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89785A - 유자씨 오일 및 유자 과즙을 포함하는 항균용 에멀젼 조성물, 이의 용도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유자씨 오일 및 유자 과즙을 포함하는 항균용 에멀젼 조성물, 이의 용도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89785A
KR20200089785A KR1020190006255A KR20190006255A KR20200089785A KR 20200089785 A KR20200089785 A KR 20200089785A KR 1020190006255 A KR1020190006255 A KR 1020190006255A KR 20190006255 A KR20190006255 A KR 20190006255A KR 20200089785 A KR20200089785 A KR 202000897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mulsion composition
citron
antibacterial
emulsion
ju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62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81371B1 (ko
Inventor
신계화
정서아
Original Assignee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고려자연식품(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고려자연식품(주) filed Critical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0062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1371B1/ko
Publication of KR202000897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97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13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13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08Magnoliopsida [dicotyledons]
    • A01N65/36Rutaceae [Rue family], e.g. lime, orange, lemon, corktree or pricklyash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02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containing liquids as carriers, diluents or solvents
    • A01N25/04Dispersions, emulsions, suspoemulsions, suspension concentrates or gel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3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5Rutaceae (Rue family)
    • A61K36/752Citrus, e.g. lime, orange or lem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0Dispersions; Emulsions
    • A61K9/107Emulsions ; Emulsion preconcentrates; Micel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04Antibacterial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05Antimicrobial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immune system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Myc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Zoolog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Plant Pathology (AREA)
  • Bird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Toxic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Communicable Diseases (AREA)
  • Onc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ysi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자씨 오일 및 유자 과즙을 포함하는 항균용 에멀젼 조성물, 이의 용도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항균용 에멀젼 조성물은 천연물 유래의 항균 조성물로서 다양한 그람 양성균 및 그람 음성균에 대해 강력한 항균 효과를 나타내며, 약학 조성물, 건강기능식품, 가축 사료첨가제, 위생용품 및 식품 또는 의약품 첨가제 등의 용도에 적용되기에 매우 유용하다.

Description

유자씨 오일 및 유자 과즙을 포함하는 항균용 에멀젼 조성물, 이의 용도 및 이의 제조방법{Antimicrobial emulsion compositon comprising yuja seed oil and yuja juice as an active ingredient, use thereof and method preparing the same}
본 발명은 유자씨 오일 및 유자 과즙을 포함하는 항균용 에멀젼 조성물, 이의 용도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생활주변에서 널리 이용되는 식품, 의약품, 화장품 등의 많은 제품에는 내부 물성의 변화를 방지하고, 일정 기간 동안의 보존을 위해서 인체에 무익한 방부제가 첨가되어 있다. 방부제로서 사용되고 있는 물질로는 천연에서 유래된 물질도 있으나 대부분 화학적으로 합성한 파라벤류, 페녹시에탄올, 트리클로산과 같은 인공물질들이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범용적으로 사용되는 파라벤류의 방부제들조차 피부 알러지와 환경호르몬으로서의 가능성 및 내성균 유발이라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파라벤류에 대해서 최근에는 발암성이 의심되고 있는 실정이다.
생활주변에서 널리 이용되는 식품, 의약품, 화장품 등의 많은 제품에는 내부 물성의 변화를 방지하고, 일정 기간 동안의 보존을 위해서 인체에 무익한 방부제가 첨가되어 있다. 방부제로서 사용되고 있는 물질로는 천연에서 유래된 물질도 있으나 대부분 화학적으로 합성한 파라벤류, 페녹시에탄올, 트리클로산과 같은 인공물질들이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범용적으로 사용되는 파라벤류의 방부제들조차 피부 알러지와 환경호르몬으로서의 가능성 및 내성균 유발이라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파라벤류에 대해서 최근에는 발암성이 의심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유자는 분류학상으로 운향과, 감귤 속에 속하는 과실로써 중국 양자강 상류지방이 원산지이며, 우리나라 남부지방에서 과수로 재배하고 있으며, 제주도를 포함하여 전남 고흥, 완도, 경남 거제, 남해 등 남해안 일대에서 자생한다.
이러한 유자에는 비타민C가 유자 100g당 105㎎(레몬의 3배, 사과의 25배)이나 함유되어 있다. 또한, 유자의 껍질에는 비타민 P의 활성물질인 헤스페리딘(hesperidin)이 함유되어 있다. 상기 헤스페리딘은 혈압을 안정시키며 모세혈관을 강하게 하는 기능이 있으므로, 고혈압과 저혈압 관리는 물론 뇌졸중 예방에도 효과가 있다. 그리고, 유자의 씨와 껍질에는 쓴맛을 내는 리모넨 및 리모노이드가 함유되어 있다. 상기 리모넨은 혈압 강하 및 항산화 작용을 나타내며, 상기 리모노이드는 항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그리고, 유자는 신맛을 주는 구연산 등의 유기산과 칼슘, 칼륨 등 미네랄도 풍부하다. 그래서, 유자를 즐겨먹으면 피로회복, 노화방지, 피부미용 등에 효과가 있다. 그리고, 유자는 다른 감귤류처럼 펙틴(다당류)이 많이 들어있어서(4~6%), 혈액순환과 가려움증 억제, 염증 제거, 동상 방지에도 효과적이다.
본 발명자들은 방부제로 사용되는 인공물질들을 대체할 수 있는 천연 소재의 항균 효과를 활용하는 방안에 대하여 검토하였으며, 여러 천연 소재 중에서 유자씨 오일 및 유자 과즙을 이용한 항균용 에멀젼 조성물이 다양한 그람 양성균 및 그람 음성균에 대하여 우수한 항균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KR 10-2014-0053738 A KR 10-2017-0029143 A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종래에 건강식품, 화장료 조성물 등에 포함되는 인공물질을 대체할 수 있는 항균용 천연 소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유자씨 오일, 유자 과즙 및 유화제를 포함하는 항균용 에멀젼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항균용 에멀젼 조성물은 평균입자 크기가 250 내지 500 nm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유자 과즙은 초음파 처리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항균용 에멀젼 조성물은 유자 과즙을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65 내지 85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에멀젼 조성물은 그람 양성균 및 그람 음성균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에 항균 활성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에멀젼 조성물은 대장균(E. coli),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 리스테리아 모노사이토제니스(Listeria monocytogenes) 및 살모넬라 타이피뮤리움(Salmonella typhimurium)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에 항균 활성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에멀젼 조성물은 정제수, 비타민, 유분, 계면활성제, 킬레이트제, 색소, 지방산, 산화방지제, 향료, 방부제 및 중화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에멀젼 조성물을 포함하는 항균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에멀젼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균으로 인한 감염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에멀젼 조성물을 포함하는 항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항균용 화장료 조성물은 용액, 분말, 에멀션, 로션, 분사, 연고, 에어로졸, 크림 또는 거품의 형태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에멀젼 조성물을 포함하는 항균용 식품첨가제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에멀젼 조성물을 포함하는 위생용품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에멀젼 조성물을 포함하는 사료첨가제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S1) 유자씨를 초임계 유체 추출하여 유자씨 오일을 얻는 단계; (S2) 상기 유자씨 오일에 유화제를 혼합한 후 교반하는 단계; (S3) 유자 과즙에 초음파 처리를 하는 단계; 및 (S4) 상기 초음파 처리된 유자 과즙에 (S2) 단계에서 얻은 혼합물을 첨가하면서 균질기를 이용하여 8,000 내지 15,000 rpm으로 10 내지 40분 동안 혼합하여 에멀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자씨 오일 및 유자 과즙의 에멀젼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항균용 에멀젼 조성물은 천연물 유래의 항균 조성물로서 다양한 그람 양성균 및 그람 음성균에 대해 강력한 항균 효과를 나타내며, 약학 조성물, 건강기능식품, 가축 사료첨가제, 위생용품 및 식품 또는 의약품 첨가제 등의 용도에 적용되기에 매우 유용하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시료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는 비교예 1의 유자씨 오일의 항균력을 평가하기 위하여 paper disc method를 이용하여 실험한 결과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3은 비교예 2에서 제조한 유자 과즙의 과육 잔여물 여과 전후의 항균력을 평가하기 위하여 paper disc method를 이용하여 실험한 결과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와 비교예 3의 시료의 외관을 비교하기 위한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유자씨 오일, 유자 과즙 및 유화제를 포함하는 항균용 에멀젼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에멀젼 조성물은 평균입자 크기가 250 내지 500 nm인 나노 에멀젼 형태의 조성물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유자씨 오일, 유자 과즙 및 유화제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초음파 처리하여 수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조성물은 (1) 유자씨 오일 및 유자 과즙을 혼합하여 균질화하는 단계; (2) 상기 혼합물에 유화제를 추가 혼합하는 단계; 및 (3) 상기 혼합물을 초음파 처리하여 나노 에멀젼을 형성하는 단계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조성물은 (1) 유자씨 오일 및 유화제를 혼합하는 단계; (2) 초음파 처리한 유자 과즙에 상기 혼합물을 첨가하면서 균질화하는 단계; 및 (3) 상기 균질화한 혼합물을 초음파 처리하여 나노 에멀젼을 형성하는 단계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유자는 중국으로부터 기원이 되어 한국으로 전파된 것이며, 내, 외부가 잘 분리되며 성숙됨에 따라 과피가 두꺼워지고 선명한 황색을 띠게 된다. 유자는 과피의 정유성분을 이용하기 위하여 과육보다는 과피로 음료나 향료 등에 이용이 되고 있다. 정유성분 중 리모넨(limonene)은 항균효과를 가지며, 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물질은 항산화 효능이 있어, 해독, 진해, 감기 등에 민간요법으로 활용이 되고 있다. 유자씨에는 천연향과 정유가 풍부하고 과육에는 아미노산, 유리당, 유기산 등이 함유되어 있다. 유익한 정유성분이 함유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유자씨는 활발하게 활용되지 않았다. 유자씨는 연간 1,800톤 이상 발생되며 이를 이용한 다양한 방법으로 이용 범위를 넓혀야 할 필요성이 있다.
상기 유자씨 오일의 제조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유자로부터 종자를 분리하여 분리된 종자를 물로 세척한다. 세척된 종자를 건조시켜 종자에 함유된 수분을 5~20 중량% 범위 내로 조절하고, 건조된 종자를 분쇄기로 분쇄하여 분말화한다. 이어, 분쇄된 종자 분말에 높은 온도의 증기(예를 들면 100~120 ℃)를 가하여 종자 분말에 가습 및 가온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때 스팀기에서 증기를 가해주는 시간은 약 5~30분 범위 내로 조절될 수 있다. 과도한 가습이 이루어지면, 종자 분말의 섬유질이 수분을 흡착하여 부피가 커지면서 뭉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가습 및 가온 공정을 통해 뜨거운 증기에 의해 종자 내에 있는 기름이 녹아 착유 과정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다.
이후, 상기 유자씨를 이산화탄소로 초임계 유체 추출하여 유자씨 오일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유자의 과육은 압착하여 즙을 짜 유자 과즙을 얻을 수 있다.
상기 유자 과즙은 유자 과육을 착즙한 신선 과즙, 이를 냉동한 냉동 과즙 또는 이를 농축한 농축 과즙을 모두 포함한다.
상기 유자 과즙은 일반 유자 과즙을 사용할 수 있으나, 우수한 항균 활성을 얻기 위해 초음파 처리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초음파 처리는 20 내지 40 kHz의 초음파를 10 내지 30 분간 처리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사용되는 유화제는 트윈 80(Tween 80), 트윈 60(Tween 60), 트윈 40(Tween 40), 트윈 20(Tween 20), 폴리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자당지방산에스테르, 솔비탄지방산에스테르, 레시틴 및 이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조성물은 유자씨 오일을 2 내지 10 중량%, 유자 과즙 65 내지 85 중량% 및 유화제 6 내지 30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조성물은 (S1) 유자씨를 초임계 유체 추출하여 유자씨 오일을 얻는 단계; (S2) 상기 유자씨 오일에 유화제를 혼합한 후 교반하는 단계; (S3) 유자 과즙에 초음파 처리를 하는 단계; 및 (S4) 상기 초음파 처리된 유자 과즙에 (S2) 단계에서 얻은 혼합물을 첨가하면서 균질기를 이용하여 8,000 내지 15,000 rpm으로 10 내지 40분 동안 혼합하여 에멀젼을 제조하는 단계; (S5) 상기 에멀젼을 초음파 처리하여 나노에멀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초음파 처리는 20 내지 60 kHz 범위에서 수행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input은 50 내지 60 kHz에서, output은 20 내지 40 kHz 범위에서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20 내지 40%의 진폭으로 5 내지 20 분 동안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초음파를 처리함으로써, 나노에멀젼의 입자 크기를 조절할 수 있으며, 특히 상기 범위 내에서 초음파 처리 강도 및 시간을 함께 조절함으로써 입자 크기가 작은 나노에멀젼을 수득할 수 있다.
상기 초음파 처리 강도 및 초음파 처리 시간이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나노에멀젼이 응집되거나 층분리가 일어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고, 분산 안정성이 낮아지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항균용 에멀젼 조성물은 그람 양성균 및 그람 음성균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에 항균 활성을 나타낸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에멀젼 조성물은 대장균(E. coli),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 리스테리아 모노사이토제니스(Listeria monocytogenes) 및 살모넬라 타이피뮤리움(Salmonella typhimurium)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에 항균 활성을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의 항균용 에멀젼 조성물은 정제수, 비타민, 유분, 계면활성제, 킬레이트제, 색소, 지방산, 산화방지제, 향료, 방부제 및 중화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른 항균용 약학 조성물은 상기 본 발명에 따른 항균용 에멀젼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한다.
상기 약학 조성물의 투여 방법은 특별한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지만, 경구, 비경구, 복막내, 정맥내, 동맥내, 경피, 설하, 근육내, 직장, 구강, 비강내, 리포솜, 흡입, 질내, 안구내, 국소 전달, 피하, 지방내, 관절내 및 경막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국소 전달에 의한 투여 또는 경피 투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조성물로부터 선택되는 투여 수준은 화합물의 활성, 투여 경로, 치료되는 병태의 중증도 및 치료되는 환자의 병태 및 이전 병력에 따를 것이다. 그러나 원하는 치료 효과의 달성을 위해 요구되는 것보다 낮은 수준의 화합물의 용량에서 시작하여, 원하는 효과가 달성될 때까지 투여량을 서서히 증가시키는 것은 당업계의 지식 내에 있으며, 바람직한 투여량은 나이, 성별, 체형, 체중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약제학상 허용 가능한 제약 제제로 제제화 되기 전에 추가로 가공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더 작은 입자들로 분쇄 또는 연마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성물은 병태 및 치료되는 환자에 따라 달라질 것이지만, 이는 비-독창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바람직한 효과를 위해서, 본 발명의 항균용 에멀젼 조성물의 유효 용량은 1~2 mg/kg이고, 바람직하게는 0.5~1 mg/kg이며, 하루 1 내지 3회 투여될 수 있다.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방법에 따라,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또는 부형제를 이용하여 제제화함으로써 단위 용량 형태로 제조되거나 또는 다용량 용기 내에 내입시켜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제형은 산제, 과립제, 정제, 캅셀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연고, 크림 등의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 등을 비롯하여 약제학적 제제에 적합한 어떠한 형태로든 사용할 수 있으며, 분산제 또는 안정화제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항균용 에멀젼 조성물은 항균 활성을 보이는 대장균(E. coli),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 리스테리아 모노사이토제니스(Listeria monocytogenes) 또는 살모넬라 타이피뮤리움(Salmonella typhimurium)로부터 대표적으로 유발되는 질병인 식중독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상기 항균용 에멀젼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여 상기 세균으로 인한 감염성 질환들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로 활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항균용 에멀젼 조성물은 항균용 화장료 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용액, 분말, 에멀션, 로션, 분사, 연고, 에어로졸, 크림 또는 거품의 형태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는, 화장품 제제에 있어서 수용가능한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화장품 제제에 있어서 수용가능한 담체"란 화장품 제제에 포함될 수 있는 이미 공지되어 사용되고 있는 화합물 또는 조성물이거나 앞으로 개발될 화합물 또는 조성물로서 피부와의 접촉시 인체가 적응 가능한 정도 이상의 독성, 불안정성 또는 자극성이 없는 것을 말한다.
상기 담체는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그것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약 1중량% 내지 약 99.99중량%, 바람직하게는 조성물의 중량의 약 90중량% 내지 약 99.99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담체로서는 알코올, 오일, 계면활성제, 지방산, 실리콘 오일, 습윤제, 보습제, 점성 변형제, 유제, 안정제, 자외선산란제, 자외선흡수제, 발색제, 향료 등이 예시될 수 있다. 상기 알코올, 오일, 계면활성제, 지방산, 실리콘 오일, 습윤제, 보습제, 점성 변형제, 유제, 안정제, 자외선산란제, 자외선흡수제, 발색제, 향료로 사용될 수 있는 화합물 또는 조성물 등은 이미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기 때문에 당업자라면 적절한 해당물질 또는 조성물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로서,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항균용 에멀젼 조성물 외에 글리세린, 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옥시에틸렌 경화피마자유, 에탄올, 트리에탄올아민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방부제, 향료, 착색료, 정제수 등을 필요에 따라 미량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피부는 얼굴뿐만 아니라, 두피, 전신도 포함되는 개념으로, 이러한 두피에 적용될 수 있는 화장료 조성물로써, 샴푸, 린스, 트리트먼트, 발모제 등이 있고, 전신에 적용될 수 있는 바디클렌져 등의 용도로서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항균용 에멀젼 조성물은 항균용 식품 첨가제 또는 사료첨가제의 유효성분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항균용 에멀젼 조성물은 그람 음성 및 그람 양성균에 대해서 우수한 항균 활성을 가지고, 세포독성이 없어서 항균용 식품첨가제 또는 사료첨가제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상기 물질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드링크제, 육류, 소시지, 빵, 비스켓, 떡, 쵸코렛, 캔디류, 스넥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알코올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건강기능식품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의 항균용 에멀젼 조성물은 식품에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유효 성분의 혼합양은 그의 사용 목적(예방 또는 개선용)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식품 중의 상기 항균용 에멀젼 조성물의 양은 전체 식품 중량의 0.1 내지 20 중량%로 가할 수 있다. 그러나 건강 및 위생을 목적으로 하거나 또는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의 경우에는 상기 양은 상기 범위 이하일 수 있으며, 안전성 면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기 때문에, 유효성분은 상기 범위 이상의 양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항균용 에멀젼 조성물은 물티슈, 손 소독제, 구강청정제, 구강소독제, 치약첨가제와 같은 위생용품의 유효성분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겠으나, 다음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유자씨를 깨끗하게 세척하고, 동결건조기를 이용하여 48 시간 동안 동결건조시킨 후 분쇄기에 넣고 갈아 분말로 제조하였다. 상기 유자씨 분말을 초임계 추출 연구용 장비를 이용하여 초임계 추출하여 유자씨 오일을 수득하였다.
이때, 초임계 추출 조건은 압력은 300 bar이고, 분리조의 온도는 40 ℃, 추출조의 온도는 50 ℃이었으며, retention time은 210 min이었다.
(2) 유자과육을 압착하여 즙을 짠 후 membrane filter를 이용하여 잔여물을 걸러내고 순수한 유자 과즙을 수득하였다.
(3) 상기 유자 과즙은 15 분 동안 30 kHz의 초음파를 가하여 초음파 처리를 하였다.
(4) 상기 유자씨 오일 2.5 g과 tween80 7.5 g을 혼합하여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5) 상기 초음파 처리를 한 유자 과즙에 (4) 단계에서의 혼합물을 한 방울씩 적가하면서 600 rpm으로 1 시간 동안 교반하여 에멀젼을 수득하였다.
(6) 상기 에멀젼을 고속 균질기(high speed homogenezer)를 이용하여 12,000 rpm으로 15분 동안 균질처리하였다.
(7) 상기 균질처리한 에멀젼을 초음파 균질기(ultrasonic homogenizer)를 이용하여 35 kHz, 진폭 30% 조건의 초음파로 20 분 동안 미세입자화하여 250~500 nm 크기의 나노 에멀젼을 얻었다.
비교예 1: 유자씨 오일의 제조
실시예의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유자씨 오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유자 과즙의 제조
실시예의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유자 과즙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3: 초음파 처리한 유자 과즙의 제조
실시예의 (2) 및 (3)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초음파 처리한 유자 과즙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항균력을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한 시료를 사용하여 paper disc method를 이용하였다. 균주(E. coli, S. aureus)는 24시간 배양하였고 접종 균액의 농도는 600 nm에서 흡광도가 0.2~0.3이 되도록 준비하였다. NB (nutrient broth) 고체 배지에 균을 도말한 후 paper disc를 놓아 밀착시키고 실시예 및 비교예의 시료 30 ㎕를 흡수시켰다. 37 ℃ incubator에서 24시간 배양 후 disc 주변에 생성된 inhibition zone diameter(nm)를 측정하여 항균력을 평가하였다.
실험예 1: 유자씨 오일의 항균력 측정
비교예 1에서 제조한 유자씨 오일에 대하여 paper disc method를 이용하여 항균력을 측정하였다.
도 2는 비교예 1의 유자씨 오일의 항균력을 평가하기 위하여 paper disc method를 이용하여 실험한 결과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2를 살펴보면, 비교예 1의 유자씨 오일은 대장균에 대한 항균력이 높지는 않지만 다소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예 2: 유자 과즙의 과육 잔여물 여과 전후의 항균력 차이 실험
비교예 2에서 제조한 유자 과즙에 대하여 과육 잔여물 여과 전후의 항균력 차이를 알아보기 위한 실험을 하였다.
도 3은 비교예 2에서 제조한 유자 과즙의 과육 잔여물 여과 전후의 항균력을 평가하기 위하여 paper disc method를 이용하여 실험한 결과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3을 살펴보면, Filter 처리한 유자 과즙과 Filter 처리를 하지 않은 유자 과즙의 항균력은 차이가 많이 나진 않으나 대장균에서는 Filter 처리를 하지 않은 유자 과즙이 좀 더 항균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고, S.aureus에서는 Filter 처리를 한 유자 과즙이 좀 더 항균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예 3: 항균력(생육억제환 크기) 측정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한 시료의 대장균 및 S.aureus에 대한 항균력을 알아보기 위한 실험을 한 후,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구분
(직경)
실시예(mm) 비교예 1(mm) 비교예 2(mm) 비교예 3(mm)
E.coli S.aureus E.coli S.aureus E.coli S.aureus E.coli S.aureus
1 20.42 25.46 8.11 11.13 11.26 15.29 12.18 14.99
2 21.23 27.05 8.36 10.89 9.49 14.80 13.73 14.88
3 21.38 26.52 8.25 11.14 10.94 14.69 16.47 15.72
평균 21.01 26.34 8.24 11.05 10.56 14.93 14.12 15.20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의 시료는 비교예 1 내지 3의 시료에 비해 그람 음성균 및 그람 양성균에 대한 항균력이 현저히 높았다.
참고로, 초음파 균질처리를 한 비교예 3의 시료는 초음파 균질처리를 하지 않은 비교예 2에 비해 색깔이 더욱 투명하고 항균력이 더욱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대장균에 대한 항균 활성이 높게 나타났다.
도 4는 실시예와 비교예 3의 시료의 외관을 비교하기 위한 사진이다.
실험예 4: 항균력(생육억제환 크기) 측정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한 시료의 다양한 균주에 대한 항균력을 알아보기 위한 실험을 한 후,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하기 표 2에 나타낸 값은 3번 반복 실험을 한 결과 데이터들의 평균값이다.
구분(size; cm2) 실시예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Listeria monocytogenes ATCC 7644 1.68 0.97 1.05 1.19
Listeria monocytogenes H7757 1.59 0.94 1.01 1.12
Salmonella Typhimurium ATCC 13311 1.46 0.86 0.96 1.05
Salmonella Typhimurium ATCC 15812 1.73 1.02 1.13 1.28
E.coli O157:H7 1.48 0.83 0.91 1.02
E.coli O157:H7 240p 1.57 0.92 1.03 1.11
Staphylococcus aureus 1.77 1.07 1.13 1.26
Staphylococcus aureus ATCC 25923 1.69 0.99 1.11 1.21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의 시료는 비교예 1 내지 3의 시료에 비해 그람 음성균 및 그람 양성균에 대한 항균력이 현저히 높았다.
하기 본 발명의 항균용 에멀젼 조성물을 위한 제조예를 예시한다.
<제조예 1> 약학적 제제의 제조
<1-1> 산제의 제조
본 발명의 항균용 에멀젼 조성물 20 mg
유당 20 mg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하였다.
<1-2> 정제의 제조
본 발명의 항균용 에멀젼 조성물 10 mg
옥수수전분 100mg
유당 100m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mg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하였다.
<1-3> 캡슐제의 제조
본 발명의 항균용 에멀젼 조성물 10 mg
결정성 셀룰로오스 3mg
락토오스 14.8m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0.2mg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통상의 캡슐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하였다.
<1-4> 액제의 제조
본 발명의 항균용 에멀젼 조성물 20 mg
이성화당 10g
만니톨 5g
정제수 적량
통상의 액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정제수에 각각의 성분을 가하여 용해시키고 레몬향을 적량 가한 후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를 100㎖로 조절한 후 갈색병에 충진하여 멸균시켜 액제를 제조하였다.
<1-5> 주사제의 제조
본 발명의 항균용 에멀젼 조성물 10 ㎍/㎖
묽은 염산 BP pH7.6이 될 때까지
주이용 염화나트륨 BP 최대 1㎖
적당한 용적의 주이용 염화나트륨 BP중에 본 발명의 항균용 에멀젼 조성물을 용해시키고, 생성된 용액의 pH를 묽은 염산 BP를 이용하여 pH7.6으로 조절하고, 주이용 염화나트륨 BP를 이용하여 용적을 조절하고 충분히 혼합하였다. 용액을 투명 유리로 된 5㎖ 타입Ⅰ 앰플 중에 충전시키고, 유리를 용해시킴으로써 공기의 상부 격자하에 봉입시키고, 120℃에서 15분 이상 오토클레이브 살균하여 주사액제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2> 화장품의 제조
<2-1> 유연화장수(스킨)
본 발명의 항균용 에멀젼 조성물을 포함하는 항균용 유연화장수를 제조하기 위해 하기 [표 3]에 기재된 것처럼 배합하여 통상적인 화장품 분야에서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할 수 있다.
성분 함량(중량%)
본 발명의 항균용 에멀젼 조성물 0.1~30%
1,3-부틸렌글리콜 3.0
글리세린 5.0
폴리옥시에틸렌(60) 경화피마자유 0.2
에탄올 8.0
구연산 0.02
구연산나트륨 0.06
방부제 미량
향료 미량
정제수 To 100
<2-2> 영양화장수(로션)
본 발명의 항균용 에멀젼 조성물을 포함하는 항균용 영양화장수를 제조하기 위해 하기 [표 4]에 기재된 것처럼 배합하여 통상적인 화장품 분야에서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할 수 있다.
성분 함량(중량%)
본 발명의 항균용 에멀젼 조성물 0.1~30%
1,3-부틸렌글리콜 3.0
글리세린 5.0
스쿠알란 10.0
모노올레인산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 2.0
유창목오일 0.1~30%
폴리옥시에틸렌(60) 경화피마자유 0.2
에탄올 8.0
구연산 0.02
구연산나트륨 0.06
방부제 미량
향료 미량
정제수 To 100
<2-3> 세안제(클렌징폼)
본 발명의 항균용 에멀젼 조성물을 포함하는 항균용 세안제(클렌징폼)를 제조하기 위해 하기 [표 5]에 기재된 것처럼 배합하여 통상적인 화장품 분야에서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할 수 있다.
성분 함량(중량%)
본 발명의 항균용 에멀젼 조성물 0.1~30%
N-아실글루타민산나트륨 20.0
글리세린 10.0
PEG-400 15.0
프로필렌글리콜 10.0
POE(15) 올레일알코올에테르 3.0
라우린유도체 2.0
메틸파라벤 0.2
EDTA-4Na 0.03
향료 0.2
정제수 To 100
<2-4> 영양크림
본 발명의 항균용 에멀젼 조성물을 포함하는 항균용 영양크림을 제조하기 위해 하기 [표 6]에 기재된 것처럼 통상적인 화장품 분야에서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한다.
성분 함량(중량%)
본 발명의 항균용 에멀젼 조성물 0.1~30%
바셀린 7.0
유동파라핀 10.0
밀납 2.0
폴리솔베이트60 2.5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1.5
스쿠알란 3.0
프로필렌글리콜 6.0
글리세린 4.0
트리에탄올아민 0.5
산탄검 0.5
토코페닐아세테이트 0.1
향, 방부제 미량
정제수 To 100
비록 본 발명이 상기에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설명되었으나,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첨부된 특허청구범위는 본 발명의 요지에 속하는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한다.

Claims (15)

  1. 유자씨 오일, 유자 과즙 및 유화제를 포함하는 항균용 에멀젼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평균입자 크기가 250 내지 500 n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용 에멀젼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자 과즙은 유자 과즙에 초음파 처리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용 에멀젼 조성물.
  4. 유자 과즙을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65 내지 85 중량%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용 에멀젼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멀젼 조성물은 그람 양성균 및 그람 음성균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에 항균 활성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용 에멀젼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멀젼 조성물은 대장균(E. coli),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 리스테리아 모노사이토제니스(Listeria monocytogenes) 및 살모넬라 타이피뮤리움(Salmonella typhimurium)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에 항균 활성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용 에멀젼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정제수, 비타민, 유분, 계면활성제, 킬레이트제, 색소, 지방산, 산화방지제, 향료, 방부제 및 중화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용 에멀젼 조성물.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에멀젼 조성물을 포함하는 항균용 약학 조성물.
  9.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에멀젼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균으로 인한 감염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
  10.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에멀젼 조성물을 포함하는 항균용 화장료 조성물.
  11. 제10항에 있어서,
    용액, 분말, 에멀션, 로션, 분사, 연고, 에어로졸, 크림 또는 거품의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용 화장료 조성물.
  12.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에멀젼 조성물을 포함하는 항균용 식품첨가제.
  13.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에멀젼 조성물을 포함하는 위생용품.
  14.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에멀젼 조성물을 포함하는 사료첨가제.
  15. (S1) 유자씨를 초임계 유체 추출하여 유자씨 오일을 얻는 단계;
    (S2) 상기 유자씨 오일에 유화제를 혼합한 후 교반하는 단계;
    (S3) 유자 과즙에 초음파 처리를 하는 단계; 및
    (S4) 상기 초음파 처리된 유자 과즙에 (S2) 단계에서 얻은 혼합물을 첨가하면서 균질기를 이용하여 8,000 내지 15,000 rpm으로 10 내지 40분 동안 혼합하여 에멀젼을 제조하는 단계;
    (S5) 상기 에멀젼을 초음파 처리하여 나노에멀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자씨 오일 및 유자 과즙의 에멀젼 제조방법.
KR1020190006255A 2019-01-17 2019-01-17 유자씨 오일 및 유자 과즙을 포함하는 항균용 에멀젼 조성물, 이의 용도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813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6255A KR102181371B1 (ko) 2019-01-17 2019-01-17 유자씨 오일 및 유자 과즙을 포함하는 항균용 에멀젼 조성물, 이의 용도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6255A KR102181371B1 (ko) 2019-01-17 2019-01-17 유자씨 오일 및 유자 과즙을 포함하는 항균용 에멀젼 조성물, 이의 용도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9785A true KR20200089785A (ko) 2020-07-28
KR102181371B1 KR102181371B1 (ko) 2020-11-23

Family

ID=718316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6255A KR102181371B1 (ko) 2019-01-17 2019-01-17 유자씨 오일 및 유자 과즙을 포함하는 항균용 에멀젼 조성물, 이의 용도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137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99593A (ko) * 2021-01-06 2022-07-14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젤리 제조용 프리믹스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젤리 제조용 프리믹스 조성물
KR102576329B1 (ko) * 2023-02-27 2023-09-08 박귀옥 기호도와 보존성이 우수한 궁채나물 김밥의 제조방법
KR20230139411A (ko) 2022-03-25 2023-10-05 주식회사 소울네이처푸드 시트러스 계열 과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
KR102605509B1 (ko) * 2023-02-14 2023-11-23 정희동 기호도와 보존성이 향상된 자반고등어의 제조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53738A (ko) 2012-10-26 2014-05-08 박진평 유자씨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세제 조성물
KR101425031B1 (ko) * 2013-08-13 2014-08-01 엄익현 유자씨 및 망고씨 혼합오일을 함유하는 피부 자극완화 및 피부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20150096874A (ko) * 2014-02-17 2015-08-26 엄익현 유자씨 오일, 유자 에센셜오일 및 유자씨 추출물을 함유하는 세정용 조성물
KR20160005182A (ko) * 2014-07-03 2016-01-14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시나몬 오일을 포함하는 나노 에멀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70029143A (ko) 2015-09-07 2017-03-15 엄익현 유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70037909A (ko) * 2017-03-22 2017-04-05 한국식품연구원 유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정족수 인식 억제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53738A (ko) 2012-10-26 2014-05-08 박진평 유자씨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세제 조성물
KR101425031B1 (ko) * 2013-08-13 2014-08-01 엄익현 유자씨 및 망고씨 혼합오일을 함유하는 피부 자극완화 및 피부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20150096874A (ko) * 2014-02-17 2015-08-26 엄익현 유자씨 오일, 유자 에센셜오일 및 유자씨 추출물을 함유하는 세정용 조성물
KR20160005182A (ko) * 2014-07-03 2016-01-14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시나몬 오일을 포함하는 나노 에멀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70029143A (ko) 2015-09-07 2017-03-15 엄익현 유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70037909A (ko) * 2017-03-22 2017-04-05 한국식품연구원 유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정족수 인식 억제용 조성물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99593A (ko) * 2021-01-06 2022-07-14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젤리 제조용 프리믹스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젤리 제조용 프리믹스 조성물
KR20230139411A (ko) 2022-03-25 2023-10-05 주식회사 소울네이처푸드 시트러스 계열 과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
KR102605509B1 (ko) * 2023-02-14 2023-11-23 정희동 기호도와 보존성이 향상된 자반고등어의 제조방법
KR102576329B1 (ko) * 2023-02-27 2023-09-08 박귀옥 기호도와 보존성이 우수한 궁채나물 김밥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1371B1 (ko) 2020-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77764B2 (ja) スルフォラファン含有量が増大されたブロッコリを生成する方法及びこの方法で生成したブロッコリの利用方法
KR102181371B1 (ko) 유자씨 오일 및 유자 과즙을 포함하는 항균용 에멀젼 조성물, 이의 용도 및 이의 제조방법
TWI391138B (zh) 含有纖維寡糖之組合物
KR102118697B1 (ko) 새싹보리 착즙분말의 제조방법 및 그에 따른 새싹보리 착즙분말 혼합조성물
KR101768806B1 (ko) 두릅나무과 식물의 발효물을 포함하는 항염증 또는 항암용 조성물
JPWO2008149838A1 (ja) 新規ローヤルゼリー分画物とその製造方法並びに用途
KR20130024025A (ko) 식물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증 또는 피부보습용 조성물
JP2022010229A (ja) コラゲナーゼ阻害剤
WO2005094860A1 (ja) 末梢血流改善剤
KR101806720B1 (ko)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으로 발효시킨 황기 뿌리 배양액의 리스테리아 항균조성물
JP4363841B2 (ja) ポリフェノールの水に対する溶解性の改善方法ならびにポリフェノール高含有水溶液
JP2005097222A (ja) タマネギ発酵物
KR102158134B1 (ko) 오미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용 조성물
KR101776511B1 (ko)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으로 발효시킨 향나무 열매 배양액의 리스테리아 항균조성물
KR102297957B1 (ko) 흑마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드름 또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개선 및 치료용 조성물
JP2007269659A (ja) 抗酸化組成物
JP2002047193A (ja) アレルギー性皮膚炎予防または治療用組成物
CN106279304A (zh) 一种肉桂醛衍生物及其应用
KR20180013306A (ko) 계피를 함유한 꿀의 제조방법
JP2007084535A (ja) ワサビを有効成分とする脂肪蓄積抑制用組成物
KR102275552B1 (ko) 유색 보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체취 억제용 조성물
KR102537844B1 (ko) 마리골드 추출물에 모유 유산균으로 생물전환 시킨 성분을 함유하는 항균, 항산화 및 항염증 활성을 갖는 조성물
JP5008813B2 (ja) クビレヅタ抽出物を含有する抗皮膚癌剤
KR102546957B1 (ko) 참죽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 및 항균용 조성물
KR102605629B1 (ko) 해조류 추출물을 포함하는 면역 증진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