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77828A - 액체 분무기 - Google Patents

액체 분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77828A
KR20200077828A KR1020180167079A KR20180167079A KR20200077828A KR 20200077828 A KR20200077828 A KR 20200077828A KR 1020180167079 A KR1020180167079 A KR 1020180167079A KR 20180167079 A KR20180167079 A KR 20180167079A KR 20200077828 A KR20200077828 A KR 202000778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nozzle
connector
passage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70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차진만
Original Assignee
차진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차진만 filed Critical 차진만
Priority to KR10201801670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77828A/ko
Priority to CN201910202706.9A priority patent/CN111346750A/zh
Publication of KR202000778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782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7/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 B05B7/02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 B05B7/04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with arrangements for mix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efore discharge
    • B05B7/0416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with arrangements for mix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efore discharge with arrangements for mixing one gas and one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05B13/02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 B05B13/0278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9/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 B05B9/03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characterised by means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 B05B9/04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characterised by means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 pressurised or compressible container; with pump
    • B05B9/08Apparatus to be carried on or by a person, e.g. of knapsack type
    • B05B9/085Apparatus to be carried on or by a person, e.g. of knapsack type with a liquid pump

Landscapes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 Nozz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체 분무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액체용기가 연결되고 에어 컴프레서가 구비되는 몸체; 상기 에어 컴프레서와 상기 액체용기에 연결되도록 상기 몸체에 연결되는 노즐;을 포함하되, 상기 노즐은 상기 에어 컴프레서의 배출구와 상기 액체용기에 각각 연통되는 공기통로와 액체통로가 형성된 유체통과부재와, 상기 유체통과부재에 형성된 수용공간에 삽입되어 액체를 분무시키는 토출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토출부재는 상기 액체통로와 연통되는 제5액체통로가 형성된 내부몸체와, 상기 공기통로와 연통되며 상기 내부몸체가 삽입 수용되는 수용부가 형성된 외부몸체를 포함하며, 상기 외부몸체에 제1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유체통과부재에는 상기 제1나사부와 체결되는 제2나사부가 형성되며, 상기 내부몸체에는 제3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유체통과부재에는 상기 제3나사부와 체결되는 제4나사부가 형성되며, 상기 구성에 의해 노즐의 교체 및 A/S가 편리하고, 노즐을 호스나 에어 컴프레서간에 연결 및 해제가 편리하며, 노즐의 조립 및 교체가 용이한 액체 분무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액체 분무기{Liquid sprayer}
본 발명은 액체 분무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압력차로 액체용기에 수용된 액체를 흡입하여 공기와 함께 분무하는 방식의 액체 분무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체의 분무는 여러 산업분야에서 이루어지고 있으며 농작물에 살포하는 물이나 농약의 분무를 들 수 있고, 선박, 건축분야에서 페인트의 분무, 도로상의 물 분무 등 그 용도는 수없이 많다고 할 수 있다.
일반적인 액체 분무기는, 액체를 펌프에 의해 직접 펌핑하고 그 끝단의 노즐에 의하여 분사하는 방식이 있고, 고속으로 벤츄리관을 지나가는 공기와의 압력차이에 의하여 액체 용기 내부의 액체를 흡입하여 공기와 함께 분무되도록 하는 방식이 있다.
펌핑하여 직접 분사하는 방식의 분무기로는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109798호(특허문헌 1)에 게재된 것이 있다.
한편, 압력차로 액체를 흡입하여 공기와 함께 분무하는 방식의 분무기로는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18279호(특허문헌 2)가 있다.
특허문헌 2와 같은 경우, 분무 방향이 혼합배출관과 액체배출관에 의해 정해지며 이를 변경하기가 어렵다.
또한 공기가 통과하는 관인 상기 혼합배출관이 외부에 노출되어 있고, 상기 혼합배출관이 연결캡에 의해 노즐본체와 결합되므로, 상기 혼합배출관을 상기 노즐본체와 분리시키면 내부에 배치된 상기 액체배출관이 외부에 노출되고, 상기 액체배출관이 상기 노즐본체와 분리될 가능성이 있어 상기 혼합배출관의 교체가 어렵다.
또한 상기 액체배출관이 상기 노즐본체와 별도의 커넥터 없이 직접 연결되어 있어, 상기 액체배출관을 교체시키기 위해 상기 노즐본체에서 분리시키면 상기 노즐본체의 내부가 노출되어 이물질이 상기 노즐본체로 유입되어 분무기가 고장날 수 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109798호(2017.10.10)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18279호(2012.12.27)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노즐의 조립 및 유지보수가 용이한 액체 분무기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분무효과가 좋은 액체 분무기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다양한 노즐을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고 교체가 용이한 액체 분무기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액체 분무기는, 액체용기가 연결되고 에어 컴프레서가 구비되는 몸체; 상기 에어 컴프레서와 상기 액체용기에 연결되도록 상기 몸체에 연결되는 노즐;을 포함하되, 상기 노즐은 상기 에어 컴프레서의 배출구와 상기 액체용기에 각각 연통되는 공기통로와 액체통로가 형성된 유체통과부재와, 상기 유체통과부재에 형성된 수용공간에 삽입되어 액체를 분무시키는 토출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토출부재는 상기 액체통로와 연통되는 제5액체통로가 형성된 내부몸체와, 상기 공기통로와 연통되며 상기 내부몸체가 삽입 수용되는 수용부가 형성된 외부몸체를 포함하며, 상기 외부몸체에 제1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유체통과부재에는 상기 제1나사부와 체결되는 제2나사부가 형성되며, 상기 내부몸체에는 제3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유체통과부재에는 상기 제3나사부와 체결되는 제4나사부가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액체 분무기는, 상기 외부몸체의 일단에는 일측으로 갈수록 폭이 커지는 분무유도부가 상기 관통공과 연통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내부몸체는 상기 제5액체통로의 일측 단부가 상기 수용부보다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분무유도부 내에 수용된다.
또한, 본 발명의 액체 분무기는, 상기 몸체와 결합되고 상기 노즐과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노즐커넥터; 상기 토출부재와 상기 유체통과부재가 수용되는 노즐케이스; 상기 노즐케이스와 상기 노즐커넥터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케이스커넥터;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액체 분무기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토출부재가 유체통과부재와 나사 결합되므로 노즐의 조립 및 유지보수가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은 액체토출구가 분무유도부 내에 배치되므로 분무효과가 좋다.
또한, 본 발명은 노즐이 몸체와 분리가 가능하여 교체 및 A/S의 편리성이 향상되었고, 다양한 노즐을 결합할 수 있어 본 발명의 사용의 편리성이 향상되었다.
또한, 본 발명은 노즐커넥터는 고무 재질로 형성되어 케이스커넥터나 몸체와의 조립작업과 교체작업이 편리하다.
또한, 본 발명은 액체 분무기 정지 시에는 체크밸브의 머리부가 배기홀을 막아 용기본체의 개구가 막히므로 액체용기가 넘어져도 용기 내의 액체가 몸체측이나 외부로 누수되지 않아 사용이 편리하다.
또한, 본 발명은 어댑터몸체가 있어 다양한 형상의 용기본체를 결합시켜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 액체 분무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액체 분무기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노즐의 분해 사시도
도 4a는 도 2에 도시된 노즐의 단면도
도 4b는 도 4a의 부분 확대도
도 4c는 도 4b의 부분 확대도
도 5의 좌측과 우측은 외부몸체와 내부몸체 각각의 측면도
도 6은 노즐케이스의 후측 사시도
도 7은 유체통과부재의 전측 사시도
도 8은 내부커넥터의 사시도
도 9의 상측과 하측 각각은 케이스커넥터의 후측 사시도와 전측 사시도
도 10은 노즐커넥터를 후측 하방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11은 뚜껑의 상측 사시도와 하측 사시도
도 12는 상부몸체의 상측 사시도와 하측 사시도
도 13은 pcb틀의 상측 사시도와 하측 사시도
도 14는 하부몸체의 상측 사시도와 하측 사시도
도 15는 도 2에 도시된 액체 용기 및 용기어댑터의 분해 사시도
도 16은 도 15에 도시된 차단판과 체크밸브와 어댑터몸체의 하방 사시도
이하에서 설명될 본 발명의 구성들 중 종래기술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전술한 종래기술을 참조하기로 하고 별도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 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촉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촉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 액체 분무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액체 분무기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노즐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a는 도 2에 도시된 노즐의 단면도이며, 도 4b는 도 4a의 부분 확대도이고, 도 4c는 도 4b의 부분 확대도이며, 도 5의 좌측과 우측은 외부몸체와 내부몸체 각각의 측면도이고, 도 6은 노즐케이스의 후측 사시도이며, 도 7은 유체통과부재의 전측 사시도이고, 도 8은 내부커넥터의 사시도이며, 도 9의 상측과 하측 각각은 케이스커넥터의 후측 사시도와 전측 사시도이고, 도 10은 노즐커넥터를 후측 하방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며, 도 11은 뚜껑의 상측 사시도와 하측 사시도이고, 도 12는 상부몸체의 상측 사시도와 하측 사시도이며, 도 13은 pcb틀의 상측 사시도와 하측 사시도이고, 도 14는 하부몸체의 상측 사시도와 하측 사시도이며, 도 15는 도 2에 도시된 액체 용기 및 용기어댑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16은 도 15에 도시된 차단판과 체크밸브와 어댑터몸체의 하방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핸드형 액체 분무기는 크게 액체용기(10)가 연결되고 에어 컴프레서(AC)가 구비되는 몸체(50), 상기 에어 컴프레서(AC)와 상기 액체용기(10)에 연결되도록 상기 몸체(50)에 연결되는 노즐(1000)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몸체(50)에 수용되는 배터리(B)를 더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휴대가 편리하다. 배터리(B)는 별도의 충전기로 충전시켜 사용할 수 있다.
액체용기(10)는 액체가 수용되는 용기본체(11)와, 용기본체(11)의 외측을 둘러싸는 용기케이스(13)를 포함한다.
============== 몸체(50) ==============
몸체(50)는 노즐(1000)이 결합되는 상부몸체(100), 액체용기(10)와 결합되는 하부몸체(300)를 포함한다.
-------------- 상부몸체(100) --------------
상부몸체(100)는 전측에 배치되는 마감링결합부(110)와, 마감링결합부(110)의 상부에 연결된 반원형의 돔 형상의 노즐커넥터상부수용부(120)와, 노즐커넥터상부수용부(120)의 후측으로 형성된 배터리수용부(140)를 포함한다.
상부몸체(100)의 마감링결합부(110)는 링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부몸체(100)의 마감링결합부(110)에는 후술될 마감링(180)이 결합되기 위한 복수 개의 후크결합공(111)이 관통 형성된다.
상부몸체(100)의 배면에는 상부보스(149)가 형성된다.
상부보스(149)는 노즐커넥터상부수용부(120) 좌측에 1 개 우측에 1 개, 상부몸체(100)의 후측의 좌측에 1 개 우측에 1 개가 형성되어 총 4 개가 형성된다.
또한 상부몸체(100)의 배면에는 좌우방향으로 리브가 복수 개 형성된다.
이때 리브는 노즐커넥터상부수용부(120)의 좌우측 상부보스(149)를 연결하도록 형성되어 후술될 노즐커넥터(400) 상부의 후면과 접촉되는 커넥터상부리브, 상부몸체(100)의 측부와 연결되며 배터리수용부(140)의 하측에 위치되며 후술될 에어 컴프레서(AC)의 상부를 접촉 지지하는 컴프레서상부지지리브(133)를 포함한다.
컴프레서지지리브는 에어 컴프레서(AC)와 접촉하여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에어 컴프레서(AC)의 모터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배터리수용부(140)는 상부몸체(100)의 상면이 움푹 파져 형성된 공간이다.
상부몸체(100)에는 배터리수용부(140)의 좌우측에 상측으로 돌출된 배터리유지턱(145)을 형성하여 배터리(B)가 좌우로 움직이지 않게 하였다.
상부몸체(100)에는 배터리수용부(140)와 연통되는 단자수용공(143)이 형성된다.
단자수용공(143)에는 후술될 pcb(P)에 설치된 단자가 수용되고, 수용된 단자는 배터리(B)와 접속될 수 있다.
상부몸체(100)의 후면에는 뚜껑(170)의 후술될 제1걸림돌기(175)가 삽입되어 걸리는 걸림홈(141)이 2 개 형성된다.
걸림홈(141)은 상부보스(149) 중 후측의 좌우측 상부보스(149)들 사이에 배치된다.
상부몸체(100)에는 배터리수용부(140)를 덮는 뚜껑(170)이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노즐커넥터상부수용부(120)의 후측에는 후술될 뚜껑(170)의 후크(179)가 걸리는 후크공(121)이 형성된다.
뚜껑(170)의 형상은 노즐커넥터상부수용부(120)의 형상과 대응되며, 돔 형상이다.
뚜껑(170)의 전측에는 상부몸체(100)에 걸리는 후크가 형성된다.
뚜껑(170)의 배면 중앙에는 배터리(B)의 위치를 유지시키는 배터리지지부(173)가 돌출 형성된다. 배터리지지부(173)는 배터리(B)의 상면과 접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터리지지부(173)의 수평단면 형상은 'U'자 형상이다.
뚜껑(170)의 배면 후측에는 상부몸체(100)와 결합시 결합을 유지시키기 위한 제1걸림돌기(175) 2 개가 돌출 형성된다.
뚜껑(170)의 상면에는 뚜껑(170)을 탈거시키기 쉽도록 탈착보조홈(177)이 형성된다.
뚜껑(170)의 배면 측부에는 뚜껑리브(172)가 전후방향과 좌우방향으로 형성된다.
좌우방향 뚜껑리브(172)는 전후방향 뚜껑리브(172)와 뚜껑(170)의 외면에 둘러싸인 공간에 배치된다.
뚜껑리브(172)는 상부몸체(100)의 배터리유지턱(145)의 측부, 즉 상부몸체(100)의 상면 외측에 배치되어 배터리유지턱(145)에 걸린다. 따라서 뚜껑(170)을 상부몸체(100)에 조립시키기 용이하고, 뚜껑(170)의 내구성이 좋다.
상부몸체(100)에 걸리도록 뚜껑(170)에 후크(179)가 형성되되, 후크(179)는 뚜껑(170)의 배면 전측에서 돌출 형성되되, 일부는 뚜껑(170)의 전방에 돌출된다.
-------------- 하부몸체(300) --------------
하부몸체(300)의 테두리는 상부몸체(100)의 테두리와 접촉 결합된다.
하부몸체(300)는 오목한 공간이 형성되도록 반원형의 돔 형상을 갖는다.
상기 오목한 공간에는 후술될 노즐커넥터(400)와 에어 컴프레서(AC)와 pcb(P)가 수용된다. 이들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하부몸체(300)에는 리브와 하부보스(301)가 형성된다.
하부보스(301)는 상부보스(149)와 대응되는 위치와 개수로 형성된다.
이때 상부보스(149)는 볼트(미도시)가 체결되도록 암나사부가 형성되고, 하부보스(301)는 볼트(미도시)가 관통 삽입되는 관통공이 형성된다. 또한, 하부몸체(300)에는 상하방향으로 상기 볼트(미도시)가 관통 삽입되는 관통공(도면부호 미도시)이 형성된다. 따라서 볼트(미도시)는 하부몸체(300)의 하측에서 상측 방향으로 삽입되어 상기 관통공과 상기 하부보스(301)에 관통 삽입되고 상부보스(149)와 체결되므로써 상부몸체(100)와 하부몸체(300)를 결합시킨다.
하부몸체(300)의 리브는 후술될 노즐커넥터(400)의 하부의 후면과 접촉되도록 커넥터상부지지리브(131)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커넥터하부지지리브(331)와, 컴프레서상부지지리브(133)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컴프레서하부지지리브(333) 2 개와, 컴프레서하부지지리브(333)와 후측의 하부보스(301) 사이에 배치되는 pcb지지리브(335)를 포함한다.
하부몸체(300)의 리브는 좌우방향으로 형성된다.
커넥터하부지지리브(331)는 좌측 하부보스(301)와우측 하부보스(301)를 서로 연결시키고, 하부보스(301)와 하부몸체(300)의 측부를 연결시키도록 형성된다.
pcb지지리브(335)는 pcb(P)가 삽입되는 공간을 형성하도록 2 개가 서로 전후로 이격되어 형성된다. pcb지지리브(335)에 의해 pcb(P)는 흔들림이 제한되어 위치가 유지될 수 있다.
하부몸체(300)의 중앙부 및 후측의 좌우측에는 후술될 pcb틀(370)을 결합시키기 위한 pcb틀보스(303)가 더 형성된다.
중앙부의 pcb틀보스(303)는 커넥터하부지지리브(331)와 컴프레서하부지지리브(333) 사이에 형성된다.
후측의 pcb틀보스(303)는 후측의 하부보스(301)의 좌우측에 1 개씩 형성된다.
한편, 하부몸체(300)에는 노즐커넥터상부수용부(120)와 대응되는 위치에 노즐커넥터하부수용부(305)가 형성된다.
하부몸체(300)에는 후술될 노즐커넥터(400)에 삽입되는 지지기둥(307)이 노즐커넥터하부수용부(305)에 배치되도록 형성된다.
지지기둥(307)은 2 개가 서로 이격되어 형성된다.
본 발명의 하부몸체(300)는 중앙부의 하측에 형성되는 용기결합부(321)를 더 포함한다.
용기결합부(321)는 관 형상으로, 용기본체(11)의 입구가 내부 공간에 수용되도록 액체용기(10)와 결합된다.
용기결합부(321)는 본 발명을 쉽게 들고 사용할 수 있도록 손잡이로 사용될 수 있다.
용기결합부(321)는 하부몸체(300)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내부 공간이 상기 오목한 공간과 연통된다.
용기결합부(321)의 전측에는 전원스위치(320)가 삽입되는 스위치공(323)이 형성된다.
용기결합부(321)의 하단에는 내측 방향으로 플랜지(339)가 형성된다.
플랜지(339)에는 후술될 용기어댑터(200)의 몸체결합돌기(249)가 삽입되는 결합공(335)을 갖는 결합보스(337)가 형성된다.
한편, pcb틀(370)은 상부몸체(100)의 테두리와 하부몸체(300)의 테두리에 각각 상측과 하측이 결합되는 결합틀(380)과, 결합틀(380)의 내면 전측에 연결되는 지지틀(390)을 포함한다.
결합틀(380)은 몸체(50)의 중앙부 일부와 후측과 결합된다. 즉, 결합틀(380)은 상측 또는 하측에서 똑바로 볼 때 'U'자 형상이다.
지지틀(390)은 결합틀(380)의 좌측과 우측을 연결시키도록 좌우방향으로 형성된 좌우틀(391)과, 좌우틀(391)의 중앙에서 전방으로 형성된 전방틀(393)을 포함한다.
좌우틀(391)은 결합틀(380)의 좌우측 각각에서 수평방향을 이루도록 내측으로 연장되는 제1좌우틀(391a), 제1좌우틀(391a)에서 수직방향을 이루도록 절곡되어 하측으로 연장되는 제2좌우틀(391b), 제2좌우틀(391b)에서 다시 수평방향을 이루도록 내측으로 연장되어 서로 만나 일체로 형성되는 제3좌우틀(391c)을 포함한다.
전방틀(393)은 좌우틀(391)의 하측과 수직을 이루도록 전방으로 연장되는 제1전방틀(393a)과, 제1전방틀(393a)에서 수직방향을 이루도록 상측으로 절곡된 제2전방틀(393b)을 포함한다.
제2전방틀(393b)은 전측의 하부보스(301)보다 후측에 배치된다.
에어 컴프레서(AC)는 제2좌우틀(391b)과 제3좌우틀(391c)과 전방틀(393)에 의해 좌우방향과 전방으로 움직임이 제한된다.
에어 컴프레서(AC)의 후면, 보다 자세하게 모터는 pcb(P)와 연결된다. pcb(P)는 pcb지지리브(335)에 의해 흔들림이 제한되므로 에어 컴프레서(AC)는 후방으로의 움직임이 제한된다.
한편, pcb틀(370)에는 pcb틀보스(303)에 체결되는 볼트(미도시)가 관통 삽입되는 볼트삽입부(371)가 형성되고, pcb틀(370)의 후측 중앙부에는 led표시부(350)가 수용되는 led수용공(383)이 형성되고, led수용공(383) 좌측과 우측 각각에 led지지돌기(385)가 형성된다.
볼트삽입부(371)는 pcb틀(370)의 전측과 후측에 2 개씩 총 4 개가 형성된다.
보다 자세하게, 전측의 볼트삽입부(371)는 결합틀(380)과 제1좌우틀(391a)의 연결부에 배치되고, 후측의 볼트삽입부(371)는 후측의 하부보스(301)의 좌우측에 1 개씩 배치되도록 결합틀(380)의 내면 후측에 배치된다.
본 발명은 led표시부(350)를 더 포함한다.
led표시부(350)는 결합틀(380)의 후측과 대응되는 형상의 표시부몸체(531)와, 표시부몸체(531)의 전면에서 전측으로 돌출되어 pcb(P)에 연결되는 pcb연결돌기(381)와, 표시부몸체(531)의 후면에서 후측으로 돌출되어 led수용공(383)에 수용되는 틀삽입돌기(미도시)를 포함한다. 따라서 pcb(P)에 의해 발광된 led는 pcb연결돌기(381), 표시부몸체(531), 상기 틀삽입돌기(미도시)까지 전달되므로 led가 발광된 것을 액체 분무기의 외부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led표시부(350)는 배터리(B) 상태, 액체 분무 중, 전원스위치(320)가 눌렸을 때 등의 액체 분무기 상태를 나타내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 용기어댑터(200) ------------
본 발명은 상기 몸체(50)에 분리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액체용기(10)와 결합되는 용기어댑터(200)를 더 포함한다.
용기어댑터(200)는 하부몸체(300)의 용기결합부(321)와 결합되는 어댑터몸체(210)와, 어댑터몸체(210)의 개방된 상부를 폐쇄시키는 차단판(260)과, 용기본체(11)의 내부와 차단판(260)을 연결시키는 하측호스(23)와, 차단판(260)과 노즐(1000)을 연결시키는 상측호스(21)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차단판(260)에 설치되는 체크밸브(290)를 더 포함한다.
어댑터몸체(210)는 용기본체(11)의 입구가 나사 결합되도록 내주면 일부에 암나사산이 형성된다.
어댑터몸체(210)는 크게 3 개의 관으로 이루어진다. 이를 상관(220), 중관(230), 하관(240)이라 한다.
상관(220)의 직경 및 내경이 가장 작고, 하관(240)의 직경 및 내경이 가장 크다. 따라서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댑터몸체(210)의 내부에는 내경의 차이로 인해 용기본체(11)의 입구와 연결된 몸체(50)가 걸릴 수 있는 단턱이 2 개 생긴다.
상관(220)의 상하길이가 가장 길고, 중관(230)의 상하길이가 가장 작다.
상관(220)의 내주면에는 액체용기(10)에 형성된 수나사부와 체결될 수 있도록 암사나부(221)가 형성된다.
상관(220)의 외주면 전측에는 전원스위치(320)와 pcb(P)와 연결되는 스위치pcb(CP)가 삽입 지지되는 제2스위치pcb지지부(223)가 돌출 형성된다.
제2스위치pcb지지부(223)는 좌우 양측으로 이루어지며, 좌측과 우측이 전방으로 돌출되다가 단부에서 서로 마주보도록 수직으로 절곡되어 연장된다.
제2스위치pcb지지부(223)는 전방과 상부가 개방되어 있고, 하단이 중관(230)과 접촉되어 하부는 폐쇄되어 있다. 따라서 스위치pcb(CP)는 제2스위치pcb지지부(223)의 개방된 상부를 통해 하방으로 삽입되어 지지될 수 있다.
상관(220)의 외주면에는 차단판(260)을 결합 지지시키는 볼트(미도시)가 체결되는 암나사부가 형성된 차단판보스(225)가 상하방향으로 형성된다.
차단판보스(225)는 하단이 중관(230)과 접촉된다.
차단판보스(225)는 3 개가 형성되되, 상관(220)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서로 등간격을 이루며 형성된다.
한편, 하관(240)의 외주면에는 용기케이스(13)의 내면에 형성된 돌기(15)가 걸리는 결합홈(241)이 형성된다.
어댑터몸체(210)와 액체용기(10)를 결합시킬 때에는, 어댑터몸체(210)의 하관(240)이 액체용기(10)에 삽입되게 한 뒤 어댑터몸체(210)나 액체용기(10)를 회전시켜, 용기케이스(13)의 돌기(15)가 결합홈(241) 내측에 위치된 채 걸리게 하므로써 결합을 유지시킨다.
이를 위해 결합홈(241)은 하관(240)의 하단부터 상방으로 형성된 가조립홈(243)과, 가조립홈(243)의 상측에서 외주방향으로 형성된 지지홈(245)으로 이루어진다.
하관(240)에는 상단 테두리를 따라 플랜지(247)가 더 형성된다.
플랜지(247)는 하관(240)보다 상측으로 다소 돌출된다.
플랜지(247)의 상면은 하부몸체(300)의 용기결합부(321) 하측과 접촉되고, 플랜지(247)의 배면은 용기케이스(13)의 상측과 접촉된다. 즉 플랜지(247)는 몸체(50)와 액체용기(10)가 서로 직접 접촉되는 것을 막는다.
하관(240)의 상면에는 몸체결합돌기(249)가 돌출 형성된다.
몸체결합돌기(249)는 원형 관 형상이며, 중관(230)의 외주면 측부에 배치된다.
도 2,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체용기(10)는 용기본체(11)와, 용기본체(11)가 수용된 용기케이스(13)를 포함한다.
용기본체(11)는 접합부분이 없어 누수되지 않는다.
용기본체(11)와 용기케이스(13)는 일정간격 이격되어 있으며, 이격된 틈에 어댑터몸체(210)의 하관(240)의 하측이 삽입된다.
본 실시 예의 용기본체(11)의 사이즈는 어댑터몸체(210)에 결합시키면 하관(240)의 내주면과 접촉되지 않는 사이즈다.
본 발명은 어댑터몸체(210)가 있어 다양한 형상의 용기본체(11)를 결합시켜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차단판(260)의 형상은 상관(220)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대략 원판 형상이다.
차단판(260)은 액체용기(10)에 수용된 액체가 몸체(50)측으로 유출되는 것을 막는다.
차단판(260)의 외주면에는 3 개의 볼트삽입부(265)가 돌출 형성된다.
볼트삽입부(265)는 차단판보스(225)와 대응되도록 배치되며, 볼트(미도시)가 볼트삽입부(265)에 관통 삽입되고 차단판보스(225)에 체결되면 차단판(260)과 어댑터몸체(210)가 결합된다.
또한, 차단판(260)에는 스위치pcb(CP)의 상측을 지지하는 제2스위치pcb지지부(267)가 형성된다.
제2스위치pcb지지부(267)는 차단판(260)의 상면에서 상방으로 연장 형성되다가 전방을 향하도록 수직으로 절곡된다.
제2스위치pcb지지부(267)의 후면에는 차단판(260)의 상면과 연결된 리브가 더 형성된다.
제2스위치pcb지지부(267)는 제2스위치pcb지지부(223)의 상측에 위치되어, 스위치pcb(CP)가 상방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차단판(260)에는 수직방향으로 관통되는 액체유로가 형성되며, 상기 액체유로의 상단과 하단 각각에는 상기 상측호스(21)와 하측호스(23)가 연결되는 상호스연결관과 하호스연결관이 연결된다.
상호스연결관에는 노즐(1000)과 연결되는 상측호스(21)가 끼워지고, 하호스연결관에는 액체용기(10) 내부와 연통된 하측호스(23)가 끼워진다.
상호스연결관은 차단판(260)의 상면에, 하호스연결관은 차단판(260)의 하면에서 돌출 형성된다.
한편, 차단판(260)의 배면에는 링 형상의 패킹이 삽입되는 패킹홈(281)이 형성된다.
하호스연결관과 고정홀(261)과 배기홀(263)은 패킹홈(281)보다 내측에 배치된다.
용기어댑터(200)에 액체용기(10)가 결합되면, 용기본체(11)의 개구는 차단판(260)과 일정간격 이격되어 틈이 생긴다. 이때 패킹은 상기 틈을 막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액체는 용기어댑터(200)에서 누수되지 않고 상측호스(21)를 통해 하측호스(23)로 전달된다.
한편, 차단판(260)에는 후술될 밸브몸체(291)가 관통 삽입되는 고정홀(261)과, 고정홀(261)의 측부에 배기홀(263)이 형성된다.
고정홀(261)과 배기홀(263)은 차단판(260)을 상면 또는 배면에서 똑바로 볼 때, 차단판(260)의 중심에서 일측으로 치우치게 배치된다. 고정홀(261) 및 배기홀(263)의 중심축은 상기 액체유로의 중심축과 좌우로 나란하게 배치된다.
고정홀(261)의 직경이 배기홀(263)의 직경보다 크다.
배기홀(263)은, 액체 분무기 작동 시 몸체(50)의 입장에서 공기를 액체용기(10)로 배기하는 홀의 의미로 사용하였다.
체크밸브(290)는 고정홀(261)에 삽입 지지되는 원통형상의 밸브몸체(291)와, 밸브몸체(291)의 단부에 형성되어 차단판(260)의 배면에 접촉되는 머리부(293)와, 밸브몸체(291)의 대략 중앙부에 형성되어 체크밸브(290)가 하측으로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295)를 포함한다.
이러한 체크밸브(290)로 인해 액체 분무기 작동 시에는 공기가 상기 배기홀(263)을 통해 머리부(293)를 하측으로 밀어내면서 생긴 틈을 통해 상기 개구를 통해 용기본체(11)로 유입되고, 액체 분무기 정지 시에는 머리부(293)가 배기홀(263)을 막아 용기본체(11)의 개구가 막히므로 액체용기(10)가 넘어져도 용기 내의 액체가 몸체(50)측이나 외부로 누수되지 않아 사용이 편리하다.
============== 노즐(1000) ==============
노즐(1000)은 상기 몸체(50)에 연결되는 유체통과부재(700)와, 상기 유체통과부재(700)와 연통되도록 결합되는 토출부재(800)를 포함한다.
상기 노즐(1000)은 상기 에어 컴프레서(AC)의 배출구(OP)와 상기 액체용기(10)에 각각 연통되는 공기통로(721)와 액체통로(711)가 형성된 유체통과부재(700)와, 상기 유체통과부재(700)에 형성된 수용공간(705)에 삽입되어 액체를 분무시키는 토출부재(800)를 포함한다.
상기 토출부재(800)는 상기 액체통로(711)와 연통되는 제5액체통로(811)가 형성된 내부몸체(801)와, 상기 공기통로(721)와 연통되며 상기 내부몸체(801)가 삽입 수용되는 수용부(860)가 형성된 외부몸체(803)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이해를 돕기 위해 유체통과부재(700)의 액체통로(711)는 제4액체통로라 하고, 공기통로(721)는 제4공기통로라 한다.
상기 외부몸체(803)에 제1나사부(881)가 형성되고, 상기 유체통과부재(700)에는 상기 제1나사부(881)와 체결되는 제2나사부(723)가 형성되며, 상기 내부몸체(801)에는 제3나사부(831)가 형성되고, 상기 유체통과부재(700)에는 상기 제3나사부(831)와 체결되는 제4나사부(713)가 형성된다. 따라서 토출부재(800) 파손시 교체가 용이하고, 토출부재(800)와 유체통과부재(700)간에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하다. 즉 노즐(1000)의 조립 및 유지보수가 용이하다. 상기 나사부들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이후에 한다.
본 발명은 상기 몸체(50)와 결합되고 상기 노즐(1000)과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노즐커넥터(400), 상기 토출부재(800)와 상기 유체통과부재(700)가 수용되는 노즐케이스(900), 상기 노즐케이스(900)와 상기 노즐커넥터(400)와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케이스커넥터(500)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노즐(1000)은 유체통과부재(700)와 결합되며 노즐케이스(900) 내부에 수용되는 내부커넥터(600)와, 내부커넥터(600)와 노즐커넥터(400)에 결합되어 노즐케이스(900)의 개방된 후측을 가리는 케이스커넥터(500)를 더 포함한다.
본 실시 예에서 노즐(1000)은 토출부재(800), 유체통과부재(700), 내부커넥터(600), 케이스커넥터(500), 노즐케이스(9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노즐(1000)은 몸체(50)와 분리가 가능하여 교체 및 A/S의 편리성이 향상되었고, 다양한 노즐을 결합할 수 있어 본 발명의 사용의 편리성이 향상되었다.
또한, 노즐(1000)은 단부를 직선인 '一'자 형상 또는 45도 각도로 휘어지거나 90도 각도로 휘어진 'ㄱ'자 형상의 노즐로 형성하여 액체가 분무되는 방향을 다양하게 할 수도 있다. 본 실시 예의 노즐(1000)은 단부가 직선인 '一'자 형상이 적용되었다.
------------ 노즐커넥터(400) ------------
도 4a,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노즐커넥터(400)에는 상기 액체용기(10)와 연결되는 제1액체통로(411)와, 상기 에어 컴프레서(AC)의 토출구와 연결되는 제1공기통로(421)가 각각 형성된다.
노즐커넥터(400)는 전측 또는 후측에서 똑바로 볼 때, 대략 상하방향으로 길이가 긴 타원 형상이되, 도 4a를 기준으로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전후방향 두께가 두꺼워진다.
노즐커넥터(400)의 외형은 몸체(50)의 노즐커넥터상부수용부(120) 및 노즐커넥터하부수용부(305)와 대응되는 형상이다.
한편, 제1액체통로(411)와 제1공기통로(421)는 노즐커넥터(400)에 전후방향으로 관통 형성된다.
제1액체통로(411)는 대략 노즐커넥터(400)의 중앙보다 상측에 배치되며, 제1공기통로(421)는 노즐커넥터(400)의 중앙보다 하측에 배치된다.
한편, 노즐커넥터(400)의 후면 중앙부에는 상측호스(21)가 연결되는 제1액체관(420)과, 에어 컴프레서(AC)의 배출구가 삽입되는 제1공기관(430)이 형성된다.
제1공기관(430)은 제1액체관(420)보다 전후길이가 짧다.
제1액체관(420)은 제1공기관(430)의 상측에 배치된다.
노즐커넥터(400)의 전측에는 후술될 제2액체관과 제2공기관이 각각 삽입되는 제2후측액체관삽입부(412)와 제2후측공기관삽입부(422)가 전면에서 파져 형성된다.
제1액체통로(411)는 제1액체관(420)의 내부, 제2후측액체관삽입부(412)의 내부에도 형성되고, 제1공기통로(421)는 제1공기관(430)의 내부, 제2후측공기관삽입부(422)의 내부에도 형성된다.
한편, 노즐커넥터(400)에는 후면 좌우측이 움푹 파져 상부보스(149)의 전측과 하부보스(301)의 전측이 수용되는 보스수용부(410)가 형성된다.
보스수용부(410)는 노즐커넥터(400)의 상단부터 하단까지 형성된다.
한편, 노즐커넥터(400)의 배면에는 하부몸체(300)의 지지기둥(307)이 삽입되는 기둥삽입공(440)이 형성된다.
기둥삽입공(440)은 좌측 보스수용부(410)와 연결관 사이에 1 개, 우측 보스수용부(410)와 연결관 사이에 1 개, 즉 총 2 개가 형성된다.
기둥삽입공(440)은 보스수용부(410)보다 전측에 배치된다.
노즐커넥터(400)에는 케이스커넥터(500)와의 결합을 지지시키는 후술될 후측돌기(501)가 삽입되는 돌기삽입공(450)이 형성된다.
본 실시 예의 노즐(1000)은 액체를 다소 상방으로 분무시키기 위한 형태를 가지므로, 이를 위해 제1액체통로(411)와 제1공기통로(421)는 중앙부근부터 전측으로 갈수록 상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노즐커넥터(400)의 형상 또는 제1액체통로(411)와 제1공기통로(421)의 관통 방향은 액체를 분무시키고 싶은 방향에 따라 다르게 형성시킬 수 있다.
노즐커넥터(400)는 고무 재질로 형성되어 케이스커넥터(500)나 몸체(50)와의 조립작업과 교체작업이 편리하다.
------------ 케이스커넥터(500) ------------
도 2 내지 도 4a와 도 9에 도시된 케이스커넥터(500)에는 노즐커넥터(400)의 제1액체통로(411)와 제1공기통로(421)와 각각 연통되도록 제2액체통로(511)와 제2공기통로(521)가 전후방향으로 형성된다.
대략 원판 형상의 케이스커넥터(500)는 테두리를 따라 전측방향으로 형성된 결합플랜지를 포함한다.
결합플랜지는 외측에 배치되는 외측플랜지(507)와, 외측플랜지(507)보다 직경이 작은 내측플랜지(509)를 포함한다.
외측플랜지(507)의 길이는 내측플랜지(509)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므로, 내측플랜지(509)가 전측으로 더 돌출된다. 따라서 결합플랜지에는 단턱이 형성되며, 노즐케이스(900)는 내면이 결합플랜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케이스커넥터(500)는 상기 단턱을 이용해 노즐케이스(900)와 가조립될 수 있다.
케이스커넥터(500)와 노즐케이스(900)의 조립 완료를 위해 케이스커넥터(500)에는 볼트(미도시)가 관통 삽입되는 볼트삽입공(503)이 형성된다. 따라서 노즐케이스(900)에는 상기 볼트(미도시)가 체결되도록 볼트삽입공(503)과 대응되는 위치에 커넥터보스(925)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케이스커넥터(500)는 노즐커넥터(400)의 제1액체통로(411) 전측과 제1공기통로(421) 전측에 각각 삽입되는 제2후측액체관(531)과 제2후측공기관(532)을 더 포함한다.
제2후측액체관(531)과 제2후측공기관(532)은 케이스커넥터(500)의 후면에서 후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케이스커넥터(500)에는 내부커넥터(600)에 삽입되는 제2전측액체관(541)과 제2후측액체관(531)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제2액체통로(511)는 제2후측액체관(531)과 제2전측액체관(541)에도 형성되고, 상기 제2공기통로(521)는 제2후측공기관(532)과 제2전측공기관(542)에도 형성된다.
한편, 케이스커넥터(500)의 전면에는 제2전측액체관(541)의 좌측과 우측에 내부커넥터(600)에 삽입되는 전측돌기(505)가 형성된다.
또한 케이스커넥터(500)의 후면에는 노즐커넥터(400)에 삽입되는 후측돌기(501)가 형성된다.
------------ 내부커넥터(600) ------------
도 3과 도 4a에 도시된 내부커넥터(600)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이다.
내부커넥터(600)는 후술될 노즐케이스(900)의 커넥터보스(925)의 일부가 위치되는 보스수용홈(601)이 상측 모서리들과 양측면의 하측에 1 개씩 배치되도록 총 4 개가 형성된다.
상측 보스수용홈(601)은 수직단면이 대략 원을 1/4 등분한 형상이고, 하측의 보스수용홈(601)들은 수직단면이 반원 형상이다.
내부커넥터(600)에도 제3액체통로(611)와 제3공기통로(621)가 각각 전후방향으로 관통 형성된다.
한편,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커넥터(600)의 후면에는 제2전측액체관(541)과 제2전측공기관(542)이 삽입되는 제2전측액체관삽입부(612)와 제2전측공기관삽입부(622)가 각각 형성된다.
제2전측액체관삽입부(612)는 제3액체통로(611)를 일정간격 이격된 채 둘러싸도록 배치되고, 제2전측공기관삽입부(622)는 제3공기통로(621)를 일정간격 이격된 채 둘러싸도록 배치된다.
한편, 내부커넥터(600)의 전면에는 후술될 유체통과부재(700)의 직선관(703)과 경사관(701)이 각각 삽입되는 직선관삽입부(631)와 경사관삽입부(633)가 더 형성된다.
제3액체통로(611)는 직선관삽입부(631)에도 형성되고, 제3공기통로(621)는 경사관삽입부(633)에도 형성된다.
한편, 내부커넥터(600)에는 케이스커넥터(500)의 전측돌기(505)가 삽입되는 전측돌기삽입공(603)이 전후방향으로 관통 형성된다.
전측돌기삽입공(603)은 전측돌기(505)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며, 제2전측액체관삽입부(612)의 좌측과 우측에 각각 1 개씩 형성된다.
한편, 후술될 노즐케이스(900)의 제2케이스(920) 내면이 곡면으로 형성되므로, 내부커넥터(600)의 하측 전방 모서리는 제2케이스(920)와 최대한 밀착되도록 일부분이 곡면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내부커넥터(600)가 노즐케이스(900)에 완전히 삽입되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내부커넥터(600)는 전면이 노즐케이스(900)의 내면과 접촉되고, 후면이 케이스커넥터(500)의 전면과 접촉된다. 따라서 내부커넥터(600)는 노즐케이스(900) 내부에서 안정적으로 지지되며, 이로 인해 유체통과부재(700)와 케이스커넥터(500)를 안정적으로 연결시켜줄 수 있다.
내부커넥터(600)는 고무 재질로 형성되어 유체통과부재(700)와 케이스커넥터(500)와의 조립작업이나 교체작업이 편리하다.
------------ 유체통과부재(700) ------------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유체통과부재(700)는 대략 전후방향으로 나란한 직선관(703) 1 개에 경사관(701) 1개가 연결된 형상이다.
보다 자세하게, 상기 유체통과부재(700)에는 상기 액체용기(10)와 연통된 제4액체통로(711) 와 상기 에어 컴프레서(AC)의 토출구와 연통된 제4공기통로(721)가 형성된다.
제4액체통로(711)는 직선관(703)에 형성되고, 제4공기통로(721)는 경사관(701)에 형성된다.
제4액체통로(711)의 내경이 제4공기통로(721)의 내경보다 크다.
유체통과부재(700)는 전측에 수용공간(705)을 형성하는 수용면이 형성된다.
유체통과부재(700)는 수용공간(705)에 의해 전방이 개방되고, 제4액체통로(711)에 의해 후방이 개방된다.
수용공간(705)의 측부 일부는 제4공기통로(721)와 연통된다.
또한 도 4a,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공간(705)은 제4액체통로(711)보다 전방에 배치되며, 후측이 제4액체통로(711)와 연통된다.
수용공간(705)의 직경은 제4액체통로(711)의 직경보다 크다.
한편, 도 4a,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체통과부재(700)에는 상기 토출부재(800)의 내부몸체(801)가 결합되는 제4나사부(713)가 암나사부로 형성되고, 상기 제4나사부(713)보다 일측에 상기 토출부재(800)의 외부몸체(803)와 결합되는 제2나사부(723)가 암나사부로 형성된다.
제2나사부(723)는 제4공기통로(721)보다 전측에 배치되되, 수용공간(705)을 형성하는 상기 수용면의 대략 중앙부에 형성된다.
제4나사부(713)는 제4액체통로(711)를 형성하는 내주면의 일부이다.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즐(1000)이 조립된 경우, 유체통과부재(700)의 수용공간(705)에는 내부몸체(801)와 외부몸체(803)에 둘러싸여 제4공기통로(721)와 연통되는 공기유입공간(740)이 형성된다.
상기 공기유입공간(740)은 내부몸체(801)의 걸림플랜지(829)와 외부몸체(803)의 제2나사부(723) 사이에 상기 유체통과부재(700)의 상기 내주면과 내부몸체(801)의 제1바디(810)에 둘러싸여 형성된다.
한편, 유체통과부재(700)에는 직선관(703)의 후측과 경사관(701)의 후측 각각에 내부커넥터(600)에 삽입되는 직선삽입관(731)과 경사삽입관(733)이 형성된다.
직선삽입관(731)과 경사삽입관(733)은 내부커넥터(600)의 상기 직선관삽입부(631)와 상기 경사관삽입부(633)에 각각 삽입된다.
한편, 직선관(703)의 상측과 좌측과 우측 각각에는 결합리브(741)가 전후방향으로 형성된다.
결합리브(741)는 노즐케이스(900)의 형상과 대응되도록 전측에서 후측으로 갈수록 폭이 커진다.
상기 결합리브(741)들은 후술될 노즐케이스(900)의 내면에 형성된 수용돌기(915)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 삽입된다. 따라서 유체통과부재(700)는 노즐케이스(900)에 삽입되어 회전되지 않고 위치가 유지될 수 있다.
------------ 토출부재(800) ------------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토출부재(800)는 상기 외부몸체(803)와 상기 내부몸체(801)를 포함한다.
------------ 내부몸체(801) ------------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원형 관 형상의 내부몸체(801)는 유체통과부재(700)의 수용공간(705)과 외부몸체(803)의 후술될 바디수용공(861)에 삽입되는 제1바디(810)와, 제1바디(810)의 전측 단부에 돌출 형성된 노출부(833), 제1바디(810)의 전측에 양측방으로 각각 형성된 돌출부(820), 제1바디(810)의 후측에 가깝게 형성된 걸림플랜지(829)와, 제1바디(810)의 후측 단부에 연결되며 수나사부로 형성되는 상기 제3나사부(831), 내부몸체(801) 전반에 걸쳐 전후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제5액체통로(811)를 포함한다.
제1바디(810)는 전측이 전측으로 갈수록 외경이 작아지다가 노출부(833)와 연결된다.
내부몸체(801)의 구성 중 노출부(833)의 직경이 가장 작다.
상기 내부몸체(801)에는 상기 제5액체통로(811)와 상기 분무유도부(871)에 연통되는 액체토출구(815)가 전후방향으로 관통 형성된다.
액체토출구(815)는 제5액체통로(811)의 일단, 즉 전측 단부에 형성된다.
돌출부(820)는 일정한 두께로 제1바디(810)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다.
돌출부(820)는 2 개가 형성되며, 2 개의 돌출부(820)가 서로 마주보는 변 사이에는 상기 내부몸체(801)에는 공기토출방향으로 공기토출유도홈(825)이 형성된다. 따라서 유체통과부재(700)와 토출부재(800)가 결합되면, 공기토출유도홈(825)에 의해 외부몸체(803)와 내부몸체(801)간에 이격 간격이 넓어져 공기토출유도홈(825)을 통해 공기가 보다 원활하게 통과될 수 있다.
걸림플랜지(829)와 제3나사부(831) 사이에는 링 형상의 패킹(835)이 끼워지는 패킹홈(도면부호 미도시)이 형성된다.
패킹(835)은 도 4a,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체통과부재(700)의 내주면에 형성된 돌출턱(750)에 접촉되어, 걸림플랜지(829)와 돌출턱(750) 사이의 틈을 폐쇄시킨다. 따라서 액체는 내부몸체(801)와 유체통과부재(700) 사이로 누수되지 않는다.
누수 방지를 위해 패킹(835)의 내경은 걸림플랜지(829)의 외경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 외부몸체(803) ------------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원형 관 형상의 외부몸체(803)는 노즐케이스(900)보다 전측으로 돌출되도록 노출되는 제2바디(870)와, 제2바디(870)의 후측에 연결되어 노즐케이스(900)의 전측 개방부와 유체통과부재(700)의 수용공간(705)에 수용되는 제3바디(880)와, 서로 연통된 분무유도부(871)와 상기 수용부(860)를 포함하는 관통공이 전후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외부몸체(803)의 일단에는 일측으로 갈수록 폭이 커지는 분무유도부(871)가 상기 수용부(860)와 연통되도록 형성된다.
외부몸체(803)의 상기 관통공은 수용부(860)와 분무유도부(871)가 연통되도록 제2바디(870)에 형성되는 노출부삽입공(862)을 더 포함한다.
외부몸체(803)의 수용부(860)는 내부몸체(801)의 제1바디(810)가 수용되는 바디수용(861)과 노출부(833)가 관통 삽입되는 노출부삽입공(862)을 포함한다. 바디수용공(861)의 직경이 노출부삽입공(862)의 직경보다 크다.
바디수용공(861)의 전측은 노출부삽입공(862)과 연통되고, 바디수용공(861)의 후측은 공기유입공간(740)과 연통된다. 따라서 공기는 제4공기통로(721)에서 배출된 후 공기유입공간(740)과 바디수용공(861)과 노출부삽입공(862)을 통과한 뒤 분무유도부(871)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한편, 내부몸체(801)가 외부몸체(803)의 바디수용공(861)에 삽입 수용되면, 도 4a,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부몸체(801)는 상기 제5액체통로(811)의 일측 단부가 상기 수용부(860)보다 일측, 즉 전측에 배치되어 상기 분무유도부(871) 내에 수용된다. 즉 노출부(833)는 외부몸체(803)의 노출부삽입공(862)에 관통 삽입되므로, 전측 단부인 액체토출구(815)가 노출부삽입공(862)보다 전측에 배치되어 분무유도부(871) 내에 수용된다.
이때, 노출부삽입공(862)이 분무유도부(871)에 둘러싸이게 배치되고, 노출부(833)의 액체토출구(815)는 노출부삽입공(862)에 둘러싸이게 배치된다.
분무유도부(871)는 제2바디(870)의 전면이 내측으로 움푹 들어가도록 형성된 것이며, 전측에서 후측으로 갈수록 내측으로 경사진 경사면(873)과, 경사면(783)과 노출부삽입공(862)을 형성하는 내주면과 수직으로 연결된 내주면(879)에 의해 형성된 공간이다. 따라서 상기 분무유도부(871)는 상기 액체토출구(815)와 멀어질수록, 즉 분무방향인 전측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게 형성된다.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이 제5액체통로(811)의 일측 단부가 분무유도부(871) 내에 수용되도록, 분무유도부(871)를 형성하는 내주면(879)은 노출부(833)의 일측 단부, 즉 전측 단부와 평행하게 배치되되, 노출부(8330)의 일측 단부보다는 후측에 배치된다.
이로 인해 액체 분무기 작동 시 액체는 직선방향이 아니라 사방으로 넓게 분무될 수 있다.
이때 노즐(1000)을 전측에서 똑바로 보면, 노출부삽입공(862)은 링 형상의 단면을 갖고, 액체토출구(815)는 원형 단면을 갖는다.
또한, 도 4c에 도시된 노출부삽입공(862)을 형성하는 내주면과 노출부(833) 외주면의 측방향 간격(AD)과 액체토출구(815)의 직경(LD)은 같은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 예에서 노출부삽입공(862)을 형성하는 내주면과 노출부(833) 외주면의 측방향 간격(AD)은 0.1mm이며, 액체토출구(815)의 직경(LD)은 0.1mm이다.
한편, 제2바디(870)에는 손이나 도구로 잡고 회전시켜 풀기 쉽도록 홈(도면부호 미도시)이 복수 개가 등간격으로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다.
한편, 제3바디(880)는 내부몸체(801)처럼 링 형상의 패킹(미도시)이 삽입되는 홈(883)이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다. 본 실시 예에서 제3바디(880)에는 패킹(미도시)이 2 개 삽입된다.
또한, 제3바디(880)에는 상기 패킹(미도시)이 삽입되는 홈(883)의 후측에는 상기 제1나사부(881)가 수나사부로 형성된다.
제3바디(880)의 외경은 제2바디(870)의 외경보다 작다. 이로 인해 외부몸체(803)를 노즐케이스(900)에 결합시킬 때, 외경이 큰 제2바디(870)가 노즐케이스(900)의 전면에 걸리므로, 외부몸체(803)는 유체통과부재(700)에 일정 깊이 이상 삽입되지 않아 조립이 용이하다.
---------- 노즐 케이스 ----------
도 2 내지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즐 케이스는 대략 원형 관 형상이다.
보다 자세하게, 노즐 케이스는 토출부재(800)와 유체통과부재(700)가 삽입 수용되는 제1케이스(910)와, 내부커넥터(600)가 삽입 수용되고 케이스커넥터(500)가 결합되는 제2케이스(920)를 포함한다.
제1케이스(910)의 직경이 제2케이스(920)의 직경보다 크다.
제1케이스(910)는 전측부와 외주부로 이루어진다. 제1케이스(910)의 상기 전측부는 외부몸체(803)의 제2바디(870)가 걸리고 제3바디(880)의 외주면을 둘러싼다. 제1케이스(910)의 상기 외주부는 내면에 유체통과부재(700)의 상기 리브가 끼워지는 상기 수용돌기(915)가 상측과 좌측과 우측에 각각 형성된다.
제2케이스(920) 또한 전측부와 외주부로 이루어진다.
제2케이스(920)에는 후방으로 돌출된 상기 커넥터보스(925)가 형성된다. 본 실시 예에서 커넥터보스(925)는 제2케이스(920)의 상기 전측부와 외주부 전반에 걸쳐 형성된다.
제2케이스(920)의 후면 테두리에는 케이스커넥터(500)가 걸려 가조립되도록 단턱을 형성하는 플랜지(927)가 형성된다.
전술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노즐(1000)은 액체통로(411,511,611,711,811)와 공기통로(421,521,621,721)가 직선구조로 형성되므로 내부 구조의 확인이 용이하여 파손시 확인이 가능하므로 빠르게 수리할 수 있어 본 발명 액체 분무기의 사용이 용이하다.
---------- 조립 방법의 일 예 ----------
이하에서는 도 2, 도 3, 도 15와 같이 분해된 본 발명의 구성들을 조립하는 방법의 일 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우선, 도 2에 도시된 몸체(50), 노즐커넥터(400)의 조립 방법을 설명한다.
우선, pcb틀(370)에 led표시부(350)를 조립시킨다.
이후, pcb틀(370)을 하부몸체(300)에 결합시킨다.
이후, pcb(P)가 연결된 에어 컴프레서(AC)를 하부몸체(300) 내에 수용되도록 pcb틀(370)에 결합시킨다.
이후, 하부몸체(300)의 지지기둥(307)을 노즐커넥터(400)에 끼워 노즐커넥터(400)와 하부몸체(300)를 결합시킨다.
이후, 상부몸체(100)를 하부몸체(300)와 pcb틀(370)과 결합시킨다.
이후, 배터리(B)를 상부몸체(100)의 배터리수용부(140)에 수용시킨다.
이후, 뚜껑(170)을 상부몸체(100)와 결합시킨다.
이후, 마감링(180)을 상부몸체(100)의 마감링결합부(110)와 결합시켜 몸체(50)의 조립이 완료된다.
다음으로 도 3에 도시된 노즐을 조립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케이스커넥터(500)의 전측에 내부커넥터(600)를 결합시킨다.
이후, 내부커넥터(600)의 전측에 유체통과부재(700)를 결합시킨다.
이후, 유체통과부재(700)에 내부몸체(801)를 결합시킨다. 이때 내부몸체(801)와 유체통과부재(700)의 결합시, 내부몸체(801)를 상기 단턱과 접촉될 때까지 삽입시키면, 경사삽입관(733)이 제4액체통로(711)에 삽입되어 제4나사부(713)와 결합된다.
이후, 상기 과정을 통해 서로 결합된 내부몸체(801), 유체통과부재(700), 내부커넥터(600), 케이스커넥터(500)를 노즐케이스(900)에 삽입시킨다.
이후, 노즐케이스(900)의 전측에서 후측방향으로 외부몸체(803)를 삽입하여 외부몸체(803)를 유체통과부재(700)와 결합시켜 노즐(1000)의 조립이 완료된다.
이렇게 조립된 노즐(1000)을 후술될 몸체(50)에 결합되는 노즐커넥터(400)와 결합시킨다.
도 2와 도 15, 도 16에 도시된 액체용기(10)와 용기어댑터(200)의 조립 방법을 설명한다.
액체용기(10)를 어댑터몸체(210)와 결합시킨다.
이후, 어댑터몸체(210)에 스위치pcb(CP)를 삽입 지지시킨다.
이후, 차단판(260)에 체크밸브(290)를 삽입 지지시킨다.
이후, 차단판(260)을 어댑터몸체(210)와 결합되도록 볼트(미도시)를 어댑터몸체(210)에 체결시켜 결합시킨다.
상기 과정을 통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체용기(10)와 용기어댑터(200)가 조립된 후, 이를 몸체(50)와 결합시켜 본 발명의 조립을 완료한다.
---------- 본 발명의 작동 ----------
스위치pcb(CP)에 연결된 전원스위치(320)가 눌리면 신호가 발생되고, 상기 신호가 pcb(P)에 전달되고, 신호를 전달받은 pcb(P)에 의해 에어 컴프레서(AC)가 작동되면서 에어 컴프레서(AC)에서 흡입구로 공기를 흡입하면서 배출구로 공기를 배출시킨다.
이때 배출된 공기는 곧바로 노즐커넥터(400)의 제1공기통로(421), 케이스커넥터(500)의 제2공기통로(521), 내부커넥터(600)의 제3공기통로(621), 유체통과부재(700)의 제4공기통로(721), 공기유입공간(740), 토출부재(800)의 바디수용공(861)과 노출부삽입공(862), 외부몸체(803)의 분무유도부(871)를 순서대로 거쳐 사방으로 고속 배출된다.
공기가 고속으로 배출되어 분무유도부(871) 내의 압력이 대기압보다 낮아지므로, 상대적으로 압력이 높은 액체용기(10) 내부에 수용된 액체가 액체호스를 통해 상승된 후, 상측호스(21)가 연결된 노즐커넥터(400)의 제1액체통로(411), 케이스커넥터(500)의 제2액체통로(511), 내부커넥터(600)의 제3액체통로(611), 유체통과부재(700)의 제4액체통로(711), 내부몸체(801)의 제5액체통로(811)와 액체토출구(815)를 순서대로 거쳐 배출되며, 액체토출구(815)로 배출되는 순간 분무유도부(871) 내에서 압축공기와 혼합되어 외부 공간에 마이크로로 무화(atomization)되므로, 분무효과가 좋다.
한편, 패킹(835)은 도 4a, 도 4b에 도시된 바와 달리 걸림플랜지(829)의 후면과 돌출턱(750)의 전면에 접촉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
10 : 액체용기 50 : 몸체
100 : 상부몸체 170 : 뚜껑
200 : 용기어댑터 210 : 어댑터몸체
260 : 차단판 261 : 고정홀
263 : 배기홀 290 : 체크밸브
300 : 하부몸체 320 : 전원스위치
350 : led표시부 370 : pcb틀
400 : 노즐커넥터 411 : 제1액체통로
421 : 제1공기통로 500 : 케이스커넥터
511 : 제2액체통로 521 : 제2공기통로
600 : 내부커넥터 611 : 제3액체통로
621 : 제3공기통로 700 : 유체통과부재
711 : 제4액체통로 713 : 제4나사부
723 : 제2나사부 721 : 제4공기통로
800 : 토출부재 801 : 내부몸체
811 : 제5액체통로 815 : 액체토출구
825 : 공기토출유도홈 831 : 제3나사부
861 : 바디수용공 862 : 노출부삽입공
871 : 분무유도부 881 : 제1나사부
900 : 노즐케이스

Claims (3)

  1. 액체용기가 연결되고 에어 컴프레서가 구비되는 몸체;
    상기 에어 컴프레서와 상기 액체용기에 연결되도록 상기 몸체에 연결되는 노즐;을 포함하되,
    상기 노즐은 상기 에어 컴프레서의 배출구와 상기 액체용기에 각각 연통되는 공기통로와 액체통로가 형성된 유체통과부재와, 상기 유체통과부재에 형성된 수용공간에 삽입되어 액체를 분무시키는 토출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토출부재는 상기 액체통로와 연통되는 제5액체통로가 형성된 내부몸체와, 상기 공기통로와 연통되며 상기 내부몸체가 삽입 수용되는 수용부가 형성된 외부몸체를 포함하며,
    상기 외부몸체에 제1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유체통과부재에는 상기 제1나사부와 체결되는 제2나사부가 형성되며,
    상기 내부몸체에는 제3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유체통과부재에는 상기 제3나사부와 체결되는 제4나사부가 형성되는 액체 분무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외부몸체의 일단에는 일측으로 갈수록 폭이 커지는 분무유도부가 상기 수용부와 연통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내부몸체는 상기 제5액체통로의 일측 단부가 상기 수용부보다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분무유도부 내에 수용되는 액체 분무기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몸체와 결합되고 상기 노즐과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노즐커넥터;
    상기 토출부재와 상기 유체통과부재가 수용되는 노즐케이스;
    상기 노즐케이스와 상기 노즐커넥터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케이스커넥터;를 더 포함하는 액체 분무기

KR1020180167079A 2018-12-21 2018-12-21 액체 분무기 KR20200077828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7079A KR20200077828A (ko) 2018-12-21 2018-12-21 액체 분무기
CN201910202706.9A CN111346750A (zh) 2018-12-21 2019-03-18 液体喷雾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7079A KR20200077828A (ko) 2018-12-21 2018-12-21 액체 분무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7828A true KR20200077828A (ko) 2020-07-01

Family

ID=711885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7079A KR20200077828A (ko) 2018-12-21 2018-12-21 액체 분무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00077828A (ko)
CN (1) CN111346750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760722A (zh) * 2020-07-28 2020-10-13 士商(上海)机械有限公司 喷雾器
KR102369971B1 (ko) * 2020-11-30 2022-03-02 현상균 교체형 노즐팁이 장착된 전동분무기
KR20220124552A (ko) 2021-03-03 2022-09-14 차진석 액체 분무기
KR102485643B1 (ko) * 2021-08-04 2023-01-05 최재우 이류체 분사 노즐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8279B1 (ko) 2010-08-27 2013-01-18 주식회사 한두아이펨 액체분무장치
KR20170109798A (ko) 2016-03-22 2017-10-10 (주)캠스텍 소형 초미립자 분무기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532437A (en) * 1939-08-31 1941-01-23 Charles Fletcher Lumb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the spraying of liquids
US20160339458A1 (en) * 2015-05-19 2016-11-24 Neutek International Inc. Structure of gyrating nozzle spray gun
CN106111379A (zh) * 2016-08-31 2016-11-16 宁波浩盛气动机械有限公司 一种液体喷枪
US11135610B2 (en) * 2017-01-22 2021-10-05 Graco Minnesota Inc. Retention and disassembly of HVLP spray cap assembly
CN207478832U (zh) * 2017-09-07 2018-06-12 广东艾诗凯奇智能科技有限公司 喷雾仪及其喷嘴结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8279B1 (ko) 2010-08-27 2013-01-18 주식회사 한두아이펨 액체분무장치
KR20170109798A (ko) 2016-03-22 2017-10-10 (주)캠스텍 소형 초미립자 분무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760722A (zh) * 2020-07-28 2020-10-13 士商(上海)机械有限公司 喷雾器
KR102369971B1 (ko) * 2020-11-30 2022-03-02 현상균 교체형 노즐팁이 장착된 전동분무기
KR20220124552A (ko) 2021-03-03 2022-09-14 차진석 액체 분무기
KR102485643B1 (ko) * 2021-08-04 2023-01-05 최재우 이류체 분사 노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1346750A (zh) 2020-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77828A (ko) 액체 분무기
US9878337B1 (en) Sprayer
US8403183B2 (en) Device for attaching a dip tube to a fluid container
BRPI1005361A2 (pt) plataforma para pistolas de aspersão de líquidos, conjuntos de cabeça de aspersão de líquidos e pistola de aspersão de líquidos
JP2008535651A (ja) 流体を容器から計量配分するための投与ヘッド
CN218232840U (zh) 一种雾化喷射装置及衣物处理设备
CN110062662B (zh) 具有保持装置的喷枪气嘴
CN110693087A (zh) 电子雾化装置及其雾化器
CN104713085A (zh) 燃烧器及燃气用具
KR102210851B1 (ko) 나선형 돌출부를 이용하는 액체 분무기
KR101709230B1 (ko) 공기 주입 및 고무액 보충용 공기압축기 장치
CN112638820A (zh) 用于闭环液体分配***的带阀连接器
CN104706272A (zh) 液体抽汲装置及其储液罐组件
JP2022192030A (ja) 緊急装置
KR102455456B1 (ko) 액체 분무기
CN204534581U (zh) 燃烧器及燃气用具
KR200445484Y1 (ko) 약제액통이 구비된 분사기
KR101869295B1 (ko) 전동식 분무기
US1140301A (en) Atomizer or the like.
CN217725977U (zh) 一种喷雾器
CN217244023U (zh) 一种方便拆装水箱的小气泡清洁仪
US20230321306A1 (en) Aromatherapy nebulizer
TWI837816B (zh) 泡沫噴壺及用於泡沫噴壺的快拆結構
WO2019109396A1 (zh) 一种多种出水方式的玩具水枪喷头及玩具水枪
CN215088132U (zh) 一种喷雾器用便于拆卸更换的喷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