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76137A - 차체 부품 보강용 플라스틱 복합소재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차체 부품 보강용 플라스틱 복합소재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76137A
KR20200076137A KR1020180164930A KR20180164930A KR20200076137A KR 20200076137 A KR20200076137 A KR 20200076137A KR 1020180164930 A KR1020180164930 A KR 1020180164930A KR 20180164930 A KR20180164930 A KR 20180164930A KR 20200076137 A KR20200076137 A KR 202000761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stic composite
composite material
reinforcing
body parts
s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49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민관
박병학
박상언
김태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Priority to KR10201801649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76137A/ko
Publication of KR202000761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613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00Layered products having a non-planar sh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0/00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C70/04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comprising reinforcements only, e.g. self-reinforcing plastics
    • B29C70/06Fibrous reinforcements only
    • B29C70/10Fibrous reinforcements only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fibrous reinforcements, e.g. hollow fibres
    • B29C70/16Fibrous reinforcements only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fibrous reinforcements, e.g. hollow fibres using fibres of substantial or continuous leng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0/00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C70/04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comprising reinforcements only, e.g. self-reinforcing plastics
    • B29C70/28Shaping operations therefor
    • B29C70/30Shaping by lay-up, i.e. applying fibres, tape or broadsheet on a mould, former or core; Shaping by spray-up, i.e. spraying of fibres on a mould, former or co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4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 B32B37/15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with at least one layer being manufactured and immediately laminated before reaching its stable state, e.g. in which a layer is extruded and laminated while in semi-molten state
    • B32B37/153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with at least one layer being manufactured and immediately laminated before reaching its stable state, e.g. in which a layer is extruded and laminated while in semi-molten state at least one layer is extruded and immediately laminated while in semi-molten st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0012Mechanical treatment, e.g. roughening, deforming, stretc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3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with respect to the orientation of fea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10Inorganic fibres
    • B32B2262/101Glass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10Inorganic fibres
    • B32B2262/106Carbon fibres, e.g. graphite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5/08Reinforc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605/00Vehicles
    • B32B2605/08C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Extru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차체 부품 보강용 플라스틱 복합소재가 개시된다. 개시된 본 발명의 예시적인 일 실시 예에 따른 차체 부품 보강용 플라스틱 복합소재는 ⅰ)유리 섬유소재를 포함하는 장섬유 강화 플라스틱 복합재로 이루어진 코어재와, ⅱ)코어재의 외 표면을 감싸는 내피와, ⅲ)탄소 섬유소재를 포함하는 연속섬유 강화 플라스틱 복합재로 이루어지며, 내피의 외 표면을 감싸는 미디엄재와, ⅳ)미디엄재의 외 표면을 감싸는 외피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체 부품 보강용 플라스틱 복합소재 및 이의 제조방법 {COMPLEX MATERIALS FOR VEHICLE PARTS REINFORC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차체 부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폐 단면을 갖는 스틸 소재의 차체 부품에 보강재로서 적용될 수 있는 플라스틱 복합소재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체를 이루는 부품들은 충돌 시의 안전성을 강화할 목적으로, 패널의 두께를 늘리거나 또는 패널에 보강용 패널(소위, 보강재)을 설치하여 전체적인 강도 및 강성을 높이는 한편 충격 에너지 흡수성 향상시키고 있다.
한편, 자동차 산업에서는 환경 문제에 따른 연비의 향상을 위해 알루미늄 합금, 마그네슘 합금 및 플라스틱 복합소재 등의 사용을 통하여 차체의 경량화를 도모하고 있다.
예를 들어, 알루미늄 합금, 마그네슘 합금 또는 플라스틱 복합소재와 같은 경량소재 만을 차체에 적용할 경우는 자동차 안정도 평가를 만족하기 위해 많은 설계 및 제조비용이 든다.
그러나, 고 장력 강판 등과 같은 스틸 소재의 부품에 보강재로서의 상기한 경량소재를 적용하는 경우는 차체의 경량화 및 자동차 안정도 평가 만족과 함께 제조비용을 줄일 수 있다.
여기서, 플라스틱 복합소재는 섬유소재를 강화재로 하고, 고강도 고탄성의 경량 구조재료로서 주목 받고 있는 첨단 복합 재료이며, 경량 구조용 재료로서 뛰어난 특성을 갖고 있다.
이와 같은 플라스틱 복합소재는 유리 섬유 강화 플라스틱(GFRP: Glass Fiber Reinforced Plastic) 소재와, 탄소 섬유 강화 플라스틱(CFRP: Carbon Fiber Reinforced Plastic) 소재를 예로 들 수 있다.
하지만, 차체 부품의 보강재를 유리 섬유 강화 플라스틱 소재로만 적용한 경우는 보강재가 갖는 강성 및 강도 등의 기계적인 물성이 취약하다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차체 부품의 보강재를 탄소 섬유 강화 플라스틱 소재로만 적용한 경우는 기계적인 물성이 우수하나, 유리 섬유 강화 플라스틱 소재에 비해 제조 단가가 상승한다는 단점이 있다.
이 배경기술 부분에 기재된 사항은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기 위하여 작성된 것으로서,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 기술이 아닌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차체 부품의 경량화를 도모하면서 차체 부품의 강성 및 강도를 보강할 수 있도록 유리 섬유 강화 플라스틱 복합재와 탄소 섬유 강화 플라스틱 복합재로 성형되는 차체 부품 보강용 플라스틱 복합소재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체 부품 보강용 플라스틱 복합소재는, ⅰ)유리 섬유소재를 포함하는 장섬유 강화 플라스틱 복합재로 이루어진 코어재와, ⅱ)상기 코어재의 외 표면을 감싸는 내피와, ⅲ)탄소 섬유소재를 포함하는 연속섬유 강화 플라스틱 복합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내피의 외 표면을 감싸는 미디엄재와, ⅳ)상기 미디엄재의 외 표면을 감싸는 외피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차체 부품 보강용 플라스틱 복합소재에 있어서, 상기 코어재는 상기 장섬유 강화 플라스틱 복합재를 설정된 길이로 압출 성형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차체 부품 보강용 플라스틱 복합소재에 있어서, 상기 미디엄재는 상기 연속섬유 강화 플라스틱 복합재를 연속적으로 인발 성형한 와이어 소재를 상기 내피의 외 표면에 서로 다른 방향으로서 복수의 층으로 적층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차체 부품 보강용 플라스틱 복합소재에 있어서, 상기 미디엄재는 상기 내피의 외 표면에 상기 와이어 소재를 상기 코어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한쪽 사선방향으로 기울어지게 와인딩 하여 형성되는 제1 와인딩 층과, 상기 제1 와인딩 층의 외 표면에 상기 와이어 소재를 상기 코어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직선방향으로 랩핑 하여 형성되는 랩핑 층과, 상기 랩핑 층의 외 표면에 상기 와이어 소재를 상기 코어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른 한쪽 사선방향으로 기울어지게 와인딩 하여 형성되는 제2 와인딩 층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차체 부품 보강용 플라스틱 복합소재에 있어서, 상기 랩핑 층은 상기 제1 및 제2 와인딩 층보다 더 두꺼운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차체 부품 보강용 플라스틱 복합소재에 있어서, 상기 내피 및 외피는 장섬유 강화 플라스틱 복합재로서 압출 성형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체 부품 보강용 플라스틱 복합소재는, 폐 구간을 지니며 설정된 곡률로 밴딩된 차체 부품에서 상기 폐 구간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ⅰ)상기 차체 부품의 양 단부에 각각 대응하여 직선 타입으로 구비되는 직선 구간부와, ⅱ)양측 직선 구간부 사이에 배치되며, 곡선 타입으로 구비되는 곡선 구간부와, ⅲ)상기 각 직선 구간부와 상기 곡선 구간부를 연결하는 구간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차체 부품 보강용 플라스틱 복합소재에 있어서, 상기 구간 연결부는 상기 직선 구간부 및 상기 곡선 구간부의 연결 단에 끼워지고, 열에 의해 용융되며, 상기 직선 구간부와 상기 곡선 구간부를 융착하는 연결 부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차체 부품 보강용 플라스틱 복합소재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시는 열가소성수지의 플라스틱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차체 부품 보강용 플라스틱 복합소재에 있어서, 상기 직선 구간부 및 곡선 구간부는 유리 섬유소재를 포함하는 장섬유 강화 플라스틱 복합재로 이루어진 코어재와, 상기 코어재의 외 표면을 감싸는 내피와, 탄소 섬유소재를 포함하는 연속섬유 강화 플라스틱 복합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내피의 외 표면을 감싸는 미디엄재와, 상기 미디엄재의 외 표면을 감싸는 외피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차체 부품 보강용 플라스틱 복합소재에 있어서, 상기 코어재는 상기 장섬유 강화 플라스틱 복합재를 설정된 길이로 압출 성형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차체 부품 보강용 플라스틱 복합소재에 있어서, 상기 미디엄재는 상기 연속섬유 강화 플라스틱 복합재를 연속적으로 인발 성형한 와이어 소재를 상기 내피의 외 표면에 서로 다른 방향으로서 복수의 층으로 적층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차체 부품 보강용 플라스틱 복합소재에 있어서, 상기 미디엄재는 상기 내피의 외 표면에 상기 와이어 소재를 상기 코어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한쪽 사선방향으로 기울어지게 와인딩 하여 형성되는 제1 와인딩 층과, 상기 제1 와인딩 층의 외 표면에 상기 와이어 소재를 상기 코어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직선방향으로 랩핑 하여 형성되는 랩핑 층과, 상기 랩핑 층의 외 표면에 상기 와이어 소재를 상기 코어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른 한쪽 사선방향으로 기울어지게 와인딩 하여 형성되는 제2 와인딩 층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차체 부품 보강용 플라스틱 복합소재는, 서로 접합된 인너 패널과 아웃터 패널 사이에 상기 폐 구간을 형성하는 상기 차체 부품으로서의 루프 사이드에서 상기 폐 구간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체 부품 보강용 플라스틱 복합소재의 제조방법은, (a) 유리 섬유소재를 포함하는 장섬유 강화 플라스틱 복합재를 설정된 길이로 압출 성형한 코어재를 제공하는 과정과, (b) 상기 코어재의 외 표면에 내피를 압출 성형하는 과정과, (c) 탄소 섬유소재를 포함하는 연속섬유 강화 플라스틱 복합재를 연속적으로 인발 성형한 와이어 소재를 제공하는 과정과, (d) 상기 내피의 외 표면에 상기 와이어 소재를 서로 다른 방향으로서 복수의 층으로 적층하여 미디엄재를 성형하는 과정과, (e) 상기 미디엄재의 외 표면에 외피를 압출 성형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차체 부품 보강용 플라스틱 복합소재의 제조방법은, 상기 (e) 과정 이후에, 상기 코어재, 내피, 미디엄재 및 외피를 포함하는 성형재를 직선 타입으로 펴주는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차체 부품 보강용 플라스틱 복합소재의 제조방법은, 상기 (e) 과정 이후에, 상기 코어재, 내피, 미디엄재 및 외피를 포함하는 성형재에 설정된 곡률을 부여하며 곡선 타입으로 밴딩하는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차체 부품 보강용 플라스틱 복합소재의 제조방법은, 상기 (e) 과정 이후에, 상기 코어재, 내피, 미디엄재 및 외피를 포함하는 성형재를 직선 타입으로 펴주며 직선 구간부를 성형하는 과정과, 상기 코어재, 내피, 미디엄재 및 외피를 포함하는 성형재를 곡선 타입으로 밴딩하며 곡선 구간부를 성형하는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차체 부품 보강용 플라스틱 복합소재의 제조방법은, 상기 각 직선 구간부 사이에 상기 곡선 구간부를 두고 상기 직선 구간부와 상기 곡선 구간부를 구간 연결부를 통해 연결하는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차체 부품 보강용 플라스틱 복합소재의 제조방법은, 상기 구간 연결부로서의 연결 부시를 상기 직선 구간부 및 상기 곡선 구간부의 연결 단에 끼우고, 상기 연결 부시에 열을 인가하여 용융시키며, 상기 용융된 연결 부시를 통해 상기 직선 구간부와 상기 곡선 구간부를 융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차체 부품 보강용 플라스틱 복합소재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d) 과정에서는 상기 내피의 외 표면에 상기 와이어 소재를 상기 코어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한쪽 사선방향으로 기울어지게 와인딩 하여 제1 와이인딩 층을 성형하고, 상기 제1 와인딩 층의 외 표면에 상기 와이어 소재를 상기 코어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직선방향으로 랩핑 하여 랩핑 층을 성형하며, 상기 랩핑 층의 외 표면에 상기 와이어 소재를 상기 코어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른 한쪽 사선방향으로 기울어지게 와인딩 하여 제2 와인딩 층을 성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탄소 섬유 강화 플라스틱 소재와 유리 섬유 강화 플라스틱 소재를 적용한 플라스틱 복합소재의 보강재를 차체 부품에 구성함으로써, 차체 부품에 대한 강성 및 강도 등의 내구성을 확보하며, 차체의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탄소 섬유 강화 플라스틱 소재와 함께 비교적 저가의 유리 섬유 강화 플라스틱 소재를 적용함에 따라, 제조 단가를 절감할 수 있다.
그 외에 본 발명의 실시 예로 인해 얻을 수 있거나 예측되는 효과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에서 직접적 또는 암시적으로 개시하도록 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예측되는 다양한 효과에 대해서는 후술될 상세한 설명 내에서 개시될 것이다.
이 도면들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 예를 설명하는데 참조하기 위함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한 도면에 한정해서 해석하여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체 부품 보강용 플라스틱 복합소재가 적용되는 차체 부품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체 부품 보강용 플라스틱 복합소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체 부품 보강용 플라스틱 복합소재를 도시한 단면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체 부품 보강용 플라스틱 복합소재를 도시한 절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체 부품 보강용 플라스틱 복합소재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계별 공정 개념도이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체 부품 보강용 플라스틱 복합소재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 설비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으며, 여러 부분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그리고, 하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구성의 명칭을 제1, 제2 등으로 구분한 것은 그 구성이 동일한 관계로 이를 구분하기 위한 것으로, 하기의 설명에서 반드시 그 순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수단"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하는 포괄적인 구성의 단위를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체 부품 보강용 플라스틱 복합소재가 적용되는 차체 부품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체 부품 보강용 플라스틱 복합소재(100)는 고 장력 강 등과 같은 스틸 소재의 판재를 프레스 성형 공법 및 롤 포밍 공법 등을 통해 설정된 형상으로 성형한 차체 부품(1)에 적용될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차체 부품 보강용 플라스틱 복합소재(100)는 서로 대응하는 설정 형상으로 성형된 스틸 소재의 인너 패널(3)과 아웃터 패널(5)이 서로 접합되며, 그 인너 패널(3)과 아웃터 패널(5) 사이에 폐 구간을 지닌 차체 부품(1)에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차체 부품(1)은 차체의 경량화를 도모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체 부품 보강용 플라스틱 복합소재(100)를 적용한 것이다. 이러한 차체 부품(1)은 예를 들면, 인너 패널(3)과 아웃터 패널(5) 사이의 폐 구간에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체 부품 보강용 플라스틱 복합소재(100)를 적용한 루프 사이드(1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에서 루프 사이드(1a)는 폐 구간을 지니며, 설정된 곡률로 밴딩된 구조를 갖는다. 예를 들면, 상기 루프 사이드(1a)의 양 단부는 직선 구간을 형성하며, 그 양 단부 사이에는 곡선 구간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루프 사이드(1a)에서 인너 패널(3)과 아웃터 패널(5) 사이의 폐 구간에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체 부품 보강용 플라스틱 복합소재(100)가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차체 부품 보강용 플라스틱 복합소재(100)는 루프 사이드(1a)의 강도 및 강성을 보강하며, 충돌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차체 부품 보강용 플라스틱 복합소재(100)는 차체 부품(1)의 폐 구간에서, 구조용 접착제를 통해 인너 패널(3) 또는 아웃터 패널(5)에 본딩 방식으로 접합될 수 있다.
대안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차체 부품 보강용 플라스틱 복합소재(100)는 차체 부품(1)의 폐 구간에서, 셀프 피어싱 리벳 등과 같은 체결부품을 통해 인너 패널(3) 또는 아웃터 패널(5)에 기계적인 접합 방식으로 접합될 수도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루프 사이드(1a)와 같은 차체 부품(1)에 플라스틱 복합소재를 적용한 것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되며, 스틸 소재의 성형체에 플라스틱 복합소재를 적용한 다양한 종류 및 용도의 부품이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적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기준으로, 플라스틱 복합소재의 내부 중심에서 외피 방향으로 구성요소들이 배치되는 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상기한 방향이 본 실시 예의 기준 방향으로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더 나아가, 하기에서의 "단(한쪽/일측 단 또는 다른 한쪽/일측 단)"은 어느 한쪽의 끝으로 정의될 수 있고, 그 끝을 포함하는 일정 부분(한쪽/일측 단부 또는 다른 한쪽/일측 단부)으로 정의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차체 부품 보강용 플라스틱 복합소재(100)는 차체 부품(1)의 경량화를 도모하면서 그 차체 부품(1)의 강성 및 강도를 보강할 수 있도록 유리 섬유 강화 플라스틱 복합재와 탄소 섬유 강화 플라스틱 복합재로서 성형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체 부품 보강용 플라스틱 복합소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차체 부품 보강용 플라스틱 복합소재(100)는 기본적으로, 직선 구간부(10), 곡선 구간부(20) 및 구간 연결부(3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직선 구간부(10)는 설정된 곡률로 밴딩된 차체 부품(1: 이하 도 1 참조)에서 직선 구간을 갖는 양 단부에 각각 대응하는 부분으로, 직선 타입으로 구비된다.
상기 직선 구간부(10)는 설정된 직선 길이를 갖는 플라스틱 복합소재로서, 유리 섬유 강화 플라스틱 복합재 및 탄소 섬유 강화 플라스틱 복합재를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곡선 구간부(20)는 차체 부품(1)의 곡선 구간에 대응하여 양측 직선 구간부(10) 사이에 배치되는 부분으로, 곡선 타입으로 구비된다.
상기 곡선 구간부(20)는 설정된 곡선 길이를 가지며, 직선 구간부(10)와 동일한 플라스틱 복합재로서 유리 섬유 강화 플라스틱 복합재 및 탄소 섬유 강화 플라스틱 복합재를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구간 연결부(30)는 각각의 직선 구간부(10)와 곡선 구간부(20)를 연결하는 부분이다. 이러한 구간 연결부(30)는 직선 구간부(10)와 곡선 구간부(20)를 융착 식으로 연결하는 연결 부시(31)를 포함한다.
상기 연결 부시(31)는 예를 들어 열가소성수지의 플라스틱 소재로 이루어진다. 상기 연결 부시(31)는 서로 대응하는 직선 구간부(10) 및 곡선 구간부(20)의 연결 단에 끼워지고, 열에 의해 용융되면서 그 직선 구간부(10)와 곡선 구간부(20)를 융착 식으로 연결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이 직선 구간부(10) 및 곡선 구간부(20)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체 부품 보강용 플라스틱 복합소재(100)의 구조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체 부품 보강용 플라스틱 복합소재를 도시한 단면 구성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체 부품 보강용 플라스틱 복합소재를 도시한 절개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차체 부품 보강용 플라스틱 복합소재(100)는 기본적으로, 코어재(40), 내피(50), 미디엄재(60), 그리고 외피(80)를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코어재(40)는 전체 플라스틱 복합소재(100)의 내부 중심에 위치하는 심재로서, 유리 섬유소재를 포함하는 장섬유 강화 플라스틱 복합재(41)로 이루어진다.
상기 장섬유 강화 플라스틱 복합재(41)는 당 업계에서 통상 장섬유 강화 열가소성 수지(long fiber reinforced thermoplastic, LFT) 복합재 라고도 하며, 내열성을 지니고 있다. 여기서, 상기 장섬유라 함은 2nm 미만의 단섬유 보다 긴 섬유로서, 예를 들면 2~100nm의 길이를 갖는 섬유 소재를 의미한다.
이러한 장섬유 강화 플라스틱 복합재(41)는 유동성을 지니고 있는 바, 압출기를 통하여 설정된 길이로 압출 성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내피(50)는 코어재(40)의 외 표면을 감싸는 피복재로서, 압출기를 통하여 코어재(40)의 외 표면에 압출 성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내피(50)는 유리 섬유소재를 포함하는 장섬유 강화 플라스틱 복합재로서 압출 성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미디엄재(60)는 내피(50)의 외 표면을 감싸는 복합재로서, 탄소 섬유소재를 포함하는 연속섬유 강화 플라스틱 복합재(61)로 이루어진다.
상기 연속섬유 강화 플라스틱 복합재(61)는 당 업계에서 연속섬유강화 열가소성 수지(continuous fiber reinforced thermoplastic, CFT) 복합재 라고도 하며, 내열성을 지니고 있다. 여기서, 상기 연속섬유라 함은 장섬유 보다 긴 길이로서 연속성을 갖는 섬유소재를 의미한다.
더 나아가, 상기 연속섬유 강화 플라스틱 복합재(61)는 위에서 언급한 바 있는 장섬유 강화 플라스틱 복합재에 비해 더 높은 강성 및 충격 강도를 가지며, 외부 충격을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다.
상기에서 미디엄재(60)는 연속섬유 강화 플라스틱 복합재(61)로 이루어진 와이어 소재(63)를 내피(50)의 외 표면에 서로 다른 방향으로서 복수의 층으로 적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와이어 소재(63)는 연속섬유 강화 플라스틱 복합재(61)를 연속적으로 인발 성형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미디엄재(60)는 내피(50)의 외 표면으로부터 뒤에서 더욱 설명될 외피(80)를 향해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제1 와인딩 층(71), 랩핑 층(72) 및 제2 와인딩 층(73)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와인딩 층(71)은 내피(50)의 외 표면에 와이어 소재(63)를 코어재(40)의 길이방향을 따라 와인딩기를 통해 감은 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제1 와인딩 층(71)은 와이어 소재(63)를 내피(50)의 외 표면에 코어재(40)의 길이방향을 따라 한쪽 사선방향으로 기울어지게 와인딩 하여 형성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제1 와인딩 층(71)은 와이어 소재(63)에 레진(예를 들면, 열가소성수지)을 함침시킨 상태로, 그 와이어 소재(63)를 내피(50)의 외 표면에 와인딩 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랩핑 층(72)은 제1 와인딩 층(71)의 외 표면에 와이어 소재(63)를 코어재(4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랩핑기를 통해 랩핑 한 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랩핑 층(72)은 와이어 소재(63)를 제1 와인딩 층(71)의 외 표면에 코어재(40)의 길이방향을 따라 직선방향으로 적층하여 형성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랩핑 층(72)은 와이어 소재(63)에 레진(예를 들면, 열가소성수지)을 함침시킨 상태로, 그 와이어 소재(63)를 제1 와인딩 층(71)의 외 표면에 랩핑 하여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와인딩 층(73)은 랩핑 층(72)의 외 표면에 와이어 소재(63)를 코어재(40)의 길이방향을 따라 와인딩기를 통해 감은 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제2 와인딩 층(73)은 와이어 소재(63)를 랩핑 층(72)의 외 표면에 코어재(40)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른 한쪽 사선방향으로 기울어지게 와인딩 하여 형성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제2 와인딩 층(73)은 와이어 소재(63)에 레진(예를 들면, 열가소성수지)을 함침시킨 상태로, 그 와이어 소재(63)를 랩핑 층(72)의 외 표면에 와인딩 하여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와인딩 층(73)은 와이어 소재(63)를 랩핑 층(72)의 외 표면에 제1 와인딩 층(71)의 반대 사선방향으로 기울어지게 와인딩 하여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에서의 랩핑 층(72)은 제1 및 제2 와인딩 층(71, 73)의 두께(예를 들면, 0.5mm) 보다 더 두꺼운 두께(예를 들면, 1.0mm)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외피(80)는 미디엄재(60)의 외 표면을 감싸는 피복재로서, 압출기를 통하여 제2 와인딩 층(73)의 외 표면에 압출 성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외피(80)는 유리 섬유소재를 포함하는 장섬유 강화 플라스틱 복합재로서 압출 성형될 수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체 부품 보강용 플라스틱 복합소재(100)의 제조방법을 앞서 개시한 도면들 및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체 부품 보강용 플라스틱 복합소재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계별 공정 개념도이고,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체 부품 보강용 플라스틱 복합소재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 설비 도면이다.
이하에서 설명될 각각의 공정은 공정 프레임(도면에 도시되지 않음) 상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공정 프레임은 공정라인에서 공정 진행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하나의 프레임 또는 둘 이상으로 구획된 프레임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공정 프레임은 이하에서 설명될 각각의 공정을 수행하는 장치들을 지지하기 위한 브라켓, 바아, 로드, 플레이트, 블록, 레일, 칼라 등과 같은 각종 부속 요소들을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각종 부속 요소들은 이하에서 더욱 설명될 각각의 공정 장치들을 공정 프레임에 설치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예외적인 경우를 제외하고 각종 부속 요소들을 공정 프레임으로 통칭한다.
도 6과 함께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우선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유리 섬유소재를 포함하는 장섬유 강화 플라스틱 복합재(41)를 설정된 길이로 압출 성형한 코어재(40)를 제공한다(S11).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공정라인의 전방(도면에서의 좌측)에서 상기 코어재(40)를 내피 압출기(101)로 통과시키며, 그 내피 압출기(101)를 통해 유리 섬유소재를 포함하는 장섬유 강화 플라스틱 복합재의 내피(50)를 코어재(40)의 외 표면에 압출 성형한다(S12).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코어재(40)의 외 표면에 압출 성형된 내피(50)를 냉각 금형(102)을 통해 냉각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탄소 섬유소재를 포함하는 연속섬유 강화 플라스틱 복합재(61)를 인발기를 통하여 연속적으로 인발 성형한 와이어 소재(63)를 제공한다(S13).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내피 압출기(101) 측에서 공정라인을 따라 이송되는 코어재(40)의 내피(50) 외 표면에 와이어 소재(63)를 복수의 층으로서 서로 다른 방향으로 적층하여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은 미디엄재(60)를 성형한다(S14~S16).
상기한 미디엄재(60)의 성형 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우선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내피(50)의 외 표면에 제1 와인딩기(103)를 통해 와이어 소재(63)를 코어재(40)의 길이방향을 따라 감은 층으로서의 제1 와인딩 층(71)을 성형한다(S14).
이 과정에서는 상기 와이어 소재(63)를 내피(50)의 외 표면에 한쪽 사선방향으로 기울어지게 와인딩 하며, 코어재(40)의 길이방향을 따라 제1 와인딩 층(71)을 성형한다.
더 나아가, 상기 과정에서는 와이어 소재(63)를 열가소성 수지의 레진이 담긴 수용조로 공급하며, 와이어 소재(63)에 레진을 함침시킨 상태로 그 와이어 소재(63)를 내피(50)의 외 표면에 와인딩 하며 제1 와인딩 층(71)을 성형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제1 와인딩 층(71)의 외 표면에 랩핑기(104)를 통해 와이어 소재(63)를 코어재(40)의 길이방향을 따라 랩핑 한 층으로서의 랩핑 층(72)을 성형한다(S15).
이 과정에서는 상기 와이어 소재(63)를 제1 와인딩 층(71)의 외 표면에 코어재(40)의 길이방향을 따라 직선방향으로 적층하며, 랩핑 층(72)을 성형한다.
더 나아가, 상기 과정에서는 와이어 소재(63)를 열가소성 수지의 레진이 담긴 수용조로 공급하며, 와이어 소재(63)에 레진을 함침시킨 상태로 그 와이어 소재(63)를 제1 와인딩 층(71)의 외 표면에 직선 방향으로 랩핑 하며, 랩핑 층(72)을 성형할 수 있다.
이어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립핑 층(72)의 외 표면에 제2 와인딩기(105)를 통해 와이어 소재(63)를 코어재(40)의 길이방향을 따라 감은 층으로서의 제2 와인딩 층(73)을 성형한다(S16).
이 과정에서는 상기 와이어 소재(63)를 랩핑 층(72)의 외 표면에 다른 한쪽 사선방향으로 기울어지게 와인딩 하며, 코어재(40)의 길이방향을 따라 제2 와인딩 층(73)을 성형한다.
더 나아가, 상기 과정에서는 와이어 소재(63)를 열가소성 수지의 레진이 담긴 수용조로 공급하며, 와이어 소재(63)에 레진을 함침시킨 상태로 그 와이어 소재(63)를 랩핑 층(72)의 외 표면에 와인딩 하며, 제2 와인딩 층(73)을 성형할 수 있다.
즉, 상기 과정에서는 와이어 소재(63)를 랩핑 층(72)의 외 표면에 제1 와인딩 층(71)의 사선 반대방향으로 기울어지게 와인딩 하며, 제2 와인딩 층(73)을 성형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미디엄재(60)를 성형하는 과정에서는, 내피(50)를 성형한 코어재(40)를 공정라인을 따라 그 공정 진행방향으로 이송시키며, 내피(50) 위에 제1 와인딩 층(71), 랩핑 층(72) 및 제2 와인딩 층(73)을 순차적으로 성형하는 연속 공정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와이어 소재(63)를 제1 와인딩 층(71)의 외 표면에 직선 방향으로 적층하며 랩핑 층(72)의 성형할 때, 제1 및 제2 와인딩 층(71, 73)의 두께(예를 들면, 0.5mm) 보다 더 두꺼운 랩핑 두께(예를 들면, 1.0mm)로 랩핑 층(72)을 성형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미디엄재(60)를 성형한 코어재(40)를 외피 압출기(106)를 통과시키며, 그 외피 압출기(106)를 통해 미디엄재(60)의 외 표면인 제2 와인딩 층(73)의 외 표면에 유리 섬유소재를 포함하는 장섬유 강화 플라스틱 복합재의 외피(80)를 압출 성형한다(S17).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제2 와인딩 층(73)의 외 표면에 압출 성형된 외피(80)를 냉각 금형(107)을 통해 냉각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공정들의 후 공정으로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어재(40), 내피(50), 미디엄재(60) 및 외피(80)를 포함하는 성형재(201)를 직선 타입으로 펴주는 과정을 거친다.
이 과정에서는 상기 성형재(201)를 공정 진행방향을 따라 이송시키며, 스트레이트너(108)를 통하여 성형재(201)를 직선 타입으로 펴 주며,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직선 구간부(10)를 성형한다(S18).
다른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다른 후 공정으로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어재(40), 내피(50), 미디엄재(60) 및 외피(80)를 포함하는 성형재(201)를 곡선 타입으로 밴딩하는 과정을 거친다.
상기 과정에서는 상기 성형재(201)를 공정 진행방향을 따라 이송시키며, 밴딩기(109)를 통하여 성형재(201)를 곡선 타입으로 밴딩하며,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곡선 구간부(20)를 성형한다(S19).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상기 직선 구간부(10) 사이에 곡선 구간부(20)를 두고 그 직선 구간부(10)와 곡선 구간부(20)를 구간 연결부(30)를 통해 일체로 연결한다(S20).
이 과정에서는 상기 구간 연결부(30)로서의 연결 부시(31)를 직선 구간부(10)와 곡선 구간부(20)의 연결 단에 끼우고, 그 연결 부시(31)에 열을 인가하여 용융시킨다.
그러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와 같이 용융된 연결 부시(31)를 통해 직선 구간부(10)와 곡선 구간부(20)를 융착하며 일체로 연결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일련의 과정을 거치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체 부품 보강용 플라스틱 복합소재(100)를 성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성형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차체 부품 보강용 플라스틱 복합소재(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인너 패널(3) 또는 아웃터 패널(5)에 본딩 방식으로 접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차체 부품 보강용 플라스틱 복합소재(100)는 셀프 피어싱 리벳 등과 같은 체결부품을 통해 인너 패널(3) 또는 아웃터 패널(5)에 기계적인 접합 방식으로 접합될 수도 있다.
이로써,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인너 패널(3)과 아웃터 패널(5)을 상호 접합함으로써, 그 인너 패널(3)과 아웃터 패널(5) 사이의 폐 구간에 플라스틱 복합소재(100)가 구비된 차체 부품(1)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차체 부품(1)은 차체에서 루프 사이드(1a)로 적용됨으로써, 그 루프 사이드(1a)의 강도 및 강성을 보강하며, 차체의 충돌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고, 차체의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유리 섬유소재를 포함하는 장섬유 강화 플라스틱 복합재로서의 코어재(40) 외 표면 측에 탄소 섬유소재를 포함하는 연속섬유 강화 플라스틱 복합재로서의 미디엄재(60)를 성형한 차체 부품 보강용 플라스틱 복합소재(100)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탄소 섬유 강화 플라스틱 소재와 유리 섬유 강화 플라스틱 소재를 적용한 플라스틱 복합소재(100)의 보강재를 차체 부품(1)에 구성함으로써, 차체 부품(1)에 대한 강성 및 강도 등의 내구성을 확보하며, 차체의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탄소 섬유 강화 플라스틱 소재와 함께 비교적 저가의 유리 섬유 강화 플라스틱 소재를 적용함에 따라, 제조 단가를 절감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플라스틱 복합소재로서의 직선 구간부(10)와 곡선 구간부(20)를 별도로 성형하고 그 직선 구간부(10)와 곡선 구간부(20)를 구간 연결부(30)를 통해 연결하며, 설정된 곡률을 갖는 차체 부품(1)에 적용할 수 있으므로, 차체 부품(1)의 가변 곡률에 따른 형상 자유도를 높일 수 있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 차체 부품 1a: 루프 사이드
3: 인너 패널 5: 아웃터 패널
10: 직선 구간부 20: 곡선 구간부
30: 구간 연결부 31: 연결 부시
40: 코어재 41: 장섬유 강화 플라스틱 복합재
50: 내피 60: 미디엄재
61: 연속섬유 강화 플라스틱 복합재 63: 와이어 소재
71: 제1 와인딩 층 72: 랩핑 층
73: 제2 와인딩 층 80: 외피
100: 차체 부품 보강용 플라스틱 복합소재
101: 내피 압출기 102, 107: 냉각 금형
103: 제1 와인딩기 104: 랩핑기
105: 제2 와인딩기 106: 외피 압출기
108: 스트레이트너 109: 밴딩기
201: 성형재

Claims (20)

  1. 설정된 길이를 갖는 차체 부품 보강용 플라스틱 복합소재로서,
    유리 섬유소재를 포함하는 장섬유 강화 플라스틱 복합재로 이루어진 코어재;
    상기 코어재의 외 표면을 감싸는 내피;
    탄소 섬유소재를 포함하는 연속섬유 강화 플라스틱 복합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내피의 외 표면을 감싸는 미디엄재; 및
    상기 미디엄재의 외 표면을 감싸는 외피;
    를 포함하는 차체 부품 보강용 플라스틱 복합소재.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재는,
    상기 장섬유 강화 플라스틱 복합재를 설정된 길이로 압출 성형하여 이루어지는 차체 부품 보강용 플라스틱 복합소재.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미디엄재는,
    상기 연속섬유 강화 플라스틱 복합재를 연속적으로 인발 성형한 와이어 소재를 상기 내피의 외 표면에 서로 다른 방향으로서 복수의 층으로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차체 부품 보강용 플라스틱 복합소재.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미디엄재는,
    상기 내피의 외 표면에 상기 와이어 소재를 상기 코어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한쪽 사선방향으로 기울어지게 와인딩 하여 형성되는 제1 와인딩 층과,
    상기 제1 와인딩 층의 외 표면에 상기 와이어 소재를 상기 코어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직선방향으로 랩핑 하여 형성되는 랩핑 층과,
    상기 랩핑 층의 외 표면에 상기 와이어 소재를 상기 코어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른 한쪽 사선방향으로 기울어지게 와인딩 하여 형성되는 제2 와인딩 층
    을 포함하는 차체 부품 보강용 플라스틱 복합소재.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랩핑 층은,
    상기 제1 및 제2 와인딩 층보다 더 두꺼운 두께로 형성되는 차체 부품 보강용 플라스틱 복합소재.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내피 및 외피는 장섬유 강화 플라스틱 복합재로서 압출 성형되는 차체 부품 보강용 플라스틱 복합소재.
  7. 폐 구간을 지니며 설정된 곡률로 밴딩된 차체 부품에서 상기 폐 구간에 구비되는 차체 부품 보강용 플라스틱 복합소재로서,
    상기 차체 부품의 양 단부에 각각 대응하여 직선 타입으로 구비되는 직선 구간부;
    양측 직선 구간부 사이에 배치되며, 곡선 타입으로 구비되는 곡선 구간부; 및
    상기 각 직선 구간부와 상기 곡선 구간부를 연결하는 구간 연결부;
    를 포함하는 차체 부품 보강용 플라스틱 복합소재.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구간 연결부는,
    상기 직선 구간부 및 상기 곡선 구간부의 연결 단에 끼워지고, 열에 의해 용융되며, 상기 직선 구간부와 상기 곡선 구간부를 융착하는 연결 부시
    를 포함하는 차체 부품 보강용 플라스틱 복합소재.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시는 열가소성수지의 플라스틱 소재로 이루어지는 차체 부품 보강용 플라스틱 복합소재.
  10.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직선 구간부 및 곡선 구간부는,
    유리 섬유소재를 포함하는 장섬유 강화 플라스틱 복합재로 이루어진 코어재와,
    상기 코어재의 외 표면을 감싸는 내피와,
    탄소 섬유소재를 포함하는 연속섬유 강화 플라스틱 복합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내피의 외 표면을 감싸는 미디엄재와,
    상기 미디엄재의 외 표면을 감싸는 외피
    를 포함하는 차체 부품 보강용 플라스틱 복합소재.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재는 상기 장섬유 강화 플라스틱 복합재를 설정된 길이로 압출 성형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미디엄재는 상기 연속섬유 강화 플라스틱 복합재를 연속적으로 인발 성형한 와이어 소재를 상기 내피의 외 표면에 서로 다른 방향으로서 복수의 층으로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차체 부품 보강용 플라스틱 복합소재.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미디엄재는,
    상기 내피의 외 표면에 상기 와이어 소재를 상기 코어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한쪽 사선방향으로 기울어지게 와인딩 하여 형성되는 제1 와인딩 층과,
    상기 제1 와인딩 층의 외 표면에 상기 와이어 소재를 상기 코어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직선방향으로 랩핑 하여 형성되는 랩핑 층과,
    상기 랩핑 층의 외 표면에 상기 와이어 소재를 상기 코어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른 한쪽 사선방향으로 기울어지게 와인딩 하여 형성되는 제2 와인딩 층
    을 포함하는 차체 부품 보강용 플라스틱 복합소재.
  13.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스틱 복합소재는,
    서로 접합된 인너 패널과 아웃터 패널 사이에 상기 폐 구간을 형성하는 상기 차체 부품으로서의 루프 사이드에서 상기 폐 구간에 구비되는 차체 부품 보강용 플라스틱 복합소재.
  14. 차체 부품 보강용 플라스틱 복합소재의 제조방법으로서,
    (a) 유리 섬유소재를 포함하는 장섬유 강화 플라스틱 복합재를 설정된 길이로 압출 성형한 코어재를 제공하는 과정;
    (b) 상기 코어재의 외 표면에 내피를 압출 성형하는 과정;
    (c) 탄소 섬유소재를 포함하는 연속섬유 강화 플라스틱 복합재를 연속적으로 인발 성형한 와이어 소재를 제공하는 과정;
    (d) 상기 내피의 외 표면에 상기 와이어 소재를 서로 다른 방향으로서 복수의 층으로 적층하여 미디엄재를 성형하는 과정; 및
    (e) 상기 미디엄재의 외 표면에 외피를 압출 성형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차체 부품 보강용 플라스틱 복합소재의 제조방법.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e) 과정 이후에,
    상기 코어재, 내피, 미디엄재 및 외피를 포함하는 성형재를 직선 타입으로 펴주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차체 부품 보강용 플라스틱 복합소재의 제조방법.
  16.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e) 과정 이후에,
    상기 코어재, 내피, 미디엄재 및 외피를 포함하는 성형재에 설정된 곡률을 부여하며 곡선 타입으로 밴딩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차체 부품 보강용 플라스틱 복합소재의 제조방법.
  17.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e) 과정 이후에,
    상기 코어재, 내피, 미디엄재 및 외피를 포함하는 성형재를 직선 타입으로 펴주며 직선 구간부를 성형하는 과정과,
    상기 코어재, 내피, 미디엄재 및 외피를 포함하는 성형재를 곡선 타입으로 밴딩하며 곡선 구간부를 성형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차체 부품 보강용 플라스틱 복합소재의 제조방법.
  18.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직선 구간부 사이에 상기 곡선 구간부를 두고 상기 직선 구간부와 상기 곡선 구간부를 구간 연결부를 통해 연결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차체 부품 보강용 플라스틱 복합소재의 제조방법.
  19.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구간 연결부로서의 연결 부시를 상기 직선 구간부 및 상기 곡선 구간부의 연결 단에 끼우고,
    상기 연결 부시에 열을 인가하여 용융시키며, 상기 용융된 연결 부시를 통해 상기 직선 구간부와 상기 곡선 구간부를 융착하는 차체 부품 보강용 플라스틱 복합소재의 제조방법.
  20.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d) 과정에서는,
    상기 내피의 외 표면에 상기 와이어 소재를 상기 코어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한쪽 사선방향으로 기울어지게 와인딩 하여 제1 와이인딩 층을 성형하고,
    상기 제1 와인딩 층의 외 표면에 상기 와이어 소재를 상기 코어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직선방향으로 랩핑 하여 랩핑 층을 성형하며,
    상기 랩핑 층의 외 표면에 상기 와이어 소재를 상기 코어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른 한쪽 사선방향으로 기울어지게 와인딩 하여 제2 와인딩 층을 성형하는 차체 부품 보강용 플라스틱 복합소재의 제조방법.
KR1020180164930A 2018-12-19 2018-12-19 차체 부품 보강용 플라스틱 복합소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0007613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4930A KR20200076137A (ko) 2018-12-19 2018-12-19 차체 부품 보강용 플라스틱 복합소재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4930A KR20200076137A (ko) 2018-12-19 2018-12-19 차체 부품 보강용 플라스틱 복합소재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6137A true KR20200076137A (ko) 2020-06-29

Family

ID=714010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4930A KR20200076137A (ko) 2018-12-19 2018-12-19 차체 부품 보강용 플라스틱 복합소재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7613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81322B2 (ja) 車両骨格構造
US6883843B2 (en) Reinforced impact beam
US6821613B1 (en) Structural component consisting of fiber-reinforced thermoplastic plastic
JP6235375B2 (ja) 自動車の車体構造
JP5585069B2 (ja) 連結部材の製造方法
US20160121936A1 (en) Side Panel Assembly for Passenger Vehicles
KR101714164B1 (ko) 차량용 복합재 멤버 및 그 제조방법
JP2018172116A (ja) 車両のためのハイブリッド・バンパー・ビーム、および、それを製造するための方法
US20030197362A1 (en) Side member for use in vehicle fram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20060145506A1 (en) Control panel and method for the production thereof
KR20200076137A (ko) 차체 부품 보강용 플라스틱 복합소재 및 이의 제조방법
US11541613B2 (en) Fiber-reinforced resin composite materia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fiber-reinforced resin composite material
CN104870297B (zh) 在车辆行走机构区域中至少局部以纤维复合材料构造的结构元件
JP7376293B2 (ja) 繊維強化樹脂複合材及び繊維強化樹脂複合材の製造方法
JP7376295B2 (ja) 繊維強化樹脂複合材及び繊維強化樹脂複合材の製造方法
KR101724911B1 (ko) 차량의 구조체
CN114313024B (zh) 一种复合材料汽车门槛及其制备方法
CN111372759A (zh) 纤维增强的车辆车身
US20230264748A1 (en) Vehicle body pillar structure and vehicle body structure
US20220324518A1 (en) Component of a motor vehicle
JP2014000885A (ja) 車両用シートバックフレーム
US11407450B2 (en) Reinforcement for a vehicle
CN216546071U (zh) 一种汽车前下防护结构及汽车
JP7323402B2 (ja) 繊維強化樹脂複合材及び繊維強化樹脂複合材の製造方法
JP2019171619A (ja) 補強金属部材及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