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64635A - 버튼식 다이얼 장치 - Google Patents

버튼식 다이얼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64635A
KR20200064635A KR1020180150952A KR20180150952A KR20200064635A KR 20200064635 A KR20200064635 A KR 20200064635A KR 1020180150952 A KR1020180150952 A KR 1020180150952A KR 20180150952 A KR20180150952 A KR 20180150952A KR 20200064635 A KR20200064635 A KR 202000646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dial
wire pulley
dial body
pu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09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경석
조현용
송지혜
Original Assignee
밸류앤드트러스트(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밸류앤드트러스트(주) filed Critical 밸류앤드트러스트(주)
Priority to KR10201801509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64635A/ko
Priority to JP2018239822A priority patent/JP2020081829A/ja
Publication of KR202000646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463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2Orthopaedic corsets
    • A61F5/026Back straightening devices with shoulder braces to force back the shoulder to obtain a correct curvature of the spin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0531Sp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2Orthopaedic corsets
    • A61F5/024Orthopaedic corsets having pressure pads connected in a frame for reduction or correction of the curvature of the sp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30Pressure-pads
    • A61F5/32Adjustable pressure pad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32Therapeutic us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rs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버튼식 다이얼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단수 개로서 폐회로를 형성하는 단일의 와이어, 와이어의 일부가 삽입되어 감김되거나 풀리도록 내부에 작동 공간이 형성된 다이얼 본체, 다이얼 본체의 작동 공간에서 회전 가능함과 아울러, 다이얼 본체의 작동 공간 중 상대적으로 상측 및 상대적으로 하측으로 상하 무빙 가능하게 구비되되, 일방향 회전시 와이어가 외주면에 감김되고, 타방향 회전시 와이어가 외주면으로부터 풀림되도록 구비된 와이어 풀리, 와이어 풀리의 중앙 상측에 구비되고, 다이얼 본체의 작동 공간 중 상대적으로 상측에 위치된 와이어 풀리를 다이얼 본체의 작동 공간 중 상대적으로 하측으로 푸쉬하는 푸쉬 노브 및 다이얼 본체의 상측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되, 와이어 풀리가 상대적으로 상측에 위치된 경우 와이어 풀리와 걸림되어 일방향으로 와이어 풀리를 회전시켜 와이어를 감김시키고 상대적으로 하측에 위치된 경우 와이어 풀리와의 걸림이 해제되어 타방향으로 와이어 풀리가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된 로터리 노브를 포함함으로써, 착용이 용이함은 물론, 척추측만증 환자의 척추 만곡 진행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버튼식 다이얼 장치{BUTTON TYPE DIAL APPARATUS}
본 발명은 버튼식 다이얼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압박 착용에 어려움을 겪는 척추측만증 환자가 교정 의복 착용 후 간편하게 압박 및 해제 작동시키도록 함과 아울러, 교정 의복 착용 후 밴드의 신축 조절에 의한 교정부위의 전체적인 압박이 용이한 버튼식 다이얼 장치에 관한 것이다.
척추(脊椎, spine)는 사람에게서 목과 등, 허리, 엉덩이, 꼬리뼈 부분에 이르기까지 주요 골격을 유지하도록 하는 뼈를 말한다.
구체적으로 척추는 7개의 목뼈(경추), 12개의 가슴뼈(흉추), 5개의 허리뼈(요추), 5개의 엉치뼈(천추), 4개의 꼬리뼈(미추)로 구분된다.
한편, 척추 안에는 뇌에서 나온 신경다발로 척수(脊髓, spinal cord)가 존재하며, 이는 중추신경계인 뇌와 말초 신경계인 말초기관들을 잇는 역할을 한다.
위와 같이 척추는 신체의 매우 주요한 부위로써 척추 질환을 앓는 경우 생활에 많은 어려움을 주고 있다.
대표적인 척추 질환으로는 경추척추사이원반탈출증, 척추측만증, 요통증후군 및 척추사이원반 탈출증 등이 있다.
특히, 척추측만증(scoliosis)은 대표적인 척추 변형의 하나로 사람의 척추에는 '휘어져 있는 상태' 또는 '굽은 상태'를 뜻하는 '만곡'(curve)이 있는데 척추의 만곡은 정상인에게 나타나는 정상적인 만곡과 정상인에서는 볼 수 없는 비정상적인 만곡이 있다.
이와 같은 척추측만증은 전체 척추측만증 환자의 절반가량이 10대 청소년일 정도로 성장기에 많이 발생하고 있다.
측만의 정도에 따라 다른 조치를 취해야 하나, 병증을 인지하지 못하거나 단순 관찰조치만 취하는 경우가 많아서 악화되는 사례가 빈번하게 발생한다.
따라서, 척추측만증의 치료의 목적은 경도의 만곡이 더 이상 진행되지 않도록 하고, 중증도 이상의 만곡은 기형을 교정하고 그 교정을 유지시켜 신체의 균형을 얻어 기능 및 미용을 호전시키는 것이다.
척추측만증을 조기에 발견한 경우 적절한 보조기 착용 등의 보존적인 방법으로도 심한 만곡으로의 진행을 막을 수 있다.
그러나, 종래 보조기구는 척추측만증 환자의 변형 정도에 따라 효과적으로 대응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고, 특히 청소년의 경우 성장이 계속되고 있어 그 과정에서 효과적으로 척추교정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더 나아가, 불편한 보조기구를 사용하는 환자에게 보조기구 사용에 따른 충분한 동기를 부여하지 못해 보조기구의 사용을 쉽게 포기하는 문제점이 있다.
위와 같은 기술분야의 종래기술로 등록특허 제10-1070973호 '척추보조기'가 개시된 바 있다.
상기 종래기술은 척추 만곡 등과 같은 척추질환에 대하여 척추 교정과 회복을 위하여 환자가 착용하는 척추 보조기에 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종래의 척추보조기에 구성된 등판의 경우 그 형상이 고정되어 있어 시간이 경과함에 따른 환자의 척추 상태에 효과적으로 대응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길이 및 각도 조절이 가능하고 내/외피가 기능성 섬유로 이루어지는 등판부와, 등판부에 탈/부착되고 간단한 조작으로 조임이 가능하도록 당김줄 고정구가 구성된 허리밴드부가 구성되는 것으로 등판의 길이조절 및 각도조절이 가능하도록 등판을 상부 및 하부로 이분화시킨 후 각각을 길이조절과 각도 조절이 가능한 연결부재로 연결 구성함으로써 환자의 등에 최적화된 길이 및 각도를 가지도록 등판을 조작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은 교정환자 스스로 당김줄 조정구를 이용한 조정이 매우 어려운 구조를 가지는 바, 척추 보조기의 사용 시 필수적으로 제3자에게 도움을 구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등록특허 제10-1070973호(2011.09.29.공고)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척추측만증 환자에 대한 척추교정시술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버튼식 다이얼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일방향 회전 동작에 따른 교정 환자의 신체 특정부에 대한 압박 및 푸쉬 동작을 통한 압박 해제가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사용의 편의성이 향상된 버튼식 다이얼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들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튼식 다이얼 장치는, 단수 개로서 폐회로를 형성하는 단일의 와이어, 상기 와이어의 일부가 삽입되어 감김되거나 풀리도록 내부에 작동 공간이 형성된 다이얼 본체, 상기 다이얼 본체의 작동 공간에서 회전 가능함과 아울러, 상기 다이얼 본체의 작동 공간 중 상대적으로 상측 및 상대적으로 하측으로 상하 무빙 가능하게 구비되되, 일방향 회전시 상기 와이어가 외주면에 감김되고, 타방향 회전시 상기 와이어가 외주면으로부터 풀림되도록 구비된 와이어 풀리, 상기 와이어 풀리의 중앙 상측에 구비되고, 상기 다이얼 본체의 작동 공간 중 상대적으로 상측에 위치된 상기 와이어 풀리를 상기 다이얼 본체의 작동 공간 중 상대적으로 하측으로 푸쉬하는 푸쉬 노브 및 상기 다이얼 본체의 상측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되, 상기 와이어 풀리가 상대적으로 상측에 위치된 경우 상기 와이어 풀리와 걸림되어 상기 일방향으로 상기 와이어 풀리를 회전시켜 상기 와이어를 감김시키고 상대적으로 하측에 위치된 경우 상기 와이어 풀리와의 걸림이 해제되어 상기 타방향으로 상기 와이어 풀리가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된 로터리 노브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다이얼 본체는 교정 환자가 착용하는 요추 밴드 및 흉추 밴드 중 어느 하나(이하, '밴드'라 약칭함)에 결합되고, 상기 다이얼 본체에 삽입되지 않은 상기 와이어의 나머지는 상기 폐회로를 형성한 채로 상기 다이얼 본체와 소정거리 이격된 상기 밴드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이얼 본체의 하부에는, 상기 밴드에의 고정을 위해 상기 밴드의 내측면에 구비된 이너 플레이트 및 상기 밴드의 외측면에 구비된 아우터 플레이트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이얼 본체에 삽입되지 않은 상기 와이어의 나머지를 상기 다이얼 본체와 소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해당하는 상기 밴드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 패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 패널은, 상기 다이얼 본체에 삽입되지 않은 상기 와이어의 나머지 부분의 다수 개소에 연결되도록 다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이얼 본체에는, 상기 작동 공간에 구비되되, 상기 와이어 풀리가 일방향으로만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와이어 풀리와 치걸림되게 적어도 하나의 제1 일방향 기어 스토퍼가 형성되고, 상기 와이어 풀리의 외주면에는, 상기 제1 일방향 기어 스토퍼와 걸림 가능하게 구비된 다수의 측면 걸림 기어치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일방향 기어 스토퍼는 상기 다이얼 본체에 일체로 사출 성형되되, 상기 다수의 측면 걸림 기어치와의 간섭 시 형상 변형되도록 상기 다이얼 본체와 상기 제1 일방향 기어 스토퍼 사이에 절개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일방향 기어 스토퍼는 상기 다이얼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되, 상기 다이얼 본체에 상하 회전 축을 가지도록 결합된 회동 핀 및 상기 회동 핀의 상단에 고정되고, 상기 다수의 측면 걸림 기어치와 치합되는 기어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기어 본체에는, 상기 기어 본체의 치합면을 상기 다수의 측면 걸림 기어치가 구비된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지지부가 상기 다이얼 본체 측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와이어 풀리의 외주면에는, 상기 와이어가 감김되도록 내측을 향하여 함몰되게 형성된 감김 홈 및 상기 감김 홈과 상기 제1 일방향 기어 스토퍼 사이를 구획하도록 형성된 와이어 꼬임 방지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와이어 풀리의 상측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되 상기 로터리 노브의 일방향 회전 시 상기 로터리 노브와 간섭되도록 배치된 다수의 상부 걸림 기어치가 형성되고, 상기 로터리 노브의 하면에는, 상기 와이어 풀리에 구비된 상기 다수의 상부 걸림 기어치와 치합되는 다수의 제2 일방향 기어 스토퍼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푸쉬 노브는, 상기 다이얼 본체의 중심부에 배치된 탄성부재에 의하여 상측으로 탄성 지지되고, 상기 와이어 풀리의 중심부에 형성된 관통홀의 내측 테두리 단부 하면을 상측으로 지지하는 상하 무빙 블록, 상기 상하 무빙 블록의 상측에 배치되되, 상기 로터리 노브를 상하로 관통하도록 구비된 다수의 푸쉬 홀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게 다수의 푸쉬 핀이 구비된 푸쉬 블록 및 상기 로터리 노브의 외측으로 노출된 상기 다수의 푸쉬 핀의 단부에 결합된 푸쉬 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로터리 노브의 외부 이탈을 방지하고, 상기 상하 무빙 블록 및 상기 푸쉬 블록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하는 이탈 방지 나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튼식 다이얼 장치에 따르면, 상기와 같은 과제의 해결 수단을 통해 척추측만증 환자에 대한 척추교정시술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청소년 척추측만증 환자의 척추 만곡 진행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간단한 밴드 압박 구조로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교정 환자의 자유도를 상대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Y자형 밴딩부와 L자형 밴딩부의 조합으로 발생하는 비대칭 압박을 통해 척추 만곡의 진행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초기 착용이 불편한 교정자에 의해 임시 압착력으로 결착시킨 다음 추후 로터리 노브의 회전 동작을 통해 밴드를 전체적으로 압박하여 착용할 수 있으므로 착용성 및 교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효과는 본 발명의 특징을 통해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를 통해 보다 분명하게 알 수 있고, 청구범위에 나타난 수단 및 조합에 의해 발휘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버튼식 다이얼 장치의 사용례를 나타낸 정면도 및 배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튼식 다이얼 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a 및 도 4b는 도 2의 단면도로서, 푸쉬 노브의 푸쉬 작동에 따른 와이어 풀리의 상하 무빙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2의 구성 중 푸쉬 노브에 의하여 하방 무빙된 와이어 풀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2의 구성 중 제1 일방향 기어 스토퍼와 다수의 측면 걸림 기어치의 작동 모습을 나타낸 평단면도이며,
도 7은 도 2의 구성 중 다이얼 본체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2의 구성 중 제1 일방향 기어 스토퍼의 변형례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버튼식 다이얼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버튼식 다이얼 장치의 사용례를 나타낸 정면도 및 배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튼식 다이얼 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a 및 도 4b는 도 2의 단면도로서, 푸쉬 노브의 푸쉬 작동에 따른 와이어 풀리의 상하 무빙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2의 구성 중 푸쉬 노브에 의하여 하방 무빙된 와이어 풀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2의 구성 중 제1 일방향 기어 스토퍼와 다수의 측면 걸림 기어치의 작동 모습을 나타낸 평단면도이며, 도 7은 도 2의 구성 중 다이얼 본체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2의 구성 중 제1 일방향 기어 스토퍼의 변형례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튼식 다이얼 장치(100)는, 도 1에 참조된 바와 같이, 척추측만증의 교정을 위하여 교정 환자가 착용한 의복부(10) 또는 교정 환자가 착용한 척추보조기구(1)에 장착되어, 와이어(90)를 감김시키거나 푸는 비교적 간단한 동작으로 의복부(10)의 특정 부위 또는 척추보조기구(1)의 구성 중 요추 밴드 또는 흉추 밴드(40)의 특정 부위를 교정 환자의 척추 측만 부위를 교정하기 위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교정 환자는, 도 1에 참조된 바와 같이, 상반신에 의복부(10)와 척추보조기구(1)를 착용한다. 척추보조기구(1)는, 의복부(10)의 외측에 착용되는 결합부 제공 밴드(20)와, 의복부(10)를 착용한 교정 환자의 골반 부위에 착용되는 골반 밴드(30) 및 의복부(10)의 외측에 착용되되, 결합부 제공 밴드(20) 및 골반 밴드(30)에 단부가 결착되고, 교정 환자의 척추 만곡 부위를 교정하도록 비대칭 압박시키는 요추 밴드 및 흉추 밴드(40)(이하, '밴드'라 약칭하고, 도면부호 '40'으로 통합 지시한다)를 포함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버튼식 다이얼 장치의 일 실시예(100)는, 척추 만곡 부위 주변에 해당하는 의복부(10)의 특정 부위 다수 개소를 와이어(90)를 매개로 잡아당기거나 풀어줌으로써 교정하도록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 척추보조기구(1)의 구성 중 상호 교차하는 밴드(40)의 교차점에 구비되어 밴드(40)를 잡아당기거나 풀어줌으로써 교정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버튼식 다이얼 장치의 실시예(100,100a)가 밴드(40)에 부착된 것으로 전제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버튼식 다이얼 장치(100)는, 도 2 내지 도 5에 참조된 바와 같이, 단수 개로서 폐회로를 형성하는 단일의 와이어(90)와, 와이어(90)의 일부가 삽입되어 감김되거나 풀리도록 내부에 작동 공간(111)이 형성된 다이얼 본체(110)와, 상기 다이얼 본체(110)의 작동 공간(111)에서 회전 가능함과 아울러, 다이얼 본체(110)의 작동 공간(111) 중 상대적으로 상측 및 상대적으로 하측으로 상하 무빙 가능하게 구비되되, 일방향 회전시 와이어(90)가 외주면에 감김되고, 타방향 회전시 와이어(90)가 외주면으로부터 풀림되도록 구비된 와이어 풀리(150)와, 와이어 풀리(150)의 중앙 상측에 구비되고, 다이얼 본체(110)의 작동 공간(111) 중 상대적으로 상측에 위치된 와이어 풀리(150)를 다이얼 본체(110)의 작동 공간(111) 중 상대적으로 하측으로 푸쉬하는 푸쉬 노브(170)와, 다이얼 본체(110)의 상측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되, 와이어 풀리(150)가 상대적으로 상측에 위치된 경우 와이어 풀리(150)와 걸림되어 일방향으로 와이어 풀리(150)를 회전시켜 와이어(90)를 감김시키고 상대적으로 하측에 위치된 경우 와이어 풀리(150)와의 걸림이 해제되어 타방향으로 와이어 풀리(150)가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된 로터리 노브(130)를 포함한다.
여기서, 다이얼 본체(110)는, 도 1에 참조된 바와 같이, "X"자 형태로 교차된 밴드(40)의 교차점에 배치되고, 다이얼 본체(110)와 이격되어 있는 밴드(40)의 각 부위에는 후술하는 고정 패널이 구비되어 와이어(90)의 감김력 및 풀림력을 전달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다이얼 본체(110)는 착용자(또는 교정 환자, 이하, '교정 환자'로 약칭한다)가 착용하는 밴드(40)에 결합될 수 있다. 아울러, 다이얼 본체(110)에 삽입되지 않은 와이어(90)의 나머지는 상술한 바와 같이 폐회로를 형성한 채로 다이얼 본체(110)와 소정거리 이격된 밴드(40)에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단일의 와이어(90)가 폐회로를 형성하는 구성은, 단일의 와이어에 의한 감김 및 풀림이 가능함을 의미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1에 참조된 바와 같이, 밴드(40)의 교차점에는 다이얼 본체(110)가 구비되고, 다이얼 본체(110)를 기준으로 각각 소정거리 이격된 위치의 밴드(40) 4개소에는 고정 패널(190,190A)이 연결되며, 다이얼 본체(110)와 4개의 고정 패널(190,190A)은 폐회로를 형성하는 단일의 와이어(90)에 의하여 상호 연결될 수 있다. 즉, 고정 패널(190,190A)은, 다이얼 본체(110)에 삽입되지 않은 와이어(90)의 나머지 부분의 다수 개소에 연결되도록 다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100)에서는, 도 2에 참조된 바와 같이, 고정 패널(190)이 단일개로 구비된 것을 예시하고 있으나, 후술하는 다른 실시예(도 9 참조)에서와 같이, 고정 패널이 'X'자 형태로 교차된 밴드(40)의 4개소에 각각 구비(도 9의 도면부호 190A 참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교정 환자가 로터리 노브(130)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와이어(90)가 와이어 풀리(150)의 외주면에 감기면서 4개소의 고정 패널을 다이얼 본체(110) 측으로 잡아당겨 동시에 해당 밴드(40)를 다이얼 본체(110)가 구비된 교차점으로 잡아당김으로써 교정 환자의 척추 만곡 부위를 압박할 수 있다. 반대로, 교정 환자가 푸쉬 노브(170)를 누르면 교정 환자를 압박하던 밴드(40)가 다이얼 본체(110)를 중심으로 이완되면서 이격됨과 동시에 4개소의 고정 패널이 다이얼 본체(110)로부터 이격되면서 로터리 노브(130)가 타방향으로 회전되는 동작으로 와이어(90)가 와이어 풀리(150)로부터 풀리게 된다.
다이얼 본체(110)의 내부에는 와이어 풀리(150)가 동작하기 위한 작동 공간(111)이 형성될 수 있다. 다이얼 본체(110)는, 밴드(40)의 교차점에 본 발명에 따른 버튼식 다이얼 장치의 일 실시예(100)를 부착시킴과 아울러, 와이어 풀리(150) 및 로터리 노브(130)가 결합되기 위한 장소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다이얼 본체(110)는, 도 7에 참조된 바와 같이, 대략 납작한 원반 형태로 형성되되, 작동 공간(111)의 상부가 개구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다이얼 본체(110)의 상단부 테두리 부분에는 후술하는 제1 일방향 기어 스토퍼(120)가 다수개 구비될 수 있다. 제1 일방향 기어 스토퍼(120)에 대해서는 뒤에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이얼 본체(110)의 내부에 형성된 작동 공간(111)에는, 도 3 내지 도 4b에 참조된 바와 같이, 와이어 풀리(150)가 구비된다. 와이어 풀리(150)는, 도 4a 및 도 4b에 참조된 바와 같이, 중심부가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된 관통홀(151)이 구비될 수 있다. 와이어 풀리(150)의 관통홀(151)에는 후술하는 푸쉬 노브(170)가 관통 설치될 수 있다.
아울러, 다이얼 본체(110)의 작동 공간(111) 중 바닥면에는 상부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후술하는 탄성부재(180) 및 푸쉬 노브(170)가 외주면에 개재됨과 아울러, 후술하는 이탈 방지 나사(185)가 로터리 노브(130)와 연결되도록 체결되는 나사 체결홈(115)이 상측으로 개구되게 형성된 지지 보스(113)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다이얼 본체(110)의 테두리 부분에는, 후술하는 와이어 풀리(150)에 구비된 다수의 측면 걸림 기어치(160)와 일방향 걸림되도록 치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일방향 기어 스토퍼(120)가 구비될 수 있다. 제1 일방향 기어 스토퍼(120)는, 작동 공간(111)을 형성하는 다이얼 본체(110)의 내주면 측에 형성되되, 기어 치합되는 치합면의 일부가 작동 공간(111)의 내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일방향 기어 스토퍼(120)는, 일방향 기어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일방향 기어치 형상이라 함은, 기어치의 치합면이 대략 원주면에 대하여 일방향 및 타방향으로 둔각을 형성하는 2개의 일반 기어와는 달리, 치합면 중 하나는 원주방향 중 일방향으로는 원주면에 대하여 예각을 형성하되 치합면 중 다른 하나는 원주방향 중 타방향으로는 원주면에 대하여 둔각을 형성하고, 예각을 형성하는 치합면을 가진 2개의 기어치가 상호 치물림과 아울러 둔각을 형성하는 치합면을 가진 2개의 기어치가 상호 치물림되도록 구성된 것으로 정의할 수 있다.
아울러, 제1 일방향 기어 스토퍼(120)는, 후술하는 와이어 풀리(150)에 구비된 다수의 측면 걸림 기어치(160)와 치합 또는 간섭될 때 와이어 풀리(150)의 일방향으로의 회전이 보장되는 형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제1 일방향 기어 스토퍼(120)는, 다이얼 본체(110)에 일체로 사출 성형될 수 있으나, 다수의 측면 걸림 기어치(160)와의 간섭 시 형상 변형되지 않을 경우 기계적으로 회전이 되지 않을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다이얼 본체(110)와 제1 일방향 기어 스토퍼(120) 사이에는 절개부(125)가 형성되어, 와이어 풀리(150)가 일방향으로 회전 시 제1 일방향 기어 스토퍼(120)가 회전 방향으로 밀리면서 소정의 형상 변형이 발생하고, 제1 일방향 기어 스토퍼(120)의 치합면 중 둔각을 형성하는 치면(121)이 다수의 측면 걸림 기어치(160)의 치합면 중 둔각을 형성하는 치면(161)을 타고 넘어가면서 와이어 풀리(150)의 일방향 회전이 가능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제1 일방향 기어 스토퍼(120)는, 다이얼 본체(110)의 작동 공간(111) 중 동일 높이의 원주방향을 따라 다수 개가 구비될 수 있으므로, 제1 일방향 기어 스토퍼(120)와 동일한 높이에서 치합되는 다수의 측면 걸림 기어치(160)의 높이가 변경되지 않는 한, 와이어 풀리(150)는 타방향으로의 회전은 제한될 수 있다. 다수의 측면 걸림 기어치(160)의 높이는 후술하는 푸쉬 노브(170)의 푸쉬 작동에 의해 와이어 풀리(150)가 작동 공간(111) 내에서 상하 무빙되는 동작으로 변경 가능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뒤에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제1 일방향 기어 스토퍼(120)는 반드시 다이얼 본체(110)에 일체로 사출 성형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즉, 도 8에 참조된 바와 같이, 제1 일방향 기어 스토퍼(120)는 다이얼 본체(1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1 일방향 기어 스토퍼(220)는, 도 8에 참조된 바와 같이, 다이얼 본체(110)에 상하 회전 축을 가지도록 결합된 회동 핀(221)과, 회동 핀(221)의 상단에 고정되고, 다수의 측면 걸림 기어치(160)와 치합되는 기어 본체(223)를 포함할 수 있다.
기어 본체(223)에는, 기어 본체(223)의 치합면을 다수의 측면 걸림 기어치(160)가 구비된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지지 플랩(225)이 다이얼 본체(110) 측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와이어 풀리(150)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도 8에 참조된 바와 같이, 제1 일방향 기어 스토퍼(220)의 치합면 중 둔각으로 형성된 치면(121)과 와이어 풀리(150)의 다수의 측면 걸림 기어치(160)의 치합면 중 둔각으로 형성된 치면(161)이 상호 일방향으로 치합되면서 제1 일방향 기어 스토퍼(120)의 기어 본체(223)가 회동 핀(221)을 중심으로 회전되고, 지지 플랩(225)이 탄성 지지하여 기어 본체(223)가 본래의 위치로 복귀하는 것을 반복하게 된다.
한편, 로터리 노브(130)는, 도 3 내지 도 4b에 참조된 바와 같이, 다이얼 본체(110)에 형성된 작동 공간(111)의 상부를 덮도록 다이얼 본체(110)에 결합되되, 고정되어 있는 상태의 다이얼 본체(110)에 대하여 수평방향으로 상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로터리 노브(13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튼식 다이얼 장치(100)의 상부 외관을 형성함과 아울러, 일방향으로 회전되면서 후술하는 와이어 풀리(150)를 연동하여 일방향 회전시키는 동작으로 와이어(90)를 감김시키는 역할을 한다.
로터리 노브(130)의 상면 중심부에는, 후술하는 푸쉬 노브(170)의 구성 중 푸쉬 블록(178)에 형성된 다수의 푸쉬 핀(175)과 푸쉬 패드(177)가 수용되기 위한 푸쉬 홈(131)이 하방으로 함몰되게 형성될 수 있다. 푸쉬 홈(131)의 바닥면에는 다이얼 본체(110)의 작동 공간(111)과 연통되게 구비되고, 다수의 푸쉬 핀(175)의 선단 부위가 작동 공간(111)으로부터 관통하여 푸쉬 홈(131)의 내부 공간으로 노출되도록 다수의 푸쉬 홀(133)이 형성될 수 있다. 다수의 푸쉬 홀(133)은 푸쉬 홈(131)의 바닥면의 중심을 기준으로 동일한 원주 상에 다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다수의 푸쉬 홀(133)은 다수의 푸쉬 핀(175)의 개수에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로터리 노브(130)의 푸쉬 홈(131)의 바닥면 중심부에는 후술하는 이탈 방지 나사(185)가 관통하여 지지 보스(113)에 형성된 나사 체결홈(115)에 체결될 수 있도록 나사 관통홀(135)이 형성될 수 있다. 로터리 노브(130)는, 이탈 방지 나사(185)에 의하여 다이얼 본체(110)에 대하여 상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로터리 노브(130)의 테두리는, 도 4a 및 도 4b에 참조된 바와 같이, 다이얼 본체(110)의 상단 테두리 및 측면 부위를 덮도록 '갓'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로터리 노브(130)의 하면에는, 후술하는 와이어 풀리(150)의 상면에 형성된 다수의 상면 걸림 기어치(165)와 치합되도록 구비된 다수의 제2 일방향 기어 스토퍼(145)가 형성될 수 있다. 다수의 제2 일방향 기어 스토퍼(145) 또한 일방향 기어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로터리 노브(130)의 제2 일방향 기어 스토퍼(145)와 와이어 풀리(150)의 다수의 상면 걸림 기어치(165)의 치합면 중 예각으로 형성된 치면(123,163)이 상호 치합된 상태에서 로터리 노브(130)가 일방향으로 회전 시 와이어 풀리(150)가 연동하여 일방향으로 회전되고, 로터리 노브(130)의 제2 일방향 기어 스토퍼(145)와 와이어 풀리(150)의 다수의 상면 걸림 기어치(165)의 치합면 중 둔각으로 형성된 치면(도면부호 미표기)이 상호 치합된 상태에서 로터리 노브(130)가 타방향으로 회전 시 와이어 풀리(150)와는 별도로 로터리 노브(130)만이 타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한편, 와이어 풀리(150)는, 도 3 내지 도 4b에 참조된 바와 같이, 작동 공간(111)에서 관통홀(151)을 관통하여 설치된 푸쉬 노브(170)를 중심축으로 하여 일방향 회전 또는 타방향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아울러, 와이어 풀리(150)는, 도 3 내지 도 4b에 참조된 바와 같이, 작동 공간(111)에서 상측 또는 하측으로 상하 무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와이어 풀리(150)의 상하 무빙 동작에 대해서는 뒤에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와이어 풀리(150)의 외주면에는, 다이얼 본체(110)의 내부로 삽입된 와이어(90)의 일부가 감김되는 감김 홈(153)이 내측 중심을 향하여 함몰되게 형성될 수 있다. 와이어 풀리(150)가 일방향으로 회전할 때에는 와이어(90)가 감김 홈(153)에 감김되면서 밴드(40)를 다이얼 본체(110) 측으로 이동시켜 교정 환자의 척추 만곡 부위를 압박하게 되고, 교정 환자에 작용하던 압박이 해제되면, 반대로 와이어(90)의 풀림력으로 작용하여 와이어 풀리(150)가 타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와이어(90)가 감김 홈(153)으로부터 풀리게 된다.
와이어 풀리(150)의 감김 홈(153)의 상측에는, 상술한 제1 일방향 기어 스토퍼(120)와 마찬가지로, 일방향 기어치 형상의 다수의 측면 걸림 기어치(160)가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와이어 풀리(150)의 감김 홈(153)의 상측에 형성된 다수의 측면 걸림 기어치(160)는, 와이어 풀리(150)의 일방향 회전 방향으로는 원주면에 대하여 둔각을 형성함으로써 제1 일방향 기어 스토퍼(120)의 치합면 중 둔각을 형성하는 치면(121)과 접촉되고, 와이어 풀리(150)의 타방향 회전 방향으로는 원주면에 대하여 예각을 형성함으로써 제1 일방향 기어 스토퍼(120)의 치합면 중 예각을 형성하는 치면(123)과 접촉되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와이어 풀리(150)의 다수의 측면 걸림 기어치(160) 중 둔각을 형성하는 부분이 제1 일방향 기어 스토퍼(120)의 둔각을 형성하는 치면(121)과 접촉될 때, 제1 일방향 기어 스토퍼(120)가 형상 변형되어 외측으로 밀리게 되면 와이어 풀리(150)는 일방향으로는 회전이 가능한 반면, 와이어 풀리(150)의 다수의 측면 걸림 기어치(160) 중 예각을 형성하는 치면(163)은 제1 일방향 기어 스토퍼(120)의 예각을 형성하는 치면(123)과 접촉되어 타방향 회전이 방지됨으로써, 실질적으로 와이어 풀리(150)는 일방향으로만 회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와이어 풀리(150)의 상측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되 로터리 노브(130)의 일방향 회전 시 로터리 노브(130)와 간섭되도록 배치된 다수의 상면 걸림 기어치(165)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의 다수의 상면 걸림 기어치(165) 또한 상술한 일방향 기어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와이어 풀리(150)의 외주면에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와이어(90)가 감김되도록 내측을 향하여 함몰되게 형성된 감김 홈(153) 및 감김 홈(153)과 제1 일방향 기어 스토퍼(120) 사이를 구획하도록 형성된 와이어 꼬임 방지부(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와이어 꼬임 방지부에 의하여 감김 홈(153)에 감김된 와이어(90)가 제1 일방향 기어 스토퍼(120) 측으로 침입하는 것이 방지되어 와이어 풀리(150)의 회전 작동이 원활하게 회전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와이어 풀리(150)의 중심부에 형성된 관통홀(151)에는, 도 4a 및 도 4b에 참조된 바와 같이, 푸쉬 노브(170)가 상하로 관통되게 설치될 수 있다.
푸쉬 노브(170)는, 도 3 내지 도 4b에 참조된 바와 같이, 다이얼 본체(110)의 중심부에 상측으로 탄성 지지되고, 와이어 풀리(150)의 중심부에 형성된 관통홀(151)의 내측 테두리 단부 하면을 상측으로 지지하는 상하 무빙 블록(171)과, 상하 무빙 블록(171)의 상측에 배치되되, 로터리 노브(130)를 상하로 관통하도록 구비된 다수의 푸쉬 홀(133)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게 다수의 푸쉬 핀(175)이 구비된 푸쉬 블록(178)과, 로터리 노브(130)의 외측으로 노출된 다수의 푸쉬 핀(175)의 단부에 결합된 푸쉬 패드(177)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하 무빙 블록(171)의 중심부에는, 다이얼 본체(110)에 형성된 지지 보스(113)가 관통되도록 보스 관통부(172)가 상하로 관통되도록 형성되고, 지지 보스(113)의 외주면의 안내를 받아 상하 방향으로 무빙 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상하 무빙 블록(171)은, 지지 보스(113)의 외주면에 개재되되 다이얼 본체(110)의 바닥면에 하단이 지지된 탄성부재(180)의 상단에 의하여 상측으로 탄성 지지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아울러, 상하 무빙 블록(171)의 외측 테두리 단부 중 상면은, 와이어 풀리(150)의 관통홀(151) 중 내측 테두리 단부 하면을 상측으로 지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하 무빙 블록(171)과 와이어 풀리(150)는, 다이얼 본체(110)의 작동 공간(111) 내에서 탄성부재(180)에 의하여 탄성 지지된 채로 떠 있는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하 무빙 블록(171)과 와이어 풀리(150)가 탄성부재(180)에 의하여 작동 공간(111) 내에서 떠 있는 상태를 '상대적으로 상측으로 상하 무빙 가능'한 것으로 정의하고, 반대로 상하 무빙 블록(171)과 와이어 풀리(150)가 푸쉬 노브(170)에 의하여 탄성부재(180)의 탄성력을 극복하면서 작동 공간(111) 내에서 하방으로 이동된 상태를 '상대적으로 하측으로 상하 무빙 가능'한 것으로 정의할 수 있다.
한편, 푸쉬 블록(178)은, 도 4a 및 도 4b에 참조된 바와 같이, 다이얼 본체(110)의 작동 공간(111) 내에 배치되되, 상하 무빙 블록(171)의 상단과 와이어 풀리(150)의 상단을 동시에 지지하도록 구비된 지지 플레이트(173)와, 지지 플레이트(173)의 상면에 상측으로 돌출되되, 로터리 노브(130)의 푸쉬 홈(131)에 형성된 다수의 푸쉬 홀(133)을 관통하여 선단이 푸쉬 홈(131)의 내부 공간으로 노출되는 다수의 푸쉬 핀(175)을 포함할 수 있다. 다수의 푸쉬 핀(175)의 선단에는 상술한 푸쉬 패드(177)의 하면과 결합될 수 있다.
지지 플레이트(173)는 원형 링 형상으로 형성되고, 하부에 위치된 다이얼 본체(110)의 지지 보스(113) 및 상부에 위치된 로터리 노브(130)가 이탈 방지 나사(185)에 의하여 상호 연결되도록 중심부가 상하로 관통된 연결홀(174)이 형성될 수 있다.
지지 플레이트(173)는 연결홀(174)에 인접하는 하면이 상하 무빙 블록(171)의 상면 테두리에 지지됨과 동시에, 지지 플레이트(173)의 외주단에 인접하는 하면이 와이어 풀리(150)에 형성된 관통홀(151)에 인접하는 내측 테두리 상면에 지지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푸쉬 노브(170)는, 도 4a 및 도 4b에 참조된 바와 같이, 교정 환자가 푸쉬 패드(177)를 푸쉬 작동시키면, 푸쉬 블록(178)이 하방으로 무빙되되, 다수의 푸쉬 핀(175)이 다수의 푸쉬 홀(133)을 따라 각각 안내받으면서 하방으로 이동됨과 동시에 지지 플레이트(173)가 상하 무빙 블록(171)과 로터리 노브(130)를 동시에 하방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즉, 푸쉬 패드(177)의 푸쉬 작동에 의하여 푸쉬 블록(178)이 하방으로 이동되면, 도 5에 참조된 바와 같이, 상하 무빙 블록(171)과 와이어 풀리(150)가 동시에 상대적으로 하측으로 상하 무빙되어 다이얼 본체(110)의 제1 일방향 기어 스토퍼(120)와 와이어 풀리(150)의 다수의 측면 걸림 기어치(160)의 치합이 해제됨과 아울러, 로터리 노브(130)의 제2 일방향 기어 스토퍼(145)와 와이어 풀리(150)의 다수의 상면 걸림 기어치(165)의 치합이 해제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버튼식 다이얼 장치의 일 실시예(100)의 작동 과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3a에 참조된 바와 같이, 교정 환자의 푸쉬 노브(170)에 대한 외력이 제공되지 않는 상태에서는, 탄성부재(180)의 상부 탄성 지지력에 의하여 푸쉬 노브(170)의 상하 무빙 블록(171) 및 와이어 풀리(150)가 작동 공간(111) 내에서 상대적으로 상측으로 상하 무빙된다. 이때, 다이얼 본체(110)에 구비된 제1 일방향 기어 스토퍼(120)와 와이어 풀리(150)의 다수의 측면 걸림 기어치(160)가 상호 치합될 수 있다. 아울러, 로터리 노브(130)에 구비된 제2 일방향 기어 스토퍼(145)와 와이어 풀리(150)의 다수의 상면 걸림 기어치(165)가 상호 치합될 수 있다. 따라서, 교정 환자는 로터리 노브(130)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동작으로 와이어(90)를 와이어 풀리(150)의 감김 홈(153)에 감김시키는 동작으로 교정 환자의 척추 만곡 부위를 압박시킬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도 3b에 참조된 바와 같이, 교정 환자가 푸쉬 노브(170) 중 푸쉬 패드(177)를 푸쉬 작동시키면, 교정 환자의 푸쉬력은 순차적으로 푸쉬 블록(178)과 상하 무빙 블록(171) 및 와이어 풀리(150)에 전달되어 와이어 풀리(150)가 상대적으로 하측으로 상하 무빙된다. 이때, 다이얼 본체(110)에 구비된 제1 일방향 기어 스토퍼(120)와 와이어 풀리(150)의 다수의 측면 걸림 기어치(160)의 치합이 해제될 수 있다. 또한, 로터리 노브(130)에 구비된 제2 일방향 기어 스토퍼(145)와 와이어 풀리(150)의 다수의 상면 걸림 기어치(165)의 치합이 해제될 수 있다. 따라서, 교정 환자에 대한 압박력이 해제되면서 와이어 풀리(150)가 타방향으로 회전되어 감김 홈(153)에 감김되어 있는 와이어(90)가 자동으로 풀리게 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버튼식 다이얼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버튼식 다이얼 장치의 다른 실시예는, 도 9 및 도 10에 참조된 바와 같이, 다이얼 본체(110)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되고, 다이얼 본체(110)의 내부에 삽입되지 않은 와이어(90)의 일부와 연결되며, 의복부(10) 또는 밴드(40)에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 패널(190A)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 패널(190A)은, 도 9에 참조된 바와 같이, 각각 밴드(40)의 내측면에 배치되는 이너 고정부(191)와 밴드(40)의 외측면에 배치되는 아우터 고정부(193)를 포함하고, 밴드(40)는 이너 고정부(191) 및 아우터 고정부(193) 사이에 위치되어 재봉 방식으로 상호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고정 패널의 밴드(40)에 대한 연결 방식이 재봉 방식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와이어(90)를 통하여 교정 환자에게 압박력을 용이하게 공급할 수 있는 정도의 결합 방식이라면 여하한 결합 방식의 채택도 가능함은 당연하다고 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버튼식 다이얼 장치의 다른 실시예에서, 다이얼 본체(110)는, 도 9 및 도 10에 참조된 바와 같이, 하부에 결합되되, 밴드(40)에의 고정을 위해 밴드(40)의 내측면에 구비된 이너 플레이트(119) 및 밴드(40)의 외측면에 구비된 아우터 플레이트(11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너 플레이트(119)와 아우터 플레이트(118)는, 상술한 고정 패널(190A)과 마찬가지로 밴드(40)에 다양한 결합 방식으로 결합됨으로써, 다이얼 본체(110)를 밴드(40)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버튼식 다이얼 장치의 다른 실시예는, 상술한 일 실시예(100)와 마찬가지로, 다이얼 본체(110), 와이어 풀리(150), 로터리 노브(130) 및 푸쉬 노브(170)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각 구성들은 그 기능 및 구조가 대동소이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일 실시예(100)의 설명으로 갈음하기로 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척추 보조 기구 10: 의복부
40: 밴드 90: 와이어
100,100A: 버튼식 다이얼 장치 110: 다이얼 본체
111: 작동 공간 113: 지지 보스
115: 나사 체결홈 120: 제1 일방향 기어 스토퍼
125: 절개부 130: 로터리 노브
131: 푸쉬 홈 145: 제2 일방향 기어 스토퍼
150: 와이어 풀리 151: 관통홀
153: 감김 홈 160: 다수의 측면 걸림 기어치
165: 다수의 상면 걸림 기어치 170: 푸쉬 노브
171: 상하 무빙 블록 177: 푸쉬 패드
178: 푸쉬 블록 180: 탄성부재
185: 이탈 방지 나사 190,190A: 고정 패널
220: 제1 일방향 기어 스토퍼 221: 회동 핀
223: 기어 본체 225: 지지 플랩

Claims (12)

  1. 단수 개로서 폐회로를 형성하는 단일의 와이어;
    상기 와이어의 일부가 삽입되어 감김되거나 풀리도록 내부에 작동 공간이 형성된 다이얼 본체;
    상기 다이얼 본체의 작동 공간에서 회전 가능함과 아울러, 상기 다이얼 본체의 작동 공간 중 상대적으로 상측 및 상대적으로 하측으로 상하 무빙 가능하게 구비되되, 일방향 회전시 상기 와이어가 외주면에 감김되고, 타방향 회전시 상기 와이어가 외주면으로부터 풀림되도록 구비된 와이어 풀리;
    상기 와이어 풀리의 중앙 상측에 구비되고, 상기 다이얼 본체의 작동 공간 중 상대적으로 상측에 위치된 상기 와이어 풀리를 상기 다이얼 본체의 작동 공간 중 상대적으로 하측으로 푸쉬하는 푸쉬 노브; 및
    상기 다이얼 본체의 상측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되, 상기 와이어 풀 리가 상대적으로 상측에 위치된 경우 상기 와이어 풀리와 걸림되어 상기 일방향으로 상기 와이어 풀리를 회전시켜 상기 와이어를 감김시키고 상대적으로 하측에 위치된 경우 상기 와이어 풀리와의 걸림이 해제되어 상기 타방향으로 상기 와이어 풀리가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된 로터리 노브; 를 포함하는, 버튼식 다이얼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다이얼 본체는 교정 환자가 착용하는 요추 밴드 및 흉추 밴드 중 어느 하나(이하, '밴드'라 약칭함)에 결합되고,
    상기 다이얼 본체에 삽입되지 않은 상기 와이어의 나머지는 상기 폐회로를 형성한 채로 상기 다이얼 본체와 소정거리 이격된 상기 밴드에 고정되는, 버튼식 다이얼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다이얼 본체의 하부에는, 상기 밴드에의 고정을 위해 상기 밴드의 내측면에 구비된 이너 플레이트 및 상기 밴드의 외측면에 구비된 아우터 플레이트가 결합된, 버튼식 다이얼 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다이얼 본체에 삽입되지 않은 상기 와이어의 나머지를 상기 다이얼 본체와 소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해당하는 상기 밴드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 패널; 을 더 포함하는, 버튼식 다이얼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고정 패널은, 상기 다이얼 본체에 삽입되지 않은 상기 와이어의 나머지 부분의 다수 개소에 연결되도록 다수 개로 구비된, 버튼식 다이얼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다이얼 본체에는, 상기 작동 공간에 구비되되, 상기 와이어 풀리가 일방향으로만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와이어 풀리와 치걸림되게 적어도 하나의 제1 일방향 기어 스토퍼가 형성되고,
    상기 와이어 풀리의 외주면에는, 상기 제1 일방향 기어 스토퍼와 걸림 가능하게 구비된 다수의 측면 걸림 기어치가 형성된, 버튼식 다이얼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1 일방향 기어 스토퍼는 상기 다이얼 본체에 일체로 사출 성형되되, 상기 다수의 측면 걸림 기어치와의 간섭 시 형상 변형되도록 상기 다이얼 본체와 상기 제1 일방향 기어 스토퍼 사이에 절개부가 형성된, 버튼식 다이얼 장치.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1 일방향 기어 스토퍼는 상기 다이얼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되,
    상기 다이얼 본체에 상하 회전 축을 가지도록 결합된 회동 핀; 및
    상기 회동 핀의 상단에 고정되고, 상기 다수의 측면 걸림 기어치와 치합되는 기어 본체; 를 포함하고,
    상기 기어 본체에는, 상기 기어 본체의 치합면을 상기 다수의 측면 걸림 기어치가 구비된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지지 플랩이 상기 다이얼 본체 측으로 연장 형성된, 버튼식 다이얼 장치.
  9.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풀리의 외주면에는,
    상기 와이어가 감김되도록 내측을 향하여 함몰되게 형성된 감김 홈 및 상기 감김 홈과 상기 제1 일방향 기어 스토퍼 사이를 구획하도록 형성된 와이어 꼬임 방지부가 형성된, 버튼식 다이얼 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풀리의 상측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되 상기 로터리 노브의 일방향 회전 시 상기 로터리 노브와 간섭되도록 배치된 다수의 상부 걸림 기어치가 형성되고,
    상기 로터리 노브의 하면에는, 상기 와이어 풀리에 구비된 상기 다수의 상부 걸림 기어치와 치합되는 다수의 제2 일방향 기어 스토퍼가 형성된, 버튼식 다이얼 장치.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푸쉬 노브는,
    상기 다이얼 본체의 중심부에 배치된 탄성부재에 의하여 상측으로 탄성 지지되고, 상기 와이어 풀리의 중심부에 형성된 관통홀의 내측 테두리 단부 하면을 상측으로 지지하는 상하 무빙 블록;
    상기 상하 무빙 블록의 상측에 배치되되, 상기 로터리 노브를 상하로 관통하도록 구비된 다수의 푸쉬 홀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게 다수의 푸쉬 핀이 구비된 푸쉬 블록; 및
    상기 로터리 노브의 외측으로 노출된 상기 다수의 푸쉬 핀의 단부에 결합된 푸쉬 패드; 를 포함하는, 버튼식 다이얼 장치.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로터리 노브의 외부 이탈을 방지하고, 상기 상하 무빙 블록 및 상기 푸쉬 블록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하는 이탈 방지 나사; 를 더 포함하는, 버튼식 다이얼 장치.
KR1020180150952A 2018-11-29 2018-11-29 버튼식 다이얼 장치 KR20200064635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0952A KR20200064635A (ko) 2018-11-29 2018-11-29 버튼식 다이얼 장치
JP2018239822A JP2020081829A (ja) 2018-11-29 2018-12-21 ボタン式ダイヤル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0952A KR20200064635A (ko) 2018-11-29 2018-11-29 버튼식 다이얼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4635A true KR20200064635A (ko) 2020-06-08

Family

ID=709052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0952A KR20200064635A (ko) 2018-11-29 2018-11-29 버튼식 다이얼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020081829A (ko)
KR (1) KR2020006463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3129B1 (ko) * 2020-10-16 2021-01-15 대한민국 다이얼식 지혈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060033B2 (ja) * 2020-04-07 2022-04-26 株式会社三洋物産 遊技機
JP7060035B2 (ja) * 2020-05-07 2022-04-26 株式会社三洋物産 遊技機
JP7060036B2 (ja) * 2020-05-07 2022-04-26 株式会社三洋物産 遊技機
CN112498670B (zh) * 2020-12-06 2022-07-08 山东省十里香芝麻制品股份有限公司 芝麻全自动植保无人机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0973B1 (ko) 2010-04-14 2011-10-06 하병욱 척추보조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269479A1 (en) * 2009-06-30 2011-01-05 Campagnolo Sportswear S.r.l. Lace-like closing device for cycling shoe
KR102218437B1 (ko) * 2013-07-10 2021-02-22 보아 테크놀러지, 인크. 물품을 조이기 위한 폐쇄 시스템
US10617546B2 (en) * 2015-02-27 2020-04-14 F.G.P. S.R.L. Manually operated rotative locking device for orthopedic orthoses or brace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0973B1 (ko) 2010-04-14 2011-10-06 하병욱 척추보조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3129B1 (ko) * 2020-10-16 2021-01-15 대한민국 다이얼식 지혈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0081829A (ja) 2020-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64635A (ko) 버튼식 다이얼 장치
CN102198010B (zh) 植入型舌牵拉装置、牵引板、牵引线、牵拉器及方法
EP1743607A1 (en) Hip orthosis for preventing the dislocation of a hip joint
US20110082550A1 (en) Intervertebral fixation device
KR20200077094A (ko) 착용식 신체 교정 장치
KR101488669B1 (ko) 허리지지대 구조
KR101563149B1 (ko) 의료용 복대
KR101074235B1 (ko) 각도 조절과 상하 길이 조절이 자유로운 척추보조기
KR20070068986A (ko) 척추간 삽입체
KR102183964B1 (ko) 허리 보호 벨트
KR102322350B1 (ko) 착용식 신체 교정 장치
US20130274800A1 (en) Spinal Column Correction Device
KR20190093057A (ko) 척추측만증 환자용 비대칭 척추보조기구
CN105658184A (zh) 颈部环管
KR101647439B1 (ko) 경추와 흉추의 만곡을 유지하는 쿠션
KR101955369B1 (ko) 기능성 골반교정기기
KR102613086B1 (ko) 척추 후만증 교정기
KR101469742B1 (ko) 새가슴 교정기
KR200476376Y1 (ko) 인체공학적 구조를 갖는 의료용 복대
KR200383241Y1 (ko) 자세 교정 보조구
US11944563B2 (en) Wearable device for body correction
KR101739073B1 (ko) 두상 교정모
KR200406497Y1 (ko) 자세교정구
CN217886317U (zh) 可调式膝关节支具
KR100495832B1 (ko) 척추측만증 교정기용 교정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