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71809A - 가상 전시 공간 데이터 기반의 전시품 전시 위치 가이딩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가상 전시 공간 데이터 기반의 전시품 전시 위치 가이딩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71809A
KR20200071809A KR1020180151986A KR20180151986A KR20200071809A KR 20200071809 A KR20200071809 A KR 20200071809A KR 1020180151986 A KR1020180151986 A KR 1020180151986A KR 20180151986 A KR20180151986 A KR 20180151986A KR 20200071809 A KR20200071809 A KR 202000718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hibition
virtual
data
exhibition space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19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51451B1 (ko
Inventor
박선규
Original Assignee
데이터킹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데이터킹주식회사 filed Critical 데이터킹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519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1451B1/ko
Publication of KR202000718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18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14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14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6Mixed rea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가상 전시 공간 데이터 기반의 전시품 전시 위치 가이딩 시스템 및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가상 전시 공간 데이터 기반의 전시품 전시 위치 가이딩 방법은 고객 단말로부터 실재 전시회의 전시 정보를 제공받는 단계; 상기 전시 정보를 기반으로 가상 전시 공간을 생성하여 관람객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 상기 관람객 단말로부터 가상 전시 공간 데이터를 제공받는 단계; 상기 가상 전시 공간 데이터를 분석하여 가상 전시 공간 관련 빅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히트맵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히트맵을 상기 고객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가상 전시 공간 데이터 기반의 전시품 전시 위치 가이딩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GUIDING LOCATION OF EXHIBIT BASED DATA OF VIRTUAL EXGIBITION SPACE}
본 발명은 VR 영상으로부터 수집된 가상 전시 공간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여 관람객의 관심도를 분석하고 이를 추후 전시에 적용하는 전시품 전시 위치 가이딩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가상현실(VR, Virtual reality)은 인공현실(AR, Artificial reality), 사이버공간(Cyberspace) 및 가상세계(Virtual worlds) 등이라고도 하며, 컴퓨터로 만들어 놓은 가상의 세계에서 사용자가 실제와 같은 체험을 하는 것을 의미한다.
최근 들어, 가상현실은 시간과 공간을 초월할 수 있는 장점이 있기 때문에, 여러 분야에 이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각종 행사장에(전시장, 공연장, 박람회 및 전망대) 가상현실 체험장치를 설치하는 경우가 늘어나고 있다.
이에 따라, 전시회를 직접 방문하지 않고도 VR기기를 통해서 실제로 전시회를 감상할 수 있는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다. 또한, 전시회의 내부 구조와 전시품들의 배치에 따라 관람객들의 반응과 관심도에 큰 차이가 발생하기 때문에, 전시가 완료된 전시회의 전시 데이터로부터 관람객들의 반응과 관심도를 분석하는 것이 중요해지고 있다.
그러나, 오프라인 전시를 통해 수집된 데이터로는 관람객들의 반응과 관심도를 예측할 수 있는 유의한 데이터를 추출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VR을 이용한 가상 전시 관람으로부터 수집된 가상 전시 공간 데이터를 기반으로 관람객의 관심도를 분석하고, 분석된 관심도를 통해 추후 진행될 전시회의 전시품의 배치를 가이딩(Guiding)할 수 있는 가상 전시 공간 데이터 기반의 전시품 전시 위치 가이딩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전시 공간 데이터 기반의 전시품 전시 위치 가이딩 방법은 고객 단말로부터 실재 전시회의 전시 정보를 제공받는 단계; 상기 전시 정보를 기반으로 가상 전시 공간을 생성하여 관람객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 상기 관람객 단말로부터 가상 전시 공간 데이터를 제공받는 단계; 상기 가상 전시 공간 데이터를 분석하여 가상 전시 공간 관련 빅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히트맵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히트맵을 상기 고객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가상 전시 공간은 실재 전시회를 VR 영상으로 표현한 것을 의미하며, 가상 전시 공간 데이터는 스팟 데이터(spot data), 태그 데이터(tag data), 기타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가상 전시 공간 관련 빅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스팟 데이터를 분석하여, VR 영상 내에서 관람객의 위치 이동 빅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태그 데이터를 분석하여, VR 영상 내에서 전시품의 설명정보가 관람객에 의해 선택된 횟수 빅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기타 데이터를 분석하여, 날짜별 또는 시간별 가상 전시 관람 빅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히트맵은 상기 가상 전시 공간을 관람하는 관람객의 전시품에 대한 관심도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히트맵은 가상 전시 공간 관련 빅데이터와 실재 전시회의 전시 정보를 융합하여 생성될 수도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전시 공간 데이터 기반의 전시품 전시 위치 가이딩 시스템은 서비스 제공 서버로 실재 전시회의 전시 정보를 제공하여 가상 전시 공간 생성을 요청하고,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가상 전시 공간을 관람하는 관람객의 전시품에 대한 관심도를 나타내는 히트맵을 제공받는, 고객 단말; 상기 전시 정보를 기반으로 가상 전시 공간을 생성하여 관람객 단말로 제공하고, 상기 관람객 단말로부터 제공된 가상 전시 공간 데이터를 분석하여 가상 전시 공간 관련 빅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히트맵을 생성하는,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 및 상기 가상 전시 공간으로부터 수집된 스팟 데이터, 태그 데이터 및 기타 데이터를 포함하는 상기 가상 전시 공간 데이터를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로 제공하는, 상기 관람객 단말;을 포함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전시 공간 데이터 기반의 전시품 전시 위치 가이딩 프로그램은, 하드웨어인 컴퓨터와 결합되어 상기 가상 전시 공간 데이터 기반의 전시품 전시 위치 가이딩 방법을 실행하며, 매체에 저장된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시 기간이 종료된 전시회에 대해서, VR을 이용한 가상 전시 관람을 통해서 전시회를 직접 방문한 것처럼 감상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VR을 이용한 가상 전시 관람으로부터 수집된 가상 전시 공간 데이터를 기반으로 관람객의 관심도를 분석하여 추후 진행될 전시회의 전시품의 배치에 적용함으로써, 관람객의 전시에 대한 관심과 호기심을 유발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전시 공간 데이터 기반의 전시품 전시 위치 가이딩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관람객 단말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전시 공간 데이터 기반의 전시품 전시 위치 가이딩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 내지 도 9는 가상 전시 공간 데이터 기반으로 분석된 빅데이터가 고객 단말의 화면에 표시되는 것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0 내지 도 12는 서비스 제공 서버에 의해 생성된 히트맵이 고객 단말의 화면에 표시되는 것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설명에 앞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의미를 간략히 설명한다. 그렇지만, 용어의 설명은 본 명세서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이므로, 명시적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는 사항으로 기재하지 않은 경우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의미로 사용하는 것이 아님을 주의해야 한다.
본 발명에서, 가상 전시 공간은, 실재 전시회를 VR 영상으로 재현한 것을 의미하며, 다면 영상을 이어서 실제와 같은 하나의 3D공간을 구현한 영상으로,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서 영상 내에서 이동이 가능하고, 특정 오브젝트(VR 영상 내의 전시품)를 확대 또는 축소하여 관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관람객은 실재 오프라인 전시에 방문하여 전시를 관람하는 관람객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가상 전시 공간, 즉, VR 영상을 통해 온라인 가상 전시를 관람하는 사용자를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관람객을 이동시킨다는 것은 관람객의 물리적인 위치를 이동시키는 것이 아니라, VR 영상 내의 관람객의 위치 및 시점을 이동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전시 공간 데이터 기반의 전시품 전시 위치 가이딩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네트워크(미 도시)를 통해 고객 단말(200) 및 관람객 단말(300)과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는 구내 정보 통신망(LAN), 도시권 통신망(MAN), 광역 통신망(WAN) 및 인터넷 등을 포함하는 데이터 통신망뿐만 아니라 방송망, 전화망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유선과 무선을 가리지 않으며, 모든 통신 방식이 사용 가능하다.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고객 단말(200)의 요청에 따라 실재 전시회의 전시 정보를 기반으로 가상 전시 공간을 생성하여 관람객 단말(300)로 제공하고, 관람객 단말(300)로부터 제공된 가상 전시 공간 데이터를 분석하여 가상 전시 공간 관련 빅데이터를 생성하고,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히트맵을 생성한다.
고객 단말(200)은 전시 주최 측의 단말로서, 컴퓨터, 태블릿 PC,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PDA), 스마트폰 등을 의미한다. 고객 단말(200)은 오프라인으로 개최되는 전시회에 대해 온라인으로도 전시회를 제공하기를 원하는 경우, 서비스 제공 서버(100)로 실재 전시에 대응하는 가상 전시 공간의 생성을 요청한다. 이때, 오프라인 전시회는 전시 기간이 끝난 전시회일 수도 있고, 또는 진행 중인 전시회일 수도 있다.
고객 단말(200)은 서비스 제공 서버(100)로 실재 전시회의 전시 정보를 제공하여 가상 전시 공간 생성을 요청하고, 서비스 제공 서버(100)로부터 히트맵을 제공받는다. 이때, 히트맵은 가상 전시 공간을 관람하는 관람객의 전시품에 대한 관심도를 나타내는 것이다.
관람객 단말(300)은 서비스 제공 서버(100)에서 제공하는 가상 전시 공간(VR 영상)을 실시간 또는 다운로드 하여 이용할 수 있는 기기를 의미하며, VR기기, 컴퓨터, 노트북, 스마트폰 등과 같이 영상을 재생할 수 있는 수단이라면 무엇이든 적용 가능하다.
관람객 단말(300)은 가상 전시 공간으로부터 수집된 가상 전시 공간 데이터를 서비스 제공 서버(100)로 제공한다. 이때, 가상 전시 공간 데이터는 관람객이 관람객 단말(300)을 통해 VR 영상을 관람할 때 수집되는 정보를 의미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관람객 단말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람객 단말(300)은 디스플레이 모듈(320) 및 조작 모듈(340)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320)은 사용자(관람객)에게 가상 전시 공간의 VR 영상을 제공하는 매체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320)은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HMD, Head mounted display)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관람객은 디스플레이 모듈(320)을 얼굴에 착용할 수 있으며, 관람객의 시야는 실재현실과 차단될 수 있다.
조작 모듈(340)은 관람객의 조작을 위해 마련될 수 있다. 일 예로, 조작 모듈(340)은 스마트 패드(Smart pad), 터치스크린 형태(Touch screen type)의 키오스크(Kiosk) 등일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관람객은 조작 모듈(340)을 통해, 관람객 단말(300)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고, 관람객 단말(300)의 On/Off와, 가상 전시 공간으로 체험하는 실재 전시의 공간과 가상 전시 공간의 영상의 재생 시점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Interface)를 제공받을 수 있다.
한편, 조작 모듈(340)은 디스플레이 모듈(320)과 유/무선으로 통신하여, 관람객의 조작 명령을 디스플레이 모듈(320)로 전달할 수 있다. 즉, 관람객은 자신이 선택한 콘텐츠를 디스플레이 모듈(320)을 통해 가상 전시 공간의 영상으로 체험할 수 있다.
일 예로, 관람객은 스마트 패드를 터치하여 콘텐츠 메뉴를 선택하고, 조작 모듈(340)은 디스플레이 모듈(320)로 와이파이 통신을 통해 관람객의 조작 명령을 전송하여, 디스플레이 모듈(320)에서는 관람객이 선택한 컨텐츠의 영상이 재생됨으로써, 관람객은 자신이 선택한 가상 전시 공간의 영상을 체험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전시 공간 데이터 기반의 전시품 전시 위치 가이딩 방법의 흐름도이다.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고객 단말(200)로부터 실재 전시회의 전시 정보를 제공받는다(S10). 여기서, 실재 전시회는 오프라인으로 이루어진 전시회를 의미하며, 고객 단말(200)은 실재 전시회의 관련 사진 및 내부 배치도 등을 포함하는 전시 정보를 서비스 제공 서버(100)로 제공하면서 가상 전시 공간의 생성을 요청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고객 단말(200)로부터 제공된 전시 정보를 기반으로 가상 전시 공간을 생성하여 관람객 단말(300)로 제공한다(S20). 가상 전시 공간은 실재 전시회를 재현한 VR 영상으로, 관람객은 관람객 단말(300)을 통해 VR 영상을 관람함으로써, 실재 전시회를 방문하여 관람하는 것과 같은 느낌을 받을 수 있다.
이때, 관람객 단말(300)은 관람객이 VR 영상을 관람하면서 이동하는 경로, 멈추는 위치, 멈춘 시간, 관람객의 시야, 관람한 전시품 정보, 각 전시품을 관람한 시간, 가상 전시 관람 날짜 및 시간 등을 포함하는 가상 전시 공간 데이터를 수집하고, 이를 서비스 제공 서버(100)로 제공한다(S30).
이후,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가상 전시 공간 데이터를 분석하여 가상 전시 공간 관련 빅데이터를 생성한다(S40).
일 실시예에 따라, 가상 전시 공간 데이터는 스팟 데이터(spot data), 태그 데이터(tag data), 기타 데이터를 포함하는데,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스팟 데이터를 분석하여, VR 영상 내에서 관람객의 위치 이동 빅데이터를 생성하고, 태그 데이터를 분석하여, VR 영상 내에서 전시품의 설명정보가 관람객에 의해 선택된 횟수 빅데이터를 생성하고, 기타 데이터를 분석하여, 날짜별 또는 시간별 가상 전시 관람 빅데이터를 생성한다.
이후,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생성된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히트맵을 생성하여(S50), 고객 단말(200)로 제공한다. 이때, 히트맵은 가상 전시 공간을 관람하는 관람객의 전시품에 대한 관심도를 나타낸다.
일 실시예에 따라,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가상 전시 공간 관련 빅데이터와 실재 전시회의 전시 정보를 융합하여 히트맵을 생성할 수도 있다.
도 4 내지 도 9는 가상 전시 공간 데이터 기반으로 분석된 빅데이터가 고객 단말의 화면에 표시되는 것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스팟 데이터(spot data)(20)는 VR 영상 내에서 관람객에 의해 선택된 위치에 대한 이동 데이터의 통계를 나타낸다. VR 영상 내에는 영상 내 각 지점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VR 영상 내의 이동 경로에 표시되어, 관람객에 의해 선택되면 해당 위치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스팟(위치)이 다수 개 표시되어 있으며, 각 스팟마다 고유 번호가 부여된다.
도 4를 참조하면, 화면 중앙에 특정 전시회(예를 들어, 국립중앙박물관: 동아시아의 호랑이 미술)의 쇼케이스 사진이 표시되어 있고, 하단에는 관람객의 위치 이동 횟수를 내림차순으로 정렬하여 나타낸 바 차트가 표시된다. 즉, x축에는 스팟의 고유 번호가 표시되어 있고, y축에는 이동 횟수가 표시되어 있으므로, 141번의 스팟이 관람객이 가장 많이 이동한 위치임을 알 수가 있다. 또한, 바 차트에 표시되어 있는 스팟의 고유 번호를 클릭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왼쪽에 쇼케이스에 해당 위치의 장면이 표시되고, 오른쪽에는 해당 위치에서 관람객이 이동 가능한 스팟들이 표시된다.
예를 들어, 바 차트에서 141번의 스팟을 클릭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른쪽 하단에 클릭된 스팟의 고유번호(22)와 해당 스팟의 이동 횟수(23)가 표시되고, 오른쪽 상단엔 해당 스팟이 현재위치(21)로 표시되고, 현재 위치에서 이동할 수 있는 거리와 이동 확률을 나타내는 숫자들이 표시될 수 있다.
태그 데이터(tag data)(30)는 VR 영상 내에서 관람객에 의해 선택된 전시품의 설명정보에 대한 태킹 클릭 데이터 통계를 나타낸다.
도 6를 참조하면, 화면 중앙에 특정 전시회(예를 들어, 국립중앙박물관: 동아시아의 호랑이 미술)의 쇼케이스 사진이 표시되어 있고, 하단에는 관람객이 선택한 태깅 클릭 횟수를 내림차순으로 정렬하여 나타낸 바 차트가 표시된다. 즉, x축에는 전시품의 설명정보에 대한 태깅의 고유 번호가 표시되어 있고, y축에는 클릭 횟수가 표시되어 있으므로, 22번의 태깅이 관람객이 가장 많이 선택한 전시품의 설명정보임을 알 수가 있다. 또한, 바 차트에 표시되어 있는 태깅의 고유 번호를 클릭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왼쪽에 쇼케이스에 해당 태깅 위치의 장면이 표시되고, 오른쪽에는 해당 위치에서 관람객이 볼 수 있는 태깅들의 위치가 표시된다.
예를 들어, 바 차트에서 22번의 태깅을 클릭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른쪽 하단에 클릭된 태깅의 고유번호(32)와 해당 태깅이 클릭된 횟수(33)가 표시되고, 오른쪽 상단엔 해당 태깅 위치가 현재위치(31)로 표시되고, 현재 태깅 위치에서 볼 수 있는 태깅들의 위치가 표시될 수 있다.
기타 데이터(data view)(40)는 날짜별, 시간대별 관람객 데이터 통계를 나타낸다. 도 8을 참조하면, 방문 정보(visitor info)(41)는 날짜별로 전시에 대한 조회 수 및 방문 수를 차트로 표시하는 정보인데, 여기서, 조회 수는 가상 전시 공간을 조회한 수이고, 방문수는 가상 전시 공간의 VR 영상을 플레이한 수이고, 재방문 수는 VR 영상을 두 번 이상 플레이한 수를 의미한다. 또한, 시간 정보(time info)(42) 전시에 대한 시간대별 조회수 및 방문 수를 합친 것을 그래프로 나타낸 정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라, 기타 데이터(40)는 브라우저 정보(browser info)(43)과 플랫폼 정보(platform info)(44)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때, 브라우저 정보(43)는 전체 전시에 대해 VR 영상을 플레이했던 관람객들의 브라우저 접속 기록을 나타낸 정보이고, 플랫폼 정보(44)는 전체 전시에 대해 VR 영상을 플레이했던 관람객들의 플랫폼별 접속 기록(백분율)을 나타낸 정보이다.
도 10 내지 도 12는 서비스 제공 서버에 의해 생성된 히트맵이 고객 단말의 화면에 표시되는 것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스팟의 고유번호와 함께 해당 스팟의 이미지가 목록으로 제공된다. 복수의 스팟의 고유번호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면, 해당 스팟의 히트맵이 표시된다. 도 11을 참조하면, 141번의 스팟에 해당하는 히트맵이 표시된다. 빨간색의 히트가 많을수록 관람객의 관심도가 높은 곳이며, 141번의 스팟에서는 도면부호(51)에 해당하는 위치가 관람객의 관심도가 가장 높은 곳임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12를 참고하면, 140번의 스팟에서는 도면부호(52)에 해당하는 위치가 관람객의 관심도가 가장 높은 곳임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전시 공간 데이터 기반의 전시품 전시 위치 가이딩 방법은, 하드웨어인 컴퓨터와 결합되어 실행되기 위해 프로그램(또는 어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되어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전술한 프로그램은, 상기 컴퓨터가 프로그램을 읽어들여 프로그램으로 구현된 상기 방법들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상기 컴퓨터의 프로세서(CPU)가 상기 컴퓨터의 장치 인터페이스를 통해 읽힐 수 있는 C, C++, JAVA, Ruby, 기계어 등의 컴퓨터 언어로 코드화된 코드(Code)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코드는 상기 방법들을 실행하는 필요한 기능들을 정의한 함수 등과 관련된 기능적인 코드(Functional Code)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기능들을 상기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소정의 절차대로 실행시키는데 필요한 실행 절차 관련 제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코드는 상기 기능들을 상기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실행시키는데 필요한 추가 정보나 미디어가 상기 컴퓨터의 내부 또는 외부 메모리의 어느 위치(주소 번지)에서 참조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메모리 참조관련 코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상기 기능들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원격(Remote)에 있는 어떠한 다른 컴퓨터나 서버 등과 통신이 필요한 경우, 코드는 상기 컴퓨터의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원격에 있는 어떠한 다른 컴퓨터나 서버 등과 어떻게 통신해야 하는지, 통신 시 어떠한 정보나 미디어를 송수신해야 하는지 등에 대한 통신 관련 코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되는 매체는,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저장되는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즉,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컴퓨터가 접속할 수 있는 다양한 서버 상의 다양한 기록매체 또는 사용자의 상기 컴퓨터상의 다양한 기록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 서비스 제공 서버
20 : 고객 단말
30 : 관람객 단말
32 : 디스플레이 모듈
34 : 조작 모듈

Claims (10)

  1. 가상 전시 공간 데이터 기반의 전시품 전시 위치 가이딩 방법으로서,
    고객 단말로부터 실재 전시회의 전시 정보를 제공받는 단계;
    상기 전시 정보를 기반으로 가상 전시 공간을 생성하여 관람객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
    상기 관람객 단말로부터 가상 전시 공간 데이터를 제공받는 단계;
    상기 가상 전시 공간 데이터를 분석하여 가상 전시 공간 관련 빅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히트맵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히트맵을 상기 고객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가상 전시 공간 데이터 기반의 전시품 전시 위치 가이딩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전시 공간은 실재 전시회를 VR 영상으로 표현한 것인, 가상 전시 공간 데이터 기반의 전시품 전시 위치 가이딩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전시 공간 데이터는 스팟 데이터(spot data), 태그 데이터(tag data), 기타 데이터를 포함하는, 가상 전시 공간 데이터 기반의 전시품 전시 위치 가이딩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전시 공간 관련 빅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스팟 데이터를 분석하여, VR 영상 내에서 관람객의 위치 이동 빅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태그 데이터를 분석하여, VR 영상 내에서 전시품의 설명정보가 관람객에 의해 선택된 횟수 빅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기타 데이터를 분석하여, 날짜별 또는 시간별 가상 전시 관람 빅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가상 전시 공간 데이터 기반의 전시품 전시 위치 가이딩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히트맵은 상기 가상 전시 공간을 관람하는 관람객의 전시품에 대한 관심도를 나타내는 것인, 가상 전시 공간 데이터 기반의 전시품 전시 위치 가이딩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히트맵은 가상 전시 공간 관련 빅데이터와 실재 전시회의 전시 정보를 융합하여 생성될 수도 있는 것인, 가상 전시 공간 데이터 기반의 전시품 전시 위치 가이딩 방법.
  7. 가상 전시 공간 데이터 기반의 전시품 전시 위치 가이딩 시스템으로서,
    서비스 제공 서버로 실재 전시회의 전시 정보를 제공하여 가상 전시 공간 생성을 요청하고,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가상 전시 공간을 관람하는 관람객의 전시품에 대한 관심도를 나타내는 히트맵을 제공받는, 고객 단말;
    상기 전시 정보를 기반으로 가상 전시 공간을 생성하여 관람객 단말로 제공하고, 상기 관람객 단말로부터 제공된 가상 전시 공간 데이터를 분석하여 가상 전시 공간 관련 빅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히트맵을 생성하는,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 및
    상기 가상 전시 공간으로부터 수집된 스팟 데이터, 태그 데이터 및 기타 데이터를 포함하는 상기 가상 전시 공간 데이터를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로 제공하는, 상기 관람객 단말;
    을 포함하는, 가상 전시 공간 데이터 기반의 전시품 전시 위치 가이딩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전시 공간은 실재 전시회를 VR 영상으로 표현한 것인, 가상 전시 공간 데이터 기반의 전시품 전시 위치 가이딩 시스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히트맵은 가상 전시 공간 관련 빅데이터와 실재 전시회의 전시 정보를 융합하여 생성될 수도 있는 것인, 가상 전시 공간 데이터 기반의 전시품 전시 위치 가이딩 시스템.
  10. 하드웨어인 컴퓨터와 결합되어,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가상 전시 공간 데이터 기반의 전시품 전시 위치 가이딩 프로그램.
KR1020180151986A 2018-11-30 2018-11-30 가상 전시 공간 데이터 기반의 전시품 전시 위치 가이딩 시스템 및 방법 KR1021514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1986A KR102151451B1 (ko) 2018-11-30 2018-11-30 가상 전시 공간 데이터 기반의 전시품 전시 위치 가이딩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1986A KR102151451B1 (ko) 2018-11-30 2018-11-30 가상 전시 공간 데이터 기반의 전시품 전시 위치 가이딩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1809A true KR20200071809A (ko) 2020-06-22
KR102151451B1 KR102151451B1 (ko) 2020-09-03

Family

ID=711424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1986A KR102151451B1 (ko) 2018-11-30 2018-11-30 가상 전시 공간 데이터 기반의 전시품 전시 위치 가이딩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145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9367B1 (ko) * 2020-07-01 2021-02-24 주식회사 씨몬 온라인 가상 3d 전시 방법, 장치, 및 시스템
CN113612983A (zh) * 2021-08-11 2021-11-05 张云峰 一种基于vr技术的可视化展示展览***及其使用方法
CN114155027A (zh) * 2021-12-01 2022-03-08 广州智会云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企业获客管理***
CN114543816A (zh) * 2022-04-25 2022-05-27 深圳市赛特标识牌设计制作有限公司 一种基于物联网的导视方法、装置以及***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4156B1 (ko) 2020-09-29 2022-05-03 김종명 물리 공간의 가상 할당을 이용한 전시 플랫폼 시스템
WO2022074683A1 (en) * 2020-10-08 2022-04-14 Sabhaney Arvind Jyot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n engaging virtual exposition using cloud computing
KR102263133B1 (ko) * 2021-01-15 2021-06-09 (주)제주넷 3차원 가상 전시 공간 제작 서비스 제공 장치
KR102672516B1 (ko) 2021-08-04 2024-06-05 주식회사 리모샷 가상공간을 이용한 사이버 전시 플랫폼 시스템
KR20230079573A (ko) 2021-11-29 2023-06-07 정다운 Vr 기반 공간 투어 서비스 장치 및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49779A (ja) * 1998-03-03 1999-09-17 Atr Chino Eizo Tsushin Kenkyusho:Kk 見学者案内支援装置および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49779A (ja) * 1998-03-03 1999-09-17 Atr Chino Eizo Tsushin Kenkyusho:Kk 見学者案内支援装置および方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9367B1 (ko) * 2020-07-01 2021-02-24 주식회사 씨몬 온라인 가상 3d 전시 방법, 장치, 및 시스템
CN113612983A (zh) * 2021-08-11 2021-11-05 张云峰 一种基于vr技术的可视化展示展览***及其使用方法
CN113612983B (zh) * 2021-08-11 2024-01-19 张云峰 一种基于vr技术的可视化展示展览***及其使用方法
CN114155027A (zh) * 2021-12-01 2022-03-08 广州智会云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企业获客管理***
CN114543816A (zh) * 2022-04-25 2022-05-27 深圳市赛特标识牌设计制作有限公司 一种基于物联网的导视方法、装置以及***
CN114543816B (zh) * 2022-04-25 2022-07-12 深圳市赛特标识牌设计制作有限公司 一种基于物联网的导视方法、装置以及***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1451B1 (ko) 2020-09-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51451B1 (ko) 가상 전시 공간 데이터 기반의 전시품 전시 위치 가이딩 시스템 및 방법
JP6861454B2 (ja) 共有アセット及び個別化アセットからのストーリーボード指示ビデオ制作
US20190174191A1 (en) System and Method for Integrating Interactive Call-To-Action, Contextual Applications with Videos
US9024844B2 (en) Recognition of image on external display
US9409090B1 (en) Enhancing user experience by presenting past application usage
RU2698158C1 (ru) Цифровая мультимедийная платформа для преобразования видеообъектов в представленные в игровой форме мультимедийные объекты
US11216166B2 (en) Customizing immersive media content with embedded discoverable elements
CN107590771A (zh) 具有用于在建模3d空间中投影观看的选项的2d视频
CN102193732A (zh) 比本地屏幕大的被远程发送桌面的有效导航及与桌面交互
Kallioniemi et al. User experience and immersion of interactive omnidirectional videos in CAVE systems and head-mounted displays
Roy et al. Web-based augmented reality for information delivery services: A performance study
KR20220065388A (ko) 전자 스포츠 경기에 관한 증강 현실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 및 방법
Takács Immersive interactive reality: Internet-based on-demand VR for cultural presentation
US20230388563A1 (en) Inserting digital contents into a multi-view video
KR20120055699A (ko)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정보 기억 매체 및 프로그램
KR102225494B1 (ko) Vr 기기를 이용한 가상 박람회 체험 방법 및 장치
Yao et al. Designing for Visualization in Motion: Embedding Visualizations in Swimming Videos
KR20230019304A (ko) 온라인 3d 박물관 플랫폼 제공 방법, 장치 및 프로그램
JP7361254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Bibiloni et al. An Augmented Reality and 360-degree video system to access audiovisual content through mobile devices for touristic applications
US11544775B2 (en) System and method for virtual demonstration of product
WO2023190345A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240067450A (ko) 메타버스 공간에서의 사용자 행동분석 방법 및 장치
WO2022163276A1 (ja) 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方法及びサーバ装置
Lo ARSpectator—Enriching On-Site Sports Spectating with Augmented Reali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