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80133A - 유체압 구동 장치 및 유량 제어 밸브의 구동 방법 - Google Patents

유체압 구동 장치 및 유량 제어 밸브의 구동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80133A
KR20200080133A KR1020190150041A KR20190150041A KR20200080133A KR 20200080133 A KR20200080133 A KR 20200080133A KR 1020190150041 A KR1020190150041 A KR 1020190150041A KR 20190150041 A KR20190150041 A KR 20190150041A KR 20200080133 A KR20200080133 A KR 202000801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able
driving
unit
spool
movable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00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72899B1 (ko
Inventor
다케시 오카모토
Original Assignee
나부테스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부테스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나부테스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0801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01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28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28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 F16K31/0603Multiple-way valves
    • F16K31/061Sliding valves
    • F16K31/0613Sliding valves with cylindrical sli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7/00Special means in or on valves or other cut-off apparatu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operation thereof, or for enabling an alarm to be given
    • F16K37/0025Electrical or magnetic means
    • F16K37/005Electrical or magnetic means for measuring fluid parame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1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7/00Special means in or on valves or other cut-off apparatu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operation thereof, or for enabling an alarm to be given
    • F16K37/0075For recording or indicating the functioning of a valve in combination with test equipment
    • F16K37/0083For recording or indicating the functioning of a valve in combination with test equipment by measuring valve parame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gnetically Actuated Valves (AREA)
  • Fluid-Pressure Circuits (AREA)
  • Electrically Driven Valve-Operating Means (AREA)
  • Indication Of The Valve Opening Or Closing Status (AREA)

Abstract

스풀에 이물이 말려 들어가도 스풀이 고착되지 않도록 한다.
유체압 구동 장치(1)는, 가동부(2a)를 갖고, 가동부(2a)의 위치에 따라 작동 유체의 토출량을 제어하는 유량 제어 밸브(2)와, 가동부(2a)를 이동 목표 위치까지 이동시키는 구동 명령이 나온 타이밍으로부터 소정 시간 내에 가동부(2a)가 이동 목표 위치에 도달하지 않는 경우와, 가동부(2a)가 이동 목표 위치로 이동할 때에 소정의 이동 속도에 도달하지 않는 경우의 적어도 한쪽의 경우에 말려 들어감 상태라고 추정하는 말려 들어감 추정부(9)와, 말려 들어감 상태라고 추정된 후, 말려 들어감 상태로 된 때의 가동부(2a)의 구동 방향과는 역방향의 가동부(2a)의 구동 명령이 나온 타이밍에, 말려 들어감 상태가 아닌 경우의 가동부(2a)의 구동력보다도 큰 구동력으로 가동부(2a)를 구동하는 구동 제어부(10)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유체압 구동 장치 및 유량 제어 밸브의 구동 방법{FLUID PRESSURE DRIVING APPARATUS AND METHOD FOR DRIVING FLOW CONTROL VALVE}
본 출원은, 일본 특허 출원(일본 특허 출원 제2018-243234, 출원일:12/26/2018)을 기초로 하여, 이 출원으로부터 우선의 이익을 향수한다. 이 출원을 참조함으로써, 동 출원의 내용 모두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유체압 구동 장치 및 유량 제어 밸브의 구동 방법에 관한다.
작동유의 토출량을 제어하는 유량 제어 밸브의 고장의 하나로, 유량 제어 밸브의 스풀에 이물이 말려 들어가 스풀이 고착되는 고장이 있다. 스풀은, 중립 위치에서는 확실하게 작동유를 시일하고, 스풀이 중립 위치로부터 이동하면, 작동유를 토출해야만 한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16-50585호 공보
그러나, 유량 제어 밸브 내의 작동유 중에 이물이 혼입되어 있는 경우에는, 작동유를 토출하고 있는 상태로부터 스풀을 중립 위치로 복귀시킬 때에 스풀에 이물이 말려 들어가 스풀이 고착되어 버리는 경우가 있다. 스풀이 고착되면, 다시 스풀을 이동시키려고 해도, 스풀이 움직이지 않기 때문에, 작동유를 토출할 수 없게 되어, 유량 제어 밸브의 본래의 기능을 달성할 수 없게 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스풀에 이물이 말려 들어가도 스풀이 고착되지 않도록 한 유체압 구동 장치 및 유량 제어 밸브의 구동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는, 가동부를 갖고, 상기 가동부의 위치에 따라 작동 유체의 토출량을 제어하는 유량 제어 밸브와,
상기 가동부를 이동 목표 위치까지 이동시키는 구동 명령이 나온 타이밍으로부터 소정 시간 내에 상기 가동부가 상기 이동 목표 위치에 도달하지 않는 경우와, 상기 가동부가 상기 이동 목표 위치로 이동할 때에 소정의 이동 속도에 도달하지 않는 경우의 적어도 한쪽의 경우에 말려 들어감 상태라고 추정하는 말려 들어감 추정부와,
상기 말려 들어감 상태라고 추정된 후, 상기 말려 들어감 상태로 된 때의 상기 가동부의 구동 방향과는 역방향의 상기 가동부의 구동 명령이 나온 타이밍에, 상기 말려 들어감 상태가 아닌 경우의 상기 가동부의 구동력보다도 큰 구동력으로 상기 가동부를 구동하는 구동 제어부를 구비하는, 유체압 구동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가동부의 구동력이 제1 역치 이상인지 여부를 판정하는 구동력 판정부와,
상기 가동부의 구동력이 상기 제1 역치 이상이라고 판정된 경우에, 상기 가동부의 이동 목표 위치와, 상기 가동부의 실위치의 편차가 제2 역치 이상인지 여부를 판정하는 위치 편차 판정부를 구비해도 되고,
상기 말려 들어감 추정부는, 상기 위치 편차 판정부에서 상기 편차가 상기 제2 역치 이상이라고 판정된 경우에, 상기 가동부가 상기 말려 들어감 상태라고 추정해도 된다.
상기 위치 편차 판정부는, 상기 편차의 정부에 기초하여, 상기 가동부가 제1 가동 방향 또는 제2 가동 방향으로 가동될 때의 상기 편차가 상기 제2 역치 이상인지 여부를 판정하고,
상기 말려 들어감 추정부는, 상기 위치 편차 판정부에서 상기 편차가 상기 제2 역치 이상이라고 판정된 경우에, 상기 가동부가 상기 제1 가동 방향 또는 상기 제2 가동 방향으로 가동할 때에 상기 말려 들어감 상태로 되었다고 추정해도 된다.
상기 가동부는, 기준 위치로부터 상기 제1 가동 방향 또는 상기 제2 가동 방향으로 가동 가능하고,
상기 구동 제어부는, 상기 가동부를 상기 기준 위치로부터 상기 제1 가동 방향으로 구동한 후에 상기 기준 위치로 복귀시킬 때에 상기 말려 들어감 상태로 되었다고 추정되는 경우, 그 후에 상기 가동부를 상기 제1 가동 방향으로 구동할 때의 구동력을 상기 말려 들어감 상태가 아닌 경우보다도 증대시켜도 된다.
상기 구동 제어부는, 상기 가동부를 상기 기준 위치로부터 상기 제2 가동 방향으로 구동한 후에 상기 기준 위치로 복귀시킬 때에 상기 말려 들어감 상태로 되었다고 추정되는 경우, 그 후에 상기 가동부를 상기 제2 가동 방향으로 구동할 때의 구동력을 상기 말려 들어감 상태가 아닌 경우보다도 증대시켜도 된다.
상기 위치 편차 판정부에서 상기 편차가 상기 제2 역치 이상이라고 판정되는 상태가 미리 정한 제한 시간 이상 계속되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계속 시간 판정부를 구비해도 되고,
상기 말려 들어감 추정부는, 상기 계속 시간 판정부에서 상기 제한 시간 이상 계속된다고 판정되면, 상기 가동부가 상기 말려 들어감 상태로 되었다고 추정해도 된다.
상기 가동부의 구동력이 제1 역치 이상인지 여부를 판정하는 구동력 판정부와,
상기 가동부의 구동력이 상기 제1 역치 이상이라고 판정된 경우에, 상기 가동부의 이동 속도가 제3 역치 이하인지 여부를 판정하는 이동 속도 판정부를 구비해도 되고,
상기 말려 들어감 추정부는, 상기 이동 속도 판정부에서 상기 이동 속도가 상기 제3 역치 이하라고 판정된 경우에, 상기 가동부가 상기 말려 들어감 상태라고 추정해도 된다.
상기 유량 제어 밸브는, 상기 가동부를 구동하기 위한 전자력을 발생시키는 코일을 갖는 전자 제어 밸브이고,
상기 가동부는, 상기 가동부가 상기 말려 들어감 상태로 되었다고 추정되면, 상기 말려 들어감 상태가 아닌 경우의 상기 코일의 인가 전압보다도 높게 해도 된다.
상기 가동부의 구동 방향과는 역방향의 상기 가동부의 구동 명령이 나온 타이밍은, 상기 유량 제어 밸브로부터 토출된 작동 유체로 피구동체를 구동하는 액추에이터가 상기 피구동체의 구동력을 낮추는 타이밍이어도 된다.
상기 유량 제어 밸브가 갖는 상기 가동부는 제1 가동부이고,
상기 유량 제어 밸브로부터 토출된 작동 유체에 따라 가동하는 제2 가동부를 갖고, 상기 제2 가동부의 위치에 따라, 피구동체를 구동하는 액추에이터에 대한 작동 유체의 공급량을 제어하는 액추에이터 제어 밸브를 더 구비해도 되고,
상기 구동 제어부는, 상기 말려 들어감 상태라고 추정된 후, 상기 말려 들어감 상태로 된 때의 상기 제1 가동부의 구동 방향과는 역방향의 상기 제1 가동부의 구동 명령이 나온 타이밍에, 상기 말려 들어감 상태가 아닌 경우의 상기 제1 가동부의 구동력보다도 큰 구동력으로 상기 제1 가동부를 구동해도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양태에서는, 가동부의 위치에 따라 작동 유체의 토출량을 제어하는 유량 제어 밸브의 구동 방법에 있어서,
상기 가동부의 구동 명령이 나온 타이밍으로부터 소정 시간 내에, 상기 가동부가 이동 목표 위치에 도달하지 않는 경우와, 상기 가동부가 소정의 이동 속도에 도달하지 않는 경우의 적어도 한쪽의 경우에 말려 들어감 상태라고 추정하고,
상기 말려 들어감 상태라고 추정된 후, 상기 말려 들어감 상태로 된 때의 상기 가동부의 구동 방향과는 역방향의 상기 가동부의 구동 명령이 나온 타이밍에, 상기 말려 들어감 상태가 아닌 경우의 상기 가동부의 구동력보다도 큰 구동력으로 상기 가동부를 구동한다.
본 발명은 스풀에 이물이 말려 들어가도 스풀의 고착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제1 실시 형태에 의한 유체압 구동 장치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는 유량 제어 밸브와 액추에이터의 동작의 일례를 도시하는 파형도이다.
도 3a는 유량 제어 밸브 내의 스풀의 이동 위치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b는 유량 제어 밸브 내의 스풀의 이동 위치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제1 실시 형태에 의한 말려 들어감 추정부의 처리 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5는 제1 실시 형태에 의한 구동 제어부의 처리 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6은 제2 실시 형태에 의한 유체압 구동 장치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7은 제2 실시 형태에 의한 말려 들어감 추정부의 처리 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8은 제2 실시 형태에 의한 구동 제어부의 처리 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일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건 명세서에 첨부하는 도면에 있어서는, 도시와 이해의 용이함의 편의상, 적절히 축척 및 종횡의 치수비 등을, 실물의 그것들로부터 변경하여 과장하고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사용하는, 형상이나 기하학적 조건, 그리고 그것들의 정도를 특정하는, 예를 들어 「평행」, 「직교」, 「동일」 등의 용어나 길이나 각도의 값 등에 대해서는, 엄밀한 의미에 구속되지 않고, 동일한 기능을 기대할 수 있을 정도의 범위를 포함하여 해석하기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제1 실시 형태에 의한 유체압 구동 장치(1)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의 유체압 구동 장치(1)는, 유량 제어 밸브(2)와, 액추에이터(3)와, 컨트롤러(4)를 구비하고 있다.
유량 제어 밸브(2)는, 하나 이상의 스풀(제1 가동부)(2a)을 갖는 밸브 봉(2b)을 구비하고 있다. 유량 제어 밸브(2)는 컨트롤러(4)의 명령에 의해, 밸브 봉(2b)을 이동시켜 스풀(2a)을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킨다. 밸브 봉(2b)은, 예를 들어 도시하지 않은 전자 코일에 흐르는 전류에 의해, 긴 쪽 방향으로 이동 제어된다. 또한, 밸브 봉(2b)은, 반드시 전자 코일 등의 전기 제어에 의해 이동시킬 필요는 없고, 다른 제어 방법(예를 들어, 유압 제어)에 의해 이동시켜도 된다. 스풀(2a)의 이동 위치의 하나는 중립 위치이다. 스풀(2a)이 중립 위치로 이동한 경우에는, 유량 제어 밸브(2)로 유입되는 작동유와, 유량 제어 밸브(2)로부터 유출되는 작동유가 모두 차단된다. 따라서, 컨트롤러(4)는, 유량 제어 밸브(2)와 액추에이터(3) 사이에서의 작동유의 흐름을 시일하고 싶은 경우에, 스풀(2a)을 중립 위치로 이동시키는 명령을 낸다.
도 1의 유량 제어 밸브(2)에는, 작동유가 유입출되는 복수의 포트가 마련되어 있고, 스풀(2a)의 위치에 따라, 각 포트로부터의 작동유의 유입출이 제어된다. 예를 들어, 유량 제어 밸브(2)는, 액추에이터(3)로부터 작동유가 공급되는 포트 P1과, 유량 제어 밸브(2)로부터 액추에이터(3)로 작동유를 공급하는 포트 P2와, 유량 제어 밸브(2)부터 탱크로 작동유를 배출하는 포트 P3을 갖는다. 또한, 유량 제어 밸브(2)에 마련되는 포트의 종류와 수는 임의이다.
액추에이터(3)는, 예를 들어 중공의 슬리브(3a) 내를 이동 가능한 가동부 (제2 가동부)(3b)를 갖는다. 액추에이터(3)는, 유량 제어 밸브(2)로부터의 작동유의 토출량에 따라 가동부(3b)의 위치를 가변시킨다. 도 1에서는, 액추에이터(3) 내의 가동부(3b)의 움직임에 의해, 연료 분사 밸브(5)와 배기 밸브(6)를 제어하는 예를 도시하고 있지만, 이것은 일례이고, 액추에이터(3)가 구동하는 대상물은 임의이다.
도 1의 유체압 구동 장치(1)는, 유량 제어 밸브(2) 내의 스풀(2a)의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 검출부(7)와, 액추에이터(3) 내의 가동부(3b)의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 검출부(8)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위치 검출부(7)는, 예를 들어 유량 제어 밸브(2)의 일단측에 배치되고, 밸브 봉의 단부면과의 거리를 비접촉으로 계측하는 갭 센서를 갖고 있어도 된다. 갭 센서에 의해, 밸브 봉의 단부면과의 거리가 계측되면, 스풀(2a)의 위치도 검출할 수 있다.
컨트롤러(4)는, 위치 검출부(7)에서 검출된 스풀(2a)의 위치가, 미리 정한 이동 목표 위치에 일치하도록 귀환 제어를 행한다. 이동 목표 위치란, 컨트롤러(4)의 명령 위치이다. 예를 들어, 유체압 구동 장치(1)가 전자 제어 밸브인 경우에는, 컨트롤러(4)는, 위치 검출부(7)에서 검출된 스풀(2a)의 위치와, 미리 정한 이동 목표 위치의 편차에 기초하여, 전자 코일에 부여하는 전압이나 전류의 크기나 방향을 제어한다.
컨트롤러(4)는, 말려 들어감 추정부(9)와 구동 제어부(10)를 갖는다. 말려 들어감 추정부(9)는, 유량 제어 밸브(2)의 스풀(2a)을 이동 목표 위치까지 이동시키는 구동 명령이 나온 타이밍으로부터 소정 시간 내에 스풀(2a)이 이동 목표 위치에 도달하지 않는 경우에 말려 들어감 상태라고 추정한다. 스풀(2a)로의 이물의 말려 들어감은, 스풀(2a)이 중립 위치로 복귀될 때에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말려 들어감 추정부(9)는, 스풀(2a)이 중립 위치로 복귀될 때에 스풀(2a)에 이물이 말려 들어간 것을 추정한다. 스풀(2a)에 이물이 말려 들어가면, 스풀(2a)은 미리 상정한 시간 내에 중립 위치로 복귀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말려 들어감 추정부(9)는, 소정 시간 내에 스풀(2a)이 이동 목표 위치(예를 들어, 중립 위치)로 복귀되지 않는 경우에, 스풀(2a)에 이물이 말려 들어간 것을 추정한다. 소정 시간은, 스풀(2a)에 이물이 말려 들어가 있지 않은 경우에, 스풀(2a)의 구동 명령이 나온 타이밍으로부터 스풀(2a)이 중립 위치로 복귀될 때까지 필요로 하는 시간을 기준으로 하여, 이 시간보다도 긴 시간으로 설정된다.
구동 제어부(10)는 말려 들어감 상태라고 추정된 후, 말려 들어감 상태로 된 때의 스풀(2a)의 구동 방향과는 역방향의 스풀(2a)의 구동 명령이 나온 타이밍에, 말려 들어감 상태가 아닌 경우의 스풀(2a)의 구동력보다도 큰 구동력으로 스풀(2a)을 구동한다. 이와 같이, 스풀(2a)에 이물이 말려 들어가 스풀(2a)이 고착된 경우에도, 이물이 말려 들어간 때의 스풀(2a)의 이동 방향과는 역방향으로, 스풀(2a)을 큰 구동력으로 구동함으로써, 스풀(2a)에 말려 들어간 이물을 스풀(2a)로부터 분리하여 스풀(2a)의 이동을 정상화시킬 수 있다. 여기서, 말려 들어감 상태로 된 때의 스풀(2a)의 구동 방향과는 역방향의 스풀(2a)의 구동 명령이 나온 타이밍은, 예를 들어 유량 제어 밸브(2)로부터 토출된 작동 유체로 피구동체를 구동하는 액추에이터(3)가 피구동체의 구동력을 낮추는 타이밍이다. 즉, 피구동체의 구동력을 높이는 방향으로 스풀(2a)을 이동시킨 후에 중립 위치로 복귀시킬 때에 스풀(2a)에 이물이 말려 들어간 경우는, 그 후에 피구동체의 구동력을 낮추는 방향으로 스풀(2a)을 이동시킬 때에 구동력을 더 크게 한다.
컨트롤러(4)는, 구동력 판정부(11)와 위치 편차 판정부(12)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구동력 판정부(11)는, 유량 제어 밸브(2)의 스풀(2a)의 구동력이 제1 역치 이상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위치 편차 판정부(12)는, 유량 제어 밸브(2)의 스풀(2a)의 구동력이 제1 역치 이상이라고 판정된 경우에, 유량 제어 밸브(2)의 스풀(2a)의 이동 목표 위치와, 유량 제어 밸브(2)의 스풀(2a)의 실위치의 편차가 제2 역치 이상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말려 들어감 추정부(9)는, 위치 편차 판정부(12)에서 편차가 제2 역치 이상이라고 판정된 경우에, 유량 제어 밸브(2)의 스풀(2a)이 말려 들어감 상태라고 추정한다.
또한, 구동력 판정부(11)는, 액추에이터(3)의 가동부(3b)의 구동력이 제1 역치 이상인지 여부를 판정해도 된다. 이 경우, 위치 편차 판정부(12)는, 액추에이터(3)의 가동부(3b)의 구동력이 제1 역치 이상이라고 판정된 경우에, 유량 제어 밸브(2)의 가동부(3b)의 이동 목표 위치와 실위치의 편차가 제2 역치 이상인지 여부를 판정하면 된다.
위치 편차 판정부(12)는, 편차의 정부에 기초하여, 스풀(2a)이 제1 가동 방향 또는 제2 가동 방향으로 가동될 때의 편차가 제2 역치 이상인지 여부를 판정해도 된다. 이 경우, 말려 들어감 추정부(9)는, 위치 편차 판정부(12)에서 편차가 제2 역치 이상이라고 판정된 경우에, 스풀(2a)이 제1 가동 방향 또는 제2 가동 방향으로 가동될 때에 말려 들어감 상태로 되었다고 추정한다.
유량 제어 밸브(2)의 스풀(2a)은, 기준 위치로부터 제1 가동 방향 또는 제2 가동 방향으로 가동 가능하다. 구동 제어부(10)는, 유량 제어 밸브(2)의 스풀(2a)을 기준 위치로부터 제1 가동 방향으로 구동한 후에 기준 위치로 복귀시킬 때에 말려 들어감 상태로 되었다고 추정되는 경우, 그 후에 스풀(2a)을 제1 가동 방향으로 구동할 때의 구동력을 말려 들어감 상태가 아닌 경우보다도 증대시킨다. 또한, 구동 제어부(10)는, 스풀(2a)을 기준 위치로부터 제2 가동 방향으로 구동한 후에 기준 위치로 복귀시킬 때에 말려 들어감 상태로 되었다고 추정되는 경우, 그 후에 스풀(2a)을 제2 가동 방향으로 구동할 때의 구동력을 말려 들어감 상태가 아닌 경우보다도 증대시킨다.
컨트롤러(4)는 계속 시간 판정부(13)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계속 시간 판정부(13)는 위치 편차 판정부(12)에서 편차가 제2 역치 이상이라고 판정되는 상태가 미리 정한 제한 시간 이상 계속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말려 들어감 추정부(9)는, 말려 들어감 계속 시간 판정부(13)에서 제한 시간 이상 계속된다고 판정되면, 가동부(3b)가 말려 들어감 상태로 되었다고 추정한다.
도 2는 유량 제어 밸브(2)와 액추에이터(3)의 동작의 일례를 도시하는 파형도, 도 3a 및 도 3b는 유량 제어 밸브(2) 내의 스풀(2a)의 이동 위치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또한, 유량 제어 밸브(2)의 스풀(2a)은, 초기 상태에서는, 중립 위치에 고정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도 2의 시각 t1일 때에, 컨트롤러(4)는, 유량 제어 밸브(2)에 대하여, 액추에이터(3)로의 작동유의 공급을 명령한다. 이 명령을 받아, 스풀(2a)은, 도 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립 위치로부터 도시의 좌측으로 이동한다. 스풀(2a)의 좌측으로의 이동은, 시각 t1 내지 t2 사이에서 행해진다. 이 사이, 스풀(2a)은 일정 속도로 이동한다. 이로써, 포트 P1로부터 포트 P2를 향해 작동유가 흘러, 유량 제어 밸브(2)로부터 액추에이터(3)로 작동유가 공급된다. 액추에이터(3)의 가동부(3b)는, 유량 제어 밸브(2)로부터 작동유가 공급됨으로써, 예를 들어 상방으로 이동한다.
시각 t2로 되면, 컨트롤러(4)는, 유량 제어 밸브(2)의 스풀(2a)을 중립 위치로 복귀시키는 구동 명령을 낸다. 이 명령을 받아, 유량 제어 밸브(2)의 스풀(2a)은 중립 위치로 복귀되고, 유량 제어 밸브(2)로부터 액추에이터(3)로의 작동유의 공급은 정지된다. 시각 t2 내지 t3 사이는, 유량 제어 밸브(2)의 스풀(2a)은 중립 위치에 고정된다.
시각 t3으로 되면, 컨트롤러(4)는, 유량 제어 밸브(2)에 대하여, 액추에이터(3)로부터의 작동유를 탱크로 배출하도록 명령한다. 이 명령을 받아, 스풀(2a)은,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립 위치로부터 도시의 우측으로 이동한다. 스풀(2a)의 우측으로의 이동은 시각 t3 내지 t4 사이에서 행해진진다. 이 동안, 스풀(2a)은 일정 속도로 이동한다. 이로써, 액추에이터(3)로부터 포트 P2로 유입된 작동유는, 포트 P3으로부터 탱크로 배출된다.
시각 t4로 되면, 컨트롤러(4)는, 유량 제어 밸브(2)에 대하여, 액추에이터(3)로의 작동유의 공급을 명령한다. 이 명령을 받아, 스풀(2a)은 중립 위치를 통과하고, 도 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측으로 이동한다. 스풀(2a)의 좌측으로의 이동은, 시각 t4 내지 t5 사이에서 행해진다.
시각 t5로 되면, 컨트롤러(4)는, 유량 제어 밸브(2)의 스풀(2a)을 중립 위치로 복귀시키는 구동 명령을 낸다. 이 명령을 받아, 유량 제어 밸브(2)의 스풀(2a)은 중립 위치로 복귀되고, 유량 제어 밸브(2)로부터 액추에이터(3)로의 작동유의 공급은 정지된다. 시각 t5 내지 t6 사이는, 유량 제어 밸브(2)의 스풀(2a)은 중립 위치에 고정된다.
시각 t6 내지 t7 사이는, 시각 t3 내지 t4와 마찬가지로, 스풀(2a)은 중립 위치로부터 우측으로 이동하고, 액추에이터로부터의 작동유가 탱크로 배출된다. 시각 t7로 되면, 컨트롤러(4)는, 유량 제어 밸브(2)의 스풀(2a)을 중립 위치로 복귀시키는 구동 명령을 낸다. 이 명령을 받아, 유량 제어 밸브(2)의 스풀(2a)은 중립 위치로 복귀되지만, 이때, 작동유 중의 이물이 스풀(2a)에 말려 들어갔다고 하자. 이 경우, 스풀(2a)이 중립 위치의 직전에 고착되기 때문에, 통상의 구동력으로는, 스풀(2a)은 이동하지 않게 된다. 스풀(2a)로의 이물의 말려 들어감은, 스풀(2a)이 중립 위치로 복귀되기 직전에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스풀(2a)에 이물이 말려 들어가면, 스풀(2a)이 중립 위치로 완전히 복귀되지 않기 때문에, 위치 검출부(7)에서 스풀(2a)의 위치를 검출함으로써, 스풀(2a)에 이물이 말려 들어간 것을 추정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스풀(2a)에 이물이 말려 들어간 것을 말려 들어감 추정부(9)에서 추정한다.
컨트롤러(4)는, 말려 들어감 추정부(9)에서, 스풀(2a)에 이물이 말려 들어간 것이 추정되면, 그 후에, 스풀(2a)에 이물이 말려 들어간 때의 스풀(2a)의 이동 방향과는 역방향으로 스풀(2a)을 이동시킬 때의 구동력을, 이물이 말려 들어가 있지 않을 때의 스풀(2a)의 구동력보다도 크게 한다. 도 2의 예에서는, 시각 t8일 때에, 컨트롤러(4)는 유량 제어 밸브(2)에 대하여, 액추에이터(3)로부터의 작동유를 탱크로 배출하도록 명령하고, 또한 스풀(2a)의 구동력을 통상보다도 크게 한다. 이로써, 이물이 말려 들어간 스풀(2a)은, 이물이 말려 들어간 때의 구동력보다도 큰 구동력으로, 말려 들어감 방향과는 역방향으로 인장되게 되고, 이물이 스풀(2a)로부터 제거된다.
그 후, 시각 t10 내지 t11에서는, 시각 t1 내지 t2와 마찬가지로, 컨트롤러(4)는 유량 제어 밸브(2)로부터 액추에이터(3)로 작동유를 공급하기 위해, 유량 제어 밸브(2)의 스풀(2a)을 중립 위치보다도 좌측으로 이동시킨다. 시각 t11로 되면, 컨트롤러(4)는, 유량 제어 밸브(2)의 스풀(2a)을 중립 위치로 복귀시키는 구동 명령을 내지만, 중립 위치로 복귀되기 직전에 스풀(2a)에 이물이 말려 들어간 것으로 하자. 스풀(2a)로의 이물의 말려 들어감은, 상술한 바와 같이, 말려 들어감 추정부(9)에서 추정된다.
그 후, 시각 t12일 때에, 컨트롤러(4)는, 이물의 말려 들어감 방향과는 역방향으로 스풀(2a)을 이동시키는 구동 명령을 낸다. 이때, 통상의 구동력보다도 큰 구동력으로 스풀(2a)을 이동시킨다. 이로써, 스풀(2a)에 말려 들어간 이물은 스풀(2a)로부터 제거된다.
도 4는 제1 실시 형태에 의한 말려 들어감 추정부(9)의 처리 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4의 흐름도의 처리는, 유체압 구동 장치(1)가 동작하고 있는 기간 내는 반복 실행된다. 먼저, 유량 제어 밸브(2)의 스풀(2a)의 구동력이 제1 역치 이상인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1). 스텝 S1을 마련하는 이유는, 스풀(2a)에 이물이 말려 들어가면, 스풀(2a)을 중립 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해, 스풀(2a)에 통상 이상의 구동력이 가해지기 때문이다. 스텝 S1의 판정 처리는, 구동력 판정부(11)에서 행해진다.
스텝 S1에서 스풀(2a)의 구동력이 제1 역치 이상이라고 판정된 경우에는, 스풀(2a)의 위치 편차가 정방향으로 제2 역치 이상인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2). 정방향이란, 예를 들어 스풀(2a)의 우방향의 위치 편차가 제2 역치 이상을 가리킨다. 스텝 S2를 마련하는 이유는, 스풀(2a)에 이물이 말려 들어가면, 스풀(2a)이 고착되어, 이동 목표 위치까지 도달할 수 없게 되기 때문이다. 스풀(2a)의 위치 편차는 위치 편차 판정부(12)에서 행해진다. 위치 편차 판정부(12)는, 스풀(2a)의 실위치를 위치 검출부(7)에서 검출하고, 검출된 실위치와, 미리 정해진 이동 목표 위치의 편차가 제2 역치 이상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스텝 S2에서 위치 편차가 정방향으로 제2 역치 이상이라고 판정되면, 위치 편차가 제2 역치 이상으로 되고 나서 소정 시간이 경과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3). 스텝 S3을 마련하는 이유는, 스풀(2a)로의 이물의 말려 들어감 이외의 이유로 스풀(2a)의 움직임이 일시적으로 완만해지는 경우도 고려되는 것에 비해, 스풀(2a)에 이물이 말려 들어가면 스풀(2a)은 고착되어, 소정 시간이 경과해도 움직이지 않게 되기 때문이다. 스텝 S3에서는, 위치 편차가 제2 역치 이상으로 되고 나서의 경과 시간을 변수 t에 대입하고, 변수 t가 소정 시간 이상인지 여부에 의해 판정을 행한다. 스텝 S3의 판정 처리는, 계속 시간 판정부(13)에서 행해진다.
스텝 S3에서 소정 시간이 경과되었다고 판정되면, 변수 t를 0으로 초기화함과 함께, 스풀(2a)을 우방향으로 이동시킬 때에 이물이 말려 들어간 것을 나타내는 플래그(이하, (+)말려 들어감 플래그)를 설정하고(스텝 S4), 도 4의 처리를 종료한다. 스텝 S3에서 소정 시간이 경과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되면, 변수 t를 갱신하고(스텝 S5), 도 4의 처리를 종료한다.
스텝 S2에서 스풀(2a)의 위치 편차가 제2 역치 미만이라고 판정되면, 스풀(2a)의 위치 편차가 부방향으로 제2 역치 이상인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6). 부방향이란, 예를 들어 스풀(2a)의 좌방향의 위치 편차가 제2 역치 이상을 가리킨다. 스텝 S6에서 부방향으로 제2 역치 이상이라고 판정되면, 위치 편차가 제2 역치 이상으로 되고 나서 소정 시간이 경과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7). 소정 시간이 경과되었다고 판정되면, 변수 t를 0으로 초기화함과 함께, 스풀(2a)을 좌방향으로 이동시킬 때에 이물이 말려 들어간 것을 나타내는 플래그(이하, (-)말려 들어감 플래그)를 설정하고(스텝 S8), 도 4의 처리를 종료한다. 스텝 S7에서 아직 소정 시간이 경과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되면, 스텝 S5의 처리를 행하고, 도 4의 처리를 종료한다.
스텝 S1에서 스풀(2a)의 구동력이 제1 역치 미만이라고 판정된 경우, 또는 스텝 S6에서 스풀(2a)의 위치 편차가 부방향으로 제2 역치 미만이라고 판정된 경우에는, 변수 t를 0으로 초기화하고(스텝 S9), 도 4의 처리를 종료한다.
도 5는 제1 실시 형태에 의한 구동 제어부(10)의 처리 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5의 흐름도의 처리는, 유체압 구동 장치(1)가 동작하고 있는 기간 내는 반복해서 실행된다. 먼저, (+)말려 들어감 플래그가 세트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11). (+)말려 들어감 플래그가 세트되어 있는 경우에는, 유량 제어 밸브(2)의 스풀(2a)의 위치 편차가 부방향으로 제2 역치 이상인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12). 스풀(2a)을 정방향으로 이동시킬 때에 이물이 말려 들어가 고착된 후, 부방향으로 이동시키려고 해도 스풀(2a)은 이동하지 않기 때문에, 부방향의 위치 편차가 제2 역치 이상으로 된다. 스텝 S12에서 위치 편차가 부방향으로 제2 역치 이상이면, 정방향으로 이동시킬 때에 스풀(2a)에 이물이 말려 들어간 것을 나타내고 있다.
스텝 S12에서 위치 편차가 부방향으로 제2 역치 이상이라고 판정되면, 스풀(2a)의 구동력을 인상한다(스텝 S13). 유량 제어 밸브(2)가 전자 제어 밸브인 경우, 스풀(2a)은 전자 코일에 공급되는 전압에 따라 이동하기 때문에, 스텝 S13에서는 전자 코일에 공급되는 전압을 통상보다도 높게 한다.
스텝 S13에 의해, 스풀(2a)은 이물의 말려 들어감 방향과는 역방향의 좌측에 구동력이 발생하고, 이물이 스풀(2a)로부터 제거된다. 따라서, (+)말려 들어감 플래그를 리셋한다(스텝 S14). 또한, 스텝 S13에서는, 스풀(2a)에 부여하는 구동력을 단계적으로 인상해도 된다. 즉, 1단계째의 구동력으로는, 스풀(2a)에 말려 들어간 이물이 제거되지 않는 경우에는, 더 큰 2단계째의 구동력을 스풀(2a)에 부여해도 된다.
스텝 S12에서 스풀(2a)의 위치 편차가 부방향으로 제2 역치 미만이라고 판정되면, 스풀(2a)에 말려 들어간 이물이 제거되었다고 판단하고, 도 5의 처리를 종료한다.
스텝 S11에서 (+)말려 들어감 플래그가 세트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되면, (-)말려 들어감 플래그가 세트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15). (-)말려 들어감 플래그가 세트되어 있는 경우에는, 유량 제어 밸브(2)의 스풀(2a)의 위치 편차가 정방향으로 제2 역치 이상인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16). 스풀(2a)을 부방향으로 이동시킬 때에 이물이 말려 들어가 고착된 후, 정방향으로 이동시키려고 해도 스풀(2a)은 이동하지 않기 때문에, 정방향의 위치 편차가 제2 역치 이상으로 된다. 스텝 S12에서 위치 편차가 정방향으로 제2 역치 이상이면, 부방향으로 이동시킬 때에 스풀(2a)에 이물이 말려 들어간 것을 나타내고 있다.
스텝 S16에서 위치 편차가 제2 역치 이상이라고 판정되면, 스풀(2a)의 구동력을 인상한다(스텝 S17). 그리고, 스풀(2a)에 말려 들어간 이물이 제거된 경우에는, (-)말려 들어감 플래그를 리셋한다(스텝 S18).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유량 제어 밸브(2)의 스풀(2a)에 이물이 말려 들어간 때에, 말려 들어감 방향과는 역방향으로, 통상의 구동력보다도 큰 구동력으로 스풀(2a)을 구동하기 때문에, 스풀(2a)로의 이물의 말려 들어감을 해소시킬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유량 제어 밸브(2)를 분해하지 않고, 스풀(2a)에 이물이 말려 들어간 것을 추정할 수 있고, 또한 스풀(2a)에 이물이 말려 들어간 것이 추정되는 경우에는, 스풀(2a)의 구동력을 제어함으로써, 스풀(2a)로의 이물의 말려 들어감을 해소할 수 있기 때문에, 스풀(2a)의 고착 불량의 빈도를 대폭으로 삭감할 수 있다. 이로써, 유량 제어 밸브(2)를 분해 수리하는 빈도도 삭감할 수 있고, 보수 작업원을 파견하는 수고도 생략할 수 있기 때문에, 보수 비용의 대폭적인 삭감을 도모할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
제2 실시 형태는, 말려 들어감 추정부(9)와 구동 제어부(10)의 처리 동작이 제1 실시 형태와는 상이하다.
도 6은 제2 실시 형태에 의한 유체압 구동 장치(1)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6의 유체압 구동 장치(1)는, 도 1의 위치 편차 판정부(12)와 계속 시간 판정부(13) 대신에, 이동 속도 판정부(14)를 구비하고 있다. 이동 속도 판정부(14)는 유량 제어 밸브(2)의 스풀(2a)의 구동력이 제1 역치 이상이라고 판정된 경우에, 스풀(2a)의 이동 속도가 제3 역치 이하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또한, 도 6의 유체압 구동 장치(1)는 변위 검출부(15)를 구비하고 있다. 변위 검출부(15)는 스풀(2a)의 변위, 즉 이동 속도를 검출한다. 변위 검출부(15)는, 위치 검출부(7)에서 검출된 스풀(2a)의 위치 정보를 미분 처리함으로써, 스풀(2a)의 변위를 검출할 수 있다. 혹은, 변위 검출부(15)는 스풀(2a)의 이동 속도를 직접 검출하는 속도 센서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도 7은 제2 실시 형태에 의한 말려 들어감 추정부(9)의 처리 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먼저, 스풀(2a)의 구동력이 제1 역치 이상인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21). 제1 역치 이상이라고 판정되면, 변위 검출부(15)에서 검출된 스풀(2a)의 이동 속도가 제1 방향(예를 들어, 우방향)으로 제3 역치 이하인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22). 제3 역치 이하라고 판정되면, 스풀(2a)의 이동 속도가 제3 역치 이하로 되고 나서 소정 시간이 경과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23). 스텝 S23의 판정 결과에 기초하는 스텝 S24, S25의 처리는 도 4의 스텝 S4, S5와 동일하다.
스텝 S22에서 스풀(2a)의 이동 속도가 제1 방향으로 제3 역치 이하가 아니라고 판정되면, 스풀(2a)의 이동 속도가 제2 방향(예를 들어, 좌방향)으로 제3 역치 이하인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26). 제3 역치 이하라고 판정되면, 스풀(2a)의 이동 속도가 제3 역치 이하로 되고 나서 소정 시간이 경과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27). 스텝 S27의 판정 결과에 기초하는 스텝 S28, S29의 처리는 도 4의 스텝 S8, S9와 동일하다.
도 8은 제2 실시 형태에 의한 구동 제어부(10)의 처리 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먼저, (+)말려 들어감 플래그가 세트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31). (+)말려 들어감 플래그가 세트되어 있는 경우에는, 변위 검출부(15)에서 검출된 스풀(2a)의 제2 방향(예를 들어, 좌방향)으로의 이동 속도가 제4 역치 이하인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32). 스텝 S32의 판정 처리가 예인 경우에 행해지는 스텝 S33, S34의 처리는 도 5의 스텝 S13, S14의 처리와 동일하다.
스텝 S31에서 (+)말려 들어감 플래그가 세트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말려 들어감 플래그가 세트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35). 스텝 S35에서 세트되어 있다고 판정되면, 변위 검출부(15)에서 검출된 스풀(2a)의 제1 방향(예를 들어, 우방향)으로의 이동 속도가 제4 역치 이하인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36). 스텝 S36의 판정 처리가 예인 경우에 행해지는 스텝 S37, S38의 처리는 도 5의 스텝 S17, S18의 처리와 동일하다.
이와 같이,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유량 제어 밸브(2)의 스풀(2a)의 이동 속도에 기초하여, 스풀(2a)을 어느 방향으로 이동시킬 때에 이물이 말려 들어간 것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스풀(2a)이 고착되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말려 들어감 방향과는 역방향으로, 통상의 구동력보다도 큰 구동력으로 스풀(2a)을 구동하기 때문에, 스풀(2a)로의 이물의 말려 들어감을 신속히 해소시킬 수 있다.
상술한 각 실시 형태에서는, 유량 제어 밸브(2)와 액추에이터(3)를 구비한 유체압 구동 장치(1)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액추에이터(3)의 구성 및 동작은 임의인 점에서, 유량 제어 밸브(2)로부터 토출되는 작동유를 이용하여 다양한 동작을 행하는 유체압 구동 장치(1)에 폭넓게 적용 가능하다. 유량 제어 밸브(2)는, 스풀(2a)을 갖고, 스풀(2a)의 위치에 따라 작동유의 토출량을 제어하는 것이면 된다. 유량 제어 밸브(2)의 구체예는, 상술한 스풀(2a) 밸브 외에, 포핏 밸브, 볼 밸브, 니들 밸브 등에도 적용 가능하다. 액추에이터(3)는 유량 제어 밸브(2)로부터의 작동유의 토출량에 따라 위치를 가변 가능한 가동부(3b)를 갖고, 가동부(3b)의 위치에 따라 액추에이터축을 직접 구동하는 것 외에, 가동부(3b)는 위치에 따라, 별도 마련한 액추에이터에 대한 작동유의 공급량을 제어하는 밸브여도 된다. 구동부의 구체예는, 상술한 가동부(3b)식의 액추에이터(3) 외에, 스풀 밸브나 포핏 밸브여도 되고, 유압 모터 등의 유체압 구동 모터여도 된다.
상술한 실시 형태의 기술 사상은, 이하의 (1) 내지 (11)에 정리할 수 있다.
(1) 가동부를 갖고, 상기 가동부의 위치에 따라 작동 유체의 토출량을 제어하는 유량 제어 밸브와, 상기 가동부를 이동 목표 위치까지 이동시키는 구동 명령이 나온 타이밍으로부터 소정 시간 내에 상기 가동부가 상기 이동 목표 위치에 도달하지 않는 경우와, 상기 가동부가 상기 이동 목표 위치로 이동할 때에 소정의 이동 속도에 도달하지 않는 경우의 적어도 한쪽의 경우에 말려 들어감 상태라고 추정하는 말려 들어감 추정부와,
상기 말려 들어감 상태라고 추정된 후, 상기 말려 들어감 상태로 된 때의 상기 가동부의 구동 방향과는 역방향의 상기 가동부의 구동 명령이 나온 타이밍에, 상기 말려 들어감 상태가 아닌 경우의 상기 가동부의 구동력보다도 큰 구동력으로 상기 가동부를 구동하는 구동 제어부를 구비하는, 유체압 구동 장치.
(2) 상기 가동부의 구동력이 제1 역치 이상인지 여부를 판정하는 구동력 판정부와,
상기 가동부의 구동력이 상기 제1 역치 이상이라고 판정된 경우에, 상기 가동부의 이동 목표 위치와, 상기 가동부의 실위치의 편차가 제2 역치 이상인지 여부를 판정하는 위치 편차 판정부를 구비하고,
상기 말려 들어감 추정부는, 상기 위치 편차 판정부에서 상기 편차가 상기 제2 역치 이상이라고 판정된 경우에, 상기 가동부가 상기 말려 들어감 상태라고 추정하는, (1)에 기재된 유체압 구동 장치.
(3) 상기 위치 편차 판정부는, 상기 편차의 정부에 기초하여, 상기 가동부가 제1 가동 방향 또는 제2 가동 방향으로 가동될 때의 상기 편차가 상기 제2 역치 이상인지 여부를 판정하고,
상기 말려 들어감 추정부는, 상기 위치 편차 판정부에서 상기 편차가 상기 제2 역치 이상이라고 판정된 경우에, 상기 가동부가 상기 제1 가동 방향 또는 상기 제2 가동 방향으로 가동될 때에 상기 말려 들어감 상태로 되었다고 추정하는, (2)에 기재된 유체압 구동 장치.
(4) 상기 가동부는, 기준 위치로부터 상기 제1 가동 방향 또는 상기 제2 가동 방향으로 가동 가능하고,
상기 구동 제어부는, 상기 가동부를 상기 기준 위치로부터 상기 제1 가동 방향으로 구동한 후에 상기 기준 위치로 복귀시킬 때에 상기 말려 들어감 상태로 되었다고 추정되는 경우, 그 후에 상기 가동부를 상기 제1 가동 방향으로 구동할 때의 구동력을 상기 말려 들어감 상태가 아닌 경우보다도 증대시키는, (3)에 기재된 유체압 구동 장치.
(5) 상기 구동 제어부는, 상기 가동부를 상기 기준 위치로부터 상기 제2 가동 방향으로 구동한 후에 상기 기준 위치로 복귀시킬 때에 상기 말려 들어감 상태로 되었다고 추정되는 경우, 그 후에 상기 가동부를 상기 제2 가동 방향으로 구동할 때의 구동력을 상기 말려 들어감 상태가 아닌 경우보다도 증대시키는, (4)에 기재된 유체압 구동 장치.
(6) 상기 위치 편차 판정부에서 상기 편차가 상기 제2 역치 이상이라고 판정되는 상태가 미리 정한 제한 시간 이상 계속되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계속 시간 판정부를 구비하고,
상기 말려 들어감 추정부는, 상기 계속 시간 판정부에서 상기 제한 시간 이상 계속된다고 판정되면, 상기 가동부가 상기 말려 들어감 상태로 되었다고 추정하는, (2) 내지 (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유체압 구동 장치.
(7) 상기 가동부의 구동력이 제1 역치 이상인지 여부를 판정하는 구동력 판정부와,
상기 가동부의 구동력이 상기 제1 역치 이상이라고 판정된 경우에, 상기 가동부의 이동 속도가 제3 역치 이하인지 여부를 판정하는 이동 속도 판정부를 구비하고,
상기 말려 들어감 추정부는, 상기 이동 속도 판정부에서 상기 이동 속도가 상기 제3 역치 이하라고 판정된 경우에, 상기 가동부가 상기 말려 들어감 상태라고 추정하는, (1)에 기재된 유체압 구동 장치.
(8) 상기 유량 제어 밸브는, 상기 가동부를 구동하기 위한 전자력을 발생시키는 코일을 갖는 전자 제어 밸브이고,
상기 가동부는, 상기 가동부가 상기 말려 들어감 상태로 되었다고 추정되면, 상기 말려 들어감 상태가 아닌 경우의 상기 코일의 인가 전압보다도 높게 하는, (1) 내지 (7)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유체압 구동 장치.
(9) 상기 가동부의 구동 방향과는 역방향의 상기 가동부의 구동 명령이 나온 타이밍은, 상기 유량 제어 밸브로부터 토출된 작동 유체로 피구동체를 구동하는 액추에이터가 상기 피구동체의 구동력을 낮추는 타이밍인, (1) 내지 (8)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유체압 구동 장치.
(10) 상기 유량 제어 밸브가 갖는 상기 가동부는 제1 가동부이고,
상기 유량 제어 밸브로부터 토출된 작동 유체에 따라 가동하는 제2 가동부를 갖고, 상기 제2 가동부의 위치에 따라, 피구동체를 구동하는 액추에이터에 대한 작동 유체의 공급량을 제어하는 액추에이터 제어 밸브를 더 구비하고,
상기 구동 제어부는, 상기 말려 들어감 상태라고 추정된 후, 상기 말려 들어감 상태로 된 때의 상기 제1 가동부의 구동 방향과는 역방향의 상기 제1 가동부의 구동 명령이 나온 타이밍에, 상기 말려 들어감 상태가 아닌 경우의 상기 제1 가동부의 구동력보다도 큰 구동력으로 상기 제1 가동부를 구동하는, (1) 내지 (9)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유체압 구동 장치.
(11) 가동부의 위치에 따라 작동 유체의 토출량을 제어하는 유량 제어 밸브의 구동 방법에 있어서,
상기 가동부의 구동 명령이 나온 타이밍으로부터 소정 시간 내에, 상기 가동부가 이동 목표 위치에 도달하지 않는 경우와, 상기 가동부가 소정의 이동 속도에 도달하지 않는 경우의 적어도 한쪽의 경우에 말려 들어감 상태라고 추정하고,
상기 말려 들어감 상태라고 추정된 후, 상기 말려 들어감 상태로 된 때의 상기 가동부의 구동 방향과는 역방향의 상기 가동부의 구동 명령이 나온 타이밍에, 상기 말려 들어감 상태가 아닌 경우의 상기 가동부의 구동력보다도 큰 구동력으로 상기 가동부를 구동하는, 유량 제어 밸브의 구동 방법.
본 발명의 양태는, 상술한 개개의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당업자가 상도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도 포함하는 것이고, 본 발명의 효과도 상술한 내용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특허 청구 범위에 규정된 내용 및 그 균등물로부터 도출되는 본 발명의 개념적인 사상과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추가, 변경 및 부분적 삭제가 가능하다.
1: 유체압 구동 장치
2: 유량 제어 밸브
2a: 스풀
3: 액추에이터
3a: 슬리브
3b: 가동부
4: 컨트롤러
5: 연료 분사 밸브
6: 배기 밸브
7: 위치 검출부
8: 위치 검출부
9: 말려 들어감 추정부
10: 구동 제어부
11: 구동력 판정부
12: 위치 편차 판정부
13: 계속 시간 판정부
14: 이동 속도 판정부
15: 변위 검출부

Claims (11)

  1. 가동부를 갖고, 상기 가동부의 위치에 따라 작동 유체의 토출량을 제어하는 유량 제어 밸브와, 상기 가동부를 이동 목표 위치까지 이동시키는 구동 명령이 나온 타이밍으로부터 소정 시간 내에 상기 가동부가 상기 이동 목표 위치에 도달하지 않는 경우와, 상기 가동부가 상기 이동 목표 위치로 이동할 때에 소정의 이동 속도에 도달하지 않는 경우의 적어도 한쪽의 경우에 말려 들어감 상태라고 추정하는 말려 들어감 추정부와,
    상기 말려 들어감 상태라고 추정된 후, 상기 말려 들어감 상태로 된 때의 상기 가동부의 구동 방향과는 역방향의 상기 가동부의 구동 명령이 나온 타이밍에, 상기 말려 들어감 상태가 아닌 경우의 상기 가동부의 구동력보다도 큰 구동력으로 상기 가동부를 구동하는 구동 제어부를 구비하는, 유체압 구동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부의 구동력이 제1 역치 이상인지 여부를 판정하는 구동력 판정부와,
    상기 가동부의 구동력이 상기 제1 역치 이상이라고 판정된 경우에, 상기 가동부의 이동 목표 위치와, 상기 가동부의 실위치의 편차가 제2 역치 이상인지 여부를 판정하는 위치 편차 판정부를 구비하고,
    상기 말려 들어감 추정부는, 상기 위치 편차 판정부에서 상기 편차가 상기 제2 역치 이상이라고 판정된 경우에, 상기 가동부가 상기 말려 들어감 상태라고 추정하는, 유체압 구동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편차 판정부는, 상기 편차의 정부에 기초하여, 상기 가동부가 제1 가동 방향 또는 제2 가동 방향으로 가동될 때의 상기 편차가 상기 제2 역치 이상인지 여부를 판정하고,
    상기 말려 들어감 추정부는, 상기 위치 편차 판정부에서 상기 편차가 상기 제2 역치 이상이라고 판정된 경우에, 상기 가동부가 상기 제1 가동 방향 또는 상기 제2 가동 방향으로 가동될 때에 상기 말려 들어감 상태로 되었다고 추정하는, 유체압 구동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부는, 기준 위치로부터 상기 제1 가동 방향 또는 상기 제2 가동 방향으로 가동 가능하고,
    상기 구동 제어부는, 상기 가동부를 상기 기준 위치로부터 상기 제1 가동 방향으로 구동한 후에 상기 기준 위치로 복귀시킬 때에 상기 말려 들어감 상태로 되었다고 추정되는 경우, 그 후에 상기 가동부를 상기 제1 가동 방향으로 구동할 때의 구동력을 상기 말려 들어감 상태가 아닌 경우보다도 증대시키는, 유체압 구동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제어부는, 상기 가동부를 상기 기준 위치로부터 상기 제2 가동 방향으로 구동한 후에 상기 기준 위치로 복귀시킬 때에 상기 말려 들어감 상태로 되었다고 추정되는 경우, 그 후에 상기 가동부를 상기 제2 가동 방향으로 구동할 때의 구동력을 상기 말려 들어감 상태가 아닌 경우보다도 증대시키는, 유체압 구동 장치.
  6. 제2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편차 판정부에서 상기 편차가 상기 제2 역치 이상이라고 판정되는 상태가 미리 정한 제한 시간 이상 계속되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계속 시간 판정부를 구비하고,
    상기 말려 들어감 추정부는, 상기 계속 시간 판정부에서 상기 제한 시간 이상 계속된다고 판정되면, 상기 가동부가 상기 말려 들어감 상태로 되었다고 추정하는, 유체압 구동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부의 구동력이 제1 역치 이상인지 여부를 판정하는 구동력 판정부와,
    상기 가동부의 구동력이 상기 제1 역치 이상이라고 판정된 경우에, 상기 가동부의 이동 속도가 제3 역치 이하인지 여부를 판정하는 이동 속도 판정부를 구비하고,
    상기 말려 들어감 추정부는, 상기 이동 속도 판정부에서 상기 이동 속도가 상기 제3 역치 이하라고 판정된 경우에, 상기 가동부가 상기 말려 들어감 상태라고 추정하는, 유체압 구동 장치.
  8. 제1항 내지 제5항,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량 제어 밸브는, 상기 가동부를 구동하기 위한 전자력을 발생시키는 코일을 갖는 전자 제어 밸브이고,
    상기 가동부는, 상기 가동부가 상기 말려 들어감 상태로 되었다고 추정되면, 상기 말려 들어감 상태가 아닌 경우의 상기 코일의 인가 전압보다도 높게 하는, 유체압 구동 장치.
  9. 제1항 내지 제5항,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부의 구동 방향과는 역방향의 상기 가동부의 구동 명령이 나온 타이밍은, 상기 유량 제어 밸브로부터 토출된 작동 유체로 피구동체를 구동하는 액추에이터가 상기 피구동체의 구동력을 낮추는 타이밍인, 유체압 구동 장치.
  10. 제1항 내지 제5항,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량 제어 밸브가 갖는 상기 가동부는 제1 가동부이고,
    상기 유량 제어 밸브로부터 토출된 작동 유체에 따라 가동하는 제2 가동부를 갖고, 상기 제2 가동부의 위치에 따라, 피구동체를 구동하는 액추에이터에 대한 작동 유체의 공급량을 제어하는 액추에이터 제어 밸브를 더 구비하고,
    상기 구동 제어부는, 상기 말려 들어감 상태라고 추정된 후, 상기 말려 들어감 상태로 된 때의 상기 제1 가동부의 구동 방향과는 역방향의 상기 제1 가동부의 구동 명령이 나온 타이밍에, 상기 말려 들어감 상태가 아닌 경우의 상기 제1 가동부의 구동력보다도 큰 구동력으로 상기 제1 가동부를 구동하는, 유체압 구동 장치.
  11. 가동부의 위치에 따라 작동 유체의 토출량을 제어하는 유량 제어 밸브의 구동 방법에 있어서,
    상기 가동부의 구동 명령이 나온 타이밍으로부터 소정 시간 내에, 상기 가동부가 이동 목표 위치에 도달하지 않는 경우와, 상기 가동부가 소정의 이동 속도에 도달하지 않는 경우의 적어도 한쪽의 경우에 말려 들어감 상태라고 추정하고,
    상기 말려 들어감 상태라고 추정된 후, 상기 말려 들어감 상태로 된 때의 상기 가동부의 구동 방향과는 역방향의 상기 가동부의 구동 명령이 나온 타이밍에, 상기 말려 들어감 상태가 아닌 경우의 상기 가동부의 구동력보다도 큰 구동력으로 상기 가동부를 구동하는, 유량 제어 밸브의 구동 방법.
KR1020190150041A 2018-12-26 2019-11-21 유체압 구동 장치 및 유량 제어 밸브의 구동 방법 KR10227289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8243234A JP7249775B2 (ja) 2018-12-26 2018-12-26 流体圧駆動装置及び流量制御弁の駆動方法
JPJP-P-2018-243234 2018-12-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0133A true KR20200080133A (ko) 2020-07-06
KR102272899B1 KR102272899B1 (ko) 2021-07-05

Family

ID=712169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0041A KR102272899B1 (ko) 2018-12-26 2019-11-21 유체압 구동 장치 및 유량 제어 밸브의 구동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7249775B2 (ko)
KR (1) KR102272899B1 (ko)
CN (1) CN11137989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WO2023145073A1 (ko) * 2022-01-31 2023-08-03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57280A (ja) * 2006-12-21 2008-07-10 Rinnai Corp モータ安全弁の制御方法
JP2015052329A (ja) * 2013-09-05 2015-03-19 株式会社キッツ 噛み込み検知機能付きバルブ用電動アクチュエータとその異常検知方法
JP2016050585A (ja) 2014-08-28 2016-04-11 株式会社デンソー バルブ制御装置
JP2016215254A (ja) * 2015-05-25 2016-12-22 宇部興産機械株式会社 流量制御弁の異常検出方法
KR20180073794A (ko) * 2016-12-22 2018-07-03 한국남부발전 주식회사 공압식 제어 밸브의 진단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03559A (ja) * 1996-09-27 1998-04-21 Mitsubishi Electric Corp 電子膨張弁駆動回路
JP4387633B2 (ja) * 2002-01-29 2009-12-16 富士重工業株式会社 エンジンのバルブタイミング制御装置
US7104522B2 (en) * 2002-10-02 2006-09-12 Delphi Technologies, Inc. Coking-resistant shaft/bushing mechanism for an exhaust gas recirculation valve
JP2009185723A (ja) * 2008-02-07 2009-08-20 Nissan Motor Co Ltd 可変動弁機構の制御装置
JP4550912B2 (ja) * 2008-03-13 2010-09-22 ジヤトコ株式会社 ソレノイドバルブ制御装置
JP6064132B2 (ja) * 2012-10-09 2017-01-25 株式会社テージーケー 複合弁
CN203335983U (zh) * 2013-03-18 2013-12-11 广东普洛测控科技有限公司 一种低功耗电磁阀驱动电路
JP2015218642A (ja) * 2014-05-16 2015-12-07 株式会社デンソー 内燃機関の排気装置
JP6755160B2 (ja) * 2016-10-18 2020-09-16 愛三工業株式会社 流量制御弁の全閉異常診断装置
KR20180050061A (ko) * 2016-11-04 2018-05-14 주식회사 협신금속 시동 공기 밸브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57280A (ja) * 2006-12-21 2008-07-10 Rinnai Corp モータ安全弁の制御方法
JP2015052329A (ja) * 2013-09-05 2015-03-19 株式会社キッツ 噛み込み検知機能付きバルブ用電動アクチュエータとその異常検知方法
JP2016050585A (ja) 2014-08-28 2016-04-11 株式会社デンソー バルブ制御装置
JP2016215254A (ja) * 2015-05-25 2016-12-22 宇部興産機械株式会社 流量制御弁の異常検出方法
KR20180073794A (ko) * 2016-12-22 2018-07-03 한국남부발전 주식회사 공압식 제어 밸브의 진단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1379891B (zh) 2022-08-23
KR102272899B1 (ko) 2021-07-05
JP7249775B2 (ja) 2023-03-31
JP2020106056A (ja) 2020-07-09
CN111379891A (zh) 2020-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43165A (en) Method for controlling driving of a ram of a hydraulic cylinder of a hydraulic press equipment
JP2006162058A (ja) 油圧制御回路及び油圧制御方法
KR20200080133A (ko) 유체압 구동 장치 및 유량 제어 밸브의 구동 방법
JP2007069502A (ja) 射出成形機及びその制御方法
TWI689457B (zh) 空氣噴射機構及零件進料機
US20200133312A1 (en) Solenoid valve contro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of solenoid valve
US7506505B2 (en) Hydraulic driving device for operating machine
JP2003214351A (ja) 両方向可変吐出形ポンプの圧力・流量制御方法及び装置
US11933331B2 (en) Control device and hydraulic system including the same
JP2003305573A (ja) 電気抵抗溶接機の加圧装置
IT201800004110A1 (it) Regolatore di pressione
JP4540372B2 (ja) クラッチパック詰り検出方法、装置、及びクラッチパックの油圧制御装置
JP2995792B2 (ja) ごみ焼却炉駆動装置の油圧同調制御方法
KR102294641B1 (ko) 작동 유체 감시 센서 및 유체압 구동 장치
JPH10169828A (ja) 弁開度制御装置
JP2003148402A (ja) 液圧制御システム
JP4265455B2 (ja) クラッチパック詰り検出方法、装置、及びクラッチパックの油圧制御装置
KR100969371B1 (ko) 자동변속기의 유압 해방 방법 및 그 장치
JP2006040200A (ja) 位置制御システム
JP3409202B2 (ja) 油圧アクチュエータの駆動方法及びその装置並びに射出成形機における射出シリンダの駆動方法及びその装置
CN117948306A (zh) 具有负载保持功能的液压装置和液压装置的控制方法
JP2016138512A (ja) 油圧ポンプシステムおよび油圧ポンプシステムの制御方法
JPH02271179A (ja) 直動形電磁弁及びこの電磁弁を用いた液圧装置
MUSTAFFA et al. Repeated Positioning of a Long Stroke Pneumatic Cylinder Using Proximity Switches
JPS62171574A (ja) 電磁弁の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