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83370A - 침분비 저하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 - Google Patents

침분비 저하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83370A
KR20200083370A KR1020197014751A KR20197014751A KR20200083370A KR 20200083370 A KR20200083370 A KR 20200083370A KR 1020197014751 A KR1020197014751 A KR 1020197014751A KR 20197014751 A KR20197014751 A KR 20197014751A KR 20200083370 A KR20200083370 A KR 202000833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id
ala
pharmaceutical composition
irradiation
health functio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147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현
정배권
우승훈
Original Assignee
경상대학교병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상대학교병원 filed Critical 경상대학교병원
Publication of KR202000833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337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8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sulfur as a ring hetero atom
    • A61K31/38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sulfur as a ring hetero atom having two or more sulfur atoms in the same r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02Stomatological preparations, e.g. drugs for caries, aphtae, periodontit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Myc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알파리포산 또는 이의 염을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것으로, 침샘의 손상을 개선함으로써 침분비 저하증의 예방 또는 치료 효과를 달성할 수 있고, 보다 구체적으로, 방사선 조사로 인한 침샘의 손상의 개선에 탁월한 효과를 보인다.

Description

침분비 저하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
본 발명은 침분비 저하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것이다.
침은 침선에서 구강으로 분비되는 분비액으로 정상인의 경우 일일 평균 1 ~ 1.5 L의 침이 생성된다. 침의 약 99.5 %는 수분이며 나머지 0.5 %는 전해질, 점액소, 당단백질, 효소, 항균성 물질 등으로 구성된다. 침은 구강 점막을 윤활하게 하고 구강조직을 보호하며, 소화, 미각, 치아의 재무기물화(remineralization)등에 관여한다. 특히, 침에 존재하는 여러 단백질들은 항박테리아, 항바이러스와 항곰팡이 작용으로 구강미생물총(oral microbiota)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
침 분비기전은 단백질 분비와 액체와 전해질의 분비로 나눌 수 있다. 단백질 분비의 경우, 분비종말부세포의 바닥 쪽 세포막에 존재하는 β-아드레날린작동성 수용체(β-adrenergic receptor)에 교감신경전달물질인 노르에피네프린(norepinephrine)이 결합함으로써 헤테로트리머릭 G-프로테인(heterotrimeric G-protein)과 아데닐일 고리화효소(adenylyl cyclase)가 활성화된다. 이로 인해 고고리형 아데노신1인산(cyclic adenosine monophosphate)의 형성이 촉매되어 단백질 키나아제 A(protein kinase A)가 활성화되면, 세포막에 존재하는 분비과립들이 세포외유출 방법으로 단백질을 내강 쪽으로 분비하게 된다. 한편, 액체와 전해질의 분비는 muscarinic receptor에 부교감신경전달물질인 아세틸콜린(acetylcholine)의 결합에 의해 주로 일어난다. 무스카린 수용체(Muscarinic receptor)에 아고니스트(agonist)가 결합하게 되면 헤테로트리머릭 G-프로테인(heterotrimeric G-protein)과 포스포리파아제 C(phospholipase C)가 차례로 활성화되어 궁극적으로 이노시톨 트리포스페이트(inositol triphosphate, IP₃)의 형성이 촉진된다. IP₃는 세포 내에 저장되어 있는 Ca2+을 방출하고, 증가된 Ca2+의 농도에 의해 내강 쪽에 존재하는 Cl- 통로와 바닥 쪽에 존재하는 K+ 통로가 열려 Na+/K+/2Cl- 공동-운반체(co-transporter)가 활성화된다. 또한, 소낭에 존재하는 아쿠아포린 5(aquaporin 5, AQP5) 단백질이 내강 쪽 세포막으로 이동한다. 증가된 내강 쪽의 Cl-은 폐쇄연접을 통해 내강으로 이동하는 Na+을 따라 균형을 맞추고 그 결과 삼투압 기울기(osmotic gradient)가 발생한다. 삼투압 기울기는 AQP5와 폐쇄연접을 통해 물을 세포에서 내강 쪽으로 이동시킨다.
한편, 아쿠아포린(aquaporin)은 물 통로 단백질로서 각막, 신장, 간, 피부 등에서 발견된다. 아쿠아포린(aquaporin)은 AQP0~12까지 아과(subfamily)가 다양하게 존재하는데, AQP5는 침 분비에 주요 바이오마커(biomarker)이다. 특히, AQP5 넉아웃 마이스(AQP5 knockout mice)에서 침 분비량이 60 % 이상 감소했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된 바 있다.
구강건조증(Xerostomia)은 침선과 관련하여 가장 흔한 임상적 증상이다. 비자극시에 분비되는 침의 양이 분당 0.1 ㎖ 이하인 경우 구강건조증으로 진단된다. 구강건조증의 발병원인은 주로 항우울증, 항당뇨, 항알레르기 등의 약물에 의한 부작용이다. 자연 노화에 의한 구강건조증은 침선의 실질조직이 감소하고 지방조직으로 대체되거나 샘꽈리 용적이 감소하여 나타난다. 구강 내 침 양이 감소되면 충치, 산식증(acid erosion), 구강칸디다증(oral candidiasis), 미각장애(dysgeusia), 연하곤란(dysphagia), 구강 감각장애(oral dysesthesia), 구취(intraoral halitosis) 등이 동반된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대표적인 구강건조증 치료제는 부교감신경작용제(parasympathomimetic)인 필로카르핀(pilocarpine), 세비멜린(cevimeline), 베탄콜(bethanechol) 등이 있다. 하지만, 이러한 치료제들은 발한, 구토, 혈관확장, 설사, 기관지경련(bronchospasm)과 같은 부작용을 유발시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적은 부작용과 높은 안전성의 특징을 지닌 천연물을 기반으로 하여 구강건조증을 예방하고 치료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과제이다.
한편, 방사선 조사되는 경우 침샘이 손상되며, 이에 따라 침 분비량이 적어진다. 이에, 침샘의 손상을 개선함에 따라 침분비량을 회복할 수 있는 조성물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알파리포산(α-Lipoic acid)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포함하는 침분비 저하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알파리포산(α-Lipoic acid) 또는 이의 식품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포함하는 침분비 저하증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 알파리포산(α-Lipoic acid)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포함하는 침분비 저하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2. 위 1에 있어서, 상기 침분비 저하증은 침샘 손상으로부터 유발되는 것인, 약학적 조성물.
3. 위 2에 있어서, 상기 침샘 손상은 방사선 조사로 유발되는 것인, 약학적 조성물.
4. 알파리포산(α-Lipoic acid) 또는 이의 식품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포함하는 침분비 저하증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5. 위 4에 있어서, 상기 침분비 저하증은 침샘 손상으로부터 유발되는 것인, 건강기능식품.
6. 위 5에 있어서, 상기 침샘 손상은 방사선 조사로 유발되는 것인, 건강기능식품.
본 발명의 알파리포산을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은 침샘의 손상을 개선함으로써 침분비 저하증의 예방 또는 치료 효과를 달성할 수 있고,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침분비 저하증의 예방 또는 개선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도 1은 ALA가 방사선 조사에 의해 유발되는 SG 중량 손실 및 손상된 침 분비를 개선하는 것을 나타낸 도이다.
도 2 및 3은 ALA의 투여가 방사선 유발 AQP5 발현을 개선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4 내지 6은 ALA가 SG 내 부교감 신경을 보존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7 및 8은 ALA가 SG 내 신경영양 인자 수준을 유지한다는 것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9는 ALA가 방사선 조사 후에 SG 내 Hh 신호전달을 보전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10은 줄기 세포의 방사선 유발 손상을 개선시키는 것을 나타내는 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알파리포산(α-Lipoic acid)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포함하는 침분비 저하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알파리포산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로서, 화학식은 C8H14O2S2, 몰질량은 206.33g/mol, IUPAC 명명은 5-(1,2-dithiolan-3-yl)pentanoic acid이다:
[화학식 1]
Figure pct00001
.
상기 알파리포산은 천연으로부터 유래될 수도 있고, 공지의 유기 합성 방법을 이용하여 합성될 수도 있다.
상기 알파리포산은 비단백질 화합물, 펩티드, 식물 유래 조직이나 세포의 추출물, 미생물(예를 들어 세균류 또는 진균류, 그리고 특히 효모)의 배양으로 얻어진 생산물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은 유효성분을 단독으로 포함하거나, 하나 이상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포함하여 약학적 조성물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약학적으로 허용되는"이란 상기 조성물에 노출되는 세포나 인간에게 독성이 없는 특성을 나타내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용어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란, 본 발명에 따른 특정 화합물과 비교적 무독성인 산 또는 염기를 이용해서 조제되는 염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이 상대적으로 산성 관능기를 포함할 때, 순수 용액 또는 적합한 불활성 용매 중에서 충분한 양의 염기를 이러한 화합물의 중성 형태와 접촉시킴으로써 염기 부가염을 얻을 수 있다.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기 부가염은 나트륨, 칼륨, 칼슘, 암모늄, 유기 아민, 혹은 마그네슘의 염 또는 유사한 염이 포함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이 상대적으로 염기성 관능기를 포함할 때, 순수 용액 또는 적합한 불활성 용매 중에서 충분한 양의 산을 이러한 화합물의 중성 형태와 접촉시킴으로써 산 부가염을 얻을 수 있다.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산 부가염은 염산, 브롬화 수소산, 질산, 탄산, 탄산 수소 이온, 인산, 인산 1수소 이온, 인산 2수소 이온, 황산, 황산 수소 이온, 요오드화 수소산 또는 아인산 등의 무기산의 염, 그리고 아세트산, 프로피온산, 이소부티르산, 말레산, 말론산, 안식향산, 숙신산, 수베르산, 푸마르산, 락트산, 만델산, 프탈산, 벤젠술폰산, p-톨릴술폰산, 구연산, 주석산, 메탄술폰산 등의 유기산의 염을 들 수 있고, 나아가 아미노산(예를 들면 아르기닌 등)의 염 및 글루쿠론산 등의 유기산의 염도 포함된다.
본 발명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은 산성 또는 염기성 부분을 포함하는 모체 화합물로부터 통상적인 화학적 방법으로 합성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염은 수중 또는 유기 용매 중 또는 이 2종의 혼합물 중에서, 이들 화합물의 유리산 또는 염기의 형태를 화학량론적으로 적량인 염기 또는 산과 반응시켜서 조제된다. 일반적으로 에테르, 아세트산에틸,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또는 아세토니트릴 등의 비수성 매질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종래에 알려져 있는 침분비 저하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과 혼합하여 제공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침분비 저하증 예방 또는 치료 효과를 가지는 공지의 화합물과 병행하여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투여"란 적절한 방법으로 개체에게 소정의 물질을 도입하는 것을 의미하며, "개체"란 침분비 저하증을 보유할 수 있는 인간을 포함한 쥐, 생쥐, 가축 등의 모든 생물을 의미한다. 구체적인 예로, 인간을 포함한 포유동물일 수 있다.
필요에 따라,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공지의 침분비 저하증 예방 또는 치료 효과를 가진 조성물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침분비 저하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로는 자바강황(Curcumaxanthorrhiza) 추출물, 폴리글루타민산 및 아스팔라투스-리네아리스(Aspalathus linearis) 추출물, 노루궁뎅이버섯 추출물, 씀바귀 추출물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 경로는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구강, 정맥내, 근육내, 동맥내, 골수내, 경막내, 심장내, 경피, 피하, 복강내, 비강내, 장관, 국소, 설하 또는 직장이 포함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 투여할 수 있으며, 비경구 투여시 피부 외용 또는 복강내주사, 직장내주사, 피하주사, 정맥주사, 근육내 주사 또는 흉부내 주사 주입방식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한 효과를 위해서, 상기 조성물은 0.01~1000mg/kg/day로, 바람직하게는 0.1~500㎎/kg/day로 투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투여는 하루에 한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도 있다.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 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상기 추출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calciumcarbonate), 수크로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propyleneglycol), 폴리에틸렌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 (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 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침분비 저하증은 다양한 원인으로 유발되는 것일 수 있고, 예를 들어, 침샘 손상으로부터 유발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침샘 손상 역시 다양한 원인으로 유발되는 것일 수 있고, 예를 들어, 방사선 조사로 유발되는 것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 방사선 조사로 인한 부교감 신경의 손상으로 인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알파리포산은 상기 침샘의 손상을 회복함으로써 침 분비량을 증가시킬 수 있고, 구체적으로 침샘 손상으로 인한 침샘의 감소된 중량을 다시 증가시킬 수 있고, 구체적으로 감소된 침분비 관련 인자인 아쿠아포린5의 발현을 증가시킬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알파리포산은 손상된 부교감 신경을 회복시킬 수 있고, 구체적으로 부교감신경의 마커인 신경아교세포 유래 신경영양 인자 패밀리 수용체 2(glial cell-derived neurotrophic factor family receptor 2, GFR2)의 발현을 증가시킬 수 있고, 부교감 신경과 관련된 뇌 유발 신경영양 인자(brain-derived neurotrophic factor, BDNF) 및 뉴투린(neurturin)의 발현을 증가시킬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알파리포산은 침샘을 재생시킬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침샘의 재생과 관련된 헤지호그(Hedgehog, Hh) 신호전달과 관련된 소닉 헤지호그(Sonic Hedgehog, Shh) 및 그의 수용체 패치드(Patched, Ptch) 유전자의 발현을 증가시킬 수 있고, 침샘의 재생과 관련된 줄기세포 관련 마커인 Sca-1의 발현을 증가시킬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은 알파리포산(α-Lipoic acid) 또는 이의 식품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포함하는 침분비 저하증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것이다.
상기 침분비 저하증은 침샘 손상으로부터 유발되는 것일 수 있고, 상기 침샘 손상은 방사선 조사로 유발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알파리포산의 효능, 작용 메커니즘 등은 상기 전술한 범위 내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식품학적으로 허용되는"이란 상기 화합물에 노출되는 세포나 인간에게 독성이 없는 특성을 나타내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식품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란, 본 발명에 따른 특정 화합물과 비교적 무독성인 산 또는 염기를 이용해서 조제되는 염을 의미하며, "염"에 관한 전술한 범위 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담체, 희석제, 부형제 및 첨가제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여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분말제, 캡슐제 및 액제 제형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로 제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출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으로는, 각종 식품류, 분말, 과립, 정제, 캡슐, 시럽제,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제, 건강기능성 식품류 등이 있다.
상기 본 발명에 더 포함될 수 있는 첨가제로는, 천연 탄수화물, 향미제,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풍미제(합성 풍미제, 천연 풍미제 등), 착색제, 충진제(치즈, 초콜렛 등), 팩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산화 방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화제 및 과육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성분을 사용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상기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 밖에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천연 과일 쥬스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담체, 부형제, 희석제 및 첨가제의 구체적인 예로는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나, 락토즈, 덱스트로즈, 슈크로즈, 솔비톨, 만니톨, 에리스리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인산칼슘,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미세결정성 셀룰로즈, 폴리비닐피롤리돈, 셀룰로즈, 폴리비닐피롤리돈, 메틸셀룰로즈, 물, 설탕시럽, 메틸셀룰로즈, 메틸 하이드록시 벤조에이트, 프로필하이드록시 벤조에이트, 활석, 스테아트산 마그네슘 및 미네랄 오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을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실시예
1. 실험 방법
(1) 방사선 노출
우리는 하기와 같이 그룹에 Sprague-Dawley(SD) 쥐를 할당했다: 대조군, n=12 (Con); 알파리포산(Alpha-Lipoic Acid, ALA) 단독 투여, n=12 (ALA); 방사선 조사 단독, n=16 (RT); 및 방사선 조사 이전 ALA 투여, n=16 (ALA+RT). 우리는 ALA(100 mg/kg 복강 내; Bukwang Pharmaceutical Co., Seoul, Korea)를 방사선 조사 30분 또는 24시간 전에 투여하였고, 이전 연구에 기초한 투여량 및 빈도를 선택하였다. 목 부위는 광자 6 MV 선형 가속기 (21EX; Varian, Palo Alto, CA, USA)를 이용하여 2 Gy/min (총 투여량, 18 Gy)로 조사되었다. Lucite의 3 cm 블록은 적절한 축적을 제공하고, 심지어 방사선 분포를 균일하게 하기 위해 머리와 목 위에 위치하였다. 각 쥐는 방사선의 단일 투여량에 노출되었고, 방사선 조사 후 2, 6, 8 또는 12주에 희생되었다.
(2) 침샘(Salivary Gland, SG) 기능
SG는 용해 완충액에서 균질화시켰다. 결과 단백질(50 μg)은 sodium dodecyl sulfate-polyacrylamide gel에 로딩하고, 일렉트로블롯팅(electroblotting)되었다. 블롯들은 4℃에서 밤새 다클론성(polyclonal) 항(anti)-AQP5 (Abcam, Cambridge, MA, USA) 및 항-GFR2 (Abcam)에 대한 1차 항체로 조사되었다. 1차 항체는 2차 항체 및 증진된 화학발광 키트(enhanced chemiluminescence kit) (Amersham Pharmacia Biotech, Piscataway, NJ, USA)에 의해 시각화되었다.
(3) 면역 블롯팅(Immunoblotting)
탈파라핀화한 후, 절편을 다클론성 항-AQP5 (Abcam), 항-GFR2 (Abcam) 및 항- AchE (Elabscience, Houston, TX, USA)에 대한 1차 항체와 함께 배양하고, 이어서 바이오틴 결합된 2차 IgG (1:200으로 희석됨; Vector Laboratories, Burlingame, CA, USA), 아비딘-바이오틴-과산화효소 복합체(avidin-biotin-peroxidase complex) (ABC 엘리트 키트(Elite Kit); Vector Laboratories) 및 diaminobenzidine tetrahydrochloride과 배양되었다. 다음으로 우리는 광학현미경에 의해 절편을 시각화하였고, 디지털 사진을 찍고 분석하였다.
(4) 효소결합 면역흡착 측정(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ELISA)
침 재생성에 대한 ALA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신경영양 인자에 대한 ELISA가 수행되었다. 신선한 조직 및 혈청이 수집되었고, -80℃에서 보관하였다. BDNF(Quantikine ELISA kit; R&D Systems, Minneapolis, MN, USA) 및 뉴투린(neurturin) (ELISA kit; Elabscience)의 제조사의 지침에 따라 측정되었다.
(5) 정량 실시간 중합효소 연쇄 반응(Quantitative real-time polymerase chain reaction, qPCR)
Hh 신호전달에 포함되는 중요 단백질인 Shh 및 Ptch의 전사 수준이 qPCR에 의해 측정되었다. 침샘 조직은 TRIzol 시약(Reagent) (Invitrogen Life Technologies, Carlsbad, CA, USA)에 재현탁되었고, 모든 RNA가 추출되었다. 이어서 정제된 RNA는 iScript cDNA 합성 키트(synthesis kit) (Bio-Rad Laboratories, Hercules, CA, USA)를 이용하여 cDNA로 역전사되었다. 역전사 후, 정량적 cDNA는 Applied Biosystems qPCR 시스템 (Applied Biosystems Inc., Foster City, CA, USA) 상의 TaqMan 유전자 발현 분석 믹스(gene expression assay mix) (Shh; Rn00568129; Ptch: Rn01527980)를 이용하여 증폭되었다. 열순환 조건은 하기와 같다: 95℃ 에서 3분간 변성 후, 95℃에서 10초간 변형의 50 순환하고, 풀림 및 60℃에서 30초간 연장. Glyceraldehyde 3-phosphate dehydrogenase (GAPDH)는 RNA 정량의 표준화를 위한 내부적 조절로서 이용되었다. 각 샘플의 상대적 유전자 발현 수준이 2-△△Ct 방법을 이용해 정량화되었다.
(6)역전사 PCR(Reverse-transcription PCR)
모든 RNA가 TRIzol 방법(GIBCO BRL, Grand Island, NY, USA)을 이용하여 침샘 조직으로부터 추출되었다. RNA (5 μg)는 cDNA로 변환되었고, 결과 cDNA (2.0 μL)는 PCR 증폭시켰다. 프라이머 서열은 하기와 같았다: Sca-1에 대한 5′-AACCATATTTGCCTTCCCGTC-3′(sense)(서열번호 1) 및 5′-GAGATCTGAAAGCCCTAGAG-3′(antisense)(서열번호 2), GAPDH에 대한 5′-TCCCTCAAGATTGTCAGCAA-3′(sense)(서열번호 3) 및 5′-AGATCCACAACGGATACATT-3′(antisense)(서열번호 4).
(7) 통계 분석(Statistical analysis)
통계학적 분석은 Graph Pad Prism 5 (Graph Pad Software Inc., La Jolla, CA, USA)을 이용해 수행되었다. Mann-Whitney U test가 두 그룹 간의 차이점을 시험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P-value < 0.05는 유의미한 것으로 간주되었다.
2. 실험 결과
(1) 방사선 조사는 체중과 SG 중량의 손실을 유의하게 유발하였으나, ALA가 방사선 유발 SG 중량 손실 및 감소된 침 수준을 개선하였다.
방사선은 모든 실험 시점에서 체중 손실을 유의하게 유발하였다. 방사선 조사 그룹에서 ALA 처리 후의 재생은 관찰되지 않았다(도 1A). 방사선 조사 후 6 및 8주에 샘 습윤 중량(wet weight)의 손실을 유의하게 유발하였다. 하지만, ALA의 투여는 방사선 조사 대조군에 비해 방사선 조사 후 8주에서 샘 중량이 유의하게 회복되었다(도 1B). 또한, 방사선 조사는 ALA에 의해 부분적으로 회복되는 침샘 분비를 유의하게 감소시켰다(도 1C). 이러한 데이터는 ALA가 방사선 조사 유발 침분비 저하증의 회복에 관련되어 있을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2) ALA는 방사선 유발 AQP5 발현을 회복시킨다.
침의 분비는 SG 물 배출 과정동안 아쿠아포린 5(aquaporin 5, AQP5)을 통해 일어난다. 방사선 조사는 조사 후 2, 6, 8 및 12주에 AQP5 단백질의 발현을 유의하게 감소시켰지만, ALA는 면역블롯팅 분석에 의해 나타난 바와 같이 방사선 조사 후 매주 동일한 수준으로 AQP5 발현 수준을 유의하게 증가시켰다(도 2). ALA 투여에 의한 AQP5의 보존은 면역조직화학 염색(immunohistochemical staining)에 의해 추가 확인되었다. 일관되게 AQP5-양성 선포 세포(acinar cell)의 수가 방사선 조사 그룹 내 매 시점에서 유의하게 감소되었으나, ALA에 의해 유의하게 회복되었으며, 이는 면역블롯팅에 의해 확인된다(도 3). 이러한 데이터는 ALA가 방사선 조사에 의한 손상된 침샘 기능의 회복에 기여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3) ALA는 부교감 신경을 보존한다.
방사선은 SG 내 부교감 신경에 영향을 미치고, 부교감 자극은 방사선 조사 후 SG의 재생성을 향상시킨다. SG 내 방사선 유발 부교감 신경의 손상에 대한 ALA의 효과를 시험하기 위해, 우리는 SG 내 부교감 신경의 마커인 신경아교세포 유래 신경영양 인자 패밀리 수용체 2(glial cell-derived neurotrophic factor family receptor 2, GFR2)의 단백질 수준을 조사하였다. GFR 2 단백질 발현의 방사선 유발 장애는 ALA 투여에 의해 유의하게 개선되었다(도 4). GFR 2의 면역조직화학 염색은 ALA 처리에 의해 유의하게 회복되었고(도 5), 이것은 부교감신경의 또다른 마커인 acetylcholinesterase(AchE)의 면역조직화학 염색에 의해 확인되었다(도 6). 이러한 데이터는 ALA가 SG 내 부교감 신경을 보존함으로써 방사선 유발 기능저하로부터 SG를 보호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4) ALA는 SG 내 신경영양 인자 수준을 증진시킨다.
SG에서 부교감 신경의 방사선 유발 손상은 신경영양 인자의 증가된 생성에 의해 구제된다. SG 내 뇌 유발 신경영양 인자(brain-derived neurotrophic factor, BDNF) 및 뉴투린(neurturin) 수준은 각 시점에서 방사선에 의해 유의미하게 감소되었으나, BDNF 수준은 ALA 처리된 방사선 조사 그룹에서 방사선 조사 후 2주 및 8주에 유의미하게 증가하였고, 뉴투린 수준은 8주 및 12주에 증가하였다(도 7). 혈청 BDNF 수준은 조사 후 2주에 유의미하게 증가하였으나, 임의의 시점에서 다른 그룹과의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혈청 뉴투린 수준에서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도 8). 이러한 데이터는 ALA가 방사선 조사 후 SG 내 신경영양 인자 수준을 유지함으로써 부교감 신경을 보존함을 나타낸다.
(5) ALA는 SG 재생성을 증가시킨다.
헤지호그(Hedgehog, Hh) 신호전달은 관 연결 후 성인 SG의 기능적 재생성동안 활성화되었다. 또한, 소닉 헤지호그(Sonic Hedgehog, Shh) 유전자의 일시적 활성화는 방사선 유발 침분비저하증을 개선한다. 우리는 방사선 유발 Hh 신호전달에 대한 ALA의 효과를 조사하였다. Shh 및 그의 수용체 패치드(Patched, Ptch), Hh 신호전달 및 재생성 관련 인자의 mRNA 발현 수준은 qPCR에 의해 측정되었다. 방사선 조사 그룹에서 Shh 및 Ptch mRNA 수준은 감소되었다; 하지만, ALA 처리된 방사선 조사 그룹에서 Shh의 mRNA 수준은 2주 및 6주에 증가되었고 Ptch의 수준은 2, 6 및 8주에 증가되었다(도 9). 이는 ALA가 방사선 조사 후 Hh 신호전달을 통한 SG 재생성에 관련되어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6) ALA는 내생성 상주 줄기세포 수(endogenous resident stem cell population)를 구제한다
SG의 재생성 잠재력에 대한 ALA의 효과를 시험하기 위해, 우리는 ALA 처리된 방사선 조사된 샘(gland) 내 줄기세포의 생성을 평가하였다. 쥐 SG 줄기세포/전구 세포(progenitor cell)는 Sca-1을 포함하는 잘 정립된 줄기세포 마커를 발현한다. 하지만, Sca-1 양성 세포의 수는 생체 내 극히 적었다. 따라서, 우리는 Sca-1 발현을 평가하기 위해 역전사 PCR을 수행하였다. 단독 방사선 조사는 방사선 조사 후 6, 8 및 12주에 Sca-1 mRNA 발현을 유의미하게 감소시켰고, 이는 비조사된 대조군에 비해 상주 SG 줄기/전구 세포의 부족을 나타낸다. ALA를 받은 쥐들은 방사선 조사된 그룹에 비해 유의미하게 증가된 Sca-1 mRNA 발현을 나타냈다(도 10). 이러한 데이터들은 ALA는 방사선 조사된 SG 환경에서 상주 줄기세포를 구제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110>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120> PHARMACEUTICAL COMPOSITION, HEALTH FUNCTIONAL FOOD AND COSMETIC COMPOSITION FOR PREVENTING AND TREATING HYPOPTYALISM <130> 18OP11005PCT <160> 4 <170> KoPatentIn 3.0 <210> 1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ca-1 primer sense <400> 1 aaccatattt gccttcccgt c 21 <210> 2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ca-1 primer anti-sense <400> 2 gagatctgaa agccctagag 20 <210> 3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GAPDH primer sense <400> 3 tccctcaaga ttgtcagcaa 20 <210> 4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GAPDH primer anti-sense <400> 4 agatccacaa cggatacatt 20

Claims (6)

  1. 알파리포산(α-Lipoic acid)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포함하는 침분비 저하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침분비 저하증은 침샘 손상으로부터 유발되는 것인, 약학적 조성물.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침샘 손상은 방사선 조사로 유발되는 것인, 약학적 조성물.
  4. 알파리포산(α-Lipoic acid) 또는 이의 식품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포함하는 침분비 저하증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침분비 저하증은 침샘 손상으로부터 유발되는 것인, 건강기능식품.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침샘 손상은 방사선 조사로 유발되는 것인, 건강기능식품.
KR1020197014751A 2018-12-28 2018-12-28 침분비 저하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 KR2020008337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8/016827 WO2020138559A1 (ko) 2018-12-28 2018-12-28 침분비 저하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3370A true KR20200083370A (ko) 2020-07-08

Family

ID=711296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14751A KR20200083370A (ko) 2018-12-28 2018-12-28 침분비 저하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00083370A (ko)
WO (1) WO202013855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80529A1 (ko) * 2020-10-15 2022-04-21 경상대학교병원 침분비 저하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398138A (zh) * 2021-07-22 2021-09-17 大连医科大学附属第二医院 甘草酸在预防唾液腺放射损伤方面的用途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06455A (en) * 1988-04-15 1990-03-06 Wm. Wrigley Jr. Company Method for treating xerostomia employing chewing gum containing relatively insoluble, hydrophobic, food-grade organic acid
JP5595513B2 (ja) * 2009-11-12 2014-09-24 アカシア ファーマ リミテッド 口腔乾燥症の治療のためのベタネコールの使用
CN105267234A (zh) * 2015-10-29 2016-01-27 山东省药学科学院 一种缓解口干症状的组合物及其制备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80529A1 (ko) * 2020-10-15 2022-04-21 경상대학교병원 침분비 저하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138559A1 (ko) 2020-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79789B1 (ko) C1 에스터라제 억제제 결핍과 관련된 장애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c1-inh 조성물 및 방법
US10471059B2 (en)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ing tyrosine kinase inhibitors
KR101800632B1 (ko) 엔테로코커스 패칼리스, 이의 배양액 또는 이의 사균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근육감퇴, 약화 및 근위축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식품 조성물 및 식품첨가제
KR20200083370A (ko) 침분비 저하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
KR20200010084A (ko) 함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근감소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EP2821068B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hepatic fibrosis and cirrhosis containing ramalin
EP4210656A1 (en) Senolytic compounds and compositions
KR20180049691A (ko) 스퍼미딘을 포함하는 급성 폐손상 또는 폐섬유화증 치료용 조성물
US20180271944A1 (en) Methods for treating diseases mediated by erbb4-positive pro-inflammatory macrophages
KR101999538B1 (ko) 담즙산을 포함하는 허혈성 재관류 손상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US20140309258A1 (en) Anti-inflammatory compounds
KR20220051418A (ko) 근위축성 측삭 경화증 치료제
KR102324725B1 (ko) 포스포리파아제 d2 억제제를 포함하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70114253A (ko) 전립선 비대증에서 기인한 방광출구폐색에 의해 2차적인 방광 변성으로 유발된 과민성 방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의약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
KR102039608B1 (ko) 미도드린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의 용도
WO2020061649A1 (en) Agents and methods for modulating pathogen activity
WO2020017921A1 (ko) 함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근감소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CN113260357A (zh) 神经变性疾病的预防或治疗药
KR20200010085A (ko) 피톤치드를 함유하는 근감소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CN113423408A (zh) 包含适配体作为有效成分的用于治疗及预防神经退行性疾病的组合物
KR102460275B1 (ko) D-리보-2-헥술로스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사코페니아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066565B1 (ko) 욱리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남성 불임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656175B1 (ko) 황화수소 생산을 억제하는 억제제를 포함하는 말초신경계 퇴행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167235B1 (ko) Dl-설포라판 n-아세틸-l-시스테인을 포함하는 근위축 및 근감소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EP4014997A1 (en) Stard1 inhibitors for the treatment of lysosomal disord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