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71537A - 빈용기 분리수거 장치 - Google Patents

빈용기 분리수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71537A
KR20200071537A KR1020180159379A KR20180159379A KR20200071537A KR 20200071537 A KR20200071537 A KR 20200071537A KR 1020180159379 A KR1020180159379 A KR 1020180159379A KR 20180159379 A KR20180159379 A KR 20180159379A KR 20200071537 A KR20200071537 A KR 202000715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mpty container
weight
sorting
empty
inner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93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64591B1 (ko
Inventor
김경진
변준환
강기찬
박찬섭
Original Assignee
김경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경진 filed Critical 김경진
Priority to KR10201801593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4591B1/ko
Publication of KR202000715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15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45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45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16Sorting according to weight
    • B07C5/22Sorting according to weight using a plurality of stationary weighing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16Sorting according to weight
    • B07C5/32Sorting according to weight with associated check-weigh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2501/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to be sorted
    • B07C2501/0054Sorting of waste or refuse

Landscapes

  • Sorting Of Articles (AREA)
  • Refuse Recepta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거 대상인 빈용기가 수거될 수 있도록 상면에 개구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빈용기를 수거하여 분류할 수 있도록 격벽에 의하여 분할된 복수의 분류공간이 마련된 하우징과; 복수의 상기 분류공간에 각각 수용되며 상기 분류공간의 높이 방향을 따라 승하강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복수의 내부박스와; 상기 내부박스가 수거된 상기 빈용기 전체의 무게에 따라 승하강 이동하도록 하는 승하강 수단과; 상기 하우징에 설치된 상기 격벽의 상부 중앙 영역에 설치되어 수거되는 상기 빈용기를 동일한 종류별로 분류할 수 있도록 하는 분류 수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빈용기 분리수거 장치를 제시함으로써, 폐병류을 수거하여 동일한 종류로 분류가 신속하고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분류공간의 내부에서 분류된 병류가 안전하게 보관되도록 하고 추후 수거시에 수거된 병류의 무게에 따라 자동으로 분류공간의 하면이 승강이동하도록 하여 작업자가 수월하게 분류된 병류를 수거할 수 있다.

Description

빈용기 분리수거 장치{APPARATUS FOR CLASSIFYING BOTTLE}
본 발명은 분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폐병류을 수거하여 동일한 종류로 정확한 분류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도록 하는 빈용기 분리수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산업화에 따른 산업의 성장 및 환경에 대한 관심의 증대에 따라 일상생활에서 불가피하게 발생하는 각종 병의 재활용이 주요한 사회적인 이슈로 대두되고 있다. 상기와 같이 일상생활에서 두루 발생하는 각종 병들의 안전한 처리 및 활용 문제는 환경보존상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종래 일상생활에서 수거되는 병을 재활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재활용품 수거장으로 수거된 각종 병들을 크기별, 색상별로 분류하여야 한다.
그러나 이러한 병의 분류작업은 작업자에 의한 수작업으로 이루어지므로 작업시간이 오래 걸리고, 작업능률이 저하되며, 인건비 등을 포함한 비용이 증가하여 비경제적이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서, 폐병류을 수거하여 동일한 종류로 분류가 신속하고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분류공간의 내부에서 분류된 병류가 안전하게 보관되도록 하고 추후 수거시에 수거된 병류의 무게에 따라 자동으로 분류공간의 하면이 승강이동하도록 하여 작업자가 수월하게 분류된 병류를 수거할 수 있도록 하는 빈용기 분리수거 장치를 제시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을 위하여, 본 발명은 수거 대상인 빈용기가 수거될 수 있도록 상면에 개구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빈용기를 수거하여 분류할 수 있도록 격벽에 의하여 분할된 복수의 분류공간이 마련된 하우징과; 복수의 상기 분류공간에 각각 수용되며 상기 분류공간의 높이 방향을 따라 승하강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복수의 내부박스와; 상기 내부박스가 수거된 상기 빈용기 전체의 무게에 따라 승하강 이동하도록 하는 승하강 수단과; 상기 하우징에 설치된 상기 격벽의 상부 중앙 영역에 설치되어 수거되는 상기 빈용기를 동일한 종류별로 분류할 수 있도록 하는 분류 수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빈용기 분리수거 장치를 제시한다.
여기서, 상기 승하강 수단은 상기 내부박스의 하면에 설치되어 내부박스에 수거된 상기 빈용기 전체의 무게를 측정하는 로드셀과, 상기 하우징 상면의 복수의 개소에 설치되어 상기 로드셀에 의하여 측정된 무게에 따라 선택적으로 구동되는 복수의 구동모터와, 일단이 상기 하우징 상면에 고정되고 상기 내부박스의 하면을 경유하여 타단이 상기 구동모터에 권취되는 로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승하강 수단은 내부박스의 하면에 설치되어 내부박스에 수거된 상기 빈용기 전체의 무게를 측정하는 로드셀과, 상호 대향되는 상기 하우징과 상기 내부박스의 대향면에 각각 구비되며 동일한 극성이 상호 대향되게 배치된 자력부재와, 상기 하우징 상면의 복수의 개소에 설치되어 상기 로드셀에 의하여 측정된 무게에 따라 상기 자력부재가 갖는 자력의 강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전력공급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력공급수단은 자기유도현상이 발생되도록 상기 자력부재의 외면에 복수로 권취된 코일과 상기 코일 측으로 선택적으로 전력을 가변시켜 공급하는 전력공급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분류 수단은 상기 격벽의 상부 중앙 영역에 양단부가 각각 승하강 이동가능하도록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분류 대상인 상기 빈용기가 안착되는 안착플레이트와, 상기 안측플레이트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안착플레이트에 안착된 상기 빈용기의 무게를 측정하는 로드셀과, 상기 로드셀에 의하여 측정된 상기 빈용기의 무게에 따라 상기 안착플레이트가 기울어져야 하는 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하는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안착플레이트의 일측에 구비된 피동기어와, 상기 피동기어와 맞물리는 가동기어가 구동축에 설치되어 상기 로드셀에서 측정한 무게에 따라 상기 안착플레이트가 기울어져야 하는 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구동축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빈용기는 별도의 컨베이어에 의하여 상기 안착플레이트 측으로 이송되도록 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로드셀에 의하여 측정된 상기 빈용기의 무게에 따라 상기 빈용기의 개수를 파악하고, 상기 빈용기의 개수 정보는 와이파이를 통하여 별도의 서버에 실시간으로 저장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폐병류을 수거하여 동일한 종류로 분류가 신속하고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분류공간의 내부에서 분류된 병류가 안전하게 보관되도록 하고 추후 수거시에 수거된 병류의 무게에 따라 자동으로 분류공간의 하면이 승강이동하도록 하여 작업자가 수월하게 분류된 병류를 수거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빈용기 분리수거 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빈용기 분리수거 장치의 'Ⅱ-Ⅱ'선에 따른 선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빈용기 분리수거 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빈용기 분리수거 장치의 'Ⅳ-Ⅳ'선에 따른 선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빈용기 분리수거 장치가 동작하는 과정을 도시한 작동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빈용기 분리수거 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빈용기 분리수거 장치의 'Ⅱ-Ⅱ'선에 따른 선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빈용기 분리수거 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빈용기 분리수거 장치의 'Ⅳ-Ⅳ'선에 따른 선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빈용기 분리수거 장치가 동작하는 과정을 도시한 작동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빈용기 분리수거 장치는, 수거 대상인 빈용기가 수거될 수 있도록 상면에 개구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빈용기를 수거하여 분류할 수 있도록 격벽(110)에 의하여 분할된 복수의 분류공간(120)이 마련된 하우징(100)과; 복수의 상기 분류공간(120)에 각각 수용되며 상기 분류공간(120)의 높이 방향을 따라 승하강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복수의 내부박스(200)와; 상기 내부박스(200)가 수거된 상기 빈용기 전체의 무게에 따라 승하강 이동하도록 하는 승하강 수단(300)과; 상기 하우징(100)에 설치된 상기 격벽(110)의 상부 중앙 영역에 설치되어 수거되는 상기 빈용기를 동일한 종류별로 분류할 수 있도록 하는 분류 수단(400)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우징(100)은 중앙 영역에 격벽(110)이 설치되어 내부를 복수의 분류공간(120)으로 분할하고, 상면이 개구 형성되어 분류공간(120)으로 빈용기를 투입하여 분리수거가 가능하도록 하는 부재이다.
하우징(100) 하면의 네 꼭지점 영역에는 빈용기 분리수거 장치를 원하는 장소로 이동시키기 용이하도록 하는 별도의 바퀴부재가 구비되어 있다.
내부박스(200)는 하우징(100)에 형성된 분류공간(120)에 수용되어 분류공간(120)의 내부로 투입되는 빈용기가 담겨지는 부재로서, 상면은 개구 형성되어 있으며 분류공간(120)의 높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있다.
내부박스(200)가 하우징(100)에 형성된 분류공간(120)의 높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비됨으로써 작업자가 빈용기를 수거시에 내부박스(200)에 수거된 빈용기의 무게에 따라 내부박스(200)가 승강이동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허리를 많이 굽히지 않은 상태에서 수거 작업이 가능하기 때문에 편리한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내부박스(200)에 빈용기가 많이 수거된 경우에는 내부박스(200)의 하강이동하더라도 빈용기가 적층된 높은 높이로 인하여 허리를 많이 굽히지 않고서도 수거 작업이 가능하며, 반대로 내부박스(200)에 빈용기가 적게 수거된 경우에는 내부박스(200)가 승강 이동하여 빈용기가 적층된 높이가 낮더라도 작업자가 허리를 많이 굽히지 않고서도 수거 작업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게 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빈용기 분리수거 장치의 경우에 승하강 수단(300)은 내부박스(200)의 하면에 설치되어 내부박스(200)에 수거된 상기 빈용기 전체의 무게를 측정하는 로드셀(310)과, 하우징(100) 상면의 복수의 개소에 설치되어 로드셀(310)에 의하여 측정된 무게에 따라 선택적으로 구동되는 복수의 구동모터(320)와, 일단이 하우징(100) 상면에 고정되고 내부박스(200)의 하면을 경유하여 타단이 구동모터(320)에 권취되는 로프(33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로드셀(310)은 내부박스(200)의 하면 중앙에 설치되고, 내부박스(200)에 투입된 빈용기 전체의 무게를 측정할 수 있도록 로드셀(310)의 상측에는 별도의 바닥판이 설치되어 빈용기가 내부박스(200) 내부에서 어디에 위치하던지 무게의 측정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동모터(320)는 하우징(100) 상면의 복수의 개소에 설치되며 로드셀(310)에 의하여 측정된 빈용기의 무게에 따라 구동모터(320)가 연동하여 동작함으로써 내부박스(200)를 승하강시킬 수 있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로프(330)는 일단이 하우징(100) 상면에 고정되고 내부박스(200)의 하면을 경유하여 타단이 구동모터(320)에 권취되도록 설치되어 구동모터(320)의 구동축에 권취되면서 전체적인 길이가 짧아지게 되면 내부박스(200)를 승강시키고, 반대로 구동축에서 해권되어 전체적인 길이가 길어지게 되면 내부박스(200)를 하강시키게 된다.
로프(330)는 내부박스(200)를 승강시킬 경우에 빈용기가 수거된 내부박스(200)의 중량을 균일하게 분배할 수 있도록 내부박스(200)의 하면을 폭방향으로 삼등분 하는 위치에 한 쌍이 설치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한편,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다른 빈용기 분리수거 장치의 경우에 승하강 수단(300)은 내부박스(200)의 하면에 설치되어 내부박스(200)에 수거된 상기 빈용기 전체의 무게를 측정하는 로드셀(340)과, 상호 대향되는 하우징(100)과 내부박스(200)의 대향면에 각각 구비되며 동일한 극성이 상호 대향되게 배치된 자력부재(350)와, 하우징(100) 상면의 복수의 개소에 설치되어 로드셀(340)에 의하여 측정된 무게에 따라 자력부재(350)가 갖는 자력의 강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전력공급수단(36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로드셀(340)은 내부박스(200)의 하면 중앙에 설치되고, 내부박스(200)에 투입된 빈용기 전체의 무게를 측정할 수 있도록 로드셀(340)의 상측에는 별도의 바닥판이 설치되어 빈용기가 내부박스(200) 내부에서 어디에 위치하던지 무게의 측정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자력부재(350)는 전력공급수단(360)에 전원이 공급되면 자기유도현상이 발생하여 자력이 발생되는 부재로서 상호 대향되게 배치된 하우징(100)의 내면과 내부박스(200)의 하면에 각각 복수로 구비된 바형상의 부재이다.
이러한 자력부재(350)는 자기유도현상에 의하여 자력이 발생시에 상호 대향되는 대향면에 동일한 극성이 발생되어 하우징(100)의 내면에 설치된 자력부재(350)와 내부박스(200)의 하면에 설치된 자력부재(350) 사이에 척력이 발생되도록 한다.
그리고, 자력부재(350) 사이의 이러한 척력에 의하여 내부박스(200)가 승강이동시에 빈용기의 중량을 균일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자력부재(350)는 내부박스(200)의 하면 꼭지점 영역과 하우징(100)의 내면 꼭지점 영역에 각각 네 개가 설치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전력공급수단(360)은 자기유도현상이 발생되도록 자력부재(350)의 외면에 복수로 권취된 코일(361)과 코일(361) 측으로 선택적으로 전력을 가변시켜 공급하는 전력공급장치(362)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코일(361)은 자력부재(350)에 자기유도현상이 유도되도록 자력부재(350)의 외면에 복수회 권취되는 부재로서, 양단부는 전력공급장치(362)와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게 된다.
전력공급장치(362)는 자력부재(350)의 외면에 권취된 코일(361) 측으로 전원을 공급하여 자력부재(350)에서 자기유도현상이 유도되어 자력부재(350)가 자성을 갖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전력공급장치(362)는 자력부재(350)가 갖는 자성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코일(361) 측으로 공급되는 전력의 강도를 가변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분류 수단(400)은 격벽(110)의 상부 중앙 영역에 양단부가 각각 승하강 이동가능하도록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분류 대상인 상기 빈용기가 안착되는 안착플레이트(410)와, 안측플레이트(410)의 하측에 설치되어 안착플레이트(410)에 안착된 상기 빈용기의 무게를 측정하는 로드셀(420)과, 로드셀(420)에 의하여 측정된 상기 빈용기의 무게에 따라 안착플레이트(410)가 기울어져야 하는 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하는 구동부(43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분류 수단(400)는 빈용기 분리수거 장치로 투입되는 빈용기를 동일한 종류별로 분류하는 역할을 하는데, 동일한 종류별로 분류하는 기준은 빈용기의 중량을 측정하여 동일한 중량으로 측정되면 동일한 종류의 빈용기라고 판단하게 된다.
이러한 분류 수단(400)은 크게 빈용기가 투입되면 안착되는 안착플레이트(410)와 안착플레이트(410)에 안착된 빈용기의 중량을 측정하는 로드셀(420)과, 로드셀(420)에 의하여 중량이 측정된 빈용기를 내부용기(200)로 투입시키도록 안착플레이트(410)를 회전 구동시키는 구동부(430)로 이루어진다.
안착플레이트(410)는 평탄한 상면을 구비한 판상의 부재로서 격벽(110)의 상부 중앙에 좌우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컨베이어(500)를 통하여 투입된 빈용기가 안착될 수 있도록 한다.
로드셀(420)은 안착플레이트(410)에 안착된 빈용기의 중량을 측정하는 역할을 하며, 구동부(430)와 연동되어 측정된 중량에 따라 구동부(430)가 안착플레이트(410)를 어느 방향으로 회전시켜야 하는지를 결정할 수 있도록 한다.
구동부는(430)는 안착플레이트(410)의 일측에 구비된 피동기어(431)와, 피동기어(431)와 맞물리는 가동기어(432)가 구동축에 설치되어 로드셀(420)에서 측정한 무게에 따라 안착플레이트(410)가 기울어져야 하는 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구동축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433)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피동기어(431)는 안착플레이트(410)의 일측에 고정되어 피동기어(431)의 회전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안착플레이트(410)가 회전 구동되도록 하며, 가동기어(432)는 피동기어(431)와 맞물린 상태에서 구동모터(433)의 구동축에 설치되어 구동모터(433)의 구동에 따라 회전하면서 피동기어(431)를 회전시켜 결과적으로 안착플레이트(410)가 특정한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여 내부박스(200)의 내부로 빈용기가 분류되어 투입되도록 한다.
상기 빈용기는 별도의 컨베이어(500)에 의하여 안착플레이트(410) 측으로 이송되도록 함으로써 빈용기의 용이하게 빈용기 분리수거 장치 측으로 이송될 수 있도록 하여 빈용기 수거가 편리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한편, 내부용기(200)의 하측에 구비된 로드셀(310)에 의하여 측정된 상기 빈용기의 무게에 따라 상기 빈용기의 개수가 파악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빈용기의 개수 정보는 와이파이를 통하여 별도의 서버에 실시간으로 저장되도록 함으로써 빈용기의 수거 현황을 실시간으로 수집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도난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빈용기 분리수거 장치가 작동하는 과정을 도 5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분리수거 하고자 하는 빈용기를 컨베이어(500)에 안착시켜 상기 빈용기가 컨베이어(500)를 따라 분류 수단(400)을 구성하는 안착플레이트(410) 측으로 이송되도록 한다.
빈용기가 안착플레이트(410)에 안착되면 로드셀(420)에 의하여 상기 빈용기의 중량이 측정되고, 중량의 측정이 완료되면 빈용기의 종류가 파악되므로 구동부(430)의 구동모터(433)가 회전 구동해야 하는 방향을 결정되어 회전 구동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안착플레이트(410)가 회전하여 기울어지면서 빈용기가 내부박스(200)의 내부로 분류되어 투입된다.
예를들어, 빈용기가 맥주병과 소주병이라 가정하고 이들이 분류되는 과정을 점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맥주병이 컨베이어(500)에 의하여 이송되어 안착플레이트(410)에 안착되면 로드셀(420)에서 중량을 측정하여 빈용기가 맥주병임을 인식하여 구동모터(433)를 우측으로 회전시켜 맥주병이 우측에 위치한 내부박스(200)로 투입되도록 한다.
그리고, 소주병이 컨베이어(500)에 의하여 이송되어 안착플레이트(410)에 안착되면 로드셀(420)에서 중량을 측정하여 빈용기가 소주병임을 인식하여 구동모터(433)를 좌측으로 회전시켜 소주병이 좌측에 위치한 내부박스(200)로 투입되도록 하여 분류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분류된 빈용기가 각각 투입되는 복수의 내부박스(200)는 초기에는 하우징(100)의 하면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어 특정한 높이에 배치된 상태에서 분류된 빈용기가 투입되면 투입된 전체 빈용기의 중량과 비례하여 점진적으로 하강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분류가 완료된 빈용기를 수거하기 위하여 하우징(100)의 분류공간(120)으로부터 빈용기를 하나씩 외부로 수거하게 되면 내부박스(200)는 빈용기 전체의 중량과 비례하여 점진적으로 승강 이동하게 된다.
내부박스(200)는 승하강 수단(300)의 구동에 의하여 빈용기 전체의 중량에 따라 승하강 이동하게 되는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빈용기 분리수거 장치의 경우에는 로드셀(310)이 분류된 빈용기 전체의 중량을 측정하게 되고, 측정된 중량에 따라 구동모터(320)가 구동되어 로프(330)가 구동모터(320)의 구동축에 권취됨으로써 내부박스(200)의 승하강 이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빈용기 분리수거 장치의 경우에는 로드셀(340)이 분류된 빈용기 전체의 중량을 측정하게 되고, 측정된 중량에 따라 전력공급장치(362)에서 공급되는 전력을 가변시켜 자성부재(350)에서 발생되는 자력의 세기를 가변시킴으로써 내부박스(200)의 승하강 이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빈용기 분리수거 장치는 폐병류을 수거하여 동일한 종류로 분류가 신속하고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분류공간의 내부에서 분류된 병류가 안전하게 보관되도록 하고 추후 수거시에 수거된 병류의 무게에 따라 자동으로 분류공간의 하면이 승강이동하도록 하여 작업자가 수월하게 분류된 병류를 수거할 수 있게 된다.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 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 : 하우징 110 : 격벽
120 : 분류공간 130 : 바퀴부재
200 : 내부박스 300 : 승하강 수단
310 : 로드셀 320 : 구동모터
330 : 로프 340 : 로드셀
350 : 자력부재 360 : 전력공급수단
361 : 코일 362 : 전력공급장치
400 : 분류 수단 410 : 안착플레이트
420 : 로드셀 430 : 구동부
431 : 피동기어 432 : 가동기어
433 : 구동모터 500 : 컨베이어

Claims (8)

  1. 수거 대상인 빈용기가 수거될 수 있도록 상면에 개구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빈용기를 수거하여 분류할 수 있도록 격벽(110)에 의하여 분할된 복수의 분류공간(120)이 마련된 하우징(100)과;
    복수의 상기 분류공간(120)에 각각 수용되며 상기 분류공간(120)의 높이 방향을 따라 승하강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복수의 내부박스(200)와;
    상기 내부박스(200)가 수거된 상기 빈용기 전체의 무게에 따라 승하강 이동하도록 하는 승하강 수단(300)과;
    상기 하우징(100)에 설치된 상기 격벽(110)의 상부 중앙 영역에 설치되어 수거되는 상기 빈용기를 동일한 종류별로 분류할 수 있도록 하는 분류 수단(400)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빈용기 분리수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하강 수단(300)은 상기 내부박스(200)의 하면에 설치되어 내부박스(200)에 수거된 상기 빈용기 전체의 무게를 측정하는 로드셀(310)과, 상기 하우징(100) 상면의 복수의 개소에 설치되어 상기 로드셀(310)에 의하여 측정된 무게에 따라 선택적으로 구동되는 복수의 구동모터(320)와, 일단이 상기 하우징(100) 상면에 고정되고 상기 내부박스(200)의 하면을 경유하여 타단이 상기 구동모터(320)에 권취되는 로프(330)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빈용기 분리수거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승하강 수단(300)은 상기 내부박스(200)의 하면에 설치되어 상기 내부박스(200)에 수거된 상기 빈용기 전체의 무게를 측정하는 로드셀(340)과, 상호 대향되는 상기 하우징(100)과 상기 내부박스(200)의 대향면에 각각 구비되며 동일한 극성이 상호 대향되게 배치된 자력부재(350)와, 상기 하우징(100) 상면의 복수의 개소에 설치되어 상기 로드셀(340)에 의하여 측정된 무게에 따라 상기 자력부재(350)가 갖는 자력의 강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전력공급수단(360)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빈용기 분리수거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공급수단(360)은 자기유도현상이 발생되도록 상기 자력부재(350)의 외면에 복수로 권취된 코일(361)과 상기 코일(361) 측으로 선택적으로 전력을 가변시켜 공급하는 전력공급장치(362)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빈용기 분리수거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류 수단(400)은 상기 격벽(110)의 상부 중앙 영역에 양단부가 각각 승하강 이동가능하도록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분류 대상인 상기 빈용기가 안착되는 안착플레이트(410)와, 상기 안측플레이트(410)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안착플레이트(410)에 안착된 상기 빈용기의 무게를 측정하는 로드셀(420)과, 상기 로드셀(420)에 의하여 측정된 상기 빈용기의 무게에 따라 상기 안착플레이트(410)가 기울어져야 하는 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하는 구동부(430)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빈용기 분리수거 장치.
  6.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430)는 상기 안착플레이트(410)의 일측에 구비된 피동기어(431)와, 상기 피동기어(431)와 맞물리는 가동기어(432)가 구동축에 설치되어 상기 로드셀(420)에서 측정한 무게에 따라 상기 안착플레이트(410)가 기울어져야 하는 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구동축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433)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빈용기 분리수거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빈용기는 별도의 컨베이어(500)에 의하여 상기 안착플레이트(410) 측으로 이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빈용기 분리수거 장치.
  8.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셀(310)에 의하여 측정된 상기 빈용기의 무게에 따라 상기 빈용기의 개수를 파악하고, 상기 빈용기의 개수 정보는 와이파이를 통하여 별도의 서버에 실시간으로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빈용기 분리수거 장치.
KR1020180159379A 2018-12-11 2018-12-11 빈용기 분리수거 장치 KR1021645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9379A KR102164591B1 (ko) 2018-12-11 2018-12-11 빈용기 분리수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9379A KR102164591B1 (ko) 2018-12-11 2018-12-11 빈용기 분리수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1537A true KR20200071537A (ko) 2020-06-19
KR102164591B1 KR102164591B1 (ko) 2020-10-12

Family

ID=711375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9379A KR102164591B1 (ko) 2018-12-11 2018-12-11 빈용기 분리수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459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824626A (zh) * 2020-07-17 2020-10-27 中节能(合肥)可再生能源有限公司 液体容器回收分拣机
KR20230003773A (ko) * 2021-06-30 2023-01-06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페트병 자동 분류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81350A (ko) * 2004-02-13 2005-08-19 삼성전자주식회사 김치 냉장고
KR101167886B1 (ko) * 2010-11-16 2012-07-23 유현주 공병 회수수단이 구비된 자판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81350A (ko) * 2004-02-13 2005-08-19 삼성전자주식회사 김치 냉장고
KR101167886B1 (ko) * 2010-11-16 2012-07-23 유현주 공병 회수수단이 구비된 자판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824626A (zh) * 2020-07-17 2020-10-27 中节能(合肥)可再生能源有限公司 液体容器回收分拣机
CN111824626B (zh) * 2020-07-17 2023-06-30 中节能(合肥)可再生能源有限公司 液体容器回收分拣机
KR20230003773A (ko) * 2021-06-30 2023-01-06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페트병 자동 분류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64591B1 (ko) 2020-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71537A (ko) 빈용기 분리수거 장치
US20220234840A1 (en) Sorting device
KR20190099772A (ko) 볼 보드가 구비된 물품 자동 분류 시스템 및 그 분류 방법
US9669428B2 (en) Product sorter
CN103786913A (zh) 大容量硬币分装机
CN103057970A (zh) 码垛装置及码垛方法
KR100492696B1 (ko) 재활용품 선별 시스템
CN113733055B (zh) 一种智能物流用超高速码垛搬运机器人
EP3730226A1 (en) Waste sorting unit, system and method for sorting waste
WO2016198086A1 (en) A component feeder and a system for sorting components
CN210965794U (zh) 一种物流物件用分拣装置
CN210940010U (zh) 一种pp粒子全自动配料设备
CN111729849A (zh) 一种用于物流运输的快递包裹分拣机
CN108408313B (zh) 一种物料自动出入库***
US4379048A (en) Float-and-sink separator
CN209121542U (zh) 一种重力识别放餐柜
KR200437984Y1 (ko) 공용압축기를 구비한 재활용품 선별장치
KR20210076601A (ko) 재활용 유리병 포장장치 및 이를 갖는 재활용 유리병 수거장치
CN220904991U (zh) 一种仓储物流运输搬运装置
CN212254294U (zh) 一种用于建筑材料生产用物料称量装置
KR102372234B1 (ko) 드럼 전도 자동화 장치
CN220170327U (zh) 一种货物进出口用称重设备
CN219899193U (zh) 一种物料收集装置及自动分选设备
CN209319740U (zh) 一种氧气充灌车间维修工具集成箱
WO2022253781A1 (en) A storage and retrieval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