water, cold water, and temperature pipes, and then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drain pipe 600. .

한편, 본 발명의 출수유닛(100) 및 본체(200) 사이의 거리가 길게 형성되는 경우 양자를 연결하기 위한 온수연결배관(310), 냉수연결배관(320) 및 정수연결배관(330)의 길이는 수 미터에 이를 수 있다. 이 경우 정수밸브(85)와 출수밸브(80) 사이, 냉수밸브(40)와 출수밸브(80)사이, 유량조절부(50)과 출수밸브(80) 사이의 거리 역시 수 미터에 이르게 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water outlet unit 100 and the main body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long, the length of the hot water connection pipe 310, the cold water connection pipe 320 and the purified water connection pipe 330 for connecting both Can reach several meters. In this case, the distance between the water purification valve 85 and the water outlet valve 80, between the cold water valve 40 and the water outlet valve 80, and between the flow control unit 50 and the water outlet valve 80 also reaches several meters.

즉, 수 미터에 해당하는 연결배관(300)에는 물이 수용된 상태이고, 사용자에 물을 제공하는 경우 연결배관(300)에 장시간 수용된 물은 배수를 한 다음 새로 정수가 되거나 또는 온도가 조절된 물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at is, water is accommodated in the connection pipe 300 corresponding to several meters, and when water is provided to the user, the water stored in the connection pipe 300 for a long time is drained and then newly purified or water whose temperature is adjusted. It is desirable to provide.

그러나 수 미터에 이르는 연결배관(300)에 수용된 물의 배수에는 일정 시간이 소요가 되기 때문에 사용자의 출수 입력이 있는 경우 배수를 하는 경우 사용자에 정수의 공급이 늦어질 수 밖에 없다. However, since it takes a certain amount of time to drain the water accommodated in the connection pipe 300 reaching several meters, if there is a user's input of water outflow, the supply of purified water to the user is inevitably delayed.

따라서 본 발명에서의 출수유닛(100)에는 인체감지센서(미도시)가 구비되고, 인체감지센서는 제2개구홀(124a)를 통하여 출수유닛(100) 외부에 인체에 대한 감지를 한다. Accordingly, the water extraction unit 100 in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human body detection sensor (not shown), and the human body detection sensor senses a human body outside the water extraction unit 100 through the second opening hole 124a.

그리고 사람이 출수유닛(100)으로 다가오는 경우, 인체감지센서는 인체의 접근을 인지하고, 이에 따라 연결배관(300)의 수용된 물의 배수를 진행한다. 따라서 실제 사용자의 출수 입력이 있는 경우 보다 신속하게 정수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when a person approaches the water outlet unit 100, the human body detection sensor recognizes the approach of the human body, and accordingly, drains the water received in the connection pipe 300.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ovide purified water more quickly when there is an actual user input of the water outlet.

이 때 온수연결배관(310) 및 정수연결배관(320)에 수용된 물은 배수연결배관(330)통하여 본체(200) 내부로 유입되고, 배수배관(600)을 통하여 배수구로 배출되게 된다. At this time, the water accommodated in the hot water connection pipe 310 and the purified water connection pipe 320 flows into the main body 200 through the drain connection pipe 330 and is discharged through the drain pipe 600 to the drain.

도11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출수유닛 및 본체 간의 배관 연결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1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의 출수유닛(100)과 본체(200)의 배관연결 및 부품의 배치 등은 상기 설명한 제1실시예와 전체적으로 유사하므로, 이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11 is a view for explaining a pipe connection between a water outlet unit and a main body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1, since the pipe connection and the arrangement of parts between the water outlet unit 100 and the main body 200 in the present embodiment are generally similar to those of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the differences will be described below.

본 실시예에서는 본체 내부에 냉수의 공급을 위한 응축기, 냉각기 및 이와 관계된 배관의 구성이 없다는 점이 제1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The present embodiment differs from the first embodiment in that there is no configuration of a condenser, a cooler, and a pipe related thereto for supplying cold water in the main body.

즉, 본 실시예의 배관연결구조는 정수 및 온수만 제공이 되는 정수기에 적용이 되는 구조이고, 이하 전반적인 다른 구성인 제1실시예와 동일하다. That is, the piping connection structure of this embodiment is a structure applied to a water purifier that provides only purified water and hot water, and is the same as the first embodiment, which is an overall other configuration.

도12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출수유닛 및 본체 간의 배관 연결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13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출수유닛 및 본체를 연결하는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12 및 도1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의 출수유닛(100)과 본체(200)의 배관연결 및 부품의 배치 등은 상기 설명한 제1실시예와 전체적으로 유사하므로, 이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12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pipe connection between a water outlet unit and a main body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3 is a view for explaining a concept of connecting a water outlet unit and a main body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and 13, the piping connection and arrangement of parts between the water outlet unit 100 and the main body 200 in this embodiment are generally similar to those of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and thus the differences will be described below. do.

본 실시예에서의 출수유닛에는 안전배수배관(350)이 추가적으로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안전배수배관(350)은 가열기(60)에 연결되고, 가열기(60)의 과압시 수증기를 배출하기 위한 유로이다. 그리고 안전배수배관(350)에는 체크밸브(350a)가 구비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안전배수배관(350)을 유동하는 수증기는 외부로 배출되며, 본 실시예에서의 안전배수배관(350)의 타단은 배수배관(600)에 연결된다. The water outlet unit in this embodiment is additionally provided with a safety drain pipe 350. Specifically, the safety drain pipe 350 is connected to the heater 60 and is a flow path for discharging water vapor when the heater 60 is overpressured. In addition, the safety drain pipe 350 may be provided with a check valve 350a. And water vapor flowing through the safety drainage pipe 350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and the other end of the safety drainage pipe 350 in this embodiment is connected to the drainage pipe 600.

도14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의 출수유닛이 주방에 설치되는 개념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15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의 출수유닛의 분해사시도이다. 1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cept that the water outlet unit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the kitchen, and FIG. 1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water outlet unit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14 및 도1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출수유닛(100')은 연결배관(300) 및 연결전선(400)를 덮는 커버유닛(150)을 더 포함한다. 그리고 정수기의 전체적인 구성 및 물의 유동은 상기 설명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14 and 15, the water outlet unit 100 ′ of the present embodiment further includes a cover unit 150 covering the connection pipe 300 and the connection wire 400. In addition, since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water purifier and the flow of water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differences will be described below.

상기 설명한 제1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를 결정하면, 해당 지점 싱크대의 상판에 관통구(H)를 타공을 한다. 그리고 관통구(H)를 통하여 출수유닛(100)과 고정구(140)를 체결하는 방식으로 출수유닛(100)을 고정한다(도5 참조).In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when a user determines a desired location, a through hole H is drilled in the upper plate of the sink at the corresponding point. In addition, the water outlet unit 100 is fixed in such a manner that the water outlet unit 100 and the fixture 140 are connected through the through hole H (see FIG. 5).

상기 설명한 제1실시예의 경우 본 발명의 정수기를 철거하는 경우 또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출수유닛(100)의 위치를 변경하여야 하는 경우 기존 관통구(H)가 노출이 되게 된다. 그러나 일반적인 싱크대의 상판의 경우 원목, 대리적 등으로 제작되어 복원이 쉽지 않고, 이에 따라 사용자에 따라서는 싱크대 상판의 타공을 꺼려하는 경우에 있을 수 있다. In the case of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when the water purifi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removed, or when the location of the water outlet unit 100 needs to be changed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the existing through hole H is exposed. However, in the case of a general sink top plate, it is not easy to restore because it is made of solid wood or a surrogate, and accordingly, depending on the user, there may be a case in which the perforation of the sink top plate is not desired.

따라서 본 발명의 커버유닛(150)을 이용하면, 싱크대 상판에 관통구(H)를 형성하지 않고도 연결배관(300) 및 연결전선(400)을 외부에 노출시키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추가적인 커버유닛(150)을 조립하는 경우 사용자가 출수유닛(100)의 설치위치를 변경이 용이하게 된다. 그리고 기존의 싱크대의 상판에 관통구( H)를 뚫은 경우에도 새로운 관통구(H)를 뚫지 않더라도 출수유닛(100)의 위치의 변경이 가능하다. Therefore, when the cover unit 15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the connection pipe 300 and the connection wire 400 may not be exposed to the outside without forming a through hole H on the top plate of the sink. In addition, when assembling the additional cover unit 150, the user can easily change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water outlet unit 100. In addition, even when the through hole (H) is drilled in the upper plate of the existing sink, the location of the water outlet unit 100 can be changed even if a new through hole (H) is not drilled.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의 커버유닛(150)은 직선커버(151) 및 곡선커버(152)를 포함한다. 직선커버(151) 및 곡선커버(152)는 다양한 길이 및 각도를 형성하도록 구비되어 개개의 결합에 따라 사용자가 원하는 지점에 위치하는 출수유닛(100)과 연결되는 연결배관(300) 및 연결전선(400)을 차폐할 수 있을 것이다. Specifically, the cover unit 150 in this embodiment includes a straight cover 151 and a curved cover 152. The straight cover 151 and the curved cover 152 are provided to form various lengths and angles, and according to individual combinations, a connection pipe 300 and a connection wire connected to the water outlet unit 100 located at a point desired by the user ( 400) could be shielded.

그리고 상기 제1실시예에서의 베이스(110)에는 연결배관(300) 및 연결전선(400)이 하부로 빠져 나올 수 있도록 하부의 적어도 일부가 개구 형성된다. 그러나 본실시예의 출수유닛(100')의 베이스(110')에는 연결배관(300) 및 연결전선(400)이 노출될 수 있도록 측면의 적어도 일부가 개구된다. 따라서 연결배관(300) 및 연결전선(400)은 베이스(110')의 측면으로 배출이 되고, 배출이 된 연결배관(300) 및 연결전선(400)은 직선커버(151) 및 곡선커버(152)를 통하여 차폐가 되게 된다. In addition, in the base 110 in the first embodiment, at least a portion of the lower portion is formed to allow the connection pipe 300 and the connection wire 400 to exit downward. However, at least a part of the side surface is opened in the base 110 ′ of the water outlet unit 100 ′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so that the connection pipe 300 and the connection wire 400 can be exposed. Therefore, the connection pipe 300 and the connection wire 400 are discharged to the side of the base 110', and the discharged connection pipe 300 and the connection wire 400 have a straight cover 151 and a curved cover 152 ) Through the shield.

한편, 연결배관(300) 및 연결전선(400)의 완벽한 차폐를 위하여 본 실시예의 베이스(110')는 직선커버(151) 또는 곡선커버(152)와 착탈 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는 구조가 채택될 수 있을 것이다. 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completely shield the connection pipe 300 and the connection wire 400, the base 110 ′ of this embodiment has a structure that can be detachably fastened to the straight cover 151 or the curved cover 152. I will be able to.

한편, 마지막 직선커버(151) 또는 곡선커버(152)로부터 노출되는 연결배관(300) 및 연결전선(400)는 최대한 외부에 노출이 되지 않는 지점을 통하여 싱크대 하부 등에 위치하는 본체(200)와 연결이 될 수 있을 것이다. Meanwhile, the connection pipe 300 and the connection wire 400 exposed from the last straight cover 151 or the curved cover 152 are connected to the main body 200 located under the sink through a point that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as much as possible. Could be.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의 커버유닛(150)은 연결커버(153)을 더 포함한다. 연결커버(153)은 베이스와 같이 측면의 적어도 일부가 개구되고, 하면의 적어도 일부가 개구되도록 형성된다. However, the cover unit 150 in this embodiment further includes a connection cover (153). The connection cover 153 is formed such that at least a portion of the side surface thereof is opened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lower surface thereof is opened, like a base.

그리고 연결커버(153)는 베이스(110')와 같이 직선커버(151) 또는 곡선커버(152)와 착탈 가능하게 체결이 될 수 있는 구조가 채택이 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연결커버(153)의 하부는 상기 제1실시예의 베이스(100)와 같이 고정부(140)과 나사결합이 되는 돌기(153a)가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And the connection cover 153 may be adopted a structure that can be fastened detachably with the straight cover 151 or the curved cover 152 like the base 110'. In addition, the lower portion of the connection cover 153 may have a protrusion 153a that is screwed with the fixing part 140 like the base 100 of the first embodiment.

즉, 본 실시예의 연결커버(153)를 이용하는 경우 기존에 싱크대의 상판에 관통구(H)를 형성한 경우, 형성된 관통구(H)에 연결커버(153)을 설치함에 따라 새로운 관통구(H)를 형성하지 않고도 출수유닛(100')의 위치를 연결할 수 있다. That is, in the case of using the connection cover 153 of the present embodiment, when a through hole (H) is formed on the top plate of the sink, a new through hole (H It is possible to connect the location of the water outlet unit 100' without forming a ).

나아가 싱크대의 상판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교체가 용이한 스테인레스 재질의 싱크볼(S)에 타공을 하고, 타공된 싱크볼에 연결커버(153)를 설치하는 방식으로 본 발명의 정수기의 설치도 가능할 것이다. Further, compared to the upper plate of the sink, it is possible to install the water purifier of the present invention by perforating a sink ball (S) made of stainless material, which is relatively easy to replace, and installing a connection cover 153 to the perforated sink ball.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In the above, the configuration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based on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changes or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refore, such changes or modifications are found to belong to the appended claims.

10 : 필터 20 : 응축기
30 : 살균모듈 40 : 냉각기
50 : 유량제어부 60 : 가열기
70 : 냉수밸브 80 : 정수밸브
90 : 원수밸브 95 : 살균밸브
100 : 출수유닛 101 : 취소코크
102: 받침대 110 : 베이스
120 : 하우징 130 : 조작부
140: 고정부 150 : 커버유닛
151 : 직선커버 152 : 곡선커버
153 : 연결커버 200 : 본체
201: 필터 202: 전면커버
300 : 연결배관 310 : 온수연결배관
320 : 정수연결배관 330 : 배수연결배관
400 : 연결전선 410 : 전원연결전선
420 : 신호연결전선 430 : 연결구
440 : 하우징
10: filter 20: condenser
30: sterilization module 40: cooler
50: flow control unit 60: heater
70: cold water valve 80: water purification valve
90: raw water valve 95: sterilization valve
100: water outlet unit 101: cancellation cock
102: base 110: base
120: housing 130: operation part
140: fixing part 150: cover unit
151: straight cover 152: curved cover
153: connection cover 200: main body
201: filter 202: front cover
300: connection pipe 310: hot water connection pipe
320: water purification connection pipe 330: drainage connection pipe
400: connection wire 410: power connection wire
420: signal connection wire 430: connector
440: housing

Claims (9)

연결배관이 통과하도록 적어도 일면이 개구 형성된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의 상부에 결합되고, 취수코크가 구비되는 하우징;
을 포함하는 정수기용 출수유닛.
A base having an opening formed on at least one surface to pass the connection pipe; And
A housing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base and provided with a water intake cock;
Water outlet unit for a water purifier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취수코크가 고정되는 내측하우징 및 상기 내측하우징을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외측하우징을 포함하는 정수기용 출수유닛.
The method of claim 1,
The housing is a water outlet unit for a water purifier comprising an inner housing to which the water intake cock is fixed and an outer housing formed to surround the inner housing.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하우징은 상기 베이스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정수기용 출수유닛.
The method of claim 2,
The inner housing is a water outlet unit for a water purifier rotatably coupled to the bas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면이 개구된 형태로 구비되며,
상기 개구된 상면에는 정수기의 조작을 위한 조작부가 구비되는 정수기용 출수유닛.
The method of claim 1,
The housing is provided with an open upper surface,
A water outlet unit for a water purifier provided with an operation unit for operating the water purifier on the opened upper surfa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취수코크는 상기 하우징의 측면에 노출되고,
상기 하우징은 노출되는 취수코그가 하방을 향하도록 절곡되도록 형성되는 정수기용 출수유닛.
The method of claim 1,
The water intake cock is exposed on the side of the housing,
The housing is a water outlet unit for a water purifier formed such that the exposed water intake cog is bent downwar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수유닛은 인체감지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배관은 정수를 공급하는 정수연결배관 및 정수연결배관의 물이 배출되는 배수연결배관을 포함하며,
상기 인체감지센서의 신호에 따라 상기 정수연결배관의 물을 상기 배수연결배관으로 유동시키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정수기용 출수유닛.
The method of claim 1,
The water outlet unit further includes a human body detection sensor,
The connection pipe includes a water purification connection pipe to supply purified water and a drainage connection pipe through which water of the water purification connection pipe is discharged,
A water outlet unit for a water purifier further comprising a control unit for flowing water from the water purification connection pipe to the drain connection pipe in response to a signal from the human body detection senso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수유닛의 측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받침대를 더 포함하는 정수기용 출수유닛.
The method of claim 1,
A water outlet unit for a water purifier further comprising a pedestal detachably coupled to the side of the water outlet unit.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는 상기 출수유닛에 자력에 의하여 고정되는 정수기용 출수유닛.
The method of claim 7,
The pedestal is a water outlet unit for a water purifier fixed to the water outlet unit by magnetic for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배관은 정수연결배관 및 온수연결배관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에는 온수연결배관을 유동하는 물을 가열하기 위한 가열기가 구비되는 정수기용 출수유닛.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nection pipe further includes a purified water connection pipe and a hot water connection pipe,
A water outlet unit for a water purifier provided in the housing with a heater for heating water flowing through a hot water connection pipe.
KR1020190015078A 2019-02-08 2019-02-08 Purifier Water Discharging Unit for Purifier KR10221114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5078A KR102211141B1 (en) 2019-02-08 2019-02-08 Purifier Water Discharging Unit for Purifi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5078A KR102211141B1 (en) 2019-02-08 2019-02-08 Purifier Water Discharging Unit for Purifi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7551A true KR20200097551A (en) 2020-08-19
KR102211141B1 KR102211141B1 (en) 2021-02-02

Family

ID=722916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5078A KR102211141B1 (en) 2019-02-08 2019-02-08 Purifier Water Discharging Unit for Purifi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1141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2827B1 (en) * 2021-05-27 2023-02-08 이수산 Quantitative desalination device linked with water purifier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12903A (en) 2008-04-25 2009-10-29 웅진코웨이주식회사 Water Purifier
KR20130003534A (en) * 2011-06-30 2013-01-09 엘지전자 주식회사 Water purifier
KR101491886B1 (en) * 2012-12-14 2015-02-09 엘지전자 주식회사 Water purifier
KR20180063657A (en) * 2016-12-02 2018-06-12 주식회사 이온 Under-sink water purifier faucet and control method
KR101926095B1 (en) * 2017-08-30 2018-12-06 엘지전자 주식회사 water purifier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12903A (en) 2008-04-25 2009-10-29 웅진코웨이주식회사 Water Purifier
KR20130003534A (en) * 2011-06-30 2013-01-09 엘지전자 주식회사 Water purifier
KR101491886B1 (en) * 2012-12-14 2015-02-09 엘지전자 주식회사 Water purifier
KR20180063657A (en) * 2016-12-02 2018-06-12 주식회사 이온 Under-sink water purifier faucet and control method
KR101926095B1 (en) * 2017-08-30 2018-12-06 엘지전자 주식회사 water purifi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1141B1 (en) 2021-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07855B2 (en) Water purifier
KR20240010055A (en) Water purifier
CN107289731B (en) Water dispenser
CN109938607B (en) Water dispenser
CN207821670U (en) Desk-top Drinking fountain
KR102211141B1 (en) Purifier Water Discharging Unit for Purifier
KR20180045756A (en) Under sink type water dispenser
KR20220055532A (en) water purifier
KR102205880B1 (en) Purifier having Separated Water Discharging Unit and Controlling Method of the same
KR102205881B1 (en) Purifier having Separated Water Discharging Unit
US8367982B2 (en) Built-in cooking appliance and installation apparatus for the same
CN109549479A (en) Water treatment facilities
US20220396500A1 (en) Water purifier
CN109431408A (en) Dish-washing machine with functions/drying
CN205804531U (en) A kind of intelligent closestool
KR20210082955A (en) Seperatable module type water purifier
KR101291981B1 (en) Built-in water purifier
JP2007144363A (en) Device for purifying water
CN208301615U (en) Cleaning machine
CN215759359U (en) Integrated sink apparatus
KR200399773Y1 (en) Wall-mounted Ion Cold Water Purifier
CN105236500B (en) Purifying drinking appliance and cabinet integrated device
KR102532689B1 (en) Beverage Capsule Discharging Apparatus
CN209587256U (en) A kind of article-storable flower irrigating tap
KR20220009190A (en) Purifier including Multiple Separated Un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