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96041A - 의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의류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96041A
KR20200096041A KR1020190058241A KR20190058241A KR20200096041A KR 20200096041 A KR20200096041 A KR 20200096041A KR 1020190058241 A KR1020190058241 A KR 1020190058241A KR 20190058241 A KR20190058241 A KR 20190058241A KR 20200096041 A KR20200096041 A KR 202000960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er frame
door
windshield
frame
treatment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82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44224B1 (ko
Inventor
권용우
김규리
박주형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CN201911265766.1A priority Critical patent/CN111519407B/zh
Priority to EP20152158.0A priority patent/EP3690123B1/en
Priority to US16/776,780 priority patent/US11499262B2/en
Publication of KR202000960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6041A/ko
Priority to KR1020210050618A priority patent/KR10234644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42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42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04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D06F37/10Doors; Securing mean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30Control of wash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32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D06F33/42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of drain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8Doors; Security mean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06F39/14Doors or covers; Securing mean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3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 E05Y2900/312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for washing machines or laundry dry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전방면에 의류 투입구가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고, 의류를 수용하는 의류수용부; 상기 의류 투입구를 개폐하도록 상기 본체의 전방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는, 제1개구부를 내측에 구비하고, 상기 본체의 외측을 향하여 배치되는 아우터 프레임; 상기 제1개구부와 대응되게 위치하는 제2개구부를 내측에 구비하고, 상기 본체의 내측을 향하여 배치되며 상기 아우터 프레임의 배면에 결합되는 이너 프레임; 상기 제1개구부를 덮도록 상기 아우터 프레임에 장착되는 프런트 글라스; 및 상기 제2개구부를 덮도록 상기 이너 프레임에 장착되는 도어 윈도우를 포함하고, 상기 아우터 프레임의 외표면에 도금층이 형성되어, 의류처리장치의 고급감 및 도어의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의류처리장치{LAUNDRY TREATING APPARATUS}
본 발명은 도어의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류처리장치는 의류를 세탁하거나 건조하는 기능을 갖는 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의류처리장치는 의류의 세탁 기능과 건조 기능을 함께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의류처리장치는 의류 투입구를 구비하는 본체와, 의류 투입구를 개폐하도록 구성되는 도어와, 본체의 내부에 구비된 의류 수용부를 포함한다.
상기 도어는 도어 프레임과, 도어 프레임의 전면에 부착된 프런트 글라스와, 도어 프레임에 장착되며 의류 투입구를 통해 돌출되는 도어 윈도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어 프레임의 중앙에 기설정된 반경을 갖는 원형의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
프런트 글라스와 도어 윈도우 각각은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개구부를 덮도록 도어 프레임의 전면과 후면에 장착되어, 프런트 글라스와 도어 윈도우를 통해 의류 수용부의 내부를 들여다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의류처리장치는 프런트 글라스를 통해 도어 프레임의 형상 및 구조가 육안으로 적나라하게 보여짐으로 인해, 도어 프레임의 외관은 의류처리장치의 전체적인 디자인에 영향을 크게 미치게 되었고, 도어 프레임의 외관은 의류처리장치의 고급감을 결정짓는데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또한, 프런트 글라스와 도어 윈도우가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어, 도어 프레임은 그 주변과의 경계가 모호해지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한 것으로서, 도어 프레임의 외관을 미려하게 하여 고급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데 첫번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어 프레임과 그 주변의 경계를 시각적으로 명확하게 구분할 수 있도록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데 두번째 목적이 있다.
상술한 첫번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전방면에 의류 투입구가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고, 의류를 수용하는 의류수용부; 상기 의류 투입구를 개폐하도록 상기 본체의 전방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는, 상기 본체의 외측을 향하여 배치되는 아우터 프레임; 상기 본체의 내측을 향하여 배치되며 상기 아우터 프레임의 배면에 결합되는 이너 프레임; 상기 아우터 프레임에 장착되는 프런트 글라스; 및 상기 이너 프레임에 장착되는 도어 윈도우를 포함하고, 상기 아우터 프레임의 외표면에 도금층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도금층은 크롬 도금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아우터 프레임은, 링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프런트 글라스가 부착되는 평면부; 및 상기 평면부의 내측 원주에서 상기 도어 윈도우의 외측 원주를 향해 원호 형상으로 연장되는 곡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프런트 글라스는 원판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프런트 글라스는, 빛을 투과시키며, 상기 평면부의 일부와 상기 곡면부에 형성된 도금층을 외부로 노출시키는 투광 영역; 및 상기 투광 영역을 감싸도록 형성되어, 상기 평면부의 다른 일부를 가리는 불투광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평면부는, 상기 불투광 영역에 의해 가려지게 형성되는 가림부; 및 상기 가림부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투광 영역을 통해 노출되는 비가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아우터 프레임와 상기 이너 프레임 각각은 내측에 개구부를 구비하여 링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의 중심은 상기 아우터 프레임과 상기 이너 프레임 각각의 중심보다 위쪽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평면부의 반경방향 길이는 상기 곡면부의 반경방향 길이보다 더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평면부의 반경방향 길이는 상기 불투광 영역의 반경방향 길이보다 더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아우터 프레임의 중심을 수평방향으로 지나는 수평중심선을 기준으로 하부에 위치하는 상기 가림부의 하부는 상기 가림부의 상부보다 반경방향의 길이가 더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아우터 프레임의 중심을 수평방향으로 지나는 수평중심선을 기준으로 상부에 위치하는 상기 비가림부의 상부는 상기 비가림부의 하부보다 반경방향의 길이가 더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아우터 프레임의 중심을 수평방향으로 지나는 수평중심선을 기준으로 하측에 위치하는 상기 곡면부의 하부는 곡률이 상기 곡면부의 상부보다 더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아우터 프레임의 중심을 수평방향으로 지나는 수평중심선을 기준으로 하측에 위치하는 상기 곡면부의 하부는 상기 투광영역을 통해 노출되는 도금층의 면적이 상기 곡면부의 상부보다 더 넓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평면부에 접착제 충전홈이 형성되고, 상기 불투광 영역은 상기 접착제 충전홈을 덮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아우터 프레임의 중심을 수평방향으로 지나는 수평중심선을 기준으로 상부에 위치하는 상기 가림부의 하측에 복수의 물빠짐 홀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투광 영역을 통해 투과되는 빛은 아우터 프레임에 형성된 도금층에 의해 사용자의 눈으로 반사되며, 불투광 영역은 투광 영역의 외측 경계를 원형으로 형성함으로써, 투광 영역을 통해 도금층으로부터 반사되는 빛은 사용자로 하여금 마치 커다란 원형의 물방울로 보이게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둘째, 아우터 프레임의 표면에 도금된 도금층은 사용자에게 고급감을 줄 뿐만 아니라, 프런트 글라스의 불투광 영역은 도어 프레임과 그 주변의 경계를 명확히 구분함으로써, 도어의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셋째, 아우터 프레임의 전면 하측은 평면부의 반경방향 폭이 아우터 프레임의 전면 상측에 비해 더 넓고, 곡면부의 하측은 곡률이 곡면부의 상측보돠 더 완만하게 형성되어, 사용자에게 노출되는 도금층의 면적을 더욱 증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도어를 전방에서 바라본 모습을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도어를 분해한 모습을 보여주는 분해도이다.
도 4는 도어가 의류 투입구를 닫도록 의류 투입구에 장착된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서 본체를 삭제한 후 도어만을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6은 도 5에서 프런트 글라스를 삭제한 후 아우터 프레임을 정면에서 바라본 모습을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서 VII-VII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에서 "VIII"를 확대하여 아우터 프레임의 상측 평면부 및 상측 곡면부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9는 도 7에서 "IX"를 확대하여 아우터 프레임의 하측 평면부 및 하측 곡면부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의류처리장치는 본체(10), 터브, 드럼 및 도어(1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체(10)는 의류처리장치의 외형을 형성할 수 있다. 본체(10)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체(10)는 의류 투입구(102)가 형성된 전면 패널(101), 후면 패널, 측면 패널 및 상면 패널, 하면 패널로 구성될 수 있다.
후면 패널과 좌우 양측의 측면 패널은 한 개의 플레이트를 “ㄷ”자 형태로 벤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전면 패널(101)에 의류 투입구(102)가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의류 투입구(102)는 전면 패널(101)에 관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전면 패널(101)에 리세스부(103)가 의류 투입구를 감싸도록 본체(10)의 내측을 향해 함몰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의류 투입구(102)는 전면 패널(101)에서 본체(10)의 내부공간을 향해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도어(12)의 일부는 리세스부(103)에 수용될 수 있다.
의류 투입구(102)에 도어(12)가 회전 가능하게 힌지(25)로 결합되어, 의류 투입구(102)를 개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체(10)의 내부에 의류수용부가 구비될 수 있다. 의류수용부는 건조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드럼을 구비하거나 세탁과 건조 기능을 함께 수행하기 위해 터브와 드럼을 구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세탁과 함께 건조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본체(10)의 내부에 터브가 구비될 수 있다. 터브는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터브의 내부에 세탁수를 저장할 수 있다.
터브의 전단부에 가스켓이 의류 투입구(102)와 연통되게 설치되어, 터브 내부에 저장된 세탁수가 본체(10)의 수용공간으로 누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터브의 내부에 드럼은 터브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드럼의 전방에 개구부가 형성되어, 의류 투입구(102)와 연통되게 연결되고, 의류 투입구(102)를 통해 드럼 내부에 의류가 수용될 수 있다.
터브의 후면에 구동모터가 설치되고, 구동모터는 드럼의 후면에 회전축으로 연결되어, 구동모터가 가동됨에 따라 회전축을 통해 구동모터의 동력이 드럼에 전달됨으로, 드럼이 회전될 수 있다.
드럼은 내부에 복수의 리프터를 구비하여, 드럼 내부에 수용된 의류를 회전시킴으로, 세탁 및 건조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드럼의 원주면에 복수의 관통홀이 형성되어, 세탁수 등과 같은 유체가 복수의 관통홀을 통해 드럼 내부에 출입할 수 있다.
컨트롤 유닛(11)은 사용자에게 의류처리장치에서 처리되는 행정과 관련된 정보를 표시하고, 사용자의 조작을 입력받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컨트롤 유닛(11)은 시각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컨트롤 유닛(11)은 조작을 입력받기 위한 원형의 노브 및 복수의 버튼을 구비할 수 있다.
컨트롤 유닛(11)은 본체(10)에 구비되거나 도어(12)에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컨트롤 유닛(11)이 본체(10)의 전면 패널(101) 상측에 위치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도 2는 도 1에서 도어(12)를 전방에서 바라본 모습을 보여주는 정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도어(12)를 분해한 모습을 보여주는 분해도이고, 도 4는 도어(12)가 의류 투입구(102)를 닫도록 의류 투입구(102)에 장착된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에서 본체를 삭제한 후 도어(12)만을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어(12)는 도어 프레임(13), 도어 윈도우(23), 프런트 글라스(20), 힌지 유닛(24) 및 로킹 유닛(30)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어 프레임(13)은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어 프레임(13)은 아우터 프레임(14; outer frame)과 이너 프레임 (19; inner frame)으로 구성될 수 있다. 아우터 프레임(14)과 이너 프레임(19)은 합성수지 재질(예를 들어, ABS 재질, PC 재질 등)로 형성될 수 있다.
아우터 프레임(14)과 이너 프레임(19) 각각은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질 경우에 사출 성형에 의해 제작될 수 있다.
아우터 프레임(14)과 이너 프레임(19) 각각은 링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서로 전후방향으로 중첩 배치되어 체결될 수 있다. 아우터 프레임(14)과 이너 프레임(19) 각각은 외주부에 후크(36)를 구비하여 서로 맞물리게 체결될 수 있다.
아우터 프레임(14)과 이너 프레임(19)은 도어(12)가 닫힌 상태를 기준으로 아우터 프레임(14)은 본체(10)의 바깥쪽을 향하고, 이너 프레임(19)은 본체(10)의 내측을 향하여 배치됨으로 명명된 것이다. 아우터 프레임(14)은 제1프레임으로 명명되고, 이너 프레임(19)은 제2프레임으로 명명될 수 있다.
아우터 프레임(14)과 이너 프레임(19) 각각의 내측에 원형의 개구부(18)가 서로 대응되게 형성하고, 개구부(18)는 아우터 프레임(14)과 이너 프레임(19) 각각의 중심(C2)에서 편심되게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개구부(18)의 중심(C1)이 아우터 프레임(14)과 이너 프레임(19) 각각의 중심(C2)보다 위쪽에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아우터 프레임(14)과 이너 프레임(19) 각각은 원주방향을 따라 폭이 달라질 수 있다. 즉, 아우터 프레임(14)과 이너 프레임(19) 각각의 외측 직경과 내측 직경(개구부(18) 직경) 사이의 거리(폭)가 최상단에서 최하단으로 갈수록 증가하도록(넓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드럼의 중심은 본체(10)의 높이 중심(1/2)보다 높게 배치될 수 있다.
드럼은 회전에 의한 미세한 진동을 차치하고 본체(10)의 높이방향으로 고정되어 있다.
소비자들은 본체(10)을 전방에서 바라볼 때 세탁기의 동일 용량 및 크기 대비 도어(12)의 크기가 큰 것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
또한, 소비자들은 도어(12)를 통해 드럼의 내부를 들여다볼 수 있고, 가능하면 드럼의 내부공간에 대하여 넓은 시야를 확보하는 것을 선호한다.
상술한 소비자들의 니즈(needs)를 만족시키기 위해, 드럼의 위치가 고정된 상태에서 도어(12)의 크기를 크게 하려면, 도어(12)는 아래 방향으로 커져야 한다. 도어 프레임(13)의 중심은 의류 투입구(102) 또는 개구부(18)의 중심보다 아래쪽으로 이동되어야 한다. 마찬가지로, 도어 프레임(13)은 개구부(18)와 대응되게 위치하는 도어 윈도우(23)에 대하여 하방향으로 중심 이동될 수 있다.
또한, 도어(12)의 크기를 크게 하려면, 도어(12)의 일부는 리세스부(103)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며, 도어(12)의 직경이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프런트 글라스(20)는 기설정된 반경을 갖는 완전한 원형으로 형성된다. 프런트 글라스(20)는 유리 재질로 형성된다. 따라서, 프런트 글라스(20)는 전면과 배면이 평평하게 형성된다.
프런트 글라스(20)는 두께가 일정한 원판 형태로 형성되어, 상하좌우 어디에서 바라보아도 굴곡 없이 형성된다.
이처럼, 유리 재질의 프런트 글라스(20)가 완전한 원형 형태로 전면과 배면이 평평하게 형성됨으로써, 불완전한 원형 형태로 전면이 볼록하게 형성되었던 합성수지 재질의 기존의 도어커버 대비, 도어(12)의 고급감이 향상될 수 있다.
프런트 글라스(20)는 도어 프레임(13)의 개구부(18)를 덮도록 배치될 수 있다. 아우터 프레임(14)의 전면에 프런트 글라스(20)가 실런트(sealant) 또는 접착제 등에 의해 접착될 수 있다.
유리재질의 특성상 프런트 글라스(20)에 체결홀을 뚫으면 깨지기 쉬우므로, 유리의 깨짐을 방지하기 위해 프런트 글라스(20)는 접착제 등을 이용하여 아우터 프레임(14)에 부착된다.
한편, 프런트 글라스(20)는 유리재질로 도어(12)의 전체 하중 대비 상대적으로 큰 하중을 차지한다. 프런트 글라스(20)의 하중을 지지하기 위해, 아우터 프레임(14)의 전면에 프런트 글라스(20)의 장착을 위한 장착 가이드(34)가 구비된다.
특히, 프런트 글라스(20)는 강화유리를 구성될 수 있다. 강화 유리의 특성상 프런트 글라스(20)는 전면과 후면이 강도가 세지만, 프런트 글라스(20)의 측면인 원형의 외주면의 강도가 취약한 단점이 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장착 가이드(34)는 프런트 글라스(20)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아우터 프레임(14)의 전면 외주단에서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프런트 글라스(20)의 하중을 지지할 뿐만 아니라, 프런트 글라스(20)의 측면을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장착 가이드(34)의 돌출 길이는 프런트 글라스(20)의 두께 대비 적어도 2/3 정도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런트 글라스(20)의 외주면에서 직경방향으로 절단된 두께면 상에 직선부(202)와 복수의 곡선부(201,203)가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곡선부(201,203)는 프런트 글라스(20)의 전방면과 연결되는 제1곡선부(201)와, 프런트 글라스(20)의 후방면에 연결되는 제2곡선부(203)로 구성될 수 있다. 직선부(202)의 양측은 제1 및 제2곡선부(201,203) 사이에 배치되어 복수의 곡선부(201,203)와 각각 연결된다. 제1곡선부(201), 직선부(202) 및 제2곡선부(203) 각각은 프런트 글라스(20)의 두께 대비 1/3일 수 있다.
장착 가이드(34)는 프런트 글라스(20)의 제2곡선부(203)와 직선부(202)를 덮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아우터 프레임(14)의 전면 테두리부에서 장착 가이드(34)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장착 가이드(34)는 링 형태로 연장되어, 내부에 프런트 글라스(20)가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한다.
장착 가이드(34)는 프런트 글라스(20)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장착 가이드(34)는 기설정된 내경을 가지며, 완전한 원형을 이룬다. 장착 가이드(34)의 내경은 프런트 글라스(20)의 외경에 대응될 수 있다.
장착 가이드(34)는 프런트 글라스(20)의 전면과 동일 평면을 형성하도록 일정한 길이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장착 가이드(34)와 프런트 글라스(20) 간의 단차가 없어짐으로 보다 심플한 외관이 구현될 수 있다.
프런트 글라스(20)의 내측과 외측에 각각 투광 영역(21)과 불투광 영역(22)이 형성될 수 있다.
투광 영역(21)은 빛의 적어도 일부가 투과하도록 구성되어, 반대편 내지 내부가 보이도록 이루어지는 영역을 의미한다. 따라서, 투광 영역(21)은 반투광 영역(21)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투광 영역(21)은 아우터 프레임(14)의 개구부(18), 이너 프레임(19)의 개구부(18) 및 도어 윈도우(23)에 대응되게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도어(12)가 닫힌 상태에서 사용자는 투광 영역(21)을 통해 의류수용부를 들여다볼 수 있다.
투광 영역(21)의 중심은 아우터 프레임(14)과 이너 프레임(19) 각각의 개구부(18)의 중심(C1)에 대응되는 위치에 위치한다. 여기서, 대응되는 위치라 함은 중심의 완전한 일치뿐만 아니라, 중심의 편심방향이 같은 것을 포함한다. 다시 말해서, 투광 영역(21)의 중심과 개구부(18)의 중심(C1)은 일치할 수도 있고, 투광 영역(21)의 편심된 방향이 개구부(18)의 편심된 방향과 같을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개구부(18)의 중심(C1)이 도어 프레임(13)의 중심으로부터 상측(12시 방향)으로 편심되게 위치하고, 이에 대응하여 투광 영역(21)의 중심도 프런트 글라스(20)의 중심으로부터 상측(12시 방향)으로 편심되게 위치한 것을 보여준다. 이때, 투광 영역(21)의 중심과 개구부(18)의 중심(C1)은 일치할 수도 있다.
불투광 영역(22)은 투광 영역(21)을 감싸도록 형성되고, 불투광 영역(22)은 빛을 투과시키지 않고 유리 자체가 검정색으로 보일 수 있다.
불투광 영역(22)은 도어 프레임(13)의 개구부(18) 및 도어 프레임(13)의 일부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덮어 가리도록 배치될 수 있다.
투광 영역(21)과 이를 감싸는 불투광 영역(22)은 불투광 영역(22)에 의해 두 영역 사이의 경계선이 명확하게 구분될 수 있다.
또는, 망점(halftone) 기법을 통하여 투광 영역(21)과 불투광 영역(22)의 경계를 흐리게 함으로써, 투광 영역(21)에서 불투광 영역(22)으로의 이동이 시각적으로 넘어가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불투광 영역(22)은 투광 영역(21)의 주변에 형성되는 복수의 차폐도트들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차폐도트들은 투광 영역(21)으로 갈수록 밀도가 낮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아우터 프레임(14)은 평면부(15)와 곡면부(16)로 구성될 수 있다.
평면부(15)는 프런트 글라스(20)의 후면과 접촉되며, 평면부(15)의 일부는 불투광 영역(22)과 중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평면부(15)에 접착제가 도포되어, 프런트 글라스(20)가 평면부(15)에 접착될 수 있다.
곡면부(16)는 평면부(15)의 내측단에서 후방을 향하여 기설정된 곡률의 원호 형상으로 휘어지게 형성될 수 있다. 평면부(15)의 내측 부분과 곡면부(16)는 투광 영역(21)의 외측 가장자리부와 중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곡면부(16)의 반경방향 내측으로 개구부(18)가 형성될 수 있다.
평면부(15)의 최외곽부에 원주방향을 따라 장착 가이드(34)가 평면부(15)보다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아우터 프레임(14)의 장착 가이드는 프런트 글라스(20)의 외측 테두리를 감싸도록 구성되어 프런트 글라스(20)의 외측 테두리가 아우터 프레임(14)의 평면부(15)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우터 프레임(14)의 전면과 외주면에 도금층(17)이 크롬 도금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아우터 프레임(14)은 크롬 도금액에 완전히 침지되어, 크롬 도금이 이루어짐으로써, 아우터 프레임(14)의 전체 표면에 도금층(17)이 형성될 수 있다.
이너 프레임(19)은 크롬 도금액에 완전히 침지되어, 크롬 도금이 이루어짐으로써, 이너 프레임(19)의 전체 표면에 도금층(17)이 형성될 수 있다.
도금층(17)은 은색 광택의 금속 색깔을 아우터 프레임(14)에 입히도록 구성된다. 이에 의하면, 도금층(17)은 밝은 은색에 의해 원형의 물방울처럼 보이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도금층(17)은 육안으로 볼 때 고급감 등의 감성을 불러일으킬 수 있다.
도어 윈도우(23)는 도어(12)가 닫힌 상태에서 의류 투입구(102)에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어 윈도우(23)는 이너 프레임(19)의 개구부(18)에 대응되도록 도어 프레임(13)에 설치될 수 있다.
도어 윈도우(23)는 투명한 재질, 예를 들면 투광성을 갖는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되어, 도어 윈도우(23)를 통해 드럼 등 의류수용부의 내부공간을 육안으로 볼 수 있다. 도어 윈도우(23)는 합성재질에 한정되지 않고 유리재질로도 형성될 수 있다.
아우터 프레임(14)과 이너 프레임(19) 사이에 도어 윈도우(23)의 외곽부가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도어 윈도우(23)의 외곽부는 평면 형태로 이루어지고, 아우터 프레임(14)의 곡면부(16)의 후단과 이너 프레임(19)의 내측단 사이에 배치되어 고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어(12)가 닫힘 상태에서 도어 프레임(13)의 일부는 리세스부(103)에서 전방을 향해 돌출되고, 도어 프레임(13)의 다른 일부는 리세스부(103)에 수용되게 설치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아우터 프레임(14)의 평면부(15)는 리세스부(103)에서 전방으로 돌출되고, 아우터 프레임(14)의 곡면부(16)의 후단부는 리세스부(103)의 내측에 수용될 수 있다.
이너 프레임(19)의 외주부의 전방부는 리세스부(103)에서 외측 전방으로 돌출되고, 이너 프레임(19)의 외주의 후방부는 리세스부(103)에 수용될 수 있다.
프런트 글라스(20)는 리세스부(103)로부터 외측 전방으로 이격되며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도어(12)는 힌지 유닛(24)에 의해 본체(10)에 대하여 전후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힌지 유닛(24)은 힌지(25), 힌지 홀더(28) 및 부시(29)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힌지(25)는 본체(10)에 고정되고, 도어 프레임(13)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힌지(25)는 본체(10)에 결합되는 플레이트 형태의 베이스부(26)와, 베이스부(26)로부터 돌출되어 도어 프레임(13)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 결합부(27)를 구비할 수 있다. 회전 결합부(27)는 복수 개로 구비되어 상하방향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힌지 홀더(28)는 도어 프레임(13)에 결합되어 회전 결합부(27)를 지지하여, 회전 결합부(27)가 도어 프레임(13)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부시(29)는 회전 결합부(27)의 회전축에 삽입되어, 회전축이 원활하게 회전될 수 있도록 한다.
도어(12)의 일측에 힌지 유닛(24)이 장착되고, 도어(12)의 타측에 로킹 유닛(30)이 구비될 수 있다. 로킹 유닛(30)은 도어(12)를 본체(10)에 잠금 또는 잠금해제하도록 구성된다.
로킹 유닛(30)은 샤프트(31), 도어 래치(32; door latch) 및 스프링(33)을 포함할 수 있다.
샤프트(31)는 도어 래치(32)를 관통하도록 구성되어, 도어 프레임(13)에 장착될 수 있다. 스프링(33)은 도어 래치(32)의 회전 시 원복 가능하도록 탄성력을 갖는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도어 래치(32)는 도어 프레임(13)에 회전 및 원복 가능하게 구성되어, 도어(12)를 본체(10)에 잠금 또는 잠금해제할 수 있다.
이너 프레임(19)의 후면 상측에 손잡이(35)가 함몰되게 형성되어, 사용자가 손잡이(35)를 잡아당김으로 도어(12)를 개방할 수 있다.
이너 프레임(19)의 후면은 곡면 형태로 후방으로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너 프레임(19)의 후면 상측 또는 측면에 손잡이(35)가 형성될 수 있다. 도어(12)가 닫힌 상태에서 손잡이(35)는 본체(10)의 전방에서 바라볼 때 오른쪽 상부, 즉 1시에서 3시 방향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손잡이(35)는 이너 프레임(19)의 볼록하게 형성된 후면에서 전방으로 함몰되게 형성될 수 있다. 손잡이(35)는 이너 프레임(19)의 후면에서 원주방향의 일부 구간을 따라 원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손잡이(35)는 이너 프레임(19)의 외주부(손잡이(35) 이외의 다른 부분)에 비해 두께가 얇고 평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도어(12) 닫힘 시 본체(10)의 전방에서 볼 때 손잡이(35)가 이너 프레임(19)의 후면 외주부에 비해 전방으로 함몰되며 평면 형태로 형성됨으로, 도어(12)가 닫힘 상태에서 사용자의 손을 손잡이(35)로 집어넣기가 용이하고, 손잡이(35)의 위치에 대한 식별이 용이하다.
도 6은 도 5에서 프런트 글라스(20)를 삭제한 후 아우터 프레임(14)을 정면에서 바라본 모습을 보여주는 정면도이고, 도 7은 도 6에서 VII-VII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7에서 "VIII"를 확대하여 아우터 프레임(14)의 상측 평면부 및 상측 곡면부를 보여주는 개념도이고, 도 9는 도 7에서 "IX"를 확대하여 아우터 프레임(14)의 하측 평면부 및 하측 곡면부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아우터 프레임(14)은 평면부(15)와 곡면부(16)로 구성될 수 있다.
평면부(15)는 아우터 프레임(14)의 외측에 수직하게 배치되는 평판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평면부(15)는 아우터 프레임(14)의 원주방향을 따라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프런트 글라스(20)를 향하는 평면부(15)의 전면에 접착제 충전홈(37)이 링 형태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접착제가 접착제 충전홈(37)에 수용되며, 프런트 글라스(20)의 후면은 접착제에 의해 평면부(15)에 접착될 수 있다.
접착제가 접착제 충전홈(37)에 충전될 때 접착제 충전홈(37)의 외측 또는 내측으로 넘칠 수 있다. 접착제 충전홈(37)으로부터 넘치는 접착제를 수용하기 위해, 접착제 충전홈(37)의 내측과 외측에 각각 접착제 넘침홈(38)이 링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접착제 충전홈(37) 및 접착제 넘침홈(38)은 평면부(15)의 외측에 형성되고, 프런트 글라스(20)의 불투광 영역(22)은 평면부(15)의 접착제 충전홈(37) 및 접착제 넘침홈(38)을 덮도록 배치될 수 있다.
평면부(15)의 하측에 복수의 물빠짐 홀이 두께방향으로 관통 형성되어, 프런트 글라스(20)의 후면과 아우터 프레임(14)의 전면 사이에 형성되는 물 또는 습기가 물빠짐 홀(39)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너 프레임(19)의 하단부에 물 배출홀(40)이 전면 패널(101)을 향해 관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물 배출홀(40)은 복수의 물빠짐 홀(39)과 도어(12)의 외부에 연통되게 연결되고, 물빠짐 홀(39)에서 배출된 물 또는 습기가 물 배출홀(40)을 통해 도어(12)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곡면부(16)는 평면부(15)의 내측에 구비되고, 평면부(15)의 내측에서 이너 프레임(19)의 개구부(18)를 향해 기설정된 곡률을 가지며 곡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금층(17)은 아우터 프레임(14)의 전면 및 후면에 모두 형성될 수 있다. 도금층(17)은 평면부(15)와 곡면부(16)에 형성될 수 있다.
프런트 글라스(20)의 불투광 영역(22)은 본체(10)의 전방에서 바라볼 때 평면부(15)의 외측을 덮도록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평면부(15)는 곡면부(16)에 비해 반경방향으로의 길이가 더 길게 형성될 수 있다.
평면부(15)의 하측은 평면부(15)의 상측보다 폭(반경방향으로의 거리)이 더 넓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평면부(15)의 하측은 60mm이고(도 8 참조), 평면부(15)의 상측은 45mm일 수 있다(도 9 참조).
평면부(15)의 하측에 물빠짐 홀(39)이 형성될 수 있다. 물빠짐 홀(39)은 접착제 충전홈(37) 및 넘침홈(38)보다 더 높게 위치할 수 있다. 물빠짐 홀(39)은 접착제 충전홈(37) 또는 접착제 넘침홈(38)의 내측에 배치된다.
불투광 영역(22)의 하측은 불투광 영역(22)의 상측보다 반경방향의 폭이 더 넓게 형성된다. 불투광 영역(22)은 평면부에 형성된 접착제 충전홈(37) 및 접착제 넘침홈(38)을 가리도록 배치된다. 불투광 영역(22)은 물빠짐 홀(39)을 가리도록 배치된다.
프런트 글라스(20)의 투광 영역(21)은 본체(10)의 전방에서 바라볼 때 평면부(15)의 내측과 곡면부(16)를 덮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아우터 프레임(14)의 평면부(15) 내측과 곡면부(16)에 형성된 도금층(17)은 투명한 프런트 글라스(20)를 통해 육안으로 보인다. 사용자는 도금층(17)에 반사된 빛을 봄으로써, 의류처리장치의 고급감을 향상시키며, 도어의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평면부(15)는 불투광 영역(22)에 의해 가려지는 가림부(151)와 불투광 영역(22)에 의해 가려지지 않는 비가림부(152)로 나뉠 수 있다. 비가림부(152)는 투광 영역(21)을 통해 육안으로 보여지는 부분이다.
가림부(151)와 비가림부(152) 각각은 평면부(15)의 원주방향을 따라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가림부(151)는 평면부(15)의 상단에서 평면부(15)의 하단으로 갈수록 폭이 넓게 형성된다. 왜냐하면, 평면부(15)의 하측에 물빠짐 홀(39)이 형성되기 때문이다. 가림부(151)의 상측은 20mm이고, 가림부(151)의 하측은 50mm일 수 있다. 물론 가림부(151)의 치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도어(12)의 크기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비가림부(152)는 평면부(15)의 상단에서 평면부(15)의 하단으로 갈수록 폭이 좁게 형성될 수 있다. 비가림부(152)의 상측은 20mm이고, 비가림부(152)의 하측은 10mm일 수 있다.
성인의 경우 본체(10)의 높이 및 위치에 따라 본체(10)은 사용자의 키보다 낮기 때문에, 사용자는 본체(10)의 전방에 선 상태로 도어(12)를 바라볼 때 시선이 하방향으로 비스듬히 향한다.
이와 같이 사용자의 시선이 도어(12)를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이루어지는 점과, 평면부(15)가 수직하게 배치되고, 곡면부(16)는 평면부(15)의 내측단에서 후방 수평방향을 향해 곡면 형태로 휘어지게 형성되는 아우터 프레임(14)의 구조적인 특성을 고려할 때, 투광 영역(21)을 통해 육안으로 보이는 평면부(15)의 면적은 곡면부(16)에 비해 작다. 특히, 사용자가 도어(12)와 가까워질수록 평면부(15)의 면적은 곡면부(16)보다 극히 작게 보인다.
또한, 사용자가 선 상태에서 도어(12)를 바라볼 때, 곡면부(16)의 상측은 평면부(15)에 의해 대부분이 가려지므로, 곡면부(16)의 하측은 투광 영역(21)을 통해 육안으로 보이는 부분의 면적이 곡면부(16)의 상측에 비해 더 크다.
또한, 사용자의 시선을 고려하면, 곡면부(16)의 하측을 곡면부(16)의 상측보다 더 넓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곡면부(16)의 하측은 곡면부(16)의 상측보다 곡률이 더 작게(완만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곡면부(16)의 상측의 폭은 25mm이고(도 8 참조), 곡면부(16)의 하측의 폭은 40mm이다(도 9 참조).
아우터 프레임(14)의 전면 상측(12시 방향)은 평면부(15)(45mm)와 곡면부(16)(20mm) 반경방향의 폭의 합으로 65mm이고, 아우터 프레임(14)의 전면 하측(6시 방향)은 평면부(15)(60mm)와 곡면부(16)(40mm)의 폭의 합으로 100mm일 수 있다.
프런트 글라스(20)의 불투광 영역(22)의 직경이 평면부(15)의 직경과 대응되게(동일 내지 유사하게) 형성되나, 투광 영역(22)의 폭은 평면부(15)의 폭보다 크기가 작게 형성될 수 있다.
프런트 글라스(20)의 투광 영역(21)은 직경이 평면부(15)의 직경보다 작고 곡선부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아우터 프레임(14)의 전면 상측(12시방향)에서 이너 프레임의 평면부(15)(45mm) 중 프런트 글라스(20)의 불투광 영역(22)에 대응되는 평면부(15)의 폭은 20mm이다.
이너 프레임의 전면 하측(6시방향)에서 이너 프레임의 평면부(15)(60mm) 중 프런트 글라스(20)의 불투광 영역(22)에 대응되는 평면부(15)의 폭은 50mm이다.
프런트 글라스(20)의 투광 영역(21)을 통해 평면부(15)와 곡면부(16)의 도금층(17)이 노출되는 영역은 프런트 글라스(20)를 전방에서 바라볼 때 아우터 프레임(14)의 전면 상측에서 45mm 이고, 아우터 프레임(14)의 전면 하측에서 50mm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사용자는 성인 기준으로 키가 본체의 높이보다 커서, 프런트 글라스(20)의 상부에서 바라볼 때, 아우터 프레임(14)의 하측은 육안으로 프런트 글라스(20)를 통해 볼 수 있는 도금층(17)의 면적이 아우터 프레임(14)의 상측보다 더 넓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투광 영역(21)을 통해 투과되는 빛은 아우터 프레임(14)에 형성된 도금층(17)에 의해 사용자의 눈으로 반사되며, 불투광 영역(22)은 투광 영역(21)의 외측 경계를 원형으로 형성함으로써, 투광 영역(21)을 통해 도금층(17)으로부터 반사되는 빛은 사용자로 하여금 마치 커다란 원형의 물방울로 보이게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아우터 프레임(14)의 표면에 도금된 도금층(17)은 사용자에게 고급감을 줄 뿐만 아니라, 도어(12)의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아우터 프레임(14)의 전면 하측은 평면부(15)의 반경방향 폭이 아우터 프레임(14)의 전면 상측에 비해 더 넓게 형성되어, 사용자에게 노출되는 도금층(17)의 면적을 더욱 증가시킬 수 있다.
10 : 본체 101 : 전면 패널
102 : 의류 투입구 103 : 리세스부
11 : 컨트롤 유닛 12 : 도어
13 : 도어 프레임 14 : 아우터 프레임
15 : 평면부 16 : 곡면부
17 : 도금층 18 : 개구부
19 : 이너 프레임 20 : 프런트 글라스
201 : 제1곡선부 202 : 직선부
203: 제2곡선부 21 : 투광 영역
22 : 불투광 영역 23 : 도어 윈도우
24 : 힌지 유닛 25 : 힌지
26 : 베이스부 27 : 회전 결합부
28 : 힌지 홀더 29 : 부시
30 : 로킹 유닛 31 : 샤프트
32 : 도어 래치 33 : 스프링
34 : 장착 가이드 35 : 손잡이
36 : 후크 37 : 접착제 충전홈
38 : 접착제 넘침홈 39 : 물빠짐 홀
40 : 물 배출홀

Claims (14)

  1. 전방면에 의류 투입구가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고, 의류를 수용하는 의류수용부;
    상기 의류 투입구를 개폐하도록 상기 본체의 전방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는,
    상기 본체의 외측을 향하여 배치되는 아우터 프레임;
    상기 본체의 내측을 향하여 배치되며 상기 아우터 프레임의 배면에 결합되는 이너 프레임;
    상기 아우터 프레임에 장착되는 프런트 글라스; 및
    상기 이너 프레임에 장착되는 도어 윈도우를 포함하고,
    상기 아우터 프레임의 외표면에 도금층이 형성되는 의류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금층은 크롬 도금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우터 프레임은,
    링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프런트 글라스가 부착되는 평면부; 및
    상기 평면부의 내측 원주에서 상기 도어 윈도우의 외측 원주를 향해 원호 형상으로 연장되는 곡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프런트 글라스는 원판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프런트 글라스는,
    빛을 투과시키며, 상기 평면부의 일부와 상기 곡면부에 형성된 도금층을 외부로 노출시키는 투광 영역; 및
    상기 투광 영역을 감싸도록 형성되어, 상기 평면부의 다른 일부를 가리는 불투광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평면부는,
    상기 불투광 영역에 의해 가려지게 형성되는 가림부; 및
    상기 가림부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투광 영역을 통해 노출되는 비가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우터 프레임와 상기 이너 프레임 각각은 내측에 개구부를 구비하여 링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의 중심은 상기 아우터 프레임과 상기 이너 프레임 각각의 중심보다 위쪽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평면부의 반경방향 길이는 상기 곡면부의 반경방향 길이보다 더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평면부의 반경방향 길이는 상기 불투광 영역의 반경방향 길이보다 더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아우터 프레임의 중심을 수평방향으로 지나는 수평중심선을 기준으로 하부에 위치하는 상기 가림부의 하부는 상기 가림부의 상부보다 반경방향의 길이가 더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아우터 프레임의 중심을 수평방향으로 지나는 수평중심선을 기준으로 상부에 위치하는 상기 비가림부의 상부는 상기 비가림부의 하부보다 반경방향의 길이가 더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1.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아우터 프레임의 중심을 수평방향으로 지나는 수평중심선을 기준으로 하측에 위치하는 상기 곡면부의 하부는 곡률이 상기 곡면부의 상부보다 더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2.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아우터 프레임의 중심을 수평방향으로 지나는 수평중심선을 기준으로 하측에 위치하는 상기 곡면부의 하부는 상기 투광 영역을 통해 노출되는 도금층의 면적이 상기 곡면부의 상부보다 더 넓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3.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평면부에 접착제 충전홈이 형성되고,
    상기 불투광 영역은 상기 접착제 충전홈을 덮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4.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아우터 프레임의 중심을 수평방향으로 지나는 수평중심선을 기준으로 상부에 위치하는 상기 가림부의 하측에 복수의 물빠짐 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KR1020190058241A 2019-02-01 2019-05-17 의류처리장치 KR1022442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911265766.1A CN111519407B (zh) 2019-02-01 2019-12-11 衣物处理装置
EP20152158.0A EP3690123B1 (en) 2019-02-01 2020-01-16 Laundry treating apparatus comprising a door
US16/776,780 US11499262B2 (en) 2019-02-01 2020-01-30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1020210050618A KR102346446B1 (ko) 2019-02-01 2021-04-19 의류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0014065 2019-02-01
KR1020190014065 2019-02-01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0618A Division KR102346446B1 (ko) 2019-02-01 2021-04-19 의류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6041A true KR20200096041A (ko) 2020-08-11
KR102244224B1 KR102244224B1 (ko) 2021-04-26

Family

ID=7204820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8241A KR102244224B1 (ko) 2019-02-01 2019-05-17 의류처리장치
KR1020210190173A KR102531474B1 (ko) 2019-02-01 2021-12-28 의류처리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90173A KR102531474B1 (ko) 2019-02-01 2021-12-28 의류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24422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5148B1 (ko) * 2003-12-30 2005-01-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드럼 세탁기의 도어 및 드럼 세탁기의 헤어라인을 갖는 도어의 제작방법
KR101708355B1 (ko) * 2015-11-02 2017-02-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5148B1 (ko) * 2003-12-30 2005-01-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드럼 세탁기의 도어 및 드럼 세탁기의 헤어라인을 갖는 도어의 제작방법
KR101708355B1 (ko) * 2015-11-02 2017-02-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4224B1 (ko) 2021-04-26
KR102531474B1 (ko) 2023-05-12
KR20220002834A (ko) 2022-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33380B1 (ko) 의류처리장치
KR102450183B1 (ko) 의류처리장치
KR102495594B1 (ko) 의류처리장치
EP3690128B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comprising a door
KR102346446B1 (ko) 의류처리장치
KR20220088657A (ko) 의류처리장치
CN113389022B (zh) 衣物处理装置
KR102244224B1 (ko) 의류처리장치
KR102333379B1 (ko) 의류처리장치
CN111519408B (zh) 衣物处理装置
KR20200062942A (ko) 의류처리장치
EP3690126B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comprising a door
EP3690124B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comprising a door
KR102411546B1 (ko) 의류처리장치
KR102346443B1 (ko) 의류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