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95857A - 입체음향의 공간과 거리감 통제를 위한 공간 임펄스 응답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입체음향의 공간과 거리감 통제를 위한 공간 임펄스 응답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95857A
KR20200095857A KR1020190013745A KR20190013745A KR20200095857A KR 20200095857 A KR20200095857 A KR 20200095857A KR 1020190013745 A KR1020190013745 A KR 1020190013745A KR 20190013745 A KR20190013745 A KR 20190013745A KR 20200095857 A KR20200095857 A KR 202000958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impulse response
initial
distance
envelo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37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상규
Original Assignee
박상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상규 filed Critical 박상규
Priority to KR10201900137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95857A/ko
Publication of KR202000958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585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SSTEREOPHONIC SYSTEMS 
    • H04S7/00Indicating arrangements; Control arrangements, e.g. balance control
    • H04S7/30Control circuits for electronic adaptation of the sound field
    • H04S7/305Electronic adaptation of stereophonic audio signals to reverberation of the listening sp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SSTEREOPHONIC SYSTEMS 
    • H04S2420/00Techniques used stereophonic systems covered by H04S but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S2420/11Application of ambisonics in stereophonic audio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ereophonic System (AREA)

Abstract

1.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본 발명은 입체음향의 공간감 및 거리감 제어를 위한 공간 임펄스 응답 제어 장치에 관한 것임.
2.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음원의 위치이동 시 기준 임펄스 응답의 직접음 및 초기 반사음 포락선 구간을 제어함으로써, 입체음향의 공간감 및 거리감을 제어하기 위한, 공간 임펄스 응답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음.
3.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임펄스 응답을 제어하여 음원의 거리감을 제어하는 임펄스 응답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임펄스 응답을 직접음, 초기 반사음 구간 및 후기 잔향 구간으로 분할하기 위한 임펄스 응답 분석수단; 상기 임펄스 응답 분석수단으로부터 출 력된 직접음 및 초기 반사음 구간의 포락선을 갱신하고, 갱신된 직접음 및 초기 반사음 구간의 임펄스 응답을 출력하기 위한 초기 반사음 포락선 제어수단; 상기 갱신된 직접음 및 초기 반사음 구간의 임펄스 응답과 상기 후기 잔향 구간의 임펄스응답을 합성하기 위한 임펄스 응답 합성수단; 및 상기 임펄스 응답 합성수단으로부터 출력된 합성 임펄스 응답과 상기 음 원으로부터 입력된 입체음향을 컨벌루션(convolution)하여 필터링하기 위한 필터링수단을 포함함.
4.발명의 중요한 용도
본 발명은 가상 입체 음향 환경 시스템에 이용됨.

Description

입체음향의 공간과 거리감 통제를 위한 공간 임펄스 응답 제어 장치{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Spatial ImpulseResponse for Spaciousness and Auditory DistanceControl of Stereophonic Sound}
본 발명은 공간 임펄스 응답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상 음향 환경에서 입체음향의 공간감 및 거리감을 제어하기 위한, 공간 임펄스 응답 제어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입체음향은 음원이 존재하는 공간에 직접 위치하지 않은 청취자가 재생된 음향을 들었을 때 음향으로부터 공간적인 단서(방향감, 거리감 및 공간감)를 지각할 수 있는 음향을 의미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임의의 공간에서의 임펄스 음원에 대한 임펄스 응답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청취자가 임펄스 음원(100)으로부터 전달받는 음향은 직접음(110), 초기 반사음(120) 및 후기 잔향(130)으로 구분된다.
직접음(110)은 임펄스 음원(100)으로부터 청취자에게 바로 전달되는 음으로 청취자가 음원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게 한 다. 이때, 직접음(110)이 임펄스 음원(100)으로부터 청취자에게 전달되는 시간을 초기 지연(140)이라고 정의한다.
반사음은 임펄스 음원(100)에서 발생한 소리들이 벽면이나 천정과 같은 반사면에 반사되어 직접음(110)보다 상대적으로길어진 경로를 갖고 청취자에게 전달되는 음이다. 이때, 직접음(110)이 전달되고 나서 약 50 ∼ 80ms 사이에 전달되는 반 사음을 초기 반사음(120)이라고 한다.
초기 반사음(120)은 직접음(110)이 도달한 후 빠른 시간 내에 전달되기 때문에 음향의 방향감을 변화시키지 않으면서 직 접음(110)을 보강하여 음량감을 향상시키고, 입체음향의 공간감을 잘 표현한다.
후기 잔향(130)은 직접음(110)이 발생하고 약 80ms 이후에 나타나는 반사음으로 여러 경로를 통해 전달되는 반사음이 중 첩된 것이다. 반사 때 반사면에서 에너지의 일부가 흡수되어 잔향(130)의 크기는 일반적으로 지수함수적으로 줄어든다.
한편, 청취자는 잔향이 없는 환경에서는 음원에서 발생하는 음향의 음량을 통해 입체음향의 거리감 및 공간감을 느끼고, 잔향이 있는 환경에서는 잔향 에너지의 크기 및 잔향시간(reverberation time)을 통해 입체음향의 거리감 및 공간감을 느끼게 된다.
잔향이 없는 환경에서 음원의 음량은 음원으로부터 청취자까지의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하기 때문에 청취자는 음원의 음량 이 크게 느껴질 때는 음원이 먼 거리에 있다고 느끼고, 음원의 음량이 작을 때는 음원이 가까운 거리에 있다고 느낀다.
그러나, 잔향이 있는 환경에서 입체음향으로부터 청취자가 느끼는 거리감은 음원의 음량뿐만 아니라, 직접음과 잔향 에너지의 상대적인 비율에 따라 거리감을 느끼게 된다. 직접음과 잔향에너지의 상대적인 크기가 거리에 따라 변화되는 것은 직 접음의 크기는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하여 감소하지만 잔향의 크기는 거리가 증가하여도 거의 변화가 없는 현상에 기인하 는 것이다.
잔향이 있는 환경에서 청취자에게 전달되는 직접음에 대한 반사음의 비는 음원으로부터 청취자까지의 거리에 비례하여 증 가한다. 따라서 청취자가 음원에 근접해 있을 때 잔향 에너지의 비율이 작아져 음원으로부터 거리가 감소한 것으로 느끼고, 청취자가 음원에서 먼 거리에 있을 때 잔향 에너지의 비율이 증가하여 음원으로부터 거리가 증가한 것으로 느끼게 된다.
또한, 음원의 음이 정지하였을 때부터 시작하여 잔향 에너지가 최초의 값의 1/100만(음압은 1/1000)이 될 때까지의 시간 인 잔향시간이 증가하면 청취자는 음원으로부터의 거리가 멀어진 것으로 느끼게 된다.
따라서, 잔향이 있는 가상 음향 환경에서 음원의 위치이동 시 입체음향의 거리감을 임의로 제어하는 방법으로 직접음과 잔 향의 에너지를 조절하는 방법이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한 예로서, Wave Arts라는 가상 음향 편집도구에서는 음원으로부터 청취자까지의 거리가 두 배가 될 때마다 청취자에게전달되는 직접음의 진폭은 6㏈ 단위로 감소하고, 잔향의 진폭은 3㏈ 단위로 감소하는 것을 이용하여 가상 음향 환경에서 입체음향의 거리감을 모델링한다.
즉, 음원으로부터 청취자까지의 거리에 따라 직접음과 잔향 에너지의 비율을 조절함으로써 가상 음향 환경에서 입체음향 이 갖는 거리감을 제어한다.
하지만, 상술한 방법은 직접음, 초기 반사음 및 잔향이 함께 존재하는 가상 음향 환경에서 초기 반사음 및 잔향을 하나의 잔향으로 정의하여 제어하기 때문에, 입체음향의 거리감 및 공간감을 표현하는 중요한 요소인 초기 반사음을 정확히 해석 하고 반영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음원의 위치이동 시 기준 임펄스 응답의 직접음 및 초기 반사음포락선 구간을 제어함으로써, 입체음향의 공간감 및 거리감을 제어하기 위한, 공간 임펄스 응답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장치는, 임펄스 응답을 제어하여 음원의 거리감을 제어하는 임펄스 응답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임펄스 응답을 직접음, 초기 반사음 구간 및 후기 잔향 구간으로 분할하기 위한 임펄스 응답 분석수단; 상기 임펄스 응답 분석수단으로부터 출력된 직접음 및 초기 반사음 구간의 포락선을 갱신하고, 갱신된 직접음 및 초기 반사음 구간의 임펄스 응답을 출력하기 위한 초기 반사음 포락선 제어수단; 상기 갱신된 직접음 및 초기 반사음 구간의 임펄스응답과 상기 후기 잔향 구간의 임펄스 응답을 합성하기 위한 임펄스 응답 합성수단; 및 상기 임펄스 응답 합성수단으로부터 출력된 합성 임펄스 응답과 상기 음원으로부터 입력된 입체음향을 컨벌루션(convolution)하여 필터링하기 위한 필터링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잔향이 있는 가상 음향 환경에서 음원의 위치이동을 사용자가 임의로 제어할 때 기준 임펄스 응답 의 직접음 및 초기 반사음 구간의 포락선을 제어함으로써, 보다 자연스러운 공간감 및 거리감이 있는 입체 음향을 제공할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임의의 공간에서의 임펄스 음원에 대한 임펄스 응답을 설명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공간 임펄스 응답 제어 장치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공간 임펄스 응답 제어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
도 4는 초기 반사음 구간의 거리에 따른 감쇄 특성을 설명하는 도면,
도 5는 도 2의 초기 반사음 포락선 제어부가 갱신된 직접음 및 초기 반사음 구간의 임펄스 응답을 출력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 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공간 임펄스 응답 제어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공간 임펄스 응답 제어 장치는 임펄스 응답 분석부(200), 초기 반사음 포락선 제어부
(210), 임펄스 응답 합성부(220) 및 필터부(230)를 포함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공간 임펄스 응답 제어 방법의 흐름도로, 상술한 도 2의 각 부제를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임펄스 응답 분석부(200)는 외부로부터 입력된 부가정보를 이용하여 외부로부터 입력된 기준 임펄스 응답을 직접음, 초기 반사음 구간 및 후기 잔향 구간으로 분할하고 각 구간의 임펄스 응답을 출력한다(300).
가상 음향 환경에서 상기 기준 임펄스 응답은 가상 음향 환경의 외부로부터 전달되거나 가상 음향 환경 자체적으로 생성할 수 있다.
상기 부가정보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기준 거리, 초기 지연 및 초기 반사음 포락선 정보로 구성된다.
상기 기준 거리는 기준 임펄스 음원의 위치가 변경되기 전의 기준 임펄스 음원으로부터 청취자까지의 거리이고, 상기 초기 지연은 직접음이 기준 임펄스 음원으로부터 청취자에게 전달되는 시간이다.
초기 반사음 포락선 정보는 초기 반사음 구간에 속하는 반사음들에 의해 형성되는 포락선을 적절히 샘플링한 시간 및 그 시간에 대한 거듭 제곱 지수의 쌍으로 이루어진 요소들의 집합으로 다음 [수학식 1]과 같이 정의한다.
[수학식1]
Figure pat00001
상기 t0,, t1,, t2,,,,,tn은 초기 반사음 구간의 임의의 시간이다. n의 값이 클수록 정확한 초기 반사음 포락선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상기 e0,, e1,, e2,,,,,en는 음원의 위치가 변경되었을 때, 기준 거리에 대한 변경된 음원으로부터 청취자까지의 거리의 비에 거듭 제곱해야 할 값이다.
예를 들면, e0이 2, 기준 거리가 4, 음원의 위치가 변경되었을 때 음원으로부터 청취자까지의 거리가 5이면, 기준 거리에대한 변경된 음원으로부터 청취자까지의 거리의 비의 역수는 4/5이고 상기 4/5에 거듭 제곱해야 할 값은 e0 즉, 2이 된다.
일반적으로 음의 세기는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하는 특성을 이용하여 e의 값을 정한다. 통상 e0은 2의 값을 갖고, en은 후 기 잔향 구간과 잘 연결되도록 0의 값을 갖는데 이외에도 초기 반사음 포락선 특성에 따라 다른 값을 가질 수 있다.
e1에서 en-1까지의 값은 초기 반사음 포락선의 곡선과 가장 유사하게 되도록 공간 및 기준거리에 의해 정해진다.
임펄스 응답 분석부(200)는 부가정보 중 기준 거리 및 초기 지연을 이용하여 기준 임펄스 응답에서 직접음을 분할하고, 부 가정보 중 초기 반사음 포락선 정보를 이용하여 기준 임펄스 응답에서 초기 반사음 구간 및 후기 잔향 구간을 분할한다.
초기 반사음 포락선 제어부(210)는 부가정보 및 사용자가 입력한 거리 제어 정보를 이용하여 임펄스 응답 분석부(200)에 서 분할되어 출력된 직접음 및 초기 반사음 구간의 포락선을 갱신한다.
상기 부가정보는 기준거리, 초기 지연 및 초기 반사음 포락선 정보로 구성되며, 상기 거리 제어 정보는 위치이동 된 음원에 서 청취자까지의 거리이다.
도 4는 초기 반사음 구간의 거리에 따른 감쇄 특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축은 시간(T)을 나타내고, 세로축은 시간에 따른 초기 반사음 구간의 반사음 강도(intensity)를 나 타낸다. 이때, 반사음 강도는 정규화(nomalize)한 값이다.
도면의 참조 부호 400은 임펄스 음원으로부터 청취자까지의 거리가 1m인 경우이며, 410은 임펄스 음원으로부터 청취자 까지의 거리가 4m인 경우이고, 420은 임펄스 음원으로부터 청취자까지의 거리가 16m인 경우이다.
임펄스 음원으로부터 청취자까지의 거리가 1m인 경우, 초기 반사음 구간의 반사음 강도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급격하게감쇄한다. 임펄스 음원으로부터 청취자까지의 거리가 4m, 16m로 증가함에 따라, 초기 반사음 구간의 반사음 강도의 감쇄 특성은 완만해진다.
즉, 일정한 공간에서 임펄스 음원으로부터 청취자까지의 거리에 따른 초기 반사음 구간의 감쇄 특성은 규칙적인 특성을 나 타낸다.
초기 반사음 포락선 제어부(2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일정한 공간에서 거리에 따라 규칙적인 특성을 갖는 초기 반사음 구 간의 감쇄 특성을 이용하여 음향의 거리감 및 공간감을 제어한다.
먼저, 초기 반사음 포락선 제어부(210)는 상기 거리 제어 정보를 이용하여 초기 지연 값을 갱신한다.
사용자가 입력한 거리 제어 정보 즉, 위치이동 된 음원에서 청취자까지의 거리(d), 기준거리(ref_d) 및 음의 전파 속도(s) 를 이용하여 초기 지연의 변화 값(Δt)을 다음의 [수학식 2]처럼 산출한다(310).
[수학식2]
Figure pat00002
초기 반사음 포락선 제어부(210)는 상기 산출한 초기 지연의 변화 값(Δt) 만큼 초기 지연 값을 갱신하여 직접음 및 초기 반 사음 구간을 시간축에 대해 이동시킨다(320).
다음으로, 초기 반사음 포락선 제어부(210)는 상기 초기 반사음 포락선 정보와 상기 거리 제어 정보를 이용하여 초기 반사음 이득 포락선을 산출한 후, 산출한 초기 반사음 이득 포락선을 상기 이동시킨 직접음 및 초기 반사음 구간의 신호에 대응하여 곱함으로써 갱신된 직접음 및 초기 반사음 구간의 임펄스 응답을 출력한다(360∼350).
임펄스 응답 합성부(220)는 상기 갱신된 직접음 및 초기 반사음 구간의 임펄스 응답과 임펄스 응답 분석부(200)로부터 출 력된 후기 잔향 구간의 임펄스 응답을 합성하여 음원의 위치변경 후의 최종 임펄스 응답을 출력한다(360).
필터부(230)는 임펄스 응답 합성부(220)로부터 출력된 최종 임펄스 응답과 외부로부터 입력된 음원을 컨벌루션(convolution)하여 필터링한다(370). 즉, 사용자가 입력한 거리 제어 정보에 의해 변경된 입체음향이 출력된다.
도 5는 도 2의 초기 반사음 포락선 제어부가 갱신된 직접음 및 초기 반사음 구간의 임펄스 응답을 출력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먼저, 초기 반사음 포락선 제어부(210)는 기준 거리에 대한 위치이동 된 음원으로부터 청취자까지의 거리의 비를 구하고 그 역수를 계산한다(330). 위치이동 된 음원으로부터 청취자까지의 거리는 사용자가 입력한 거리 제어 정보이다.
외부로부터 입력된 부가정보의 초기 반사음 포락선 정보 집합에서 e0,, e1,, e2,,,,,en 값들을 상기 역수로 대체하고, 상기 역수를 각 e0,, e1, , e2,,,,,en 값만큼 거듭 제곱하여 초기 반사음 이득 포락선을 산출한다(340).
초기 반사음 이득 포락선을 산출했을 때 주어지지 않는 t0,, t1,, t2,,,,,t n 사이의 이득 값은 선형 함수를 이용하여 이득 값을 산출한다.
도 5의 (a)는 부가정보의 초기 반사음 포락선 정보 집합{(t0 , 2), (t1,, 2), (t2 , 1), (t3 , 0)}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의 (b)는 기준 거리에 대한 위치이동 된 음원으로부터 청취자까지의 거리의 비가 1/2이 되었을 때, 상기 부가정보의 초기 반사음 포락선 정보 집합{(t0 , 2), (t1,, 2), (t2 , 1), (t3 , 0)}의 2, 2, 1, 0을 1/2의 역수인 2로 대체하고, 상기 역수2를 2, 2, 1, 0으로 거듭 제곱한 초기 반사음 이득 포락선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즉, 초기 포락선 정보 집합{(t0 , 2), (t1,,2), (t2 , 1), (t 3 , 0)}이 초기 반사음 이득 포락선 {(t0 , 4), (t1,, 4), (t2 , 2), (t3 , 1)}으로 된다.
도 5의 (c)는 기준 거리에 대한 위치이동 된 음원으로부터 청취자까지의 거리의 비가 2가 되었을 때, 상기 부가정보의 초기포락선 정보 집합{(t0 , 2), (t1,, 2), (t2 , 1), (t3 , 0)}의 2, 2, 1, 0을 2의 역수인 1/2로 대체하고, 상기 역수 1/2를 2, 2, 1, 0으로 거듭 제곱한 초기 반사음 이득 포락선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즉, 초기 포락선 정보 집합{(t0 , 2), (t1,, 2), (t2 ,1), (t3 , 0)}이 초기 반사음 이득 포락선{(t0 , 1/4), (t1,, 1/4), (t2 , 1/2), (t3 , 1)}으로 된다.
또한, 초기 반사음 포락선 제어부(210)는 상기 부가정보에 초기 반사음 포락선 정보가 없을 경우에 기 설정된 50∼80ms 사이의 초기 반사음 포락선 정보를 이용하여 초기 반사음 이득 포락선을 산출한다.
다음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기 반사음 포락선 제어부(210)는 초기 반사음 이득 포락선((b), (c))과 초기 지연 변 화 값만큼 이동시킨 직접음 및 초기 반사음 구간의 임펄스 응답((d))과 곱함으로써, 갱신된 직접음 및 초기 반사음 구간의임펄스 응답을 얻는다(350).
도 5의 (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종 갱신된 직접음 및 초기 반사음 구간의 임펄스 응답은 음원의 위치가 청취자로부터 가까워지면 커지며, 음원의 위치가 청취자로부터 멀어지면 작아진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200 : 임펄스 응답 분석부 210 : 초기 반사음 포락선 제어부
220 : 임펄스 응답 합성부 230 : 필터부

Claims (7)

  1. 임펄스 응답을 제어하여 음원의 거리감을 제어하는 임펄스 응답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임펄스 응답을 직접음, 초기 반사음 구간 및 후기 잔향 구간으로 분할하기 위한 임펄스 응답 분석수단;
    상기 임펄스 응답 분석수단으로부터 출력된 직접음 및 초기 반사음 구간의 포락선을 갱신하고, 갱신된 직접음 및 초기 반 사음 구간의 임펄스 응답을 출력하기 위한 초기 반사음 포락선 제어수단;
    상기 갱신된 직접음 및 초기 반사음 구간의 임펄스 응답과 상기 후기 잔향 구간의 임펄스 응답을 합성하기 위한 임펄스 응 답 합성수단; 및
    상기 임펄스 응답 합성수단으로부터 출력된 합성 임펄스 응답과 상기 음원으로부터 입력된 입체음향을 컨벌루션(convolution)하여 필터링하기 위한 필터링수단
    을 포함하는 공간 임펄스 응답 제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임펄스 응답 분석수단은,
    초기 지연, 기준 거리 및 초기 반사음 포락선 정보를 포함하는 부가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임펄스 응답을 직접음, 초기 반사 음 구간 및 후기 잔향 구간으로 분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 임펄스 응답 제어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초기 반사음 포락선 정보는,
    초기 반사음 구간에 속하는 임의의 시간 및 거듭 제곱 지수의 쌍으로 이루어진 집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 임펄스 응 답 제어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초기 반사음 포락선 제어수단은,
    초기 지연, 기준 거리 및 초기 반사음 포락선 정보를 포함하는 부가정보와 상기 음원의 거리감을 제어하는 거리 제어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임펄스 응답 분석수단으로부터 출력된 직접음 및 초기 반사음 구간의 포락선을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공간 임펄스 응답 제어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거리 제어 정보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위치이동 된 음원에서 청취자까지의 거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 임펄스 응답 제어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초기 반사음 포락선 제어수단은,
    상기 거리 제어 정보, 상기 기준 거리 및 음의 전파 속도를 이용하여 계산한 초기 지연 변화 값만큼 상기 임펄스 응답 분석 부로부터 출력된 직접음 및 초기 반사음 구간을 이동시키고,
    상기 거리 제어 정보와 상기 초기 반사음 포락선 정보를 이용하여 초기 반사음 이득 포락선을 산출하고,
    산출한 초기 반사음 이득 포락선을 상기 이동시킨 직접음 및 초기 반사음 구간의 신호에 곱하여 갱신된 직접음 및 초기 반 사음 구간의 임펄스 응답을 출력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 임펄스 응답 제어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초기 반사음 이득 포락선은,
    기준 거리에 대한 거리 제어 정보의 비를 구하여 그 역수를 계산하고, 상기 역수를 거듭 제곱 지수로 거듭 제곱하여 산출하 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 임펄스 응답 제어 장치.
KR1020190013745A 2019-02-01 2019-02-01 입체음향의 공간과 거리감 통제를 위한 공간 임펄스 응답 제어 장치 KR2020009585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3745A KR20200095857A (ko) 2019-02-01 2019-02-01 입체음향의 공간과 거리감 통제를 위한 공간 임펄스 응답 제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3745A KR20200095857A (ko) 2019-02-01 2019-02-01 입체음향의 공간과 거리감 통제를 위한 공간 임펄스 응답 제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5857A true KR20200095857A (ko) 2020-08-11

Family

ID=720481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3745A KR20200095857A (ko) 2019-02-01 2019-02-01 입체음향의 공간과 거리감 통제를 위한 공간 임펄스 응답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9585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83788A1 (en) * 2021-11-09 2023-05-19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Late reverberation distance attenuatio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83788A1 (en) * 2021-11-09 2023-05-19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Late reverberation distance attenu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82574B2 (en) Generating binaural audio in response to multi-channel audio using at least one feedback delay network
US10771914B2 (en) Generating binaural audio in response to multi-channel audio using at least one feedback delay network
US5809149A (en) Apparatus for creating 3D audio imaging over headphones using binaural synthesis
JP5857071B2 (ja) オーディオ・システムおよびその動作方法
US6421446B1 (en) Apparatus for creating 3D audio imaging over headphones using binaural synthesis including elevation
US20080273708A1 (en) Early Reflection Method for Enhanced Externalization
EP3090573B1 (en) Generating binaural audio in response to multi-channel audio using at least one feedback delay network
CN111164990B (zh) 基于级别的音频对象交互
US20240244391A1 (en) Audio Apparatus and Method Therefor
KR20040035726A (ko) 3차원 음향공간내의 가상위치에 하나 이상의 음원을존재하게 하는 모의 실험 방법 및 장치
US6178245B1 (en) Audio signal generator to emulate three-dimensional audio signals
KR20200095857A (ko) 입체음향의 공간과 거리감 통제를 위한 공간 임펄스 응답 제어 장치
KR20230058443A (ko) 잔향 오디오 신호 생성 방법
KR100769990B1 (ko) 입체음향의 공간감 및 거리감 제어를 위한 공간 임펄스응답 제어 장치
WO2023031182A1 (en) Deriving parameters for a reverberation processor
EP4327570A1 (en) Rendering reverberation
Foale et al. Portal-based sound propagation for first-person computer games
US20030152237A1 (en) Method of processing a signal
WO2024115663A1 (en) Rendering of reverberation in connected spaces
JP2000284788A (ja) インパルスレスポンス生成方法およびその装置
Sandgren Implementation of a development and testing environment for rendering 3D audio scen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