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91052A - 마스크 프레임 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마스크 프레임 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91052A
KR20200091052A KR1020190007582A KR20190007582A KR20200091052A KR 20200091052 A KR20200091052 A KR 20200091052A KR 1020190007582 A KR1020190007582 A KR 1020190007582A KR 20190007582 A KR20190007582 A KR 20190007582A KR 20200091052 A KR20200091052 A KR 202000910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k
frame assembly
magnetic layer
long side
weak magne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75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정현
문재석
이승진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075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91052A/ko
Priority to US16/541,495 priority patent/US20200232091A1/en
Priority to CN201911118454.8A priority patent/CN111455313A/zh
Publication of KR202000910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105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1L51/56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6/00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gaseous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i.e. chemical vapour deposition [CVD] processes
    • C23C16/04Coating on selected surface areas, e.g. using masks
    • C23C16/042Coating on selected surface areas, e.g. using masks using mas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21/00Accessories or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05C1/00 - B05C19/00
    • B05C21/005Masking device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4/00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 C23C14/04Coating on selected surface areas, e.g. using masks
    • C23C14/042Coating on selected surface areas, e.g. using masks using mask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4/00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 C23C14/22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f coating
    • C23C14/24Vacuum evapora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20Exposure; Apparatus therefor
    • G03F7/2051Exposure without an original mask, e.g. using a programmed deflection of a point source, by scanning, by drawing with a light beam, using an addressed light or corpuscular source
    • G03F7/2059Exposure without an original mask, e.g. using a programmed deflection of a point source, by scanning, by drawing with a light beam, using an addressed light or corpuscular source using a scanning corpuscular radiation beam, e.g. an electron beam
    • G03F7/2063Exposure without an original mask, e.g. using a programmed deflection of a point source, by scanning, by drawing with a light beam, using an addressed light or corpuscular source using a scanning corpuscular radiation beam, e.g. an electron beam for the production of exposure masks or reticles
    • H01L51/0011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3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 H10K59/35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comprising red-green-blue [RGB] subpixe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71/10Deposition of organic active material
    • H10K71/16Deposition of organic active material using physical vapour deposition [PVD], e.g. vacuum deposition or sputtering
    • H10K71/166Deposition of organic active material using physical vapour deposition [PVD], e.g. vacuum deposition or sputtering using selective deposition, e.g. using a mask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tallur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xic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Physical Vapour Deposi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증착을 위한 패턴영역이 구비된 마스크와, 마스크의 패턴영역을 단위셀 패턴으로 구획하며 상대적인 강자성층과 상대적인 약자성층이 적층된 클래드 구조의 장변스틱을 포함하는 마스크 프레임 조립체를 개시한다.

Description

마스크 프레임 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 {Mask frame assembl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증착 작업에 사용되는 마스크 프레임 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애노드와 캐소드에서 주입되는 정공과 전자가 발광층에서 재결합하여 발광하는 원리로 색상을 구현할 수 있는 것으로서, 애노드인 화소전극과 캐소드인 대향전극 사이에 발광층이 삽입된 적층형 구조로 화소들이 이루어져 있다.
상기 각 화소들은 예컨대 적색 화소, 녹색 화소 및 청색 화소 중 어느 하나의 서브 화소(sub pixel)가 될 수 있으며, 이들 3색 서브 화소의 색상 조합에 의해 원하는 컬러가 표현될 수 있다. 즉, 각 서브 화소마다 두 전극 사이에 적색과 녹색 및 청색 중 어느 한 색상의 빛을 발하는 발광층이 개재된 구조를 가지며, 이 3색광의 적절한 조합에 의해 한 단위 화소의 색상이 표현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전극들과 발광층 등은 증착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즉, 형성하고자 하는 박막층의 패턴과 동일한 패턴홀을 가지는 마스크를 기판 위에 정렬하고, 그 마스크의 패턴홀을 통해 기판에 박막의 원소재를 증착하여 소망하는 패턴의 박막을 형성하는 것이다.
상기 마스크는 그 단부를 지지하는 프레임 및 상기 패턴홀을 여러 개의 단위셀 패턴으로 구획해주는 장변스틱과 함께 마스크 프레임 조립체의 형태로 많이 사용되며, 증착 작업 시에는 자력을 이용하여 마스크가 기판에 밀착되게 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자력으로 마스크를 기판에 밀착시킬 때, 상기 장변스틱도 자력에 의해 끌어당겨지면서 마스크를 기판 쪽으로 밀착시키게 된다. 즉, 증착 작업 시의 배치는 자석-기판-마스크-장변스틱의 순서가 되며, 자석의 자력에 의해 마스크와 장변스틱이 기판 쪽으로 당겨지게 되고, 특히 장변스틱은 마스크를 기판 쪽으로 더 밀어붙여 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그런데, 만일 장변스틱이 마스크를 기판 쪽으로 밀어주는 힘이 너무 강하게 되면, 마스크에 형성된 패턴홀이 그 가압력에 의해 변형되어 마스크와 기판 사이가 심하게 떠버려서 그 들뜬 부위에 극심한 과증착이 일어나는 소위 고드름 불량이 발생하기 쉽다. 반대로, 장변스틱이 마스크를 기판 쪽으로 밀어주는 힘이 너무 약해도, 마찬가지로 마스크와 기판 사이에 틈이 생겨서 본래 의도한 증착 영역의 외곽에까지 증착이 일어나는 소위 섀도우 불량이 발생하기 쉽다. 즉, 마스크를 기판 쪽으로 밀어주는 힘이 너무 과해도 증착 불량이 발생하고 너무 약해도 증착 불량이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이와 같은 장변스틱에 의한 마스크 밀착력을 너무 과하거나 약하지 않은 적정 수준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개선된 마스크 프레임 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결합되며 기판 상의 증착을 위한 패턴영역이 구비된 마스크와,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어 상기 마스크의 패턴영역을 단위셀 패턴으로 구획하는 장변스틱을 포함하며, 상기 장변스틱은 상대적인 강자성층과 상대적인 약자성층이 적층된 클래드 구조체를 포함하는 마스크 프레임 조립체를 제공한다.
상기 강자성층의 두께가 상기 약자성층의 두께 보다 두꺼울 수 있다.
상기 약자성층에는 폭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가 있을 수 있다.
상기 돌출부는 상기 단위셀 패턴의 일측 비발광 패턴에 대응할 수 있다.
상기 돌출부는 반원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돌출부는 상기 약자성층의 폭방향 일단부에 길이방향을 따라서 다수개가 주기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클래드 구조체는 한 쌍의 강자성층 사이에 약자성층이 개재된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강자성층은 인바(INVAR) 재질을 포함하고, 상기 약자성층은 스테인레스 스틸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변스틱은 상기 마스크와 상기 기판을 사이에 두고 대향된 위치로부터 자력이 작용하면, 상기 마스크를 상기 기판 쪽으로 밀착시킬 수 있다.
상기 장변스틱이 상기 마스크에 가하는 밀착력은, 상기 강자성층의 상대적으로 강한 인력과 상기 약자성층의 상대적을 약한 인력이 조합되어 작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대적인 강자성층과 상대적인 약자성층이 적층된 클래드 구조체의 장변스틱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장변스틱을 프레임에 고정시키는 단계; 및, 상기 장변스틱에 의해 구획될 패턴영역을 가진 마스크를 상기 프레임에 고정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마스크 프레임 조립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장변스틱의 상기 강자성층 두께를 상기 약자성층의 두께 보다 두껍게 만들 수 있다.
상기 약자성층에 폭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돌출부는 상기 단위셀 패턴의 일측 비발광 패턴에 대응할 수 있다.
상기 돌출부는 반원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약자성층의 폭방향 일단부에 길이방향을 따라서 상기 돌출부를 주기적으로 다수개 배치할 수 있다.
상기 클래드 구조체는 한 쌍의 강자성층 사이에 약자성층이 개재된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강자성층은 인바(INVAR) 재질을 포함하고, 상기 약자성층은 스테인레스 스틸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스크와 상기 기판을 사이에 두고 대향된 위치로부터 상기 장변스틱에 자력이 작용하면, 상기 장변스틱이 상기 마스크를 상기 기판 쪽으로 밀착시킬 수 있다.
상기 장변스틱이 상기 마스크에 가하는 밀착력은, 상기 강자성층의 상대적으로 강한 인력과 상기 약자성층의 상대적을 약한 인력이 조합되어 작용할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프레임 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하면, 장변스틱이 마스크를 기판에 밀착시키는 힘을 너무 과하거나 너무 약하지 않은 적정 수준으로 유지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고드름 불량이나 섀도우 불량과 같은 증착 불량을 충분히 억제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제품의 안정적인 품질을 보장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프레임 조립체를 사용하는 증착 과정을 보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마스크 프레임 조립체의 분리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마스크 프레임 조립체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A부위를 확대한 사시도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도 1에 도시된 마스크 프레임 조립체 중 장변스틱의 제조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대상 기판의 세부 구조를 보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실시예가 달리 구현 가능한 경우에 특정한 공정 순서는 설명되는 순서와 다르게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속하여 설명되는 두 공정이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설명되는 순서와 반대의 순서로 진행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프레임 조립체(100)가 채용된 박막 증착 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박막 증착 장치는 대상 기판(300) 상에 원하는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마스크 프레임 조립체(100)와, 챔버(400) 내에서 상기 대상 기판(300)을 향해 증착가스를 분출하는 증착원(200) 등을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챔버(400) 내에서 증착원(200)이 증착가스를 분출하면 해당 증착가스가 마스크 프레임 조립체(100)의 마스크(120)에 형성된 패턴홀(121a;도 2 참조)를 통과하여 기판(300)에 달라붙으면서 소정 패턴의 박막을 형성하게 된다. 참조부호 500은 마스크(120)가 대상 기판(300)에 밀착되도록 자력을 인가하는 자석을 나타낸다.
여기서 상기 마스크 프레임 조립체(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턴홀(121a)이 형성된 마스크(120)와, 그 마스크(120)의 양단을 지지하는 프레임(130) 및, 상기 프레임(130)에 마스크(120)와 수직으로 교차하며 지지된 장변스틱(110)을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130)은 마스크 프레임 조립체(100)의 외곽 틀을 형성하는 것으로, 중앙에 개구부(132)가 형성된 사각형 모양을 하고 있다. 이 프레임(130)의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변에 장변스틱(110)의 길이방향(X방향) 양단부가 용접으로 고정되며, 마스크(100)의 길이방향(Y방향) 양단부는 상기 장변스틱(110)이 용접되는 변과 수직인 한 쌍의 변에 용접으로 고정된다.
상기 마스크(120)는 길쭉한 스틱 형상의 부재들로서, 상기 개구부(132) 안에 위치되는 패턴영역(121)에 다수의 패턴홀(121a)들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양단부는 상기한 바와 같이 프레임(300)에 용접된다. 참조부호 122는 지지부로서, 마스크(120)를 프레임(130)에 용접할 때 이 지지부(122)를 잡고 길이방향으로 인장시킨 상태에서 용접하게 되며, 용접 후에는 프레임(300) 밖으로 돌출된 부분을 커팅으로 제거한다. 이 마스크(120)를 큰 부재 하나로 만들 수도 있지만, 그럴 경우 자중에 의한 처짐 현상이 심해질 수 있으므로, 도면과 같이 다수개의 스틱 형상으로 분할해서 만든다. 상기 마스크(120)의 재질로는 철-니켈 합금인 INVAR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패턴홀(121a)은 증착 공정 시 증착 증기가 통과하는 구멍으로, 이 패턴홀(121a)을 통과한 증착 증기가 상기 대상 기판(300;도 1 참조)에 달라붙으며 박막층을 형성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패턴영역(121)은 일정한 규격의 셀 단위로 나눠져 있지 않고 하나로 길게 연결되어 있는데, 이것을 셀 단위로 구획해주는 것이 상기 장변스틱(110)이다. 즉, 도면과 같이 마스크(120)와 장변스틱(110)은 프레임(130)에 수직으로 교차하면서 서로 밀착되게 설치되며, 이에 따라 각 마스크(120)의 패턴영역(121)를 장변스틱(110)이 가로지르면서 셀 단위로 나눠주는 것이다. 그러니까 장변스틱(110)이 단위 셀들 사이의 경계선을 그어주는 셈이 된다. 도 3이 장변스틱(110)에 의해 패턴영역(121)이 단위셀 패턴(121b)으로 구획되는 것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이와 같이 패턴영역(121)은 장변스틱(110)에 의해 여러 개의 단위셀 패턴(121b)으로 나뉘게 된다. 그리고, 각 단위셀 패턴(121b) 안에는 비직선형의 비발광패턴인 노치부(121c)가 포함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서 장변스틱(110)에는 이 노치부(121c)에 발광을 위한 박막이 증착되지 않도록 가려주는 돌출부(111)가 구비된다.
한편, 상기 장변스틱(11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금속층이 적층된 클래드 구조체로 이루어져 있다.
즉, 상대적으로 강자성층인 제1층(110a)과 제3층(110c) 사이에 상대적으로 약자성층인 제2층(110b)이 개재된 샌드위치형 적층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제1,3층(110a)(110c)은 철-니켈 합금인 INVAR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그 사이의 제2층(110b)은 스테인레스 스틸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장변스틱(110)을 상대적 강자성층인 제1,3층(110a)(110c)과 상대적 약자성층인 제2층(110b)이 적층된 클래드 구조체로 하는 이유는, 전술한 바대로 상기 마스크(120)에 작용하는 밀착력이 너무 강하지도, 너무 약하지도 않은 적정한 수준을 유지하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즉, 만일 장변스틱(110) 전체가 다 강자성층인 INVAR 재질로 이루어져 있다면, 자석(500:도 1 참조)의 자력이 마스크 프레임 조립체(100)에 작용할 때, 마스크(120)를 기판(300) 쪽으로 밀어붙이는 장변스틱(110)의 힘이 너무 커지게 된다. 그러면, 마스크(120)의 패턴홀(121a)이 그 과도한 힘에 눌려서 변형될 가능성이 커지게 되고, 마스크(120)와 대상 기판(300) 사이가 심하게 떠버려서 그 들뜬 부위에 극심한 과증착이 일어나는 고드름 불량이 발생하기 쉽다.
반대로, 장변스틱(110) 전체가 다 약자성층인 스테인레스 스틸 재질로 이루어져 있다면, 마스크(120)를 기판(300) 쪽으로 밀어붙이는 장변스틱(110)의 힘이 너무 약해지게 된다. 그러면, 마찬가지로 마스크(120)와 대상 기판(300) 사이가 제대로 밀착되지 못하고 틈이 생겨서 본래 의도한 증착 영역의 외곽에까지 증착이 일어나는 섀도우 불량의 발생 가능성이 커진다.
따라서, 본 실시예와 같이 강자성층인 제1,3층(110a)(110c)과 약자성층인 제2층(110b)을 적층한 클래드 구조체로 장변스틱(110)을 만들어서, 이들 강,약자성의 조합에 의해 적정한 밀착력이 구현되게 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자성층인 제1,3층(110a)(110c)의 두께(t1)(t3)를 약자성층인 제2층(110b)의 두께(t2)보다 두껍게 한다. 즉, 약자성층인 제2층(110b)을 포함시켜서 전체가 다 강자성층인 경우에 비해 밀착력을 약화시키기는 하되, 너무 심하게 약화되면 반대로 섀도우 불량이 생길 위험이 있으므로 약자성층이 메인 층이 되지는 않게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한 단위셀 패턴(121b)의 노치부(121c)를 형성하기 위한 돌출부(111)는 약자성층인 제2층(110b)에 형성한다. 즉, 돌출부(111)가 있으면 자석(500)에 의해 당겨지는 면적이 그만큼 넓어지므로, 강자성층인 제1,3층(110a)(110c)에 돌출부(111)를 만들 경우 약자성층(110b)의 개재로 완화된 밀착력이 바로 상쇄되거나 오히려 더 증가될 수 있다. 따라서, 돌출부(111)는 면적 증가에 의한 밀착력 증가 정도가 상대적으로 덜한 약자성층 즉, 스테인레스 스틸 재질의 제2층(110b)에 형성한다.
이와 같은 클래드 구조체의 장변스틱(110)은 압착과 에칭 과정으로 만들 수 있는데, 이 장변스틱(110)을 포함한 마스크 프레임 조립체(100)의 자세한 제조과정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하고, 그 전에 이 마스크 프레임 조립체(100)로 증착할 수 있는 대상 기판(300)의 예를 도 6을 참조하여 간략히 소개하기로 한다.
상기 마스크 프레임 조립체(100)는 각종 박막 증착용으로 사용될 수 있는데, 예컨대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발광층 패턴을 형성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마스크 프레임 조립체(100)를 이용하여 박막을 증착할 수 있는 대상 기판(300)의 예로서 상기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베이스판(320)상에 버퍼층(330)이 형성되어 있고, 이 버퍼층(330) 상부로 박막트랜지스터(TFT)가 구비된다.
박막트랜지스터(TFT)는 활성층(331)과, 이 활성층(331)을 덮도록 형성된 게이트 절연막(332)과, 게이트 절연막(332) 상부의 게이트 전극(333)을 갖는다.
게이트 전극(333)을 덮도록 층간 절연막(334)이 형성되며, 층간 절연막(334)의 상부에 소스전극(335a) 및 드레인 전극(335b)이 형성된다.
소스전극(335a) 및 드레인 전극(335b)은 게이트 절연막(332) 및 층간 절연막(334)에 형성된 컨택홀에 의해 활성층(331)의 소스 영역 및 드레인 영역에 각각 접촉된다.
그리고, 상기 드레인 전극(335b)에 유기 발광 소자(OLED)의 화소전극(321)이 연결된다. 화소전극(321)은 평탄화막(337) 상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이 화소전극(321) 위에 서브화소 영역을 구획하는 화소정의막(Pixel defining layer: 338)이 형성된다. 참조부호 339는 증착 시 마스크(120)와의 간격을 유지하여 마스크(120) 접촉에 의한 기판(300)측 부재들의 손상을 막기 위한 스페이서를 나타내며, 스페이서(339)는 화소정의막(338)의 일부가 돌출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 화소정의막(338)의 개구부에 유기 발광 소자(OLED)의 발광층(326)이 형성되고, 이들 상부에 대향전극(327)이 증착된다. 즉, 화소정의막(338)으로 둘러싸인 개구부가 적색화소(R), 녹색화소(G), 및 청색화소(B)와 같은 한 서브화소의 영역이 되며, 그 안에 해당 색상의 발광층(326)이 형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예컨대 패턴홀(121a)이 이 발광층(326)에 대응하도록 마스크(120)를 준비하면, 도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증착 과정을 통해 원하는 패턴의 발광층(326)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한 단위셀 패턴(121b)은 한 유기발광표시장치의 디스플레이 영역에 해당될 수 있다.
이제 이와 같은 유기발광표시장치를 만들 수 있는 상기 마스크 프레임 조립체(100)의 형성과정을 도 2와 도 5a 내지 도 5c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전술한 클래드 구조체의 장변스틱(110) 제조과정은 도 5a 내지 도 5c를 참조해서 정리하고, 이 장변스틱(110)을 포함한 마스크 프레임 조립체(100)의 제조과정은 도 2를 다시 참조해서 정리하기로 한다.
먼저, 장변스틱(110)을 제조할 때에는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자성층인 INVAR재질의 제1층(110a)과, 약자성층인 스테인레스 스틸 재질의 제2층(110b) 및, 강자성층인 INVAR재질의 제3층(110c)을 차례로 적층한 다음 압착하여 클래드 구조체를 만든다.
그 다음에는 전술한 돌출부(111)를 제2층(110b)에 만들어야 하는데, 이를 위해 우선 도 5b와 같이 포토리소그래피를 이용한 에칭으로 제1,3층(110a)(110c)의 폭방향(Y방향) 일단부를 제거해낸다. 그러면, 제2층(110b)의 폭방향(Y방향) 일단부(110b-1)가 외부로 노출된다.
이어서, 다시 그 노출된 제2층(110b)의 폭방향(Y방향) 일단부(110b-1)에 대해 포토리소그래피를 이용한 에칭 작업으로 진행하여 상기 돌출부(111)만 남게 한다. 그러면, 제2층(110b)의 폭방향 일단부에 길이방향(X방향)을 따라서 다수개의 돌출부(111)가 주기적으로 배치된 구조가 만들어진다. 각 단위셀 패턴(121b) 마다 돌출부(111)가 하나씩 들어가게 하는 배치라고 보면 된다. 여기서는, 돌출부(111)가 반원형인 경우를 예시하였는데, 다양한 다른 형상으로 만들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렇게 형성된 장변스틱(110)을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30)에 용접하여 고정시키고, 그 위에 마스크(120)를 교차 배치하여 용접으로 고정시키면 마스크 프레임 조립체(100)가 완성된다.
그러므로, 이와 같은 구조의 마스크 프레임 조립체(100)를 이용하면, 장변스틱(110)이 마스크(120)를 대상 기판(300)에 밀착시키는 힘을 너무 과하거나 너무 약하지 않은 적정 수준으로 유지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고드름 불량이나 섀도우 불량과 같은 증착 불량을 충분히 억제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제품의 안정적인 품질을 보장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실시예의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마스크 프레임 조립체 110: 장변스틱
110a,110c: 강자성층(제1,3층) 110b: 약자성층(제2층)
111: 돌출부 120: 마스크
121: 패턴영역 121a: 패턴홀
130: 프레임

Claims (20)

  1.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결합되며 기판 상의 증착을 위한 패턴영역이 구비된 마스크와,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어 상기 마스크의 패턴영역을 단위셀 패턴으로 구획하는 장변스틱을 포함하며,
    상기 장변스틱은 상대적인 강자성층과 상대적인 약자성층이 적층된 클래드 구조체를 포함하는 마스크 프레임 조립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강자성층의 두께가 상기 약자성층의 두께 보다 두꺼운 마스크 프레임 조립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약자성층에는 폭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가 있는 마스크 프레임 조립체.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단위셀 패턴의 일측 비발광 패턴에 대응하는 마스크 프레임 조립체.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반원 형상을 포함하는 마스크 프레임 조립체.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약자성층의 폭방향 일단부에 길이방향을 따라서 다수개가 주기적으로 배치된 마스크 프레임 조립체.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래드 구조체는 한 쌍의 강자성층 사이에 약자성층이 개재된 구조를 포함하는 마스크 프레임 조립체.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강자성층은 인바(INVAR) 재질을 포함하고, 상기 약자성층은 스테인레스 스틸 재질을 포함하는 마스크 프레임 조립체.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변스틱은 상기 마스크와 상기 기판을 사이에 두고 대향된 위치로부터 자력이 작용하면, 상기 마스크를 상기 기판 쪽으로 밀착시키는 마스크 프레임 조립체.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장변스틱이 상기 마스크에 가하는 밀착력은, 상기 강자성층의 상대적으로 강한 인력과 상기 약자성층의 상대적을 약한 인력이 조합되어 작용하는 마스크 프레임 조립체.
  11. 상대적인 강자성층과 상대적인 약자성층이 적층된 클래드 구조체의 장변스틱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장변스틱을 프레임에 고정시키는 단계와,
    상기 장변스틱에 의해 구획될 패턴영역을 가진 마스크를 상기 프레임에 고정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마스크 프레임 조립체의 제조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장변스틱의 상기 강자성층 두께를 상기 약자성층의 두께 보다 두껍게 만드는 마스크 프레임 조립체의 제조방법.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약자성층에 폭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를 형성하는 마스크 프레임 조립체의 제조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단위셀 패턴의 일측 비발광 패턴에 대응하는 마스크 프레임 조립체의 제조방법.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반원 형상을 포함하는 마스크 프레임 조립체의 제조방법.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약자성층의 폭방향 일단부에 길이방향을 따라서 상기 돌출부를 주기적으로 다수개 배치하는 마스크 프레임 조립체의 제조방법.
  17.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래드 구조체는 한 쌍의 강자성층 사이에 약자성층이 개재된 구조를 포함하는 마스크 프레임 조립체의 제조방법.
  18.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강자성층은 인바(INVAR) 재질을 포함하고, 상기 약자성층은 스테인레스 스틸 재질을 포함하는 마스크 프레임 조립체의 제조방법.
  19.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와 상기 기판을 사이에 두고 대향된 위치로부터 상기 장변스틱에 자력이 작용하면, 상기 장변스틱이 상기 마스크를 상기 기판 쪽으로 밀착시키는 마스크 프레임 조립체의 제조방법.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장변스틱이 상기 마스크에 가하는 밀착력은, 상기 강자성층의 상대적으로 강한 인력과 상기 약자성층의 상대적을 약한 인력이 조합되어 작용하는 마스크 프레임 조립체의 제조방법.
KR1020190007582A 2019-01-21 2019-01-21 마스크 프레임 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 KR20200091052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7582A KR20200091052A (ko) 2019-01-21 2019-01-21 마스크 프레임 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
US16/541,495 US20200232091A1 (en) 2019-01-21 2019-08-15 Mask frame assembl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N201911118454.8A CN111455313A (zh) 2019-01-21 2019-11-15 掩模框架组件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7582A KR20200091052A (ko) 2019-01-21 2019-01-21 마스크 프레임 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1052A true KR20200091052A (ko) 2020-07-30

Family

ID=716097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7582A KR20200091052A (ko) 2019-01-21 2019-01-21 마스크 프레임 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00232091A1 (ko)
KR (1) KR20200091052A (ko)
CN (1) CN111455313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613802B2 (en) * 2020-04-17 2023-03-28 Rockwell Collins, Inc. Additively manufactured shadow masks for material deposition control
CN111394692B (zh) * 2020-05-09 2022-05-13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掩膜版
KR20220089809A (ko) * 2020-12-21 2022-06-2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마스크 프레임 및 마스크 프레임의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0269B1 (ko) * 2014-11-05 2021-07-2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마스크 프레임 조립체 및 그 제조 방법
CN107208250A (zh) * 2015-01-05 2017-09-26 夏普株式会社 蒸镀掩膜、蒸镀装置、及蒸镀掩膜的制造方法
KR102586049B1 (ko) * 2015-11-13 2023-10-1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마스크 프레임 조립체, 표시 장치의 제조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102505877B1 (ko) * 2016-01-29 2023-03-0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마스크 프레임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
WO2017163443A1 (ja) * 2016-03-23 2017-09-28 鴻海精密工業股▲ふん▼有限公司 蒸着マスク、蒸着マスクの製造方法および有機半導体素子の製造方法
JP7110776B2 (ja) * 2018-07-11 2022-08-02 大日本印刷株式会社 蒸着マスク、蒸着マスクの製造方法および有機el表示装置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1455313A (zh) 2020-07-28
US20200232091A1 (en) 2020-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36475B2 (en) Mask frame assembl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070539B1 (ko) 증착 마스크 및 이를 사용한 유기 전계 발광 장치의 제조 방법
US9321074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mask frame assembly for thin film deposition
JP5816519B2 (ja) マスクフレーム組立体、マスクフレーム組立体の製造方法、および有機発光表示装置の製造方法
KR102544244B1 (ko) 마스크 프레임 조립체
KR20200091052A (ko) 마스크 프레임 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
US20110220019A1 (en) Mask frame assembly for thin film deposition and method of assembling the same
JP2002069619A (ja) メタルマスク構造体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40082959A (ko) 성막용 마스크, 유기 el 패널, 및 유기 el 패널의제조 방법
KR20020061114A (ko) 유기 el 디스플레이 및 그 제조 방법
KR20160128529A (ko) 마스크 프레임 조립체, 그 제조 방법 및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100982021B1 (ko) 분할 마스크 조립체
KR20130060125A (ko) 성막장치 및 성막방법 및 그것들에 사용되는 마스크 유닛
KR20160069075A (ko) 증착용 마스크 프레임 조립체 및 그 제조 방법
KR100833769B1 (ko) 유기 박막 증착기의 마스크 얼라인먼트용 자석판 및자석판과 마스크의 얼라인먼트 구조
JP2000012238A (ja) 有機el素子、有機el素子製造用マスク及び有機el素子の製造方法
KR20200036998A (ko) 마스크 프레임 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
JP2002151258A (ja) 有機発光ダイオード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構造
JP2008305560A (ja) 有機el表示装置の製造方法
JP2014041740A (ja) 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20200097370A (ko) 마스크 프레임 조립체와 그것을 채용한 증착 장치 및 그들의 제조방법
CN110872685B (zh) 沉积掩膜及其制造方法
KR101930265B1 (ko) 새도우 마스크 및 이를 이용한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JP2013080661A (ja) 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US20060119257A1 (e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