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50714A - 단말기 - Google Patents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50714A
KR20200050714A KR1020180133675A KR20180133675A KR20200050714A KR 20200050714 A KR20200050714 A KR 20200050714A KR 1020180133675 A KR1020180133675 A KR 1020180133675A KR 20180133675 A KR20180133675 A KR 20180133675A KR 20200050714 A KR20200050714 A KR 202000507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processor
front camera
terminal
camer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36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준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336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50714A/ko
Priority to PCT/KR2019/003322 priority patent/WO2020091156A1/ko
Publication of KR202000507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071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45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for generating image signals from two or more image sensors being of different type or operating in different modes, e.g. with a CMOS sensor for moving images in combination with a charge-coupled device [CCD] for still images
    • H04N5/23212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95Control of camera direction for changing a field of view, e.g. pan, tilt or based on tracking of objects
    • H04N5/2254
    • H04N5/2257
    • H04N5/2258
    • H04N5/23299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는, 전면 카메라와, 후면 카메라와, 후면 카메라로부터 제1 이미지를 수신하고, 전면 카메라로부터 제2 이미지를 수신하며, 제2 이미지에 기초하여, 제1 이미지 내의 시선 영역을 검출하고, 검출된 영역이 포커싱되도록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시선에 따라 간편하게 포커싱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단말기{Terminal}
본 발명은 단말기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시선에 따라 간편하게 포커싱 또는 촬영 모드 설정을 수행할 수 있는 슬림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카메라는, 이미지를 촬영하기 위한 장치이다. 최근, 카메라가, 이동 단말기 등에 채용되면서, 다양한 기능이 구현되고 있다.
한편, 어떠한 조작 없이 자신이 원하는 화질로 자동 촬영에 대한 요구가 증대되고 있다.
예를 들어, 인공 지능을 이용하여, 카메라를 통해 촬상되는 장면을 분석하는 기능이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인공지능을 기반으로 장면 분석시 촬상 이미지 내에 존재하는 다양한 피사체들로 인해 장면 인식 정확도가 저하되고, 사용자가 원하는 피사체 중심의 화질 향상을 기대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시선에 따라 간편하게 포커싱 또는 촬영 모드 설정을 수행할 수 있는 단말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간편하게 이미지 화질 설정을 수행할 수 있는 단말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는, 전면 카메라와, 후면 카메라와, 후면 카메라로부터 제1 이미지를 수신하고, 전면 카메라로부터 제2 이미지를 수신하며, 제2 이미지에 기초하여, 제1 이미지 내의 시선 영역을 검출하고, 검출된 영역이 포커싱되도록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는, 검출된 영역이 포커싱된 제3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후면 카메라는, 복수의 렌즈를 포함하는 렌즈 장치를 구비하고, 프로세서는, 검출된 영역에 대응하여, 렌즈 장치 내의 적어도 하나의 렌즈의 위치가 이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는, 시선 영역의 이동시, 이동되는 시선 영역에 따라, 렌즈 장치 내의 적어도 하나의 렌즈의 위치가 가변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는, 후면 카메라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아이 트래킹(eye tracking) 모드인 경우, 전면 카메라가 온 되도록 제어하며, 전면 카메라로부터 제2 이미지를 수신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는, 전면 카메라 또는 후면 카메라의 위치 또는 이동을 센싱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하고, 프로세서는, 센서부로부터의 위치 정보 또는 이동 정보에 기초하여, 시선 영역에 위치하는 피사체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피사체 정보에 기초하여, 촬영 모드를 자동으로 설정하며, 설정된 촬영 모드에 따라, 검출된 영역이 포커싱된 제4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는, 전면 카메라로부터 제2 이미지에 기초하여, 주변 환경 정보를 연산하고, 연산된 주변 환경 정보에 기초하여, 자동 노출, 자동 화이트 밸런스 설정이 수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는, 전면 카메라로부터 제2 이미지 내의 밝기 정보와 색상 정보에 기초하여, 주변 환경 정보를 연산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는, 전면 카메라로부터 제2 이미지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감정 분석 및 심박수 변화를 감지하고, 사용자 감정 및 심박수 변화에 기초하여, 출력되는 이미지의 화질을 설정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는, 제1 이미지에 기초하여 복수의 모드에 따라 처리된 복수의 모드 이미지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며, 복수의 모드 이미지 중 선택된 이미지에 따라, 화질 설정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모드 이미지는, 밝기, 색, 선명도 중 적어도 하나가 다른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는, 전문가 모드를 이용하여 촬영한 화질 설정 또는 자동 모드에서 선택한 화질 설정을 이용하여, 사용자 설정 화질 설정값이 업데이트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는, 전면 카메라로부터 획득된 제2 이미지에 기초하여, 사용자 별로, 사용자 설정 화질 설정값이 업데이트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는, 전면 카메라와, 후면 카메라와, 후면 카메라로부터 제1 이미지를 수신하고, 전면 카메라로부터 제2 이미지를 수신하며, 제2 이미지에 기초하여, 제1 이미지 내의 시선 영역을 검출하고, 검출된 영역에 대응하는 피사체 정보를 획득하며, 획득된 피사체 정보에 기초하여, 촬영 모드를 자동으로 설정하며, 설정된 촬영 모드에 따라, 검출된 영역이 포커싱된 제3 이미지를 출력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는, 전면 카메라와, 후면 카메라와, 후면 카메라로부터 제1 이미지를 수신하고, 전면 카메라로부터 제2 이미지를 수신하며, 제1 이미지에 기초하여 복수의 모드에 따라 처리된 복수의 모드 이미지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며, 복수의 모드 이미지 중 선택된 이미지에 따라, 화질 설정을 수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는, 전면 카메라와, 후면 카메라와, 후면 카메라로부터 제1 이미지를 수신하고, 전면 카메라로부터 제2 이미지를 수신하며, 제2 이미지에 기초하여, 제1 이미지 내의 시선 영역을 검출하고, 검출된 영역이 포커싱되도록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시선에 따라 간편하게 포커싱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프로세서는, 검출된 영역이 포커싱된 제3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시선에 따라 간편하게 포커싱된 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후면 카메라는, 복수의 렌즈를 포함하는 렌즈 장치를 구비하고, 프로세서는, 검출된 영역에 대응하여, 렌즈 장치 내의 적어도 하나의 렌즈의 위치가 이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시선에 따라 간편하게 포커싱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프로세서는, 시선 영역의 이동시, 이동되는 시선 영역에 따라, 렌즈 장치 내의 적어도 하나의 렌즈의 위치가 가변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시선에 따라 간편하게 포커싱 이동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프로세서는, 후면 카메라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아이 트래킹(eye tracking) 모드인 경우, 전면 카메라가 온 되도록 제어하며, 전면 카메라로부터 제2 이미지를 수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면 카메라 기반하에, 시선에 따라 간편하게 포커싱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는, 전면 카메라 또는 후면 카메라의 위치 또는 이동을 센싱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하고, 프로세서는, 센서부로부터의 위치 정보 또는 이동 정보에 기초하여, 시선 영역에 위치하는 피사체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피사체 정보에 기초하여, 촬영 모드를 자동으로 설정하며, 설정된 촬영 모드에 따라, 검출된 영역이 포커싱된 제4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시선에 따라 간편하게 포커싱 및 촬영 모드 자동 설정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프로세서는, 전면 카메라로부터 제2 이미지에 기초하여, 주변 환경 정보를 연산하고, 연산된 주변 환경 정보에 기초하여, 자동 노출, 자동 화이트 밸런스 설정이 수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면 카메라에 기초하여 간편하게, 촬영 설정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프로세서는, 전면 카메라로부터 제2 이미지 내의 밝기 정보와 색상 정보에 기초하여, 주변 환경 정보를 연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면 카메라에 기초하여 간편하게, 주변 환경 정보를 연산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프로세서는, 전면 카메라로부터 제2 이미지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감정 분석 및 심박수 변화를 감지하고, 사용자 감정 및 심박수 변화에 기초하여, 출력되는 이미지의 화질을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면 카메라에 기초하여 간편하게, 화질 설정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프로세서는, 제1 이미지에 기초하여 복수의 모드에 따라 처리된 복수의 모드 이미지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며, 복수의 모드 이미지 중 선택된 이미지에 따라, 화질 설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간편하게, 화질 설정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프로세서는, 전문가 모드를 이용하여 촬영한 화질 설정 또는 자동 모드에서 선택한 화질 설정을 이용하여, 사용자 설정 화질 설정값이 업데이트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간편하게, 사용자 설정 화질 설정값을 업데이트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프로세서는, 전면 카메라로부터 획득된 제2 이미지에 기초하여, 사용자 별로, 사용자 설정 화질 설정값이 업데이트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간편하게, 사용자 별로, 화질 설정값을 업데이트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는, 전면 카메라와, 후면 카메라와, 후면 카메라로부터 제1 이미지를 수신하고, 전면 카메라로부터 제2 이미지를 수신하며, 제2 이미지에 기초하여, 제1 이미지 내의 시선 영역을 검출하고, 검출된 영역에 대응하는 피사체 정보를 획득하며, 획득된 피사체 정보에 기초하여, 촬영 모드를 자동으로 설정하며, 설정된 촬영 모드에 따라, 검출된 영역이 포커싱된 제3 이미지를 출력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시선에 따라 간편하게 포커싱 및 촬영 모드 설정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는, 전면 카메라와, 후면 카메라와, 후면 카메라로부터 제1 이미지를 수신하고, 전면 카메라로부터 제2 이미지를 수신하며, 제1 이미지에 기초하여 복수의 모드에 따라 처리된 복수의 모드 이미지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며, 복수의 모드 이미지 중 선택된 이미지에 따라, 화질 설정을 수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시선에 따라, 간편하게 화질 설정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도 1a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일예인 이동 단말기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1b는 도 1a에 도시한 이동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이동 단말기의 블럭도이다.
도 3a는 도 1a 및 도 1b의 전면 카메라와 후면 카메라의 내부 단면도이다.
도 3b는 도 1a 및 도 1b의 전면 카메라와 후면 카메라를 구비하는 카메라 장치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동작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5a 내지 도 6d는 도 4의 동작 방법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동작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8a 내지 도 8d는 도 7의 동작 방법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동작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0a 내지 도 10c는 도 9의 동작 방법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단순히 본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특별히 중요한 의미 또는 역할을 부여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모듈" 및 "부"는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도 1a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일예인 이동 단말기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1b는 도 1a에 도시한 이동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1a을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100)의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는, 프론트 케이스(100-1)와 리어 케이스(100-2)에 의해 형성된다. 프론트 케이스(100-1)와 리어 케이스(100-2)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론트 케이스(100-1)에는 디스플레이(180), 제1 음향출력모듈(153a), 제1 카메라(195a), 및 제1 내지 제3 사용자 입력부(130a, 130b, 130c)가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리어 케이스(100-2)의 측면에는 제4 사용자 입력부(130d), 제5 사용자 입력부(130e), 및 제1 내지 제3 마이크(123a, 123b, 123c)가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80)는 터치패드가 레이어 구조로 중첩됨으로써, 디스플레이(180)가 터치스크린으로 동작할 수 있다.
제1 음향출력 모듈(153a)은 리시버 또는 스피커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제1 카메라(195a)는 사용자 등에 대한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기에 적절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마이크(123)는 사용자의 음성, 기타 소리 등을 입력받기 적절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5 사용자 입력부(130a, 130b, 130c, 130d, 130e)와 후술하는 제6 및 제7 사용자 입력부(130f, 130g)는 사용자 입력부(130)라 통칭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2 마이크(123a, 123b)는, 리어 케이스(100-2)의 상측, 즉, 이동 단말기(100)의 상측에, 오디오 신호 수집을 위해 배치되며, 제3 마이크(123c)는, 리어 케이스(100-2)의 하측, 즉, 이동 단말기(100)의 하측에, 오디오 신호 수집을 위해 배치될 수 있다.
도 1b를 참조하면, 리어 케이스(100-2)의 후면에는 제2 카메라(195b), 제3 카메라(195c), 및 제4 마이크(미도시)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으며, 리어 케이스(100-2)의 측면에는 제6 및 제7 사용자 입력부(130f, 130g)와, 인터페이스부(175)가 배치될 수 있다.
제2 카메라(195b)는 제1 카메라(195a)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며, 제1 카메라(195a)와 서로 다른 화소를 가질 수 있다. 제2 카메라(195b)에 인접하게는 플래쉬(미도시)와 거울(미도시)이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한편, 제2 카메라(195b)는, RGB 카메라일 수 있으며, 제3 카메라(195c)는, 피사체와의 거리 연산을 위한 깊이 카메라(depth camera)일 수 있다.
리어 케이스(100-2)에는 제2 음향출력 모듈(미도시)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제2 음향출력 모듈은 제1 음향출력 모듈(153a)와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스피커폰 모드로 통화를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리어 케이스(100-2) 측에는 이동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190)가 장착될 수 있다. 전원공급부(190)는, 예를 들어 충전 가능한 배터리로서, 충전 등을 위하여 리어 케이스(100-2)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4 마이크(123d)는, 리어 케이스(100-2)의 전면, 즉, 이동 단말기(100)의 뒷면에, 오디오 신호 수집을 위해 배치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이동 단말기의 블럭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메모리(160), 인터페이스부(175), 제어부(170), 및 전원 공급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요소들은 실제 응용에서 구현될 때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3), 무선 인터넷 모듈(115), 근거리 통신 모듈(117), 및 GPS 모듈(119)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 방송관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할 수 있다. 방송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16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13)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5)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무선 인터넷 모듈(115)은 이동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7)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이 이용될 수 있다.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119)은 복수 개의 GPS 인공위성으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한다.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95)와 마이크(123)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95)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할 수 있다. 그리고,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195)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95)는 단말기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이크(123)는, 디스플레이 오프 모드, 예를 들어, 통화모드, 녹음모드, 또는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오디오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할 수 있다.
한편, 마이크(123)는, 서로 다른 위치에, 복수개로서 배치될 수 있다. 각 마이크에서 수신되는 오디오 신호는 제어부(170) 등에서 오디오 신호 처리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하여 입력하는 키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의 누름 또는 터치 조작에 의해 명령 또는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터치 패드가 후술하는 디스플레이(180)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룰 경우, 이를 터치스크린(touch screen)이라 부를 수 있다.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등과 같이 이동 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센싱부(140)는 근접센서(141), 압력센서(143), 및 모션 센서(145), 터치 센서(146)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근접센서(141)는 이동 단말기(100)로 접근하는 물체나, 이동 단말기(100)의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 등을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할 수 있다. 특히, 근접센서(141)는, 교류자계의 변화나 정자계의 변화를 이용하거나, 혹은 정전용량의 변화율 등을 이용하여 근접물체를 검출할 수 있다.
압력센서(143)는 이동 단말기(100)에 압력이 가해지는지 여부와, 그 압력의 크기 등을 검출할 수 있다.
모션 센서(145)는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등을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나 움직임 등을 감지할 수 있다.
터치 센서(146)는, 사용자의 손가락에 의한 터치 입력 또는 특정 펜에 의한 터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180) 상에 터치 스크린 패널이 배치되는 경우, 터치 스크린 패널은, 터치 입력의 위치 정보, 세기 정보 등을 감지하기 위한 터치 센서(146)를 구비할 수 있다. 터치 센서(146)에서 감지된 센싱 신호는, 제어부(170)로 전달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또는 알람(alarm) 신호의 출력을 위한 것이다. 출력부(150)에는 디스플레이(180), 음향출력 모듈(153), 알람부(155), 및 햅틱 모듈(157)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80)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그리고 이동 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 촬영되거나 수신된 영상을 각각 혹은 동시에 표시할 수 있으며, UI, GUI를 표시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180)와 터치패드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어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디스플레이(180)는 출력 장치 이외에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정보의 입력이 가능한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음향출력 모듈(153)은 호 신호 수신, 통화 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음향출력 모듈(153)은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 예를 들어, 호 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오디오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음향출력 모듈(153)에는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알람부(155)는 이동 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알람부(155)는 오디오 신호나 비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예를 들면, 진동 형태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157)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7)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 효과가 있다. 햅틱 모듈(157)이 촉각 효과로 진동을 발생시키는 경우, 햅택 모듈(157)이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변환가능하며,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메모리(160)는 제어부(17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력되거나 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175)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수행한다. 인터페이스부(175)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할 수 있고,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통상적으로 상기 각부의 동작을 제어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재생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재생 모듈(181)은 제어부(170) 내에 하드웨어로 구성될 수도 있고, 제어부(170)와 별도로 소프트웨어로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제어부(170)는, 애플리케이션 구동을 위한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또는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미도시)는 제어부(170)와 별도로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7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도 3a는 도 1a 및 도 1b의 전면 카메라와 후면 카메라의 내부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후면 카메라(195b)는, 조리개(194), 렌즈 장치(193), 이미지 센서(820)를 구비할 수 있다.
조리개(194)는, 렌즈 장치(193)로 입사되는 광을 개폐할 수 있다.
렌즈 장치(193)는, 가변 초점을 위해 조정되는 복수의 렌즈를 구비할 수 있다.
이미지 센서(820)는, RGB 색상을 센싱하기 위해, RGb 필터(915a)와, 광 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센서 어레이(911b)를 구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미지 센서(820)는, 각각 RGB 이미지를 센싱하여, 출력할 수 있다.
전면 카메라(195a)는, 조리개(194a), 렌즈 장치(193a), 이미지 센서(820a)를 구비할 수 있다.
조리개(194a)는, 렌즈 장치(193a)로 입사되는 광을 개폐할 수 있다.
렌즈 장치(193a)는, 가변 초점을 위해 조정되는 복수의 렌즈를 구비할 수 있다.
이미지 센서(820a)는, RGB 색상을 센싱하기 위해, RGb 필터(915aa)와, 광 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센서 어레이(911ba)를 구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미지 센서(820a)는, 각각 RGB 이미지를 센싱하여, 출력할 수 있다.
도 3b는 도 1a 및 도 1b의 전면 카메라와 후면 카메라를 구비하는 카메라 장치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카메라 장치(195)는, 전면 카메라(195a), 후면 카메라(195b), 프로세서(270), 센서부(230), 메모리(240), 광출력부(275), 인터페이스(250)를 구비할 수 있다.
후면 카메라(195b)는 렌즈 장치(193), 이미지 센서(820)를 구비할 수 있다.
후면 카메라(195b) 내의 렌즈 장치(193)는, 입사되는 입사광을 수신하며, 가변 초점을 위해 조정되는 복수의 렌즈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이미지 센서(820)는, 전기 신호에 기초하여, 노출 시간이 조절될 수 있다.
전면 카메라(195a)는 렌즈 장치(193a), 이미지 센서(820a)를 구비할 수 있다.
전면 카메라(195a) 내의 렌즈 장치(193a)는, 입사되는 입사광을 수신하며, 가변 초점을 위해 조정되는 복수의 렌즈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이미지 센서(820a)는, 전기 신호에 기초하여, 노출 시간이 조절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270)는, 후면 카메라(195b) 내의 이미지 센서(820)로부터의 전기 신호에 기초하여, RGB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270)는, 전면 카메라(195a) 내의 이미지 센서(820a)로부터의 전기 신호에 기초하여, RGB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센서부(230)는, 카메라 장치(195)의 이동 정보 또는 위치 정보 등을 센싱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센서부(230)는, GPS 수신부, 관성 센서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250)는, 이동 단말기(100) 내의 다른 유닛과의 데이터 전송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광출력부(275)는, 카메라 장치의 동작을 위한 적외선광 등을 출력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270)로부터의 RGB 이미지는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70)로 전달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270) 또는 제어부(170)는, 렌즈 장치(193) 내의 렌즈의 이동 등을 위해, 제어 신호를, 렌즈 장치(193)로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토 포커싱을 위한 제어 신호를 렌즈 장치(193)로 출력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270) 또는 제어부(170)는, 조리개(194)의 광투과율 조절을 위한 조리개 제어 신호를, 조리개(194)로 출력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70) 또는 제어부(170)는, 제1 기간에, 조리개(194)가 오픈되고, 제2 기간에, 조리개(194)가 닫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동작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고, 도 5a 내지 도 6d는 도 4의 동작 방법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단말기(100) 내의 프로세서(270) 또는 제어부(170)는, 후면 카메라(195b)가 활성화되는 지 여부를 판단하고(S410), 해당하는 경우, 후면 카메라(195b)가 활성화되도록 제어한다(S415). 이를 위해, 프로세서(270) 또는 제어부(170)는, 후면 카메라(195b)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음, 단말기(100) 내의 프로세서(270) 또는 제어부(170)는, 아이 트래킹(eye tracking) 모드인지 여부를 판단하고(S420), 해당하는 경우, 전면 카메라(195a)가 온 되도록 제어한다(S425). 이를 위해, 프로세서(270) 또는 제어부(170)는, 전면 카메라(195a)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음, 프로세서(270) 또는 제어부(170)는, 후면 카메라(195b)로부터 제1 이미지를 수신하고(S430), 전면 카메라(195a)로부터 제2 이미지를 수신한다(S435).
다음, 프로세서(270) 또는 제어부(170)는, 전면 카메라(195a)에서 획득된 제2 이미지에 기초하여 제1 이미지 내의 시선 영역을 검출한다(S440).
그리고, 프로세서(270) 또는 제어부(170)는, 검출된 시선 영역에 포커싱이 되도록 제어한다(S450).
도 5a는 후면 카메라(195b)가 활성화되어, 이동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180)에 제1 이미지(510)가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한편, 아이 트래킹(eye tracking) 모드인 경우, 단말기(100) 내의 프로세서(270) 또는 제어부(170)는, 전면 카메라(195a)를 활성화시켜, 도면과 같은 제2 이미지(Img1)를 수신할 수 있다.
도면에서의 제2 이미지(Img1)는, 사용자(USER)의 눈(eye)을 포함할 수 있다.
단말기(100) 내의 프로세서(270) 또는 제어부(170)는, 눈(eye)의 위치나 방향 등을 연산하고, 연산된 눈(eye)의 위치나 방향에 기초하여, 제1 이미지(510) 내에 사용자의 시선 영역이 어디에 위치하는 지 여부를 연산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제1 이미지(510) 내의 제1 위치(PT1)에 사용자의 시선이 위치하는 것을 예시한다.
도 5b는, 제1 이미지(510) 내의 제1 위치(PT1)를 포함하는 제1 영역(Ara)이 시선 영역인 것을 예시한다.
한편, 단말기(100) 내의 프로세서(270) 또는 제어부(170)는, 제1 이미지(510) 내의 제1 영역(Ara)에 사용자의 시선이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도 5c와 같이, 렌즈 장치(193) 내의 적어도 하나의 렌즈의 위치가 La에 위치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영역(Ara)에 포커싱이 맞춰지게 된다.
따라서, 단말기(100) 내의 프로세서(270) 또는 제어부(170)는, 도 5d와 같이, 제1 영역(Ara)에 포커싱이 맞춰진 제3 이미지(550)를, 간편하게 획득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시선에 따라 간편하게 포커싱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프로세서(270) 또는 제어부(170)는, 검출된 영역이 포커싱된 제3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시선에 따라 간편하게 포커싱된 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후면 카메라(195b)는, 복수의 렌즈를 포함하는 렌즈 장치(193)를 구비하고, 프로세서(270) 또는 제어부(170)는, 검출된 영역에 대응하여, 렌즈 장치(193) 내의 적어도 하나의 렌즈의 위치가 이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시선에 따라 간편하게 포커싱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프로세서(270) 또는 제어부(170)는, 시선 영역의 이동시, 이동되는 시선 영역에 따라, 렌즈 장치(193) 내의 적어도 하나의 렌즈의 위치가 가변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시선에 따라 간편하게 포커싱 이동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도 6a는 후면 카메라(195b)가 활성화되어, 이동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180)에 제1 이미지(510)가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한편, 아이 트래킹(eye tracking) 모드인 경우, 단말기(100) 내의 프로세서(270) 또는 제어부(170)는, 전면 카메라(195a)를 활성화시켜, 도면과 같은 제2 이미지(Img2)를 수신할 수 있다.
도면에서의 제2 이미지(Img2)는, 사용자(USER)의 눈(eye)을 포함할 수 있다.
단말기(100) 내의 프로세서(270) 또는 제어부(170)는, 눈(eye)의 위치나 방향 등을 연산하고, 연산된 눈(eye)의 위치나 방향에 기초하여, 제1 이미지(510) 내에 사용자의 시선 영역이 어디에 위치하는 지 여부를 연산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제1 이미지(510) 내의 제2 위치(PT2)에 사용자의 시선이 위치하는 것을 예시한다.
도 6b는, 제1 이미지(520) 내의 제2 위치(PT2)를 포함하는 제2 영역(Arb)이 시선 영역인 것을 예시한다.
한편, 단말기(100) 내의 프로세서(270) 또는 제어부(170)는, 제1 이미지(520) 내의 제2 영역(Arb)에 사용자의 시선이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도 6c와 같이, 렌즈 장치(193) 내의 적어도 하나의 렌즈의 위치가 Lb에 위치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영역(Arb)에 포커싱이 맞춰지게 된다.
따라서, 단말기(100) 내의 프로세서(270) 또는 제어부(170)는, 도 6d와 같이, 제2 영역(Arb)에 포커싱이 맞춰진 제3 이미지(560)를, 간편하게 획득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시선에 따라 간편하게 포커싱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동작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고 도 8a 내지 도 8d는 도 7의 동작 방법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단말기(100) 내의 프로세서(270) 또는 제어부(170)는, 후면 카메라(195b)가 활성화되는 지 여부를 판단하고(S710), 해당하는 경우, 후면 카메라(195b)가 활성화되도록 제어한다(S715). 이를 위해, 프로세서(270) 또는 제어부(170)는, 후면 카메라(195b)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음, 단말기(100) 내의 프로세서(270) 또는 제어부(170)는, 자동 촬영 모드인지 여부를 판단하고(S717), 해당하는 경우, 전면 카메라(195a)가 온 되도록 제어한다(S725). 이를 위해, 프로세서(270) 또는 제어부(170)는, 전면 카메라(195a)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음, 프로세서(270) 또는 제어부(170)는, 후면 카메라(195b)로부터 제1 이미지를 수신하고(S730), 전면 카메라(195a)로부터 제2 이미지를 수신한다(S735).
다음, 프로세서(270) 또는 제어부(170)는, 전면 카메라(195a)에서 획득된 제2 이미지에 기초하여 제1 이미지 내의 시선 영역을 검출한다(S740).
그리고, 프로세서(270) 또는 제어부(170)는, 검출된 시선 영역에 포커싱이 되도록 제어한다(S750).
다음, 프로세서(270) 또는 제어부(170)는, 검출된 시선 영역에 대응하는 피사체 정보를 획득한다(S746).
다음, 프로세서(270) 또는 제어부(170)는, 획득된 피사체 정보에 따라 촬영 모드를 설정한다(S748).
다음, 프로세서(270) 또는 제어부(170)는, 시선 영역 포커싱된 상태에서 설정된 모드로 촬영을 수행한다(S750).
도 8a는 후면 카메라(195b)가 활성화되어, 이동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180)에 제1 이미지(810)가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한편, 자동 촬영 모드인 경우, 단말기(100) 내의 프로세서(270) 또는 제어부(170)는, 전면 카메라(195a)를 활성화시켜, 도 8b와 같은 제2 이미지(Img2)를 수신할 수 있다.
도 8b에서의 제2 이미지(Img2)는, 사용자(USER)의 눈(eye)을 포함할 수 있다.
단말기(100) 내의 프로세서(270) 또는 제어부(170)는, 눈(eye)의 위치나 방향 등을 연산하고, 연산된 눈(eye)의 위치나 방향에 기초하여, 제1 이미지(520) 내에 사용자의 시선 영역이 어디에 위치하는 지 여부를 연산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제1 이미지(520) 내의 제2 위치(PT2)에 사용자의 시선이 위치하는 것을 예시한다.
도 8c는, 제1 이미지(520) 내의 제2 위치를 포함하는 제2 영역(Arb)이 시선 영역인 것을 예시한다.
한편, 단말기(100) 내의 프로세서(270) 또는 제어부(170)는, 제1 이미지(520) 내의 제2 영역(Arb)에 사용자의 시선이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렌즈 장치(193) 내의 적어도 하나의 렌즈가 특정 위치에 위치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영역(Arb)에 포커싱이 맞춰지게 된다.
따라서, 단말기(100) 내의 프로세서(270) 또는 제어부(170)는, 도 8d와 같이, 제2 영역(Arb)에 포커싱이 맞춰진 제3 이미지(560)를, 간편하게 획득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시선에 따라 간편하게 포커싱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프로세서(270) 또는 제어부(170)는, 검출된 영역이 포커싱된 제3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시선에 따라 간편하게 포커싱된 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센서부(230)는 전면 카메라(195a) 또는 후면 카메라(195b)의 위치 또는 이동을 센싱하고, 프로세서(270) 또는 제어부(170)는, 센서부(230)로부터의 위치 정보 또는 이동 정보에 기초하여, 시선 영역에 위치하는 피사체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피사체 정보에 기초하여, 촬영 모드를 자동으로 설정하며, 설정된 촬영 모드에 따라, 검출된 영역이 포커싱된 제4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시선에 따라 간편하게 포커싱 및 촬영 모드 자동 설정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프로세서(270) 또는 제어부(170)는, 전면 카메라(195a)로부터 제2 이미지에 기초하여, 주변 환경 정보를 연산하고, 연산된 주변 환경 정보에 기초하여, 자동 노출, 자동 화이트 밸런스 설정이 수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면 카메라(195a)에 기초하여 간편하게, 촬영 설정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프로세서(270) 또는 제어부(170)는, 전면 카메라(195a)로부터 제2 이미지 내의 밝기 정보와 색상 정보에 기초하여, 주변 환경 정보를 연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면 카메라(195a)에 기초하여 간편하게, 주변 환경 정보를 연산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프로세서(270) 또는 제어부(170)는, 전면 카메라(195a)로부터 제2 이미지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감정 분석 및 심박수 변화를 감지하고, 사용자 감정 및 심박수 변화에 기초하여, 출력되는 이미지의 화질을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면 카메라(195a)에 기초하여 간편하게, 화질 설정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프로세서(270) 또는 제어부(170)는, 제1 이미지에 기초하여 복수의 모드에 따라 처리된 복수의 모드 이미지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며, 복수의 모드 이미지 중 선택된 이미지에 따라, 화질 설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간편하게, 화질 설정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프로세서(270) 또는 제어부(170)는, 전문가 모드를 이용하여 촬영한 화질 설정 또는 자동 모드에서 선택한 화질 설정을 이용하여, 사용자 설정 화질 설정값이 업데이트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간편하게, 사용자 설정 화질 설정값을 업데이트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프로세서(270) 또는 제어부(170)는, 전면 카메라(195a)로부터 획득된 제2 이미지에 기초하여, 사용자 별로, 사용자 설정 화질 설정값이 업데이트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간편하게, 사용자 별로, 화질 설정값을 업데이트할 수 있게 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동작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고, 도 10a 내지 도 10c는 도 9의 동작 방법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단말기(100) 내의 프로세서(270) 또는 제어부(170)는, 후면 카메라(195b)가 활성화되는 지 여부를 판단하고(S910), 해당하는 경우, 후면 카메라(195b)가 활성화되도록 제어한다(S915). 이를 위해, 프로세서(270) 또는 제어부(170)는, 후면 카메라(195b)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음, 프로세서(270) 또는 제어부(170)는, 후면 카메라(195b)로부터 제1 이미지를 수신한다(S930).
다음, 프로세서(270) 또는 제어부(170)는, 제1 이미지에 기초하여 복수의 모드에 따라 처리된 복수의 모드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S933).
그리고, 프로세서(270) 또는 제어부(170)는, 선택된 모드 이미지에 따른 화질 설정을 수행할 수 있다(S936).
도 10a는 후면 카메라(195b)가 활성화되어, 이동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180)에 제1 이미지(810)가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한편, 단말기(100) 내의 프로세서(270) 또는 제어부(170)는, 제1 이미지(810) 이후, 복수의 모드 중 어느 한 모드의 설정을 위해, 도 10b와 같이, 복수의 모드 이미지(Imga,Imgb,Imgc)를 생성하여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모드 이미지(Imga,Imgb,Imgc)는, 밝기, 색, 선명도 중 적어도 하나가 다른 이미지일 수 있다.
한편, 도 10b와 같이, 복수의 모드 이미지(Imga,Imgb,Imgc)가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손가락(FNG) 터치 입력에 의해, 제1 모드 이미지(IMga)가 선택되는 경우, 단말기(100) 내의 프로세서(270) 또는 제어부(170)는, 제1 모드 이미지(IMga)에 대응하는 화질 설정이 수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말기(100) 내의 프로세서(270) 또는 제어부(170)는, 도 10c와 같이, 제1 모드 화질 설정 메시지(1020)를 출력하도록 제어하고, 그 이후, 제1 모드 화질 설정에 따라 신호 처리되어 생성된 이미지가,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간편하게, 사용자가 원하는 화질 설정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프로세서(270) 또는 제어부(170)는, 전문가 모드를 이용하여 촬영한 화질 설정 또는 자동 모드에서 선택한 화질 설정을 이용하여, 사용자 설정 화질 설정값이 업데이트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간편하게, 사용자 설정 화질 설정값을 업데이트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프로세서(270) 또는 제어부(170)는, 전면 카메라(195a)로부터 획득된 제2 이미지에 기초하여, 사용자 별로, 사용자 설정 화질 설정값이 업데이트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간편하게, 사용자 별로, 화질 설정값을 업데이트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4 내지 도 10c에서 설명한 카메라 장치(195)는, 도 2의 이동 단말기(100), 차량, TV, 드론, 로봇, 로봇 청소기, 출입문 등 다양한 전자 기기에 채용 가능하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Claims (15)

  1. 전면 카메라;
    후면 카메라;
    상기 후면 카메라로부터 제1 이미지를 수신하고, 상기 전면 카메라로부터 제2 이미지를 수신하며, 상기 제2 이미지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이미지 내의 시선 영역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영역이 포커싱되도록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검출된 영역이 포커싱된 제3 이미지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 카메라는,
    복수의 렌즈를 포함하는 렌즈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검출된 영역에 대응하여, 상기 렌즈 장치 내의 적어도 하나의 렌즈의 위치가 이동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시선 영역의 이동시, 이동되는 시선 영역에 따라, 상기 렌즈 장치 내의 적어도 하나의 렌즈의 위치가 가변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후면 카메라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아이 트래킹(eye tracking) 모드인 경우, 상기 전면 카메라가 온 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전면 카메라로부터 상기 제2 이미지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카메라 또는 상기 후면 카메라의 위치 또는 이동을 센싱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센서부로부터의 위치 정보 또는 이동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시선 영역에 위치하는 피사체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피사체 정보에 기초하여, 촬영 모드를 자동으로 설정하며,
    상기 설정된 촬영 모드에 따라, 상기 검출된 영역이 포커싱된 제4 이미지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전면 카메라로부터 제2 이미지에 기초하여, 주변 환경 정보를 연산하고, 상기 연산된 주변 환경 정보에 기초하여, 자동 노출, 자동 화이트 밸런스 설정이 수행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전면 카메라로부터 제2 이미지 내의 밝기 정보와 색상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주변 환경 정보를 연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전면 카메라로부터 제2 이미지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감정 분석 및 심박수 변화를 감지하고, 사용자 감정 및 심박수 변화에 기초하여, 출력되는 이미지의 화질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이미지에 기초하여 복수의 모드에 따라 처리된 복수의 모드 이미지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복수의 모드 이미지 중 선택된 이미지에 따라, 화질 설정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모드 이미지는,
    밝기, 색, 선명도 중 적어도 하나가 다른 이미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전문가 모드를 이용하여 촬영한 화질 설정 또는 자동 모드에서 선택한 화질 설정을 이용하여, 사용자 설정 화질 설정값이 업데이트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전면 카메라로부터 획득된 제2 이미지에 기초하여, 사용자 별로, 상기 사용자 설정 화질 설정값이 업데이트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14. 전면 카메라;
    후면 카메라;
    상기 후면 카메라로부터 제1 이미지를 수신하고, 상기 전면 카메라로부터 제2 이미지를 수신하며, 상기 제2 이미지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이미지 내의 시선 영역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영역에 대응하는 피사체 정보를 획득하며, 상기 획득된 피사체 정보에 기초하여, 촬영 모드를 자동으로 설정하며, 상기 설정된 촬영 모드에 따라, 상기 검출된 영역이 포커싱된 제3 이미지를 출력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15. 전면 카메라;
    후면 카메라;
    상기 후면 카메라로부터 제1 이미지를 수신하고, 상기 전면 카메라로부터 제2 이미지를 수신하며, 상기 제1 이미지에 기초하여 복수의 모드에 따라 처리된 복수의 모드 이미지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복수의 모드 이미지 중 선택된 이미지에 따라, 화질 설정을 수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KR1020180133675A 2018-11-02 2018-11-02 단말기 KR20200050714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3675A KR20200050714A (ko) 2018-11-02 2018-11-02 단말기
PCT/KR2019/003322 WO2020091156A1 (ko) 2018-11-02 2019-03-21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3675A KR20200050714A (ko) 2018-11-02 2018-11-02 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0714A true KR20200050714A (ko) 2020-05-12

Family

ID=704621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3675A KR20200050714A (ko) 2018-11-02 2018-11-02 단말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00050714A (ko)
WO (1) WO2020091156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84080B2 (en) * 2001-06-25 2007-02-27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Automatic white balancing via illuminant scoring
KR100452862B1 (ko) * 2002-09-05 2004-10-14 삼성전자주식회사 조정모드의 동작을 보다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휴대용전자기기
JP5257525B2 (ja) * 2012-01-12 2013-08-07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撮像制御方法、プログラム
US9829971B2 (en) * 2013-01-21 2017-11-28 Facebook, Inc. Systems and methods of eye tracking control
KR20160017463A (ko) * 2014-08-06 2016-02-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091156A1 (ko) 2020-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2333380B (zh) 一种拍摄方法及设备
EP3163748A2 (en) Method, device and terminal for adjusting volume
KR20150133056A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CN105830012A (zh) 移动终端及其控制方法
CN105744133B (zh) 视频补光方法及装置
CN104243819A (zh) 照片获取方法及装置
CN105100610A (zh) 自拍提示方法和装置、自拍杆及自拍提示***
EP3829191A1 (en)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sound field, mobile terminal and storage medium
KR20160019145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CN105259765A (zh) 生成控制界面的方法及装置
CN110661970B (zh) 拍照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CN105282441A (zh) 拍照方法及装置
CN104580886A (zh) 拍摄控制方法及装置
KR20160127606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CN110661971A (zh) 图像拍摄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CN106506948A (zh) 闪光灯控制方法及装置
CN104156993A (zh) 一种切换图片中人脸图像的方法及装置
CN104506770A (zh) 拍摄图像的方法及装置
KR20160036230A (ko) 이동 단말기 제어방법 및 이동 단말기
KR20170082228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CN109803051A (zh) 环境亮度值获取方法及装置
US11054621B2 (en) Camera, and image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KR20160038409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EP3629560A1 (en) Full screen terminal, and operation control method and device based on full screen terminal
KR20190133591A (ko) 조리개 장치, 카메라, 및 이를 구비하는 단말기