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68859A - 스마트 베개, 그리고 스마트 베개 기반의 환자 응급 조치 제공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스마트 베개, 그리고 스마트 베개 기반의 환자 응급 조치 제공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68859A
KR20200068859A KR1020180155714A KR20180155714A KR20200068859A KR 20200068859 A KR20200068859 A KR 20200068859A KR 1020180155714 A KR1020180155714 A KR 1020180155714A KR 20180155714 A KR20180155714 A KR 20180155714A KR 20200068859 A KR20200068859 A KR 202000688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ot
event
state
smart pillow
sm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57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진현우
남양국
유시훈
고한결
최원기
이지민
윤찬호
연요한
심규리
박지형
Original Assignee
진현우
유시훈
고한결
박지형
이지민
윤찬호
연요한
심규리
남양국
최원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진현우, 유시훈, 고한결, 박지형, 이지민, 윤찬호, 연요한, 심규리, 남양국, 최원기 filed Critical 진현우
Priority to KR10201801557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68859A/ko
Publication of KR202000688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885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65Arrangements for interactive communication between patient and care services, e.g. by using a telephone networ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61B5/0015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telemetry system
    • A61B5/0024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telemetry system for multiple sensor units attached to the patient, e.g. using a body or personal area networ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rate or heart rate
    • A61B5/04012
    • A61B5/0476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16Determining posture transitions
    • A61B5/1117Fall det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26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using a particular sensing technique
    • A61B5/1128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using a particular sensing technique using image analy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316Modalities, i.e. specific diagnostic meth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316Modalities, i.e. specific diagnostic methods
    • A61B5/369Electroencephalography [EE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87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mounted on external non-worn devices, e.g. non-medical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2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7271Specific aspects of physiological measurement analysis
    • A61B5/7275Determining trends in physiological measurement data; Predicting development of a medical condition based on physiological measurements, e.g. determining a risk fact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5Cordless telepho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02Details of sensors specially adapted for in-vivo measurements
    • A61B2562/0204Acoustic senso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ys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Cardi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entistr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sychiatry (AREA)
  • Nursing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Psychology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 베개, 그리고 스마트 베개 기반의 환자 응급 조치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스마트 베개(100)가 센서 모듈(110)을 구성하는 각 센서로부터 센싱 정보를 수신하여 상태 이벤트로 "심호흡 불균형 상태 이벤트", "낙상 상태 이벤트", "불안 상태 이벤트", "부정맥 상태 이벤트" 중 적어도 하나에 해당하는 것을 자체적으로 발생시키는 제 1 단계; 스마트 베개(100)가 상기 제 1 단계에서 발생된 상태 이벤트를 IoT 기반 홈 네트워크(200)를 통해 스마트폰(300)으로 전송하는 제 2 단계; 스마트 베개(100)가 상태 이벤트 발생에 따라 댁내 감시 IoT 카메라(400)에 의해 촬영된 영상 정보에 대한 IoT 기반 홈 네트워크(200) 및 외부 통신망(700)을 통해 스마트폰(300)으로 전송하도록 하는 영상 전송 명령을 IoT 기반 홈 네트워크(200)를 통해 댁내 감시 IoT 카메라(400)로 전송하는 제 3 단계; 및 스마트 베개(100)가 각종 발생된 상태 이벤트와, 댁내 감시 IoT 카메라(400)에 의해 촬영된 영상 정보를 참조로 스마트폰(300)에 의해 생성된 보조의 질병 상태, 수면 상태, 응급 상태, 건강 상태에 대한 분석을 통해, 분석된 상태에 매칭되는 기능 제공 장치모듈(130)을 구성하는 각 장치부 및 IoT 댁내 장치들에 대한 제어를 수행하는 제 4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각종 센서 및 기능 제공 장치들을 베개 본체에 배열하되, 각종 센서 및 기능 제공 장치들을 아두이노 기반에 탈착형으로 형성됨으로써, 베개 본체로부터 분리된 뒤 세탁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각종 상태를 세분화하여 관찰이 가능하고, 각 상태에 따른 각종 기능 제공 장치들에 대한 효율적인 제어가 가능한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스마트 베개, 그리고 스마트 베개 기반의 환자 응급 조치 제공 시스템 및 방법{Smart pillow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patient first aid based on the same}
본 발명은 스마트 베개, 그리고 스마트 베개 기반의 환자 응급 조치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각종 센서 및 기능 제공 장치들을 베개 본체에 배열하되, 각종 센서 및 기능 제공 장치들을 아두이노 기반에 탈착형으로 형성됨으로써, 베개 본체로부터 분리된 뒤 세탁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각종 상태를 세분화하여 관찰이 가능하고, 각 상태에 따른 각종 기능 제공 장치들에 대한 효율적인 제어를 위한 스마트 베개, 그리고 스마트 베개 기반의 환자 응급 조치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사람은 통상 삶에서 많은 부분을 수면을 취하는데 소비하고 있으며, 이는 하루를 기준으로 성인 평균 약 8시간 정도의 수면을 취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바람직한 수면은 건강을 유지할 수 있는 가장 기본적인 방법이 될 수 있다.
한편, 환자나 노인의 경우 침대에 누워서 대부분의 시간을 보내는데, 지금까지의 베개는 수면용으로만 사용되어 왔고, 환자용 전동 베게는 단순히 안락한 감을 느끼기 위해 내부와 외부 재질에 대한 기술 개발이 주를 이루고 있는 한계점이 있다.
이에 따라 해당 기술분야에 있어서는 최근 고령화에 따라 향후 간병인의 수가 부족할 것으로 예상되는 현실에서 주로 누워있는 환자나 노인 등을 대상으로 하는 환자 상태를 복합적으로 감시하여 간병인에게 효과적으로 통보하기 위한 기술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특허출원 출원번호 제10-2016-0159370호 "스마트 기능성 베개 및 이를 이용한 수면장애 진단관리시스템 및 수면장애 진단관리방법"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각종 센서 및 기능 제공 장치들을 베개 본체에 배열하되, 각종 센서 및 기능 제공 장치들을 아두이노 기반에 탈착형으로 형성됨으로써, 베개 본체로부터 분리된 뒤 세탁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각종 상태를 세분화하여 관찰이 가능하고, 각 상태에 따른 각종 기능 제공 장치들에 대한 효율적인 제어를 위한 스마트 베개, 그리고 스마트 베개 기반의 환자 응급 조치 제공 시스템 및 방법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환자에 대한 댁내 카메라 영상을 보조 관찰 자료로 활용함으로써, 정밀한 상태 예측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스마트 베개, 그리고 스마트 베개 기반의 환자 응급 조치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LED 조명 장치부를 활용해 각 환자의 상태에 따라 직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색상을 통해 환자의 상태를 신속하게 인식하도록 하기 위한 스마트 베개, 그리고 스마트 베개 기반의 환자 응급 조치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베개 기반의 환자 응급 조치 제공 방법은, 스마트 베개(100)가 센서 모듈(110)을 구성하는 각 센서로부터 센싱 정보를 수신하여 상태 이벤트로 "심호흡 불균형 상태 이벤트", "낙상 상태 이벤트", "불안 상태 이벤트", "부정맥 상태 이벤트" 중 적어도 하나에 해당하는 것을 자체적으로 발생시키는 제 1 단계; 스마트 베개(100)가 상기 제 1 단계에서 발생된 상태 이벤트를 IoT 기반 홈 네트워크(200)를 통해 스마트폰(300)으로 전송하는 제 2 단계; 스마트 베개(100)가 상태 이벤트 발생에 따라 댁내 감시 IoT 카메라(400)에 의해 촬영된 영상 정보에 대한 IoT 기반 홈 네트워크(200) 및 외부 통신망(700)을 통해 스마트폰(300)으로 전송하도록 하는 영상 전송 명령을 IoT 기반 홈 네트워크(200)를 통해 댁내 감시 IoT 카메라(400)로 전송하는 제 3 단계; 및 스마트 베개(100)가 각종 발생된 상태 이벤트와, 댁내 감시 IoT 카메라(400)에 의해 촬영된 영상 정보를 참조로 스마트폰(300)에 의해 생성된 보조의 질병 상태, 수면 상태, 응급 상태, 건강 상태에 대한 분석을 통해, 분석된 상태에 매칭되는 기능 제공 장치모듈(130)을 구성하는 각 장치부 및 IoT 댁내 장치들에 대한 제어를 수행하는 제 4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본 발명은, 상기 제 3 단계와 상기 제 4 단계 사이에, 스마트 베개(100)가 IoT 기반 홈 네트워크(200)를 통해 IoT 기반 LED 조명 장치부(500)로 광원 발광 명령 전송하여 IoT 기반 LED 조명 장치부(500)에 의해 각 이벤트 발생에 따라 미리 설정된 색상이 출력하도록 하여 주변에 응급 상황이 발생했음을 통지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계는, 스마트 베개(100)가 음성 센서(111)로부터 코골이 센싱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심호흡 불균형 상태 이벤트"를 발생시키며, 스마트 베개(100)는 음성 센서(111)로부터 비명 센싱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또는 비명 센싱 정보와 함께 IoT 기반 홈 네트워크(200)를 통해 댁내 감시 IoT 카메라(400)로부터 영상 정보를 수신한 뒤, 영상 분석을 통해 위험 상황 중 "낙상 상태 이벤트"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계는, 스마트 베개(100)가 뇌파 센서(112)로부터 뇌파 센싱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뇌파 센싱 정보가 주파수 대역별로 델타(delta)파, 세타(theta)파, 알파(alpha)파, 베타(beta)파, 감마(gamma)파 중 4 내지 8Hz 사이의 세타파로 정신적으로 상태가 불안한지 여부를 분석한 뒤, "불안 상태 이벤트"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계는, 스마트 베개(100)가, 심박 센서(113)로부터 심박 센싱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미리 설정된 정상 심박수 범위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분석한 뒤, 정상 심박수 범위를 벗어나는 부정맥(arrhythmia) 증상 발생시 "부정맥 상태 이벤트"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베개는, "심호흡 불균형 상태 이벤트", "낙상 상태 이벤트", "불안 상태 이벤트", "부정맥 상태 이벤트" 중 적어도 하나에 해당하는 상태 이벤트를 발생시키기 위해 센싱 정보를 생성하는 각 센서로 이루어진 센서 모듈(110); 센싱 정보를 수신하여 발생된 상태 이벤트를 IoT 기반 홈 네트워크(200)를 통해 스마트폰(300)으로 전송하는 통신 모듈(150); 및 상태 이벤트 발생에 따라 댁내 감시 IoT 카메라(400)에 의해 촬영된 영상 정보에 대한 IoT 기반 홈 네트워크(200) 및 외부 통신망(700)을 통해 스마트폰(300)으로 전송하도록 하는 영상 전송 명령을 IoT 기반 홈 네트워크(200)를 통해 댁내 감시 IoT 카메라(400)로 전송하도록 통신 모듈(150)을 제어하며, 각종 발생된 상태 이벤트와, 댁내 감시 IoT 카메라(400)에 의해 촬영된 영상 정보를 참조로 스마트폰(300)에 의해 생성된 보조의 질병 상태, 수면 상태, 응급 상태, 건강 상태에 대한 분석을 통해, 분석된 상태에 매칭되는 기능 제공 장치모듈(130)을 구성하는 각 장치부 및 IoT 댁내 장치들에 대한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 모듈(14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제어 모듈(140)은, IoT 기반 홈 네트워크(200)를 통해 IoT 기반 LED 조명 장치부(500)로 광원 발광 명령 전송하도록 통신 모듈(150)을 제어하여, IoT 기반 LED 조명 장치부(500)에 의해 각 이벤트 발생에 따라 미리 설정된 색상이 출력하도록 하여 주변에 응급 상황이 발생했음을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어 모듈(140)은, 음성 센서(111)로부터 코골이 센싱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심호흡 불균형 상태 이벤트"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어 모듈(140)은, 음성 센서(111)로부터 비명 센싱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또는 비명 센싱 정보와 함께 IoT 기반 홈 네트워크(200)를 통해 댁내 감시 IoT 카메라(400)로부터 영상 정보를 수신한 뒤, 영상 분석을 통해 위험 상황 중 "낙상 상태 이벤트"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어 모듈(140)은, 뇌파 센서(112)로부터 뇌파 센싱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뇌파 센싱 정보가 주파수 대역별로 델타(delta)파, 세타(theta)파, 알파(alpha)파, 베타(beta)파, 감마(gamma)파 중 4 내지 8Hz 사이의 세타파로 정신적으로 상태가 불안한지 여부를 분석한 뒤, "불안 상태 이벤트"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어 모듈(140)은, 심박 센서(113)로부터 심박 센싱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미리 설정된 정상 심박수 범위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분석한 뒤, 정상 심박수 범위를 벗어나는 부정맥(arrhythmia) 증상 발생시 "부정맥 상태 이벤트"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베개, 그리고 스마트 베개 기반의 환자 응급 조치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은, 각종 센서 및 기능 제공 장치들을 베개 본체에 배열하되, 각종 센서 및 기능 제공 장치들을 아두이노 기반에 탈착형으로 형성됨으로써, 베개 본체로부터 분리된 뒤 세탁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각종 상태를 세분화하여 관찰이 가능하고, 각 상태에 따른 각종 기능 제공 장치들에 대한 효율적인 제어가 가능한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베개, 그리고 스마트 베개 기반의 환자 응급 조치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은, 환자에 대한 댁내 카메라 영상을 보조 관찰 자료로 활용함으로써, 정밀한 상태 예측이 가능한 효과를 제공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베개, 그리고 스마트 베개 기반의 환자 응급 조치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은, LED 조명 장치부를 활용해 각 환자의 상태에 따라 직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색상을 통해 환자의 상태를 신속하게 인식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베개 기반의 환자 응급 조치 제공 시스템(1)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베개 기반의 환자 응급 조치 제공 시스템(1)에 형성된 환자의 댁내 IoT 장치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베개 기반의 환자 응급 조치 제공 시스템(1) 중 스마트 베개(100)의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베개 기반의 환자 응급 조치 제공 시스템(1) 중 스마트 베개(100)의 작동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베개 기반의 환자 응급 조치 제공 시스템(1) 중 스마트폰(300)의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베개 기반의 환자 응급 조치 제공 시스템(1)에 의한 응급 조치의 경우 댁내 장치의 작동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베개 기반의 환자 응급 조치 제공 시스템(1)에 의한 응급 조치의 경우 환자 관리 서버(800)에 의한 작동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베개 기반의 환자 응급 조치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로 직접 상기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또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여 데이터 또는 신호를 다른 구성요소로 전송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베개 기반의 환자 응급 조치 제공 시스템(1)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베개 기반의 환자 응급 조치 제공 시스템(1)에 형성된 환자의 댁내 IoT 장치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스마트 베개 기반의 환자 응급 조치 제공 시스템(1)은 스마트 베개(100), IoT 기반 홈 네트워크(200), 스마트폰(300), 댁내 감시 IoT 카메라(400), IoT 기반 LED 조명 장치부(500), 제세동기(600), 외부 통신망(700), 환자 관리 서버(8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스마트 베개(100), IoT 기반 홈 네트워크(200), 스마트폰(300), 댁내 감시 IoT 카메라(400), IoT 기반 LED 조명 장치부(500), 제세동기(600)는 하나의 댁내 장치 그룹으로 동작하며, 스마트폰(300)은 외부 통신망(700)을 통해 환자 관리 서버(800)로 액세스(access) 함으로써, 환자의 응급 조치의 경우 도움을 요청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게이트웨이(G/W)는 프로토콜 변환기의 하나이며, IoT 기반 홈 네트워크(200)를 통해 액세스하는 스마트폰(300)과 외부 통신망(700)을 통해 액세스하는 환자 관리 서버(800) 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가능하게 한다. 게이트웨이는 왑게이트웨이(Wap Gateway)로서, 스마트폰(300)이 환자 관리 서버(800)에 액세스(Aceess)하기 위한 프로토콜 스택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베개 기반의 환자 응급 조치 제공 시스템(1) 중 스마트 베개(100)의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베개 기반의 환자 응급 조치 제공 시스템(1) 중 스마트 베개(100)의 작동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도 3을 참조하면, 스마트 베개(100)는 센서모듈(110), 제어 모듈(120), 기능 제공 장치모듈(130), 충전 인터페이스 모듈(140) 및 통신 모듈(150)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센서모듈(110)은 음성 센서(111), 뇌파 센서(112), 심박 센서(113)를 포함할 수 있으며, 기능 제공 장치모듈(130)은 적외선 발광부(131), 진동 장치부(132), 저주파 제공부(133)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스마트 베개(100)는 도 4와 같은 외관 구성을 통해 적외선 발광부(131), 진동 장치부(132), 저주파 제공부(133), 뇌파 센서(112)를 베개 본체에 상부에서 하부로 순차적으로 배열되는 직선형 장치부로 형성될 수 있으며, 각 기능 장치부 및 센서들은 아두이노 기반에 탈착형으로 형성됨으로써, 베개 본체로부터 분리된 뒤 세탁이 가능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제어 모듈(120)은 음성 센서(111)로부터 코골이 센싱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심호흡 불균형 상태 이벤트"를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 모듈(120)은 음성 센서(111)로부터 비명 센싱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IoT 기반 홈 네트워크(200)를 통해 댁내 감시 IoT 카메라(400)로부터 영상 정보를 수신한 뒤, 영상 분석을 통해 위험 상황 중 "낙상 상태 이벤트"를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 모듈(120)은 뇌파 센서(112)로부터 뇌파 센싱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뇌파 센싱 정보가 주파수 대역별로 델타(delta)파, 세타(theta)파, 알파(alpha)파, 베타(beta)파, 감마(gamma)파 중 4 내지 8Hz 사이의 세타파로 정신적으로 상태가 불안한지 여부를 분석한 뒤, "불안 상태 이벤트"를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 모듈(120)은 심박 센서(113)로부터 심박 센싱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미리 설정된 정상 심박수 범위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분석한 뒤, 정상 심박수 범위를 벗어나는 부정맥(arrhythmia) 증상 발생시 "부정맥 상태 이벤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심박 센서(113)는 도 4에 도시된 스마트 베개(100)의 구성 중 뇌파 센서(112)의 하단에 형성되어 환자의 뒷덜미를 영역을 통해 심박수를 측정하거나, 충전 인터페이스 모듈(140)을 통해 제세동기(600)와 연결된 심장 패드(260)로부터 심박 센싱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한편, 심장 패드(260)는 기술발전에 따라 심박수뿐만 아니라, 심전도까지 측정하는 경우, 제어 모듈(120)은 정상 심전도 범위를 벗어나는 부정맥(arrhythmia) 증상 발생시 "부정맥 상태 이벤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제어 모듈(120)은 "심호흡 불균형 상태 이벤트", "낙상 상태 이벤트", "불안 상태 이벤트", "부정맥 상태 이벤트"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발생하는 경우, IoT 기반 홈 네트워크(200)를 통해 스마트폰(300)으로 발생된 이벤트 정보를 전송하도록 통신 모듈(150)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 모듈(120)은 각종 상태 이벤트 발생시 댁내 감시 IoT 카메라(400)에 의해 촬영된 영상 정보에 대한 IoT 기반 홈 네트워크(200) 및 외부 통신망(700)을 통해 스마트폰(300)으로 전송하도록 하는 영상 전송 명령을 IoT 기반 홈 네트워크(200)를 통해 댁내 감시 IoT 카메라(400)로 전송하도록 통신 모듈(150)을 제어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제어 모듈(120)은 "심호흡 불균형 상태 이벤트", "낙상 상태 이벤트", "불안 상태 이벤트", "부정맥 상태 이벤트"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발생하는 경우, IoT 기반 홈 네트워크(200)를 통해 IoT 기반 LED 조명 장치부(500)로 광원 발광 명령 전송하도록 통신 모듈(150)을 제어함으로써, IoT 기반 LED 조명 장치부(500)에 의해 각 이벤트 발생에 따라 미리 설정된 색상이 출력하도록 하여 주변에 응급 상황이 발생했음을 알릴 수 있다.
이를 위해, IoT 기반 LED 조명 장치부(500)는 환자가 머무르는 방의 외부에 해당하는 거실, 환자가 머무르는 곳이 병원인 경우 간병인 휴게실 등에 설치되거나 간병인이 환자와 동일한 방에 머무는 경우 환자가 있는 방의 내벽에 설치할 수 있다.
제어 모듈(120)은 "심호흡 불균형 상태 이벤트", "낙상 상태 이벤트", "불안 상태 이벤트", "부정맥 상태 이벤트"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발생하는 경우, 상태 이벤트와, 댁내 감시 IoT 카메라(400)에 의해 촬영된 영상 정보를 참조로 스마트폰(300)에 의해 생성된 보조의 질병 상태, 수면 상태, 응급 상태, 건강 상태에 대한 분석을 통해, 분석된 상태에 매칭되는 기능 제공 장치모듈(130)을 구성하는 각 장치부 및 IoT 댁내 장치들에 대한 제어 명령을 통해 전달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 모듈(120)은 "불안 상태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불안 수면 상태로 1차적으로 분석한 뒤, 스마트폰(300)에 의한 영상 정보 분석에 따라 뒤척이는 횟수가 미리 설정된 횟수 이상인 경우, 불안 수면 상태 보조 정보를 수신하며, 미리 설정된 횟수 미만인 경우 정상 수면 상태 보조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불안 수면 상태 보조 정보를 수신시, 적외선 발광부(131)에 대한 온열 기능 제공 명령을 전송함으로써, 적외선 발광부(131)에 의한 적외선 LED 어레이의 디밍 기능을 활용해 최대 광량으로 조절하도록 하여 온열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스마트폰(300)은 영상 정보를 통해 뒤척이는 횟수를 판별하는데, 저장부(3500)에는 복수의 환자 외형 패턴이 저장되어 있는데, 복수의 환자 외형 패턴 자체 정보 또는 각 환자 외형 패턴의 기울어진 것, 역으로 된 것, 약간 각도가 기울어진 것 등과 영상 정보에 포함된 환자 외형의 패턴을 비교하여 영상 정보 속의 환자를 판별하며, 판별된 환자 객체에 대한 좌표범위 이상의 이동을 기준으로 뒤척임을 분석할 수 있으며, 이러한 영상 정보에 대한 인식 방식은 후술하는 다른 실시예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 모듈(120)은 정상 수면 상태 보조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적외선 발광부(131)에 의한 적외선 LED 어레이의 디밍 기능을 활용해 안정에 필요한 알파파(8 내지 12Hz)를 유도하기 위해 현재 출력되고 있던 색온도(파장)을 8Hz 내지 12Hz까지 디밍 기능을 활용해 최대 광량으로 조절하도록 하는 색온도 조절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러한 색온도를 조절하기 위해 적외선 LED 어레이의 각 적외선 LED 사이에는 R,G,B로 이루어진 멀티 LED 소자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실시예로, 제어 모듈(120)은 낙상 상태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응급 상태로 분석한 뒤, 스마트폰(300)에 의한 영상 정보 분석에 따라 스마트 베개(100)와 환자와의 거리가 3차원 입체 그리드 상에서 3축 좌표의 거리가 임계치 이상인 경우 응급 상태 보조 정보를 수신하며, 거리가 임계치 미만인 경우, 정상 상태 보조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응급 상태 보조 정보를 수신시, 댁내 감시 IoT 카메라(400)에 함께 형성된 스피커(410)를 통해 응급 상황임을 알리는 음성 메시지를 출력하도록 통신 모듈(150)을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 모듈(120)은 정상 상태 보조 정보를 수신한 경우, 적외선 발광부(131)에 대한 상술한 바와 같은 온열 기능과 함께 색온도 조절기능을 제공함으로써, 환자를 안정시킬 수 있다.
스마트폰(300)은 2차원의 영상 정보를 수신하여 디코딩을 수행하여 복수의 디코딩 이미지를 생성한 뒤, 3차원 형상으로 표현하기 위한 기본단위인 폴리곤의 집합을 생성하여 디코딩 이미지를 폴리곤 집합 위에 붙여서 3차원 영상 정보를 생성하여 3차원 영상 정보를 기준으로 스마트 베개(100)와 환자와의 거리가 3차원 입체 그리드 상에서 3축 좌표의 거리를 연산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제어 모듈(120)은 심호흡 불균형 상태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이상 건강 상태로 분석한 뒤, 스마트폰(300)에 의한 영상 정보 분석에 따라 환자의 얼굴이 미리 설정된 시간 이상 정지 상태인 경우 이상 건강 상태 보조 정보를 수신하며, 미리 설정된 시간 이상 정지 상태가 아닌 경우 정상 건강 상태 보조 정보를 수신하며, 진동 장치부(132)에 대한 진동 기능 제공 명령을 전송함으로써, 진동 장치부(132)에 의한 진동을 출력하도록 함으로써, 환자의 수면 무호흡 및/또는 기도 폐쇄에 대한 예방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 모듈(120)은 정상 건강 상태 보조 정보를 수신한 경우, 적외선 발광부(131)에 대한 상술한 바와 같은 온열 기능과 함께 색온도 조절기능을 제공함으로써, 환자를 안정시킬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제어 모듈(120)은 부정맥 상태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부정맥 질병 상태로 분석한 뒤, 스마트폰(300)에 의한 영상 정보 분석에 따라 환자의 얼굴 중 심호습수가 미리 설정된 시간에 불규칙한 상태인 경우 부정맥 질병 상태 보조 정보를 수신하며, 미리 설정된 시간에 불규칙한 상태가 아닌 경우 부정맥 보조 정보를 수신하며, 부정맥 질병 상태 보조 정보를 수신시, 충전 인터페이스 모듈(140)과 연결된 외부의 제세동기(600)에 의한 심장패드(260)를 활용한 심폐소생술이 시행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 모듈(120)은 부정맥 보조 정보를 수신한 경우, 적외선 발광부(131)에 대한 상술한 바와 같은 온열 기능과 함께 색온도 조절기능을 제공함으로써, 환자를 안정시킬 수 있으며, 저주파 제공부(133)에 대한 제어를 통해서 저주파 마사지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세동기(600)에 연결된 심장패드(260)는 환자의 가슴에 형성되어 전류를 공급할 뿐만 아니라 심박에 대한 센싱도 수행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베개 기반의 환자 응급 조치 제공 시스템(1) 중 스마트폰(300)의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베개 기반의 환자 응급 조치 제공 시스템(1)에 의한 응급 조치의 경우 댁내 장치의 작동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베개 기반의 환자 응급 조치 제공 시스템(1)에 의한 응급 조치의 경우 환자 관리 서버(800)에 의한 작동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도 5를 참조하면, 스마트폰(300)은 송수신부(310), 터치스크린(320), 음향 입출력부(330), GPS 수신부(340), 저장부(350) 및 제어부(36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360)는 터치스크린(320)을 통해 저주파 마사지 기능 명령을 수신하면, 스마트 베개(100)로 마사지 명령을 전송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함으로써, 스마트 베개(100)의 제어 모듈(120)에 의해 기능 제공 장치모듈(130)의 저주파 제공부(133)에 대한 제어를 통해서 저주파 마사지 기능을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제어부(360)는 음향입출력부(330)를 구성하는 마이크와 스피커 중 마이크를 통해 코골이 센싱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코골이 방지 명령을 스마트 베개(100)로 전송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함으로써, 스마트 베개(100)의 제어 모듈(120)은 기능 제공 장치모듈(130)의 저주파 제공부(133)에 대한 제어를 통해서 저주파 출력을 통해 코골이 방지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360)는 동일한 방식으로 터치스크린(320)을 통해 온열 기능 제공 명령, 색온도 조절기능 명령, 진동 기능 제공 명령을 각각 수신하면, 스마트 베개(100)로 각 명령을 전송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함으로써, 스마트 베개(100)의 제어 모듈(120)에 의해 기능 제공 장치모듈(130)의 적외선 발광부(131)에 대한 제어를 통해 온열 기능 및 색온도 조절기능을 제공하며, 진동 장치부(132)에 대한 제어를 통해 진동 기능을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360)는 스마트 베개(100)로부터 각종 이벤트 정보를 수신한 스마트폰(300)에 있어서, IoT 기반 홈 네트워크(200), G/W, 그리고 외부 통신망(700)을 순차적으로 거쳐 수신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한 뒤, 저장부(350)에 저장한다.
이후, 제어부(360)는 GPS 수신부(340)를 통해 측정된 환자의 위치정보, 스마트폰(300)의 단말번호(IMEI)와 함께, 저장부(350)에 저장된 각종 이벤트 정보를 외부 통신망(700)을 통해 환자 관리 서버(800)로 전송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환자 관리 서버(800)는 도 7과 같이 최초 이벤트 발생을 인식함으로써, 스마트폰(300)의 단말번호로 등록된 지인 스마트폰(미도시)의 단말번호를 추출한 뒤, 추출된 지인 스마트폰으로 외부 통신망(700)을 통해 이벤트 발생 정보, 그리고 환자의 위치정보를 응답형 메시지로 전송한 뒤, 응답형 메시지를 전송한 시점부터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 지인 스마트폰으로부터 119 신고 조치 후 병원 이송 완료에 대한 응답이 발생하지 않는 경우 119 서버(미도시)로 외부 통신망(700)을 통해 이벤트 발생 정보, 환자의 위치정보, 그리고 스마트폰(300)의 단말번호를 전송함으로써, 응급 조치가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베개 기반의 환자 응급 조치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스마트 베개(100)는 센서 모듈(110)을 구성하는 각 센서로부터 센싱 정보를 수신하여 상태 이벤트를 자체적으로 발생시킨다(S11).
보다 구체적으로, 스마트 베개(100)는 음성 센서(111)로부터 코골이 센싱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심호흡 불균형 상태 이벤트"를 발생시키며, 스마트 베개(100)는 음성 센서(111)로부터 비명 센싱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또는 비명 센싱 정보와 함께 IoT 기반 홈 네트워크(200)를 통해 댁내 감시 IoT 카메라(400)로부터 영상 정보를 수신한 뒤, 영상 분석을 통해 위험 상황 중 "낙상 상태 이벤트"를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스마트 베개(100)는 뇌파 센서(112)로부터 뇌파 센싱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뇌파 센싱 정보가 주파수 대역별로 델타(delta)파, 세타(theta)파, 알파(alpha)파, 베타(beta)파, 감마(gamma)파 중 4 내지 8Hz 사이의 세타파로 정신적으로 상태가 불안한지 여부를 분석한 뒤, "불안 상태 이벤트"를 발생시킬 수 있으며, 심박 센서(113)로부터 심박 센싱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미리 설정된 정상 심박수 범위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분석한 뒤, 정상 심박수 범위를 벗어나는 부정맥(arrhythmia) 증상 발생시 "부정맥 상태 이벤트"를 발생시킬 수 있다.
단계(S11) 이후, 스마트 베개(100)는 "심호흡 불균형 상태 이벤트", "낙상 상태 이벤트", "불안 상태 이벤트", "부정맥 상태 이벤트" 중 적어도 하나에 해당하는 단계(S11)에서 발생된 상태 이벤트를 IoT 기반 홈 네트워크(200)를 통해 스마트폰(300)으로 전송한다(S12).
단계(S12) 이후, 스마트 베개(100)는 이상 상태 이벤트 발생에 따라 댁내 감시 IoT 카메라(400)에 의해 촬영된 영상 정보에 대한 IoT 기반 홈 네트워크(200) 및 외부 통신망(700)을 통해 스마트폰(300)으로 전송하도록 하는 영상 전송 명령을 IoT 기반 홈 네트워크(200)를 통해 댁내 감시 IoT 카메라(400)로 전송한다(S13).
단계(S13) 이후, 스마트 베개(100)는 IoT 기반 홈 네트워크(200)를 통해 IoT 기반 LED 조명 장치부(500)로 광원 발광 명령 전송함으로써, IoT 기반 LED 조명 장치부(500)에 의해 각 이벤트 발생에 따라 미리 설정된 색상이 출력하도록 하여 주변에 응급 상황이 발생했음을 통지한다(S14).
단계(S14) 이후, 스마트 베개(100)는 각종 발생된 상태 이벤트와, 댁내 감시 IoT 카메라(400)에 의해 촬영된 영상 정보를 참조로 스마트폰(300)에 의해 생성된 보조의 질병 상태, 수면 상태, 응급 상태, 건강 상태에 대한 분석을 통해, 분석된 상태에 매칭되는 기능 제공 장치모듈(130)을 구성하는 각 장치부 및 IoT 댁내 장치들에 대한 제어를 수행한다(S15).
보다 구체적으로, 스마트 베개(100)는 "불안 상태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불안 수면 상태로 1차적으로 분석한 뒤, 스마트폰(300)에 의한 영상 정보 분석에 따라 뒤척이는 횟수가 미리 설정된 횟수 이상인 경우, 불안 수면 상태 보조 정보를 수신하며, 미리 설정된 횟수 미만인 경우 정상 수면 상태 보조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불안 수면 상태 보조 정보를 수신시, 적외선 발광부(131)에 대한 온열 기능 제공 명령을 전송함으로써, 적외선 발광부(131)에 의한 적외선 LED 어레이의 디밍 기능을 활용해 최대 광량으로 조절하도록 하여 온열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여기서, 스마트 베개(100)는 정상 수면 상태 보조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적외선 발광부(131)에 의한 적외선 LED 어레이의 디밍 기능을 활용해 안정에 필요한 알파파(8 내지 12Hz)를 유도하기 위해 현재 출력되고 있던 색온도(파장)을 8Hz 내지 12Hz까지 디밍 기능을 활용해 최대 광량으로 조절하도록 하는 색온도 조절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러한 색온도를 조절하기 위해 적외선 LED 어레이의 각 적외선 LED 사이에는 R,G,B로 이루어진 멀티 LED 소자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실시예로, 스마트 베개(100)는 낙상 상태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응급 상태로 분석한 뒤, 스마트폰(300)에 의한 영상 정보 분석에 따라 스마트 베개(100)와 환자와의 거리가 3차원 입체 그리드 상에서 3축 좌표의 거리가 임계치 이상인 경우 응급 상태 보조 정보를 수신하며, 거리가 임계치 미만인 경우, 정상 상태 보조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응급 상태 보조 정보를 수신시, 댁내 감시 IoT 카메라(400)에 함께 형성된 스피커(410)를 통해 응급 상황임을 알리는 음성 메시지를 출력하도록 통신 모듈(150)을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스마트 베개(100)는 정상 상태 보조 정보를 수신한 경우, 적외선 발광부(131)에 대한 상술한 바와 같은 온열 기능과 함께 색온도 조절기능을 제공함으로써, 환자를 안정시킬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스마트 베개(100)는 심호흡 불균형 상태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이상 건강 상태로 분석한 뒤, 스마트폰(300)에 의한 영상 정보 분석에 따라 환자의 얼굴이 미리 설정된 시간 이상 정지 상태인 경우 이상 건강 상태 보조 정보를 수신하며, 미리 설정된 시간 이상 정지 상태가 아닌 경우 정상 건강 상태 보조 정보를 수신하며, 진동 장치부(132)에 대한 진동 기능 제공 명령을 전송함으로써, 진동 장치부(132)에 의한 진동을 출력하도록 함으로써, 환자의 수면 무호흡 및/또는 기도 폐쇄에 대한 예방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스마트 베개(100)는 정상 건강 상태 보조 정보를 수신한 경우, 적외선 발광부(131)에 대한 상술한 바와 같은 온열 기능과 함께 색온도 조절기능을 제공함으로써, 환자를 안정시킬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스마트 베개(100)는 부정맥 상태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부정맥 질병 상태로 분석한 뒤, 스마트폰(300)에 의한 영상 정보 분석에 따라 환자의 얼굴 중 심호습수가 미리 설정된 시간에 불규칙한 상태인 경우 부정맥 질병 상태 보조 정보를 수신하며, 미리 설정된 시간에 불규칙한 상태가 아닌 경우 부정맥 보조 정보를 수신하며, 부정맥 질병 상태 보조 정보를 수신시, 충전 인터페이스 모듈(140)과 연결된 외부의 제세동기(600)에 의한 심장패드(260)를 활용한 심폐소생술이 시행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스마트 베개(100)는 부정맥 보조 정보를 수신한 경우, 적외선 발광부(131)에 대한 상술한 바와 같은 온열 기능과 함께 색온도 조절기능을 제공함으로써, 환자를 안정시킬 수 있으며, 저주파 제공부(133)에 대한 제어를 통해서 저주파 마사지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 : 스마트 베개 기반의 환자 응급 조치 제공 시스템
100 : 스마트 베개
110 : 센서모듈
111 : 음성 센서
112 : 뇌파 센서
113 : 심박 센서
120 : 제어 모듈
130 : 기능 제공 장치모듈
131 : 적외선 발광부
132 : 진동 장치부
133 : 저주파 제공부
140 : 충전 인터페이스 모듈
150 : 통신 모듈
200 : IoT 기반 홈 네트워크
300 : 스마트폰
310 : 송수신부
320 : 터치스크린
330 : 음향 입출력부
340 : GPS 수신부
350 : 저장부
360 : 제어부
400 : 댁내 감시 IoT 카메라
500 : IoT 기반 LED 조명 장치부
600 : 제세동기
700 : 외부 통신망
G/W : 게이트웨이
800 : 환자 관리 서버

Claims (11)

  1. 스마트 베개(100)가 센서 모듈(110)을 구성하는 각 센서로부터 센싱 정보를 수신하여 상태 이벤트로 "심호흡 불균형 상태 이벤트", "낙상 상태 이벤트", "불안 상태 이벤트", "부정맥 상태 이벤트" 중 적어도 하나에 해당하는 것을 자체적으로 발생시키는 제 1 단계;
    스마트 베개(100)가 상기 제 1 단계에서 발생된 상태 이벤트를 IoT 기반 홈 네트워크(200)를 통해 스마트폰(300)으로 전송하는 제 2 단계;
    스마트 베개(100)가 상태 이벤트 발생에 따라 댁내 감시 IoT 카메라(400)에 의해 촬영된 영상 정보에 대한 IoT 기반 홈 네트워크(200) 및 외부 통신망(700)을 통해 스마트폰(300)으로 전송하도록 하는 영상 전송 명령을 IoT 기반 홈 네트워크(200)를 통해 댁내 감시 IoT 카메라(400)로 전송하는 제 3 단계; 및
    스마트 베개(100)가 각종 발생된 상태 이벤트와, 댁내 감시 IoT 카메라(400)에 의해 촬영된 영상 정보를 참조로 스마트폰(300)에 의해 생성된 보조의 질병 상태, 수면 상태, 응급 상태, 건강 상태에 대한 분석을 통해, 분석된 상태에 매칭되는 기능 제공 장치모듈(130)을 구성하는 각 장치부 및 IoT 댁내 장치들에 대한 제어를 수행하는 제 4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베개 기반의 환자 응급 조치 제공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3 단계와 상기 제 4 단계 사이에,
    스마트 베개(100)가 IoT 기반 홈 네트워크(200)를 통해 IoT 기반 LED 조명 장치부(500)로 광원 발광 명령 전송하여 IoT 기반 LED 조명 장치부(500)에 의해 각 이벤트 발생에 따라 미리 설정된 색상이 출력하도록 하여 주변에 응급 상황이 발생했음을 통지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베개 기반의 환자 응급 조치 제공 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계는,
    스마트 베개(100)가 음성 센서(111)로부터 코골이 센싱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심호흡 불균형 상태 이벤트"를 발생시키며, 스마트 베개(100)는 음성 센서(111)로부터 비명 센싱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또는 비명 센싱 정보와 함께 IoT 기반 홈 네트워크(200)를 통해 댁내 감시 IoT 카메라(400)로부터 영상 정보를 수신한 뒤, 영상 분석을 통해 위험 상황 중 "낙상 상태 이벤트"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베개 기반의 환자 응급 조치 제공 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계는,
    스마트 베개(100)가 뇌파 센서(112)로부터 뇌파 센싱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뇌파 센싱 정보가 주파수 대역별로 델타(delta)파, 세타(theta)파, 알파(alpha)파, 베타(beta)파, 감마(gamma)파 중 4 내지 8Hz 사이의 세타파로 정신적으로 상태가 불안한지 여부를 분석한 뒤, "불안 상태 이벤트"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베개 기반의 환자 응급 조치 제공 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계는,
    스마트 베개(100)가, 심박 센서(113)로부터 심박 센싱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미리 설정된 정상 심박수 범위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분석한 뒤, 정상 심박수 범위를 벗어나는 부정맥(arrhythmia) 증상 발생시 "부정맥 상태 이벤트"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베개 기반의 환자 응급 조치 제공 방법.
  6. "심호흡 불균형 상태 이벤트", "낙상 상태 이벤트", "불안 상태 이벤트", "부정맥 상태 이벤트" 중 적어도 하나에 해당하는 상태 이벤트를 발생시키기 위해 센싱 정보를 생성하는 각 센서로 이루어진 센서 모듈(110);
    센싱 정보를 수신하여 발생된 상태 이벤트를 IoT 기반 홈 네트워크(200)를 통해 스마트폰(300)으로 전송하는 통신 모듈(150); 및
    상태 이벤트 발생에 따라 댁내 감시 IoT 카메라(400)에 의해 촬영된 영상 정보에 대한 IoT 기반 홈 네트워크(200) 및 외부 통신망(700)을 통해 스마트폰(300)으로 전송하도록 하는 영상 전송 명령을 IoT 기반 홈 네트워크(200)를 통해 댁내 감시 IoT 카메라(400)로 전송하도록 통신 모듈(150)을 제어하며, 각종 발생된 상태 이벤트와, 댁내 감시 IoT 카메라(400)에 의해 촬영된 영상 정보를 참조로 스마트폰(300)에 의해 생성된 보조의 질병 상태, 수면 상태, 응급 상태, 건강 상태에 대한 분석을 통해, 분석된 상태에 매칭되는 기능 제공 장치모듈(130)을 구성하는 각 장치부 및 IoT 댁내 장치들에 대한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 모듈(14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베개.
  7. 청구항 6에 있어서, 제어 모듈(140)은,
    IoT 기반 홈 네트워크(200)를 통해 IoT 기반 LED 조명 장치부(500)로 광원 발광 명령 전송하도록 통신 모듈(150)을 제어하여, IoT 기반 LED 조명 장치부(500)에 의해 각 이벤트 발생에 따라 미리 설정된 색상이 출력하도록 하여 주변에 응급 상황이 발생했음을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베개.
  8. 청구항 6에 있어서, 제어 모듈(140)은,
    음성 센서(111)로부터 코골이 센싱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심호흡 불균형 상태 이벤트"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베개.
  9. 청구항 6에 있어서, 제어 모듈(140)은,
    음성 센서(111)로부터 비명 센싱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또는 비명 센싱 정보와 함께 IoT 기반 홈 네트워크(200)를 통해 댁내 감시 IoT 카메라(400)로부터 영상 정보를 수신한 뒤, 영상 분석을 통해 위험 상황 중 "낙상 상태 이벤트"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베개.
  10. 청구항 6에 있어서, 제어 모듈(140)은,
    뇌파 센서(112)로부터 뇌파 센싱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뇌파 센싱 정보가 주파수 대역별로 델타(delta)파, 세타(theta)파, 알파(alpha)파, 베타(beta)파, 감마(gamma)파 중 4 내지 8Hz 사이의 세타파로 정신적으로 상태가 불안한지 여부를 분석한 뒤, "불안 상태 이벤트"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베개.
  11. 청구항 6에 있어서, 제어 모듈(140)은,
    심박 센서(113)로부터 심박 센싱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미리 설정된 정상 심박수 범위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분석한 뒤, 정상 심박수 범위를 벗어나는 부정맥(arrhythmia) 증상 발생시 "부정맥 상태 이벤트"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베개.
KR1020180155714A 2018-12-06 2018-12-06 스마트 베개, 그리고 스마트 베개 기반의 환자 응급 조치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20006885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5714A KR20200068859A (ko) 2018-12-06 2018-12-06 스마트 베개, 그리고 스마트 베개 기반의 환자 응급 조치 제공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5714A KR20200068859A (ko) 2018-12-06 2018-12-06 스마트 베개, 그리고 스마트 베개 기반의 환자 응급 조치 제공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8859A true KR20200068859A (ko) 2020-06-16

Family

ID=711414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5714A KR20200068859A (ko) 2018-12-06 2018-12-06 스마트 베개, 그리고 스마트 베개 기반의 환자 응급 조치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6885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38959B2 (en) System and method for human monitoring
JP6166253B2 (ja) 着用可能な医療装置においてアラームを適合させるためのコントローラおよび方法
US9684767B2 (en) System and method for adapting alarms in a wearable medical device
CN103300819B (zh) 学习病人监控和干预***
US20190147721A1 (en) Personal emergency response system and method for improved signal initiation, transmission, notification/annunciation, and level of performance
US20180052655A1 (en) Technological platform for individuals with a disability
US20180055384A1 (en) System and method for non-invasive health monitoring
CN106778020A (zh) 一种基于物联网技术的医用病房智能终端
US11234675B2 (en) Sonar-based contactless vital and environmental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CN104854860A (zh) 救援现场视频传输
CN107205659A (zh) 用于改善与监视睡眠的方法和装置
KR20130120372A (ko) 수면 및 기타 생리적 조건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JP5400072B2 (ja) 生物感知インタラクティブ装置
CN104867083A (zh) 一种基于移动终端的移动医疗***
CN115299077A (zh) 用于运行听力***的方法和听力***
KR20060084916A (ko) 위치 이동이 가능한 지능형 로봇을 이용한 원격건강관리시스템 및 서비스
CN104867082A (zh) 一种面向个人的移动医疗***
KR101927373B1 (ko) 거주자 모니터링 방법, 장치 및 시스템
CN108235536B (zh) 智能灯及体感监测***
KR20200068859A (ko) 스마트 베개, 그리고 스마트 베개 기반의 환자 응급 조치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120051122A (ko)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에서 수면환경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JP6730304B2 (ja) 拘束管理
JP5763787B2 (ja) 医療補助及び監視装置に結合された人物を遠隔監視するための補助端末
JPWO2018016392A1 (ja) 姿勢検出装置及び姿勢検出方法
WO2021027244A1 (zh) 监护***和监护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