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65259A - Pet Defecating - Google Patents

Pet Defecat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65259A
KR20200065259A KR1020180151547A KR20180151547A KR20200065259A KR 20200065259 A KR20200065259 A KR 20200065259A KR 1020180151547 A KR1020180151547 A KR 1020180151547A KR 20180151547 A KR20180151547 A KR 20180151547A KR 20200065259 A KR20200065259 A KR 202000652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pet
defecation
water
top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154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206569B1 (en
Inventor
이용필
Original Assignee
이용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용필 filed Critical 이용필
Priority to KR10201801515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6569B1/en
Publication of KR202000652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525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65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656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1Removal of dung or urine, e.g. from stables
    • A01K1/0107Cat trays; Dog urinals; Toilets for pets
    • A01K1/011Cat trays; Dog urinals; Toilets for pets with means for removing excrement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3/00Manure or urine pouch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Zoology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et defecation plate and, more specifically, to a defecation plate which allows defecation of a pet to be collected inside a water container and to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with water. The present invention is less costly and can save water.

Description

애완동물 배변판{Pet Defecating}Pet Defecating

본 발명은 애완동물 배변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애완동물의 배변을 집수통 내부에 수집하여 물과 함께 외부로 배출 될 수 있도록 하는 배변판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et defecation plate, and more particularly, to a defecation plate to collect the feces of the pet inside the sump and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with water.

반려동물에 대한 수요가 날로 급증하여 반려동물과 관련된 다양한 사업과 아이템들이 지속적으로 등장하고 있다. 이에 따라, 반려동물 즉 애완동물을 실내에서 함께 지낼 시, 애완동물의 배변 장소를 지정하고 애완동물이 특정 배변 장소에서 배변하도록 훈련을 진행하고 있다. 애완동물은 주로 실내에서 인간과 같이 생활하는 관계로, 애완동물의 배설물 처리가 큰 문제가 되고 있다.As the demand for companion animals has rapidly increased, various businesses and items related to companion animals are constantly appearing. Accordingly, when a pet, that is, a pet, is kept indoors, a training place for a pet to defecate in a specific defecation place is designated and a pet is designated for defecation. Pets are mainly living indoors with human beings, and thus, pet waste treatment has become a major problem.

애완동물의 배설물을 처리하기 위하여 신문지나 패드를 사용하는 경우가 있으나, 이 경우는 패드나 신문지의 처리가 쉽지 않은 문제가 있고, 이를 감안하여 물을 사용하여 배설물을 처리하는 장치가 개발되어 있으나, 애완동물의 배변 후 수동으로 물을 분사시켜 처리하는 어려움이 있게 된다. 또한, 물을 분사시켜 처리하는 장치의 경우, 그 구조가 복잡하여, 비용이 비싼 단점이 있다.In some cases, newspapers or pads are used to treat pet waste, but in this case, there is a problem in that pads or newspapers are not easy to handle, and in consideration of this, a device for treating feces using water has been developed. After the bowel movement of the pet, there is a difficulty in processing by manually spraying water. In addition, in the case of an apparatus for processing by spraying water,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the structure is complicated and expensive.

애완동물의 배설물은 곧바로 처리가 이루어져야만 악취가 발생하지 않는 것으로, 수동으로 세척을 하는 방식은 주인의 부재시 처리에 문제가 있고, 배변 후 화장지를 사용하여 뒤처리를 하는 경우 화장지 처리의 불결함과 냄새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게 된다.The feces of pets should be treated immediately, so that the odor does not occur, and the manual washing method has a problem in the treatment when the owner is absent, and if the toilet paper is used for post treatment after toileting, the toilet paper treatment has an uncleanness and odor. There are problems that arise.

애완동물의 배변 후 자동으로 배설물을 처리하는 장치는 애완동물이 이용하기가 쉽지 않은 구조를 갖추는 한편 구조적으로 복잡하여 설치 운용이 쉽지 않고 비용이 많이 드는 단점이 있다.The apparatus for automatically treating feces after defecation of a pet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pet is not easy to use, but has a disadvantage in that it is structurally complicated and easy to install and operate and is expensive.

또한, 애완동물용 배변패드를 이용할 시에는 비용적 부담이 크며, 쓰레기 봉투의 낭비가 있다.In addition, when using the toilet pad for pets, the cost is high, and there is a waste of garbage bags.

애완동물의 배변을 처리하기 위한 기계에 관한 기술이 한국공개특허 제10-2016-0081670호("입수 제어 기능을 구비한 모듈식 애완동물용 배변기 청소장치", 이하 종래기술)에 개시된 바 있다.A technique for processing a pet's bowel movement has been disclosed i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6-0081670 ("Modular Pet Toilet Seat Cleaning Device with Import Control Func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ior art).

상기 종래기술은, 애완동물이 배변, 특히 소변을 본 후 자동으로 배변기를 청소하는 입수 및 배수 시스템을 모듈 결합 방식으로 구비한 장치를 제공하는 기술로서, 배변기를 청소하기 위해 배변기로 입수하도록 물을 분사할 때 분사 제어 기능을 구비하여 오버플로우 문제 또는 사각지대가 청소가 되지 않는 문제를 방지하는 애완동물용 배변기 청소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ior art is a technique for providing a device equipped with an intake and drainage system in a modular manner in which a pet automatically cleans the toilet after urinating, particularly urinating, and water is supplied to the toilet to clean the toilet. It relates to a toilet bowl cleaning device for a pet having an injection control function to prevent an overflow problem or a problem that a blind spot cannot be cleaned when spraying.

상기 종래기술은, 소변 후 소변의 냄새 등을 지우기 위하여 청소가 가능하도록 물을 분사하지만, 물을 분사하기 위하여 물 분사를 위한 장치를 더 구비하여야 하여 설치비용이 많이 소요되며, 배변과 동시에 물이 분사되어야 하므로 하루에도 여러번 배변을 하는 애완동물의 특성상 배변시마다 물을 사용하여 물이 낭비되는 단점이 있다.In the prior art, water is sprayed so that cleaning can be performed in order to erase the smell of urine after urine, but a device for spraying water must be further provided to spray water, which requires a lot of installation cost. Due to the nature of pets that defecate several times a day, water is wasted by using water at every bowel movement.

한국공개특허 제10-2016-0081670호("입수 제어 기능을 구비한 모듈식 애완동물용 배변기 청소장치")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6-0081670 ("Modular toilet bowl cleaning device with intake control function")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애완동물이 배변을 할 시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신문지 또는 배변패드애 의한 냄새를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배변이 모일시 물과 함께 흘러 자동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여 물을 절약하고자 하며, 비교적 간단한 구조로 설치비용을 줄이고자 한다.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vent odors caused by newspapers or toilet pads commonly used when pets defecate with water when the defecation collects. It is intended to save water by allowing it to flow and be discharged automatically, and to reduce installation costs with a relatively simple structure.

집수통 및 집수통 내부에 구비되는 상판 및 하판을 포함하는 애완동물의 배변판에 있어서, 상기 상판에 형성되며, 애완동물이 배변을 위해 안착하는 메쉬, 상기 메쉬를 통과한 애완동물의 배변을 수용하는 수용부 및 상기 상판은 상기 하판의 돌기와 소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되고, 상기 상판은 상기 하판에 형성된 상판지지대와 접하고, 상기 수용부의 물은 상기 집수통의 관통홀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defecation plate of a pet including a sump and a bottom plate provided inside the sump and the sump, the mesh formed on the top plate, the pet is seated for defecation, accommodates the defecation of the pet passing through the mesh The receiving portion and the upper plate is formed by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projection of the lower plate, the upper plate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plate support formed on the lower plate, the water of the receiving portion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through-hole of the water collecting container do.

집수통 및 집수통 내부에 구비되는 상판 및 하판을 포함하는 애완동물의 배변판에 있어서, 상기 상판은 상기 하판의 돌기와 소정간격 이격되며, 상기 돌기를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상판에 형성되며, 애완동물이 배변을 위해 안착하는 메쉬, 상기 메쉬를 통과한 애완동물의 배변을 수용하는 수용부 및 상기 수용부의 물이 상기 집수통의 관통홀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defecation plate of a pet including a sump and a bottom plate provided inside the sump, the top plate is spaced apart from the protrusions of the bottom plate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s formed in a form surrounding the protrusions, is formed on the top plat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mesh that the pet is seated for bowel movement, the receiving portion for receiving the defecation of the pet passing through the mesh, and the water of the receiving portion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through-hole of the water collecting container.

상기 상판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판지지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수용부는 물을 수용하며, 상기 물 표면에 유막제를 분사하기 위한 분사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top plat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t least one or more top plate supports, the receiving portion accommodates water, i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n injection hole for spraying an oil film on the surface of the water.

상기 집수통은 탈착가능한 호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llecting container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removable hose.

상기 집수통은 물을 보충하기 위한 급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유막제는 냄새 제거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ump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water supply for replenishing the water, the oil film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ossible to remove the odor.

본 발명에 따르면, 비교적 간단한 구조로 설치가능하여, 비용이 적게 들뿐만 아니라, 필요에 따라 호스를 탈착하여 다양한 공간에 설치 가능하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install with a relatively simple structure, and it is possible to install in various spaces by removing and removing the hose as required.

또한, 소량의 물을 미리 담아놓고 다수번의 배변을 한번에 처리하므로, 물 절약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물 표면에 유막제를 도포함으로써 냄새가 외부로 새지 않고 물 내부에 머무를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a small amount of water is stored in advance and a plurality of bowel movements are processed at once, it is not only possible to save water, but also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stay inside the water without leaking to the outside by applying an oil film on the surface of the wate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 배변판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 배변판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 배변판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 배변판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 배변판의 집수될 때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 배변판의 집수통에 설치되었을 때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 배변판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 배변판의 호스를 나타낸 도면.
1 is a view showing a pet defecation pl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view showing a cross-section of a pet defecation pl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view showing a cross-section of a pet defecation pl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a cross-section of a pet defecation plat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the time when the pet defecation plate is collecte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view showing when installed in the water collecting container of the pet defecation plat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showing a cross-section of a pet defecation plat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showing a hose of a pet defecation plat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한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of achieving them will be clarified with reference to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together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only the embodiments allow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complete, and common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provided to completely inform the person having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the same compon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In describing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or configurations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erms to be described later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according to a user's or operator's intention or practice. Therefore, the definition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본 발명은 애완동물 배변판에 관한 것으로, 애완동물의 배변을 집수통(100) 내부에 수집하여 물과 함께 외부로 배출 될 수 있도록 하는 배변판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et defecation plate, and relates to a defecation plate that collects the defecation of a pet inside the water collecting container 100 and discharges it together with water.

이하, 첨부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Figures 1 to 4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 배변판을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 pet defecation pl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애완동물 배변판은 크게 집수통(100) 및 집수통(100) 내부에 구비되는 상판(200) 및 하판(300)으로 구성되어 있다.The pet defecation plate is largely composed of a sump container 100 and a top plate 200 and a bottom plate 300 provided inside the sump container 100.

상기 상판(200) 및 하판(300)은 애완동물이 직접 올라가서 배변활동을 진행하므로, 애완동물의 무게를 이길 수 있는 정도의 재질로 형성된다.The upper plate 200 and the lower plate 300 are formed of a material capable of overcoming the weight of the pet, since the pet directly climbs and performs bowel movements.

또한, 상기 하판(300)은 돌기(310)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돌기(310)는 상기 하판(300)에 형성되며, 후술하는 상판지지대(220)의 길이보다 작게 형성된다.In addition, the lower plate 300 includes a projection 310. The protrusion 310 is formed on the lower plate 300 and is formed smaller than the length of the upper plate support 22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상기 상판(200)은 상기 하판(300)의 돌기(310)와 소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며, 상기 돌기(310)를 감싸고 형성되는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The upper plate 200 is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projection 310 of the lower plate 30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is formed by surrounding the projection 31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상기 상판(200)은 메쉬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메쉬는 애완동물의 배변이 통과함과 동시에 애완동물이 직접 밟고 올라서는 것으로, 상기 애완동물, 특히 강아지의 발바닥은 발가락 패드 4개와 발바닥 패드 1개, 발목 패드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패드들은 각각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메쉬 홀의 크기가 클 경우, 각 패드들의 사이에 메쉬가 끼일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상기 패드들 사이에 메쉬가 끼이지 않도록 메쉬의 크기를 작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top plate 200 includes a mesh. The mesh is that the pet's bowel movement passes and the pet directly steps on it, and the pet's feet, especially the dog's soles, have four toe pads, one sole pad, and an ankle pad, respectively. Since each of the pads is formed, when the size of the mesh hole is large, there is a possibility that a mesh is sandwiched between the pads. Therefore, it is preferable to make the size of the mesh small so that the mesh does not get caught between the pads.

상기 메쉬를 통과한 애완동물의 배변은 하단에 수용부에 수용되게 된다. 상기 수용부는 하판(300)에 형성된 것으로, 상기 하판(300)에 형성된 돌기(310)로 인해 생긴 공간에 물과 배변을 수용하게 된다. The defecation of the pet that has passed through the mesh is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portion at the bottom. The receiving portion is formed on the lower plate 300, and accommodates water and defecation in a space created by the protrusion 310 formed on the lower plate 300.

상기 수용부는 물이 수용되어 애완견의 배변이 담기는 공간으로, 물과 배변이 함께 담겨있게 된다. 이때, 상기 배변 냄새가 외부로 퍼지는 것을 방지 하기 위하여 물 표면에 유막제(400)를 분사하여 냄새의 확산을 막을 수 있다. 이때, 상기 상판(200)은 일 실시예에 따라 유막제(400)를 자동으로 분사하기 위한 분사구(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도 있으며, 다른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가 직접 분사하도록 따로 구비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The accommodating portion is a space in which water is accommodated and contains the defecation of a pet dog, and water and defecation are contained together. At this time, the diffusion of the odor may be prevented by spraying the oil film 400 on the surface of the water in order to prevent the odor of the bowel movement from spreading to the outside. In this case, the top plate 200 may further include an injection hole (not shown) for automatically spraying the oil film 4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an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separately provided for direct injection by the user Things are also possible.

또한, 상기 유막제(400)는 냄새 제거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냄새의 확산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냄새 제거도 가능한 유막제(400)를 이용함으로써, 상기 수용부의 물은, 상기 집수통(100)의 일측에 구비된 관통홀(13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관통홀(130)은 실시예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관통홀(130)은 수압에 따라 개폐되는 개폐도어(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도 있으며, 상기 관통홀(130)에 탈착가능한 호스(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oil film 400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ossible to remove the odor. That is, by using an oil film 400 that not only prevents the diffusion of odors but also removes odors, the water in the receiving portion is passed through the through-hole 130 provided on one side of the water container 100. It is characterized by being discharged. At this time, at least one of the through-holes 130 is form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 addition, the through-hole 130 may be further provided with an opening/closing door (not shown) that opens and closes according to water pressure, and may further include a hose 140 detachably attached to the through-hole 130.

상기 관통홀(130)은, 상기 호스(140)가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길이를 선택하여 설치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The through-hole 130 is formed so that the hose 140 can be installed by selecting a length as required by the user.

또한, 상기 집수통(100)은 물을 보충하기 위한 급수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급수부는, 상기 집수통(100)을 청소 등의 이유로 비운 후, 다시 물을 채울 때 등의 이유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water collecting container 100 may further include a water supply unit (not shown) for replenishing water. The water supply unit may be formed for reasons such as when the water container 100 is emptied for cleaning or the like and then filled with water agai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 배변판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 배변판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 배변판에 관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Figure 2 is a view showing a cross-section of a pet defecation pl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view showing a cross-section of a pet defecation pl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ures 2 to 3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spect to the pet defecation pl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애완동물 배변판은 집수통(100) 및 집수통(100) 내부에 구비되는 상판(200) 및 하판(300)을 포함하고 형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 2, the pet bowel plate includes and is formed of a water collecting container 100 and an upper plate 200 and a lower plate 300 provided inside the water collecting container 100.

상기 메쉬(210)는 상기 상판(200)에 형성되며, 애완동물이 배변을 위해 안착하는 공간으로, 상기 메쉬(210)를 통과한 애완동물의 배변은 수용부로 수요되게 된다. 이때, 상기 수용부는 내부에 물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물은 표면에 유막제(400)를 더 포함하고 있다. 상기 유막제(400)에 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The mesh 210 is formed on the top plate 200, and is a space where pets settle for defecation, and defecation of pets that have passed through the mesh 210 is required as a receiving portion. At this time, the receiving portion includes water therein, and the water further includes an oil film 400 on the surface. The oil film 400 will be described later.

상기 상판(200)은 상기 하판(300)의 돌기(310)와 소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되고, 상기 상판(200)은 상기 하판(300)에 형성된 상판지지대(220)와 접하게 된다. 상기 하판의 돌기(310)는, 상기 상판지지대(220)와 상판(200)이 접하더라도, 상기 상판(200)와 소정 간격 이격되어 거리를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 상판지지대(220)보다 낮은 높이로 형성된다.The upper plate 200 is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projection 310 of the lower plate 30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the upper plate 200 comes into contact with the upper plate support 220 formed on the lower plate 300. The protrusion 310 of the lower plate, even if the upper plate support 220 and the upper plate 200 are in contact, is spaced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upper plate 200 to maintain a distance, lower than the upper plate support 220 Is formed.

또한, 상기 상판(200)은 하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상판돌기(230)를 더 포함하고 있다. 상기 상판(200)은 상기 하판(300)에 형성된 상판지지대(220)와 접할 시, 상기 상판돌기(230)는 상기 하판돌기(310)의 내측에 형성되어, 수용부 공간에 위치하게 된다.In addition, the top plate 200 further includes a top plate protrusion 230 formed to protrude downward. When the upper plate 200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plate support 220 formed on the lower plate 300, the upper plate protrusion 230 is formed inside the lower plate protrusion 310 and is located in the receiving portion space.

즉, 상기 상판돌기(230)는 상기 하판돌기(310)의 내측에 형성되어, 상기 상판돌기(230)와 하판돌기(310)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게 되고, 상기 공간에 의하여 냄새 역류를 방지하게 된다. 즉, 상기 상판돌기가 상기 하판돌기의 내측에 형성됨으로써 형성된 공간은 냄새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트랩 역할을 하게 된다.That is, the upper plate protrusion 230 is formed inside the lower plate protrusion 310, so that a space is formed between the upper plate protrusion 230 and the lower plate protrusion 310, and to prevent odor reflux by the space. do. That is, the space formed by forming the upper plate protrusion on the inside of the lower plate protrusion serves as a trap for preventing odor reflux.

또한, 상기 상판(200)이 상판지지대(220)와 접할 시, 기밀을 유지할 수 있도록 실리콘, 고무 등과 같은 부재를 더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실리콘, 고무 등과 같이 기밀을 유지하기 위한 부재는 상기 상판(200)과 상판지지대(220)가 접한 뒤, 상기 메쉬 위로 애완동물이 안착하더라도 그 무게에 의해 밀리거나 이탈하는 현상을 방지 하기 위한 것으로, 기밀을 유지할 수 있는 부재이면 무엇이든 가능하다.In addition, when the top plate 200 is in contact with the top plate support 220, a member such as silicone, rubber, etc. may be further used to maintain airtightness. At this time, the member for maintaining airtightness, such as silicone, rubber, etc., is to prevent the phenomenon of being pushed or deviated by its weight even if a pet is seated on the mesh after the top plate 200 and the top plate support 220 are in contact. However, any material that can maintain confidentiality is possible.

상기 수용부의 물에 애완동물의 배변이 수집되게 되면, 물의 높이가 높아지고, 상기 돌기(310)보다 높아진 수위는 외부로 배출되게 되는데, 이때, 상기 물은 상기 집수통(100)의 관통홀(13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When the defecation of the pet is collected in the water of the receiving portion, the height of the water is increased, and the water level higher than the protrusion 310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At this time, the water is through-hole 130 of the water collecting container 100 ) To the outside.

상기 관통홀에는 ㄱ자 형상의 360도 회전이 가능한 배출부재가 더 구비되어 있다. 상기 배출부재는 파이프 등과 같은 재질로, 필요에 따라 사용하고자 하는 방향으로 조절하여 사용가능하다.The through-hole is further provided with a discharge member capable of rotating a 360-degree shape. The discharge member is made of a material such as a pipe, and can be adjusted and used in a desired direction as necessary.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 배변판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4 is a view showing a cross-section of a pet defecation plat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메쉬는 상판(200)에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상판(200)은 ㄷ자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메쉬는 상판지지대(220)를 더 포함하고 있다.Referring to Figure 4, the mesh is coupled to the top plate 200, the top plate 200 is formed of a letter U. The mesh further includes a top plate support 220.

상기 상판지지대(220)는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 것으로, 제조하고자 하는 배변판의 크기에 따라 다수개 사용될 수 있다.The top plate support 220 is formed of at least one, and may be used in plurality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defecation plate to be manufactured.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ㄷ자의 상판(200)과 하판(300)의 돌기(310)는 소정간격 이격되어 있다. 상기 상판(200)은, 상판지지대(220)에 의하여 하판(300)으로부터 이격되게 된다.As illustrated in FIG. 4, the protrusions 310 of the U-shaped upper plate 200 and the lower plate 300 are spaced apart at predetermined intervals. The upper plate 200 is spaced apart from the lower plate 300 by the upper plate support 220.

이때 상기 상판(200)과 하판(300) 사이에는 물을 집수하게 되고, 상기 물은 상기 하판(300)의 돌기(310)보다 낮은 수위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물 표면은 유막제(400)가 한층 더 적층되어 있으며, 상기 유막제(400)는 물 또는 배변의 냄새가 밖으로 확산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표면에 분사된다.At this time, water is collected between the upper plate 200 and the lower plate 300, and the water maintains a lower level than the projection 310 of the lower plate 300. In addition, as shown in FIG. 5, the oil film 400 is further laminated on the water surface, and the oil film 400 is sprayed on the surface to prevent the smell of water or bowel movement from diffusing out.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 배변판의 집수될 때를 나타낸 도면이다. 애완동물이 배변을 하게 되면, 상기 물에 배변인 소변이 쌓이게 되고, 상기 물의 양은 늘어나게 된다. 물의 양이 늘어남에 따라 점점 수위가 상승하게 되고, 수위가 상승함에 다라, 상기 돌기(310)의 높이를 넘어 외부로 넘치게 된다.5 is a view showing a time when a pet defecation plate is collecte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pet defecates, urine, which is defecation, accumulates in the water, and the amount of water increases. As the amount of water increases, the water level gradually increases, and as the water level rises, the height of the protrusion 310 overflows to the outside.

상기 돌기(310)를 넘어선 물은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이때, 상기 집수통(100)이 구비된 경우, 상기 집수통(100)으로 배출되고, 상기 집수통(100)의 관통홀(130)로 배출되게 된다.Water beyond the protrusion 310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At this time, when the water collecting container 100 is provided, it is discharged to the water collecting container 100 and discharged to the through hole 130 of the water collecting container 100.

즉,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 배변판의 집수통(100)에 설치되었을 때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변과 물이 함께 섞인 물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That is, FIG. 6 is a view showing when installed in the water collecting container 100 of a pet defecation plat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s shown in FIG. 6, water mixed with defecation and wate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Can be.

또한, 상기 돌기(310)는 물과 닿는 측면에 수위센서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수위센서는 물의 높이를 측정하기 위한 센서로, 공간상의 문제로 집수통(100)을 제외한 상판(200) 및 하판(300)만이 설치되었을 경우, 넘치기 전에 수위센서를 통해 수위를 확인하고, 직접 비울 수도 있고 또는 집수통(100) 내부에 설치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protrusion 310 may further include a water level sensor on the side in contact with the water. The water level sensor is a sensor for measuring the height of the water, and if only the top plate 200 and the bottom plate 300 except for the water collecting container 100 are installed due to space problems, check the water level through the water level sensor before overflowing, and directly It can be emptied or can be installed inside the sump 100.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 배변판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애완동물 배변판은 하판(300)과 상판(200)의 비교적 간단한 구조로 제작될 수 있다. 즉, 상기 애완동물 배변판은 상판(200) 및 하판(300)으로 형성되며, 상기 하판(300)의 내부 공간에 돌출되어 형성된 돌기(310) 및 상기 돌기(310)의 상부에 소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상판(200)을 포함하고 있다.7 is a view showing a cross-section of a pet defecation plat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7, the pet defecation plate may be manufactured with a relatively simple structure of the lower plate 300 and the upper plate 200. That is, the pet defecation plate is formed of an upper plate 200 and a lower plate 300, and is spaced apar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projection 310 and the projection 310 formed to protrude in the inner space of the lower plate 300. It includes a top plate 200 to be disposed.

이때, 상기 메쉬(210)는 상기 상판(200)에 형성되며, 애완동물이 배변을 위해 안착하게 되고, 상기 수용부는 상기 메쉬(210)를 통과한 애완동물의 배변을 수용한다.At this time, the mesh 210 is formed on the top plate 200, the pet is seated for defecation, the receiving portion receives the defecation of the pet that has passed through the mesh 210.

이때, 상기 수용부에 집수된 물 및 배변은 상기 하판(300)의 관통홀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the water and defecation collected in the receiving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through hole of the lower plate 300.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 배변판의 호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호스와 달리, 상기 호스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ㄱ자 형태의 호스로 형성될 수 있다.8 is a view showing a hose of a pet defecation plat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nlike the hose shown in Figure 6, the hose may be formed of an a-shape hos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호스는 360도 회전이 가능한 호스로, 필요에 따라 사용하고자 하는 방향으로 조절하여 사용가능하다. 즉,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스의 끝단을 상부방향으로 배치할 경우, 상기 집수통에 집수하는 용도로 사용 가능하며, 호스의 끝단을 하부 방향으로 배치할 경우, 상기 집수통의 물을 외부로 배출하는데에 사용 가능하다.The hose is a hose that can be rotated 360 degrees, and can be used by adjusting in a desired direction. That is, as shown in FIG. 8, when the end of the hose is disposed in an upward direction, it can be used for collecting water in the water collecting container, and when the end of the hose is disposed in a downward direction, water in the water collecting container It can be used to discharge to the outside.

이상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제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In the above description,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presented and describ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nd a person having ordinary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may depart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readily apparent that branch substitution, modification and modification are possible.

100 : 집수통
110 : 집수통 하부 플레이트
130 : 관통홀
140 : 배출호스
200 : 상판
210 : 메쉬
220 : 상판지지대
230 : 상판돌기
300 : 하판
310 : 하판돌기
400 : 유막제
100: sump
110: sump lower plate
130: through hole
140: discharge hose
200: top
210: mesh
220: top support
230: top plate projection
300: bottom
310: lower projection
400: oil film

Claims (9)

상판(200) 및 하판(300)을 포함하는 애완동물의 배변판에 있어서,
상기 상판(200)에 형성되며, 애완동물이 배변을 위해 안착하는 메쉬(210) 및 하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상판돌기(230)와,
상기 상판(200)은 상기 하판(300)에 상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하판돌기(310)와 소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되고,
상기 상판(200)은 상기 하판(300)에 형성된 상판지지대(220)와 접하고, 상기 상판돌기(230)는 상기 하판돌기(310)의 내측에 형성되며,
상기 메쉬(210)를 통과한 애완동물의 배변을 수용하기 위하여, 상기 하판에 상측으로 돌출된 하판돌기에 의해 형성된 수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 배변판.
In the defecation plate of the pet including the top plate 200 and the bottom plate 300,
It is formed on the top plate 200, the mesh 210 for pets to settle for bowel movement and the top plate projection 230 formed to protrude to the lower side,
The upper plate 200 is formed to be spaced apar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lower plate protrusion 310 formed by protruding upward to the lower plate 300,
The upper plate 200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plate support 220 formed on the lower plate 300, the upper plate projection 230 is formed inside the lower plate projection 310,
In order to accommodate the defecation of the pet that has passed through the mesh 210, a pet defecation plate comprising a receiving portion formed by a lower plate protrusion protruding upward to the lower pla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내부에 집수된 물을 관통홀(130)을 통해 외부로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 배변판.
According to claim 1, The receiving portion
Pet defecation plate, characterized in that the discharged water through the through-hole 130 to the outside collected inside.
집수통(100) 및 집수통(100) 내부에 구비되는 상판(200) 및 하판(300)을 포함하는 애완동물의 배변판에 있어서,
상기 상판(200)은 상기 하판(300)의 돌기(310)와 소정간격 이격되며, 상기 돌기(310)를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상판(200)에 형성되며, 애완동물이 배변을 위해 안착하는 메쉬(210);
상기 메쉬(210)를 통과한 애완동물의 배변을 수용하는 수용부; 및
상기 수용부의 물이 상기 집수통(100)의 관통홀(13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 배변판.
In the defecation plate of the pet including the sump container 100 and the upper plate 200 and the lower plate 300 provided inside the sump container 100,
The upper plate 200 is spaced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projection 310 of the lower plate 300, and is formed in a form surrounding the projection 310,
A mesh 210 formed on the top plate 200 and seated for defecation by a pet;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the bowel movement of the pet has passed through the mesh 210; And
Pet defecation plate, characterized in that the water of the receiving portion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through-hole 130 of the water collecting container (100).
제 1항 또는 제 3항 중 선택되는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20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판지지대(22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상판지지대(220)는 상판(200)과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 배변판.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or 3, The top plate 200 is
It further includes at least one top plate support 220,
The top plate support 220 is a pet bowel plate, characterized in that in contact with the top plate (200).
제 1항 또는 제 3항 중 선택되는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물을 수용하며, 상기 물 표면에 유막제(400)를 분사하기 위한 분사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 배변판.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receiving portion
Pet defecation plat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n injection hole for accommodating water and spraying an oil film 400 on the surface of the water.
제 1항 또는 제 3항 중 선택되는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집수통(100)은
탈착가능한 호스(14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 배변판.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or 3, wherein the water collecting container (100)
Pet defecation plate further comprises a removable hose (140).
제 1항 또는 제 3항 중 선택되는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집수통(100)은
물을 보충하기 위한 급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 배변판.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or 3, wherein the water collecting container (100)
Pet defecation plate further comprises a water supply for replenishing water.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유막제(400)는
냄새 제거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 배변판.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oil film 400 is
Pet defecation board,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ossible to remove the odor.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호스는
360도 회전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 배변판.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hose
Pet defecation plate, which can be rotated 360 degrees.
KR1020180151547A 2018-11-30 2018-11-30 Pet Defecating KR10220656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1547A KR102206569B1 (en) 2018-11-30 2018-11-30 Pet Defecat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1547A KR102206569B1 (en) 2018-11-30 2018-11-30 Pet Defecati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5259A true KR20200065259A (en) 2020-06-09
KR102206569B1 KR102206569B1 (en) 2021-01-22

Family

ID=710820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1547A KR102206569B1 (en) 2018-11-30 2018-11-30 Pet Defecat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6569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5854B1 (en) * 2022-10-28 2023-05-30 박요셉 Indoor potty system for a petdogs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4587Y1 (en) * 2003-12-05 2004-03-10 연서덕 Sanitary toilet seat
KR100751225B1 (en) * 2005-10-18 2007-08-23 이명옥 An excrement prop for a pet
JP2012005440A (en) * 2010-06-25 2012-01-12 Unicharm Corp System toilet for dog
KR200463634Y1 (en) * 2011-05-04 2012-11-14 노주환 toilet for pet dog
KR20160081670A (en) 2014-12-31 2016-07-08 노주환 Module type cleaning device for evacuating apparatus for pet with controlling injection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4587Y1 (en) * 2003-12-05 2004-03-10 연서덕 Sanitary toilet seat
KR100751225B1 (en) * 2005-10-18 2007-08-23 이명옥 An excrement prop for a pet
JP2012005440A (en) * 2010-06-25 2012-01-12 Unicharm Corp System toilet for dog
KR200463634Y1 (en) * 2011-05-04 2012-11-14 노주환 toilet for pet dog
KR20160081670A (en) 2014-12-31 2016-07-08 노주환 Module type cleaning device for evacuating apparatus for pet with controlling injectio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5854B1 (en) * 2022-10-28 2023-05-30 박요셉 Indoor potty system for a petdog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6569B1 (en) 2021-0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76726B2 (en) Portable pet urine reservoir
KR100751225B1 (en) An excrement prop for a pet
US4660506A (en) Pet toilet
US4469049A (en) Watering device
US5355837A (en) Canine trainer and toilet station
US443743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ining cats to use a toilet bowl
US7107933B2 (en) Litter-free pet waste collection system
US6418880B1 (en) Flush toilet for domestic pets
US3937182A (en) Pet toilet
CA2571858A1 (en) Portable pet waste station
KR102330905B1 (en) Defecation plate for animal companion
KR20160076354A (en) Dog toilet having automatic washing and sterilizing function
KR200406304Y1 (en) An excrement prop for a pet
JP2006204230A (en) Toilet for pet
US11272683B2 (en) Arrangement for a puppy lavatory with discharge connected to the drain
KR20200065259A (en) Pet Defecating
KR101415871B1 (en) An excrement prop for a pet
KR102468557B1 (en) A toilet cleaning device for pets to prevent the smell of defecation
KR20170060295A (en) Defecation training and disposal apparatus for companion animal
KR20170039920A (en) Flush type excrement prop for pet
KR20130047142A (en) Dog rest apparatus
KR102308187B1 (en) Poop disposal apparatus for pets
JP2001346472A (en) Toilet for pet with wire net and urine storage container
DE8302429U1 (en) SINKING CLEANER FOR SMALLER PETS, ESPECIALLY DOGS
RU2732153C2 (en) Automated toilet for domestic animals (vers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