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64602A - Nasolacrimal duct insertion tool with endoscope insertion - Google Patents

Nasolacrimal duct insertion tool with endoscope inser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64602A
KR20200064602A KR1020180150870A KR20180150870A KR20200064602A KR 20200064602 A KR20200064602 A KR 20200064602A KR 1020180150870 A KR1020180150870 A KR 1020180150870A KR 20180150870 A KR20180150870 A KR 20180150870A KR 20200064602 A KR20200064602 A KR 202000646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doscope
fiber
nasolacrimal duct
insertion pin
insertion to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087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204175B1 (en
Inventor
신중원
박정섭
이윤석
김현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에스엠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에스엠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에스엠티
Priority to KR10201801508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4175B1/en
Publication of KR202000646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460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41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417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07Methods or devices for eye surgery
    • A61F9/00772Apparatus for restoration of tear duc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holding wounds open; Tractors
    • A61B17/0231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holding wounds open; Tractors for eye surg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68Trocars; Puncturing needles for implanting or removing devices, e.g. prostheses, implants, seeds, wi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7/00Drainage appliance for wounds or the like, i.e. wound drains, implanted drains
    • A61M27/002Implant devices for drainage of body fluids from one part of the body to anoth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Otolaryng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Pathology (AREA)
  • Plastic & Reconstructive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ndoscop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asolacrimal canal insertion tool to insert an endoscope therethrough, which comprises: a fiber inserted into a nasolacrimal canal and configured to transfer tear; a first insertion pin connected to one end of the fiber to be inserted into a fistulous opening; and a second insertion pin connecting one side and the other end of the fiber and including an endoscope insertion channel designated to insert the endoscope thereinto.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nasolacrimal canal insertion tool to insert the endoscope therethrough enables a doctor to perform treatment while securing vision along a tear discharge path through a fine-diameter endoscope, thereby providing an effect of increasing precision, safety, and reliability.

Description

내시경 삽입 가능한 비루관 삽입 도구{Nasolacrimal duct insertion tool with endoscope insertion}Nasolacrimal duct insertion tool with endoscope insertion

본 발명은 내시경 삽입 가능한 비루관 삽입 도구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비루관 폐쇄시 비루관 확장을 위해 사용되는 내시경 삽입 가능한 비루관 삽입 도구에 관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ndoscopic insertable nasolacrimal tube insertion tool, and more particularly, to an endoscopic insertable nasolacrimal tube insertion tool used for expansion of the nasolacrimal tube when the nasolacrimal canal is closed.

눈물샘으로부터 생성된 눈물은 비루관과 비도를 통하여 배출된다. 구체적으로 안구주변의 눈물은 위아래 눈꺼풀 각각에 누공으로 흘러들어 누낭에 모이게 된다. 누낭에 모인 눈물은 비루관을 지나 비도로 배출이 된다. 이러한 눈물의 배출 경로 중 일부가 좁아지거나 막히는 경우 눈물의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염증이 발생하거나 눈곱이 많이 발생하여 치료를 요하게 된다.The tears generated from the tear glands are discharged through the nasal passages and nasal passages. Specifically, tears around the eyeballs flow into the fistula on each of the upper and lower eyelids and collect in the fistula. Tears collected in the fistula are discharged through the nasal passages into the nasal passages. If a part of these tear discharge paths are narrowed or blocked, the tears are not smoothly discharged, causing inflammation or a lot of eyebrows, requiring treatment.

특히 비도에서 눈물의 배출이 원활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좁아진 병변부위를 확장하면서 눈물의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누공과 비루관 및 비도를 통하여 치료도구를 삽입하며, 충분히 확장된 경우 이를 제거하는 치료방법이 수행되고 있다. 이와 같은 종래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846532호(2018.04.09. 공고)가 개시되어 있다.In particular, when tears are not smoothly discharged from the nasal passages, treatment tools are inserted through fistulas, nasolacrimal ducts, and nasal passages to expand the narrowed lesions while smoothly discharging the tears. Is becoming. 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846532 (announced April 9, 2018) is disclosed as such a prior art.

그러나 전술한 종래기술은 누공 및 비루관을 통하여 삽입된 치료도구를 의사의 감각에만 의지하여 치료를 수행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technique has a problem in that the treatment tool inserted through the fistula and the nasolacrimal duct is relying only on the senses of the doctor.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846,532 호(2018.04.09. 공개)Republic of Korea Registered Patent No. 1,846,532 (published April 9, 2018)

본 발명은 종래의 눈물의 배출경로에 대하여 의사의 감각에만 의지하여 치료가 수행되는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도록 내시경으로 눈물 배출경로를 따라 시야 확보를 하면서 치료할 수 있는 내시경 삽입 가능한 비루관 삽입 도구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ndoscope insertable nasolacrimal duct insertion tool that can be treated while securing a field of view along the tear discharge path with an endoscope so as to improve the problem that treatment is performed by relying only on the senses of a doctor with respect to a conventional tear discharge path. That has its purpose.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서, 비루관에 삽입되며, 눈물이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파이버, 파이버의 일단에 연결되어 누공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제 1삽입핀 및 일측이 파이버의 타단에 연결되며, 내측으로 내시경이 삽입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내시경 삽입채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2 삽입핀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내시경 삽입 가능한 비루관 삽입 도구가 제공될 수 있다.As a means of solving the above problem, it is inserted into the nasolacrimal duct, a fiber configured to allow tears to move, a first insertion pin configured to be inserted into a fistula connected to one end of the fiber, and one side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fiber, inside An endoscope insertable nasolacrimal duct insertion tool including a second insertion pin configured to include an endoscope insertion channel configured to allow an endoscope to be inserted may be provided.

여기서, 내시경 삽입채널은 제2 삽입핀이 누공으로 삽입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내시경을 삽입할 수 있도록 측면에 형성된 입구 및 끝단에 구비된 출구와 연결될 수 있다.Here, the endoscope insertion channel may be connected to an outlet provided at an end and an end formed at a side to insert the endoscope in a state where the second insertion pin is inserted into the fistula.

한편, 입구는 내시경의 삽입시 과도하게 구부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제2 삽입핀과 소정 각도를 이루어 형성될 수 있다.Meanwhile, the inlet may be form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the second insertion pin to prevent excessive bending when the endoscope is inserted.

한편, 파이버는 다발로 구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fiber may be composed of a bundle.

한편, 제2 삽입핀은 입구의 모서리 중 적어도 일부가 라운딩 가공될 수 있다.Meanwhile, at least a part of the corners of the entrance of the second insertion pin may be rounded.

한편, 제2 삽입핀은 외경이 2mm 이하로 구성되며, 내시경 삽입채널은 내경이 0.5mm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Meanwhile, the second insertion pin may have an outer diameter of 2 mm or less, and the endoscope insertion channel may have an inner diameter of 0.5 mm or more.

한편, 누도에 설치된 위치에서 비도의 위치에 대응되는 지점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확장튜브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t may be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extension tube provided at a point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of the nasal passage from the position installed on the road.

한편, 파이버는 확장튜브의 내측을 관통하여 설치될 수 있다.Meanwhile, the fiber may be installed through the inside of the extension tube.

한편, 내시경 삽입채널은 내시경이 삽입된 상태에서 irrigation이 가능하도록 상기 내시경의 외면과 내시경 삽입채널의 내면 사이에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endoscope insertion channel may be formed with a space between the outer surface of the endoscope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endoscope insertion channel so that irrigation is possible while the endoscope is inserted.

한편, 파이버는 PLLA(Poly(L-lactide))로 구성될 수 있다.Meanwhile, the fiber may be composed of PLLA (Poly (L-lactide)).

한편, 제1 삽입핀 및 제2 삽입핀은 SUS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Meanwhile, the first insertion pin and the second insertion pin may be made of SUS material.

본 발명에 따른 내시경 삽입 가능한 비루관 삽입 도구는 눈물 배출경로를 따라 세경내시경을 이용하여 시야를 확보해가면서 치료할 수 있으므로 정확성과 안정성 및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endoscopic insertable nasolacrimal duct insertion to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the accuracy, stability and reliability because it can be treated while securing the field of view using a narrow endoscopic tube along the tear discharge path.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제2 삽입핀의 확대도이다.
도 3은 도 1의 제2 삽입핀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제2 삽입핀에 내시경이 삽입된 모습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5는 비루관 및 비도가 나타난 개념도이다.
도 6은 제1 실시예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7은 제1 실시예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8은 제1 실시예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9는 제1 실시예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on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nlarged view of the second insertion pin of FIG. 1.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econd insertion pin of FIG. 1.
FIG. 4 is a view showing an endoscope inserted into the second insertion pin of FIG. 1.
5 is a conceptual view showing a nasolacrimal duct and a nasal passage.
6 is a usage state diagram of the first embodiment.
7 is a use state diagram of the first embodiment.
8 is a usage state diagram of the first embodiment.
9 is a use state diagram of the first embodiment.
10 is a perspective view of another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내시경 삽입 가능한 비루관 삽입 도구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이하의 실시예의 설명에서 각각의 구성요소의 명칭은 당업계에서 다른 명칭으로 호칭될 수 있다. 그러나 이들의 기능적 유사성 및 동일성이 있다면 변형된 실시예를 채용하더라도 균등한 구성으로 볼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구성요소에 부가된 부호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들 부호가 기재된 도면상의 도시 내용이 각각의 구성요소를 도면내의 범위로 한정하지 않는다. 마찬가지로 도면상의 구성을 일부 변형한 실시예가 채용되더라도 기능적 유사성 및 동일성이 있다면 균등한 구성으로 볼 수 있다. 또한 당해 기술 분야의 일반적인 기술자 수준에 비추어 보아, 당연히 포함되어야 할 구성요소로 인정되는 경우, 이에 대하여는 설명을 생략한다.Hereinafter, an endoscopic insertable nasolacrimal duct insertion to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the names of each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other names in the art. However, if they have functional similarity and identity, even if a modified embodiment is employed, it can be regarded as an even configuration. In addition, reference numerals added to each component are describ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However, the illustrated contents on the drawings in which these codes are described do not limit each component to the range in the drawing. Similarly, even if an embodiment in which some modifications of the configuration on the drawings are employed, it can be regarded as an equivalent configuration if there is functional similarity and identity. In addition, in light of the level of general skill in the art, if it is recognized as a component to be included, description of it will be omitted.

이하에서 설명하는 내시경은 광 파이버 또는 CMOS 센서가 구비된 내시경이 될 수 있으며, 삽입부가 연성재질로 구성되어 변성이 되더라도 영상을 확보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내시경의 외경은 2mm 이하로 구성되어 비루관에 삽입되더라도 조직에 손상을 가하지 않는 두께로 구성될 수 있다. 누공의 직경에 개인차가 있으므로 1.5mm 이내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endoscope described below may be an endoscope equipped with an optical fiber or a CMOS sensor, and may be configured to secure an image even if the insertion part is made of a flexible material and is denatured. In addition, the outer diameter of the endoscope is composed of 2mm or less, even if inserted into the nasolacrimal duct, it can be configured to a thickness that does not damage the tissue. Since there are individual differences in the diameter of the fistula, it is preferable to be configured within 1.5 mm.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며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인 내시경 삽입 가능한 비루관 삽입 도구(100)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S. 1 to 4, an endoscopic insertable nasolacrimal duct insertion tool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제2 삽입핀(4)의 확대도이다. 도 3은 도 1의 제2 삽입핀(4)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제2 삽입핀(4)에 내시경(200)이 삽입된 모습이 도시된 도면이다.1 is a plan view of on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nlarged view of the second insertion pin 4 of FIG. 1.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econd insertion pin 4 of FIG. 1. 4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endoscope 200 is inserted into the second insertion pin 4 of FIG. 1.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내시경(200) 삽입 가능한 비루관 삽입 도구(100)는 파이버(1), 확장튜브(2), 제1 삽입핀(3) 및 제2 삽입핀(4)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비루관(302) 삽입도구는 누공(301)으로부터 비강까지 통과하는 과정에서 조직에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전체적으로 외측으로 돌출되는 부분 없이 구성될 수 있다.As shown, the endoscope 200 insertable nasolacrimal tube insertion too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ber 1, an extension tube 2, a first insertion pin 3 and a second insertion pin 4 Can be configured. The nasolacrimal tube 302 insertion tool may be configured without a portion protruding outward as a whole to prevent damage to tissue in the process of passing from the fistula 301 to the nasal cavity.

파이버(1)는 삽입 도구가 설치된 위치에서 안구에 분포하는 눈물이 파이버(1)를 따라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파이버(1)는 비루관(302) 및 비도(303)를 따라 자연스럽게 배치될 수 있도록 변형가능한 재질로 구성된다. 눈물은 파이버(1)의 표면 또는 파이버(1)의 내측 공간을 따라서 이동된다. 이때 모세관 현상이 발생하게 되어 별도의 에너지를 전달하지 않더라도 눈물이 이동될 수 있다. 파이버(1)는 모세관 현상이 발생될 수 있도록 표면적이 넓게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다수의 파이버(1)가 하나 의 다발로 구성되어 넓은 표면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내측으로 공간이 형성되어 내측을 통한 이동 또한 이루어질 수 있다. 파이버(1)는 누공(301)으로부터 콧구멍까지의 눈물이 이동경로의 길이보다 두 배 이상이 될 수 있다. 파이버(1)의 양단은 각각 누공(301)에 삽입되어 비도(303)를 통하여 콧구멍으로 통과된 상태에서 수일 내지 수개월동안 고정되며, 치료기간동안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설치된 상태에서 말단을 서로 묶어 고정될 수 있는 길이로 구성될 수 있다. 파이버(1)는 의료용 섬유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일 예로 PLLA(Poly(L-lactide))섬유로 구성될 수 있다.The fiber 1 is configured such that tears distributed in the eyeball at the position where the insertion tool is installed can move along the fiber 1. The fiber 1 is made of a deformable material so that it can be naturally arranged along the nasal passage 302 and nasal passage 303. Tears are moved along the surface of the fiber 1 or the inner space of the fiber 1. At this time, a capillary phenomenon occurs, and tears may move even if no separate energy is transmitted. The fiber 1 may have a large surface area so that a capillary phenomenon can occur. As an example, a plurality of fibers 1 may be configured as a single bundle and may have a large surface area. In addition, a space may be formed inside, and movement through the inside may also be performed. In the fiber 1, tears from the fistula 301 to the nostrils may be more than twice the length of the movement path. Both ends of the fiber 1 are respectively inserted into the fistula 301 and fixed for several days to months while passing through the nasal passage through the nasal passage 303, and the ends are tied to each other in an installed state so as not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during the treatment period. It may be of a length that can be fixed. The fiber 1 may be made of medical fibers, for example, PLLA (Poly(L-lactide)) fibers.

확장튜브(2)는 삽입 도구가 인체에 설치되었을 때 비도(303)를 확장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확장튜브(2)는 한 쌍으로 구성되어 파이버(1)에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확장튜브(2)는 파이버(1)의 외측을 둘러싸면서 고정되며, 파이버(1)를 따라서 눈물의 이동경로를 확보하면서 비도(303) 확장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확장튜브(2)는 파이버(1)의 중심부분으로부터 양측 단부로 소정거리 떨어진 지점의 두 지점에 파이버(1)와 연결될 수 있다. 소정거리는 누공(301)으로부터 비루관(302)을 통과하여 좁아진 비도(303) 부분까지의 거리가 될 수 있다. 해부학적으로 성인의 누공(301)으로부터 비도(303)까지의 거리는 일정범위 내에 분포하게 되므로 통계적인 관점에서 소정거리가 결정될 수 있다. 한편 개인적인 비도(303)까지의 거리의 편차 및 비도(303)관 내부의 좁아진 길이를 반영하여 확장튜브(2)의 길이가 결정될 수 있다. 따라서 확장튜브(2)는 통계적으로 좁아진 비도(303)의 구간보다 더 긴 길이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삽입 도구가 삽입된 위치에서 한 쌍의 확장튜브(2)는 비도(303)의 일정 구간에서 함께 비도(303)관 확장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확장튜브(2)는 탄성재질로 구성되어 좁아진 비도(303)에 삽입되어 복원력을 이용하여 비도(303)의 내경이 확장시킬 수 있다.The expansion tube 2 is configured to expand the nasal cavity 303 when the insertion tool is installed on the human body. The expansion tube 2 may be configured to be fixed to the fiber 1 in a pair. The expansion tube 2 is fixed while surrounding the outside of the fiber 1, and is configured to perform the function of the nasal cavity 303 expansion while securing the movement path of tears along the fiber 1. The extension tube 2 may be connected to the fiber 1 at two points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central portion of the fiber 1 to both ends. The predetermined distance may be a distance from the fistula 301 to the portion of the nasal cavity 303 narrowed through the nasal tube 302. Anatomically, the distance from the fistula 301 of the adult to the nasal cavity 303 is distributed within a certain range, so a predetermined distance can be determined from a statistical point of view. Meanwhile, the length of the extension tube 2 may be determined by reflecting the variation in the distance to the individual nasal cavity 303 and the narrowed length inside the nasal cavity 303 tube. Therefore, the extension tube 2 may be configured to have a length longer than that of the statistically narrowed ratio 303. Therefore, the pair of extension tubes 2 at the position where the insertion tool is inserted can perform the extension function of the nasal passage 303 together in a certain section of the nasal passage 303. The expansion tube 2 is made of an elastic material and is inserted into the narrowed nasal cavity 303, so that the inner diameter of the nasal cavity 303 can be expanded using a restoring force.

제1 삽입핀(3)은 누공(301)을 통하여 비루관(302) 및 비도(303)까지 파이버(1)에 선행하여 삽입되도록 구성된다. 눈물의 이동경로는 3차원적으로 복잡한 형상으로 구성되므로 파이버(1) 자체만을 삽입시키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다. 따라서 경정재질로 구성된 제1 삽입핀(3)을 먼저 누공(301)을 통하여 삽입시키며, 파이버(1)가 제1 삽입핀(3)을 따라서 함께 삽입되도록 구성된다. 제1 삽입핀(3)은 파이버(1)의 일단에 연결되어 구성될 수 있다. 제1 삽입핀(3)은 의료용에 적합할 수 있는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재질로 구성될 수 있으며, 누공(301)에 삽입될 수 있도록 3mm 이하로 구성될 수 있다.The first insertion pin 3 is configured to be inserted prior to the fiber 1 through the fistula 301 to the nasal duct 302 and the nasal passage 303. It is very difficult to insert only the fiber 1 itself because the tear path is composed of three-dimensionally complex shapes. Therefore, the first insertion pin 3 made of a hard crystal material is first inserted through the fistula 301, and the fiber 1 is configured to be inserted together along the first insertion pin 3. The first insertion pin 3 may be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one end of the fiber 1. The first insertion pin 3 may be made of a material suitable for medical use, for example, stainless material, and may be configured to 3 mm or less to be inserted into the fistula 301.

제2 삽입핀(4)은 제1 삽입핀(3)과 같이 누공(301), 비루관(302) 및 비도(303)에 이르는 눈물의 경로를 따라 삽입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제2 삽입핀(4)은 제1 삽입핀(3)과 달리 내시경(200)이 삽입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내시경 삽입채널(41)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2 삽입핀(4)의 일단은 파이버(1)의 끝단 중 제1 삽입핀(3)과 반대편에 설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 삽입핀(4)은 측면측에 입구(42)가 형성되며, 타단에 출구(43)가 형성되어 내시경(200)의 입구(42)와 출구(43)로서 기능할 수 있다.The second insertion pin 4 is configured to be inserted along the path of tears leading to the fistula 301, the nasolacrimal duct 302, and the nasal passage 303 like the first insertion pin 3 is. Unlike the first insertion pin 3, the second insertion pin 4 may include an endoscope insertion channel 41 configured to allow the endoscope 200 to be inserted. One end of the second insertion pin 4 may be configured to be installed opposite to the first insertion pin 3 among the ends of the fiber 1. The second insertion pin 4 is formed with an inlet 42 on the side, and an outlet 43 is formed at the other end, so that it can function as an inlet 42 and an outlet 43 of the endoscope 200.

내시경 삽입채널(41)은 제2 삽입핀(4)이 누공(301)으로 삽입되어 비도(303)까지 도달한 경우 비도(303) 내부를 시각적으로 확인하면서 치료가 이루어 질 수 있도록 내시경(200)이 삽입되는 경로로서 기능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내시경 삽입채널(41)은 입구(42)와 출구(43) 사이를 연결하는 공간이며, 제2 삽입핀(4)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내시경 삽입채널(41)의 내경은 2mm 이하의 세경 내시경(200)이 삽입될 수 있도록 2mm 이하가 될 수 있다. 기술의 발달에 의해 내시경(200)의 외경이 작아지는 만큼 삽입채널의 내경 또한 이에 대응하여 작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내시경 삽입채널(41)을 통하여 irrigation이 수행될 수 있도록 내시경(200)의 외면과 내시경 삽입채널(41) 사이에는 소정간격으로 유격이 형성될 수 있다.The endoscope insertion channel 41 is inserted through the second insertion pin 4 into the fistula 301 to reach the nasal cavity 303, so that the endoscope 200 can be treated while visually checking the inside of the nasal cavity 303. It can function as a path to be inserted. As described above, the endoscope insertion channel 41 is a space connecting between the inlet 42 and the outlet 43, and is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insertion pin 4. The inner diameter of the endoscope insertion channel 41 may be 2 mm or less so that the small diameter endoscope 200 of 2 mm or less can be inserted. As the outer diameter of the endoscope 200 decreases due to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it is preferable that the inner diameter of the insertion channel is also made small correspondingly. In addition, a clearance may be form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between the outer surface of the endoscope 200 and the endoscope insertion channel 41 so that irrigation can be performed through the endoscope insertion channel 41.

입구(42)는 내시경(200)이 제2 삽입핀(4)의 측면으로부터 삽입될 때 과도한 구부러짐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제2 삽입핀(4)의 길이방향의 중심축과 일정 각도로 구성될 수 있다. 파손방지를 위해 일정 각도는 30도 이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입구(42)의 모서리는 내시경(200)과 접촉되어 내시경(200)의 파손을 방지하며, 제2 삽입핀(4)이 비도(303)로 삽입되는 동안 접촉되어 있는 조직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라운딩 처리될 수 있다. The inlet 42 may be configured at a certain angle with the central axi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insertion pin 4 so as to prevent excessive bending when the endoscope 200 is inserted from the side of the second insertion pin 4. have. It is desirable that the angle is within 30 degrees to prevent damage. The edge of the inlet 42 is in contact with the endoscope 200 to prevent damage to the endoscope 200, and to prevent damage to the tissue in contact while the second insertion pin 4 is inserted into the nasal passage 303. So that it can be rounded.

출구(43)는 외부에서 제2 삽입핀(4)의 자세 및 각도를 조절하여 내시경(200)의 시야가 조절될 수 있도록 제2 삽입핀(4)과 동심으로 구성될 수 있다. The outlet 43 may be configured concentrically with the second insertion pin 4 so that the field of view of the endoscope 200 can be adjusted by adjusting the posture and angle of the second insertion pin 4 from the outside.

입구(42)로부터 출구(43)까지의 거리는 제2 삽입핀(4)이 삽입되어 비도(303) 내측에 출구(43)가 위치될 때 입구(42)는 누공(301)에 삽입되지 않을 정도의 거리로 이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되어 제2 삽입핀(4)이 누공(301)으로 삽입되어 비공 내측에 영상을 확보할 수 있도록 외부로부터 내시경(200)을 삽입시키고, 내시경(200)을 사용한 후에 조직의 손상없이 내시경(200)만을 외부로 빼낼 수 있다. The distance from the inlet 42 to the outlet 43 is such that the inlet 42 is not inserted into the fistula 301 when the second insertion pin 4 is inserted and the outlet 43 is located inside the nasal passage 303. It is desirable to be separated by a distance. It is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second insertion pin 4 is inserted into the fistula 301 to insert the endoscope 200 from the outside so as to secure an image inside the nostril, and after using the endoscope 200, the endoscope without tissue damage Only 200 can be taken out.

이하에서는 도 5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인 내시경(200) 삽입 가능한 비루관 삽입 도구(100)의 사용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use of the nasolacrimal duct insertion tool 100 that can be inserted into the endoscope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5 to 9.

도 5는 비루관(302) 및 비도(303)가 나타난 개념도이며, 도 6 내지 도 8은 제1 실시예의 사용상태도이다. 5 is a conceptual view showing the nasal tube 302 and the nasal passage 303, and FIGS. 6 to 8 are state diagrams of the first embodiment.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누공(301)에 삽입된 채로 눈꺼풀을 견인하면서 비루관(302)을 통하여 제2 삽입핀(4)의 끝단을 비도(303) 내에 위치시킨다. 제1 삽입핀(3)은 제2 삽입핀(4)과 유사하게 상측의 누공(301)으로 삽입하여 견인하면서 비루관(302)을 통과시키고 끝단이 비도(303) 내에 위치될 때까지 삽입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제2 삽입핀(4)의 입구(42)로 내시경(200)을 삽입하여 비도(303) 내측의 영상을 획득한다. 비도(303) 내측의 병변부위를 영상으로 확인하면서 제1 삽입핀(3)를 전진시켜 좁아진 비도(303)를 확장시킨다. 이때 다른 조직의 손상을 방지하고 확장할 수 있도록 제1 삽입핀(3)의 자세를 바꾸어가면서 삽입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내시경 삽입채널(41)을 통하여 유체를 공급하여 irrigation이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As illustrated in FIG. 6, the end of the second insertion pin 4 is placed in the nasal passage 303 while pulling the eyelid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fistula 301. The first insertion pin 3 is inserted into the fistula 301 of the upper side similarly to the second insertion pin 4 while being pulled, passes through the nasal tube 302 and is inserted until the end is located in the nasal passage 303. . In this state, the endoscope 200 is inserted into the inlet 42 of the second insertion pin 4 to obtain an image inside the nasal cavity 303. While confirming the lesion site inside the nasal cavity 303 with an image, the first insertion pin 3 is advanced to expand the narrowed nasal cavity 303. At this time, it is configured to be able to insert while changing the posture of the first insertion pin 3 to prevent and expand damage to other tissues. In this case, irrigation may be simultaneously performed by supplying a fluid through the endoscope insertion channel 41.

도 7과 같이 제1 삽입핀(3)을 좁아진 비도(303)를 통과시키게 되면 비강을 통하여 노출되고 외부로 잡아당겨 빼낼 수 있게 되며, 확장튜브(2)가 좁아진 병변부위에 위치될 수 있도록 파이버(1)를 잡아당겨 위치를 조절하게 된다. 내시경(200)으로 병변부위에 확장튜브(2)가 위치하는 것을 확인하고 난 뒤 내시경(200)을 빼낸다.When the first insertion pin 3 is passed through the narrowed nasal passage 303 as shown in FIG. 7, it is exposed through the nasal cavity and can be pulled out to the outside, and the extension tube 2 can be positioned at the narrowed lesion site. (1) Pull to adjust the position. After confirming that the extension tube 2 is located on the lesion site with the endoscope 200, the endoscope 200 is taken out.

도 8은 제2 삽입핀(4)을 더욱 삽입시키며, 제1 삽입핀(3)과 마찬가지로 비도(303)측으로 더욱 삽입시키고 비강을 통하여 외부로 빼내게 된다. 제2 삽입핀(4) 측에 구비된 확장튜브(2)는 먼저 위치된 확장튜브(2)와 마찬가지로 좁아진 비강 병변부위에 위치시키게 된다.8, the second insertion pin 4 is further inserted, and like the first insertion pin 3, it is further inserted toward the nasal cavity 303 and taken out through the nasal cavity. The extension tube 2 provided on the side of the second insertion pin 4 is positioned on the narrowed nasal lesion, like the extension tube 2 located first.

도 9는 최종적으로 비루관(302) 삽입도구가 설치된 모습이며, 삽입도구의 위치가 고정될 수 있도록 비강측에서 파이버(1)로 매듭을 만들어 고정한다. 이후 파이버(1)를 잘라서 제1 삽입핀(3)과 제2 삽입핀(4)을 제거하게 된다.9 is a state in which the insertion tool of the nasolacrimal duct 302 is finally installed, and a knot is fixed with a fiber 1 at the nasal cavity so that the position of the insertion tool can be fixed. Thereafter, the fiber 1 is cut to remove the first insertion pin 3 and the second insertion pin 4.

도 6 내지 도 9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비루관 삽입 도구(100)는 내시경(200)으로 병변부위를 확인하면서 정확한 처치 및 정확한 설치가 가능하게 된다. 설치된 이후 눈물은 파이버(1)를 타고 이동하여 비루관(302) 및 비도(303)를 거쳐 비강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이후 충분한 시간동안 설치하여 비도(303)가 확장된 경우 설치도구를 제거하게 된다. 6 to 9, the nasolacrimal duct insertion too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accurate treatment and accurate installation while confirming the lesion site with the endoscope 200. After being installed, tears can move through the fiber 1 and move to the nasal cavity through the nasal passage 302 and the nasal passage 303. Thereafter, the installation tool is removed when the rain degree 303 is extended by installing for a sufficient time.

이하에서는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a secon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10.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인 비루관(302) 삽입도구는 별도의 확장튜브(2) 없이 파이버(1) 자체의 두께만으로 비도(303)가 확장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제2 실시예에서도 제2 삽입핀(4)을 이용하여 비도(303)를 확인하면서 제1 삽입핀(3)을 조작할 수 있게 된다.10 is a perspective view of another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the secon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nasolacrimal tube 302 insertion tool is configured so that the nasal cavity 303 can be expanded only by the thickness of the fiber 1 itself without a separate extension tube 2. In the second embodiment, it is also possible to operate the first insertion pin 3 while confirming the nasal passage 303 using the second insertion pin 4.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내시경 삽입 가능한 비루관 삽입 도구는 눈물 배출경로를 따라 세경내시경을 이용하여 시야를 확보해가면서 치료할 수 있으므로 정확성과 안정성 및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endoscopic insertable nasolacrimal duct insertion to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accuracy, stability and reliability because it can be treated while securing a field of view using a narrow endoscopic tube along the tear discharge path.

100: 비루관 삽입 도구
1: 파이버
2: 확장튜브
3: 제1 삽입핀
4: 제2 삽입핀
41: 내시경 삽입채널
42: 입구
43: 출구
200: 내시경
301: 누공
302: 비루관
303: 비도
100: Nasal Tube Insertion Tool
1: Fiber
2: Extension tube
3: First insertion pin
4: second insertion pin
41: endoscope insertion channel
42: entrance
43: exit
200: endoscope
301: fistula
302: Viru tube
303: Bido

Claims (10)

비루관에 삽입되며, 눈물이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파이버;
상기 파이버의 일단에 연결되어 누공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제 1삽입핀; 및
일측이 상기 파이버의 타단에 연결되며, 내측으로 내시경이 삽입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내시경 삽입채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2 삽입핀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내시경 삽입 가능한 비루관 삽입 도구.
A fiber inserted into the nasal conduit and configured to allow tears to move;
A first insertion pin connected to one end of the fiber and configured to be inserted into a fistula; And
An endoscope insertable nasolacrimal duct insertion tool comprising a second insertion pin which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fiber and includes an endoscope insertion channel configured to allow an endoscope to be inserted inward.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내시경 삽입채널은 상기 제2 삽입핀이 누공으로 삽입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내시경을 삽입할 수 있도록 측면에 형성된 입구 및 끝단에 구비된 출구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삽입 가능한 비루관 삽입 도구.
According to claim 1,
The endoscope insertion channel is inserted into the endoscope insertable nasolacrimal duct insertion tool,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insertion pin is inserted into the fistula and is connected to an outlet provided at an end and an end formed on the side to insert the endoscope.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입구는 상기 내시경의 삽입시 과도하게 구부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2 삽입핀과 소정 각도를 이루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삽입 가능한 비루관 삽입 도구.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버는 다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삽입 가능한 비루관 삽입 도구.
According to claim 2,
The inlet is inserted into the endoscope insertion tool,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the second insertion pin so as to prevent excessive bending when the endoscope is inserted.
According to claim 2,
The endoscopic insertion nasolacrimal duct insertion tool, characterized in that the fiber is composed of a bundle.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삽입핀은,
상기 입구의 모서리 중 적어도 일부가 라운딩 가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삽입 가능한 비루관 삽입 도구.
According to claim 3,
The second insertion pin,
Endoscopic insertion of the nasolacrimal duct insertion tool,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a part of the corner of the entrance is rounded.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삽입핀은 외경이 2mm 이하로 구성되며,
상기 내시경 삽입채널은 내경이 0.5mm 이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삽입 가능한 비루관 삽입 도구.
According to claim 2,
The second insertion pin has an outer diameter of 2 mm or less,
The endoscope insertion channel is an endoscope insertable nasolacrimal duct insertion tool, characterized in that the inner diameter is composed of 0.5mm or more.
제2 항에 있어서,
누도에 설치된 위치에서 비도의 위치에 대응되는 지점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확장튜브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내시경 삽입 가능한 비루관 삽입 도구.
According to claim 2,
Endoscopic insertion of the nasolacrimal duct insertion tool further comprises at least one extension tube provided at a point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of the nasal passage in a position installed on the fistula.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버는 상기 확장튜브의 내측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삽입 가능한 비루관 삽입 도구.
The method of claim 6,
The endoscopic insertion nasolacrimal duct insertion tool, characterized in that the fiber is installed through the inside of the extension tube.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내시경 삽입채널은 상기 내시경이 삽입된 상태에서 irrigation이 가능하도록 상기 내시경의 외면과 상기 내시경 삽입채널의 내면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삽입 가능한 비루관 삽입 도구.
According to claim 2,
The endoscope insertion channel is an endoscope insertable nasolacrimal duct insertion tool, characterized in that a space is formed between the outer surface of the endoscope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endoscope insertion channel so that irrigation is possible while the endoscope is inserted.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버는 PLLA(Poly(L-lactide))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삽입 가능한 비루관 삽입 도구.
According to claim 2,
The fiber is an endoscope insertable nasolacrimal duct insertion tool,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mposed of PLLA (Poly(L-lactide)).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삽입핀 및 상기 제2 삽입핀은 SUS재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삽입 가능한 비루관 삽입 도구.
According to claim 2,
The first insertion pin and the second insertion pin is an endoscope insertable nasolacrimal duct insertion tool, characterized in that made of SUS material.
KR1020180150870A 2018-11-29 2018-11-29 Nasolacrimal duct insertion tool with endoscope insertion KR10220417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0870A KR102204175B1 (en) 2018-11-29 2018-11-29 Nasolacrimal duct insertion tool with endoscope inser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0870A KR102204175B1 (en) 2018-11-29 2018-11-29 Nasolacrimal duct insertion tool with endoscope inser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4602A true KR20200064602A (en) 2020-06-08
KR102204175B1 KR102204175B1 (en) 2021-01-18

Family

ID=710900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0870A KR102204175B1 (en) 2018-11-29 2018-11-29 Nasolacrimal duct insertion tool with endoscope inser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4175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80523A1 (en) * 2022-10-11 2024-04-18 의료법인 성광의료재단 Tear duct surgical instrument capable of directly removing lesions within tear drainage passage and surgical device comprising same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37625A (en) * 1992-04-06 1995-08-01 Kurihashi; Katsuaki Apparatus for intubation of lacrimal drainage pathway
KR20060031825A (en) * 2006-02-28 2006-04-13 김대홍 Intubation of lacrimal ducts
KR100707773B1 (en) * 2000-03-14 2007-04-17 나카가와 아키오 Nasolacrimal duct tube used for lacrimal duct reformation operation, and nasolacrimal duct tube instrument
KR101425636B1 (en) * 2013-07-05 2014-08-01 임한웅 Nasolacrimal duct tube with lacrimal passage
KR200482640Y1 (en) * 2015-07-02 2017-03-23 주식회사 바이오옵틱스 Lacrimal stent intubation device
KR101846532B1 (en) 2016-05-02 2018-04-09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Nasolacrimal duct tube and insertion appliance for nasolacrimal duct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37625A (en) * 1992-04-06 1995-08-01 Kurihashi; Katsuaki Apparatus for intubation of lacrimal drainage pathway
KR100707773B1 (en) * 2000-03-14 2007-04-17 나카가와 아키오 Nasolacrimal duct tube used for lacrimal duct reformation operation, and nasolacrimal duct tube instrument
KR20060031825A (en) * 2006-02-28 2006-04-13 김대홍 Intubation of lacrimal ducts
KR101425636B1 (en) * 2013-07-05 2014-08-01 임한웅 Nasolacrimal duct tube with lacrimal passage
KR200482640Y1 (en) * 2015-07-02 2017-03-23 주식회사 바이오옵틱스 Lacrimal stent intubation device
KR101846532B1 (en) 2016-05-02 2018-04-09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Nasolacrimal duct tube and insertion appliance for nasolacrimal duc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80523A1 (en) * 2022-10-11 2024-04-18 의료법인 성광의료재단 Tear duct surgical instrument capable of directly removing lesions within tear drainage passage and surgical device compris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4175B1 (en) 2021-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442666T3 (en) Flow guide
US10729461B2 (en) Illuminated infusion cannula
KR101216114B1 (en) Device and method for dacryocystorhinostomy
US7846124B2 (en) Punctal anchor for lacrimal stent, introducer tool and method
US20180133057A1 (en) Medical instrument with an integrated optical fiber
RU2469685C1 (en) External end plastic tip for insertion/removal
US20120203069A1 (en) Surgical shield for soft tissue protection
US20170325841A1 (en) Insertion Tube with Deflectable Tip
US10039932B2 (en) Eyelid treatment device
ES2893620T3 (en) Fabrication of an Articulating Ophthalmic Surgical Probe
KR20210006347A (en)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sinus treatment
KR20200064602A (en) Nasolacrimal duct insertion tool with endoscope insertion
KR101425636B1 (en) Nasolacrimal duct tube with lacrimal passage
WO2016062100A1 (en) Combined seminal vesicle endoscope
JP6246835B2 (en) Sinus access implantation device and associated tools, methods, and kits
US11096569B2 (en) Endoscope with a multiple diameter working section
US20190159659A1 (en) Endoscopic system, over-tube, and cap
KR20170000149U (en) Lacrimal stent intubation device
US8353852B2 (en) Ophthalmic sizing devices
KR102406802B1 (en) Tear duct surgery instrument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CN212521861U (en) Auxiliary device is diagnose to lacrimal passage
JPH0467831A (en) Thin diameter endoscope
JPWO2020100844A1 (en) Lacrimal duct endoscopy
JP2023159094A (en) implant delivery system
JP5784900B2 (en) Endoscope ho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