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83813A -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83813A
KR20200083813A KR1020180173023A KR20180173023A KR20200083813A KR 20200083813 A KR20200083813 A KR 20200083813A KR 1020180173023 A KR1020180173023 A KR 1020180173023A KR 20180173023 A KR20180173023 A KR 20180173023A KR 20200083813 A KR20200083813 A KR 202000838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area
color
pattern
transm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730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정배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730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83813A/ko
Priority to EP19219688.9A priority patent/EP3678186A1/en
Priority to CN202410180115.7A priority patent/CN118042880A/zh
Priority to CN201911363728.XA priority patent/CN111383546B/zh
Priority to US16/728,295 priority patent/US11404492B2/en
Publication of KR202000838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3813A/ko
Priority to US17/815,146 priority patent/US20220359621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1L27/322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3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 H10K59/38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comprising colour filters or colour changing media [CCM]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3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being semiconductor devices, e.g. diod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5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being liquid crysta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07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for displaying colours or for displaying grey scales with a specific pixel layout, e.g. using sub-pixels
    • H01L27/3216
    • H01L27/3244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48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y packages
    • H01L33/50Wavelength conversion elements
    • H01L51/5284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1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uminescent [EL] layers
    • H10K50/125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uminescent [EL] layer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e.g. for emitting white light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2Pixel-defining structures or layers, e.g. bank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3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 H10K59/35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comprising red-green-blue [RGB] subpixels
    • H10K59/352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comprising red-green-blue [RGB] subpixels the areas of the RGB subpixels being different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91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 H10K59/8792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comprising light absorbing layers, e.g. black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표시 장치가 제공된다. 표시 장치는, 복수의 발광영역이 정의된 표시 기판 및 복수의 발광영역에 대응하는 복수의 투광영역과, 복수의 투광영역 사이에 위치하는 차광영역이 정의되며, 차광영역에 배치된 컬러패턴과, 상기 컬러패턴 상에 위치하는 차광부재를 포함하는 색변환 기판을 포함하고, 복수의 발광영역 중 적어도 하나는 두께 방향으로 중첩하는 상기 투광영역의 면적보다 작게 이루어지며, 상기 컬러패턴은 청색 색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표시 장치{DISPLAY DEVICE}
본 발명은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표시 장치는 멀티미디어의 발달과 함께 그 중요성이 점차 커지고 있다. 이에 부응하여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LCD), 유기 발광 표시 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OLED) 등과 같은 다양한 표시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표시 장치 중,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자발광형 소자인 유기 발광 소자를 포함한다. 유기 발광 소자는 대향하는 두 개의 전극 및 그 사이에 개재된 유기 발광층을 포함할 수 있다. 두 개의 전극으로부터 제공된 전자와 정공은 발광층에서 재결합하여 엑시톤을 생성하고, 생성된 엑시톤이 여기 상태에서 기저 상태로 변화하며 광이 방출될 수 있다.
이러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별도의 광원이 불필요하기 때문에 소비 전력이 낮고 경량의 박형으로 구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넓은 시야각, 높은 휘도와 콘트라스트 및 빠른 응답 속도 등의 고품위 특성을 가져 차세대 표시 장치로 주목을 받고 있다.
표시 장치의 각 화소가 하나의 기본색을 고유하게 표시하도록 하기 위한 한 가지 방법으로, 광원으로부터 시청자에 이르는 광 경로 상에 각 화소마다 색 변환 패턴 또는 파장변환 패턴을 배치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인접 투광영역 간에 혼색을 방지하여 표시 품질이 향상된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복수의 발광영역이 정의된 표시 기판 및 상기 복수의 발광영역에 대응하는 복수의 투광영역과, 상기 복수의 투광영역 사이에 위치하는 차광영역이 정의되며, 상기 차광영역에 배치된 컬러패턴과, 상기 컬러패턴 상에 위치하는 차광부재를 포함하는 색변환 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발광영역 중 적어도 하나는 두께 방향으로 중첩하는 상기 투광영역의 면적보다 작게 이루어지며, 상기 컬러패턴은 청색 색제를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발광영역은, 제1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위치하는 제1 발광영역, 제2 발광영역 및 제3 발광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투광영역은, 상기 제1 발광영역에 대응하는 제1 투광영역과, 상기 제2 발광영역에 대응하는 제2 투광영역 및 상기 제3 발광영역에 대응하는 제3 투광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발광영역의 면적은 상기 제1 투광영역의 면적보다 작고, 상기 제2 발광영역의 면적은 상기 제2 투광영역의 면적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제3 발광영역의 면적은 상기 제3 투광영역의 면적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제3 발광영역의 면적은 상기 제3 투광영역의 면적과 동일할 수 있다.
상기 차광영역은, 상기 제1 투광영역과 상기 제2 투광영역 사이에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을 따라 위치하는 제1 차광영역과, 상기 제2 투광영역과 상기 제3 투광영역 사이에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위치하는 제2 차광영역 및 상기 제3 투광영역과 상기 제1 투광영역 사이에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위치하는 제3 차광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색변환 기판은 베이스부를 포함하며, 상기 컬러패턴은, 상기 베이스 상에 위치하되, 상기 제1 차광영역 내에 위치하는 제1 컬러패턴과, 상기 제2 차광영역 내에 위치하는 제2 컬러패턴 및 상기 제3 차광영역 내에 위치하는 제3 컬러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색변환 기판은 상기 베이스부 상에 위치하는 컬러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컬러필터는, 상기 제1 투광영역 내에 위치하는 제1 컬러필터와, 상기 제2 투광영역 내에 위치하는 제2 컬러필터 및 상기 제3 투광영역 내에 위치하는 제3 컬러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3 컬러필터는 상기 제1 내지 제3 컬러패턴과 동일한 색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3 컬러패턴과 상기 제3 컬러필터는 일체화될 수 있다.
상기 제1 방향으로 상기 제1 발광영역의 폭은 상기 제1 방향으로 상기 제3 컬러패턴과 상기 제1 컬러패턴의 이격거리보다 좁고, 상기 제1 방향으로 상기 제2 발광영역의 폭은 상기 제1 방향으로 상기 제1 컬러패턴과 상기 제2 컬러패턴의 이격거리보다 좁을 수 있다.
상기 제1 방향으로 상기 제3 발광영역의 폭은 상기 제1 방향으로 상기 제2 컬러패턴과 상기 제3 컬러패턴의 이격거리보다 좁을 수 있다.
상기 제1 방향으로 상기 제3 발광영역의 폭은 상기 제1 방향으로 상기 제2 컬러패턴과 상기 제3 컬러패턴의 이격거리와 동일할 수 있다.
상기 차광부재는 제1 내지 제3 컬러패턴 상에 각각 위치하는 제1 내지 제3 차광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내지 제3 차광부재의 폭은 상기 제1 내지 제3 컬러패턴의 폭보다 각각 좁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색변환 기판은, 상기 제1 컬러필터 상에 위치하고 제1 색의 광을 제2 색의 광으로 파장 변환하는 제1 파장변환 패턴과, 상기 제2 컬러필터 상에 위치하고 상기 제1 색의 광을 상기 제2 색과 다른 제3 색의 광으로 파장 변환하는 제2 파장변환 패턴 및 상기 제3 컬러필터 상에 위치하고 상기 제1 색의 광을 투과시키는 광투과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컬러필터는 상기 제2 색의 광을 투과시키고, 상기 제1 색의 광 및 상기 제2 색의 광을 차단하고, 상기 제2 컬러필터는 상기 제3 색의 광을 투과시키고, 상기 제1 색의 광 및 상기 제2 색의 광을 차단하며, 상기 제3 컬러필터는 상기 제1 색의 광을 투과시키고, 상기 제2 색의 광 및 상기 제3 색의 광을 차단할 수 있다.
상기 색변환 기판은, 상기 제1 내지 제3 컬러필터와, 상기 차광부재 및 상기 제1 내지 제3 컬러패턴을 커버하는 제1 캡핑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캡핑층은 무기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파장변환 패턴, 상기 제2 파장변환 패턴 및 상기 광투과 패턴은 상기 제1 캡핑층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 캡핑층 상에 위치하고, 상기 제1 파장변환 패턴, 상기 제2 파장변환 패턴 및 상기 광투과 패턴을 커버하는 제2 캡핑층 및 상기 제2 캡핑층 상에 위치하고, 상기 광투과 패턴과 상기 제1 파장변환 패턴 사이 및 상기 제1 파장변환 패턴과 상기 제2 파장변환 패턴 사이에 위치하는 혼색방지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캡핑층 상에 위치하는 격벽을 더 포함하고,
상기 격벽은, 상기 제1 차광부재에 대응하여 배치된 제1 격벽과, 상기 제2 차광부재에 대응하여 배치된 제2 격벽 및 상기 제3 차광부재에 대응하여 배치되는 제3 격벽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파장변환 패턴은 상기 제3 격벽과 상기 제2 격벽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2 파장변환 패턴은 상기 제1 격벽과 상기 제2 격벽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광투과 패턴은 상기 제2 격벽과 상기 제3 격벽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제1 파장변환 패턴, 상기 제2 파장변환 패턴, 상기 광투과 패턴, 상기 제1 격벽, 상기 제2 격벽 및 상기 제3 격벽을 커버하는 제2 캡핑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복수의 발광영역을 정의하는 화소 정의막을 포함하는 표시 기판과, 상기 복수의 발광영역과 두께 방향으로 각각 중첩하는 복수의 투광영역을 정의하는 컬러패턴을 포함하는 색변환 기판 및 상기 표시 기판과 상기 색변환 기판 사이에 배치되는 충진제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발광영역은, 제1 면적으로 이루어진 제1 발광영역, 상기 제1 면적보다 작은 제2 면적으로 이루어진 제2 발광영역 및 상기 제2 면적보다 작은 제3 면적으로 이루어진 제3 발광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투광영역은, 상기 두께 방향으로 제1 발광영역과 중첩되되, 상기 제1 면적보다 큰 제4 면적으로 이루어진 제1 투광영역과, 상기 두께 방향으로 제2 발광영역과 중첩되되, 상기 제2 면적보다 큰 제5 면적으로 이루어진 제2 투광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컬러패턴은 청색 색제를 포함한다.
상기 두께 방향으로 제3 발광영역과 중첩되되, 상기 제3 면적보다 큰 제6 면적으로 이루어진 제3 투광영역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두께 방향으로 제3 발광영역과 중첩되되, 상기 제3 면적과 동일한 제6 면적으로 이루어진 제3 투광영역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 기판은, 제1 발광영역 내에 위치하는 제1 발광소자와, 상기 제2 발광영역 내에 위치하는 제2 발광소자와, 상기 제3 발광영역 내에 위치하는 제3 발광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색변환 기판은, 상기 컬러패턴과 중첩하는 차광부재와, 상기 제1 발광소자와 중첩하는 적색 컬러필터와, 상기 제2 발광소자와 중첩하는 녹색 컬러필터와, 상기 제3 발광소자와 중첩하는 청색 컬러필터를 포함하며, 상기 적색 컬러필터의 폭은 상기 제1 발광영역의 폭보다 크고, 상기 녹색 컬러필터의 폭은 상기 제2 발광영역의 폭보다 크며, 상기 청색 컬러필터의 폭은 상기 제3 발광영역의 폭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제1 투광영역, 상기 제2 투광영역 및 상기 제3 투광영역은 제1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배치되며, 상기 제1 투광영역, 상기 제2 투광영역 및 상기 제3 투광영역 각각의 일 측변은 상기 제1 방향으로 정렬되고, 상기 제2 투광영역 및 상기 제3 투광영역 각각의 타 측변은 상기 제1 방향으로 정렬되며, 상기 제1 투광영역의 타 측변은 상기 제2 투광영역 및 상기 제3 투광영역 각각의 타 측변 보다 상기 제1 방향에 수직한 제2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1 투광영역은 제1 챔퍼를 포함하고, 상기 제3 투광영역은 제2 챔퍼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챔퍼와 상기 제2 챔퍼는 서로 상반되는 형상일 수 있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인접 투광영역 간에 혼색을 방지하여 색 재현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소비전력 대비 광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Ⅱ-Ⅱ'를 따라 절단한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표시 장치 중 표시 영역에서 표시 기판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표시 장치 중 표시 영역에서 색변환 기판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표시 기판과 및 도 4의 색변환 기판의 배치 관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Ⅵ-Ⅵ'을 따라 절단한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5의 Ⅶ-Ⅶ'을 따라 절단한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5의 Ⅷ-Ⅷ'을 따라 절단한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5의 Ⅸ-Ⅸ'를 따라 절단한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5의 X-X'을 따라 절단한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색변환 기판에서, 제3 컬러필터 및 컬러패턴의 개략적인 배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색변환 기판에서, 차광부재의 개략적인 배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색변환 기판에서, 제1 컬러필터 및 제2 컬러필터의 개략적인 배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4는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색변환 기판에서, 제1 파장변환 패턴, 제2 파장변환 패턴 및 광투과 패턴의 개략적인 배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5는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색변환 기판에서, 혼색방지부재의 개략적인 배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6는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발광영역에서 출력되는 광의 진행 방향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색변환 기판에서, 컬러패턴의 개략적인 배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9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색변환 기판에서, 차광부재의 개략적인 배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0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색변환 기판에서, 제1 컬러필터 및 제2 컬러필터의 개략적인 배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1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색변환 기판에서, 제1 파장변환 패턴, 제2 파장변환 패턴 및 광투과 패턴의 개략적인 배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2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색변환 기판에서, 혼색방지부재의 개략적인 배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3은 도 18 내지 도 22의 Q1-Q1'를 따라 절단한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24는 도 18 내지 도 22의 Q2-Q2'를 따라 절단한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25는 도 18 내지 도 22의 Q3-Q3'를 따라 절단한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26는 도 18 내지 도 22의 Q4-Q4'를 따라 절단한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27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8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색변환 기판에서, 컬러패턴의 개략적인 배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9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색변환 기판에서, 차광부재의 개략적인 배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0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색변환 기판에서, 제1 컬러필터 및 제2 컬러필터의 개략적인 배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1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색변환 기판에서, 격벽의 개략적인 배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2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색변환 기판에서, 제1 파장변환 패턴, 제2 파장변환 패턴 및 광투과 패턴의 개략적인 배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3은 도 28 내지 도 32의 J-J'를 따라 절단한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4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색변환 기판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35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색변환 기판에서, 제3 컬러필터 및 컬러패턴의 개략적인 배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6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색변환 기판에서, 차광부재의 개략적인 배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7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색변환 기판에서, 제1 컬러필터 및 제2 컬러필터의 개략적인 배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8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색변환 기판에서, 제1 파장변환 패턴, 제2 파장변환 패턴, 광투과 패턴 및 혼색방지부재의 개략적인 배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소자(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의 "상(on)"으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바로 위에 또는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이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인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Ⅱ-Ⅱ'를 따라 절단한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표시 장치(1)는 태블릿 PC, 스마트폰, 자동차 내비게이션 유닛, 카메라, 자동차에 제공되는 중앙정보 디스플레이(center information display, CID), 손목 시계형 전자 기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게임기와 같은 중소형 전자 장비, 텔레비전, 외부 광고판, 모니터, 퍼스널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와 같은 중대형 전자 장비 등 다양한 전자기기에 적용될 수 있다. 이것들은 단지 실시예로서 제시된 것들로써, 본 발명의 개념에서 벗어나지 않은 이상 다른 전자 기기에도 채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몇몇 실시예에서 표시 장치(1)는 평면상 직사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표시 장치(1)는 제1 방향(D1)으로 연장된 양 단변과 제1 방향(D1)과 교차하는 제2 방향(D2)으로 연장된 양 장변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장치(1)의 장변과 단변이 만나는 모서리는 직각일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곡면을 이룰 수도 있다. 표시 장치(1)의 평면 형상은 예시된 것에 제한되지 않고, 원형이나 기타 다른 형상으로 적용될 수도 있다.
표시 장치(1)는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영역(DA) 및 영상을 표시하지 않는 비표시 영역(NDA)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비표시 영역(NDA)은 표시 영역(DA) 주변에 위치할 수 있으며, 표시 영역(DA)을 둘러쌀 수 있다.
다른 정의가 없는 한, 본 명세서에서 “상”, “상측”, "상부", "탑", "상면"은 도면을 기준으로 제1 방향(D1) 및 제2 방향(D2)과 교차하는 제3 방향(D3)의 화살표가 향하는 방향을 의미하고, “하”, “하측”, "하부", "바텀", "하면"은 도면을 기준으로 제3 방향(D3)의 화살표가 향하는 방향의 반대 방향을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
표시 장치(1)의 개략적 적층 구조를 설명하면, 몇몇 실시예에서 표시 장치(1)는 표시 기판(10), 표시 기판(10)과 대향하는 색변환 기판(30)을 포함하며, 표시 기판(10)과 색변환 기판(30)을 결합하는 실링부(50), 표시 기판(10)과 색변환 기판(30) 사이에 채워진 충진제(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표시 기판(10)은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소자 및 회로들, 예컨대 스위칭 소자 등과 같은 화소 회로, 표시 영역(DA)에 후술할 발광영역 및 비발광영역을 정의하는 화소 정의막 및 자발광 소자(self-light emitting element)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자발광 소자는 유기발광소자(Organic Light Emitting Diode), 양자점 발광소자(Quantum dot Light Emitting Diode), 무기물 기반의 마이크로 발광다이오드(예컨대 Micro LED), 무기물 기반의 나노 발광 다이오드(예컨대 nano LE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자발광 소자가 유기발광소자인 경우를 예로서 설명한다.
색변환 기판(30)은 표시 기판(10) 상에 위치하고 표시 기판(10)과 대향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색변환 기판(30)은 입사광의 색을 변환하는 색변환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색변환 패턴은 컬러필터와 파장변환 패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비표시 영역(NDA)에서 표시 기판(10)과 색변환 기판(30) 사이에는 실링부(50)가 위치할 수 있다. 실링부(50)는 비표시 영역(NDA)에서 표시 기판(10)과 색변환 기판(30)의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되어 평면 상에서 표시 영역(DA)을 둘러쌀 수 있다. 표시 기판(10)과 색변환 기판(30)은 실링부(50)를 매개로 상호 결합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실링부(50)는 유기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시적으로 실링부(50)는 에폭시계 레진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링부(50)에 의해 둘러싸인 표시 기판(10)과 색변환 기판(30) 사이의 공간에는 충진제(70)가 위치할 수 있다. 충진제(70)는 표시 기판(10)과 색변환 기판(30) 사이를 채울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충진제(70)는 광을 투과할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충진제(70)는 유기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시적으로 충진제(70)는 Si계 유기물질, 에폭시계 유기물질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실시예에서 충진제(70)는 생략될 수도 있다.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표시 장치 중 표시 영역에서 표시 기판의 개략적인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표시 장치 중 표시 영역에서 색변환 기판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며, 도 5는 도 3의 표시 기판과 및 도 4의 색변환 기판의 배치 관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부가하여 도 3을 참조하면, 표시 영역(DA)에서 표시 기판(10)에는 복수의 발광영역(LA1, LA2, LA3, LA4, LA5, LA6) 및 비발광영역(NLA)이 정의될 수 있다. 발광영역(LA1, LA2, LA3, LA4, LA5, LA6)은 표시 기판(10)의 발광소자에서 생성된 광이 표시 기판(10)의 외부로 방출되는 영역일 수 있으며, 비발광영역(NLA)은 표시 기판(10)의 외부로 광이 방출되지 않는 영역일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각각의 발광영역(LA1, LA2, LA3, LA4, LA5, LA6)에서 표시 기판(10)의 외부로 방출되는 광은 제1 색의 광일 수 있다. 몇몇 실시예예서 상기 제1 색의 광은 청색 광일 수 있으며, 약 430nm 내지 약 470nm 범위에서 피크파장을 가질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표시 영역(DA)에서 표시 기판(10) 중 제1 행(RD1)에는 제1 방향(D1)을 따라 제1 발광영역(LA1), 제2 발광영역(LA2) 및 제3 발광영역(LA3)이 순차적으로 반복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2 방향(D2)을 따라 제1 행(RD1)과 인접한 제2 행(RD2)에는 제1 방향(D1)을 따라 제4 발광영역(LA4), 제5 발광영역(LA5) 및 제6 발광영역(LA6)이 순차적으로 반복 배치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방향(D1)을 따라 측정한 제1 발광영역(LA1)의 제1 폭(WL1)은, 제1 방향(D1)을 따라 측정한 제2 발광영역(LA2)의 제2 폭(WL2) 및 제3 발광영역(LA3)의 제3 폭(WL3)보다 크게 이루어질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발광영역(LA2)의 제2 폭(WL2)과 제3 발광영역(LA3)의 제3 폭(WL3)도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2 발광영역(LA2)의 제2 폭(WL2)은, 제3 발광영역(LA3)의 제3 폭(WL3)보다 크게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방향(D2)을 따라 측정한 제1 발광영역(LA1)의 제1 길이(HL1)와 제2 발광영역(LA2)의 제2 길이(HL2) 및 제3 발광영역(LA3)의 제3 길이(HL3)는 동일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1 발광영역(LA1)의 제1 길이(HL1)와 제2 발광영역(LA2)의 제2 길이(HL2) 및 제3 발광영역(LA3)의 제3 길이(HL3)는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발광영역(LA1)의 제1 길이(HL1)보다 제2 발광영역(LA2)의 제2 길이(HL2)가 작을 수 있고, 제2 발광영역(LA2)의 제2 길이(HL2)보다 제3 발광영역(LA3)의 제3 길이(HL3)가 작을 수 있고, 제1 발광영역(LA1)의 제1 길이(HL1), 제2 발광영역(LA2)의 제2 길이(HL2) 및 제3 발광영역(LA3)의 제3 길이(HL3) 중 어느 한 영역만이 다른 길이를 가질 수도 있다.
또한 몇몇 실시예에서 제1 발광영역(LA1)의 면적은 제2 발광영역(LA2)의 면적 및 제3 발광영역(LA3) 각각의 면적보다 크게 이루어 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발광영역(LA1)의 면적이 제2 발광영역(LA2)의 면적보다 크게 이루어지고, 제2 발광영역(LA2)의 면적이 제3 발광영역(LA3)의 면적보다 크게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발광영역(LA1)의 면적과, 제2 발광영역(LA2)의 면적 및 제3 발광영역(LA3)의 면적이 동일할 수도 있다.
제2 방향(D2)을 따라 제1 발광영역(LA1)과 인접한 제4 발광영역(LA4)은 제2 행(RD2)에 위치하는 점에서만 제1 발광영역(LA1)과 상이하며, 폭, 면적 및 영역 내에 배치되는 구성들의 구조는 제1 발광영역(LA1)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유사하게 제2 방향(D2)을 따라 서로 인접하는 제2 발광영역(LA2)과 제5 발광영역(LA5)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2 방향(D2)을 따라 서로 인접하는 제3 발광영역(LA3)과 제6 발광영역(LA6)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 및 도 2와 함께 도 4를 참조하면, 표시 영역(DA)에서 색변환 기판(30)에는 복수의 투광영역(TA1, TA2, TA3, TA4, TA5, TA6) 및 차광영역(BA)이 정의될 수 있다. 투광영역(TA1, TA2, TA3, TA4, TA5, TA6)은 표시 기판(10)에서 방출된 광이 색변환 기판(30)을 투과하여 표시 장치(1)의 외부로 제공되는 영역일 수 있다. 차광영역(BA)은 표시 기판(10)에서 방출된 광이 투과하지 않는 영역일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표시 기판(10)에서 제공된 상기 제1 색의 광은 제1 투광영역(TA1), 제2 투광영역(TA2) 및 제3 투광영역(TA3)을 투과하여 표시 장치(1)의 외부로 제공될 수 있다. 제1 투광영역(TA1)에서 표시 장치(1)의 외부로 출사되는 광을 제1 출사광이라 지칭하고, 제2 투광영역(TA2)에서 표시 장치(1)의 외부로 출사되는 광을 제2 출사광이라 지칭하고, 제3 투광영역(TA3)에서 표시 장치(1)의 외부로 출사되는 광을 제3 출사광이라 지칭하면, 상기 제1 출사광은 상기 제1 색과 다른 제2 색의 광이고, 상기 제2 출사광은 상기 제1 색 및 제2 색과 다른 제3 색의 광이고, 상기 제3 출사광은 상기 제1 색의 광일 수 있다. 몇몇 실시예예서 상기 제1 색의 광은 상술한 바와 같이 430nm 내지 약 470nm 범위에서 피크파장을 갖는 청색 광일 수 있으며, 상기 제2 색의 광은 약 610nm 내지 약 650nm 범위에서 피크 파장을 갖는 적색 광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색의 광은 약 510nm 내지 약 550nm 범위에서 피크 파장을 갖는 녹색 광일 수 있다.
제2 방향(D2)을 따라 제1 행(RD1)과 인접한 제2 행(RD2)에는, 제1 방향(D1)을 따라 제4 투광영역(TA4), 제5 투광영역(TA5) 및 제6 투광영역(TA6)이 순차적으로 반복 배치될 수 있다. 제4 투광영역(TA4)은 제4 발광영역(LA4)에 대응하고 제5 투광영역(TA5)은 제5 발광영역(LA5)에 대응하고 제6 투광영역(TA6)은 제6 발광영역(LA6)에 대응할 수 있다.
제1 발광영역(LA1), 제2 발광영역(LA2) 및 제3 발광영역(LA3)과 유사하게, 몇몇 실시예에서 제1 방향(D1)을 따라 측정한 제1 투광영역(TA1)의 제1 폭(WT1)은, 제1 방향(D1)을 따라 측정한 제2 투광영역(TA2)의 제2 폭(WT2) 및 제3 투광영역(TA3)의 제3 폭(WT3)보다 크게 이루어질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투광영역(TA2)의 제2 폭(WT2)과 제3 투광영역(TA3)의 제3 폭(WT3)도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2 투광영역(TA2)의 제2 폭(WT2)은, 제3 투광영역(TA3)의 제3 폭(WT3)보다 크게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방향(D2)을 따라 측정한 제1 투광영역(TA1)의 제1 길이(HT1)와 제2 투광영역(TA2)의 제2 길이(HT2) 및 제3 투광영역(TA3)의 제3 길이(HT3)는 동일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1 투광영역(TA1)의 제1 길이(HT1)와 제2 투광영역(TA2)의 제2 길이(HT2) 및 제3 투광영역(TA3)의 제3 길이(HT3)는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투광영역(TA1)의 제1 길이(HT1)보다 제2 투광영역(TA2)의 제2 길이(HT2)가 작을 수 있고, 제2 투광영역(TA2)의 제2 길이(HT2)보다 제3 투광영역(TA3)의 제3 길이(HT3)가 작을 수 있고, 제1 투광영역(TA1)의 제1 길이(HT1), 제2 투광영역(TA2)의 제2 길이(HT2) 및 제3 투광영역(TA3)의 제3 길이(HT3) 중 어느 한 영역만이 다른 길이를 가질 수도 있다.
또한 몇몇 실시예에서 제1 투광영역(TA1)의 면적은, 제2 투광영역(TA2)의 면적 및 제3 투광영역(TA3) 각각의 면적보다 크게 이루어 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투광영역(TA1)의 면적이 제2 투광영역(TA2)의 면적보다 크게 이루어지고, 제2 투광영역(TA2)의 면적이 제3 투광영역(TA3)의 면적보다 크게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투광영역(TA1)의 면적과, 제2 투광영역(TA2)의 면적 및 제3 투광영역(TA3)의 면적이 동일할 수도 있다.
제2 방향(D2)을 따라 서로 인접하는 제1 투광영역(TA1)과 제4 투광영역(TA4)은 폭, 면적 및 영역 내에 배치되는 구성들의 구조 및 표시 장치(1)의 외부로 출사되는 광의 색이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유사하게 제2 방향(D2)을 따라 서로 인접하는 제2 투광영역(TA2)과 제5 투광영역(TA5)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표시 장치(1)의 외부로 출사되는 광의 색도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제2 방향(D2)을 따라 서로 인접하는 제3 투광영역(TA3)과 제6 투광영역(TA6)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표시 장치(1)의 외부로 출사되는 광의 색도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표시 영역(DA) 내에서 색변환 기판(30)의 투광영역(TA1, TA2, TA3, TA4, TA5, TA6) 주변에는 차광영역(BA)이 위치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차광영역(BA)을 영역별로 구분하면, 제1 차광영역(BA1), 제2 차광영역(BA2), 제3 차광영역(BA3) 및 제4 차광영역(BA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차광영역(BA1)은 제1 방향(D1)을 따라 제1 투광영역(TA1)과 제2 투광영역(TA2) 사이에 위치하고, 제2 차광영역(BA2)은 제1 방향(D1)을 따라 제2 투광영역(TA2)과 제3 투광영역(TA3) 사이에 위치하고, 제3 차광영역(BA3)은 제1 방향(D1)을 따라 제3 투광영역(TA3)과 제1 투광영역(TA1) 사이에 위치하고, 제4 차광영역(BA4)은 제2 방향(D2)을 따라 인접하는 제1 행(RD1)과 제2 행(RD2)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표시 영역(DA)에서 색 변환 기판(30)의 제1 투광영역(TA1)은 표시 기판(10)의 제1 발광영역(LA1)에 대응하거나 또는 제1 발광영역(LA1)과 중첩하고, 제2 투광영역(TA2)은 제2 발광영역(LA2)에 대응하거나 또는 제2 발광영역(LA2)과 중첩하며, 제3 투광영역(TA3)은 제3 발광영역(LA3)에 대응하거나 또는 제3 발광영역(LA3)과 중첩하고, 제4 투광영역(TA4)은 제4 발광영역(LA4)에 대응하거나 또는 제4 발광영역(LA4)과 중첩하며, 제5 투광영역(TA5)은 제5 발광영역(LA5)에 대응하거나 또는 제5 발광영역(LA5)과 중첩하고, 제6 투광영역(TA6)은 제6 발광영역(LA6)에 대응하거나 또는 제6 발광영역(LA6)과 중첩할 수 있다.
제1 발광영역(LA1)의 면적은 제1 투광영역(TA1)의 면적보다 작고, 제2 발광영역(LA2)의 면적은 제2 투광영역(TA2)의 면적보다 작으며, 제3 발광영역(LA3)의 면적은 제3 투광영역(TA3)의 면적보다 작고, 제4 발광영역(LA4)의 면적은 제4 투광영역(TA4)의 면적보다 작으며, 제5 발광영역(LA5)의 면적은 제5 투광영역(TA5)의 면적보다 작고, 제6 발광영역(LA6)의 면적은 제6 투광영역(TA6)의 면적보다 작을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1 내지 제6 발광영역(LA1, LA2, LA3, LA4, LA5, LA6) 중 일부는 이에 대응되는 투광영역(TA1, TA2, TA3, TA4, TA5, TA6)의 면적과 동일한 면적을 가지고, 제1 내지 제6 발광영역(LA1, LA2, LA3, LA4, LA5, LA6) 중 나머지는 이에 대응되는 투광영역(TA1, TA2, TA3, TA4, TA5, TA6)의 면적보다 작게 이루어질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발광영역(LA1)은 제2 방향(D2)으로 나란하게 배치된 제1 발광영역(LA1)의 제1 변(L1A)과 제1 발광영역(LA1)의 제2 변(L1B) 및 제1 방향(D1)으로 나란하게 배치된 제1 발광영역(LA1)의 제3 변(L1C)과 제1 발광영역(LA1)의 제4 변(L1D)을 포함하고, 제1 발광영역(LA1)의 면적은 제1 내지 제4 변(L1A, L1B, L1C, L1D)에 의해서 정해질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1 발광영역(LA1)의 형상에 따라 제1 발광영역(LA1)을 정의하는 변의 수는 달라질 수 있다.
제1 투광영역(TA1)은 제2 방향(D2)으로 나란하게 배치된 제1 투광영역(TA1)의 제1 변(T1A)과 제1 투광영역(TA1)의 제2 변(T1B) 및 제1 방향(D1)으로 나란하게 배치된 제1 투광영역(TA1)의 제3 변(T1C)과 제1 투광영역(TA1)의 제4 변(T1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투광영역(TA1)의 면적은 제1 내지 제4 변(T1A, T1B, T1C, T1D)에 의해서 정해질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1 투광영역(TA1)의 형상에 따라 제1 투광영역(TA1)을 정의하는 변의 수는 달라질 수 있다.
제1 발광영역(LA1)의 제1 내지 제4 변(L1A, L1B, L1C, L1D)은 제1 투광영역(TA1)의 제1 내지 제4 변(T1A, T1B, T1C, T1D)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발광영역(LA1)의 제1 변(L1A)은 제1 투광영역(TA1)의 제1 변(T1A)에서 제2 방향(D2)의 반대 방향으로 제1_1 거리(D1A) 이격되어 배치되고, 제1 발광영역(LA1)의 제2 변(L1B)은 제1 투광영역(TA1)의 제2 변(T1B)에서 제2 방향(D2)으로 제1_2 거리(D1B) 이격되어 배치되고, 제1 발광영역(LA1)의 제3 변(L1C)은 제1 투광영역(TA1)의 제3 변(T1C)에서 제1 방향(D1)으로 제1_3 거리(D1C) 이격되어 배치되고, 제1 발광영역(LA1)의 제4 변(L1D)은 제1 투광영역(TA1)의 제4 변(T1D)에서 제1 방향(D1)의 반대 방향으로 제1_4 거리(D1D)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1_1 거리(D1A), 제1_2 거리(D1B), 제1_3 거리(D1C), 제1_4 거리(D1D) 각각은 1um 내지 16um 일 수 있다.
제1_1 거리(D1A), 제1_2 거리(D1B), 제1_3 거리(D1C) 및 제1_4 거리(D1D)는 서로 동일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몇몇 실시예에서는 제1_1 거리(D1A), 제1_2 거리(D1B), 제1_3 거리(D1C) 및 제1_4 거리(D1D)는 서로 상이할 수 있고, 제1_1 거리(D1A), 제1_2 거리(D1B), 제1_3 거리(D1C) 및 제1_4 거리(D1D) 중 일부만 상이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 발광영역(LA1)은 제1 투광영역(TA1)보다 작은 면적을 가지되 제1 투광영역(TA1)의 제1 내지 제4 변(T1A, T1B, T1C, T1D) 어느 한 변으로 치우쳐 배치될 수도 있다.
제2 발광영역(LA2)의 제1 내지 제4 변(L2A, L2B, L2C, L2D)은 제2 투광영역(TA2)의 제1 내지 제4 변(T2A, T6B, T2C, T2D)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발광영역(LA2)의 제1 변(L2A)은 제2 투광영역(TA2)의 제1 변(T2A)에서 제2 방향(D2)의 반대 방향으로 제2_1 거리(D2A) 이격되어 배치되고, 제2 발광영역(LA1)의 제2 변(L2B)은 제2 투광영역(TA2)의 제2 변(T6B)에서 제2 방향(D2)으로 제2_2 거리(D2B) 이격되어 배치되고, 제2 발광영역(LA2)의 제3 변(L2C)은 제2 투광영역(TA2)의 제3 변(T2C)에서 제1 방향(D1)으로 제2_3 거리(D2C) 이격되어 배치되고, 제2 발광영역(LA2)의 제4 변(L2D)은 제2 투광영역(TA2)의 제4 변(T2D)에서 제1 방향(D1)의 반대 방향으로 제2_4 거리(D2D)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2_1 거리(D2A), 제2_2 거리(D2B), 제2_3 거리(D2C), 제2_4 거리(D2D) 각각은 1um 내지 16um 일 수 있다.
제2_1 거리(D2A), 제2_2 거리(D2B), 제2_3 거리(D2C), 제2_4 거리(D2D)는 서로 동일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몇몇 실시예에서는 제2_1 거리(D2A), 제2_2 거리(D2B), 제2_3 거리(D2C), 제2_4 거리(D2D)는 서로 상이할 수 있고, 제2_1 거리(D2A), 제2_2 거리(D2B), 제2_3 거리(D2C), 제2_4 거리(D2D) 중 일부만 상이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2 발광영역(LA2)은 제2 투광영역(TA2)보다 작은 면적을 가지되 제2 투광영역(TA2)의 제1 내지 제4 변(T2A, T2B, T2C, T2D) 어느 한 변으로 치우쳐 배치될 수도 있다.
제2_1 거리(D2A), 제2_2 거리(D2B), 제2_3 거리(D2C) 및 제2_4 거리(D2D)는 제1_1 거리(D1A), 제1_2 거리(D1B), 제1_3 거리(D1C) 및 제1_4 거리(D1D)와 각각 동일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2_1 거리(D2A), 제2_2 거리(D2B), 제2_3 거리(D2C) 및 제2_4 거리(D2D)는 제1_1 거리(D1A), 제1_2 거리(D1B), 제1_3 거리(D1C) 및 제1_4 거리(D1D)와 서로 상이할 수도 있다.
제3 발광영역(LA3)의 제1 내지 제4 변(L3A, L3B, L3C, L3D)은 제3 투광영역(TA3)의 제1 내지 제4 변(T3A, T3B, T3C, T3D)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3 발광영역(LA3)의 제1 변(L3A)은 제3 투광영역(TA3)의 제1 변(T3A)에서 제2 방향(D2)의 반대 방향으로 제3_1 거리(D3A) 이격되어 배치되고, 제3 발광영역(LA3)의 제2 변(L3B)은 제3 투광영역(TA3)의 제2 변(T3B)에서 제2 방향(D2)으로 제3_2 거리(D2B) 이격되어 배치되고, 제3 발광영역(LA3)의 제3 변(L3C)은 제3 투광영역(TA3)의 제3 변(T3C)에서 제1 방향(D1)으로 제3_3 거리(D3C) 이격되어 배치되고, 제3 발광영역(LA3)의 제4 변(L3D)은 제3 투광영역(TA3)의 제4 변(T3D)에서 제1 방향(D1)의 반대 방향으로 제3_4 거리(D3D)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3_1 거리(D3A), 제3_2 거리(D3B), 제3_3 거리(D3C), 제3_4 거리(D3D) 각각은 1um 내지 16um 일 수 있다.
제3_1 거리(D3A), 제3_2 거리(D3B), 제3_3 거리(D3C), 제3_4 거리(D3D)는 서로 동일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몇몇 실시예에서는 제3_1 거리(D3A), 제3_2 거리(D3B), 제3_3 거리(D3C), 제3_4 거리(D3D)는 서로 상이할 수 있고, 제3_1 거리(D3A), 제3_2 거리(D3B), 제3_3 거리(D3C), 제3_4 거리(D3D) 중 일부만 상이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3 발광영역(LA3)은 제3 투광영역(TA3)보다 작은 면적을 가지되 제3 투광영역(TA3)의 제1 내지 제4 변(T3A, T3B, T3C, T3D) 어느 한 변으로 치우쳐 배치될 수도 있다.
제3_1 거리(D3A), 제3_2 거리(D3B), 제3_3 거리(D3C), 제3_4 거리(D3D)는 제1_1 거리(D1A), 제1_2 거리(D1B), 제1_3 거리(D1C) 및 제1_4 거리(D1D) 와 각각 동일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서로 상이할 수도 있다.
제3_1 거리(D3A), 제3_2 거리(D3B), 제3_3 거리(D3C), 제3_4 거리(D3D)는 제2_1 거리(D2A), 제2_2 거리(D2B), 제2_3 거리(D2C), 제2_4 거리(D2D)와 각각 동일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서로 상이할 수도 있다.
제2 방향(D2)을 따라 제1 발광영역(LA1) 및 제1 투광영역(TA1)과 인접한 제4 발광영역(LA4) 및 제4 투광영역(TA4)은 제2 행(RD2)에 위치하는 점에서만 1 발광영역(LA1) 및 제1 투광영역(TA1)과 상이하며, 제4 발광영역(LA4)의 제1 내지 제4 변(L4A, L4B, L4C, L4D), 제4 투광영역(TA4)의 제1 내지 제4 변(T4A, T4B, T4C, T4D), 및 제4_1 내지 제4_4 거리(D4A, D4B, D4C, D4D)는 제1 발광영역(LA1)의 제1 내지 제4 변(L1A, L1B, L1C, L1D), 제1 투광영역(TA1)의 제1 내지 제4 변(T1A, T1B, T1C, T1D), 및 제1_1 내지 제1_4 거리(D1A, D1B, D1C, D1D)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제2 방향(D2)을 따라 제2 발광영역(LA2) 및 제2 투광영역(TA2)과 인접한 제5 발광영역(LA5) 및 제5 투광영역(TA5)은 제2 행(RD2)에 위치하는 점에서만 제2 발광영역(LA2) 및 제2 투광영역(TA2)과 상이하며, 제5 발광영역(LA5)의 제1 내지 제4 변(L5A, L5B, L5C, L5D), 제5 투광영역(TA5)의 제1 내지 제4 변(T5A, T5B, T5C, T5D), 및 제4_1 내지 제4_4 거리(D5A, D5B, D5C, D5D)는 제2 발광영역(LA2)의 제1 내지 제4 변(L2A, L2B, L2C, L2D), 제2 투광영역(TA2)의 제1 내지 제4 변(T2A, T2B, T2C, T2D), 및 제1_1 내지 제1_4 거리(D2A, D2B, D2C, D2D)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제2 방향(D2)을 따라 제3 발광영역(LA3) 및 제3 투광영역(TA3)과 인접한 제6 발광영역(LA6) 및 제6 투광영역(TA6)은 제2 행(RD2)에 위치하는 점에서만 제3 발광영역(LA3) 및 제3 투광영역(TA3)과 상이하며, 제6 발광영역(LA6)의 제1 내지 제4 변(L6A, L6B, L6C, L6D), 제6 투광영역(TA6)의 제1 내지 제4 변(T6A, T6B, T6C, T6D), 및 제4_1 내지 제4_4 거리(D6A, D6B, D6C, D6D)는 제3 발광영역(LA3)의 제1 내지 제4 변(L3A, L3B, L3C, L3D), 제3 투광영역(TA3)의 제1 내지 제4 변(T3A, T3B, T3C, T3D), 및 제1_1 내지 제1_4 거리(D3A, D3B, D3C, D3D)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내지 제6 투광영역(TA1, TA2, TA3, TA4, TA5, TA6)에 대응하는 제1 내지 제6 발광영역(LA1, LA2, LA3, LA4, LA5, LA6)의 면적을 축소함으로써, 인접 투광영역 간에 혼색을 방지하여 색 재현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소비전력 대비 광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하 표시 장치(1)의 구조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은 도 5의 Ⅵ-Ⅵ'을 따라 절단한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5의 Ⅶ-Ⅶ'을 따라 절단한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며, 도 8은 도 5의 Ⅷ-Ⅷ'을 따라 절단한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며, 도 9는 도 5의 Ⅸ-Ⅸ'를 따라 절단한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 도 10은 도 5의 X-X'을 따라 절단한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표시 장치(1)는 상술한 바와 같이 표시 기판(10) 및 색변환 기판(30)을 포함하며, 표시 기판(10)과 색변환 기판(30) 사이에 위치하는 충진제(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표시 기판(10)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1 베이스부(110)는 투광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베이스부(110)는 유리기판 또는 플라스틱 기판일 수 있다. 제1 베이스부(110)가 플라스틱 기판인 경우, 제1 베이스부(110)는 가요성을 가질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베이스부(110)는 유리기판 또는 플라스틱 기판 상에 위치하는 별도의 층, 예컨대 버퍼층 또는 절연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베이스부(110) 상에는 스위칭 소자들(T1, T2, T3)이 위치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발광영역(LA1)에는 제1 스위칭 소자(T1)가 위치하고, 제2 발광영역(LA2)에는 제2 스위칭 소자(T2)가 위치하고 제3 발광영역(LA3)에는 제3 스위칭 소자(T3)가 위치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실시예에서 제1 스위칭 소자(T1), 제2 스위칭 소자(T2) 및 제3 스위칭 소자(T3)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비발광영역(NLA)에 위치할 수도 있다.
이외 도면에는 미도시 하였으나, 제1 베이스부(110) 상에는 각 스위칭 소자에 신호를 전달하는 복수의 신호선들(예컨대, 게이트선, 데이터선, 전원선 등)이 더 위치할 수 있다.
제1 스위칭 소자(T1), 제2 스위칭 소자(T2) 및 제3 스위칭 소자(T3) 상에는 절연막(130)이 위치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절연막(130)은 평탄화막일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절연막(130)은 유기막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절연막(130)은 아크릴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 이미드계 수지, 에스테르계 수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절연막(130)은 포지티브 감광성 재료 또는 네거티브 감광성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절연막(130) 위에는 제1 애노드 전극(AE1), 제2 애노드 전극(AE2) 및 제3 애노드 전극(AE3)이 위치할 수 있다. 제1 애노드 전극(AE1)은 제1 발광영역(LA1) 내에 위치하되 적어도 일부는 비발광영역(NLA)까지 확장될 수 있다. 제2 애노드 전극(AE2)은 제2 발광영역(LA2)에 위치하되 적어도 일부는 비발광영역(NLA)까지 확장될 수 있으며, 제3 애노드 전극(AE3)은 제3 발광영역(LA3)에 위치하되 적어도 일부는 비발광영역(NLA)까지 확장될 수 있다. 제1 애노드 전극(AE1)은 절연막(130)을 관통하여 제1 스위칭 소자(T1)와 연결되고 제2 애노드 전극(AE2)은 절연막(130)을 관통하여 제2 스위칭 소자(T2)와 연결되고, 제3 애노드 전극(AE3)은 절연막(130)을 관통하여 제3 스위칭 소자(T3)와 연결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애노드 전극(AE1), 제2 애노드 전극(AE2) 및 제3 애노드 전극(AE3)의 폭 또는 면적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애노드 전극(AE1)의 폭 또는 면적보다 제2 애노드 전극(AE2)의 폭 또는 면적이 작을 수 있고, 제2 애노드 전극(AE2)의 폭 또는 면적보다 제3 애노드 전극(AE3)의 폭 또는 면적이 작을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1 애노드 전극(AE1), 제2 애노드 전극(AE2) 및 제3 애노드 전극(AE3)은 서로 동일한 폭 또는 면적을 가질 수도 있다.
제1 애노드 전극(AE1), 제2 애노드 전극(AE2) 및 제3 애노드 전극(AE3)은 반사형 전극일 수 있고, 이 경우에 제1 애노드 전극(AE1), 제2 애노드 전극(AE2) 및 제3 애노드 전극(AE3)은 Ag, Mg, Al, Pt, Pd, Au, Ni, Nd, Ir 및 Cr와 같은 금속을 포함하는 금속층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제1 애노드 전극(AE1), 제2 애노드 전극(AE2) 및 제3 애노드 전극(AE3)은 상기 금속층 위에 적층된 금속 산화물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1 애노드 전극(AE1), 제2 애노드 전극(AE2) 및 제3 애노드 전극(AE3)은 ITO/Ag, Ag/ITO, ITO/Mg, ITO/MgF의 2층 구조 또는 ITO/Ag/ITO와 같은 다중층의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제1 애노드 전극(AE1), 제2 애노드 전극(AE2) 및 제3 애노드 전극(AE3) 상에는 화소 정의막(150)이 위치할 수 있다. 화소 정의막(150)은 제1 애노드 전극(AE1)을 노출하는 개구부, 제2 애노드 전극(AE2)을 노출하는 개구부 및 제3 애노드 전극(AE3)을 노출하는 개구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발광영역(LA1), 제2 발광영역(LA2), 제3 발광영역(LA3) 및 비발광영역(NLA)을 정의할 수 있다. 즉, 제1 애노드 전극(AE1) 중 화소 정의막(150)에 의해 커버되지 않고 노출되는 영역은 제1 발광영역(LA1)일 수 있다. 유사하게 제2 애노드 전극(AE2) 중 화소 정의막(150)에 의해 커버되지 않고 노출되는 영역은 제2 발광영역(LA2)일 수 있으며, 제3 애노드 전극(AE3) 중 화소 정의막(150)에 의해 커버되지 않고 노출되는 영역은 제3 발광영역(LA3)일 수 있다. 그리고, 화소 정의막(150)이 위치하는 영역은 비발광영역(NLA)일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화소 정의막(150)은 아크릴계 수지(polyacrylates resin), 에폭시 수지(epoxy resin), 페놀 수지(phenolic resin), 폴리아미드계 수지(polyamides resin), 폴리이미드계 수지(polyimides rein), 불포화 폴리에스테르계 수지(unsaturated polyesters resin), 폴리페닐렌계 수지(poly phenylenethers resin), 폴리페닐렌설파이드계 수지(polyphenylenesulfides resin) 또는 벤조사이클로부텐(benzocyclobutene, BCB) 등의 유기 절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애노드 전극(AE1), 제2 애노드 전극(AE2) 및 제3 애노드 전극(AE3) 상에는 유기 발광층(OL)이 위치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유기 발광층(OL)은 제1 색의 광(L1), 예컨대 청색 광을 발광할 수 있다. 즉, 유기 발광층(OL)은 청색 발광층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유기 발광층(OL)은 청색 발광층을 둘 이상 포함할 수 있으며, 두개의 청색 발광층 사이에 위치하는 전하 생성층(charge generation layer)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유기 발광층(OL)은 복수의 발광영역(LA1, LA2, LA3, LA4, LA5, LA6) 및 비발광영역(NLA)에 걸쳐 배치된 연속된 막의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제1 유기층(OL1), 제2 유기층(OL2) 및 제3 유기층(OL3) 상에는 캐소드 전극(CE)이 위치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캐소드 전극(CE)은 반투과성 또는 투과성을 가질 수 있다. 캐소드 전극(CE)이 상기 반투과성을 갖는 경우에, 캐소드 전극(CE)은 Ag, Mg, Cu, Al, Pt, Pd, Au, Ni, Nd, Ir, Cr, Li, Ca, LiF/Ca, LiF/Al, Mo, Ti 또는 이들의 화합물이나 혼합물, 예를 들어 Ag와 Mg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캐소드 전극(CE)의 두께가 수십 내지 수백 옹스트롬인 경우에, 캐소드 전극(CE)은 반투과성을 가질 수 있다.
캐소드 전극(CE)이 투과성을 갖는 경우, 캐소드 전극(CE)은 투명한 도전성 산화물(transparent conductive oxide, TCO)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캐소드 전극(CE)은 WxOx(tungsten oxide), TiO2(Titanium oxide), ITO(indium tin oxide), IZO(indium zinc oxide), ZnO(zinc oxide), ITZO(indium tin zinc oxide), MgO(magnesium oxide)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애노드 전극(AE1), 유기 발광층(OL) 및 캐소드 전극(CE)은 제1 유기발광소자(ED1)를 이루고, 제2애노드 전극(AE2), 유기 발광층(OL) 및 캐소드 전극(CE)은 제2 유기발광소자(ED2)를 이루고, 제3 애노드 전극(AE3), 유기 발광층(OL) 및 캐소드 전극(CE)은 제3 유기발광소자(ED3)를 이룰 수 있다. 제1 유기발광소자(ED1), 제2 유기발광소자(ED2) 및 제3 유기발광소자(ED3)는 각각 제1색의 광(L1), 예컨대 청색 광을 색변환 기판(30)에 제공할 수 있다.
캐소드 전극(CE) 상에는 박막 봉지층(170)이 배치된다. 박막 봉지층(170)은 제1 발광영역(LA1), 제2 발광영역(LA2), 제3 발광영역(LA3) 및 비발광영역(NLA)에 공통적으로 배치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박막 봉지층(170)은 캐소드 전극(CE)을 직접 커버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박막 봉지층(TFE)과 캐소드 전극(CE) 사이에는, 캐소드 전극(CE)을 커버하는 캡핑층(도면 미도시)이 더 배치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박막 봉지층(TFE)은 캡핑층을 직접 커버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박막 봉지층(170)은 캐소드 전극(CE) 상에 순차적으로 적층된 제1 봉지 무기막(171), 봉지 유기막(173) 및 제2 봉지 무기막(175)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봉지 무기막(171) 및 제2 봉지 무기막(175)은 각각 실리콘 질화물, 알루미늄 질화물, 지르코늄 질화물, 티타늄 질화물, 하프늄 질화물, 탄탈륨 질화물, 실리콘 산화물, 알루미늄 산화물, 티타늄 산화물, 주석 산화물, 세륨 산화물, 실리콘 산질화물(SiON), 리튬 플로라이드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봉지 유기막(173)은 아크릴계 수지, 메타크릴계 수지, 폴리이소프렌, 비닐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 우레탄계 수지, 셀룰로오스계 수지 및 페릴렌계 수지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박막 봉지층(170)의 구조가 상술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외에도 박막 봉지층(170)의 적층구조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이하 도 6 내지 도 10과 함께 도 11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색변환 기판(30)에 대해 설명한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색변환 기판에서, 제3 컬러필터 및 컬러패턴의 개략적인 배치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색변환 기판에서, 차광부재의 개략적인 배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1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색변환 기판에서, 제1 컬러필터 및 제2 컬러필터의 개략적인 배치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14는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색변환 기판에서, 제1 파장변환 패턴, 제2 파장변환 패턴 및 광투과 패턴의 개략적인 배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15는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색변환 기판에서, 혼색방지부재의 개략적인 배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10 및 도 11을 함께 참조하면, 제2 베이스부(310)는 투광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베이스부(310)는 유리기판 또는 플라스틱 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베이스부(310)는 유리기판 또는 플라스틱 기판 상에 위치하는 별도의 층, 예시적으로 무기막 등의 절연층 등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표시 기판(10)을 향하는 제2 베이스부(310)의 일면 상에는 제3 컬러필터(235) 및 컬러패턴(210)이 위치할 수 있다.
제3 컬러필터(235)는 제2 베이스부(310)의 일면상에 위치하고, 제3 투광영역(TA3) 및 제6 투광영역(TA6) 내에 위치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3 투광영역(TA3) 내에 위치하는 제3 컬러필터(235)와 제6 투광영역(TA6) 내에 위치하는 제3 컬러필터(235)는 제2 방향(D2)을 따라 서로 이격될 수도 있다.
제3 컬러필터(235)는 상기 제1 색의 광(예컨대, 청색 광)을 선택적으로 투과시키고 상기 제2 색의 광(예컨대, 적색 광) 및 상기 제3 색의 광(예컨대, 녹색 광)을 차단하거나 흡수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3 컬러필터(235)는 청색 컬러필터(blue color filter)일 수 있으며, 청색염료 또는 청색안료와 같은 청색의 색제(blue colorant)를 포함할 수 있다.
컬러패턴(210)은 표시 장치(1)의 외부에서 색변환 기판(30)으로 유입되는 광의 일부를 흡수하여 외광에 의한 반사광을 저감시킬 수 있다. 외광은 상당 부분 반사되어 색변환 기판(30)의 색 재현율을 왜곡시키는 문제를 발생시킨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라 제2 베이스부(310) 위에 컬러패턴(210)이 위치하는 경우 외광 반사에 의한 색의 왜곡을 저감시킬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컬러패턴(210)은 청색염료 또는 청색안료와 같은 청색의 색제(blue colorant)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컬러패턴(210)은 제3 컬러필터(235)와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3 컬러필터(235)의 형성과정에서 동시에 형성될 수 있다. 컬러패턴(210)이 청색의 색제를 포함하는 경우, 컬러패턴(210)을 투과한 외광 또는 반사광은 청색 파장대역을 갖게 된다. 사용자의 눈이 인식하는 색상별 민감도(eye color sensibility)는 광의 색상에 따라 다르다. 보다 구체적으로 청색 파장대역의 광은 녹색 파장대역의 광 및 적색 파장대역의 광보다 사용자에게 보다 덜 민감하게 인식될 수 있다. 따라서 컬러패턴(210)이 청색의 색제를 포함함에 따라, 사용자는 반사광을 상대적으로 덜 민감하게 인식할 수 있다.
컬러패턴(210)은 제2 베이스부(310)의 일면 상에 위치하고 차광영역(BA) 내에 위치할 수 있으며, 컬러패턴(210)은 제2 베이스부(310)의 일면과 직접 접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컬러패턴(210)은 제1 차광영역(BA1) 내에 위치되는 제1 컬러패턴(210A), 제2 차광영역(BA2) 내에 위치되는 제2 컬러패턴(210B), 제3 차광영역(BA3) 내에 위치되는 제3 컬러패턴(210C) 및 제4 차광영역(BA4) 내에 위치되는 제4 컬러패턴(210D)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내지 제3 컬러패턴(210A, 210B, 210C) 각각은 제4 컬러패턴(210D)과 연결되어 제1 내지 제6 투광영역(TA1, TA2, TA3, TA4, TA5, TA6)을 둘러싸는 격자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몇몇 실시예에서는 제1 내지 제4 컬러패턴(210A, 210B, 210C, 210D)이 서로 이격되어 제1 내지 제6 투광영역(TA1, TA2, TA3, TA4, TA5, TA6) 각각을 둘러싸는 액자 형태로 배치될 수도 있으며, 다른 실시예에서는, 제1 내지 제4 컬러패턴(210A, 210B, 210C, 210D) 중 일부만 배치될 수도 있다.
도 6 내지 도 10 및 도 12를 함께 참조하면, 표시 기판(10)을 향하는 제2 베이스부(310)의 일면 상에는 차광부재(220)가 위치할 수 있다. 차광부재(220)는 차광영역(BA) 내에 위치하여 광의 투과를 차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차광부재(220)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상 대략 격자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차광부재(220)는 유기 차광 물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유기 차광 물질의 코팅 및 노광 공정 등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외광은 색변환 패널의 색 재현율을 왜곡시키는 문제가 발생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라 제2 베이스부(310) 위에 차광부재(220)가 위치하는 경우 외광의 적어도 일부를 흡수함으로써 외광 반사에 의한 색의 왜곡을 저감시킬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차광부재(220)는 인접한 투광영역 간에 광이 침범하여 혼색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색 재현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차광부재(220)는 제1 차광영역(BA1) 내에 위치하는 제1 차광부재(220A), 제2 차광영역(BA2) 내에 위치하는 제2 차광부재(220B), 제3 차광영역(BA3) 내에 위치하는 제3 차광부재(220C) 및 제4 차광영역(BA4) 내에 위치하는 제4 차광부재(220D)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차광부재(220A), 제2 차광부재(220B) 및 제3 차광부재(220C)는 제4 차광부재(220D)와 연결될 수 있다.
차광부재(220)는 컬러패턴(210)과 중첩하며, 컬러패턴(210) 상에 위치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는 차광부재의 폭은 컬러 패턴의 폭보다 좁게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차광부재(220A)의 폭은 제1 컬러패턴(210A)의 폭보다 좁게 이루어지고, 제2 차광부재(220B)의 폭은 제2 컬러패턴(210B)의 폭보다 좁게 이루어지고, 제3 차광부재(220C)의 폭은 제3 컬러패턴(210C)의 폭보다 좁게 이루어지고, 제4 차광부재(220D)의 폭은 제4 컬러패턴(210D)의 폭보다 좁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평면상 제3 투광영역(TA3) 및 제6 투광영역(TA6)을 둘러싸는 제2 차광부재(220A), 제3 차광부재(220C), 제4 차광부재(220D) 각각의 끝단은 제3 투광영역(TA3) 및 제6 투광영역(TA6)을 둘러싸는 제2 컬러패턴(210B), 제3 컬러패턴(210C), 제4 컬러패턴(201D)의 끝단과 제3 방향(D3)으로 정렬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10 및 도 13을 함께 참조하면, 표시 기판(10)을 향하는 제2 베이스부(310)의 일면 상에는 제1 컬러필터(231) 및 제2 컬러필터(233)가 위치할 수 있다.
제1 컬러필터(231)는 제1 투광영역(TA1) 및 제4 투광영역(TA4)내에 위치할 수 있으며, 제2 컬러필터(233)는 제2 투광영역(TA2) 및 제5 투광영역(TA5) 내에 위치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컬러필터(231)의 일측은, 제1 차광영역(BA1) 내에 위치할 수 있으며, 제1 컬러패턴(210A) 및 제1 차광부재(220A)상에 위치하고, 제1 컬러패턴(210A) 및 제1 차광부재(220A) 각각에 접촉할 수 있다. 또한, 제1 컬러필터(231)의 타측은 제3 차광영역(BA3) 내에 위치할 수 있으며, 제3 컬러패턴(210C) 및 제3 차광부재(220C) 상에 위치하고, 제3 컬러패턴(210C) 및 제3 차광부재(220C) 각각에 접촉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컬러필터(233)의 일측은, 제2 차광영역(BA2) 내에 위치할 수 있으며, 제2 컬러패턴(210B) 및 제2 차광부재(220B)상에 위치하고, 제2 컬러패턴(210B) 및 제2 차광부재(220B) 각각에 접촉할 수 있다. 또한, 제2 컬러필터(233)의 타측은 제1 차광영역(BA1) 내에 위치할 수 있으며, 제1 컬러패턴(210A), 제1 차광부재(220A) 및 제1 컬러필터(231) 상에 위치하고, 제1 컬러패턴(210A), 제1 차광부재(220A) 및 제1 컬러필터(231) 각각에 접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차광영역(BA1)에서는 제1 컬러필터(231)의 일측과 제2 컬러필터(233) 타측이 중첩되는 중첩 영역(OR)이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1 컬러필터(231)의 일측과 제2 컬러필터(233) 타측은 서로 중첩되지 않을 수 있으며, 제1 컬러필터(231)의 일측과 제2 컬러필터(233) 타측이 서로 일정거리 이격될 수도 있다. 또한, 몇몇 실시예에서는 제1 컬러필터(231)의 폭(231P)은 제2 컬러필터(233)의 폭(233P)보다 넓을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컬러필터(231) 및 제2 컬러필터(233)는 각각 제2 방향(D2)을 따라 연장된 스트라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1 행(RD1)과 제2 행(RD2) 사이의 제4 차광영역(BA4)을 가로지를 수 있다. 따라서,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4 차광영역(BA4)에서 제1 컬러필터(231) 및 제2 컬러필터(233)는 제4 차광부재(220D) 상에 위치할 수 있으며, 제4 차광영역(BA4)에서 제1 컬러필터(231) 및 제2 컬러필터(233)는 각각 제2 컬러패턴(210) 및 제4 차광부재(220D)를 커버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컬러필터(231)는 상기 제1 색의 광(예컨대, 청색 광)을 차단하거나 흡수할 수 있다. 즉, 제1 컬러필터(231)는 청색 광을 차단하는 청색 광 차단 필터로 기능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컬러필터(231)는 상기 제2 색의 광(예컨대, 적색 광)을 선택적으로 투과시키고 상기 제1 색의 광(예컨대, 청색 광) 및 상기 제3 색의 광(예컨대, 녹색 광)을 차단하거나 흡수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1 컬러필터(231)는 적색 컬러필터(red color filter)일 수 있으며, 적색의 색제(red colorant)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컬러필터(233)는 상기 제1 색의 광(예컨대, 청색 광)을 차단하거나 흡수할 수 있다. 즉, 제2 컬러필터(233)도 청색 광 차단 필터로 기능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컬러필터(233)는 상기 제3 색의 광(예컨대, 녹색 광)을 선택적으로 투과시키고 상기 제1 색의 광(예컨대, 청색 광) 및 상기 제2 색의 광(예컨대, 적색 광)을 차단하거나 흡수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2 컬러필터(233)는 녹색 컬러필터(green color filter)일 수 있으며, 녹색의 색제(green colorant)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컬러필터(231), 제2 컬러필터(233) 및 제3 컬러필터(235)의 두께는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컬러필터(231) 및 제2 컬러필터(233)는 동일한 두께를 가지고, 제3 컬러필터(235)의 두께는 제1 컬러필터(231) 및 제2 컬러필터(233)의 두께보다 작게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컬러필터(231), 제2 컬러필터(233) 및 제3 컬러필터(235)의 두께는 동일하게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도 6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베이스부(310)의 일면 상에는 컬러패턴(210), 차광부재(220), 제1 컬러필터(231), 제2 컬러필터(233) 및 제3 컬러필터(235)를 커버하는 제1 캡핑층(391)이 위치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캡핑층(391)은 제1 컬러필터(231), 제2 컬러필터(233) 및 제3 컬러필터(235)와 직접 접촉할 수 있다.
제1 캡핑층(391)은 차광부재(220)와 더 접촉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차광영역(BA2)에서 제2 차광부재(220B)의 일부는 제1 캡핑층(391)과 직접 접촉할 수 있다. 또한 제3 차광영역(BA3)에서 제3 차광부재(220C)는 제1 캡핑층(391)과 직접 접촉할 수 있다. 아울러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4 차광영역(BA4)에서 제4 차광부재(220D)도 제1 캡핑층(391)과 직접 접촉할 수 있다.
제1 캡핑층(391)은 외부로부터 수분 또는 공기 등의 불순물이 침투하여 차광부재(220), 컬러패턴(210), 제1 컬러필터(231), 제2 컬러필터(233) 및 제3 컬러필터(235) 등을 손상시키거나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캡핑층(391)은 제1 컬러필터(231), 제2 컬러필터(233) 및 제3 컬러필터(235)에 포함된 색제가 다른 구성, 예컨대 제1 파장변환 패턴(330) 및 제2 파장변환 패턴(340) 등으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캡핑층(391)은 무기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캡핑층(391)은 실리콘 질화물, 알루미늄 질화물, 지르코늄 질화물, 티타늄 질화물, 하프늄 질화물, 탄탈륨 질화물, 실리콘 산화물, 알루미늄 산화물, 티타늄 산화물, 주석 산화물, 세륨 산화물 및 실리콘 산질화물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도 6 내지 도 10 및 도 14를 함께 참조하면, 제1 캡핑층(391) 상에는 제1 파장변환 패턴(330), 제2 파장변환 패턴(340) 및 광투과 패턴(350)이 위치할 수 있다.
제1 파장변환 패턴(330)은 제1 캡핑층(391) 상에 위치하되 제1 투광영역(TA1) 및 제4 투광영역(TA4) 내에 위치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파장변환 패턴(330)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방향(D2)을 따라 연장된 스트라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1 행(RD1)과 제2 행(RD2) 사이의 제4 차광영역(BA4)을 가로지를 수 있다. 또한, 제1 파장변환 패턴(330)은 제2 파장변환 패턴(340)과 제1 이격 거리(SD1)를 가지고, 제1 파장변환 패턴(330)은 광투과 패턴(350)과 제3 이격 거리(SD3)를 가질 수 있으며, 제1 이격 거리(SD1)와 제3 이격 거리(SD3)에 의하여 제1 캡핑층(390)이 노출될 수 있다. 제1 이격 거리(SD1)의 폭은 제1 차광영역(BA1)의 폭보다 좁을 수 있으며, 제3 이격 거리(SD3)의 폭은 제3 차광영역(BA3)의 폭보다 좁을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파장변환 패턴(330)은 입사광의 피크 파장을 다른 특정 피크 파장의 광으로 변환 또는 시프트시켜 출사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파장변환 패턴(330)은 제1 유기발광소자(ED1)에서 제공된 청색 광인 제1 색의 광(L1)을 약 610nm 내지 약 650nm 범위인 적색 광으로 변환하여 출사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파장변환 패턴(330)은 제1 베이스 수지(331) 및 제1 베이스 수지(331) 내에 분산된 제1 파장 시프터(335)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베이스 수지(331) 내에 분산된 제1 산란체(33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베이스 수지(331)는 광 투과율이 높은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베이스 수지(331)는 유기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베이스 수지(331)는 에폭시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카도계 수지 또는 이미드계 수지 등의 유기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파장 시프터(335)는 입사광의 피크 파장을 다른 특정 피크 파장으로 변환 또는 시프트시킬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파장 시프터(335)는 제1 유기발광소자(ED1)에서 제공된 청색 광인 제1 색의 광(L1)을 약 610nm 내지 약 650nm 범위에서 단일 피크 파장을 갖는 적색 광으로 변환하여 방출할 수 있다. 제1 파장 시프터(335)의 예로는 양자점, 양자 막대 또는 형광체 등을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양자점은 전자가 전도대에서 가전자대로 전이하면서 특정한 색을 방출하는 입자상 물질일 수 있다.
양자점은 반도체 나노 결정 물질일 수 있다. 상기 양자점은 그 조성 및 크기에 따라 특정 밴드갭을 가져 빛을 흡수한 후 고유의 파장을 갖는 광을 방출할 수 있다. 상기 양자점의 반도체 나노 결정의 예로는 IV족계 나노 결정, II-VI족계 화합물 나노 결정, III-V족계 화합물 나노 결정, IV-VI족계 나노 결정 또는 이들의 조합 등을 들 수 있다.
제1 파장 시프터(335)가 방출하는 광은 약 45nm 이하, 또는 약 40nm 이하, 또는 약 30nm 이하의 발광 파장 스펙트럼 반치폭을 가질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표시 장치(1)가 표시하는 색의 색 순도와 색 재현성을 더욱 개선할 수 있다. 또, 제1 파장 시프터(335)가 방출하는 광은 입사광의 입사 방향과 무관하게 여러 방향을 향하여 방출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 투광영역(TA1)에서 표시되는 제2 색의 측면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1 유기발광소자(ED1)에서 제공된 제1 색의 광(L1) 중 일부는 제1 파장 시프터(335)에 의해 적색 광으로 변환되지 않고 제1 파장변환 패턴(330)을 투과하여 방출될 수 있다. 제1 색의 광(L1) 중 제1 파장변환 패턴(330)에 의해 변환되지 않고 제1 컬러필터(231)에 입사한 성분은, 제1 컬러필터(231)에 의해 차단될 수 있다. 반면, 제1 색의 광(L1)중 제1 파장변환 패턴(330)에 의해 변환된 적색 광은 제1 컬러필터(231)를 투과하여 외부로 출사된다. 이에 따라 제1 투광영역(TA1)에서 표시 장치(1)의 외부로 출사되는 광은 적색 광인 제2 색의 광(L2)일 수 있다.
제1 산란체(333)는 제1 베이스 수지(331)와 상이한 굴절률을 가지고 제1 베이스 수지(331)와 광학 계면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산란체(333)는 광 산란 입자일 수 있다. 제1 산란체(333)는 투과광의 적어도 일부를 산란시킬 수 있는 재료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금속 산화물 입자 또는 유기 입자일 수 있다. 상기 금속 산화물로는 산화 티타늄(TiO2), 산화 지르코늄(ZrO2), 산화 알루미늄(Al2O3), 산화 인듐(In2O3), 산화 아연(ZnO) 또는 산화 주석(SnO2) 등을 예시할 수 있고, 상기 유기입자의 재료로는 아크릴계 수지 또는 우레탄계 수지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제1 산란체(333)는 제1 파장변환 패턴(330)을 투과하는 광을 입사광의 입사 방향과 무관하게 랜덤한 방향으로 산란시킬 수 있다.
제2 파장변환 패턴(340)은 제1 캡핑층(391) 상에 위치하되 제2 투광영역(TA2) 및 제5 투광영역(TA5) 내에 위치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파장변환 패턴(340)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방향(D2)을 따라 연장된 스트라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1 행(RD1)과 제2 행(RD2) 사이의 제4 차광영역(BA4)을 가로지를 수 있다. 또한, 제2 파장변환 패턴(340)은 제1 파장변환 패턴(330)과 제1 이격 거리(SD1)를 가지고, 제2 파장변환 패턴(340)은 광투과 패턴(350)과 제2 이격 거리(SD2)를 가질 수 있으며, 제1 이격 거리(SD1)와 제2 이격 거리(SD2)에 의하여 제1 캡핑층(390)이 노출될 수 있다. 제1 이격 거리(SD1)의 폭은 제1 차광영역(BA1)의 폭보다 좁을 수 있으며, 제2 이격 거리(SD2)의 폭은 제2 차광영역(BA3)의 폭보다 좁을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2 파장변환 패턴(340)은 입사광의 피크 파장을 다른 특정 피크 파장의 광으로 변환 또는 시프트시켜 출사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파장변환 패턴(340)은 제2 유기발광소자(ED2)에서 제공된 청색 광인 제1 색의 광(L1)을 약 510nm 내지 약 550nm 범위인 녹색 광으로 변환하여 출사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파장변환 패턴(340)은 제2 베이스 수지(341) 및 제2 베이스 수지(341) 내에 분산된 제2파장 시프터(345)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2 베이스 수지(341) 내에 분산된 제2 산란체(34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베이스 수지(341)는 광 투과율이 높은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베이스 수지(341)는 유기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베이스 수지(341)는 제1베이스 수지(331)와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지거나, 제1 베이스 수지(331)의 구성물질로 예시된 물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파장 시프터(345)는 입사광의 피크 파장을 다른 특정 피크 파장으로 변환 또는 시프트시킬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파장 시프터(345)는 430nm 내지 470nm 범위의 피크 파장을 갖는 청색 광을 510nm 내지 550nm 범위의 피크 파장을 갖는 녹색 광으로 변환할 수 있다.
제2 파장 시프터(345)의 예로는 양자점, 양자 막대 또는 형광체 등을 들 수 있다. 제2 파장 시프터(345)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제1 파장 시프터(335)의 설명에서 상술한 바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한 바, 생략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파장 시프터(335) 및 제2 파장 시프터(345)는 모두 양자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 파장 시프터(335)를 이루는 양자점의 직경은 제2 파장 시프터(345)를 이루는 양자점의 직경보다 클 수 있다.
제2 산란체(343)는 제2 베이스 수지(341)와 상이한 굴절률을 가지고 제2 베이스 수지(341)와 광학 계면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산란체(343)는 광 산란 입자일 수 있다. 이외 제2 산란체(343)에 대한 구체적 설명은 제1 산란체(333)에 대한 설명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한 바, 생략한다.
제2 파장변환 패턴(340)에는 제2 유기발광소자(ED2)에서 방출된 제1 색의 광(L1)이 제공될 수 있으며, 제2 파장 시프터(345)는 제2 유기발광소자(ED2)에서 제공된 제1 색의 광(L1)을 약 510nm 내지 약 550nm 범위의 피크 파장을 갖는 녹색 광으로 변환하여 방출할 수 있다.
청색 광인 제1 색의 광(L1) 중 일부는 제2 파장 시프터(345)에 의해 녹색 광으로 변환되지 않고 제2 파장변환 패턴(340)을 투과하여 방출될 수 있으며, 이는 제2 컬러필터(233)에 의해 차단될 수 있다. 반면, 제1 색의 광(L1) 중 제2 파장변환 패턴(340)에 의해 변환된 녹색 광은 제2 컬러필터(233)를 투과하여 외부로 출사된다. 이에 따라 제2 투광영역(TA2)에서 표시 장치(1)의 외부로 출사되는 광은 녹색 광인 제3 색의 광(L3)일 수 있다.
광투과 패턴(350)은 제1 캡핑층(391) 상에 위치하되 제3 투광영역(TA3) 및 제6 투광영역(TA6) 내에 위치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광투과 패턴(350)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방향(D2)을 따라 연장된 스트라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1 행(RD1)과 제2 행(RD2) 사이의 제4 차광영역(BA4)을 가로지를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광투과 패턴(350)은 제1 파장변환 패턴(330)과 제3 이격 거리(SD3)를 가지고, 광투과 패턴(350)은 제2 파장변환 패턴(340)과 제2 이격 거리(SD2)를 가질 수 있다.
광투과 패턴(350)은 입사광을 투과시킬 수 있다. 제3 유기발광소자(ED3)에서 제공된 청색 광인 제1 색의 광(L1)은 광투과 패턴(350) 및 제3 컬러필터(235)를 투과하여 표시 장치(1)의 외부로 출사된다. 즉, 제3 투광영역(TA3)에서 출사되는 제3 출사광은 제3 유기발광소자(ED3)에서 방출된 청색 광인 제1색의 광(L1)일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광투과 패턴(350)은 제3 베이스 수지(351) 및 제3 베이스 수지(351) 내에 분산된 제3 산란체(35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3 베이스 수지(351)는 광 투과율이 높은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3 베이스 수지(351)는 유기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는 제3 베이스 수지(351)는 제1 베이스 수지(331)와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지거나, 제1 베이스 수지(331)의 구성물질로 예시된 물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산란체(353)는 제3 베이스 수지(351)와 상이한 굴절률을 가지고 제3 베이스 수지(351)와 광학 계면을 형성할 수 있다. 제3 산란체(353)는 광투과 패턴(350)을 투과하는 광의 파장을 실질적으로 변환시키지 않으면서 입사광의 입사 방향과 무관하게 랜덤한 방향으로 광을 산란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산란체(353)는 광 산란 입자일 수 있다. 이외 제3 산란체(353)에 대한 구체적 설명은 제1 산란체(333)에 대한 설명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한 바, 생략한다.
제3 유기발광소자(ED3)에서 제공된 청색 광인 제1 색의 광(L1)은 광투과 패턴(350) 및 제3 컬러필터(235)를 투과하여 표시 장치(1)의 외부로 출사된다. 즉, 제3 투광영역(TA3)에서 출사되는 제3 출사광은 제3 유기발광소자(ED3)에서 방출된 청색 광인 제1 색의 광(L1)일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파장변환 패턴(330), 제2 파장변환 패턴(340) 및 광투과 패턴(350)의 두께는 동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제1 컬러필터(231), 제2 컬러필터(233) 및 제3 컬러필터(235)의 두께 차이에 의하여 상대적으로 광투과 패턴(350)보다 제1 파장변환 패턴(330) 및 제2 파장변환 패턴(340)이 더 돌출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몇몇 실시예에서는 제1 파장변환 패턴(330) 및 제2 파장변환 패턴(340)에 비하여 광투과 패턴(350)의 두께는 두껍게 형성하여, 제1 파장변환 패턴(330), 제2 파장변환 패턴(340) 및 광투과 패턴(350)이 동일 평면에서 정렬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 6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제1 파장변환 패턴(330), 제2 파장변환 패턴(340) 및 광투과 패턴(350) 상에는 제2 캡핑층(393)이 위치할 수 있다. 제2 캡핑층(393)은 제1 파장변환 패턴(330), 제2 파장변환 패턴(340) 및 광투과 패턴(330)을 커버할 수 있다. 제2 캡핑층(393)은 제1 캡핑층(391)과 접촉할 수 있으며, 제1 파장변환 패턴(330), 제2 파장변환 패턴(340) 및 광투과 패턴(350)을 밀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외부로부터 수분 또는 공기 등의 불순물이 침투하여 광투과 패턴(330), 제1 파장변환 패턴(340) 및 제2 파장변환 패턴(350)을 손상시키거나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캡핑층(393)은 무기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캡핑층(393)은 제1 캡핑층(391)과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지거나, 제1 캡핑층(391)의 설명에서 언급된 물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캡핑층(391)과 제2 캡핑층(393)이 모두 무기물로 이루어지는 경우, 제1 캡핑층(391)과 제2 캡핑층(393)이 직접 접촉하는 부분은 무기-무기 접합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외부로부터의 수분이나 공기 등이 유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10 및 도 15를 함께 참조하면, 제2 캡핑층(393) 상에는 혼색방지부재(370)가 위치할 수 있다. 혼색방지부재(370)는 차광영역(BA) 내에 위치하여 광의 투과를 차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혼색방지부재(370)는 광투과 패턴(350)과 제1 파장변환 패턴(330) 사이 및 제1 파장변환 패턴(330)과 제2 파장변환 패턴(340) 사이에 위치하되, 제1 파장변환 패턴(330), 제1 파장변환 패턴(330) 및 광투과 패턴(350)의 상면 일부를 덮을 수 있다. 이와 같은, 혼색방지부재(370)에 의하여 이웃하는 투광영역 간의 혼색을 더욱 방지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혼색방지부재(370)는 제2 방향(D2)을 따라 연장된 스트라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혼색방지부재(370)는 유기 차광 물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유기 차광 물질의 코팅 및 노광 공정 등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색변환 기판(30)과 표시 기판(10) 사이의 공간에는 충진제(70)가 위치할 수 있음은 상술한 바와 같다. 몇몇 실시예에서 충진제(70)는 도 6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캡핑층(393)과 박막 봉지층(170) 사이 및 혼색방지부재(370)와 박막 봉지층(17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도 16는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발광영역에서 출력되는 광의 진행 방향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제1 발광영역(LA1) 배치된 제1 유기발광소자(ED1)에서는, 제1 투광영역(TA1) 내에 수직한 방향으로 진행하는 제1 방출광(L11)과, 제1 투광영역(TA1) 내에 일정한 각도를 가지며 진행하는 제2 방출광(L12) 및 제1 투광영역(TA1) 외에 일정한 각도를 가지며 인접한 제2 및 제3 투광영역(TA2, TA3)으로 진행하는 제3 방출광(L13)이 출력될 수 있다.
제1 방출광(L11)은 제1 파장변환 패턴(330) 및 제1 컬러필터(231)를 통과하며 적색 광인 제2 색의 광(L2)으로 변환되어 제1 투광영역(TA1)으로 출력된다.
일정한 각도를 가지며 진행하는 제2 방출광(L12)은 제1 투광영역(TA1)의 면적보다 작은 면적을 갖는 제1 발광영역(LA1)에 의하여 제1 파장변환 패턴(330)으로 입사 가능한 광이 되고, 제1 파장변환 패턴(330) 및 제1 컬러필터(231)를 통과하며 적색 광인 제2 색의 광(L2)으로 변환되어 제1 투광영역(TA1)으로 출력된다. 이에 따라, 소비전력 대비 광 효율이 향상된다.
인접한 제2 및 제3 투광영역(TA2, TA3)으로 진행하는 제3 방출광(L13)은 종래 혼색을 유발하는 요인이었으나, 제1 투광영역(TA1)의 면적보다 작은 제1 발광영역(LA1)의 면적에 의하여 혼색방지부재(370)에 의하여 차단이 가능한 광이 되어, 혼색방지부재(370)에 의하여 흡수된다. 이에 따라, 인접 투광영역 간에 혼색이 방지되어 색 재현성이 향상된다.
제2 발광영역(LA2) 배치된 제2 유기발광소자(ED2)에서는, 제2 투광영역(TA2) 내에 수직한 방향으로 진행하는 제2 방출광(L21)과, 제2 투광영역(TA2) 내에 일정한 각도를 가지며 진행하는 제2 방출광(L21) 및 제2 투광영역(TA2) 외에 일정한 각도를 가지며 인접한 제2 및 제3 투광영역(TA1, TA3)으로 진행하는 제3 방출광(L21)이 출력될 수 있다.
제1 방출광(L21)은 제2 파장변환 패턴(340) 및 제2 컬러필터(233)를 통과하며 녹색 광인 제3 색의 광(L3)으로 변환되어 제2 투광영역(TA2)으로 출력된다.
일정한 각도를 가지며 진행하는 제2 방출광(L22)은 제2 투광영역(TA2)의 면적보다 작은 면적을 갖는 제2 발광영역(LA2)에 의하여 제2 파장변환 패턴(340)으로 입사 가능한 광이 되고, 제2 파장변환 패턴(340) 및 제2 컬러필터(233)를 통과하며 녹색 광인 제3 색의 광(L3)으로 변환되어 제2 투광영역(TA2)으로 출력된다. 이에 따라, 소비전력 대비 광 효율이 향상된다.
인접한 제1 및 제3 투광영역(TA1, TA3)으로 진행하는 제3 방출광(L23)은 종래 혼색을 유발하는 요인이었으나, 제2 투광영역(TA2)의 면적보다 작은 제2 발광영역(LA2)의 면적에 의하여 혼색방지부재(370)에 의하여 차단이 가능한 광이 되어, 혼색방지부재(370)에 의하여 흡수된다. 이에 따라, 인접 투광영역 간에 혼색이 방지되어 색 재현성이 향상된다.
제3 발광영역(LA3) 배치된 제3 유기발광소자(ED3)에서는, 제3 투광영역(TA3) 내에 수직한 방향으로 진행하는 제1 방출광(L31)과, 제3 투광영역(TA3) 내에 일정한 각도를 가지며 진행하는 제2 방출광(L31) 및 제3 투광영역(TA3) 외에 일정한 각도를 가지며 인접한 제1 및 제2 투광영역(TA1, TA2)으로 진행하는 제3 방출광(L31)이 출력될 수 있다.
제1 방출광(L31)은 광투과 패턴(350) 및 제3 컬러필터(235)를 통과하며 청색 광인 제1 색의 광(L1)이 제2 투광영역(TA2)으로 출력된다.
일정한 각도를 가지며 진행하는 제2 방출광(L32)은 제3 투광영역(TA3)의 면적보다 작은 면적을 갖는 제3 발광영역(LA3)에 의하여 광투과 패턴(350)으로 입사 가능한 광이 되고, 광투과 패턴(350) 및 제3 컬러필터(235)를 통과하며 청색 광인 제1 색의 광(L1)이 제3 투광영역(TA3)으로 출력된다. 이에 따라, 소비전력 대비 광 효율이 향상된다.
인접한 제1 및 제2 투광영역(TA1, TA2)으로 진행하는 제3 방출광(L33)은 종래 혼색을 유발하는 요인이었으나, 제3 투광영역(TA3)의 면적보다 작은 제3 발광영역(LA3)의 면적에 의하여 혼색방지부재(370)에 의하여 차단이 가능한 광이 되어, 혼색방지부재(370)에 의하여 흡수된다. 이에 따라, 인접 투광영역 간에 혼색이 방지되어 색 재현성이 향상된다.
도 17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의 실시예는 제3 발광영역(LA3)의 면적이 제3 투광영역(TA3)의 면적과 동일하다는 점에서 도 6의 실시예와 차이점이 있다. 도 6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고 차이점 위주로 설명한다.
도 17을 참조하면, 표시 기판(10_1)은 제1 발광영역(LA1)과 제2 발광영역(LA2) 및 제3 발광영역(LA3_1)을 포함하며, 제1 발광영역(LA1)의 폭 또는 면적보다 제2 발광영역(LA2)의 폭 또는 면적은 작게 이루어지며, 제2 발광영역(LA2)의 폭 또는 면적보다 제3 발광영역(LA3_1)의 폭 또는 면적은 작게 이루어진다.
색변환 기판(30)은 제1 투광영역(TA1)과 제2 투광영역(TA2) 및 제3 투광영역(TA3)을 포함하며, 제1 투광영역(TA1)의 폭 또는 면적보다 제2 투광영역(TA2)의 폭 또는 면적은 작게 이루어지며, 제2 투광영역(TA2)의 폭 또는 면적보다 제3 투광영역(TA3)의 폭 또는 면적은 작게 이루어진다.
표시 기판(10_1)의 제3 발광영역(LA3_1)과 제3 투광영역(TA3)의 폭 또는 면적은 동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발광영역(LA1)의 폭 또는 면적은 제1 투광영역(TA1)의 폭 또는 면적보다 작게 이루어지고, 제2 발광영역(LA2)의 폭 또는 면적은 제2 투광영역(TA2)의 폭 또는 면적보다 작게 이루어지나, 제3 발광영역(LA3_1)의 폭 또는 면적은 제3 투광영역(TA3)의 폭 또는 면적과 동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도 6의 실시예보다 제3 유기발광소자(ED3_1)에 포함된 제3 애노드 전극(AE3_1)의 폭 또는 면적이 증가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하여 색 재현성 및 광 효율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폭 또는 면적이 가장 작은 제3 발광영역(LA3)의 열화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8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색변환 기판에서, 컬러패턴의 개략적인 배치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19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색변환 기판에서, 차광부재의 개략적인 배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20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색변환 기판에서, 제1 컬러필터 및 제2 컬러필터의 개략적인 배치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21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색변환 기판에서, 제1 파장변환 패턴, 제2 파장변환 패턴 및 광투과 패턴의 개략적인 배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22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색변환 기판에서, 혼색방지부재의 개략적인 배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8 내지 도 22의 실시예는 제2 컬러필터, 제3 컬러필터, 파장변환 패턴 및 광 투과 패턴이 아일랜드 형태로 배치되는 점에서 도 11 내지 도 15의 실시예와 차이점이 있다. 도 11 내지 도 15의 실시예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고, 차이점 위주로 설명한다. 또한, 도 23은 도 18 내지 도 22의 Q1-Q1'를 따라 절단한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24는 도 18 내지 도 22의 Q2-Q2'를 따라 절단한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며, 도 25는 도 18 내지 도 22의 Q3-Q3'를 따라 절단한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26는 도 18 내지 도 22의 Q4-Q4'를 따라 절단한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8 내지 도 22의 평면도 및 도 23 내지 도 26의 단면도를 함께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8의 색변환 기판(30_1)에 제3 컬러필터(235) 및 컬러패턴(210)의 배치와, 도 19의 차광부재(220)의 배치는 도 11 및 도 12와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23 내지 도 26 및 도 20을 함께 참조하면, 표시 기판(10)을 향하는 제2 베이스부(310)의 일면 상에는 제1 컬러필터(231_1) 및 제2 컬러필터(233_1)가 위치할 수 있다.
제1 컬러필터(231_1) 및 제2 컬러필터(233_1)는 제2 베이스부(310) 상에 아일랜드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컬러필터(231_1)는 제1 투광영역(TA1) 및 제4 투광영역(TA4)내에 각각 위치하고, 제2 컬러필터(233_1)는 제2 투광영역(TA2) 및 제5 투광영역(TA5) 내에 각각 위치한다. 제1 투광영역(TA1)의 제1 컬러필터(231_1)와 제2 투광영역(TA2)의 제2 컬러필터(233_1)는 제1 방향(D1)으로 제1 폭(KT1)만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 투광영역(TA1) 및 제2 투광영역(TA2)에 배치된 제1 컬러필터(231_1) 및 제2 컬러필터(233_1)는 제4 투광영역(TA4) 및 제5 투광영역(TA5)에 배치된 제1 컬러필터(231_1) 및 제2 컬러필터(233_1)와 제2 방향(D2)으로 제2 폭(KT2)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는 제1 투광영역(TA1) 및 제2 투광영역(TA2)에 배치된 제1 컬러필터(231_1) 및 제2 컬러필터(233_1)는 제1 차광영역(BA1)에서 제1 방향(D1)으로 중첩되고, 제4 차광영역(BA4)에서 제2 방향(D2)으로만 이격되어 배치될 수도 있다.
제1 컬러필터(231_1) 및 제2 컬러필터(233_1)의 제1 방향으로의 폭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컬러필터(231_1)의 제1 방향으로의 폭이 제2 컬러필터(233_1)의 제1 방향으로의 폭보다 클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몇몇 실시예에서는 제1 컬러필터(231_1) 및 제2 컬러필터(233_1) 각각의 제1 방향으로의 폭은 동일할 수도 있다. .
제1 컬러필터(231_1) 및 제2 컬러필터(233_1)는 각각이 서로 아일랜드 형으로 배치됨으로써, 제1 컬러필터(231_1) 및 제2 컬러필터(233_1) 사이의 제1 차광영역(BA1)에 배치된 제1 차광부재(220A)가 노출될 수 있으며, 제1 행(RD1)과 제2 행(RD2) 사이의 제4 차광영역(BA4)에 배치된 제4 차광부재(220D)가 노출될 수 있다,
도 23 내지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베이스부(310)의 일면 상에는 컬러패턴(210), 차광부재(220), 제1 컬러필터(231_1), 제2 컬러필터(233_1) 및 제3 컬러필터(235)를 커버하는 제1 캡핑층(391)이 위치할 수 있다. 제1 캡핑층(391)은 제1 컬러필터(231_1), 제2 컬러필터(233_1) 및 제3 컬러필터(235)와 직접 접촉할 수 있다. 또한, 제1 캡핑층(391)은 제1 차광영역(BA1), 제2 차광영역(BA2), 제3 차광영역(BA3) 및 제4 차광영역(BA4)에 배치된 차광부재(220)와 직접 접촉할 수 있다. 또한, 제1 캡핑층(391)은 제1 컬러필터(231_1), 제2 컬러필터(233_1) 각각의 측면과도 접촉할 수 있다.
도 23 내지 도 26 및 도 21을 함께 참조하면, 제1 캡핑층(391) 상에는 제1 파장변환 패턴(330_1), 제2 파장변환 패턴(340_1) 및 광투과 패턴(350_1)이 아일랜드 형태로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파장변환 패턴(330_1)은 제1 투광영역(TA1) 및 제4 투광영역(TA4)내에 각각 위치하고, 제2 파장변환 패턴(340_1)은 제2 투광영역(TA2) 및 제5 투광영역(TA5) 내에 각각 위치하며, 광투과 패턴(350_1)은 제3 투광영역(TA3) 및 제6 투광영역(TA6) 내에 각각 위치할 수 있다.
제1 파장변환 패턴(330_1), 제2 파장변환 패턴(340_1) 및 광투과 패턴(350_1)은 서로 제1 방향(D1)으로 제1 폭(SDW)으로 이격 배치되고, 제2 방향(D2)으로 제2 폭(SDH)으로 이격 배치되어, 제1 차광영역(BA1), 제2 차광영역(BA2), 제3 차광영역(BA3) 및 제4 차광영역(BA4)에서 제1 캡핑층(391)이 노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컬러필터(231_1, 233_1, 235_1), 파장변환 패턴(330_1, 340_1) 및 광투과 패턴(350_1)을 아일랜드 형태로 배치함으로써, 제4 차광영역(BA4) 내의 컬러필터(231_1, 233_1, 235_1), 파장변환 패턴(330_1, 340_1) 및 광투과 패턴(350_1) 사이까지 충진제(70_1)가 배치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충진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고, 각 투광영역(TA1, TA2, TA3, TA4, TA5, TA6)을 명확히 구획하여 색 재현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3 내지 도 26을 참조하면, 제1 파장변환 패턴(330_1), 제2 파장변환 패턴(340_1) 및 광투과 패턴(350_1) 상에는 제2 캡핑층(393)이 위치할 수 있다. 제2 캡핑층(393)은 제1 파장변환 패턴(330_1), 제2 파장변환 패턴(340_1) 및 광투과 패턴(330_1)을 커버할 수 있다. 제2 캡핑층(393)은 제1 캡핑층(391)과 접촉할 수 있으며, 제1 파장변환 패턴(330_1), 제2 파장변환 패턴(340_1) 및 광투과 패턴(350_1)을 밀봉할 수 있다.
도 23 내지 도 26 및 도 22를 함께 참조하면, 제2 캡핑층(393) 상에는 혼색방지부재(370)가 위치할 수 있다. 도 22의 혼색방지부재(370)의 배치는 도 15와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27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7의 실시예는 제3 발광영역(LA3_1)의 면적이 제3 투광영역(TA3)의 면적과 동일하다는 점에서 도 23의 실시예와 차이점이 있다. 도 23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고 차이점 위주로 설명한다.
도 27을 참조하면, 표시 기판(10_1)의 제3 발광영역(LA3_1)과 색변환 기판(30_1)의 제3 투광영역(TA3)의 폭 또는 면적은 동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발광영역(LA1)의 폭 또는 면적은 제1 투광영역(TA1)의 폭 또는 면적보다 작게 이루어지고, 제2 발광영역(LA2)의 폭 또는 면적은 제2 투광영역(TA2)의 폭 또는 면적보다 작게 이루어지나, 제3 발광영역(LA3_1)의 폭 또는 면적은 제3 투광영역(TA3)의 폭 또는 면적과 동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도 6의 실시예보다 제3 유기발광소자(ED3_1)에 포함된 제3 애노드 전극(AE3_1)의 폭 또는 면적이 증가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하여 색 재현성 및 광 효율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폭 또는 면적이 가장 작은 제3 발광영역(LA3_1)의 열화를 방지할 수 있다.
도 28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색변환 기판에서, 컬러패턴의 개략적인 배치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29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색변환 기판에서, 차광부재의 개략적인 배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30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색변환 기판에서, 제1 컬러필터 및 제2 컬러필터의 개략적인 배치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31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색변환 기판에서, 격벽의 개략적인 배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32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색변환 기판에서, 제1 파장변환 패턴, 제2 파장변환 패턴 및 광투과 패턴의 개략적인 배치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33은 도 28 내지 도 32의 J-J'를 따라 절단한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28 내지 도 33의 실시예는 제1 및 제2 파장변환 패턴(330_2, 340_2) 및 광 투과 패턴(350_2) 사이에 격벽(PW)이 배치되는 점에서 도 6 및 도 11 내지 도 15의 실시예와 차이점이 있다. 도6 및 도 11 내지 도 15의 실시예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고, 차이점 위주로 설명한다.
도 28의 색변환 기판(30_2)에 제3 컬러필터(235) 및 컬러패턴(210)의 배치와, 도 29의 차광부재(220)의 배치 및 도 30의 제1 컬러필터(231) 및 제2 컬러필터(233)의 배치는 도 11, 도 12 및 도 13과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31 및 도 33을 함께 참조하면, 제1 캡핑층(391) 상에는 격벽(PW)이 위치할 수 있다. 격벽(PW)은 제1 파장변환 패턴(330_2), 제2 파장변환 패턴(340_2) 및 광 투과 패턴(350_2)을 구획함과 동시에 차광영역(BA) 내에 위치하여 광의 투과를 차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격벽(PW)은 제1 차광영역(BA1), 제2 차광영역(BA2) 및 제3 차광영역(BA3)에 각각 배치될 수 있으며, 제4 차광영역(BA4)을 가로지르는 스트라이프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격벽(PW)은 제1 차광영역(BA1)에 배치되는 제1 격벽(PWA)과, 제2 차광영역(BA2)에 배치되는 제2 격벽(PWB) 및 제3 차광영역(BA3)에 배치되는 제3 격벽(PWC)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는 제1 격벽(PWA)의 폭은 제1 차광영역(BA1)의 폭보다 작게 이루어지고, 제2 격벽(PWB)의 폭은 제2 차광영역(BA2)의 폭보다 작게 이루어지며, 제3 격벽(PWC)의 폭은 제3 차광영역(BA3)의 폭보다 작게 이루어질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는 제1 격벽(PWA) 및 제2 격벽(PWB)보다 제3 격벽(PWC)의 길이가 길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몇몇 실시예에서는 제1 격벽(PWA) 및 제2 격벽(PWB)보다 제3 격벽(PWC)의 끝단은 동일 평면상에 배치될 수 있다. 격벽(PW)은 제1 캡핑층, 제1, 제2 파장변환 패턴(330_2, 340_2) 및 광투과 패턴(350_2) 및 제2 캡핑층(393)과 직접 접촉할 수 있다.
도 32 및 도 33을 함께 참조하면, 격벽(PW) 사이에 제1, 제2 파장변환 패턴(330_2, 340_2) 및 광투과 패턴(350_2)이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격벽(PWC)과 제1 격벽(PWA) 사이에 제1 파장변환 패턴(330_2)이 위치하고, 제1 격벽(PWA)과 제2 격벽(PWB) 사이에 제2 파장변환 패턴(340_2)이 위치하며, 제2 격벽(PWB)과 제3 격벽(PWC) 사이에 광투과 패턴(350_2)이 위치할 수 있다.
제1 파장변환 패턴(330_2), 제2 파장변환 패턴(330_2, 340_2) 및 광투과 패턴(350_2)은 제1 캡핑층(391) 및 격벽(PW)과 각각 접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격벽(PW)을 배치하고 격벽(PW) 사이에 잉크젯 공정을 통하여 제1 파장변환 패턴(330_2), 제2 파장변환 패턴(330_2, 340_2) 및 광투과 패턴(350_2)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공정의 절차를 간소화할 수 있다.
제1 파장변환 패턴(330_2), 제2 파장변환 패턴(340_2), 광투과 패턴(350_2) 및 격벽(PW) 상에는 제2 캡핑층(393)이 위치할 수 있다. 제2 캡핑층(393)은 제1 파장변환 패턴(330_2), 제2 파장변환 패턴(340_2), 광투과 패턴(330_2) 및 격벽(PW)을 커버할 수 있다. 제2 캡핑층(393)을 통하여 제 제1 파장변환 패턴(330_2), 제2 파장변환 패턴(340_2), 광투과 패턴(350_2) 및 격벽(PW)을 밀봉할 수 있다.
도 34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색변환 기판의 개략적인 평면도이고, 도 35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색변환 기판에서, 제3 컬러필터 및 컬러패턴의 개략적인 배치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36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색변환 기판에서, 차광부재의 개략적인 배치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37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색변환 기판에서, 제1 컬러필터 및 제2 컬러필터의 개략적인 배치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38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색변환 기판에서, 제1 파장변환 패턴, 제2 파장변환 패턴, 광투과 패턴 및 혼색방지부재의 개략적인 배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4 내지 도 38의 실시예는 투광영역과 차광영역의 형상이 다르다는 점에서 도 4 및 도 11 내지 도 15의 실시예와 차이점이 있다. 도6 및 도 11 내지 도 15의 실시예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고, 차이점 위주로 설명한다.
도 34를 참조하면, 표시 영역(DA)에서 색변환 기판(30_1)에는 복수의 투광영역(TA1_1, TA2_1, TA3_1, TA4_1, TA5_1, TA6_1) 및 차광영역(BA1_1, BA2_1, BA3_1, BA4_1, BA5, BA6)이 정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방향(D1)을 따라 제1 행(RD1)에는 제1 투광영역(TA1_1), 제2 투광영역(TA2_1) 및 제3 투광영역(TA3_1)이 위치할 수 있다. 제2 방향(D2)을 따라 제1 행(RD1)과 인접한 제2 행(RD2)에는, 제1 방향(D1)을 따라 제4 투광영역(TA4_1), 제5 투광영역(TA5_1) 및 제6 투광영역(TA6_1)이 순차적으로 반복 배치될 수 있다.
제1 투광영역(TA1_1)은 적어도 한 코너에 제1 챔퍼(CF1)를 포함할 수 잇다.. 구체적으로 제2 방향(D2)으로 나란하게 배치된 제1 투광영역(TA1_1)의 제1 변(T1A)과 제1 투광영역(TA1_1)의 제2 변(T1B) 및 제1 방향(D1)으로 나란하게 배치된 제1 투광영역(TA1_1)의 제3 변(T1C)과 제1 투광영역(TA1_1)의 제4 변(T1D) 및 제1 투광영역(TA1_1)의 제1 변(T1A)과 제1 투광영역(TA1_1)의 제3 변(T1C)의 끝단을 대각선으로 연결하는 제1 투광영역(TA1_1)의 제5 변(T1e)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투광영역(TA1_1)의 제5 변(T1e)에 의하여 제1 투광영역(TA1_1)은 제1 챔퍼(CF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투광영역(TA1_1)의 제1 변(T1A)은 제1 투광영역(TA1_1)의 제2 변(T1B)보다 길이가 짧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1 투광영역(TA1_1)의 제3 변(T1C)은 제1 투광영역(TA1_1)의 제4 변(T1D)보다 길이가 짧게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투광영역(TA2_1)은 제2 방향(D2)으로 나란하게 배치된 제2 투광영역(TA2_1)의 제1 변(T2A)과 제2 투광영역(TA2_1)의 제2 변(T6B) 및 제1 방향(D1)으로 나란하게 배치된 제2 투광영역(TA2_1)의 제3 변(T2C)과 제2 투광영역(TA2_1)의 제4 변(T2D)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투광영역(TA3_1)은 적어도 한 코너에 제2 챔퍼(CF2)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방향(D2)으로 나란하게 배치된 제3 투광영역(TA3_1)의 제1 변(T3A)과 제3 투광영역(TA3_1)의 제2 변(T3B) 및 제1 방향(D1)으로 나란하게 배치된 제3 투광영역(TA3_1)의 제3 변(T3C)과 제3 투광영역(TA3_1)의 제4 변(T3D) 및 제3 투광영역(TA3_1)의 제1 변(T3A)과 제3 투광영역(TA3_1)의 제4 변(T3D)의 끝단을 대각선으로 연결하는 제3 투광영역(TA3_1)의 제5 변(T3e)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투광영역(TA1_1)의 제5 변(T3e)에 의하여 제3 투광영역(TA3_1)은 제2 챔퍼(CF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투광영역(TA1_1)의 제1 챔퍼(CF1)와 제3 투광영역(TA3_1)의 제2 챔퍼(CF2)는 서로 상반된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몇몇 실시예에서는 제1 투광영역(TA1_1)의 제1 챔퍼(CF1)와 제3 투광영역(TA3_1)의 제2 챔퍼(CF2)가 동일한 방향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제1 투광영역(TA1_1)은 제1 방향(D1)으로 제1 폭(WT1_1)을 가지고, 제2 투광영역(TA2_1)은 제1 방향(D1)으로 제1 폭(WT1_1)보다 좁은 제2 폭(WT2_1)을 가지며, 제3 투광영역(TA3_1)은 제1 방향(D1)으로 제2 폭(WT2_1)보다 좁은 제3 폭(WT3_1)을 가질 수 있다.
제1 투광영역(TA1_1)은 제2 방향(D1)으로 제1 길이(HT1_1)을 가지고, 제2 투광영역(TA2_1)은 제2 방향(D2)으로 제1 길이(HT1_1)보다 짧은 제2 길이(HT2_1)을 가지며, 제3 투광영역(TA3_1)은 제2 방향(D2)으로 제2 길이(HT2_1)와 동일한 제3 길이(HT3_1)를 가질 수 있다.
제1 투광영역(TA1_1)의 제1 변(T1A), 제2 투광영역(TA2_1)의 제1 변(T2A) 및 제3 투광영역(TA3_1)의 제1 변(T3A)은 제1 방향으로 정렬될 수 있고, 제2 투광영역(TA2_1)의 제2 변(T2B)과 제3 투광영역(TA3_1)의 제2 변(T3B)은 제1 방향으로 정렬되되, 제1 투광영역(TA1_1)의 제2 변(T1B)은 제2 투광영역(TA2_1)의 제2 변(T2B) 및 제3 투광영역(TA3_1)의 제2 변(T3B)보다 제2 행(RD2)에 인접하여 위치할 수 있다.
제2 방향(D2)을 따라 제1 투광영역(TA1_1), 제2 투광영역(TA2_1) 및 제3 투광영역(TA3_1)과 인접한 제4 투광영역(TA4_1), 제5 투광영역(TA5_1) 및 제6 투광영역(TA6_1)은 제2 행(RD2)에 위치하는 점에서만 상이하고, 제1 투광영역(TA1_1), 제2 투광영역(TA2_1) 및 제3 투광영역(TA3_1)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조를 가지는 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표시 영역(DA) 내에서 색변환 기판(30_1)의 투광영역(TA1_1, TA2_1, TA3_1, TA4_1, TA5_1, TA6_1) 주변에는 차광영역(BA)이 위치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차광영역(BA)을 영역별로 구분하면, 제1 차광영역(BA1_1), 제2 차광영역(BA2_1), 제3 차광영역(BA3_1), 제4 차광영역(BA4_1), 제5 차광영역(BA5) 및 제 6 차광영역(BA6)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차광영역(BA1_1)은 제1 방향(D1)을 따라 제1 투광영역(TA1_1)과 제2 투광영역(TA2_1) 사이에 위치하고, 제2 차광영역(BA2_1)은 제1 방향(D1)을 따라 제2 투광영역(TA2_1)과 제3 투광영역(TA3_1) 사이에 위치하고, 제3 차광영역(BA3_1)은 제1 방향(D1)을 따라 제3 투광영역(TA3_1)과 제1 투광영역(TA1_1) 사이에 위치하고, 제4 차광영역(BA4_1)은 제2 방향(D2)을 따라 제1 투광영역(TA1_1)과 제4 투광영역(TA2_1) 사이에 위치하고, 제5 차광영역(BA5)은 제2 방향(D2)을 따라 제2 투광영역(TA2_1)과 제5 투광영역(TA5) 사이에 위치하고, 제6 차광영역(BA6)은 제2 방향(D2)을 따라 제3 투광영역(TA3_1)과 제6 투광영역(TA6_1)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는 제1 차광영역(BA1_1)의 제1 방향(D1)으로의 폭(제1 투광영역(TA1_1)의 제4 변(T1D)과 제2 투광영역(TA2_1)의 제3 변(T2C) 사이의 거리)보다 제2 차광영역(BA2_1)의 제1 방향(D1)으로의 폭(제2 투광영역(TA2_1)의 제4 변(T2D)과 제3 투광영역(TA3_1)의 제3 변(T3C) 사이의 거리)이 좁고, 제2 차광영역(BA2_1)의 제1 방향(D1)으로의 폭보다 제3 차광영역(BA3_1)의 제1 방향(D1)으로의 폭(제3 투광영역(TA3_1)의 제4 변(T3D)과 제1 투광영역(TA1_1)의 제3 변(T1C) 사이의 거리)이 좁을 수 있다.
또한, 몇몇 실시예에서는 제4 차광영역(BA4_1)의 제2 방향(D2)으로의 폭(제1 투광영역(TA1_1)의 제2 변(T1B)과 제4 투광영역(TA4_1)의 제1 변(T4A) 사이의 거리)보다 제5 차광영역(BA5_1)의 제2 방향(D2)으로의 폭(제2 투광영역(TA2_1)의 제2 변(T6B)과 제5 투광영역(TA5_1)의 제3 변(T5A) 사이의 거리)이 넓고, 제6 차광영역(BA6)의 제2 방향(D2)으로의 폭(제3 투광영역(TA3_1)의 제2 변(T1B)과 제6 투광영역(TA6_1)의 제1 변(T6A) 사이의 거리)은 제5 차광영역(BA5)의 제2 방향(D2)으로의 폭과 동일할 수 있다.
도 35를 참조하면, 색변환 기판(30_1)에는 제3 컬러필터(235_2) 및 컬러패턴(210_1)이 위치할 수 있다.
제3 컬러필터(235_2)는 제3 투광영역(TA3_1) 및 제6 투광영역(TA6_1) 내에 위치할 수 있으며, 컬러패턴(210_1)은 제1 차광영역(BA1_1) 내에 위치되는 제1 컬러패턴(210a), 제2 차광영역(BA2_1) 내에 위치되는 제2 컬러패턴(210b), 제3 차광영역(BA3_1) 내에 위치되는 제3 컬러패턴(210c), 제4 차광영역(BA4_1) 내에 위치되는 제4 컬러패턴(210d), 제5 차광영역(BA5) 내에 위치되는 제5 컬러패턴(210e) 및 제6 차광영역(BA6) 내에 위치되는 제6 컬러패턴(210f)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내지 제3 컬러패턴(210a, 210b, 210c) 각각은 제4 내지 제6 컬러패턴(210d, 210e, 210f)과 연결되어 제1 내지 제6 투광영역(TA1_1, TA2_1, TA3_1, TA4_1, TA5_1, TA6_1)을 둘러싸는 격자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는 제1 방향(D1)으로 제2 컬러패턴(210b)의 폭은 제1 컬러패턴(210a)의 폭보다 좁고, 제1 방향(D1)으로 제3 컬러패턴(210c)의 폭은 제2 컬러패턴(210b)의 폭보다 좁을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는 제2 방향(D2)으로 제4 컬러패턴(210d)의 폭은 제5 컬러패턴(210e)의 폭보다 좁고, 제2 방향(D2)으로 제5 컬러패턴(210e)의 폭은 제6 컬러패턴(210f)의 폭과 동일할 수 있다.
도 36을 참조하면, 색변환 기판(30_1)에는 차광부재(220_1)가 위치할 수 있다.
차광부재(220_1)는, 제1 차광영역(BA1_1) 내에 위치하되 제1 방향(D1)으로 제1 컬러패턴(210a)보다 좁은 폭을 갖는 제1 차광부재(220a), 제2 차광영역(BA2_1) 내에 위치하되 제1 방향(D1)으로 제2 컬러패턴(210b)보다 좁을 폭을 갖는 제2 차광부재(220b), 제3 차광영역(BA3_1) 내에 위치하되 제1 방향(D1)으로 제3 컬러패턴(210c)보다 좁은 폭을 갖는 제3 차광부재(220c), 제4 차광영역(BA4_1) 내에 위치하되 제2 방향(D2)으로 제4 컬러패턴(210d)보다 좁은 폭을 갖는 제4 차광부재(220d), 제5 차광영역(BA5) 내에 위치하되 제5 컬러패턴(210e)보다 좁은 폭을 갖는 제5 차광부재(220e) 및 제6 차광영역(BA6) 내에 위치하되 제6 컬러패턴(210f)과 동일한 폭을 갖는 제6 차광부재(220f)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내지 제3 차광부재(220a, 220b, 220c) 각각은 제4 내지 제6 차광부재(220d, 220e, 220f)과 연결되어 제1 내지 제6 투광영역(TA1_1, TA2_1, TA3_1, TA4_1, TA5_1, TA6_1)을 둘러싸는 격자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도 37을 참조하면, 색변환 기판(30_1)에는 제1 컬러필터(231_2) 및 제2 컬러필터(233_2)가 위치할 수 있다.
제1 컬러필터(231_2)는 제1 투광영역(TA1_1) 및 제4 투광영역(TA4_1)내에 위치할 수 있으며, 제2 컬러필터(233_2)는 제2 투광영역(TA2_1) 및 제5 투광영역(TA5_1) 내에 위치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컬러필터(231_2) 및 제2 컬러필터(233_2)는 각각 제2 방향(D2)을 따라 연장된 스트라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1 행(RD1)과 제2 행(RD2) 사이의 제4 차광영역(BA4_1) 및 제5 차광영역(BA5_1)를 가로지를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는 제1 차광영역(BA1_1)에서는 제1 컬러필터(231_2)의 일측과 제2 컬러필터(233_2) 타측이 중첩되는 중첩 영역(OR)이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컬러필터(231_2)의 폭(231P)은 제2 컬러필터(233_2)의 폭(233P)보다 넓을 수 있다
도 38을 참조하면, 색변환 기판(30_1)에는 제1 투광영역(TA1_1), 제4 투광영역(TA4_1) 및 제4 차광영역(BA4_1)을 가로지르는 스트라이프 형상의 제1 파장변환 패턴(330_2)과, 제2 투광영역(TA2_1), 제5 투광영역(TA5_1) 및 제5 차광영역(BA5)을 가로지르는 스트라이프 형상의 제2 파장변환 패턴(340_2)과, 제3 투광영역(TA3_1), 제6 투광영역(TA6_1) 및 제6 차광영역(BA6)을 가로지르는 스트라이프 형상의 광투과 패턴(350_2)이 위치할 수 있다.
제1 방향(D1)으로 제1 파장변환 패턴(330_2)의 폭은 제2 파장변환 패턴(340_2)의 폭보다 넓고, 제1 방향(D1)으로 제2 파장변환 패턴(340_2)의 폭은 광투과 패턴(350_2)의 폭보다 넓을 수 있다.
혼색방지부재(370_1)는 제1 파장변환 패턴(330_2)과 제2 파장변환 패턴(340_2) 사이에 배치되는 제1 혼색방지부재(370a), 제2 파장변환 패턴(340_2)과 광투과 패턴(350_2) 사이에 배치되는 제2 혼색방지부재(370b) 및 광투과 패턴(350_2)과 제1 파장변환 패턴(330_2) 사이에 배치되는 제3 혼색방지부재(370c)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방향으로 제1 혼색방지부재(370a)의 폭은 제2 혼색방지부재(370b)보다 넓고, 제1 방향으로 제2 혼색방지부재(370b)의 폭은 제3 혼색방지부재(370c)보다 넓을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는, 인접 투광영역 사이의 혼색을 방지할 수 있으며, 표시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 표시 장치 10: 표시 기판
30: 색변환 기판 110: 제1 베이스부
130: 절연막 150: 화소 정의막
170: 박막 봉지층 210: 컬러패턴
220: 차광부재 231: 제1 컬러필터
233: 제2 컬러필터 235: 제3 컬러필터
310: 제2 베이스부 330: 제1 파장변환 패턴
340: 제2 파장변환 패턴 350: 광투과 패턴
370: 혼색방지부재 ED1: 제1 유기발광소자
ED2: 제2 유기발광소자 ED3: 제3 유기발광소자
LA1: 제1 발광영역 LA2: 제2 발광영역
LA3: 제3 발광영역 NLA: 비발광영역
TA1: 제1 투광영역 TA2: 제2 투광영역
TA3: 제3 투광영역 BA1: 제1 차광영역
BA2: 제2 차광영역 BA3: 제3 차광영역

Claims (22)

  1. 복수의 발광영역이 정의된 표시 기판; 및
    상기 복수의 발광영역에 대응하는 복수의 투광영역과, 상기 복수의 투광영역 사이에 위치하는 차광영역이 정의되며, 상기 차광영역에 배치된 컬러패턴과, 상기 컬러패턴 상에 위치하는 차광부재를 포함하는 색변환 기판
    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발광영역 중 적어도 하나는 두께 방향으로 중첩하는 상기 투광영역의 면적보다 작게 이루어지며, 상기 컬러패턴은 청색 색제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발광영역은, 제1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위치하는 제1 발광영역, 제2 발광영역 및 제3 발광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투광영역은, 상기 제1 발광영역에 대응하는 제1 투광영역과, 상기 제2 발광영역에 대응하는 제2 투광영역 및 상기 제3 발광영역에 대응하는 제3 투광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발광영역의 면적은 상기 제1 투광영역의 면적보다 작고, 상기 제2 발광영역의 면적은 상기 제2 투광영역의 면적보다 작은 표시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발광영역의 면적은 상기 제3 투광영역의 면적보다 작은 표시 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발광영역의 면적은 상기 제3 투광영역의 면적과 동일한 표시 장치.
  5.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차광영역은, 상기 제1 투광영역과 상기 제2 투광영역 사이에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을 따라 위치하는 제1 차광영역과, 상기 제2 투광영역과 상기 제3 투광영역 사이에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위치하는 제2 차광영역 및 상기 제3 투광영역과 상기 제1 투광영역 사이에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위치하는 제3 차광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색변환 기판은 베이스부를 포함하며,
    상기 컬러패턴은, 상기 베이스 상에 위치하되, 상기 제1 차광영역 내에 위치하는 제1 컬러패턴과, 상기 제2 차광영역 내에 위치하는 제2 컬러패턴 및 상기 제3 차광영역 내에 위치하는 제3 컬러패턴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색변환 기판은 상기 베이스부 상에 위치하는 컬러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컬러필터는, 상기 제1 투광영역 내에 위치하는 제1 컬러필터와, 상기 제2 투광영역 내에 위치하는 제2 컬러필터 및 상기 제3 투광영역 내에 위치하는 제3 컬러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3 컬러필터는 상기 제1 내지 제3 컬러패턴과 동일한 색제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3 컬러패턴과 상기 제3 컬러필터는 일체화된 표시 장치.
  8.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향으로 상기 제1 발광영역의 폭은 상기 제1 방향으로 상기 제3 컬러패턴과 상기 제1 컬러패턴의 이격거리보다 좁고,
    상기 제1 방향으로 상기 제2 발광영역의 폭은 상기 제1 방향으로 상기 제1 컬러패턴과 상기 제2 컬러패턴의 이격거리보다 좁은 표시 장치.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향으로 상기 제3 발광영역의 폭은 상기 제1 방향으로 상기 제2 컬러패턴과 상기 제3 컬러패턴의 이격거리보다 좁은 표시 장치.
  10.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향으로 상기 제3 발광영역의 폭은 상기 제1 방향으로 상기 제2 컬러패턴과 상기 제3 컬러패턴의 이격거리와 동일한 표시 장치.
  11.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차광부재는 제1 내지 제3 컬러패턴 상에 각각 위치하는 제1 내지 제3 차광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내지 제3 차광부재의 폭은 상기 제1 내지 제3 컬러패턴의 폭보다 각각 좁게 배치되는 표시 장치.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색변환 기판은,
    상기 제1 컬러필터 상에 위치하고 제1 색의 광을 제2 색의 광으로 파장 변환하는 제1 파장변환 패턴;
    상기 제2 컬러필터 상에 위치하고 상기 제1 색의 광을 상기 제2 색과 다른 제3 색의 광으로 파장 변환하는 제2 파장변환 패턴 및;
    상기 제3 컬러필터 상에 위치하고 상기 제1 색의 광을 투과시키는 광투과 패턴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컬러필터는 상기 제2 색의 광을 투과시키고, 상기 제1 색의 광 및 상기 제2 색의 광을 차단하고,
    상기 제2 컬러필터는 상기 제3 색의 광을 투과시키고, 상기 제1 색의 광 및 상기 제2 색의 광을 차단하며,
    상기 제3 컬러필터는 상기 제1 색의 광을 투과시키고, 상기 제2 색의 광 및 상기 제3 색의 광을 차단하는 표시 장치.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색변환 기판은, 상기 제1 내지 제3 컬러필터와, 상기 차광부재 및 상기 제1 내지 제3 컬러패턴을 커버하는 제1 캡핑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캡핑층은 무기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파장변환 패턴, 상기 제2 파장변환 패턴 및 상기 광투과 패턴은 상기 제1 캡핑층 상에 위치하는 표시 장치.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캡핑층 상에 위치하고, 상기 제1 파장변환 패턴, 상기 제2 파장변환 패턴 및 상기 광투과 패턴을 커버하는 제2 캡핑층; 및
    상기 제2 캡핑층 상에 위치하고, 상기 광투과 패턴과 상기 제1 파장변환 패턴 사이 및 상기 제1 파장변환 패턴과 상기 제2 파장변환 패턴 사이에 위치하는 혼색방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16.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캡핑층 상에 위치하는 격벽을 더 포함하고,
    상기 격벽은, 상기 제1 차광부재에 대응하여 배치된 제1 격벽과, 상기 제2 차광부재에 대응하여 배치된 제2 격벽 및 상기 제3 차광부재에 대응하여 배치되는 제3 격벽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파장변환 패턴은 상기 제3 격벽과 상기 제2 격벽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2 파장변환 패턴은 상기 제1 격벽과 상기 제2 격벽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광투과 패턴은 상기 제2 격벽과 상기 제3 격벽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제1 파장변환 패턴, 상기 제2 파장변환 패턴, 상기 광투과 패턴, 상기 제1 격벽, 상기 제2 격벽 및 상기 제3 격벽을 커버하는 제2 캡핑층을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17. 복수의 발광영역을 정의하는 화소 정의막을 포함하는 표시 기판;
    상기 복수의 발광영역과 두께 방향으로 각각 중첩하는 복수의 투광영역을 정의하는 컬러패턴을 포함하는 색변환 기판; 및
    상기 표시 기판과 상기 색변환 기판 사이에 배치되는 충진제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발광영역은,
    제1 면적으로 이루어진 제1 발광영역, 상기 제1 면적보다 작은 제2 면적으로 이루어진 제2 발광영역 및 상기 제2 면적보다 작은 제3 면적으로 이루어진 제3 발광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투광영역은,
    상기 두께 방향으로 제1 발광영역과 중첩되되, 상기 제1 면적보다 큰 제4 면적으로 이루어진 제1 투광영역과,
    상기 두께 방향으로 제2 발광영역과 중첩되되, 상기 제2 면적보다 큰 제5 면적으로 이루어진 제2 투광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컬러패턴은 청색 색제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18.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두께 방향으로 제3 발광영역과 중첩되되, 상기 제3 면적보다 큰 제6 면적으로 이루어진 제3 투광영역을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19.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두께 방향으로 제3 발광영역과 중첩되되, 상기 제3 면적과 동일한 제6 면적으로 이루어진 제3 투광영역을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20.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기판은,
    제1 발광영역 내에 위치하는 제1 발광소자와, 상기 제2 발광영역 내에 위치하는 제2 발광소자와, 상기 제3 발광영역 내에 위치하는 제3 발광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색변환 기판은,
    상기 컬러패턴과 중첩하는 차광부재와, 상기 제1 발광소자와 중첩하는 적색 컬러필터와, 상기 제2 발광소자와 중첩하는 녹색 컬러필터와, 상기 제3 발광소자와 중첩하는 청색 컬러필터를 포함하며,
    상기 적색 컬러필터의 폭은 상기 제1 발광영역의 폭보다 크고, 상기 녹색 컬러필터의 폭은 상기 제2 발광영역의 폭보다 크며, 상기 청색 컬러필터의 폭은 상기 제3 발광영역의 폭보다 큰 표시 장치.
  21.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투광영역, 상기 제2 투광영역 및 상기 제3 투광영역은 제1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배치되며, 상기 제1 투광영역, 상기 제2 투광영역 및 상기 제3 투광영역 각각의 일 측변은 상기 제1 방향으로 정렬되고,
    상기 제2 투광영역 및 상기 제3 투광영역 각각의 타 측변은 상기 제1 방향으로 정렬되며,
    상기 제1 투광영역의 타 측변은 상기 제2 투광영역 및 상기 제3 투광영역 각각의 타 측변 보다 상기 제1 방향에 수직한 제2 방향으로 돌출된 표시 장치.
  22.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투광영역은 제1 챔퍼를 포함하고, 상기 제3 투광영역은 제2 챔퍼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챔퍼와 상기 제2 챔퍼는 서로 상반되는 형상인 표시 장치

KR1020180173023A 2018-12-28 2018-12-28 표시 장치 KR20200083813A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3023A KR20200083813A (ko) 2018-12-28 2018-12-28 표시 장치
EP19219688.9A EP3678186A1 (en) 2018-12-28 2019-12-24 Display device
CN202410180115.7A CN118042880A (zh) 2018-12-28 2019-12-26 显示设备
CN201911363728.XA CN111383546B (zh) 2018-12-28 2019-12-26 显示设备
US16/728,295 US11404492B2 (en) 2018-12-28 2019-12-27 Display device
US17/815,146 US20220359621A1 (en) 2018-12-28 2022-07-26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3023A KR20200083813A (ko) 2018-12-28 2018-12-28 표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3813A true KR20200083813A (ko) 2020-07-09

Family

ID=690242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73023A KR20200083813A (ko) 2018-12-28 2018-12-28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11404492B2 (ko)
EP (1) EP3678186A1 (ko)
KR (1) KR20200083813A (ko)
CN (2) CN11804288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53532A1 (ko) * 2022-02-08 2023-08-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3813A (ko) * 2018-12-28 2020-07-0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US11665929B2 (en) * 2019-06-13 2023-05-30 Intel Corporation Micro light-emitting diode displays with improved power efficiency
JP7474040B2 (ja) * 2019-10-07 2024-04-24 JDI Design and Development 合同会社 自発光型表示パネル
KR20210043776A (ko) 2019-10-11 2021-04-2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색 변환 기판,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220008995A (ko) * 2020-07-14 2022-01-2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패널
CN112133734B (zh) * 2020-09-29 2022-08-30 湖北长江新型显示产业创新中心有限公司 显示面板及显示装置
KR20220102689A (ko) * 2021-01-13 2022-07-2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220146727A (ko) * 2021-04-23 2022-11-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10298A (ja) * 2006-06-29 2008-01-17 Idemitsu Kosan Co Ltd 色変換基板及びカラー表示装置
WO2009014707A2 (en) 2007-07-23 2009-01-29 Qd Vision, Inc. Quantum dot light enhancement substrate and lighting device including same
US7611930B2 (en) * 2007-08-17 2009-11-03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Method of manufacturing display device
JP5293497B2 (ja) * 2009-08-18 2013-09-18 ソニー株式会社 表示装置
CN102654665B (zh) * 2011-12-14 2014-02-26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液晶透镜型调光装置及显示器
KR102211965B1 (ko) * 2013-10-18 2021-02-0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NL2011863C2 (en) 2013-11-29 2015-06-01 Linear Adjustment Dev Ltd Driving device for a support column.
KR102227480B1 (ko) * 2014-09-12 2021-03-1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160087047A (ko) * 2015-01-12 2016-07-2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JP2016134293A (ja) * 2015-01-20 2016-07-25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
CN105278153B (zh) 2015-11-13 2018-03-06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量子点彩膜基板的制备方法及量子点彩膜基板
KR20180093001A (ko) 2015-12-11 2018-08-20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표시 장치
KR102291493B1 (ko) * 2016-08-11 2021-08-2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컬러 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608507B1 (ko) 2016-08-30 2023-12-0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2656493B1 (ko) 2016-12-30 2024-04-1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KR20180083020A (ko) * 2017-01-11 2018-07-2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180085848A (ko) * 2017-01-19 2018-07-3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색변환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CN108878472B (zh) * 2017-05-12 2021-04-06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oled显示基板及其制作方法、显示装置
CN108054191B (zh) * 2018-01-11 2020-02-07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及显示装置
KR20200083813A (ko) * 2018-12-28 2020-07-0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325381B1 (ko) * 2019-04-15 2021-11-1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53532A1 (ko) * 2022-02-08 2023-08-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359621A1 (en) 2022-11-10
US20200212113A1 (en) 2020-07-02
CN111383546B (zh) 2024-03-08
CN118042880A (zh) 2024-05-14
EP3678186A1 (en) 2020-07-08
US11404492B2 (en) 2022-08-02
CN111383546A (zh) 2020-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83813A (ko) 표시 장치
KR102478491B1 (ko)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200083879A (ko) 색변환 기판 및 표시 장치
KR102378879B1 (ko) 플렉서블 컬러 필터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CN112397547A (zh) 显示装置
US20150060827A1 (en) Display device
WO2021120314A1 (zh) 一种显示面板
US11552139B2 (en) Display device
US10962836B2 (en) Display device
KR20200098749A (ko) 표시 장치
JP2007220395A (ja) 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装置及び電子機器
KR20220110409A (ko) 표시 장치
KR20200100903A (ko) 광 변환 기판, 표시 장치와 그의 제조 방법
CN112447814A (zh) 有机发光显示装置
CN115360314A (zh) 一种显示基板、显示装置和制作方法
CN111146263A (zh) 彩膜基板、显示面板和显示装置
KR20200071367A (ko) 유기 발광 다이오드 디스플레이 장치
KR20200135727A (ko) 색변환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US20230397469A1 (en) Color conversion substrate,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color conversion substrate
KR20240025120A (ko) 표시 장치
CN220553463U (zh) 颜色转换基板
US20240099103A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20240020359A (ko)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230152214A (ko) 색 변환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20240040138A (ko) 표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