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65867A - Seat belt supplemental safety device - Google Patents

Seat belt supplemental safety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65867A
KR20200065867A KR1020180152761A KR20180152761A KR20200065867A KR 20200065867 A KR20200065867 A KR 20200065867A KR 1020180152761 A KR1020180152761 A KR 1020180152761A KR 20180152761 A KR20180152761 A KR 20180152761A KR 20200065867 A KR20200065867 A KR 202000658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ap
seat belt
belt
connection
safet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276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265935B1 (en
Inventor
서정일
김재이
Original Assignee
서정일
김재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정일, 김재이 filed Critical 서정일
Priority to KR10201801527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5935B1/en
Publication of KR202000658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586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59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593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2Construction of belts or harn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65Adaptations for seat 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03Adaptations for seat 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or animals
    • B60R22/105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or animals for childr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2/26Anchoring devices secured to the se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0Coupling devices other than buckles, including length-adjusting fittings or anti-slip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xiliary safety device attached to a seat belt including a shoulder belt and a knee belt, wherei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trap; a first connection unit coupled to one side of the strap and detachably connected to the seat belt; a second connection unit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strap and detachably connected to the seat belt; and a third connection unit coupled to the strap between the first connection unit and the second connection unit, and detachably connected to the seat belt.

Description

시트벨트 보조 안전 장치 {Seat belt supplemental safety device}Seat belt supplemental safety device

본 발명은 시트벨트 보조 안전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에 구비된 시트벨트에 부착되어 사용됨에 따라 사용자의 골반에 무릎벨트가 위치되도록 잡아주고, 사용자의 어깨에 어깨벨트가 위치되도록 잡아주어 사용자의 신체 조건에 상관없이 시트벨트를 안전하게 착용할 수 있는 시트벨트 보조 안전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at belt auxiliary safety device, and more specifically, it is attached to a seat belt provided in a vehicle and is used to hold the knee belt on the user's pelvis and hold the shoulder belt on the user's shoulde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at belt assisted safety device that can safely wear a seat belt regardless of a user's physical condition.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사용자의 안전을 위해 사용자를 구속하는 장치가 마련되어 있다. 사용자를 구속하는 장치를 통해 차량의 충돌 사고시 사용자를 구속하여 핸들이나 인스트루 패널 등에 의해 2차적 충격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차량 외부로 튕겨나가 부상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In general, a vehicle is provided with a device for restraining the user for the safety of the user. The device for restraining the user can restrain the user in the event of a collision of the vehicle, thereby preventing a secondary shock from being applied by a handle or an instrument panel, and preventing the user from being injured by being bounced outside the vehicle.

사용자의 안전을 위해 사용자를 구속하는 장치는 시트벨트 등이 사용되고 있다. 시트벨트는 다양한 방식으로 사용자를 구속하게 되는데, 이 중 3점식 시트벨트 방식이 차량 충돌시 사용자의 보호 성능이 뛰어나며, 실용성도 높아 현재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For the safety of the user, a seat belt or the like is used as a device for restraining the user. The seat belt restrains the user in various ways. Among them, the three-point seat belt method is the most commonly used at present because of its excellent protection performance and high practicality when the vehicle crashes.

도 1(a)는 종래의 3점식 시트벨트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3점식 시트벨트(10)는 어깨벨트(11)와 무릎벨트(12)를 포함한다. 도 1(a)는 어깨벨트(11)와 무릎벨트(12)를 포함하는 시트벨트(10)가 올바르게 착용 되었을 때를 나타내는 것으로, 시트벨트(10)가 올바르게 착용 되었을 때, 무릎벨트(12)는 사용자의 골반에 정확히 위치하게 되고 어깨벨트(11)는 사용자의 가슴을 지나 어깨에 정확히 위치하게 되면서 사용자의 상체가 곧추 세워지게 된다. 1 (a) is a view showing a conventional three-point seat belt, the three-point seat belt 10 includes a shoulder belt 11 and a knee belt 12. 1 (a) shows that the seat belt 10 including the shoulder belt 11 and the knee belt 12 is correctly worn, and when the seat belt 10 is properly worn, the knee belt 12 Is positioned exactly on the pelvis of the user and the shoulder belt 11 is positioned on the shoulder past the user's chest and the user's upper body is erected.

그러나 종래의 3점식 시트벨트(10)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3점식 시트벨트(10)는 정상적인 일반 성인을 기준으로 설계되어 있기 때문에, 어린이나 일반 성인보다 체구가 작은 사용자가 사용하는 경우에 도 1(b)와 같이 어깨벨트(11)가 어린이나 체구가 작은 사용자의 목이나 얼굴 부위에 걸치게 된다. However, the conventional three-point seat belt 10 has the following problems. Since the three-point seat belt 10 is designed based on a normal adult, a shoulder belt 11 is a child or a body as shown in FIG. 1(b) when used by a user with a smaller body size than a child or a normal adult. It is worn over the neck or face of a small user.

도 1(b)와 같이 어깨벨트(11)가 사용자의 목이나 얼굴 부위에 걸치게 되면, 사용자는 시트벨트(10) 착용에 불편함을 겪게 되며, 안전성이 크게 감소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성인보다 하체가 짧은 어린이의 경우 발로 차량 바닥을 지지할 수 없기 때문에 어린이의 골반이 무릎벨트(12) 아래로 미끄러져 내려가 무릎벨트(12)가 어린이의 복부에 걸치게 되며, 이에 따라 어린이의 상체가 곧추 세워지지 않고 구부정하게 되어 불편함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When the shoulder belt 11 is worn over the user's neck or face, as shown in FIG. 1(b), the user experiences inconvenience in wearing the seat belt 10, 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safety is greatly reduced. In addition, in the case of a child with a shorter lower body than an adult, the child's pelvis slides below the knee belt 12, so that the knee belt 12 spans the child's abdomen, as the foot cannot support the vehicle floor. There is a problem in that discomfort occurs because the upper body of the body is not straight and bent.

이와 함께, 어깨벨트(11)가 사용자의 목이나 얼굴 부위에 걸치게 되면, 어깨벨트(11)가 목이나 얼굴 부위에 자극을 가하면서 상처가 발생할 수 있으며, 위생적으로도 좋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Along with this, when the shoulder belt 11 is worn over a user's neck or face, a wound may occur while the shoulder belt 11 applies a stimulus to the neck or face, 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hygiene is not good.

이를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카시트나 부스터 시트가 사용되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카시트나 부스터 시트는 부피 및 무게에 의해 휴대성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종래의 카시트나 부스터 시트는 휴대할 수 없기 때문에, 어린이나 일반 성인보다 체구가 작은 차량 사용자가 택시, 렌터카, 버스와 같은 대중교통 수단을 이용할 때 특별한 안전장치 없이 일반 성인용 시트벨트를 착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In order to solve this, a car seat or a booster seat has been conventionally used. However, such a car seat or booster seat has a problem in that portability is inconvenient due to volume and weight. Conventional car seats or booster seats cannot be carried, so a vehicle user with a smaller body size than a child or a normal adult wears a seat belt for general adults without special safety devices when using public transportation such as taxis, rental cars, and buses. to be.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에 구비된 시트벨트에 부착되어 사용됨에 따라 사용자의 골반에 무릎벨트가 위치되도록 잡아주고, 사용자의 어깨에 어깨벨트가 위치되도록 잡아주어 사용자의 신체 조건에 상관없이 시트벨트를 안전하게 착용할 수 있는 시트벨트 보조 안전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more specifically, as it is attached to and used in a seat belt provided in a vehicle, the knee belt is placed on the user's pelvis, and the shoulder belt is positioned on the user's shoulde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at belt assisted safety device that can be held securely so that the seat belt can be safely worn regardless of a user's physical condition.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시트벨트 보조 안전 장치는 스트랩; 상기 스트랩 일측에 결합되며, 상기 시트벨트에 탈부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연결부; 상기 스트랩 타측에 결합되며, 상기 시트벨트에 탈부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연결부; 상기 제1연결부와 상기 제2연결부 사이에서 상기 스트랩에 결합되며, 상기 시트벨트에 탈부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3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Seat belt auxiliary safet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described problem is a strap; A first connection portion coupled to one side of the strap and detachably connected to the seat belt; A second connection portion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strap and detachably connected to the seat bel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third connection portion is coupled to the strap between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and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and is detachably connected to the seat belt.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시트벨트 보조 안전 장치의 상기 제1연결부는 상기 어깨벨트의 상부에 연결되며, 상기 제2연결부는 상기 어깨벨트의 하부와 상기 무릎벨트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연결되며, 상기 제3연결부는 상기 무릎벨트에 연결될 수 있다.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of the seat belt assisted safet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described problem is connect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shoulder belt, and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is connected to any one or more of the lower portion of the shoulder belt and the knee belt. And, the third connecting portion may be connected to the knee belt.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시트벨트 보조 안전 장치의 상기 제1연결부는 상기 어깨벨트의 상부에 연결되며, 상기 제2연결부는 상기 무릎벨트에 연결되며, 상기 제3연결부는 상기 어깨벨트의 하부와 상기 무릎벨트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연결될 수 있다.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of the seat belt auxiliary safet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described problem is connect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shoulder belt,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is connected to the knee belt, and the third connection portion is the shoulder belt It may be connected to any one or more of the lower portion and the knee belt.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시트벨트 보조 안전 장치의 상기 스트랩은, 상기 스트랩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길이 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3연결부는, 상기 스트랩을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상기 스트랩에 결합될 수 있다. The strap of the seat belt assisted safet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described problem may include a length adjusting unit capable of adjusting the length of the strap, and the third connection unit is configured to slide the strap so as to be movable. It can be attached to a strap.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시트벨트 보조 안전 장치의 상기 스트랩은 일체로 이루어진 하나의 줄로 형성되며, 상기 제1연결부와 상기 제3연결부의 사이가 길어지면, 상기 제2연결부와 상기 제3연결부 사이는 짧아지고, 상기 제1연결부와 상기 제3연결부의 사이가 짧아지면, 상기 제2연결부와 상기 제3연결부 사이는 길어질 수 있다. The strap of the seat belt auxiliary safet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described problem is formed of a single string formed integrally, and when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and the third connection portion become longer,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and the second When the connection between the three connecting portions becomes shorter and the connection between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and the third connecting portion becomes shorter, the distance between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and the third connecting portion may become longer.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시트벨트 보조 안전 장치의 상기 스트랩은, 상기 스트랩을 슬라이드 이동하는 상기 제3연결부의 슬라이드 이동 거리를 제한할 수 있는 제1이동 제한부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trap of the seat belt assisted safet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described problem may include a first movement limiting unit capable of limiting a slide movement distance of the third connection portion that slides the strap.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시트벨트 보조 안전 장치는 상기 제2연결부와 상기 제3연결부 사이에서 상기 스트랩에 결합되며, 상기 시트벨트에 탈부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4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4연결부는, 상기 스트랩을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상기 스트랩에 결합될 수 있다. The seat belt assisted safet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described problem includes a fourth connection portion that is coupled to the strap between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and the third connection portion and is detachably connected to the seat belt. The fourth connection portion may be coupled to the strap to slide the strap.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시트벨트 보조 안전 장치의 상기 스트랩은, 상기 스트랩을 슬라이드 이동하는 상기 제4연결부의 슬라이드 이동 거리를 제한할 수 있는 제2이동 제한부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trap of the seat belt assisted safet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described problem may include a second movement limiting unit capable of limiting a slide movement distance of the fourth connection portion that slides the strap.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시트벨트 보조 안전 장치는 상기 제2연결부와 상기 제3연결부 사이에서 상기 스트랩을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상기 스트랩에 결합되는 슬라이딩부와, 상기 슬라이딩부로부터 연장되는 보조 스트랩과, 상기 보조 스트랩의 일측에 결합되며, 상기 시트벨트에 탈부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5연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eat belt assist safet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described problems is a sliding portion coupled to the strap to slide the strap between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and the third connection portion, and the auxiliary portion extending from the sliding portion A strap and a fifth connection portion coupled to one side of the auxiliary strap and detachably connected to the seat belt may be further included.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시트벨트 보조 안전 장치은 상기 스트랩에 탈부착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스트랩을 보관할 수 있는 저장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저장부는 상기 스트랩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The seat belt auxiliary safet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described problem is detachably connected to the strap, and further includes a storage unit in which a storage space for storing the strap is formed, and the storage unit slides on the strap. It can be connected as possible.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시트벨트 보조 안전 장치는 상기 스트랩의 일지점에 부착되며, 상기 스트랩을 보관할 수 있는 저장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패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seat belt auxiliary safet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described problem may further include a pad that is attached to a point of the strap and is formed with a storage space for storing the strap.

본 발명은 시트벨트 보조 안전 장치에 관한 것으로, 차량에 구비되어 있는 시트벨트에 보조장치를 부착하여 사용함에 따라 사용자의 골반에 무릎벨트가 정확히 위치하도록 잡아주며, 사용자의 어깨에 어깨벨트가 정확히 위치되도록 잡아주는 장점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at belt assisted safety device, and by attaching an assist device to a seat belt provided in a vehicle, the knee belt is accurately positioned on the user's pelvis, and the shoulder belt is accurately positioned on the user's shoulder. It has the advantage of holding as much as possible.

이를 통해 사용자의 신체 조건에 상관없이 시트벨트를 안전하게 착용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목이나 얼굴 부위에 시트벨트가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여 위생적으로 시트벨트를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와 함께, 본 발명의 시트벨트 보조 안전 장치는 부피 및 무게를 작게 함에 따라 휴대 및 보관이 간편한 장점이 있다.Through this, the seat belt can be safely worn regardless of the user's physical condition, and the seat belt can be hygienically used by preventing the seat belt from contacting the user's neck or face. In addition, the seat belt auxiliary safet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vantage of being easy to carry and store as the volume and weight are reduced.

특히, 본 발명을 임산부가 사용할 경우, 임산부의 복부가 아닌 골반에 무릎벨트가 정확히 위치하도록 잡아줌에 따라, 임산부의 시트벨트 착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Particularly, when the pregnant woman uses the present invention, as the knee belt is accurately positioned on the pelvis, not the abdomen of the pregnant woman, there is an advantage of improving the seat belt wearing convenience of the pregnant woman.

도 1(a)는 정상적인 일반 성인 사용자가 3점식 시트벨트를 착용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1(b)는 어린이 또는 일반 성인보다 체구가 작은 사용자가 3점식 시트벨트를 착용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시트벨트 보조 안전 장치를 시트벨트에 연결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트벨트 보조 안전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시트벨트 보조 안전 장치를 시트벨트에 연결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제4연결부를 포함하는 시트벨트 보조 안전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제4연결부를 포함하는 시트벨트 보조 안전 장치를 시트벨트에 연결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제5연결부를 포함하는 시트벨트 보조 안전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제5연결부를 포함하는 시트벨트 보조 안전 장치를 시트벨트에 연결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제1이동 제한부 및 제2이동 제한부를 포함하는 시트벨트 보조 안전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길이 조절부를 제1연결부에 결합시킨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저장부를 포함하는 시트벨트 보조 안전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패드를 포함하는 시트벨트 보조 안전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FIG. 1(a) is a diagram showing a normal general adult user wearing a three-point seat belt, and FIG. 1(b) is a drawing showing a user with a smaller body size than a child or a normal adult wearing a three-point seat belt. .
2 is a view showing that the seat belt auxiliary safety device is connected to the seat bel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a seat belt auxiliary safet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to 6 are views showing that the seat belt auxiliary safety device is connected to the seat bel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showing a seat belt auxiliary safety device including a fourth conn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and 9 are views showing that the seat belt auxiliary safety device including the fourth connection part is connected to the seat bel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view showing a seat belt auxiliary safety device including a fifth conn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and 12 are views showing that the seat belt auxiliary safety device including the fifth connection part is connected to the seat bel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view showing a seat belt assisted safety device including a first movement limiting unit and a second movement limit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view showing that the length adjustment unit is coupled to the first connectio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 view showing a seat belt auxiliary safety device including a storage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6 is a view showing a seat belt assist safety device including a pa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가 첨부된 도면과 연관되어 기재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이 도면에 예시되고 관련된 상세한 설명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를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및/또는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되었다.Hereinafter,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ous embodiments, and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related detailed descriptions are described.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and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and/or equivalents or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connection with the description of the drawings, similar reference numerals have been used for similar elements.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서 사용될 수 있는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발명(disclosure)된 해당 기능, 동작 또는 구성요소 등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하나 이상의 기능, 동작 또는 구성요소 등을 제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Expressions such as “comprises” or “can include” that may be used in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dicate the existence of a corresponding function, operation, or component that has been invented, and additional one or more functions, operations, or The components and the like are not limited. Further, in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include” or “have” are intended to indicate that there are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one or more other features or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are not excluded in advance.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상기 어떤 구성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새로운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새로운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어야 할 것이다.When it is mentioned that a component is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e other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another new component between the other component and the 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may exist. On the other hand, when it is mentioned that an element is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will be understood that no other new component exists between the one component and the other components. You should be able to.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일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Terms used in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which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a commonly used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meanings consistent with meanings in the context of related technologies, and are ideally or excessively formal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not interpreted as meaning.

본 발명은 시트벨트 보조 안전 장치에 관한 것으로, 차량에 구비된 시트벨트에 부착되어 사용됨에 따라 사용자의 골반에 무릎벨트가 위치되도록 잡아주고, 사용자의 어깨에 어깨벨트가 위치되도록 잡아주어 사용자의 신체 조건에 상관없이 시트벨트를 안전하게 착용할 수 있는 시트벨트 보조 안전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at belt assisted safety device, as it is attached to a seat belt provided in a vehicle and is used to hold the knee belt on the user's pelvis, and to hold the shoulder belt on the user's shoulder to hold the user's bod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at belt assisted safety device that can safely wear a seat belt regardless of conditions.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트벨트 보조 안전 장치는 일반 성인 보다 체구가 작은 어린이에게 사용될 수 있는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트벨트 보조 안전 장치는 어린이용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일반 성인보다 체구가 작은 성인에게도 적용될 수 있으며, 임산부에게도 적용될 수 있다.Seat belt assisted safet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be used for children with a smaller body size than ordinary adults. However, the seat belt assisted safet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children, and may be applied to an adult having a smaller body size than an adult, and may also be applied to a pregnant woman.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트벨트 보조 안전 장치(100)는 어깨벨트(11)와 무릎벨트(12)를 포함하는 시트벨트(10)에 부착되어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Seat belt auxiliary safety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is attached to the seat belt 10 including the shoulder belt 11 and the knee belt 12,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 exampl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트벨트 보조 안전 장치(100)는 스트랩(110), 제1연결부(120), 제2연결부(130), 제3연결부(140)를 포함한다. 2 and 3, the seat belt auxiliary safety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trap 110, a first connecting portion 120, a second connecting portion 130, a third connecting portion 140 It includes.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스트랩(110)은 줄(cord), 띠(belt) 또는 끈(strap)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제1연결부(120), 상기 제2연결부(130), 상기 제3연결부(140)가 결합될 수 있는 줄, 띠, 또는 끈이다. Referring to FIG. 3, the strap 110 may be formed of a cord, a belt, or a strap, and the first connection part 120, the second connection part 130, and the first 3 is a string, strip, or string to which the connecting portion 140 can be coupled.

상기 제1연결부(120)는 상기 스트랩(110) 일측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시트벨트(10)에 탈부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이다. 상기 제1연결부(120)는 상기 스트랩(110)의 일측에 고정 결합되면서, 상기 시트벨트(10)에 부착되었다가 탈착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제1연결부(120)는 클립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클립으로 이루어진 상기 제1연결부(120)의 내부에 상기 시트벨트(10)를 끼워 넣으면 상기 제1연결부(120)를 상기 시트벨트(10)에 연결할 수 있게 된다. The first connection part 120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strap 110, and is detachably connected to the seat belt 10.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120 is fixedly coupled to one side of the strap 110, and is attached to and detachable from the seat belt 10, and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120 may be formed of a clip. When the seat belt 10 is inserted into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120 made of a clip,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120 can be connected to the seat belt 10.

여기서, 상기 제1연결부(120)를 상기 시트벨트(10)에 연결한 이후에는, 상기 제1연결부(120)가 상기 시트벨트(10)를 이동하지 않도록 상기 시트벨트(10)에 상기 제1연결부(120)를 고정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연결부(120)의 내부에서 상기 시트벨트(10)를 빼면, 상기 제1연결부(120)를 상기 시트벨트(10)에서 분리할 수 있게 된다. Here, after connecting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120 to the seat belt 10,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120 is the first to the seat belt 10 so that the seat belt 10 does not move. It is preferable that the connection portion 120 is fixedly coupled. When the seat belt 10 is removed from the inside of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120,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120 can be separated from the seat belt 10.

상기 제1연결부(120)는 상기 스트랩(110)의 일측에 고정 결합되면서, 상기 시트벨트(10)와 탈부착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는 것이라면 다양한 구성이 사용될 수 있다. 가령, 클립(clip), 집게(clamp), 벨크로 테이프(velcro tape), 접착 테이프(adhesive tape), 코드락(cord lock) 등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While the first connection part 120 is fixedly coupled to one side of the strap 110, various configurations may be used as long as it can be detachably connected to the seat belt 10. For example, it may be made of a clip, clamp, velcro tape, adhesive tape, cord lock, or the like.

상기 제2연결부(130)는 상기 스트랩(110) 타측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시트벨트(10)에 탈부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이다. 상기 제2연결부(130)는 상기 스트랩(110)의 타측에 고정 결합되면서, 상기 시트벨트(10)에 부착되었다가 탈착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제2연결부(130)는 도 3과 같이 C 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130 is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strap 110, and is detachably connected to the seat belt 10.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130 is fixedly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strap 110, it can be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the seat belt 10,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130 is a C ring as shown in Figure 3 It can be made.

C 링으로 이루어진 상기 제2연결부(130)의 내부에 상기 시트벨트(10)를 끼워 넣으면 상기 제2연결부(130)를 상기 시트벨트(10)에 연결할 수 있게 되고, 상기 제2연결부(130)의 내부에서 상기 시트벨트(10)를 빼면, 상기 제2연결부(130)를 상기 시트벨트(10)에서 분리할 수 있게 된다. When the seat belt 10 is inserted into the second connection part 130 made of a C ring, the second connection part 130 can be connected to the seat belt 10, and the second connection part 130 When the seat belt 10 is pulled out of the inside,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130 can be separated from the seat belt 10.

다만, 상기 제2연결부(130)는 C 링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스트랩(110)의 타측에 고정 결합되면서, 상기 시트벨트(10)와 탈부착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는 것이라면 다양한 구성이 사용될 수 있다. 가령, 상기 제2연결부(130)는 클립(clip), 집게(clamp), 벨크로 테이프(velcro tape), 접착 테이프(adhesive tape), 코드락(cord lock) 등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연결부(120)는 상기 제2연결부(130)와 동일한 방식으로 C 링으로 이루어지면서 상기 시트벨트(10)와 탈부착 가능하게 연결될 수도 있다. However, the second connection unit 130 is not limited to a C ring, and various configurations may be used as long as it is fixedly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strap 110 and detachably connected to the seat belt 10. . For example, the second connection part 130 may be made of a clip, a clamp, a velcro tape, an adhesive tape, or a cord lock. Furth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120 may be detachably connected to the seat belt 10 while being made of a C ring in the same manner as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130.

상기 제3연결부(140)는 상기 제1연결부(120)와 상기 제2연결부(130) 사이에서 상기 스트랩(110)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시트벨트(10)에 탈부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제3연결부(140)는 C링과 D링이 결합 되어 있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제3연결부(140)는 D링을 통해 상기 제1연결부(120)와 상기 제2연결부(130) 사이에서 상기 스트랩(110)에 결합된다. The third connecting portion 140 is coupled to the strap 110 between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120 and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130, and is detachably connected to the seat belt 10. Referring to FIG. 3, the third connection unit 140 may be formed in a form in which a C ring and a D ring are combined, and the third connection unit 140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on unit 120 through the D ring. Between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130 is coupled to the strap (110).

이와 함께, 상기 제3연결부(140)의 C 링 내부에 상기 시트벨트(10)를 끼워 넣으면 상기 제3연결부(140)를 상기 시트벨트(10)에 연결할 수 있고, 상기 제3연결부(140)의 C 링 내부에서 상기 시트벨트(10)를 빼면, 상기 제3연결부(140)를 상기 시트벨트(10)에서 분리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seat belt 10 is inserted into the C ring of the third connection part 140, the third connection part 140 can be connected to the seat belt 10, and the third connection part 140 If the seat belt 10 is removed from the inside of the C ring, the third connection part 140 may be separated from the seat belt 10.

다만, 상기 제3연결부(140)는 C링과 D링 결합되어 있는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제1연결부(120)와 상기 제2연결부(130) 사이에서 상기 스트랩(110)에 결합되면서, 상기 시트벨트(10)와 탈부착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는 것이라면 다양한 구성이 사용될 수 있다. 가령, 상기 제3연결부(140)는 클립(clip), 집게(clamp), 벨크로 테이프(velcro tape), 접착 테이프(adhesive tape), 코드락(cord lock) 등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However, the third connection part 140 is not limited to a form in which the C-ring and the D-ring are coupled, and is coupled to the strap 110 between the first connection part 120 and the second connection part 130. , As long as it can be detachably connected to the seat belt 10, various configurations can be used. For example, the third connection part 140 may be formed of a combination of a clip, a clamp, a velcro tape, an adhesive tape, and a cord lock.

또한, 상기 제3연결부(140)는 상기 제1연결부(120)와 상기 제2연결부(130) 사이에서 상기 스트랩(110)이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상기 스트랩(110)에 결합될 수도 있다. 후술하겠지만, 상기 제3연결부(140)와 상기 시트벨트(10)의 연결지점은 사용자의 신체 크기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제3연결부(140)를 상기 스트랩(110)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시키면, 사용자의 신체 크기에 따라 상기 제3연결부(140)와 상기 시트벨트(10)가 연결되는 지점을 변경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the third connector 140 may be coupled to the strap 110 so that the strap 110 can slide between the first connector 120 and the second connector 130. As will be described later, the connection points of the third connection part 140 and the seat belt 10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user's body size. When the third connection portion 140 is slidably coupled to the strap 110, it is possible to change the point at which the third connection portion 140 and the seat belt 10 are connected according to a user's body size. .

상기 제3연결부(140)가 상기 스트랩(110)에 고정 결합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상기 제1연결부(120)와 상기 제3연결부(140) 사이 및 상기 제2연결부(130)와 상기 제3연결부(140) 사이의 스트랩(110) 길이 조절 문제는 상기 제3연결부(140)의 D링 부분에 차량용 안전밸트에 사용되는 ELR(Emergency Locking Retractor) 내지 ALR(Automatic Locking Retractor) 등을 결합한 양방향 리트렉터를 사용함으로써 해결할 수도 있다.When the third connection portion 140 needs to be fixedly coupled to the strap 110, between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120 and the third connection portion 140 and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130 and the third The problem of adjusting the length of the strap 110 between the connecting parts 140 is a two-way re-combination of an ELR (Emergency Locking Retractor) to an ALR (Automatic Locking Retractor) used for a vehicle safety belt on the D-ring part of the third connecting part 140. It can also be solved by using a tractor.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시트벨트 보조 안전 장치(100)를 시트벨트(10)에 연결하여 사용된 실시 예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트벨트 보조 안전 장치(100)는 다음과 같이 시트벨트(10)에 부착되어 사용될 수 있다. 2 is an embodiment used to connect the seat belt auxiliary safety device 100 to the seat belt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ure 2, the seat belt auxiliary safety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is attached to the seat belt 10 as follows.

먼저, 사용자(어린이)를 상체직립자세로 좌석(20)에 착석시킨 후, 상기 제1연결부(120)를 상기 어깨벨트(11)의 상부에 연결 시키고, 상기 스트랩(110)을 사용자의 어깨 뒤쪽으로 하여 상기 무릎벨트(12)가 있는 지점까지 내린다. 이후, 상기 제3연결부(140)를 상기 무릎벨트(12)에 연결 시킨다. First, after a user (child) is seated on the seat 20 in an upright position, the first connection part 120 is connect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shoulder belt 11, and the strap 110 is behind the user's shoulder. And lowered to the point where the knee belt 12 is. Thereafter, the third connecting portion 140 is connected to the knee belt 12.

이때, 상기 어깨벨트(11)의 상부가 사용자의 목이나 얼굴 부위에 접촉되지 않도록 상기 스트랩(110)을 잡아당기면서, 상기 제3연결부(140)를 상기 무릎벨트(12)의 타측에 연결시킨다. (여기서, 도 2를 기준으로 무릎벨트(12)의 좌측이 무릎벨트(12)의 일측이 되며, 무릎벨트(12)의 우측이 무릎벨트(12)의 타측이 된다.) At this time, while pulling the strap 110 so that the upper portion of the shoulder belt 11 does not contact the user's neck or face, the third connection 140 is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knee belt 12. . (Here, based on FIG. 2, the left side of the knee belt 12 becomes one side of the knee belt 12, and the right side of the knee belt 12 becomes the other side of the knee belt 12.)

이후, 상기 스트랩(110)을 사용자의 무릎 하부를 지나가도록 잡아당겨 상기 무릎벨트(12)를 사용자의 골반에 정확히 위치시키고, 상기 제2연결부(130)를 시트벨트(10)에 연결시킨다. 이때, 상기 제2연결부(130)는 상기 어깨벨트(11)의 하부에 연결될 수도 있고, 상기 무릎벨트(12)에 일측에 연결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2연결부(130)는 상기 어깨벨트(11)의 하부와 상기 무릎벨트(12)의 일측에 동시에 연결될 수도 있다. (상기 제2연결부(130)가 상기 어깨벨트(11)의 하부와 상기 무릎벨트(12)의 일측에 동시에 연결되기 위해, 상기 제2연결부(130)는 상기 시트벨트(10)와 연결되는 지점이 2개일 수 있으며, 1개의 지점일 경우에도 상기 제2연결부(130)가 상기 어깨벨트(11)의 하부와 상기 무릎벨트(12)의 일측에 동시에 연결이 가능하다.)Thereafter, the strap 110 is pulled so as to pass under the user's knee to accurately position the knee belt 12 on the user's pelvis, and the second connection part 130 is connected to the seat belt 10. At this time,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130 may be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shoulder belt 11, or may be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knee belt 12. In addition,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130 may be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shoulder belt 11 and one side of the knee belt 12 at the same time. (To connect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130 to the lower portion of the shoulder belt 11 and one side of the knee belt 12 at the same time,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130 is a point connected to the seat belt 10 These may be two, and even in the case of one point, the second connection unit 130 can be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shoulder belt 11 and one side of the knee belt 12 at the same time.)

여기서, 상기 제2연결부(130)는 도 4와 같이 사용자의 가랑이 사이를 통과하여 상기 무릎벨트(12)의 중간부에 결합될 수도 있다. 사용자의 신체가 작은 경우, 도 4와 같이 상기 제2연결부(130)를 사용자의 가랑이 사이를 통과시켜 결합시키면, 사용자를 보다 강하게 구속할 수 있게 된다. Here, the second connection unit 130 may be coupled to the middle of the knee belt 12 by passing between the crotch of the user as shown in FIG. 4. When the user's body is small, as shown in FIG. 4, when the second connection unit 130 is passed through the crotch of the user, the user can be strongly constrained.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시트벨트 보조 안전 장치(100)를 시트벨트(10)에 연결시키면, 상기 제1연결부(120)와 상기 제3연결부(140) 사이에서 상기 어깨벨트(11)를 잡아당기는 힘이 발생하게 되고, 이를 통해 상기 어깨벨트(11)가 사용자의 목이나 얼굴 부위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when the seat belt auxiliary safety device 100 is connected to the seat belt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houlder belt between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120 and the third connection portion 140 11) A force for pulling is generated, and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houlder belt 11 from contacting the user's neck or face.

이때, 상기 제3연결부(140)는 상기 스트랩(110)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상기 스트랩(110)은 상기 스트랩(11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길이 조절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길이 조절부(170)는 상기 제1연결부(120)와 상기 제2연결부(130) 사이의 상기 스트랩(11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제1연결부(120)와 상기 제2연결부(130) 사이의 상기 스트랩(11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면 다양한 구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길이 조절부(17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At this time, the third connecting portion 140 may be slidably coupled to the strap 110, and the strap 110 includes a length adjusting portion 170 capable of adjusting the length of the strap 110. can do. Referring to FIG. 3, the length adjusting unit 170 may adjust the length of the strap 110 between the first connecting unit 120 and the second connecting unit 130, and the first connecting unit 120 ) If the length of the strap 110 between the second connection unit 130 can be adjusted, various configurations may be used. (Detailed description of the length adjustment unit 170 will be described later.)

이와 같이 상기 길이 조절부(170)를 통해 사용자의 신체 크기에 맞게 상기 스트랩(110)의 길이를 조절하고, 상기 제3연결부(140)를 상기 스트랩(110)에서 슬라이드 이동시켜 상기 제3연결부(140)의 연결 지점을 조절하면, 시트벨트(10)와 시트벨트 보조 안전 장치(100)를 통해 사용자를 안전하게 구속할 수 있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length of the strap 110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user's body through the length adjusting unit 170, and the third connector 140 is moved by sliding the third connector 140 from the strap 110. Adjusting the connection point of 140), it is possible to safely restrain the user through the seat belt 10 and the seat belt auxiliary safety device 100.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스트랩(110)은 폭이 같거나 다른 분리되어 있는 복수 개의 줄이 연결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폭이 일정하거나 변화하는 일체로 이루어진 하나의 줄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스트랩(110)이 분리되어 있는 복수 개의 줄이 연결되어 형성될 때는 복수 개의 줄을 연결 시키기 위한 결합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rap 110 may be formed by connecting a plurality of separated strings having the same or different widths, or may be formed of a single string made of an integral part having a constant or variable width. When the plurality of strings in which the strap 110 is separated is formed, a coupling device for connecting the plurality of strings may be used.

상기 스트랩(110)은 분리되어 있는 복수 개의 줄이 연결되어 형성될 수 있으나, 상기 스트랩(110)은 일체로 이루어진 하나의 줄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연결부(120)를 상기 어깨벨트(10)의 상부에 연결 시키면서 고정시키고, 상기 스트랩(110)을 일체로 이루어진 하나의 줄로 형성하면, 상기 제1연결부(120)와 상기 제3연결부(140) 사이의 길이가 길어질 때, 상기 제2연결부(130)와 상기 제3연결부(140) 사이의 길이가 짧아질 수 있게 되며, 상기 제1연결부(120)와 상기 제3연결부(140) 사이의 길이가 짧아질 때, 상기 제2연결부(130)와 상기 제3연결부(140) 사이의 길이가 길어질 수 있게 된다. The strap 110 may be formed by connecting a plurality of separate strings, but the strap 110 is preferably formed of a single string formed integrally. Specifically, when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120 is fixed while connecting to the upper portion of the shoulder belt 10, and the strap 110 is formed of a single row integrally formed,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120 and the first When the length between the three connecting portions 140 becomes long, the length between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130 and the third connecting portion 140 can be shortened, and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120 and the third connecting portion ( When the length between 140) becomes short, the length between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130 and the third connecting portion 140 can be increased.

차량이 급정거를 하거나 충격을 받게 되면, 사용자는 차량의 앞으로 튕겨져 나가려는 힘을 받게 된다. 상기 스트랩(110)을 일체로 이루어진 하나의 줄로 형성하면, 이와 같은 힘이 발생할 때 사용자를 강하게 구속할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차량의 앞으로 튕겨져 나가려는 힘이 발생하면, 상기 제1연결부(120)와 상기 제3연결부(140) 사이의 길이는 길어지게 되고, 이와 동시에 상기 제2연결부(130)와 상기 제3연결부(140) 사이의 길이는 짧아지게 된다. When the vehicle is suddenly stopped or shocked, the user is forced to bounce out of the vehicle. When the strap 110 is formed of a single string made of one body, it is possible to strongly constrain the user when such a force occurs. Specifically, when a user attempts to bounce in front of the vehicle, the length between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120 and the third connecting portion 140 becomes longer, and at the same time,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130 and the The length between the third connecting portions 140 is shortened.

상기 제2연결부(130)와 상기 제3연결부(140) 사이의 길이가 짧아짐에 따라 무릎벨트(12)와 상기 제2연결부(130) 및 상기 제3연결부(140) 사이의 상기 스트랩(110)이 사용자의 골반을 더욱 강하게 구속하게 되고, 이를 통해 사용자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스트랩(110)이 일체로 이루어진 하나의 줄로 형성되며, 상기 제3연결부(140)가 상기 스트랩(110)을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기 때문에, 상기 제1연결부(120)와 상기 제3연결부(140) 사이의 길이가 길어질 때, 상기 제2연결부(130)와 상기 제3연결부(140) 사이의 길이는 짧아지게 된다.) As the length between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130 and the third connecting portion 140 is shortened, the strap 110 between the knee belt 12 and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130 and the third connecting portion 140 The user's pelvis is more strongly constrained, and through this, the user can be safely protected. (Because the strap 110 is formed of a single row integrally formed, the third connecting portion 140 is capable of sliding the strap 110,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120 and the third connecting portion 140 ), the length between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130 and the third connecting portion 140 becomes shorter.)

사용자에게 작용한 힘이 없어지면, 상기 제1연결부(120)와 상기 제3연결부(140) 사이의 길이는 짧아지고, 이와 동시에 상기 제2연결부(130)와 상기 제3연결부(140) 사이의 길이가 길어지면서 원래의 상태로 돌아오게 된다. When the force acting on the user disappears, the length between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120 and the third connecting portion 140 is shortened, and at the same time, the length between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130 and the third connecting portion 140. As it becomes longer, it returns to its original state.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시트벨트 보조 안전 장치(100)는 도 5와 같이 시트벨트(10)에 연결될 수도 있다. 상기 제1연결부(120)는 상기 어깨벨트(11)의 상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3연결부(140)가 상기 어깨벨트(11)와 같은 방향으로 등 뒤를 따라서, 상기 무릎벨트(12)의 일측으로 연장되면서, 상기 시트벨트(10)에 연결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at belt auxiliary safety device 100 may be connected to the seat belt 10 as shown in FIG. 5.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120 is connect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shoulder belt 11, the third connection portion 140 along the back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shoulder belt 11, one side of the knee belt 12 As it is extended to, it is connected to the seat belt 10.

이때, 상기 제3연결부(140)는 상기 어깨벨트(11)의 하부에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무릎벨트(12)의 일측에 연결될 수도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제3연결부(140)는 상기 어깨벨트(11)의 하부와 상기 무릎벨트(12)의 일측에 동시에 연결될 수도 있다. (상기 제3연결부(140)가 상기 어깨벨트(11)의 하부와 상기 무릎벨트(12)의 일측에 동시에 연결되기 위해, 상기 제3연결부(140)는 상기 시트벨트(10)와 연결되는 지점이 2개일 수 있으며, 1개의 지점일 경우에도 상기 제3연결부(140)가 상기 어깨벨트(11)의 하부와 상기 무릎벨트(12)의 일측에 동시에 연결이 가능하다.)At this time, the third connecting portion 140 may be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shoulder belt 11, or may be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knee belt 12. In addition, if necessary, the third connecting portion 140 may be simultaneously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shoulder belt 11 and one side of the knee belt 12. (The third connecting portion 140 is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shoulder belt 11 and one side of the knee belt 12 at the same time, the third connecting portion 140 is a point connected to the seat belt 10 These may be two, and even in the case of one point, the third connection part 140 can be simultaneously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shoulder belt 11 and one side of the knee belt 12 .)

이후, 상기 제2연결부(130)는 상기 무릎벨트(12)에 연결된다. 상기 제2연결부(130)는 도 5와 같이 상기 무릎벨트(12)의 타측에 연결될 수도 있으며, 도 6과 같이 사용자의 가랑이 사이를 지나 상기 무릎벨트(12)의 중간부에 연결될 수도 있다. 사용자의 신체가 작은 경우, 도 6과 같이 상기 제2연결부(130)를 사용자의 가랑이 사이를 통과시켜 결합시키면, 사용자를 보다 강하게 구속할 수 있게 된다. Thereafter,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130 is connected to the knee belt 12.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130 may be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knee belt 12 as shown in FIG. 5, or may pass through between the crotch of the user as shown in FIG. 6 and be connected to the middle portion of the knee belt 12. When the user's body is small, as shown in FIG. 6, when the second connection unit 130 is passed through the crotch of the user, the user can be strongly constrained.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트벨트 보조 안전 장치(100)는 제4연결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제4연결부(150)는 상기 제2연결부(130)와 상기 제3연결부(140) 사이에서 상기 스트랩(110)에 결합되면서, 상기 시트벨트(10)에 탈부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이다. 상기 제4연결부(150)는 상기 제3연결부(140)와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제4연결부(150)도 상기 스트랩(110)을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상기 스트랩(110)에 결합될 수 있는 것이다. Seat belt auxiliary safety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fourth connection (150). Referring to FIG. 7, while the fourth connection part 150 is coupled to the strap 110 between the second connection part 130 and the third connection part 140, it can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seat belt 10. It is connected. The fourth connection portion 150 may be configured in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third connection portion 140, and the fourth connection portion 150 may also be coupled to the strap 110 so that the strap 110 can slide. It is.

상기 제4연결부(150)를 사용하면, 사용자를 보다 강하게 구속할 수 있게 된다. 도 8은 상기 제4연결부(150)를 상기 시트벨트(10)에 연결한 실시 예로, 도 8은 도 2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제1연결부(120), 상기 제2연결부(130), 상기 제3연결부(140)를 상기 시트벨트(10)에 연결 시키면서, 상기 제4연결부(150)를 상기 시트벨트(10)에 결합한다. When the fourth connection unit 150 is used, it is possible to constrain the user more strongly. 8 is an example in which the fourth connection part 150 is connected to the seat belt 10, and FIG. 8 is the first connection part 120, the second connection part 130, and the While connecting the third connecting portion 140 to the seat belt 10, the fourth connecting portion 150 is coupled to the seat belt 10.

구체적으로, 상기 제3연결부(140)가 상기 무릎벨트(12)의 타측에 결합된 이후에, 상기 제4연결부(150)를 사용자의 가랑이 사이로 넣으면서 상기 무릎벨트(12)의 중간부에 연결 시키고, 이후 상기 제2연결부(130)를 상기 시트벨트(10)에 연결시킨다. 이와 같이 상기 제4연결부(150)를 사용하면, 사용자를 보다 강하게 구속하면서 사용자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Specifically, after the third connecting portion 140 is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knee belt 12, the fourth connecting portion 150 is inserted between the user's crotch and connected to the middle portion of the knee belt 12. Then,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130 is connected to the seat belt 10. As described above, when the fourth connection unit 150 is used, the user's safety can be improved while the user is more restrained.

상기 제4연결부(150)는 도 9와 같이 연결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도 9는 상기 제4연결부(150)를 상기 시트벨트(10)에 연결한 실시 예로, 도 9는 도 5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제1연결부(120), 상기 제2연결부(130), 상기 제3연결부(140)를 상기 시트벨트(10)에 연결 시키면서, 상기 제4연결부(150)를 상기 시트벨트(10)에 결합한다. The fourth connection unit 150 may be connected and used as shown in FIG. 9. 9 is an exemplary embodiment in which the fourth connection unit 150 is connected to the seat belt 10, and FIG. 9 is the first connection unit 120, the second connection unit 130, and the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While connecting the third connecting portion 140 to the seat belt 10, the fourth connecting portion 150 is coupled to the seat belt 10.

구체적으로, 상기 제3연결부(140)가 상기 무릎벨트(12)의 타측 또는 상기 어깨벨트(11)의 하부에 결합된 이후에, 상기 제4연결부(150)를 사용자의 가랑이 사이로 넣으면서 상기 무릎벨트(12)의 중간부에 연결 시키고, 이후 상기 제2연결부(130)를 상기 무릎벨트(12)의 타측에 연결시킨다. 이와 같이 상기 제4연결부(150)를 사용하면, 사용자를 보다 강하게 구속하면서 사용자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Specifically, after the third connection portion 140 is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knee belt 12 or the lower portion of the shoulder belt 11, the knee belt while inserting the fourth connection portion 150 between the crotch of the user It is connected to the middle portion of (12), and then connects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130 to the other side of the knee belt 12. As described above, when the fourth connection unit 150 is used, the user's safety can be improved while the user is more restrained.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트벨트 보조 안전 장치를 임산부가 사용할 경우, 상기 제4연결부(150)를 통해 사용자의 복부가 아닌 골반에 무릎벨트가(12)가 정확히 위치하도록 잡아줌에 따라, 임산부의 착용 편의성 및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Particularly, when a pregnant woman uses the seat belt assisted safet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knee belt 12 is held on the pelvis, not the abdomen of the user, through the fourth connecting portion 150, , There is an effect that can improve the convenience and stability of wearing for pregnant women.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트벨트 보조 안전 장치는 슬라이딩부(155)와 상기 슬라이딩부(155)로부터 연장되는 보조 스트랩(111)과 제5연결부(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seat belt auxiliary safet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liding portion 155 and an auxiliary strap 111 and a fifth connection portion 160 extending from the sliding portion 155.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슬라이딩부(155)는 상기 제2연결부(130)와 상기 제3연결부(140) 사이에서 상기 스트랩(110)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슬라이딩부(155)는 상기 스트랩(110)을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것이다. Referring to FIG. 10, the sliding portion 155 is coupled to the strap 110 between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130 and the third connecting portion 140, and the sliding portion 155 is the strap ( 110) It is possible to move the slide.

상기 보조 스트랩(111)은 상기 슬라이딩부(155)로부터 연장되는 것으로, 상기 보조 스트랩(111)은 상기 슬라이딩부(155)로부터 연장되는 줄(cord), 띠(belt) 또는 끈(strap)일 수 있다. 상기 제5연결부(160)는 상기 보조 스트랩(111)의 일측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시트벨트(10)에 탈부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이다. The auxiliary strap 111 extends from the sliding portion 155, and the auxiliary strap 111 may be a cord, belt, or strap extending from the sliding portion 155. have. The fifth connection part 160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auxiliary strap 111, and is detachably connected to the seat belt 10.

즉, 상기 보조 스트랩(111)의 일단은 상기 제5연결부(160)와 결합되는 것이며, 상기 보조 스트랩(111)의 타단은 상기 슬라이딩부(155)를 통해 상기 스트랩(110)과 결합되는 것이다. That is, one end of the auxiliary strap 111 is coupled to the fifth connecting portion 160, and the other end of the auxiliary strap 111 is coupled to the strap 110 through the sliding portion 155.

여기서, 상기 제5연결부(160)는 상기 제2연결부(130)와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며, 상기 보조 스트랩(111)은 상기 슬라이딩부(155)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다. Here, the fifth connection portion 160 may be formed of the same structure as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130, and the auxiliary strap 111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sliding portion 155.

또한, 상기 슬라이딩부(155)는 상기 제4결합부(150)와 동일한 것일 수 있으며, 상기 제4결합부(150)에 상기 보조 스트랩(111)과 상기 제5연결부(160)를 결합할 수도 있는 것이다. (즉, 상기 제4결합부(150)가 상기 슬라이딩부(155)로 사용될 수도 있는 것이다.)In addition, the sliding part 155 may be the same as the fourth coupling part 150, and the auxiliary strap 111 and the fifth connecting part 160 may be coupled to the fourth coupling part 150. It is. (That is, the fourth coupling portion 150 may be used as the sliding portion 155.)

상기 제5연결부(160)를 사용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트벨트 고정장치를 상기 시트벨트(10)에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구체적으로, 도 11 및 도 12와 같이 상기 제5연결부(160)를 사용하면, 사용자가 가랑이 사이로 상기 제5연결부(160)를 빼면서, 상기 무릎벨트(12)의 중간부에 연결함에 따라 시트벨트 보조장치(100)를 쉽게 착용할 수 있게 된다. When the fifth connection part 160 is used,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seat belt fix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connected to the seat belt 10. Specifically, when using the fifth connecting portion 160 as shown in FIGS. 11 and 12, as the user pulls out the fifth connecting portion 160 between crotchs and connects to the middle portion of the knee belt 12, the seat belt The auxiliary device 100 can be easily worn.

도 11은 도 2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제1연결부(120), 상기 제2연결부(130), 상기 제3연결부(140)를 상기 시트벨트(10)에 연결하는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연결하고, 상기 슬라이딩부(155)를 사용자의 무릎 하부에 배치한 이후에, 상기 제5연결부(160)를 상기 무릎벨트(12)의 중간부에 연결하는 것을 나타내는 것이다. 11 is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on unit 120, the second connection unit 130, and the third connection unit 140 in the same way as the method of connecting the seat belt 1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 After the sliding portion 155 is disposed below the user's knee, it indicates that the fifth connection portion 160 is connected to the middle portion of the knee belt 12.

도 12는 도 5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제1연결부(120), 상기 제2연결부(130), 상기 제3연결부(140)를 상기 시트벨트(10)에 연결하는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연결하고, 상기 슬라이딩부(155)를 사용자의 무릎 하부에 배치한 이후에, 상기 제5연결부(160)를 상기 무릎벨트(12)의 중간부에 연결하는 것을 나타내는 것이다. 12 is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on unit 120, the second connection unit 130, and the third connection unit 140 in the same way as the method of connecting the seat belt 1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 After the sliding portion 155 is disposed below the user's knee, it indicates that the fifth connection portion 160 is connected to the middle portion of the knee belt 12.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트벨트 보조 안전 장치(100)의 상기 스트랩(110)은 제1이동 제한부(141)와 제2이동 제한부(15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이동 제한부(141)는 상기 스트랩(110)을 이동하는 상기 제3연결부(140)의 슬라이드 이동 거리를 제한할 수 있는 것이며, 상기 제2이동 제한부(151)는 상기 스트랩(110)을 이동하는 상기 제4연결부(150)의 슬라이드 이동 거리를 제한하는 것이다. The strap 110 of the seat belt assisted safety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first movement limiting unit 141 and a second movement limiting unit 151. The first movement limiting part 141 may limit the slide movement distance of the third connection part 140 moving the strap 110, and the second movement limiting part 151 may include the strap 110 ) Is to limit the slide movement distance of the fourth connection unit 150.

상기 제3연결부(140)와 상기 제4연결부(150)는 상기 스트랩(110)을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는 것이지만, 상기 제3연결부(140)와 상기 제4연결부(150)가 잘못된 위치로 슬라이드 이동되면, 시트벨트 보조장치(100)를 시트벨트(10)에 연결하는 데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다. The third connecting portion 140 and the fourth connecting portion 150 are capable of sliding the strap 110, but when the third connecting portion 140 and the fourth connecting portion 150 are moved to the wrong position , It may be difficult to connect the seat belt auxiliary device 100 to the seat belt 10.

상기 제1이동 제한부(141)와 상기 제2이동 제한부(151)는 상기 제3연결부(140)와 상기 제4연결부(150)의 슬라이드 이동 거리를 제한하는 것으로, 상기 제3연결부(140)와 상기 제4연결부(150)를 상기 스트랩(110)의 일정 구역에서만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The first movement limiter 141 and the second movement limiter 151 limit the slide movement distance between the third connection unit 140 and the fourth connection unit 150, and the third connection unit 140 ) And the fourth connecting portion 150 so as to be able to slide only in a certain area of the strap 110.

구체적으로, 상기 제1이동 제한부(141)는 상기 제3연결부(140)의 양측에 형성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제3연결부(140)를 상기 스트랩(110)의 일정 구역에서만 슬라이드 이동시킬 수 있다면 다양한 구성이 사용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first movement limiting part 141 may b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third connection part 140, and the third connection part 140 may slide only in a certain region of the strap 110. Various configurations can be used, if any.

가령, 상기 제3연결부(140)의 양측에서 상기 스트랩(110)에 매듭 또는 돌출부를 형성시켜, 상기 제3연결부(140)의 슬라이드 이동을 제할 수 있다. 또한, 도 13과 같이 상기 제1이동 제한부(141)는 일단과 타단이 상기 제3연결부(140)의 양측에 연결되는 줄 또는 끈일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줄 또는 끈을 사용함에 따라 상기 제3연결부(140)의 이동을 줄 또는 끈 내부로 제한할 수 있게 된다. 다만, 상기 제1이동 제한부(141)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제3연결부(140)를 상기 스트랩(110)의 일정 구역에서만 슬라이드 이동시킬 수 있다면 다양한 구성이 사용될 수 있다.For example, knots or protrusions may be formed on the strap 110 on both sides of the third connection portion 140 to remove the slide movement of the third connection portion 140. In addition, as shown in FIG. 13, the first movement limiting part 141 may be a string or a string having one end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both sides of the third connecting part 140, and the third may be used by using such a string or string. It is possible to limit the movement of the connecting portion 140 to the inside of the string or string. However, the first movement limiting part 141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configurations may be used if the third connection part 140 can slide only in a certain region of the strap 110.

상기 제2이동 제한부(151)는 상기 제4연결부(150)의 양측에 형성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제4연결부(150)를 상기 스트랩(110)의 일정 구역에서만 슬라이드 이동시킬 수 있다면 다양한 구성이 사용될 수 있다. The second movement limiting part 151 may b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fourth connection part 150, and various configurations are possible if the fourth connection part 150 can be moved only in a certain region of the strap 110. Can be used.

가령, 상기 제4연결부(150)의 양측에서 상기 스트랩(110)에 매듭 또는 돌출부를 형성시켜, 상기 제4연결부(150)의 슬라이드 이동을 제할 수 있다. 또한, 도 13과 같이 상기 제2이동 제한부(151)는 일단과 타단이 상기 제4연결부(150)의 양측에 연결되는 줄 또는 끈일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줄 또는 끈을 사용함에 따라 상기 제4연결부(150)의 이동을 줄 또는 끈 내부로 제한할 수 있게 된다. 다만, 상기 제2이동 제한부(151)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제4연결부(150)를 상기 스트랩(110)의 일정 구역에서만 슬라이드 이동시킬 수 있다면 다양한 구성이 사용될 수 있다.For example, knots or protrusions may be formed on the strap 110 on both sides of the fourth connection portion 150 to eliminate slide movement of the fourth connection portion 150. In addition, as shown in FIG. 13, the second movement limiting part 151 may be a string or a string having one end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both sides of the fourth connection part 150. It is possible to limit the movement of the connecting portion 150 to the inside of the string or string. However, the second movement limiting unit 151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configurations may be used if the fourth connection unit 150 can slide only in a certain region of the strap 110.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길이 조절부(170)는 상기 스트랩(110)의 다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상기 길이 조절부(170)는 상기 제1연결부(120)의 주변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길이 조절부(170)는 상기 제2연결부(130)의 주변에 배치될 수도 있다. 즉, 상기 길이 조절부(170)는 사용자가 상기 스트랩(110)의 길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는 것이다.The length adjusting part 17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disposed at various positions of the strap 110. Referring to FIG. 14, the length adjustment unit 170 may be disposed around the first connection unit 120, and the length adjustment unit 170 may be disposed around the second connection unit 130. have. That is, the length adjuster 170 may be disposed at a position where a user can easily adjust the length of the strap 110.

또한, 상기 길이 조절부(170)는 상기 제1연결부(120) 또는 상기 제2연결부(130)에 포함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1연결부(120) 또는 상기 제2연결부(130)는 길이 조절을 할 수 있는 상기 길이 조절부(170)의 구조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제1연결부(120) 또는 상기 제2연결부(130)를 통해 상기 스트랩(110)의 길이를 조절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length adjustment unit 170 may be formed by being included in the first connection unit 120 or the second connection unit 130. The first connection unit 120 or the second connection unit 130 may be formed by including the structure of the length adjustment unit 170 capable of adjusting the length, the first connection unit 120 or the first 2 The length of the strap 110 may be adjusted through the connection unit 130.

이와 함께, 필요에 따라서 상기 제1연결부(120) 또는 상기 제2연결부(130)는 상기 스트랩(110)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연결부(120) 또는 상기 제2연결부(130)는 상기 제3연결부(140)와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연결부(120) 또는 상기 제2연결부(130)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하면, 사용자의 신체 사이즈에 맞게 상기 스트랩(110)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Along with this, if necessary,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120 or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130 may be coupled to the strap 110 so as to be movable. In this case, the first connection unit 120 or the second connection unit 130 may have the same structure as the third connection unit 140. When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120 or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130 is slide-movable, the strap 110 can be easily adjusted to fit the user's body size.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트벨트 보조 안전 장치(100)는 저장부(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180)는 상기 스트랩(110)을 보관할 수 있는 저장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파우치나 백이 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저장부(180)에 상기 스트랩(110)을 보관함에 따라 시트벨트 보조장치(100)의 휴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Seat belt auxiliary safety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torage unit 180. The storage unit 180 may be a pouch or a bag in which a storage space for storing the strap 110 is formed, and the seat belt auxiliary device as the storage unit 180 stores the strap 110 The portability of (100) can be improved.

도 15를 참조하면, 상기 저장부(180)는 상기 스트랩(110)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저장부(180)의 외면에는 쿠션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저장부(180)의 외면은 쿠션을 형성하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상기 저장부(180)의 외면에 상기 쿠션부가 형성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5, the storage unit 180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strap 110, and a cushion unit may b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torage unit 180. The outer surface of the storage unit 180 may be made of a material forming a cushion, and through this, the cushion unit may b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torage unit 180.

상기 저장부(180)는 상기 시트벨트 보조장치(100)를 보관 및 운반에 사용될 수 있는 것이지만, 상기 시트벨트 보조장치(100)가 상기 시트벨트(10)에 연결되었을 때, 사용자에게 편안함을 주기 위해 쿠션으로도 사용될 수 있는 것이다. The storage unit 180 may be used to store and transport the seat belt auxiliary device 100, but when the seat belt auxiliary device 100 is connected to the seat belt 10, it provides a user with comfort. It can also be used as a hazard cushion.

구체적으로, 상기 저장부(180)는 상기 스트랩(110)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것인데, 상기 시트벨트 보조장치(100)를 보관 및 운반할 때는 상기 스트랩(110)에서 상기 저장부(180)를 분리하여 상기 스트랩(110)을 상기 저장부(180)의 저장 공간에 넣을 수 있다. Specifically, the storage unit 180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strap 110. When storing and transporting the seat belt auxiliary device 100, the storage unit 180 in the strap 110 ) To separate the strap 110 into the storage space of the storage unit 180.

다만, 상기 저장부(180)는 상기 스트랩(110)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는 것이지만, 상기 스트랩(110)에 한번 결합시킨 이후에 다시 탈착하지 않고 사용할 수도 있다. 즉, 제작과정에서 상기 저장부(180)를 상기 스트랩(110)에 한 번 결합시키고, 이후 상기 저장부(180)를 탈착시키지 않고도 사용할 수 있다. However, the storage unit 180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strap 110, but may be used without being detached again after being coupled to the strap 110 once. That is,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the storage unit 180 may be coupled to the strap 110 once, and then the storage unit 180 may be used without being detached.

상기 시트벨트 보조장치(100)를 상기 시트벨트(10)에 연결하여 사용할 때는, 상기 스트랩(110)에서 사용자가 쿠션으로 사용하고자 하는 지점에 상기 저장부(180)를 부착시킨다. 가령, 상기 시트벨트 보조장치(100)를 상기 시트벨트(10)에 연결하였을 때, 사용자의 골반, 어깨 등의 지점에 상기 저장부(180)를 배치할 수 있다. When the seat belt auxiliary device 100 is connected to the seat belt 10 and used, the storage unit 180 is attached to the strap 110 where the user wants to use it as a cushion. For example, when the seat belt auxiliary device 100 is connected to the seat belt 10, the storage unit 180 may be disposed at a point of the user's pelvis, shoulder, or the like.

상기 저장부(180)는 벨크로를 이용하여 상기 스트랩(110)에 탈부착 가능할 수 있으며, 상기 스트랩(110)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다. 다만, 상기 저장부(180)는 벨크로를 이용하는 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스트랩(110)에 상기 저장부(180)를 탈부착시킬 수 있다면 다양한 구성이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The storage unit 180 may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strap 110 using velcro, or may be slidably coupled to the strap 110. However, the storage unit 180 is not limited to using velcro, and various configurations may be used if the storage unit 180 can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strap 110.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트벨트 보조 안전 장치(100)는 패드(1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패드(190)는 상기 스트랩(110)의 일지점에 부착되는 것으로, 상기 스트랩(110)을 보관할 수 있는 저장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Seat belt auxiliary safety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pad 190. The pad 190 is attached to a point of the strap 110, and a storage space for storing the strap 110 is formed.

상기 패드(190)는 상기 시트벨트 보조장치(100)의 포장지 역할을 하면서, 상기 스트랩(110)의 커버 역할을 할 수 있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도 16을 참조하면, 상기 패드(190)는 상기 제1연결부(120)에 부착되면서 상기 스트랩(110)의 일부 구간을 감쌀 수 있을 것으로, 상기 패드(190)를 통해 상기 스트랩(110)이 사용자의 신체에 직접 닿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The pad 190 may serve as a wrapping paper for the seat belt auxiliary device 100 and serve as a cover for the strap 110. Specifically, referring to FIG. 16, while the pad 190 is attached to the first connection unit 120, a portion of the strap 110 may be wrapped, and the strap 110 may be passed through the pad 190. ) Can be prevented from directly touching the user's body.

또한, 상기 패드(190)에는 상기 스트랩(110)을 보관할 수 있는 저장 공간이 형성됨에 따라 상기 시트벨트 보조장치(100)의 포장지 역할을 할 수도 있다. 상기 패드(190)가 포장지 역할과 상기 스트랩(110)의 커버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는 경우는 상기 제1연결부(120)에 부착되는 상기 패드(190) 면이 상기 스트랩(110)의 커버 역할을 수행하도록 포장의 내부에 위치하고 그 반대면이 외부에 노출되도록 포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패드(190)의 저장공간에 상기 시트벨트 보조장치(100)를 포장할 때, 상기 제1연결부(120)가 상기 저장공간의 안쪽에서 상기 스트랩(110)과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pad 190 may serve as a wrapping paper for the seat belt auxiliary device 100 as a storage space for storing the strap 110 is formed. When the pad 190 simultaneously serves as the wrapping paper and the cover of the strap 110, the surface of the pad 190 attached to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120 serves as the cover of the strap 110. It is desirable to be placed inside the packaging so that the opposite side is exposed to the outside. (That is, when packing the seat belt auxiliary device 100 in the storage space of the pad 190,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connection unit 120 is attached to the strap 110 from the inside of the storage space. .)

도 16은 상기 패드(190)가 상기 제1연결부(120)에 부착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패드(190)는 상기 스트랩(110)의 커버 역할을 하기 위해 상기 스트랩(110)의 일 지점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패드(190)는 삼각형, 사각형, 원형, 타원형 등의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패드(190)가 포장지 역할을 하면서 동시에 상기 스트랩(110)의 커버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면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16 illustrates that the pad 190 is attached to the first connection part 120,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pad 190 serves as the cover of the strap 110 to the strap 110. ). The pad 190 may be formed in a shape of a triangle, a square, a circle, an oval, or the like, and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if the pad 190 can serve as a wrapping paper and at the same time serve as a cover of the strap 110. Yes, of course.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트벨트 보조 안전 장치(100)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Seat belt auxiliary safety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has the following effects.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트벨트 보조 안전 장치(100)는 차량에 구비되어 있는 시트벨트(10)에 보조장치(100)를 부착하여 사용함에 따라 사용자의 골반에 무릎벨트(12)가 정확히 위치하도록 잡아주며, 사용자의 어깨에 어깨벨트(11)가 정확히 위치되도록 잡아주어 사용자의 목이나 얼굴 부위에 어깨벨트(11)가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Seat belt auxiliary safety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knee belt 12 is accurately positioned on the user's pelvis by using the attachment device 100 attached to the seat belt 10 provided in the vehicle. It has the advantage of preventing the shoulder belt 11 from contacting the user's neck or face by holding the shoulder belt 11 on the user's shoulder.

이를 통해 사용자의 신체 조건에 상관없이 시트벨트(10)를 안전하게 착용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목이나 얼굴 부위에 시트벨트(10)가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여 위생적으로 시트벨트(10)를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hrough this, the seat belt 10 can be safely worn regardless of the user's physical condition, and the seat belt 10 can be hygienically used by preventing the seat belt 10 from contacting the user's neck or face. There are advantages.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트벨트 보조 안전 장치(100)는 임산부의 시트벨트 착용 편의성 및 안정성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트벨트 보조 안전 장치(100)를 임산부가 사용할 경우, 임산부의 복부가 아닌 골반에 무릎벨트가 정확히 위치하도록 잡아줄 수 있게 된다. 이를 통해 임산부의 복부에 시트벨트가 압력을 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임산부의 시트벨트 착용 편의성 및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seat belt auxiliary safety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vantage that can effectively improve the comfort and stability of seat belts for pregnant women. When a pregnant woman uses the seat belt assisted safety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hold the knee belt so that the knee belt is accurately positioned, not the abdomen.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eat belt from applying pressure to the abdomen of a pregnant woman, and has the advantage of improving the convenience and stability of wearing the seat belt of a pregnant woman.

이와 함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트벨트 보조 안전 장치(100)는 종래의 카시트나 부스터 시트에 비해 부피 및 무게가 작기 때문에 휴대 및 보관이 간편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트벨트 보조장치(100)는 일회용으로도 사용할 수 있으며, 택시 내부나 승강장에 자판기를 비치하여 판매될 수도 있다. Along with this, the seat belt assist safety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vantage of being easy to carry and store because it has a smaller volume and weight than a conventional car seat or booster seat. The seat belt auxiliary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sed as a disposable device, or may be sold by placing a vending machine inside a taxi or at a platform.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트벨트 보조 안전 장치(100)는 차량의 시트벨트(10) 사용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트벨트 보조 안전 장치(100)는 차량 이외에서 시트벨트를 사용하는 곳에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가령,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트벨트 보조 안전 장치(100)는 놀이기구 등 다른 승차기구의 3점식 시트벨트에도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제1연결부(120)를 헤드레스트 또는 기 구비된 테더 앵커(tether anchor)에 고정하여 무릎벨트만으로 이루어진 2점식 시트벨트에도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In the above, the seat belt assisted safety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s using the seat belt 10 of a vehicle, but the seat belt assisted safety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ther than a vehicle. Of course, it can be applied where seat belts are used. For example, the seat belt auxiliary safety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sed for a three-point seat belt of another riding device such as an amusement ride, and the first connection part 120 may be a headrest or a tether anchor provided with a group. Of course, it can be used for a two-point seat belt made of only a knee belt fixed to (tether anchor).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많은 변형이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provid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10...시트벨트 11...어깨벨트
12...무릎벨트 20...좌석
100...시트벨트 보조장치 110...스트랩
120...제1연결부 130...제2연결부
140...제3연결부 141...제1이동 제한부
150...제4연결부 151...제2이동 제한부
155...슬라이딩부 160...제5연결부
170...길이 조절부 180...저장부
190...패드
10... seat belt 11... shoulder belt
12...knee belt 20...seat
100...Seat belt auxiliary device 110...Strap
120...first connection 130...second connection
140...3rd connection 141...1st movement restriction
150...4th connection 151...2nd movement restriction
155...sliding part 160...5th connection part
170...Length adjustment part 180...Storage part
190...pad

Claims (12)

어깨벨트와 무릎벨트를 포함하는 시트벨트에 부착되는 보조 안전 장치에 있어서,
스트랩;
상기 스트랩 일측에 결합되며, 상기 시트벨트에 탈부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연결부;
상기 스트랩 타측에 결합되며, 상기 시트벨트에 탈부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연결부;
상기 제1연결부와 상기 제2연결부 사이에서 상기 스트랩에 결합되며, 상기 시트벨트에 탈부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3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벨트 보조 안전 장치.
In the auxiliary safety device attached to the seat belt including a shoulder belt and a knee belt,
Strap;
A first connection portion coupled to one side of the strap and detachably connected to the seat belt;
A second connection portion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strap and detachably connected to the seat belt;
Seat belt auxiliary safet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third connection portion that is coupled to the strap between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and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is detachably connected to the seat bel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부는 상기 어깨벨트의 상부에 연결되며,
상기 제2연결부는 상기 어깨벨트의 하부와 상기 무릎벨트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연결되며,
상기 제3연결부는 상기 무릎벨트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벨트 보조 안전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is connect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shoulder belt,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is connected to any one or more of the lower portion of the shoulder belt and the knee belt,
Seat belt auxiliary safet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third connection is connected to the knee bel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부는 상기 어깨벨트의 상부에 연결되며,
상기 제2연결부는 상기 무릎벨트에 연결되며,
상기 제3연결부는 상기 어깨벨트의 하부와 상기 무릎벨트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벨트 보조 안전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is connect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shoulder belt,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is connected to the knee belt,
The third connection portion seat belt auxiliary safet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connected to any one or more of the lower portion of the shoulder belt and the knee bel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랩은,
상기 스트랩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길이 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벨트 보조 안전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strap,
Seat belt assisted safet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length adjuster for adjusting the length of the strap.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연결부는, 상기 스트랩을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상기 스트랩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벨트 보조 안전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third connection portion, seat belt assisted safet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strap is coupled to the strap to be movabl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랩은 일체로 이루어진 하나의 줄로 형성되며,
상기 제1연결부와 상기 제3연결부의 사이가 길어지면, 상기 제2연결부와 상기 제3연결부 사이는 짧아지고, 상기 제1연결부와 상기 제3연결부의 사이가 짧아지면, 상기 제2연결부와 상기 제3연결부 사이는 길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벨트 보조 안전 장치.
The method of claim 5,
The strap is formed of a single string made of one piece,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connection part and the third connection part becomes longer, the distance between the second connection part and the third connection part becomes shorter, and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connection part and the third connection part becomes shorter, the second connection part and the Seat belt auxiliary safet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longer between the third connection.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랩은,
상기 스트랩을 슬라이드 이동하는 상기 제3연결부의 슬라이드 이동 거리를 제한할 수 있는 제1이동 제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벨트 보조 안전 장치.
The method of claim 5,
The strap,
Seat belt assisted safet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first movement limiting portion that can limit the slide movement distance of the third connecting portion for sliding the strap.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연결부와 상기 제3연결부 사이에서 상기 스트랩에 결합되며, 상기 시트벨트에 탈부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4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4연결부는, 상기 스트랩을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상기 스트랩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벨트 보조 안전 장치.
According to claim 1,
It is coupled to the strap between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and the third connection portion, and includes a fourth connection portion detachably connected to the seat belt,
The fourth connection portion, seat belt assisted safet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strap is coupled to the strap to be movable.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랩은,
상기 스트랩을 슬라이드 이동하는 상기 제4연결부의 슬라이드 이동 거리를 제한할 수 있는 제2이동 제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벨트 보조 안전 장치.
The method of claim 8,
The strap,
Seat belt assisted safet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econd movement limiting portion that can limit the slide movement distance of the fourth connection portion for sliding the strap.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연결부와 상기 제3연결부 사이에서 상기 스트랩을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상기 스트랩에 결합되는 슬라이딩부와,
상기 슬라이딩부로부터 연장되는 보조 스트랩과,
상기 보조 스트랩의 일측에 결합되며, 상기 시트벨트에 탈부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5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벨트 보조 안전 장치.
According to claim 1,
A sliding portion coupled to the strap to slideably move the strap between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and the third connection portion;
An auxiliary strap extending from the sliding portion,
Seat belt auxiliary safety device coupled to one side of the auxiliary strap,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fifth connection detachably connected to the seat bel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랩에 탈부착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스트랩을 보관할 수 있는 저장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저장부는 상기 스트랩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벨트 보조 안전 장치.
According to claim 1,
It is detachably connected to the strap, and further includes a storage portion in which a storage space for storing the strap is formed,
The storage unit is a seat belt assisted safet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connected to the slide to be movable on the strap.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랩의 일지점에 부착되며, 상기 스트랩을 보관할 수 있는 저장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패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벨트 보조 안전 장치.
According to claim 1,
Seat belt auxiliary safety device is attached to a point of the strap,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pad formed with a storage space for storing the strap.
KR1020180152761A 2018-11-30 2018-11-30 Seat belt supplemental safety device KR10226593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2761A KR102265935B1 (en) 2018-11-30 2018-11-30 Seat belt supplemental safet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2761A KR102265935B1 (en) 2018-11-30 2018-11-30 Seat belt supplemental safety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5867A true KR20200065867A (en) 2020-06-09
KR102265935B1 KR102265935B1 (en) 2021-06-17

Family

ID=710829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2761A KR102265935B1 (en) 2018-11-30 2018-11-30 Seat belt supplemental safety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5935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134994A1 (en) * 2020-10-30 2022-05-05 Richard H. Galloway Seat belt accessory and method of use
WO2024019544A1 (en) * 2022-07-19 2024-01-25 이유신 Body weight support devic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07707A (en) * 1996-02-06 1997-08-12 Hirohide Hibari Seat belt for child
KR19980041350U (en) * 1996-12-23 1998-09-15 박병재 Position control structure of seat belt tongue
JP2006103401A (en) * 2004-10-01 2006-04-20 Toyota Motor Corp Seat belt device
JP2010228529A (en) * 2009-03-26 2010-10-14 Autech Japan Inc Occupant fixing belt of vehicular sea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07707A (en) * 1996-02-06 1997-08-12 Hirohide Hibari Seat belt for child
KR19980041350U (en) * 1996-12-23 1998-09-15 박병재 Position control structure of seat belt tongue
JP2006103401A (en) * 2004-10-01 2006-04-20 Toyota Motor Corp Seat belt device
JP2010228529A (en) * 2009-03-26 2010-10-14 Autech Japan Inc Occupant fixing belt of vehicular seat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134994A1 (en) * 2020-10-30 2022-05-05 Richard H. Galloway Seat belt accessory and method of use
US11584336B2 (en) * 2020-10-30 2023-02-21 Richard H. Galloway Seat belt accessory and method of use
WO2024019544A1 (en) * 2022-07-19 2024-01-25 이유신 Body weight support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5935B1 (en) 2021-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6285B1 (en) Apparatus for adapting a seat belt for a child
US4342483A (en) Child safety seat for vehicles
US3301594A (en) Safety harness
TW474872B (en) Child protecting clothes for vehicles
US9776535B2 (en) Infant restraint system
US6086158A (en) Padded cushioning device
US10195967B2 (en) Apparatus for adapting a seatbelt for a child
JP2008540231A (en) Occupant safety restraint device, seat height adjustment device, and method of restraining occupant
KR102265935B1 (en) Seat belt supplemental safety device
US5063879A (en) Child restraint method and apparatus for aircraft and other vehicles
EP0021628A1 (en) Restraint device for use with a vehicle seat
KR20160149328A (en) seat cover for vehicles
ES2360129T3 (en) SEAT BELT ACCESSORY FOR VEHICLE.
US20190070983A1 (en) Apparatus for adapting a seatbelt to a child
IL255869A (en) Vehicle occupant restraint system
TW473439B (en) Method and device for impact shielding
GB2417224A (en) Coupling device for child safety harness
RU203162U1 (en) Travel Pillow Bag
KR200254070Y1 (en) Child Auxiliary Seat for Vehicle
KR101741813B1 (en) Assist combination device of a seat belt for pregnant women
JP3482556B2 (en) Protective member for infant during riding
RU2588399C1 (en) Child safety belt adjustment device
JP6643463B2 (en) Auxiliary equipment for seat belt
JPH058215Y2 (en)
JP2006273163A (en) Seat belt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