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52622A - 캔 용기 - Google Patents

캔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52622A
KR20200052622A KR1020180135792A KR20180135792A KR20200052622A KR 20200052622 A KR20200052622 A KR 20200052622A KR 1020180135792 A KR1020180135792 A KR 1020180135792A KR 20180135792 A KR20180135792 A KR 20180135792A KR 20200052622 A KR20200052622 A KR 202000526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discharge hole
main body
blanking plate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57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변주영
Original Assignee
변주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변주영 filed Critical 변주영
Priority to KR10201801357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52622A/ko
Publication of KR202000526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262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7/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 B65D17/28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at lines or points of weakness
    • B65D17/401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at lines or points of weakness characterised by having the line of weakness provided in an end wall
    • B65D17/401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at lines or points of weakness characterised by having the line of weakness provided in an end wall for opening partially by means of a tearing tab
    • B65D17/4014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at lines or points of weakness characterised by having the line of weakness provided in an end wall for opening partially by means of a tearing tab and provided with attached means for reclosing or resea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7/00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piercing or tearing of wall portions, e.g. preserving cans or tins
    • B65D2517/0001Details
    • B65D2517/0031Reclosable openings
    • B65D2517/0032Reclosable openings the tab reclosing the opening
    • B65D2517/0035Reclosable openings the tab reclosing the opening the tab and torn out panel together closing the opening, e.g. by sli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7/00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piercing or tearing of wall portions, e.g. preserving cans or tins
    • B65D2517/50Non-integral frangible members applied to, or inserted in, a preformed opening
    • B65D2517/5072Details of hand grip, tear- or lift-tab
    • B65D2517/5083Details of hand grip, tear- or lift-tab with means facilitating initial lifting of tape, e.g. lift or pull-tab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캔 용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캔 용기는 내용물을 수용하고, 가압될 때에 절곡되어 토출홀(13)을 형성하도록 일면에 절취선으로 구획된 개봉편(11)을 구비하는 본체(10), 판(plate) 형상으로 형성되고, 양단 사이의 일지점이 본체(10)의 일면에 부착되되, 일단이 상승할 때에 타단이 개봉편(11)을 가압하도록 상하 방향으로 회동되고, 좌우 방향으로 회전되는 레버(20), 레버(20)와 본체(10)의 일면 사이에 배치되며, 좌우 방향으로 회전하는 레버(20)를 따라, 일단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토출홀(13)을 폐쇄하는 가림판(30), 및 레버(20)의 일지점 및 가림판(30)의 일단을 관통하면서, 본체(10)의 일면에 연결되는 고정축(40)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캔 용기{CAN CONTAINER}
본 발명은 캔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료수와 같은 내용물이 들어있는 캔을 개봉하는 구조는 하기 선행기술문헌의 특허문헌에 개시된 바와 같이, 캔의 상면에 곡선형 절취선을 형성하여 마개를 만들고, 지렛대 원리를 적용한 레버를 부착함으로써 사용자가 레버를 위로 들어올릴 때에 마개가 가압되면서 개봉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러한 개봉 구조는 마개를 다시 닫지 못하기 때문에 내용물을 모두 섭취하거나 사용하지 못한 경우, 내용물이 의도하지 않게 토출될 수 있어서 휴대가 곤란하다. 또한, 내용물이 외부 공기와 접촉하여 품질이 저하될 수 있는데, 특히 내용물이 탄산음료인 경우에는 탄산이 빠져나가 고유의 맛을 해치기도 한다. 나아가 외부의 이물질이 캔 내부로 들어갈 수 있으므로 위생상 문제를 발생시킬 수도 있다.
이에 종래 캔의 개봉 후 보관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KR 2003-0064513 A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레버를 들어올려 캔을 개봉한 후에 그 레버를 회전시킴으로써 다시 캔을 밀봉할 수 있는 캔 용기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캔 용기는 내용물을 수용하고, 가압될 때에 절곡되어 토출홀을 형성하도록 일면에 절취선으로 구획된 개봉편을 구비하는 본체; 판(plate) 형상으로 형성되고, 양단 사이의 일지점이 상기 본체의 일면에 부착되되, 일단이 상승할 때에 타단이 상기 개봉편을 가압하도록 상하 방향으로 회동되고, 좌우 방향으로 회전되는 레버; 상기 레버와 상기 본체의 일면 사이에 배치되며, 좌우 방향으로 회전하는 상기 레버를 따라, 일단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토출홀을 폐쇄하는 가림판; 및 상기 레버의 일지점 및 상기 가림판의 일단을 관통하면서, 상기 본체의 일면에 연결되는 고정축;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캔 용기에 있어서, 상기 레버는, 상기 일지점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 형상의 삽입홀을 구비하고, 상기 삽입홀에 삽입되어 상기 레버가 좌우 방향으로 회전할 때에 상기 삽입홀의 일단에 걸리도록, 상기 가림판의 일면으로부터 돌출된 돌기핀;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캔 용기에 있어서, 상기 가림판이 상기 토출홀을 폐쇄하는 위치에서, 상기 가림판과 상기 레버 사이의 각도는 170° ~ 190°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캔 용기에 있어서, 상기 가림판의 타면에 부착되는 패킹;을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캔 용기에 있어서, 상기 패킹은, 상기 토출홀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토출홀에 삽입되면서 상기 토출홀을 폐쇄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캔을 개봉한 후에도 다시 캔을 밀폐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내용물을 섭취하지 않을 때에 외부의 공기 및 이물질의 접촉을 차단하여 내용물의 품질저하 및 위생상 문제를 차단할 수 있고, 의도하지 않게 내용물이 쏟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휴대가 용이하다.
또한, 캔에 부착된 레버를 들어올려 캔을 개봉하고, 레버를 회전시키는 단순한 동작만으로 캔을 다시 밀봉할 수 있으므로, 연령에 상관없이 사용자가 쉽게 캔을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캔 용기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캔 용기의 제1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캔 용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캔 용기의 작동상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캔 용기의 제2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캔 용기의 부분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캔 용기의 제1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캔 용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캔 용기는 내용물을 수용하고, 가압될 때에 절곡되어 토출홀(13)을 형성하도록 일면에 절취선으로 구획된 개봉편(11)을 구비하는 본체(10), 판(plate) 형상으로 형성되고, 양단 사이의 일지점이 본체(10)의 일면에 부착되되, 일단이 상승할 때에 타단이 개봉편(11)을 가압하도록 상하 방향으로 회동되고, 좌우 방향으로 회전되는 레버(20), 레버(20)와 본체(10)의 일면 사이에 배치되며, 좌우 방향으로 회전하는 레버(20)를 따라, 일단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토출홀(13)을 폐쇄하는 가림판(30), 및 레버(20)의 일지점 및 가림판(30)의 일단을 관통하면서, 본체(10)의 일면에 연결되는 고정축(4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내용물을 보관하는 캔 용기에 관한 것으로, 일단 개봉 후에 다시 밀봉이 불가능하게 구조화되어 내용물이 외부 공기 및 이물질과 접촉하여 품질 저하를 야기하고, 의도하지 않게 쏟아져 휴대가 불편한 종래 캔의 개봉 구조를 개선하기 위해 안출되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캔 용기는 본체(10), 레버(20), 가림판(30), 및 고정축(40)을 포함한다.
본체(10)는 내용물을 수용할 수 있는 내부 공간, 및 개봉편(11)을 구비한다. 본체(10)의 내부 공간 및 외형은 내용물을 채울 수 있도록 형성되기만 하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내용물은 대표적으로 음료를 예로 들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캔에 수용될 수 있는 물질이면 특별한 제한이 없다. 한편, 개봉편(11)은 본체(10)의 일면에 개방 루프(open loop) 형태로 절취선에 의해 구획되어 이루어진다. 따라서, 압력이 가해지면, 개봉편(11)은 절취되고 절곡되면서 토출홀(13)을 형성한다. 이에 사용자는 토출홀(13)에 입을 대고 내용물을 섭취하거나, 외부로 내용물을 배출시킬 수 있다. 개봉편(11)은 본체(10)의 외면 중 상면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본체(10)의 디자인에 따라서는 그 위치가 바뀌어도 무방하다.
레버(20)는 일단과 반대쪽 타단까지 소정의 길이를 갖는 판(plate) 형상의 부재로 형성된다. 이렇게 형성된 레버(20)는 지렛대 원리에 따라 개봉편(11)을 가압한다. 이를 구현하기 위해서, 레버(20)의 일단과 타단 사이의 일지점이 본체(10)의 일면에 부착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레버(20)의 일단을 들어올리면, 그 일지점을 중심으로 상하 방향으로 회동하면서, 레버(20)의 타단이 개봉편(11)을 가압하게 된다.
한편, 레버(20)는 그 일지점을 중심으로 좌우 방향으로도 회전이 가능하다. 레버(20)의 좌우 방향 회전은 가림판(30)의 좌우 방향 회전을 유도한다.
가림판(30)은 상기 토출홀(13)을 폐쇄할 수 있는 부재로, 레버(20)와 본체(10)의 일면 사이에 배치된다. 이때, 가림판(30)의 일단이 본체(10)의 일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므로, 가림판(30)은 그 일단의 연결 지점을 중심으로 좌우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여기서, 가림판(30)의 회전은 레버(20)가 좌우 회전할 때에 발생되는 회전력을 전달받아 이루어진다. 따라서, 가림판(30)은 개봉편(11)의 위치와 다른 위치에 배치되었다가, 토출홀(13)을 형성하는 레버(20)의 상하 방향 회동이 종료된 후, 그 레버(20)가 좌우 방향 회전을 할 때에 이에 따라 회전하여 토출홀(13)이 마련된 위치까지 이동하게 된다. 레버(20)의 좌우 방향 회전력이 가림판(30)에 전달되는 구체적 구성은 후술한다.
한편, 가림판(30)이 토출홀(13)을 폐쇄하기 위해서는, 본체(10)의 일면 영역 중에 토출홀(13)의 가장자리를 이루는 가장자리부를 어느 정도 커버할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되어야 한다. 이때, 토출홀(13)의 가장자리에서부터 외측으로 3 ~ 5㎜ 너비의 가장자리부를 커버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는 본체(10)의 외형에 따라 결정되는 것이므로 반드시 이에 한정되어 권리범위가 제한되어서는 안 된다.
고정축(40)은 레버(20) 및 가림판(30)을 본체(10)에 부착하는 부재로, 상기 레버(20)의 일지점과 가림판(30)의 일단을 관통하면서 본체(10)의 일면에 연결된다. 일실시예로서, 레버(20)의 일지점, 가림판(30)의 일단, 및 본체(10)의 일면에 각각 두께 방향으로 관통된 구멍이 형성되고, 그 구멍에 고정축(40)이 삽입되는 방식으로 고정축(40)이 레버(20) 및 가림판(30)을 본체(10)에 연결할 수 있다(도 3 참조). 이러한 고정축(40)의 일례로는 리벳(rivet) 등을 들 수 있다. 따라서, 고정축(40)은 레버(20) 및 가림판(30)을 본체(10)에 연결하는 역할뿐만 아니라, 그 좌우 회전 중심축의 역할을 수행한다.
이하에서는 레버(20)의 좌우 회전에 따라 가림판(30)의 회전이 유도되는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일실시예로, 레버(20)에 삽입홀(21)이 형성되고, 가림판(30)의 일면에 돌기핀(50)이 배치되어 상기 가림판(30)의 회전이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삽입홀(21)은 상기 레버(20)의 일지점을 중심으로 하는 가상의 원주 상에 일단과 타단이 배치되고, 그 일단과 타단을 연결하는 원호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때, 삽입홀(21)은 본체(10)의 일면과 마주보는 레버(20)의 일면에 형성되는데, 레버(20)의 일면에서부터 반대쪽 타면까지 관통된 천공 형태이거나, 또는 레버(20)의 일면으로부터 오목하게 함몰된 형태(도시되지 않음)일 수 있다.
돌기핀(50)은 상기 삽입홀(21)과 마주보는 가림판(30)의 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된다. 그 높이는 삽입홀(21)에 삽입될 수 있는 높이이면 특별한 제한은 없으나, 개봉편(11)을 가압하면서 레버(20)의 일단이 상승하는 경우에는 돌기핀(50)이 삽입홀(21)에서 이탈된다. 따라서, 개봉편(11) 가압 전 레버(20)의 위치에서 돌기핀(50)은 삽입홀(21)에 삽입되고, 개봉편(11)을 가압하는 동안(개봉 시)에 이탈되며, 다시 레버(20)의 일단이 하강된 상태에서는 삽입홀(21)에 재삽입된다. 이렇게 돌기핀(50)이 삽입홀(21)에 재삽입된 상태에서, 레버(20)가 좌우 방향으로 회전하면, 레버(20)에 형성된 삽입홀(21)도 회전하게 되고, 이때 돌기핀(50)이 삽입홀(21)의 일단에 걸리면서 가림판(30)도 회전한다. 따라서, 레버(20)의 좌우 회전에 연동하여 가림판(30)이 회전함으로써, 토출홀(13)을 폐쇄할 수 있다.
다만, 레버(20)의 좌우 회전에 따라 가림판(30)의 회전이 유도되는 구성은 상기의 삽입홀(21), 및 돌기핀(50)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른 실시예로서, 레버(20)의 외면에서부터, 가림판(30)의 일측면 옆을 지나면서, 본체(10)의 일면을 향하는 돌기가 형성되는 구조로도 구현이 가능하다(도시되지 않음). 이 경우에도 개봉 후 레버(20)가 원래 상태로 복귀된 다음 회전하게 되면, 돌기가 가림판(30)의 일측면에 맞닿게 되고, 레버(20)의 회전력이 가림판(30)에 전달되므로, 가림판(30)이 회전하면서 토출홀(13)을 폐쇄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일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에 따른 캔 용기의 작동 과정을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캔 용기의 작동상태도로, 도 4를 참고한다.
먼저, 사용자가 레버(20)의 일단을 위로 들어올림으로써, 개봉편(11)을 가압한다. 이로 인해, 개봉편(11)이 절곡되면서 토출홀(13)이 형성되어 캔이 개봉된다. 다음, 레버(20)의 일단을 다시 아래로 내려, 원래 상태로 복귀시킨다. 이때, 가림판(30)에 형성된 돌기핀(50)이 레버(20)에 구비된 삽입홀(21) 내로 재삽입된다(도 4의 좌측 상부 참조). 이 상태에서 레버(20)의 일단을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 경우, 일시적으로 레버(20)만이 단독으로 회전하다가, 상기 돌기핀(50)이 삽입홀(21)의 일단에 걸리게 된다(도 4의 좌측 하부 참조). 그 이후부터는 가림판(30)이 레버(20)와 함께 회전을 시작한다(도 4의 우측 상부 참조). 이렇게 회전하는 가림판(30)이 토출홀(13)을 폐쇄할 수 있는 적합한 위치에 도달하면, 레버(20)의 회전을 정지한다(도 4의 우측 하부 참조).
종합적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캔을 개봉한 후에도 다시 캔을 밀폐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내용물을 섭취하지 않을 때에 외부의 공기 및 이물질의 접촉을 차단하여 내용물의 품질저하 및 위생상 문제를 차단할 수 있고, 의도하지 않게 내용물이 쏟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휴대가 용이하다. 또한, 캔에 부착된 레버(20)를 들어올림으로써 캔이 개봉되고, 레버(20)를 회전시키는 단순한 동작만으로 캔을 다시 밀봉할 수 있으므로, 연령에 상관없이 사용자가 쉽게 캔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가림판(30)이 토출홀(13)을 폐쇄하더라도, 그 사이에 기밀이 유지되지 않으면 그 사이 간극을 통해 내용물이 토출될 수 있는바, 이하에서는 기밀을 유지하기 위한 방안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캔 용기의 제2 평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출홀(13)을 폐쇄하는 위치에서, 가림판(30)과 레버(20)는 소정의 각도(θ)로 벌어진 상태에 있게 된다. 여기서, 그 각도(θ)는 가림판(30)의 최초 위치, 삽입홀(21)의 원호 길이, 돌기핀(50)의 위치에 따라서 결정되는데, 일례로 그 각도(θ)가 170° ~ 190°일 수 있다. 이 경우, 레버(20)의 타단이 가림판(30)의 일면 위에 배치되므로, 레버(20)의 일단을 위로 들어올림으로써, 레버(20)의 타단으로 가림판(30)을 가압하여 토출홀(13)의 가장자리부와 가림판(30)을 밀착시킬 수 있다. 다만, 상기 각도(θ)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고, 레버(20)의 일단을 위로 들어올려 가림판(30)을 가압할 수 있는 범위이면 변경 가능하다.
상기 각도(θ)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가림판(30)의 최초 위치, 삽입홀(21)의 원호 길이, 돌기핀(50)의 위치를 조절할 필요가 있다. 그 예로, 개봉 후 레버(20)를 회전하는 경우, 최초 위치에서 170° ~ 190°회전할 때에, 돌기핀(50)이 삽입홀(21)의 일단에 걸리도록 돌기핀(50)과 삽입홀(21)을 형성한다. 다른 예로는, 레버(20)가 예를 들어, 270° 회전할 때에 돌기핀(50)이 삽입홀(21)의 일단에 걸리도록 설계하고, 가림판(30)이 토출홀(13)을 폐쇄하는 위치에 다다르면, 다시 레버(20)를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각도(θ) 범위 내로 레버(20)를 위치시킬 수도 있다.
상기 각도(θ) 조절 이외의 다른 일례로, 가림판(30)이 본체(10)의 일면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그 본체(10)의 일면에 밀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본체(10)의 일면이 외측으로 볼록하거나 평평한 경우, 이에 따라 가림판(30)도 외측으로 볼록하거나 평평한 형상으로 형성하여, 본체(10)의 일면과 가림판(30)의 타면 사이의 간극을 제거하는 것이다. 따라서, 가림판(30)이 토출홀(13)을 폐쇄하는 위치에서, 토출홀(13)의 가장자리부와 가림판(30)의 타면이 밀착되어 기밀을 유지할 수 있다.
또 다른 일례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가림판(30)의 타면에 패킹이 부착될 수도 있다. 여기서, 패킹은 밀봉 또는 실링(sealing) 부재로서, 토출홀(13)을 폐쇄하는 형태로 형성된다. 그 형태에 따라서, 패킹의 가장자리가 토출홀(13)의 가장자리부에 밀착되거나, 또는 토출홀(13)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됨으로써 패킹이 그 토출홀(13) 내로 삽입되면서 억제끼움되어, 토출홀(13)과 가림판(30) 사이의 기밀을 유지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한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0: 본체 11: 개봉편
13: 토출홀 20: 레버
21: 삽입홀 30: 가림판
40: 고정축 50: 돌기핀

Claims (5)

  1. 내용물을 수용하고, 가압될 때에 절곡되어 토출홀을 형성하도록 일면에 절취선으로 구획된 개봉편을 구비하는 본체;
    판(plate) 형상으로 형성되고, 양단 사이의 일지점이 상기 본체의 일면에 부착되되, 일단이 상승할 때에 타단이 상기 개봉편을 가압하도록 상하 방향으로 회동되고, 좌우 방향으로 회전되는 레버;
    상기 레버와 상기 본체의 일면 사이에 배치되며, 좌우 방향으로 회전하는 상기 레버를 따라, 일단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토출홀을 폐쇄하는 가림판; 및
    상기 레버의 일지점 및 상기 가림판의 일단을 관통하면서, 상기 본체의 일면에 연결되는 고정축;을 포함하는 캔 용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레버는, 상기 일지점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 형상의 삽입홀을 구비하고,
    상기 삽입홀에 삽입되어 상기 레버가 좌우 방향으로 회전할 때에 상기 삽입홀의 일단에 걸리도록, 상기 가림판의 일면으로부터 돌출된 돌기핀;을 포함하는 캔 용기.
  3. 청구항 1에 있어,
    상기 가림판이 상기 토출홀을 폐쇄하는 위치에서, 상기 가림판과 상기 레버 사이의 각도는 170° ~ 190°인 캔 용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림판의 타면에 부착되는 패킹;을 더 포함하는 캔 용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패킹은, 상기 토출홀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토출홀에 삽입되면서 상기 토출홀을 폐쇄하는 캔 용기.
KR1020180135792A 2018-11-07 2018-11-07 캔 용기 KR2020005262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5792A KR20200052622A (ko) 2018-11-07 2018-11-07 캔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5792A KR20200052622A (ko) 2018-11-07 2018-11-07 캔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2622A true KR20200052622A (ko) 2020-05-15

Family

ID=706790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5792A KR20200052622A (ko) 2018-11-07 2018-11-07 캔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52622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4513A (ko) 2002-01-28 2003-08-02 이원명 음료수 캔의 개봉 탭 상승구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4513A (ko) 2002-01-28 2003-08-02 이원명 음료수 캔의 개봉 탭 상승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X2008005981A (es) Envase.
KR20080031724A (ko) 개봉용 플라스틱제 캡
US11390432B2 (en) Coaxial rotary lid and drinking cup thereof
JP2007126174A (ja) コップ蓋
KR20200052622A (ko) 캔 용기
EP3259196B1 (en) Safety mechanism for containers
KR200385497Y1 (ko) 마개 및 이 마개가 구비된 용기
JPH10236488A (ja) 液体取り出し装置
US9682797B2 (en) Safety mechanism for containers
JP3137403U (ja) 飲料容器の蓋
KR200292087Y1 (ko) 맥주캔
KR200390444Y1 (ko) 2단 밀폐구조를 음료용기 뚜껑
KR101836574B1 (ko) 개폐가 용이한 캔
KR20100020279A (ko) 병마개
CN219858437U (zh) 一种咖啡杯盖
KR200350849Y1 (ko) 누수 방지용 캔뚜껑
KR20050109017A (ko) 내용물이 저장되는 용기 뚜껑
KR101891520B1 (ko) 음료수용 캔 뚜껑의 구조
JP2576175Y2 (ja) プラスチックキャップ
CN207292915U (zh) 一种爽口片包装盒
KR200301401Y1 (ko) 음료용 병구와 병마개
JP2001219951A (ja) キャップ付き容器
KR200233050Y1 (ko) 이중 개폐마개를 가진 용기
KR101734808B1 (ko) 캔의 음용구 개폐마개
KR100406164B1 (ko) 합성수지 재질의 중,소형 용기 및 마개의 이중 밀폐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