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94349A - An aerial flowerpot - Google Patents

An aerial flowerpo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94349A
KR20200094349A KR1020190011726A KR20190011726A KR20200094349A KR 20200094349 A KR20200094349 A KR 20200094349A KR 1020190011726 A KR1020190011726 A KR 1020190011726A KR 20190011726 A KR20190011726 A KR 20190011726A KR 20200094349 A KR20200094349 A KR 202000943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container
pot body
water storage
shielding cover
flowerp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172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185896B1 (en
Inventor
홍기순
이장범
유정원
박영규
이상은
주소은
최승연
Original Assignee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0117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5896B1/en
Publication of KR202000943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434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58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589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4Hanging flower pots and baske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01G13/0256Ground coverings
    • A01G13/0281Protective ground coverings for individual plants, e.g. for plants in po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8Component parts, e.g. dispensing fittings, level indicato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4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using wicks or the like
    • A01G27/06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using wicks or the like having a water reservoir, the main part thereof being located wholly around or directly beside the growth substrat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erial flowerpo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flowerpot main body (100) forms the appearance and the frame of the aerial flowerpot (10). The flowerpot main body (100) comprises a planting space (101) opened to an upper part to allow a plant (P) to be planted therein, and a ring (107) disposed on a lower part to be hung on a ceiling hook and the like. A plurality of blocking covers (200) are coupled to an upper edge of the flowerpot main body (100) to be rotatable, and selectively block the upper part of the flowerpot main body (100). One end of the blocking covers (200) is hinge-coupled to the upper edge of the flowerpot main body (100) by a hinge pin and the other end is extended toward the plant (P). Accordingly, due to the aforementioned configuration, the blocking covers prevent soil from falling even if the aerial flowerpot is hung on the ceiling, thereby providing an advantage of facilitating management.

Description

공중 화분{An aerial flowerpot}An aerial flowerpot

본 발명은 공중 화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천장의 후크나 봉 등에 매달아 공중에서 식물을 용이하게 재배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공중 화분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ublic flowerpot, and more particularly, to a public flowerpot configured to be easily cultivated in the air by hanging from a hook or rod on the ceiling.

일반적으로 가정 및 사무실에는 인테리어용 화분이 많이 구비된다. 근래에는 화분을 천장에 매달아 식물을 공중에서 재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물론, 실내의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화분들이 많이 개발되고 있으며, 그 구조 또한 다양하게 가변되어 사용되고 있다.In general, homes and offices are provided with a large number of interior pots. In recent years, as well as allowing the plants to be cultivated in the air by hanging the pots on the ceiling, many pots have been developed to improve the aesthetics of the interior, and the structure is also variously used.

이와 같이 공중에서 재배되는 식물이 식재된 화분도 일반 화분과 같이 주기적인 수분의 공급을 통해 식물이 성장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배수를 위한 별도의 배수받침도 필요하다.The pots in which the plants cultivated in the air are planted are made of a structure that allows the plants to grow through periodic supply of moisture like regular pots, and a separate drainage support for drainage is also required.

한편, 공중에서 재배되는 식물들 중에서도 리코포디움과 같이 거꾸로 자라는 식물은 화분을 거꾸로 향하도록 하여 키워야 한다. 이때, 화분이 하방으로 위치되어야 하므로, 외부 충격이나 중력에 의해 화분으로부터 흙이 쉽게 떨어질 수 있다. 이를 방지 하기 위해 식물을 향할수록 내부가 점차 좁아지는 화분을 사용할 수 있으나, 식물의 식재가 어려울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mong plants grown in the air, plants that grow upside down, such as Lycopodium, must be grown with the pots facing upside down. At this time, since the pots should be positioned downward, soil can easily fall off the pots by external impact or gravity. In order to prevent this, it is possible to use a pot that gradually narrows the inside toward the plant, but planting of the plant may be difficult.

또한, 화분을 거꾸로 향하도록 한 상태에서, 화분에 물을 공급하게 되면 배수가 끝날 때까지 화분을 다른 곳으로 옮겨야 하거나 화분 밑에 배수받침을 놓아야 하는 번거로움 뿐만 아니라 미관이 지저분해 보이는 문제점도 있다.In addition, in a state where the pot is turned upside down, when water is supplied to the pot,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pot must be moved to another place until draining is finished or the drainage pan must be placed under the pot, as well as a messy appearance.

따라서, 천장에 매달린 상태에서도 유지 관리가 용이하도록 구성되는 공중 화분이 요구된다.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n aerial flowerpot configured to be easy to maintain even when suspended from the ceiling.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77172(2018.07.04.등록)Republic of Korea 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1877172 (Registration on July 4, 2018)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천장에 매달린 상태에서도 유지 관리가 용이하도록 구성되는 공중 화분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was invented to impro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ublic flowerpot configured to be easily maintained even when suspended from the ceiling.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The technical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another technical problem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중 화분에 따르면, 상부를 향해 개구되어 내부에 식물이 식재되는 식재공간이 형성되고, 하부에 고리가 구비되는 화분본체; 및 상기 화분본체의 상부 가장자리를 따라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화분본체의 상부를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복수 개의 차폐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차폐커버의 일단은 상기 화분본체의 상부 가장자리에 힌지핀에 의해 힌지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식물을 향해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the public flowerp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lanting space is opened to the upper planting plant is formed therein, the planter body is provided with a ring at the bottom; And a plurality of shielding covers that are rotatably coupled along the upper edge of the pot body to selectively shield the top of the pot body; One end of the shield cover is hinged to the upper edge of the pot body by a hinge pin, and the other end is extended toward the plant.

상기 차폐커버의 양측 중 일측은 인접한 상기 차폐커버의 일부와 서로 중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One side of both sides of the shielding cover is characterized in that it overlaps with a part of the adjacent shielding cover.

상기 차폐커버의 타측에는 상기 차폐커버가 연장되는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결공이 관통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other side of the shielding cove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nection hole is form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shielding cover extends.

상기 연결공에 관통 삽입되는 조임끈이 구비되고, 상기 조임끈은 서로 인접한 상기 차폐커버의 연결공에 순차적으로 삽입되며, 상기 차폐커버가 상기 화분본체를 차폐한 상태에서 상기 조임끈의 양측 끝단을 매듭지어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fastening string inserted through the connecting hole is provided, and the fastening strings are sequentially inserted into the connecting holes of the shielding covers adjacent to each other, and the ends of the fastening strings are knotted and fixed by the shielding cover shielding the pot body. It is characterized by.

상기 연결공에는 서로 인접한 상기 차폐커버의 연결공을 연결시키는 클립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nnecting hole is characterized in that a clip for connecting the connecting hole of the shielding cover adjacent to each other is provided.

상기 식재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화분본체의 하부를 향해 개구되는 물 저장용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화분본체의 하부에는 복수 개의 투입공이 관통 형성되어, 상기 투입공을 통해 상기 물 저장용기에 물이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installed in the planting space further includes a water storage container that opens toward the lower portion of the pot body, and a plurality of input holes are formed through the lower portion of the pot body to supply water to the water storage container through the input hole. It is characterized by being.

상기 물 저장용기는 투습성 있는 타공성 도자기로 형성되고, 상기 물 저장용기의 외측과 상기 식재공간 사이에는 흡수성 직물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water storage container is formed of permeable porcelain and is characterized in that an absorbent fabric is provided between the outside of the water storage container and the planting space.

상기 물 저장용기에는 일단이 상기 물 저장용기 내의 수면에 위치되고, 타단이 상기 투입공을 관통하여 위치되는 수위확인바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water storage container is characterized in that one end is located on the water surface in the water storage container, and the other end is provided with a water level confirmation bar positioned through the input hole.

상기 화분본체 상부에 위치되어 상기 차폐커버에 의해 고정되는 그물망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net that is located on the pot body is fixed by the shield cover.

상기 그물망은 상기 식재공간의 내측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그물망의 일측에는 상기 식물이 끼워지는 삽입슬릿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esh is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inside of the planting space, and an insertion slit into which the plant is fitted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mesh.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Specific details of other embodiments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drawing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중 화분에 따르면, 천장에 화분본체가 매달린 상태에서도 차폐커버에 의해 흙이 하방으로 쏟아지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유지 관리가 용이하므로 작업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aerial plan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ven when the planter body is suspended from the ceiling, the soil is prevented from pouring down by the shielding cover. Therefore, it is easy to maintain and has an effect of improving workability.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중 화분에 따르면, 화분본체 내에 물 저장용기가 구비되고, 물 저장용기에는 화분본체의 외부로 연장되는 수위확인바가 구비된다. 따라서 작업자가 물 저장용기의 물의 양을 외부에서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으므로, 작업성이 더욱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aerial flowerp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water storage container is provided in the flowerpot body, and the water storage container is provided with a water level confirmation bar extending to the outside of the flowerpot body. Therefore, since the operator can easily check the amount of water in the water storage container from the outside, there is an effect that workability is further improved.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중 화분에 따르면, 공중 화분에 물의 배수를 위한 별도의 배수받침이 필요 없으므로, 유지 관리가 더욱 용이할 뿐만 아니라 미관이 수려한 효과도 있다.In particular, according to the air poll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no need for a separate drainage support for draining water in the air pollen, so it is easier to maintain and has a beautiful effect.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중 화분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중 화분에 식물이 식재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중 화분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중 화분이 천장에 매달린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air poll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plants are planted in the air poll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ublic flowerp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public flowerp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uspended from the ceiling.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descriptions of technical contents well known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and which are not directly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This is to more clearly communicat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by omitting unnecessary description.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또는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였다.For the same reason, some components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exaggerated, omitted, or schematically illustrated. Also, the size of each component does not entirely reflect the actual size. The same reference numbers are assigned to the same or corresponding elements in each drawing.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중 화분의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ublic flowerp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중 화분(10)의 외관 및 골격은 화분본체(100)에 의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화분본체(100)는 대략 속이 빈 팔각 통으로 형성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원 통, 육각 통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ure 1, the appearance and skeleton of the air pollen 10 is formed by the pot body 100. In this embodiment, the pot body 100 is formed of an approximately hollow octagonal barrel,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For example, it may be composed of a circular cylinder, a hexagonal cylinder, and the like.

상기 화분본체(100)의 내부에는 식재공간(101)이 형성된다. 상기 식재공간(101)은 상부를 향해 개구되게 형성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식재공간(101)은 식물(P)이 흙과 함께 식재되는 부분이다.A planting space 101 is formed inside the pot body 100. The planting space 101 is formed to open toward the top. As shown in FIG. 3, the planting space 101 is a part where the plant P is planted together with soil.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화분본체(100)의 하부에는 투입공(103)이 형성된다. 상기 투입공(103)은 상기 식재공간(101)과 상기 화분본체(100)의 외부가 연통되도록 관통 형성된다. 상기 투입공(103)은 외부로부터 공급된 물을 아래에서 설명될 물 저장용기(300)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3 and 4, an input hole 103 is formed in a lower portion of the pot body 100. The input hole 103 is formed to penetrate the outside of the planting space 101 and the pot body 100. The input hole 103 serves to transfer water supplied from the outside to the water storage container 300 to be described below.

상기 화분본체(100)의 하부 가장자리를 둘러서는 가이드 리브(105)가 돌출되게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 리브(105)는 상기 투입공(103)을 통해 물을 공급할 때 외부로 물이 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A guide rib 105 surrounding the lower edge of the pot body 100 is provided to protrude. The guide rib 105 serves to prevent water splashing outward when water is supplied through the input hole 103.

상기 화분본체(100)의 하부에는 고리(107)가 구비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리(107)는 천장의 후크(H)나 봉 등에 매달기 위한 부분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고리(107)는 상기 화분본체(100)의 하부 중앙에 구비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고리(107)는 화분본체(100)의 가장자리를 둘러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A ring 107 is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pot body 100. As shown in Figure 4, the hook 107 is a portion for hanging on the hook (H) or rod of the ceiling. In this embodiment, the ring 107 is provided in the lower center of the pot body 100,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For example, a plurality of rings 107 may be provided around the edge of the pot body 100.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화분본체(100)의 상부 가장자리를 둘러서는 복수 개의 결합홈(109)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홈(109)은 아래에서 설명될 차폐커버(200)의 힌지부(210)가 힌지 결합되는 부분이다.As shown in Figure 1, a plurality of coupling grooves 109 surrounding the upper edge of the pot body 100 may be formed. The coupling groove 109 is a portion where the hinge portion 210 of the shielding cover 200 to be described below is hinged.

한편,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화분본체(100)의 상부 가장자리를 따라서는 복수 개의 차폐커버(200)가 구비된다. 상기 차폐커버(200)는 상기 화분본체(100)의 상부 가장자리로부터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차폐커버(200)의 일단은 상기 화분본체(100)의 상부 가장자리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식물(P)을 향해 연장 형성된다. 상기 차폐커버(200)는 상기 화분본체(100)의 상부를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역할을 한다. Meanwhile, as illustrated in FIGS. 1 and 2, a plurality of shielding covers 200 are provided along the upper edge of the pot body 100. The shield cover 200 is rotatably coupled from the upper edge of the pot body 100. One end of the shield cover 200 is rotatably coupled to the upper edge of the pot body 100, and the other end is formed to extend toward the plant P. The shielding cover 200 serves to selectively shield the top of the pot body 100.

즉, 상기 차폐커버(200)는 상기 공중 화분(10)이 공중에 매달린 상태에서 식재공간(101)으로부터 흙이 하방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차폐커버(200)는 실리콘 또는 고무와 같은 소정의 탄성력을 가진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That is, the shield cover 200 serves to prevent the soil from falling down from the planting space 101 while the air pollen 10 is suspended in the air. In this embodiment, the shield cover 200 may be formed of a material having a predetermined elastic force, such as silicone or rubber.

또한, 상기 식재공간(101)에 식물(P)을 식재하기 위해서는 상기 차폐커버(200)를 회동시켜 상기 식재공간(101)을 개방한다. 이와 같이 되면, 식물(P)을 상기 식재공간(101)에 용이하게 심을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in order to plant the plant P in the planting space 101, the planting space 101 is opened by rotating the shielding cover 200. In this way, the plant P can be easily planted in the planting space 101.

본 실시예서, 상기 차폐커버(200)는 힌지부(210) 및 차폐부(220)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힌지부(210)는 상기 결합홈(109)에 힌지핀(미도시)에 의해 힌지 결합되는 부분이다. In this embodiment, the shield cover 200 may be composed of a hinge portion 210 and the shield portion 220. As shown in FIG. 1, the hinge portion 210 is a portion that is hinged to the coupling groove 109 by a hinge pin (not shown).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차폐부(220)는 상기 힌지부(210)로부터 상기 식물(P)을 향해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차폐부(220)는 대략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차폐부(220)의 양측 중 일측은 인접한 차폐부(220)의 일부와 서로 중첩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차폐부(220) 사이로 흙이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과 동시에 상기 화분본체(100)의 상부를 견고하게 차폐하기 위한 것이다. 1 and 2, the shield 220 is formed extending from the hinge portion 210 toward the plant (P). The shield 220 may be formed in a substantially plate shape. 2, one side of both sides of the shield 220 may overlap with a portion of the adjacent shield 220. This is to prevent the soil from escaping between the shields 220 and at the same time to firmly shield the top of the pot body 100.

본 실시예에서, 상기 차폐부(220)에는 연결공(230)이 형성된다. 상기 연결공(230)은 상기 차폐부(220)가 연장되는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된다. In this embodiment, the shield 220, the connection hole 230 is formed. The connecting hole 230 is formed to penetrate the shield 220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extending direction.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공(230)에는 조임끈(240)이 구비된다. 상기 조임끈(240)은 서로 인접한 상기 차폐부(220)의 연결공(230)에 순차적으로 삽입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조임끈(240)은 상기 차폐커버(200)의 내외측을 번갈아가며 삽입될 수 있다. 1 and 2, the connecting hole 230 is provided with a drawstring 240. The drawstring 240 is sequentially inserted into the connecting hole 230 of the shield 220 adjacent to each other. In this embodiment, the drawstring 240 may be inserted alternately inside and outside the shielding cover 200.

이때, 상기 조임끈(240)은 상기 차폐커버(200)가 상기 화분본체(100)의 상부를 차폐한 상태에서 상기 조임끈(240)의 양측을 잡아 당긴 후 양측 끝단을 매듭지어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조임끈(240)은 상기 차폐커버(200)가 상기 화분본체(100)의 상부를 차폐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차폐커버(200)를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At this time, the drawstring 240 may be fixed by pulling both sides of the drawstring 240 in a state in which the shielding cover 200 shields the upper part of the pot body 100, and then knots both ends. The drawstring 240 serves to fix the shielding cover 200 so that the shielding cover 200 can maintain the state of shielding the upper portion of the pot body 100.

본 실시예에서, 상기 조임끈(240)의 양단에는 스토퍼(250)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스토퍼(250)는 상기 조임끈(240)이 조여진 상태에서 원상태로 복원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In this embodiment, both ends of the drawstring 240 may be connected by a stopper 250. The stopper 250 serves to prevent the drawstring 240 from being restored to its original state in the tightened state.

상기 스토퍼(250)는 내부에 탄성부재(미도시)가 수용된 고정체(미도시)와, 상기 고정체 내에 상부가 노출된 상태로 수용되어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탄발되면서 노출되는 가동체(미도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스토퍼(250)는 끈 길이 조절을 하기 위해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것으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stopper 250 includes a fixed body (not shown) in which an elastic member (not shown) is accommodated therein, and a movable body (not shown) accommodated in an exposed state in the fixed body and exposed while being fired by the elastic member. ). The stopper 250 is commonly used to adjust the length of the string,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실시예에서, 상기 연결공(230)에는 상기 조임끈(240)이 관통 삽입되어 상기 차폐커버(200)를 고정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연결공(230)에는 서로 인접한 차폐커버(200)의 연결공(230)을 연결시키는 클립(미도시)이 구비될 수도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fastening string 240 is inserted through the connection hole 230 to fix the shield cover 200, but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he connecting hole 230 may be provided with a clip (not shown) connecting the connecting holes 230 of the shielding cover 200 adjacent to each other.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식재공간(101)에는 물 저장용기(30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물 저장용기(300)는 상기 식재공간(101)의 내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물 저장용기(300)는 상기 화분본체(100)의 하부를 향해 개구되게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물 저장용기(300)는 상기 식재공간(101)의 1/3 정도 차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Meanwhile, as illustrated in FIG. 3, a water storage container 300 may be installed in the planting space 101. The water storage container 300 may be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interior of the planting space 101. The water storage container 300 is formed to be opened toward the bottom of the pot body 100. In this embodiment, it is preferable that the water storage container 300 occupies about one third of the planting space 101.

상기 물 저장용기(300)의 내부에는 저장공간(301)이 형성된다. 상기 저장공간(301)은 물이 저장되는 공간이다. 이때, 상기 화분본체(100)의 투입공(103)을 통해 외부로부터 물이 공급되어 상기 저장공간(301)에 물이 저장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되면, 천장에 상기 화분본체(100)가 매달린 상태에서도 상기 투입공(103)을 통해 화분본체(100) 내의 물 저장용기(300)로 물을 용이하게 공급할 수 있으므로, 유지 및 관리가 용이할 수 있다.A storage space 301 is formed inside the water storage container 300. The storage space 301 is a space in which water is stored. At this time, water may be supplied from the outside through the input hole 103 of the pot body 100, and water may be stored in the storage space 301. In this case, water can be easily supplied to the water storage container 300 in the pot body 100 through the inlet hole 103 even when the pot body 100 is suspended on the ceiling, so maintenance and management are easy. can do.

본 실시예에서, 상기 물 저장용기(300)는 투습성 있는 타공성 도자기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식재공간(101)내에 식재되는 상기 식물(P) 및 흙에 물이 모세관 효과를 이용하여 공급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식물(P)에 과도하게 물이 공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water storage container 300 may be formed of permeable porcelain porcelain. This is to ensure that water is supplied to the plant (P) and soil planted in the planting space 101 using a capillary effect. 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prevent excessive water supply to the plant (P).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물 저장용기(300)의 외측과 상기 식재공간(101) 사이에는 흡수성 직물(320)이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흡수성 직물(320)은 한지 또는 종이가 될 수 있다. 상기 흡수성 직물(320)은 상기 식재공간(101)의 내측 전체를 감싸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는 상기 물 저장용기(300)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상기 식재공간(101) 내에 골고루 전달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As illustrated in FIG. 3, an absorbent fabric 320 may be provided between the outside of the water storage container 300 and the planting space 101. In this embodiment, the absorbent fabric 320 may be Korean paper or paper. The absorbent fabric 320 may be provided to surround the entire inside of the planting space 101. This is to ensure that the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storage container 300 is evenly delivered in the planting space 101.

한편, 상기 물 저장용기(300)에는 수위확인바(40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수위확인바(400)의 일단은 상기 물 저장용기(300) 내의 수면에 위치되고, 타단은 상기 투입공(103)을 관통하여 위치된다. 이는 상기 물 저장용기(300) 내의 물의 양을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Meanwhile, the water storage container 300 may be provided with a water level confirmation bar 400. One end of the water level checking bar 400 is located on the water surface in the water storage container 300, the other end is located through the input hole 103. This is to make it possible to check the amount of water in the water storage container 300 from the outside.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위확인바(400)는 눈금이 그려진 수직바(410) 및 상기 물 저장용기(300) 내의 수면에 떠 있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공기주머니(420)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작업자는 상기 수위확인바(400)를 통해 상기 물 저장용기(300)의 물의 양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3, the water level confirmation bar 400 is composed of a vertical bar 410 with a scale and an air bag 420 capable of maintaining a floating state on the water surface in the water storage container 300. Can be. Accordingly, the operator can easily check the amount of water in the water storage container 300 through the water level confirmation bar 400.

한편, 도 3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화분본체(100)에는 그물망(500)이 위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그물망(500)은 상기 화분본체(100)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차폐커버(200)에 의해 고정된다. 상기 그물망(500)은 상기 식재공간(101)으로부터 흙이 하방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그물망(500)은 상기 식재공간(101)의 내측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as well shown in Figure 3, the pot body 100, the net 500 is located. In this embodiment, the mesh 500 is provided on the top of the pot body 100 is fixed by the shield cover 200. The mesh 500 serves to prevent the soil from falling downward from the planting space 101. The mesh 500 is preferably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inside of the planting space 101.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그물망(500)의 일측에는 삽입슬릿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삽입슬릿은 상기 그물망(500)의 가장자리로부터 중심을 향해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삽입슬릿은 상기 식물(P)이 끼워지는 부분이다.Although not shown, an insertion slit may be formed at one side of the mesh 500. The insertion slit may be formed extending from the edge of the mesh 500 toward the center. The insertion slit is a part where the plant (P) is fitted.

본 실시예에서, 상기 그물망(500)은 한 개가 구비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그물망(500)은 복수 개로 중첩되어 구성될 수 있으며, 흙의 입자 크기에 따라 그물코의 크기도 변경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mesh 500 is provided with one,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he meshes 500 may be formed by overlapping a plurality of pieces, and the size of the meshes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particle size of the soil.

다음으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공중 화분에 식물을 식재하는 과정을 설명한다.Next, a process of planting a plant in a public poll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먼저, 작업자는 상기 차폐커버(200)를 상기 식재공간(101)이 개방되도록 회동시킨다. First, the operator rotates the shielding cover 200 so that the planting space 101 is opened.

이와 같은 상태에서, 작업자는 물 저장용기(300)의 입구가 상기 투입공(103)을 향하도록 위치시킨 후 상기 물 저장용기(300)와 식재공간(101) 사이에 흡수성 직물(320)을 삽입한다. In this state, the operator positions the entrance of the water storage container 300 to face the input hole 103, and then inserts the absorbent fabric 320 between the water storage container 300 and the planting space 101. do.

다음으로 작업자는 흙과 식물(P)을 상기 식재공간(101)에 식재하고, 그물망(500)을 상기 식물(P)에 끼운다. Next, the worker plants the soil and the plant P in the planting space 101 and fits the mesh 500 into the plant P.

이와 같은 상태에서, 작업자는 조임끈(240)의 양측을 잡아당기면서 상기 차폐커버(200)를 상기 식재공간(101)을 향해 회동시킨다. In this state, the operator rotates the shielding cover 200 toward the planting space 101 while pulling both sides of the drawstring 240.

이와 같이 되면, 상기 차폐커버(2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식재공간(101)을 차폐하게 된다.In this case, the shielding cover 200 shields the planting space 101 as shown in FIG. 2.

다음으로, 작업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중 화분(10)을 거꾸로하여 고리(107)를 천장의 후크(H)에 끼운다.Next, as shown in FIG. 4, the operator puts the hook 107 on the hook H of the ceiling by inverting the aerial flowerpot 10.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르면, 천장에 상기 화분본체(100)가 매달린 상태에서도 상기 차폐커버(200)에 의해 흙이 하방으로 쏟아지는 것이 방지되므로, 유지 관리가 용이하다.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soil is prevented from pouring down by the shield cover 200 even when the pot body 100 is suspended from the ceiling, so maintenance is easy.

그리고 상기 화분본체(100) 내에 물 저장용기(300)가 구비되고, 물 저장용기(300)에는 화분본체(100)의 외부로 연장되는 수위확인바(400)가 구비된다. 따라서 작업자가 상기 물 저장용기(300)의 물의 양을 외부에서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으므로, 상기 공중 화분(10)을 더욱 용이하게 유지 관리할 수가 있다.And the water storage container 300 is provided in the pot body 100, the water storage container 300 is provided with a water level confirmation bar 400 extending to the outside of the pot body 100. Therefore, since the operator can easily check the amount of water in the water storage container 300 from the outside, it is possible to more easily maintain and maintain the air pollen 10.

특히, 상기 공중 화분(10)은 물의 배수를 위한 별도의 배수받침이 필요없으므로, 유지 관리가 더욱 용이하다.In particular, the air pollen 10 does not require a separate drainage support for drainage of water, so maintenance is easier.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Meanwhile,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drawings,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isclosed, and although specific terms have been used, they are merely used in a general sense to easily describe the technical cont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o help understand the invention. It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invention. It is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hat other modifications based on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addition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10: 공중 화분 100: 화분본체
101: 식재공간 103: 투입공
105: 가이드 리브 107: 고리
200: 차폐커버 210: 힌지부
220: 차폐부 230: 연결공
240: 조임끈 250: 스토퍼
300: 물 저장용기 301: 저장공간
320: 흡수성 직물 400: 수위확인바
410: 수직바 420: 공기주머니
500: 그물망 P: 식물
10: public flowerpot 100: flowerpot body
101: planting space 103: input hole
105: guide rib 107: loop
200: shielding cover 210: hinge
220: shield 230: connector
240: drawstring 250: stopper
300: water storage container 301: storage space
320: absorbent fabric 400: water level check bar
410: vertical bar 420: air pocket
500: mesh P: plant

Claims (10)

상부를 향해 개구되어 내부에 식물이 식재되는 식재공간이 형성되고, 하부에 고리가 구비되는 화분본체; 및
상기 화분본체의 상부 가장자리를 따라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화분본체의 상부를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복수 개의 차폐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차폐커버의 일단은 상기 화분본체의 상부 가장자리에 힌지핀에 의해 힌지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식물을 향해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 화분.
A potted plant body which is opened toward the upper portion to form a planting space in which plants are planted, and provided with a ring at the bottom; And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plurality of shielding cover that is rotatably coupled along the upper edge of the pot body to selectively shield the top of the pot body;
One end of the shield cover is hinged by a hinge pin on the upper edge of the pot body, the other end is an aerial potted plant, characterized in that extending toward the plan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커버의 양측 중 일측은 인접한 상기 차폐커버의 일부와 서로 중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 화분.
According to claim 1,
One of the two sides of the shielding cover, the air pollen, characterized in that overlaps with a portion of the adjacent shielding cover.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커버의 타측에는 상기 차폐커버가 연장되는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결공이 관통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 화분.
According to claim 2,
Air pollen, characterized in that the other side of the shielding cover is formed through the connecting hol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shielding cover is extended.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공에 관통 삽입되는 조임끈이 구비되고,
상기 조임끈은 서로 인접한 상기 차폐커버의 연결공에 순차적으로 삽입되며,
상기 차폐커버가 상기 화분본체를 차폐한 상태에서 상기 조임끈의 양측 끝단을 매듭지어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 화분.
According to claim 3,
A tightening string inserted through the connection hole is provided,
The drawstring is sequentially inserted into the connecting hole of the shielding cover adjacent to each other,
An air pollen, characterized in that the shielding cover is fixed by knotting both ends of the drawstring while the pot body is shielded.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공에는 서로 인접한 상기 차폐커버의 연결공을 연결시키는 클립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 화분.
According to claim 3,
The connecting hole is provided with a clip for connecting the connecting hole of the shielding cover adjacent to each other, characterized in that the aerial flowerpo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식재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화분본체의 하부를 향해 개구되는 물 저장용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화분본체의 하부에는 복수 개의 투입공이 관통 형성되어, 상기 투입공을 통해 상기 물 저장용기에 물이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 화분.
According to claim 1,
It is installed in the planting space further comprises a water storage container opening toward the bottom of the pot body,
A plurality of input holes are formed through the lower portion of the pot body, and the air pollen is characterized in that water is supplied to the water storage container through the input holes.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물 저장용기는 투습성 있는 타공성 도자기로 형성되고,
상기 물 저장용기의 외측과 상기 식재공간 사이에는 흡수성 직물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 화분.
The method of claim 6,
The water storage container is formed of permeable porcelain,
An air pollen, characterized in that an absorbent fabric is provided between the outside of the water storage container and the planting space.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물 저장용기에는 일단이 상기 물 저장용기 내의 수면에 위치되고, 타단이 상기 투입공을 관통하여 위치되는 수위확인바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 화분.
The method of claim 6,
The water storage container, one end is located on the water surface in the water storage container, the other end is provided with a water level check bar positioned through the input hole is provide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화분본체 상부에 위치되어 상기 차폐커버에 의해 고정되는 그물망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 화분.
According to claim 1,
It is locat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flowerpot body, further comprising a net that is fixed by the shield cover.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그물망은 상기 식재공간의 내측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그물망의 일측에는 상기 식물이 끼워지는 삽입슬릿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 화분.
The method of claim 9,
The mesh is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inside of the planting space,
An air pollen, characterized in that an insertion slit into which the plant is fitted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mesh.
KR1020190011726A 2019-01-30 2019-01-30 An aerial flowerpot KR10218589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1726A KR102185896B1 (en) 2019-01-30 2019-01-30 An aerial flowerpo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1726A KR102185896B1 (en) 2019-01-30 2019-01-30 An aerial flowerpo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4349A true KR20200094349A (en) 2020-08-07
KR102185896B1 KR102185896B1 (en) 2020-12-02

Family

ID=720500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1726A KR102185896B1 (en) 2019-01-30 2019-01-30 An aerial flowerpo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5896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303134A (en) * 2021-06-23 2021-08-27 浙江农林大学暨阳学院 Ornamental flower cultivation system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30971A (en) * 1992-07-14 1995-07-11 Myer; C. Randolph Adjustable post or botanical collar apparatus and method
KR19990033842U (en) * 1999-05-31 1999-08-16 정추일 Paper bag for fruit culture
KR200314510Y1 (en) * 2003-03-11 2003-05-27 조문래 A cover for protecting a trees
JP2010094194A (en) * 2008-10-15 2010-04-30 Kosaku Shigeta Flower stand
KR20100008628U (en) * 2009-02-23 2010-09-01 김동배 Packing Case of flowerpot unite clip
KR20160001611U (en) * 2014-11-06 2016-05-16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cover for flowerpot
KR20160099909A (en) * 2015-02-13 2016-08-23 함재영 Water stored and humidifying type flowerpot
KR20170090006A (en) * 2016-01-27 2017-08-07 이정아 Flowerpot combined lamp
KR101877172B1 (en) 2017-04-20 2018-07-10 조선래 Easy-to-drain publicly grown pots
KR20190050442A (en) * 2017-11-03 2019-05-13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flowerpot cover for packing and flowerpot packing device with the same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30971A (en) * 1992-07-14 1995-07-11 Myer; C. Randolph Adjustable post or botanical collar apparatus and method
KR19990033842U (en) * 1999-05-31 1999-08-16 정추일 Paper bag for fruit culture
KR200314510Y1 (en) * 2003-03-11 2003-05-27 조문래 A cover for protecting a trees
JP2010094194A (en) * 2008-10-15 2010-04-30 Kosaku Shigeta Flower stand
KR20100008628U (en) * 2009-02-23 2010-09-01 김동배 Packing Case of flowerpot unite clip
KR20160001611U (en) * 2014-11-06 2016-05-16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cover for flowerpot
KR20160099909A (en) * 2015-02-13 2016-08-23 함재영 Water stored and humidifying type flowerpot
KR20170090006A (en) * 2016-01-27 2017-08-07 이정아 Flowerpot combined lamp
KR101877172B1 (en) 2017-04-20 2018-07-10 조선래 Easy-to-drain publicly grown pots
KR20190050442A (en) * 2017-11-03 2019-05-13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flowerpot cover for packing and flowerpot packing device with the sam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303134A (en) * 2021-06-23 2021-08-27 浙江农林大学暨阳学院 Ornamental flower cultivation system
CN113303134B (en) * 2021-06-23 2023-02-24 浙江农林大学暨阳学院 Ornamental flower cultivat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5896B1 (en) 2020-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45112B2 (en) Plant retainer for retaining a plant for growth from the side or bottom of a planter
US6058651A (en) Hanging plant apparatus
JP6650091B2 (en) Hydroponic cultivator
KR20120094613A (en) Transparent interior plant pot for plant root observation
KR101726567B1 (en) Vertical Typed Apparatus For Cultivating Plant
KR20200094349A (en) An aerial flowerpot
WO2011126336A2 (en) Bag for fruits including convex tension material
KR20120060116A (en) observation kit of plant
CN202998930U (en) Reversely hang flowerpot
WO2021060793A1 (en) Flowerpot unit
CN107646408A (en) It is a kind of to prevent potted plant withered flowerpot
KR101514136B1 (en) Hydroponic cultivation of potted rubber pocket
WO2020071579A1 (en) Container for water culture
JP2007151528A (en) Farming soil container for vine and material for transporting raised product
US20070245625A1 (en) Window-mounted planter
CN209268361U (en) A kind of superposing type box connector and its beehive
JP2017176049A (en) Vegetation mats and slope vegetation methods
CN107360959B (en) Plant branch water culture fixing apparatus
KR20130083870A (en) Observation kit of plant
CN205848371U (en) A kind of Fish closely change pond case
CN218851551U (en) Mosquito-proof worm structure of three-dimensional planting tower
CN205611353U (en) But suspension type is cultivated in a pot
KR20160055606A (en) Apparatus for hydroponics
CN110073844A (en) Hang upside down green plant potting device, special stand and the green indoor arrangement method for planting potting
KR200485592Y1 (en) bag for seeding plant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