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65664A - 가공성 및 제어 정밀성이 향상된 스풀 및 이를 구비한 유량제어 밸브 - Google Patents

가공성 및 제어 정밀성이 향상된 스풀 및 이를 구비한 유량제어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65664A
KR20200065664A KR1020180152340A KR20180152340A KR20200065664A KR 20200065664 A KR20200065664 A KR 20200065664A KR 1020180152340 A KR1020180152340 A KR 1020180152340A KR 20180152340 A KR20180152340 A KR 20180152340A KR 20200065664 A KR20200065664 A KR 202000656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ool
diameter
land portion
land
flow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23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49963B1 (ko
Inventor
윤소남
함영복
박중호
칸 하룬
Original Assignee
한국기계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기계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기계연구원
Priority to KR10201801523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9963B1/ko
Publication of KR202000656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56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99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99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3/00Details of servomotor systems ; Valve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13/02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 F15B13/04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for use with a single servomotor
    • F15B13/0401Valve members; Fluid interconnections therefor
    • F15B13/0402Valve members; Fluid interconnections therefor for linearly sliding valves, e.g. spool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18Control systems or devices
    • B66C13/40Applications of devices for transmitting control pulses; Applications of remote control devices
    • B66C13/42Hydraulic transmit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20Means for actuating or controlling masts, platforms, or forks
    • B66F9/22Hydraulic devices or system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2Hydraulic or pneumatic drives
    • E02F9/2221Control of flow rate; Load sensing arrang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2Hydraulic or pneumatic drives
    • E02F9/226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elements for hydraulic drives
    • E02F9/2267Valves or distribu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32Details
    • F16K1/34Cutting-off parts, e.g. valve members, seats
    • F16K1/36Valve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2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2211/00Circuit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2211/40Flow control
    • F15B2211/405Flow control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flow control means or valv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2211/00Circuit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2211/40Flow control
    • F15B2211/415Flow control characterised by the connections of the flow control means in the circuit
    • F15B2211/41572Flow control characterised by the connections of the flow control means in the circuit being connected to a pressure source and an output memb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Sliding Valves (AREA)
  • Multiple-Way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원통 형상의 내부 공간을 가지며 제1 유로(111)와 제2 유로(112)가 상기 내부 공간의 측면에 형성된 밸브 본체 및 상기 밸브 본체 내에서 상기 원통 형상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할 수 있도록 배치된 스풀(300)을 구비한 유량제어 밸브로서, 상기 스풀(300)은, 실린더 형상이며 제1 단부와 제2 단부를 갖는 스풀 로드(301); 상기 스풀 로드보다 큰 직경을 가지며 상기 제1 단부에 가깝게 형성된 제1 랜드부(310); 상기 제1 랜드부 보다 큰 직경을 가지며 상기 제2 단부측 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된 제2 랜드부(320); 및 상기 제1 랜드부와 제2 랜드부 사이에 형성된 다중 직경의 제3 랜드부(330);를 포함하고, 상기 제3 랜드부(330)는 상기 제1 단부측에서 제2 단부측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형성된 소직경부(331), 경사부(332), 및 대직경부(333)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제어 밸브를 개시한다.

Description

가공성 및 제어 정밀성이 향상된 스풀 및 이를 구비한 유량제어 밸브 {Spool with improved workability and precise controllability and a flow control valve using the spool}
본 발명은 유량제어 밸브에 사용되는 스풀 및 이 스풀을 구비한 유량제어 밸브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가공 용이성과 제어 정밀성이 향상된 스풀 및 이를 구비한 유량제어 밸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굴삭기, 크레인, 지게차 등과 같은 산업용 장비는 장비를 구동하기 위한 실린더 등의 유압식 구동기를 구비하며 이러한 유압식 구동기는 작동 유체를 제어하기 위한 다수의 유량제어 밸브를 구비한다.
도1은 실린더(70)를 구동하는 종래의 일반적인 유량제어 밸브를 나타낸다. 유량제어 밸브는 밸브 하우징(10) 내부에 슬리브(20)가 부착되고 슬리브(20)의 내부 공간에 좌우로 왕복가능한 스풀(30)이 삽입된다. 스풀(30)은 스풀의 몸체에 해당하는 스풀 로드(31) 및 이 스풀 로드(31) 보다 큰 직경의 다수의 랜드부(32,33)로 구성된다.
밸브를 개방할 경우, 예컨대 파이로트부의 피스톤(도시 생략)에 의해 스풀(30)이 오른쪽으로 슬라이딩하면 제1 유로(11)와 제2 유로(12)가 개방되어 탱크(60)로부터 공급되는 유체가 제1 및 제2 유로(11,12)를 통해 실린더(70)로 공급된다. 밸브를 폐쇄할 경우, 파이로트부의 피스톤이 좌측으로 복귀하면 스프링(17)의 탄성력에 의해 스풀(30)이 좌측으로 슬라이딩하여 원위치로 복귀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 밸브에서는 스풀(30)이 약간만 개방된 경우에도 제2 랜드부(33)와 슬리브(20) 사이의 틈을 통해 다량의 유체가 흐르기 때문에 밸브의 온/오프시 유체 변화량이 급격해지므로 밸브 제어가 쉽지 않은 문제가 있다.
또한 밸브 제작시 스풀(30)과 밸브의 내측 공간이 접하는 영역이 많을수록 스풀 제작이 어려워지는데, 종래 밸브의 경우 복수개의 랜드부(32,33) 및 스풀 로드(31)의 좌측 및/또는 우측 단부 등 적어도 3군데 또는 4군데에서 스풀(30)과 밸브의 내측 공간이 접촉하기 때문에 이 3군데 또는 4군데 모두 직진도와 평행도를 유지하면서 스풀을 가공하기 위해서는 수 마이크로미터 오차 이내의 정밀가공이 요구되고 가공단가가 상승하였다.
더욱이 이러한 정밀도로 밸브 몸체에 직접 가공하는 것이 매우 어렵기 때문에 종래에는 별도의 슬리브(20)를 가공하였다. 즉 밸브 하우징(10)에 비해 상대적으로 가공이 쉬운 슬리브(20)를 가공하여 밸브 하우징(10) 내부에 체결하고 슬리브(20)의 내부 공간에 스풀(30)을 삽입하는 방식으로 밸브를 제작하였는데 이로 인해 부품이 추가되므로 밸브 부피와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특허문헌1: 한국 공개특허 제2009-0028216호 (2009년 3월 18일 공개) 특허문헌2: 한국 공개특허 제1996-0001513호 (1996년 1월 25일 공개)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밸브의 온/오프시 급격한 유체 변화량으로 인해 장비에 충격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고 밸브 응답성과 장비 조작성을 향상시키는 스풀 및 이를 구비한 유량제어 밸브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스풀과 밸브 본체의 내측면이 접하는 영역의 개수를 최소화하여 밸브 본체와 스풀의 가공 용이성을 향상시키고 슬리브의 필요성을 제거하여 밸브 부피를 줄이고 제조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는 스풀 및 이를 구비한 유량제어 밸브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스프링을 스풀에 부착시킨 스풀-스프링 일체형 스풀을 구성함으로써 밸브 제작시 스프링이 잘못 체결되는 것을 방지하고 모든 스풀이 동일한 힘-변위 특성을 갖도록 할 수 있는 스풀 및 이를 구비한 유량제어 밸브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원통 형상의 내부 공간을 가지며 제1 유로(111)와 제2 유로(112)가 상기 내부 공간의 측면에 형성된 밸브 본체 및 상기 밸브 본체 내에서 상기 원통 형상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할 수 있도록 배치된 스풀(300)을 구비한 유량제어 밸브로서, 상기 스풀(300)은, 실린더 형상이며 제1 단부와 제2 단부를 갖는 스풀 로드(301); 상기 스풀 로드보다 큰 직경을 가지며 상기 제1 단부에 가깝게 형성된 제1 랜드부(310); 상기 제1 랜드부 보다 큰 직경을 가지며 상기 제2 단부측 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된 제2 랜드부(320); 및 상기 제1 랜드부와 제2 랜드부 사이에 형성된 다중 직경의 제3 랜드부(330);를 포함하고, 상기 제3 랜드부(330)는 상기 제1 단부측에서 제2 단부측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형성된 소직경부(331), 경사부(332), 및 대직경부(333)를 구비하고, 상기 소직경부(331)는 상기 제1 랜드부 보다 작은 제1 직경을 가지고, 상기 대직경부(333)는 상기 제1 랜드부 보다 크되 제2 랜드부와 같거나 작은 제2 직경을 가지며, 상기 경사부(332)는 상기 소직경부와 대직경부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제1 직경에서 제2 직경으로 직경이 점차 증가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스풀이 제1 단부측 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제3 랜드부의 경사부(332)의 경사진 측면이 상기 밸브 본체 내부 공간의 제1 단차부에 접하면서 상기 제1 공간과 제2 공간 사이를 폐쇄하고, 상기 스풀이 제2 단부측 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제1 공간과 제2 공간이 연통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제어 밸브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유량제어 밸브용 스풀로서, 실린더 형상이며 제1 단부와 제2 단부를 갖는 스풀 로드(401); 상기 스풀 로드보다 큰 직경을 가지며 상기 제1 단부에 형성된 제1 랜드부(410); 상기 제1 랜드부 보다 큰 직경을 가지며 상기 제2 단부측 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된 제2 랜드부(420); 및 상기 제1 랜드부와 제2 랜드부 사이에 형성된 다중 직경의 제3 랜드부(430);를 포함하고, 상기 제3 랜드부(430)는 상기 제1 단부측에서 제2 단부측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형성된 소직경부(431), 경사부(432), 및 대직경부(433)를 구비하고, 상기 소직경부(431)는 상기 제1 랜드부 보다 작은 제1 직경을 가지고, 상기 대직경부(433)는 상기 제1 랜드부 보다 크되 제2 랜드부와 같거나 작은 제2 직경을 가지며, 상기 경사부(432)는 상기 소직경부와 대직경부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제1 직경에서 제2 직경으로 직경이 점차 증가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제어 밸브용 스풀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유량제어 밸브로서, 상술한 유량제어 밸브용 스풀; 상기 스풀을 수용하는 원통 형상의 내부 공간을 가지며, 상기 내부 공간의 측면에 형성된 제1 유로(211)와 제2 유로(212) 및 상기 제1 단부측 방향에 형성된 관통구(213)를 구비한 밸브 본체(210); 및 상기 관통구(213)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져서 배치된 슬라이딩 블록(2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제어 밸브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스풀의 랜드부를 밸브 본체의 내부 직경보다 미세하게 작은 직경을 갖는 원통형부와 직경이 점차 증가하는 직경확장부로 구성하고 원통형부에 하나 이상의 노치부를 형성함으로써 밸브 개방시 급격한 유체 유입으로 인해 장비에 충격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고 밸브 응답성과 장비 조작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스풀과 밸브 본체의 내측면이 접하는 영역의 개수를 최소화함으로써 밸브 본체와 스풀 제작시 가공 용이성을 향상시키고 슬리브의 필요성을 제거하여 전체적인 밸브 부피를 줄이고 제조비용도 감소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스프링을 스풀에 부착시켜 일체형으로 스풀을 제작하도록 구성하여 스프링의 체결시 작업자가 스프링의 수축 정도나 상태를 확인하며 제작할 수 있으므로 모든 스풀이 스프링의 동일한 힘-변위 특성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
도1은 종래 밸브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
도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스풀 및 이를 구비한 유량제어 밸브를 설명하는 도면,
도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스풀 및 이를 구비한 유량제어 밸브를 설명하는 도면,
도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블록을 설명하는 도면,
도5 및 도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스풀과 스프링간 결합구조를 설명하는 도면,
도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스풀과 스프링간 결합구조의 효과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상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의 도면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길이, 두께, 넓이 등의 수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하여 표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래의 특정 실시예를 기술하는데 있어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은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이 분야의 지식을 갖고 있는 독자는 이러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이 없어도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발명을 기술하는 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발명과 크게 관련 없는 부분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는 데 있어 혼돈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
도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스풀 및 이를 구비한 유량제어 밸브를 나타낸다.
도면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유량제어 밸브는 밸브 본체(100)와 이 밸브 본체(100) 내에 배치되는 스풀(300)을 포함한다.
도시한 실시예에서 밸브 본체(100)는 하우징(110) 및 하우징(110) 내측면에 결합된 슬리브(120)로 구성되고, 슬리브(120)의 내측면에 스풀(300)이 접하면서 슬라이딩 할 수 있다. 그러나 대안적 실시예에서 슬리브(120)가 생략될 수 있고 이 경우 스풀(300)이 하우징(110)의 내측면에 직접 접하면서 슬라이딩 하도록 구성된다.
밸브 본체(100)는 대략 원통 형상의 내부 공간을 가지며 제1 유로(111)와 제2 유로(112)가 내부 공간의 측면에 형성되어 있다. 도시한 실시예에서 제1 유로(111)는 유체를 공급하는 탱크(60)에 연결되고 제2 유로(112)는 예컨대 굴삭기 등의 부하에 적용되는 실린더(70)에 연결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제1 유로(111)가 실린더(70)에 연결되고 제2 유로(112)가 탱크(60)에 연결될 수도 있다.
스풀(300)은 밸브 본체(100) 내에 배치되며, 밸브 본체(100)의 원통형 내부 공간의 길이 방향으로 소정 거리를 슬라이딩 왕복 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스풀(300)의 우측 단부와 밸브 본체(100)의 내부면 사이에 스프링(117)이 개재되고,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스풀(300)의 좌측 단부쪽에 파이로트부가 설치될 수 있다. 파이로트부는 솔레노이드 코일이나 유체에 의해 (도면상에서) 좌우로 움직이는 피스톤(도시 생략)을 구비하며 이 피스톤이 스풀(300)의 좌측 단부측을 밀어서 스풀(300)을 우측으로 슬라이딩 시킬 수 있다. 또는 대안적으로 파이로트부에 의해 생성되는 높은 유압이 스풀(300)의 좌측 단부에 인가되어 스풀(300)이 우측으로 슬라이딩될 수도 있다. 이러한 파이로트부 및 스프링(117)에 의한 스풀(300)의 동작 제어는 공지기술 이므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스풀(300)의 좌우 슬라이딩 이동시 밸브 본체(100)의 내부 공간에 채워진 유체가 방해하지 않도록 밸브 본체(100)는 하나 이상의 내부 유로를 포함한다. 예컨대 도시한 실시예에서 스풀 로드(301)의 제1 단부측과 제1 랜드부(310) 사이의 영역(S2)의 유체 및 제2 단부측과 제2 랜드부(320) 사이의 영역(S4)에 채워져 있는 유체가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밸브 하우징(110)에 내부 유로(115)가 형성되어 있고 슬리브(120)에도 이 내부 유로(115)와 연통하는 관통구(121,122)가 형성되어 있다.
도시한 일 실시예에서 스풀(300)은 소정 직경의 실린더 형상의 스풀 로드(301) 및 스풀 로드(301) 보다 큰 직경을 가지며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 제1 내지 제3 랜드부(310,320,330)를 구비할 수 있다. 스풀 로드(301)와 제1 내지 제3 랜드부(310,320,330)는 일체로 제조될 수 있으며 대안적 실시예에서 스풀 로드(301)와 랜드부(310,320,330)가 각기 개별적으로 제조된 후 결합될 수도 있다.
스풀 로드(301)는 스풀(300)의 본체부로서 실린더 형성을 가질 수 있다. 스풀 로드(301)는 전체 길이에 걸쳐 일정한 직경을 가질 수도 있으며 둘 이상의 직경을 가질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스풀 로드(301)의 중심에서 각각 좌우측에 제1 랜드부(310)와 제2 랜드부(320)가 형성되어 있다. 제1 랜드부(310)는 스풀 로드(301)의 제1 단부(도면에서 왼쪽 단부)에 가깝게 형성되며 스풀 로드(301)보다 큰 직경을 갖는다. 제2 랜드부(320)는 스풀 로드(301)의 제2 단부(도면에서 오른쪽 단부)에 가까운 측에 형성되며 스풀 로드(301)보다 큰 직경을 가진다.
제1 랜드부(310)와 제2 랜드부(320)의 각각은 이들을 각각 둘러싸는 밸브 본체(100)의 내경과 동일하며 따라서 제1 및 제2 랜드부(310,320)가 밸브 본체(100)의 내측면과 밀착한 상태에서 스풀(300)이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할 수 있다.
제3 랜드부(330)는 제1 랜드부(310)와 제2 랜드부(320) 사이에 형성된다. 스풀(300)이 밸브 본체(100) 내에 삽입되었을 때, 도시한 것처럼 제1 랜드부(310)와 제3 랜드부(330) 사이에 밸브 본체(100)의 제1 유로(111)가 위치하고, 제3 랜드부(330)와 제2 랜드부(320) 사이에 밸브 본체(100)의 제2 유로(112)가 위치한다. 따라서 제1 유로(111)가 제1 랜드부(310)와 제3 랜드부(330) 사이의 공간(S3)과 연통하고 제2 유로(112)는 제2 랜드부(320)와 제3 랜드부(330) 사이의 공간과 연통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3 랜드부(330)는 다중 직경의 랜드부이다. 도시한 실시예에서 제3 랜드부(330)는 제1 단부측에서 제2 단부측 방향으로(즉 도면에서 왼쪽에서 오른쪽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형성된 소직경부(331), 경사부(332), 및 대직경부(333)를 포함한다.
소직경부(331)는 제1 랜드부(310) 보다 작은 제1 직경을 가지고, 대직경부(333)는 제1 랜드부(310) 보다 크되 제2 랜드부(320)와 같거나 작은 제2 직경을 가진다. 경사부(332)는 소직경부(331)와 대직경부(333)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제1 직경에서 제2 직경으로 직경이 점차 증가하도록 구성된다.
소직경부(331)의 직경(즉 제1 직경)은 스풀 로드(301)의 직경보다 크되 소직경부(331)를 둘러싸는 밸브 본체(100) 내측면의 직경보다 미세하게 작다. 즉 소직경부(331)는 이를 둘러싸는 슬리브(120)의 내부면에 접촉하지 않으며 소직경부(331)와 이를 둘러싸는 슬리브(120)의 내측면 사이에 소정의 간격이 존재한다. 이 간격은 스풀(300)의 이동에 의해 두 유로(111,112)가 연통될 때 두 유로 사이의 유량의 급격한 증가를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 간격은 전체 밸브의 크기나 스풀(300)의 크기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수 마이크로미터 내지 수백 마이크로미터 사이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예컨대 소직경부(331)를 둘러싸는 슬리브(120)의 내경이 26mm 일 때 이 간격을 0.1mm로 설정할 수 있다.
소직경부(331)는 하나 이상의 노치(335)를 포함할 수 있다. 노치(335)는 소직경부(331)의 표면에 형성되되 제1 랜드부(310)측을 향하는 소직경부(331)의 모서리에 형성될 수 있다. 노치(335)에 의해 두 유로(111,112) 사이의 유량의 급격한 증가를 한층 더 방지할 수 있다.
소직경부(331)의 제2 단부측 방향으로 경사부(332)가 일체로 연장 형성되어 있다. 경사부(332)는 소직경부(331)에서 대직경부(333)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차 증가하여 경사면을 갖도록 구성된다. 경사부(332)의 제2 단부측 방향으로는 대직경부(333)가 일체로 연장 형성된다. 대직경부(333)는 제1 랜드부(310)의 직경보다 큰 제2 직경을 가진다. 일 실시예에서 대직경부(333)와 제2 랜드부(320)가 동일한 직경을 가질 수 있다.
대직경부(333)가 소직경부(331)보다 직경이 크기 때문에 대직경부(333)를 둘러싸는 슬리브(120)의 내측 내경도 소직경부(331)를 둘러싸는 내측의 내경보다 크며, 따라서 도시한 것처럼 슬리브(120)에도 단차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스풀(300)의 슬라이딩 이동에 의해 경사부(332)가 이 슬리브(120)의 단차부에 밀착하거나 단차부로부터 떨어짐으로써 밸브 개폐 동작이 수행된다. 즉 스풀(300)이 좌측으로 이동하면 경사부(332)의 경사면이 슬리브(120)의 단차부에 접하면서 제1 유로(111)와 제2 유로(112) 사이가 폐쇄되고 스풀(300)이 우측으로 이동하면 경사부(332)의 경사면이 슬리브(120)의 단차부에서 떨어지면서 제1 유로(111)와 제2 유로(112)가 연통된다.
이 때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제1 유로(111)와 제2 유로(112)의 개방/폐쇄 전환시 유량의 급격한 변동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제3 랜드부(330)의 소직경부(331)와 이를 둘러싸는 슬리브(120)의 내경 사이의 간격을 수 내지 수백 마이크로미터로 아주 미세하게 설계하고 소직경부(331)에 노치(335)를 형성함으로써, 스풀(300)의 우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동안 두 유로(111,112) 사이를 통과하는 유량이 급격히 증가하지 않고 단계적으로 서서히 증가하는 유량 변화 특성을 나타낸다. 따라서 종래에 비해 밸브 응답성과 장비 조작성을 향상시키고 밸브의 온/오프 전환시 실린더(70)에 가해지는 충격을 감소시키는 이점이 있다.
도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스풀 및 이를 구비한 유량제어 밸브를 나타낸다.
도면을 참조하면, 제2 실시예에 따른 유량제어 밸브는 밸브 본체(210)와 이 밸브 본체(100)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는 스풀(400)을 포함한다.
도시한 제2 실시예에서는 밸브 본체(210) 내에 별도의 슬리브(예컨대 도2의 120)가 필요하지 않고 밸브 본체(210) 내에 스풀(400)이 직접 접촉하며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대안적 실시예에서 밸브 본체(210) 내에 슬리브가 결합될 수도 있다.
밸브 본체(210)는 대략 원통 형상의 내부 공간을 가지며 제1 유로(211)와 제2 유로(212)가 내부 공간의 측면에 형성되어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유로(211)는 유체를 공급하는 탱크(60)에 연결되고 제2 유로(212)는 굴삭기 등의 부하에 적용되는 실린더(70)에 연결될 수 있다.
밸브 본체(210)의 제1 단부(도면에서 왼쪽 단부)측에 외부와 연통하는 관통구(213)가 형성되어 있고, 이 관통구(213) 내에는 슬라이딩 블록(220)이 슬라이딩 가능한 상태로 끼워져 있다. 관통구(213)의 좌측에는 관통구(213) 주위를 둘러싸며 외부로부터 밀폐하는 커버부재(230)가 결합된다. 이 커버부재(230)의 좌측에는 예컨대 파이로트부(도시 생략)가 결합될 수 있다. 파이로트부의 피스톤(도시 생략)이 커버부재(230)의 관통구(231)를 통과하여 슬라이딩 부재(220)를 밀고 이 슬라이딩 부재(220)가 스풀(400)을 밀어서 스풀(400)을 우측으로 슬라이딩 시킬 수 있다.
스풀(400)은 실린더 형상이며 제1 단부(도면에서 좌측 단부) 및 제2 단부(도면에서 우측 단부)를 갖는 스풀 로드(401) 및 스풀 로드(401) 보다 큰 직경을 가지며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 제1 내지 제3 랜드부(410,420,430)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랜드부(410)는 스풀 로드(401)의 제1 단부에 형성되며 스풀 로드(401) 보다 큰 직경을 가진다. 제2 랜드부(420)는 스풀 로드(401)의 제2 단부에 가까운 측에 형성되며 스풀 로드(401) 보다 큰 직경을 가진다. 제1 랜드부(410)와 제2 랜드부(420)의 각각은 이들을 각각 둘러싸는 밸브 본체(210)의 내경과 동일하며 따라서 제1 및 제2 랜드부(410,420)가 밸브 본체(210)의 내측면과 밀착한 상태에서 스풀(400)이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할 수 있다.
제3 랜드부(430)는 제1 랜드부(410)와 제2 랜드부(420) 사이에 형성된다. 스풀(400)이 밸브 본체(210) 내에 삽입되었을 때, 제1 랜드부(410)와 제3 랜드부(430) 사이에 밸브 본체(210)의 제1 유로(211)가 위치하고 제3 랜드부(430)와 제2 랜드부(420) 사이에 밸브 본체(210)의 제2 유로(212)가 위치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3 랜드부(430)는 다중 직경의 랜드부이다. 도시한 실시예에서 제3 랜드부(430)는 제1 단부측에서 제2 단부측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형성된 소직경부(431), 경사부(432), 및 대직경부(433)를 포함하며, 이러한 구성은 도2에 도시한 제3 랜드부(330)와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을 가지므로 이하에서는 제3 랜드부(430)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기로 한다.
소직경부(431)의 직경(즉 제1 직경)은 스풀 로드(401)의 직경보다 크되 소직경부(431)를 둘러싸는 밸브 본체(210) 내측면의 직경보다 미세하게 작다. 따라서 소직경부(431)의 표면과 이를 둘러싸는 밸브 본체(210)의 내부면에 사이에 소정 간격이 형성되며, 이 간격은 예컨대 수 내지 수백 마이크로미터 사이일 수 있다. 또한 소직경부(431)는 하나 이상의 노치(435)를 포함할 수 있다. 노치(435)는 제1 랜드부(410)측을 향하는 소직경부(431)의 모서리에 형성될 수 있다.
소직경부(431)에서 제2 단부측 방향으로 차례로 경사부(432)와 대직경부(433)가 형성된다. 경사부(432)는 소직경부(431)에서 대직경부(433)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차 증가하는 경사면을 가진다. 대직경부(433)는 제1 랜드부(410)의 직경보다 큰 제2 직경을 가지며, 일 실시예에서 대직경부(433)와 제2 랜드부(420)가 동일한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제3 랜드부(430)의 경사부(432)를 둘러싸는 밸브 본체(210)의 내측면에는 단차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스풀(400)의 슬라이딩 이동에 의해 경사부(432)가 이 단차부에 밀착하거나 단차부로부터 떨어짐으로써 밸브의 개폐(온/오프)가 이루어진다. 이 때, 소직경부(431)와 이를 둘러싸는 밸브 본체(210)의 내측면 사이에 수 내지 수백 마이크로미터의 미세한 간격을 형성하고 소직경부(431) 표면에 하나 이상의 노치(435)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스풀(400)의 이동에 의한 밸브의 온/오프시 두 유로(211,212) 사이의 유량이 급격히 증감하지 않고 단계적으로 서서히 증감할 수 있으며 종래에 비해 향상된 밸브 응답성과 장비 조작성을 가질 수 있다.
한편 도시한 일 실시예에서 스풀 로드(401)는 내부에 제1 관통유로(405)와 제2 관통유로(406)를 포함한다. 제1 관통유로(405)는 스풀 로드(401)의 제1 단부에서 제2 단부까지 길이방향으로 관통하는 유로이고, 제2 관통유로(406)는 스풀 로드(401)의 제2 랜드부(420)와 제2 단부 사이의 위치에서 스풀 로드(401)의 직경 방향으로 관통하는 유로이다. 제1 관통유로(405)와 제2 관통유로(406)는 서로 연통하고 있다. 따라서 밸브 본체(210)의 내부 공간 중 스풀 로드(401)의 제1 및 제2 랜드부(410,420)와 제1 및 제2 단부에 의해 구획되어진 영역들(S2, S4, S5)이 모두 연통하게 된다.
또한 스풀(400)의 좌우 이동시 밸브 본체(210) 내부 공간의 유체를 외부로 배출하거나 외부의 유체를 내부 공간으로 유입하기 위해 밸브 본체(210)에 하나 이상의 유로(215)가 형성되어 있다. 도시한 실시예에서 이 유로(215)는 스풀 로드(401)의 제2 랜드부(420)와 제2 단부측 사이를 둘러싸는 밸브 본체(210)의 내부 영역(S4)에 형성된다. 즉 유로(215)의 한쪽 단부는 이 영역(S4)과 연통하고 다른쪽 단부는 예를 들어 유체를 저장하는 유체 탱크에 연결되어 있다. 이 영역(S4)은 스풀 로드(401)에 형성된 제1 및 제2 관통유로(405,406)과도 연통한다. 따라서 밸브 본체(210)의 내부의 구획된 영역들(S2,S4,S5)의 유체가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으므로, 스풀(400)의 좌우 슬라이딩 이동시 밸브 본체(210)의 이 영역들(S2,S4,S5)에 채워진 유체의 방해없이 스풀(400)이 움직일 수 있다.
도4를 참조하여 슬라이딩 블록(22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4(a)와 도4(b)는 각각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블록(220)을 서로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슬라이딩 블록(220)은 밸브 본체(210)의 관통구(213)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져서 배치되며, 관통구(213)의 단면과 동일한 단면 형상을 가진다. 예컨대 관통구(213)의 단면이 원형인 경우 도4에 도시한 것처럼 슬라이딩 블록(220)이 원형 단면의 실린더 형상을 갖게 된다.
슬라이딩 블록(220)의 측면에는 이 측면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 하나 이상의 홈(223)을 포함할 수 있다. 슬라이딩 블록(220)이 관통구(213)에 끼워진 상태에서 이 홈(223)에 유체가 채워질 수 있으며, 슬라이딩 블록(220)이 관통구(213) 내에서 움직일 때 홈(223)에 채워진 유체가 윤활 역할을 할 수 있다.
슬라이딩 블록(220)의 양 단부면에는 소정 형상의 요홈부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도4(a)에 도시한 것처럼 슬라이딩 블록(220)의 좌측 단부의 단부면에는 일자 형상의 요홈부(225)가 형성되어 있고 도4(b)에 도시한 것처럼 우측 단부의 단부면에는 십자 형상의 요홈부(227)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요홈부(225,227)의 형상은 구체적 실시예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슬라이딩 블록(220)의 좌측 요홈부(225)는 파이로트부(도시 생략)의 피스톤과 접촉시 충격 및 소음을 완화하는 역할을 한다. 즉 슬라이딩 블록(220)의 좌측 단부를 둘러싸는 영역(S1)에 유체가 항시 채워져 있으므로 요홈부(225)에도 유체가 채워져 있으며, 따라서 파이로트부의 피스톤이 스풀(400)을 우측으로 밀기 위해 슬라이딩 블록(220)의 좌측면에 부딪힐 때 이 요홈부(225)의 유체로 인해 피스톤과 슬라이딩 블록(220)의 충돌시 충격이나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다.
슬라이딩 블록(220)의 우측 요홈부(227)는 슬라이딩 블록(220)의 우측 단부를 둘러싸는 영역(S2)의 유체가 스풀 로드(401)의 제1 관통유로(405)로 자유롭게 출입할 수 있도록 한다. 만일 요홈부(227)가 없다면, 파이로트부의 피스톤이 슬라이딩 블록(220)을 우측으로 밀고 슬라이딩 블록(220)이 스풀의 제1 랜드부(410)를 밀어서 스풀(400)을 우측으로 움직이게 할 경우 이 영역(S2)의 유체가 다른 곳으로 빠져나가지 못하므로 스풀(400)이 원활히 움직이지 못한다. 반대로, 스풀(400)이 스프링(460)에 의해 좌측으로 이동할 경우에도 요홈부(227)가 없다면 이 영역(S2)에 채워진 유체가 빠져나가지 못하므로 스풀(400)이 움직일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슬라이딩 블록(220)의 우측 단부면에 요홈부(227)를 형성하면 이 영역(S2)의 유체가 스풀 로드(401)의 제1 관통유로(405)를 통해 다른 영역으로 자유롭게 출입할 수 있으므로 스풀(400)의 원활한 이동을 보장할 수 있다.
이상 상술한 제2 실시예의 스풀(400) 구성에 따르면, 스풀(400)의 제1 랜드부(410)와 제2 랜드부(420) 두 군데만 밸브 본체(210)의 내측면에 접하기 때문에 스풀(400)의 가공 용이성이 크게 향상된다.
일반적으로 스풀(400)과 밸브 본체(210)의 내부 공간을 동축으로 정렬하여 제조하기 위해서는 스풀(400)을 직진도 및 평행도를 유지하면서 정밀 가공해야 하는데, 스풀(400)은 적어도 2개 내지 3개의 랜드부를 갖기 때문에 길이 방향을 따라 계속 직경을 변화시키면서 가공하는 것이 쉽지 않다. 스풀의 랜드부와 밸브 본체(210)의 내측면 사이는 유체가 누설하지 않도록 수 마이크로미터 이하의 오차 내에서 가공해야 하므로 스풀과 밸브 본체의 내측면이 접하는 곳이 많을수록 가공이 더욱 어렵다. 종래에는 스풀과 밸브 본체의 내측면이 접하는 영역이 적어도 3곳 또는 4곳 이상이었다. 예컨대 도1의 종래 밸브의 경우 스풀(30)이 세 군데, 즉 스풀 로드(31)의 좌측 단부 영역과 제1 및 제2 랜드부(32,33)에서 밸브 본체의 내측면과 접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르면 스풀 로드(401)의 좌측 단부측을 제거하여 별도의 슬라이딩 블록(220)으로 분리하고, 제3 랜드부(430)의 경사부(432)와 밸브 본체의 내부 단차부의 밀착 여부에 따라 유로를 개방/폐쇄하고 제3 랜드부(430)의 소직경부(431)와 대직경부(433)가 밸브 본체(210) 내측면에 접하지 않도록 하여, 제1 랜드부(410)와 제2 랜드부(420)만 밸브 본체(210)의 내측면에 접하도록 구성하였으며, 이러한 구성에 의해 밸브 본체(210)와 스풀(400) 제작시 가공 용이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다. 더욱이 이러한 가공 용이성 향상으로 인해 밸브 본체(210)와 스풀(400) 사이에 슬리브(예컨대 도1의 20)를 사용해야 할 필요성이 감소하므로 전체적인 밸브 부피를 줄이고 제조비용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이제 도5와 도6을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스풀 로드(401)와 스프링(460)의 결합 구조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스풀(400) 우측 일부분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7은 측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스풀(400)이 스풀 로드(401)에 끼워지는 스프링(460), 이 스프링(460)의 양쪽 단부측에 배치되는 링(ring) 부재(440,450), 및 스풀 로드(401)의 제2 단부측에 결합된 스프링 지지부(470)를 포함할 수 있다.
스프링(460)은 제2 랜드부(420)와 스풀 로드(401)의 제2 단부 사이에서 스풀 로드(401)에 끼워져서 배치된다. 제1 링 부재(440)는 제2 랜드부(420)와 스프링(460) 사이에 개재되어 스풀 로드(401)에 끼워진다. 스프링(460)이 제2 랜드부(420)에 직접 맞닿아 지지될 수도 있으므로, 대안적 실시예에서 제1 링 부재(440)가 생략될 수 있다. 제2 링 부재(450)는 스프링(460)과 스프링 지지부(470) 사이의 위치에서 스풀 로드(401)에 끼워지며 스풀 로드(401)를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스프링 지지부(470)는 스풀 로드(401)의 제2 단부측에 결합되어 스프링(460)을 지지한다. 스프링 지지부(470)의 직경이 스풀 로드(401)의 직경보다 크며, 스풀 로드(401)와 스프링 지지부(470) 사이에 단차부가 형성된다. 따라서 제2 링 부재(450)의 우측방향 움직임이 이 단차부에 의해 제한될 수 있다. 도3을 참조하여 설명하였듯이 스프링 지지부(470)는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유로(471)를 포함한다. 이 관통유로(471)는 스풀 로드(401)의 제1 관통유로(405)와 동축으로 정렬되어 제1 관통유로(405)와 연통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도3에 도시한 것처럼 밸브 본체(210)의 우측 단부에는 밸브 본체(210)의 내측 공간을 밀폐하기 위한 커버 부재(240)가 부착된다. 도시한 실시예에서 커버 부재(240)는 나사결합에 의해 밸브 본체(210)에 결합될 수 있으며, 대안적 실시예에서 다른 결합방식에 의해 밸브 본체(210)에 결합될 수도 있다.
이 때 밸브 본체(210)의 제2 단부측 직경이 커버 부재(240)의 내경보다 크며, 따라서 밸브 본체(210)와 커버 부재(240) 사이에 단차부가 형성된다. 또한 스프링 지지부(470)의 직경은 커버 부재(240)의 내측면의 내경과 동일하거나 그보다 작고 제2 링 부재(450)의 직경은 커버 부재(240)의 내경보다 크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밸브를 개방하기 위해 예컨대 파이로트부(도시 생략)의 피스톤에 의해 스풀(400)을 제2 단부측 방향으로(즉 도3에서 오른쪽으로) 푸쉬하면, 제2 링 부재(450)가 밸브 본체(210)와 커버 부재(240) 사이에 단차부에 의해 지지되어 더 이상 오른쪽으로 움직이지 못하므로, 스풀(400)이 우측으로 움직임에 따라 스프링(460)이 양쪽 링 부재(440,450) 사이에서 수축하게 된다. 그 후 밸브 폐쇄를 위해 파이로트부의 피스톤이 좌측으로 후퇴하면 스풀(400)은 스프링(460)의 탄성력에 의해 다시 좌측으로 움직여 원위치로 복귀할 수 있다.
도7은 이와 같이 스프링(460)을 스풀(400)에 결합할 경우의 이점을 나타낸다.
도1과 같은 종래의 밸브에서는 밸브 하우징(10)에 슬리브(20)를 부착하고 슬리브(20) 내부 공간에 스풀(30)을 삽입하고 스프링(17)을 스풀(30)의 스풀 로드(31)에 끼운 채 커버 부재(50)를 나사결합으로 체결하여 밸브를 제작한다.
그런데 커버 부재(50)를 밸브 본체(10)에 체결할 때 스프링(17)이 탄성적으로 스풀(30)을 지지하도록 하기 위해 스프링(17)을 어느 정도 가압하여 수축시킨 상태로 체결하는데, 이 체결시 스프링(17)이 휘어질 수도 있고 스풀 로드(31)와 정확히 정렬되지 않을 수도 있으나 작업자는 스프링(17)의 상태를 눈으로 볼 수 없으므로 확인할 수 없다.
이상적으로는 스프링에 힘을 가해서 수축시켰다가 다시 복귀할 때 수축 및 복귀시 동일한 힘-변위 특성을 가져야 한다. 즉 도7(a)에 도시한 것처럼 동일한 힘에 대해 스프링의 수축 과정과 복귀 과정에서 스프링이 동일한 길이 변위를 나타내야 한다. 그러나 위와 같이 종래 방식으로 제작할 경우 스프링의 수축 정도나 휘어짐 등을 모른 채 제작하기 때문에 스프링이 잘못된 상태로 제작되어 예컨대 도7(b)에 도시한 것처럼 수축할 때와 복귀할 때 다른 경로를 갖는 경우도 많고 밸브마다 힘-변위 특성이 달라지는 문제가 있다.
그러나 본원발명에 따르면 스프링(460)이 결합된 일체형으로 스풀(400)을 제작하도록 구성하여, 스프링(460)을 스풀 로드(401)에 삽입하고 커버 부재(470)로 체결할 때 작업자가 스프링(460)의 수축 상태를 직접 눈으로 확인하며 제작할 수 있으므로 위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소하며 모든 스풀이 동일한 힘-변위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명세서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도5와 도6의 스프링-스풀 결합 구조가 제2 실시예의 스풀(400)에 적용된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이러한 스프링-스풀 결합 구조가 제1 실시예의 스풀(300)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210: 밸브 본체
220: 슬라이딩 블록
300, 400: 스풀
301. 401: 스풀 로드
310, 320, 330, 410, 420, 430: 랜드부
331, 431: 소직경부
332, 432: 경사부
333, 433: 대직경부
335, 435: 노치

Claims (14)

  1. 원통 형상의 내부 공간을 가지며 제1 유로(111)와 제2 유로(112)가 상기 내부 공간의 측면에 형성된 밸브 본체 및 상기 밸브 본체 내에서 상기 원통 형상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할 수 있도록 배치된 스풀(300)을 구비한 유량제어 밸브로서, 상기 스풀(300)은,
    실린더 형상이며 제1 단부와 제2 단부를 갖는 스풀 로드(301);
    상기 스풀 로드보다 큰 직경을 가지며 상기 제1 단부에 가깝게 형성된 제1 랜드부(310);
    상기 제1 랜드부 보다 큰 직경을 가지며 상기 제2 단부측 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된 제2 랜드부(320); 및
    상기 제1 랜드부와 제2 랜드부 사이에 형성된 다중 직경의 제3 랜드부(330);를 포함하고,
    상기 제3 랜드부(330)는 상기 제1 단부측에서 제2 단부측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형성된 소직경부(331), 경사부(332), 및 대직경부(333)를 구비하고,
    상기 소직경부(331)는 상기 제1 랜드부 보다 작은 제1 직경을 가지고, 상기 대직경부(333)는 상기 제1 랜드부 보다 크되 제2 랜드부와 같거나 작은 제2 직경을 가지며, 상기 경사부(332)는 상기 소직경부와 대직경부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제1 직경에서 제2 직경으로 직경이 점차 증가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제어 밸브.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풀이,
    상기 제2 랜드부와 상기 제2 단부 사이에서 상기 스풀 로드에 끼워진 스프링(460);
    상기 스풀 로드의 제2 단부에 결합된 스프링 지지부(470); 및
    상기 스프링(460)과 상기 스프링 지지부(470) 사이의 위치에서 상기 스풀 로드에 끼워지며 슬라이딩 가능한 링 형상의 제1 링(450);을 포함하고,
    스풀이 제2 단부측 방향으로 이동할 때, 상기 슬라이딩 링(450)이 상기 밸브 본체 내부 공간의 제2 단차부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상기 스프링이 수축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제어 밸브.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랜드부와 상기 스프링(460) 사이의 위치에서 상기 스풀 로드에 끼워지는 링 형상의 제2 링(44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제어 밸브.
  4. 유량제어 밸브용 스풀로서,
    실린더 형상이며 제1 단부와 제2 단부를 갖는 스풀 로드(401);
    상기 스풀 로드보다 큰 직경을 가지며 상기 제1 단부에 형성된 제1 랜드부(410);
    상기 제1 랜드부 보다 큰 직경을 가지며 상기 제2 단부측 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된 제2 랜드부(420); 및
    상기 제1 랜드부와 제2 랜드부 사이에 형성된 다중 직경의 제3 랜드부(430);를 포함하고,
    상기 제3 랜드부(430)는 상기 제1 단부측에서 제2 단부측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형성된 소직경부(431), 경사부(432), 및 대직경부(433)를 구비하고,
    상기 소직경부(431)는 상기 제1 랜드부 보다 작은 제1 직경을 가지고, 상기 대직경부(433)는 상기 제1 랜드부 보다 크되 제2 랜드부와 같거나 작은 제2 직경을 가지며, 상기 경사부(432)는 상기 소직경부와 대직경부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제1 직경에서 제2 직경으로 직경이 점차 증가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제어 밸브용 스풀.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스풀이 유량제어 밸브의 내부 공간에 배치될 때, 상기 제3 랜드부의 경사부(432)가 상기 내부 공간의 상기 제1 랜드부(410)와 제3 랜드부(430) 사이의 제1 공간과 상기 내부 공간의 상기 제2 랜드부(420)와 상기 제3 랜드부(430) 사이의 제2 공간 사이를 개폐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제어 밸브용 스풀.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스풀이,
    상기 스풀 로드(401)의 제1 단부에서 제2 단부까지 길이방향으로 관통하는 제1 관통유로(405); 및
    상기 스풀 로드(401)의 상기 제2 랜드부와 상기 제2 단부 사이의 위치에서 스풀 로드를 직경 방향으로 관통하며 상기 제1 관통유로(405)와 연통하는 제2 관통유로(40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제어 밸브용 스풀.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스풀이,
    상기 제2 랜드부와 상기 제2 단부 사이에서 상기 스풀 로드에 끼워진 스프링(460);
    상기 스풀 로드의 제2 단부에 결합된 스프링 지지부(470); 및
    상기 스프링(460)과 상기 스프링 지지부(470) 사이의 위치에서 상기 스풀 로드에 끼워지며 슬라이딩 가능한 링 형상의 제1 링 부재(450);를 포함하고,
    스풀이 제2 단부측 방향으로 이동할 때, 상기 제1 링 부재(450)가 상기 밸브 본체 내부 공간의 제2 단차부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상기 스프링이 수축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제어 밸브용 스풀.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랜드부와 상기 스프링 사이의 위치에서 상기 스풀 로드에 끼워지는 링 형상의 제2 링 부재(44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제어 밸브용 스풀.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스풀이, 상기 스풀 로드(401)의 제1 단부에서 제2 단부까지 길이방향으로 관통하는 제1 관통유로(405); 및 상기 스풀 로드(401)의 상기 제2 랜드부와 상기 제2 단부 사이의 위치에서 스풀 로드를 직경 방향으로 관통하며 상기 제1 관통유로(405)와 연통하는 제2 관통유로(406);를 포함하고,
    상기 스프링 지지부(470)는 이 스프링 지지부를 길이방향으로 관통하며 상기 제1 관통유로(405)와 연통하는 제3 관통유로(47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제어 밸브용 스풀.
  10. 제 4 항에 있어서,
    제1 단부측을 향하는 상기 소직경부(431)의 모서리에 하나 이상의 노치(435)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제어 밸브용 스풀.
  11. 유량제어 밸브로서,
    상기 제4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유량제어 밸브용 스풀;
    상기 스풀을 수용하는 원통 형상의 내부 공간을 가지며, 상기 내부 공간의 측면에 형성된 제1 유로(211)와 제2 유로(212) 및 상기 제1 단부측 방향에 형성된 관통구(213)를 구비한 밸브 본체(210); 및
    상기 관통구(213)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져서 배치된 슬라이딩 블록(2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제어 밸브.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본체(210)의 상기 관통구(213)의 외측에 부착된 파이로트부;
    상기 파이로트부의 피스톤 또는 유압이 상기 슬라이딩 블록(220)을 밀고 이 슬라이딩 블록(220)이 상기 스풀의 제1 랜드부(410)를 밀어서 상기 스풀이 제2 단부측 방향으로 슬라이딩 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제어 밸브.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풀의 제1 랜드부(410)와 접하는 상기 슬라이딩 블록(220)의 제1 단부의 단부면에 적어도 하나의 요홈부(227)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제어 밸브.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블록(220)의 제1 단부에 대향하는 제2 단부의 단부면에 적어도 하나의 요홈부(225)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제어 밸브.
KR1020180152340A 2018-11-30 2018-11-30 가공성 및 제어 정밀성이 향상된 스풀 및 이를 구비한 유량제어 밸브 KR1021499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2340A KR102149963B1 (ko) 2018-11-30 2018-11-30 가공성 및 제어 정밀성이 향상된 스풀 및 이를 구비한 유량제어 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2340A KR102149963B1 (ko) 2018-11-30 2018-11-30 가공성 및 제어 정밀성이 향상된 스풀 및 이를 구비한 유량제어 밸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5664A true KR20200065664A (ko) 2020-06-09
KR102149963B1 KR102149963B1 (ko) 2020-08-31

Family

ID=710821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2340A KR102149963B1 (ko) 2018-11-30 2018-11-30 가공성 및 제어 정밀성이 향상된 스풀 및 이를 구비한 유량제어 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9963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7287B1 (ko) * 1985-09-10 1991-09-24 가부시끼가이샤 도요다 지도쇽끼 세이사꾸쇼 유량 제어 기구를 구비한 방향 제어 밸브
US5103866A (en) * 1991-02-22 1992-04-14 Foster Raymond K Poppet valve and valve assemblies utilizing same
KR960001513A (ko) 1994-06-30 1996-01-25 정몽원 비례압력 제어밸브
KR19980045492U (ko) * 1996-12-27 1998-09-25 추호석 오리피스를 갖춘 유량 제어 릴리이프밸브
KR20090028216A (ko) 2007-09-14 2009-03-18 볼보 컨스트럭션 이키프먼트 홀딩 스웨덴 에이비 건설중장비용 유압 회로
KR20170037835A (ko) * 2015-09-28 2017-04-05 나부테스코 가부시키가이샤 방향 전환 밸브 및 유압 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7287B1 (ko) * 1985-09-10 1991-09-24 가부시끼가이샤 도요다 지도쇽끼 세이사꾸쇼 유량 제어 기구를 구비한 방향 제어 밸브
US5103866A (en) * 1991-02-22 1992-04-14 Foster Raymond K Poppet valve and valve assemblies utilizing same
KR960001513A (ko) 1994-06-30 1996-01-25 정몽원 비례압력 제어밸브
KR19980045492U (ko) * 1996-12-27 1998-09-25 추호석 오리피스를 갖춘 유량 제어 릴리이프밸브
KR20090028216A (ko) 2007-09-14 2009-03-18 볼보 컨스트럭션 이키프먼트 홀딩 스웨덴 에이비 건설중장비용 유압 회로
KR20170037835A (ko) * 2015-09-28 2017-04-05 나부테스코 가부시키가이샤 방향 전환 밸브 및 유압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9963B1 (ko) 2020-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827033A1 (en) Switching valve
EP2977659A1 (en) Shock-absorbing valve
JP6240983B2 (ja) 流体圧シリンダ
KR102086109B1 (ko) 개선된 형상의 랜드부를 갖는 스풀을 구비한 비례감압밸브
US20200208746A1 (en) Hydraulic valve
US10816099B2 (en) Spool valve
KR20200065664A (ko) 가공성 및 제어 정밀성이 향상된 스풀 및 이를 구비한 유량제어 밸브
CN111212996B (zh) 带电磁比例阀的盖
KR102086117B1 (ko) 개선된 정렬 특성을 갖는 스풀을 구비한 비례감압밸브
KR102142136B1 (ko) 비례감압밸브용 압력 조절부재를 구비한 스풀 및 이를 포함하는 비례감압밸브
KR102538807B1 (ko) 스풀 밸브
EP3553324A1 (en) Valve and hydraulic system with the same
WO2019221171A1 (ja) 電磁弁
JP5982832B2 (ja) ソレノイドバルブ
KR102126522B1 (ko) 조립용이성이 향상된 밸브 구조체
US11359740B2 (en) Electromagnetic valve
US10508752B2 (en) Valve actuator indicator arrangement
KR20190137407A (ko) 피스톤 제어성이 향상된 솔레노이드 액추에이터를 구비한 비례감압밸브
KR102165112B1 (ko) 제어 밸브
KR102542118B1 (ko) 2단 분리형 더블 체크 밸브
KR102083517B1 (ko) 유량제어 밸브용 스풀 및 이를 구비한 유량제어 밸브
JP7463356B2 (ja) ソレノイドバルブ
JP2003120834A (ja) スプール弁
JP3108652B2 (ja) パイロット弁
JP2023178723A (ja) 制御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