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76101A - 천연 발모제 및 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천연 발모제 및 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76101A
KR20200076101A KR1020180164840A KR20180164840A KR20200076101A KR 20200076101 A KR20200076101 A KR 20200076101A KR 1020180164840 A KR1020180164840 A KR 1020180164840A KR 20180164840 A KR20180164840 A KR 20180164840A KR 20200076101 A KR20200076101 A KR 202000761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shrooms
extract
hair growth
weight
gro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48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48485B1 (ko
Inventor
이충식
Original Assignee
이충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충식 filed Critical 이충식
Priority to KR10201801648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8485B1/ko
Publication of KR202000761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61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84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84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61K8/731Cellulose; Quaternized cellulose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61K8/92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of vegetabl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28Fungi, e.g. yeas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7/00Preparations for affecting hair grow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5Products or compounds obtained by fermentation, e.g. yoghurt, beer, win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rmat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연 발모제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나노 셀룰로오스, 버섯류의 발효 추출물, 복합 한약재의 천연 발효 추출물, 및 오일류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천연 발모제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천연 발모제 조성물은 천연물로 이루어져 인체에 부작용이나 독성이 없으며, 우수한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 효과를 가지므로,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을 위한 화장료 조성물 또는 의약외품 조성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천연 발모제 및 이의 제조 방법{Natural hair growth agen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천연 발모제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나노 셀룰로오스, 버섯류의 발효 추출물, 복합 한약재의 천연 발효 추출물 및 오일류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천연 발모제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머리나 탈모의 주된 원인으로 남성 호르몬의 작용, 모근 혈류량의 감소, 과민성 두피, 지용성 두피, 스트레스, 유전적 요인, 노화 등이 있다. 그러나 아직 탈모에 대한 명확한 원인 규명과 뚜렷한 효과의 치료법이 개발되어 있지 않다.
현재 탈모증의 치료나 예방에 있어서 미녹시딜 함유제제를 주로 사용하기도 한다. 미녹시딜은 혈압강하의 목적으로 개발된 고혈압 치료제였는데, 사용상의 부작용으로 발모현상이 나타나면서 현재는 발모제로 더 널리 사용되고 있다. 미녹시딜은 대체로 혈관확장 효과를 통한 혈류량 증가로 모근에 영양을 공급하여 모발 성장을 촉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런데 상기한 미녹시딜은 혈류유통으로 모세혈관을 확장시켜 모근에 자극을 주는 것으로서 일시적인 잔털은 굵어지나, 사용을 중단하면 효과도 중지되어 원래의 상태로 되돌아간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면역력 증강작용에 의해 모낭을 재생하게 하는 방법으로 항상화제 기전을 조절하는 방법도 사용되나, 이들 방법은 근본적인 실제 형태의 모발이 재생되는 것이 아니라 세포분열과 자극에 의해 일시적으로 모발을 생성시키는 것으로 수명이 짧다는 단점이 있다.
기존의 두피 및 모발 관련 제품들은 그 효과를 나타내는 주성분이 화학물질인 경우가 많아 장기간 사용시 두피를 자극하는 등의 부작용을 유발하는 경우가 많고, 환경오염에 주범이 되기도 한다.
따라서 인체에 최대한 유해하지 않고 안정적으로 탈모 예방 및 방지, 및 모발 성장 촉진 등을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천연 소재 제품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지금까지 다양한 천연 소재를 이용한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을 위한 발모제들이 보고된 바 있다.
예를 들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82351호에서는 용암해수 미네랄수를 함유하는 육모제 조성물을 개시한 바 있고,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1-0020691호에서는 어성초, 신선초, 천영헤나(멘디), 해초(다시마가루)를 포함하는 생약추출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발모촉진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을 개시한 바 있으며,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1-0056156호에서는 볏집 및 들깨 꼬투리 추출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발모제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을 개시한 바 있고,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7-0107329호에서는 솔잎, 하수오, 당귀, 흑임자, 생지황, 측백엽, 숙지황, 검은콩, 녹차, 다시마, 미역, 시금치 등을 각각 분쇄하여 사용하는, 발모촉진용 생약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 천연 발모제들은 실질적으로 발모에 큰 효과를 나타내고 있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나노 셀룰로오스, 버섯류의 발효 추출물, 복합 한약재의 천연 발효 추출물 및 오일류로 구성된 천연 소재로서 우수한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 효과를 가지는 천연 발모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상기 본 발명에 따른 나노 셀룰로오스, 버섯류의 발효 추출물, 복합 한약재의 천연 발효 추출물 및 오일류로 구성된 천연 발모제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셀룰로오스 나노섬유(Cellulose Nanofiber, CNF) 15 내지 40 중량부;
버섯 발효 추출물 1 내지 5 중량부;
황정 추출물, 및 홍삼, 작약, 당귀, 지황, 천궁, 박하, 지유, 대황, 육계, 어성초, 삼백초, 현삼, 백강잠 및 아교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2개 이상의 한약재 혼합 추출물 2 내지 10 중량부; 및
올리브 오일, 해바라기씨 오일, 피마자 오일, 살구씨 오일, 나복자 오일 및 호호바 오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2개 이상의 오일류 8 내지 20 중량부;를 포함하는,
천연 발모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i) 셀룰로오스를 5 ~ 600 ㎚의 나노사이즈로 분쇄하여 셀룰로오스 나노섬유(Cellulose Nanofiber, CNF)로 제조하는 단계;
ii) 표고버섯, 상황버섯, 차가버섯, 동충하초, 해송이버섯, 영지버섯 및 아가리쿠스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버섯류, 황정, 및 홍삼, 작약, 당귀, 지황, 천궁, 박하, 지유, 대황, 육계, 어성초, 삼백초, 현삼, 백강잠 및 아교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2개 이상의 한약재를 혼합한 후, 물,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추출하여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iii) 상기 단계 ii)와 별도로, 표고버섯, 상황버섯, 차가버섯, 동충하초, 해송이버섯, 영지버섯 및 아가리쿠스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버섯류, 황정, 및 홍삼, 작약, 당귀, 지황, 천궁, 박하, 지유, 대황, 육계, 어성초, 삼백초, 현삼, 백강잠 및 아교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2개 이상의 한약재를 혼합한 후, 혼합 유산균주에 자연 발효시킨 발효물을 제조한 후, 물,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추출한 후 농축하여, 발효 추출물의 농축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iv) 상기 i) 내지 iii)에서 제조된 셀룰로오스 나노섬유(Cellulose Nanofiber, CNF) 15 내지 40 중량부, 버섯류 추출물 1 내지 5 중량부, 한약재 혼합 추출물 2 내지 10 중량부, 올리브 오일, 해바라기씨 오일, 피마자 오일, 살구씨 오일, 나복자 오일 및 호호바오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2개 이상의 오일류 8 내지 20 중량를 혼합하여 믹서기에 넣고 5 ~ 600 ㎚의 나노사이즈로 분쇄한 다음, 첨가제를 넣고 교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천연 발모제 조성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천연 발모제 조성물은 천연물로 이루어져 인체에 부작용이나 독성이 없으며, 우수한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 효과뿐만 아니라, 혈액 순환, 두피 보호 및 모발의 영양 공급 기능까지 있어 탈모 방지제 및 발모 촉진제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천연 발모제를 임상시험으로서 사용하기 전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천연 발모제를 매일 아침, 저녁 1회씩 사용하여 2개월 후 사진이다(결과: 1주일 지나고 솜털이 생기고 굵어지기 시작했으며 1개월 후 부터는 자라기 시작하였음).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셀룰로오스 나노섬유(Cellulose Nanofiber, CNF) 15 내지 40 중량부;
버섯 발효 추출물 1 내지 5 중량부;
황정 추출물, 및 홍삼, 작약, 당귀, 지황, 천궁, 박하, 지유, 대황, 육계, 어성초, 삼백초, 현삼, 백강잠 및 아교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2개 이상의 한약재 혼합 추출물 2 내지 10 중량부; 및
올리브 오일, 해바라기씨 오일, 피마자 오일, 살구씨 오일, 나복자 오일 및 호호바 오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2개 이상의 오일류 8 내지 20 중량부;를 포함하는,
천연 발모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버섯 발효 추출물은 표고버섯, 상황버섯, 차가버섯, 동충하초, 해송이버섯, 영지버섯 및 아가리쿠스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버섯류를 물,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추출한 후 유산균으로 발효시킨 발효 추출물, 또는 버섯류를 유산균으로 발효시킨 후 물,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추출한 발효 추출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한약재 혼합 추출물은 황정 추출물은 1 내지 3 중량부; 및, 여기에 홍삼, 작약, 당귀, 지황, 천궁, 박하, 지유, 대황, 육계, 어성초, 삼백초, 현삼, 백강잠 또는 아교주의 추출물은 각각 0.05 내지 0.5 중량부로 둘 이상을 혼합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성물에 있어서, 효모 추출물 0.1 내지 1.5 중량부, 및 베타글루칸 0.5 내지 2 중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성물에 있어서, 각각의 재료의 함량이 상기 정해진 함량 범위 미만이면 탈모 예방 및 발모 촉진 효과가 미미하고, 또한, 정해진 범위의 중량부를 초과하면 제형 및 안정성에 영향을 미치게 되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상기 조성물에 있어서, 추출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임의의 추출 용매를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4의 무수 또 는 함수 저급 알콜(예: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부탄올 등), 상기 저급 알콜과 물과의 혼합용매,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 1,3-부틸렌글리콜, 헥산, 디에틸에테르 또는 부틸에테르 등을 이용하여 얻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열수 추출하거나 에탄올 수용액으로 추출하여 얻을 수 있다.
상기 조성물에 있어서, 각각의 중량부는 재료의 함량비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들 함량비는 반드시 동량이 아닌 상기 범위 내에 적절한 다양한 비율로써 함유될 수 있으며, 상기 재료 이외에 정제수 등 제조 과정에 있어서 포함될 수 있는 성분들이 추가적으로 함유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일반적인 두피 및 모발용 외용 제제에 배합될 수 있는 기제 성분을 필요에 따라 추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용해보조제, 계면활성제, 보습제, 점증제, pH 조정제, 방부제, 산화방지제, 금속이온봉쇄제, 살균제, 항염증제, 항미생물제, 용제, 착색제, 또는 착향제 등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액상, 크림상, 페이스트상 또는 고체상 등의 통상적으로 두피 및 모발에 적용시킬 수 있는 화장료 조성물 또는 의약외품 조성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에센스, 세럼, 앰플 및 미스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통상의 첨가제를 가하여 모발성장촉진을 위한 샴푸, 헤어린스, 헤어토닉, 헤어젤, 헤어로션, 헤어팩, 헤어스프레이, 헤어무스, 헤어트리트먼트, 염모제, 헤어컨디셔너, 이들의 혼합형, 예컨대, 샴푸와 린스의 혼합형, 린스와 트리트먼트의 혼합형, 액상의 발모제 타입 등의 조성물로 제조될 수 있으며, 이들 제형의 에어졸 타입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두피나 모발에 직접 도포하거나 살포하는 등의 경피 투여 방법으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도포량은 성인 기준으로 0.25 mg/kg 내지 100 mg/kg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i) 셀룰로오스를 5 ~ 600 ㎚의 나노사이즈로 분쇄하여 셀룰로오스 나노섬유(Cellulose Nanofiber, CNF)로 제조하는 단계;
ii) 표고버섯, 상황버섯, 차가버섯, 동충하초, 해송이버섯, 영지버섯 및 아가리쿠스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버섯류, 황정, 및 홍삼, 작약, 당귀, 지황, 천궁, 박하, 지유, 대황, 육계, 어성초, 삼백초, 현삼, 백강잠 및 아교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2개 이상의 한약재를 혼합한 후, 물,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추출하여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iii) 상기 단계 ii)와 별도로, 표고버섯, 상황버섯, 차가버섯, 동충하초, 해송이버섯, 영지버섯 및 아가리쿠스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버섯류, 황정, 및 홍삼, 작약, 당귀, 지황, 천궁, 박하, 지유, 대황, 육계, 어성초, 삼백초, 현삼, 백강잠 및 아교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2개 이상의 한약재를 혼합한 후, 혼합 유산균주에 자연 발효시킨 발효물을 제조한 후, 물,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추출한 후 농축하여, 발효 추출물의 농축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iv) 상기 i) 내지 iii)에서 제조된 셀룰로오스 나노섬유(Cellulose Nanofiber, CNF) 15 내지 40 중량부, 버섯류 추출물 1 내지 5 중량부, 한약재 혼합 추출물 2 내지 10 중량부, 올리브 오일, 해바라기씨 오일, 피마자 오일, 살구씨 오일, 나복자 오일 및 호호바오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2개 이상의 오일류 8 내지 20 중량를 혼합하여 믹서기에 넣고 5 ~ 600 ㎚의 나노사이즈로 분쇄한 다음, 첨가제를 넣고 교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천연 발모제 조성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한약재 혼합 추출물은 황정 추출물은 1 내지 3 중량부; 및, 여기에 홍삼, 작약, 당귀, 지황, 천궁, 박하, 지유, 대황, 육계, 어성초, 삼백초, 현삼, 백강잠 또는 아교주의 추출물은 각각 0.05 내지 0.5 중량부로 둘 이상을 혼합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조 방법에 있어서, 효모 추출물 0.1 내지 1.5 중량부, 및 베타글루칸 0.5 내지 2 중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조 방법에 있어서, 각각의 재료의 함량이 상기 정해진 함량 범위 미만이면 탈모 예방 및 발모 촉진 효과가 미미하고, 또한, 정해진 범위의 중량부를 초과하면 제형 및 안정성에 영향을 미치게 되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상기 제조 방법에 있어서, 추출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임의의 추출 용매를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4의 무수 또 는 함수 저급 알콜(예: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부탄올 등), 상기 저급 알콜과 물과의 혼합용매,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 1,3-부틸렌글리콜, 헥산, 디에틸에테르 또는 부틸에테르 등을 이용하여 얻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열수 추출하거나 에탄올 수용액으로 추출하여 얻을 수 있다.
상기 제조 방법에 있어서, 각각의 중량부는 재료의 함량비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들 함량비는 반드시 동량이 아닌 상기 범위 내에 적절한 다양한 비율로써 함유될 수 있으며, 상기 재료 이외에 정제수 등 제조과정에 있어서 포함될 수 있는 성분들이 추가적으로 함유될 수 있다.
상기 제조 방법에 있어서, 첨가제는 용해보조제, 계면활성제, 보습제, 점증제, pH 조정제, 방부제, 산화방지제, 금속이온봉쇄제, 살균제, 항염증제, 항미생물제, 용제, 착색제 및 착향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첨가제의 종류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조 방법에 있어서, 조성물은 에센스, 세럼, 앰플 및 미스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형으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들 실시예 및 실험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 실시예 1> 천연 발모제의 제조
다음과 같은 순서로 천연 발모제를 제조하였다.
1. 셀룰로오스를 믹서기에 넣고 5 ~ 600 ㎚의 나노사이즈로 분쇄하여 셀룰로오스 나노섬유를 제조하였다.
2. 표고버섯, 상황버섯, 차가버섯, 동충하초, 해송이버섯, 영지버섯 및 아가리쿠스의 버섯류, 및 황정, 홍삼, 작약, 당귀, 지황, 천궁, 박하, 지유, 대황, 육계, 어성초, 삼백초, 현삼, 백강잠 및 아교주로 구성된 한약재를 혼합한 후, 1 ~ 4시간 동안 70℃의 물에서 열수 추출하여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3. 상기 2와 별도로, 표고버섯, 상황버섯, 차가버섯, 동충하초, 해송이버섯, 영지버섯 및 아가리쿠스의 버섯류, 및 황정, 홍삼, 작약, 당귀, 지황, 천궁, 박하, 지유, 대황, 육계, 어성초, 삼백초, 현삼, 백강잠 및 아교주로 구성된 한약재를 혼합 유산균주(효모 및 락토바실러스)에 24시간 자연 발효시킨 후, 1 ~ 4시간 동안 70℃의 물에서 열수 추출한 다음, 감압농축기를 이용하여 농축하여 발효추출 농축액을 제조하였다.
4. 상기 셀룰로오스 나노섬유 35 중량%, 상기 버섯류 발효 추출물 2 중량%, 상기 한약재 추출물 3 중량%을 혼합한 후, 여기에 올리브 오일, 해바라기씨 오일, 피마자 오일, 살구씨 오일 및 나복자 오일을 각각 3 중량%, 호호바 오일 0.5 중량%을 혼합하여 믹서기에 넣고 5 ~ 600 nm로 분쇄한 다음, 첨가제로서 케라틴 1 중량%, 베타인 1 중량%, 및 1,2-헥산디올 2 중량%, 및 정제수를 첨가하여 전체를 교반하여 천연 발모제를 제조하였다.
< 비교예 1> 버섯류를 첨가하지 않은 경우
상기 <실시예 1>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버섯류 재료를 사용하지 않고, 나머지 재료를 동일하게 사용하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 비교예 2> 한약재를 첨가하지 않은 경우
상기 <실시예 1>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한약재 재료를 사용하지 않고, 나머지 재료를 동일하게 사용하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 비교예 3> 오일류를 첨가하지 않은 경우
상기 <실시예 1>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오일류를 첨가하지 않고, 나머지 재료를 동일하게 사용하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 실험예 1> 동물 실험을 통한 모발 성장 측정
<1-1> 시험군 분류
① 대조군: 1% TXN 대조군 (10주령 1% 테스토스테론 + 생리식염수) (n=10)
② 양성 대조군: 1% TXN + 3% MXD (10주령 1% 테스토스테론 + 5% 미녹시딜) (n=10)
③ 실험군: 1% TXN + <실시예 1>의 조성물 (10주령 1% 테스토스테론 + 실시예 1) (n=10)
<1-2> 시료 투여 및 관찰 방법
C57bl/6N 생쥐의 등을 제모한 후 1% TXN으로 1주일간 도포하여 발모를 억제시켰다.
실험군은 <실시예 1>의 조성물을 1일 1회씩 0.2 ㎖씩 4주 동안 C57bl/6N 생쥐의 등 피부에 도포하였다. 양성대조군은 동일한 방법으로 5% 미녹시딜을 도포하였고, 대조군은 동일한 스트레스를 주기 위하여 일정량의 증류수로 수회 씻은 다음 생리식염수를 스프레이로 일정량 도포하였다.
대조군과 발모와 관련하여 육안적인 변화를 토대로 생장기 모발 성장치를 버니어캘리퍼스로 0.1 ㎜까지 관찰하였다.
<1-3> 결과
관찰 결과, 하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험군은 전체적으로 모발의 성장이 현저히 보였고, 양성대조군과 유사한 수준으로 모발 성장을 보였으며, 반면 대조군은 모발 성장이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구분 모발 성장 정도
대조군 양성 대조군 실험군
도포 1주 후 보이지 않음 조금 나타남 조금 나타남
도포 2주 후 보이지 않음 모발의 1/3 성장함 모발의 1/3 성장함
도포 3주 후 조금 나타남 모발의 2/3 성장함 모발의 2/3 성장함
도포 4주 후 모발의 1/3 성장함 모발의 2/3 성장함 완전 성장함
< 실험예 2> 임상 시험을 통한 모발 성장 측정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예 1 ~ 3>의 조성물을 각각 사용하여 임상시험을 수행하였다.
40대 및 50대 남성 중 탈모 증상이 있는 피험자 16명(각 실험군 당 4명 배정, 발모에 관련되어 영향을 줄 수 있는 국소 도포제나 경구 제약을 복용하는 자 제외)에게 2개월 동안 아침과 저녁(2회/일)에 사용하게 하였으며, 각 회당 사용 방법은 조성물을 약 0.5 ~ 1.0 ml씩 점적하고 10 ~ 15초간 두피를 마사지하게 하였다. 피험자에게 알코올 섭취 또는 흡연에 대하여 어떠한 절제나 권장을 하지 않은 상태에서 매주 두피와 모발의 상태를 육안으로 관찰하였다.
관찰 결과, 하기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1>의 조성물을 처리한 경우, 피험자의 80% 이상은 2주 후에 두피의 가려움증이 진정 되고 탈모의 진행이 멈추었고, 사용 4주 후에 두피에 솜털이 나기 시작하면서 빠른 모낭의 성장을 볼 수 있었으며, 사용 6주 후 소생한 모발이 성장함에 따라 검고 튼튼한 모발이 생겼으며 사용 2개월에 검은색을 띤 모발의 굵기가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육안적인 판단이지만 본 발명을 통하여 빠른 모낭 성장, 높은 모발의 밀도, 모발의 모양이 곧고 길며 두꺼운 모양으로 변화됨을 알 수 있었다.
구분 실시예 1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2주 사용 후 탈모 멈춤 변화가 나타나지
않음
변화가 나타나지
않음
변화가 나타나지
않음
4주 사용 후 솜털형 모발 소생 탈모 멈춤 변화가 나타나지
않음
변화가 나타나지
않음
6주 사용 후 소생한 모발이
검은색을 나타냄
탈모 멈춤 탈모 멈춤 탈모 멈춤
8주 사용 후 검은색을 띤 모발이 굵기가 증가함 솜털형 모발 소생 솜털형 모발 소생 솜털형 모발 소생
하기에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활성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품 또는 의약외품을 위한 제조예를 예시한다.
< 제조예 1> 발모제 세럼의 제조
하기 표 3과 같은 성분을 갖는 발모제 세럼을 제조하였다.
구분 품명 수량
1 정제수 to 100
2 CNF 37.5
3 올리브 오일 3.5
4 올리브 유화 확스 1.7
5 글리세린 1.75
6 1,2-헥산디올 2
7 비즈왁스 0.3
8 올리왁스LC 1.2
9 아르기닌 0.1
10 1,3-부틸렌글라이콜 1
11 황정 추출물 1.6
12 CP980 0.1
13 카테인 0.1
14 나복자 오일 4
15 살구씨 오일 3
16 HCO60 피마자오일 0.125
17 잔탄검 0.1
18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 0.025
19 시트릭애씨드 0.05
20 호호바오일 0.5
21 실크아미노산 1
22 베타글루칸 1
23 아데노신리포좀 0.4
24 지유 추출물 0.2
25 박하 추출물 0.1
26 아교주 추출물 0.1
27 어성초 추출물 0.1
28 지황 추출물 0.1
29 당귀 추출물 0.1
30 작약 추출물 0.1
31 천궁 추출물 0.1
32 백강잠 추출물 0.05
33 삼백초 추출물 0.1
34 육계 추출물 0.1
35 현삼 추출물 0.1
36 대황 추출물 0.1
37 효모 추출물 0.1
< 제조예 2> 발모제 미스트의 제조
하기 표 4와 같은 성분을 갖는 발모제 미스트를 제조하였다.
구분 품명 수량
1 정제수 to 100
2 CNF 15
3 올리브 오일 3
4 아르기닌 0.1
5 글리세린 2
6 1,2-헥산디올 2
7 아교주 추출물 0.5
8 어성초 추출물 0.2
9 황정 추출물 1.6
10 카프릴릴글라이콜 1
11 CP980 0.1
12 나복자 오일 3
13 살구씨 오일 2
14 HCO60 피마자오일 0.5
15 잔탄검 0.1
16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 0.1
17 시트릭애씨드 0.05
18 호호바오일 0.5
19 효모 추출물 1
20 실크아미노산 1
21 베타글루칸 1
22 아데노신리포좀 0.04
23 카테인 0.1
24 지유 추출물 0.2
25 박하 추출물 0.1
26 지황 추출물 0.1
27 당귀 추출물 0.1
28 작약 추출물 0.1
29 천궁 추출물 0.1
30 삼백초 추출물 0.1
31 육계 추출물 0.1
32 현삼 추출물 0.1
33 대황 추출물 0.1
34 해바리기씨 오일 2
< 제조예 3>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용 헤어토닉의 제조
본 발명의 천연 발모제 조성물에 부형제, 안정제, 보존제, 완충제 등을 첨가하여 하기 표 5와 같은 성분을 갖는 헤어토닉을 제조하였다.
성분 중량%
<실시예 1>에 따른 천연 발모제 조성물 20.0
비타민 B5(Panthenol), B7(Biotin), Nicotinamide 2.0
혈행개선제 Tcopheryl Acetate 1.0
두피침투제 Dimethyl sulfoxide(DMSO), Triton-x 7.0
향료 lilac 적량
보습제 1,3-butylene glycol, 글리세린 5.0
가용화제 Hydrogenated Castor Oil 3.0
용매 알칼리수 및 SD Alcohol 40 to 100%
< 제조예 4>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용 샴푸의 제조
본 발명의 천연 발모제 조성물에 계면활성제, 기포안정제, 보습제, 보존제 등을 첨가하여 하기 표 6과 같은 성분을 갖는 샴푸를 제조하였다.
성분 중량%
<실시예 1>에 따른 천연 발모제 조성물 20.0
SLS(Sodium Laural Sulfate) 25.0
Sodium laureth sulfate 15.0
Propylene glycol 3.0
Lauramide MEA 4.0
Roseberry oil 3.0
Glucamate 1.0
알칼리수 to 100%

Claims (9)

  1. 셀룰로오스 나노섬유(Cellulose Nanofiber, CNF) 15 내지 40 중량부;
    버섯 발효 추출물 1 내지 5 중량부;
    황정 추출물, 및 홍삼, 작약, 당귀, 지황, 천궁, 박하, 지유, 대황, 육계, 어성초, 삼백초, 현삼, 백강잠 및 아교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2개 이상의 한약재 혼합 추출물 2 내지 10 중량부; 및
    올리브 오일, 해바라기씨 오일, 피마자 오일, 살구씨 오일, 나복자 오일 및 호호바오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2개 이상의 오일류 8 내지 20 중량부;를 포함하는,
    천연 발모제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섯 발효 추출물은 표고버섯, 상황버섯, 차가버섯, 동충하초, 해송이버섯, 영지버섯 및 아가리쿠스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물,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추출한 후 유산균으로 발효시킨 발효 추출물, 또는 유산균으로 발효시킨 후 물,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추출한 발효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 발모제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약재 혼합 추출물은
    황정 추출물은 1 내지 3 중량부; 및
    홍삼, 작약, 당귀, 지황, 천궁, 박하, 지유, 대황, 육계, 어성초, 삼백초, 현삼, 백강잠 또는 아교주의 추출물은 각각 0.05 내지 0.5 중량부;
    로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 발모제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용해보조제, 계면활성제, 보습제, 점증제, pH 조정제, 방부제, 산화방지제, 용제, 착색제 및 착향제로 구성된 군으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첨가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 발모제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조성물은 에센스, 세럼, 앰플 및 미스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 발모제 조성물.
  6. i) 셀룰로오스를 5 ~ 600 ㎚의 나노사이즈로 분쇄하여 셀룰로오스 나노섬유(Cellulose Nanofiber, CNF)로 제조하는 단계;
    ii) 표고버섯, 상황버섯, 차가버섯, 동충하초, 해송이버섯, 영지버섯 및 아가리쿠스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버섯류, 황정, 및 홍삼, 작약, 당귀, 지황, 천궁, 박하, 지유, 대황, 육계, 어성초, 삼백초, 현삼, 백강잠 및 아교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2개 이상의 한약재를 혼합한 후, 물,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추출하여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iii) 상기 단계 ii)와 별도로, 표고버섯, 상황버섯, 차가버섯, 동충하초, 해송이버섯, 영지버섯 및 아가리쿠스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버섯류, 황정, 및 홍삼, 작약, 당귀, 지황, 천궁, 박하, 지유, 대황, 육계, 어성초, 삼백초, 현삼, 백강잠 및 아교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2개 이상의 한약재를 혼합한 후, 혼합 유산균주에 자연 발효시킨 발효물을 제조한 후, 물,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추출한 후 농축하여, 발효 추출물의 농축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iv) 상기 i) 내지 iii)에서 제조된 셀룰로오스 나노섬유(Cellulose Nanofiber, CNF) 15 내지 40 중량부, 버섯류 추출물 1 내지 5 중량부, 한약재 혼합 추출물 2 내지 10 중량부, 올리브 오일, 해바라기씨 오일, 피마자 오일, 살구씨 오일, 나복자 오일 및 호호바오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2개 이상의 오일류 8 내지 20 중량를 혼합하여 믹서기에 넣고 5 ~ 600 ㎚의 나노사이즈로 분쇄한 다음, 첨가제를 넣고 교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천연 발모제 조성물의 제조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한약재 혼합 추출물은
    황정 추출물은 1 내지 3 중량부; 및
    홍삼, 작약, 당귀, 지황, 천궁, 박하, 지유, 대황, 육계, 어성초, 삼백초, 현삼, 백강잠 또는 아교주의 추출물은 각각 0.05 내지 0.5 중량부;
    로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 발모제 조성물의 제조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iv)에서 첨가제는 용해보조제, 계면활성제, 보습제, 점증제, pH 조정제, 방부제, 산화방지제, 용제, 착색제 및 착향제로 구성된 군으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 발모제 조성물의 제조 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조성물은 에센스, 세럼, 앰플 및 미스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형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 발모제 조성물의 제조 방법.
KR1020180164840A 2018-12-19 2018-12-19 천연 발모제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2484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4840A KR102248485B1 (ko) 2018-12-19 2018-12-19 천연 발모제 및 이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4840A KR102248485B1 (ko) 2018-12-19 2018-12-19 천연 발모제 및 이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6101A true KR20200076101A (ko) 2020-06-29
KR102248485B1 KR102248485B1 (ko) 2021-05-06

Family

ID=714008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4840A KR102248485B1 (ko) 2018-12-19 2018-12-19 천연 발모제 및 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848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904901A (zh) * 2020-07-30 2020-11-10 奥克斯路株式会社 一种修复头发损伤、延缓头皮衰老的松茸发酵物、组合物及应用
CN114306099A (zh) * 2022-01-12 2022-04-12 久美 含冬虫夏草的中药生发剂及其制备方法
KR102573536B1 (ko) * 2022-12-23 2023-09-04 재단법인 한국섬유기계융합연구원 셀룰로오스 나노섬유를 포함하는 친환경 샴푸바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친환경 샴푸바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094358A (ja) * 2014-11-13 2016-05-26 第一工業製薬株式会社 セルロースナノファイバー分散体およびこれを用いた化粧料組成物。
KR20170130213A (ko) * 2016-05-18 2017-11-28 정소원 한약재를 이용한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80001313A (ko) * 2016-06-27 2018-01-04 정지홍 발모에 유용한 외용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094358A (ja) * 2014-11-13 2016-05-26 第一工業製薬株式会社 セルロースナノファイバー分散体およびこれを用いた化粧料組成物。
KR20170130213A (ko) * 2016-05-18 2017-11-28 정소원 한약재를 이용한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80001313A (ko) * 2016-06-27 2018-01-04 정지홍 발모에 유용한 외용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904901A (zh) * 2020-07-30 2020-11-10 奥克斯路株式会社 一种修复头发损伤、延缓头皮衰老的松茸发酵物、组合物及应用
JP2022027391A (ja) * 2020-07-30 2022-02-10 オクスロ株式会社 髪のダメージを修復し、頭皮の老化を遅らせる松茸発酵物、組成物及びその使用
CN111904901B (zh) * 2020-07-30 2022-05-03 奥克斯路株式会社 一种修复头发损伤、延缓头皮衰老的松茸发酵物、组合物及应用
CN114306099A (zh) * 2022-01-12 2022-04-12 久美 含冬虫夏草的中药生发剂及其制备方法
KR102573536B1 (ko) * 2022-12-23 2023-09-04 재단법인 한국섬유기계융합연구원 셀룰로오스 나노섬유를 포함하는 친환경 샴푸바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친환경 샴푸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8485B1 (ko) 2021-05-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01211B2 (en) Compositions for retarding skin aging
EP1806120B1 (en) Composition for prevention or alleviation of pigmentation
KR102248485B1 (ko) 천연 발모제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017709B1 (ko) 인삼 등의 복합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 방지, 비듬 생성 억제 및 발모 촉진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101550179B1 (ko) 탈모방지 및 모발성장 조성물
KR101662545B1 (ko) 발모효과 및 탈모방지 효과가 증진된 천연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천연 추출물을 함유하는 두발세정제
KR101540333B1 (ko) 탈모방지 효과가 증진된 천연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천연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방지용 샴푸
JP3407935B2 (ja) 皮膚外用剤
KR102142311B1 (ko) 텐저레틴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110075626A (ko) 천연물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발모제 조성물
KR20200137526A (ko) 탈모 예방 및 발모 촉진용 조성물
KR102175249B1 (ko) 인삼 추출물과 녹차 추출물을 함유하는 모발 또는 두피 상태 개선용 조성물
TWI703988B (zh) 使用黑莓萃取物用於增進髮質之方法及組成物
WO2001034102A1 (fr) Compositions de soin pour les cheveux et le cuir chevelu
EP2100592B1 (de) Kosmetikum mit Anti-Alterungswirkung
JPH05255044A (ja) 養毛料
KR101854444B1 (ko) 아티초크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튼살 예방 및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N115607510A (zh) 一种高浓度齐墩果酸纳米乳组合物及制备方法
JP2002179584A (ja) テストステロン5α−リダクターゼ阻害剤及びアンドロゲン受容体結合阻害剤、頭髪用剤並びに皮膚化粧料
JPH11302133A (ja) 頭皮頭髪用化粧料
KR102052517B1 (ko) 인삼 다당체와 녹차 다당체를 함유하는 모발 또는 두피 상태 개선용 조성물
JPH0717824A (ja) 皮膚外用剤
JP6322368B2 (ja) PGD2産生抑制剤と5α−リダクターゼ活性阻害剤とを含有する頭髪化粧料及び皮膚化粧料
KR20130108010A (ko) 두피 보호 및 피부 진정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KR101957845B1 (ko) 콩뿌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모발 및 두피 상태 개선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