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53956A - Complex overlap loading cart capable of getting on and off - Google Patents

Complex overlap loading cart capable of getting on and of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53956A
KR20200053956A KR1020180137506A KR20180137506A KR20200053956A KR 20200053956 A KR20200053956 A KR 20200053956A KR 1020180137506 A KR1020180137506 A KR 1020180137506A KR 20180137506 A KR20180137506 A KR 20180137506A KR 20200053956 A KR20200053956 A KR 202000539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ading
frame
support frame
nesting
lo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750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조규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두리인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두리인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두리인텍
Priority to KR10201801375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53956A/en
Publication of KR202000539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3956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02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parts being adjustable, collapsible, attachable, detachable or converti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62B5/06Hand moving equipment, e.g. handle b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3/00Grasping, holding, supporting the objects
    • B62B2203/07Comprising a moving platform or the like, e.g. for unloa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Disclosed is a complex overlap loading and lifting cart. The complex overlap loading and lifting cart includes: a base frame in which wheels are installed in a lower portion; a support frame protruding from an upper side of the base frame; and a loading nesting frame which is installed to be lifted and lowered along the support frame and on which loaded objects are loaded, wherein the loading nesting frame can be rotationally installed in a direction in which a surface on which the loaded objects are mounted faces a side surface of the support frame.

Description

복합 중첩 적재 승강 대차{COMPLEX OVERLAP LOADING CART CAPABLE OF GETTING ON AND OFF}Composite superimposed loading / unloading truck {COMPLEX OVERLAP LOADING CART CAPABLE OF GETTING ON AND OFF}

본 발명은 적재물의 적재와 보관이 용이한 복합 중첩 적재 승강 대차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osite stacked loading and unloading bogie for easy loading and storage of loads.

일반적으로 핸드 카트 등의 대차는 물건을 적재하여 편리하게 운반하기 위한 수단 중 하나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In general, carts, such as hand carts, are widely used as one of means for conveniently carrying and loading objects.

핸드 카트 등의 대차는, 손잡이와 바퀴가 달린 메인 프레임과, 물건이 적재되는 적재판으로 구성되어 있다. Carts, such as hand carts, consist of a main frame with handles and wheels, and a loading plate on which objects are loaded.

특히, 적재판은 메인 프레임의 하단에 위치한 경우가 대부분인데, 이는 물건을 쌓아 올리는 방식으로 적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In particular, most of the stacking plates are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main frame, so that they can be stacked and stacked.

이와 같은 핸드 카트의 하나로서,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309226호에 핸드 카트가 개시되어 있다.As one of such hand carts, a hand cart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309226.

이러한 핸드 카트는 적재판에 적재된 물건의 무게 또는 적재 상태에 따라 핸들프레임의 각도를 조절하여 운반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을 개시하고 있다.Such a hand cart discloses a configuration that allows transport by adjusting the angle of the handle frame according to the weight or loading state of the object loaded on the loading plate.

그러나 핸드 카트는 사용자가 실제 물건을 적재하는 과정에서 허리를 숙여야 하는 불편함이 존재한다. However, the hand cart has the inconvenience that the user has to bow down in the process of loading the actual object.

핸드 카트에 적재되는 물건이 부피가 크고 무게가 가벼운 경우에는 위와 같은 문제점이 큰 영향을 미치지 않으나, 무게가 무겁고 부피가 작은 경우에는 사용자의 허리에 부담을 주게 되어 허리 부분에 근골격계 질환이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The above problem does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when the object loaded on the hand cart is bulky and light, but if the weight is heavy and small, the burden on the user's waist is created, and musculoskeletal disorders may occur in the waist. There is a problem.

공개특허공보 10-2018-0021474Published Patent Publication 10-2018-0021474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적재물이 적재되는 적재 네스팅 프레임이 적재물의 중량에 따라 스프링 등의 인장장치 또는 수축장치에 의해 상승 또는 하강되어 허리 부분에 근골격계 질환이 발생되지 않고, 적재 네스팅 프레임의 회전 작동이 가능하여 보관시 여러겹으로 중첩된 네스팅이 가능하여 공간적약이 용이한 복합 중첩 적재 승강 대차를 제공하고자 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usculoskeletal disorder is not generated in a waist portion by a loading or nesting frame in which a load is loaded is raised or lowered by a tensioning device or a contracting device such as a spring according to the weight of the load, and a loading nesting fram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multi-layer stacking loading and unloading bogie that is easy to save space by allowing nesting in multiple layers during storage due to its rotational opera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차륜이 하부에 설치되는 베이스 프레임과, 베이스 프레임의 상측에 돌출되는 지지 프레임과, 지지 프레임을 따라 상승 또는 하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적재물이 적재되는 적재 네스팅 프레임을 포함한다. 여기서, 적재 네스팅 프레임은, 적재물이 안착되는 표면이 지지 프레임의 측면에 대면하는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se frame in which the wheel is installed at the bottom, a support frame protruding above the base frame, and a loading nesting frame in which the load is loaded while being installed to be raised or lowered along the support frame do. Here, the loading nesting frame may be rotatably install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surface on which the load is placed faces the side surface of the supporting frame.

적재 네스팅 프레임은, 지지 프레임을 따라 상승 또는 하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승강 브라켓과, 적재물이 안착되고 승강 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네스팅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The loading nesting frame may include a lifting bracket that is installed to be raised or lowered along the support frame, and a nesting frame to which the load is mounted and rotatably installed on the lifting bracket.

승강 브라켓은 지지 프레임에 인장 수축장치에 의해 지지 프레임의 상측으로 상승되게 설치될 수 있다.The lifting bracket may be installed on the support frame to be raised upwards of the support frame by a tensioning and contracting device.

지지 프레임의 측면에는 손잡이부가 돌출될 수 있다.The handle portion may protrude on the side of the support frame.

지지 프레임에 설치되어 적재 네스팅 프레임의 승강 상태를 고정하는 스토퍼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t may be further provided with a stopper portion installed on the support frame to fix the lifting state of the loading nesting fram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대차의 이동 상태에서는 적재 네스팅 프레임이 주행 방향의 전방으로 돌출되어 적재물을 적재하고, 적재 네스팅 프레임의 미사용의 보관 상태에서는 상방향으로 회전되는 바, 인접 대차와의 간섭을 최소한으로 하면서 안정적인 보관이 이루어질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moving state of the bogie, the loading nesting frame protrudes forward in the driving direction to load the load, and in the unused storage state of the loading nesting frame is rotated upward, the adjacent bogie Stable storage can be achieved with minimal interference with.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적재 네스팅 프레임이 적재물을 중량의 증감에 따라 인장 수축장치에 의해 상승 또는 하강되는 바, 작업자가 적재물을 내려 놓는 등의 하역 작업 과정에서 허리 등에 근골격계 질환이 발생되는 것을 예방하는 것이 가능하여 작업 효율의 향상이 가능하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usculoskeletal disorder occurs in the lower back or the like in a loading and unloading work process, such as loading or unloading of a load by a tensile contraction device as the loading nesting frame increases or decreases the load. It is possible to prevent it from being improved, so it is possible to improve work efficiency.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복합 중첩 적재 승강 대차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복합 중첩 적재 승강 대차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복합 중첩 적재 승강 대차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복합 중첩 적재 승강 대차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복수개의 복합 중첩 적재 승강 대차가 적재 네스팅 프레임이 회전되어 보관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복합 중첩 적재 승강 대차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복합 중첩 적재 승강 대차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mposite superimposed loading hoist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id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omposite superimposed loading / unloading truck of FIG. 1.
FIG. 3 is a front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omposite superimposed loading hoisting truck of FIG. 1.
FIG. 4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omposite superimposed loading hoisting truck of FIG. 1.
5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a plurality of composite overlapping loading and unloading truck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rotated and stored.
6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mposite superimposed loading hois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mposite superimposed loading hoist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easily practic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In the drawings, parts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in order to clear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attached to the same or similar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복합 중첩 적재 승강 대차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복합 중첩 적재 승강 대차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복합 중첩 적재 승강 대차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복합 중첩 적재 승강 대차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복수개의 복합 중첩 적재 승강 대차가 적재 네스팅 프레임이 회전되어 보관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mposite superimposed loading hoisting truck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id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mposite superimposing loading hoisting truck of FIG. 1, and FIG. 3 is a side view of FIG. It is a front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omposite superimposed loading hoist, FIG. 4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omposite superimposed loading hoist, and FIG. 5 is a plurality of composite superimposed hoisting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art is stacked and stored.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복합 중첩 적재 승강 대차(100)는, 차륜(11)이 하부에 설치되는 베이스 프레임(10)과, 베이스 프레임(10)의 상측에 돌출되는 지지 프레임(20)과, 지지 프레임(20)을 따라 상승 또는 하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적재물이 적재되며 인장 수축장치(35)가 설치되는 적재 네스팅 프레임(30)을 포함한다. As shown in Figures 1 to 5, the composite superimposed loading hoist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ase frame 10, and the base frame 10, the wheel 11 is installed at the bottom ) Includes a support frame 20 protruding on the upper side, and a loading nesting frame 30 installed to be raised or lowered along the support frame 20, loaded with loads, and equipped with a tensile contraction device 35. .

베이스 프레임(10)은 복수개의 차륜(11)이 저면에 설치된 상태로 바닥면에서 사용자의 제어에 따른 주행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The base frame 10 may be installed so that a plurality of wheels 11 may be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to be able to travel under the user's control on the bottom surface.

베이스 프레임(10)은 주행 안정성을 위해 복수개의 프레임이 서로 간에 엇갈리는 방향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서로간에 용접 등에 의해 연결되어 설치될 수 있다.The base frame 10 may be installed by being connected to each other by welding or the like in a state in which a plurality of frames are arranged in a staggered direction to each other for driving stability.

베이스 프레임(10)은 주행 전면 방향으로 좁아지는 사다리꼴 형상으로 설치될 수 있다. 이는 복수개의 복합 중첩 적재 승강 대차(100)들의 보관 과정에서 서로간에 중첩된 상태로 안정적으로 보관하기 위함이다. The base frame 10 may be installed in a trapezoidal shape that narrows in the front direction of travel. This is to stably store in a state of being superimposed on each other in the storage process of the plurality of composite stacked loading hoist (100).

즉, 베이스 프레임(10)은 지지 프레임(20)이 설치된 위치에서 최대 크기로 형성되며 인접한 베이스 프레임의 전면이 삽입되는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베이스 프레임(10)에는 지지 프레임(20)이 돌출된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That is, the base frame 10 is formed to a maximum size at a position where the support frame 20 is installed, and an opening through which the front surface of the adjacent base frame is inserted may be formed. The support frame 20 may be installed in the base frame 10 in a protruding state.

지지 프레임(20)은 베이스 프레임(10)의 상측으로 돌출된 상태로 설치되는 것으로, 베이스 프레임(10)의 후측에 설치되어 상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The support frame 20 is installed to protrude to the upper side of the base frame 10, and is installed on the rear side of the base frame 10 and may protrude upward.

지지 프레임(20)에는 사용자가 파지한 상태로 대차를 밀어 위치이동 가능하도록 손잡이부(21)가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It is also possible that the support frame 20 is provided with a handle portion 21 so that the user can move the position by pushing the cart in a gripped state.

손잡이부(21)는 지지 프레임(20)의 후면의 폭방향으로 긴 길이를 갖도록 돌출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손잡이부(21)의 일 위치를 파지한 상태로 복합 중첩 적재 승강 대차의 안정적인 위치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The handle portion 21 may protrude to have a long length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rear surface of the support frame 20. Therefore, the user can make a stable positional movement of the composite superimposed loading / unloading bogie while holding one position of the handle part 21.

한편, 지지 프레임(20)에는 적재 네스팅 프레임(30)이 상승 또는 하강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Meanwhile, a stacking nesting frame 30 may be installed on the support frame 20 to be raised or lowered.

적재 네스팅 프레임(30)은 적재물이 적재되는 중량의 증가에 따라 지지 프레임(20)의 하부로 하강되고, 적재물의 중량 감소에 따라 지지 프레임(20)을 따라 상승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적재 네스팅 프레임(30)은 후술하는 인장 수축장치(35)에 의해 상승 또는 하강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The loading nesting frame 30 may be installed to descen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support frame 20 according to an increase in weight of the load, and to be raised along the support frame 20 according to a decrease in weight of the load. The stacking nesting frame 30 may be installed to be raised or lowered by a tensile contraction device 35 to be described later.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적재 네스팅 프레임(30)은, 지지 프레임(20)을 따라 상승 또는 하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승강 브라켓(31)과, 적재물이 안착되고 승강 브라켓(3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네스팅 프레임(33)을 포함할 수 있다.In more detail, the loading nesting frame 30 is installed to be elevated or lowered along the support frame 20 to be elevated or lowered, and the load is seated and rotatably installed on the lifting bracket 31 The nesting frame 33 may be included.

승강 브라켓(31)은, 지지 프레임(20)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승 또는 하강 가능한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The lifting bracket 31 may be installed in a state in which it can be raised or lowered while being installed in the support frame 20.

승강 브라켓(31)은, 일측은 지지 프레임(20)에 상승 또는 하강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측은 주행 방향의 전방으로 돌출되게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승강 브라켓(31)이 주행 방향의 전방으로 돌출되게 설치되는 것은 네스팅 프레임의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회전 공간을 마련하기 위함이다. The lifting bracket 31 may be installed such that one side is connected to the support frame 20 so as to be raised or lowered, and the other side protrudes forward in the driving direction. In this way, the lifting bracket 31 is installed to protrude forward in the driving direction is to provide a rotation space so that one end of the nesting frame is rotatably installed.

여기서, 승강 브라켓(31)은 지지 프레임(20)과의 사이에 스프링 등의 인장 수축장치(35)에 의해 상승 또는 하강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Here, the lifting bracket 31 may be installed to be raised or lowered by a tension contraction device 35 such as a spring between the support frame 20.

인장 수축장치(35)는 지지 프레임(20)의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일측은 지지 프레임(20)의 상측에 연결되고 타측은 승강 브라켓(31)에 고정될 수 있다. The tensile contraction device 35 is installed inside the support frame 20, one side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upper side of the support frame 20 and the other side can be fixed to the lifting bracket 31.

따라서, 네스팅 프레임(33)은 외력이 미작용되는 경우 지지 프레임(20)의 상방향으로 이동되고 적재물의 하중 등이 작용되는 경우 인장 수축장치(35)의 탄성력을 극복하면서 지지 프레임(20)의 하부로 이동될 수 있다. 이때 좌우 편심의 방지를 위한 장치도 설치될 수 있다.Therefore, the nesting frame 33 is moved in the upward direction of the support frame 20 when external force is not applied, and when the load or the like of the load is applied, the support frame 20 is overcome while overcoming the elastic force of the tensile contraction device 35 It can be moved to the bottom. At this time, a device for preventing left and right eccentricity may also be installed.

네스팅 프레임(33)은 전술한 바와 같이, 일측은 승강 브라켓(3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측은 주행 방향의 전방으로 돌출되게 설치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nesting frame 33 may be rotatably connected to the elevating bracket 31 and the other side may be installed to protrude forward in the driving direction.

네스팅 프레임(33)은 적재물이 표면에 적재되는 것으로, 적재물의 안정적인 적재를 위해 복수개의 프레임이 서로간에 연결된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The nesting frame 33 is a load on the surface, and a plurality of frames may be installed in a state in which they are connected to each other for stable loading of the load.

이러한 네스팅 프레임(33)에는 복수개의 적재물이 적재되어 적재 하중이 순차적으로 증가 또는 감소되도록 적재될 수 있다.The nesting frame 33 may be loaded such that a plurality of loads are stacked so that the loads are sequentially increased or decreased.

즉, 작업자가 네스팅 프레임(33)에 복수개의 적재물을 계속적으로 적재하는 경우 적재 하중이 증가되고, 소정의 위치에 대차를 위치 이동시킨 상태에서 적재물을 바닥에 내려 놓는 등의 작업을 하는 경우 적재 하중이 순차적으로 감소될 수 있다.That is, when a worker continuously loads a plurality of loads on the nesting frame 33, the load is increased, and when the load is lowered on the floor in a state where the cart is moved to a predetermined position, loading is performed. The load can be reduced sequentially.

이와 같이, 네스팅 프레임(33)에 적재된 적재 하중이 증가되는 경우에는 네스팅 프레임(33)이 인장 수축장치(35)의 탄성력을 극복하면서 지지 프레임(20)의 하부로 이동될 수 있다. As such, when the loading load loaded on the nesting frame 33 is increased, the nesting frame 33 may be mov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support frame 20 while overcoming the elastic force of the tensile contraction device 35.

따라서, 네스팅 프레임(33)이 지지 프레임(20)의 하부로 이동된 경우 최대 적재가 가능하게 된다.Therefore, when the nesting frame 33 is mov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support frame 20, maximum loading is possible.

여기서, 작업자가 네스팅 프레임(33)에 적재된 적재물을 이송하고자 하는 위치로 이동시키는 경우 적재물의 이동 개수에 따라 네스팅 프레임(33)에 작용되는 하중은 순차적으로 감소될 수 있다. Here, when the operator moves the load loaded on the nesting frame 33 to a position to be transported, the load acting on the nesting frame 33 may be sequentially reduc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movements of the load.

이에 따라, 네스팅 프레임(33)은 적재 하중의 감소되는 정도에 따라 인장 수축장치(35)의 인장력에 의해 지지 프레임(20)의 상측으로 순차적으로 이동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nesting frame 33 may be sequentially moved to the upper side of the support frame 20 by the tensile force of the tensile contracting device 35 according to the degree of reduction of the loading load.

따라서, 작업자는 네스팅 프레임(33)의 상승에 따라 적재물을 내려 놓는 등의 과정에서 근골격계 손상이 발생되지 않은 상태로 적재물의 하역 작업을 안정적으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Therefore, it is possible for the operator to stably carry out the unloading operation of the load in a state in which musculoskeletal damage has not occurred in a process such as laying down the load according to the rise of the nesting frame 33.

한편, 네스팅 프레임(33)은 승강 브라켓(3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Meanwhile, the nesting frame 33 may be rotatably installed on the lifting bracket 31.

즉, 네스팅 프레임(33)은 승강 브라켓(31)에 연결된 부분에서 상방향으로 선택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That is, the nesting frame 33 may be selectively rotatable in the upward direction in a portion connected to the lifting bracket 31.

이와 같이, 네스팅 프레임(33)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은, 본 실시예의 복합 중첩 적재 승강 대차(100)를 보관 위치에 용이하게 보관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In this way, the nesting frame 33 is rotatably installed to facilitate storage of the composite superimposed loading / unloading truck 100 of the present embodiment in a storage position.

즉, 복합 중첩 적재 승강 대차(100)는 서로간에 인접한 상태에서 어느 하나의 베이스 프레임(10)이 다른 하나의 베이스 프레임(10)의 개구부()에 삽입되는 바, 복수개의 복합 중첩 적재 승강 대차가 최소한의 보관 공간에서 용이하게 보관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네스팅 프레임(33)은 보관 상태에서 상방향으로 회전되는 바, 인접한 대차에 간섭되지 않은 상태로 안정적으로 보관 위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That is, the composite overlapping stacking hoist 100 is inserted into an opening () of one base frame 10 in a state in which one base frame 10 is adjacent to each other. It is possible to easily store in a minimal storage space. Here, the nesting frame 33 is rotated upward from the storage state, so it is possible to stably store the state without interfering with the adjacent bogie.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복합 중첩 적재 승강 대차(100)는, 이동 상태에서는 적재 네스팅 프레임(30)이 주행 방향의 전방으로 돌출되어 적재물을 적재하고, 미사용의 보관 상태에서는 상방향으로 회전된 상태로 보관되는 것이 가능한 바, 인접 대차와의 간섭을 최소한으로 하면서 안정적인 보관이 이루어질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composite superimposed loading hoisting vehicle 100 of this embodiment, in the moving state, the loading nesting frame 30 protrudes forward in the driving direction to load the load, and rotates upward in the unused storage state. Since it is possible to be stored in an ordered state, stable storage can be achieved while minimizing interference with adjacent trucks.

또한, 적재 네스팅 프레임(30)이 적재물을 중량의 증감에 따라 상승 또는 하강되는 바, 작업자가 적재물을 내려 놓는 등의 하역 작업 과정에서 허리 등에 근골격계 질환이 발생되는 것을 예방하는 것이 가능하여 작업자 만족도의 향상이 가능하고 작업 효율의 향상이 가능하다. In addition, since the loading nesting frame 30 is raised or lowered as the weight increases or decreases, it is possible to prevent musculoskeletal disorders from occurring at the waist or the like during unloading work such as when the worker puts down the load.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work efficiency.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복합 중첩 적재 승강 대차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5와 동일 참조 번호는 동일 또는 유사 기능의 동일 또는 유사부재를 말한다. 이하에서 동일 참조 번호에 대해서는 그 자제한 설명을 생략한다. 6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mposite superimposed loading hoisting truck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 to 5 and the same reference numbers refer to the same or similar members of the same or similar functions. Hereinafter, the same reference numerals will be omitted.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복합 중첩 적재 승강 대차(200)는, 지지 프레임(20)에 설치되어 적재 네스팅 프레임(30)의 승강 상태를 고정하는 스토퍼부(110)가 설치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6, the composite superimposed loading hoisting truck 2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the support frame 20 and a stopper unit for fixing the lifting state of the loading nesting frame 30 110 may be installed.

스토퍼부(110)는 지지 프레임(20)에 선택적으로 돌출되어 승강 브라켓(31)에 선택적으로 접촉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승강 브라켓(31)은 스토퍼부(110)가 설치된 위치에 안정적으로 위치 고정되는 것이 가능하여, 적재 안정성의 향상이 가능하다. The stopper portion 110 is selectively protruding from the support frame 20, it is possible to selectively contact the lifting bracket (31). Therefore, the lifting bracket 31 can be stably fixed to the position where the stopper portion 110 is installed, thereby improving the loading stability.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복합 중첩 적재 승강 대차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6과 동일 참조 번호는 동일 또는 유사 기능의 동일 또는 유사부재를 말한다. 이하에서 동일 참조 번호에 대해서는 그 자제한 설명을 생략한다. 7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mposite superimposed loading hoist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 to 6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the same or similar members of the same or similar function. Hereinafter, the same reference numerals will be omitted.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복합 중첩 적재 승강 대차(300)는, 적정 하중의 적재 여부를 알리는 하중 센서(210)가 설치된다.As shown in FIG. 7, in the composite superimposed loading / unloading truck 300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load sensor 210 is installed to notify whether or not an appropriate load is loaded.

하중 센서(210)는 적재 네스팅 프레임(30)에 적재된 적재 중량의 적정 상태를 센싱하여 작업자에게 알리는 것이 가능한 바, 안정적인 적재물의 적재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The load sensor 210 is capable of sensing an appropriate state of the loading weight loaded on the loading nesting frame 30 and notifying the operator, so that stable loading of the loading can be achieved.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Although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through the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it is possible to carry out various modifications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and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is natural to fall within the scope of.

10...베이스 프레임 11...차륜
20...지지 프레임 21...손잡이부
30...적재 네스팅 프레임 31...승강 브라켓
33...네스팅 프레임 35...인장 수축장치
110..스토퍼부 210...하중 센서
10 ... base frame 11 ... wheels
20 ... Support frame 21 ... Handle
30 ... loading nesting frame 31 ... elevating bracket
33 ... Nesting frame 35 ... Tensile contraction device
110..Stopper 210 ... Load sensor

Claims (5)

차륜이 하부에 설치되는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상측에 돌출되는 지지 프레임;
상기 지지 프레임을 따라 상승 또는 하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적재물이 적재되는 적재 네스팅 프레임;
를 포함하고,
상기 적재 네스팅 프레임은, 적재물이 안착되는 표면이 상기 지지 프레임의 측면에 대면하는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복합 중첩 적재 승강 대차.
A base frame on which the wheels are installed at the bottom;
A support frame protruding above the base frame;
A loading nesting frame which is installed to be raised or lowered along the support frame and on which loads are loaded;
Including,
The stacking nesting frame, the composite stacked loading and unloading bogie, the surface on which the load is mounted is rotatably installed in a direction facing the side of the support fram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 네스팅 프레임은,
상기 지지 프레임을 따라 상승 또는 하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승강 브라켓; 및
적재물이 안착되고, 상기 승강 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네스팅 프레임;
을 포함하는, 복합 중첩 적재 승강 대차.
According to claim 1,
The loading nesting frame,
An elevation bracket that is installed to be raised or lowered along the support frame; And
A nesting frame on which the load is mounted and rotatably installed on the lifting bracket;
Including, composite superimposed loading hoist bogi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 브라켓은 상기 지지 프레임에 인장 수축장치에 의해 상기 지지 프레임의 상측으로 상승되게 설치되는, 복합 중첩 적재 승강 대차.
According to claim 2,
The lifting bracket is installed to be elevated upwards of the support frame by a tensioning and contracting device on the support frame, a composite overlapping loading and lifting car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프레임의 측면에는 손잡이부가 돌출되는, 복합 중첩 적재 승강 대차.
According to claim 1,
On the side of the support frame, the handle portion protrudes, the composite superimposed loading lifting car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프레임에 설치되어 적재 네스팅 프레임의 승강 상태를 고정하는 스토퍼부를 더 포함하는 복합 중첩 적재 승강 대차.
According to claim 1,
A composite superimposed loading hoist truck further installed on the support frame and further comprising a stopper portion for fixing the hoisting state of the loading nesting frame.
KR1020180137506A 2018-11-09 2018-11-09 Complex overlap loading cart capable of getting on and off KR20200053956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7506A KR20200053956A (en) 2018-11-09 2018-11-09 Complex overlap loading cart capable of getting on and of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7506A KR20200053956A (en) 2018-11-09 2018-11-09 Complex overlap loading cart capable of getting on and of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3956A true KR20200053956A (en) 2020-05-19

Family

ID=709133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7506A KR20200053956A (en) 2018-11-09 2018-11-09 Complex overlap loading cart capable of getting on and of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53956A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9524B1 (en) * 2020-11-06 2021-06-02 양서영 Multi hand car
KR102341791B1 (en) * 2020-08-06 2021-12-21 주식회사 오케이오 Up-down work table
KR102661945B1 (en) * 2023-07-07 2024-04-29 서무정 Transfer cart of flate to rise seed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21474A (en) 2016-08-22 2018-03-05 정현구 Hand cart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21474A (en) 2016-08-22 2018-03-05 정현구 Hand cart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1791B1 (en) * 2020-08-06 2021-12-21 주식회사 오케이오 Up-down work table
WO2022030700A1 (en) * 2020-08-06 2022-02-10 주식회사 오케이오 Elevating work platform
US11311999B2 (en) 2020-08-06 2022-04-26 Oko Co., Ltd. Up-down worktable
KR102259524B1 (en) * 2020-11-06 2021-06-02 양서영 Multi hand car
KR102661945B1 (en) * 2023-07-07 2024-04-29 서무정 Transfer cart of flate to rise see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53956A (en) Complex overlap loading cart capable of getting on and off
JP7141040B2 (en) traveling robot
WO2018155027A1 (en) Lifting and lowering device
JP2009107759A (en) Baggage stacking apparatus by movable lifter
JP6664626B2 (en) Tire transport trolley
JPWO2013001906A1 (en) Forklift, automatic warehouse using this forklift, and cargo handling method using forklift
JP6162201B2 (en) Fork cover
JP2012001300A (en) Attachment for forklift and freight handling method using the same
JP6587876B2 (en) Handling equipment
JP6320140B2 (en) forklift
WO2016103787A1 (en) Transport cart
JP5459732B2 (en) Side forklift
JP3360805B2 (en) Stacker crane slide fork
JP2004189427A (en) Safety guard of order picking lift
JP4883587B2 (en) Attachment for fixing the car cart
KR100821119B1 (en) Carriage cart for stone
JP4427740B2 (en) Article conveying device
JP7226261B2 (en) carriage
KR20170003307U (en) Transport carts
JP3041440U (en) Truck for heavy goods
JP2004224177A (en) Dolly for transporting baggages
JP2023120614A (en) Autonomous travel type delivery robot
KR101641765B1 (en) Handcart
JP2021024732A (en) Cargo loading device
JP6605189B2 (en) Container for cargo handling vehicl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9101002366;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90715

Effective date: 202005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