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53115A - 연속된 삼각형 패턴으로 이루어진 두피 디자인 방법 - Google Patents

연속된 삼각형 패턴으로 이루어진 두피 디자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53115A
KR20200053115A KR1020180136312A KR20180136312A KR20200053115A KR 20200053115 A KR20200053115 A KR 20200053115A KR 1020180136312 A KR1020180136312 A KR 1020180136312A KR 20180136312 A KR20180136312 A KR 20180136312A KR 20200053115 A KR20200053115 A KR 202000531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alp
pattern
marking
hair
p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63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49519B1 (ko
Inventor
김주원
Original Assignee
김주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주원 filed Critical 김주원
Priority to KR10201801363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9519B1/ko
Publication of KR202000531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31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95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95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4/00Computer-aided surgery; Manipulators or robot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surgery
    • A61B34/10Computer-aided planning, simulation or modelling of surgical ope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39Markers, e.g. radio-opaque or breast lesions mark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743Type of operation; Specification of treatment sites
    • A61B2017/00747Dermatology
    • A61B2017/00752Hair removal or transplant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4/00Computer-aided surgery; Manipulators or robot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surgery
    • A61B34/10Computer-aided planning, simulation or modelling of surgical operations
    • A61B2034/101Computer-aided simulation of surgical operations
    • A61B2034/105Modelling of the patient, e.g. for ligaments or bo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4/00Computer-aided surgery; Manipulators or robot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surgery
    • A61B34/10Computer-aided planning, simulation or modelling of surgical operations
    • A61B2034/107Visualisation of planned trajectories or target reg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39Markers, e.g. radio-opaque or breast lesions markers
    • A61B2090/3937Visible mark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Robotic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Pathology (AREA)
  • Finger-Pressure Massage (AREA)
  • Massag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머리 두피에 모낭이나 모발 패턴을 다양하게 연출하여 멋스러운 헤어 스타일을 제공하는 한편, 탈모가 일어난 두피의 채도를 낮춰 탈모 흔적을 가리기 위한 두피 디자인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점(dot)을 삼각형 패턴을 이루도록 연속적으로 두피에 마킹하는 방식으로 디자인함으로써 실제 모발(毛髮)이식과 거의 유사한 모낭이나 모발감을 갖도록 제공하여 피시술자의 거부감은 줄이고 만족도는 향상시킬 수 있는 연속된 삼각형 패턴으로 이루어진 두피 디자인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연속된 삼각형 패턴으로 이루어진 두피 디자인 방법{SCALP DESIGN METHOD CONSISTING OF A CONTINUOUS TRIANGLE PATTERN}
본 발명은 대머리 두피에 모낭이나 모발 패턴을 다양하게 연출하여 멋스러운 헤어 스타일을 제공하는 한편, 탈모가 일어난 두피의 채도를 낮춰 탈모 흔적을 가리기 위한 두피 디자인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점(dot)을 삼각형 패턴을 이루도록 연속적으로 두피에 마킹하는 방식으로 디자인함으로써 실제 모발(毛髮)이식과 거의 유사한 모낭이나 모발감을 갖도록 제공하여 피시술자의 거부감은 줄이고 만족도는 향상시킬 수 있는 연속된 삼각형 패턴으로 이루어진 두피 디자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탈모는 정상적으로 모발이 존재해야 할 부위에 모발이 없는 상태를 말하는 것으로, 두피의 성모(굵고 검은 머리털)가 빠지는 현상을 의미한다. 이러한 성모는 굵기가 가는 연모와는 달리 빠질 경우 미용상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이러한 탈모는 다양한 원인에 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남성형 탈모의 경우 크게 유전적 원인과 남성 호르몬인 안드로겐(androgen)이 중요한 인자로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남성형 탈모의 유전적 원인으로 대머리의 가족력이 있는 사람에서 20대나 30대부터 모발이 점차 가늘어지면서 탈모가 진행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최근에는 이러한 유전적 요인과 함께 탈모 원인으로 후천적인 요인 또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후천적인 요인으로는 대기오염으로 인한 환경적인 요인, 스트레스와 같은 정신적인 요인, 스프레이나 무스 등과 같은 두피 건강에 악영향을 미치는 헤어 미용제품의 과다사용으로 인한 화학적인 요인 등을 들 수 있다.
이와 같이, 탈모는 유전적인 요인뿐만 아니라 후천적인 요인에도 지대한 영향을 미침에 따라 대머리 가족력이 없는 사람들도 후천적인 요인에 의해 탈모 증상이 발생하였다. 그 결과 탈모증 환자 또한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에 있고, 특히 남성뿐만 아니라 여성, 그리고 그 연령 또한 점진적으로 낮아지고 있는 추세에 있다.
탈모는 당사자들에게 심각한 스트레스를 유발시키고 자존감을 저하시켜 대인관계에 많은 어려움을 유발시키기 때문에 발생 초기에 치료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이유로 탈모를 치료하기 위한 탈모 치료제 등과 같은 다양한 두피관리제품들이 우후죽순으로 쏟아지고 있으나, 실질적으로 대부분 효과가 미약하고, 의학적으로 검증되지 않은 제품들이 무분별하게 판매되고 있어 부작용 또한 우려되고 있다.
탈모의 다른 치료 방법으로는 탈모가 일어난 두피에 직접 모발을 이식하는 모발이식이 있다. 모발이식은 후두부에 피부와 함께 모발을 채취하여 시술부위에 이식하는 절개방식과, 후두부의 모낭을 펀치와 같은 도구로 하나씩 채취하여 시술부에 옮겨심는 비절개 방식이 알려져 있다. 하지만, 비교적 비용이 많이 소모되고, 비용 대비 모발 생착률도 낮고 모발 이식 과정에서 통증이 유발되는 등의 단점이 있다.
이에 최근에는 탈모가 일어난 두피에 직접 모발을 이식하지 않고도 모발을 이식한 것과 같은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두피 디자인에 대한 관심 또한 높아지고 있다.
두피 디자인은 탈모 환자 중에서 모발이식이 적합하지 않거나, 이를 보강하기 위해 탈모가 진행된 시술부위에 영구적 또는 방영구적인 색소를 입히는 시술 방식으로서, 시판 중인 두피관리제품에 비해 부작용이 없고, 모발이식에 비해 비용도 저렴할 뿐만 아니라 시술 시간도 짧아 꾸준히 그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에 있다.
두피 디자인은 직접 모발을 이식하는 것이 아니라 점(dot)을 시술부위에 규칙적 또는 비규칙적으로 마킹하여 모발과 유사한 효과를 발생시키는 시술방법으로 실제 모발을 이식한 것과 같은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디자인 방법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그러나, 아직까지 두피 디자인 패턴에 대한 정립이 이루어지지 않아 시술자가 임의적으로 점을 마킹하여 디자인 패턴을 형성함에 따라 피시술자마다 일관성 있는 탈모 치료 효과를 얻을 수 없어 피시술자의 만족도를 향상시키는데 한계가 있었다.
KR 10-1312696 B1, 2013. 09. 23. "두피 마킹 기구" KR 10-1565340 B1, 2015. 10. 28. "눈썹 등의 반영구 문신 시술방법" KR 10-2014-0094200 A, 2014. 07. 30. "연이은 점형태로 이루어진 점선긋기를 위한 반영구 화장용 엠보디자인침"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점(dot)을 규칙적인 삼각형 패턴을 이루도록 연속적으로 두피에 마킹하는 방식으로 디자인하여 실제 모발(毛髮)이식과 거의 유사한 모낭이나 모발감을 갖도록 제공하는 한편, 두피에 모낭이나 모발 패턴을 다양하게 연출하여 멋스러움을 제공할 수 있는 연속된 삼각형 패턴으로 이루어진 두피 디자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a) 마킹 기구를 이용하여 두피에 제1 내지 제3 점을 각각 마킹하여 상기 제1 내지 제3 점이 각각 꼭짓점을 이루는 삼각형 형태의 베이스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및 (b) 마킹 기구를 이용하여 상기 베이스 패턴의 각 변에 대향하는 지점에 각각 제4 점을 마킹하여 상기 베이스 패턴과 연결된 삼각형 형태의 확장패턴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된 삼각형 패턴으로 이루어진 두피 디자인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제4 점은 상기 베이스 패턴의 각 변의 중앙을 수직으로 직교하는 지점에 각각 마킹하되, 상기 베이스 패턴의 각 변의 중앙과 상기 제4 점 간의 거리는 다음의 [수학식 1]으로 나타낼 수 있다.
[수학식 1]
Figure pat00001
여기서, 'h'는 상기 베이스 패턴의 각 변의 중앙과 상기 제4 점 간의 거리를 나타내고, 'a'는 상기 베이스 패턴의 각 변의 거리를 나타내는 것임.
또한, 상기 확장패턴은 상기 제4 점과, 상기 베이스 패턴을 구성하는 제1 내지 제3 점 중 상기 제4 점과 인접하게 마킹된 2개의 점을 꼭지점으로 하는 삼각형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a) 단계 전, 두상의 정수리를 원의 중심으로 하여 머리의 하측방향으로 원형의 구획선을 그어 두상을 정수리를 중심으로 다분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b) 및 상기 (c) 단계에서, 다분할된 영역에 각각 상기 베이스 패턴과 상기 확장패턴을 형성하되, 정수리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갈수록 점의 밀도가 소밀하도록 형성하여 두피의 명암을 다르게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a) 단계 전, 두상에 착용할 수 있도록 탄성재질로 이루어진 마킹틀을 제작하여 두상에 착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마킹틀은 복수 개의 구획선에 의해 상부 중심에서 하측방향으로 다분할된 분할영역에 마킹하고자 하는 점의 개수에 대응하는 마킹홀이 각각 형성되어 있되, 상기 마킹홀은 형성할 상기 베이스 패턴과 상기 확장패턴과 동일한 패턴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b) 및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마킹홀을 통해 두피에 점을 마킹하여 정수리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갈수록 점의 밀도가 소밀하도록 형성하여 두피의 명암을 다르게 적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점(dot)을 규칙적인 삼각형 패턴을 이루도록 연속적으로 두피에 마킹하는 방식으로 디자인하여 실제 모발(毛髮)이식과 거의 유사한 모낭이나 모발감을 갖도록 제공하는 한편, 두피에 모낭이나 모발 패턴을 다양하게 연출하여 탈모 환자라 하더라도 멋스러운 헤어 스타일을 연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두피 디자인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흐름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두피 디자인 방법으로 형성된 디자인 패턴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베이스 패턴을 설명하기 위해 따로 분리하여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베이스 패턴이 두피에 시술된 상태를 촬영한 사진.
도 5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마킹 기구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마킹 기구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확장패턴이 확장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두피 디자인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9는 도 8에 도시된 두피 밀도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두피 밀도 조정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두피 디자인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흐름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두피 디자인 방법으로 형성된 디자인 패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두피 디자인 방법은, 두피(1, 도 4참조)에 제1 내지 제3 점(d1~d3)을 각각 마킹하여 제1 내지 제3 점(d1~d3)이 각각 꼭짓점을 이루는 삼각형 형태의 베이스 패턴(11)을 형성한다(S1).
베이스 패턴(11)은 도 2와 같이, 제1 내지 제3 점(d1~d3)을 각각 혹은 동시에 두피에 마킹한 후 제1 내지 제3 점(d1~d3)을 상호 직선으로 연결하는 제1 가상선(vL1)으로 상호 연결하였을 때 삼각형의 꼭짓점을 이루는 삼각형 형태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 베이스 패턴(11)은 정삼각형, 직삼각형 또는 이등변삼각형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도 2와 같이, 보는 각도와 무관하게 균일하게 모낭이 두피(1)에 인식된 것처럼 보일 수 있도록 제1 내지 제3 점(d1~d3) 간의 거리가 서로 동일한 정삼각형 형태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베이스 패턴을 설명하기 위해 따로 분리하여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베이스 패턴이 두피에 시술된 상태를 촬영한 사진이다.
도 3 및 도 4와 같이, 제1 내지 제3 점(d1~d3) 간의 거리는 0.5mm~2mm, 바람직하게는 1mm가 되도록 이격시켜 마킹한다. 즉, 제1 내지 제3 점(d1~d3)을 서로 연결하는 제1 가상선(vL1)의 길이가 각각 0.5mm~2mm, 바람직하게는 1mm가 되도록 형성한다.
두피 디자인 시술 후 확인 결과, 제1 내지 제3 점(d1~d3) 간의 거리가 0.5mm보다 작은 경우 점들의 밀도가 조밀하여 실제 모발과 유사한 모낭이나 모발감을 얻을 수 없고, 제1 내지 제3 점(d1~d3) 간의 거리가 2mm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패턴의 밀도가 소밀하여 상대적으로 두피(1)의 채도가 도드라져 탈모 치료효과가 낮아짐을 확인하였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마킹 기구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와 같이,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마킹 기구(20)는 제1 내지 제3 점(d1~d3)을 두피(1)에 동시에 마킹하기 위해 종단부에 3개의 미세침(21)이 구비되어 있다.
미세침들(21)은 서로 균일한 간격으로 이격 설치되되, 마킹할 베이스 패턴(11)에 대응하여 삼각형 형태로 배치되어 있으며, 각각의 간격은 제1 내지 제3 점(d1~d3) 간의 간격에 대응한다. 예를 들면, 서로 1mm 간격으로 이격 설치되어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마킹 기구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6과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마킹 기구(20')는 한 개의 미세침(21')을 구비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마킹 기구(20')는 점 하나씩 마킹하여 형성하는 확장패턴(12)을 형성할 때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마킹 기구(20')를 이용하여 하나씩 점을 마킹하여 베이스 패턴(11)을 형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마킹 기구의 구조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마킹 기구(20, 20')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공지된 다양한 구조의 마킹 기구를 사용할 수 있다.
이후, 베이스 패턴(11)에 대한 마킹이 완료되면, 도 1 및 도 2와 같이, 마킹 기구를 이용하여 베이스 패턴(11)의 각 변(제1 가상선)에 대행하는 지점에 각각 제4 점(d4)을 마킹하여 베이스 패턴(11)과 연결된 삼각형 형태의 확장패턴(12)을 형성한다(S2).
제4 점(d4)은 베이스 패턴(11)의 각 변(제1 가상선) 중 점을 마킹할 해당 지점에 대향하는 변의 중앙을 수직으로 직교하는 지점에 마킹한다. 즉, 베이스 패턴(11)의 각 변 중 마킹하고자 하는 변의 중앙에서 수직으로 연결한 수직 가상선(v)의 종단부 지점에 마킹한다. 이때, 수직 가상선(v)의 길이, 즉 베이스 패턴(11)의 각 변 중 어느 하나의 변의 중앙과 제4 점(d4) 간의 거리는 다음의 [수학식 1]로 나타낼 수 있다.
Figure pat00002
여기서, 'h'는 베이스 패턴(11)의 해당 변의 중앙과 상기 제4 점(d4) 간의 거리를 나타내고, 'a'는 베이스 패턴(11)의 각 변의 거리(제1 가상선(vL1)의 거리)를 나타내는 것임.
이때, 제4 점(d4)과 제1 내지 제3 점(d1~d3) 간의 간격은 제1 내지 제3 점 간(d1~d3)의 간격과 동일하다. 즉, 제1 점(d1)과 제4 점(d4)을 연결하고, 제3 점(d3)과 제4 점(d4)을 연결하는 제2 가상선(vL2)의 길이는 제1 가상선(vL1)과 동일하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확장패턴이 확장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7과 같이, 단계 S2와 동일한 방식으로 또 다른 점을 연속적으로 베이스 패턴(11)을 중심으로 그 주변에 마킹하여 디자인하고자 하는 두피(1)에 확장패턴(12)을 확장해 나간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두피 디자인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두피 디자인 방법은 도 1에 도시된 두피 디자인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한다. 다만, 베이스 패턴과 확장패턴을 형성할 때 그 밀도를 부위별로 서로 다르게 하여 자연 모낭이나 모발감을 제공한다.
정수리(1a)를 원형의 중심으로 하여 머리의 하측방향으로 5개의 원형의 구획선(dV1~dV5)을 그어 머리를 정수리(1a)을 중심으로 5개로 분할하여 분할영역(d1~d5)을 형성한다. 이때 다분할되는 분할영역의 개수는 5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4개~6개 내에서 두상의 크기 및 길이에 따라 적절히 선택하여 분할할 수 있다.
구획선(dV1~dV5)은 정수리(1a)를 원의 중심으로 하는 원형으로 이루어지되, 각 분할영역(d1~d5)이 서로 중첩될 수 있도록 부분적으로 물결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구획선(dV1~dV5)은 쉽게 지울 수 있도록 수성펜을 사용한다.
정수리(1a)에서 근접한 구획선(dV1)의 반지름은 대략 정수리(1a)를 기준으로 4cm~7cm가 되도록 하고, 구획선(dV1~dV5) 간의 간격은 2cm~4cm 정도로 이격시켜 형성한다.
베이스 패턴(11)과 확장패턴(12)을 포함한 마킹 점의 밀도는 정수리(1a)를 기준으로 하측으로 갈수록 소밀하게 형성한다. 즉, 제1 분할영역(d1)에서 제5 분할영역(d5)으로 갈수록 소밀하게 형성하여 밀도가 정수리(1a) 중심에서 하측(외측)으로 갈수록 낮아지도록 하여 실질적인 자연 모낭이나 모발과 같은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분할영역(d1)에는 1cm2 당 100개, 제2 분할영역(d2)에는 90개, 제3 분할영역(d3)에는 80개, 제 분할영역(d2)에는 90개, 제2 분할영역(d2)에는 90개 정도 점을 마킹한다. 이때, 마킹되는 점은 베이스 패턴과 확장패턴 형태로 마킹된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두피 밀도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9에서 하측 중앙부는 정수리에 해당한다.
도 8 및 도 9와 같이, 제1 분할영역(d1)에서 제5 분할영역(d5)으로 갈수록 마킹되는 점의 밀도를 소밀하게 하여 정수리(1a)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색(명암)이 밝아지도록 함으로써 자연 모낭이나 모발과 유사한 투명한 점을 생성하여 모발감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두피 밀도 조정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두피 밀도 조정방법은, 도 8과 같이, 두피(1)에 구획선(dV1~dV5)을 직접 그어 분할하는 것이 아니라, 비니 모자와 같이, 두상에 착용할 수 있도록 제작된 마킹틀(30)을 두상에 착용한 상태로 사용한다.
마킹틀(30)은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의 탄성재질, 예를 들면,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도 8과 같이 정수리를 중심으로 하여 구획선을 통해 다분할되어 있다.
그리고, 마킹틀(30)에는 도 8과 마찬가지로, 상기 구획선에 의해 다분할된 분할영역에 마킹하고자 하는 점의 개수에 대응하는 마킹홀(미도시)이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이때, 상기 마킹홀은 형성할 베이스 패턴과 확장패턴과 동일한 패턴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마킹틀(30)을 두상에 착용한 상태로 점을 두피에 마킹틀(30)에 형성된 패턴에 따라 점을 마킹함으로써 비숙련자라 하더라도 간편하게 두피를 디자인할 수 있어 외출 전에 미용실에 가서 헤어를 손질하는 것과 같이, 두피에 다양한 디자인 패턴을 마킹하여 대머리 환자들 또한 다양한 헤어 스타일을 연출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바람직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니다. 이처럼 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결합을 통해 다양한 실시예들이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 두피
1a : 정수리
11 : 베이스 패턴
12 : 확장패턴
d1~d4 : 제1 내지 제4 점
vL1 : 제1 가상선
vL2 : 제2 가상선
v : 수직 가상선
D1~D5 : 제1 내지 제5 분할영역
dV1~dV5 : 구획선
20, 20' : 마킹 기구
21, 21' : 미세침
30 : 마킹틀

Claims (5)

  1. (a) 마킹 기구를 이용하여 두피에 제1 내지 제3 점을 각각 마킹하여 상기 제1 내지 제3 점이 각각 꼭짓점을 이루는 삼각형 형태의 베이스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및
    (b) 마킹 기구를 이용하여 상기 베이스 패턴의 각 변에 대향하는 지점에 각각 제4 점을 마킹하여 상기 베이스 패턴과 연결된 삼각형 형태의 확장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된 삼각형 패턴으로 이루어진 두피 디자인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제4 점은 상기 베이스 패턴의 각 변의 중앙을 수직으로 직교하는 지점에 각각 마킹하되, 상기 베이스 패턴의 각 변의 중앙과 상기 제4 점 간의 거리는 다음의 [수학식 1]으로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된 삼각형 패턴으로 이루어진 두피 디자인 방법.

    [수학식 1]
    Figure pat00003

    여기서, 'h'는 상기 베이스 패턴의 각 변의 중앙과 상기 제4 점 간의 거리를 나타내고, 'a'는 상기 베이스 패턴의 각 변의 거리를 나타내는 것임.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패턴은 상기 제4 점과, 상기 베이스 패턴을 구성하는 제1 내지 제3 점 중 상기 제4 점과 인접하게 마킹된 2개의 점을 꼭지점으로 하는 삼각형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된 삼각형 패턴으로 이루어진 두피 디자인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 전, 두상의 정수리를 원의 중심으로 하여 머리의 하측방향으로 원형의 구획선을 그어 두상을 정수리를 중심으로 다분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b) 및 상기 (c) 단계에서, 다분할된 영역에 각각 상기 베이스 패턴과 상기 확장패턴을 형성하되, 정수리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갈수록 점의 밀도가 소밀하도록 형성하여 두피의 명암을 다르게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된 삼각형 패턴으로 이루어진 두피 디자인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 전, 두상에 착용할 수 있도록 탄성재질로 이루어진 마킹틀을 제작하여 두상에 착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마킹틀은 복수 개의 구획선에 의해 상부 중심에서 하측방향으로 다분할된 분할영역에 마킹하고자 하는 점의 개수에 대응하는 마킹홀이 각각 형성되어 있되, 상기 마킹홀은 형성할 상기 베이스 패턴과 상기 확장패턴과 동일한 패턴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b) 및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마킹홀을 통해 두피에 점을 마킹하여 정수리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갈수록 점의 밀도가 소밀하도록 형성하여 두피의 명암을 다르게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된 삼각형 패턴으로 이루어진 두피 디자인 방법.

KR1020180136312A 2018-11-08 2018-11-08 연속된 삼각형 패턴으로 이루어진 두피 디자인 방법 KR1021495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6312A KR102149519B1 (ko) 2018-11-08 2018-11-08 연속된 삼각형 패턴으로 이루어진 두피 디자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6312A KR102149519B1 (ko) 2018-11-08 2018-11-08 연속된 삼각형 패턴으로 이루어진 두피 디자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3115A true KR20200053115A (ko) 2020-05-18
KR102149519B1 KR102149519B1 (ko) 2020-08-28

Family

ID=709129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6312A KR102149519B1 (ko) 2018-11-08 2018-11-08 연속된 삼각형 패턴으로 이루어진 두피 디자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951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9288B1 (ko) * 2012-08-02 2013-06-26 서순애 모류를 이용한 헤어 커트 방법
KR101312696B1 (ko) 2010-12-24 2013-09-27 신용균 두피마킹기구
KR20140094200A (ko) 2013-01-21 2014-07-30 신용균 연이은 점형태로 이루어진 점선긋기를 위한 반영구화장용 엠보디자인침
KR101565340B1 (ko) 2014-08-05 2015-11-03 신이범 눈썹 등의 반영구 문신 시술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2696B1 (ko) 2010-12-24 2013-09-27 신용균 두피마킹기구
KR101279288B1 (ko) * 2012-08-02 2013-06-26 서순애 모류를 이용한 헤어 커트 방법
KR20140094200A (ko) 2013-01-21 2014-07-30 신용균 연이은 점형태로 이루어진 점선긋기를 위한 반영구화장용 엠보디자인침
KR101565340B1 (ko) 2014-08-05 2015-11-03 신이범 눈썹 등의 반영구 문신 시술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9519B1 (ko) 2020-08-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arritt Single-hair transplantation for hairline refinement: a practical solution
Singh vol 3: Scalp, Temple, and Face
Bared et al. Hair transplantation techniques for the transgender patient
KR100629394B1 (ko) 스킨베이스 가발
KR20200053115A (ko) 연속된 삼각형 패턴으로 이루어진 두피 디자인 방법
Bared et al. Gender-affirmation hair transplantation techniques
KR101668092B1 (ko) 반영구 눈썹화장 시술방법
Casagrande et al. Direct needle fixation in endoscopic facial rejuvenation
KR20170107817A (ko) 반영구화장 시술용 니들구조체
Rajput Hair transplant for eyebrow restoration
Swinehart et al. Slit grafting: the use of serrated island grafts in male and female-pattern alopecia
KR20060023808A (ko) 인조 눈썹 및 그 제조방법
Thami Micropigmentation
KR20160136826A (ko) 반영구 모발 메이크업 방법
KR20190143641A (ko) 앞 트임을 포함하는 부분 가발
de Benito Aesthetic incision in the subcutaneous forehead lift
KR200199209Y1 (ko) 미용 교육용 모발식설 모형
KR102514404B1 (ko) 부분가발을 이용한 증모시술방법
RU2790767C1 (ru) Способ дермального пигментирования кожи бровей человека
RU2743141C1 (ru) Способ пигментирования кожи бровей человека "Sable brows"
Samaniego et al. Surgical planes of the head and neck
Vogel Advances in hair restoration surgery
Dadzie et al. Hair and scalp disorders in women of African descent
Hendler Hair restoration surgery: hair transplantation and micrografting
Patel Endoscopic brow lifts über all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